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afetyguid의 등록된 링크

 safetyguid로 등록된 네이버 블로그 포스트 수는 87건입니다.

사고체인 5요소와 기계설비의 6가지 위험점 [내부링크]

Ⅰ. 사고체인의 5요소 사고체인은 사고를 분석하는데 중요한 점으로 사고조사의 가장 중요한 요소중에 하나이다. 사고방지를 위해 사고의 분석과 직접적인 원인, 근본적인 원인을 확인하는 것은 대책수립에 가장 필요한 활동이다. 특히 기계의 위험요소에 의해 사람이 어떻게 상해를 입었는가를 기준으로 분류하는 것이 기본적인 방법으로 분류의 방법은 아래와 같다. 사고체인의 5가지요소는 첫번째, 함점 (Trap) 으로 기계의 운동에 의해 발생 또는 이송 운동에 의한 트랩 등으로 기계설비의 닫힘 또는 이송운동에 의해 작업자의 손과 발 등이 끌려갓 다칠 수 있는 위험요소이다. 두번째, 충격 (Impact)으로 운동하는 기계 등과 작업자가 부딪혀 다칠 수 있는 것으로 움직이는 기계설비에 사람에게 충돌하거나, 고정된 물체에 사람이 움직임으로 충돌하거나, 사람과 기계설비가 서로 충돌할 수 있는 위험요소이다. 세번째, 접촉 (Contact)으로 회전부 또는 날카로운 물체, 고·저온, 감전 등에 접촉함으로 사람

산업안전지도사 합격후기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이번 2023년 산업안전지도사 13회 시험을 합격한 직장인 수험생입니다. 안전분야에서 단순히 비슷한 일을 반복하면서 점점 현타를 받는 와중에 스스로 성장하는 시간이 진심으로 필요하다고 생각이들어 올해 초부터 산업안전지도사에 대해서 알아보고 열심히 준비한 결과 한번에 당당히 합격을 하였습니다. 저는 시험을 준비하면서 많은 시간동안 자료도 많이 찾고 공부도 하면서 상당히 힘이 들었는데요, 그 과정에서 만들어진 요약노트가 있고 이것을 다시한번 잘 정리한다면 누군가에게는 큰 도움이 될꺼같다고 생각이 들어서 이렇게 블로그를 통해서 몇자 끄적끄적 거려보게 되었습니다. 산업안전지도사 시험이란 일단 산업안전지도사는 매년 뽑는 인원이 많지 않을뿐더라 1년에 한번밖에 응시하지 못합니다. 그래서 나름대로 결심하여 1년동안 공부하였음에도 합격하지 못했을 때 들어가는 시간과 노력, 그리고 돈들이 굉장히 아까울 수 있는 리스크가 큰 시험입니다. 이점에서 단순히 기사시험과는 큰 차이가 있었습니다.

방호의 원리와 방호장치 _ 산업안전지도사 2차 [내부링크]

Ⅰ. 작업점의 방호원리 작업점의 방호원리는 기본적으로 4단계로 적용할 수 있다. 첫번째 단계는 '제거'이다. 제거는 가장 근본적인 방호조치로서 잠재 위험요인을 원칙적으로 발생될 수 없도록 조치하는 것이다. 위험하지 않은 설비나 기계로 대체를 하거나 작업자들의 작업방법은 변경하여 위험에 노출되는 상황 자체를 발생시키지 않는 등으로 적용할 수 있다. 두번째 단계는 '차단'이다. 차단은 위험성은 존재하나 재해발생은 사실상 불가능하도록 조치하는 것인데, 현장에서 볼 수 있는 예시로는 안전울, 칸막이, 자동화설비운영, 원격 조정 등이 있다. 세번째 단계는 '덮어씌움'이다. 덮어씌움은 위험은 존재하나 사람과 위험물이 교차되며 재해발생이 가능한 영역에 대해서 한쪽을 덮어 씌움으로써 위험이 사고까지는 이어지지 않도록 하는 것인데, 인터록 장치를 설치하거나 개구부 등에 덮개 설치, 후드 등을 씌우는 것이 예시로 있다. 네번째 단계는 '적응'이다. 적응은 위험이 존재하는 기계에서 작업하는 작업자를 안

산업안전지도사 1차 _ 산업안전보건법 (1/3) [내부링크]

산업안전지도사의 1차시험의 1과목은 법령 그 자체이다. 아래의 사항은 13번의 산업안전지도사 시험을 분석하여, 기출된 법령을 중심으로 정리한 자료로써 1차를 준비하는 직장인 수험생은 아래의 법령을 중심으로 공부하여도 충분히 합격점수인 60점 이상 취득할 수 있다고 확신한다. 하지만, 조금 더 여유가 있는 수험생이라면 아래에 표기한 법령 외에도 주요한 내용의 법령은 함께 본다면 일반적으로 가장 평균점수가 낮은 3과목인 기업진단의 점수를 일부 보충할 수 있을것이다. ---------------------------------------------------------------------------------------------------------------------------- (5조) 사업주 의무 법령상 산재예방기준, 근로자의 쾌적한 작업환경 조성, 근로자 안전보건정보 제공 대상 : 기계기구 설비 설계제조수입하는자, 원재료 제조수입, 건설물 발주설계건설 (8조) 산안법상 협조

산업안전지도사 1차 _ 산업안전보건법 (2/3) [내부링크]

산업안전지도사의 1차시험의 1과목은 법령 그 자체이다. 아래의 사항은 13번의 산업안전지도사 시험을 분석하여, 기출된 법령을 중심으로 정리한 자료로써 1차를 준비하는 직장인 수험생은 아래의 법령을 중심으로 공부하여도 충분히 합격점수인 60점 이상 취득할 수 있다고 확신한다. 하지만, 조금 더 여유가 있는 수험생이라면 아래에 표기한 법령 외에도 주요한 내용의 법령은 함께 본다면 일반적으로 가장 평균점수가 낮은 3과목인 기업진단의 점수를 일부 보충할 수 있을것이다. ---------------------------------------------------------------------------------------------------------------------------- (51조,52조) 사업주의 근로자의 작업중지 사업주는 산재 발생의 급박한 위험이 있을 때 즉시 작업중지 및 근로자 대피조치 근로자는 산재 발생의 급박한 위험이 있을 때 작업중지 및 대피 후, 지체없이 관리

산업안전지도사 1차 _ 산업안전보건법 (3/3) [내부링크]

산업안전지도사의 1차시험의 1과목은 법령 그 자체이다. 아래의 사항은 13번의 산업안전지도사 시험을 분석하여, 기출된 법령을 중심으로 정리한 자료로써 1차를 준비하는 직장인 수험생은 아래의 법령을 중심으로 공부하여도 충분히 합격점수인 60점 이상 취득할 수 있다고 확신한다. 하지만, 조금 더 여유가 있는 수험생이라면 아래에 표기한 법령 외에도 주요한 내용의 법령은 함께 본다면 일반적으로 가장 평균점수가 낮은 3과목인 기업진단의 점수를 일부 보충할 수 있을것이다. ---------------------------------------------------------------------------------------------------------------------------- (118조) 유해위험물질의 제조 등 허가 - 고용노동부장관 제조,설비,작업방법,허가기준은 고용노동부령으로 정함 고용부장관은 기준에 적합하지 않을때 설비 수리,개조,이전하도록 할 수 있다. 고용부장관은 허가

산업안전지도사 합격후기 _ 1차 산업안전법령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산업안전지도사 2023년 13회 시험에 최종합격한 직장인 수험생입니다. 저는 앞선 후기글처럼 23년 1월부터 시험을 준비하였는데요, 이번에는 1차에 집중해서 후기글을 써보도록 하겠습니다. 제가 1차를 어떻게 준비하였고, 어떻게 공부하였는지를 참고하셔서 내년에 공부를 준비하시는 분들에게 조금이라도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1차 시험의 준비기간은 1차 시험은 정보를 조금만 찾아보면 아시겠지만 보통 4월초에 치게됩니다.(24년은 3/31) 연초부터 시험을 준비하기로 결심하신 분들이라면 약 3개월의 시간이 있게되는데요, 3개월이면 1차를 합격하기에 충분한 시간이라고 생각합니다. 1차 시험과목은 3가지입니다. 첫번째는 산업안전법령, 두번째는 산업안전일반, 세번째는 기업진단지도입니다. 그럼 첫번째 과목인 산업안전법령부터 저의 공부방법을 공유드리겠습니다. 법령의 구조는 기본적으로 이해하고 있어야 산업안전보건법은 단순히 해당 법만 보시면 안되는 것은 모두들 아실꺼라 생각합니다. 그

산업안전지도사 합격후기 _ 1차 산업안전일반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이번에는 1차시험 과목 중 산업안전일반에 관한 사항에 대해서 후기를 간략하게 써보겠습니다. 산업안전일반에 대한 내용은 상당히 많은 분량이 산업안전기사에서 많이 활용되고 있습니다. 만약 안전분야에서 일을 하거나, 전공이 안전이신 분들에게는 그렇게 어려운 공부는 아닐 것으로 보입니다. 그래서 산업안전지도사 1차시험 과목 중 상대적으로 고득점을 내기 쉬운 과목이 바로 산업안전일반입니다. 하지만, 안전분야와 무관하신 분들이 공부를 하는 경우에는 조금 막연하게 느껴질 수 있는데요, 오늘은 이 분야에 대해서 무관한 분이라는 가정하에 공부방법을 제안드리는 방식으로 글을 써보겠습니다. 산업안전일반이란 산업안전일반은 안전과 관련된 각종 이론과 지식에 관한 사항이 많습니다. 일부는 법에 관련된 사항도 제출이 되기도 하고, 안전이 아닌 보건에 관한 사항까지도 나오곤 하는데요, 그러다보니 공부 범위를 과연 어디까지 잡아야 하는가에 대해서 어려움이 있을 수 있다고 생각됩니다. 그럼 과연 어디까

산업안전지도사 1차 _ 산업안전일반 (1/4) [내부링크]

Risk 매트릭스 : 가능성과 결과에 대한 범위를 구분하여 리스크 등급을 표시하고 우선순위를 정하는 도구 2. 안전교육 단계별 목표/내용 1단계 (지식) : 안전의식 향상, 책임감 주입, 기초지식, 안전규정 숙지 2단계 (기능) : 전문기술, 안전기술, 방호장치관리, 점검/검사장비 3단계 (태도) : 표준작업방법 습관, 공구/보호구 취급 자세, 작업전후 점검, 안전작업 지시전달 확인 등 언어태도 추후 지도 : 지식-기능-태도 교육 반복, 정기OJT실시, 태도교육훈련은 참가방식 하버드학파 5단계 교수법 : 준비(preparation) → 교시/발표(presentation) → 연합(association) → 총괄/보편(generalization) → 응용(application) 3. 학습지도 원리 : 자발성, 개별, 사회, 통합, 직관, 목적, 생활, 과학, 자연의 원리 (일관성, 계속성 X) 4. 학습평가 기본기준 4가지 : 타당도, 신뢰도 ,객관도, 실용도 5. 무재해운동의 3원칙

산업안전지도사 1차 _ 산업안전일반 (2/4) [내부링크]

산재이론 1) 하인리히 : 환경/유전요인 → 개인결함 → 불안전행동/상태(직접원인) → 사고 2) 버드 : 관리부족 → 기본원인 → 직접원인 → 사고 3) 아담스 : 관리구조 → 작전적에러 → 전술적에러 → 사고 - 작전적 에러 : 관리감독자의 잘못으로 기인하며 관리상 잘못을 강조 - 전술적 에러 : 관리시스템 내의 불안전 행동과 상태 4) 리즌 : 스위스치즈모델 5) 하돈 : 매트릭스 모델, 사고전중후 상황에서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한 영역을 4가지 요인 (사람/원인인자/물리적환경/사회적환경) 으로 분석 2. 시력 관련 문제 시력 1.2인 사람이 6m 떨어진 곳에서 구분할 수 있는 벌어진 틈의 최소크기? → 시력(최소분간시력) = 1/시각 → 시각 = (57.3*60)*H(물체크기)/D(눈과물체사이거리) = (57.3*60)*1.2/6,000 3. 근골부담작업 평가도구 1) RULA : 상지부위 반복성 평가, 하지자세도 일부 반영 2) REBA : 예측이 힘든 다양한 자세의 서비스

산업안전지도사 1차 _ 산업안전일반 (3/4) [내부링크]

1. 푸르키네 효과 1) 색광에 대한 시감도가 명암순응에 따라 달라지는 현상 2) 명순응 시, 빨강, 주홍이 밝게 보이며 시감도곡선의 극대는 560nm 3) 암순응 시, 파란색이 밝게 보이며 시감도곡선의 극대는 510nm 4) 눈의 망막에서 추상체 (색상)을 느끼고, 간상체(명암)을 느낌 2. 화학적 인자와 시료채취 1) 실리카겔관 : 극성 유기용제, 산, 방향족아민류, 이미노에탄올, 아미드류, 니트로벤젠류, 페놀류 등 2) 활성탄관 : 비극성 유기용제, 방향족 탄화수소, 할로겐화 탄화수소, 에스테류류, 알코올, 에테르류, 케톤류 3. 유해물질 노출기준 1) 노동으로 인한 외부로부터 노출량과 반응의 관계 정립 : Thedore Hatch 2) 노출에 따른 활동능력의 상실과 조절능력의 상실관계는 지수형 곡선 3) 항상성 단계 : 노출에 대해 적응할 수 있는 정상조절 단계 4) 대상성 단계 : 노출에 대해 방어기능을 동원하여 기능장해를 방어할 수 있는단계 5) 대상성 조절기능 단계를 벗

기계의 안전조건과 본질적 안전조건 _ 산업안전지도사 2차 [내부링크]

