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oundnaudio의 등록된 링크

 soundnaudio로 등록된 네이버 블로그 포스트 수는 64건입니다.

iStreams SJ07 사운드바 [아이스트림즈, HDMI ARC, Bluetooth 5.0, Optical, Coaxial, AUX, USB, 베이스리플렉스튜브, 리모컨] [내부링크]

아이스트림즈(iStreams)에서 2번째로 선보이는 사운드바 SJ07입니다. 정식 수입 통관 절차를 거쳐 판매를 시작하게 되었습니다. SJ07 사운드바를 구매하실 수 있는 온라인 스토어를 링크합니다. 많은 성원과 관심 부탁드립니다. iStreams SJ07 사운드바 [아이스트림즈, HDMI ARC, Bluetooth 5.0, Optical, Coaxial, AUX, USB, 베이스리플렉스튜브, 리모컨] : 사운드앤오디오 [사운드앤오디오] 사운드앤오디오는 아이스트림즈(iStreams)의 스토어입니다. smartstore.naver.com - 국립전파연구원의 방송통신기자재 KC 인증을 취득했습니다. - 오디오 전문 중국 제조업체를 통해 ODM 개발한 다음 정식으로 수입 신청하여 통관한 iStreams 사운드바 제품입니다. - HDMI ARC 단자 제공으로 디지털 TV와 완벽한 연결이 가능합니다. (TV 리모컨으로 사운드바 볼륨 크기, ON/OFF 제어가 가능합니다.) - HDMI ARC

August 영국 홈페이지를 링크합니다. [내부링크]

아이스트림즈(iStreams)에서 정식으로 수입 통관해서 판매중인 August 오디오 제품들을 개발하는 August 영국 홈페이지를 링크했습니다. Portable TV, Portable Freeview TV, TV Aerial, Bluetooth Speakers, Bluetooth Headphones, Bluetooth Receiver, DAB Radio, Telehealth Watch, RPM Watch, Caremate Watch Speakers and Radios Headphones and Earphones Portable TVs Freeview HD TV Tuners and USBs Home and Office Smart Health Audio Transmitters Aerials, Adaptors and More @AUGUST_LAB ON INSTAGRAM CONTACT GET IN TOUCH WITH US You can find us at OUR LOCATION Rawme

아이스트림즈에서 운영하는 네이버 스토어를 링크합니다. [내부링크]

아이스트림즈(iStreams)는 2022년 7월 기준으로 August 유선 헤드셋(모델명 EPG100L)과 무선 이어폰(모델명 EPG500B)을 "사운드앤오디오" 네이버 스토어에서 판매 중이며, 다음달인 22년 8월까지 무선 이어폰 1종(모델명 EP800B, EP800W), 무선 헤드폰 1종(EP650B), 블루투스 라디오 1종(MB420K)을 정식으로 통관 수입한 후 판매할 예정입니다. 그리고 아이스트림즈(iStreams)는 2022년 7월 기준으로 자체 브랜드인 iStreams의 사운드바 1종(모델명 SE04)과 블루투스 테이블 스피커 1종(SR03)을 "사운드앤오디오" 네이버 스토어에서 판매중입니다. 그리고 22년 7월 말까지 iStreams 사운드바 1종(모델명 SJ07)을 수입 통관한 다음 추가로 판매할 예정입니다. 고객 여러분께서 쉽게 August 오디오 제품들과 iStreams 오디오 제품들을 접하실 수 있도록 아이스트림즈에서 운영 중인 온라인 스토어인 "사운드앤오디오"

August EP800 무선 이어폰 [블루투스 5, IPX6 방수, Noise Reduction Mic, 3.5g Earbud 50mAh, Case 550mAh] [내부링크]

August EP800 무선 이어폰(색상 : 흰색, 검정색)이 정식 수입 통관 절차를 거쳐 입고가 완료되어 판매를 시작하게 되었습니다. August 무선 이어폰 제품 중 이미 수입 판매 중인 EPG500B 무선 이어폰에 이어 2번째로 선보이는 무선 이어폰입니다. August EP800 무선 이어폰을 구매하실 수 있는 온라인 스토어를 링크합니다. 많은 성원과 관심 부탁드립니다. August EP800 무선 이어폰 [블루투스 5, IPX6 방수, Noise Reduction Mic, 3.5g Earbud 50mAh, Case 550mAh] : 사운드앤오디오 [사운드앤오디오] 사운드앤오디오는 아이스트림즈(iStreams)의 스토어입니다. smartstore.naver.com August EP800 무선 게이밍 겸용 이어폰(영국 August International Ltd 제품), EP800 무선 이어폰은 저희 아이스트림즈(iStreams)에서 정식으로 수입신청 및 통관을 거쳐 국내에 판매

iStreams SJ07, 사운드바 매뉴얼 [내부링크]

iStreams SJ07 사운드바 [아이스트림즈, HDMI ARC, Bluetooth 5.0, Optical, Coaxial, AUX, USB, 베이스리플렉스튜브, 리모컨] : 사운드앤오디오 [사운드앤오디오] 사운드앤오디오는 아이스트림즈(iStreams)의 스토어입니다. smartstore.naver.com 첨부파일 SJ07_manual(100mmx130mm_ver 3_한글.pdf 파일 다운로드

AUGUST EP800, 무선 이어폰_한글 매뉴얼 [내부링크]

August EP800 무선 이어폰(색상 : 흰색, 검정색)이 정식 수입 통관 절차를 거쳐 입고가 완료되어 판매를 시작하게 되었습니다. August EP800 무선 이어폰을 구매하실 수 있는 온라인 스토어를 링크합니다. 많은 성원과 관심 부탁드립니다. August EP800 무선 이어폰 [블루투스 5, IPX6 방수, Noise Reduction Mic, 3.5g Earbud 50mAh, Case 550mAh] : 사운드앤오디오 [사운드앤오디오] 사운드앤오디오는 아이스트림즈(iStreams)의 스토어입니다. smartstore.naver.com 첨부파일 August EP800 Quick Guide_한글.pdf 파일 다운로드

무선 이어폰(TWS, True Wireless Stereo) 개요 [내부링크]

TWS는 True Wireless Stereo의 약자인데, 우리 말로 의역하면 '완전 무선 스테레오'라고 할 수 있다. 즉, 완전한 무선 스테레오 이어폰을 의미하는 것으로 2016년 애플이 에어팟 제품을 출시하면서 배터리는 전용 케이스로 충전하는 방식을 선택하면서 처음 세상에 그 모습을 드러냈다고 알려져 있다. 애플이 에어팟을 출시한 다음 불과 6년 남짓한 시간이 흘러갔는데 이제는 누구나 휴대폰을 가진 사람들이라면 누구나 하나씩 가지고 있는 것이 TWS 무선 이어폰이라고 할 정도로 대중적으로 일반화된 제품이라고 할 수 있다. TWS 이어폰은 일반적으로 무선 이어폰에 내장 배터리를 내장해서 최소한 3~4시간 이상 무선 이어폰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며, 보조 배터리가 내장된 전용 케이스가 무선 이어폰과 세트로 공급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무선 이어폰을 보조 배터리가 내장된 전용 케이스에 장착하게 되면 이어폰 본체에 배터리 충전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보조 베터리가 내장된 전용 케이스의

이어폰(Earphone) 개요 [내부링크]

이어폰은 헤드폰을 소형화한 것으로 소니가 최초의 휴대용 카세트 데크 플레이어인 워크맨을 개발하면서 상기 음원을 들을 목적으로 헤드폰을 소형화하여 유선 이어폰으로 개발한 것이 대중적인 수요를 이끈 계기가 되었다고 생각된다. 이어폰은 귀에 장착하는 방식에 따라 이어버드 타입(오픈형) 이어폰과 인이어 타입(커널형) 이어폰으로 구분 가능하다. 초기 이어폰은 대부분 오픈형 이어폰이 주종이었으며, 귓구멍에 걸치는 방식인데 이어폰이 귓구멍 속까지 들어가지 않고 외이도의 입구 근처에 걸쳐서 착용되는 것으로 인이어 타입에 비해 진동판의 크기를 크게 할 수 있으므로 전체적으로 커널형에 비해 공간감이나 해상력이 우수한 편이며 자연스러운 음질을 구현할 수 있다는 장점을 구비하고 있다. 한편, 오픈형의 경우 사람마다 귓구멍의 크기가 상이함에 따라 착용감에 차이가 있을 수 있고, 차음성이 좋지 않아 주변 소음을 차단하지 못해 음악 감상용으로 부적절한 경우가 많아 조금씩 그 대중성이 떨어지고 있는 상황으로 인

아이스트림즈(iStreams) 목표 [내부링크]

