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eistory의 등록된 링크

 keistory로 등록된 티스토리 포스트 수는 1000건입니다.

[로또랩스] 로또당첨번호 조회 및 1105회 로또예상번호 [내부링크]

[로또랩스] 로또당첨번호 조회 및 1105회 로또예상번호 이번주 로또 당첨번호 및 로또 예상번호입니다. 예상번호는 로또랩스만의 로직을 통해 생성됩니다. 1104 회 로또 당첨번호 이번주 로또 당첨 번호는 1,7,21,30,35,38 + 2 입니다. 1105회 예상번호입니다. 로또랩스 앱에서 제공되는 로또 예상번호는 5,9,19,27,32,39 / 11,16,24,25,33,34 입니다. 로또랩스 GPT 에서 제공되는 로또 예상번호는 5,14,22,27,33,39 입니다 앱을 다운 받으시면 자신이 원하는 조합의 숫자로 예상번호를 추출할 수 있습니다. 안드로이드 (Android) https://play.google.com/store/apps/details?id=kr.kjun.lottolabs 로또랩스 - 번..

고욤나무 모무늬낙엽병 [내부링크]

고욤나무 모무늬낙엽병 피해수종 감나무, 고욤나무 등 병원균 Cercospora kaki 피해 7월 중순부터 잎에 잎맥으로 둘러싸인 갈색 다각형 병반이 나타나며 병반의 가장자리는 갈색 띠로 둘러싸여 건전부와 뚜렷한 경계를 이룬다. 주로 잎 앞면보다 잎 뒷면 병반이 선명하다. 잎 앞면 병반에는 솜털 같은 흑갈색 분생포자덩이로 뒤덮인 분생포자좌가 나타난다. 수세가 쇠약해졌을 때 많이 발생한다. 병환 병원균은 불완전균으로 가지 병반부에서는 분생포자로, 병든 잎에서는 균사로 월동하며, 6~7월 에 전염원이 된다. 포자가 발아하면 주로 잎 뒷면의 기공으로 침입하여 약 30일간의 잠복기를 거친 후 7~8월에 병징이 나타난다. 방제법 병든 잎은 제거하고, 수세 관리에 힘쓴다. 6월 상순경부터 적용약제를 10일 간격으로..

두릅나무 균핵병 [내부링크]

두릅나무 균핵병 피해수종 두릅나무 병원균 Sclerotinia sclerotiorum 피해 초기 병징은 줄기와 뿌리 부근의 지제부에 하얀 솜털 같은 균사가 발생하며, 병이 경과함에 따라 단단한 균핵을 형성하여 뿌리를 썩히면서 고사시킨다. 균핵은 처음에는 흰색이지만 흑색 으로 변하면서 점점 단단해지고 형태는 둥글지만 다소 긴 타원형이다. 병환 병원균은 봄과 가을에 자낭반을 형성하고, 여기에서 자낭포자가 비산하여 전파된다. 4월 하순 ~ 5월 중순에 병이 많이 발생되지만, 겨울철 저장고에서 발생되면 대부분 표면에 흰 솜털 같은 균사가 발생되고 외부에는 검은 균핵이 형성된다. 방제법 병든 식물체는 그 주변의 흙과 함께 일찍 뽑아내어 땅속 깊이 파묻거나 태우도록 한다. 병이 발생되면 균핵이 최소한 3년 동안 토..

호두나무 갈색썩음병 [내부링크]

호두나무 갈색썩음병 피해수종 호두나무 병원균 Xanthomonas arboricola pv. juglandis 피해 호두나무의 세균성 감염병해로 잎과 열매에 갈색의 반점이 생기며, 가지는 검은색의 궤양이 발생한다. 초기에는 잎과 열매 등에 갈색 반점이 생기고, 가지와 줄기에는 궤양이 생기며 썩어가는 동시에 오그라드는 증상이 나타난다. 병환 병균은 눈과 가지 및 잔가지의 궤양 부위에서 월동한다. 잎과 신초의 기공, 피목, 상처를 통하여 침입하며, 때로는 꽃에 감염하여 개화기 끝날 무렵에 열매로 침입하기도 한다. 감염이 계속 되면 가지와 잔가지가 고사하고, 굵은 가지에도 감염되기도 한다. 방제법 코퍼하이드록사이드 수화제, 옥시코퍼 수화제를 살포한다. 출처 : 산림병해충자료

개나리 탄저병 [내부링크]

개나리 탄저병 피해수종 개나리 병원균 Colletotrichum sp. 피해 잎에 갈색 원형 내지는 부정형 병반을 형성하고, 진전되면 병반이 크게 확대되면서 잎이 일찍 떨어진다. 갈색 병반에는 작고 검은 점(분생포자충)이 나타나고, 다습하면 유백색 분생포자덩이가 솟아오른다. 병환 비가 자주 오는 봄~여름에 주로 수관 안쪽의 잎에 발생하며, 병원균의 기주 범위가 매우 넓다. 방제법 피해 초기에 적용약제를 2~3회 살포한다. 출처 : 산림병해충자료

저작권 없는 사진/동영상/음악 다운받기 - pixabay [내부링크]

저작권 없는 사진/동영상/음악 다운받기 -pixabay 블로그나 유튜브 콘텐츠 제작 시 콘텐츠를 더욱 풍부하게 만들기 위해 필요한 것이 바로 사진, 동영상, 음악입니다. 특히, 매력적인 썸네일이나 동영상 배경음악을 찾는 일은 제작 과정에서 빼놓을 수 없는 중요한 부분이죠. 하지만 이러한 자료들을 찾는 일은 생각보다 쉽지 않습니다. 저작권 문제를 피하며, 동시에 고품질의 자료를 찾기란 여간 까다로운 일이 아닙니다. 제가 블로그나 유튜브를 작성할 때, 매번 다양한 웹사이트를 뒤져야 했었습니다. 때로는 마음에 드는 자료를 찾았다 하더라도, 유료 구독을 해야만 사용할 수 있는 경우가 많았죠. 하지만 pixabay 사이트를 만나고 그런 수고로움이 싹 사라졌습니다. 사용방법도 아주 간단합니다. 로그인도 필요없습니다..

효율적인 모바일 미러링 프로그램 - scrcpy [내부링크]

효율적인 모바일 미러링 프로그램 - scrcpy 앱 개발은 상당히 정교한 작업이며, 개발 과정에서 실시간으로 앱의 작동을 확인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일반적으로 개발자들은 개발한 기능을 실제로 테스트하기 위해 스마트폰을 들고 확인하는 방식을 사용합니다. 이 방법은 실제 기기에서의 작동 상황을 직접 볼 수 있다는 장점이 있지만, 연결이 끊어지는 등의 불편함도 있습니다. 제가 생각하는 scrcpy의 장점은 다음과 같습니다 경량화 및 사용 편의성 매우 가볍고 사용하기 편리합니다. 별도의 복잡한 설치 과정 없이 실행 가능합니다. 간단한 연결 과정 사용을 위해 필요한 것은 스마트폰의 개발자 옵션이 활성화되어 있고, PC와 스마트폰이 연결된 상태면 됩니다. 그리고 프로그램을 실행하고 스마트폰에서 디버깅을 허용하기만 ..

오큘러스 퀘스트2 초기화 방법 [내부링크]

오큘러스 퀘스트2 초기화 방법 오큘러스 퀘스트2 를 더 이상 사용하지 않아 초기화했습니다 초기화 방법은 2가지 인데 하나는 기기가 전원이 켜진 상태에서 전원 버튼을 길게 눌러서 초기화하는 방법이 있고 제가 사용한 방법은 앱을 이용하여 초기화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meta quest 앱을 실행하고 아래처럼 상단에 연결 기기를 선택합니다. 아래쪽 메뉴의 헤드셋 설정 으로 진입합니다. 고급설정으로 들어갑니다. 가장 아래의 초기화 를 선택합니다. 아래처럼 확인 창이 뜨면 재설정 을 선택합니다. 재설정을 하게 되면 기기에서 소리가 나면서 초기화가 진행됩니다 초기화는 금방 끝납니다. 그동안 잘 가지고 놀았는데 VR 은 뭐랄까 처음에만 신기해서 쓰고 어지럽고 덥고 그래서 오래 사용하기 힘듭니다. 좀 더 가벼운게 나왔..

Unity Visual Scripting 기초 - 2D 캐릭터 좌우로 이동하기 [내부링크]

Unity Visual Scripting 기초 - 2D 캐릭터 좌우로 이동하기 2D 게임화면에서 캐릭터를 좌우로 이동하게 하는 Visual Scripting을 작성하는 방법입니다. Speed 변수 추가 먼저 움직일 캐릭터에 Add Component 하여 Visual Scripting > Script Machine 을 선택하여 추가합니다. Variables에 speed (float) 4 로 변수를 추가해 줍니다. 이 변수는 움직였을 때 얼만 큼의 속도로 움직일지 결정하게 됩니다. Script Machine Component추가 Script Machine의 Graph 에서 New 버튼을 클릭하여 원하는 위치에 원하는 이름으로 지정해 Visual Scripting 파일을 하나 만듭니다. Visual Scrip..

Unity Visual Scripting 이란? [내부링크]

Unity Visual Scripting 이란? 유니티 강의를 기초부터 듣고 있는데 이번에는 Visual Scripting 강의를 듣고 있습니다. 예전에 유료 Asset 중에 bolt라고 해서 노드 간의 연결을 이용해 코딩 대신해 사용할 수 있었습니다. 저 또한 그 Asset을 사용할 생각으로 구매를 하였는데 ㅜㅠ bolt를 unity 가 인수 하면서 무료가 돼버렸습니다. 그리고 Visual Scripting 이라는 이름으로 내장되게 되었습니다 https://blog.unity.com/kr/news/bolt-visual-scripting-is-now-included-in-all-unity-plans Bolt 비주얼 스크립팅 에셋 무료화 안내 | Unity Blog 네, 그렇습니다. 어떤 플랜을 구독하든 ..

QGIS SAGA 플러그인 안보일 때 해결 방법 [내부링크]

QGIS SAGA 플러그인 안보일 때 해결 방법 현재 QGIS 최신버전(3.34)을 설치하게되면 플러그인 목록에서 SAGA 플러그인이 검색되지 않습니다. 검색을 해보니 더이상 유지관리되고 있지 않는다고 해서 QGIS 팀에서 SAGA 플러그인을 제외할 생각이 있다고 했다는데 정말 그렇게 되었나봅니다. 원래는 SAGA 플러그인이 QGIS 에 기본 설치되 있던 플러그인이었는데 언제 부턴가 기본에 포함이 안되어있고 늘 플러그인을 설치를 해야하더니.. 결국은... 하지만 SAGA 홈페이지를 가보면 아직도 꾸준이 업데이트 하고 있는것 같은데 정확한 이유는 모르겠습니다. * 3.34는 LTR 버전이 아니어서 그런건지도 모르겠네요. SAGA 가 공간처리툴박스에 안보일 때 처리 방법을 아래 2가지 방법이 있습니다. 1...

QGIS 음영기복도에서 레이어 렌더링/리샘플링 사용하는 방법 [내부링크]

QGIS 음영기복도에서 레이어 렌더링, 리샘플링 사용하는 방법 리샘플링 음영기복도를 표시하게 되면 아래처럼 표시가 됩니다. 만약 보간값을 크게 한 경우 조금 거칠게 나오게 되는데요. 이를 리샘플링을 이용하면 부드럽게 표시가 가능합니다. 음영기복도 Layer 에서 우클릭메뉴 속성의 심볼에서 아래쪽에 리샘플링에서 확대, 축소 부분을 Bilinear 로 바꿔줍니다. 확인 버튼을 클릭합니다. 아래처럼 음영기복도가 부드러워 진걸 확인할 수 있습니다. 레이어 렌더링 레이어 렌더링을 이용하면 Layer 뒤에 있는 Layer 와 관계를 정의해 뒤쪽 Layer 와 혼합되게 보일 수 있습니다. 이렇게 하면 문서작성에 필요한 이미지를 만들 때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먼저 음영기복도 하나를 만들고 복제하여 총 2개를 ..

AutoCAD 특정 영역 PDF 파일로 내보내기 [내부링크]

AutoCAD 특정 영역 PDF 파일로 내보내기 CAD 도면 안에 여러 도면이 포함된 경우가 많은데요 이때 특정 도면만 필요한 경우 그 도면만을 영역을 지정해서 PDF 파일로 내보내는 방법입니다. CAD 상단 메뉴 중 출력 탭을 선택합니다. 위 그림처럼 내보내기 : 윈도우 를 선택합니다. CAD 화면에 영역을 지정할 수 있도록 준비간 된 상태가 되고 아래처럼 시작 끝점을 클릭하여 지정하고 아래처럼 마지막 끝점을 클릭하여 지정합니다. 그러면 시작 끝점과 마지막 끝점을 기준으로 사각형영역이 만들어지면서 아래와 같은 창이 뜹니다. 미리 보기표시를 하면 미리보기 창이 열리고 영역 내보내기를 하면 아래 그림과 같이 파일 이름을 지정하고 저장할 수 있는 창이 뜹니다. 아래는 내보내기 된 pdf 파일의 내용입니다. ..

QGIS 전체 버전 다운로드 [내부링크]

QGIS 전체 버전 다운로드 QGIS 를 사용하다 보면 버전에 따라 동작되지 않는 것들이 있습니다. 그래서 왠만하면 버전을 그대로 두고 업데이트를 잘 안 하게 되는데요 새 컴퓨터를 산 경우 새로 설치를 할때 QGIS 과거 버전을 다운로드받으려고 하면 찾기가 힘든 경우가 있습니다. 아래 링크를 들어가면 운영체제 별 전체 버전이 있습니다. 완전 과거 버전은 없지만 이전 버전을 다운 받기 원하는 경우 아래 링크에서 확인해 보세요 https://www.qgis.org/ko/site/forusers/alldownloads.html QGIS 설치관리자 Default Debian and Ubuntu software repositories often hold older versions of QGIS. To have n..