Ⅰ. 기계의 안전조건 설비/기계를 설치할 때 근로자들의 안전을 확보하기 위한 조건들이 있다. 설비/기계 자체의 위험성과 작업을 하는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위험성, 그리고 기계를 보수/유지/관리하는 과정에서의 위험승 등에 대해서 근로자들이 사고로 이어지지 않도록 충분한 검토가 필요하다. 기계의 안전조건은 총 5가지 있는데, 첫번째, 구조상 안전화이다. 구조상 안전화는 기계설비의 파괴는 물적손해를 발생시킬 수 있고, 근로자들의 중대한 재해 초래하거나, 설계하는 과정에서, 재료를 공급하고 송출하는 과정, 자료를 가공하는 과정에서 발생될 수 있는 결함에 유의하여야 한다/ 두번째, 보전상 안전화이다. 보전상 안전화는 기계의 정비수리 시 사고예방 및 효과적 유지보수를 위해 설계 시 검토하고 반영해야하는 조건들이 있다. 일단 보수작업자가 진입하는 통로인 보수용 통로는 안전하게 확보해야 하며, 보수작업을 할 때 작업공간을 충분하게 확보하여야 한다. 그리고 부품을 교환하거나 부품간의 호환성에 대

산업안전지도사 1차 _ 산업안전일반 (4/4) [내부링크]

1. 소음과 청력손실 - 청력손실이란 진동수가 높아지면서 청력손실도 심해지며, 초기 청력손실에는 4000Hz에서 가장 크게 나타난다. 청력손실의 정도는 노출소음수준에 따라 증가한다. 2. 휴먼에러 분류기법 1) Skill based behavior (숙련기반행동모델) : 인지 → 행동, 숙련자의 작업모습 - 무의식에 가까운 단순화로 습관으로 볼 수 있음, 상황에 대한 자동반응 2) Rule based behavior (구칙기반행동모델) : 인지 → 유추 → 행동, 중급자의 작업모습 - 이전 경험에서 유추하고 행동하는 것으로 상황과 자극에 대한 형성된 자신만의 규칙을 사용 3) Knowledge based behavior (지식기반행동모델) : 인지 → 해석 → 사고/결정 → 행동, 초보자 - 적절한 규칙과 정보가 없어 0에서 시작함, 모든 과정에 시행착오를 거침 4) 심리적 분류 인적 오류 (Swain) : ① 생략 ② 실행 ③ 과잉행동 ④ 순서 ⑤ 시간 5) 작업별 휴먼에러 : ①

Fail safe와 Fool Proof (1/2) _ 산업안전지도사 2차 [내부링크]

Ⅰ. Fail safe Fail safe란 무엇일까요? 영어 단어 뜻에서 어느정도 유추할 수 있듯이 'Fail 실패 + safe 안전' 무언가의 실패가 발생했음에도 안전하다라는 의미입니다. 이때의 실패는 기계설비에서 실패로 즉 고장을 의미합니다. 결국 기계가 고장났을 경우, 그것으로 인해 기계설비가 폭주하여 사고, 재해로 이어지지 않고 안전을 확보하는 것을 말합니다. 그리고 안전을 확보한다는 것은 일반적으로 '운전을 정지하거나 전원을 차단시킴으로써 안전을 확보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다시한번 정리하면 Fail safe의 정의는 기계나 기계속의 부품이 고장나거나 기능의 불량이 발생하더라도 항상 안전한 구조를 갖추고 있어서 기계설비의 기능을 수행하는데, 본질적인 안전을 확보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Fail safe 기능 3단계 Fail safe의 기능을 3단계로 분류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1) Fail Passive Fail Passive란, 부품이나 설비가 고장났을 경우, 통상적으로 설

산업안전지도사 1차 _ 산업안전보건법 시행령 (1/3) [내부링크]

법령은 어디까지 봐야할까요? 산업안전지도사 1차의 1과목인 산업안전법령은 단순히 산업안전보건법만 보면 안되는 것은 다들 아실꺼라 생각합니다. 법은 일반적으로 국회에서 결정하는 '법'과 대통령, 국무총리 등의 행정부에서 법을 기반으로 행정을 운영하기 위한 '시행령'과 행정 각부 장관 등에서 세부적인 기준을 정하는 '시행규칙' 등으로 구성됩니다. 그래서 시험을 준비하기 위해서는 주요법을 중심으로 관련된 시행령, 시행규칙, 기준에 관한 규칙까지 살펴봐야 합니다. 1차 법령은 그정도까지 보면 되지만 2차 시험을 준비할 때는 주제에 따라 고용노동부의 고시, 안전보건공단의 KOSHA 가이드까지 살펴봐야합니다. 사실 이 모든법을 다 외우는 것은 단기간 내에는 상당히 어렵습니다. 그래서 제가 공부하면서 정리하였던 부분에 대해서 아래와 같이 공유해드리니, 시간이 항상 부족하면서 1차를 준비하시는 직장인 수험생분들께서는 참고하시면서 공부하시면 좋을듯합니다. ------------------------

산업안전지도사 합격후기 _ 23년 1차 합격률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오늘은 산업안전지도사의 응시인원과 합격률에 대해서 한번 말씀 드리는 시간을 가지도록 하겠습니다. 응시자가 급증하는 산업안전지도사 일단, 산업안전지도사는 현재 가장 뜨겁게 상승곡선을 타고 있는 전문자격시험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응시자수를 한번 살펴볼까요? 응시자수는 2015년 498명으로 약 500명 내외로 유지되다가 2019년 중대재해처벌법 등의 정부의 정책변화로 인해 응시자수가 증가하여 1,018명이 되었고 2021년에는 2000명을 넘겼습니다. 그리고 2023년에는 무려 6,271명이 응시를 하여 10년도 안되는 기간에 응시인원이 12배 이상 증가하였습니다. 내년에는 더 많은 지원자가 생길 것으로 보이고, 그거에 따라 시험의 수준도 점점 올라갈 것으로 예상됩니다. 모든 자격증이 그러하듯 응시인원과 합격자수가 늘어날 때마다 시험이 어려워지기 때문에 한해라도 더 빠르게 준비해서 자격을 취득하는 것이 유리하다고 생각됩니다. 위의 그래프를 보시면 전국의 많으 분들이 산업안

Fail safe와 Fool Proof (2/2) _ 산업안전지도사 2차 [내부링크]

Fool Proof란? Fool Proof는 Fool과 Proof의 합성어로서, 인간이 Fool (실수) 같은 행동을 하더라도 안전장치로 인해 사고 또는 재해로 연결되지 않는 것을 의미합니다. 즉 작업자가 실수하고 싶어도 실수 할 수 없도록 구조적인 조치를 하거나, 만약에 실수가 일어났다 하더라도 경보나 작동중지, 전원차단 등의 조치가 연달아 발생하면서 그 피해를 최소로 하거나 아예 없도록 하는 시스템이나 장치를 의미합니다. Fool Proof가 왜 필요할까요 만약 자동화로봇이 작업하는 구역에서 '관계자 외 출입금지' 라는 경고표지가 있다고 가정해 보겠습니다. 해당 작업구역에서 일하는 작업자들이야 당연히 들어가면 안되는 것을 정확하게 알겠지만, 다른 구역의 작업자가 잘 모르고 들어가거나 또는 상황에 따라서는 가로질러 가기위해서나 간단한 보전작업을 하기위해서 일부러 들어가는 경우가 생길수 있습니다. 이때 만약 로봇이 작동하여서 임의로 출입한 작업자와 부딪히는 등의 사고가 발생할 수 있

산업안전지도사 1차 _ 산업안전보건법 시행령 (2/3) [내부링크]

(53조) 안전보건총괄책임자의 직무 1. 위험성평가 실시, 산재위험 및 중대재해 작업중지, 도급시 산재예방조치 2. 산업안전보건관리비의 관계수급인 간의 사용에 관한 협의, 조정, 집행감독 3. 안전인증 대상기계와 자율안전확인 대상기계 사용여부 확인 (57조) 안전보건조정자의 업무 1. 같은 장소에서 이루어지는 혼재 작업파악 및 산재발생 위험성 관리 2. 혼재 작업으로 인한 산재예방을 위한 작업시기, 내용, 안전보건 조치의 조정 3. 각각 공사 도급인의 안전보건관리책임자간 작업내용 정보공유 여부 확인 4. 혼재작업 파악을 위한 해당 공사의 도급인과 관계수급인 자료제출 요구 (63~65조) 노사협의체 1. 대상 : 120억 이상의 공사 (150억 이상의 토목공사) 2. 구성 1) 근로자위원 (1) 도급 근로자 대표 (2) 명예산업안전감독관 (없는경우 근로자대표 지명 근로자 1명) (3) 공사금액 20억 이상 관계수급인 각 근로자 대표 2) 사용자위원 (1) 도급 대표자 (2) 안전보건관

산업안전지도사 1차 _ 산업안전보건법 시행령 (3/3) [내부링크]

(95조) 작업환경측정기관 지정요건 : 국가/지방자치단체 소속기관, 종합병원, 고등교육법 부속기관, 작업환경측정 업무를 하려는 법인, 사업장 부속기관 (96조) 작업환경측정기관의 지정취소 사유 1. 작업환경측정 서류 거짓 작성, 작환측정 업무관련 업무 미보존 2. 정당한 사유없이 작업환경측정 업무거부, 위탁받은 작환업무에 차질을 일으킴 3. 고용노동부령 작환측정 방법 위반, 법에 따른 공무원의 지도감독 거부 4. 고용부장관의 작환측정 능력 확인을 1년 이상 받지 않거나, 부적합판정을 받은 경우 (99조) 유해위험작업 근로시간 관리개선 : 갱내작업, 다량의 고열/저온 물체취급, 라듐방사선, 엑스센, 유해방사선취급, 유리/흙/돌/광물 날리는 장소, 강한소음, 착암기로 인해 신체에 진동, 인력으로 중량물 취급, 납/수은/크롬/망간/카드뮴/중금속/이황화탄소 등 발생장소 (142조) 산업안전/보건지도사의 지도 1. 산업안전지도사 : 공정안전평가지도, 유해위험방지대책 평가지도, 위험성평가, 안

산업안전지도사 합격후기 _ 1차 기업진단지도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직장인수험생입니다. 이번에는 1차시험 중 가장 많은 사람들의 발목을 잡는 3과목인 '기업진단지도'에 대해서 알아보고, 어느정도 공부해야하는지와 공부방법을 공유드리는 시간을 가지도록 하겠습니다. 기업진단지도.. 과연 어떤 과목일까요? 일단 기업진단지도라는 말을 들었을 때, 이건 도대체 어떤 과목이고 무엇을 공부해야하는 것인지 궁금하리라 생각합니다. 기업진단지도는 단순히 한 과목이 아니라 경영학에 기반을 가지고 있습니다. 기출문제를 바탕으로 경영학의 세부내용으로 보면 인사노무관리, 조직에 대한 운영 관련 사항, 생산에 관한 사항, 조직의 구조와 심리학 등에 관한 내용이 20문제 가량 나옵니다. 그 외에는 일반적으로 5문제 내외로 산업위생에 관한 사항으로 나옵니다. 그럼 산업위생에 관한 이야기는 뒤쪽에서하고 기업진단지도를 어떻게 접근하고, 얼마나 공부를 해야할지부터 이야기해보겠습니다. 기업진단지도를 대하는 일반적인 수험생은 자세는? 산업안전지도사 1차 시험에서 기업진단지도를

균형성과표(BSC) _ 기업진단지도 [내부링크]

들어가기에 앞서... 안녕하세요, 직장인 수험생입니다. 오늘부터 기업진단지도에 대해서 주제별로 저의 요약노트의 내용을 발췌하여 공유드리릴예정인데요, 그 전에 이 글을 참고하실 분들게서 꼭 명심하셨으면 하는 부분이 있습니다. 아마 산업안전지도사를 준비하시는 분들의 대부분과 비슷하게 저는 경영학을 전공한 사람이 아니며, 일반적인 이공계열 출신의 안전업무를 하고 있는 사람입니다. 그래서 저는 제가 앞선 후기에서 말씀드린 공부방법에 따라 기출문제에서 뽑아낸 주제에 대해 인터넷 검색 또는 경영학 관련 책자를 보고 비전공자의 입장에서 정리한 내용들을 보여드리는데 불과합니다. 그러므로 보시면서 내용이 부정확하거나, 중요하지 않은 내용을 일부 포함할 수 있습니다. 그러므로 산업안전지도사 시험을 준비분들께서는 이점을 충분히 고려해서 봐주시면 감사드리겠습니다. 균형성과표 (BSC, Balanced Scorecard) 1. 배경 : 균형성과표란 성과를 균형있게 평가하기 위한 표입니다. 여기서 균형이란

공장/설비/부품의 배치 (1/2) [내부링크]

Ⅰ. 공장 배치 3단계 1) 지역의 선정 : 공장을 배치하기 위해서는 일단 원료를 확보하거나 제품 판매 등을 고려하여 가장 용이한 곳으로 지역을 선정하여야 합니다. 2) 공장의 배치 : 다음단계에서는 선정된 지역에서 공장의 전체 레이아웃을 설정해야 합니다. 예를 들어 공장부지, 사무실, 원료나 제품을 보관할 창고, 식당기타 부대시설의 위치를 적절한게 배치하여야 합니다. 3) 기계/설비의 배치 : 원료가 입고가 되어, 공장 내의 작업공정을 거친 후, 제품이 출고되기 까지 작업 동선 등을 고려하여 기계 및 설비 등을 배치하여야 합니다. Ⅱ. 설비배치(Facility layou) 생산공정의 공간적 배열을 말하는 것으로 생산의 흐름에 마주어 기계설비, 각종시설, 창고, 작업공간, 이동통로 등의 위치를 공간적으로 배열하는 것을 말합니다. 이때 공장배치는 기계설비 배치가 가장 중요하므로 일반적으로 실비배치라고 부르기도 합니다. Ⅲ. 설비배치의 기본요소 설비를 배치할 때 고려해야하는 요소는 제품

기계안전을 준비하면 좋은 3가지 이유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직장인 수험생입니다. 산업안전지도사를 준비하고 있거나 준비하실 계획이 있으신 분들이라면 산업안전지도사에는 4가지 분야가 있다는 것을 알고 있을 것입니다. 바로 기계, 건설, 화공, 전기 인데요. 오늘은 이 4분야 중에서 기계안전을 선택하였을 때 어떠한 이점이 있는지를 제 나름대로 의견을 써보려고 합니다. 이 글은 당연히 정론이 아닙니다. 다만 특별한 전문분야가 아직 없어서 산업안전지도사를 한번 준비하고 싶은데, 어떤 분야를 선택해야하나 고민하시는 분이 있다면 참고하시라고 쓰는 글입니다. 글을 시작하기에 앞서, 굳이 이런 글을 왜 쓰는지 궁금하실 수 있는데요. 사실 저도 이 4분야 모두 대학에서 전공을 하지 않은 상태로 안전파트에서 10년 이상 근무를 하였다는 이유만으로는 어떤것이 (시험 합격에) 더 유리한지, (향후에) 더 쓸모가 있는지 오래고민 하였기 때문입니다. 결국 저는 기계안전을 선택하였는데, 제가 어떠한 매력때문에 기계안전을 선택하였는지를 공유 드리고자 합니다.