아이스트림즈(iStreams)의 설립 목표는 다음과 같습니다. 1. 아이스트림즈(iStreams)는 오디오 관련 전문지식, 연구 역량 및 강력한 제조 배경을 바탕으로 최고 품질의 진보된 성능을 갖춘 오디오 제품을 경쟁력있는 가격으로 소비자 여러분께 공급하기 위해 최선의 노력을 다하는 회사로 자리매김하는 것을 목표로 설정하고 있습니다. 2. 아이스트림즈(iStreams)는 품질이 우수하면서도 합리적인 가격의 사운드바, 액티브 북셀프 스피커, 블루투스 스피커 등의 오디오 제품을 중국 현지의 오디오 전문 제조업체와 협업해서 ODM 개발하여 수입, 판매하는 오디오 전문 컴퍼니인 동시에 장기적으로는 무선 및 스마트 오디오 개발, 소음진동 방지기술 개발에 특화된 컴퍼니로 성장하고 싶은 장기 계획을 가지고 있습니다. 3. 한편, 아이스트림즈(iStreams)는 August (영국 본사/개발, 중국 제조) 오디오 제품, Audar (영국 본사/개발, 중국 제조) Smart watch 제품을 수입,

iStreams SE04, 사운드바 [HDMI ARC, Bluetooth 5.0, Optical, Coaxial, AUX, USB, 베이스리플렉스튜브, 리모컨] [내부링크]

iStreams SE04 사운드바 [아이스트림즈, HDMI ARC, Bluetooth 5.0, Optical, Coaxial, AUX, USB, 베이스리플렉스튜브, 리모컨] : 사운드앤오디오 [사운드앤오디오] 사운드앤오디오는 아이스트림즈(iStreams)의 스토어입니다. smartstore.naver.com 아이스트림즈(iStreams)에서 첫번째로 선보이는 사운드바 SE04, - HDMI ARC 단자 제공으로 디지털 TV와 완벽한 연결성 확보 (TV 리모컨으로 사운드바 제어 가능함) - 41cm 길이를 가진 콤팩트형 사운드바 모델 (TV/PC/노트북용으로 활용 가능함) - 2.3인치 풀레인지 유닛 2개를 통해 구현된 30W 고출력 - 저역 보강을 위한 베이스 리플렉스 튜브 - HDMI ARC, Optical, Coaxial, AUX, USB, Bluetooth 5.0 제공으로 다양한 전자기기와 연결 가능함 .HDMI Cable(High speed ARC Cable), Optical

iStreams SR03, 테이블 블루투스 스피커 [Optical In x1, RCA In x 2, 블루투스 5.0, 4인치 우퍼x1, 1.25인치 트위터x2, TV/PC용] [내부링크]

iStreams SR03 테이블 스피커 [ 아이스트림즈, Optical In x1, RCA In x 2, 블루투스 5.0, 4인치 우퍼x1, 1.25인치 트위터x2, TV사운드바] : 사운드앤오디오 [사운드앤오디오] 사운드앤오디오는 아이스트림즈(iStreams)의 스토어입니다. smartstore.naver.com 아이스트림즈(iStreams)에서 첫번째로 선보이는 테이블 스피커(블루투스 스피커)입니다. - 4인치 우퍼 1개 및 1.25인치 트위터 2개를 통해 구현된 고출력 70W 스피커 - 테이블 스피커(블루투스 스피커) 중 보기 드물게 Optical digital in 단자를 구비해서 평면TV와 Optical 연결을 통해 사운드바로 활용 가능함 - RCA 단자를 2개 제공함에 따라 다양한 기기와 연결 가능함 (PC/노트북/LP/CDP 등과 연결 가능) 방송통신기자재 적합등록 KC 인증을 취득한 제품입니다. - KC 적합등록 필증을 취득한 후, 아이스트림즈(iStreams)에서 정

August EPG500B 게이밍 무선 이어폰 [블루투스 5, Dual Mic Noise Reduction(ENC), Low Latency, 40-hour battery life] [내부링크]

August EPG500B 게이밍 무선 이어폰 [블루투스 5, Dual Mic,Noise Reduction,ENC, Low Latency, 장시간 Battery 재생] : 사운드앤오디오 [사운드앤오디오] 사운드앤오디오는 아이스트림즈(iStreams)의 스토어입니다. smartstore.naver.com August EPG500B 무선 게이밍 이어폰(영국 August International Ltd 제품), EPG500B 무선 이어폰은 저희 아이스트림즈(iStreams)에서 정식으로 수입신청 및 통관을 거쳐 국내에 판매되는 영국 August사 제품이며, 국내 판매를 목적으로 방송통신기자재 적합등록 KC 인증을 취득한 제품입니다. 주요 특징 - 블루투스 5.0 - Low Latency 기술 적용 - 게이밍 모드 / 뮤직 모드 스위치 - 40시간 장시간 사용 배터리 - USB-C 충전 포트 - Dual Microphone 적용 - IPX 4 방수 기술 적용 박스 구성품 : 무선 이어폰,

오디오 역사에 대한 소고 [내부링크]

오디오 산업의 역사를 간략하게 리스트해 보면 소스기기, 증폭기기(앰프) 및 변환기기(스피커)의 각 부문에서 발전을 해 왔다. 그러나 TV가 브라운관 TV를 거쳐 LCD, LED, OLED 패널을 통해 화면 크기가 10인치에서 75인치 이상으로 대형화되고 화질 해상도 또한 HD급, Full HD급을 지나 4K급, 8K급으로 눈부신 발전을 해 온 반면 오디오 산업은 냉정하게 평가하자면 오디오 기기를 구성하는 소스기기, 증폭기기 및 변환기기 부문에서 그 발전 정도가 각기 상이했던 것으로 생각된다. 즉, 소스기기 측면에서는 LP, Tape, CD의 시대를 거쳐 디지털 음원인 MP3, 스트리밍 서비스를 이용한 디지털 음원의 제공 등으로 그 기술이 지속적으로 진보하는 쪽으로 발전되어 왔다고 볼 수 있지만 증폭기기인 앰프 측면에선 진공관의 대체품으로 개발된 트랜지스터 반도체가 아직도 진공관과 음질 경쟁을 전개하고 있는 실정이며, 변환기기인 스피커 또한 소리를 만들어내는 변환기기의 특성상 물리적인

오디오 입력 단자 [내부링크]

오디오 입력 단자는 크게 구분하면 디지털 입력 단자와 아날로그 입력 단자로 구분 가능하다. 아날로그 입력의 경우 3.5mm to RCA 방식, 3.5mm to 3.5mm 방식, RCA to RCA 방식 등의 AUX 연결이 대표적이다. Aux 연결을 통해 오디오와 대부분의 오디오 소스 기기는 연결 가능해진다. 예를 들면, TV, PC, 태블릿, 휴대폰, CD Player, LP Player 등 대부분의 오디오 소스 기기는 3.5mm 단자 또는 RCA 단자를 제공하고 있으므로 이들 기기들과 오디오 Aux 단자를 케이블 연결하는 것이다. 그런데 AUX 연결은 아날로그 신호를 입력하는 방식인데, 연결 과정에서 아날로그 신호의 감쇄 또는 왜곡이 불가피하게 발생하게 되며, 접촉의 불완전함에 기인한 다양한 노이즈 발생 가능성이 있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아날로그 방식 연결에서 제기되는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Optical 입력 또는 Coaxial 입력이라는 디지털 신호 입력방식을 개발됐

AUGUST EPG500B, 무선 게이밍 이어폰 매뉴얼_한글 [내부링크]

첨부파일 August EPG500B Quick Guide_한글.pdf 파일 다운로드 August EPG500B 게이밍 무선 이어폰 [블루투스 5, Dual Mic,Noise Reduction,ENC, Low Latency, 장시간 Battery 재생] : 사운드앤오디오 [사운드앤오디오] 사운드앤오디오는 아이스트림즈(iStreams)의 스토어입니다. smartstore.naver.com

iStreams 오디오 출시에 즈음하여... [내부링크]

일전에 좋은 사운드에 대해 언급하는 글 중에서 존 앳킨스가 좋은 소리를 만드는 스피커에 대해 다음과 같이 표현한 적이 있는데 그 의견에 전적으로 동감합니다. “좋은 소리를 들려주는 스피커는 플랫한 중역과 고역을 가지면서 착색이 없고 high freq. dispersion이 잘 조절되어 있고, 음상이 또렷하며 bass 튜닝이 잘 되어 있고, 무엇보다 귀에 거슬리는 compression이 없이 크고 깨끗한 소리를 재생하는 스피커이다.” 이번달인 6월에 드디어 "iStreams" 사운드바와 테이블 스피커를 출시했습니다. 몇번에 걸친 KC 인증 test를 거쳐 KC 적합성 평가 인증을 완료했고, 국내 정식 수입 통관을 거쳐 몇일 전부터 판매를 개시하게 되었습니다. 그런데 오디오라는 제품은 애당초 눈에 보이지 않는 소리를 재생하는 기기이다 보니 오디오 간에 차별성을 설명하는 것이 쉽지 않습니다. 하지만 오디오가 만들어내는 제각각의 음질 차이는 분명히 존재하며 그 차이는 생각한 것보다 더 크고