QGIS 에서 CAD 확장자 dxf 파일로 내보내는 방법 [내부링크]

QGIS 에서 CAD 확장자 dxf 파일로 내보내는 방법 CAD 파일과 QGIS 의 좌표 정보를 맞추려면 QGIS 에서 먼저 좌표정보가 있는 내용을 가지고 dxf 파일로 저장한 후에 CAD 에서 해당 파일을 읽어 좌표정보를 사용해서 처리해햐할 때가 있습니다. 이때 QGIS 에서 dxf 로 내보내는 방법을 알아봅니다. 좌표정보 확인 및 객체선택 먼저 QGIS 상에서 지적도에 좌표정보가 있어야 합니다. 아래처럼 지적도 Layer 에서 좌표 정보가 정의되어 있는지 확인합니다. 아래처럼 비활성화된 목록이 메뉴에 있다면 지정이 된 것입니다. 만약 없다면 좌표계를 지정해야 합니다. 좌표계가 정의가 되었다면 해당 지적도를 내보내기 하면 됩니다. 하지만 전체를 내보내기 하면 시간이 걸릴 수 있으므로 아래 포스팅을 통해..

[APP 추천] 듀오링고 - 영어공부하기 [내부링크]

듀오링고 - 영어공부하기 영어공부하기 좋은 듀오링고 아플 소개합니다 https://ko.duolingo.com/ 무료로 외국어를 배우세요. 게임을 통해 영어를 비롯한 다양한 언어를 배워보세요. 100% 무료로 제공되는, 게임처럼 재미있고 과학적으로 효과가 검증된 언어 학습 앱입니다. ko.duolingo.com 영어 공부를 늘 해야지 하면서도 계속하질 못하고 있었는데 듀오링고라는 앱을 지인이 소개해줘서 하게 되었는데요 핸드폰으로 할 수 있어 아무대서나 할 수 있어서 가끔 하고 있는데요 처음에는 하면서도 공부가 될까 했는데 계속하다 보니 영어공부가 자연스럽게 되고 있는 것 같습니다. 위 듀오링고 사이트로 가보면 알 수 있지만 웹에서도 학습이 가능합니다. 처음 시작할 때는 간단하게 현재 자신의 영어 레벨을 ..

Stable Diffusion 최신 버전으로 업데이트 하는 방법 [내부링크]

Stable Diffusion 최신 버전으로 업데이트 하는 방법 이전 포스팅에서 Stable Diffusion 을 Windows 에서 실행하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2024.01.23 - [IT/AI] - Stable Diffusion Web UI 를 Windows 에 설치하는 방법 Stable Diffusion 을 최신버전으로 업데이트 하여 사용하는 방법을 알아보려고합니다. webui-user.bat 파일에 git pull 명령어를 추가하면되는데요 이전 포스팅에서 다행히도 webui-user.bat 파일에 git pull 명령어가 이미 들어가있어 실행 시 늘 최신 버전을 가져와 구동시킬 수 있었습니다. git pull @echo off set PYTHON= set GIT= set VENV_DI..

[IT기기리뷰] Crucial P5 Plus 2TB NVME M2 SSD [내부링크]

Crucial P5 Plus 2TB NVME M2 SSD 메인 컴퓨터 저장공간 확장을 위해 구입했습니다. Crucial 제품은 많이 써봤고 인지도 있는 회사라 믿고 구매했습니다. 방열 스티커도 부착이 돼있는 상태입니다. 그 옆에 공간은 뭔지 모르겠네요; 2000GB... 예전에 128GB 도 엄청 비쌌던 시절이 있었는데 정말 기술의 발전 속도가 빠른 것 같습니다. 아래는 메인보드에 장착한 모습니다. 메인보드가 그래픽카드를 빼야 SSD 장착이 가능해서 구매하고 일주일 있다가 장착을 한 것 같습니다.^^; 메인 보드에 장착 후 속도 체크를 해봤습니다. Crucial P5 Plus 2TB NVME M2 SSD 역시 읽기/쓰기 속도가 정말 빠르네요. 이제 SSD 살 일은 없을듯 하네요 아래 구매 링크에서 구매하..

동백나무 겹둥근무늬병(윤문병) [내부링크]

동백나무 겹둥근무늬병(윤문병) 피해수종 동백나무 병원균 Pestalotia guepini Desmazieres 피해 오래된 잎과 열매에 발생이 심하며 잎과 열매가 일찍 떨어진다. 열매에서는 갈색에서 흑갈색의 겹둥근무늬가 나타나며, 잎에서는 갈색에서 암갈색을 띤 원형의 반점이 형성되고, 건전부와의 경계는 띠를 가진다. 병반은 점차 회갈색에서 회색으로 변색되는데 가장자리의 2~3 정도만 변색하는 경우도 있고 병반 전체가 변색하는 경우도 있다. 병환 자세한 생태는 밝혀지지 않았다. 방제법 병든 잎과 열매는 잘라내어 태우고, 잎과 열매에 상처가 나지 않도록 주의한다. 피해가 심한 지역은 6~9월 사이 약제를 살포하도록 하며, 강풍이나 태풍이 지나간 뒤에는 약제방제를 철저히 하도록 한다. 출처 : 산림병해충자료

소나무류 그을음병 [내부링크]

소나무류 그을음병 피해수종 소나무류 병원균 Limacinaia sp., Meliola sp. 피해 자낭균에 의한 병으로 잎, 가지, 줄기 등에 검은 그을음이 번진듯한 외관을 보여 그을음 병이라고 한다. 그을음병의 초기에 그을음을 제거하면 식물의 녹색 표피가 그대로 나타나지만 그을음을 오래 방치하면 탄소동화작용의 저해로 연한 녹색을 띠게 되고, 피해가 더 진전되면 회갈색으로 변하여 조기 낙엽된다. 병환 그을음병원균은 외부 기생균으로서 균사가 조직 속에 침투, 수액을 흡수하는 일은 없으며, 깍지 벌레나 진딧물 등의 흡즙성 곤충의 분비물에서 기생한다. 따라서 그을음병균이 독립하여 기생 하지는 않으며 깍지벌레나 진딧물의 2차 피해로 발생된다. 방제법 적용약제를 살포하여 깍지벌레, 진딧물, 가루이 등을 방제한다...

향나무류 녹병 [내부링크]

향나무류 녹병 병원균 Gymnosporangium spp. 피해수종 향나무류 중간기주 배나무, 사과나무, 모과나무 등 장미과 식물 피해 2~3월경 잎과 어린 가지에 암갈색 균체(겨울포자퇴)가 한두 개 또는 여러 개가 집단으로 나타난다. 4월경 비가 많이 오면 겨울포자퇴는 부풀어서 오렌지색 젤리 모양을 띠게 된다. 비가 그치면 겨울포자퇴는 말라서 오그라든다. 잎과 가지에 발병하며 큰 피해를 주지는 않지만 종종 굵은 가지가 말라 죽기도 한다. 병환 향나무 잎에 형성된 겨울포자퇴에 있는 겨울포자는 4월경 비가 올 때 발아하여 담자포자를 형성한다. 담자포자는 장미과 수목으로 옮겨간 후 녹병정자에 의한 중복감염이 이루어진다. 6~7월에 장미과 식물에서 만들어진 녹포자가 다시 향나무의 잎과 줄기 속으로 침입해 균사..

소나무 잎마름병(써코스포라엽고병) [내부링크]

소나무 잎마름병(써코스포라엽고병) 병원균 Pseudocercospora pini-densifl orae (Cercospora pini-densiflorae) 피해수종 소나무 피해 주로 묘목이나 조경수에 피해가 많이 나타나고 있다. 감염 초기 잎에 띠 모양의 황색 반점이 생기고, 황색 띠같은 반점과 건전한 녹색 부위가 교대로 생기는 특징이 있으며, 병이 진전됨에 따라 갈색으로 변한다. 때로는 잎 기부는 건전하고 상층부만 갈색으로 변하기도 한다. 잎이 갈색으로 변한 후 회갈색으로 변하면서 그 부분에 여러 개의 작은 균체가 형성된다. 병든 나무는 바로 고사하지는 않으나 피해가 심한 경우 수세가 쇠약해져 다른 병원균이나 해충의 피해에 쉽게 노출된다. 병환 낙엽진 병든 잎에는 병원균이 미숙한 자좌 상태로 월동하고..

소나무류 피목가지마름병 [내부링크]

소나무류 피목가지마름병 병원균 Cenangium ferruginosum 피해수종 소나무, 곰솔, 잣나무 등 피해 4~5월쯤부터 수관 선단부의 가지가 말라 죽으면서 병든 부위의 피목에는 농갈색을 띤 균체 (자낭반)가 약간 돌출하고 다습하면 부풀어 올라서 표면이 농갈색인 접시 모양으로 퍼진다. 건강한 나무에도 존재하지만 건강한 상태에서는 발생하지 않고 수세가 쇠약해지면 병징이 발생한다. 가을철 이상건조와 겨울철의 이상고온 등 환경적 요인에 의해 나무의 수세가 약해지면 집단적으로 대발생하기도 한다 병환 병든 가지에 형성된 자낭반은 7~8월쯤 비가 올 때 자낭포자를 방출한다. 이들 자낭포자는 바람에 의해 전파되어 주로 1~2년생 가지의 피목과 상처를 통해 침입한 후, 균사 상태로 겨울을 나고 봄에 자낭반을 형성..

캡컷(CapCut) 프로그램에서 화면 캡쳐(Capture)하기 [내부링크]

캡컷 프로그램에서 화면 캡쳐하기 (CapCut Capture) 캡컷(CapCut) 프로그램을 요즘 영상 편집용으로 자주 사용하고 있습니다. 사용하기 편하고 다루기 편해서 사용하고 있는데요 그런데 영상 장면을 썸네일을 만들기 위해 캡쳐하고 싶은데 버튼이 어딜 봐도 없더군요 콤믹스나 원더쉐어 필모라는 따로 캡쳐버튼이 있는데 말이죠 그래서 확인해 보니 아래 처럼 단축키를 설정해야 가능했습니다. 캡컷 프로그램에서 화면 캡쳐하는 방법은 아래와 같습니다. 먼저 상단에 숏컷 메뉴를 선택합니다. 선택하면 아래 처럼 설정창이 펼쳐집니다. 아래처럼 기본을 선택하면 스틸 프레임 내보내기에 단축키가 비어있습니다. 단축키를 지정하여 동작하도록 하면됩니다. 원하는 키 조합을 눌러주면 지정됩니다. 만약 이미 키 조합을 사용하고 있..

[IT기기리뷰] ATTACK SHARK X2 PRO 마우스 [내부링크]

ATTACK SHARK X2 PRO 마우스 필요한 제품이 있을 때 Q10 에서 가끔 가성비 있는 제품이 뜨면 주문을 하고 있습니다. 이번에 세컨드 마우스가 필요한 김에 봤는데 가성비 좋게 마우스가 특가로 나와 구매했습니다. 마우스 만든 회사는 처음 들어본 회사이긴 한데 블로그 검색해 보니 쓸만한 거 같았습니다. 일단 사용해본 결과 저에게는 잘 맞았습니다 무게감 있는걸 좋아하는데 무게감도 있고 손이 커서 마우스가 커야 하는데 마우스 큰 편이라 손에 맞았습니다. 무거우니 게이밍 용도는 아니라고 보면되겠죠.. 박스 상태는 막 던진 건지 상태가 좋지는 않습니다; 전체 구성품은 아래 사진에서 보듯이 마우스, 충전독, 충전 케이블입니다. 투명하게 안이 보이는 게 생각보다 디자인이 괜찮은 듯합니다 뒷면에 아래처럼 리..

티스토리 코딩블럭 복사하기 버튼 만들기 [내부링크]

티스토리 코딩클럭 복사하기 버튼 만들기 티스토리 글에 우클릭제한을 걸어 놓은 경우 코드 같은 부분은 블로그 방문자가 바로 사용하고 싶은데 우클릭제한 때문에 코드를 가져다 쓰기 힘들 때가 있습니다. 저 또한 그런 경우가 많아서 일일히 치는 경우가 있었는데요 간혹 어떤 블로그는 우클릭 제한을 걸려 있지만 코딩 블록에 복사하기 버튼이 있어 손쉽게 코드를 가져다 쓸 수 있었습니다. 이 복사하기 버튼을 어떻게 하면 달수 있는지 알아봤고 그 방법을 소개합니다. 티스토리 기본 스킨이 아닌 경우 아래 내용은 스킨에 따라 적용이 안될 수도 있습니다. 1. js 파일 업로드 아래 js 파일을 업로드 해야합니다. 아래 파일을 다운로드하고 압축을 풀면 clipboard.min.js 파일이 있습니다. 티스토리 관리자 > 스킨편..

수근굴(수근관) 증후군 [내부링크]

수근굴(수근관) 증후군 개요 손목은 우리 신체 구조 중에서 가장 운동 범위가 넓은 부위 중의 하나이며, 손의 움직임에 관여하는 근육의 힘줄(건), 손의 감각을 담당하는 감각 신경과 운동에 관여하는 운동 신경, 손의 혈액 공급에 필요한 혈관 등이 팔에서 손목을 통해 손으로 이어지게 됩니다. 손등 쪽으로도 근육의 힘줄(건), 감각 신경, 운동 신경 및 혈관이 손목을 통과하여 지나가고 손바닥 쪽으로도 근육과 근육의 힘줄, 감각 신경, 운동 신경 및 혈관이 지나갑니다. 손등 쪽에서는 상기 구조물들이 넓게 퍼져서 손목 부위를 지나가는 반면, 손바닥 쪽에서는 상기 구조물들이 손목 부위에서 손바닥의 중심 부위에 뭉쳐서 지나가는데, 이 부분이 가장 좁아 구조물들이 손목에서 밀집되게 됩니다. 손바닥 쪽에서 이 구조물들이..

