observer_effect의 등록된 링크

 observer_effect로 등록된 네이버 블로그 포스트 수는 26건입니다.

[DCF #1] 현름흐름모형과 영업현금흐름의 측정(feat. 자산손상) [내부링크]

현금흐름할인모형(DCF Discounted Cash Flow Method)는 기업(또는 IFRS 현금창출단위)이 영업활...

[DCF #2] 가중평균자본비용(WACC) [내부링크]

자본비용은 투자자(주주와 채권자)의 기대수익율이다.이 기대수익율은 주주의 요구수익율인 자기자본비용...

[DCF #3] 비영업자산, 타인자본가치 그리고 지분가치 [내부링크]

1. 비영업자산(Non-Operating Asset Value) 영업가치는 미래현금흐름추정의 현재가치이다.미래 ...

전환사채(CB) K-IFRS 회계처리실무와 세무조정 [내부링크]

<사례> 1. 발행시점 전환사채 인식과 회계처리 A. 이자의 현재가치 : 100,000,000X6%X2.53129...

[감리지적] 비상장주식 손상차손 외부평가보고서 인용해도 불인정한 사례 [내부링크]

[감리지적사례] 종속회사주식 손상차손 평가오류(1) 회사의 회계처리 전자장비 제조업을 영위하는 상장기...

공정가치 의뢰 및 진행순서 [내부링크]

공정가치평가 의뢰 및 진행순서 1. 사전 절차 (1) 상기 <카카오톡 1:1 문의하기> 또는 이메일을 통해...

파생금융상품 공정가치 평가PROCESS [내부링크]

<2020년 10월 월간공인회계사 중 일부 by 공정가치 Blog 운영자> <대주회계법인 공정가치보...

비상장주식 공정가치평가 예외적용과 관련한 이슈정리 [내부링크]

비상장주식 평가이슈는 IFRS 회계에서 매우 어려운 파트이다.평가방법의 한끝차이로 글로벌 대...

상환전환우선주(RCPS)에 대한 K-IFRS 회계처리, 세무조정 and 상법의 시각차이 [내부링크]

1. 전환상환우선주란? 전환상환우선주(RCPS, Redeemable Convertible Preference Shares)는 약...

파생금융상품 평가회계법인 선정의 중요성(평가보고서가 Reject되는 2가지 이유) [내부링크]

[회계적 판단 Factor]파생금융상품의 평가Process에서 각 단계별로 아래와 같은 사항은 K-IFRS...

‘표리부동한’ 전환사채(CB) 공정가치 평가 & 파생상품회계(feat. RCPS의 함정) [내부링크]

1. 전환사채란? 전환사채는 사채형태이지만 보유자의 선택에 따라 주식으로 전환할 수 있는 파생금융상...

'파생상품 공정가치 평가'에서 흔히 발견되는 오류 TOP 10과 그 수정 [내부링크]

1. 현가할인율(유효이자율) 기간계산 오류(오류)내재파생상품에서 상환권을 별도로 분리하지 않는 회계정책...

[파생상품회계] 금융상품의 분류 : AC, FVOCI, FVPL 1샷 3킬 정리!!! [내부링크]

귀족 기준서인 K-IFRS 중에서 가장 용어갑질이 심한 파트가 금융상품관련 내용이다. 복잡하고 방대...

[IFRS 금융상품] 도대체 공정가치란 무엇인가? Fair Value의 착시 [내부링크]

한국채택 국제회계기준 <K-1113호 공정가치 측정>은 공정가치를 어떻게 측정할 것인가를 설명한다....

K-IFRS 귀족기준서 용어갑질 VS 파생상품 공정가치평가 극한작업 [내부링크]

앞으로 블로그에서 다룰 메인주제는 <파생금융 공정가치평가> 입니다. 2018년부터 한국채택 ...

[RCPS 역설] 실적이 좋아지면 재무구조가 나빠지는 상환전환우선주 & 대응책 [내부링크]

1. Pre-Kosdaq 투자의 대세 RCPS벤쳐캐피탈 투자수단으로 RCPS가 늘고 있다.담보능력이 ...

외부감사인 파생상품 입증감사절차 [내부링크]

Part 1. 절차 예시 1. 파생상품 총괄표 작성 당기말잔액은 총계정원장과, 전기말잔액은 전기감사보고...

복잡한 파생금융상품 관련 K-IFRS 조항에 대한 실무해석과 적용 [내부링크]

Pre-IPO회사는 전환상환우선주(RCPS)와 전환사채(CB) 등 전환증권을 발행한 회사가 많습니다....

파생금융상품 공정가치 평가Process [내부링크]

현재 대주회계법인(청주) Valuation TF의 평가절차 매뉴얼은 다음과 같습니다. 1. STEP1 발행조...

[실제사례] 회계법인이 흔히 실수하는 전환사채 공정가치평가 Case [내부링크]

이 사례는 A상장회사가 보유하고 있는 B비상장자회사 발행 전환사채 평가입니다. 자본시장과금융투자업에...

[실제사례] 파생상품공정가치 평가를 전문채권평가사가 수행했을 때 흔히 발생하는 이슈 [내부링크]

전문채권평가사가 파생상품 공정가치평가를 수행하는 경우에는 IFRS 회계적 판단 없이 기계적으로 프로...

상환전환우선주(RCPS)와 전환사채(CB) 공정가치평가 차이 [내부링크]

전환상환우선주는 보유자의 선택에 따라 상환해야 하므로 금융부채의 특성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본다.[...

상환권 가치평가와 인식표시 (feat. 회계법인과 채권전문평가사의 상환옵션 평가모형차이) [내부링크]

Ⅰ. 상환권이란? 전환사채는 주식으로 전환할 수 있는 옵션인 전환권이 기본적으로 내재된다. 그리고 ...

파생금융상품(RCPS,CB,BW,EB) 공정가치평가 안내 [내부링크]

1. 파생금융상품의 평가Process에서 각 단계별 필수적 사전판단사항입니다. (1) RCPS가 금융부채 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