전자 상거래 표준약관 [내부링크]

첨부파일 전자상거래 표준약관_1.pdf 파일 다운로드

북셀프형 스피커의 발전 -1 (1980년대 : 전축의 시대, 1990년대 : 북셀프 스피커의 출현) [내부링크]

1980년대 : 전축의 시대 1980년대 한국에서 이른바 중산층이라고 지칭되는 가정의 거실에는 컬러 TV와 함께 전축이 한 자리를 차지했다. 전축의 일반적인 구성은 소리를 만들어내는 패시브 스피커, 패시브 스피커를 구동하는 인티 앰프, 인티 앰프와 연결된 소스 기기로 라디오를 재생하는 튜너, CD를 재생하는 CD Player, LP를 재생하는 LP Player 등으로 이루어졌다. 인티 앰프는 다시한번 세분화되어 프리 앰프 및 파워 앰프로 구분되기도 했다. 아무튼 전축은 1980년대 한국 거실에서 당당히 한자리를 차지하는 가전제품 중 하나였다. 하기 그림은 전축의 일례를 나타낸 것이다. 전형적인 전축 구성 2. 1990년대 : 북셀프 스피커의 출현 그런데 1990년대 초반부터 패시브 스피커는 변화의 바람이 불었다. 1980년대 전축의 패시브 스피커는 그림에서 보는 바와 같이 대부분 톨보이형 3-WAY 스피커로 구성된 것이 일반적이었다면, 1990년대에 이르게 되면서 패시브 스피커가 2

북셀프형 스피커의 발전 -2 (2000년대 : 액티브 북셀프 스피커의 등장, 2009년 : 스마트폰의 등장) [내부링크]

3. 2000년대 : 액티브 북셀프 스피커(앰프 내장 북셀프 스피커)의 등장 그런데 시간이 지남에 따라 반도체 기술이 비약적으로 발전하게 되었다. 이에따라 기존의 패시브 북셀프형 스피커에 디지털 D 앰프를 내장함으로써 인티앰프가 필요없는 액티브 북셀프 스피커가 본격적으로 출시되는 상황에까지 이르게 되었고, 액티브 스피커의 초기 모델은 주로 PC와 연결된 스피커로 국한 되었지만, 간단한 오디오 장치에 대한 소비자 니즈에 부합하여 차츰 그 사용 범위가 확대되어 왔다고 할 수 있다. 물론 음악 애호가의 입장에서는 앰프를 스피커와 별도로 구비한 것이 앰프 내장형 스피커 대비 음질 열화를 방지하는 데 효과적이라고 주장하겠지만, 우리는 효용성 측면에서 이미 액티브 북셀프형 스피커를 받이들이는 게 타당하다는 생각을 해 보는 것이다. 4. 2009년 : 스마트폰(아이폰)의 등장 한편, 소스 기기 측면에서 오디오는 가장 비약적인 발전을 거듭해 왔고, 이에 따라 다양한 소스 기기가 직접 "액티브 북셀

북셀프형 스피커의 발전 -3 (2010년대 : 스피커와 새로운 유선 및 무선 접속기술의 결합, 2020년대 : 액티브 북셀프 스피커의 전망) [내부링크]

5. 2010년대 : 스피커와 새로운 유선 및 무선 접속기술의 결합 그런데 이런 휴대폰과 액티브 북셀프형 스피커는 다양한 방법을 통해 유선 또는 무선 연결이 가능하다. 먼저 유선 방식은 3.5mm to RCA 방식, 3.5mm to 3.5mm 방식 등의 AUX 연결이 가능하지만 제약 조건이 많다고 할 수 있다. 반면에 무선 연결을 통해 앞에서 언급한 휴대폰과 액티브 북셀프 스피커를 연결(주로 블루투스 연결, 일부 기기는 와이파이 연결)함으로써 유선연결의 제약인 이동성 제한과 번거로움이 줄어들게 됨에 따라 휴대폰이 소스 기기 역할을 충실하게 하는 역할이 가능해졌다. 결국 휴대폰을 유선 연결로 제한할 경우 따를 수 있는 많은 불편한 요소는 무선 블루투스 연결로 바뀌는 과정에서 엄청난 편리함을 주었다고 생각한다. 그 결과 우리는 최근 10년 동안 다양한 무선 오디오 기기(블루투스 스피커, 블루투스 이어폰, 블루투스 헤드폰)의 새로운 출현과 그 전성기를 관찰할 수 있었다고 생각한다. 한편,

진동계 (진동 시스템) [내부링크]

진동계 또는 진동 시스템은 그 시스템에 갖고 있는 잠재 에너지를 운동 에너지로 전환하거나 어떤 시스템이 갖고 있는 운동에너지를 잠재 에너지로 전환시키는 시스템을 의미한다. 이러한 현상을 단진자 운동으로 설명할 수 있다. 진동계를 구성하는 요소 중에서 질량 m은 관성요소, 스프링 상수 k는 강성요소, 댐핑 c는 감쇄요소라고 지칭한다. 관성 요소는 일반적으로 강체 요소(rigid body)를 말하는 것으로 물체의 속도가 변하게 되면 언제나 운동 에너지가 증가 또는 감소하게 된다. 뉴톤의 가속도 법칙에 따라 물체에 작용하는 힘은 물체의 질량(또는 관성)과 가속도(또는 각가속도)의 곱으로 표시된다. 물체에 가해진 일은 가해진 힘과 그 방향 변위의 곱으로 나타내며 받은 일은 운동 에너지의 형태로 저장되게 된다. 스프링 요소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스프링의 양단에 작용하는 힘은 변형 이전의 자유길이에 대한 변형 후 상대길이와 스프링에 관련된 특수한 상수인 스프링 계수의 곱으로 표시된다. 스프

iStreams 제품 소개 [내부링크]

아이스트림즈(iStreams)는 이제 시작됩니다! 아이스트림즈(iStreams)는 먼저 사운드바 모델 1종(모델명 SE04), 테이블 스피커 1종(모델명 SR03)에 대해 방송통신기자재 KC 적합등록 인증을 취득했고, 2022년 6월에 정식으로 통관한 후 6월 17일(금) 입고 완료 됐습니다. 다음주 초부터 국내 판매를 시작할 예정입니다. 많은 관심 부탁드립니다. 1. 사운드바 모델인 SE04는 크기가 41cm (길이) x 9.5cm (깊이) x 7.3cm (높이)이며, HDMI ARC를 포함한 다양한 연결 사양(Bluetooth 5.0, Optical, Coaxial, AUX, USB)을 제공하여 디지털 TV, 휴대폰, PC, 노트북, LP, CDP 등 다양한 A/V 기기와 연결하는 데 부족함이 없는 모델입니다. 특히 HDMI ARC 단자를 제공함으로써 TV 리모컨으로 사운드바 전원 제어, 볼륨 제어가 가능합니다. iStreams SE04 사운드바 [아이스트림즈, HDMI ARC,

밀폐형 스피커와 덕트형 스피커 차이 [내부링크]

스피커는 인클로져 내부에서 형성된 압력 변동에 의한 소밀파를 인클로져 내에 밀폐하는지 아니면 덕트를 만들어서 소밀파가 인클로져 밖으로 나가게 하는지에 따라 밀폐형과 덕트형으로 구분 가능하다. 밀폐형 스피커의 장점은 제어수준이 높아서 정밀한 음을 들려주는 것이며, 덕트형 스피커는 음의 지연효과 때문에 저음이 강조되어 들리는 장점이 있으므로 어떤 소리를 선호하는가에 따라 밀폐형 또는 덕트형을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생각된다. 즉, 중고역대의 정확한 사운드를 더 선호한다면 밀폐형을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저음을 강조하는 경우 덕트형을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임피던스 [내부링크]

임피던스란 전기 저항(electrical resistance, R)이며, 전기 저항의 단위는 옴(Ohms, Ω)이다. 예를 들어 배터리와 저항(resistor) 하나만 있는 회로를 가정할 경우 배터리가 전압을 발생시키게 되면 회로에 전류가 흐르게 되는데 저항은 이 전류를 방해하게 되면서 저항의 양쪽에 전압의 차이가 발생하게 되며 이러한 현상은 '옴의 법칙'인 V=IR 또는 I=V/R로 설명할 수 있다. 상기 예에서 배터리 전압은 일정한 직류(Direct Current, DC)회로인데 오디오와 관련된 전기회로에 흐르는 전류는 직류가 아닌 '교류(Alternating Current, AC)이다. 교류 전류가 흐르게 되는 AC회로에는 전기저항(resistance) 외에도 전류에 영향을 미치는 2가지 다른 요소가 더해지는데, 정전용량(capacitance)과 유도용량(inductance)이다. 간단히 말하면 컨덴서와 인덕터는 저항(resistor)과 같은 역할을 하지만 저항과 다른 점은 주

