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ayong99의 등록된 링크

 sayong99로 등록된 네이버 블로그 포스트 수는 113건입니다.

2024학년도 수능 화학1 출제 경향 분석 Part.4_준킬러(3)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용선생입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3단원_분자 구조에서 출제되는 준킬러 문항을 정리해 보려 합니다. https://blog.naver.com/sayong99/223238562131 2024학년도 수능 화학1 출제 경향 분석 Part.1 안녕하세요. 용선생입니다. 벌써, 수능이 1달 남음 시점이 되었습니다. 수능 전 마지막 10월 모의고사가 끝... blog.naver.com https://blog.naver.com/sayong99/223240975537 2024학년도 수능 화학1 출제 경향 분석 Part.2_준킬러(1) 안녕하세요. 용선생입니다. 지난 포스팅에서는 2024학년도 수능 화학Ⅰ의 전체적인 특징에 대해 다루었습니... blog.naver.com https://blog.naver.com/sayong99/223253353198 2024학년도 수능 화학1 출제 경향 분석 Part.3_준킬러(2) 안녕하세요. 용선생입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2단원의 "준킬러 문항"을

2024학년도 수능 화학1 출제 경향 분석 Part.4_준킬러(4)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용선생입니다. 수능이 어느덧 1주일 앞으로 다가왔습니다. 얼마 남지 않은 시점에서 수험생들에게 조금이나마 포스팅이 도움 되었으면 합니다. 오늘은 pH 관련 문항을 실수 없이 빠르게 풀어갈 수 있는 일종의 팁을 다뤄볼까 합니다. H₃O+, OH-의 농도비와 pH, pOH 관계 정리 기출 문항에는 의 관계를 묻는 자료가 자주 나옵니다. 위 자료를 한번 정리해 볼 필요가 있습니다. H3O+와 OH-의 농도 비에 따른 pH, pOH pH - pOH와 농도비 관계 위와 같은 원리이지만, pH와 pOH의 차이값과 농도비의 관계를 정리해 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pH가 1씩 작아질수록, ⅠpOH - pHⅠ는 2씩 증가. ⇒ [H3O+] : [OH-]는 100 : 1 씩 증가 pOH가 1씩 작아질수록, ⅠpOH - pHⅠ는 2씩 증가. ⇒ [H3O+] : [OH-]는 1 : 100 씩 증가 기출 문항의 자료를 예시로 볼까요? [H3O+]는 (가)가 (나)의 10배 ※(나) ⇒ (가):

2024 수능 화학1 해설 (feat. 3점 문항)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용선생입니다. 2024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을 치른 수험생분들은 모두 수고하셨습니다. 화학 1은 작년부터 수능을 치르고 난 뒤 언제나 곡소리가 들리는군요.. 오늘 포스팅에서는 2024 수능 화학 1 3점 문항을 위주로 실전용 빠른 풀이로 다뤄보겠습니다. ※세부 해설은 이후 포스팅에서.. 첨부파일 2024학년도_수능_화학1_문제지.pdf 파일 다운로드 첨부파일 2024학년도_수능_화학1_답안지.pdf 파일 다운로드 2024학년도 수능 화학 1 해설 반응 후 생성물만 존재하므로, 완결점 2Al + 6HF → 2AlF3 + 3H2 화학식량비 Al : H2 = 27 : 2 계수비 2 : 3 질량비 54 : 6 = 9 : 1 [정답: ④번] (가)는 N2H2 또는 HF (나)는 H2O ⇒ 분자당 X, Y의 수가 같으므로, (가)는 HF (다)는 HOF [정답: ②번] 바닥 상태 탄소(C)의 전자가 갖는 오비탈 1s, 2s, 2p n - l : 1s(=1), 2s(=2), 2p(=

세특으로 대학 가기 PDF 전자책 (feat. 화학 실험 1편)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어쩌다 1등급의 용선생입니다. 드.. 디.. 어.. 용선생의 세특으로 대학가기 화학 실험 1편 : 지니스탑 [지니스탑] 용선생의 실험세특으로 대학가기 smartstore.naver.com PDF 전자책 을 발매하게 되었습니다. 사실, 조금 더 다듬고 내년에 발매하려 했지만 학기말 당장의 과세특 및 진로 활동 작성을 앞둔 수험생들에게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고자 일찍이 발매하게 되었네요. 전자책을 쓰게 된 이유와 책의 내용을 간단히 소개해 볼까요? 실험 활동은 개나 소나 똑같다. 책을 쓴 가장 큰 이유이기도 합니다. 과학중점 고등학교 화학 교사로 있으면서 많은 학생들의 실험을 도맡아 진행하고 있지만.. 열심히 참여했음에도 불구하고.. "단순 실험 활동 기록"만 입력되어 있는 생기부를 보면 안타까울 따름입니다. 과학 특성화고가 아닌 이상 고등학교에서 수행할 수 있는 실험은 굉장히 한정적일뿐더러 전국의 2000개가 넘는 고등학교를 감안한다면 단순 실험 활동 만으로는 "대학 입시"

화학1 1일 1킬러 풀기 feat. 4단원_중화반응(21)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용선생입니다. 오랜만에 "1 Day 1 Killer"로 인사드리게 되었습니다. 오늘의 문항은? 2020학년도 10월 모의고사 18번 중화 반응 1가 혼합 용액의 문항이지만, 최근 중화 반응 문항 난이도가 많이 낮아졌기 때문에 다뤄보겠습니다. 2가와 달리 1가는 복잡한 이온 수 관계가 없기 때문에 각 용액의 이온 수를 구하고 난 이후 풀이 과정을 간소화 시키는데 목적을 두고 보면 좋을 것 같습니다. 2020학년도 화학Ⅰ 10월 18번 (가)와 (나)의 부피가 주어졌고, 농도에 관한 자료가 나왔습니다. "부피 × 농도 = 이온 수" 의 관계로 자료를 해석하라는 뜻이군요. (가)와 (나)의 부피비는 2(=50mL) : 1(=25mL)를 농도에 곱해주면 다음과 같이 정리가 되겠지요? Na+수 + H+수의 합 (가) : (나) = 6 : 6으로 맞춰주면, (가)에서 HCl과 NaOH의 수는 각각 6이고, (나)에서 NaOH의 수는 부피비에 따라 3이 되는군요. (나)에서도 Na+

화학 세특 관련 독서 추천(feat. 교과 연계)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용선생입니다. 2학기 기말고사가 끝난 시점에서 조금은 쉬어가고 싶은 게 수험생들의 마음이지만, 수시를 바라보고 있는 학생들에게는 교과목 세특을 정리해 볼 수 있는 아주 귀한 시간입니다. 대학입시에서 생기부 독서 활동이 미반영 되지만, 과세특 및 진로 활동에 반영된 '독서 활동'은 굉장히 '중요한 요소' 중 하나이지요. 오늘 포스팅에서는 화학 1 교과 지도서에 수록된 "단원별 연계 도서"에 대해 소개해 볼까 합니다. 하나하나 읽어본 도서는 아니기 때문에 내용이나 후기를 자세히 말씀드리긴 힘들고.. 간략하게 소개 정도만 하겠습니다. 본인이 화학 1 내에서 가장 '관심 있었던 단원'과 연계해 보면 좋을 듯합니다. 화학1_1단원_화학과 인류 화학 전반에 걸쳐 포괄적인 내용을 다루고 있기 때문에 화학과 연관 없는 진로를 희망한 학생들이 주제로 잡기 좋습니다. 역사를 바꾼 17가지 화학 이야기 (페니 르 쿠터, 제이 버레슨_사이언스 북스_2014.08.12.) 총 1, 2편 두 권

2024학년도 수능 화학1 출제 경향 분석 Part.2_준킬러(1)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용선생입니다. 지난 포스팅에서는 2024학년도 수능 화학Ⅰ의 전체적인 특징에 대해 다루었습니다. https://blog.naver.com/sayong99/223238562131 2024학년도 수능 화학1 출제 경향 분석 Part.1 안녕하세요. 용선생입니다. 벌써, 수능이 1달 남음 시점이 되었습니다. 수능 전 마지막 10월 모의고사가 끝... blog.naver.com 이번 포스팅부터는 화학Ⅰ에서 수험생들이 주의 깊게 봐야 하는 "준킬러 문항"을 정리해 보겠습니다. 오늘은 용액(몰 농도, 중화 적정)과 밀도 관련 문항을 정리해 볼까요? 1. 용액의 수(mmol) 관점에서 풀기. 화학 Ⅰ에서 용액과 관련된 문항은 (몰 농도, 중화 적정, 중화 반응) 용액의 수를 중심으로 문제를 풀어가는 것이 가장 효율적입니다. 특히, 용액의 수는 몰(mol)이 아닌, 밀리몰(mmol)의 단위로 정리해야 빠르게 풀어나갈 수 있지요. ※위와 같은 이유는 용액의 부피 단위는 mL로 주어지기

화학1 1일 1킬러 풀기 feat. 1단원_화학 반응식(19)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용선생입니다. 최근, 제2의 용선생 탄생과 화학 실험 세특 전자책을 제작 중인지라.. 꾸준히 올리겠다는 블로그의 약속이 어겨지고 있습니다.. ㅜ.ㅜ 이후, 더욱 좋은 자료로 보답하도록 하겠습니다. 오랜만에 올리는 오늘의 1Day 1Killer는...??!! 2021학년도 화학 Ⅰ 3월 모의고사 20번 최근, 2023학년도에는 밀도와 관련된 화학 반응식 문항이 거의 출제되지는 않았지만, 수능 전 한번은 꼭! 정리해야 될 문항입니다. 먼저 풀어볼까요??~ [자료 해석 방법] (1) 밀도 자료 이용 ⇒ 주어진 자료 밀도, 질량 → V에 대한 자료 ⇒ 실험 Ⅱ에서 반응 전과 후 질량은 동일, 밀도비는 75 : 100 = 3 : 4 ⇒ 반응 전과 후 부피비는 4 : 3 ※화학 반응식에서 밀도 자료 문항은 80~90%는 부피비로 변환하면 됩니다. 질량과 밀도가 주어진 경우, 부피비로 바로 해석! (2) 질량 보존 법칙 ⇒ 실험 Ⅰ에서 반응 전과 후 질량 36 g ⇒ 남은 반응물 질

화학1 1일 1킬러 풀기 feat. 4단원_중화반응(20)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용선생입니다. 오늘의 1 Day 1 Killer는..? "2021학년도 수능 19번 중화반응" 중화 반응 문항은 최근 기출보다 오히려 예전 기출이 더 어렵게 출제되었습니다. 함께 보실까요??~ 2021학년도 화학Ⅰ 수능 19번 문항을 풀기 전에 물어보는 보기가 단순히 "농도나 이온 수의 비율만 묻는지" "실제 값을 구해야 되는지" 우선적으로 파악해두는 것이 좋습니다. 를 묻고 있기 때문에, a와 b는 단순히 농도 비만 구하면 되지만, x와 y는 합의 관계이기 때문에 실제 농도 값을 구해줘야 되는 것이지요. 비율만 구하는 것이라면, 임의의 정수로 각 이온의 수를 간단하게 두고 풀어도 되지만, 실제 농도 값을 구해야 되는 경우에는 실제 값을 이용해 구해야 합니다. 위 문항은 임의의 이온들 W~Z가 누구인지 판단해야 함과 동시에 실제 농도 값을 구해야 되기 때문에 문항 난이도가 높은 편이겠군요 @.@ 실제 농도값을 구해야 되는 경우 풀이를 어떤 식으로 정리해나갈지 고민해 보며

2024학년도 수능 화학1 출제 경향 분석 Part.3_준킬러(2)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용선생입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2단원의 "준킬러 문항"을 정리해 보겠습니다. [2024학년도 수능 화학 Ⅰ 출제 경향 분석 Part.1] https://blog.naver.com/sayong99/223238562131 2024학년도 수능 화학1 출제 경향 분석 Part.1 안녕하세요. 용선생입니다. 벌써, 수능이 1달 남음 시점이 되었습니다. 수능 전 마지막 10월 모의고사가 끝... blog.naver.com [2024학년도 수능 화학 Ⅰ 출제 경향 분석 Part.2] https://blog.naver.com/sayong99/223240975537 2024학년도 수능 화학1 출제 경향 분석 Part.2_준킬러(1) 안녕하세요. 용선생입니다. 지난 포스팅에서는 2024학년도 수능 화학Ⅰ의 전체적인 특징에 대해 다루었습니... blog.naver.com 2단원은 화학 Ⅰ에서 그나마 암기와 관련된 단원이기 때문에 수능 전 머릿속에 정리해두면 도움이 될 수 있겠습니다. [목

화학1 1일 1킬러 풀기 feat. 1단원_화학 반응식(20)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용선생입니다. 오늘의 1 Day 1 Killer 는..? "2021학년도 수능 20번 화학 반응식" 2021학년도 화학 Ⅰ 수능 20번 화학 반응식과 밀도 개념을 연관 지은 가장 대표적인 문항이었습니다. 이번 해에는 밀도와 관련된 문항이 거의 출제되지는 않았지만 수능 전에는 한번 정리해두는 것이 좋습니다. @.@ [자료 해석 방법] (1) 반응 계수비 ⇒ A : C = 1 : 1 (A가 사라진 만큼 C 생성) (2) 밀도와 질량 부피 변환 ⇒ (가)와 (나)는 질량이 같으므로, 밀도비는 부피비의 반 비례, V1 : V2 = 5 : 7 ⇒ (나)와 (다)의 밀도비는 25 : 14, 질량비는 10 : 12 부피비 (나) : (다) = 14 × 5 : 25 × 6 = 7 : 15 ※ 질량이 바뀌었으므로, 고려해 주어야 합니다 @.@ ⇒ 부피비 (가) : (나) : (다) = 5 : 7 : 15 [문제 풀이] (가) ⇒ (나) ⇒ (다)에서 부피는 5 : 7 : 15이므로, (

화학 1일 1킬러 풀기 feat. 1단원_화학식량(8)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용선생입니다. 내일부터 추석과 겹쳐 긴 연휴 기간이지만, 수능과 중간고사를 앞둔 고등학생들에게는..@.@ 오늘의 1 Day, 1 Killer ' 2022학년도 6월 모의평가 18번 화학식량 ' 2022학년도 화학1 6월 모의평가 18번 화학식량의 대표적인 양적 관계 표현들이 종합적으로 들어 있는 좋은 문항입니다. 해설 전에 문제부터 먼저 풀어보시길 바랍니다.@.@ [자료 해석] (1) A~C는 같은 질량(=xg) ⇒ 같은 질량(=단위 질량, 1g 당 질량, xg 당 질량)에 들어 있는 분자 수비 = 분자량의 역수비 ※ 화학식량의 가장 대표적인 표현이지요. 단위 질량 당 분자 수비 = 분자량의 역수비 (2) A~C의 단위 질량당 원자 수 ⇒ 단위 질량 당 원자 수 = 단위 질량 당 분자 수 × 구성 원자 수 ⇒ A~C의 단위 질량 당 원자 수비 11 : 12 : 10 ⇒ 단위 질량 당 분자 수비 11/2 : 12/3 : 10/5 = 11 : 8 : 4 ⇒ A~C의 분자량비

화학1 1일 1킬러 풀기 feat. 1단원 화학 반응식(17)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용선생입니다. 모두들 연휴 기간은 잘 지내고 계신가요??~ 용선생은 연휴 기간에 '제2의 용선생'이 탄생했답니다. 용공듀에여 짝짝~@.@ 기쁠땐, 킬러 문항 하나 쯤 풀어줘야겠지요~?? 오늘의 1 Day 1 Killer는..!! 2022학년도 화학1 6월 모의평가 19번 생성물이 2개인 화학 반응식 문항입니다. 여기까지 1 Day 1 Killer를 쭉 따라온 수험생이라면 용선생의 자료 해석을 떠올려 우선적으로 풀어보며 좋을 것 같군요. [자료 해석] (1) D의 양 / 전체 기체의 양 조절 ⇒ (가)는 15 V 이므로, 2 / 5 → 6 / 15 ⇒ (나)는 16 V 이므로, 3 / 4 → 12 / 16 (2) 반응 계수비 A : D = 2 : 6 ⇒ (가)와 (나)에서 D의 부피 6 V → 12 V (6 V 증가) ⇒ 따라서, (가)에서 초기 A는 2 V, B는 7 V ※A가 2 V 반응할 때, D가 6 V 생성 (3) A 분자량 / B 분자량 = 7 / 4 *위와 같

화학1 1일 1킬러 풀기 feat. 1단원_화학 반응식(18)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용선생입니다. 오늘의 1 Day 1 Killer는..?!! '2021학년도 4월 모의고사 20번 화학 반응식' 오늘은 괜히 어렵게 느껴지는 그래프 자료 형태의 킬러 문항을 풀어보겠습니다. 2021학년도 화학1 4월 모의고사 20번 자료가 그래프로 주어지면 수험생들이 지레 겁먹는 경우가 많지만.. 화학은 수학이 아니기 때문에 그래프의 형태를 해석할 필요는 없습니다. 필요한 부분만 체크해서 우선적으로 풀어볼까요?? [자료 해석] (1) 그래프 해석법 ⇒ 부분만 체크. ⇒ 그래프의 변곡점 체크. ⇒ 변곡점은 화학 반응에서는 완결점. ⇒ 중화 반응에서는 액성이 변하는 지점. ※ 화학에서 그래프는 표로 줄 자료를 살짝 돌려 표현했을 뿐입니다. 수학적으로 해석할 필요는 전~혀 없습니다.@.@ (2) 완결점 위주로 문제 접근 ⇒ 완결점에서 물질이 가장 적으므로(생성물만 존재) 문제의 힌트가 가장 많은 지점. ⇒ 의 양 / 전체 양 = 2 / 3 생성물의 비는 2(=) : 1 ⇒ 반