안전점검과 안전진단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직장인수험생입니다. 오늘은 기계설비의 설계/배치/유지/보수와 관련하여 안전점검의 목적과 종류, 안전진단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안전분야를 잘 모르시는 분들도 안전점검, 안전검사, 안전진단 이렇게 단어를 놓고 보면 먼가 비슷하면서도 다른것 같은 느낌을 받으실 텐데요, 각각 차이점이 확실한 만큼 정확한 개념을 기억하는것이 좋습니다. 그럼 안전점검부터 정리 해보겠습니다. 1. 안전점검 1) 목적 : 안전점검은 크게 3가지의 목적을 가지고 수행하게 됩니다. 첫번째, 기기 및 설비의 결함이나 불안전한 상태의 제거로 사전 안전성을 확보한다. 두번째, 기기 설비의 안전상태를 유지하고 본래의 성능을 보존시킨다. 세번째, 재해방지를 위하여 재해요인에 대한 대책과 실시를 계획적으로 수행한다. 2) 방법 : 안전점검의 방법에는 육안이나 관능검사(사람의 오감을 활용하는) 등의 외관점검이 있고, 조작검사를 통한 기능점검, 작동상태를 검사하는 작동점검과, 전체 체크리스트를 활용하는 종함

산업안전지도사[기계] 핵심요약 '직진노트' 구매 안내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직장인 수험생입니다. 아래 글에서 소개 해드린 '직진노트' 구매를 원하시는 분께서는 구매신청 링크를 통해서 신청해주시면 됩니다. [구매링크] https://moaform.com/q/YAQJQR 산업안전지도사 직진노트 구매 안내 산업안전지도사 직진노트 구매 안내 Powered by Moaform. moaform.com 그리고 구매와 관련해서 문의하고 싶은 내용은 카카오톡 오픈채팅 링크를 공유드리니, 언제든지 문의주시면 최대한 빠르게 답변드릴 수 있도록 하겠습니다. https://open.kakao.com/me/safetyexpert 직장인 수험생님의 오픈프로필 산업안전지도사 기계안전 open.kakao.com < 직장인수험생 오픈채팅 QR코드 > '직진노트'는 현재 크몽에서 전자책으로 판매중에 있습니다. 크몽에서도 구입이 가능하지만, 플랫폼 기업에서 가져가는 수수료와 블로그를 직접찾아주시고 관심가져 주신것에 대한 감사한 마음을 담아 더 저렴한 가격에 구매가 가능합니다. 참

인사평가기법 _ 기업진단지도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직장인 수험생입니다. 오늘은 산업안전지도사 1차, 기업진단지도의 기출된 내용 중 인사평가에 대해서 써보겠습니다. 아시다시피 저도 경영학을 전공하거나 인사업무를 담당하는 사람은 아니기에 일부 내용이 부족할 수 있습니다. 이점 참고하셔서 읽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1. 인사평가란 1) 정의 인사평가는 조직에서 직무를 맡고 있는 사람을 평가하는 방법을 제도한 한 것입니다. 인사평가는 종업원의 직무수행능력, 업적, 근무태도 등을 객관적으로 평가해서 종업원들이 조직목적에 적합한가를 체계적으로 평가하는 관리기법인데요, 즉 인사평가는 조직내부의 인력을 대상으로 하여 조직에의 기여도 및 기여가능도를 객관적인 기준에 의하여 평가하는 것으로 이해하시면 됩니다. 2) 목적 인사평가의 목적은 승진, 전직, 배치전환과 같은 통제목적과 종업원의 근로의욕증진과 직무수행능력을 개발하는 비통제목적으로 사용됩니다. (1) 채용 관리 (2) 임금관리에 활용 (3) 인사이동의 기초자료 (4) 교육훈련의 기

인사고과 기법 _ 기업진단지도 [내부링크]

1. 배경 인사고과는 종업원의 능력, 태도, 성과 등을 체계적으로 평가하는 활동으로 채용, 개발, 보상, 방출 등의 인사관리와 밀접하게 연결되어 인사관리의 성패를 가름하는 중요한 문제이다. 우리기업은 글로벌 무한경쟁에서 생존하기 위하여 연봉제 등 성과주의를 서둘러 도입하고 있으나 실패하는 경우가 많다. 많은 실패요인이 있겠지만, 무엇보다도 평가제도의 미비가 가장 큰 요인이 된다. 기업의 평가제도는 타당성, 신뢰성, 수용성, 전략적 일치성이 낮아 성과주의 인사제도의 도입에 한계가 있다. 역량이 높은 사람일수록 평가 결과에 대한 불만이 생겨 이직으로 이어지면서 결국 기업 경쟁력 저하의 원인이 되고 있다. 즉, 기업의 경쟁력을 유지하기 위해 기업의 성격과 방향성에 맞는 적절한 인사고과 기법을 활용해야 한다. 2. 인사고과 기법 1) 전통적 인사고과 (1) 서열법 : 피고과자의 능력과 업적에 대해 서열을 매기는 것이다. 서열법에는 ① 단순서열 (포괄적 성과수준을 기준으로 순위를 정하는 방법

설비배치의 5가지유형 (2/2) [내부링크]

설비배치의 5가지 유형 설비배치의 유형에는 제품별 배치, 공정별 베치, 위치고정형 배치, 혼합형 배치, 그룹별 배치 등이 있는데요, 한 가지씩 자세하게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Ⅰ. 제품별 배치 (Product layout) : 제품별 배치는 '라인별' 배치라고도 하며, 대량 생산 또는 연속생산 시스템에서 특정제품의 생산에 필요한 설비와 작업자를 생산과정순으로 배치하는 방식입니다. 자동차 조립공장이나 식품생산공장 등의 소품종 다량생산공장이 일반적으로 제품별 배치를 선택하여 설비를 배치합니다. 그 외에도 카페, 식당, 항공기 탑승수속 등에서도 이러한 방식으로 설비를 배치하게 됩니다. 제품별 배치를 선택할 때 필요한 조건은 설비를 경제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생산량과 제품수요의 안정성, 제품의 표준화, 부품의 호환성 등이 필요합니다. 제품별 배치의 장점은 첫번째, 단위당 생산비용을 낮출 수 있습니다. 두번째는 원료와 제의품 운반거리가 짧아지고, 생산속도를 빠르게 할 수 있습니다. 세번째는

생산공장의 자동화와 안전관리 _ 산업안전지도사 2차 [내부링크]

1. 생산공장의 자동화 : 자동화란 기계적, 전기적 그리고 컴퓨터형 시스템을 응용하여 생산을 운영하고 관리하는 기술입니다. 예를 들어 부품을 가공하는 자동기계 공구, 자동조립 기계, 산업용로봇, 자동 물류처리와 보관시스템, 품질관리 자동검사 시스템, 피드백 제어와 컴퓨터 프로세스 제어, 생산활동을 지원하기 위한 계획, 데이터 수집, 결정하기 위한 컴퓨터 시스템 등이 해당됩니다. 2. 자동화로 인한 안전관리상의 장단점 1) 장점 : 자동화 설비가 도입되면서 인간은 직접적으로 제공하는 육체노동이 감소되었습니다. 그리고 인간이 직접적으로 유해환경에 진입해서 작업할 필요성이 줄어 들면서 노출되는 상황을 감소시켰으며, 물리적으로 위험한 영역에 접근하는 기회도 감소되었습니다. 즉, 자동화설비 도입의 장점으로는 3가지가 있습니다. (1) 인간의 육체노동 감소 (2) 작업자의 위험영역에서 접근기회 감소 (3) 작업자의 유해환경 노출기회 감소 2) 단점 : 과거의 단순노동을 진행하는 기계설비와는 다

유압시스템의 안전 _ 산업안전지도사 2차 [내부링크]

1. 유체의 점성 : 유체가 유동할 때 흐름의 방향에 저항을 주어 응력을 일으키는 성질을 말합니다. 즉, 점성은 유체 내에서 유체의 흐름을 방해하는 정도를 나타냅니다. 유체를 방해하는 것은 유체 내의 유체입자들끼리 마찰, 저항, 또는 입자간의 인력으로 인해 유체의 유동을 방해하는 것으로 볼 수 있습니다. 유체가 흐를 때 손실저하의 요인이 되는 유체의 점성은 유체분자 상호간 작용하는 여러가지 힘에 기인합니다. 유체의 점성은 분자간 응집력에 결정되며, 온도가 높아지면 분자간격이 커지고, 분자운동이 커지게 되면 점성이 떨어지게 됩니다. 2. 유압시스템의 유압 저하의 원인 : 유압시스템에서 유압의 저하의 원인은 굉장히 많습니다. 하지만, 특정 원인을 뽑아보면 대표원인 5가지와 기타원인 5가지정도로 정리해 보겠습니다. 첫번째, 유압유에서 발생되는 슬러지의 영향이 있습니다. 두번째, 실린더 자체의 마모, 부식이나 실링제 등의 관련한 부품들의 손상으로 압력이 손실될 수 있습니다. 세번째, 유압유

노사관계의 발전 _ 기업진단지도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직장인수험생입니다. 기업진단지도의 기출문제를 살펴보면 노동조합에 관한 문제도 종종 출제되고 있습니다. 오늘은 이 주제와 연계하여 노사관계의 발전에 대해 저의 직진노트에서 정리된 내용을 공유 해보겠습니다. 산업안전지도사 1차를 준비하시는 분들에게 많은 도움되길 바랍니다. 1. 노사관계란 : 노사관계의 발전과정을 살펴보기전에 노사관계의 개념을 간략하게 살펴 보겠습니다. '노사관계(Industrial labor relations)'란 일반적으로 기업의 경영활동에 필요한 노동력의 수요측인 사용자와 공급측인 근로자 및 노동조합과의 상호관계를 의미합니다. 노사관계의 목표는 사용자와 근로자의 개별적/집단적 교섭을 통해 노사관계의 안정화를 구축하여 고용의 안정화와 근로조건의 개선, 노동생산성의 향상, 근로생활의 질 향상 등의 실현 등이 있습니다. 2. 노사관계의 발전과정 : 노사관계는 18세기 중엽부터 시작된 영국의 산업혁명 이후의 자본주의 생산방식의 보급을 계기로 한 공업화의 과정을

산업안전지도사 합격후기 _ 2차 서술형 시험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직장인 수험생입니다. 이번에는 2차시험 후기를 써볼까 합니다. 당연하게도 2차 후기는 저의 단편적인 경험담에 비추어 쓰는것이니, 올해 시험을 준비하시는 수험생분께서는 참고용으로 봐주시면 좋을듯합니다. 자 그럼 시작하도록 하겠습니다. 본격적인 2차 시험 준비 산업안전지도사 기계안전공학 2차 과목은 [산업안전보건법 시행령 별표 32]에 따라 총 3가지입니다. 1과목 '기계기구설비의 안전', 2과목 '자동화설비의 안전기술', 3과목 '기계기구설비의 설계,배치,유지,보수기술' 입니다. 정말 놀랍게도 저렇게 적힌 글자가 과목에 대한 설명의 전부입니다. 여기서 대부분의 수험생이 그러했듯 저도 혼동이 왔습니다. 도대체 어디서부터 어디까지 공부를 해야하는건지, 구체적인 내용이 무엇인지 정말이지 가늠이 되질 않았습니다. 저는 이제 막 1차를 합격했다고 판단한 시점이였고(1차시험날), 처음으로 2차시험을 준비하는 상황이였는데, 집안 사정상 반드시 한번에 합격해야하는 저에게는 고민을 길게

공장 자동화와 발전단계 _ 산업안전지도사 2차 [내부링크]

1. 공장 자동화란 무엇일까요? 1980년부터 사용하기 시작한 용어로 생산성을 향상시키고 사람의 개입을 최소화시키면서 짧은 시간에 일정한 품질의 제품을 대량 생산하기 시작하였습니다. 초기에는 공급위주의 소품종 대량생산 위주였으나, 점추 수요 중심의 다품종 소량생산체제에 적합한 Cell방식이 적용되었습니다. 경제적으로 도약해야 할 때, 자동화는 기업과 사회 전체의 경제력을 높이는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즉, 공장 자동화란 '컴퓨터와 각종 공작기계, 계측장비 등을 이용하여 공장의 생산을 자동화한 시스템으로 수주에서 설계, 제조, 검사, 출하에 이르는 일체의 생산활동을 효율적, 유기적으로 결합시키는 시스템 기술'을 의미합니다. 2. 공장자동화의 목적과 유의점 공장 자동화의 품질의 향상과 고객서비스의 제고, 비용의 절감, 시장 적응성 향상을 목적으로 합니다. 공장자동화를 적용할 때는 생산 전략을 기업의 전략과 일관성을 유지하고, 생산에 관련된 의사결정은 기업 전체의 입장에서 경쟁력 제고의