소음의 인체 영향 [내부링크]

소음은 인체에 다양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런데 소음 레벨은 클수록 인체에 미치는 영향이 크며, 주파수 특성이 고주파수일수록 그 영향이 크다. 한편 소음 지속시간이 길고 반복회수가 많을수록 인체에 미치는 영향이 크며, 충격성 소음일 경우 인체에 미치는 영향이 큰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한편, 감수성 측면에서 살펴보면 건강한 사람보다 병약한 사람이 동일 소음에 대해 더 큰 영향을 받게 되며, 남성보다 여성, 노인보다 젊은 사람이 더 소음에 민감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소음의 영향은 크게 구분하면 3가지로 나눌 수 있는데, 우선 청력에 영향을 미치게 되며, 정신적 또는 심리적인 측면과 신체적인 측면에서 각각 영향을 미치게 된다. 먼저 청력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면, 사람들이 소음에 노출될 경우 일시적인 청력손실, 영구적인 청력손실, 또는 노인성 난청이 발생할 수 있다. 일시적인 청력소음은 어느정도 큰 소음을 듣게 된 직후에 일시적으로 나타나는 청력저하를 의미하는데, 몇시간

진동의 인체 영향 [내부링크]

진동 또한 소음과 유사하게 사람들에게 감각적인 영향, 생리적인 영향, 신체적인 영향을 미치게 된다. 먼저 감각적인 영향으로는 주파수별 진동에 따라 인체에 각기 다른 영향을 미치게 된다. 예를 들어 6Hz 진동에 대해서는 인체의 허리, 가슴 및 등 쪽에서 통증을 느낄 수 있고, 13Hz 진동인 경우 인체의 머리에서 가장 크게 영향을 받게 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한편, 4-14Hz 진동인 경우 복통을 느낄 수 있고 9-20Hz 진동인 경우 대소변을 마렵게 한다든가 아니면 땀이나 열을 발생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수직 및 수평 진동이 동시에 가해지면 그것을 느끼는 정도가 2배 정도 커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진동의 인체에 미치는 영향 중 생리적 영향을 살펴보면 하기와 같이 인체에 다양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 후두계 : 12-16Hz에서 배속의 음식물이 심하고 오르내리게 됨을 느끼게 되어 발성에 영향을 준다. 호흡기 : 1-3Hz에서 호흡이 힘들고, 산소 소비가 증가

소리의 반사 및 흡음 [내부링크]

소리는 음원으로부터 구면파 모양으로 전파되는 것으로 가정한다. 소리가 벽에 부딪치게 되면 소리는 반사하게 되는데 이때 벽면에 입사되는 소리의 각도인 입사각은 소리가 벽면을 통해 반사되는 반사각과 그 크기가 동일하다. 한편, 벽면은 다양한 재질로 구성될 수 있는데, 벽면의 재질에 따라 벽면에서 일부 소리는 반사되지 않고 흡수하게 되며 이러한 벽면의 소리 흡수를 나타내는 지표로 흡음력이라는 개념을 일반적으로 사용하고 있다. 흡음력은 하기와 같이 정의된다. (식) A = 0.161 V/ T, 여기서 A는 흡음력, V는 실내공간의 부피, T는 잔향시간 상기 식을 이해하기 위해 잔향, 잔향시간, 흡음력에 대해 추가로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잔향이란 음원으로부터 발생하는 소리가 사라져도 반사음에 의해 계속해서 실내공간에서 소리가 울려 퍼지는 것을 의미한다. 벽면이 밀폐된 실내공간에서는 항상 잔향 현상이 발생한다. 그런데 상기 잔향현상은 소리가 공명을 일으켜 들리게 되는 에코 현상과는 구분되어야

소리의 분산, 굴절 및 회절 [내부링크]

실내공간의 특정 음원에서 발생하는 소리가 사람에게 들리는 과정을 살펴보면, 실제 소리를 듣게 되는 사람의 입장에서는 음원에서 발생한 소리가 어떤 벽면에도 반사되지 않고 직접 사람에게 전달되는 직접음과 벽면, 바닥면, 또는 천장면에 반사되어 전달되는 반사음이 조합된 복합음을 듣게 되는 것이다. 통상적으로 실내 공간에서 직접음의 비율은 30% 내외에 불과하며 나머지 70%의 소리는 음원으로부터 각 벽면에 반사되어 전달되는 반사음으로 구성되어 있다고 알려져 있다. 따라서 실내 공간에서는 전체 소리 중에서 반사음이 차지하는 비율이 상당히 큰 만큼 반사음을 적절하게 처리하는 것이 실내 공간의 소리 특성을 제어하는 데 상당히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이때 벽면에서 소리의 반사 현상에 대해서는 벽면에 가능하면 다양한 사이즈의 볼록면 및 오목면을 다수개 설치하게 되면 소리가 부딪힐 수 있는 벽의 표면적이 커짐에 따라 반사음끼리 간섭과 소멸이 많아지게 됨에 따라 실내 공간 내에서 반사음을 줄여주는

음악의 동적인 특성 [내부링크]

음악은 일정한 소리가 아닌 레벨이 연속적으로 변하거나 순간적으로 변하기도 하는 것으로 이른바 복합음으로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실제 소리는 사인파(정현파)가 아닌 합성파로 구성되며 서로 다른 주파수를 가진 사인파들이 겹쳐진 것으로 이해된다. 실제 진동하는 물체는 기본주파수(최저주파수)를 발생시키며 동시에 기본주파수에 대해 수학적으로 파생되는 오버톤(overtone) 또는 고조파(harmonics)가 더해지게 되는데 악기의 음색이나 질감은 이들 고조파로 인해 발생하는 것으로 이해되고 있다. 악기들 중에서 바이올린은 피아노에 비해 주파수가 더 높게 뻗는 특성을 가지므로 배음이 더 많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고조파는 짝수차일수도 있고 홀수차일수도 있는데, 짝수차 고조파는 2차, 4차, 8차 등이며 홀수차 고조파는 1차, 3차, 5차 등이다. 일반적으로 음악의 동적인 특성은 3가지 구성요소로 구분되는데 어택(attack), 내적인 다이내믹스(internal dynamics), 감쇄(

소리의 하스효과, 마스킹, 위치인식 [내부링크]

직접음과 지연음을 들을 때는 흥미로운 현상이 발생하게 되는데 첫 소리가 발생한 다음 30[ms] 내에 에코가 발생하는 경우 에코는 구분되는 소리로 들리지 않는 대신 소리의 음색을 약간 변경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 첫 번째 지연시간인 30[ms]를 퓨전 존(fusion zone)이라고 하며 상기 현상을 하스 효과(hass effect)라고 한다. 한편, 직접음과 지연음이 다른 방향에서 발생할 경우 처음 소리가 발생한 방향에서 소리가 들려오는 것으로 인식하며 지연음이 발생하는 것은 무시하게 된다. 돌비 서라운드 디코딩은 전방과 후방의 채널 분리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상기 현상을 이용하기도 한다. 한편, 마스킹(Masking)은 더 큰 소리에 뒤이어 나오는 소리는 더 큰소리 때문에 들리지 않는 현상인데 음악을 크게 틀었을 때 다른 사람의 음성이 들이지 않는 것 또한 마스킹의 한 예이다. 마스팅 효과는 특히 같은 주파수 소리일 경우 그 효과가 더 커지게 되는데 이 경우를 동시 마스킹이라고

iStreams SE04, 사운드바 매뉴얼 [내부링크]

iStreams SE04 사운드바 [아이스트림즈, HDMI ARC, Bluetooth 5.0, Optical, Coaxial, AUX, USB, 베이스리플렉스튜브, 리모컨] : 사운드앤오디오 [사운드앤오디오] 사운드앤오디오는 아이스트림즈(iStreams)의 스토어입니다. smartstore.naver.com 첨부파일 SE04 User Manual_220603_1.pdf 파일 다운로드

iStreams SR03, 테이블 블루투스 스피커 매뉴얼 [내부링크]

iStreams SR03 테이블 스피커 [ 아이스트림즈, Optical In x1, RCA In x 2, 블루투스 5.0, 4인치 우퍼x1, 1.25인치 트위터x2, TV사운드바] : 사운드앤오디오 [사운드앤오디오] 사운드앤오디오는 아이스트림즈(iStreams)의 스토어입니다. smartstore.naver.com 첨부파일 SR03 User Manual_220603_1.pdf 파일 다운로드

AUGUST EPG100L, 유선 게이밍 헤드셋 매뉴얼_한글 [내부링크]