화확1 1일 1킬러 풀기 feat. 4단원_중화 반응(18)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용선생입니다. 오늘의 1 Day 1 Killer 는 "2021학년도 4월 모의고사 19번 중화 반응" 바로 가볼까요??~ 2021학년도 화학1 4월 모의고사 19번 1가, 2가 혼합 용액의 이온 수 관계만 알고 있다면, 1분 안에 풀 수 있는 문항입니다. 오늘의 문항은 자료 해석과 풀이를 동시에 진행하겠습니다. [1가 염기 + 2가 산 혼합 용액 전체 이온 수 관계] ⇒ 산성인 경우, (2가 산의 수 × 3) ※ 1가 염기의 수와 상관없음. ⇒ 염기성인 경우, (1가 염기의 수 × 2 - 2가 산의 수) ※ 2가 산이 들어온 수만큼 감소. 위의 개념이 숙지되었다면, 전체 이온 수 (가)에서 7 n, (나)에서 9 n을 보고 (가)는 산성, (나)는 염기성이 바로 파악되어야 합니다. (가)와 (나)가 모두 염기성이면 (나)의 전체 이온 수는 7 n보다 작음. (가)와 (나)가 모두 산성이라면 (가)와 (나)의 전체 이온 수비는 1 : 3 (2가 산 부피비와 동일) 즉, (

화학1 1일 1킬러 풀기 feat. 1단원_화학식량(8)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용선생입니다. 오늘의 1 Day 1 Killer는 "2021학년도 4월 모의고사 10번 화학식량" 화학식량은 최근 연도부터 난이도가 많이 올라갔기 때문에 이전 화학식량 문항은 사실, 크게 어렵지는 않습니다. 문항이 어렵기보다는 기본 개념에 충실한 문항이기 때문에 한 번쯤 정리해 보는 마음으로 풀어보겠습니다. 2021학년도 화학 1 4월 모의고사 10번 먼저 풀어본 후 풀이와 개념을 정리해 볼까요?~ [자료 해석 및 문제 풀이 방법] (1) 기체의 단위 부피당 질량 분자량비가 8 : 27 = 32 : 108(=a) (2) 1 g에 들어 있는 원자 수 ⇒ 1 g에 들어 있는 분자 수부터 해석. (나)에서 XnYnHn의 분자량은 108이므로, 1 g에 들어 있는 분자 수는 1 / 108 mol 1 g에 들어 있는 원자 수는 1 / 9 mol 분자 당 구성 원자 수는 12 = 3n, n=4 (가)에서 XmHn의 분자량은 32이고, 1 g에 들어 있는 분자 수는 1 / 32 mo

화학1 1일 1킬러 풀기 feat. 4단원_중화 반응(19)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용선생입니다. 오늘의 1 Day 1 Killer 는 "2021학년도 3월 모의고사 19번 중화반응" 문항을 다뤄보겠습니다. 2021학년도 화학1 3월 모의고사 19번 3가지 1가 산, 염기의 혼합 용액 문항이군요. 먼저, 풀어본 후 각각의 이온을 찾아가는 방법을 비교해 보면 좋을 것 같습니다. @.@ [자료 해석 및 문제 풀이] (1) 몰 농도 a, b, c ⇒ 몰 농도가 모두 주어지지 않은 것은 문제를 통해 부피당 이온 수를 파악하라는 뜻. ⇒ 문항에서 b / c (b와 c의 농도비)만 물어봤으므로, 계산의 편의를 위해 a=1로 둬도 무관. (2) 용액의 부피 × 몰 농도 = 몰 수 ⇒ 부피가 주어진 경우, 농도는 몰 수로 변환해서 해석. ⇒ a M HCl 20 mL의 수: 20 ⇒ 1/12a M 60 mL H+의 수: 5 용액의 농도를 수의 관점으로 자료를 해석하면 초기 HCl 20 mL의 수(=H+의 수)는 20에서 5로 감소하였으므로, 첨가된 1가 염기의 수는 총

2024학년도 수능 화학1 출제 경향 분석 Part.1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용선생입니다. 벌써, 수능이 1달 남음 시점이 되었습니다. 수능 전 마지막 10월 모의고사가 끝난 시점에서 이번 2024학년도 수능 화학1에 대한 용선생의 지극히 개. 인. 적. 인 견해로 남은 시점에서 수험생들이 실질적으로 준비해야 할 부분에 대해 다루어 볼까 합니다. 2023학년도 화학1 표준 점수 우선, 올해 모의고사들을 정리해 보면서 확실히 느낀점은 문항 난이도가 전체적으로 낮아졌기 때문에 표준 점수를 정리해 보았습니다. [출처: EBS] 전반적으로 다른 과학 과목에 비해 1점 정도 낮은 편이기 때문에 수험생들이 크게 신경 쓸 부분은 없을 것 같지만 올해 10월 모의고사는 표준 점수가 낮기 때문에 수능에서는 난이도가 올라갈 것으로 생각됩니다. 킬러 문항 난이도 하향 올해 킬러 문항은 언론에서 예민하게 다룬 탓인지, 전반적으로 난이도가 많이 하향되었습니다. [화학 반응식] 문항 자체가 전체적으로 많이 하향했습니다. 기본 개념 "부피 변화, 질량 ↔ 분자량↔ 계수(몰

화학1 1일 1킬러 풀기 feat. 1단원_화학식량(6)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용선생입니다. 오늘은 2024학년도 9월 모의평가가 실시된 날이네요! 수험생분들은 모두 고생 많으셨습니다. 오늘의 1 Day 1 Killer는 쉬어가는 타임으로 "2022학년도 9월 모의평가 18번 화학식량" 을 아~주 간단한 방식으로 풀어보겠습니다. 2022학년도 화학1 9월 모의평가 18번 화학Ⅰ에 자주 등장하는 필수 분자량을 알고 있을 때, 풀 수 있는 초간단 풀이입니다 @.@ https://blog.naver.com/sayong99/223024082760 화학1 필수 원자량, 분자량 정리 (feat. 2023) 안녕하세요. 용선생입니다. 2023학년도를 맞아 화학 1을 처음 공부하는 수험생들이 꼭 알아야 할 원자량, ... blog.naver.com [문제 풀이] 1g의 부피비 → w / V(=n) → 분자량 역수비 분자량비 (가) : (나) = 22 : 15 = 44 : 30 = N2O : NO ※ 수험생들이라면 요 정도 분자량비는 알고 있어야죠 @.@ (가)는

화학1 1일 1킬러 풀기 feat. 1단원 화학 반응식(15)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용선생입니다. 9월 6일 모의고사 이전에 미리 작성한 포스팅인지라.. 9월 모의고사에 대해 평가를 할 수가 없네요 ㅜ.ㅜ 추후에 9월 모의고사에 대해 다뤄보겠습니다. 오늘의 "1Day 1Killer"는 2021학년도 화학1 7월 모의고사 19번 화학 반응식 입니다. 2021학년도_화학1_7월_19번 생성물이 2개인 화학 반응식 문항이군요. 먼저, 풀어본 후 풀이를 비교해 볼까요??~ [자료 해석] (1) 반응 계수비 계수비 A : C = 1 : 1 ※ B와 D의 계수는 pass! (2) 생성물이 두 개인 경우. 문제에서 C와 D를 구분 짓는 자료가 없음. ⇒ C와 D를 하나의 생성물로 생각. (3) 밀도와 질량 자료 해석. 실험 Ⅰ에서 반응 전과 후 밀도가 같음. ⇒ 반응 전과 후 부피 변화 X ⇒ 반응물 반응 계수 = 생성물 반응 계수 실험 Ⅰ과 Ⅱ의 ⇒ 질량비는 14w : 12w = 7 : 6 ⇒ 밀도비는 7 / 2 : 3 = 7 : 6 ⇒ 부피비는 질량비 / 밀도비

화학1 1일 1킬러 풀기 feat.1단원 화학 반응식(16)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용선생입니다. 2023년 9월 모의고사는 모두 잘 보셨나요?~ 항상 모의고사 직후에 전체 풀이 해설을 포스팅했지만.. 최근 화학 실험 세특 책을 제작 중인지라.. 따로 다루지 못하고, 이렇게 주요 문항만 1Day 1Killer로 다루게 되었습니다 ㅜ.ㅜ 추후에 여건이 되면, 전체적으로 문항을 정리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 오늘은 2024학년도 화학Ⅰ 9월 모의고사 20번 화학 반응식 문항을 다뤄보겠습니다. 2024학년도_화학1_9월 모평_20번 20번 문항은 언제나 시간이 부족합니다. 따로 풀어보면 언제나 풀린다는...@.@ 본인만의 자료를 해석하는 방법을 굳혀 두어야 실전에서 당황하지 않고 풀어갈 수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1Day 1Killer에서 꾸준히 자료 해석 방법을 다루고 있는 것이지요. [자료 해석 방법] (1) 물질의 상태(C는 고체) 파악 이번 문항에서는 C가 (s)인 것이 문제에 영향을 주진 않았지만, 수험생들이 대참사가 발생하는 대표적인 실수 중

화학1 1일 1킬러 풀기 feat. 4단원_중화 반응(15)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용선생입니다. 수험생분들은 열심히 공부하고 계시나요??~ 이번 주는 시험 문제 출제 기간인지라.. 블로그 포스팅이 늦어졌습니다..@.@ 화학 Ⅰ 문제 출제한지 벌써 4년째 되어가는군요 *.* 최근, 블로그로 과외나 학원 문의가 많이 들어오지만.. 아직까진 교사인지라.. 꾸준한 블로그를 통해 수험생들에게 조금이라도 보답할 수 있도록 하겠습니다. 오늘의 "1 Day 1 Killer"는 2024학년도 화학Ⅰ 9월 모의평가 19번 중화 반응 입니다. 이번 2024 9월 모평에서는 백만 년 만에 1가 산과 염기의 문항이 출제되어 난이도가 많이 하향했습니다. 자료 해석과 문제풀이를 동시에 진행해 보겠습니다. [자료 해석 및 문제 풀이] (1) 농도비 a : b : c ⇒ 언제나 그렇듯 알 수 없는 자료는 생략. (2) 1가 산과 1가 염기 혼합 용액에 1가 용액만 존재한다는 걸 파악했다면, 문제에서 쓰일지 안 쓰일지는 모르지만 아래의 관계는 반드시 머릿속으로 생각해둡니다. 양이온

화학1 1일 킬러 풀기 feat._1단원_화학식량(7)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용선생입니다. 오늘의 1Day 1Killer 문항은?? 2024학년도 9월 모의평가 18번 화학식량 오랜만에 예측 가능한 분자들이 나왔습니다. XY4, Y2Z, XY4Z는 누구일까요?~ @.@ [자료 해석 방법] (1) Y 원자 수비 ⇒ (가)와 (나)의 수를 비교하므로 비례식으로 정리. ⇒ (가)가 (나)의 7/8배 → 7 : 8 = 14 : 16 ※ (나)의 두 분자는 모두 1개당 Y 원자 4개이므로, Y 원자 수는 4V일 경우 → 16으로 대응. ※ 총 분자 수는 (가)는 5, (나)는 4로 대응. ⇒ (가)의 분자는 총 5개이고 Y 원자 수는 14개 ⇒ (가)의 XY4 : Y2Z = 2 : 3 (2) Z 원자 수 / X 원자 수 ⇒ (가)의 Z 원자 수 / X 원자 수 = 3 / 2 ⇒ (나)의 Z 원자 수 / X 원자 수 = 1 / 4 ⇒ (나)의 XY4 수 : XY4Z 수 = 3 : 1 화학 Ⅰ의 양적 관계에서 두 물질의 양(개수, 질량, 부피 등)을 비교하

화학1 1일 1킬러 풀기 feat.4단원 중화 반응(16)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용선생입니다. 오늘의 1 Day 1 Killer는 "2021학년도 7월 모의고사 20번 중화반응"입니다. 킬러 문항 중에서도 난이도가 꽤 있어 보입니다. ※ 최근, 중화 반응 기출 문항 난이도가 내려갔기 때문에, 이전 기출 문항이 연습하기는 더 좋습니다@.@ [자료 해석] (1) 그래프 해석 ⇒ 그래프 꺾인 부분은 중화점 ⇒ 용액 Ⅰ은 염기성. ⇒ 용액 Ⅱ는 산성. (2) 음이온 수비 해석 ⇒ 용액 Ⅱ( 10 mL, 20 mL)에서 음이온 수비가 1 : 1 ⇒ 따라서, 용액 Ⅰ( 10 mL, 10 mL)에서 산의 음이온 수비는 1 : 2가 되어야 함. 따라서 ⇒ 용액 Ⅰ에서 음이온 수는 : : OH- = 2 : 1 : 1 ⇒ 용액 Ⅱ에서 음이온 수는 : = 2 : 2 (3) 과 은? ⇒ 이 HA(10 mL에서 1)인 경우, 용액 Ⅱ는 중성 (X) ⇒ 이 H2B(10 mL에서 1)인 경우, 용액 Ⅱ는 산성 (O) "자료 해석"이 꽤 어려운 문항이군요.. 천천히

화학 1일 1킬러 풀기 feat. 4단원_중화 반응(17)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용선생입니다. 오늘의 1 Day 1 Killer 는..?! "2022학년도 6월 모의평가 20번 중화반응" 2022학년도 화학1 6월 모의평가 20번 위 문항은 크게 어렵이 않음에도 모의고사 해설에서 너무 어렵게 다루더군요..@.@ 혼합 용액의 액성이 이미 파악된 문항이기 때문에 '자료 해석' 없이 바로 가보겠습니다. 용액 Ⅲ에서 중성이기 때문에, 액성을 파악하지 않아도 용액 Ⅰ과 Ⅱ는 산성 용액임을 알 수 있습니다. ※ 액성을 해석할 필요가 없으므로 난이도가 확 내려가는 것이지요. 2가산에 1가 염기를 가할 경우, 양이온 수는 감소하지 않기 때문에 무조건 음이온 수 / 양이온 수 = 1/ 2 가 나와야 합니다. 용액 Ⅰ에서 음이온 수 / 양이온 수 = 3 / 5이므로 A는 2가 염기(=Z(OH)2)일 수밖에 없습니다. 따라서, 용액 Ⅰ에서 H2A의 수는 3, Z(OH)2는 1 ※ 잘 모르는 분들은 이전 중화반응 문제 참고. 이후 1가 염기를 첨가해도 산성 용액의 총 이

화학1 1일 1킬러 풀기 feat. 1단원_화학 반응식(12)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용선생입니다. 오늘의 "1Day 1Killer"는 "2022학년도 수능 19번 화학 반응식"입니다. 근래의 화학 반응식 킬러 문항 중 난이도가 높은 문항이므로, 천천히 같이 풀어보겠습니다. 2022학년도 화학 1 수학능력시험 19번 [자료 해석 방법] (1) 반응 계수 확인 ⇒ 계수비 B : C = 1 : 2 ⇒ B와 C의 양은 한 번 반응할 때 1 증가. (2) 남은 B, A의 질량 자료 ⇒ Ⅱ에서 남은 반응물 B, Ⅲ에서 남은 반응물 A ⇒ Ⅱ와 Ⅲ사이에서 반응 완결. ⇒ 질량 자료는 일단 Pass ※ 각각 남은 반응물의 질량을 구하기 위해선 남은 B와 A의 양을 구해야 합니다. 반응 계수 a를 알아야 구할 수 있으므로, 풀이 순서는 a 구하는 게 우선. (3) Ⅰ→Ⅱ에서 생성물 양(mol), 부피(L) 자료 ( B → 2C ) ⇒ 생성물 C가 4 mol → 8 mol (2번 반응) ⇒ B와 C의 양은 2 mol 증가. ※ A는 한계 반응물로 사라지고, B와 C의 양

화학 1일 1킬러 풀기 feat. 1단원_화학식량(5)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용선생입니다. 오늘의 1 day 1 killer "2022학년도 수능 18번 화학식량" 이때부터 슬슬 화학식량이 시간을 꽤나 잡아먹는 킬러 문항으로 자리 잡혀갔습니다. 최대한 간결하게 푸는 방법을 함께 알아볼까요? 2022학년도 화학1 수학능력시험 18번 문제를 풀어본 후 아래의 자료 해석을 파악했는지, 확인해 볼까요? @.@ [자료해석] (1) 단위 질량당 Y 원자 수 ⇒ 단위 질량 당 원자 수 × 질량 = 원자 수 ⇒ (가)의 Y 원자 수 : (나)의 Y 원자 수 = 23 × 55w : 11 × 23w = 5 : 1 ※ 굉장히 자주 써먹는 표현이므로 반드시 숙지. 단위 질량 당 원자 수비 → 같은 질량일 때 원자 수비 → 23 : 11 (가)와 (나)의 질량비가 55 : 23일 때 원자 수비 23×55 : 11×23 = 5 : 1 (2) X, Z의 원자 수비 ⇒ (가)의 X 수 : Z 수 = 3 : 16 XY2 : YZ4 = 3 : 4 → Y의 수 10 ⇒ (나)의

화학1 1일 1킬러 풀기 feat. 4단원_중화반응(12)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용선생입니다. 1 Day 1 Killer를 꾸준히 풀어보고 도움을 받았다는 수험생들이 많아 개인적으로 굉장히 뿌.. 듯.. 합니다 @.@ 2학기 개학으로 이것저것 준비할게 많다 보니.. "1 Day 1 Killer"는 앞으로 매주 "월, 수, 금"만 업로드될 예정입니다 ㅜ.ㅜ 오늘의 문항은 "2022학년도 수능 20번 중화반응" 입니다. 2022학년도 화학 1 수학능력시험 20번 2021년도 화학 1은 준킬러 문항이 상대적으로 쉽고, 킬러 문항의 난이도가 전반적으로 높은 편이었습니다. 먼저 한 번 풀어보고 풀이를 분석해 보는 게 언제나 좋은 것 같습니다.@.@ [자료 해석] (1) 주어진 용액의 농도비 파악. ⇒ YOH의 농도 : Z(OH)2의 농도 = 2 : 3 (2) 용액 Ⅱ의 액성 파악. ⇒ YOH 수 : Z(OH)2 수 = 4 : 3 * 농도비 2:3, 부피비 2 : 1 ⇒ 산성인 경우. 음이온: A2- 양이온: Z2+, Y+, H+ ※ (2가 산) + (1, 2

