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nbiz88의 등록된 링크

 snbiz88로 등록된 네이버 블로그 포스트 수는 114건입니다.

10월 7일 수입산 환봉 입항 완료 및 하역작업 [내부링크]

국가 간 국제 화물 운송. 특히 벌크선을 기반으로 한 해상 운송...... 대란이라는 말이 실감 나는 요즘이다. 힘들게 힘들게~~한 달 30일이 소요되어 수입 철강 환봉이 입항하여 하역 작업을 하고 있다. 하역 작업 중인 벌크선 하역작업 완료된 수입 환봉 지게차가 분주히 움직이며 제품을 적재하고 있다. 이번에 수입된 수입 완봉은 재질별로는 S20C, S45C, SCM420, SCM440이며, 제조 방법에 의한 구분으로는 열연 압연 완봉, 단조강 등으로 구분이 된다... 그리고, 제조사는 영강 제품으로 통일하였다.. 다양한 굵기의 수입환봉 제품 하역 적재된 수입 환봉 scm440재질의 단조강 환봉 대금 결재가 이루어지고, BL이 도착하면 통관작업을 하여 각기 주문처로 운송이 이루어 질 것이다. 환율이 너무 올라 수입에 애로 사항이 많아지고 있다... 그렀지만 이또한 지나가리라는 생각으로 마음을 다 잡아본다...

湖南华菱钢铁股份有限公司 [내부링크]

우리에게 상담강철로 잘 알려진 호남화릉강철그룹을 소개합니다. 1997년 말 상강/연강/형강 3대 철강기업 연합으로 구성된 대기업으로, 와이드보드/냉열압연박판/무봉강관/선봉재 등 제품을 생산하는 기업이다. 후난화링철강주식유한공사(이하 화링철강)는 후난화링철강그룹유한책임공사가 주축이 되어, 연합창사광야연구원 등의 기관과, 호남성 인민정부가 공동으로 발기하여 후난화링철강그룹유한책임회사을 설립하였다. 1999년 8월에 심천교역소에 상장하였다. 화링강철은 출시 이후 '심도깊은 업무, 지역주도, 반보 앞서기'라는 마케팅 전략을 고수하고 있다.'무결함 품질관리 구축' 지속이익 생산 체계, 통합 제품 연구개발에 기초한 매출 일체화 체계 및 정보화를 뒷받침하는 마케팅 서비스 체계"를 확립하고, 전문화된 생산 구도와 원가 통제 지원 하에서의 차별화된 발전 전략을 견지·추진하며, 세분화된 시장에서 제품의 가치를 높여 강재 제조사로 자리매김 한다. "고객의 가치를 추구하는 강재제품 종합 서비스 사업자"로

포항제철과 중국 철강사와의 비교 [내부링크]

WSD(World Steel Dynamics)는 올해 11월 세계 철강사 경쟁력 순위 최신호를 발표했다. 대한민국 포항이 12년 연속 글로벌 철강사 경쟁력 1위를 이어가고 있다. WSD(World Steel Dynamics)는 올해 11월 세계 철강사 경쟁력 순위 최신호를 발표했다. 대한민국 포항이 12년 연속 글로벌 철강사 경쟁력 1위를 이어가고 있다. 지난해와 비교하면 올해 세계 철강사 경쟁력 순위에 진입한 기업은 총 35개사로 그 수와 기업 자체는 변함이 없지만 순위가 크게 바뀌었다. WSD는 보고서에서 이들 35개 철강사의 전반적인 재무 성과가 전례 없는 수준으로 글로벌 수요 개선과 철강 가격 상승을 반영한다고 밝혔다. 35개 기업 중 17개 기업이 EBITDA 대비 순부채 비율이 0.5 미만이고 그 중 23개 기업이 1.0 이하입니다. 반면에 "확장" 모드에 있는 회사의 수는 WSD가 이러한 순위를 게시하기 시작한 이후 최저라고 할 수 있습니다. 이는 의심할 여지 없이 글로

강관의 역사와 제작 공정 [내부링크]

심레스파이프와 용접관의 유래 강관은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는 길고 속이 빈 관입니다. 그들은 용접 또는 이음매없는 파이프를 만드는 두 가지 별개의 방법으로 생산됩니다. 두 가지 방법 모두에서 원강은 먼저 보다 작업 가능한 시작 형태로 주조됩니다. 그런 다음 강철을 이음매 없는 튜브로 늘리거나 가장자리를 강제로 연결하고 용접으로 밀봉하여 파이프로 만듭니다. 강관을 생산하는 최초의 방법은 1800년대 초에 도입되었으며 오늘날 우리가 사용하는 현대적인 공정으로 꾸준히 발전해 왔습니다. 매년 수백만 톤의 강관이 생산됩니다. 다용도성으로 인해 철강 산업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제품입니다. 강관은 다양한 장소에서 발견됩니다. 그들은 강하기 때문에 도시와 마을 전체에 물과 가스를 수송하기 위해 지하에서 사용됩니다. 그들은 또한 전선을 보호하기 위해 건설에 사용됩니다. 강관은 강하지만 가벼울 수도 있습니다. 따라서 자전거 프레임 제조에 사용하기에 적합합니다. 자동차, 냉동 장치, 난방 및 배관 시스

공칭파이프 크기(NPS)와 Schedule [내부링크]

NPS(Nominal Pipe Size)는 고압 또는 저압 및 온도에 사용되는 파이프의 북미 표준 크기 세트입니다. 공칭파이프 크기(NPS)와 스케줄(Schedule) NPS(Nominal Pipe Size)는 고압 또는 저압 및 온도에 사용되는 파이프의 북미 표준 크기 세트입니다. 공칭 파이프 크기는 파이프의 외경(OD)만을 의미하므로 다소 모호합니다. 예를 들어 파이프 사이즈를 2NPS라고 하면 벽두께와 내경에 관계없이 외경이 2.375인치(또는 60.3mm)인 모든 파이프를 의미합니다. 특정 파이프는 파이프 직경과 스케줄(SCH)이라고 하는 벽 두께에 대한 다른 무차원 숫자로 식별됩니다. 파이프 일람표는 파이프 벽 두께를 설정합니다. 파이프의 벽 두께를 늘리면 파이프의 기계적 강도가 증가하여 더 높은 설계 압력을 처리할 수 있습니다. 공칭 보어(NB) 및 공칭 지름(DN)이라는 용어는 또한 공칭 파이프 크기(NPS)와 같은 의미로 자주 사용됩니다. 공칭 보어(NB)는 NPS와

스테인리스강 종류와 비교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스틸토피아 입니다 :) 오늘은 스테인리스강의 종류와 성질 그리고 각 종류별의 용도를 포스팅 해보려고 합니다. 스테인레스 강은 실제로 다양한 철강 유형을 나타내는 일반적인 용어입니다. 다른 모든 종류의 강철과 마찬가지로 스테인리스는 주로 철과 탄소로 2단계 공정으로 만들어집니다. 스테인리스강을 차별화하는 것은 크롬(Cr) 및 니켈(Ni)과 같은 기타 합금 원소를 첨가하여 부식 방지 제품을 만드는 것입니다. 강철을 만드는 데 사용되는 금속인 철은 다른 원소와 결합하여 자연적으로 발생하기 때문에 강철이 부식됩니다. 철광석을 인공적으로 순수한 형태로 가공하여 강철을 만들면 불안정해지며 쉽게 산소와 재결합합니다. 강철에 크롬을 첨가하면 산화크롬이 형성되어 일반 강철과 같이 공기와 습기가 녹을 발생시키지 않도록 보호하는 표면 역할을 합니다. 크롬은 강철이 사용되는 용도나 환경에 따라 10.5~30% 범위의 양으로 첨가됩니다. 스테인리스 스틸에는 100가지 이상의 다양한 등급이 있지

STS(일본명 SUS)303 환봉 수입하는 날 [내부링크]

수입 제품은 타이위안강철(태원강철. TISCO)의 STS 303 계열의 환봉(봉강)입니다. 참고로 국내에서는 대만산 왁신제품. 인도 비라주 제품이 많이 수입되고 있습니다. 이번 수입제품은 중국 내 스테인레스 1위의 회사이며, 연간 생산량이 450만톤으로 알려져있습니다. 비록 적은 양이지만 철강 제품군의 확대에 더 큰 의미을 두고 있습니다. 중국 파트너사 입고 사진 컨테이너 선적을 위해 이동하고 있는 사진 컨테이너 개방 당시 사진 수입 구경은 25, 38, 80파이 입니다. 표장은 원래 하얀 천으로 포장을 하려했으나 가공하여 사용하는 제품이라 원가절감의 차원에서 수입사에 양해를 구하고 천 포장없이 수입하였습니다. 원가절감을 위해 서스 흑환봉으로 생산 수입하려하였으나 국내 소비자의 "스테인레스는 반짝이이야한다"는 선입견을 극복하지 못하여 결국 2번의 연마과정을 거쳤습니다. 그로인해 수입 기간이 다소 지연 수입된 스테인레스 봉강(서스 환봉)입니다. 나름 고생을 심하에 한 녀석입니다. ㅜ.

철강 생산 방법의 두가지 경로 [내부링크]

철강 생산의 두가지 경로를 간단하게 설명해봅니다. 철강은 두 가지 주요 경로를 통해 생산됩니다. 고로 기본 산소로(BF-BOF) 경로와 전기로(EAF) 경로입니다. 생산 경로의 변형과 조합도 존재합니다. 경로 간의 주요 차이점은 사용하는 원자재 유형입니다. BF-BOF 경로의 경우 주로 철광석, 석탄 및 재활용 철강이 사용되는 반면 EAF 경로는 주로 재활용 철강 및 전기를 사용하여 철강을 생산합니다. 공장 구성 및 재활용 강철의 가용성에 따라 직접 환원철(DRI) 또는 고온 금속과 같은 금속 철의 다른 공급원도 EAF 경로에서 사용할 수 있습니다. 총 70.7%의 철강이 BF-BOF 경로를 통해 생산됩니다. 첫째, 철광석은 철로 환원되며, 이는 고온 금속 또는 선철이라고도 합니다. 그런 다음 철은 BOF에서 강철로 변환됩니다. 주조 및 압연 후 강철은 코일, 판, 막대로 제공됩니다. EAF로 만든 강철은 전기를 사용하여 재활용 강철을 녹입니다. 합금과 같은 첨가제는 원하는 화학 조

SCM440 심레스 파이프(Seamless pipe) 수입 생산 체크 [내부링크]

심레스 파이프 수입을 위하여 SCM440재질의 심레스 파이프를 주문하였다. 아직 해상운송 스케줄이 안 나와 현재 주문생산된 제품에 대한 사진을 받았습니다. 정밀 인발 제품을 원하시어 허용공차범위가 ±0.1mm 냉간인발(Cold Drawing)방식으로 생산하였습니다. 냉간인발(Cold Drawing)방식으로 생산한 제품의 특성은 표면이 반짝반짝이는 특성과 재질의 경도값이 높아 가공성이 떨어지는 특성이 있습니다. 심레스 파이프를 주문 생산 시 여러가지를 고려하여야합니다. 공장 전경 파이프 주문시 고려사항은 용도(배관용, 압력배관용, 기계구조용........)에 따른 재질(재료)를 선정 후 파이프 가공공정특성, 파이프 형상(원형, 이형 등), 두께등을 고려하여 생산방식(열간인방, 냉간인발)으로 파이프를 주문생산하여야 합니다. 그러나, 대부분의 회사에서는 이런 부분을 간과하여 생산 후 가공단계에서 가공성의 저하, 금형파손, 등 으로 인하여 추가 후처리를 하여 공기증가와 원가상승의 주요 요인

아연 도금 파이프 대 스테인레스 파이프 [내부링크]

아연 도금 파이프 대 스테인레스 스틸을 간단하게 비교해 보겠습니다. 프로젝트를 위해 파이프 벤딩 회사에 강철 파이프를 가져오려고 하는데 아연도금 강관과 스테인리스 강관 중 하나를 선택하는 데 어려움을 겪고 있다고 가정해 보겠습니다. 아연도금강관과 스테인리스강관은 생김새가 상당히 비슷해 아연도금이 스테인리스강으로 오인되는 경우가 종종 있습니다. 하지만, 각각의 강철 유형은 다른 강철과 매우 다릅니다. 어떤 강철이 특정 프로젝트에 적합한지 이해하기 위해서는 각각의 강점과 약점을 알아야 합니다. 아연 도금 강관은 어떻게 만들어집니까? 강철의 종류마다 두 가지 다른 준비 방법이 있습니다. 강철 파이프가 아연의 보호막으로 코팅되면 아연도금 강철 파이프가 됩니다. 이는 용해된 아연을 사용하거나 아연이 풍부한 전해질 용액을 사용하여 이루어집니다. 최종 결과는 여전히 아연 커버만 있는 강철입니다. 스테인레스 스틸은 어떻게 만들어집니까? 반면에 스테인레스 스틸은 용융 크롬과 강철의 혼합물입니다. 냉

중국산 S45C 환봉 수입 검수 [내부링크]

중국산 철강 환봉 수입가격이 소강상태입니다. 국내 철강사의 연말 밀어내기 세일과 END USER의 연말 재고 부담으로 국내 철강 소요 감소가 원인인 것 같습니다. 연초부터 하늘 높은 줄 모르고 치솟았던 철강 원소재(S45C, SCM420, SCM440)의 가격이 조금은 안정화 되어야 된다고 생각합니다... S45C 환봉 상차 사진 비교적 번들의 상태가 양호 한 것 위주로 상차하여 입고 시킬 예정입니다. S45C 환봉 하역 사진 위의 사진은 번들이 심하게 훼손이 되었습니다. ㅜ.ㅜ 어찌하여야 하나.....다시 밴딩처리하여 상차를 하여야합니다.. 중국 수출사에 주의를 주어야되겠습니다..... S45C 환봉 하역 사진 S45C, SCM440 재질의 환봉은 주로 UT검사 2급을 기준으로 품질을 보증합니다. 참고하여주셔요~~!! 날씨는 많이 추워지는 계절입니다. 어느 덧 한해를 마무리하는 시간인 12월 입니다.. 철강을 수입하면서 참으로 빠르게 흘러간 시간입니다. 올 해 열심히 뛰어준 관계자

스테인레스은 무엇인가? [내부링크]

스테인리스에 대하여 사용 용도 등을 간략하게 설명해 봅니다. 세계에서 가장 인기 있는 금속인 스테인레스강 소개 "스테인리스"강은 사실 다양한 종류의 강철을 가리키는 총칭이다. 다른 모든 종류의 강철과 마찬가지로 스테인리스강은 주로 철과 탄소로 2단계 공정을 통해 만들어진다. 스테인리스강이 다른 철강과 다른 점은 크롬(Cr)과 니켈(Ni) 등 합금 원소를 첨가해 내식성 제품을 만든다는 점이다. 강철을 만드는 데 사용되는 금속인 철은 자연에서 다른 원소들과 결합하여 발생하기 때문에 강철은 부식되며 순수한 형태인 철광석을 인공적으로 조작해 강철을 만들면 철광석이 불안정해져 산소와 쉽게 재결합한다. 강철에 크롬을 첨가하면 산화크롬이 형성되는데, 산화크롬은 일반 강철과 마찬가지로 공기와 습기가 녹을 일으키는 것을 방지하는 보호면 역할을 한다. 크롬은 강철이 사용될 용도나 환경에 따라 10.5~30%의 양으로 첨가된다. 스테인리스강에는 100개 이상의 등급이 있지만 5가지 주요 유형으로 분류할

심레스파이프(유압튜브용) 선적 전 사진 [내부링크]

절단 후 야적 상태의 고강파이프 ST52 재질의 심레스 파이프입니다. 용접구조용 압연강재이며, 재질규격은 DIN 17100(독일)입니다. 주로 유압 실린더용, 고온 배관용으로 사용되어집니다. 이번 수입물량은 총 80여톤입니다. 재고 분 절단 후 야적 사진 ST52 성분 및 기계적 성질 두께는 16mm에서 40미리이며, 항복강도는 345메가 파스칼 이상, 인장강도는 490~630메가 파스칼입니다. 재고분이 부족하여 신규 제작 심레스 강관 저희 에스앤비즈는 빠른 수입 납기를 실현하기 위해 중국 내 스탁분과 생산분을 혼용하여 운영하고 있습니다. 각 파이프 수입 누락 분 입고 예정 물량 소량의 수입을 활성화하기 위해 컨테이너에 여유가 있을 때를 활용하고 있습니다. 여러분의 많은 이용 부탁드립니다. 요즘 코로나 19로 많은 어려움이 있습니다. 그래도~~ 화이팅 기원합니다...