첨부파일 August EPG100L Quick Guide_한글.pdf 파일 다운로드 August EPG100L 유선 게이밍 겸용 헤드셋 [노이즈 저감 마이크, RGB Right, 50mm 드라이버, 4D 서라운드 사운드] : 사운드앤오디오 [사운드앤오디오] 사운드앤오디오는 아이스트림즈(iStreams)의 스토어입니다. smartstore.naver.com

생활 속의 소음 - 가전제품 [내부링크]

전통적인 가전기기는 냉장고, 세탁기, TV 등인데 최근에는 가사 노동을 경감하고 생활방식의 변화에 따라 다양한 가전기기가 다수 출시되어 소비자의 다양한 니즈에 대응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런데 가정 내에서 사용하는 가전기기의 수가 증가하고 그 종류 또한 다양해지고 있고 가전기기의 용량 또는 크기가 증가함에 따라 각각의 가전기기는 다양한 소음 및 진동 발생원이 되어 가정 내의 정숙한 환경을 저해하는 요소가 됨에 따라 이에 대한 대책이 시급히 요구하는 상황이라고 할 수 있다. 소비자들이 가정에서 사용중인 가전제품 중 가장 소음이 큰 제품은 전기 믹서이며, 그 다음으로는 진공청소기, 모발 건조기, 세탁기(탈수시), 레인지후드 순이다. 중대형 승용차의 가속주행소음이 평균 74~77dBA인 것을 감안하면 전기믹서기는 승용차 가속주행소음 대비 약간 더 시끄럽고 진공청소기는 이보다 약간 덜 시끄러운 편이지만 가정 내에서 발생하는 것을 감안하면 매우 큰 소음이라고 할 수 있다. 통상 대면 대화는 6

소음 평가 방법 [내부링크]

소음을 평가하는 방법은 도로소음, 항공기 소음, 철도 소음, 공장소음 등 다양한 환경소음을 측정하는 여러 가지 방법이 제시되어 각 상황에 맞게 활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상기 소음 평가방법은 크게 구분하면 소음레벨인 dB(A)에 의한 평가, 등가소음레벨(Leq)에 의한 평가, NR(Noise Criteria) 또는 NC(Noise Criteria Curves)에 의한 평가, 회화방해레벨(Speech Interference Level)에 의한 평가, 주야 등가소음레벨(Ldn)에 의한평가, 지각소음레벨(Perceived Noise Level, PNL)에 의한 평가 등 다양한 평가 지표에 의해 평가가 가능하다. 먼저 소음레벨, dB(A)에 의한 평가를 살펴보면 측정이 간편하고 인간의 귀가 느끼는 소리의 크기와 잘 대응하기 때문에 소음 기본 평가시 널리 활용되는 편이다. 그런데 ISO 권장규격의 평가 소음레벨, Lr은 소음레벨, dB(A) 측정값에 주변 소음 성질에 따른 보정값을 더하거나 빼

진동 평가 방법 [내부링크]

진동 크기는 주로 진동가속도 레벨로 나타낸다. 진동 가속도 레벨은 진동의 강약, 즉 진동의 물리적 크기의 척도가 된다. 통상 진동을 느꼈을 때 그 진동의 크기를 VG(Vibration Greatness)라 정의하는데 수직진동의 경우에는 중심주파수 4-8Hz의 진동 가속도 레벨 100dB 진동을 느껴서 얻는 진동의 크기를 1VG라고 한다. 한편, 수평진동의 경우에는 중심주파수 1-2Hz의 진동 가속도 레벨 100dB 진동을 느껴서 얻는 진동의 크기를 1VG라고 한다. 여기서 VG는 감지되는 진동의 크기에 대응하는 값이다. 한편, 진동의 크기 VG를 레벨로 표시한 값을 VGL(Vibration Greatness Level)이라고 한다. 진동 크기 레벨 100 VGL 진동은 수직 진동의 경우 중심주파수 4-8Hz의 진동 가속도 레벨 100dB의 진동과 같은 크기로 느껴지는 진동이 되고, 수평진동의 경우 중심주파수 1-2Hz의 진동 가속도 레벨 100dB의 진동과 같은 크기에서 느껴지는 진

소리의 3요소(크기, 높낮이, 음색) 중 음색에 대한 고찰 [내부링크]

소리의 3요소 중 음색에 관련된 물리량은 다차원적인 특성을 가진 것으로 알려져 있다. 다만, 음의 스펙트럼 구조와 엔벨로프 등은 음색을 좌우하는 주요한 음향적 요소이기는 하지만 이것이 전부는 아닌 것으로 알려져 있다. 소리의 대역은 저음(20~100Hz), 중음(100~1,000Hz), 고음(1,000~10,000Hz), 초고음(10,000~20,000Hz)로 구분되는데, 음성이나 악기음의 기본음은 중음 대역이며, 음성과 악기음의 배음(하모닉스)은 고음 대역에 존재한다. 상기 고음 대역 중에서 1~5[kHz]는 모든 악기음의 명료성을 나타내는 인자이며 인간의 가청 주파수 대역 중에서 가장 귀의 감도가 민감한 대역인데 저음에 의해 마스킹되기 쉬운 대역이므로 주의가 필요하다. 5[kHz] 이상 고음은 현장감에 기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고, 저음은 음의 자연성과 음량감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특히 저음은 귀가 감지하는 데 둔감한 대역이므로 중고음보다 10[dB] 정도

좋은 소리 혹은 아름다운 사운드 [내부링크]

소리의 여러 가지 성향 중에서 과연 어떤 성향의 소리가 좋은 소리인지에 대해 살펴 보기로 한다. 음악을 처음 듣게 되는 초보자 입장에서는 저음이 강력하게 재생되는 소리를 상대적으로 선호하는 편이다. 그러나 강력한 저음은 중고역의 소리를 덮어버리기 때문에 소리가 선명하지 못하고 안개로 가려지고 어두운 느낌의 소리로 인식하게 된다. 저음 및 고음 강조형(V자형) 제품의 경우 소리를 청취하면 저음 음량은 유지되면서 고음 밸런스도 어느정도 맞아지게 됨에 따라 고음 소리가 크게 들리면서 소리의 투명성과 해상도 또한 증가하게 된다. 따라서 소비자들은 상대적으로 V자형 제품을 선호하게 된다. 한편, V자형 성향 소리의 단점은 저음과 고음은 잘 나오지만 중역대에 걸쳐있는 보컬이나 피아노 또는 기타 소리가 뒤로 물러나거나 가려진 느낌의 소리로 변해서 들리게 되어 중역 소리가 상대적으로 작게 들리는 문제가 생길 수 있다. 따라서 V자형 소리에 대한 선호도는 처음에는 만족도가 높고 괜찮다가 시간이 지남

음질평가 총론 [내부링크]

오디오 기기별 소리를 분석적으로 평가하고 평가하는 것을 음질평가라고 한다. 음질 평가에 필요한 평가 항목은 평가자에 따라 다양하게 변화되지만, 주요 평가항목으로는 저역(punch bass , deep bass), 명료도(Clarity), 음의 밸런스(Tonal Balance), 공간감(Spatial : image, sound stage, surround ambience), High volume 특성(distortion, linearity) 등인데, 각 항목별로 가중치를 주고 정량화가 가능하도록 점수를 부여해서 합계점수로 음질 수준을 평가하도록 한다. 일반 소비자향 오디오 기기에 대한 음질평가의 경우 평가항목 중에서는 명료도와 음의 밸런스가 가장 중요한 평가 항목으로 가중치 또한 높은 편이다. 한편, 소리의 성향을 나타내는 주요 항목은 명료도/채색정도, 순간적인 음량변화, 공간감과 개방감, 사우드 이미지의 크기, 중역대비 고음의느낌, 고음의 질감, 중역대비 저음의 느낌, 저음의 질감

AUGUST 소개 [내부링크]

August사는 세계적인 오디오 브랜드를 숱하게 배출한 오디오 강국인 영국에서 2005년 설립 후 라디오, 블루투스 라디오, 블루투스 헤드폰, 블루투스 이어폰, 와이파이 리시버 등 다양한 오디오 제품을 지속적으로 출시하여 소비자들의 사랑을 받고 있는 오디오 업체입니다. 제조 기반은 중국에 두고 있으며, 판매 및 유통 기반은 영국을 포함한 유럽 각국에 두고 있는 업체입니다. August사는 최신 기술과 첨단 기능을 갖춘 가전제품의 연구, 개발 및 공급을 선도하는 회사입니다. 이 회사는 무선 및 스마트 오디오, 비디오 신호 수신기, 디코더, 스트리밍 및 디스플레이 장치, 웨어러블 전자 제품 개발에 특화되어 있습니다. 한편, August사는 원격 환자 모니터링에 적용할 수 있는 새로운 원격 의료 기술 연구를 통해 원격지에 있는 사람들의 생명 징후를 모니터링하는 데 사용할 수 있는 일련의 모바일 IoT 스마트 웨어러블 장치를 개발했는데, 이 연구는 영국 에식스 대학교 및 영국 웨스트 대학교