화학1 1일 1킬러 풀기 feat.1단원_화학 반응식(13)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용선생입니다. 오늘의 1 Day 1 Killer 문항은..??! "2021학년도 10월 20번 화학 반응식" 화학 반응식에서 반응 계수와 부피 변화 관계를 연습하기 딱! 좋은 문항입니다. 2021학년도 화학1 10월 20번 계수와 부피 관계를 이용해 먼저 문제에 접근해 볼까요?? @.@ [자료 해석 방법] (1) 반응 계수비 ⇒ A : C = 1 : 2 * 임의의 반응 계수(=b)는 Pass! (2) 부피 변화 ⇒ (가) 8 L → (나) 6 L (2 L 감소) ⇒ (나) (6+1) L → (나) 5 L (2 L 감소) ⇒ (가)에서 (나), (나)에서 (다)는 반응한 양이 같음. * 부피 감소량이 같으므로, 반응한 양이 같겠군요@.@ ⇒ 즉, 에 해당하는 물질은 (가) → (나)에서도 1 L 반응함. (3) 밀도비 ⇒ 자료에서 밀도비와 부피비가 주어짐. ⇒ 밀도 × 부피 = 질량 ⇒ 질량비 (나) : (다) = 1 × 6 L : 2 × 5 L = 3 : 5 미지수를 제

화학1 1일 1킬러 풀기 feat. 4단원_중화 반응(13)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용선생입니다. 오늘의 킬러 문항은 '2021학년도 10월 모의고사 19번 중화반응' 입니다. 2021학년도_화학1_10월_19번 기존 2022, 2023학년도 문항보다는 조금 더 쉬운 편이지만 중화 반응 이온 수에 대한 개념을 잡기 좋은 문항입니다. @.@ 이번 문항은 간단한 편이기 때문에 자료 해석과 문제 풀이를 동시에 진행하겠습니다. [자료 해석 및 문제 풀이] [농도비] 자료에 주어진 농도가 하나도 없을 경우 깊게 보지 말고 패스해 줍니다. ⇒ 풀다 보면, (이온 수 / 부피)가 주어지게 되어있음. 용액 Ⅰ은 1가 산 + 2가 염기이고, 음이온 수 : 양이온 수 = 5 : 3 ⇒ 혼합 용액의 액성은 산성일 수밖에 없습니다. ※ 염기성이면, 음이온 수 : 양이온 수는 무조건 2 : 1 ↓ https://blog.naver.com/sayong99/222888362079 화학1 중화반응 양적 관계 3편 (feat. 총 이온 수 관계) 안녕하세요. 용선생입니다. 이번 포스

화학1 1일 1킬러 풀기 feat.1단원_화학 반응식(14)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용선생입니다. 오늘이 1 Day 1 Killer는 "2022학년도 9월 모의평가 20번 화학 반응식" 입니다. 중요하게 다룰 부분이 많기 때문에 천천히 같이 분석해 보면 좋겠습니다@.@ 2022 화학1 9월 모의평가 20번 자료 해석에 중요한 부분이 많은 문항입니다. [자료 해석] (1) 해석할 자료만 골라내는 법. 화학 반응식은 문항 난이도가 높아지면 해석해야 할 자료가(계수, 질량, 밀도, 부피) 많기 때문에 시작부터 감을 잡지 못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 초반 문제 풀이에서 임의의 수가 많은 자료는 우선 걸러주기. (반응 계수, 실험 Ⅲ) ※ 임의의 수(자료)는 문제를 풀다 보면 구해지게 되어 있습니다. ⇒ 숫자가 모두 주어진 자료부터 우선적으로 파악. 실험 Ⅰ과 Ⅱ C의 밀도, 전체 기체의 부피 주어진 자료가 다음으로 많은 것은 질량이므로, 밀도와 전체 기체의 부피비를 통해 w를 구할 수 있는 힌트가 나올 수밖에 없습니다. (2) 반응 후 C의 밀도비, 전체 기체

화학1 1일 1킬러 풀기 feat. 4단원_중화 반응(14)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용선생입니다. 9월 모의고사가 얼마 안 남은 시점이네요! 수험생분들은 언제나 화이팅...! 블로그가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었으면 합니다. 오늘의 1 Day 1 Killer "2022학년도 9월 모의평가 19번 중화반응" 2022학년도 화학1 9월 모의평가 19번 오늘의 문항은 수험생들이 가장 어려워하는 중화반응 중 지문이 긴 문항입니다. 필요한 자료만 골라서 해석하는 연습이 필요하겠군요. [자료해석 방법] 수험생들은 지문이 길면, 문항이 무조건 어렵다고 생각하기 마련입니다. 한 번에 모든 자료를 해석하려고 하면 뇌에서 정보를 습득하는 시간이 있기 때문에 문제의 틀을 파악하는 데 오래 걸릴 수밖에 없습니다. ※우선순위 정보를 먼저 골라낼 수 있는 능력이 필요하단 뜻이지요. (1) 농도비 HY : H2Z = 1 : 3 ⇒ a M X(OH)2는 농도가 없으므로, 언제나 Pass ⇒ HY, H2Z의 수와 V를 알면, 구하게 되어 있음. ※ 문제를 읽으면서, 이렇게 걸러낼 수 있어

화학1 1일 1킬러 풀기 feat. 1단원_화학식량(5)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용선생입니다. 오늘의 "1 Day 1 Killer"는 2023학년도 6월 모의평가 18번 화학식량입니다. 화학식량 파트는 점점 어려워지고 있는 추세이지만, 수험생 입장에서 화학 반응식과 중화 반응 문항에 비하면, 상대적으로 쉽게 느껴지는 단원이기도 합니다. 화학식량을 공부하는데 중요한 점은 풀이 방식에 따라 문제 풀이 시간이 천차만별이라는 것이지요. 오늘의 문항은 크게 어려운 문제는 아니지만, 정확하고 깔끔하게 수식을 세우는 방법과 일종의 요령을 통해 더욱 빠르게 푸는 방법에 대해 다뤄보겠습니다. 2023학년도 화학1 6월 모의평가 18번 [자료 해석] (1) (가)의 분자당 구성 원소는 7 ⇒ 1g에 들어 있는 전체 원자 수와 연결. (2) 분자량 ⇒ 1g에 들어 있는 전체 원자 수와 연결. ⇒ 분자량을 통해 분자 예측도 가능. ※ 1g에 들어 있는 원자 수 ※ (3) 구성 원소 질량비 ⇒ 원자량 × 원자 수(정수) = 질량 [풀이 방법 1] 우선적으로 해석할 것은 "

화학1 1일 1킬러 feat. 1단원_화학 반응식(10)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용선생입니다. 이번 1 Day 1 Killer 문항은 "2022학년도 4월 모의고사 20번 화학 반응식" 입니다. 오늘의 핵심은 반응한 양의 관계와 C와 D를 분자량을 이용해 생성물을 구분하는 방법입니다. 2022학년도_화학1_4월_20번 먼저 풀어보고 풀이 및 해설을 봐야 도움이 됩니다. [자료 해석 방법] (1) A와 D의 계수는 같다. 체크 ⇒ 문제에서 주어진 반응 계수는 우선적으로 확인. ⇒ A가 사라진 만큼, D가 생성됨. (2) C와 D의 분자량비, 질량비 ⇒ 3(C 분자량) × 3 : 5(D 분자량) × 2 = 9w : 10w ⇒ C와 D의 개수비 = 3 : 2 = 6 : 4(반응 계수비) (3) (가) 추론 ⇒ Ⅰ과 Ⅱ에서 (가)의 양 11n → 10n (줄어듦.) ⇒ 줄어드는 관계를 이용해 (가) 추론하기. [문제 풀이] (가), 한계 반응물 찾기 (가)의 양이 Ⅰ → Ⅱ에서 11n → 10n으로 줄었습니다. A와 B의 양은 Ⅰ→Ⅱ에서 증가했으므로 C와

화학1 1일 1킬러 풀기 feat. 4단원_중화반응(10)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용선생입니다. 오늘의 1 Day 1 Killer "2022학년도 4월 모의고사 19번 중화반응" 을 분석해 보겠습니다. 2022학년도_화학1_4월_19번 [자료해석 방법] (1) 농도 해석 ⇒ 0.5M H2X, 30 mL → 15(mmol) * mmol 단위로 개수 해석 ⇒ a M, b M는 서로 연관성 없으니, pass (2) (가)(2가 산, 염기 혼합)의 양이온, 음이온 수 ⇒ 산성인 경우: 양이온 수 > 음이온 수 ⇒ 염기성인 경우: 양이온 수 < 음이온 수 ※ 이 부분을 해석하는 것이 문제에서 가장 중요해 보입니다. ⇒ 전하량 관점에서 염기성이면, A2-수 < Y2+ 수 ⇒ 양전하량 합 = 음전하량 합 ⇒ 상대적으로 2가 이온이 많은 쪽의 이온 수가↓ ⇒ 염기성이면 양이온 수 < 음이온 수 ⇒ 양이온 농도 < 음이온 농도 따라서, (가)는 염기성 용액인 것을 알 수 있습니다. (3) 양이온 수비 (가) : (나) = 4 : 9 두 용액 모두 염기성이므로, 수용액

화학1 1일 1킬러 풀기 feat. 1단원_화학 반응식(11)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용선생입니다. 어느덧 여름 방학이 끝나가는군요. 수험생분들은 슬슬 결실을 맺어가는 시간이네요. 포기하지 않고 끝가지 파이팅 하여 좋은 결과가 있기를 바라겠습니다. 오늘의 1Day 1Killer "2022학년도 3월 모의고사 19번 화학 반응식" 을 분석해 볼까요?? 2022학년도_화학1_3월_19번 오늘의 킬러 문항은 화학 반응식에서 "부피 변화"와 "반응한 양"의 비례식에 대한 특징을 알면 1분 내외로 풀 수 있는 문제입니다. 오늘의 킬러 문항은 이 부분을 중점으로 해설을 다뤄보겠습니다. 자주 쓰이는 팁이니, 수험생들은 꼭 익혀두면 좋겠습니다. [자료 해석 방법] (1) 반응 계수 관계 aA + B → 2C ⇒ B : C = 1 : 2 (2) 밀도, 질량 자료 ⇒ 부피로 해석 실험 Ⅰ의 반응 후 질량, 밀도: 7 g, 7 d V = w / d = 7 g / 7 d = 1V 실험 Ⅱ의 반응 후 질량, 밀도: 12 g, 6 d V = w / d = 12 g / 6 d =

화학1 1일 1킬러 풀기 feat. 4단원_중화반응(11)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용선생입니다. 오늘의 1Day 1Killer는 "2022학년도 3월 모의고사 20번 중화반응" 입니다. 2022학년도_화학1_3월_20번 1가 2가 혼합 용액의 전형적인 킬러 문항입니다. 먼저 풀어본 후, 풀이 방식을 비교 분석해 보는 게 좋을 것 같습니다@.@ [자료 해석 방법] (1) 농도비 분석 ⇒ HX : YOH = 8 : 1 (Z(OH)2는 넘어가기) (2) 음이온 수비 분석 ⇒ 몰 농도(M) x 부피(mL) = 이온 수(mmol) ⇒ 음이온 수 용액 Ⅰ:Ⅱ= 50 : 30 (3) Ⅰ과 Ⅱ의 액성 분석 ⇒ 간단한 용액 Ⅰ부터 해석. ⇒ 1가 산 + 2가 염기 혼합 용액의 음이온 수 산성인 경우, 음이온 수 = A-의 수 = 50 염기성인 경우, 음이온 수 = Z2+의 수 × 2 = 50 Z(OH)2 = 25 ⇒ 용액 Ⅱ와 비교. ⇒ Ⅰ이 염기성이면, Ⅱ에서 음이온 수는 50 이상 (불가능) ⇒ 따라서, Ⅰ은 산성(HA=50)이고, Ⅱ는 염기성 ※ 1가 2가 혼합

화학1 1일 1킬러 풀기 feat. 1단원_화학식량(4)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용선생입니다. 오늘의 "1 Day 1 Killer"는 "2022학년도 3월 모의고사 17번 화학식량" 입니다. 화학식량 단원은 화학 Ⅰ 양적 관계의 시작 단계이므로, 이 단원에서 기초가 탄탄히 잡혀야 고득점을 노릴 수 있겠지요. ※ 빠른 계산을 위해 아래와 같은 화학식량 정도는 기본적으로 알아두는 것이 좋습니다. ↓ ↓ ↓ https://blog.naver.com/sayong99/223024082760 화학1 필수 원자량, 분자량 정리 (feat. 2023) 안녕하세요. 용선생입니다. 2023학년도를 맞아 화학 1을 처음 공부하는 수험생들이 꼭 알아야 할 원자량, ... blog.naver.com 2023학년도 화학1 3월 모의고사 17번 먼저 풀어본 후, 풀이를 비교하면서 보아야 포스팅의 덕을 볼 수 있습니다@.@ [자료 해석] (1) 원자량 비 A : B = 7 : 8 ⇒ A는 질소(N) : B는 산소(O) = 14 : 16 ⇒ AB(NO(30)), A2B(N2O(4

화학1 1일 1킬러 풀기 feat. 1단원_화학 반응식(7)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용선생입니다. "1Day 1Killer"는 타임 어택이 심한 화학Ⅰ 특성상 화학 킬러 문항 분석을 바탕으로 수험생들이 자료 해석 방법과 간결한 문제 풀이를 통해 "1등급"을 맞기 위한 목표를 둔 포스팅입니다. 오늘의 문항은 "2022학년도 7월 모의고사 20번 화학 반응식" 문항입니다. 2022_화학1_7월_20번 [자료 해석 방법] (1) 반응 계수 파악 ⇒ A와 D의 계수가 같음 → A가 사라진 양만큼 D 생성 ⇒ 나머진, 연관성 없으므로 Pass. (2) 실험 Ⅰ~Ⅳ 반응한 양 파악 ⇒ 실험 Ⅰ~Ⅳ에서 B의 질량 w, 2w, 3w, 4w ⇒ Ⅲ에서 완결점 → 생성된 C의 양 일정하게 증가. ⇒ Ⅰ~Ⅲ에서 전체 기체 변화량도 일정. ※ B의 양이 일정하게 증가하므로, 완결점 전(Ⅲ) 까지, C의 양과 전체 기체 변화량도 일정하게 증가 또는 감소함을 파악. [문제 풀이] 자료 해석 (2)가 되었다면 문항 자체는 간단한 편입니다. 완결점 이전 Ⅰ, Ⅱ, Ⅲ에서 첨가한 B

화학1 1일 1킬러 풀기 feat. 1단원_화학식량(4)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용선생입니다. 오늘의 "1 Day 1 Killer" 는 2022학년도 7월 화학 1 18번 화학식량 문항입니다. 문항 난이도가 높다기 보다는 대표 유형이기 때문에 포스팅 목적상 간결하게 풀 수 있는 방법을 같이 분석해 보겠습니다. 2022_화학1_7월_18번 (1) 상황에 따라 분수 꼴 없애기. ⇒ 보기 ㄱ, ㄴ, ㄷ는 모두 비례 관계만 파악. ⇒ 질량 관련 자료 ×15배 ⇒ 계산 단순화 (가)질량: 150w, Z 질량: 38w (나)질량: 135w, Z 질량: 95w ⇒ Z 원자 수비 : 38w : 95w = 2 : 5 (2) 단위 질량 당 X 원자 수와 기체의 질량 ⇒ 단위 질량 당 X 원자 수 × 기체 질량 = X 원자 수 X 원자 수 (가) : (나) = 10w × 5 : 9w × 5 = 2 : 1 ※ 수험생 입장에선 이 부분을 해석하는 것이 어려워 보이는군요. ⇒ (가)와 (나)의 단위 질량 당 X 원자 수 = 9 : 5 ※단위 질량 당 = 같은 질량 당 =1

화학1 1일 1킬러 풀기 feat. 4단원_중화반응(7)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용선생입니다. 오늘의 "1 Day 1 Killer"는 2022학년도 화학1 7월 모의고사 20번 중화 반응입니다. 중화 반응 문항은 사실상 난이도가 크게 높아지지 않는 한, 자료에서 각 부피에 들어 있는 용액의 이온 수만 파악하면 모든 문항은 웬만하면 풀리게 되어있습니다. 오늘도 이 부분을 중점으로 가볼까요?~ 2022학년도_화학1_7월_20번 [자료 해석 방법] (1) AOH, H2B, HC의 농도 ⇒ a M, b M, c M로 연관성 없음. Pass! (2) 혼합 용액 양이온, 음이온 수 관계 ⇒ 수용액 Ⅰ(1가 염기 + 2가 산) 산성인 경우, 양이온 수 : 음이온 수 = 2 : 1 염기성이인 경우, 음이온 수 = AOH 수 - H2B ※ 2가가 포함된 혼합 용액의 액성에 따른 음이온, 양이온 수는 중화 반응의 가장 핵심 개념.ㅇ (3) 수용액 Ⅰ과 Ⅱ의 음이온 농도 일정. ⇒ 수용액 부피: Ⅰ > Ⅱ ⇒ 음이온 수: Ⅰ < Ⅱ ⇒ 수용액 Ⅰ에 1가 산을 첨가할 때

화학1 1일 1킬러 풀기 feat. 1단원_화학 반응식(8)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용선생입니다. 이번 1 Day 1 Killer 문항은 가장 최근 문항인 2023학년도 7월 화학1 19번 화학 반응식 문항입니다. 이런저런 이슈로 7월 모의고사는 중요하게 다루어지지는 않았지만, 화학 Ⅰ에서는 큰 변화가 없으니 함께 알아보면 좋겠습니다. 2023학년도_화학1_7월_19번 [자료 해석 방법] (1) 반응 계수 ⇒ A : B : C = 1 : b : c로 딱히 연관성이 없군요. (2) 그래프 자료 해석법. ⇒ 화학 Ⅰ에서 그래프는 주어진 자료만 체크. B: 0 ⇒ 1/밀도 : 5 B: 7 w ⇒ 1/밀도 : 4 B: 14 w ⇒ 완결점 B: 56 w ⇒ 1/밀도 : 5 B의 개수비 7 w : 14 w : 56 w = 1 : 2 : 8 (3) 주어진 물리량 자료 ⇒ 1 / 밀도, 질량 ※ 밀도와 질량이 주어지면, 부피에 대해 바로 생각. ⇒ 부피 = 질량 / 밀도 ※ 자료에 밀도가 나오는 경우. 가장 기본적인 해석 이 외에도 밀도와 분자량 관계. 밀도 자체를