오피스 365 제품키 사용 및 갱신하기 [내부링크]

오피스 365 제품키 사용 및 갱신하기 오피스 365 를 계속 사용 중입니다. 라이센스를 신경 쓰기 싫고 1TB 공간을 주기 때문에 사진 백업 용으로 사용하고 있어서 계속 사용 중인데요 이번에 제품 기한이 다 되어서 제품키로 갱신을 했습니다. 제품키 사는 방법은 아래 포스팅을 참고해서 저렴히 구매했습니다. 2024.01.09 - [IT] - Microsoft Office365 저렴하게 사용하기 제품키를 사용하여 갱신하는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처음 사용하는 분도 과정이 동일합니다. 방법이 알고 나면 간단한데 메뉴가 딱 보이는 건 아닙니다.^^; 오피스 365 갱신하시는 분들은 참고하면 좋을 듯합니다. 아래 사이트로 이동합니다. https://www.microsoft.com/ko-kr/ Microsoft ..

ChatGPT 사용 제한 메세지 - You've reached the current usage cap for GPT-4. You can continue with the default model now, or try again after 11:53 PM. Learn more [내부링크]

ChatGPT 사용 제한 메세지 GPT 를 쓰는 중에 아래와 같은 에러가 발생했습니다. You've reached the current usage cap for GPT-4. You can continue with the default model now, You can continue with the default model now, or try again after 11:53 PM. Learn more 제한이 있다고? 무슨 소리지?? 확인해 보니 GPT4.0 은 제한이 있었습니다. 그래도 그렇지 2시간 30분 뒤에 사용하라니..;; 그렇게 질문을 많이 안 한 거 같은데 제한이 걸려서 왜 그런가 했더니 GPTs 를 만들면서 질문을 하긴 했는데 그것도 카운팅이 되는 것 같습니다. 그런데 30개도 안되는 거 ..

티스토리 리다이렉트 시키는 방법 [내부링크]

티스토리 리다이렉트 시키는 방법 티스토리 글을 쓰다 보면 글이 내용이 오래되어 현재내용과 맞지 않아 글을 새로 쓴 경우 그리고 글을 삭제를 하게되면 사용자가 검색으로 들어왔다가 404 페이지 없음을 경험하게 됩니다. 404 에러는 사용자에게 좋지 못한 경험으로 페이지 이탈률을 높입니다. 하지만 리다이렉트를 쓰게 되면 과거 글이나 삭제할 글을 들어온 경우 최신글이나 다른 글로 이동시킬 수 있어 이탈방지에 도움이 됩니다. 간단하게 말하면 ...tistory.com/123 링크를 들어온 경우 ...tistory.com/456 링크로 바로 이동되는 것입니다. 이는 아래의 java script 를 이용하면 됩니다. 적용하는 방법 티스토리 관리자 화면에서 꾸미기 > 스킨편집을 선택합니다. html 편집 버튼을 선택..

윈도우 종료 시 't' 라는 앱 때문에 종료할 수 없습니다. 뜰 때 해결 방법 [내부링크]

윈도우 종료 시 't' 라는 앱 때문에 종료할 수 없습니다. 뜰 때 해결 방법 언제부턴가 윈도 종료 시 t라는 앱이 아직 종료가 되지 않았습니다 라는 메시지가 뜨기 시작했습니다. 그래서 바로 종료가 안되고 좀 시간이 지나 컴퓨터가 꺼졌습니다. 늘 컴퓨터 종료할 때 이 메세지를 보기때문에 다음날 확인해봐야지 하고서는 까먹고 컴퓨터 사용하다가 윈도우 종료할 때 까먹은 걸 알아차리고..;; 다음날 또 확인해 봐야지... 이렇게 반복하다보니 5일정도가 지난 것 같네요;; 열심히 구글링해보니 t라는 앱은 Logi options+ 프로그램이었습니다. 로지텍 마우스를 써서 프로그램을 설치했던건데 왜 종료시 저런 메세지가 뜨는건지 모르겠네요;; 프로그램 없이도 마우스 연결에는 문제 없어서 해당 프로그램을 바로 제거하였..

Stable Diffusion Web UI 를 Windows 에 설치하는 방법 [내부링크]

Stable Diffusion Web UI 를 Windows 에 설치하는 방법 Stable diffusion 을 사용하면 내컴퓨터에서 AI 이미지를 만들 수 있습니다. 로컬에서 만들면 컴퓨터에 장착된 그래픽카드를 사용하게 되므로 그래픽 카드 사양이 좋을수록 이미지 생성 시간이 줄어들고 더 고화질의 이미지를 만들 수 있습니다. Stable Diffusion Web UI 를 Windows 에 설치하는 방법입니다. 1. Git for Windows 다운로드 하고 설치합니다. https://git-scm.com/download/win Git - Downloading Package Download for Windows Click here to download the latest (2.40.0) 32-bit ver..

외장 하드 드라이브 연결 끊김이 반복하는 문제 해결 방법 [내부링크]

외장 하드 드라이브 연결 끊김이 반복되는 문제 해결 방법 외장 하드를 연결해서 쓰는데 파일옮기는 중에 자꾸 끊어지면서 파일 이동이 중단되었습니다 ㅜㅠ 해결 방법은 3가지가 있습니다. 1. 다른 USB 포트에 연결 컴퓨터나 노트북에 다른 USB 포트가 있는 경우 그곳에 연결해 봅니다. 만약 다른 USB 포트로 연결했을때 정상적으로 인식이 되는 경우 해당 기존 연결했던 USB 포트가 이상이 있거나 전력문제로 인해 USB 포트 인식이 불가능한 것일 수 있습니다. 또한, Windows10 인 경우 USB 2.0 으로 연결한 경우 반복적인 연결 끊김 문제를 해결할 수도 있습니다. USB 3.0 에 연결했을 때 문제가 생겼다면 USB 2.0 포트로 연결해 보세요. 2. USB 선택적 일시 중단 끄기 1에서도 언급했..

AI 이미지 만들기 - Bing Image Creator [내부링크]

AI 이미지 만들기 - Bing Image Creator AI 이미지를 요즘 많이 사용하고 있습니다. ChrtGPT 에서도 DALL-E 를 이용하여 이미지를 간단하게 만들어낼수도 있는데요 MS 에서도 AI 이미지를 만들수 있는 방법이 있어서 소개합니다. 먼저 아래 사이트로 이동합니다. https://www.bing.com/create Bing Bing은 지능적인 검색 기능은 사용자가 원하는 정보를 빠르게 검색하고 보상을 제공합니다. www.bing.com 가입 만들기 버튼을 클릭 후 로그인 합니다. 아래와 같은 화면이 나오는데 여기서 상단에 만들고 싶은 이미지 스크립트를 넣고 만들기 버튼을 누르거나 엔터를 치면 이미지를 만들기 시작합니다. 아래는 만들어진 결과물입니다. 기본적으로 4가지의 이미지가 생성됩..

Unity TextMeshPro(TMP) 를 Script에서 사용하는 방법 [내부링크]

TextMeshPro(TMP) 를 Script에서 사용하는 방법 게임을 만들면서 마지막에 성공/실패 Text 를 표시하려고 했습니다. 먼저 TextMeshPro 를 에디터에서 추가한 후 게임 종료에 대한 Text 를 표시하려고 했는데 일반적인 Text 로 정의해서는 안되더군요 아래 처리 방법을 적어봅니다. UI 에서 TextMeshPro 요소를 추가한 후에 C# Script 에서 사용하려면 아래처럼 일반 Text 로 선언 후 에디터에서 끌어와서 사용할 수 없습니다. UI에 TextMeshPro를 추가한 후 Script에서 사용하려면 아래처럼 일반 Text로는 끌어와지지 않습니다. public class Script : MonoBehaviour { public Text GameOverText; void U..

[IT기기리뷰] ABKO 태블릿 거치대 ASH03 [내부링크]

앱코 태블릿 거치대 ASH03 갤럭시 패드 거치대를 찾고 있었는데 가격이 타사 제품에 비해 저렴하고 평이 좋아서 구매했습니다. 박스 무게가 생각보다 무겁습니다. 부품이 뭔가 많아 보이지만 비닐을 벗겨내니 다 이어져 있고 3가지 부품만 있습니다. 조립도 설명서 없이 조립이 가능할 만큼 간단합니다. 패드를 거치하고 육각 나사를 조이면 아주 단단히 고정이 됩니다. 가장 아래에 있는 지지판이 무게감이 있어서 그런지 갤럭시 탭 S8 도 거뜬히 지지합니다. 모니터 옆에 두었는데 서브 모니터 용으로 사용해도 좋을듯합니다. 세로 가로로 모두 움직일수 있고 높이도 조절 가능합니다. 양옆을 잡아주는 게 좀 단단해서 거치 시 조금 힘이 들긴 합니다. 가격이 9900원인데 이 정도 퀄리티가 나오다니 가성비 정말 좋은 것 같습..

윈도우 초기화 시 '변경된 내용이 없습니다' 오류 해결 방법 [내부링크]

윈도우 초기화 시 '변경된 내용이 없습니다' 오류 해결 방법 안쓰는 본체를 팔려고 윈도우를 포맷하지 않고 초기화를 진행하였습니다. 그런데 초기화 진행시 계속 '변경된 내용이 없습니다' 오류만 발생되고 초기화가 진행되지 않더군요 아래 방법을 통해서 초기화에 성공하였고 방법을 소개합니다. 윈도우 초기화 시 '변경된 내용이 없습니다' 뜨면서 초기화 안될 때 처리하는 방법입니다. 1. 로그인 후 시작 메뉴를 클릭하거나 키보드에서 Windows 로고키를 누릅니다. 2. 화면에 나타나는 시작 메뉴에서 전원모양 버튼을 선택합니다. (시스템 종료 버튼) 3. Shift 키를 누른채로 '다시 시작'을 선택합니다. 4. 아래처럼 옵션 선택 화면이 나타납니다. 여기에서 문제 해결을 선택합니다. 5. 고급 옵션을 선택합니다...

RPRTSetup, IPRTSetup, FPRTSetup, DPRTSetup 정체는? [내부링크]

RPRTSetup, IPRTSetup, FPRTSetup, DPRTSetup 정체는? 이전 포스팅으로 FPRTSetup 에 대한 내용을 포스팅을 했었습니다. 2024.01.20 - [IT] - FPRTSetup 은 뭘까? 그런데 제어판 > 프로그램 및 기능 에서 확인해 보니 비슷한 항목으로 아래처럼 있는 걸 발견했습니다. 게시자도 없고 이름도 비슷합니다. 인터넷 검색으로 확인해 보니 모두 인터넷등기소 방문 시 설치되는 보안 프로그램이라고 합니다. 그런데 왜 게시자에 아무런 표시가 안 돼 있는 건지 모르겠습니다. 보안 프로그램인데 바이러스 프로그램처럼 만든 이유를 모르겠네요; 우선 삭제를 안 해도 보안 프로그램이니 무방합니다. 삭제를 해도 필요시 다시 설치를 요구할 테니 삭제해도 무방합니다. 저는 이런 걸..

[로또랩스] 로또당첨번호 조회 및 1104회 로또예상번호 [내부링크]

[로또랩스] 로또당첨번호 조회 및 1104회 로또예상번호 이번주 로또 당첨번호 및 로또 예상번호입니다. 예상번호는 로또랩스만의 로직을 통해 생성됩니다. 1103 회 로또 당첨번호 이번주 로또 당첨 번호는 10,12,29,31,40,44 + 2 입니다. 1104회 예상번호입니다. 로또랩스 앱에서 제공되는 로또 예상번호는 9,18,19,23,32,35 입니다. 로또랩스 GPT 에서 제공되는 로또 예상번호는 4,12,19,26,32,45 입니다 앱을 다운 받으시면 자신이 원하는 조합의 숫자로 예상번호를 추출할 수 있습니다. 안드로이드 (Android) https://play.google.com/store/apps/details?id=kr.kjun.lottolabs 로또랩스 - 번호분석 및 번호생성 - Goog..

FPRTSetup 은 뭘까? [내부링크]

FPRTSetup 은 뭘까? 가끔 프로그램 목록을 보고 제거를 하고 있는데요 FPRTSetup 이 보였습니다. 게시자 이름도 없고;; 뭔지 알아봤습니다. 우선 바이러스는 아닙니다. 정부사이트 접속시에 아마도 깔린걸로 보이는데요 Markany 회사의 프로그램으로 문서 위변조 방지 프로그램입니다. 회사 홈페이지를 보면 아시겠지만 보안관련된 회사입니다. 그러니 안심해도 됩니다. 항상 정부사이트 갔다오면 구라제거기로 지운다고 지우는데 못 지우는 것도 있는것 같네요 필요없다면 제거해도 무방합니다. 순식간에 제거됩니다.^^

블로그에 구글번역기 달기 [내부링크]

블로그에 구글번역기 달기 블로그에 구글 번역기 다는 방법을 알아보려고 합니다. 번역기는 크롬에서도 제공해 주는 기능이기도 합니다. 하지만 어떤 경우는 번역 버튼이 활성화되지 않아서 불편할 때가 있더군요 하지만 직접 블로그에 번역기를 달면 해외 사용자가 제 블로그 방문하여 내용을 볼 때 다른 기능을 이용하지 않고 번역기를 이용하여 손쉽게 번역된 내용을 볼수 있게 됩니다. 저도 사용해 보니 번역이 바로 되어 사용하기가 편했습니다. 1. 태그 입력기 플로그인 설치 티스토리 관리자의 플로그인 메뉴에서 태그 입력기 플러그인을 설치합니다. 2. 태그 입력기 사이드바 추가 및 편집 사이드바 메뉴로 가서 테크입력가를 사이드바에 추가합니다. 태그 입력기 편집으로 들어가 아래 코드를 추가합니다. 3. 적용확인 적용하고 다..