각파이프 통관 수입 [내부링크]

컨테이너 혼적 사진 수입과 수출을 진행하는 경우 통상적으로 행상운송은 컨테이너 선이나 벌크선을 이용한다. 컨테이너 선을 이용할 경우 FCL로 수입을 진행하면 해상 운임이 가장 저렴하다. LCL로 수입하는 경우는 단위당 해상운임이 높아지는 경향이 있어 혼적하여 FCL로 진행을 한다. 위 사진은 혼적을 한 사진이다. 바인더를 제거하는 사진 이 번 경우는 심레스 파이프(고강파이프)와 각파이프(흑관, 칼라관)를 혼적하여 수입하였다. 하역된 각 파이프 다시 5톤 트럭으로 환적하여 계근소를 거쳐 최종 소비자에게 배송될 예정이다. 번들 상태도 양호하고 비교적 상품이 온전한 상태로 수입이 되었다. 하역된 각 파이프

S45C. SCM440 환봉(봉강) 수입 검수 [내부링크]

11월 10일 중국산 수입 환봉 공동 수입 마감하고, 수입되어 부두에 하역된 S45C, SCM440 재질의 환봉 사진입니다. 올해 마지막 수입된 물량입니다. 12월 마감한 상품은 1월 중순경 수입하역 될 예정입니다.... 수입산 환봉 부두 하역 적재 사진1 12월 11일에 텐진항에서 출항한 벌크선이 평택항을 먼저 들러 하역하고와 평상시 수입일정보다 5일정도가 더 늦게 인천항에 입항하였습니다. 통관작업 준비중입니다. 매월 수입 프로모션을 진행하지만 벌크선의 부킹이 다소 지연되어 예상치 못하게 수입기일이 연장되는 경우가 다반사같습니다. 국가간의 교역이라 더욱 쉽지않은 것 같습니다. 수입산 환봉 부두 하역 적재 사진2 이번 수입의 경우는 비교적 번들이 양호환 상태로 하역이 되었습니다. 고객별 제품 분류작업시 주로 번들이 훼손되는 것 같습니다. 중량물이라 보니 지게차로 작업을 합니다. 사람이 할 수가 없는 무게라서....... 수입산 환봉 부두 하역 적재 사진3 환봉은 통상적으로 6M 내외

강관(용접관,고강파이프,심레스파이프 등) 재료의 종류와 용도에 따른 강관분류 [내부링크]

강관(Steel Pipe 또는 Steel Tube)이란 단면형상이 원형 또는 각평으로 내부가 비어있는 강재를 말한다. 강관은 외경이 3~1600에 이러는 관을 말하며, 파이프 또는 튜브로 불리운다. 명확한 구분은 없으며, 파이프는 주로 수도관, 가스관의 용도를 말하며, 튜브는 주로 보일러용, 열교환기용 강관을 칭한다. 배관용 탄소강관 (아연도금관, 백관) 사진 강관 재료의 종류와 용도에 따른 분류표 재료의 종류 KS기호 JIS기호 기호설명 특징 및 용도 배관용 탄소강관 SPP SGP S: Steel P: Pipe P: Piping 증기, 물, 가스 및 공기 등의 사용압력 10kg/ 이하 일반배관용 호칭경은 6~500A. 색상은 흑관 배관으로 구분함 압력배관용 탄소강관 SPPS STPG S: Steel P: Pipe P: Presure S: Service 온도는 350 이하, 사용압력은 10~10010kg/의 압력배관용 외경은 SPP와 같고, 두께는 스케줄 치수로 Sch #80까지 호

심레스파이프(압력배관용, 고강파이프) 수입 검수 [내부링크]

심레스 파이프는 용도에 따라 KS규격, JIS규격, ASTM규격, DIN규격을 적용하여 수입 주문을 진행한다. 주로 유압실린더용, 로라용 등이 주를 이룬다. 이번 수입건은 DIN규정에 맞는 제품으로 수입을 진행하였다. 총 75톤이 수입되었다. 컨테이너는 아무나 개방을 하지 못하도록 실이 채워져있다. 자세히 보이지는 않지만 사진에 빨간색으로 채워져 있는 것이 실이다.... 카터기로 실을 절단하는데..... 생각만큼 잘 잘리지 않았다..... 컨테이너 개방 사진 위 사진은 개방했을 때 심레스파이프(고강파이프)가 가지런히 적재되어 있으며, 컨테이너 바닥은 나무로 되어있다. 적재된 심레스 파이프가 전후에 흔드림에 흩어지지 않게 바닥에다 나무로 고정을 시켜놓았다. 컨테이너 개방사진 직접 하나하나 수량을 체크하고, 길이 두께 등을 측정하여야 한다. 몇 번을 진행해야 이상이 없다. 컨네이너 내부 사진 수입을 하다보니 항상 중국에서도 사전검사를 요구하지만 컨테이너 첫 개방할 때가 항상 가슴이 두근

S45C 환봉(구로환봉) 컨테이너 환적 검수.... [내부링크]

우리 나라의 철강 수요가 많은 곳이 경기도 시화 화성 인천 권역이다...그 다음으로 수요가 많은 곳이 부산 경남 권역이다. 철강제품를 구분하는 것은 통상적으로 형태에 따른 구분, 재질(성분)에 따른 구분, 제조방법에 따른 구분, 용도에 따른 부분 등 대략 4가지 방법으로 분류한다. 이번 수입품은 형태에 따른 구분은 환봉(ROUND BAR)이며, 재질은 S45C, 제조방법은 압연품으로 구분된다. 정리하자면 S45C 재질의 16밀리 구로(GURO) 환봉(ROUND BAR. 압연제품)이다. 컨테이너 S45C 적재 사진 총 11개 번들로 컨테이너로 수입된 관계로 원가 절감을 위하여 천포장을 하지 않고 수입을 진행하였다. 철강재 수입의 경우 꼭 원산지 표시를 하여야 한다. 메이커와 원산지를 표기한 마크를 번들당 태그하였다. 통상적으로 20FIT 컨테이너 내장치수는 폭이 2.3M, 전장 5.9M, 높이 2.3M로 적제 가능 순중량은 20톤 내외이다. 이 번 제품 역시 경제적 수입을 고려하여 2

철강의 역사 -1 [내부링크]

간단하게 철강의 역사를 살펴보도록하겠습니다. 철강 산업은 고대부터 소수의 남성이 주기적으로 10kg을 생산하는 작은 용광로를 가동하는것에서부터 시작하여 연간 약 100만 톤의 철강을 생산하는 현대적인 통합 제철소로 성장했습니다. 1987년 일본의 가장 큰 상업 철강 회사인 Nippon Steel은 1987년에 2,600만 톤의 생산을 담당했으며, 전 세계에 일반적으로 분포된 10여개 이상의 큰 회사에서 각각 1,000만 톤 이상을 생산했습니다. 고용 데이터가 없는 동구권 국가를 제외하고 1987년에 약 170만 명이 고용되어 4억 3천만 톤의 철강을 생산했습니다. 이는 연간 1인당 약 250톤의 철강을 생산한것에 해당하며, 이는 인간의 노력을 매우 효율적으로 사용하는 것입니다. 최초의 제강 철 생산은 기원전 2000년경 아나톨리아에서 시작되었으며 철기 시대는 기원전 1000년경에 확립되었습니다. 제철 기술은 널리 퍼져 기원전 500년경에는 유럽의 서쪽 끝에 도달했고 기원전 400년에

철강의 역사 - 2 [내부링크]

전편에 이어 간략하게 철강의 역사를 이어가 보겠습니다. 2차 제강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강철의 특성을 개선해야 할 필요성과 함께 중요한 발전은 강철을 용해로에서 태핑한 후에도 레이들에서의 정련이 계속된다는 것이었습니다.11950년에서 1960년 사이에 이루어진 초기 개발은 레이들의 액체를 아르곤을 불어 휘젓는 것이었습니다. 이것은 금속의 온도와 조성의 변화를 감소시키고, 고체 산화물 포함물이 표면으로 올라와 슬래그에 통합될 수 있도록 하며, 수소, 산소, 질소와 같은 용해된 가스를 제거하는 효과가 있었습니다. 그러나 가스 교반만으로는 대형 주괴를 주조할 때 수소를 허용 수준까지 제거할 수 없었습니다. 1950년 대형 진공 펌프가 상용화되면서 레이들을 대피된 대형 챔버에 배치하고 이전처럼 아르곤을 불어 수소를 2ppm 미만으로 제거하는 것이 가능해졌습니다. 1955년과 1965년 사이에 이러한 유형의 개선된 탈가스 시스템이 독일에서 개발되었습니다. 가장 오래된 레이들 첨가법은 193

합금강 주요 합금원소의 종류 및 영향 [내부링크]

합금강은 강도, 경도, 내마모성 및 인성을 증가시키기 위해 하나 이상의 원소(합금 원소)로 합금된 강의 유형입니다. 기본 철 및 탄소 구조에 추가되는 추가 합금 요소는 일반적으로 합금강 재료 구성의 총합이 5%를 넘지 않습니다. 합금강 장점 고급 내식성, 기계 가공성, 강도 또는 기타 품질이 필요한지 여부에 관계없이 필요한 기능을 제공하는 합금강이 있습니다. 열처리가 추가되면 합금강은 다음과 같은 다양한 유익한 품질을 제공할 수 있습니다. 내식성 향상 강화성 향상 우수한 강도와 경도 고품질 및 저합금강 차별화 품질 고합금강은 구성의 8% 이상을 구성하는 합금 원소(탄소 또는 철 제외)를 포함합니다. 대부분의 강철은 추가 요소에 몇 퍼센트만 사용하기 때문에 이러한 합금은 덜 일반적입니다. 스테인리스 스틸은 질량 기준으로 최소 10.5%의 크롬을 포함하는 가장 인기 있는 고합금입니다. 이 비율은 부식을 늦추기 위해 산화 크롬을 코팅하여 스테인리스 스틸에 더 많은 내식성을 제공합니다. 한

주요 기계재료의 종류 및 기호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철강재 수출입전문 스틸토피아 에스앤비즈 입니다. 요즘 오미크론 확산때문에 확진자가 급증하고 있죠. 모두 방역에 주의하시고 건강하게 설맞이 하시기를 기원합니다. 오늘은 주요 기계재료의 종류와 해당 기호에 관한 포스팅을 가져왔습니다. 산업 현장에서 아직까지 일본 JIS규격이 그대로 사용되는 사례가 많아 간혹 동일한 재료인데도 기호 표기가 달라서 KS규격과 혼동을 하는 일이 종종 생기곤합니다. 각양각색의 다양한 용도로 쓰이는 철강 재료는 크게 어떻게 분류하며 흔히 쓰이는 기호와 용도 그리고 특징을 요약하여 정리하였으니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1. 일반 철강 재료 2, 스테인리스강 재료 스테인리스강은 철강의 최대 결점인 녹 발생을 방지하기 위하여 표층부에 부동태를 형성해서 녹이 슬지 않도록 한 강으로서,주성분으로 Cr을 함유하는 특수강입니다. 그 표면처리 가공은 경면,무광택,Hair Line,Etching,화학 착색 등 여러 가지 표면가공이 가능합니다. 주요 스테인리스강의 종류

스테인레스 스틸 역사 [내부링크]

스테인레스 스틸의 역사를 간략하게 설명하겠습니다. 스테인리스 스틸의 역사 강철의 탄생은 약 4000년 전 강도가 높아지면서 철제 무기가 청동을 대체하기 시작한 때로 거슬러 올라간다. 수천 년 동안, 강철의 기초는 대체 강철보다 더 좋은 이유를 알지 못한 채 사용되었습니다. 철강이 상업적으로 생산되기 시작하면서 19세기 말과 20세기 초에 큰 발전이 있었다. 1856년 헨리 베세머는 녹은 철에 산소를 도입함으로써 탄소 함량을 줄이는 새로운 방법을 생각해냈다. 이것은 철강의 다양한 발전으로 이어졌고, 1901년에 US Steel Corporation이 탄생했다. 1904년, 프랑스의 과학자 레옹 질레는 스테인리스강을 구성하는 합금의 혼합물을 개발했다. 1913년 해리 브라이어리는 이 과정을 기록하면서 내식성에 주목하고 최초의 마르텐사이트 특허를 취득했다. 원래 "녹슬지 않는 강철"로 만들어진 스테인리스강은 반짝이는 표면과 엄청난 강도로 인해 곧 시장에서 물결을 일으키기 시작했다. 그것은

철강재 열처리방법: 소둔, 소준, 소입, 소려 및 특수열처리 [내부링크]

철강의 열처리 방법에는 그 작업과정과 요구되는 철강재의 속성에 따라 5가지로 나뉩니다. 5가지 열처리방법은 차례대로 소둔(Annealing),소준(Normalizing),소입(Quenching),소려(Tempering) 및 특수열처리 등이 있습니다.아래 각 열처리방법을 더 깊에 파고들어 소개해드리도록 하겠습니다. 1) 소둔 (풀림 Annealing) 소둔은 우리말로 또 풀림처리라고도 하는데요. 이 열처리방법은 소입과 함께 가장 많이 사용되는 열처리방법으로 강을 연화시키기 위해 변태점 이상으로 가열 냉각하는 조작이며 사용강재의 종류나 목적에 따라 단순히 변태점 이상에 제한되는것은 아닙니다.풀림은 강을 적당한 온도로 가열하고 그 온도에서 유지한 후 서냉하는 작업으로 필요한 기계적 및 물리적 성질을 얻을 수 있는 열처리 방법입니다. 2) 소준( 불림 Normalizing) 소준은 강을 A3 또는 Acm점보다 30~50섭씨도 정도 높은 온도에서 가열하여 균일한 오스테나이트 조직으로 만든 다

선재의 종류 [내부링크]

여러분 안녕하세요~ 오늘은 선재에 관련하여 포스팅을 해볼까 합니다. 선재는 봉강으로 열간압연된 강선으로 단면 모양은 원형,정방형,육각형 및 특수한 모양을 갖는 이형선재 등이 있으며 통상 5.5~42mm 직경의 강재를 코일상으로 권취한 것으로 탄소성분이 0.01~1.0%까지 다양하며 ,KS규격에서는 강종에 따라 연강선재와 경강선재로 나뉩니다. 선재는 또한 2차공정의 종류에 따라 크게 세 가지로 분류되는데 신선가공을 실시하는 강종,볼트너트와 같은 형상을 만들기 위해 냉간압조를 실시하는 강종,스프링강,베어링강,쾌삭강 등과 같이 앞의 두 가지 분류에 속하지 않은 강종으로 분류됩니다. 그럼 아래에 각 종류별로 더욱 디테일하게 설명해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가. 신선용 선재 신선용 선재에는 용접봉용 선재,연강선재,경강선재,피아노선재,스틸코드용 선재 등이 포함되어 있고 탄소량에 따라 저탄소강 선재,중탄소강 선재,고탄소강 선재 등으로 구분하기도 합니다.신선가공에 의해 생산된 제품이 고강도 극세선인

스테인리스강 분류 [내부링크]

여러분 안녕하세요~ 저희가 취급을 가장 많이 하는 스테인리스강! 오늘도 그와 관련된 포스팅을 가져왔습니다~ 스테인리스강은 주성분에 따라 크롬계와 크롬-니켈계로 대별되며 금속조직상으로는 마르텐사이트(Martensite)계,오스테나이트(Austenite)계,페라이트(Ferrite)계,이상(Duplex)계,석출경화계 등으로 나누어지며 이밖에 수퍼 스테인리스강이 있습니다. 오늘은 스테인리스강 금속조직상의 분류 및 그 특성들을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가) 오스테나이트계 결정구조가 면심입방이며 열처리에 의해 경화되지 않고 가공에 의해 경화되며 대표강종으로는 304강종으로 18Cr-Ni이 기본조성입니다.상온과 고온에서 안정한 금속조직이기 때문에 열간압연중에 변태현상을 일으키지 않으며 비자성입니다. 그러나 304강종은 용강으로부터 고상으로 응고할 때 ð-페라이트가 우선 석출되며 온도에 따라 오스테나이트상이 안정한 상으로 되기 때문에 상온에서 완전한 오스테나이트조직이 존재해야 하나 화학성분에

스테인레스 소개 [내부링크]

스테인리스강은 가장 최근의 엔지니어링 재료 그룹 중 하나입니다. 20세기 초에 발명되었지만 널리 사용되기까지는 수십 년이 걸렸습니다. 현대 스테인리스강이 개발되어 일반적으로 사용된 것은 2차 세계 대전 이후였습니다. 스테인리스 스틸의 가장 중요한 특성은 내식성입니다. 우수한 기계적 특성 및 제조 특성과 결합된 내부식성은 많은 경우에 설계자에게 경제적으로 실행 가능한 유일한 대안을 제공하는 매우 다재다능한 재료로 스테인리스 스틸을 확립하는 데 도움이 되었습니다. 스테인레스 스틸을 스테인레스로 만드는 것은 무엇입니까? 스테인리스강은 철(FE)과 크롬(Cr)의 합금으로 탄소(C)의 양이 조절됩니다. 이들은 최소 11%의 크롬을 함유하는 강철 계열이며, 그 주요 특성은 내식성입니다. 크롬이 11% 더 추가되면 보호막이 형성됩니다. 크롬 함량이 높을수록 부동태 피막이 더 강해집니다. 몰리브덴(MO) 및 질소(N)와 같은 다른 요소는 부동태 피막을 더욱 강화하고 내식성을 향상시킵니다. 부동태

무계목강관(이음매없는 강관)의 제조 [내부링크]

이음매없는 강관제조에는 만네스만법(경사압연)이 많이 사용되며 그밖에 압축프레스에 의한 제조방법으로 유진 세쥬르네법,에르하르트 푸쉬벤치법 등이 사용된다. 만네스만법은 천공기가 수평으로 6~12도의 각도에서 반대방향으로 기울고 같은 방향으로 회전하는 2개의 롤을 가지는데 여기에 가열된 강편이 보내지면 재료는 비벼지면서 전진하고 롤간격이 가장 적은 위치에 오면 그곳에 설치된 심금에 부딪혀서 천공된다. 그 이후에 심금과 롤로 압연되면서 전진하여 중공소재가 되며 중공소재는 플러그 밀이나 맨드럴 밀에서 다시 압연된다. 에르하르트 푸쉬벤치법은 가열된 강편을 에르하르트 프레스에 의해 천공하고 푸쉬벤치로 연신하여 이음매없는 관을 제조한다. 이음매없는 강관은 저탄소강에서 스테인리스강까지 각종 재질의 관제조가 가능하고 특히 프레스방식으로는 고니켈합금,티타늄,지르칼로이 등의 조관이 가능하다. 아래 구조도는 이음매없는 강관설비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압연방식을 간략히 설명한다.