선반 _ 산업안전지도사 기계안전 2차 [내부링크]

이번 시간부터 각종 기계안전에 관한 사항을 하나씩 정리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2차에서 해당 기계에 관한 질문이 논술형으로 나온다면 정리된 모든 내용을 다 쓴다는 관점으로 작성하였으니, 2차 시험을 준비하시는 분들은 많이 도움될 것이라 생각합니다. 물론 개별적으로 찾으면 더 좋은 내용으로 보충할 수 있을 것입니다. 하지만 바쁘신 직장인분들은 제가 정리한 내용으로도 충분히 좋은 답안지를 쓰실 수 있을 것이니 잘 활용하시길 바라겠습니다. 그럼 시작해보겠습니다. 1. 선반 선반이란 공작물을 고정구에 물려 고정한 다음 빠른 속도로 회전시키면서 공구로 가공하는 공작기계입니다. 선반은 공작기계 중에서 역사가 가장 오래되었고, 산업현장에서 사용 빈도도 굉장히 높은 기계입니다. 일반적으로 선반을 사용하여 나사의 절삭이나 각종 부품이나 제품을 정밀하게 가공할 수 있습니다. 선반은 베드, 주축대, 심압대, 왕복대, 공구대 및 이송장치로 구성되었는데요, 아래의 첨부한 그림을 보고 선반이란 어떤 것인지 간

노동조합 숍 제도 _ 기업진단지도 [내부링크]

1. 노동조합의 가입제도 노동조합의 가입제도에는 기본적 형태인 '클로즈드 숍, 유니온 숍, 오픈 숍' 이 있고, 변형적 형태인 '에이전시 숍, 메인터넌스 숍, 프리퍼렌셜 숍', 그리고 체크오프제도가 있습니다. 그럼 하나씩 자세하게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2. 가입제도의 기본적 형태 1) 클로즈드 숍 (Closed shop) 클로즈드 숍은 일정의 노동조합에 대한 근로자의 강제적 가입규정입니다. 이는 종업원 채용시 특정 노동조합의 조합원 자격을 전제조건으로 하게 됩니다. 그러므로 클로즈드 숍제도를 운영하는 회사는 채용이 특정 노동조합원으로 대상이 한정되어 운영될 수 있습니다. 즉, 사용자가 노동조합의 조합원만을 고용해야 하는 제도입니다. 2) 유니온 숍 (Union shop) 유니온 숍은 노동조합에 대한 반강제적 가입규정입니다. 이는 기업의 종업원 고용요건으로 특정 노동조합의 조합원임을 전제로 하지는 않지만, 일단 고용된 근로자에 대해서는 일정한 기간내에 노동조합 가입이 의무화 되는 반

노동조합과 단체교섭 방식 _ 기업진단지도 [내부링크]

1. 노동조합의 조직형태 노동조합의 조직형태는 각국의 노사관계 특성이나 노동조합원 구성원의 신분이나 자격 등에 따라 4가지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1) 직업별 노동조합 (Craft union) 직업별 노동조합은 1840년대 말에서 1850년대 걸친 초기 공업화 단계에서 숙련공을 중심으로 결성된 조직의 형태로서, 직종별 노동조합 또는 직능별 노동조합으로 분류됩니다. 2) 일반 노동조합 (General union) 일반 노동조합은 19세기 말경 영국에서 처음 등장한 노동조합의 조직형탱로서, 특정한 직업이나 산업에 관계없이 하나의 산업이나 두개 이상의 산업에 걸쳐 종사하는 일반 근로자들을 중심으로 결성된 노동조합입니다. 3) 산업별 노동조합 (Industrial union) 산업별 노동조합은 동일산업에 종사하는 모든 근로자가 특정한 기업이나 직종에 관계없이 하나의 노동조합을 결성하는 조직형태입니다. 4) 기업별 노동조합(Company union) 기업별 노동조합은 동일기업에 종사하는 근로

드릴링머신 _ 산업안전지도사 기계안전 2차 [내부링크]

1. 드릴링머신 (Drilling Machine) 회전하는 주축에 드릴 및 탭 등의 절삭공구를 장치하고, 이것을 회전시킴과 동시에 상하 운동을 시켜 공작물에 구멍을 뚫거나 나사를 가공하는데 사용됩니다. 2. 드릴링머신의 종류 1) 탁상 드릴링머신 테이블 위에 가공물을 놓고 주축 끝에 드릴을 장치하여 회전시키면서 레버로 상하운동을 시켜 구멍을 뚫습니다. 기어식과 풀리식이 있으며, 소형 모터를 장치한 기어식이 많이 사용됩니다. 이것을 소형으로 한 것이 탁상 드릴링머신으로 지름 13mm 이하 구멍뚫기에 사용되며, 회전수는 대단히 높습니다. 2) 직립 드릴링머신 비교적 대형공작물의 구멍을 뚫을 때 필요한 공작기계로 단차식과 치차식이 있습니다. 테이블은 컬럼의 상하이동 및 컬럼을 중심으로 선회할 수 있고 그 자체도 회전이 됩니다. 공작물은 크게가 작을 때는 테이블 위에 고정하고 공작물이 너무 클 때에는 베이스 위에 바로 고정합니다. 주축 역회전자치가 있어 탭핑을 할 수 있으며, 스핀들 하부에

스마트 팩토리 발전단계 _ 산업안전지도사 2차 [내부링크]

1. 제4차 산업혁명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제 4차 산업혁명은 컴퓨터와 인터넷으로 대표되는 제3차 산업혁명에서 한 단계 더 진화한 혁명으로 인공지능, 사물인터넷, 빅데이터, 모바일 등 첨단 정보통신기술이 경제사회 전반적으로 융합되어 혁신적인 변화가 나타나는 차세대 산업혁명입니다. 4차 산업혁명은 초연결(Hyperconnectivity)과 초지능(Superintelligence)을 특징으로 하기때문에 기존 산업혁명에 비해 더 넓은 범위에 더 빠른 속도로 크게 영향을 끼치고 있습니다. 산업혁명의 역사 2. 4차 산업혁명의 스마트 팩토리 제 4차 산업혁명의 연관 산업으로서의 스마트팩토리는 대표적인 적용분야입니다. 스마트 팩토리란 설계, 제조, 유통, 물류 등 생산 전체 과정에 정보통신기술 (ICT)를 적용하여 생산성, 품질, 고객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지능형 공장을 말합니다. 사마트 팩토리는 사이버물리시스템(CPS : Cyber Physical

합격까지 직진! 장학금 이벤트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직장인수험생입니다. 지금까지 많은 예비산업안전지도사분들께서 직진노트를 구매해주셨습니다. 시중에 많은 요약자료와 책이 있음에도 믿고 구매해주신 마음에 감사함을 표현하기 위해서 장학금 이벤트를 진행하려고 합니다. 장학금은 1차 합격 1만원, 2차 합격 2만원, 3차 합격 3만원으로, 총 6만원이나 되니 많은 수험생분들께서 참여하셔서 합격의 기쁨을 함께 나눠주시면 감사드리겠습니다. 이벤트는 각 차수별로 총 3차례 진행될 예정입니다. 이벤트 참여대상은 블로그에서 '직진노트'를 구매하신 수험자분들입니다. 1차,2차,3차 시험에서 합격하신 수험생분들은 직진노트를 활용하여 공부한 후기를 작성해주시면 확인 후 장학금을 지급하도록 하겠습니다. 자세한 참여방법은 2024 산업안전지도사 14회 1차시험 일주일전에 안내드리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산업안전지도사 #산업안전지도사기계안전 #산업안전지도사2차 #산업안전지도사기계안전2차 #산업안전지도사1차 #직진노트 #합격후기이벤트 #산업안전지도사3

목재가공용 둥근톱 _ 산업안전지도사 2차 [내부링크]

1. 목재가공용 둥근톱 둥근톱기계는 전기모터를 이용하는 기계로서, 지름 300 ~ 400mm 강철 원판의 둘레에 톱니를 만들어 이것을 회전체에 부착하여 고속으로 회전시켜서 목재가공작업을 하는 설비입니다. 테이블의 목재가이드를 조정하여 작업자가 원하는 너비의 목재를 연속적으로 자를 수 있고, 구조가 간단하고 용이하여 능률도 좋아서 목공용으로 많이 사용되지만, 위험성도 큽니다. 둥근톱의 크기는 용도도 다양하며, 형식과 종류도 많지만 회전축에 톱을 장치하여 회전시키는 구조는 동일합니다. 주요 구조부는 승강기 본체, 톱축, 톱축 승강장치, 테이블 및 정규로 구성되어 있으며, 일반적으로 둥근톱의 최대 절삭면폭은 톱 반경의 70% 정도이고, 재료의 절삭방법은 둥근톱의 하부절삭과 상부절삭의 2가지 방식이 있습니다. 출처 : 안전보건공단 2. 목재가공용 둥근톱의 위험요인 1) 회전하는 톱날에 대한 접촉 위험 2) 가공재의 반발 (튀어나옴)로 인한 목재 부딪힘 위험 3) 동력전달부 접촉에 의한 끼임

경영참가제도 _ 기업진단지도 [내부링크]

1. 경영참가제도 (Workers participation in management) 경영참가제도는 근로자나 노동조합이 어떠한 형태로든 경영의사결정에 참가하여 영향력을 행사하는 것을 말합니다. 경영자의 전권으로 인식되어온 경영권에 대하여 근로자의 참가를 인정함으로써 노사간의 협력을 증진시키고 생산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제도로 도입되었습니다. 영국과 미국은 경영참가제도를 단체교섭의 보조수단으로 활용하고 있으며, 독일과 프랑스는 입법으로 경영참가제도를 강화시켰고, 우리나라의 경우 1963년 노사협의제를 도입한 뒤, 1980년 노사협의회법을 만들고, 1997년 근로자의 참여 및 협력증진에 괸한 법률로 강화시켜 왔습니다. 2. 경영참가제도의 배경 1) 근로자의 경영참가 욕구 : 인간은 자기가 관계하는 문제에 대하여 의사를 표명하고 싶어하는데, 경영참가제도가 이를 실현시켜주는 계기가 되었습니다. 2) 사용자의 상황변화 : 산업민주주의의 등장으로 노동조합을 적대적 존재로서가 아닌, 파트너로 역할

자동제어장치 _ 산업안전지도사 2차 [내부링크]

1. 자동제어란 제어란 어떤 목적에 적합하도록 대상에 조작을 가하는 것입니다. 즉, 인간이 어떤 의도를 가지고 시스템을 조작하는 것을 제어로 볼 수 있습니다. 자동제어란, 인간을 대신하여 온도, 유량, 압력과 같은 공업량을 측정하고 이것을 자동적으로 제어하는 것입니다. '자동제어'는 1920년대 미국의 석유정제공정에서 시작되었습니다. 당시에는 기계식 조절계를 현장에 설치하는 국소적인 장치였으나, 2차 세계대전으로 인해 병기개발과 함께 기술의 급속한 발전을 이루게 되었습니다. 제품 생산 공정에 자동제어기술을 응용하면서 인간에 비해 더욱 정밀한 제어를 할 수 있게 되었고, 이로인해 더 높은 품질의 생산품을 균일하게 얻을 수 있게 되면서 더욱 큰 이익을 창출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게 되었습니다. 자동제어는 제어의 수준이 너무 예민하거나 복잡해서 인간이 정확히 제어할 수 없거나, 원거리 또는 위험구역에서의 제어, 장기간 규칙적인 조작이 필요한 경우 활용도가 높습니다. 하지만 제동제어설비에

인적자원관리 '홉스테드의 문화모형' _ 기업진단지도 [내부링크]

1. 문화모형의 배경 경영학에서 문화비교 연구는 글로벌 기업의 등장과 국내기업의 국제화 과정에서 나타나기 시작한 기업경영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관심에서 시작되었습니다. 즉, 경영학의 이론과 분석틀에 기초하여 기업의 글로벌 경영에서 제기되는 문화적 문제점을 파악하고 해결책을 모색하기 위한 방향으로 연구가 진행되었습니다. 예를 들어 기업의 국제 경영상의 인적관리측면에서 나타나는 문제점 (다른나라의 근로자 채용, 관리자의 해외파견, 문화적 배경이 다른 근로자간 태도/보상/동기/만족도 등의 비교, 해외 기업의 조직과 제도(지배구조, 회계, 감사, 공시제도 등), 경영자와 주주, 근로자, 소비자 등의 경제주체의 가치관과 윤리관 등 경영학 전반의 분야에서 문제점이 발생하고 연구의 필요성이 제기되면서 다양한 관점에서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이러한 문화간 비교연구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모델은 홉스테드(G.Hofstede)의 문화비교 이론입니다. 그는 1980년 글로벌 기업 IBM 40여개국,

프레스와 전단기 _ 산업안전지도사2차 [내부링크]

1. 정의 : 프레스란 금형과 금형사이에 금속 또는 비금속 물질을 넣고 압축, 절단, 또는 조형하는 기계를 말합니다. : 전단기란 상하의 칼날 사이에 금속 또는 비금속 물질을 넣고 전단하는 기계를 말합니다. 2. 종류 1) 프레스의 종류 프레스의 종류에는 기계프레스와 핀 클러치 프레스, 키 클러치 프레스, 마찰 클러치 프레스, 액압 클러치 프레스 등이 있습니다. 프레스는 클러치 형식에 의해서 분류가 되는데, 확동식 클러치와 마찰식 클러치가 있습니다. 확동식 클러치는 클러치의 동력전달이 기계적인 맞물림에 의해 이루어지는 구조입니다. 마찰식 클러치는 클러치의 동력전달이 마찰판에 의해 이루어지는 구조로 건식 및 습식형이 있고, 브레이크와 조합형 또는 분리형인 것으로 구분됩니다. 2) 전단기의 종류 전단기는 기계식 전단기와 유압 전단기로 구분됩니다. 3. 안전검사 기준 동력으로 구동되는 프레스 및 전단기는 3톤 이상일 때, 안전검사를 받아야 합니다. 단, 스트로크가 6mm 이하로 신체의 일

금속의 성질과 변형1 _ 산업안전지도사 2차 [내부링크]

1. 철의 성질에 영향을 미치는 원소 철의 성질에 영향을 미치는 원소는 크게 5가지가 있습니다. 대표적으로 황(S), 망간(Mn), 인(P), 규소(Si), 탄소(C) 는 철과 결함하여 여러가지 영향을 주는데요, 하나씩 알아보겠습니다. 1) 황 (S) : 철과 결합하여 FeS를 만들면서 절삭성을 향상시켜주는 성질이 있습니다. 하지만 FeS는 취약하고 용융점이 낮기 때문에 열간/냉간 가공시에 균열을 일으킵니다. 2) 망간 (Mn) : 강에 점성을 부여하여, 강의 내산성과 내산화성을 저해합니다. 하지만, 항복강도는 향상됩니다. 3) 인 (P) : 인은 철에 대해서 각종 기후에 견디는 힘은 내후성이 향상 시켜줍니다. 하지만, 용접성, 냉간 가공성, 충격 저항을 감소시키므로 일반적으로는 강에 해로운 원소로 분류됩니다. 4) 규소 (Si) : 철을 녹인상태에서 산소를 없애는 용도인 탈산제 역할을 하며, 인성을 결정합니다. 하지만 규소가 너무 많은 경우 오히려 인성을 저하 시킬 수 있습니다.