August EPG100L, 유선 게이밍 헤드셋 매뉴얼_영문 [내부링크]

첨부파일 EPG100L_EN.pdf 파일 다운로드 August EPG100L 유선 게이밍 겸용 헤드셋 [노이즈 저감 마이크, RGB Right, 50mm 드라이버, 4D 서라운드 사운드] : 사운드앤오디오 [사운드앤오디오] 사운드앤오디오는 아이스트림즈(iStreams)의 스토어입니다. smartstore.naver.com

August EPG500B, 무선 게이밍 이어폰 매뉴얼_영문 [내부링크]

첨부파일 EPG500_EN.pdf 파일 다운로드 August EPG500B 게이밍 무선 이어폰 [블루투스 5, Dual Mic,Noise Reduction,ENC, Low Latency, 장시간 Battery 재생] : 사운드앤오디오 [사운드앤오디오] 사운드앤오디오는 아이스트림즈(iStreams)의 스토어입니다. smartstore.naver.com

August EP800, 무선 이어폰 매뉴얼_영문 [내부링크]

첨부파일 EP800_EN.pdf 파일 다운로드

August EP650 무선 블루투스 헤드폰 매뉴얼_영문 [내부링크]

첨부파일 EP650_EN.pdf 파일 다운로드

iStreams 소개 [내부링크]

아이스트림즈(iStreams)는 오디오 관련 전문지식, 연구역량 및 강력한 제조 배경을 바탕으로 최고 품질의 진보된 기능을 갖춘 오디오 제품을 경쟁력 있는 가격으로 소비자 여러분께 공급하기 위해 최선을 다하는 오디오 전문회사로 자리매김할 것입니다. 아이스트림즈(iStreams)의 주요 관심 제품은 사운드바, 액티브 북셀프 스피커 등입니다. 한편, 아이스트림즈는 품질이 우수하면서도 합리적인 가격에 소비자 여러분께 공급이 가능한 영국 브랜드인 August 오디오 제품군의 각종 제품들, 예를 들면 무선 이어폰, 무선 헤드폰, 블루투스 라디오, 와이파이 오디오 리시버 등을 국내에 수입, 유통하는 업무를 시작했습니다. 앞으로도 아이스트림즈는 국내 소비자 여러분께 합리적인 가격대의 품질이 우수한 각종 오디오 제품을 소개하고 접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기 위해 노력하겠습니다. 한편, 아이스트림즈(iStreams)의 관심 연구분야는 진동스피커 적용 오디오 개발, 층간소음 관련 진동/소음 제어 시스

August 제품 소개 [내부링크]

August 제품은 주로 오디오 제품군 중심으로 개발되고 시판 중입니다. 무선 이어폰, 무선 헤드폰, 블루투스 라디오, 와이파이 스피커, 블루투스 스피커, 와이파이 오디오 리시버 등을 중심으로 제품 개발 및 시판이 이루어지고 있고, 최근에는 휴대용 CDP, 휴대용 라디오 등이 출시되고 있습니다. 저희 아이스트림즈(iStreams)는 영국 브랜드인 August 제품 중 가장 먼저 유선 게이밍 헤드셋에 대해 방송통신기자재 KC 적합등록 인증을 취득한 다음 정식으로 수입신청, 통관하여 국내 판매를 시작했습니다. 그리고 향후 품질이 우수하면서도 합리적인 가격에 공급이 가능한 August의 블루투스 라디오, 무선 헤드폰, 무선 이어폰 등 오디오 제품에 대해 방송통신기자재 KC 인증을 취득한 다음 정식으로 수입, 판매할 계획입니다.

스피커 개요 [내부링크]

스피커는 인류 문명에 새로운 전기를 마련해 준 발명품 중 하나가 분명합니다. 스피커는 수동적인 액추에이터(passive actuator)라고 할 수 있는데, 자체적으로 움직이지 않고 앰프에서 흘려주는 전기를 스피커 내의 코일에 흘려 주면 자석 및 요크로 구성된 자기회로 내의 자속(magnetic flux)과 코일에 흘려주는 전류(current)가 상호 작용하여 전류와 자속이 형성하는 평면에 수직인 방향으로 코일이 힘을 받게 되며, 상기 코일과 연결되어 있는 진동판이 같이 연동되어 앞뒤로 움직임에 따라 진동판 앞뒤 공간에 형성되는 음압의 소밀에 의해 소리가 발생하는 장치라고 할 수 있습니다. 스피커 구동 원리는 네이버 지식백과의 네이버 캐스트 중 [스피커의 원리]에 잘 설명이 되어 있습니다. 스피커의 원리 어머니는 아기가 태어날 때 울음소리를 아름답게 느낀다. 어떤 사람은 커피를 마시며 듣는 클래식 음악에 취한다. 청소년들은 대중 가수가 부르는 노래에 열광한다. 이 소리들은 기다림의

사운드 음질평가 [내부링크]

1. 서론 어떤 오디오 시스템이나 콤포넌트의 사운드가 좋은지 아닌지를 확인하거나 그렇게 만드는 사운드의 특성이 무엇인지를 밝혀내기 위해서는 듣는 사람 입장에서는 사운드에 대해 분석적인 청취가 필요하다. 소리 혹은 사운드는 사람이 말을 통해 만들기도 하고 악기를 통해 만들기도 하는데 그 소리를 정의하는 여러가지 특성에 의해 규정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가장 흔히 접하는 것은 소리를 저역, 중역 및 고역으로 주파수 대역별로 구분하는 것이고, 추가해서 소리의 느낌을 표현하는 다양한 특성과 공간감을 표현하는 음장감 등이 있다고 할 수 있다. 2. 저역 재생 저역 주파수 대역 재생은 스피커 사이즈 중에서 가장 큰 직경을 가진 스피커를 지칭하는 '우퍼'에 의해 재생된다. 그런데 우퍼에 의해 재생되는 사운드 특성 중에서 가장 빈빈하게 나타나는 잘못된 저역 재생은 'Boom truck'을 그 사례로 들 수 있다. 저역 주파수 대역에 존재하는 미묘함(subtlety)과 뉘앙스(nuance)를 표현하기

평면 TV에서 좋은 음질의 사운드를 즐기는 방법 [내부링크]

평면 TV가 되면서 스피커가 기존의 브라운관 TV에 적용하던 원형 타입 스피커 대신 얇아진 TV 두께에 대응 가능한 오벌 타입 스피커가 적용되면서 TV 음질의 열화는 어쩔 수 없는 것으로 인식되었습니다. 하기 그림은 오벌 타입 스피커인데, 좌우는 길고 상하는 짧은 트랙 형태로 되어 있기 때문에, 저역 주파수 대역을 낮추는 것에 제한이 있습니다. 오벌 타입 스피커는 기존 라운드 타입 스피커와 달리 타원형 스피커 형태이기 때문에 콘 사이즈가 축소됨에 따라 재생 주파수 대역이 최소 100~200Hz 이상으로 높아지게 되며, 재생 주파수 대역에서 불필요한 부공진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아질 가능성 또한 커지게 됩니다. 물론 개발자들은 이러한 환경 하에서도 TV 음질 열화를 줄이기 위한 각고의 연구개발 노력을 경주하지만 물리적인 공간 제약을 뛰어넘는 스피커 기술 개발은 아직 숙제가 많은 분야라고 말할 수 있습니다. 스피커는 진동판을 앞뒤로 움직여서 발생하는 음압의 소밀 변화로 소리가 발생하는 원

평면 TV에서 사운드바(Soundbar) 또는 액티브 북셀프 스피커의 필요성 [내부링크]

사운드바는 아직 대중적이지 않습니다. 이전 세대에게 전축은 중산층 이상 가정에서 필수 품목이라고 할 수 있는 정도의 위치에 있었지만 개인 휴대 전자기기인 휴대폰의 비약적인 발전에 따라 전축으로 대표되는 오디오 기기는 자리매김하지 못하고 사라지는 대신 그 자리는 휴대폰과 연결성이 강조된 헤드폰 또는 이어폰이 자리를 대신 차지하게 된 것입니다. 앞으로도 큰 흐름은 헤드폰 또는 이어폰이 대표적인 오디오 제품의 한 축을 감당하는 것이 예상됩니다. 그러나 평면 TV의 대화면화에 따라 적어도 그에 걸맞는 오디오 음질 확보가 필요하다는 소비자 니즈 또한 증대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평면 TV가 40인치 대인 경우와는 달리 65인치 이상 대화면화로 그 중심이 이동할 경우 화면에 걸맞는 충분한 크기의 오디오 출력이 필요하며, 현장감이나 공간감을 느낄 수 있는 저음 재생력과 함께 소리의 왜곡이 없는 깨끗하고 평탄한 중고역대 음질 수준 확보에 대한 소비자의 니즈 또한 증대할 것인데 문제는 평면 TV 자체