전기아연도금강판 [내부링크]

아연도금강판의 일종인 전기아연도금강판(EGI)은 전해법에 의해 냉연강판 또는 열연강판 표면에 아연피복을 입혀 내식성을 높인 제품으로 일반적으로 용융아연도금강판보다 도금부착량이 적고 균일하며 평활하기 때문에 도장 마무리성, 도장 후 내식성이 뛰어나다. 도금처리가 상온에 가깝고 원판의 재질특성을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재질선택의 폭이 넓고 가공성이 뛰어난 특징을 갖고 있다. 인산염처리등 표면처리한 후 도장해서 사용하는 경우가 많으며 자동차 내외판용이나 가전제품용 등에 사용된다. 용융아연도금강판에 비해 원판의 기계적 성질을 그대로 유지할 수 있으며 전류밀도 및 라인속도에 의해 부착량 제어가 용이하여 도금층의 합금화, 복합화, 다층화, 박막화한 제품 생산이 가능하다. 전기아연도금강판은 용도별로 일반용, 구조용, 가공용, 고장력강용 등으로 구분되며 내식성과 도장성이 뛰어나 우수한 표면품질을 요하는 곳에 사용되는데 주로 냉장고, 세탁기, 전자렌지, 진공청소기, 사무기기 등에 사용된다. 특히 순

알루미늄아연합금도금강판의 특징 및 용도 [내부링크]

내식성을 목적으로 한 표면처리 강판은 아연계 표면처리 강판과 알루미늄계 표면처리 강판으로 대별되며,그중 철강에 희생방식작용을 하는 아연을 도금하면 약 15배에 달하는 우수한 내식성을 개선할 수 있기 때문에,아연은 철강의 표면처리용으로 전 세계의 약 60%를 점유하고 있습니다. 현재 아연계 표면처리 강판의 개발은 아연이 가지고 있는 희생 방식성을 저하시키지 않으면서,도금층의 수명을 연장시키려는 합금화를 시도하고 있으며,그에 따라,부가가치를 향상시킬 수 있는 새로운 도금욕에 대한 소재개발의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습니다.그 연구의 대부분은 알루미늄을 첨가한 일반적인 아연도금욕에 제 3원소를 첨가한 것이 특징이며,Galvalume, Galfan,Zincal,Galtecs,Supergalva 등은 조합아연괴를 제조 개발하여 규격화 및 상품화가 이루어졌습니다.이러한 아연도금층 중 합금원소의 역할은 자체의 내식성 향상 또는 부식을 야기하고 진행시키는 부분의 치밀화에 의해 부식층의 용출속도를

스테인리스 성분표 [내부링크]

오늘은 저희 주요 수입품목중 하나인 스테인리스강의 화학성분표에 관해 포스팅해봅니다. 오스테나이트계의 화학성분 종류의 기호 C Si Mn P S Ni Cr Mo Cu N 기타 STS 201 ≤0.15 ≤1.00 5.50~7.50 ≤0.045 ≤0.03 3.50~5.50 16.0~18.0 --- --- ≤0.25 --- STS 202 ≤0.15 ≤1.00 7.50~10.00 ≤0.045 ≤0.03 4.00~6.00 17.0~19.0 --- --- ≤0.25 --- STS 301 ≤0.15 ≤1.00 ≤2.00 ≤0.045 ≤0.03 6.00~8.00 16.0~18.0 --- --- --- --- STS 301L ≤0.03 ≤1.00 ≤2.00 ≤0.045 ≤0.03 6.00~8.00 16.0~18.0 --- --- ≤0.25 --- STS 301J1 0.08~0.12 ≤1.00 ≤2.00 ≤0.045 ≤0.03 7.00~9.00 16.0~18.0 --- --- --- --- STS 30

S45C 심레스파이프(로라 제작용, 고강파이프) 수입 건 [내부링크]

S45C 재질의 심레스 파이프(고강파이프)를 수입하였습니다. 고강파이프 절단 후 묶음 사진 통상적으로 한 묶음에 1.5톤~2톤의 중량을 안배하여 묶음을 구성합니다. 본 수입건의 경우 심레스파이프 3~4개를 한 묶음으로 처리하였습니다. 고강파이프 절단 후 묶음사진2 절단 가공 후 적재되어 있는 사진입니다...고강파이프의 경우 절단 가공하여 밀링이나 선반을 이용하여 공장에서 정밀 절삭 가공을 합니다. 절삭 가공전의 고강파이프는 산화가 많이 되어 녹이 많이 발생하여 마치 방치를 한듯한 느낌이 들기도 합니다. 그러나 제품에는 하자가 없음을 미리 알려드립니다. 고강파이프 내경 측정 사진 심레스 파이프의 경우 KSD 규정에 의하여 허용공차는 절단 단면적의 ±0.02%까지 허용을 하고 있습니다. 고강파이프 외경 측정 사진 심레스 파이프 제작발주 시 제작 허용공차에 고려하지 않고 발주시 낭패를 보는 경우가 종종 발생합니다. 제품의 가공치수를 공유하시고, 제작허용공차에 대한 고려를 충분히 하셔야 합

S45C 단조강 환봉 수입건 [내부링크]

안녕하세요~에스앤비즈 입니다. 사진은 이번에 들어온 S45C 소재의 큰 구경의 단조강환봉입니다. 고객사가 원하는 단조강의 길이가 구경에 따라 다르다보니 이를 수용할 수 있는 벌크선을 찾는데 좀 시간이 걸렸습니다.그래도 다행히 이렇게 납기내에 인천항에 도착했습니다. 발주서에 명시한 사이즈대로 정확히 생산되었는지 한본 한본씩 꼼꼼히 체크하고 기록하는 장면을 담은 사진입니다.(중국쪽에서 출고할 때 미리 한번 검품확인하고 한국에 도착하고 나서 재확인합니다) 사이즈가 정확합니다.이제 배차하고 고객사에 발송하면 됩니다. 이렇게 상차하고 계량표까지 전달 받으면 끝~은 아니지만 거래의 절반은 성사되었다고 볼수 있습니다. 이제 남은것은 고객이 제품에 대한 피드백인데요. 저희는 고객이 지정한 제조사의 제품을 수입하다 보니 이름모를 제조사의 제품보다 한단계 더 품질보증은 됩니다. 하지만 그래도 간혹 작은 문제가 하나 둘 나타날 수 있는데요. 단조강의 경우 미세한 크랙이나 우려되면 주문하실 때 별도의 U

강관의 분류 [내부링크]

강관이란 단면형상이 원형 또는 각형으로 내부가 비어있는 강재로서 외경 3mm 정도의 가는 관에서부터 1600mm가 넘는 굵은 관이 있으며 오래전부터 파이프 또는 튜브라고 불렀는데 이에 대한 명확한 구별은 없지만 가스관이나 수도관 강관 등은 파이프라고 하고 보일러용이나 열교환기용 강관은 튜브라고 부른다. 강관은 제조방법에 따라 세분화 된다. 제조방법에 따른 분류는 접합부의 유무에 따라 이음매없는 강관(무계목강관)과 접합강관으로 대별되며 접합강관은 단접강관과 용접강관으로 분류되고 다시 용접강관은 용접법과 제조공정에 따라 세분된다. 이음매없는 강관은 빌릿 등의 소재를 가열하여 천공기로 중심에 구멍을 뚫고 중공소재로 만든 후 피거 밀,플러그 밀, 맨드럴 밀, 옵셋 밀 등으로 압연하거나 인발기 등으로 인발하여 소정의 외경과 두께로 만든 강관을 말하며 소재에 구멍을 뚫은 다음 연신하는 경사압연방식과 이미 천공된 소재를 프레스로 압출하는 프레스 방식이 있다. 단접강관은 대강 또는 소정의 폭으로

기계구조용 강관의 재질특성 [내부링크]

강관의 용도는 액체나 기체 또는 고형물의 수송과 열교환 및 열전달용, 실린더, 로드 등의 기계구조용, 건축의 기둥과 들보, 발판재 등의 일반구조용,강관말뚝이나 붕토방지를 위한 강관말뚝 등 토목용, 해양구조물이나 송전철탑 등 특수구조용, 석유 및 천연가스의 채굴이나 수송에 사용되는 유정관과 라인파이프 등 광범위하게 그리고 여러가지 용도에 사용됩니다. 오늘은 이중에서도 가 취급하고 있는 강관의 일종, 기계구조용 강관의 재질특성에 관련하여 포스팅해 보겠습니다. 7월 수입분 STKM13A 기계구조용 강관은 자동차, 건설, 기계산업에 널리 사용되고 있는데 그 특징을 짚어보면 아래와 같습니다. · 균일한 재질, 안정된 기계적 성질을 가질 것 · 안정된 양호한 표면상태를 가질 것 · 치수의 정밀도가 우수할 것 · 규격 이외의 특수치수 사용이 많음 국내에서 많이 사용되는 규격은 KS D3517(기계구조용 탄소강관)에서 규정되어 있으며 기계구조용 재질로 요구되는 특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

강관의 결함종류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철강 수입전문 에스앤비즈 입니다. 오늘은 강관을 주문할 때 가장 주의해야 할 강관의 결함에 관련하여 포시팅 해보려고 합니다. 우선 주요결함 종류를 말씀드리자면, 무계목이든 ERW강관이든간에 모두 발생할수 있는 하자인데요,구체적으로는 계목(SBW) 스켈프와 스켈프를 shear&welder에서 연결할 경우 발생되는 용접부로써 제품에서는 원주방향으로 나타납니다. 2. 롤마크(Roll Mark) 롤 자체에서 발생되는 경우와 롤에 이물질이 부착되어 발생되는 경우로 대별되며 외면 일부가 직선상 또는 일정간격을 두고 움푹 들어간 상태를 일컫습니다. 롤마크 불량의 예 3.굵힌 흠(Scratch) 강관 내외면에 롤과 접촉면에서 발생된 한줄 또는 부분적으로 발생하거나 루퍼(Looper) 통과 시 여러 줄로 나타나는 경미한 굵힌 흠 4. Flash Cutting 떨림상태,요철상태로 나타나며 Cutting Mark가 웨이브(Wave)상으로 나타납니다. 5. 직선도 강관 길이방향으로 활처럼 휘

도금의 전처리:녹제거 [내부링크]

도금하고자 하는 물건의 표면에는 여러 가지 더러움과 녹이 있습니다. 더러움은 주로 유지이며,유지가 있는 것은 도금하기 전에 열처리를 했든가 기계가공을 한 것입니다. 열처리를 한것은 열처리유에 담갔던 것이고,기계가공을 한 것은 절삭유나 윤활유를 사용했기 때문입니다. 녹이 있는 것은 철이 대기 중에서 녹슬기 쉽기 때문입니다. 또한 철의 녹은 검은 녹과 붉은 녹이 있는데,검은 녹은 열처리 등으로 대기 중에서 고온으로 가열되었기 때문이고,붉은 녹은 실온의 대기 중에 방치했기 때문에 생긴 것이며 보통 이 녹을 많이 볼 수 있습니다. 유지와 녹은 단순히 철 위에 부착된 것과 철 속에 뭍혀 있는것이 있습니다.부착된 것은 제거하기 쉬우나,속에 묻혀 있는 것은 제거하기가 까다롭습니다. 따라서 유지 또는 녹을 제거해서 깨끗한 금속면 위에 도금을 해야 부착이 좋고 피트나 부풀음이 없게 되는데,이러한 제거 공정을 전처리라고 합니다. 오늘은 도금의 전처리중 녹제거에 대한 포스팅 입니다. 녹제거(탈청) 1)

구리스크랩 [내부링크]

광석으로부터 구리를 만드는 과정은 두 가지로 구분할 수 있다. 가장 간단한 것은 광산 근처에서 침출-전해를 거쳐서 만드는 것이며, 다른 한 가지는 일반적인 제련 공정인 건식제련-전해정제 공정을 거쳐서 만드는 것이다. 구리 스크랩은 건식제련이나 건식정련 공정에서 처리된다. 최종 정련 공정을 거친 구리와 고품위 스크랩을 이용해 선재나 판재, 봉재, 관 등의 중간 제품을 만들어 곧바로 사용하기도 하고 2차 가공을 거쳐 사용하기도 한다. 수명이 다한 구리 제품은 스크랩이 되어 구리 품위에 따라 정련 공정을 거치거나 곧바로 용해와 가공 공정에 투입되고 있다. 구리의 라이프 사이클 구리 스크랩 일반적으로 구리를 함유한 스크랩은 품위가 높으며,철 스크랩에 비해 가격이 월등하게 높아 적극적으로 회수되어 리사이클링 되고 있다. 이러한 구리 스크랩은 철 스크랩과 마찬가지로 발생원에 따라 자가 스크랩, 가공 스크랩, 노폐 스크랩으로 구분할 수 있다.자가 스크랩은 제련소에서 발생한 고순도의 스크랩으로 대

스테인레스강 표면상태에 따른 분류 [내부링크]

스테인레스강은 용도에 따라 일정한 표면처리과정을 거쳐 차별화된 표면상태를 연출합니다. 스테인레스강 표면종류와 구체적인 특성은 아래 표와 같습니다. 표면종류 특기사항 No.1 열간압연,열처리,Descaling을 한것,열간압연 후 열처리하여 Scale을 제거함으로 얻어진다.일반적으로 공업용 Tank 제작이나 화학공업장치 등 내식성만 중시하고 두꺼운 판재를 사용하는 경우 사용되어 진다. No.2D 냉연압연 후 열처리 및 Descaling을 하여 얻은 무광택의 냉간압연제품이다.Dull Finish라고도 하며 내식성을 요구하면서 빛의 반사가 요구되지 않는 제품에 사용하고 일반적으로 Deep Drawing성이 양호하다. No.2B 냉간압연 후 열처리 및 Descaling을 한 후 Skin Pass라는 약간의 냉간압연을 한 제품이다. No.2D에 비하여 광택과 표면 평활도가 양호하고 조질압연으로 기계적 성질을 개선하여 Stretcher Strain의 발생을 제거한 제품이다.이것은 일반용도에 사용