조직의 변화와 개발 _ 기업진단지도 [내부링크]

1. 조직의 변화와 개발 (Organizational change and development) 새로운 조직구조 및 문화형성과 관련되어 계획적이고 의도적인 변동이 생기는데 이것을 조직의 변화라고 합니다. 그리고 이러한 조직의 변화를 위한 구성원들의 변화 대응역량을 증진 시키는 과정이 조직개발입니다. 2. 조직의 변화과정 (Lewin의 이론) 1) 세력장 이론 : 조직은 역동적 균형의 상태로 유지되며, 변화하려는 세력과 저항하려는 세력의 힘이 서로 비대칭적일때 변화가 시작됩니다. 2) 변화의 3단계 : 레윈(K. Lewin)은 조직의 변화를 3단계 모형에 기초하여 설명하였습니다. 조직이 변화할 때는 현재의 상태를 해빙시켜, 새로운 수준의 상태로 변화시키고, 새로운 수준에서 재동결시킨다는 것입니다. (1) 해빙 (Unfreezing) : 행동변화의 첫 단계는 해빙단계로 구성원으로 하여금 시스템이나 각자의 행동에 문제가 있고, 이로 인하여 집단과 조직체 성과에 영향이 있다는 것을 인식시키

보일러 (Boiler) _ 산업안전지도사 2차 [내부링크]

보일러는 물이나 유체가 가열되는 일종의 폐쇄된 압력용기의 형태를 가지고 있습니다. 가열되거나, 수증기화 된 유체는 보일러를 빠져나와 배관을 통해 가열을 시키거나, 원동기 등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는 설비입니다. 보일러의 경우, 내부 작동과정에서 여러가지 장애요인이 생기고, 그것에 따라 안전장치와 안전수칙이 정해져있습니다. 그럼 먼저 보일러의 장애요인이 무엇인지 부터 알아보겠습니다. 1. 보일러의 장애요인 보일러의 장애요인은 총 5가지가 있습니다. 보일러 수위의 이상, 보일러에서 발생하는 증기의 이상, 워터해머(수격)현상, 이상연소 현상, 물에 기인하는 장애 등입니다. 1) 보일러 수위의 이상 : 보일러 운전 중 수위가 저하됨에도 연소를 계속하는 것을 저수위 사고라고 합니다. 이 저수위 현상이 이어지면 가스폭발 사고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습니다. 2) 발생증기의 이상 (1) 프라이밍 (Priming) : 보일러 부하의 급변으로 수위가 급상승하여 증기와 분리되지 않고, 올바른 수위를 판단하

산업용로봇 1 _ 산업안전지도사 2차 [내부링크]

1. 개요 산업용 로봇은 작업을 하는데 있어서 생산성이 높고 정확도로 인해 품질성도 우수합니다. 그리고 장기간 일관되게 작업이 가능하면서 사람이 하기 어렵거나 위험한 환경에서 사람의 작업을 대체하고 있습니다. 즉, 인간이 하기 어려운 환경에서 인간보다 빠르고 정확하게 작업을 하여 빠르게 인간을 대체하고 있는데요, 일반적으로는 인간이 위험한 환경에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여 로봇은 인간의 작업중 발생할 수 있는 사고에 대해서 안전을 보장하기도 합니다. 하지만, 산업용 로봇은 초기 투자비용이 굉장히 높고, 유지보수관리 비용이 많으 듭니다. 추가적으로 높은 생산성으로 인해 작업환경이 고속화/고중량화가 되면서 해당 작업자체의 위험성은 높아지고 있으며, 복잡한 프로그램으로 운영되면서 예상치 못한 고장과 사고가 발생하기도 합니다. 고장 또는 오류에 대응하기 위해 작업자가 산업용로봇에 접근하는 과정에서 로봇에 협착 및 충돌사고가 빈번히 발생합니다. 산업용로봇의 주요 사고발생 원인으로는 2가지가 있습

조직시민행동(OCB) _ 기업진단지도 [내부링크]

1. 조직시민행동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조직시민행동은 조직원들이 조직의 원활한 운영을 위해 공식적으로 주어진 임무 외 구성원들이 자발적으로 수행하는 부차적인 행동을 의미합니다. 조직시민행동은 그 자체로서 조직분위기를 좋게 할 뿐만 아니라 성과에도 큰 영향을 미칩니다. 또 조직 내 바람직한 행동을 유도하고 조직몰입을 향상시켜 조직효과성을 제고하여 조직에서 이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습니다. 2. 배경 조직시민행동은 몇가지 조직의 특성에 따라서 만들어지게 됩니다. 첫번째는 처우의 공정성입니다. 애덤스의 공정성이론에 근거하면 종업원은 투입-산출비율은 준거대상과 비교하여 긴장감을 느끼고 자신이 더 많이 받았다고 지각할 때 조직시민행동(OCB)을 통해 불균형 상태를 벗어나려 합니다. 두번째는 직무만족인데요, 이것은 조직시민행동을 이끄는 가장 중요한 원인으로 종업원이 직무만족을 경험하게 되면 친사회적인 행동이 촉진됩니다. 세번째는 바람직한 리더십

펌프 (Pump) _ 산업안전지도사 2차 [내부링크]

1. 펌프란? 전동기나 내연기관 등의 원동기로부터 기계적 에너지를 받아서 액체의 운동 및 압력에너지를 주어 액체의 위치를 바꾸어 주는 기계입니다. 즉, 펌프란 동력을 이용하여 유체를 이송하거나 압력을 높여주는 기계입니다. 펌프의 작용은 흡입과 토출에 의해 이루어지는데요, 흡입작용은 펌프내를 진공상태로 만들어 흡상시키는 것으로 표준기압 상태에서 이론적으로 10.33m 까지 흡입시킬 수 있지만, 흡입관 내 마찰손실이나 물 속에 함유된 공기 등에 의해 7m 이상은 흡상하지 않습니다. 펌프의 종류는 구조 및 작동원리에 따라 원심력을 이용하는 터보형과 왕복동식 또는 회전식인 용적형, 그 외 기포,제트,수격,와류 등을 이용하는 특수형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그리고 용도에 따라 급수용, 배수용, 순환용, 소화용, 기름용 등이 있습니다. 2. 펌프의 작동원리 1) 임펠러 (Impeller) 원심펌프는 유체에 속도를 가해 흐름을 만들어내는 펌프입니다. 그럼 유체에 속도를 어떻게 가해서 멀리까지 액체

금속의 성질과 변형2 _ 산업안전지도사 2차 [내부링크]

1. 개요 소성가공이란 성형작업을 의미합니다. 재료에 물리적인 힘을 가해 소성변형을 일으켜 재료를 원하는 형상으로 변형시키는 작업인데요, 소성가공의 종류에는 공정방식에 따라서 크게 전조, 단조, 압연, 압출, 인발, 판금 등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그럼 소성가공의 종류에 따라 자세하게 살펴보겠습니다. 2. 소성가공의 종류 1) 전조 (Roll Forming) : 전조가공이란 다이사이에 소재를 넣고 가공물 또는 공구를 회전하여 소성하는 것으로 상온에서 원하는 모양으로 만드는 가공방식입니다. 전조가공은 주로 나사, 기어 등을 만드는데 사용되는 것이 특징입니다. 전조의 종류로는 나사전조, 원통롤러전조, 볼전조, 기어전조 등이 있습니다. 2) 압연 (Rolling) : 금속재료를 회전하는 롤러 사이에 통과시켜 성형하는 가공법입니다. 압연이란 밀가루 반죽을 방망이로 밀어내는 것처럼 회전하는 2개 이상의 롤러 사이로 금속재료를 높은 압력으로 눌러주며 밀어내는 방식으로 가공하는 것을 말합니다.

리더십 이론의 발전 _ 기업진단지도 [내부링크]

1. 개요 리더십이란 집단의 구성원들로 하여금 특정 목표를 지향하게 하고 그 목표달성을 위해 실제 행동을 하도록 영향력을 행사하는 것을 말합니다. 리더십은 리더로 하여금 조직 구성원에 영향력을 발휘시키고 그들이 조직의 목표달성에 공헌할 수 있도록 사기를 올려 잠재능력을 활성화시켜 조직의 목표달성에 효율적인 바 중요하다 할 수 있습니다. 기업이나 조직을 이끌어가는 리더의 특성과 리더십에 대한 연구는 여러 방법으로 진행되었습니다. 리더십에 대한 정의는 학자 및 시대에 따라 조금씩 달라지지만, 조직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구성원에게 영향력을 행사하는 과정이라는 기본적인 내용에는 차이가 없습니다. 이러한 리더십은 단체의 성격이나 규모를 불문하고 조직을 이끄는 리더들에게 반드시 준비되고 실행되어야 할 필수항목 중 하나로 여겨집니다. 그럼 각 시대별로 리더십 이론과 그 발전과정을 한번 알아보겠습니다. 2. 리더십 이론의 발전 * 리더십 이론의 발전 : 특성이론 → 행동이론 → 상황이론 → 변혁

연삭기 (Grinding machine) _ 산업안전지도사 2차 [내부링크]

1. 연삭기란? 동력에 의해 회전하는 연삭숫돌을 사용해서 금속이나 그 밖의 공작물을 연삭하거나 절단하는 기계로서 크게 분류하면 공작물을 기계적 장치로 이송하는 기계식 연삭기와 공작물을 손으로 이송하거나 연삭기계를 손으로 잡고 가공하는 자유식 연삭기가 있습니다. 연삭기의 주요 구조부는 테이블과 베드, 공작물의 고정장치, 연삭숫돌 덮개 등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탁상용 연삭기와 휴대용 연삭기의 구조 (출처 : KOSHA) 2. 연삭기, 연마기의 안전인증 연삭기와 연마기는 자율안전확인신고 대상입니다. 단, 휴대형은 자율안전확인신고 대상에서 제외됩니다. * 자율안전확인신고 : 대상 기계기구 등을 제조/수입하는 자가 해당 제품의 안전 성능이 자율안전기준에 부합하는 지를 확인하여 고용노동부장관에게 신고하는 제도로 KCS 마크를 표시하는 것 3. 연삭기의 위험요인 1) 연삭숫돌 비래 : 연삭숫돌 파괴로 인한 파편, 공작물의 파편 또는 칩 2) 회전하는 숫돌에 접촉 : 연삭숫돌에 근로자의 손 등의

산업용로봇 2 _ 산업안전지도사 2차 [내부링크]

1. 산업용로봇의 재해원인 산업용로봇은 위험작업을 사람 대신 로봇이 함으로써 산업재해 방지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산업용로봇에 의한 사망재해를 증가추세에 있습니다. 산업용 로봇의 주요 사고사례는 로봇 작동 범위 내 작업자의 임의출입으로 인한 부딪힘, 작업완료 후 제품 취출 과정에서 로봇의 오작동으로 인한 부딪힘, 수리/정비 등의 비정상형작업 중 로봇 오작동 또는 전원차단 미흡으로 인한 사고, 전기누전 등에 의한 감전사고 등이 있습니다. 이렇듯 산업용 로봇은 기존의 기계와는 다른 위험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로봇의 기본적인 재해 발생 원인으로는 첫번째 작업자의 지식부족, 두번째 예측불가의 작동속도와 방향, 세번째 Noise에 의한 제어회로의 이상 등 입니다. 2. 산업용로봇의 위험방지 1) 산업용로봇 설치 (1) 로봇의 운동범위와 능력을 고려한 방호장치 선택 (2) 안전방책 높이 1.8m 이상 적용여부 확인 (3) 컨베이어 등으로 방책 설치가 어려운 경우, 안전매트, 광

경로-목표이론(House)과 기대이론(Vroom) _ 기업진단지도 [내부링크]