화학1 1일 1킬러 풀기 feat. 4단원_중화 반응(8)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용선생입니다. 오늘의 "1 Day 1 Killer"는 지난 포스팅에 이어서 2023학년도 7월 모의고사 20번 중화반응 문항입니다. 중화 반응 문항치고는 특별한 것 없이 기본에 충실한 편이였기 때문에 이제 막 중화 반응을 배워가는 수험생들에게 좋은 공부가 될 것 같습니다. 2023학년도_화학1_7월_20번 언제나, 먼저 풀어보고 같이 풀이 과정을 분석하는 게 좋습니다 @.@ [자료 해석 방법] (1) 1가 산, 염기 + 2가 산 혼합 용액의 음이온 수비 ⇒ 음이온 수비를 이용해 각 부피의 이온 수 파악. ⇒ 존재할 수 있는 음이온: A-, B2-, OH- (2) 양이온의 몰 농도 (가)=(나) ⇒ (가), (다)를 이용해 이온 수를 구한 후 (나) 해석. ⇒ 양이온 몰 농도와 이온 수로 x, y 구하기 ※ 미지수가 많은 자료는 언제나 나중에 풀이. [문제 풀이 분석] (가)와 (다)의 음이온 수비를 비교해 보기 (가)에서 음이온 수비는 3 : 2 : 2 ⇒ 존재하는 음이

화학1 1일 1킬러 풀기 feat. 1단원_화학 반응식(9)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용선생입니다. 오늘의 "1 Day 1 Killer"는 2023 화학 1 6월 모의평가 20번 화학 반응식 문항입니다. 밀도가 포함된 난이도가 있는 문항인지라.. 이런 문항은 실전에서 어떤 식으로 접근하는지 문제 위에 써가는 방식으로 풀어볼까 합니다. 어느 정도 숙달된 풀이이니 아직 부족한 수험생들은 이전 포스팅부터 차근차근 보는 오는 게 좋을 것 같습니다. @.@ (1) 밀도와 질량 자료 → 부피로 바꾸기. 실험 Ⅰ과 Ⅱ에서 밀도와 질량이 각각 주어졌으므로 부피로 변환해 볼까요? 부피와 질량에 관한 문제로 바뀌었습니다. 다음으로 부피 변화를 살펴봐야겠군요. B와 C의 반응 계수비 1 : 2도 체크해 둡니다. (2) 실험 Ⅰ과 Ⅱ의 반응 전과 후 부피 감소량 파악. 두 반응 모두 부피 감소량이 같습니다.(2V 감소) ⇒ Ⅰ과 Ⅱ에서 반응한 양이 같음. ⇒ 한계 반응물 B의 양이 변화 없음. ⇒ 실험 Ⅰ→Ⅱ에서 오로지 A만 증가. (3) 반응 후 A의 양 분석. 실험 Ⅰ→Ⅱ

화학1 1일 1킬러 풀기 feat. 4단원_중화반응(9)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용선생입니다. 오늘의 1 Day 1 Killer는 2023 6월 모의평가 19번 중화반응입니다. 특이점이 있는 문항은 아니었기 때문에 바로 문제를 풀어보도록 하겠습니다. 언제나 얘기했듯이 중화 반응의 핵심은 자료에서 각 부피에 해당하는 용액의 수 를 파악하는 것입니다. 2023학년도_화학1_6월_19번 [자료 해석] (1) x M H2A, y M NaOH ⇒ 2가 산 + 1가 염기 혼합 용액 ⇒ 농도 연관성 없음. pass (2) 자료가 많이 주어진 보기 ⇒ (가), (나)를 우선적으로 해석 ⇒ 이후, (다)의 농도를 이용해 V 구하기. ⇒ 최종적으로 (라) 용액의 이온 수 구하기. (3) 음이온 수 관계 2가 산 + 1가 염기 ⇒ 산성인 경우. 음이온 수 = H2A의 수 2가 산 + 1가 염기 ⇒ 염기인 경우. 음이온 수 = NaOH의 수 - H2A의 수 [문제 풀이] (가)의 부피 40 mL, 음이온 농도 : 3 ⇒ 음이온 수: 120 (나)의 부피 50 mL, 음이

화학1 1일 1킬러 풀기 feat. 1단원_화학 반응식(5)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용선생입니다. 오늘의 "1Day 1Killer"는 2022학년도 화학1 10월 19번 화학 반응식 문항입니다. 자료가 조금 생소하여 문제 난이도보다는 자료를 해석하는 과정이 조금은 걸렸던 문항이지요. 함께 볼까요?? 2022학년도_화학1_10월_19번 2개의 화학 반응식과 몰 수의 관계가 주어진 문항이군요. *먼저 풀어볼까요??* [자료 해석 방법] (1) (가), (나) 계수 관계 파악 ⇒ A : B = 1 : 1 // C : B = 2 : 1 ※ 자료에서 주어진 계수는 언제 쓰일지 모르니, 항상 우선적으로 파악해둡니다. (2) 실험 Ⅰ을 우선적으로 해석. ⇒ 실험 Ⅰ을 해석한 자료를 바탕으로 실험 Ⅱ를 해석해 주는 문항입니다. ※실험 Ⅱ의 자료까지 한 번에 생각하면 오히려 헷갈릴 수 있으니, 이럴 땐 실험 Ⅰ에 필요한 자료만 집중적으로 줍니다. [문제 풀이 방법] 실험 Ⅰ 완결점 찾기. B를 첨가하는 반응에서 완결점 이전까지는 A → cC의 부피 관계만 해석하면 됩니

화학1 1일 1킬러 풀기 feat. 4단원_중화반응(5)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용선생입니다 오늘의 "1 Day 1 Killer"는 2022학년도 10월 모의고사 20번 중화반응 문항입니다. 기본기에 충실한 문항이니, 최대한 깔끔하게 풀어가는 방법에 대해 익혀보면 좋을 것 같습니다 @.@ 2022학년도_화학1_10월_20번 먼저 풀어본 후 풀이 과정을 비교해 보시죠! [자료 해석] (1) X(OH)2, HY, H2Z의 농도 관계 ⇒ 각 농도는 a, b, c ⇒ 연관성 없음 Pass! (2) 음이온, 양이온 수 관계 2가 염기 + 2가 산 → 염기성인 경우. 음이온 수: X(OH)2 수 - H2Z 수 양이온 수: X(OH)2 수 2가 염기 + 1가 산 → 염기성인 경우. 음이온 수: X(OH)2 수 × 2 양이온 수: X(OH)2 수 ※ 1가산(HY)의 수는 상관없음. X(OH)2 수에만 의존. 2가 염기 + 1가 산 → 산성인 경우. 음이온 수: HY 수 양이온 수: HY수 - X(OH)2 수 ※ 위의 개념은 중화반응을 풀기 위해 반드시 알아두어야

화학1 1일 1킬러 풀기 feat. 1단원_화학 반응식(6)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용선생입니다. 오늘의 "1Day 1Killer"는 2022학년도 10월 모의고사 17번 금속의 화학 반응식 문항입니다. 대표 킬러 유형은 아니지만 연습이 안 되어 있으면, 시간을 잡아먹는 준킬러 문항이므로 오늘의 문제 유형을 다양한 풀이 방식으로 완벽히 정복해 보겠습니다. 2022학년도_화학1_10월_17번 금속 A와 B를 각각 반응시켜 생성된 H2(g)의 양을 이용해 반응 전 각각의 양을 구하는 문제군요. [문제 자료] A와 B의 분자량: 24, 27 반응한 금속 A, B의 혼합물 질량: 12.6 g 생성된 H2(g)의 부피 15L ⇒ 0.6몰 ※ x10배를 통해 126 g 과 6몰로 계산하겠습니다. [풀이 1] 가장 정석적인 풀이입니다. 금속 A: x 몰 // 금속 B: y 몰 금속 A와 H2의 계수비는 1 : 1 ⇒ H2 : x 몰 생성 금속 B와 H2의 계수비는 2 : 3 ⇒H2 : 1.5y 몰 생성 초기 x10배를 해줬으므로, B의 양 = y = 0.2몰 [정답

화학1 1일 1킬러 풀기 feat. 4단원_중화반응(6)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용선생입니다. 오늘의 "1Day 1Killer"는 2023 9월 모평 19번 문항 중화반응입니다. 2022년 킬러 문항은 전반적으로 난이도가 하향한 편이기 때문에 이제 막 4단원을 접하는 수험생들도 학습하기 좋은 문항이 많습니다. 2023_화학1_9월_19번_중화반응 [자료해석 방법] (1) 농도는 각각 a, b, c M ⇒ 연관성 없음. Pass! (2) (가), (나), (다) 혼합 용액 속 몰 농도비 ⇒ 같은 부피일 때 몰 농도비 → 몰 수비로 해석. ⇒ 몰 수비 관계 → 양이온, 음이온 전하량 합 = 0 [문제 풀이 방법] (가)는 산성이므로, 혼합 용액에서 Cl-가 가장 많음. 전하량의 합은 0이므로, Cl-수 = Na+ 수 + H+수 HCl : 4, NaOH : 2 로 두면, (나)와 (다)에서 부피에 따른 HCl과 NaOH의 수(빨간색)가 모두 정수로 표현되는군요. (나)에서 이온 수비가 1 : 1 : 4 : 4이고 Cl-의 수가 4이므로, 추가된 A의 수도

화학 1일 1킬러 풀기 feat. 1단원_화학 반응식(7)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용선생입니다. 오늘의 "1 Day 1 Killer"는 2023 9월 모평 20번 화학반응식 문항입니다. 유형도 신선했고, 난이도도 꽤 높은 문항이니 함께 천천히 분석해 볼까요? 2023_화학1_9월_모평_20번 * 시간에 따른 첨가 반응 대표 유형 문항이니, 꼭! 먼저 풀어보시길 바랍니다. @.@ [자료 해석 방법] (1) 반응 계수비 1 : 2 : 2 ⇒ 문제에서 반응 계수가 모두 주어졌다는 것은 언제든 써먹을 수 의미로 볼 수 있음. ※ A : C = 1 : 2, B : C = 2 : 2 (B의 양만큼 C 생성) A : B : C = 3 → 2 (한번 반응할 때, 1 감소) (2) t1~t3 전체 기체의 양 t1~t2에서 0.3몰 감소, t2~t3에서 0.6몰 감소 보다 반응이 2배 더 진행됨. ⇒ 완결점은 t4이고 자료가 친절히 나온 부분은 t1~t3이니, 이 부분을 중점으로 문제 풀이. (2) x, y의 상대값(x / y) 구하기. ⇒ 문제에서 x와 y를 실제로

화학1 4단원 물의자동이온화 (feat. 물의 이온화상수 (Kw), H3O+)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용선생입니다. 드디어, 4단원 메인 단원 중 하나인 "pH(수소 이온 농도 지수)" 에 대해 포스팅을 하게 되었습니다!! 수험생들이 "pH 양적 관계"에서 다소 어렵게 느껴지는 부분은 다음과 같습니다. 1) 새로운 개념의 수식 관계. 2) 몰농도 개념 부족. 1)의 같은 경우는, 새롭게 배우는 개념이기에 어렵게 느껴지는 것이 당연합니다. 천천히, 하나씩 배워나가고 한번, 두 번 복습하면 점차 익숙해지기 때문에, 전혀 문제 없습니당. 2)의 같은 경우는, 기존 1단원 용액의 농도 양적 관계에서 "몰농도에 대한 개념이 부족"한 경우입니다. 문제를 풀 때, 이 부분에서 어렵게 느껴지는 경우 https://blog.naver.com/sayong99/222808756185 화학1 몰 농도 정의 및 용질의 몰 수 안녕하세요. 용선생입니다. 이번 포스팅의 주제는 "용액의 농도"를 다루어 보겠습니다. (몰 농도... blog.naver.com 다시 한번 용액의 농도에 대한 복습이 필요

화학1 4단원 산화, 환원 반응식 맞추기 (feat. 문제풀이 팁)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용선생입니다. 어느덧, 산화, 환원 단원의 마무리 포스팅에 왔습니다. 1편 : 산화 환원 반응 https://blog.naver.com/sayong99/222833879397 화학1 4단원 산화 환원 반응 (feat. 철의 제련 반응) 안녕하세요. 용선생입니다. 꽤나 어려웠던, "pH의 포스팅"이 끝났습니다. https://blog.naver.c... blog.naver.com 2편 : 산화수 정의 https://blog.naver.com/sayong99/222836000351 화학1 4단원 산화수 정의(feat. 복잡한, 분자의 산화수 구하기, 산화제, 환원제) 안녕하세요. 용선생입니다. 지난, 포스팅에서 "산소"와 "전자"관점에서 산화, 환원 반... blog.naver.com 오늘의 포스팅은 3편 : 산화, 환원 반응식 계수 맞추기 를 다루겠습니다. 수험생들이 처음에 다소 어려워 하는 감이 있지만.. 잘 따라오면, 아무것도 아닌 단원이랍니다!! 우선, 오늘의 포스팅

화학1 4단원 산화수 정의(feat. 복잡한, 분자의 산화수 구하기, 산화제, 환원제)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용선생입니다. 지난, 포스팅에서 "산소"와 "전자"관점에서 산화, 환원 반응의 정의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 https://blog.naver.com/sayong99/222833879397 화학1 4단원 산화 환원 반응 (feat. 철의 제련 반응) 안녕하세요. 용선생입니다. 꽤나 어려웠던, "pH의 포스팅"이 끝났습니다. https://blog.naver.c... blog.naver.com 오늘은 산화, 환원 반응에서 산화수의 정의와 복잡한 분자의 각 원자가 가지는 산화수에 대해서 알아보는 시간을 갖겠습니당. 바로, 가보겠습니다. 산화수의 정의 산화수란?? 어떠한, 물질의 (분자, 이온결합, 금속) 원자가 산화, 환원된 정도를 수치를 이용해 간단하게 알아낼 수 있는 방법입니다. 산소와 전자의 이동 외에 산화수라는 개념이 등장한 것은.. 공유결합 물질과 같은, 전자의 이동이 애매한 물질의 산화, 환원 반응을 모두 설명하기 위해서랍니다. 무슨 말인고 하니..? 이온결

화학1 아레니우스, 브뢴스테드 로우리, 루이스 산염기 정의 및 차이점 분석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용선생이 "4단원 산과 염기"로 찾아왔습니다. 화학1 4단원 산 염기 양적 관계는 기출 문항의 대표적인 "킬러 문항"이 포함되어 있는 단원이지요.. ㅎㄷㄷ 포스팅은 총 1~4편으로 진행될 것 같습니다. 오늘은 1편 : 산과 염기의 정의 에 대해 가벼운 마음으로 알아보겠습니다. 산과 염기의 정의는 중학교에서부터 고1까지 간단하게 배웠지만, 화학1에 와서 브뢴스테드-로우리 산 염기라는 "새로운 정의"가 등장하게 되면서... 기존에 우리가 배운 산 염기 정의(아레니우스 산 염기)와 브뢴스테드-로우리 산 염기 정의를 구분 짓는데, 수험생들이 많이들 헷갈려 하지요. 오늘의 포스팅으로 "각각의 정의에 차이점"을 명확하게 구분 지을 수 있도록 하겠습니다. 번외로, 루이스 산 염기도 알아보겠습니다. [목차] 1. 산 염기 2가지 정의(아레니우스, 브뢴스테드-로우리) 2. 아레니우스, 브뢴스테드-로우리 산 염기 차이점. 3. 루이스 산 염기 정의 가시죠ㄱㄱ! 산, 염기의 2가지 정의 산

화학1. 2단원 보어 원자모형과 오비탈(현대 원자모형) 비교하기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용선생입니다ㅋ.ㅋ 오늘 포스팅은 화학1을 처음 배우는 수험생들에게 다소 낯선 오비탈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 우리에게 나름 친숙한 보어의 원자모형과 오비탈을 비교하여 오비탈이 좀 더 친숙해 졌으면 하는 바램으로 포스팅을 진행하겠습니당. 시작해 볼까효?~ 우선. 보어 원자모형과 오비탈의 가장 큰 공통점 전자의 에너지 준위는 불연속 적이다! => 전체적인 에너지 크기는 주양자수(n)으로 표현 보어 : 불연속 에너지를 전자 껍질로 표현함. 오비탈 : 불연속 에너지를 궤도함수(전자를 파동으로)로 표현함. 차이점 보어 : 전자를 각각의 껍질(주양자수)로 표현 (K껍질 2개, L껍질 8개, M껍질 18개) => 같은 껍질에 있는 전자는 따로 구분 못함. (모두 에너지 준위가 같음.) 오비탈 : 각각의 껍질(주양자수)에 해당하는 전자들을 오비탈 하나 당 2개씩 구분지음. => 오비탈 한개 당 전자 2개 표현 => 전자의 스핀방향을 나타내어 각각의 전자를 모두 표현 가능. 글로만 적으