단조강 소개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철강 수입 전문 스틸토피아입니다! 오늘은 단조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단조란 프레스나 해머 등을 이용하여 철강제품에 압력을 가해 소성변형을 일으켜 특정 기계적 특성과 모양 및 크기로 가공하는 가공 방식을 말합니다. 절삭 가공과 비교했을 때 성형 과정에서 금속의 중량은 기본적으로 변하지 않으며, 단조 과정에서 금속의 성능과 조직에도 변화가 발생합니다. 단조강은 일반적으로 표면 공극률이 적고, 미세한 입자 구조와 다른 철강 가공법보다 더 큰 연성을 가지며, 피로 강도도 더 우수합니다. 단조의 역사 단조는 가장 오래된 성형 방법 중의 하나로, 초기 단조 기술은 페르시아와 중국에서 시작되었습니다. 전통적인 방법의 단조강은 대장장이가 만들어냈고, 19세기 이후에 들어서며 현대 단조 기술이 발전하기 시작했습니다. 단조강 제조 공정 강철은 단조가능 온도까지 가열되면 연성과 가단성이 커지게 되는데, 압력을 가함으로써 원하는 모양이 형성됩니다. 단조법은 가소성 때문에 균열 없이 영구적으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의 특성 및 종류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철강 수출입 전문 스틸토피아입니다! 스테인리스강은 주성분에 따라 크롬계와 크롬-니켈계로 대별되며 금속조직상으로는 오스테나이트계, 페라이트계, 마르텐사이트계, 듀플렉스(이상)계, 석출경화계 등으로 나누어집니다. 오늘은 그 중 가장 일반적인 스테인리스 재질인 오스테나이트(Austenite)계의 특성에 대해 얘기해보고자 합니다.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은 크롬(Cr)과 니켈(Ni) 성분을 포함하여 18-8 스테인리스강이라고도 불리기도 하고, SUS304, SUS316 등 300번대 숫자로 구성되어 있어 300계 스테인리스로도 불립니다. 크롬-니켈 스테인리스강은 기계적 성질과 내식성 저하를 방지하기 위해 950~1100까지 가열한 후 급랭시키는 고용화열처리를 통해 안정한 오스테나이트조직을 유지시킵니다. 내식성, 성형성, 용접성등이 아주 우수하여 광범위한 용도로 이용됩니다. 오스테나이트계의 여러 강종은 내해수성, 내입계부식성, 절삭성, 비자성, 고강도, 내산화성, 니켈절약성, 냉

北京建龙重工集团有限公司 [내부링크]

북경건룡그룹을 소개합니다 북경건룡그룹은 철강을 핵심으로 하는 대규모 중공업 산업 그룹으로써, 완전한 산업 체인을 가지고 있습니다. 현재 14개의 철강 자회사, 4200만 톤의 조강 능력, 4400여만 톤의 채굴 및 선광(選鑛) 능력을 지니고 있으며, 에너지 절약 및 환경 보호, 조선, 기계/전기 등 분야에 진출해 있습니다. 2021년에는 3671만 톤의 철강과 448만 톤의 철정분 생산량을 달성했습니다. 또한 영업이익 2474.6억 위안, 순손익 83.6억위 안의 성과를 이루어냈습니다. 그룹의 총자산규모는 1675억위 안, 직원 수는 6만 명 이상입니다. 2022 포춘지 선정 500대 기업 중 363위, 2022 중국 기업연합회 500대 기업 중 108위에 올랐습니다. 회사는 설립 이래 '최고만을 위해 노력, 작은 것에서 시작'이라는 기업 정신과 '성실, 규칙, 조직, 우수, 공생'의 핵심 가치관을 계승해 왔습니다. 고객 우선, 세심한 관리를 유지하며 독립적인 연구 개발 기술 변환에

기계 구조용 탄소강과 S45C 소개 [내부링크]

기계 구조용 탄소강(carbon steel for machine structural use)은 열간압연, 열간단조 등 열간가공에 의해 제조한 것으로 보통 다시 단조, 절삭 등의 가공 및 열처리를 하여 사용하는데 주요 화학성분은 탄소(C) 이외에도 규소(Si), 망간(Mn), 인(P), 황(S) 등이 함유되어 있습니다. 강의 성질의 조정은 주로 탄소량에 의하여 행하여지는데 탄소량이 증가됨에 따라 경도, 강도가 증가하며 연신율, 단면수축율이 감소합니다. 기계구조용 탄소강의 대부분은 압연 또는 단조상태 그대로 혹은 풀림(Annealilng) 또는 불림(Normalizing)을 행하여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인데 SM28C 이상이면 담금질 효과가 있게 되므로 강인성을 필요로 하는 기계 부품에서는 담금질, 뜨임을 실시하여 사용합니다. 기계구조용 탄소강재는 SM10C에서 SM58C까지와 SM9CK, SM15CK, SM20CK의 23종류가 있으며 이 중에서 CK가 붙는 3종류는 침탄열처리용입니다.

연속주조(Continous Casting) [내부링크]

연속주조는1950년대에 처음 도입된 철강 제조의 대체 방법으로, 일반적으로 금속의 압연 제품은 용해 - 조괴 - 균질가열 - 분괴 - 가열 - 압연이라는 공정을 거쳐서 제조되고 있으나, 연속주조는 융용금속에서 직접 압연과 동시에 빌렛을 연속적으로 주조함으로써 공정 중에서 조괴 - 균질가열 - 분괴 공정을 생략할 수 있습니다. 즉, 금속 합금을 형상화한 다음 중단 없이 응고시키는 제조 공정입니다. 이차정련이 완료된 용강을 금형에 붓고 급속 냉각하여 금속 내에서 균일한 입자 구조를 보장합니다. 이차정련이 완료된 용강은 조괴공정 또는 연속주조공정에서 중간재인 슬래브(slab), 블룸(bloom), 빌릿(billet) 등으로 제조됩니다. 이 방법은 제품의 품질을 향상시키고 다른 방법보다 비용 효율적입니다. 연속주조의 프로세스는 아래와 같습니다. 레이들의 용강을 중간용기인 턴디시를 통해 몰드 내에 주입합니다. 몰드 주위에 냉각수를 배치하여 열을 식힙니다. 주형에서 기본 모양이 만들어지고 부분

후판 소개 및 용도 [내부링크]

후판(Plate)이란? 후판은 주로 4단가역식 압연기에 의해 제조되는 비교적 두꺼운 열간 압연 강판을 말하며 일반적으로는 두께 6mm 이상을 후판이라고 하고 12~40mm 중후판, 40mm 이상을 후물, 100mm 이상을 극후판이라고 합니다. 미터법 실시에 의해 두께, 폭, 길이 모두 mm로 불리게 되었으나 정척물의 폭과 길이에 대해서는 이제까지의 관용 때문에 피트(ft)가 병용됩니다. 후판 제품은 연속주조기에서 생산된 슬라브를 원하는 사이즈로 압연 및 냉각한 후 최종 제품 크기로 절단하여 만들어집니다. 후판은 중요한 용접 구조물 부재로 사용되며 화학성분, 재질, 치수, 형상, 표면, 내부품질 등으로 용도에 따라 용접성, 기공성 등이 추가로 요구될 수 있고 재질에 따라 일반구조용, 용접용, 보일러용, 대구경 강관용 등으로 규격을 정해 놓고 있습니다. 후판의 용도 후판의 용도는 조선용이나 용접 구조물의 부재가 주된 사용처이며 사용조건에 맞도록 고장력강, 저온용강, 고온용강, 내후성강

열간압연/냉간압연/냉간인발 소개 및 특징 [내부링크]

압연이란? 압연이란 회전하는 2개의 원통형 롤 사이로 금속재를 밀어서 원하는 두께와 강도의 판재, 형재, 봉재로 만드는 소성 가공입니다. 단조, 압출, 인발 등의 가공에 비해 압연은 비교적 단순한 형상의 제품을 능률적으로 만들 수 있는 매우 우수한 가공법입니다. 흔히 제철소 자료 화면에서 롤러로 줄줄이 밀려나오는 강판들이 바로 압연작업을 거치고 나오는 것입니다. 열간압연강 열연강재는 이름 그대로 열을 가해 압연하는 철강을 뜻합니다. 여기에서 압연 공정은 500 이상의 고온을 거치며, 이는 대부분 강철의 재결정 온도보다 높습니다. 열연과정을 거치면 철강을 더 쉽게 성형할 수 있고 작업하기에 더 쉬운 제품이 만들어집니다. 그러나 열연강은 냉연강에 비해 강도가 약합니다. 열연강재는 실온에서 냉각됩니다. 이는 냉연강 제품과 달리 사용된 초기 재료보다 완제품에 더 느슨한 공차를 줍니다. 이는 또한 담금질이나 가공 경화 공정 중에 발생할 수 있는 내부 응력으로부터 완제품을 보호합니다. 또한 열

스테인레스(SUS304) 환봉 저렴하게 드립니다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스틸토피아 입니다.^^ 오늘은 스테인레스 304 (SUS304) 흑환봉 ∮100-4톤, ∮80-2톤 저렴하게 판매하고자 합니다 SUS 304 환봉 사진 현재 SUS304 환봉은 시화가공센타에 있습니다. 절단 판매도 가능하오니 저렴하게 구입하고자 하시는 분은 언제든지 연락 부탁드립니다. 문의처 010-3370-2235입니다. SUS 304 성분 분석 성적서

환봉의 종류(흑환봉, 마환봉) 및 재질 [내부링크]

환봉이란? 환봉(Round Bar)은 심레스 파이프와는 다르게 속이 꽉 차있는 둥글고 긴 막대기를 뜻합니다. 환봉의 종류 환봉은 크게 두 가지 종류로 나뉘는데 흑환봉과 마환봉이 있습니다. 흑환봉은 고온에서 열간압연한 환봉으로, 제철소에서 제련하는 과정에서 표면에 산화피막(흑피)이 생기게 되는데, 이 상태 그대로 출하되는 환봉을 뜻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표면이 거칠고 검은색을 띄며 녹이 있는 경우도 있습니다. 이러한 외관상의 특징 때문에 구로 또는 쿠로라고도 하는데, 일본어로 검다는 뜻의 黒(くろ)입니다. 부품 가공 시 표면 가공을 해서 공차를 맞춰야 하므로 가공비가 별도로 추가 되며, 가공여유치수와 공차를 고려해서 규격을 구매해야 합니다. 흑환봉 마환봉은 열간압연된 선재나 봉강을 냉간인발하여 정밀도와 광택을 올린 상태입니다. 연마되었다는 의미로 '마'가 붙었으며, 미가키/미각기/미가끼(みがき), 마루(丸), 마봉강 등으로 부르기도 합니다. 마환봉은 표면이 매끈하여 보통 추가적인 표면

금속의 기계적 성질 [내부링크]

연신율(Elongation, EL) 물체가 늘어나는 비율을 뜻합니다. 연신율은 재료의 연성과 가공성을 평가할 수 있는 시험항목입니다. 인장강도(Tensile Strength, TS) 항장력이라고도 하며, 재료의 기계적 강도를 표시하는 값입니다. 물체에 힘을 가하여 양쪽에서 당기면 물체가 늘어나다가 결국에는 파단되는데, 파단되기 전까지 가해지는 힘 중 가장 큰 힘을 인장강도라고 합니다. 항복강도(Yield Strength, YS) 물체에 힘을 가하여 양쪽에서 당길 때, 힘을 어느 정도까지만 주다가 놓게 되면 원래 크기로 돌아가지만, 일정 크기의 힘 이상으로 당긴 후 놓게 되면 원상복구 되지 못하고 더 길어집니다. 이때 원래 상태로 돌아갈 수 있을 때의 최대 힘을 항복강도라고 합니다. 항복강도가 낮아질수록 인장강도는 낮아지고 연신율은 높아진다고 봅니다. 경도(Hardness, HRB) 단단함의 정도, 즉 어떤 물체를 다른 물체를 눌렀을 때 그 물체의 변형에 대한 저항력의 크기입니다. 강

건설에 사용되는 유형의 강판 [내부링크]

강판은 다양한 모양, 크기, 폭으로 제공되는 건설 자재 중 하나로, 오늘날 가장 대표적으로 사용되는 건축자재 중 하나입니다. 무늬강판 가장 많이 사용되는 건축용 강판 타입으로는 무늬강판이 있습니다. 이 철판은 약간 융기된 각진 패턴이 있습니다. 이런 패턴에는 다이아몬드, 체크, 혼합된 무늬를 포함합니다. 이러한 표면은 미끄럼방지 효과가 있습니다. 따라서 엘리베이터, 산업용 및 주차용 계단 또는 바닥에 무늬강판을 사용합니다. 또한, 긁힘을 방지하기 위해 벽의 모서리 등에서도 이러한 강판을 찾을 수 있습니다. 무늬강판은 먼지, 액체, 기타 지저분한 것들에 쉽게 오염되지 않아 유지 관리가 쉽습니다. 아연도금강판 많은 건설 프로젝트에서 볼 수 있는 또 다른 형태의 강판은 아연도금강판입니다. 일반 강판은 강판의 강도를 높이기 위해 용융아연 침지 후 아연도금을 합니다. 이 강판은 높은 강도에도 불구하고 원하는 모양으로 성형할 수 있어 다양한 프로젝트에 쓰입니다. 추가 코팅 아연으로 인해 이 강

기계구조용 탄소 강관(STKM) 종류/용도/기호/화학성분 [내부링크]

STKM 재질은 주로 기계, 자동차, 자전거, 항공기, 기구, 기계 부품 등에 사용하는 탄소 강관 재질입니다. 제관방법에 따라 A, B, C로 나뉘는데, A는 열간 가공 또는 열처리를 한 것, C는 냉간 가공 또는 응력 제거 열처리를 한 것, B는 그 외의 것을 가리킵니다. 또한 SKTM13A / STKM13B / STKM13C 재질을 예로 들면 세 개의 화학적 성질은 동일하나 알파벳이 뒤로 갈수록 강도가 높아지는 특성을 지니고 있습니다. 한국산업표준으로는 KS D 3517:2008 입니다. STKM은 일본 JIS 표기로 한국 KS 표기로는 STM(STEEL TUBE MACHINE)이라고 합니다. 종류 및 화학성분은 아래 표와 같습니다. 종류 기호 화학성분(%) C Si Mn P S Nb or V 11종 A STKM11A ≤0.12 ≤0.35 ≤0.60 ≤0.040 ≤0.040 - 12종 A STKM12A ≤0.20 ≤0.35 ≤0.60 ≤0.040 ≤0.040 - B STKM12B

어닐링(Annealing)과 템퍼링(Tempering)의 차이 [내부링크]

어닐링(풀림)과 템퍼링(뜨임)은 모두 금속을 열처리하는 방법입니다. 열처리의 목적은 제조를 위해 금속의 물리적 또는 화학적 특성을 이도적으로 변경하는 것입니다. 열처리는 강도, 경도, 성형성, 연성, 가단성 및 가공성을 포함하여 금속 제품의 많은 특성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금속의 열처리에 영향을 끼치는 데에는 3가지 변수가 있는데, 제조업체가 가열하는 온도, 그 온도에서 얼마나 오래 머무는지와 냉각 방법 혹은 속도입니다. 열처리를 거치는 금속의 유형과 고객이 찾고자 하는 것에 따라 이러한 변수가 달라집니다. 그러나 효과적인 열처리에는 세 가지 모두 정밀한 컨트롤이 필요합니다. 어닐링(ANNEALING, 풀림) 어닐링이란 금속을 연화시키고 응력을 완화하며 연성을 증가시키는 3단계 열처리 공정입니다. 어닐링 작업을 진행하는 동안 재료를 이상적인 온도로 가열한 다음, 일정 시간 동안 해당 온도를 유지합니다. 그런 후에는 서서히 냉각을 시킵니다. 어닐링을 하는 주된 이유는

기계 구조용 합금강 SCM440 화학성분 및 특징 [내부링크]

SCM440은 기계구조용 크롬, 몰리브덴 합금 강재입니다. (KS D 3867) 크롬과 몰리브덴은 강의 경화성을 높여주는 원소로서, 높은 경도가 필요한 산업기기나 산업현장에서 많이 사용되는 강종입니다. 강종명을 풀이해보면 아래와 같습니다. 화학성분 강종 / (%) C Si Mn P S Cr Mo Ni Cu SCM 440 0.38-0.43 0.15-0.36 0.6-0.9 ≤0.03 ≤0.03 0.9-1.2 0.15-0.30 ≤0.25 ≤0.3 기계적 성질 SCM440 강재는 QT(퀜칭, 템퍼링) 열처리를 해서 부품의 사용 특성에 맞게 강도를 조절해서 사용하는 것이므로 별도로 정해진 기계적 성질에 대한 기준치는 없습니다. 특징 C를 0.38-0.45% 함량하고 있는 중/고탄소 합금강으로, 내마모성을 요구하지 않는 부품에 많이 사용하다보니 표면 강화용 침탄열처리보다는 금속 자체의 심부까지 강도를 올리는 목적이 있어, QT 열처리 과정을 거치고 사용합니다. 탄소 함량이 높아 QT 열처리 시