Ⅰ. 하우스의 경로-목표이론 1. 개요 하버드 대학의 교수인 하우스(House, R.J)에 의헤 제안된 경로-목표모델은 브룸(Vroom)의 기대이론에 근거를 두고 있습니다. 기대이론에 따르면 개인의 작업동기는 노력의 성과로 이어지는 기대(Expectancy), 성과가 보상으로 이어지는 수단성(Instrumentality), 보상에 대한 선호도나 가치의 표현인 유의성(Valence)의 곱한수로 계산됩니다. 하우스는 리더십에 이러한 기대감(기대, 수단성, 유의성)의 증가에 기여할 때 구성원들로부터 신뢰를 얻으며 성과를 낼 수 있다고 하였습니다. 구체적으로 이론에서 제시하는 "경로"란 제시된 목표의 달성과정을 의미하며, 리더는 구성원들에게 과업에 대한 "목표"를 명확히 제시하여 이루어가는 과정에서 장애물을 효과적으로 제거해줘야 효과적인 리더가 된다고 말하고 있습니다. 2. 리더십 스타일 하우스는 리더십을 4가지 하위 차원을 가진 행위로 보았습니다. 1) 지시적 리더십 (Directive

양중기와 안전장치의 이해 _ 산업안전지도사 2차 [내부링크]

1. 개요 양중기란 크레인(호이스트 포함), 이동식 크레인, 리프트, 곤돌라, 승강기을 말하는 것으로 제조업/건설업/중공업 등 모든 업종에서 가장 많이 쓰이는 대표적인 기계기구입니다. 양중기는 각종 작업과 공정을 적절하게 지원하기 위해 다양한 형식과 성능을 가지고 있습니다. 그리고 수많은 종류의 작업환경에서 설치가 되어야 하다보니 양중기의 종류나 배치 방법에 각각의 특색이 있습니다. 양중기에 대해서는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 132조에서 정의하고 있으며, 한국산업표준이나 안전인증고시에서도 참고할 수 있습니다. 2. 양중기의 종류 1) 크레인 : 동력을 사용하여 중량물을 들어올려 상하, 좌우로 운반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기계기구를 말함 2) 이동식 크레인 : 원동기를 내장하여 불특정 장소에 스스로 이동할 수 있는 크레인으로 동력으로 중량물을 매달아 상하 및 좌우로 운반하는 설비로 기중기, 화물, 특수자동차의 작업부에 탑재하여 화물운반 등에 사용하는 것을 말함 3) 호이스트 : 훅

[2013~2023] 산업안전지도사 1차 기출문제 (1/2)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직장인 수험생입니다. 제 블로그를 자주 보시는 분들께서 가끔 기출문제집에 대해서 자료를 올려주시면 좋겠다는 요청이 있었습니다. 기출문제는 기본적으로 큐넷에서 확인하실 수 있지만, 해당내용을 잘 모르시는 분들도 종종 계셔서 제가 다운받아 가지고 있던 것과 작년 기출문제를 다시 다운받아서 블로그에 업로드 해드리니 공부하시는데 도움이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해당 자료는 아래의 링크를 통해서 다운을 받거나, 제가 업로드한 파일을 다운 받으시면 됩니다. 지금부터 열심히 공부하시면 2달정도 남은 1차시험은 충분히 통과하실 수 있습니다. 그럼 2024 예비 산업안전지도사님들 화이팅입니다. 감사합니다. 기출문제내려받기 목록 | Q-net 기출문제내려받기 목록 | Q-net 일반회원 아이디 비밀번호 로그인 회원가입 아이디/비밀번호 찾기 자료실 서식자료 시험통계자료 문제지 내려받기 기출문제 내려받기 최종정답 기타자료 홈 자료실 기출문제내려받기 기출문제내려받기 검색 검색 www.q-net.o

[2013~2023] 산업안전지도사 1차 기출문제 (2/2)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직장인 수험생입니다. 제 블로그를 자주 보시는 분들께서 가끔 기출문제집에 대해서 자료를 올려주시면 좋겠다는 요청이 있었습니다. 기출문제는 기본적으로 큐넷에서 확인하실 수 있지만, 해당내용을 잘 모르시는 분들도 종종 계셔서 제가 다운받아 가지고 있던 것과 작년 기출문제를 다시 다운받아서 블로그에 업로드 해드리니 공부하시는데 도움이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해당 자료는 아래의 링크를 통해서 다운을 받거나, 제가 업로드한 파일을 다운 받으시면 됩니다. 지금부터 열심히 공부하시면 2달정도 남은 1차시험은 충분히 통과하실 수 있습니다. 그럼 2024 예비 산업안전지도사님들 화이팅입니다. 감사합니다. 기출문제내려받기 목록 | Q-net 기출문제내려받기 목록 | Q-net 일반회원 아이디 비밀번호 로그인 회원가입 아이디/비밀번호 찾기 자료실 서식자료 시험통계자료 문제지 내려받기 기출문제 내려받기 최종정답 기타자료 홈 자료실 기출문제내려받기 기출문제내려받기 검색 검색 www.q-net.o

가치공학과 가치분석 _ 기업진단지도 [내부링크]

1. 개요 제품과 제품제조 과정을 단순화하는 것이 기본 목적이라 할 수 있습니다. 가치공학(VA : Value Analysis)과 가치분석(VE : Value Engineering)의 목표는 고객에 의하여 정의된 모든 기능적 요구사항들을 충족시키는 동시에 원가절감과 조금 더 나은 제품의 성능을 이끌어 내는 것입니다. 즉, 불필요한 원가의 발생을 최소화하면서 이와 같은 목표를 달성하는 것입니다. 2. 가치공학 (VE : Value Engineering) : 가치공학이란, 최저의 코스트로 필요한 기능을 확실히 달성하기 위하여 제품의 서비스의 기능적 연구에 쏟는 조직적인 노력으로 정의할 수 있습니다. 즉, 원하는 기능을 달성하기 위해서 투입된 비용의 비율을 가치로 생각하는 것입니다.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서 투입되는 비용이 낮다면 가치가 높다고 생각할 수 있습니다. : V (Value) = F (Function) / C (Cost) : 위의 방적식으로만 보면 동일한 기능을 달성하면서

산업용 로봇의 안전장치 _ 산업안전지도사 2차 [내부링크]

1. 개요 생산기술의 발전에 따라서 산업용 로봇의 수요와 공급이 활성화되면서 산업용 로봇은 점점 사람의 노동력을 대체하고 있습니다. 산업용 로봇으로 인해, 사람이 직접적으로 유해위험환경에 노출되는 빈도는 줄어 들고 있지만, 예상치 못한 상황에서의 재해는 꾸준하게 발생하고 있으며 사망까지 종종 이어질 정도로 재해의 강도 또한 굉장히 높습니다. 산업용 로봇에서 발생할 수 있는 재해를 예방하기 위한 안전장치는 무엇이 있는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주요 안전장치 2. 주요 안전장치 산업용 로봇에 설치하여야 하는 법적인 안전장치는 5가지가 있습니다. 첫번째 안전방책 (울타리), 두번째 안전매트, 세번째 비상정지장치, 네번째 동력차단장치, 다섯번째 감응형 또는 광전자식 안전장치입니다. 그럼 5가지 안전장치에 대한 세부적인 사항을 보겠습니다. 1) 안전펜스 (1) 작업중 발생하는 진동, 충격, 그 밖의 환경조건에 충분히 견딜 수 있는 강도를 가진 재료로 설치하여야 합니다. 특히 로봇의 안전펜스는

크리프 현상 (Creep phenomenon) _ 산업안전지도사 2차 [내부링크]

1. 개요 특정한 물질은 높은 온도에서 일정한 힘을 가하면 내부의 저항력인 응력(Stress)은 거의 일정한 값을 유지하는 반면 변형(Deformation)은 계속해서 증가하는 거둥을 나타냅니다. 이와같이 일정한 하중을 받는 물체가 시간과 더불어 그 변형이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거동을 크리프 현상이라고 부릅니다. 조금 더 자세하게 설명하면 고온에서 재료에 일정한 하중이 작용할 때 오랜 시간의 경과와 함께 동일한 응력이 작용됨에도 불구하고 변형률이 증가하는 현상을 말합니다. 해당 현상에서 고온이란 제품이 녹는 융점의 절대 온도 1/3 이상의 온도를 뜻하며, 크리프 현상은 융점에 가까울수록 또렷히 나타나게 됩니다. 크리프 현상을 응력-변형률 선도(Stress-strain diagram)로 나타내면 상온에서의 물질 거동과 판이하게 다르다는 것을 쉽게 알 수 있습니다. 금속의 경우 외부에서 받는 힘이 일정하게 유지되면 응력값과 변형률(Strain) 역시 일정한 값으로 유지됩니다. 하지만, 크

재고관리 (Inventory control) _ 기업진단지도 [내부링크]

1. 개요 재고관리란 고객의 수요를 만족시키고 생산자의 생산조건을 고려하여 필요한 수량의 상품을 보관하는 활동으로서 기업의 재무관리에 가장 중요한 요인이 되고 있습니다. 재고(Stock)는 일반적으로 장래의 수요와 출하에 대비한 자원의 일시적인 정체로서 이러한 재고관리는 총 물류비의 25~40%를 점하고 있습니다. 제조업의 경우 총자산의 40~50%가 재고로 유지되고 있어 재고를 줄이기 위한 적절한 관리가 요구됩니다. 일반적으로 생선, 식료품이나 의류의 경우에는 재고의 비율이 높고 석유제품/가전제품, 차량, 철강제품 등은 다소 낮은 재고 비율이 나타납니다. 재고관리의 의미는 단순히 물품의 수, 발주를 중심으로 한 재고관리와 경영적인 관점에서 본 재고관리가 있습니다. 후자는 일반적인 경영계획의 일환으로 발주량과 발주시점을 결정하며, 실시간으로 발주, 납품, 출고, 이동, 조정, 기록 등의 업무를 수행하게 됩니다. 기업에서 재고관리 활동은 기업이 보유하고 있는 각종 제품, 원재료, 상품

크레인 안전관리 _ 산업안전지도사 2차 [내부링크]

1. 크레인 작업전 점검사항 1) 권과방지장치, 브레이크, 클러치 및 운전장치의 기능 2) 주행로 상측 및 트롤리가 횡행하는 레일의 상태 3) 와이어로프가 통하고 있는 곳의 상태 * 관련법령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규칙 35조 2항] 사업주는 별표3에서 정하는 바에 따라 작업을 시작하기 전에 관리감독자로 하여금 필요한 사항을 점검하도록 하여야 한다. 2. 크레인 작업시 준수사항 1) 인양화물이 작업자 머리위로 통과하지 않도록 조치하고, 근로자의 출입을 통제할 것 2) 크레인으로 화물을 바닥에서 끌고 미는 작업을 금지할 것 3) 운반 중 떨어져서 폭발하거나 누출될 수 있는 위험물 용기는 보관함에 담아서 운반할 것 4) 인양할 화물이 인양중에 보이지 않는 경우 동작을 정지할 것 (단, 신호수가 있는 경우는 제외) 5) 고정된 물체를 크레인으로 분리하거나 제거하는 작업은 금지 6) 조종석이 설치되지 않은 크레인은 안전기준에 맞는 무선원격제어기 또는 펜던트 스위치를 설치/사용할 것 7) 타

하중과 안전율의 적용 _ 산업안전지도사 2차 [내부링크]

1. 하중 (Load) 하중이란 물체가 외부에 힘의 작용을 받았을 때 그 힘을 외력(External force) 이라 하고 재료에 가해진 외력을 하중(Load)이라 합니다. 그리고 하중에 의해 물체 내부에 작용하는 내력을 응력(Stress) 이라고 합니다. 이때 하중이 응력보다 높은 경우에는 물체(재료)에 변형이 발생하게 됩니다. 예를 들어 펜을 부러트린다고 하면 펜이 가하는 힘이 하중이고, 펜에 힘을 가해도 안부러지면 응력이 작용하고 있는 것입니다. 2. 하중의 종류 1) 하중이 작용하는 방향에 따른 분류 (1) 인장 하중 (Tensil load) : 단면에 대해 수직으로(축 방향) 늘어나려고 하는 하중 (2) 압축 하중 (Compressive load) : 단면에 대해 수직으로(축 방향) 밀어 줄어들게 하는 하중 (3) 굽휨 하중 (Bending load) : 재료를 구부려 휘어지게 하는 하중 (4) 비틀림 하중 (Torsioning load) : 재료를 비틀려 하는 하중 (5)

JIT 와 Lean 생산시스템 _ 기업진단지도 [내부링크]

Ⅰ. JIT 생산시스템 1. 개요 JIT란 Just in time 의 약자로 필요한 것을 필요한 때에 필요한 만큼만 만드는 생산시스템입니다. 일반적으로 재고가 생산의 비능률을 유발하기 때문에 재고를 최대한 없애려는 기법으로 적시생산방법인데요, 도요타의 생산방식으로 유명합니다. 도요타 자동차는 JIT 생산 관리시스템을 개발하여 철저하게 현장줌심으로 운영하였습니다. 도요타는 JIT 생산시스템을 개발하는데 있어서 4가지 근거를 기반으로 하였습니다. 첫번째는 생산양이 줄더라도 생산성을 올려야 한다. 두번째는 필요한 것을 필요한 때에 필요한 만큼만 만든다. 세번째는 다기능으로 일의 흐름을 만든다. 네번째는 JIT는 늦어도 빨라도 안된다. 즉 JIT는 철저한 낭비제거의 사상과 기술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2. 배경 JIT (Just in time) 생산방식은 도요타 자동차에서 개발된 것으로 그 시기의 배경의 일본은 1973년 1차 오일 쇼크 이후 많은 기업들이 도입하였던 대량생산에서 다품종 소

와이어로프 (1/2) _ 산업안전지도사 2차 [내부링크]

와이어로프는 전 산업장의 다양한 용도로 많은 기계기구에서 다양하게 사용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작업장에서 사용함에 있어서 사용목적에 적절하지 않은 와이어로프를 선택하거나, 관리가 부실하여 사고위험이 높은 상태에서도 별다른 인지없이 사용하는 경우도 굉장히 많습니다. 이로인한 와이어로프의 파단으로 인양중인 화물에 근로자가 깔리거나, 부딪히는 등으로 사망재해가 발생하는 경우도 많습니다. 그렇다면 안전하게 와이어로프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어떻게 해야하는지를 하나씩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와이어로프의 구조 와이어로프란 소선을 집합하여 가닥으로 만들고 심주위에 일정한 피치로 감아 제작한 구조물입니다. 와이어로프는 Strand (가닥), Core (심), Wire (소선) 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와이어로프의 구조 2.와이어로프 표기방법 [ 6 X F (24) X IWRC B종 20mm ] 와이어로프는 위의 예시와 같이 6가지에 대해서 표기체계를 가지고 있습니다. 1) Strand의 수 : '