AMP 사이트에 게재되는 자동 광고 설정하기 [내부링크]

AMP 사이트에 게재되는 자동광고 설정하기 AMP(Accelerated Mobile Pages) 자동광고는 구글이 제공하는 AMP 페이지용 광고 솔루션입니다. 이 기술은 모바일 기기에서 웹페이지의 로딩 속도를 빠르게 하기 위해 개발되었으며, AMP 자동광고는 이러한 빠른 로딩 환경에서 효율적으로 광고를 표시하는 방법을 제공합니다. AMP 자동광고의 주요 특징 자동 최적화: AMP 자동광고는 페이지 콘텐츠와 사용자 경험을 분석하여 최적의 위치와 시기에 광고를 자동으로 표시합니다. 이는 수동으로 광고 위치를 설정할 필요가 없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페이지 속도 유지: AMP는 페이지 로딩 속도를 매우 중요하게 여기므로, AMP 자동광고는 페이지의 로딩 시간을 저하시키지 않도록 설계되었습니다. 사용 편의성: A..

[IT기기리뷰] Langtu LT104 (LT104 프로그램 포함) [내부링크]

Langtu LT104 노브가 있는 키보드가 계속 눈에 띄던 차에 가격 좋게 직구제품이 나와 구매했습니다 Langtu LT104 무선모델로 노브가 있으며 GIF 이미지도 표시해 주는 LCD 창이 있는 게 특징입니다. 포장은 깔끔합니다. 구성품은 키보드, 연결선, USB 리시버(사진에 없음), 키캡리무버입니다. 키 색감이 정말 제가 좋아하는 색감입니다. 마감도 중국제품답지 않게 깔끔합니다. 아래 그림처럼 숫자키패드 위에 LCD 창과 노브가 있습니다. LCD에 배터리 잔량이 표시되어 미리 충전을 할 수 있어 좋을 듯 합니다. (그런데 시간이 안 맞네요; 아마도 전용프로그램을 이용하거나 설정하는 방법이 있을껀데 전 필요하지 않아서 일단 두었습니다.) 이 LCD 창을 통해서 언어 설정과 볼륨 조정, 키보드 백라..

무료로 AI 이미지 만들기 - lasco.ai [내부링크]

무료로 AI 이미지 만들기 - lasco.ai 여러 AI 이미지 사이트를 사용하고 있는 중입니다. 그중에서도 lasco 사이트가 저에게는 많은 장점이 있어서 사용 중이라서 소개해 드리려고 합니다. 포스팅 마지막에 제가 느낀 장점을 알려드릴게요 아래 사이트로 이동합니다. https://www.lasco.ai/ Lasco.aiGenerate AI images with the magic word /gen!www.lasco.ai우측 상단의 로그인 버튼을 클릭해서 구글이나 디스코드 계정으로 로그인하거나 회원 가입합니다. 로그인이 완료되면 아래와 같은 화면이 나타납니다. 귀여운 고양이라고 넣고 Generate 버튼을 클릭해 봤습니다.결과는..고양이 말고 사람은 왜 있는 건지 모르겠지만^^; 상단에 제가 입력한 프롬..

사이트에 Google 기반 문맥 탐색 단위 추가하기 [내부링크]

사이트에 Google 기반 문맥 탐색 단위 추가하기 애드센스에 아래와 같은 알림이 떠 있어서 확인해 봤습니다. 관련 검색어를 설정하게 되면 사용자가 내 블로그를 방문 시 내 블로그 글과 관련 있는 광고가 뜨게 됩니다. 사용자가 제 글의 내용을 보고 왔는데 글의 내용과 관련된 광고가 뜬다면 광고 효과가 더 올라가게 되므로 광고주 입장에서도 좋고, 블로거에게도 좋은 일입니다. 구글에서 알려주는 이점은 아래와 같습니다. 관련 검색어를 사용하면 사이트 트래픽, 페이지 조회수, 광고 노출수 등을 높여 더 많은 사이트 참여를 유도하고 추가 수익을 창출할 수 있습니다. 자동 광고를 위한 검색어는 현재 영어 또는 독일어 페이지가 있는 사이트에만 사용할 수 있습니다. 다른 언어로 된 사이트에서 자동 광고를 위한 관련 검..

QGIS 특정 구역 경사도 및 기본 통계 구하는 방법 [내부링크]

QGIS 특정 구역 경사도 및 기본 통계 구하는 방법 특정 구역의 경사도를 구하고 기본 통계를 구하는 방법입니다. 먼저 이전에 포스팅 했던 경사도 표시 방법을 통헤 경사도가 구해져 있는 상태여야합니다. 아래 글을 참고해주세요 2024.01.05 - [QGIS] - [QGIS] 경사도 분석 메뉴에서 레스터 > 추출 > 레이어로 레스터 자르기 를 실행하고 앞서 포스팅에서 구한 경사도를 입력레이어로 선택하고 산지전용지 즉, 기본통계를 구할 구역이 있는 Layer 를 마스크 레이어로 선택합니다. 결과는 아래와 같이 나옵니다. 이 결과물을 폴리곤화 후 심볼 설정 및 라벨 표시를 하게 되면 아래 처럼 특정 영역의 경사도만 구할수 있습니다. 2024.01.02 - [QGIS] - [QGIS] 라인을 면으로 변환하기 ..

색인 생성 요청이 거부됨 이 뜨는 경우 처리 방법 [내부링크]

색인 생성 요청이 거부됨 이 뜨는 경우 처리 방법 수동으로 색인을 요청 중이었는데 아래와 같이 떴습니다. '색인 생성 요청이 거부됨' 실시간 테스트 중에 URL에서 색인 생성 문제가 감지되었습니다. 경고창 우측 하단의 실시간 테스트 보기를 클릭해 보았습니다. 아래와 같이 뜹니다. 특정 조건? 이 충족되어야 한다고 하는데요 클릭해 보니 아래와 같이 나옵니다. 해결방법은 검색해 보면 여러 가지 방법이 있지만 제가 직접 해본 것들만 알려드리겠습니다. 제가 발견한 해결 방법은 아래와 같습니다. 1. 색인 시스템의 문제 구글서치콘솔의 문제로 색인 시스템의 과부하 때문으로 예상되는데요 이때는 다시 색인을 요청하면 색인이 완료되는 경우가 많았습니다. 우선 저 경고창이 뜬다면 다시 2,3번 색인을 요청해 보는 게 좋습..

DAUM 에 블로그 검색등록 하는 방법 [내부링크]

DAUM 에 블로그 검색등록 하는 방법 DAUM 검색은 티스토리인 경우 자동으로 연결이 됩니다. 제 블로그도 DAUM 에서 유입이 현재 많이 되고 있는 걸 보면 검색등록은 자동으로 되는 것 같은데요 그래도 검색 등록이 필요하신 분은 아래의 과정을 통해 등록하시면 됩니다. DAUM 검색등록 사이트로 이동합니다. https://register.search.daum.net/index.daum Daum - 검색등록 Daum 검색등록 사이트 검색을 무료로 등록할 수 있는 서비스입니다. 언제든 정보보완 수정이 가능하며, 등록 후에는 Daum 검색결과에 노출되어 수많은 네티즌들이 방문하게 됩니다. 신규등록하기 register.search.daum.net 아래와 같은 창이 나오는데요 우선 등록 조회를 해봅니다. 등록이..

[IT기기리뷰] 로지텍 G304 마우스 [내부링크]

로지텍 G304 마우스 와이프 마우스가 오래되고 특가도 떴길래 구입했습니다 와이프는 손이 작아서 MX Master 마우스는 사용하기 힘들어해서 그보다 좀 작은 걸로 구입을 하게되었습니다. 행사로 파우치도 같이 왔습니다 이렇게 파우치에 쏙 들어가는데 마우스를 휴대하고 다닐 일이 없어서 파우치는 쓸 일이 없을 것 같네요^^; 색은 제가 좋아하는 블루로 샀는데 와이프가 싫어하네요 ㅋ 아래쪽에 위처럼 전원 버튼이 있습니다. 와이프 작은 손에도 잘 맞고 감도도 좋습니다. 전용 프로그램이나 마우스 위쪽 휠뒤쪽에 있는 버튼으로 DPI 조절이 가능합니다. 로지텍은 다른 건 모르겠는데 마우스 키보드는 정말 잘 만드는 것 같습니다. 사무용으로 쓸 괜찮은 마우스를 찾는다면 로지텍 G304 마우스 추천합니다. 사양정보 크기 ..

구글 애드센스 광고 심사 센터 이용하는 방법 [내부링크]

구글 애드센스 광고 심사 센터 이용하는 방법 구글 애드센스에는 광고심사센터 가 있습니다 광고 심사 센터에서는 자신이 원하는 광고는 허용하고 그렇지 않은 광고는 차단할 수 있는 기능이 있습니다. 이는 활성화시켜주지 않으면 구글 마음대로 동작하게 되는데 이상한 광고 차단을 원한다면 설정해 주는 게 좋습니다. 저 같은 경우는 이상한 만화 사이트나 성적이 광고등이 노출되어 차단을 했습니다. 광고차단 우선 애드센스 페이지로 접근하여 브랜드 안정성> 콘텐츠 > 광고 심사 센터로 이동합니다. 아마 처음 들어간 경우에는 사용을 클릭해줘야 합니다. 광고 심사 센터에 들어가면 미검토된 광고가 최대 노출수 기준으로 나타납니다. 각 광고를 클릭하면 광고 유형, 광고 크기, 도착 URL, 측정항목 등의 정보를 확인할 수 있습니..

애드센스 카카오뱅크 결제 수단 등록 방법 [내부링크]

애드센스 카카오뱅크 결제 수단 등록 방법 카카오뱅크 계좌를 애드센스 결제수단으로 등록해야 수익이 지급됩니다. SWIFT 코드가 3월에 변경되었는데 아래 내용은 변경된 내용입니다. 애드센스 화면에서 지급 > 지급정보 메뉴로 들어갑니다. 지급받을 방법에서 결제 수단 추가 를 클릭합니다. 새 은행 송금 세부 정보 추가 를 선택하고 저장합니다. 아래처럼 화면이 나타나고 여기에 정보를 기입합니다. 기입할 내용을 아래와 같습니다. - 예금주의 이름은 카카오뱅크앱의 내 정보에 등록된 영문 이름과 동일하게 입력합니다. - 은행 이름 : KAKAOBANK CORP - SWIFT 은행 식별 코드 (BIC) : KAKOKR22XXX - 본인의 카카오뱅크 계좌번호를 하이픈 없이 입력합니다. (재입력) - 중개 은행 이름 (필..

구글에서 검색 안되도록 글 삭제하는 방법 [내부링크]

구글에서 검색 안되도록 글 삭제하는 방법 블로그에 글을 쓴 이후에 어떤 이유로 인해 글을 삭제한 경우 해당 글로 인해 구글서치콘솔에 404 에러로 나타나게 됩니다. 페이지가 없어서 발생되는 오류로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구글서치콘솔에서 해당 글을 삭제 및 갱신 해줘야합니다. 삭제해 주면 더 이상 404 에러가 뜨지 않게 되어 페이지 색인 오류를 방지할 수 있습니다. 구글서치콘솔로 이동합니다. https://search.google.com/ Google www.google.com 좌측 메뉴에서 색인 생성 > 삭제 메뉴를 클릭합니다. 오래된 컨텐츠 탭을 선택하고 물을표(?)를 클릭하면 아래와 같이 오래된 콘텐츠 삭제 도구를 클릭합니다. 아래와 같은 창이 나오게 되는데 새 요청 버튼을 클릭합니다. 아래와 같은..

구글서치콘솔 CLS 문제: 0.1 초과 해결하는 방법 [내부링크]

구글서치콘솔 CLS 문제: 0.1 초과 해결하는 방법 구글서치콘솔에서 코어 웹 바이탈 에 아래와 같이 CLS 문제가 떴습니다. 참 다양한 오류들이 보이네요^^; 아래로 스크롤하니 원인이 된 URL 이 표시됩니다. URL 을 클릭하니 오른쪽에 개선이 필요하다고 나옵니다. 그런데 도대체 뭐 어떻게 하라는 건지는 안 나오는군요;; 아래는 제가 검색하여 알아낸 내용입니다. CLS 란? 우선 CLS 가 도대체 뭔지 알아봤습니다. CLS 는 Cumulative Layout Shift 의 약자로 누적 레이아웃 이동을 의미하는 것으로 웹 페이지를 보는 중에 갑자기 레이아웃이 변경되어 텍스트가 움직여 읽던 부분의 위치가 바뀌는 등의 경우를 의미합니다. 버튼을 클릭하려고 할 때 레이아웃이 변경되면서 누르려는 버튼이 다른 ..

[IT기기리뷰] MINI PC CHATREEY T8 PLUS [내부링크]

MINI PC CHATREEY T8 PLUS 10년 넘게 서버를 담당하던 미니 PC를 교체하기 위해 이것저것 알아보고 있었는데 알리의 할인 유혹에 못 이겨 구매했습니다 구매한 지 10일 걸려 도착했습니다. 알리익스프레스 한 달 걸렸던 게 엊그제 같은데 이제는 정말 빨리 오네요 패키징은 깔금하게 되어있으며 충격에도 잘 견디도록 포장 잘되어있네요 본체 크기가 정말 작습니다 무게도 엄청 가벼워서 내부가 텅 비어있는 거 같은 느낌이 들정도입니다. (과장 쪼끔ㅎ) USB3.0 포트가 3개나 있습니다. 이작은 보드에 어떻게 다 때려 넣었을지 궁금합니다. 설마 모양만 있는 건 아니겠죠?; 일단 다 써봤는데 인식은 모두 되네요^^ 뒤쪽에 전원포트가 있고 렌선이 두 개나 있는데 쓸 일은 없을 듯합니다. HDMI 포트가 ..