중국산 SCM440 심레스 파이프(Seamless Pipe) 수입 건 [내부링크]

중국산 SCM440 심레스 파이프(Seamless Pipe) 30여톤을 수입했습니다. 제품은 고객이 지정한 회사 브랜드 제품으로, 검수 시 사이즈 및 외관 등 모두 이상 없는 것을 잘 확인했습니다. SCM440 심레스파이프 컨테이너 적재 사진 SCM440 심레스파이프 컨테이너 내부 사진 컨테이너 적재 후, 이동 시 흩어지지 않게 잘 밴딩하여 나무로 잘 고정시켜놓은 모습입니다. 스틸토피아는 탄소강, 스테인레스 외 여러 강종의 강관(파이프), 환봉, 판재 등을 다양하게 취급하고 있습니다. 궁금한 점이 있으시다면 언제든지 편하신 방법으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탄소강과 스테인리스강의 차이점 [내부링크]

철은 세계에서 가장 흔히 쓰이는 금속으로서, 건설, 제조 및 기타 여러 응용 분야에서 다재다능한 소재입니다. 이는 약 99%의 철과 1%의 탄소로 구성된 철 합금입니다. 강철은 합금강, 탄소강, 스테인리스강, 공구강 총 4종류가 있으며, 그중 탄소강과 스테인리스강이 가장 많이 사용됩니다. 스테인리스 강 스테인리스강은 내수, 건축, 운송, 의료, 식품 및 음료, 제약 산업 등 수백 가지 분야에서 사용됩니다. 내구성, 강도 및 내식성은 수술 기구에서 산업용 배관에 이르기까지 매우 이상적으로 부합합니다. 스테인리스강은 평균 18%의 크롬과 다양한 양의 규소 및 망간을 포함하는 저탄소강 합금입니다. 크롬은 고열 또는 산화 환경에서 내식성을 강화하고 증가시켜 강철 내구성에 역할을 하는 원소입니다. 일부 등급에서는 내식성을 더욱 높이기 위해 니켈과 몰리브덴이 포함되기도 합니다. 스테인리스강은 5가지 주요 카테고리로 나뉩니다. 오스테나이트계 : 용접성과 성형성을 높이기 위해 니켈, 망간 및 질소

[스틸토피아] 강철의 유형과 등급(ASTM / SAE) [내부링크]

많은 사람들이 흔히 강철은 철과 탄소의 미리 정해진 조합일 뿐이라고 생각하지만, 사실 강철에는 3500개 이상의 다양한 등급이 존재합니다. 이는 탄소의 양, 추가 합금 및 제조사가 처리하는 방법을 측정하여 강종을 비교할 수 있습니다. 강철의 네 가지 유형 철강은 탄소, 합금, 스테인리스, 공구 네 가지 유형으로 등급이 매겨지고 분류됩니다. 여러 유형의 강철의 용도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탄소강 탄소강은 탄소와 철 외에 미량의 원소만 포함됩니다. 이 유형은 철강의 4개 등급 중 가장 많이 사용되며 철강 생산량의 90%를 차지합니다. 탄소강은 금속에 포함된 탄소의 양에 따라 저탄소강/연강(최대 0.3%의 탄소), 중탄소강(0.3~0.6%의 탄소), 고탄소강(0.6% 이상의 탄소) 이 세 가지 주요 하위 그룹으로 나뉩니다. 탄소강은 제조 비용이 저렴하고 대규모 건설에 사용할 수 있을 만큼 충분히 강하기 때문에 제조사에서는 이를 대량으로 생산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2. 합금강 합금강은 니켈

글로벌 철강 수출입 유통전문 스틸토피아 입니다 [내부링크]

스틸토피아 로고는 전세계 철강제품도 온라인 쇼핑하듯 편하게 구매할 수 있다는 비전 하에 고안되었습니다. 이름 역시 생산자와 구매자에게 모두가 꿈꾸는 이상적 거래를 지향하고자 하는 의지를 담은 토피아를 합성하여 스틸토피아(STEELTOPIA)로 정하였습니다. 스틸토피아의 Value는 철강제품 수출입 시 인터넷, 인공지능, 데이타, ICT 등 신기술을 통한 철강 제조, 수출입, 물류, 창고, 가공 등을 제공하는 글로벌 철강 수출입 시스템입니다. 스틸토피아 주요취급품목 스틸토피아는 강관(steel pipe), 환봉(round bar), 판재(steel sheet&plate), 각관(square pipe) 등 토목, 건축과 같은 구조물이나, 자동차 부품 및 산업기자재, 철구조물, 교량, 선박 등에 사용되는 철강제품들을 취급하고 있습니다. 대한민국 철강 온라인스토어, 스틸토피아 누구나 PC와 모바일을 통해 철강 시세를 확인할 수 있으며, 쉽고 빠르게 구매가 가능합니다. 글로벌유통망에 따른 최

철강제품 철판 각파이프 스텐 환봉 코일 가격 견적받는 방법 [스틸토피아 에스앤비즈] [내부링크]

스틸토피아 에스앤비즈 철강제품 견적받는 방법 안녕하세요. 글로벌 철강 수출입 기업 스틸토피아 에스앤비즈 입니다. 오늘은 많은 분들이 궁금해하실 견적받는 법, 주문진행 가이드, 컨텍하는 방법 등 소개드고자 합니다. 각파이프, 철판, 스텐(sus), 환봉, 코일 등 어떻게 견적을 받고, 계약 후 어떻게 진행되는지 설명드리겠습니다. 스틸토피아 주문진행 가이드 견적신청 > 견적답신 > 구매계약 체결 > 제품현황보고 > 품질검사 > 선적 이메일 또는 홈페이지 견적신청 란에 필요하신 제품을 상세히 견적요청 넣어주세요. 보내주신 이메일이나 홈페이지에서 견적에 대한 답신을 드립니다. 계약 체결 후 제품의 생산과 가공 상황을 보고 드리고 요청하신 치수와 수량 등이 맞는지 충분한 품질 검사 후 선적에 들어갑니다. 스틸토피아 컨텍 방법 이메일, 홈페이지방문, 전화, 사무실 방문 등을 통해 컨텍하실 수 있습니다. 또한 카카오채널을 추가하여 대화를 걸어주시면 실시간으로 답변드립니다. 스틸토피아 오시는 길

중국산 STKM13A 심레스 파이프 수입 건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스틸토피아입니다. STKM13A 재질의 심레스 파이프를 약 40톤 가량 수입했습니다. 선적 후 해상운송 시 파이프가 움직이지 않도록 나무와 튼튼한 와이어로 고정작업을 잘 해놓은 모습입니다. 스틸토피아는 고객님의 수요에 맞춰 쉽고 빠르게 제품을 드리고 있습니다. 최적의 단가와 철저한 품질관리 및 A/S로 만족스러운 서비스를 제공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CONTACT US

심레스파이프 특징과 제조방법 인발과 압출의 차이점 Drawing and extrusion [내부링크]

심레스파이프 Seamless Pipe 심레스파이프는 용접이 없는 원형 파이프를 말합니다. 내부와 외부 지름이 일정하게 유지되고 무누설 구조를 가지고 있습니다. 원형파이프의 종단을 연결하면 연속적인 파이프라인을 형성할 수 있습니다. 용접파이프보다 우수한 강도와 내식성을 가지고 있으며, 특히 고압과 고온 상태에서 높은 성능을 발휘합니다. 심레스파이프의 제조와 관련하여 사용할 수 있는 방법으로는 압출과 인발 입니다. 이 프로세스에는 각각 장점과 단점이 있기 때문에 이를 잘 이해하고 프로젝트에 가장 적합한 방법으로 적용시키는 것이 중요합니다. 압출과 인발의 정의 1. 압출 (Extrusion) 압출은 형상 또는 단면 프로파일을 생성하기 위해 다이 또는 몰드를 통해 재료를 밀어내는 방식입니다. 이 방식은 균일한 두께 또는 프로파일을 가진 부품을 만드는 데 자주 사용됩니다. 또한 단순하고 복잡한 모양을 만드는 데 사용할 수 있어 매우 다재다능 합니다. 또한 압출은 알루미늄, 황동, 구리, 스테

스테인리스 스틸 (Stainless Steel) 304와 316의 차이점 STS304 STS316 sus 서스 써쓰 [내부링크]

스틸토피아 에스앤비즈 스테인리스 스틸 304와 316의 차이점 스테인리스 강 (Stainless 鋼) 또는 스테인리스 스틸 (Stainless Steel)은 대한민국에서는 스텐레스 또는 스텐이라고 줄여서 부르기도 하는데요. 정확히는 스테인리스강이 정확한 표기입니다. 스테인리스는 영문 Stain-less 가 뜻하는 바와 같이 녹, 부식이 일반 강철에 비해 적다는 의미를 나타냅니다. 스테인리스는 내식성과 내부식성이 뛰어난 크롬이 들어간 강철 합금 입니다. 여기서 내식성(Corrosion Resistance)과 내부식성(Intergranular Corrosion) 이란 금속 또는 합금의 부식 저항력을 나타내는 개념으로, 내식성은 금속이 외부 환경적인 요소에 노출되었을 때 부식을 견딜 수 있는 능력을 나타냅니다. 금속의 표면이 산소, 수분, 염소, 화학 물질 등과 접촉하면서 발생하는 화학 반응에 대한 저항력을 의미합니다. 내부식성은 금속 합금 내부의 결정립 경계에서 발생하는 부식 현상으로,

철강 중국직수입 단조강 S45C 환봉 수입검수 [스틸토피아] [내부링크]

철강 중국직수입업체 스틸토피아 입니다. 중국산 철간 환봉(ROUND BAR) 수입 검수하고 왔습니다. 업체와 소통하여 사이즈에 맞게 맞춤으로 단조강 S45C 100여톤가량 입고되었습니다. UT(Ultrasonic Testing) 품질 검사를 통해 재료나 부품의 내부 결함없이 검증된 제품 입니다! 단조강은 단조 공정을 통해 제작되는 강재로, 열과 압력을 가하여 금속을 성형하고 가공하는 과정을 말합니다. 강도와 내구성, 경도 등 다양한 물리적 특성을 제어하여 필요한 용도에 맞게 제작되는데요. 주로 자동차, 항공, 조선, 석유화학, 건설, 기계제조 등의 분양에서 구조 부품, 기계 부품, 기어, 베어링, 압력 용기 등을 제작하는 데에 활용됩니다. S45C는 일본 산업규격인 JIS G4051에서 정의된 탄소강(카본 스틸) 등급 중 하나입니다. 이 등급은 강재의 화학조성 및 물리적 특성을 정의하며, 주로 기계 구성 부품, 축, 바, 강관 등 다양한 용도로 사용됩니다. 중국에서 수입되어 부두에

일상에서 사용되는 스테인리스 강의 장점과 관리법 [내부링크]

스틸토피아 에스앤비즈 일상에서 만나는 스테인리스강 스테일리스 강은 우리 일상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소재입니다. 집 안에서도, 길을 걷다가도, 심지어 책상 앞에서 마시는 커피가 담겨있는 텀블러도 스테인리스 입니다. 이처럼 우리 일상에 깊게 침투되어 있는 스테인리스에 대해 알아볼 필요가 있습니다. #스테인리스강 의 장점은 무엇이고 어떻게 관리해야하는지 알아보겠습니다. 사진출처: 스테인리스 텀블러(무인양품), 칼(이케아), 의료용품(프리픽) 스테인리스강의 장점 내식성: 수테인리스 강은 높은 내식성을 가지고 있어 수분, 공기, 화학 물질에 노출 되어도 부식되지 않습니다. 때문에 음식물과 접촉하는 주방용품이나 화장실용품, 바다나 습한 환경에서 사용되는 제품 등에 적합합니다. 내마모성: 스테리스 강은 내마모성이 뛰어나서 마모에 의한 변형이나 파손을 최소화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자동차 부품, 주방용품 등에 사용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유지보수 용이성: 쉽게 청소하고 유지할 수 있습니다. 부식이

SUS304 심레스파이프 seamless pipe 중국산 직수입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철강 수출입 전문 스틸토피아 입니다. #심레스파이프 SUS(서스)304 30여톤 중국 직수입 했습니다. 깨끗하고 올곧은 제품으로 안전하게 입고되었습니다. UT(Ultrasonic Testing) 품질검사를 거친 파이프들입니다. 중국에서 심레스파이프를 컨테이너에 적재한 사진입니다. 제품들이 무게가 있기 때문에 굴러다니거나 흠집이 생기지 않도록 최대한 안전하게 팩킹합니다. 위 사진은 한국에 도착한 스테인레스 심레스파이프 입니다. 중국에서 한국으로 안전하게 제품이 도착했습니다. 제품들을 싣고 업체로 향합니다. #중국산파이프 직수입 전문업체 #스틸토피아 입니다. #sus304 심레스파이프 입고 소개드렸습니다. 심레스파이프, 환봉, 판재, 각관 등 다양하게 취급하고 있습니다. 문의사항 댓글이나 전화주시면 친절하게 상담 도와드리겠습니다.

LME 주요원자재 국제가격 (2024년 2월 12일~2월 16일) [내부링크]

LME가격 및 시세 일일 가격 안내드립니다. 구리, 알루미늄, 아연, 납, 니켈, 주석 시세를 한눈에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일자 품목 (USD/ton) 구리 (Cu) 알루미늄(Al) 아연 (Zn) 납 (Pb) 니켈 (Ni) 주석 (Sn) 2024. 02. 16 8,322.0 2,203.0 2,342.0 2,062.0 16,090.0 26,950.0 2024. 02. 15 8,153.0 2,205.0 2,321.5 2,057.0 16,240.0 27,275.0 2024. 02. 14 8,133.5 2,194.0 2,285.5 2,023.0 16,115.0 27,265.0 2024. 02. 13 8,185.0 2,204.0 2,297.0 2,017.0 15,950.0 27,500.0 2024. 02. 12 8,085.5 2,188.0 2,295.0 2,053.0 15,755.0 26,650.0

LME 주요원자재 국제가격 (2024년 2월 19일~2월 23일) [내부링크]

LME가격 및 시세 일일 가격 안내드립니다. 구리, 알루미늄, 아연, 납, 니켈, 주석 시세를 한눈에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일자 품목 (USD/ton) 구리 (Cu) 알루미늄(Al) 아연 (Zn) 납 (Pb) 니켈 (Ni) 주석 (Sn) 2024. 02. 23 8,442.5 2,157.0 2,348.5 2,097.0 17,180.0 26,300.0 2024. 02. 22 8,482.0 2,178.5 2,358.0 2,085.0 16,985.0 25,975.0 2024. 02. 21 8,472.0 2,211.5 2,360.0 2,082.0 16,505.0 26,310.0 2024. 02. 20 8,366.5 2,147.5 2,327.0 2,041.0 16,135.0 26,250.0 2024. 02. 19 8,364.5 2,185.0 2,343.0 2,044.5 16,175.0 26,405.0

일반 배관용 스테인리스 강관 (Light gauge stainless steel pipes for ordinary piping) 용도 규격 치수 [내부링크]

스틸토피아 일반배관용 스테인레스 파이프 안녕하세요. 철강수출입 전문 스틸토피아 입니다. 오늘은 일반배관용 스테인리스 강관은 일반적으로 가정용 및 상업용 배관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스테인리스 강관입니다. 이러한 강관은 다양한 산업 및 응용 분야에서 널리 사용되며, 특히 물과 가스, 오일 그리고 다른 유체 및 가스의 이동을 위한 배관 시스템에 적합합니다. 사진출처: 핀터레스트 일반 배관용 스테인리스 강관의 특징은 다음과 같습니다. 내식성: 스테인리스 강관은 내부 및 외부에서의 부식 및 산화에 대해 매우 내성이 뛰어납니다. 이는 강관이 물, 습기, 화학 물질 등과 접촉할 때 오랜 기간 동안 유지되는 강한 내식성을 의미합니다. 강도: 스테인리스 강관은 강한 구조적인 강도를 가지고 있어, 고압력이나 고온에서도 안정적으로 작동할 수 있습니다. 용이한 가공성: 스테인리스 강관은 용접, 굴곡, 절단 등 다양한 가공 공정을 통해 필요한 형태로 가공할 수 있습니다. 이로써 다양한 디자인과 응용에 유연하

LME 주요원자재 국제가격 (2024년 2월 26일~3월 1일) [내부링크]