화학1. 2단원 유효핵전하(가려막기 효과, 가리움상수 )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용선생입니다 오늘은 2단원 원소의 주기적성질에서 첫번째로 다루는 "유효핵 전하"에 대해 알아볼까 합니당. 가볍게 겉핥기식으로 공부해도.. 사실 문제 푸는데 크게 지장은 없지만... 기억력이 오래가지 않는다능.. 그래서 이번포스팅에선 유효핵전하에 대해 쪼~금만 더 "심화"해서 알아볼까 합니다. Go~! 먼저 기본적인 정의를 볼까요??~ 1)핵전하 원자핵이 갖는 (+)전하량 = 원자핵 속 양성자의 총합. 원자핵과 전자는 서로 전기적 인력이 작용하는 원인. 2)유효핵전하 전자에 실질적으로 작용하는 핵전하 (그냥 핵전하와 무슨 차이가 있을까..??) 다전자에서 전자와 핵은 단순히 둘간의 인력뿐 아니라 "전자간 반발력"이 동시에 작용하니 반발력을 고려해줘야 겠지요??~ 그렇다면.. 실질적으로 전자가 느끼는 "유효 핵전하"와 그냥 "핵전하"를 그래프로 한번 비교해 볼까요?~ 전자에 작용하는 유효핵전하와 핵전하의 차이점을 조금만 심층적으로 분석해보겠습니당. 우선, 핵전하를 보아하니

화학1. 2단원 원자, 이온반지름(문제풀이를 위한 개념 분석)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용선생입니다~ 요즘 시험기간이라.. 시험문제 출제로 정신이 없어서 포스팅이 좀 늦었습니다 흑 ㅜ.ㅜ 앞으로 다시 빠르게 포스팅할 예정입니다 ㅋ.ㅋ 그런 의미에서 오늘은 2단원 원소의 주기성 중 "원자, 이온 반지름"에 대한 개념을 심층적으로 분석해볼까 합니다~! 출제자 입장에서 "원자 반지름"과 "이온 반지름"을 어떤식으로 문제에 적용하는지 함께 보시죵! ㄱㄱ 우리가 배우는 1~20번 원자의 반지름을 같은족 끼리 비교해 볼까요??~ (18족은 원자 반지름 측정방식이 다르므로 제외!) "기본개념" 1) 같은 족인 경우 "주기가 증가"할 경우 => "전자 껍질 증가" => "원자 반지름 증가" ex.) H(25pm) < Li(152pm) < Na(186pm) < K(227pm) 2) 같은 주기인 경우 "원자번호 증가" => "유효핵 전하 증가" => "원자 반지름 감소" Na(186pm) > Mg(160pm) > Al(143pm) 3) 족과 주기가 서로 다른 원자인 경우 2

화학1. 2단원 이온화에너지(문제풀이를 위한 개념 분석)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오늘 포스팅에선 화학1 2단원 기출문제 문제풀이를 위해 알아야 할 "이온화 에너지의 필수 개념"과 평소 수험생들이 궁금해하는 "유효핵 전하와 이온화 에너지의 차이점"에 대해 포스팅하겠습니당. 이온화 에너지의 기본 개념은..? 기체 상태 원자 1mol에서 전자 1mol을 때어낼 때, 필요한 에너지(kJ/nol)을 나타낸 것이지요??~ 원자 번호 1~20번 까지의 원자들의 "이온화 에너지 그래프"를 보면 전체적인 주기적 특징과 예외 구간이 있는 부분을 알 수 있습니당. 1) 같은 주기에서 전체적으로 증가 (감소하는 예외 구간 : 13족(B, Al), 16족(O, S) 2) 같은 족 원소 => 주기가 클수록 감소 (전자 껍질 수 증가 => 핵과 전자간 거리 증가 => 떼어내기 쉬움) 3) 예외 구간 이유 이온화 에너지는 크게 이렇게 3가지 특징이 있습니당. 그 중 전체적인 주기적 특징에서 특별히, 예외 구간인 B, O, Al, S는 당. 연. 히 출제자 입장에서 문제내기 가장

화학1. 2단원 순차 이온화 에너지(문제풀이를 위한 심화 분석)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용선생입니당. 오늘은 나름 "화학1 2단원"에서 개념적으로 쪼오..끔 어려운 "순차 이온화에너지"와 관련한 어려운 기출문항을 호다닥 풀기위해 알아야 할 필수 개념에 대해 정리해볼까 한답니당. 일단, 간단히 "순차 이온화 에너지 개념"에 대해 볼까요??~ 순차 이온화 에너지란 원자에서 전자를 하나 떼버리고..(1차) 하나 사라진 1가 양이온 상태에서 하나를 또 떼버리고.. (2차) 2+ 상태에서 하나를 또 떼어버리고...(3차) 요렇게 순차적으로 전자를 떼어내는데 필요한 에너지를 얘기 하지요??~ 기본 적으로 모든 원자의 순차 이온화 에너지는 E1 < E2 < E3 < E4 ... 뒤로 갈수록 점점 커진다는 사실! 전자를 하나씩 떼어낼수록 -> 전자간 반발력 감소 -> 유효핵 전하 증가 -> 점점 떼어내기 어려움. 요것을 순차 이온화 에너지라 하는데.... 몇몇 원소들은 순차적으로 떼어내는 과정에서 재미난 특징을 하나 보입니당. (고것이 핵심이지용!) 원자의 전자를 떼어내

화학1 멘델레예프 주기율표 (feat. 주기율표 역사)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용선생입니다~ 이번 포스팅은, 화학을 공부하는 수험생들이라면, 누구나 알아야 할, "주기율표"에 대해 기획했습니다. 블로그 초창기에 주기율표에 관해 포스팅을 했었지만.. https://blog.naver.com/sayong99/222713289799 내용도 부족하고, 체계적이지 못했기에.. 다시 한번, 완.벽. 하게 정리하겠습니다. "총 3편에 걸쳐 포스팅"을 진행하겠습니다. 1편 : 주기율표의 역사와 멘델레예프 주기율표 2편 : 현대 주기율표 및 특징 Click! 3편 : 주기율표 원소의 특징(할로겐, 알칼리 원소 등) Click! 오늘은, 1편 : 주기율표의 역사와 멘델레예프의 주기율표 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가볼까요??~ 주기율표의 역사 화학 강의실이나 실험실에 보면, 주기율표가 벽면에 걸려 있는 경우를 많이들 보셨을 거랍니다. "주기율표" "주기율표"는 이름에서 보다시피, 원소의 주기적 특성을 나타낸 표를 얘기합니다. 원소에 대한 다양한 정보를 한눈에 보기 쉽도

원소주기율표 심층 분석 (feat. pdf , 족, 주기, 오비탈)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용선생입니다. 오늘은 "총 1~3편의 주기율표" 포스팅 중 1편 : 주기율표의 역사와 멘델레예프 주기율표 https://blog.naver.com/sayong99/222836599703 화학1 멘델레예프 주기율표 (feat. 주기율표 역사) 안녕하세요. 용선생입니다~ 이번 포스팅은, 화학을 공부하는 수험생들이라면, 누구나 알아야 할, "주... blog.naver.com 2편 : 원소 주기율표 심층 분석 3편 : 주기율표 원소의 특징 https://blog.naver.com/sayong99/222839060093 화학1 주기율표 속 원소의 분류 (feat. 금속, 비금속, 알칼리, 할로젠 원소) 안녕하세요. 하트나 머거랏! 용선생이 주기율표 "3편 원소의 분류"로 찾아왔습니다. [주기율표 ... blog.naver.com 2편 "현대 주기율표 및 특징" 에 대해 알아볼까요?? [목차] 1) 주기율표 포스터 2) 주기와 족 3) 주기율표와 오비탈(심화) 4) 주기율표 외우

화학1 주기율표 속 원소의 분류 (feat. 금속, 비금속, 알칼리, 할로젠 원소)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하트나 머거랏! 용선생이 주기율표 "3편 원소의 분류"로 찾아왔습니다. [주기율표 포스팅] 1편 : 멘델레예프 주기율표 https://blog.naver.com/sayong99/222836599703 화학1 멘델레예프 주기율표 (feat. 주기율표 역사) 안녕하세요. 용선생입니다~ 이번 포스팅은, 화학을 공부하는 수험생들이라면, 누구나 알아야 할, "주... blog.naver.com 2편 : 원소 주기율표 특징 https://blog.naver.com/sayong99/222837506786 화학1 원소 주기율표 특징 (feat. 암기법, PDF) 안녕하세요. 용선생입니다. 오늘은 "총 1~3편의 주기율표" 포스팅 중 Click! 1편 : 주기율표의 ... blog.naver.com 3편 : 원소의 분류 오늘은, 2편에서 보았던, 주기율표의 원소들은 어떠한 특성을 가지는지 알아보겠습니다. 첨부파일 현대 주기율표_어쩌다 1등급.pdf 파일 다운로드 무단 복제 및 불펌 x

화학1 3단원 화학결합, 이온결합 형성과정(1)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용선생입니다. 어느덧 "3단원"이 되었습니당. 매 학년마다 학생들을 보면 1단원이 끝난 뒤 50% 도주... 2단원이 끝난 뒤 20% 도주... "수능" 까지 생존률 20%도 안됨. 2022 수능 인원 : 약 44만명 2022 화학1 인원 : 약 7만명 ...??? ㅋㅋㅋ... 화학이 참... 수험생들에게서 살아남기 어려운 과목입니당. 여기까지 생존한 수험생 분들은.. 성적보다는 성인이 되었을 때, 앞으로의 냉정하고도 냉정한 무한 경쟁사회에서 싸워나갈 수 있는 "정신력"을 키워나간거나 다름없답니당. (살아남은 자들은 자축의 박수를 ㄱㄱ) 3단원에 오면 일반적으로 화포자가 70%, 생존자가 30%정도 인데.. 웃기게도 화학1 전 단원을 통틀어 "3단원이 가장 쉬운 단원"이라는..!! 덕분에 남은 생존자들은 생각보다 할만하다며 끝까지 밀고 나가는 현상이 생기지요 ㅋㅋ 사는것도 똑같습니당. 어느 지점을 넘어가면 할만해지기 시작합니당. (화학이 곧 인생의 진리라능..?!) 용선생

화학1 3단원 화학결합, 이온결합 그래프 심층분석(2)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용선생입니다~ 오늘은 지난 포스팅 "이온결합 형성과정"에 이어서 https://blog.naver.com/sayong99/222793442088 화학1 3단원 화학결합, 이온결합 형성과정(1) 안녕하세요 용선생입니다. 어느덧 "3단원"이 되었습니당. 매 학년마다 학생들을 보면 1단원이 끝... blog.naver.com "거리에 따른 이온결합 에너지 그래프"에 관해 심.층.분.석. 해볼 시간입니다.ㅋ.ㅋ 화학1 "3단원"은 기존 1~2단원 보다 좀 더 개념에 대해 세부적으로 포스팅할 예정입니다. Why? 1~2단원은 사실 개념도 개념이지만, 개념을 문제에 적용시켜 어떤 식으로 문제에 접근하는지 알아가는 과정이 중요합니다. (문제를 많이 풀어 봐야 됨.) but, 이전 포스팅에서 말했다시피 3단원 문제는 화학1 통틀어 기출문항이 가장 쉬운 단원이면서도 문제 적용보단, 햇갈리지 않게 개념이 확실히 해야 추후에 따로 공부하지 않아도 점수를 보장 받을 수 있는 단원이지요 ㅋ.ㅋ

화학1 3단원 화학결합, 이온결합세기 및 특성(3) (녹는점, 용해성, 전기전도성)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용선생입니다. 이온결합에 대해 포스팅하다보니, 어느덧 "3편"까지 왔습니다. 1편 https://blog.naver.com/sayong99/222793442088 화학1 3단원 화학결합, 이온결합 형성과정(1) 안녕하세요 용선생입니다. 어느덧 "3단원"이 되었습니당. 매 학년마다 학생들을 보면 1단원이 끝... blog.naver.com 2편 https://blog.naver.com/sayong99/222795658907 화학1 3단원 화학결합, 이온결합 그래프 심층분석(2) 안녕하세요, 용선생입니다~ 오늘은 지난 포스팅 "이온결합 형성과정"에 이어서 https://blog.nav... blog.naver.com 오늘은, 가벼운 마음으로 화학1 기출문항에서 다루는 이온결합물질의 화학적, 물리적 특성 4가지를 간단히 정리해보겠습니다~! (내용이 크게 어렵지 않으니, 가볍게 쭉 읽어보세용!) 이온결합 물질의 물리적, 화학적 특성 1. 이온결합물질의 물리적 특성 지난 포스팅에

화학 1 3단원 공유결합 물질 형성 과정 그래프와 결합 세기 분석하기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용선생입니다. 오랜만에 화학 포스팅으로 찾아왔습니다. (요즘, Money 공부에 꼬쳐부려쓰..) 오늘은 공유 결합 형성 과정에 따른 에너지 그래프와 공유결합 세기를 함께 비교해 볼까요??~ 에너지 그래프에 대해 아직 잘 모른다면..? 이온 결합 형성 과정에 대해 먼저 알아본 다음 곡 https://blog.naver.com/sayong99/222795658907 화학1 3단원 화학결합, 이온결합 그래프 심층분석(2) 안녕하세요, 용선생입니다~ 오늘은 지난 포스팅 "이온결합 형성과정"에 이어서 https://blog.nav... blog.naver.com 공유결합과 이온결합의 대표적인 큰 차이점은 다음과 같습니당. 이온 결합 양이온(전자를 잃은 금속) -> <- 음이온(전자를 얻은 비금속) 양이온과 음이온의 정전기적 인력에 의한 화학 결합. 공유 결합 비금속과 비금속 간의 결합 전자를 내놓고 양이온이 되려는 금속이 없음. 서로가 전자를 원함 => 전자를 공유하기로 합의. 전

화학1 3단원 공유결합 물질의 종류(분자, 원자결정)구분 밎 특성 알아보기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용선생입니다. 지난 포스팅에서는 공유결합의 형성 과정을 에너지 그래프로 비교해보고, (단일, 이중, 삼중 결합)에 따른 에너지 관계를 알아보았지요??~ https://blog.naver.com/sayong99/222802225982 화학 1 3단원 공유결합 물질 형성 과정 그래프와 결합 세기 분석하기 안녕하세요 용선생입니다. 오랜만에 화학 포스팅으로 찾아왔습니다. (요즘, Money 공부에 꼬쳐부려쓰..) ... blog.naver.com 오늘은 화학1 수험생들이 한번 쯤은 정확하게 비교해놓지 않으면, 다소 햇갈릴 수 있는 공유결합 물질의 종류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공유결합물질은 결합 방법에 따라 분자와 원자결정으로 구분지어 나타내게 됩니다. (이 둘은 굉장히 큰 차이점이 있으니, 반드시 알아둬야 해요!) 분자와 원자결정 공유결합 물질은 고체상태에서 분자결정으로 이루어진 물질과 (흔히, 우리가 말하는 분자) 원자결정으로 이루어진 물질로 나뉘어 진답니다. 무슨 차이인고

화학1 3단원 금속결합, 이온결합, 공유결합의 전기전도성, 녹는점 비교분석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용선생입니다. 오늘은 3단원 화학결합에서 이온결합, 공유결합, 금속결합 물질의 물리적, 화학적 특성을 비교 분석해보는 시간을 갖겠습니다. 이전 포스팅은 아래 링크를 Click! 이온결합 형성 과정 그래프 분석 및 특징 https://blog.naver.com/sayong99/222795658907 화학1 3단원 화학결합, 이온결합 그래프 심층분석(2) 안녕하세요, 용선생입니다~ 오늘은 지난 포스팅 "이온결합 형성과정"에 이어서 https://blog.nav... blog.naver.com https://blog.naver.com/sayong99/222797777466 화학1 3단원 화학결합, 이온결합세기 및 특성(3) (녹는점, 용해성, 전기전도성) 안녕하세요. 용선생입니다. 이온결합에 대해 포스팅하다보니, 어느덧 "3편"까지 왔습니다. 1편 h... blog.naver.com 공유결합 형성 과정 그래프 분석 및 특징 https://blog.naver.com/sayong

화학1 3단원 전기음성도와 부분 전하 개념 심층 분석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용선생입니다. 오늘의 포스팅 주제는 "전기음성도(electronegativity)" and 공유결합에서 전기음성도가 끼치는 영향 "부분 전하"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바로 가볼까요??~ 전기음성도 "전기음성도(electronegativity)"란, 분자를 구성하는 원자 사이의 공유전자를 자기 쪽으로 끌어당기는 능력을 말합니다. 전기음성도의 세기는 수치로 표현하는데, 범위는 Cs(세슘) : 0.7 ~ F(플루오린) : 4.0 까지랍니다. 그러면.. 전기음성도 수치는 어.떻.게. 구했는데..?! 궁금한 수험생들을 위해 간략히, 설명해 보자면, 전기음성도는 Linus Pauling(1901~1995)에 의해 제안되었답니다. 분자 : H - X 가 있다고, 생각해 보겠습니다. H - X의 결합에너지를 예측해 보면, 각 H - H, X - X의 결합에너지의 절반 값을 합한 값이라고 "예측"할 수 있겠지요?? 하지만, X라는 원자가 공유 전자를 자기 쪽으로 끌어당기는 힘 (전기음성

화학1 3단원 쌍극자모멘트, 극성 무극성 공유결합(극성 무극성 분자와 구분)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용선생입니다. 지난 포스팅에서 화학1 3단원 "전기음성도와 부분전하" 에 대해 다루었습니다. https://blog.naver.com/sayong99/222812837166 화학1 3단원 전기음성도와 부분 전하 개념 심층 분석 안녕하세요. 용선생입니다. 오늘의 포스팅 주제는 "전기음성도(electronegativity)" and 공유결... blog.naver.com 오늘은 원소의 전기음성도 차이에 따른 부분전하 형성을 나타내는 "쌍극자모멘트(μ)"와 "극성, 무극성 공유결합" "극성, 무극성 분자의 차이점"에 대해 분석해 보겠습니다. 어렵지 않은 내용이므로, 가벼운 마음으로 봐 볼까용??~ 쌍극자모멘트( μ) 쌍극자 모멘트에 대해 알아보기에 앞서, 우서 쌍극자가 무슨 뜻인지 알아보겠습니다. 전기 음성도 차이로 인해, HCl의 공유전자쌍이 Cl로 치우치게 되면, Cl은 부분적으로 음전하 H는 부분적으로 양전하 를 형성하게 되지요? (부호가 반대) 공유 전자쌍을 뺏긴 만큼