구글서치콘솔 수동 색인 생성 요청 방법 [내부링크]

구글 서치콘솔 수동 색인 생성 요청 방법 구글서치콘솔의 페이지 메뉴를 가보면 색인이 생성 안되어 있는 글이 상당히 많은 걸 볼 수 있습니다. 모바일 페이지도 포함이 되어있어서 실제 글의 수와 맞지 않지만 그래도 많은 페이지가 색인이 아직 생성 안된걸 알 수 있습니다. 그래프 아래를 보면 아래와같이 여러 가지 이유로 색인이 안된 걸 볼 수 있습니다. 구글의 검색앤진에서 내 블로그 글이 검색되려면 색인이 돼야 합니다. 시간이 지나면 자동 색인이 되긴 합니다. 하지만 생각보다 시간이 오래 걸립니다. 그래서 수동으로 색인을 요청하면 좀 더 빠르게 구글에서 내 글이 검색되게 할 수 있습니다. 먼저 위 그림의 마지막의 발견됨 - 현재 색인이 생성되지 않음 을 클릭합니다. 위처럼 많은 페이지가 아직 색인이 안되고 있..

애드센스 광고 크롤러 오류 해결하기 [내부링크]

애드센스 광고 크롤러 오류 해결하기 애드센스에 들어가니 아래와 같이 떠 있습니다. 광고 크롤러 오류가 있으며, 이 때문에 수익 손실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전에도 자주 봐왔던건데 무시하고 지냈었는데요 이번에는 한번 해결을 해보려고 알아봤습니다. 알림창 우측 끝에 작업 버튼을 클릭해 줍니다. 그러면 아래와 같은 내용이 나옵니다. 문제 발생 위치 의 링크(.../936)를 클릭해 제 글을 확인해 보니 제가 만든 프로그램을 소개한 페이지 인데요 글에 광고를 개제할때 문제가 된다는 소리인데 제 글을 봐도 어디가 문제인건지... 흠... 끝에 수정 버튼을 클릭하면 아래와 같은 화면이 나옵니다. 문제가 있는 페이지 아래 링크를 클릭하면 제 블로그 페이지로 이동하게되고 아래 쪽에 있는 문제 아래의 크롤러:알 수 없..

티스토리 블로그 삭제하기 [내부링크]

티스토리 블로그를 여러개 관리하고 있는데 하나가 계속 글을 못올리고 있어 관리가 안되서 삭제하기로 하였습니다. 그런데 삭제하는게 바로 보이지는 않더군요 아래 과정을 통해서 삭제를 하였습니다. 블로그 관리자 화면에서 관리 > 블로그 메뉴를 클릭합니다. 화면의 아래쪽으로 스크롤하면 데이터 관리 영역이 있는데 여기에서 데이터 관리하기를 클릭합니다. 블로그 백업 과 블로그 폐쇄가 있는데요 만약 블로그 글을 백업하고 싶으면 백업하기 버튼을 클릭합니다. 블로그 폐쇄에서 안내사항 부분을 체크하고 폐쇄하기 버튼을 클릭합니다. 아래처럼 메일로 확인 메일을 보냈다고 뜹니다. 메일의 내용은 아래와 같으며 폐쇄하기 버튼을 클릭해 줍니다. 알림이 뜨고 이제 블로그를 다시 로드하면 블로그가 폐쇄되어 나타나지 않은 걸 확인할 수 ..

에디마증상 [내부링크]

에디마증상 부종은 잎이 발산할 수 있는 것보다 뿌리가 더 많은 물을 흡수하여 발생하는 식물의 장애입니다. 이 과도한 물은 세포, 특히 아래쪽의 세포를 파열시키고 물에 젖은 반점을 만들어 코르크질이 나고 보기 흉하게 변합니다. 원인 토양이나 재배 매체, 대기 중 또는 그 조합의 과도한 습한 조건으로 인해 식물 세포에 비정상적으로 높은 수분 함량이 발생합니다. 잎이나 새싹을 제거하여 잎이 줄어들 때 때때로 살충제나 살균제와 같은 일부 화학 스프레이에 대한 반응으로 부종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생리적인 피해로 주로 토양이 과습하거나 깊게 식재되어 토양내 공기유통이 불량한 환경에서 발생한다. 증상 부종으로 고통받는 식물은 여러 가지 증상을 나타낼 수 있습니다. 물에 젖은 반점이 잎에 먼저 나타납니다. 그런 ..

홍가시나무 점무늬병 [내부링크]

홍가시나무 점무늬병 영명 Entomosporium leaf spot 병원체 Entomosporium mespili (Sorauer) B. Sutton 기주 홍가시나무 분포 한국 등 피해 나무의 생육기간 중 지속적으로 심한 낙엽을 일으켜 수세를 쇠약하게 하고 나무의 미적 가치를 크게 떨어트린다. 진단특성 병원균은 나무에 남아 있는 병든 잎과 가지, 그리고 병든 낙엽에서 겨울을 나고 봄에 병반 위에 많은 분생포자를 새로 만들어 1차 전염원이 된다. 분생포자는 바람에 날리는 빗물에 의해 전파되어 새로 나온 잎을 침해한다. 병원균은 봄부터 가을까지 계속해서 다량으로 분생포자를 형성하여 전염을 반복한다. 생태특성 4월 하순부터 양엽의 상하 양면과 잎자루, 녹지에 발생한다. 잎에는 처음에 짙고 산뜻한 붉..

Windows 11 에서 마지막 글자가 지워지는 증상 [내부링크]

Windows 11 에서 마지막 글자가 지워지는 증상 블로그 글을 쓰다 보면 언제부턴가 마지막 글자가 자꾸 지워지는 현상이 발생했습니다. 그때마다 키보드 문제라고 판단해서 다시 마지막 글자를 썼었는데 원인은 다른곳에 있더군요; 사이트간 이동할 때 Alt + Tab 을 하여 다른 창을 왔다 갔다 하게되는데 아래처럼 마지막 글자가 잘리는 증상이 발생된 것이었습니다. 글자가 잘려요 를 쓰고나서 Alt+Tab 를 하게되면 '요' 자가 사라집니다. 확인해 보니 Windows11 에서 해당 증상이 발생하는 것이었습니다. 해결방법은 먼저 시작버튼에서 마우스 우클릭 후 설정으로 진입합니다. 시간 및 언어 > 언어 및 지역 으로 진입합니다. 한국어에서 점점점(...)을 클릭하고 언어옵션으로 진입합니다. 아래로 내리면 M..

모소낭 [내부링크]

모소낭 개요 모소낭이란 피부와 피하 조직을 침범하는 모발과 연관된 만성 염증성 질환으로, 모소동이나 모소질환이라고 불립니다. 모소낭은 대부분 항문 후방 엉덩이 꼬리뼈 부분의 둔부열에 발생하며, 외부에서 보면 정중앙에 구멍이 있으면서 머리쪽으로 관을 형성하고 있으며 정중선 바깥쪽으로 이차 누관을 형성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모소낭은 대부분 항문 후방 천미골 부위에 발생하나 겨드랑이, 서혜부, 손가락 사이, 뒷머리뼈 부분, 팔다리의 절단면, 배꼽, 두피 등에도 생길 수 있습니다. 모소낭으로 모발이 침범함에 따라 이물 반응성 농양의 형태로 나타나기도 합니다. 모소낭은 대개 만성적인 과정을 거치며, 40세 이후에는 질병의 활성도가 낮아져서 치료를 하지 않고도 스스로 좋아지기도 하지만 농양, 재발성 염증이 생기면 ..

두릅나무 더뎅이병 [내부링크]

두릅나무 더뎅이병 병징 이 병은 봄철 새 잎이 활짝 펼쳐질 때부터 잎과 잎자루, 새로 자라나는 연한 어린 가지 등에 발생한다. 처음에는 잎과 어린 가지에 지름 2mm 가량 되는 거의 둥근 모양의 갈색 반점들이 다수 생기는데, 잎에서는 병반들이 주로 엽맥을 따라 연달아 나타나서 거의 엽맥 전체를 뒤덮으며, 어린 가지에서도 병반들이 확대되면서 서로 융합하여 불규칙한 모양의 커다란 병반이 된다. 이들 병반은 나중에 코르크화하여 담갈색~회갈색의 부스럼이나 딱지 같은 더뎅이 증상을 띤다. 잎과 가지의 생장기에 발병하기 때문에 어린 가지나 잎자루는 뒤틀리거나 구부러지며, 잎은 심하게 오그라들면서 기형이 된다. 병세가 심하면 나무 전체가 위축되고 생육이 크게 나빠진다. 병원균 및 병환 두릅나무 더뎅이병은 Elsino..

마가목 점무늬병 [내부링크]

마가목 점무늬병 학명 Mycovellosiella leaf spot 병원균 Mycovellosiella ariae 피해 마가목에서 피해가 가장 많은 병으로 나무가 말라 죽지는 않으나, 잎이 노랗게 변하면서 일찍 떨어진다. 병징 및 표징 6월부터 잎에 갈색 점무늬 병반이 나타나고, 이 병반은 5~10mm 크기로 확대되어 병반 중앙부는 회갈색, 가장자리는 적갈색인 원형 병반이 된다. 회백색 병반에는 솜털 같은 흑갈색 분생포자덩이로 뒤덮인 작은 점(분생포자좌)이 나타난다. 방제법 피해 초기인 6월부터 아족시스트로빈 수화제 1,000배액 또는 이미녹타딘트리스알베실레이트 수화제 1,000배액을 10일 간격으로 2~3회 살포한다. 출처 : [네이버 지식백과] 점무늬병 [Mycovellosiella leaf spot..

때죽나무 녹병 [내부링크]

때죽나무 녹병 병원균 Pucciniastrum styracinum 피해 잎 앞면이 노랗게 변하면서 일찍 떨어지는 병으로 Abies속 수목과 기주이동하는 이종기생균으로 알려졌으며, 정확한 생태는 밝혀지지 않았다. 병징 및 표징 여름철부터 잎 뒷면에 황갈색 반점이 나타나고 점차 표피가 터져서 노란색 가루덩이(여름포자퇴)로 뒤덮인다. 가을이 되면 잎 뒷면의 표피 조직 내에 갈색~흑갈색 겨울포자퇴가 형성된다. 방제법 5월부터 트리아디메폰 수화제 800배액 또는 페나리몰 수화제 3,300배액을 10일 간격으로 2~3회 살포한다. 출처 : [네이버 지식백과] 녹병 [Rust] (나무 병해충 도감, 2014. 4. 15., 문성철, 이상길)

때죽나무 점무늬병 [내부링크]

때죽나무 점무늬병 학명 Cercosporidium angelicae 병원균 Pseudocercospora fukuokaensis 기주나무 때죽나무 피해 때죽나무에서 자주 발생하는 병으로 잎이 노랗게 변하면서 조기낙엽 되어 수세를 약화시킨다. 병징 및 표징 7월경부터 잎 앞면에 갈색 작은 점무늬 병반이 형성되고 점차 확대되어 병반의 내부는 회갈색〜회백색인 약 5mm 크기의 갈색 병반이 되며 병반이 서로 합쳐져서 부정형의 큰 병반을 형성하기도 한다. 병든 잎 앞면의 병반에는 솜털 모양 회갈색 분생포자덩이로 뒤덮인 작은 점(분생포자좌)이 나타난다. 방제법 약제방제 - 6월 하순~8월까지 희석약제를 3~4회 살포하면 효과가 있다. (스트렙토마이신, 가스가마이신, 6-6식 보르도액, 디페노코나졸, 메..

[QGIS] 공식 QGIS 메뉴얼 [내부링크]

공식 QGIS 메뉴얼 아래 사이트에서 공식 메뉴얼을 제공합니다. 사용자기준 메뉴얼과 개발자기준 메뉴얼로 나뉘어져 있습니다. 비교적 상세하게 설명이 되어있습니다. https://docs.qgis.org/3.16/ko/docs/index.html QGIS 3.16 문서 — QGIS Documentation 문서 커뮤니티가 주도하는 자유-오픈 소스 GIS 소프트웨어 QGIS 의 공식 문서 페이지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 QGIS 문서가 아직 익숙하지 않다면, 본문 아래쪽 그리고 왼쪽 사이드바에 있는 차례를 통해 docs.qgis.org 사용자 QGIS 데스크탑 사용자 지침서/교재 (QGIS 3.16) 1. 들어가며 2. 머리말 3. 표기 방법 4. 주요 기능 5. 시작하기 6. 프로젝트 파일 작업 7. QGI..

[QGIS] 국토환경성평가지도 - 경사도 분석 하기 (경사도 고도 분석) [내부링크]

국토환경성평가지도 - 경사도 분석 하기 국토환경성평가지도 사이트를 이용하여 경사도를 분석하는 방법입니다. 아래 사이트로 이동합니다. https://ecvam.neins.go.kr/main.do 국토환경성평가지도 - 메인화면 ecvam.neins.go.kr 이동하면 상단의 주요서비스를 클릭하여 '평가등급 확인' 을 클릭합니다. 아래와 같은 지도 화면이 나오게되고 상단의 주소창에서 평가 등급을 확인할 주소를 선택하여 이동합니다. 이동 후 좌측의 경사도 고도 분석을 선택합니다. 그리기 분석을 선택하여 분석할 영역을 그립니다 (shp 파일을 사용해 영역을 지정할 수도 있습니다.) 그리기가 완료되면 아래 처럼 경사도 분석 결과창이 나타납니다. qgis 를 이용하지 않고 간단하게 사이트에서 경사도 고도 분석이 가능..