LME가격 및 시세 일일 가격 안내드립니다. 구리, 알루미늄, 아연, 납, 니켈, 주석 시세를 한눈에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일자 품목 (USD/ton) 구리 (Cu) 알루미늄(Al) 아연 (Zn) 납 (Pb) 니켈 (Ni) 주석 (Sn) 2024. 03. 01 8,394.0 2,183.5 2,362.5 2,052.5 17,175.0 26,150.0 2024. 02. 29 8,389.0 2,163.0 2,382.0 2,067.0 17,435.0 26,375.0 2024. 02. 28 8,340.5 2,130.0 2,342.0 2,090.0 17,140.0 26,100.0 2024. 02. 27 8,396.5 2,146.0 2,398.0 2,113.0 17,075.0 26,075.0 2024. 02. 26 8,373.0 2,140.5 2,380.0 2,111.0 16,985.0 26,100.0

기계구조용 스테인리스 강관 (Stainless Steel Pipes for Machine and Structural Purposes) 규격 용도 치수 [내부링크]

스틸토피아 기계구조용 스테인리스 파이프 안녕하세요. 철강 수출입 전문 #스틸토피아 입니다. 지난 포스팅 일반배관용 스테인리스파이프에 이어 오늘은 #기계구조용스테인리스파이프 포스팅입니다. 기계구조용 스테인리스 강관은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기계 및 구조적인 목적으로 사용됩니다. 고강도, 내식성 및 내열성 등의 특성으로 인해 다양한 기계 구조물과 장비에 적합합니다. image from Pinterest 기계구조용 스테인리스 강관의 특징은 다음과 같습니다. 고강도: 기계 및 구조적인 응용을 위한 강관은 일반적으로 높은 강도를 낮추고 있어, 구조물이나 장비의 안정성과 견고성을 보장합니다. 내식성: 내부 및 외부에서의 부식 및 산화에 대해 매우 내성이 뛰어납니다. 따라서 실내 및 야외 환경에서 사용되는 구조물 및 기계에도 적합합니다. 내열성: 고온 환경에서도 안정적으로 작동할 수 있는 내열성을 갖추고 있습니다. 가공 용이성: 다양한 가공 공정을 거칠 수 있습니다. 이러한 강관은 용접, 굴곡,

LME 주요원자재 국제가격 (2024년 3월 4일~3월 8일) [내부링크]

LME가격 및 시세 일일 가격 안내드립니다. 구리, 알루미늄, 아연, 납, 니켈, 주석 시세를 한눈에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일자 품목 (USD/ton) 구리 (Cu) 알루미늄(Al) 아연 (Zn) 납 (Pb) 니켈 (Ni) 주석 (Sn) 2024. 03. 08 8,552.5 2,209.0 2,501.5 2,125.0 17,845.0 27,485.0 2024. 03. 07 8,559.0 2,210.0 2,495.0 2,107.0 17,660.0 27,550.0 2024. 03. 06 8,441.0 2,187.5 2,446.0 2,060.0 17,475.0 27,050.0 2024. 03. 05 8,429.5 2,191.5 2,418.0 2,023.0 17,600.0 26,500.0 2024. 03. 04 8,437.0 2,182.5 2,393.0 2,028.0 17,575.0 26,600.0

산업용 특수롤 스테인레스 탄소강 파이프 환봉 납품업체 스틸토피아 [내부링크]

스틸토피아 산업용 특수롤 (스테인레스, 탄소강) 산업용 특수롤(Industrial Specialty Rolls)은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사용되는 롤러로, 특정 작업이나 공정에 맞게 설계되고 제작됩니다. 이러한 특수 롤은 다양한 형태와 크기로 제작되며, 다양한 소재로 가공하고 형성됩니다. 특수롤의 종류로는 아래와 같습니다. 가공 롤러(Processing Rolls): 금속, 플라스틱, 종이 등 다양한 소재를 가공하고 형성하는 데 사용됩니다. 예를 들어 압출기 롤러, 인쇄 롤러, 레벨링 롤러 등이 있습니다. 압연롤러(Rolling Rolls): 금속 시트나 철판을 압연하여 원하는 형상으로 가공하는 데 사용됩니다. 압연 밀, 강판 밀링 기계, 프레스 롤러 등이 이에 해당됩니다. 가연 롤러(Heating Rolls): 금속을 가열하는 공정에서 사용됩니다. 가열된 금속을 형성하거나 성형하는 데 필요한 온도를 유지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냉각 롤러(Cooling Rolls): 가열된 금속의 냉각

LME 주요원자재 국제가격 (2024년 1월 22일~1월 26일) [내부링크]

LME가격 및 시세 일일 가격 안내드립니다. 구리, 알루미늄, 아연, 납, 니켈, 주석 시세를 한눈에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일자 품목 (USD/ton) 구리 (Cu) 알루미늄(Al) 아연 (Zn) 납 (Pb) 니켈 (Ni) 주석 (Sn) 2024. 01. 26 8,447.0 2,212.0 2,582.0 2,149.0 16,535.0 26,550.0 2024. 01. 25 8,486.0 2,188.5 2,595.0 2,169.0 16,360.0 26,450.0 2024. 01. 24 8,460.0 2,207.5 2,564.5 2,175.5 16,240.0 26,350.0 2024. 01. 23 8,283.5 2,145.0 2,496.0 2,162.0 16,010.0 26,000.0 2024. 01. 22 8,254.5 2,110.0 2,438.5 2,087.0 15,785.0 25,375.0

인쇄롤의 종류와 특징 - 카본롤, 튜빙 도금연마롤, 고무피복롤 [내부링크]

Gravure Roll - 인쇄롤 인쇄롤은 인쇄 공정에서 사용되는 롤러 중 하나로, 고해상도 이미지를 인쇄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주로 잡지, 포장재 등 고해상도 인쇄가 필요한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됩니다. 카본 가이드 롤(Carbon Guide Roll) 카본 가이드롤은 주로 고온 및 고압 환경에서 사용되는 롤러 중 하나입니다. 이 롤러는 열 및 압력을 견디는 소재로 만들어져 있어 주로 열간 압연, 열간 인쇄, 가열 프로세스 등의 고온 및 고압 환경에서 사용됩니다. 카본 가이드 롤은 일반적으로는 석탄 또는 석유에서 파생된 카본 소재를 사용하여 제작됩니다. 이러한 카본 소재는 높은 내열성과 내부 마찰 특성을 가지고 있어서 열 및 압력에 견디기에 적합합니다. 카본 가이드 롤의 주요특징으로는, 내열성: 고온 환경에서 사용되므로 카본 가이드 롤은 높은 내열성을 갖추고 있습니다. 내마찰 특성: 소재의 내부 마찰 특성은 고온 및 고압에서의 안정성을 향상시킵니다. 내부 손상 감소: 고온 및 고압에

LME 주요원자재 국제가격 (2024년 1월 29일~2월 2일) [내부링크]

LME가격 및 시세 일일 가격 안내드립니다. 구리, 알루미늄, 아연, 납, 니켈, 주석 시세를 한눈에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일자 품목 (USD/ton) 구리 (Cu) 알루미늄(Al) 아연 (Zn) 납 (Pb) 니켈 (Ni) 주석 (Sn) 2024. 02. 02 8,400.0 2,209.5 2,463.0 2,145.5 16,125.0 25,475.0 2024. 02. 01 8,437.0 2,212.5 2,478.0 2,162.0 15,985.0 25,700.0 2024. 01. 31 8,513.0 2,232.0 2,551.5 2,173.0 16,070.0 26,000.0 2024. 01. 30 8,462.0 2,226.5 2,546.0 2,165.0 16,150.0 26,050.0 2024. 01. 29 8,421.0 2,214.0 2,566.0 2,180.0 16,285.0 26,350.0

일반도금연마롤 산업용가이드롤과 중량롤, 샌딩롤 알아보기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철강수출입전문 스틸토피아 입니다. 오늘은 인쇄롤 중에서도 일반도금연마롤과 일반산업용 가이드롤, 중량롤, 샌딩롤을 소개드리겠습니다. 용도와 특징, 적용분야로 나누어 설명드립니다. 일반도금연마롤 (General Plating Abrasive Roll) 용도: 일반도금연마롤은 다양한 금속 및 비금속 재료의 표면을 연마하고 마무리하는 데 사용됩니다. 주로 금속 가공 공정에서 부드러운 표면 마무리를 위해 활용됩니다. 특징: 보통 연마재료가 장착된 롤 형태로 제공됩니다. 연마재료는 다이아몬드, 실리카 카보릴, 알루미나 등이 사용될 수 있습니다. 다양한 연마재료를 사용하여 다양한 표면 마무리 효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적용 분야: 금속 가공 산업, 세라믹 가공, 유리 가공 등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사용됩니다. 일반산업용 가이드롤 (General Industrial Guide Roll) 용도: 일반 산업용 가이드롤은 산업 기계 및 장비에서 소재를 안정적으로 가이드하고 이송하는 데 사용

LME 주요원자재 국제가격 (2024년 2월 5일~2월 9일) [내부링크]

LME가격 및 시세 일일 가격 안내드립니다. 구리, 알루미늄, 아연, 납, 니켈, 주석 시세를 한눈에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일자 품목 (USD/ton) 구리 (Cu) 알루미늄(Al) 아연 (Zn) 납 (Pb) 니켈 (Ni) 주석 (Sn) 2024. 02. 09 8,091.5 2,180.5 2,322.0 2,050.0 15,725.0 25,980.0 2024. 02. 08 8,202.0 2,214.5 2,374.0 2,099.0 15,755.0 25,600.0 2024. 02. 07 8,280.5 2,195.5 2,401.0 2,119.0 15,680.0 25,150.0 2024. 02. 06 8,280.0 2,184.5 2,417.0 2,119.0 15,620.0 25,075.0 2024. 02. 05 8,329.0 2,183.5 2,419.0 2,132.0 15,805.0 24,780.0

산업용 특수롤 아노다이징롤(Anodizing Roll)과 헤링본롤(Herringbone Roll) 알아보기 [내부링크]

아노다이징롤 (Anodizing Roll) 아노다이징 롤(Anodizing roll)은 일반적으로 금속 가공 공정에서 사용되는 장비 중 하나입니다. 주로 알로미늄 및 알루미늄 합금 제품의 표면 처리에 사용됩니다. 아노다이징은 금속 표면에 산화 층을 형성하여 내식성과 내구성을 향상시키는 프로세스입니다. 아노다이징 롤은 주로 알루미늄 소재를 롤 형태로 제품에 적용합니다. 롤은 알루미늄 표면에 산화 층을 균일하게 형성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이 산화 층은 제품의 외관을 개선하고 내구성을 높이는 데 도움이 됩니다. 아노다이징 롤은 공장의 생산 라인에서 자동화도니 프로세스로 사용되며, 정밀한 제얼르 통해 일관된 품질을 유지합니다. 헤링본 롤(Herringbone roll) 헤링본 롤은 주로 제조 및 가공 공정에서 사용되는 특수한 형태의 롤입니다. 이 롤은 주로 금속 가공 공정에서 시트나 스트립 형태의 재료를 균일하게 압출하거나 가공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헤링본 롤은 이름에서 알 수 있듯이, 모

sus304 sts304 세관 심레스파이프 (스틸토피아)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스테인레스스틸 파이프 수출입전문 #스틸토피아 입니다. sus304(sts304) 세관파이프 심레스파이프 수입했습니다. #세관 이라 하면 일반적으로는 익숙치 않으실텐데요. 細管(세관) 가늘 세를 사용하여 가느다란 관을 뜻합니다. 우드박스에 안전하고 깔끔하게 팩킹하여 입고된 sus304 세관 심레스파이프 입니다. 총 150kg 으로 고객님 요청하신 규격으로 맞춰 맞춤제작했습니다. 문의사항 댓글 또는 전화주시면 상담 도와드립니다.

LME 주요원자재 국제가격 (2023년 12월 27일~12월 29일) [내부링크]

LME가격 및 시세 일일 가격 안내드립니다. 구리, 알루미늄, 아연, 납, 니켈, 주석 시세를 한눈에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일자 품목 (USD/ton) 구리 (Cu) 알루미늄(Al) 아연 (Zn) 납 (Pb) 니켈 (Ni) 주석 (Sn) 2023. 12. 29 8,476.0 2,335.5 2,640.5 2,031.0 16,300.0 25,175.0 2023. 12. 28 8,530.0 2,313.5 2,620.0 2,054.0 16,405.0 25,360.0 2023. 12. 27 8,511.5 2,293.5 2,605.5 2,046.0 16,355.0 25,075.0

LME 주요원자재 국제가격 (2024년 1월 2일~1월 5일) [내부링크]

LME가격 및 시세 일일 가격 안내드립니다. 구리, 알루미늄, 아연, 납, 니켈, 주석 시세를 한눈에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일자 품목 (USD/ton) 구리 (Cu) 알루미늄(Al) 아연 (Zn) 납 (Pb) 니켈 (Ni) 주석 (Sn) 2024. 01. 05 8,346.5 2,215.5 2,514.0 2,024.0 15,705.0 24,200.0 2024. 01. 04 8,375.0 2,235.5 2,531.0 2,012.0 16,025.0 24,925.0 2024. 01. 03 8,381.0 2,255.5 2,573.0 2,025.0 16,210.0 25,050.0 2024. 01. 02 8,430.0 2,336.5 2,607.0 2,033.0 16,600.0 25,150.0

S45C 단조강 중국산 환봉 직수입 - 스틸토피아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글로벌 철강 수출입 기업 스틸토피아 입니다. S45C 단조강(forged round bar) 200여톤이 수입되었습니다. 고객님께서 요청주신 다양한 사이즈에 맞춰 들어왔습니다. 단조강은 단조라는 공정을 통해 금속을 가열하고 성형하여 생성되는 합금의 일종을 뜻하는데요. 단조 공정에는 일반적으로 해머나 프레스를 사용하여 금속에 압축력을 가하여 변형 및 모양을 만드는 과정이 포함됩니다. 단조강은 강도, 내구성 등 특성들로 인해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다양한 용도로 사용됩니다. 차동차 산업, 항공우주 산업, 석유 및 가스 산업, 건축, 철도 산업 등 사용되고 있습니다. 오늘은 스틸토피아에서 수입한 단조강 소개드렸습니다. 사용용도가 다양한 만큼 사이즈도 다양하게 요청 주셨는데요. 스틸토피아는 항상 UT 품질검사를 통해 내부 또는 표면 결함을 감지하여 두께를 측정하고 재료 특성을 평가하는 과정을 거치고 있습니다. 문의사항은 댓글이나 전화주시면 도와드리겠습니다. 감사합니다.