화학1 3단원 루이스 전자점식 심층분석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용선생입니다~ 오늘의 포스팅은 화학에서 원소들의 화학결합과 화학적 성질을 가장 간단하게 나타낼 수 있는 "루이스 전자점식"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화학1 3단원 화학결합 단원에서 가장 기본이 되는 부분이니 한 번쯤은 제대로 알아두셔야 합니다. 간단한 것 같으면서도 깊게 들어가면 생각보다 어려운 부분도 존재합니당.. 기본적인 내용은 안 다는 전제하에 오비탈과 관련지어 좀 더 "심화적인 내용"을 포스팅하겠습니다. 루이스 전자점식 루이스 전자점식이란, 원소의 최외각 전자를 "점"으로 나타내어, 각각의 원소의 공유 전자쌍과 비공유 전자쌍을 파악하고, 분자의 공유결합과 구조를 쉽게 알아볼 수 있지요. 2주기 원소들의 루이스 전자점식을 그림으로 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루이스 전자점식은 1족 원소부터 최외각 전자를 하나씩 (위, 아래, 왼, 우) 빈칸부터 그려 넣어 나타냅니다. (시계방향으로 하나씩 그려 넣으면 편합니다.) 총 4방향을 각각의 오비탈이라 두면, 총 4개의 오비탈(2s

화학1 3단원 루이스 전자점식 분자구조 그리기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용선생입니다. "지난 포스팅" 에서는 화학1 수험생에게 다소 개념적으로 어려운 "루이스 전자점식" 과 "오비탈의 연관성" 에 대해 알아봤습니다. https://blog.naver.com/sayong99/222818514290 화학1 3단원 루이스 전자점식과 오비탈 관련짓기(혼성 오비탈, 홀전자, 비공유 전자쌍) 안녕하세요. 용선생입니다~ 오늘의 포스팅은 화학에서 원소들의 화학결합과 화학적 성질을 가장 간단하게 ... blog.naver.com 이번 포스팅에서는 내신에서 주로 다루는 "루이스 전자점식분자구조"를 익혀봄으로써 화학1에서 "자주 나오는 분자"들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당! 가볼까요??~ 루이스 전자점식과 옥텟규칙에 따른 분자 구조 원자번호 1~20번 원소 루이스 전자점식 모든 원자는 화학결합을 형성할 때, "옥텟규칙을 만족"해야 안정한 상태가 되지요? 옥텟 규칙을 만족하는 분자 구조를 루이스 전자점식으로 나타낼 때, 다음 "3가지 관점" 에서 보겠습니당. 1.공유결

화학1 3단원 공유 전자쌍 수, 비공유 전자쌍 수 구하기(기출문항 필수개념)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용선생 입니다. 화학1 3단원 분자구조 포스팅이 생각보다 길어지고 있습니다ㅎ.ㅎ 이전 포스팅에서 화학1에 자주 등장하는 "분자 구조들을 루이스 전자점식 "을 이용해 그려보았습니다. https://blog.naver.com/sayong99/222823405403 화학1 3단원 루이스 전자점식 분자구조 그리기(옥텟 규칙, 공유결합, 이온결합 구조) 안녕하세요. 용선생입니다. "지난 포스팅" 에서는 화학1 수험생에게 다소 개념적으로 어려운 &qu... blog.naver.com 오늘은...?!! 실제 "3단원 기출 문항 "에서 자주 나오는 여러 분자의 "공유 전자쌍"과 "비공유 전자쌍"을 구하는 법 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여러 "다원자 분자"들은 공유 전자쌍(공유결합)과 비공유 전자쌍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러한 분자들의 공유 전자쌍의 수와 비공유 전자쌍의 수를 물어보는 "대표적인 유형의 문항" 있습니다. 같이 알아보시죠 ㄱㄱ 공유 전자쌍, 비공유 전자쌍 수 구하는 법 이전

화학1 3단원 분자구조 (전자쌍 반발 이론 및 원리, 결합각 분석)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용선생입니다. 오늘은 실제 분자의 구조를 "3D"로 알아볼 시간입니다. 지난 포스팅에서 "루이스 전자점식"을 이용해 2차원적인 분자의 모형을 대략적으로 알아보았지요?? https://blog.naver.com/sayong99/222823405403 화학1 3단원 루이스 전자점식 분자구조 그리기(옥텟 규칙, 공유결합, 이온결합 구조) 안녕하세요. 용선생입니다. "지난 포스팅" 에서는 화학1 수험생에게 다소 개념적으로 어려운 &qu... blog.naver.com 이전 포스팅을 정독한 수험생 분들은 화학1에 자주 등장하는 분자들의 대략적인 모형은 이미 알고 있기 때문에, 3D모형이라고 해봤자... 사실 상식적으로 충분히 생각할 수 있기 때문에 하~나도 어렵지 않답니다. 같이 한번 봐볼까요??~ 먼저, 분자의 구조를 파악하기 위해선 기본적인 원리인 "전자쌍 반발 이론"에 대해 알아보아야 합니당. 전자쌍 반발 이론 전자쌍 반발이론이란?? 원자 주위의 전자쌍(공유, 비공유 전자쌍

C2H6, C2H4, C2H2, N2H4, N2H2 구조 (feat. sp2 혼성 오비탈)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용선생입니다. 이전 포스팅에서 화학1의 가장 기본적인 "분자구조"에 대해 다루어 보았습니당. https://blog.naver.com/sayong99/222825034717 화학1 3단원 분자구조 (전자쌍 반발 이론 및 원리, 결합각 분석) 안녕하세요. 용선생입니다. 오늘은 실제 분자의 구조를 "3D"로 알아볼 시간입니다. 지난 포스팅... blog.naver.com 이번 포스팅에서는 화학1에서 중심 원자가 2개인 대표적인 분자 C2H4, C2H2, N2H2, N2H4 에 대해 알아볼까요??~ 중심 원자 2개가 이중 결합인 분자(C2H4, N2H2) 화학1에서 중심 원자 2개가 이중 결합을 형성하고 있는 분자는 대표적으로 C2H4, N2H2 가 있습니다. 결론적으로, 이 분자들은 "평면 구조" 라는 거지요. 심지어, C2H4의 결합각은 거의 120˚에 가깝다는.. N2H2의 경우 비공유 전자쌍이 있으니 결합각은 120˚보다 약간 작습니당. (비공유 전자쌍 반발력 > 공유

화학1 3단원 H2O2, F2O2 분자 구조 분석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용선생입니다~ 지난 포스팅에서 "공유, 비공유 전자쌍에 따른 분자구조" https://blog.naver.com/sayong99/222825034717 화학1 3단원 분자구조 (전자쌍 반발 이론 및 원리, 결합각 분석) 안녕하세요. 용선생입니다. 오늘은 실제 분자의 구조를 "3D"로 알아볼 시간입니다. 지난 포스팅... blog.naver.com "중심 원자가 2개인 분자"들의 분자 구조에 대해 분석해 봤습니다. https://blog.naver.com/sayong99/222825582442 C2H6, C2H4, C2H2, N2H4, N2H2 구조 (feat. sp2 혼성 오비탈) 안녕하세요. 용선생입니다. 이전 포스팅에서 화학1의 가장 기본적인 "분자구조"에 대해 다루어 ... blog.naver.com 내용이 조금 어려운 감이 없지 않아 있었찌요... 오늘의 포스팅은 화학1에 자주 등장하는 H2O2(과산화수소) F2O2(Fluorine dioxide) 에 대해 알아볼

화학1 필수 분자 구조 정리 (feat. 결합각, 극성, 입체)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용선생입니다. 오늘은 화학1 3단원에 나오는 분자 중 수험생들이 "헷갈릴 만한 분자"들을 정리해 보는 시간을 갖겠습니다. 실제 분자 구조 형태를 통해 각 분자의 결합, 극성, 입체 유무를 알아볼까요??~ 가보시죠 ㄱㄱ ! CH2Cl2 (다이클로로메테인) 관련 분자 : CH2Cl2, CH2F2 극성 분자 입체 구조 (사면체형) 결합각 : 약 109.5˚ 쌍극자모멘트가 한쪽으로 쏠려 있는, 형태인 것을 알 수 있습니다. ( μ합 ≠ 0 ) CH2O (포름알데하이드) 관련 분자 : CH2O, COF2, COCl2 극성 분자 평면 구조 (삼각형) 결합각 : 약 120˚ 중심 원자 C가 이중결합 1개와 단일결합 1개로 이루어진 분자 형태입니다. C2H6 (에테인) 무극성 분자 입체 구조(사면체형) 결합각 : 약 109.5˚ 중심 원자 C가 2개인 대표적인 화합물입니다. 각 탄소를 기준으로 사면체형 2개가 겹쳐진 입체 구조임을 알 수 있습니다. 서로 겹쳐서 보면 각 탄소 원자의 수

혈흔 감지 루미놀 반응의 원리를 알아보자(feat. 화학식 및 이론 분석)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용선생입니다. "화학1 필수 개념" 포스팅이 어느덧 끝이 보이고 있습니다. (짝짝~) 화학과 관련한, 새로운 포스팅을 무엇을 할지 고민하다. 기왕이면 수험생들의 "과제"에 도움이 될 만한, "실생활 속 다양한 화학반응의 원리"를 포스팅을 해보기로 했습니다. ㅋ.ㅋ 사실, 실생활 속 화학 원리는 고등학교에서 배운 화학 이론만으로는 이해하기에 "어려운 부분"들이 다수 있습니다. 이러한, 부분들을 수험생들이 최대한 이해하기 쉽도록 설명해 보겠습니다. 오늘의 주제는..?? "루미놀 화학 반응 원리" CSI 미드 같은 여러 범죄 드라마를 보면 범죄현장의 혈흔을 감식하기 위해 분무기를 뿌려, 푸른 형광빛이 나는 혈흔을 찾는 광경을 많이 보셨을 겁니다. 출처 : 시사주간 이, 혈흔을 찾기 위해 쓰이는 대표적인 물질이 바로 "루미놀 용액" 이번 포스팅에서는 루미놀이란 분자는 무엇이며, 루미놀 용액은 어떤 화학적 원리로 혈흔에서 "빛"을 내게 되는지 알아보는 시간을 갖겠습니다. 가볼까요

물의 전기분해 원리를 알아보자 (feat. 화학반응식 및 전해질 원리 분석)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용선생입니다. 오늘은 "실생활 속 화학반응 2편" "물의 전기분해의 원리"입니다. 물의 전기분해는 중학교에서부터 간단히 알아볼 수 있는 대표적인 실험이지요. 실험 결과만 보면, 굉장히 간단한 실험입니다. (-)극 : 수소 기체( H2) 생성 (+)극 : 산소 기체(O2) 생성 생성된 기체의 부피비 H2(g) : O2(g) = 2:1 헌데... 실제로 물의 전기분해과정 원리를 깊게 들어가 보면.. 생각보다 복잡한 "화학적 원리"들이 숨어 있답니다. 이에 대해 제대로 분석해 보는 시간을 갖겠습니다. 물의 전기분해 과정은 화학1 3단원 화학결합과도 어느 정도 관련이 있는 단원이니, 참고하시면 좋습니당. 가보시죠 ㄱㄱ [목차] 1. 물의 전기 분해란? 2. 물의 전기 분해 화학반응식 분석 3. 전해질 원리 및 분석 물의 전기 분해란? 물의 전기 분해 장치는 다음과 같이 생겼습니다. 전원 장치에서 전류를 내보내고, 전극은 물과 연결되어 있습니다. 전자(e-)는 (-)극에서 (+)

아스피린 합성실험 및 원리 (feat. 심화분석)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용선생입니다. 이번 포스팅에선 고등학교에서 심화 실험으로 진행하기 좋은 "아스피린 합성 실험 및 반응 원리"에 대해 "심층 분석"해 보는 시간입니다. 간단한 아스피린 합성 실험 과정과 반응에 이용되는 "촉매" 및 살리실산과 아세트산, 아세트산무수물의 아스피린(아세틸살리실산) "반응 원리"를 알아보겠습니다. 가볼까요?! [목차] 1. 아스피린 합성 실험 2. 아세트산, 아세트산무수물 반응 원리 3. 산 촉매 반응 원리 아스피린 합성 실험 흔히, "아스피린"이라 불리는 아세틸살리실산(Acetylsalicylic Acid)은 사람들에게 잘 알려진 대표적인 진통, 해열 계열의 의약품 중 하나입니다. 고등학교 화학 실험에서 해볼 수 있는 "의약품 합성 실험"이기도 하지요. 보통, 교과서의 설명에는 살리실산(C7H6O3)과 아세트산(CH3COOH)이 반응하여, 아세틸살리실산(C9H8O4)이 생성되는 것만 간단히 설명한답니다. But, 실제 실험에서는 보통 아스피린의 수득률을 올리기

독극물 시안화칼륨(KCN)은 왜 인체에 치명적일까?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용선생입니다. 요즘, " 우 to the 영 to the 우" 안 보는 사람이 있을까요?? ㅇ.ㅇ 우당탕탕 우영우 마지막 스토리에서 회사 대표 배인철 씨가 억울함을 호소하기 위해 주머니에든 "청산가리"를 재판에서 먹어버렸지요 ㅠ.ㅠ 양이 얼마 돼 보이지 않았지만, 의사는 해독제를 써도, 생명이 위독할 정도로 치사량을 먹었기에 목숨이 위태롭다고.... 그래서 궁금했습니다! 오늘은 한 번쯤은 들어 본 적 있는, 대표적인 독극물 "청산가리" 화학 명칭은 "시안화칼륨(KCN)" 이라 불리는 독극물이 체내에서 얼마나 무시무시한 "화학적 반응"을 일으키는지 알아보겠습니다. 알아보러 가시죠! [목차] 1. 시안화칼륨(KCN)이란? 2. 시안화수소(HCN)의 체내 반응 시안화칼륨(KCN)이란? 독극물 "청산가리"라 불리는 시안화칼륨(KCN)의 구조는 그림과 같습니다. K+양이온과 HCN-음이온 사이의 정전기적 인력에 의해 결합된, "이온결합 물질"이지요. CN-(시안 음이온) K+(칼

페놀프탈레인 용액의 색변화 원리를 알아보자 (feat. 화학 반응 심층분석)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용선생입니다~ 최근, "실생활 속 화학반응"을 주제로 포스팅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수험생들에게 생각보다 반응이 너무 좋기에.. 학기 중이라 틈나는 시간을 활용해 열심히 포스팅할 예정입니다. 오늘의 주제는..??! "페놀프탈레인 용액의 색 변화 원리" 화학 탐구활동의 주제로 굉장히 유용한 내용입니다. 바로 시작해 볼까요??~ [목차] 1. 산 - 염기 지시약이란? 2. 페놀프탈레인 용액의 특성 3. 색 변화 화학반응 원리 4. 페놀프탈레인 용액의 적정 pH 산-염기 지시약이란? 산 - 염기의 중화반응에서 당량점(중화점)을 찾는 방법에는 대표적으로 2가지 방법이 있습니다. "pH 미터" "산, 염기 지시약" 이 중에서 산-염기 지시약이란, 색깔 변화를 이용해, 중화적정 실험에서 중화점을 알아낼 수 있는 용액을 말합니다. 출처 : 위키백과 지시약의 색깔 변화가 일어나는 지점을 종말점(실제 실험)이라고 얘기하는데, 실제, 중화점(당량점) 하고는 약간의 오차가 있긴 하지만 중화적

나일론 합성 실험 (feat. 반응 원리)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용선생입니다~ 오늘은 대표적인 화학 합성 실험 중 하나인 "나일론 합성 실험 및 원리"에 대해 알아보는 시간을 갖겠습니다. 나일론 합성 실험 과정은 비교적 간단한 편이지만, 나일론이 합성되는 과정에는 다양한 화학적 원리가 숨어있습니다. 낱낱이 파헤쳐 볼까요??~ [목차] 1. 나일론 합성 실험 2. 계면 중합이란? 3. 헥사메틸렌 디아민과 염화 아디프산의 축합반응과 펩타이드 결합 나일론 합성 실험 [실험 목표] 헥사메틸렌 디아민과 염화 아디프산의 "계면 중합"과 "축합 반응"을 이용해 나일론을 합성 나일론은 최초로 상업적 성공을 거둔 대표적인 합성 섬유 고분자입니다. (스타킹을 대표적인 예로 들 수 있습니다.) 구조적으로는 페타이드 결합이 반복해서 이어진 분자 구조 형태를 보입니다. 분자 구조를 보면 펩타이드 결합을 기준으로 좌, 우에 C가 6개씩 포함되어 있는 걸 알 수 있습니다. (이러한 형태를 나일론(nylon) 6, 6라고 명칭함.) [실험 원리] 반응식 C6H1

카페인 추출 실험을 알아보자 (feat. 용매 추출법 원리)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용선생" 입니다. 화학에서 대표적인 실험 중 하나가 혼합물 속 물질을 추출해 내는 실험이지요. 오늘은 이 중에서 고등학교에서도 진행할 수 있는 "카페인 추출" 실험에 대해 알아볼까 합니다. 실험 자체는 크게 어렵진 않지만.. 실험 과정에 다양한 화학적 원리가 숨어 있으니... 낱낱이 파헤쳐 보겠습니다. [목차] 1. 용매 추출법이란? 2. 카페인 추출 실험 3. 용매에 따른 용해도 4. CaCO3을 넣는 이유는? 5. NaCl을 넣는 이유는? 용매 추출법이란? 물질을 추출해 내는 실험은 대표적으로 크로마토그래피, 용매 추출법 등이 있습니다. (세분화하면 굉장히 다양해요 ㅇ.ㅇ) 이 중에서 "용매 추출 법"이란 서로 혼합되지 않는 두 용매에서 한 용매에 화합물을 녹인 후 화합물을 다른 용매로 이동시켜 층간 분리를 이용해 순수한 용질을 얻어내는 공정이랍니다. 분별 깔때기를 이용한 용매 추출법 용질을 효율적으로 이동시키기 위해선 다른 화합물을 첨가하기도 하는데... 이에 대