[IT기기리뷰] 로지텍 MX MASTER 3 마우스 [내부링크]

로지텍 MX MASTER 3 마우스 핫딜로 풀려 MX MASTRR 3S를 사려다 3을 구매했습니다 마우스는 개발용도 그렇고 제 손크기에 딱 맞아서 계속 MX시리즈 마우스만 썼었는데요 최근 키크론 마우스를 키보드와 함께 사게 되어 써보니 가볍고 좋아서 쓰고 있었는데 무한휠의 편안함이 자꾸 생각이 나더군요ㅎ 그리고 키크론 마우스는 로지텍 마우스에 비해 작아서 크기도 손에 딱 맞지 않았습니다. 마우스와 리시버, 충천선 구성입니다. 비교 샷을 보면 알수 있듯이 키크론 M1 마우스도 저한테는 맞았습니다 하지만 무한휠 그리도 더 두껍고 무거운 로지텍 마우스가 저에게는 맞는거 같습니다. MX MASTER 3 는 MX MASTER 2 와는 다르게 휠에 고무가 없으니 뭔가 느낌이 다르긴 합니다 하지만 금방 적응은 되더군..

Microsoft Copilot 으로 저작권 없는 노래 만들기 - suno [내부링크]

Microsoft Copilot 으로 저작권 없는 노래 만들기 - suno Microsoft Copilot 도 점점 발전되고 있습니다. 최근에 Microsoft Copilot 에서 문장을 쓰면 그 문장내용을 바탕으로 노래를 만들수 있다고 해서 그 방법을 알아볼까 합니다. 요즘 저작권 음악 쪽에 관심이 있어서 알아보고 있는 와중이라 해봤는데 정말 놀랐습니다. 먼저 아래 사이트로 이동하여 Microsoft Copilot | Microsoft AI Microsoft Copilot | Microsoft AI AI의 새로운 시대가 도래했습니다. Copilot을 통해 보다 생산적으로 일하고 효율성을 높이며 새로운 성장 기회를 찾으세요. www.microsoft.com Microsoft 계정으로 로그인합니다. 아래의..

[Unity] Unity 프로젝트 Layer 정보까지 Export 하기 [내부링크]

Unity 프로젝트 Layer 정보까지 Export 하기 유니티 프로젝트를 Export 는 Assets > Export Package 메뉴를 통해 Export 할수 있습니다. 다시 가져와 쓰기 위해서는 Asstes > Import Package > Custom Package 를 이용하면 됩니다. 하지만 위처럼 사용하게 되면 Layer 정보나 Build Setting 정보는 포함되지 않아서 실행이 제대로 안 되는 경우가 생기게 됩니다. 아래의 방법을 이용하면 Unity 프로젝트에서 Layer 정보까지 포함하여 Export 할 수 있게 됩니다. Project 에서 Assets 폴더에 Editor 폴더를 하나 생성합니다. 이 폴더 안에 C# Script 를 추가하여 아래처럼 코딩합니다. using System..

[로또랩스] 로또당첨번호 조회 및 1103회 로또예상번호 [내부링크]

[로또랩스] 로또당첨번호 조회 및 1103회 로또예상번호 이번주 로또 당첨번호 및 로또 예상번호입니다. 예상번호는 로또랩스 로직이 들어가 있습니다. 1102 회 로또 당첨번호 이번주 로또 당첨 번호는 13,14,22,26,37,38 + 20 입니다. 1103회 예상번호입니다. 로또랩스 앱에서 제공되는 로또 예상번호는 2,9,11,18,19,25 입니다. 로또랩스 GPT 에서 제공되는 로또 예상번호는 5,14,23,27,33,40 입니다 앱을 다운 받으시면 자신이 원하는 조합의 숫자로 예상번호를 추출할 수 있습니다. 안드로이드 (Android) https://play.google.com/store/apps/details?id=kr.kjun.lottolabs 로또랩스 - 번호분석 및 번호생성 - Google..

[Unity] 마우스 따라 카메라 움직이도록 하기 [내부링크]

Unity 마우스 따라 카메라 움직이도록 하기 보통 PC 로 게임을 하는 경우 마우스 움직임에 따라 시선이 움직이게 됩니다. 이를 구현하기 위해서는 Player 에 Camera 를 하위로 놓고 Camera 에 스크립트 처리를 하면 손쉽게 구현이 가능합니다. 마우스 따라 카메라 움직이도록 하는 방법을 알아 보겠습니다. 이 스크립트를 이용하면 게임 시작시 마우스 움직임에 따라 카메라가 움직여 시선이 마우스에 따라 움직이도록 할 수 있습니다. using UnityEngine; public class CamRotation : MonoBehaviour { // 회전속도 public float rotSpeed = 400f; // 회전값 변수 private float mx = 0; private float my = ..

[Unity] 물체 잡기 (Grab Object) [내부링크]

Unity 물체 잡기 (Grab Object) 게임상에서 아이템을 주워야 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그러기 위해서는 물체를 잡고 그 물체가 제 마우스를 따라서 움직여야합니다. 물체를 잡도록 처리하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우선 잡을 물체에 Rigidbody 와 Collider 가 있어야 합니다. 잡을 물체의 Layer 에 Weapon 을 추가하여 Weapon 으로 설정합니다. Layer 로 설정하는 이유는 Weapon 으로 설정된 오브젝트들은 잡을수 있도록 처리하기 위함입니다. 이제 Player 오브젝트에 아래의 스크립트를 추가합니다. using System.Collections; using System.Collections.Generic; using UnityEngine; public class H..

[QGIS] 특정 구역 평균 경사도 구하기 [내부링크]

QGIS 특정 구역 평균 경사도 구하기 평균 경사도를 처리하는 방법으로는 구역 통계를 이용합니다. 공간 처리 툴박스에서 레스터 분석 > 구역 통계를 선택합니다. 입력 레이어에 '특정구역이 있는 Layer'(산지전용지)로 선택하고 레스터 레이어에 '경사도 레스터 Layer' 로 선택한 후 실행합니다. 경사도구하는 방법은 아래 포스팅을 참고해 주세요 2024.01.05 - [QGIS] - [QGIS] 경사도 분석 추가된 결과물의 속성 테이블 열기 를 하면 열면 각 구역의 평균 경사도를 알 수 있습니다. 특정 구역 평균 경사도가 한 곳은 7.3 다른 한 곳은 3.8 인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속성테이블의 내용을 표시하고 싶은 경우 라벨에서 위에서 추가된 필드를 지정하면됩니다.

[EXE] 동산보드판/사진대지보드판 작성 프로그램 PC (무료) [내부링크]

보드판 프로는 무료 버전에 없는 편의 기능이 더 추가 되어있습니다. 아래 링크를 꼭 확인해 주세요 https://keistory.tistory.com/924 아래부터 사진대지보드판 무료버전에 대한 내용입니다. 동산보드판/사진대지보드판 작성하는 PC 프로그램입니다. 프로그램 실행 시 아래처럼 초기화면이 뜨고 20초를 기다리시거나 아래 keistory 버튼을 클릭하시면 아래처럼 실행하기 버튼이 활성화됩니다. 실행하기 버튼을 클릭하면 기존 보드판 프로그램이 실행되어 보드판을 작성하실 수 있습니다. 해당 무료버전은 버그가 있더라도 더 이상 수정이 안 되는 버전입니다. 무료버전 파일을 아래 첨부합니다. 사용방법 간단 사용방법은 아래와 같습니다. 1. 사진 열기를 통해 작업할 사진을 선택합니다. 2. 표작성을 통해..

2024 최저시급 [내부링크]

2024 최저시급 2024 최저시급이 240원 올라서 9860원이 되었습니다. 일급 : 78,880원 월급 : 2,060,740원 연봉 : 24,728,880원 월 209 시간 기준으로 2,060,740원 입니다. 아래는 현재까지의 최저시급 입니다. 2024년 9,860원(2023 대비 2.5% 인상) 2,060,740원 2023년 9,620원 2,010,580원 2022년 9,160원 1,914,440원 2021년 8,720원 1,822,480원 2020년 8,590원 1,795,310원 아래는 고시된 내용입니다. - 올해에 비해 240원 올라, 월 환산액은 2,060,740원(월 209시간 기준) 8.4.(금), 고용노동부는 2024년도 적용 최저임금을 시간급 9,860원으로 결정·고시하였다. 이를 ..

[IT기기리뷰] 구글 네스트 허브 2세대(Google Nest) [내부링크]

구글 네스트 허브 2세대(Google Nest) Q10 에서 가격 좋게 올라와 Google Nest Hub 2세대를 하나 구매했습니다. 일본에서 건너와서 일본어가 적혀있네요... 개봉 110V 지만 220V 어댑터가 같이 와서 문제없었습니다. 아래 보이는 사진에서 보듯이 이 부분이 스피커인데 음질이 괜찮은 거 같습니다. 일본에서 와서 일본어로 처음에 나옵니다. 하지만 어플이랑 연동하니 ... 자동으로 한글로 바뀌어 업데이트를 진행 중입니다 아침은 아래처럼 환하게 밤에는 어둡게 되어 시계가 표시됩니다. 아들이 가끔 통역으로 영어 배울 때 쓰고 궁금한 거 있을 때 '헤이구글' 외쳐서 물어보는데 그럭저럭... 쓸만합니다. 또한 주변기기를 통제할 수 있는데 티비가 잡혀서 볼륨이나 채널 변경이 가능해졌습니다 아래..

[QGIS] mmqgis plugin 으로 격자 그리드 생성하기 [내부링크]

QGIS mmqgis plugin 으로 격자 그리드 생성하기 플러그인 에서 mmqgis 를 검색하고 설치합니다. 설치가 완료되면 상단에 MMQGIS 메뉴가 추가됩니다. 격자 그리드는 MMQGIS > Create > Create Grid Layer 메뉴를 선택합니다. 닫기를 누르면 아래 처럼 대상지 기준으로 격자 그리드가 생성됩니다. 결과 아래는 백터 조사도구의 그리드 생성과 비교한 모습입니다. 사각형 모양이 조금 다르게 그려진걸 볼수 있습니다. 그래서 상황에 따라 맞는걸 선택해서 사용해야합니다. 또한 MMQGIS 를 이용한 격자그리드는 속성테이블에 순번이 없어 필드를 추가해 주어야합니다. 참고 https://dges.carleton.ca/CUOSGwiki/index.php/Geocoding_and_Rev..

[IT기기리뷰] ADATA LEGEND 840 M.2 NVME 1TB [내부링크]

ADATA LEGEND 840 M.2 NVME 1TB ADATA LEGEND 840 M.2 NVME 1TB 를 외장로 사용하기 위해 구매했습니다. ADATA 제품은 저렴하게 나오는 편이라서 메인으로 사용하기는 불안합니다. DRAM 도 없습니다. 그래서 외장으로 파일 옮기는 용도로 사용하려고 합니다. PS 용으로도 사용할 수 있습니다. 위 그림을 보면 알수 있지만 방열판 스티커도있습니다. 없는것 보단 낫죠^^; 외장하드에 장착하고 속도를 측정했습니다. 보급형이지만 속도가 준수한 편입니다. 외장하드로 사용하기엔 충분합니다. 외장으로 사용하거나 저장용도로 사용하시는 분에게 ADATA LEGEND 840 M.2 NVME 1TB 를 추천합니다. https://link.coupang.com/a/bm2yKE ADAT..

[IT 기기리뷰] WD BLACK SN850 M.2 NVME 1TB [내부링크]

WD BLACK SN850 M.2 NVME 1TB PS5 용량이 부족해서 구입했습니다. 방열판이 달려 있는 것으로 구매하였습니다. 용량이 커질수록 생각보다 온도가 많이 올라가기 때문에 방열판은 필수인 거 같습니다. 방열판이 정말 두껍게 되어있습니다. 발열을 위해 숭숭 구멍도 뚫어놔서 그런 것 같은데 발열 체크해 보니 온도 잘 잡아 줬습니다. 1TB SSD 가격이 계속 내리다가 이제는 내릴때 까지 내린 건지 더 이상은 가격인 안 내려가고 있는 것 같습니다. 요즘 게임은 용량을 왜 이렇게 잡아먹는지 1TB 면 예전에는 정말 많은 게임을 담을 수 있었는데 4,5 개 담으면 1TB 용량이 다 차버리네요 PS5 장착하여 사용 중인데 벌써 다 차갑니다; 할인할 때 샀는데 지금은 SN850X 나 나와서 가격은 비슷한..

[IT기기리뷰] 키크론 M1 초경량 옵티컬 마우스 [내부링크]

키크론 M1 초경량 옵티컬 마우스 기존 사용하던 레이저마우스가 고장이 나서 키크론 M1 초경량 옵티컬 마우스를 구입했습니다. 제 손이 크고 묵직한 마우스를 좋아해서 고민하다 구매를 하였는데 사용해보니 정말 괜찮았습니다. 손이 큰 편인데 키크론 M1 마우스도 저에게 맞았습니다. 구멍이 숭숭 뚫려있어서 마우스에 땀이 안차는게 정말 좋네요 그리고 정말 가볍습니다. 바닥에 색상 변경버튼과 DPI버튼이 있습니다. 소프트웨어로 조절하는 줄 알았는데 물리 버튼이 있으니 편합니다. 이 마우스는 양손잡이용 마우스입니다. 양쪽에 앞뒤버튼이 있습니다. 양쪽에 다있어서 안 쓰는 앞뒤버튼이 걸리적거릴 줄 알았는데 그렇지는 않습니다. 아래 그림처럼 usb c type 연결 단자로 케이블과 연결됩니다. 충전단자가 아닙니다. RGB..