실내음향의 지향목표 [내부링크]

실내음향의 지향 목표는 하기와 같습니다. - 방해되는 소음이 없어야 합니다. - 음성은 명료하게 들려야 합니다. - 음악은 아름답고 풍부한 소리로 울려야 합니다. - 실내 전체에 걸쳐 음압분포는 균일해야 합니다. - 에코 현상과 같은 음향 장애가 없어야 합니다. 상기 실내음향의 지향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다양한 수단들이 필요하다고 할 수 있습니다. 실내음향의 주요 인자인 벽체, 바닥면, 천장면에 대해 적절한 수준의 흡음 및 난반사 처리를 하는 한편으로는 실내의 어느 포인트에서도 음압분포를 균일하게 해 주기 위해 적절한 수준의 반사 처리 또한 이루어져야 하는 등 상호 이율배반적인 설계요소를 적용해야 한다는 것이 설계 및 시공상 어려움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또한, 음악이 아름답고 풍부한 소리로 울리게 하도록 하기 위해서는 적절한 크기의 잔향시간이 확보되어야 합니다. 잔향이란 음원으로부터 발생되는 소리가 없어져도 반사음에 의해 계속 소리가 울려퍼지는 것을 의미하는데 잔향음의 에너지가 원

August EPG100L, 유선 게이밍 헤드셋 [노이즈 저감 마이크, RGB Right, 50mm 드라이브, 4D 서라운드 사운드] [내부링크]

August EPG100L 유선 게이밍 겸용 헤드셋 [노이즈 저감 마이크, RGB Right, 50mm 드라이버, 4D 서라운드 사운드] : 사운드앤오디오 [사운드앤오디오] 사운드앤오디오는 아이스트림즈(iStreams)의 스토어입니다. smartstore.naver.com August 유선 게이밍 헤드셋, EPG100L August EPG100L 유선 게이밍 헤드셋은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스테레오 서라운드 사운드 효과 조절 가능한 소음감소 기능 마이크 멀티 게이밍 플랫폼과 호환 가능 RGB Right 기능 제공 마이크 on/off 스위치 및 볼륨 조절 버튼 제공 메모리폼 패드 및 부드러운 가죽으로 구성된 이어패드 50mm 대형 드라이브 적용으로 저역 재생력 개선 상기 EPG100L 유선 헤드셋은 아이스트림즈(iStreams)에서 정식으로 수입신청 및 통관을 거쳐 국내에서 판매되는 영국 August사 제품이며, 국내 판매를 목적으로 방송통신기자재 적합등록 KC 인증을

청감곡선 [내부링크]

사람의 청각은 주파수 대역에 따라 차이가 있다. 500[Hz]-5[kHz] 주파수 대역에 걸쳐있는 중고음은 감도가 좋은 편이지만 500[Hz] 미만의 주파수 대역에 걸쳐있는 저음의 감도는 중고음의 감도에 비해 많이 낮다. 한편, 5[kHz] 이상의 고역 주파수 대역에 대해서도 청각이 감지하는 감도는 떨어지게 된다. 하기 그림은 청각의 라우드니스 곡선을 나타낸 것인데 주파수별로 표시된 각각의 곡선이 나타내는 것은 청각으로 감지가 가능한 같은 소리의 크기를 나타낸 것이다. 즉 청각의 감도가 주파수 대역별로 차이가 있어서 저역 주파수 대역은 큰 소리, 중고역 주파수 대역에서는 저역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은 소리를 청각은 같은 크기로 감지하는 것이다. 그런데 사람의 청각 특성이 주파수 대역에 따라 상이하므로 측정기에서도 실제 사람이 청각으로 감지 가능한 청각 특성을 가지도록 주파수 대역별로 가중함수(weighting function)을 곱해주게 되는데 이러한 가중함수의 특성에 따라 A-wei

소리의 3요소 (크기, 높낮이, 음색) [내부링크]

소리의 3요소는 음압이라는 물리량으로 나타내는 크기, 주파수라는 물리량으로 나타내는 소리의 높낮이, 파형 및 스펙트럼이라는 물리량으로 나타내는 음색으로 구분 가능하다. 소리의 크기를 나타내는 음압은 주파수별 가청한계가 상이한데, 인간의 청각이 들을 수 있는 주파수별 최소 음압 레벨, 즉 최소 가청 한계는 청각의 최소 가청 한계 곡선을 통해 확인 가능하다. 통상적으로 사람들에게 소리에 대한 감도가 가장 좋은 주파수는 4[kHz] 대역 소리이며, 저역 대역은 중역 대역 소리에 비해 최소 10[dB] 이상 큰 소리를 비슷한 크기의 소리로 감지하게 된다. 청각의 최소 가청 한계 곡선은 중역을 기준으로 저역과 고역의 최소 가청 한계값이 상승하는 V자 형태이므로 아무리 좋은 오디오 재생장치라도 낮은 레벨로 재생하면 그 소리를 듣게 되는 청취자 입장에서는 재생대역이 좁고 빈약한 음이 들리게 된다. 반면에 좋지 않은 재생장치라도 음량을 올리면 최소가청 한계값 이상으로 충분히 소리가 큰 경우에 해당

방음 및 차음 개념 [내부링크]

사람들이 생활하고 있는 주변 환경에서 소음원은 여러 가지 형태로 존재하게 된다. 가장 대표적인 소음으로는 도로교통소음, 궤도소음, 항공기소음, 공장소음, 건설소음, 송풍기 소음, 생활소음 등이 있을 수 있고, 이러한 소음을 줄이기 위한 다양한 방음 기술이 개발, 적용되고 있다. 한편, 가정에서 발생하는 소음을 예로 들면, 가전제품, 음향기기, 냉난방 기기, 악기류 그리고 사람 목소리 등의 공기전파음이 있을 수 있고, 집안에서 걷는 소리, 뛰어다닌 소리, 가구 옮기는 소리, 문을 여닫는 소리, 급배수 설비소음, 음식을 만드는 소리 등의 고체 전달음이 있을 수 있다. 이러한 소음의 전파는 소음원 형태, 소음 전파경로의 환경 상태에 따라 영향을 받는데, 소음원 형태는 점음원, 선음원, 면음원, 입체음원으로 분류되는 조건에 따라 상이하게 되며, 소음전파경로 또한 각종 조건에 따라 달라지게 된다. 한편 소음을 줄이기 위한 방음 대책으로는 첫째 차음에 의한 소음방지, 둘째 흡음에 의한 소음방지

방음 대책 [내부링크]

방음 대책은 사전에 예방 조치를 하는 것이 최선이다. 방음 대책은 소음원 대책, 소음전파경로 대책, 수음원 대책으로 구분 가능한데, 대책 순서는 하기와 같다. - 소음이 문제되는 지점인 수음점의 위치를 확인한다. - 수음점에서 소음계 또는 주파수 분석기를 통해 소음을 측정한다. - 수음점에서 소음규제 기준을 확인한다. - 소음 측정 결과와 소음 규제 기준과의 차이로부터 소음을 저감하기 위한 소음레벨 목표 레벨을 설정한다. 이때 주파수 대역별 소음 레벨 저감 목표값도 같이 설정한다. - 적정한 소음방지 기술을 선정하는 등 방음 대책을 수립한다. - 시공 및 재측정을 한다. 상기 방음 대책 중에서 소음원 대책 및 소음전파경로 대책별로 리스트해 보면 하기와 같이 요약할 수 있다. 소음원 대책은 소음의 원인을 제거하는 것, 소음 파동을 차단하고 감쇄하는 것, 방사율의 저감 등을 통해 소음원을 없애거나 그 크기를 줄이는 것이다. 좀 더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소음 발생원에 대해서는 유속 저감,

방진 개념 [내부링크]

대부분의 경우 진동이 발생하게 되면 여러 가지 문제를 야기하게 된다. 기계나 제품에서 발생하는 진동은 기계나 제품이 본래의 목적을 수행하는 데 방해가 되는 요소로 작용하며, 결국에는 기계나 제품이 고장에 이르도록 하는 주요 원인으로 작용하기도 한다. 따라서 진동은 가능한 방지를 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그에 대한 대책으로는 진동원을 제거하는 방법, 진동 전달경로를 차단하는 방법, 공진을 회피하는 방법, 공진을 회피하지 못하는 경우 동흡진기나 감쇄기로 진동을 억제하는 방법 등을 강구할 수 있다. 진동원을 제거하는 방법은 가장 먼저 왕복기관이나 회전기계인 경우 균형을 잡아서 불균형한 관성력을 제거하는 방법이 가능하며, 설계 단계에서는 제품의 무게중심과 제품 자체에서 발생하는 가진력의 힘중심간 일치를 하도록 해서 불균형 가진력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제품이나 기계 설치가 된 이후에 진동원을 제거하는 적극적인 방법으로는 제품이나 기계에 동흡진기나 다른 감쇄기를 부착하여