비타민C 적정 실험 및 원리 분석 (feat. 산화 환원 적정)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용선생입니다. 오늘은 산화-환원 적정 이론을 활용한 "비타민C (아스코르브산) 적정 실험" 을 알아보는 시간을 갖겠습니다. 대학뿐 아니라 고등학교에서도 충분히 수행할 수 있는 대표적인 적정 실험 중 하나입니다. 필요한 화학적 이론으로는 화학1 과정에서 산화, 환원과 용액의 양적 관계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력을 요구합니다. (겁낼 필요는 저언~혀 없답니다 @.@) 고등과정에서 이해할 수 있도록 최대한 알기 쉽게 설명해 보겠습니다. (매우 긴 포스팅 주의..) [목차] 1. 산화 환원 적정이란? 2. 비타민C 적정 실험 원리 3. 비타민C 적정 실험 ⇒ 실험 준비물 ⇒ 실험 방법 1 (요오드 표준용액 제조) ⇒ 실험 방법 2 (KIO3 용액 사용) 4. 실험 결과 분석 ⇒ 비타민C 함량 측정 원리 5. 요오드-요오드화 칼륨 용액을 사용하는 이유 6. 녹말과 요오드 용액의 색 변화 원리 산화 환원 적정이란? 화학에서 대표적인 적정 실험으로는, [산, 염기 적정] [산화-환원 적

화학1 4단원 pH 기출 문항 (2022학년도 3~9월)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용선생입니다. 오늘의 포스팅에선 pH 농도에 대한 개념을 바탕으로 https://blog.naver.com/sayong99/222831348953 화학1 4단원 pH농도 계산(feat. pOH, 기출문항 필수 개념) 안녕하세요. 용선생입니다. 오늘은 드디어, 많은, 수험생들이 화학 1에서 어려움을 겪는 "pH"에... blog.naver.com 2022학년도 모의고사 기출 문항을 풀어보겠습니다. [주요 개념] 1) 수용액의 이온 수 = M x V 2) pH + pOH = 14 3) pH와 [H3O+] 관계 pH 1감소 ⇒ [H3O+] 10배 증가 pH 기출 문항은 처음에 약간의 진입 장벽이 있지만, 그 이상으로 어려운 유형의 문제는 나오지 않습니다. 한 번만 제대로 파고들면 가져먹을 수 있다는 것이지요! 시간 절약을 위해 최대한 간단한 방법으로 문제풀이를 진행하겠습니다. 가볼까요??~ 2022학년도 화학1 3월 모의고사 (가)의 pOH는 12이니, pH는 2가 되겠습니다

화학1 3단원 2021학년도 기출 문항 풀이 (feat. 9월~ 수능)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용선생입니다. 지난 포스팅에 이어서 "분자 구조 기출 문항"을 풀어보겠습니다. https://blog.naver.com/sayong99/222876041335 화학1 3단원 2022학년도 기출 문항 풀이 (feat. 3~9월) 안녕하세요. 용선생입니다. 좀 있으면, 2학기 중간고사가.. ㄷㄷ 어쩌다 1등급을 이용하는 수험생들이 좋은... blog.naver.com https://blog.naver.com/sayong99/222877212999 화학1 3단원 2021학년도 기출 문항 풀이 (feat. 3~7월) 안녕하세요. 용선생입니다. 지난, 포스팅에 이어서 중간고사 대비 화학1 "3단원 2021학년도 기출 문항... blog.naver.com 이전, 기출 문항부터 먼저 보고 와야 자주 나오는 분자들이 익숙해진 상태로 문제 풀이를 진행할 수 있습니다. 문풀을 위한 관련 개념은 블로그 화학1 필수 개념 "3단원 분자의 구조"를 참고! 2021학년도 화학1 9월 모의고사 3

화학1 4단원 pH 기출 문항 (2021학년도 3~7월)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용선생입니다. 지난 포스팅에 이어서 pH 관련 "2021학년도 기출 문항"을 풀어보겠습니다. [관련 포스팅] https://blog.naver.com/sayong99/222831348953 화학1 4단원 pH농도 계산(feat. pOH, 기출문항 필수 개념) 안녕하세요. 용선생입니다. 오늘은 드디어, 많은, 수험생들이 화학 1에서 어려움을 겪는 "pH"에... blog.naver.com https://blog.naver.com/sayong99/222878757537 화학1 4단원 pH 기출 문항 (2022학년도 3~9월) 안녕하세요. 용선생입니다. 오늘의 포스팅에선 pH 농도에 대한 개념을 바탕으로 https://blog.naver.com/s... blog.naver.com [주요 개념] 1) 수용액의 이온 수 = M x V 2) pH + pOH = 14 3) pH와 [H3O+] 관계 pH 1감소 ⇒ [H3O+] 10배 증가 pH 관련 문항은 위의 "3가지 개념"으로만

화학1 4단원 pH 기출 문항(2021학년도 9~수능)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용선생입니다. 이어서, "2021학년도 9월~수능"에서 출제된 pH 문항을 다뤄보겠습니다. [관련 포스팅] https://blog.naver.com/sayong99/222831348953 화학1 4단원 pH농도 계산(feat. pOH, 기출문항 필수 개념) 안녕하세요. 용선생입니다. 오늘은 드디어, 많은, 수험생들이 화학 1에서 어려움을 겪는 "pH"에... blog.naver.com https://blog.naver.com/sayong99/222878757537 화학1 4단원 pH 기출 문항 (2022학년도 3~9월) 안녕하세요. 용선생입니다. 오늘의 포스팅에선 pH 농도에 대한 개념을 바탕으로 https://blog.naver.com/s... blog.naver.com https://blog.naver.com/sayong99/222881375260 화학1 4단원 pH 기출 문항 (2021학년도 3~7월) 안녕하세요. 용선생입니다. 지난 포스팅에 이어서 pH 관련 "2

화학1 3단원 2022학년도 기출 문항 풀이 (feat. 3~9월)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용선생입니다. 좀 있으면, 2학기 중간고사가.. ㄷㄷ 어쩌다 1등급을 이용하는 수험생들이 좋은 성적을 얻을 수 있도록, 이번 포스팅에서는 2학기 중간고사 메인 단원인 "3단원 관련 기출 문항"을 정리해 보는 시간을 갖겠습니다. "3점" 짜리 문항을 위주로 정확하면서도, 빠르게 문제를 풀 수 있도록 풀이 방법을 설명하겠습니다. 최근, 2022학년 모의고사 문제를 같이 풀어보시죠 ㄱㄱ 2022학년도 화학1 9월 모의고사 자료에 비공유 전자쌍이 있으면 비공유 전자쌍을 포함하는 원자 15, 16, 17족 원소를 위주로 알아보면 됩니다. (2주기 중 N, O, F) N, O, F 중 비공유 - 공유 = 2 인 원소는 O2 X = O (다)를 보면, 비공유 - 공유 = 6 상대적으로 비공유전자쌍이 공유전자쌍에 비해 많은 원자들로 구성되었다는 걸 알 수 있습니다. F이 포함되어 있을 수밖에 없다는 것이지요. OF2 면 딱 들어맞는군요. (비공유 : 8, 공유 : 2) C, N, O,

화학1 3단원 2021학년도 기출 문항 풀이 (feat. 3~7월)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용선생입니다. 지난, 포스팅에 이어서 중간고사 대비 화학1 "3단원 2021학년도 기출 문항"을 풀어보겠습니다. 기출 문항을 계속해서 풀다 보면, 문제 유형과 나오는 분자가 계속 반복되는 것을 알 수 있지요. 이전 포스팅에서 주요 분자들을 계속해서 반복적으로 다루었으니, 이번엔 수험생분들이 어느 정도 분자 구조에 대해 숙달되었다는 가정하에 더욱 간단히 풀이해 볼까요? "2022학년도 기출 문항 포스팅"을 먼저 보고 오시길 추천! https://blog.naver.com/sayong99/222876041335 화학1 3단원 2022학년도 기출 문항 풀이 (feat. 3~9월) 안녕하세요. 용선생입니다. 좀 있으면, 2학기 중간고사가.. ㄷㄷ 어쩌다 1등급을 이용하는 수험생들이 좋은... blog.naver.com 바로 가보시죠! 2021학년도 화학1 3월 모의고사 훗, 이 정도 자료면 문제를 보지 않더라도 (가)~(다)에 해당하는 분자가 바로 튀어나와야겠지요? (가) :

화학1 중화반응 양적 관계 2편 (feat. 양이온, 음이온의 수식 관계)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용선생입니다~ 산 염기 중화반응의 양적 관계 "팁"을 블로그를 통해 어떤 식으로 전달해야 수험생들에게 도움이 될까 고심하다보니... 포스팅이 조금 늦어졌습니다. 사실, 중화반응 양적 관계는 굳이 수험생들이 인터넷으로 정보를 검색할 일이 없기 때문에 저에게 딱히, 득이 될 일은 없지만.. (흐규ㅇ.ㅇ) 누군가는 블로그를 통해 꼭 "꿀"을 냠냠할 수 있도록 "단계별"로 중요한 팁을 전수해볼까 합니다. 우선, 오늘의 포스팅을 보기에 앞서 중화반응과 관련된 기초적인 개념을 위해 다음의 포스팅은 보고 오시길 추천드립니다. (중화반응 양적 관계는 순차적인 이해가 중요합니당.) "중화 반응의 정의" https://blog.naver.com/sayong99/222847618023 화학1 중화 반응의 정의(feat. 수소이온(H+)과 H3O+ 차이점) 안녕하세요. 용선생입니다. 지난, 포스팅에서 "산과 염기의 정의"에 대해 심층 분석을 했었지요.... blog.naver.com "산 염

수험생의 화학 질문방 "댓글 참여"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용선생입니다. 4월 말부터 시작하여 어느덧, 블로그를 운영한지 "반년" 가까이 되어가는 중입니다. 제자들 중 많은 화포자들을 보았기에.. 처음 시작 당시에는 수험생이라면, 누구라도 도움이 되었으면 하는 마음으로 시작했던 블로그가 하루 방문자 "2000명"을 향해 달려가고 있습니다. (성장해꾼.. 짝짝~) 최근, 나름의 "온라인 제자"들이 증가하고 있는데.. 얼굴은 모를지라도.. ㅇ.ㅇ 마음만 통하면 되는 거 아니겠소..?! 딱히, 질문방이 없어 그런지 게시글을 통해 이런저런 질문을 하는 수험생분들이 많다는 것을 느꼈습니다. 앞으로, 고등학교 화학에서 "궁금한 점"이나 고등학교 생활과 관련하여 "어떠한 주제"든 (정신연령 고등학생과 비슷함.) 이 게시글의 "댓글"을 통해 질문을 달아주시면, 재가 알고 있는 지식 선에서는 "성심성의껏 답변"을 드리겠습니다. 누군가의 궁금한 점은 또 다른 누군가가 궁금해하는 부분이기에 수험생들과의 "질의응답"은 이후, 저 또한 화학 수업을 진

화학1 모의고사 대비 필수 개념 5분 만에 정리하기. (feat. 시간 단축 )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용선생입니다. 이틀 뒤 "9월 전국연합학력평가" 시험이 실시됩니다. 많은 재수생도 함께하는 시험이기에, 꽤나 부담이 되는 모의고사이지요. 오늘은, 모의고사를 보기 전 화학1에서 정리해 봐야 할 내용에 대해 다뤄보겠습니다. 화학1은 어느 정도 공부가 된 학생이라면 느끼겠지만, 유독 시간과의 싸움이 치열한 과목이지요. 정확하고 빠르게 문항을 풀어나가는 연습이 굉장히 중요합니다. 시간 단축과 실수 방지에 도움이 될 만한 "관련 개념"에 대해 정리해 보았습니다. 쭉, 훑어보면 "5분" 정도 소요될 것 같습니다. 함께 보시죠 ㄱㄱ 1단원 화학과 실생활, 탄소화합물 식량, 비료 관련 내용 → 암모니아(NH3)로 바로 직역 수용액 속 산성 물질 → 아세트산(CH3COOH) 에탄올(C2H5OH) 발효 → 아세트산(CH3COOH) 생성 이 외의 기본적인 내용은 당연히 알고 있어야 함. 1~2번에 나오는 기초 문항으로 10초 안에 풀 수 있어야 합니다. 원자의 구성 입자 원자번호 = 양성

2023학년도 화학1 고3 9월 모의고사 17, 18, 19, 20번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용선생입니다. 시험은 잘 보셨나요??~ 아직, 해설이 업로드되지 않아서 급하게 풀던 시험지로 간단히, 풀이를 해볼까 합니다. (추후, 다시 업로드할 예정) 가시죠ㄱㄱ 2023학년도 9월 화학1, 17번 17번 문항인지라 식초에 포함된 아세트산(CH3COOH)을 이용해 한번 꼬긴 했지만, 블로그에서 포스팅 한대로 풀어나가면 크게 문제없었습니다. 정답 : 4번 2023학년도 9월 모의고사 화학1, 18번 이번 모의고사에선, "단위 부피 당 원자 수"의 표현이 나왔군요. 정의대로 차분히 써나갔다면 크게 어려울 건 없었습니다. 굳이 수식으로 쓰지 않아도, (가)에서 5원자 분자 X의 단위 부피당 원자 수가 5이고 (나)에서 단위 부피당 원자 수가 4이므로, X(5원자 분자)와 Y(3원자 분자)가 반반 있어야, 4가 들어맞을 거란 느낌이 옵니다. 풀이는 빨간색 → 파란색 순서로! 정답 : 5번 2023학년도 9월 모의고사 화학1, 19번 (가)는 산성 용액이기 때문에, 구경꾼 이

2023학년도 화학1 고3 9월 모의고사 11, 13, 14, 15,16번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용선생입니다. "9월 모의고사 17~20번"에 이어서 https://blog.naver.com/sayong99/222863402875 2023학년도 화학1 고3 9월 모의고사 17, 18, 19, 20번 안녕하세요. 용선생입니다. 시험은 잘 보셨나요??~ 아직, 해설이 업로드되지 않아서 급하게 풀던 시험지로 ... blog.naver.com "준 킬러 문항"들을 다루어보겠습니다. (11, 13, 14, 15,16번) 2023학년도 9월 화학1, 11번 오비탈에 대한 표현이 애매하기도 하고 생소하기도 해서 나름 애먹었습니다. 실상 문제는 별거 없었네요.. 은 2주기 원소 중 2s 또는 2p에 들어 있는, 전자 수를 나타낸 것이군요. 에 해당하는 원소를 기준으로 의 상대값과 일치하는 원소를 찾아주면 간단하게 나오는 걸 알 수 있습니다. 2023학년도 9월 화학1, 13번 모의고사 관련 개념 5분 정리 포스팅에서, 산화 환원 반응은 한번 정리해 두는 것이 좋다고 하였습니다.

화학1 중화반응 양적 관계 1편 (feat. 용액 속 이온의 수 구하기)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용선생입니다. 이번 편부터 본격적으로 "산염기 중화반응의 양적 관계" 를 다루어 볼까 합니다. 산염기 양적 관계는 1단원 화학반응식 양적 관계와 더불어 화학1에서 가장 어려운 "대표적인 킬러 문항" 중 하나랍니다. 위의, 두 문항은 수능과 모의고사 19~20번 단골 문항이지요. 최근, 2가 산과 2가 염기의 산염기 중화 반응을 위주로 기출 문항이 출제되면서 전반적으로 난이도가 더욱 올라갔습니다.. But 용선생은 개인적으로는 1단원 양적 관계 문항보다는 4단원 중화반응 양적 관계가 좀 더 할.만.하.다. 라고 생각합니다. 기본적인 개념을 충실히 하면, 출제 유형이 그렇게까지 새롭지는 않기 때문이지요. (풀다 보면 거기서 거기라는..) 오늘은 중화반응 기출 문항에 있어서 가장 기본적인 개념이 되면서도 필수로 익혀야 할 "중화반응 속 각 용액의 이온 수 구하기" 에 대해 포스팅해 보겠습니다. "관련 포스팅" 중화반응의 정의 https://blog.naver.com/sayon

화학1 중화 반응의 정의(feat. 수소이온(H+)과 H3O+ 차이점)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용선생입니다. 지난, 포스팅에서 "산과 염기의 정의"에 대해 심층 분석을 했었지요. https://blog.naver.com/sayong99/222839442788 화학1 아레니우스, 브뢴스테드 로우리, 루이스 산염기 정의 및 차이점 분석 안녕하세요~ 용선생이 "4단원 산과 염기"로 찾아왔습니다. 화학1 4단원 산 염기 양적 관계는 기... blog.naver.com 오늘은 "중화 반응" 에 대해 기본적인 개념을 알아볼까 합니다. 하나 더! 중화반응에 대해 알아보기 전에 평소 수험생들이 궁금해할 법한 수소 이온(H+)과 하이드로늄 이온(H3O+)의 (같은 놈인거 같으면서도, 다른 놈인..) 두 이온의 "차이점"에 대해 알아보는 시간도 갖겠습니다. 가보시죠! [목차] 1. 수소 이온(H+)과 하이드로늄 이온(H3O+)의 차이점. 2. 중화 반응의 정의 수소 이온과 하이드로늄 이온의 차이점. 수소 이온과 하이드로늄 이온의 "루이스 구조"를 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구조를 보면

화학1 중화적정 실험 기출문항 분석 (feat. 문제풀이 팁)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용선생입니다. 최근, 개학으로 인해 포스팅이 좀 늦어지고 있습니다.. 정신차리라잇!! ㅇ.ㅇ 용액의 농도와 관련한 마지막 포스팅인 "중화적정 실험"에 대해 분석하는 시간입니다. 관련 포스팅 "몰농도 정의 및 용질의 몰 수 구하기" https://blog.naver.com/sayong99/222808756185 화학1 몰 농도 정의 및 용질의 몰 수 안녕하세요. 용선생입니다. 이번 포스팅의 주제는 "용액의 농도"를 다루어 보겠습니다. (몰 농도... blog.naver.com "표준용액 기출문항 완벽 분석" https://blog.naver.com/sayong99/222842355207 화학1 몰농도, 표준용액 기출문항 완벽 분석(feat. 문제풀이 팁) 안녕하세요. 용선생입니다. 지난, 포스팅에서 몰농도에 대한 "필수 개념"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blog.naver.com 중화적정 기출문항은 모의고사, 수능에서 한 문제씩은 반드시 나오는 대표적인 기출 문항 중 하나