[IT기기리뷰] 마이크로소프트 스컬프트 어고노믹 마우스 [내부링크]

마이크로소프트 스컬프트 어고노믹 마우스 Microsoft Sculpt Ergonomic 지인분이 손목증후군을 많이 완화 시켜준다고 해서 마이크로소프트 스컬프트 어고노믹 마우스를 구매하게 되었습니다. 다른 마우스와는 다르게 가운데 부분이 둥그렇게 되어있어 디자인이 독특합니다. 이 때문에 마우스를 잡을 때 손과 마우스 사이 공간이 없이 밀착됩니다. 아래처럼 좌측에 백버튼이 존재합니다. 그리고 파란색 버튼은 윈도우 시작 메뉴를 실행시켜줍니다. 위 그림의 버튼은 생각보다 적응이 잘 안되긴합니다. 익숙해 지려면 좀 시간이 걸릴 듯합니다. 바닥 쪽에 전원 스위치가 있으며 아래쪽에 살짝 들어간 홈을 통해 열수 있습니다. AA 건전지 2개가 들어가있으며 리시버가 들어가 있습니다. 건전지 2개가 들어가 있어 무게감이 살..

[IT기기리뷰] 키크론 K10 알루미늄 RGB 핫스왑 적축 키보드 [내부링크]

키크론 K10 알루미늄 RGB 핫스왑 적축 키보드 키감이 좋아 레이저 키보드를 사용하고 있는데 키크론 K10 이 눈에 띄었습니다. 적축은 또 처음이라 키감이 궁금해서 이번에 구매를 하게되었습니다. 포장은 고급스럽게 잘 포장이 되있었고 풀배열을 원했던 저에게는 딱 맞는 사이즈입니다. 키보드 색이 정말 맘에 듭니다. ^^ 키 재질이 안미끄러지는 재질로 되어있어 키를 입력할때 정확하게 타이핑이 됩니다. 키보드가 정말 묵직해서 정말 좋습니다. (묵직한 걸 좋아함) 뒷면도 깔끔하며 높이는 2단계로 조절됩니다. LED 도 들어옵니다 그렇게 밝지는 않은 것 같은.. 그래도 만족스럽습니다. LED 는 RGB 모델이어서 여러가지로 변경이 가능합니다. 아래 그림을 보면 알수 있듯이 이 키보드는 유선과 무선(블루투스)로 사..

AutoCad 에서 dwg 파일 열 때 한글이 ???(물음표) 로 표시될 때 [내부링크]

AutoCad 에서 dwg 파일 열 때 한글이 ???(물음표) 로 표시될 때 AudoCad 에서 dwg 파일을 열었는데 갑자기 아래 처럼 한글이 표시 안되고 물음표로 표시되었습니다. 이렇게 나오는 이유는 dwg 파일에 있는 한글폰트가 AutoCad 에는 없을때 ??? (물음표)로 표시가 됩니다. 이때는 대체 글꼴을 지정하면 한글이 제대로 표시가 됩니다. 1. 아래 그림과 같이 명령행 창위에서 마우스 우클릭 메뉴에서 '옵션' 선택합니다. 2. 파일 탭에서 문자 편집기, 사전 및 글꼴 파일 이름 > 대체 글꼴 파일 > XXX 를 선택합니다. 상단에 보면 미지정 프로파일 이라고 되어있는데요 이부분이 아마도 깨져서 저렇게 나오는것 같습니다. 3. 찾아보기 버튼을 눌러 굴림체 등 설치된 한글 글꼴을 선택하고 적용..

AutoCad에서 선택한 영역 외곽선 따기 - 누끼따기 [내부링크]

AutoCad 에서 선택한 영역 외곽선 따기 - 누끼따기 Cad 파일에서 특정 영역을 선택하고 외각경계선만 따는 방법입니다. dwg 파일을 AutoCad 로 열고 홈 탭에서 해치를 선택합니다. 위 설명처럼 닫힌 영역이 만들어 질 때까지 그려 외각선을 딸 영역을 선택합니다. Ctrl + C, V 를 하면 복사하고 붙여넣기가 되고 붙여넣은 항목이 마우스를 따라 다니게됩니다. 빈영역에 마우스클릭을 하면 아래처럼 붙여넣기가 됩니다. 이제 여기에서 내부를 제외하고 외곽 경계선만 따야합니다. 위 객체를 선택하고 마우스 우클릭하여 나온 메뉴에서 경계생성을 합니다. 그럼 아래처럼 경계가 생성되고 ESC 를 눌러 경계선택을 취소하고 다시 객체를 선택하고 Del 버튼을 눌러 배경을 제거 합니다. 이렇게 하여 외곽 경계선만..

[EXE] BoardPanPro - 사진 대지 보드판 (PC 버전) 기능 강화 버전 [내부링크]

BoardPanPro 사진대지 보드판 프로그램 사진대지 보드판 기능 강화 버전입니다. 사진과 표 병합을 더 편리하게 할 수 있습니다. 프로그램 구매문의는 [email protected] 메일이나 아래 카페로 연락 주세요. https://cafe.naver.com/keisoft 로그인 프로그램을 실행하면 아래와 같이 제품 구매 시 발급되는 아이디와 시리얼넘버를 적습니다. 아래는 처음 실행화면입니다. 사용방법 1. 사진열기 버튼을 클릭하여 사진을 선택합니다. 2. 표 만들기 버튼을 클릭하여 표를 작성합니다. 기본 5행 2열로 되어있습니다. 2-1. 오른쪽 + , - 버튼을 클릭하면 행을 늘리거나 줄일 수 있습니다. 2-2. 내용입력 시 Shift+Enter 를 동시에 누르면 줄이 나누어져 여러 줄로 내..

사과나무 점무늬낙엽병(斑點落葉病) Alternaria leaf spot [내부링크]

사과나무 점무늬낙엽병(斑點落葉病) Alternaria leaf spot 피해 잎, 과실, 가지에 발생한다. 잎에서는 적갈색의 작은 반점이 형성되어 점차 진전되면서 중앙부는 회백색으로 변하고, 주위는 적갈색의 테무늬를 형성하나 오래되면 전병반이 회갈색으로 변한다. 이병성 품종의 병든 잎은 일찍 떨어지는 반면에 저항성 품종의 병든 잎은 일찍 떨어지지는 않는다. 병이 진전되면 병반과 병반이 융합하여 불규칙한 병반을 형성하는 수도 있으나, 대체로 5mm이내의 원형병반을 형성한다. 과실에서는 과점을 중심으로 갈색반점으로 나타나고, 품종에 따라 다르나 대부분 병반주위가 적색으로 변한다. 가지에서는 피목을 중심으로 원형병반이 형성되어 갈색으로 변하고, 약간 움푹 들어간 형태로 나타난다. 병원체 Alternaria a..

장미 검은무늬병 [내부링크]

장미 검은무늬병 학명 Black spot 병원균 Diplocarpon rosae 피해 잎에 검은 병반이 생기면서 일찍 떨어져 수세가 약화되며, 여름철에 비가 많고 기온이 낮으면 피해가 심하다. 병징 및 표징 봄부터 잎에 작은 흑갈색 반점이 나타나고 점차 확대되어 5~15mm 크기의 원형 병반이 되며, 원형 병반의 외곽은 노란색으로 변하면서 잎이 일찍 떨어지다. 잎 양면 병반 위에 작은 흑갈색 점(분생포자층)이 나타나고, 다습하면 유백색 분생포자덩이가 솟아오른다. 방제법 발병 초기에 아족시트로빈 수화제 1,000배액 또는 이미녹타딘트리스알베실레이트 수화제 1,000배액을 7일 간격으로 3~5회 살포한다. 출처 : [네이버 지식백과] 검은무늬병 [Black spot] (나무 병해충 도감, 2014. 4. 1..

대화병 [내부링크]

대화병 학명 Fasciation 분포 한국, 전세계 형태 현재까지 정확한 원인이 밝혀져 있지 않으나 영양결핍과 생장조절물질 상호간의 불균형 등이 원인으로 추정되고 있다. 피해 수형(樹型)이 나빠지고 대화된 가지나 줄기는 조직이 약하므로 겨울철에 말라죽기도 한다. 방제법 수목이 필요로 하는 영양분이 부족하지 않도록 비배관리 (肥培管理)를 철저히 하며, 병든 나무에서 채집한 종자로 양묘(養苗)하지 않는다.

귀찮은 바이오스 진입 간편하게 하기 [내부링크]

귀찮은 바이오스 진입 간편하게 하기 DEL, F2 키를 눌러 바이오스 진입을 실패할 때가 많은데 귀찮은 바이오스 진입 간편하게 하는 방법입니다. 바탕화면에서 우클릭 메뉴에서 새로 만들기 > 바로 가기 아래의 화면이 나오면 아래 명령을 입력합니다. shutdown.exe /r /fw /t 0 바로가기 이름은 원하는 이름을 입력합니다. 만들어진 아이콘에서 우클릭 메뉴 속성 으로 들어갑니다. 고급 버튼을 클릭합니다. 관리자 권한으로 실행을 체크합니다. 관리자 권한으로 실행해야 바이오스 진입하기 위한 권한을 얻을수 있습니다. 이제 준비는 완료되었고 현재 작업하던게 있다면 모두 끈 후 바이오스 진입 바로가기를 클릭하면 재부팅 되면서 바이오스로 진입하게 됩니다.

[Unity] [Collab] Collab service is deprecated and has been replaced with PlasticSCM 에러 처리방법 [내부링크]

[Collab] Collab service is deprecated and has been replaced with PlasticSCM 에러 처리방법 Unity에서 새 프로젝트를 만들었는데 아무것도 없는 상태에서 [Collab] Collab service is deprecated and has been replaced with PlasticSCM 오류창이 계속 떴습니다. 따로 건드린게 없는데 말이죠 우선 프로젝트를 껐다 다시 실행하는 것만으로 해결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먼저 프로젝트를 재시작해봅니다. 그래도 오류가 발생된다면 관련 서비스 이름의 기능을 꺼야 합니다. (왜 켜져 있는지는 모름;;) File > Build Settings > Project Settings 으로 들어가 Services의 Col..

Windows 파일 탐색기가 제대로 동작하지 않는 경우 [내부링크]

Windows 파일 탐색기가 제대로 동작하지 않는 경우 Windows11 을 사용 중인데 컴퓨터를 오래 사용하다 보면 간혹 윈도우 파일 탐색기가 제대로 동작 안 되는 경우가 발생됩니다. 그때마다 컴퓨터를 재부팅했었는데요 이 방법은 아닌 것 같아서 확인해 보니 간단하게?? 해결이 가능했습니다. 원인이 중요한데 원인이 뭔지는 어딜 찾아봐도 안 나오네요^^; 제가 겪은 증상은 파일 탐색기를 클릭했는데 갑자기 하단 작업표시줄이 잠깐 사라졌다 다시 나타나기만 하고 탐색기가 열리지 않았습니다. 이렇게 되면 컴퓨터 종료 버튼도 클릭이 되질 않고 alt+f4 를 눌러 종료를 했어야 했습니다. 또한 캡처 기능도 동작하지 않더군요.. 해결방법은... 작업표시줄에서 마우스 우클릭하여 작업관리자를 엽니다. Wiondows 탐..

Youtube Premium 저렴하게 보는 방법 (T우주패스 mini -> all 로 변경하기) [내부링크]

Youtube Premium 저렴하게 보는 방법 (T우주패스 mini -> all 로 변경하기) 요즘 이것저것 구독하고 있는 것들을 정리하고 있습니다. 넷플릭스 가격이 오르면서 요금제를 낮췄고 디즈니는 지인들과 같이 보고 있어서 저렴한 편이라 그냥 두었습니다. 네이버플러스 맴버십은 최신 영화를 무료로 볼 수 있어서 썼는데 없어져서 중단했습니다. 11번가, 스마일클럽, 쿠팡와우 등등 ..; 구독하는 게 생각보다 많네요; 이번에 Youtube Premium 요금이 많이 올랐습니다. 50프로 가까이 오르는거라서 좀 찾아보니 T우주패스, 유독 등의 통신사에서 제공하는 서비스를 이용하면 저렴하게 사용할 수 있더군요 전 SK 를 사용하고 있어서 T우주패스를 알아봤습니다. 기존에 11번가 아마존 쇼핑과 Google ..

C 드라이브 용량 늘리는 방법 [내부링크]

C 드라이브 용량 늘리는 방법 C 드라이브가 예전에는 128 기가면 충분했는데 언제부턴가 256기가도 부족한 상황이 되버렸습니다. C 드라이브를 디스크 정리 해봐도 그렇게 큰 효과를 볼 수 없어서 다른 방법을 찾아보니 숨겨져 있는 Temp 파일을 삭제하여 공간을 확보 할 수 있었습니다. Temp 파일은 숨겨져 있어서 아래처럼 폴더 창에서 숨김 파일을 보이도록 해야합니다. 이제 아래 위치로 이동합니다. 로컬디스크C > 사용자(User) 폴더 > 내 컴퓨터 이름 폴더> AppData > Loacal > Temp 저는 아래의 경로입니다. C:\Users\junij\AppData\Local\Temp 입니다. 저는 1.6 기가 정도 확보가 되었습니다. 다른 블로그 글들을 보면 꾀 많은 용량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

Microsoft Office365 저렴하게 사용하기 [내부링크]

Microsoft Office365 저렴하게 사용하기 가정에서 Office 를 사용할 때 보통 Office2001 등을 설치해서 사용합니다. 하지만 저 같은 경우는 Office365 를 사용합니다. 왜냐하면 1TB 의 공간을 주는데 저는 이를 이용해서 가족 사진이나 소스 등을 보관하고 있습니다. 또한 편집한 파일의 내용이 공유가 되어 모바일과 PC 에서 모두 접근이 가능해 양쪽에서 편집이 가능합니다. 이러한 장점이 있어서 저는 늘 Office365 를 구입해 사용하고 있습니다. Microsoft Office365 는 가격 정책은 아래와 같습니다. 개인이 사용하는 걸로는 Microsft 365 Personal 요금제가 있는데 89000원 입니다. 기간이 1년이고 PC 5대에서 사용 가능하지만 가격이 만만치..