방진 대책 [내부링크]

공해문제 중의 하나인 진동현상은 각종 기계, 건설작업, 도로나 철도 등에 의해 발생하며, 지반을 매개로 하여 전파되어 주변 건축물, 정밀 기계 등에 물적 피해를 입히고 심지어 인체에 심리적 영향과 생리적 영향을 미치는 등 다양한 문제를 유발하고 있는 실정이다. 진동현상 또한 소음현상과 유사하게 진동발생, 진동 전파 및 진동 수진에 때해 각각 진동 방지 대책을 수립하는 것이 가능하며 이러한 진동 대책을 제대로 수립하기 위한 전제조건으로는 진동 발생단계, 진동 전파단계 및 진동 수진단계별 진동 특성을 확실하게 체크하는 것이 필요하다. 진동 발생 특성은 진동원의 발생형태, 진동이 지반에 전달되는 전달형태, 진동 주파수 및 진폭 등 진동 특성을 나타내는 것이다. 한편, 진동 전파 특성은 토질조건, 지층조건, 지형조건 및 지반특성 등 지반조건괴 진동 파동의 종류 및 성질 등 전파특성을 의미한다. 한편, 수진 특성은 지역환경조건(규제기준) 및 수진체 조건을 의미한다. 상기 진동발생 특성과 진동

스피커는 유명 메이커가 만든 제품이 좋은 것일까? [내부링크]

물론 그것이 대부분 맞다고 생각한다. 메이커가 만든 제품은 일단 기본 품질을 보증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라고 생각한다. 스피커도 코일, 영구자석, 요크, 진동판, 댐퍼, 보빈, 프레임 등 다양한 부품으로 구성되어 있고, 각 부품을 접착에 의해 조립공차를 가지고 조립하는 어셈블리인 만큼 부품별 편차, 조립편차 등에 의해 가진이 되기를 원치않는 회전운동 등 불필요한 운동을 야기함에 따라 진동판의 병진운동만 필요한 스피커의 주파수 전달함수 특성 등에 피크 또는 딥을 만들게 하는 원인이 되기도 한다. 따라서 부품별 치수공차 관리 뿐만 아니라 영구자석 자계의 편차 관리, 보빈 및 가동코일의 조합시 공차관리, 자계 갭 치수 관리, 접착강도 관리 등 부품 및 조립편차에 대해 관리가 필요하기 때문에 메이커 제품을 선호한다고 보는 것이 일견 타당하다는 생각이 들기도 한다. 왜냐하면 메이커인 경우에는 스피커 제품에 대한 기본 품질 보증을 제대로 하고 있다는 전제가 있는 경우가 대부분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스피커 구성은 풀레인지, 2-Way, 3-Way 스피커 중에서 어떤 것이 좋은가? [내부링크]

스피커는 네트워크로 주파수 분할해서 저역, 중역 및 고역을 분할하고 각 대역별로 사용하는 유닛을 별도 적용하는 방식에 따라 구분할 수 있다. 전 주파수 대역에 걸쳐 하나의 유닛을 사용하는 방식이 풀레인지 방식이며, 2-Way 방식은 저역과 중고역 주파수 대역을 구분해서 저역은 우퍼 유닛, 중고역은 풀레인지 유닛이나 트위터로 재생하는 것이며, 3-Way 방식은 저역, 중역, 고역을 구분해서 저역은 우퍼 유닛, 중역은 미드레인지 유닛, 고역은 트위터로 재생하는 것인데 반드시 어느 방식이 좋다고 할 수는 없다. 다만, 풀레인지 방식의 경우 전 주파수 대역에 걸쳐 재생을 하기에는 진동판 질량과 무게가 문제가 되는 만큼 가능하면 피하는 것이 타당하다는 생각이다. 북셀프형 이하의 스피커 크기인 경우에는 저역과 중역까지 커버 가능한 미드레인지 유닛과 고역을 담당하는 트위터로 구분된 2-Way 방식 스피커가 상대적으로 괜찮다고 판단된다. 반면, 톨보이형 또는 스탠드형으로 높이 1m 이상 대형 사이

스피커에서 음악감상용과 A/V용은 차이가 있는지? [내부링크]

물론 차이가 있다고 생각한다. 그런데 이제는 그 경계가 많이 허물어지고 있는 단계라고 생각한다. 예를 들어 2000년대 초반 유선 5.1채널 홈씨어터를 구성하는 A/V용 프런트 스피커, 센터 스피커, 서라운드 스피커와 음악감상용 북셀프형 스피커는 적용되는 유닛 사양과 인클로져 크기 등이 상이했다. A/V용 스피커에서는 주로 영화 감상시 배경음으로 깔리는 묵중한 저음, 총소리나 타격음, 날카로운 비명 등의 자극적인 소리, 빗소리 등의 배경음 등을 주로 강조하는 타입이 대부분이다. 반면에 음악감상용 스피커는 전체적인 음 밸런스를 중시하고 중고역대역이 선명하면서도 부드러운 느낌을 주도록 하는 데 주안점을 두고 있어서 스피커 음색 차이가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전에는 가능하면 A/V용과 음악감상용 스피커를 구분해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한 선택으로 생각되었다. 그런데 최근들어 A/V용 스피커로 사운드바(사운드바 또한 일종의 멀티룸 스피커) 및 멀티룸 스피커를 조합해서 무선으로 홈씨어터를 구

스피커 크기는 클수록 좋은가? [내부링크]

스피커는 스피커 유닛 특성을 고려해서 인클로져 용적을 계산한 후 튜닝 과정을 거쳐 원하는 사운드를 만들어내는 것인데, 체적이 커지게 되면 저음 재생 주파수 대역이 확장될 가능성이 높아지므로 저음 재생이 필요한 경우에는 스피커 크기는 일정수준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고 생각된다. 그러나 스피커 크기가 커질수록 음질을 일정수준 이상으로 유지하는 게 쉽지 않으며, 특히 저역을 필요 이상으로 과장할 가능성이 있으므로 재생음이 정확하게 나오지 않을 수 있으므로 적정한 사이즈가 타당한 것으로 생각된다. 다만 유닛 직경 사이즈에 비례해서 저역 주파수 대역이 확장되는 바, 인클로져 사이즈가 너무 작을 경우 일정 크기 이상의 직경을 갖는 유닛 적용을 할 수 없어 저역 재생이 불가하므로 일정 크기 이상의 인클로져는 확보하는 것이 타당하다. 북셀프형인 경우 일반적인 저역 재생을 하는 데 큰 무리가 없는 것으로 생각하며, 저역 펀치감을 특히 중요시하는 경우에는 별도의 우퍼를 구비하는 것도 오디오 선정에 팁

스피커에서 인클로져 재질은 무엇이 좋을까? [내부링크]

스피커 소리통인 인클로져는 스피커 유닛에서 발생하는 압력 변동파인 소밀파를 밀폐하는 역할을 담당하는 구성 부품으로, 저음 스피커 유닛에서 재생되는 소리가 상쇄되지 않도록 하고 있다. 즉, 유닛에서 진동판은 전후 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진동판이 앞으로 나오는 방향인 (+) 소리와 뒤로 들어가는 방향인 (-) 방향 소리가 합쳐지게 되면 소리가 상쇄되는데 이러한 소리의 상쇄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목적으로 진동판이 뒤로 들어가는 방향인 (-) 방향 소리를 인클로져 상에 담아둠으로써 (+)방향 소리가 상쇄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그 역할인 것이다. 상기 인클로져 역할을 제대로 하기만 하면 되는 바, 인클로져 재질에서 MDF가 원목에 비해 더 우수하다는 증거는 없다고 보는 것이 타당하다. 이른바 빈티지 스피커가 나오던 시기에는 인클로져 재질로 주로 원목이 사용되었지만 그 이후에 균일성을 보장하며 가공이 쉽고 가성비가 우수한 MDF가 개발되어 인클로져 재질로 적용된 만큼 어느 재질이 음질에 더

스피커에서 임피던스는 무엇을 의미하는가? [내부링크]

앰프 사양에는 통상적으로 임피던스 몇 옴의 스피커를 연결시 허용 가능한 출력값을 표시하고 있다. 이 경우 스피커에서 통상적으로 표기하는 임피던스는 8옴으로 표기되어 있고, 이는 스피커에서 코일과 네트워크 변수의 조합에 의해 결정된 교류저항값을 의미한다. 즉, 임피던스는 재생 주파수 대역별 가변하는 저항값으로 이는 주파수별 부하값이 달라지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다. 만일 스피커 임피던스가 8옴이 아닌 4옴인 경우 교류저항인 부하가 낮아지는 것이므로 앰프 입장에서는 허용 가능한 출력값이 커지게 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스피커의 경우 통상적으로 임피던스는 8옴 수준에서 관리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며, 최근에는 부하를 더 줄여서 앰프 부담을 줄여주는 추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