화학1 몰농도, 표준용액 기출문항 완벽 분석(feat. 문제풀이 팁)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용선생입니다. 지난, 포스팅에서 몰농도에 대한 "필수 개념"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몰농도 정의 및 용질의 몰수 구하기" https://blog.naver.com/sayong99/222808756185 화학1 몰 농도 정의 및 용질의 몰 수 안녕하세요. 용선생입니다. 이번 포스팅의 주제는 "용액의 농도"를 다루어 보겠습니다. (몰 농도... blog.naver.com "퍼센트농도 및 몰농도의 단위변환" https://blog.naver.com/sayong99/222809625920 화학1 퍼센트농도 정의 및 몰농도 퍼센트 농도 단위 변환 안녕하세요. 용선생입니다. 지난 포스팅에서 "몰농도에 대한 정의"와 문제풀이를 위한 "몰 ... blog.naver.com 오늘은, 수능, 모의고사 기출문항에 자주 출제되는 농도가 일정한 표준용액의 "농도"를 구하는 문항에 대해 마스터해 보는 시간을 갖겠습니다. 표준 용액과 관련된 문항은 표준용액을 만드는 "근본적인 이유"에 대해 알고

제주도 한림 흑돼지 가성비 최고 맛집(feat. 한림항 정육마트) [내부링크]

"본 포스팅은 광고성 글이 아닙니다." (내 돈 내고 내가 처먹 처먹한 솔직 후기입니다.) 안녕하세요. 용선생은 현재, 제주도 처갓집에 머무르고 있습니다. 평소에 단백질에 환장한 나이기에.. 장인어른과 장모님 덕에 현지인들이 주로 가는 가성비 끝판왕 정육식당을 다녀왔습니다. 가격과 맛에서 가성비가 너무 좋은지라.. 처음으로 맛집 블로그를 써봅니다. 어차피, 맛집 블로거도 아니거니와 제대로 솔직한 후기입니당. 우선, "취향 차이"가 분명 존재하는 고깃집이라는 점부터 말씀드리고 소개하겠습니다. 오리지널 삼겹살에 소주쟁이들 강추 ㄱㄱ 한림항 정육마트 식당 (가성비와 맛으로 승부한다.) 데이트 감성 그딴 거 없음. 주소 : 제주시 한림읍 한림로19길 13 (골목에 위치) 주차 : 가게 앞에 주차하긴 힘들고.. 바로 앞에 항구라 큰 무리 없이 주차 가능. 전화번호 : 064-796-5750 (예약은 따로 안 받는 듯) 영업시간 : 월~금 (10:00~21:00) 정기휴무 : 매달 2, 4,

제로칼로리 음료 제로콜라는 부작용이 있을까??(feat. 아스파탐과 설탕)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용선생이 "알면 좋은 화학 상식" 으로 찾아왔습니다. 오늘의 주제는 일명 다이어트 음료라 불리는 "제로칼로리 음료" "제로 콜라" 저도, 평소 탄산음료가 땡길 때, 주로 먹는 음료랍니다. 제로칼로리 음료의 핵심 원료는..?? "아스파탐" "아세설팜칼륨" 설탕의 약 200배 이상의 단맛을 낸다고 하지요. 나이가 좀 있는 분들 중 간혹, 무조건 적으로 제로칼로리 음료는 몸에 해롭다는 인식이 박혀있는데.. 과연, 제로칼로리 음료는 몸에 해로운 "부작용"이 있는지, 화학도라면 논리적으로 분석해 봐야겠지요??! 알아보시죠 ㄱㄱ [목차] 1. 제로칼로리 음료와 일반 탄산음료 2. 아스파탐과 아세설팜칼륨 3. 제로칼로리 음료의 부작용은? 제로 칼로리 음료와 일반 탄산음료 우리가, 제로 칼로리 음료를 먹는 주된 이유는 바로 "다이어트" 때문이지요. 식약 의약품 안전처의 기준으로 100mL 당 4kcal 이하인, 식품들은 열량이 매우 적기에 "0kcal"로 표기하는 걸 허용한답니다. (

화학1 1단원 기체의 밀도와 분자량 (feat. 단위 부피당 질량)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용선생입니다~ 오늘은 화학1 화학식량과 양적 관계 개념에 관한 마지막 포스팅 "밀도"에 관해 이야기해 보겠습니다. 어느덧, 화학식량과 관련한 포스팅이 5개나 되는군요... 1편 : 아보가드로수와 몰(mol) https://blog.naver.com/sayong99/222828660044 화학1 1단원 아보가드로수, 몰(mol) (feat. 양적관계 기초개념 익히기) 안녕하세요. 용선생입니다. "1단원"으로 다시 찾아왔습니다. 블로그를 처음 시작할 때, 수험생들... blog.naver.com 2편 : 원자량 정의 https://blog.naver.com/sayong99/222830203207 화학1 1단원 원자량 정의(feat. 필수 암기 원자량 H, N, C, O, F) 안녕하세요. 화학1에 첫 입문하는 수험생들을 위해, 용선생이 오늘도, 찾아왔습니다. 지난 포스팅에서 &quo... blog.naver.com 3편 : 분자량과 몰질량 https://blog.naver.

화학1 화학 반응식 반응 계수 쉽게 완성하기 (feat. 미정계수법)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용선생입니다. 오늘은, 화학반응식에서 가장 기본이 되는 "계수 맞추기"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복잡한 화학반응식이 나오면, 수험생분들이 은근..? 헷갈려 하는 단원이기도 하지요. 오늘, 포스팅으로 누구나 쉽게 화학 반응식을 완.성.할 수 있도록 하겠습니다. [목차] 1. 화학반응식의 정의 2. 반응계수 간단히 구하는 법 3. 미정계수법이란..? 가볼까요?? 화학반응식의 정의 화학 반응식이란, 어떠한 물질들이 화학적 반응을 일으킬 때, 반응하는 물질(반응물)과 생성되는 물질(생성물) 사이의 관계를 "화학식"과 "기호"를 이용하여 알아보기 쉽도록 "나타낸 식"을 얘기합니다. 1615년에 장 베갱이란 프랑스 화학자에 의해 최초로 도입되었다고 합니다. 화학 반응식을 어떻게 식으로, 표현하는지 볼까요?? 화살표를 기준으로 왼쪽은 반응물, 오른쪽은 생성물입니다. a, b, c, d는 반응 계수이고, s, l, g, aq는 각각의 물질의 상태를 나타냅니다. 위의 식을 말로 표현하면.

화학1 1단원 아보가드로법칙과 mole (feat. 이상기체방정식)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용선생입니다. 최근, 블로그를 운영하면서 여름방학을 통해 화학1을 "미리"공부하는 학생들이 굉장히 많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습니다. 많은 수험생들이 이웃 신청을 해주어서 감사할 따름입니다 ㅎ.ㅎ 저 또한, 동기부여가 되어 양질의 포스팅을 쭉! 진행하겠씁니다. 이웃 여러분 모두 감사해용! 화학식량 양적 관계 포스팅을 기초부터 하나하나 다루다 보니... 점점, 포스팅이 길어지고 있습니다.. ㅋ.ㅋ 양적 관계 포스팅 "총 4편"을 통해 "몰, 아보가드로수, 원자량, 분자량, 질량" 등 화학에서 가장 기본적인 "양"들의 관계를 분석해 봤습니다. 1편. "아보가드로수, 몰" https://blog.naver.com/sayong99/222828660044 2편. "원자량 정의와 필수 암기 원자량" https://blog.naver.com/sayong99/222830203207 3편. "분자량과 몰질량 (1g 분자, 원자 수) https://blog.naver.com/sayong99/

화학1 4단원 산화 환원 반응 (feat. 철의 제련 반응)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용선생입니다. 꽤나 어려웠던, "pH의 포스팅"이 끝났습니다. https://blog.naver.com/sayong99/222831348953 화학1 4단원 pH농도 계산(feat. pOH, 기출문항 필수 개념) 안녕하세요. 용선생입니다. 오늘은 드디어, 많은, 수험생들이 화학 1에서 어려움을 겪는 "pH"에... blog.naver.com 이번 포스팅의 주제는 "산화 환원 반응"입니다. 화학1 4단원 기출 문항에 "산화 환원 반응 계수"문항이 항상 출제가 되지요?? 과거에 양적 관계 문항으로 인해 꽤나 어려운 킬러 단원 중 하나였지만.. 최근, 산화 환원 양적관계 문항이 나오지 않게 되면서, "거저먹을 수 있는 단원" 이 되었습니다. 오늘의 "메인 주제"는 1) 산화 환원 반응의 정의 2) 실생활 속 산화 환원 반응 (철의 제련, 철의 부식 반응) 산화 환원에 대한 기초적인 내용이므로, 통합과학을 공부하는 학생들도 깊이 있게 공부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당. 에 대

화학1 4단원 pH농도 계산(feat. pOH, 기출문항 필수 개념)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용선생입니다. 오늘은 드디어, 많은, 수험생들이 화학 1에서 어려움을 겪는 "pH"에 대해 "완벽 분석" 하는 시간입니다! "pH"에 대해 정확히 이해하기 위해선, 이전 "물의 자동 이온화에 대한 개념"이 굉장히 중요하니, 반드시 숙지하시고 포스팅을 보는 걸 추천드립니다. https://blog.naver.com/sayong99/222829431046 화학1 4단원 물의자동이온화 (feat. 물의 이온화상수 (Kw), H3O+) 안녕하세요. 용선생입니다. 드디어, 4단원 메인 단원 중 하나인 "pH(수소 이온 농도 지수)" 에 ... blog.naver.com 오늘의 포스팅에선 "pH농도 정의" "문제 풀이를 위한 필수 개념" "기출문제 적용" 이렇게, 단계별로 진행하겠습니다. 바로 가볼까요??~ pH농도, pOH농도 pH 농도 "pH"란?? 수용액 (aq) 속, 하이드로늄 이온 [H3O+]의 농도를 "간단한 수치"로 파악하는 방법입니다. 수식으론, 다음과 같이 나타냅니

화학1 1단원 분자량, 몰질량 (feat. 1g에 들어 있는 분자, 원자)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용선생입니다. 지난 포스팅 "원자량"에 이어서, https://blog.naver.com/sayong99/222830203207 화학1 1단원 원자량 정의(feat. 필수 암기 원자량 H, N, C, O, F) 안녕하세요. 화학1에 첫 입문하는 수험생들을 위해, 용선생이 오늘도, 찾아왔습니다. 지난 포스팅에서 &quo... blog.naver.com 오늘은 1. "분자량"과 "몰질량"에 대한 정의 2. "1g에 들어 있는 분자, 원자 수" 기출문항에서 자주 나오는 표현 3. "수험생이 알아야 할 분자량" 이렇게, 알아보는 시간을 갖겠습니다. 그럼, 바로 가볼까요?? 분자량(M)의 정의와 몰질량 분자량(M) 이전 포스팅에서 원자량에 대해 충분히 설명 했기에, 분자량에 대한 정의는 딱히, 뭐가 없답니다. "분자량"이란, 분자를 구성하는 원자들의 "원자량의 합" 을 나타낸답니다. 임의의 기호로는 보통 "M"으로 나타낸답니다. 원자량은 C기준 원자의 상대적 무게였으니, 분자량은

화학1 1단원 화학식량, mole, 질량 관계(feat. 질량비, m=w/n)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용선생입니다. 최근, 방학을 이용해 부지런히 포스팅 중인데, 많은 수험생분들이 블로그에 함께 하여서 매.우. 기분이 좋다는.. ㅎ.ㅎ (화학이 아니어도, 궁금한 부분은 무엇이든 편하게 비밀 댓글 달아주면, 친절히 답변해드립니당.) 오늘은, 화학식량 양적 관계의 마지막인 "질량과 부피, 밀도"에 관해 알아보는 시간입니다. 총 3편의 포스팅에 걸쳐 "몰수, 원자량, 분자량, 몰 질량"에 대해 알아봤습니다. 모두 열심히 따라오셨나요?? ㅋ.ㅋ https://blog.naver.com/sayong99/222828660044 화학1 1단원 아보가드로수, 몰(mol) (feat. 양적관계 기초개념 익히기) 안녕하세요. 용선생입니다. "1단원"으로 다시 찾아왔습니다. 블로그를 처음 시작할 때, 수험생들... blog.naver.com https://blog.naver.com/sayong99/222830203207 화학1 1단원 원자량 정의(feat. 필수 암기 원자량 H, N, C,

화학1 4단원 동적평형 (feat. 상평형)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용선생입니다. 지난 포스팅에서 "가역 반응"과 "비가역 반응" 에 대해 가볍게 다뤘습니다. https://blog.naver.com/sayong99/222827427979 화학1 4단원 가역반응, 비가역반응(feat. 정반응, 역반응, 염화코발트) 안녕하세요~ 용선생이 4단원으로 찾아왔습니다. 여기까지 온 수험생들의 "끈기"에 박수를 보내드... blog.naver.com 오늘은 가역반응 중 "동적 평형"상태에 대해 분석해 볼 시간입니당. 화학1 단원 중 가볍게 볼 수 있는 단원 중 하나이지만, 기출 문항에 "1문제" 씩 꼭 나오니 한 번쯤은 제대로 알아두어야 합니다! 이번 포스팅에서 "동적 평형" 중 "상평형"에 대해 알아보고, 기출 문항에서는 어떤 식으로 나오는지 같이 보겠습니다. 동적 평형 "동적 평형" 이란 "움직이는 상태"(반응이 일어나고 있는 상태)이지만, 변화가 없는 것 같은 상태 즉, 외부에서 보기엔 "평형 상태"로 보이는 것을 얘기합니다. 무슨 얘긴고..

화학1 1단원 원자량 정의(feat. 필수 암기 원자량 H, N, C, O, F)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화학1에 첫 입문하는 수험생들을 위해, 용선생이 오늘도, 찾아왔습니다. 지난 포스팅에서 "아보가드로 수"와 "몰(mol)"에 대한 기초 개념에 대해 알아봤습니다. https://blog.naver.com/sayong99/222828660044 화학1 1단원 아보가드로수, 몰(mol) (feat. 양적관계 기초개념 익히기) 안녕하세요. 용선생입니다. "1단원"으로 다시 찾아왔습니다. 블로그를 처음 시작할 때, 수험생들... blog.naver.com 오늘은 이어서, 화학의 양적 관계에서 기본이 되는 "원자량" 과 화학1 수험생이라면 기본적으로 반. 드. 시. 알아야 할 "필수 원소의 원자량" 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본론으로 바로 시작하겠습니다. 빨리 시작하라우!! 원자량의 정의 원자량을 알기에 앞서, 우선 화학에서 "원소 기호"를 나타내는 방법을 볼까요?? "탄소(C)" 를 예로 보겠습니다. 그림과 같이, 원소기호를 기준으로 왼쪽 아래 : 원자번호 왼쪽 위 : 질량수 오

화학1 4단원 가역반응, 비가역반응(feat. 정반응, 역반응, 염화코발트)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용선생이 4단원으로 찾아왔습니다. 여기까지 온 수험생들의 "끈기"에 박수를 보내드립니당. 이쯤 오면, 수험생 중 화포자가 10명 중 6~7명은 되는데, 포기하지 않고 왔다는 건..??! 20대 성인이 되어 앞으로 무슨 일이 해도 될. 놈. 될 의 자세를 갖추었다는 것이지요! 훗!! 관련 직종이 아닌 이상, 사실 인생에서 화학이 뭐 얼마나 중요하겠습니까?! (H2O가 뭔지 몰라도 사는 데는 아무 지장 없습니당.) 중요한 건..??! 어렵고, 하기 싫은 공부 -> 포기하지 않는 끈기, 인내심 -> 성인이 되어서도, 포기하지 않는 자세 -> 뭘 해도 될. 놈. 될. 앞으로 살아가는데, 요러한 "기본 요소"를 갖추었다는 것이 "인생을 1등급"으로 만드는데, 더욱 중요한 것이지요. 후후.. (박수를 보냅니당. 짝짝~) 자, 그럼 오늘은 4단원에서 가벼운 마음으로 다룰 수 있는 "가역 반응"과 "비가역 반응" 에 대해 알아볼까요??~ 가역 반응과 비가역 반응 가역반응을 배우기 전

화학1 1단원 아보가드로수, 몰(mol) (feat. 양적관계 기초개념 익히기)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용선생입니다. "1단원"으로 다시 찾아왔습니다. 블로그를 처음 시작할 때, 수험생들이 1단원 기출 문항에서 어려운 부분만 짚어서 포스팅을 하였는데... 화학1을 처음 시작하는 많은 수험생분들이 1단원에서 굉장한 어려움을 느끼고 있다는 사실에, 기초부터 차근차근 "화학식량 양적 관계"에 대해 포스팅해볼 계획입니다. 화학1은 1~4단원 중 "1단원이 가장 어려운 단원"이랍니당. 수능에서 가장 어려운 킬러 문항도 1단원에서 보통 2문항 정도 출제되지요. (이 2문제를 맞히기 위해, 시작부터 모든 체력을 써가며, 좌절할 필요 전혀 없음.) 무슨 얘긴고 하니, 화학1을 처음 공부하는 과정에서 1단원 양적 관계를 한 번에 100% "이해"할 필요가 "없다는 것"입니당. (50~70%만 이해해도 충분!) 3단원까지 쭉, 공부하고 난 후 4단원에 들어가기 전에 다시 한번 되돌아와서 기존에 이해 못 했던 부분을 위주로 조금씩 메꿔가면 됩니다.. 모두가 어려워하는 단원이니, 천천히 단계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