단조강의 정의와 사용되는 분야 - 스틸토피아 [내부링크]

단조강이란? 단조강(Forged Steel)은 금속이 가열되고 형성되는 공정인 단조를 통해 생산된 강철입니다. 단조는 금속을 높은 압력과 온도에서 성형하는 공정으로, 주로 해머나 프레스를 사용합니다. 이 공정을 통해 금속의 결함을 줄이고 내구성과 강도를 향상시킵니다. 고강도: 단조강은 강도가 높아 충격이나 하중에 강하게 견딜 수 있습니다. 내구성: 단조과정은 금속 내의 결함을 줄여 내구성을 향상시킵니다. 밀도 향상: 단조는 금속의 결함을 줄여 밀도를 높일 수 있습니다. 성형 가능성: 단조를 통해 다양한 형태의 부품을 만들 수 있으며, 이는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유용합니다. 단조강 산업분야 앞서 말씀 드렸듯, 단조강은 강도, 내구성 및 기타 우수한 물성으로 인해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습니다. 안정적이고 견고한 소재로 자리매김하고 있는 단조강의 산업분야를 알아보겠습니다. 자동차 산업: 크랭크샤프트, 연결로드, 기어 및 축과 같은 자동차 부품은 대개 단조강으로 만들어집니다

LME 주요원자재 국제가격 (2024년 1월 8일~1월 12일) [내부링크]

LME가격 및 시세 일일 가격 안내드립니다. 구리, 알루미늄, 아연, 납, 니켈, 주석 시세를 한눈에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일자 품목 (USD/ton) 구리 (Cu) 알루미늄(Al) 아연 (Zn) 납 (Pb) 니켈 (Ni) 주석 (Sn) 2024. 01. 12 8,289.0 2,175.0 2,480.0 2,058.0 16,075.0 24,350.0 2024. 01. 11 8,332.0 2,203.0 2,508.0 2,095.0 16,250.0 24,300.0 2024. 01. 10 8,285.0 2,204.0 2,491.0 2,050.5 15,980.0 24,025.0 2024. 01. 09 8,301.5 2,200.0 2,503.0 2,033.0 16,150.0 24,300.0 2024. 01. 08 8,295.0 2,205.5 2,486.0 2,030.0 15,930.0 24,400.0

LME 주요원자재 국제가격 (2024년 1월 15일~1월 19일) [내부링크]

LME가격 및 시세 일일 가격 안내드립니다. 구리, 알루미늄, 아연, 납, 니켈, 주석 시세를 한눈에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일자 품목 (USD/ton) 구리 (Cu) 알루미늄(Al) 아연 (Zn) 납 (Pb) 니켈 (Ni) 주석 (Sn) 2024. 01. 19 8,275.0 2,122.0 2,459.0 2,077.0 15,935.0 25,550.0 2024. 01. 18 8,189.0 2,130.5 2,440.5 2,030.0 15,870.0 25,200.0 2024. 01. 17 8,230.0 2,142.0 2,487.0 2,033.0 15,765.0 25,025.0 2024. 01. 16 8,280.0 2,158.5 2,518.5 2,086.0 15,880.0 24,500.0 2024. 01. 15 8,238.5 2,153.0 2,535.0 2,078.0 16,200.0 24,550.0

ERW(Electric Resistance Welded) 파이프 정의와 주요 특징 및 특성 [내부링크]

ERW(Electric resistance Welded) 파이프란? ERW(전기저항용접) 파이프는 전기적인 저항을 이용하여 파이프의 두 끝을 용접하여 만든 파이프 입니다. 이는 주로 냉간 압연 강관으로 시작여며, 각 끝을 저항 가열로 가열한 다음 강관 끝 부분을 압축하여 용접합니다. 이 용접 과정은 전기 저항을 통해 발생하는 열을 사용하여 파이프의 끝을 용접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ERW 파이프의 주요 특징 및 특성 1. 비용 효율성: ERW 용접은 다른 일부 용접 방법보다 비교적 저렴하게 이루어집니다. 따라서 생산성이 높고 비용이 효율적입니다. 2. 다양한 응용: ERW파이프는 다양한 산업 및 응용 분야에서 사용됩니다. 특히 기본적인 수송용파이프, 구조용파이프, 프랜지용파이프 등으로 활용됩니다. 3. 표준 규격 사용: ERW 파이프는 표준 규격과 크기로 쉽게 제작할 수 있습니다. 이는 특정 산업 또는 프로젝트 요구에 맞게 다양한 사양의 파이프를 제작할 수 있음을 의미합니다. 4. 내

금속 재질 국가별 규격 비교 대조표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글로벌 철강 수출입 스틸토피아 입니다. 금속재질 표기가 국가별로 다르다는 걸 알고 계셨나요? 예를 들어 Stainless Steel 의 경우, 한국은 STS 로 표기하지만, 일본은 SUS 라고 표기합니다. 이처럼 나라별로 표기법이 다른데요, 오늘은 한국을 포함하여 일본, 미국, 영국, 독일, 프랑스 국가에서는 어떻게 표현하는지 표를 가져왔습니다. KS는 한국, JIS는 일본, AISI는 미국, BS는 영국, DIN은 독일, NF는 프랑스 입니다. 필요하실 때 마다 아래 표를 통해 확인해보세요! 한국 일본 미국 영국 독일 프랑스 국제표준기구 KS JIS AISI BS DIN NF ISO SKH 2 SKH 2 T1 BT1 - Z80WCV - SKH 3 SKH 3 T4 BT4 - Z80WKCV 18-1-1-5 SKH 4 SKH 4 T5 BT5 - Z80WKCV - SKH10 SKH10 T15 BT15 - Z160WKCV - SKH51 SKH51 M2 BM2 S6-5-2 Z85

LME 주요원자재 국제가격 (2023년 11월 13일~11월 17일) [내부링크]

LME가격 및 시세 일일 가격 안내드립니다. 11월 셋쨋주 구리, 알루미늄, 아연, 납, 니켈, 주석 시세를 한눈에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일자 품목 (USD/ton) 구리 (Cu) 알루미늄(Al) 아연 (Zn) 납 (Pb) 니켈 (Ni) 주석 (Sn) 2023. 11. 17 8,141.0 2,165.0 2,569.0 2,281.0 16,780.0 25,000.0 2023. 11. 16 8,165.5 2,182.5 2,573.0 2,268.5 16,960.0 25,050.0 2023. 11. 15 8,169.0 2,205.0 2,647.0 2,226.5 17,155.0 25,100.0 2023. 11. 14 8,081.0 2,194.0 2,539.0 2,159.5 17,005.0 24,600.0 2023. 11. 13 8,014.5 2,220.5 2,538.0 2,176.0 17,000.0 24,750.0

LME 주요원자재 국제가격 (2023년 11월 20일~11월 24일) [내부링크]

LME가격 및 시세 일일 가격 안내드립니다. 11월 넷쨋주 구리, 알루미늄, 아연, 납, 니켈, 주석 시세를 한눈에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일자 품목 (USD/ton) 구리 (Cu) 알루미늄(Al) 아연 (Zn) 납 (Pb) 니켈 (Ni) 주석 (Sn) 2023. 11. 24 8,300.0 2,179.0 2,544.5 2,189.0 15,935.0 24,050.0 2023. 11. 23 8,307.5 2,183.0 2,522.0 2,203.5 16,280.0 24,200.0 2023. 11. 22 8,296.0 2,194.5 2,500.0 2,238.5 16,430.0 24,575.0 2023. 11. 21 8,324.0 2,201.5 2,537.5 2,265.5 16,560.0 24,750.0 2023. 11. 20 8,247.0 2,192.0 2,563.0 2,285.0 16,635.0 24,700.0

일반구조용 강관의 정의와 소재 및 용도 [내부링크]

에스앤비스 스틸토피아 일반구조용 강관 일반구조용 강관은 건축 및 구조물에서 주로 사용되는 구조용 파이프로, 강철 또는 다양한 합금으로 제작됩니다. 이러한 강관은 다양한 형태와 크기로 제공되며, 건축물의 지지, 배관, 철골 구조물 등에 사용됩니다. 소재: 주로 일반 탄소강, 합금강 또는 스테인레스 스틸로 제작됩니다. 소재의 선택은 사용 환경과 강도 요구에 따라 다양할 수 있습니다. 용도: 주로 건축의 구조물에서 사용되어 기둥, 지붕 프레임, 보 등을 지지하는 데 활용됩니다. 파이프 라인 및 배관용도로는 물, 가스, 스팀 등의 전도체를 전송하는 파이프 라인 및 배관에도 사용됩니다. 규격 및 크기: 다양한 규격과 크기로 제공되어 다양한 건축 및 공업 프로젝트에 적용가능합니다. 또한 표준 규격은 제조사와 지역, 표준화 기구에 따라 다를 수 있습니다. 두께(Thickness)와 직경(Diameter): 두께와 직경은 파이프의 강도와 사용 용도에 따라 설계도비니다. 두께가 두꺼울수록 파이프의

LME 주요원자재 국제가격 (2023년 11월 27일~12월 1일) [내부링크]

LME가격 및 시세 일일 가격 안내드립니다. 구리, 알루미늄, 아연, 납, 니켈, 주석 시세를 한눈에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일자 품목 (USD/ton) 구리 (Cu) 알루미늄(Al) 아연 (Zn) 납 (Pb) 니켈 (Ni) 주석 (Sn) 2023. 12. 01 8,456.0 2,147.5 2,465.5 2,099.0 16,655.0 23,250.0 2023. 11. 30 8,332.0 2,157.5 2,478.0 2,112.0 16,335.0 22,910.0 2023. 11. 29 8,384.0 2,178.0 2,508.0 2,118.0 16,660.0 23,120.0 2023. 11. 28 8,278.0 2,164.5 2,530.0 2,128.0 16,455.0 22,975.0 2023. 11. 27 8,281.0 2,177.0 2,548.5 2,154.5 15,885.0 23,550.0

스테인레스 스틸 sts 316L 의 정의와 응용분야 [내부링크]

스테인레스 스틸 316L은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스테인레스 스틸 합금 중 하나로, 주로 내식성과 내산화성이 뛰어나며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널리 사용됩니다. 여기에는 스틸 합금의 주요 특징과 응용 분야에 대한 설명드리겠습니다. 1. 화학 조성: 스테인레스 스틸 316L은 주로 철, 크롬, 니켈, 몰리브덴 등의 합금 원소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낮은 탄소 함량 (L은 낮은 탄소를 나타냄)으로 인해 우수한 용접 특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2. 내식성 및 내산화성: 염소, 해수, 화학 물질 등에 대한 내식성이 뛰어나며, 부식 및 산화에 강합니다. 따라서 해양 환경이나 화학 공정과 같이 극한 환경에서 사용됩니다. 3. 강도 및 내구성: 높은 인장강도와 내구성을 가지고 있어 다양한 기계적 응력에 대처할 수 있습니다. 4. 열처리 가능성: 열처리에 의해 강도를 높일 수 있습니다. 용접 후에도 안정적인 성능을 유지할 수 있어 구조물 및 기계 부품에 적합합니다. 5. 용접 특성: 낮은 탄소 함량과 우수한

LME 주요원자재 국제가격 (2023년 12월 4일~12월 8일) [내부링크]

LME가격 및 시세 일일 가격 안내드립니다. 구리, 알루미늄, 아연, 납, 니켈, 주석 시세를 한눈에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일자 품목 (USD/ton) 구리 (Cu) 알루미늄(Al) 아연 (Zn) 납 (Pb) 니켈 (Ni) 주석 (Sn) 2023. 12. 08 8,348.0 2,111.0 2,409.0 1,995.0 16,605.0 24,550.0 2023. 12. 07 8,221.0 2,099.0 2,411.5 1,998.0 16,000.0 24,400.0 2023. 12. 06 8,297.0 2,117.5 2,432.0 2,007.0 16,250.0 24,450.0 2023. 12. 05 8,259.0 2,121.5 2,421.0 2,038.0 16,060.0 23,750.0 2023. 12. 04 8,417.0 2,148.5 2,471.0 2,088.0 16,350.0 23,625.0

용접파이프(welded pipes)와 무용접파이프(seamless pipes) 식별방법 [내부링크]

용접파이프(welded pipes)와 무용접파이프(seamless pipes) 식별방법 우리가 일상에서 흔히 보는 파이프중 용접 파이프와 무용접 파이프가 있습니다. 용접강관은 평평한 스트립이나 판을 원통 모양으로 형성한 다음 파이프의 길이를 따라 용접하는 과정으로 만들어지는데요. 용접 강관의 생산에는 고주파 전기 저항 용접(ERW), 침수 아크 용접(SAW), 가스 텅스텐 아크 용접(STAW)과 같은 다양한 용접 방법이 사용됩니다. 무합착 강관의 경우 어떠한 용접 줄기도 없이 제조된 파이프를 말합니다. 고체 블릿이나 주괴를 구멍 뚫어 빈 튜브를 만든 다음 이 튜브를 열간 압연, 냉간 압연 또는 차가운 인박을 통해 원하는 치수와 특성을 얻도록 처리하는 과정들을 겪습니다. 심레스파이프는 용접이 없으므로 일반적으로 용접 강관에 비해 보다 균일한 구조와 향상된 기계적 특성을 갖습니다. 따라서 무용접강관은 일반적으로 파이프의 무결성이 중요한 고압 및 고온 환경과 같은 중요한 응용 분야에서 선

LME 주요원자재 국제가격 (2023년 12월 11일~12월 15일) [내부링크]

LME가격 및 시세 일일 가격 안내드립니다. 구리, 알루미늄, 아연, 납, 니켈, 주석 시세를 한눈에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일자 품목 (USD/ton) 구리 (Cu) 알루미늄(Al) 아연 (Zn) 납 (Pb) 니켈 (Ni) 주석 (Sn) 2023. 12. 15 8,471.0 2,196.0 2,524.0 2,055.5 16,740.0 25,225.0 2023. 12. 14 8,461.5 2,137.0 2,507.0 2,034.5 16,500.0 25,050.0 2023. 12. 13 8,205.0 2,083.0 2,417.0 2,011.5 16,100.0 24,555.0 2023. 12. 12 8,272.0 2,090.5 2,437.0 2,044.0 16,265.0 24,560.0 2023. 12. 11 8,275.5 2,082.5 2,374.5 1,985.0 16,305.0 24,260.0

LME 주요원자재 국제가격 (2023년 12월 18일~12월 22일) [내부링크]

LME가격 및 시세 일일 가격 안내드립니다. 구리, 알루미늄, 아연, 납, 니켈, 주석 시세를 한눈에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일자 품목 (USD/ton) 구리 (Cu) 알루미늄(Al) 아연 (Zn) 납 (Pb) 니켈 (Ni) 주석 (Sn) 2023. 12. 22 8,499.0 2,234.5 2,576.0 2,040.0 16,360.0 25,035.0 2023. 12. 21 8,460.0 2,180.0 2,553.5 2,046.5 16,670.0 24,775.0 2023. 12. 20 8,466.5 2,192.0 2,561.5 2,045.0 16,355.0 24,875.0 2023. 12. 19 8,439.0 2,215.5 2,556.5 2,021.5 16,460.0 24,750.0 2023. 12. 18 8,423.0 2,213.0 2,549.5 2,052.0 16,650.0 24,800.0

SCM440 심레스파이프 (seamless pipe) 수입 출고 [내부링크]

SCM440 심레스파이프 직수입 스틸토피아 안녕하세요. #철강수출입 전문업체 #스틸토피아 입니다. 오늘은 #SCM440 소량 입고되어 검수 및 출고까지 완료되어 공유드립니다. #중국산SCM440 #심레스파이프 로 약 20톤가량 입고 되었습니다. 위 사진은 중국에서 출고할때의 사진입니다. 한국에 도착한 심레스파이프들.. 고객님께 안전하게 출고합니다. SCM440은 열처리가 가능한 합금강으로 주로 고강도와 내식성을 필요로 하는 다양한 기계 부품 및 요소의 제조에 사용됩니다. 스틸토피아는 #UT품질검사 를 통해 재료나 부품의 내부 결함이 없는, 검증된 제품만 제공합니다. 합리적인 가격으로 퀄리티 좋은 제품들을 만나보세요! 철강 파이프, 환봉 등 수입 문의사항은 댓글이나 전화 주시면 상담 도와드리겠습니다.

LME 주요원자재 국제가격 (2023년 10월 30일~11월 3일) [내부링크]

LME가격 및 시세 일일 가격 안내드립니다. 11월 첫쨋주 구리, 알루미늄, 아연, 납, 니켈, 주석 시세를 한눈에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일자 품목 (USD/ton) 구리 (Cu) 알루미늄(Al) 아연 (Zn) 납 (Pb) 니켈 (Ni) 주석 (Sn) 2023. 11. 03 8,070.5 2,219.5 2,494.0 2,164.0 17,810.0 24,150.0 2023. 11. 02 8,066.0 2,218.0 2,513.5 2,100.0 17,785.0 23,795.0 2023. 11. 01 8,041.0 2,230.5 2,480.0 2,097.0 17,750.0 23,550.0 2023. 10. 31 8,038.0 2,235.0 2,432.5 2,110.5 17,825.0 24,550.0 2023. 10. 30 8,110.0 2,252.0 2,463.5 2,154.5 18,180.0 24,825.0

금속 재질 국가별, 각 나라별 규격의 종류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철강수출입 스틸토피아 입니다. 전 세계적으로 다양한 배관자재에 대한 표준 기관과 조직이 있습니다. 모든 국가는 국가 조직이나 부문별로 고유한 표준 시스템을 갖습니다. 오늘 포스팅은 국제적으로 알려진 표준 기관 및 조직을 소개드리도록 하겠습니다. 1. KS : Korean Industrial Standards (한국산업규격) KS는 한국공업규격의 줄임말로 한국에서 생산되거나 제조된 제품 및 서비서의 품질과 안전을 보장하기 위한 기준을 정하는 시스템입니다. KS는 정부 기관과 산업 단체가 함께 만들어 지며, 이를 통해 소비자와 기업 간에 신뢰성 있는 제품 및 서비스를 유지할 수 있도록 돕습니다. 2. JIS : Japanese Industrial Standards (일본산업규격) JIS는 일본에서 사용되는 제품 및 서비스의 표준을 정의하는 시스템입니다. 이는 품질, 안전, 신뢰성 등을 포함하여 다양한 측면에서 표준을 제공합니다. JIS는 제조업체, 기업, 소비자 등 모두에게

LME 주요원자재 국제가격 (2023년 11월 6일~11월 10일) [내부링크]