공급사슬관리 (SCM) _ 기업진단지도 [내부링크]

1. 개요 공급사슬관리 (SCM : Supply Chain Management) 는 원자재를 완제품으로 전환하여 고객에게 제공하는 모든 활동이 포함됩니다. 여기에는 소싱, 설계, 생산, 창고관리, 출하 및 유통이 포함됩니다. SCM의 목표는 효율성, 품질, 생산성, 고객 만족도 등의 개선입니다. 공급망은 수많은 글로벌 상황이나 자연재해 등의 이벤트에 의해 끌려다녔습니다. 이렇게 공급망 관리는 항상 변화에 대한 대응에서부터 시작됩니다. 무역, 환경, 경제 동향의 변화로 기업은 해외제조에 대한 의존도를 높이고 있으며, SCM 기술로 인해 니어 쇼어링과 국내 제조확대를 향해 진화하고 있습니다. 산업용 IoT 네트워크를 통해 장비 및 공급망 관리자는 실시간으로 연결하여 작업을 자동화하고, 비효율성과 고장을 줄일 수 있습니다. 그 외에도 현재에는 원자재로부터 노동조건 등의 제품의 원산지와 지속가능성에 관련된 투명성에 대한 요구를 증가하고 있기에 공급망 관리 프로세스를 끊임없이 진화시키고 있습

와이어로프 (2/2) _ 산업안전지도사 2차 [내부링크]

1. 와이어로프 꼬임의 종류 1) 보통꼬임 (Regular Lay) 로프와 스트랜드의 방향이 서로 반대로 꼬인것으로 하중이 걸렸을 때 저항이 강하지만, 로프 표면의 소선과 외부와의 접촉길이가 짧아서 마모에 의한 영향이 크므로 내구성을 떨어지는 꼬임방식입니다. 취급이 쉬워 다방면에 사용하는 방식입니다. 2) 랭 꼬임 (Langs Lay) 로프와 스트랜드의 방향이 서로 동일한 꼬임방식입니다. 로프 표면의 소선과 외부와의 접촉길이가 길어 마모에 의한 손상이 작아 보통연보다 내구성에서 다소 유리합니다. 소선이 로프 중심축과 이루는 각도가 커서 유연성이 높습니다. 스트랜드가 서로 자연히 엉겨붙는 방향과 반대로 꼬여진 부자연스러운 꼬임방법이므로 꼬임이 단단하지 못해 풀리기 쉬우며, 스트랜드 사이에 틈이 생기기도 하고, Kink(*)가 발생하기 쉽습니다. 광업용 등에 한정적으로 사용됩니다. 와이어로프 꼬임의 종류 * Kink (킹크) 킹크현상이란 와이어로프 변형 형상을 의미합니다. 와이어로프를

수요예측기법 (Demand Forecast) _ 기업진단지도 [내부링크]

1. 수요예측 (Demand Forecast) 수요예측이란 미래의 일정 기간에 대한 기업의 제품이나 서비스의 수요를 예측하는 것으로 수요예측은 대상 기간에 따라 단기, 중기, 장기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단기예측은 6개월 이내의 월/주/일별 예측으로 세부적으로 구분되며, 중기예측은 6개월에서 2년 정도의 기간을 대상으로 합니다. 그리고 장기예측은 2년 이상의 기간을 대상으로 예측하게 됩니다. 수요예측의 대상은 제품에 대한 것 또는 해당 지역에 대한 것 등이 있습니다. 이러한 수요예측을 통해 생산설비의 공정설계, 설비설치, 일정수립 등의 총괄적인 계획과 재고관리 등에 활용할 수 있습니다. 2. 주요 수요예측기법 1) 정성적 기법 정성적 예측기법은 주로 중장기 예측에 적용되는 기법으로 경제, 정치, 사회, 기술 등의 외부환경요인의 변화에 따라 시장 잠재력이 변화되므로 과거의 자료가 불충분하거나 주관적 판단 또는 의견에 기초하여 수요를 예측할 수 밖에 없는 상황에서 사용합니다. 일반적으로

공부 시간배분 방법 : 매일 조금씩 vs. 주말에 많이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직장인수험생입니다. 오늘은 공부를 할때 어떻게 시간배분을 하는것이 효과적일지에 대해 이야기해보겠습니다. 직장인이라면 누구나 공부할 시간이 부족하리라 생각합니다. 하루종일 회사에서 일하고 위 아래에 치이며 사회생활하느라 에너지를 대부분 소진하고 집에와서 다시 공부하려고 하면 힘도들고 공부할 시간도 별로 남지 않습니다. 이때 고민되는것은 1시간 남짓한 시간이라도 책을 봐야하나, 아니면 주중에는 그냥 쉬고 주말에 하루종일 공부를 해야하나 입니다. 평범한 직장인이자 중간관리자라는 지위를 맡고 있기 때문에 회사에서 상당히 많은 시간을 보내면서 동시에 육아까지 겸하며 지도사 공부를 해 본 입장에서 무엇이 더 좋은지 저의 경험을 말씀드리고자 합니다. 결론부터 이야기하자면, 저는 조금씩이라도 매일매일 하는것이 훨씬 효과적이라고 생각합니다. 왜 그럴까요? 첫번째, 하루에 암기할 수 있는 양은 한계가 있다. 학생때부터 시험준비를 위해 벼락치기를 하고 시험까지 잘보는 단기암기에 특화된 친구

타당도(Validity) _ 기업진단지도 [내부링크]

1. 개요 타당도는 기업에서 적합한 인력을 선발하기 위한 어러가지 선발도구가 얼마나 적합한지, 유용한지를 판단하기 위한 개념입니다. 어떤 이론을 기초로 하는 검사나 사람을 뽑는 채용의 과정이나, 조사를 위한 측정을 하는 과정에서 얻어진 데이터는 모든 것이 다 유의미하지는 않습니다. 어떤한 데이터는 원래의 목적과 무관하게 입력될 수 있습니다. 이러한 데이터의 유의미성을 판단하는 척도가 신뢰도와 타당도입니다. 신뢰도는 다음 내용에서 자세하게 다루기로 하고 이번에는 타당도에 대한 자세한 내용을 살펴보겠습니다. 타당도(Validity)란 측정하고자 하는 것을 얼마나 정확하게 측정하고 있는가의 문제입니다. 즉, 하나의 검사가 측정하고자 하는 대상을 정확하게 측정하는 정도가 바로 타당도입니다. 해당 검사의 타당도는 검사 점수를 이용하여 그 검사가 측정하려는 속성에 관해 추론하는 것이 타당한 일인가를 결정해 주는 것입니다. 예를들어 고등학교 3학년 수학능력시험에서 한국교육과정평가원이 시험을 출제

피로파괴 (Fatigue failure) _ 산업안전지도사 2차 [내부링크]

1. 개요 피로파괴란 항복응력을 받지 않았는데, 계속 항복응력 이하의 응력이나 하중을 받게되면 부품이나 기계가 파손이 되는데 이것을 피로파괴라고 합니다. 그리고 하중의 반복횟수와 관계없이 피로파괴를 일으키지 않는 최대 한계응력을 피로한도 또는 피로강도라고 합니다. 피로파괴는 재료에 피로가 생긴 탓이고 특히 최대응력이 작용하고 있는 점의 근방에 미세한 균열이 발생하여 이것이 점차 진행되다가 드디어 파단하게 됩니다. 추가적으로 피로시험에서 방향이 일정하고, 크기나 어느범위 사이에 주기적으로 변화하는 응력을 되풀이 하든지, 혹은 인장과 압축을 되풀이하여 파괴에 이르기까지의 횟수를 피로수명이라고 합니다. 피로파괴에서 중요한 것은 큰 힘이 아닌 상대적으로 작은 힘으로 파괴된다는 것인데, 이것은 한번이 아니라 주기적인 또는 반복적으로 발생하는 힘과 관련이 있습니다. 그러므로 움직이는 모든 기계 (크레인, 자동차, 선박 등)와 움직이지 않는 구조물(건축물, 교량 등)도 피로파괴에 노출되어 있다는

신뢰도 (Reliability) _ 기업진단지도 [내부링크]

1. 개요 신뢰도란 어떤 데이터가 동일한 측정대상을 측정할 때 일관성있는 측정결과를 산출하는 정도를 의미합니다. 측정의 결과가 일관되고 재현이 가능한가 인데요, 이것을 '정확성을 동반한 일관성' (Consistency with accuracy) 라고 합니다. 좋은 검사는 시간, 문항, 평가자와 무관하게 일관된 결과를 제공하며, 반복된 측정에도 똑같이 재현될 수 있습니다. 예를들어 아침에 측정한 데이터와 저녁에 측정한 데이터가 서로 다르다면, 그 검사의 신뢰도는 떨어진다고 할 수 있습니다. 신뢰도는 타당도의 필요조건입니다. 그래서 신뢰도는 높지만, 타당도가 낮은 데이터는 많습니다. 하지만 반대로 신뢰도는 낮지만 타당도가 높은 데이터는 거의 없습니다. 일반적으로 신뢰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측정방법을 명확하게 하고 표준화 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또한 측정의 각 문항이나 검사의 수를 늘리는 것도 신뢰도를 높이는데 도움이 됩니다. 2. 신뢰도의 속성 1) 안정성 신뢰도의 안정성은 한 가지 측정

협동로봇의 안전관리 _ 산업안전지도사 2차 [내부링크]

1. 개요 로봇이 공장에 투입되어 제조과정에서 역할을 시작한 것은 1960년대 초부터 시작되었습니다. 최초의 로봇사용은 부품을 옮기고 용접하는 작업에서 활용되었고, 그 이후로 로봇은 다양한 작업에서 활용이 되었습니다. 로봇은 국가간의 경쟁력을 위해 생산성의 향상, 지능화, 디지털화 등의 요구에 따른 4차산업 혁명 기반의 빠르고 유연한 제조 방식의 중심에 자리잡고 있습니다. 기존의 산업용 로봇은 사람과 분리된 공간에서 시간에 따라 정해진 작업을 수행하여 제품을 대량생산하는 전통적인 제조공정에 유리하며, 오늘날까지도 대부분의 공장에서 활용되고 있는 로봇의 대다수가 이에 속합니다. 반면 협동로봇은 펜스없는 공간에서 적극적 혹은 소극적 방식으로 인간과 협동작업하는 파트너 개념의 로봇이며, 저속 작업을 수행하므로 대량생산보다는 중소량 생산에 유리합니다. 협동로봇의 제품종류 2. 협동로봇의 특징 1) 중소형 크기 산업용 로봇은 대형부터 소형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크기로 제작 활용되며 구조적으로

안전제어 시스템 _ 산업안전지도사 2차 [내부링크]

1. 안전설계 2006년 이전의 안전제어 시스템의 안전구조는 설비나 기계의 내부 구성을 중심으로 한 것으로, 내부 부품의 경년 변화에 따른 안전 기능의 상실 등은 고려되지 않았습니다. 이것으로 인해 기계 안전에 있어서 신뢰성 면으로 규정하려고 하는 흐름으로 바뀌었습니다. 현재에는 구조에 의한 정의를 기반으로 부품의 수명과 고장을 검출하는 등의 안전제어 시스템을 확률론적으로 평가하는 구조로 정의되었습니다. 2. 안전설계 순서 안전설계의 순서는 첫번째 위험도 분석, 두번째 요구성능레벨(PLr)의 결정, 세번째 제어시스템의 퍼포먼스 레벨 (PL)의 결정으로 진행됩니다. 1) 위험도 분석 위험도의 분석은 기계류의 제한을 결정하고, 위험원을 식별하여 정의한뒤, 리스크를 추정하고 평가하게 됩니다. 여기에서 위험원은 기계적 위험 (끼임, 절단), 전기적 위험 (감전, 절연불량 등), 열적 위험 (화재, 폭발), 소음/진동, 휴먼에러, 유해물질 등으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이 기준에 따라 위험원을

품질경영1 (Quality Management) _ 기업진단지도 [내부링크]

1. 개요 품질경영이란, 품질경영방침과 목표를 수립하고, 품질기획, 관리, 보증, 개선의 각각의 세부 요소에 의해 전체적인 품질시스템 내에서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실행하는 모든 활동을 말합니다. 그러므로 품질경영은 최고경영층에 의해 주도되어야 하며, 경제적인 관점 또한 함께 고려됩니다. 즉, 최고경영자의 리더십 아래 품질을 경영의 최우선 과제로 하는 것을 원칙으로 고객만족을 통한 기업의 장기적인 성공은 물론 경영활동 전반에 걸쳐 모든 구성원의 참가와 총체적 수단을 활용하는 전사적, 종합적인 경영관리체계입니다. 따라서 품질경영은 최고경영자의 품질방침을 비롯하여 고객을 만족시키는 모든 부문의 전사적 활동입니다. 품질경영시스템(Quality Mangement System)은 3가지 서브 시스템을 구축하여 운영되게 됩니다. 첫번째는 품질경영 업무시스템으로 품질경영을 실행하는데 필요한 목표와 방침에 따라 이것을 달성하기 위해 필요한 인력, 물적자원을 지원하고, 각 조직별 기능, 구조, 절차,

품질경영2 (6 Sigma) _ 기업진단지도 [내부링크]

1. 6시그마 개념 6시그마는 실제 휴대폰 제조회사인 모토로라가 1987년 등록한 상표로 사용되는 용어입니다. 시그마는 원래 정규분포에서 표준편차를 나타내는 개념으로 6 시그마는 '100만개 중 3.4개의 불량률(3~4ppm)'을 목표로 한다는 의미를 담고 있습니다. 높은 품질의 제품을 생산하거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사용되며, 데이터를 수집하고 분석하여 문제의 원인을 찾아내고, 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벙법을 개발하는데, 초점을 맞춥니다. 기업은 이 방법을 이용해서 정확한 결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합니다. 즉, 6 시그마는 프로세스의 품질을 개선하기 위한 방법이며, 결함을 최소화하고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사용되는 통계적인 기법입니다. 시그마 수준 ppm 매출대비 손실 관리 수준 6σ 3.4 10% 미만 글로벌 최고수준 5σ 233 10~15% 산업 상위수준 4σ 6,210 15~20% 산업 평균 3σ 66,807 20~30% 낮은 경쟁력 2σ 308,537 30~40% 1σ 697

차량계 하역운반기계 _ 산업안전지도사 2차 [내부링크]

1. 개요 차량계 하역운반기계란, 지게차, 구내운반차, 화물자동차, 고소작업대 등을 말합니다. 1) 지게차 차체 앞에 화물 적재용 포크와 승강용 마스트를 갖추고 포크 위에 화물을 적재하여 운반함과 동시에 포크의 승강작용을 이용하여 적재 또는 하역작업에 사용하는 운반기계 2) 구내운반차 하역 운반을 목적으로 제조된 것으로 주로 사업장 내에서 주행하는 운반차를 말합니다. 또한 구내 운반차에느 견인 차량에 의해 피견인차를 견인하는 방식, 3륜차 방식 및 근로자가 주행하면서 운전하는 방식이 포함됩니다. 3) 고소작업대 고소작업대는 높이가 2m 이상인 장소에서 도장, 용접, 볼팅, 사상 등의 작업을 하기 위해서 작업자가 고소작업대 플랫폼에 탑승하여 작업대를 승강시켜 사용하는 것으로 작업대, 승강장치, 기타장치로 구성됩니다. 4) 화물자동차 화물을 운송하기에 적합한 화물적재공간을 갖추고, 화물적재공간의 총 적재화물의 무게가 운전자를 제외한 승객이 승차공간에 모두 탑승했을 때 승객의 무게보다 많

선발, 배치를 위한 심리검사 _ 기업진단지도 [내부링크]

1. 개요 심리검사란 개인마다 지니고 있는 심리적 현상을 비교하고, 개인의 인격과 행동적인 측면을 이해하기 위한 심리학적 측정과정을 의미합니다. 심리검사는 개인의 여러특성을 질적으로 또는 양적으로 측정하고 평가하는 조직적인 절차입니다. 심리검사는 인간행동을 이해하는 보조도구이므로 너무 과신하거나 불신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습니다. 좋은 심리검사는 표준화된 검사방법으로 객관적인 검사를 하는 것을 말합니다. 검사의 과정은 신뢰도(일관성)가 높고, 타당도(정확성)가 높아야 합니다. 그리고 검사 결과는 점수화되어 측정값들간의 비교가 가능해야 합니다. 2. 목적과 특성 심리검사의 목적은 크게 4가지가 있습니다. 첫번째는 개인행동을 예측합니다. 심리검사의 결과를 한 개인이 수행할 행동을 예측할 수 있도록 해주는데, 이 점을 활용하여 기업에서 인사선발 및 배치에서 실시하는 인적성검사가 이에 해당됩니다. 두번째는 분류 및 진단입니다. 심리검사를 통해 한 개인의 행동상의 원인을 진단할 수 있습니다.

산업안전지도사 24년 접수현황 및 난이도 분석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오늘은 산업안전지도사 24년 접수현황과 예상되는 시험난이도와 관련하여 과거 데이터에 기반해서 한번 제 의견을 드려보는 시간을 가지려고 합니다. 올해 산업안전지도사 시험을 준비하시는 분들에게 조금이나마 도움되었으면 하는 마음에 준비한 짧은 저의 사견이니, 참고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2월23일 금요일인 어제까지 산업안전지도사 1차시험 접수가 마무리 되었습니다. 그리고 그 결과는 연초에 1차 합격률를 분석한 글에 적었었던 것처럼 예상대로 접수현황이 약 1만명에 가까운 역대급 응시자수를 보였습니다. 이렇게 응시자수가 많으면 각자의 집이나 회사에서 최대한 가까운 위치에 시험을 치려고 했던분들은 너무 먼곳에서 시험을 치게되는 등의 난감한 상황이 혹시 생겼을까봐 걱정되네요. [23년 1차 합격률 분석글] 산업안전지도사 합격후기 _ 23년 1차 합격률 안녕하세요, 오늘은 산업안전지도사의 응시인원과 합격률에 대해서 한번 말씀 드리는 시간을 가지도록 하겠... blog.naver.com

응력과 응력집중 _ 산업안전지도사 2차 [내부링크]

1. 개요 응력(Stress) 이란 어떤 부재에 외력이 작용했을 때, 이 힘에 저항하기 위해 내부에서 발생하는 힘을 말합니다. 즉, 내부에서 일어나는 저항하는 힘을 의미하는데요, 여기에서 저항한다는 것은 변형되지 않고 정지상태를 유지한다는 뜻입니다. 외력이 작용할 때 변형되지 않고, 그대로 있으려면 외력에 대응하는 내부의 힘이 있어야만 합니다. 응력을 조금 더 쉽게 이해하기 위해서 풀어서 설명을 해보면, 나뭇가지 양쪽 끝을 잡고 당긴다고 가정해보겠습니다. 나뭇가지가 늘어나지 않고 그대로 있다면 당연하게도 나뭇가지 내부에는 당기는 힘(인장력)에 저항하는 힘이 작용하고 있습니다. 나뭇가지를 잡아당기는 힘에 저항하는 힘이 있기 때문에 길이가 늘어나지 않고 안정된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지요, 하지만 고무줄같은 경우는 당기게 되면 쭉 늘어나는데요, 이것은 고무줄의 내부응력이 나뭇가지보다 작기 때문에 쉽게 늘어나게 되는 것입니다. 이처럼 외력에 대해 내부에서 발생하는 저항력이 응력입니다. 2.

응력-변형률 선도 (Stress-strain Curve) _ 산업안전지도사 2차 [내부링크]

1. 개요 응력 변형률 선도 (Stress strain Curve) 물체에 작용하는 힘을 점전적으로 증가시키면 물체의 형상변화인 변형과 내물체 변형률(Strain)의 크기를 수평축으로 하고 변형에 따른 물체 내부의 응력을 수직축으로 하여 그래프로 나타낸 것을 응력 변형률 선도라고 부릅니다. 응력(σ)을 종축, 변형률(ε)을 횡축으로 그래프를 그립니다. 이를 그리는 방법에는 공칭응력과 진응력을 적용하는 두가지가 있습니다. 1) 공칭응력- 변형률 선도 (1) 공칭 응력(Nominal stress) 하중 P를 시험편의 원래 단면적 Ao 로 나눈 것으로 단면적 전체와 표점거리 전체에 걸쳐서 응력이 일정하다고 가정한 것입니다. σ = 공칭응력 (Nominal stress) P = 하중 Ao = 원래 단면적 공칭응력 (Nominal stress) (2) 공칭 변형률 (Nominal strain) 표점거리의 변화량을 원래의 표점거리 Lo로 나눈 것 또는 스트레인 게이지(Strain gage)로

직무특성화 이론 (Job Characteristics Theory) _ 기업진단지도 [내부링크]

1. 개요 직무특성이론 (Job Characteristics Theory)는 1970년대 해크만(R, Hackman)과 올드햄(G. Oldham)이 직무 내 요소들이 어떻게 조직되는냐에 따라 노력을 증가시키거나 감소시킬 수 있다는 내용으로 이론을 정립하면서 등장하였습니다. 즉, 직무특성이 종업원의 심리상태에 영향을 주어 동기부여, 직무만족, 작업성과, 이직률과 결근률에 영향을 미친다고 보았습니다. 직무특성이론의 체계는 5가지 직무특성, 3가지 심리상태 변수들, 4가지 성과변수들로 구성되어 있으며 개인의 성장욕구수준이 직무특성과 심리상태, 심리상태와 성과간을 조절해주는 변수로 작용하고 있습니다. 2. 5가지 핵심요소 1) 기술 다양성 (Skill variety) 직무를 수행하는데 있어서 요구되는 기술의 종류 수 (다양한 기술, 지식, 특기 등)를 의미합니다. 기술의 다양성이 높은 직무는 한 개인이 수행하는 직무의 폭이 넓어지게 됩니다. 직무수행 기술의 다양도가 높아지면 직무의 가치는

직무기술서와 직무명세서 _ 기업진단지도 [내부링크]

Ⅰ. 직무기술서 (Job description) 1. 개요 직무기술서란, 직무 그 자체의 특성 (과업, 임무, 책임)을 말하는 것으로 직무수행과 관련된 과업 등 직무정보를 일정한 양식에 기술한 문서로 볼 수 있습니다. 직무에서 맡은 일과 그에 따른 책임의 내용을 구체적으로 기술한 문서로 직무분석의 기초자료가 됩니다. 직무기술서는 기업에서 업무를 세분화 및 구체화하여 직원들의 능력에 따른 업무 범위를 적절히 설정하고 생산성을 높이기 위한 수단으로 활용됩니다. 2. 직무기술서의 필요성 1) 직무의 책임과 역할규정 직무기술서는 개인/단위/조직별 직무의 특성과 내용, 범위, 책임 및 역할 등을 명확히 정의하고 표준화하여 근로자가 합리적이고 효율적으로 직무를 시행할 수 있도록 지원합니다. 직무를 규정함에 있어서 기업으로 하여금 직무의 책임과 역할을 분명히 하는데 도움을 주고 근로자 각자의 능력에 맞는 업무배치, 직무분할 및 통합, 신규직원채용 등 다양한 직무 관련 활동에 있어서 활용가치가 높

업무재설계 (BPR : Business Process Re-engineering) _ 기업진단지도 [내부링크]

1. 개요 현재는 기업들의 경영환경이 점점 경쟁이 치열하지고, 단순히 하나의 국가안에서 뿐만 아니라 글로벌 경쟁이 항상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그렇게 무한 경쟁의 시대속에서 고객의 다양한 요구에 대응하기위해 혁신적인 경영의 필요성이 제기 되었습니다. 경영자원을 미래를 위한 투자에 쓰기위해 수익성이 떨어지는 분야의 조직 간소화, 철수, 재무구조의 개선 등과 인수합병같은 전략적 제휴도 포괄하는 개념으로 Re-engineering 은 1990년대 무렵 미국에서 확립되어 주목을 받고 있는 경영기법중의 하나입니다. 과거와 같은 기능식 위계 조직으로는 제품품질, 서비스, 속도 등에 까다로워진 고객을 만족시킬 수 없다는 사고하에 등장한 기법으로서 기존의 경영활동을 무시하고 기업의 부가가치를 산출하는 활동을 완전히 백지상태에서 새롭게 구성하는 뱡향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즉, 의사결정의 지연을 초래하는 수직적인 의사결정구조에서 시장 고객에게 신속하게 반응할 수 있는 프로세스 중심의 수평적 의사결정구조

직무와 직무분석 (Job Analysis) _ 기업진단지도 [내부링크]

1. 개요 현재 기업들은 무한경쟁 시대에 직면하였습니다. 이러한 환경의 변화는 기업의 인적자원 관리에도 큰 변화를 요구하고 있고, 단순한 개선활동 수준이 아니라 혁신적인 기업활동이 필요하게 되었습니다. 기업의 근로자는 창의성과 도전정신, 변화적응력 등을 갖추어야 하며, 이를 위해 성과에 대한 평가와 보상을 합리적으로 할 수 있는 인사제도가 꼭 필요하게 되었습니다. 직무를 도입하여 관리하는 것은 인사제도의 기본원칙인 적재적소의 실현과 연결되어 있습니다. 직무에 기반한 인사관리는 기업의 전략과 비전을 실행할 수 있도록 적절한 역할과 책임을 도출하고 그 역할과 책임을 가장 잘 수행할 수 있는 인재를 선발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근로자는 자신의 능력을 극대화할 수 있는 직무를 발굴하고 이에 몰입하여 성과를 내고 합당한 보상을 받음으로 일에서의 보람을 느낄 수 있습니다. 직무관리를 통한 효과적이고 다양한 인사제도의 구축은 직무분석과 직무평가 작업을 기반으로 가능하게 됩니다. 직무? 직렬? 직책

지게차의 안전관리 _ 산업안전지도사 2차 [내부링크]

지게차 (Fork Lift) 위험요인, 안전장치, 작업전 점검사항, 안정도 기준 지게차의 위험요인 화물의 낙하, 보행자 충돌, 차량의 전도 1. 화물의 낙하 - 발생원인 : 불안전한 화물의 적재, 부적당한 어태치먼트(*)의 설정, 미숙한 운반조작, 급출발, 급정지, 급선회 등 * Attachment : 기계·기구에 설치하여 성능을 높이거나 몸체만으로 할 수 없는 작용을 할 수 있게 하는 장치 2. 보행자의 충돌 - 발생원인 : 운전자 시야 미확보, 사각지대 발생, 후륜 주행에 따른 후방의 선회반경 3. 차량의 전도 - 발생원인 : 요철바닥면의 미정비, 취급되는 화물 대비 소형차량, 화물의 과적, 고속 급선회 등 지게차의 안전장치 지게차 안정장치의 5가지 종류 전조등, 후미등, 헤드가드, 백레스트, 안전벨트 1) 전조등과 후미등 후진경보기와 경광등을 설치하거나 후방감지기를 설치하는 등 후방을 확인할 수 있는 조치를 할 것 2) 헤드가드 (1) 강도 : 지게차 최대 하중의 2배 값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