LME가격 및 시세 일일 가격 안내드립니다. 11월 둘쨋주 구리, 알루미늄, 아연, 납, 니켈, 주석 시세를 한눈에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일자 품목 (USD/ton) 구리 (Cu) 알루미늄(Al) 아연 (Zn) 납 (Pb) 니켈 (Ni) 주석 (Sn) 2023. 11. 10 8,006.0 2,205.5 2,584.0 2,190.0 17,170.0 24,275.0 2023. 11. 09 8,030.5 2,228.0 2,592.0 2,181.5 17,650.0 24,640.0 2023. 11. 08 8,088.0 2,258.5 2,604.5 2,201.0 17,865.0 24,550.0 2023. 11. 07 8,068.0 2,241.0 2,538.0 2,166.0 17,585.0 24,275.0 2023. 11. 06 8,136.5 2,254.0 2,559.5 2,166.5 17,865.0 24,300.0

LME 주요원자재 국제가격 (2023년 9월 11일~9월 15일) [내부링크]

2023.09.11~2023.09.15 일일가격 (현지시간) 일자 품목 (USD/ton) 구리 (Cu) 알루미늄(Al) 아연 (Zn) 납 (Pb) 니켈 (Ni) 주석 (Sn) 2023. 09. 15 8,376.5 2,155.5 2,532.5 2,281.0 19,950.0 25,600.0 2023. 09. 14 8,423.0 2,192.5 2,551.0 2,279.0 20,255.0 25,650.0 2023. 09. 13 8,353.0 2,156.5 2,453.5 2,260.0 19,485.0 25,200.0 2023. 09. 12 8,337.5 2,153.0 2,474.0 2,288.0 19,830.0 25,205.0 2023. 09. 11 8,332.5 2,154.0 2,437.5 2,314.0 20,050.0 25,550.0

탄소강(Carbon Steel) 의 정의와 특징 및 특성 [내부링크]

탄소강 강관 탄소강의 정의 Carbon Steel 탄소강(Carbon Steel)은 주로 탄소(Carbon)와 철(Fe)로 이루어진 합금으로 탄소가 주요 합금요소 중 하나인 강입니다. 탄소강은 강철(Steel)의 한 유형으로 분류되며, 탄소 함량에 따라 여러 등급으로 나뉩니다. 탄소강의 주요 특징과 특성 탄소 함량: 탄소강의 가장 중요한 특징은 그 이름처럼 탄소 함량 입니다. 탄소 함량은 일반적으로 낮은 강에서 0.05%에서 0.25% 정도이며, 고강도 탄소강에서는 0.6% 이상까지 증가할 수 있습니다. 고강도: 탄소강은 일반적으로 높은 강도를 가지고 있습니다. 탄소 함량이 높을수록 더 높은 강도를 가질 수 있습니다. 이는 구조물, 자동차 부품, 도구 및 기계 부품과 같은 다양한 응용 분야에서 사용됩니다. 가공성: 탄소강은 가공하기 쉽고 형태를 조절하기 쉬우며 다양한 가공 공정을 통해 다양한 형태로 가공될 수 있습니다. 이로써 다양한 제품을 생산하는 데 유용합니다. 내식성: 대부분의

LME 주요원자재 국제가격 (2023년 9월 18일~9월 22일) [내부링크]

2023.09.18~2023.09.22 일일가격 (현지시간) 일자 품목 (USD/ton) 구리 (Cu) 알루미늄(Al) 아연 (Zn) 납 (Pb) 니켈 (Ni) 주석 (Sn) 2023. 09. 22 8,188.0 2,199.5 2,532.5 2,216.0 19,050.0 25,325.0 2023. 09. 21 8,101.0 2,166.5 2,475.0 2,204.0 18,955.0 25,650.0 2023. 09. 20 8,277.0 2,202.0 2,511.5 2,237.5 19,635.0 25,800.0 2023. 09. 19 8,233.5 2,174.5 2,476.5 2,236.0 19,360.0 25,650.0 2023. 09. 18 8,320.0 2,165.0 2,493.0 2,266.0 19,745.0 25,550.0

판재의 정의와 종류 및 특징 알아보기 [내부링크]

판재란 Plate 철구조물, 교량, 선박, 차량 제작 등에 사용되는 판재들 판재는 주로 금속이나 다른 소재로 만들어진 판 모양의 재료를 가리킵니다. 판재는 두께가 상대적으로 크고, 너비와 길이가 다양한 크기로 제공되는 특징이 있습니다. 주로 구조물, 용기, 자동차 부품 등에 사용되며,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사용됩니다. 강철뿐 아니라 알루미늄, 구리, 스테인리스 스틸 등 다양한 소재의 판을 포함하며 그 재료에 따라 강도와 내구성, 내식성 등의 특성이 달라집니다. 판재의 종류 강철 판재(Steel Plate): 강철로 만들어진 판으로, 강도와 내구성이 높아 구조물, 자동차 부품, 선박 등에 사용됩니다. 알루미늄 판재(Aluminum Plate): 경량이면서 내부식성이 낮은 특성을 가진 알루미늄으로 만들어진 판으로, 항공 우주 산업 및 자동차 산업에서 사용됩니다. 구리 판재(Copper Plate): 전기 전도성이 우수하고 내부식성이 낮은 특성을 가진 구리로 만들어진 판으로, 전기 및 전

LME 주요원자재 국제가격 (2023년 10월 2일~10월 6일) [내부링크]

LME가격 및 시세 일일 가격 안내드립니다. 10월 첫주 구리, 알루미늄, 아연, 납, 니켈, 주석 시세를 한눈에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일자 품목 (USD/ton) 구리 (Cu) 알루미늄(Al) 아연 (Zn) 납 (Pb) 니켈 (Ni) 주석 (Sn) 2023. 10. 06 7,887.0 2,208.0 2,472.5 2,207.0 18,280.0 23,965.0 2023. 10. 05 7,812.5 2,195.5 2,455.0 2,141.5 18,205.0 24,050.0 2023. 10. 04 7,910.5 2,231.0 2,502.0 2,150.5 18,600.0 24,000.0 2023. 10. 03 7,960.0 2,257.0 2,511.5 2,141.0 18,405.0 24,050.0 2023. 10. 02 8,100.5 2,286.5 2,602.0 2,197.0 18,510.0 23,900.0

무계목탄소강관(Seamless Carbon Steel Tube)제조공정 및 특징 [내부링크]

스틸토피아 에스앤비즈 무계목 탄소강관 (Seamless Carbon Steel Tube) 무계목탄소강관은 연속된 하나의 긴 길이로 만들어진 강관으로 용접이나 솔더링 없이 제조된 금속관 입니다. 내외부에서의 무결점이 없는 특징이 있습니다. 무계목탄소강관은 일반적으로 강철 또는 탄소강으로 만들어지며, 다양한 산업분야에서 사용되고 있습니다. 무계목 탄소강관은 내부와 외부의 경계가 없어 소음과 압력 등에 강한 강성을 가지고 있어 내구성이 뛰어납니다. 고압 및 고온환경에서 사용되는 다양한 응용 분야에서 활용됩니다. [사진제공 : 포스코특수강] 무계목탄소강관 제조공정 원료 선별 및 절단: 강철 원료로 사용될 코일이나 철판을 선별하고 필요한 크기로 절단합니다. 단조 및 가열: 절단된 강재는 특정한 형태로 단조됩니다. 이 단조된 강재는 가열로로 이송되어 고온에서 특정한 형상을 갖추도록 가열됩니다. 원형 제조: 가열된 강재는 원하는 형상을 갖추기 위해 다양한 원형의 다이를 통과시켜 원형을 제조합니다

LME 주요원자재 국제가격 (2023년 10월 16일~10월 20일) [내부링크]

LME가격 및 시세 일일 가격 안내드립니다. 10월 세쨋주 구리, 알루미늄, 아연, 납, 니켈, 주석 시세를 한눈에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일자 품목 (USD/ton) 구리 (Cu) 알루미늄(Al) 아연 (Zn) 납 (Pb) 니켈 (Ni) 주석 (Sn) 2023. 10. 20 7,876.0 2,152.0 2,415.5 2,129.0 18,350.0 24,405.0 2023. 10. 19 7,938.0 2,150.5 2,408.0 2,117.0 18,285.0 25,075.0 2023. 10. 18 7,947.5 2,176.5 2,431.0 2,132.0 18,470.0 25,450.0 2023. 10. 17 7,846.5 2,148.5 2,377.0 2,085.0 18,160.0 24,880.0 2023. 10. 16 7,920.0 2,161.5 2,434.5 2,095.0 18,460.0 24,725.0

심레스파이프 후처리의 과정과 목적 [내부링크]

스틸토피아 에스앤비즈 심레스파이프 후처리 심레스파이프(Seamless Pipe)의 후처리는 파이프를 생산하고 사용하기 위해 중요한 단계 중 하나입니다. 이러한 후처리 단계는 파이프의 품질, 내구성 및 사용 가능성을 향상시키는 데 도움이 됩니다. 일반적으로 실시되는 심레스파이프의 후처리 과정과 해당 과정에 대한 목적을 설명드립니다. 심레스파이프 열처리(Heat Treatment): 열처리는 심레스 파이프의 미세 조직과 물리적 특성을 조절하는 데 사용됩니다. 이로써 강도, 경도 및 내구성을 개선하거나 특정 사용 환경에 맞게 파이프를 조절할 수 있습니다. 냉간 인발(Cold Drawing): 냉간 인발은 심레스 파이프의 직경을 줄이고 표면 마감을 개선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이는 파이프의 정밀도와 내구성을 향상시키며 내식성을 개선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냉간 인발 후 경화 및 정렬화(Cold Drawing and Annealing): 이 단계는 파이프의 냉간 인발 과정 뒤 일반적인 과정이며

LME 주요원자재 국제가격 (2023년 10월 23일~10월 27일) [내부링크]

LME가격 및 시세 일일 가격 안내드립니다. 10월 넷쨋주 구리, 알루미늄, 아연, 납, 니켈, 주석 시세를 한눈에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일자 품목 (USD/ton) 구리 (Cu) 알루미늄(Al) 아연 (Zn) 납 (Pb) 니켈 (Ni) 주석 (Sn) 2023. 10. 27 7,963.5 2,170.5 2,445.5 2,141.0 18,000.0 24,875.0 2023. 10. 26 7,939.0 2,202.5 2,432.0 2,131.0 17,900.0 24,750.0 2023. 10. 25 7,946.0 2,188.5 2,458.0 2,134.0 18,150.0 24,925.0 2023. 10. 24 7,900.5 2,146.5 2,416.5 2,157.0 17,800.0 24,835.0 2023. 10. 23 7,824.5 2,144.5 2,404.0 2,171.0 18,135.0 24,555.0

LME 주요원자재 국제가격 (2023년 8월 21일~8월 25일) [내부링크]

2023.08.21~2023.08.25 일일가격 (현지시간) 일자 품목 (USD/ton) 구리 (Cu) 알루미늄(Al) 아연 (Zn) 납 (Pb) 니켈 (Ni) 주석 (Sn) 2023. 08. 25 8,381.5 2,124.0 2,375.5 2,178.0 20,900.0 25,265.0 2023. 08. 24 8,358.5 2,119.5 2,363.0 2,214.0 20,400.0 25,750.0 2023. 08. 23 8,377.5 2,129.0 2,328.5 2,190.0 20,525.0 25,635.0 2023. 08. 22 8,342.0 2,121.5 2,336.0 2,195.0 20,215.0 25,900.0 2023. 08. 21 8,239.5 2,068.5 2,270.5 2,168.0 20,050.0 24,925.0

심레스파이프(seamless pipe) 템퍼링(tempering) 과 담금질(Quenching) 의 목적 [내부링크]

스틸토피아 에스앤비즈 심레스파이프 템퍼링의 목적 템퍼링(Tempering)이란 심레스파이프(seamless pipe)를 담금질(Quenching) 후 Ac1(가열시 펄라이트가 오스테나이트로 바뀌기 시작하는 온도) 이하의 온도로 가열하여 일정시간 유지한 후 상온으로 냉각시키는 열처리 공정입니다. 템퍼링 뒤에는 일반적으로 담금질이 뒤따릅니다. 그 목적은 다음과 같습니다. 조직 개선: 심리스 파이프는 생산 과정 중에 내부 응력이 발생할 수 있으며, 이는 파이프의 내구성과 성능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템퍼링은 내부 응력을 완화하고 파이프의 조직을 더욱 균일하고 안정적으로 만듭니다. 경화 제어: 템퍼링은 파이프의 경도와 강도를 조절하여 원하는 물성을 얻는 데 도움을 줍니다. 적절한 조합의 경도와 강도를 유지하면 파이프가 예상되는 환경과 하중 조건에서 효과적으로 작동할 수 있습니다. 용접성 개선: 템퍼링은 심리스 파이프를 용접 및 가공할 때 발생할 수 있는 부식 및 결함 등을 최소화하고

LME 주요원자재 국제가격 (2023년 8월 29일~9월 01일) [내부링크]

2023.08.29~2023.09.01 일일가격 (현지시간) 일자 품목 (USD/ton) 구리 (Cu) 알루미늄(Al) 아연 (Zn) 납 (Pb) 니켈 (Ni) 주석 (Sn) 2023. 09. 01 8,515.0 2,184.0 2,457.0 2,306.0 20,475.0 25,600.0 2023. 08. 31 8,359.5 2,165.5 2,412.5 2,213.5 20,225.0 25,000.0 2023. 08. 30 8,394.5 2,140.5 2,425.5 2,221.0 20,235.0 24,950.0 2023. 08. 29 8,375.0 2,116.5 2,420.0 2,175.0 20,355.0 24,800.0

스테인리스강 환봉(stainless steel round bar)의 장점과 특징 [스틸토피아] [내부링크]

스테인리스강 환봉의 장점과 특징 스테인리스강 환봉은 우수한 강도, 내식성 및 광택 외관을 띄며 다목적으로 널리 사용되는 제품입니다. 이러한 원통형의 바는 다양한 산업 및 상업 요구 사항을 충족하기 위해 다양한 크기와 등급으로 제조됩니다. 스테인리스 환봉의 몇 가지 주요 특징을 살펴보겠습니다. 재료구성: 스테인리스 환봉은 주로 철, 크롬 및 니켈, 몰리브덴, 망간과 같은 다양한 양의 기타 원소로 구성됩니다. 정확한 구성에 따라 스테인리스강의 특성이 결정됩니다. 부식 저항성: 스테인리스 환봉의 뛰어난 특징 중 하나는 탁월한 부식 저항성입니다. 스테인리스 스틸에 크롬이 존재함으로써 표현에 보호 산화물 층이 형성되어 녹을 방지하고 해양 및 과학응용 분야를 포함한 환경에 적합합니다. 등급 및 합금: 스테인리스로 만들어진 환봉은 다양한 등급으로 제공되며, 각 등급은 고유한 특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일반적인 등급에는 304(18-8 스테인리스강으로 알려짐), 316(해양등급), 410(열처리 가

LME 주요원자재 국제가격 (2023년 9월 04일~9월 08일) [내부링크]

2023.09.04~2023.09.08 일일가격 (현지시간) 일자 품목 (USD/ton) 구리 (Cu) 알루미늄(Al) 아연 (Zn) 납 (Pb) 니켈 (Ni) 주석 (Sn) 2023. 09. 08 8,225.0 2,132.5 2,406.0 2,285.0 19,905.0 25,335.0 2023. 09. 07 8,242.5 2,135.0 2,428.5 2,287.0 20,130.0 25,725.0 2023. 09. 06 8,395.0 2,158.0 2,435.5 2,300.0 20,550.0 26,100.0 2023. 09. 05 8,430.0 2,136.5 2,456.0 2,274.0 20,800.0 26,400.0

강관(steel pipe)용 금속재료(metal meterials)의 뜻과 특징과 특성 [내부링크]

스틸토피아 에스앤비즈 강관용 금속재료 특징과 특성 강관(steel pipe)이란 금속으로 만들어진 원형 파이프(pipe) 또는 튜브(tube)로, 일반적으로는 압력, 유체, 기체 또는 고체 물질의 이동을 위해 사용되는 관입니다. 강관은 주로 철강(steel) 또는 다른 금속 합금으로 만들어지며, 다양한 크기, 두께, 형태 및 길이로 제공됩니다. 주로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재질은 탄소강, 저합금강, 동, 그리고 고합금강(stainless steel) 등입니다. 특수용 파이프 재질로는 타이타늄 등이 사용됩니다. 지구상에서 네 번째로 많은 원소는 철(Fe, Iron)이고, 철은 재생할 수 있는 친환경적인 재료이기 때문에 파이프나 튜브의 재료뿐 아니라 일상에서 흔히 쓰이는 캔 등의 재료로도 이용되고 있습니다. Previous image Next image 금속재료(Metal Materials)란 주로 금속 원소 또는 금속 합금으로 이루어진 고체 물질을 가리킵니다. 금속재료는 일반적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