QGIS 사면형 분석하기 [내부링크]

QGIS 사면형 분석하기 사면형 분석하는 방법입니다. 1. 수치지형도의 등고선(F0010000) 파일을 TIN 보간하고 레스터 > 투영체 > 워프(재투영) 합니다. 아래 포스팅을 참고해주세요 2024.01.02 - [QGIS] - [QGIS] 수치지형도 등고선 TIN 보간 및 음영기복도 처리하기 2024.01.03 - [QGIS] - [QGIS] 래스터 파일 픽셀 크기 조절하기 (Resize Raster Pixel) 2. 공간 처리 툴박스 에서 Slope, aspect, curvature 검색하여 선택합니다. Elevation 에는 1번에서 나온 산출물을 넣고 아래와 같이 Method, Unit 부분을 선택하고 실행합니다. 결과 중에 Aspect, Slope, Profile Curvature 만 남기고 ..

[QGIS] 조판 인쇄에서 범례 만들고 편집하는 방법 [내부링크]

QGIS 조판 인쇄에서 범례 만들고 편집하는 방법 QGIS 에서 조판은 문서를 만들때 정말 필요한 기능입니다. 범례는 반드시 들어가게 되는데 추가하고 편집하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봅니다. 우선 조판 인쇄에서 범례를 만드는 방법입니다. 프로그램 > 새 인쇄 조판을 선택하여 조판 생성 후 항목추가 > 지도추가 합니다. 항목 추가 > 범례 추가 를 하여 범례가 만들어질 영역에 사각형을 그려주면 범례가 추가됩니다. 하지만 모든 Layer 에 속하는 범례가 모두 표시되기 때문에 편집이 필요합니다. 우측의 범례 항목 부분에서 자동 갱신 체크를 해제 합니다. 이를 체크하게되면 실시간으로 항목을 갱신해주게되는데 편집을 위해서는 해제해야합니다. 사용하지 않을 항목들을 선택하고 아래 - 버튼을 클릭하면 해당 항목이 범례 내..

[QGIS] 산지 전용지 기준 경사도 구하기 [내부링크]

QGIS 산지 전용지 기준 경사도 구하기 DEM 파일 기준으로 10*10 으로 재투영하게되면 대상지에서 벗어나게되어 대상지 기준 그리드와 사각형 영역이 맞지 않습니다. 하지만 산지전용지 기준으로 하면 그리드와 경사도 그리드가 일치하게됩니다. 그래서 산지전용지 기준 경사도 구하는 방법을 소개합니다. 1. 산지 전용지 기준으로 그리드를 추가합니다. 백터 > 조사 도구 > 그리드 생성 결과 2. 등고선 기준 TIN 보간을 합니다. TIN 보간시 백터 레이어는 등고선을 선택하고 범위를 위 1번에서 그려진 그리드를 선택하여 범위를 지정합니다. 아래 포스팅을 참고해주세요 2024.01.01 - [QGIS] - [QGIS] 등고선을 이용해 TIN 보간하기 결과 3. 경사를 구합니다. 레스터 > 분석 > 경사 메뉴를 ..

[QGIS] 경사도에서 대상지 영역만 잘라내기 (마스크 레이어로 백터 자르기) [내부링크]

QGIS 경사도에서 대상지 영역만 잘라내기 (마스크 레이어로 백터 자르기) 산지전용지에서 경사도를 구하게 되면 QGIS에서 아래그림 처럼 표현됩니다. 경사도 구하는 방법은 아래 포스팅을 참고하세요 2024.01.05 - [QGIS] - [QGIS] 경사도 분석 여기에서 산지전용지(빗금쳐진부분) 기준으로 경사도 그리드를 잘라내고 싶은 경우 처리하는 방법입니다. '마스크 레이어로 백터 자르기' 를 수행하면 되는데 메뉴에서 레스터 > 추출 > 마스크 레이어로 래스터 자르기 를 선택합니다. 아래처럼 입력레이어에 경사도를 백터 화한 산출물을 선택하고 마스크 레이어에 산지전용지 영역을 선택하고 실행하면 아래처럼 경사도 Layer 가 대상지 기준으로 잘린 걸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속성에 들어가 라벨표시 및 심벌을 조..

[QGIS] 국토환경성평가지도 - 평가 등급 분석 하기 [내부링크]

국토환경성평가지도 - 평가 등급 분석 하기 국토환경성평가지도 사이트를 이용하여 평가 등급을 분석하는 방법입니다. 이를 이용하면 QGIS 를 사용하지 않고도 등급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https://ecvam.neins.go.kr/main.do 국토환경성평가지도 - 메인화면 ecvam.neins.go.kr 위 사이트로 이동하여 상단의 주요서비스를 클릭하여 '평가등급 확인' 을 클릭합니다. 아래와 같은 지도 화면이 나오고 상단의 주소창에서 평가 등급을 확인할 주소를 선택하여 이동합니다. 이동 후 좌측의 그리기 분석을 선택하고 등급을 확인할 영역을 클릭하여 그립니다. 마지막은 서로 연결이 되면 끝납니다. (shp 파일을 이용할 수도 있습니다.) 아래와 같이 등급으로 구분된 분석결과가 되어 나타납니다. 우측상..

QGIS 속성 테이블 필드(컬럼) 연결 하기 [내부링크]

QGIS 속성 테이블 필드(컬럼) 연결 하기 속성 테이블이 DN, Area 의 문자열을 합쳐서 표현하고 싶을때 필드값을 연결하여 표현 할 수 있습니다. 아래 tt 필드처럼 표현하고 싶은 경우 처리하는 방법은 아래의 식을 이용하여 처리하면됩니다. "DN" || ' (' || "Area" || ')' DN과 Area는 필드명으로 필드명은 큰따옴표(" ")를 붙여서 처리합니다 필드나 문자 간 연결은 || 로 연결할 수 있으며 문자열은 따옴표(' ')로 묶으면 필드데이터로 활용할 수 있습니다 위 내용은 DN 이 9 , Area 가 107.1이라면 아래처럼 나타납니다 9 (107.1) 아래는 위처럼 처리하여 맵에 표시한 결과입니다 단위를 표시하거나 값의 단위를 표시할 때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아래 포..

[QGIS] DEM 파일의 특정 위치 x,y,z 값을 확인하는 방법 [내부링크]

DEM 파일의 특정 위치 x,y,z 값을 확인하는 방법 DEM 파일은 속성 테이블이 없어서 값을 확인할 수 없어 좌표 데이터를 알 수 없습니다. 이 값을 확인하기 위해서 보기 > 객체 식별을 선택하고 좌표를 알고 싶은 위치를 마우스로 좌클릭합니다. 그러면 우측 하단에 아래 처럼 x, y, z 좌표가 표시됩니다. (제일 상위에 있는 밴드1 값이 z 값) 이런식으로 특정 위치를 클릭하여 좌표값을 알아낼수 있습니다. 각값은 위도,경도, 높이를 의미합니다.

[서평] 재미있는 게임 제작 프로세스 [내부링크]

요즘 게임 제작을 하고 싶어 유니티를 공부하고 있다. 예전부터 게임 개발을 하고 싶었던 터라 계속 공부는 해왔었다 하지만 이렇다 할 진도를 나가질 못했다. 게임을 만들려고만 했지 어떤 게임을 만들지 그리고 어떻게 만들지 생각하지 않았다. 하지만 이 책을 보니 게임 만드는 것에 대해서 너무 쉽게 생각했던 것 같다. 게임도 영화처럼 처음부터 설계와 구상 그리고 프로세스에 맞게 진행이 되어야 완성도 있는 게임이 나올 수 있는 것이었다. 게임을 좋아하는 편인데 스토리 게임을 매우 좋아하는 편이다 이렇게 스토리가 좋은 게임이 나오기 위해서는 게임 제작에 몇 년을 쓴다. 하지만 고작 몇달에 끝내려고 했던 내 자신이 한심하게 느껴진다. 이 책은 게임 개발의 모든 단계를 다루고 있다. 어떻게 보면 복잡할 수도 있는 프..

[QGIS] Profile Tool 플러그인 사용방법 [내부링크]

QGIS Profile Tool 플러그인 사용방법 Profile Tool을 이용하면 DEM Layer를 이용하여 아래처럼 직선으로 그어진 영역의 높낮이를 그래프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사용방법 1. 플러그 인 에서 Profile Tool 설치합니다. 만약 항목이 표시되지 않는다면 아래 사이트에서 zip 파일을 다운로드하고 ZIP 파일에서 설치를 선택하여 설치합니다. https://plugins.qgis.org/plugins/profiletool/ 2. 플러그인 > Profile Tool > Terrain profile 을 선택합니다. 3. DEM Layer 를 선택한 후에 우측에 Add Layer를 하게 되면 그리드에 선택된 Layer 가 추가 됩니다. (Layer는 여러개를 추가할 수 있습니다.) 4...

[QGIS] 선택한 객체 병합하기 [내부링크]

QGIS 선택한 객체 병합하기 아래와 같이 여러 객제가 있는 상태에서 여러 객체들은 하나로 병합하는 방법입니다. 아래와 같이 병합할 객체가 화면에 있는 상태에서 연필 버튼을 누른 후 모든 객체 선택을 클릭하여 모두 선택합니다. 모두 선택되면 아래와 같이 선택됩니다. 위처럼 선택이 된 상태에서 상단의 툴바 빈공간 우클릭 하여 메뉴가 나오면 아래처럼 고급 디지타이징 툴바 를 체크합니다. (이미 있다면 이부분은 넘어가면 됩니다.) 그러면 아래처럼 툴바가 추가됩니다. 여기에서 아래 그림의 선택한 객체 병합을 클릭합니다. 그럼 아래와 같은 화면이 나오고 확인 버튼을 누릅니다. 결과 위처럼 여러개의 객체가 하나로 병합된 걸 볼 수 있습니다.

구개열 [내부링크]

구개열 개요 입천장갈림증이라고도 불리는 구개열은 구순열과 달리 임신 중 초음파로 보이지 않기 때문에 아이가 태어난 뒤에 알게 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구개열의 증상은 겉으로 보이지는 않지만, 구개열 환자가 말하거나 울거나 웃을 때에 구개열 환자의 입천장이나 목젖이 갈라져 있는 것을 보고 알 수 있습니다. 구개열 환자를 처음 접할 때 부모님들은 우선 걱정이 앞서기 마련입니다. '이 아이가 갖고 있는 다른 동반된 기형은 없을까?', '지능은 정상이며, 또래 아이들과 잘 어울릴 수 있을까?', '다음 아이를 낳아도 또 이런 기형을 동반하게 되지 않을까?', '내가 임신 중에 부주의해서 이런 아이를 낳게 된 것은 아닐까?', '수유는 어떻게 해야할까?', '정상적으로 학교에 다닐 수 있을까?' 등 여러 가지 걱정..

[QGIS] 조판에서 축척 막대가 표시 되지 않을 때 [내부링크]

조판에서 축척 막대가 표시 되지 않을 때 조판에서 축척막대를 추가하였는데 화면에 축척막대가 표시가 되지 않았습니다. 분명 항목은 추가되어 있는데 지도 화면에 표시가 되질 않아서 새로 파일을 열어서 해봤는데도 나타나지 않았습니다. 확인해 보니 아래 축척 막대 단위 가 미터로 되어있는데 지도단위로 바꾸니 아래 처럼 축척 막대가 보였습니다. 이전에는 알아서 지도 단위로 되었던 것 같은데 뭔가 변경이 된거 같습니다. 아무튼 이런 문제가 있다면 위처럼 축척 막대 단위를 지도단위로 바꿔주면 축척막대가 제대로 표시됩니다. 다른 포스팅도 참고해 주세요 2024.01.05 - [QGIS] - [QGIS] 조판에 산사태 위험지도 범례표시 및 축적 표시하기 2024.01.08 - [QGIS] - [QGIS] 조판 인쇄에서 ..

[QGIS] 라벨(문자) 추가 하기 (Label/Text) [내부링크]

QGIS 라벨(문자) 추가 하기 (Label/Text) QGIS 에 라벨을 추가하는 방법입니다. 라벨은 거리나 면적 등의 수치를 나타내는데 사용됩니다. 기본적으로 새 주석 레이어가 추가된 상태여야 하고 추가된 주석 레이어에서 작업합니다. 아래 포스팅을 참고해 주석 레이어를 추가해주세요 2024.01.06 - [QGIS] - [QGIS] 선,점 그리기 (Draw Line/Marker) 추가된 주석 Layer 가 선택된 상태에서 툴바의 아래 아이콘 모양의 아이콘을 클릭하고 원하는 위치에 마우스 클릭하면 글자내용 및 글자색과 크기를 조정할수 있는 창이 나타납니다. 여기에서 크기나 색을 조정한 뒤 적용 합니다. 위처럼 화면에 텍스트가 표시됩니다. 위치를 이동하고 싶은 경우 '주석 수정' 버튼을 클릭하고 문자 클..

[QGIS] 선,점 그리기 (Draw Line/Draw Marker) [내부링크]

QGIS 선,점 그리기 (Draw Line/Draw Marker) QGIS 의 지도상에 선과 점을 그리는 방법입니다. 선 그리기 먼저 새 주석 레이어 버튼 클릭하여 Layer 를 추가합니다. 추가된 Layer 에서 아래 Line 생성 클릭 후 시작지점에서 마우스 좌클릭하고 끝지점에서 마우스 우클릭하면 선이 그려지면서 아래처럼 레이어 스타일 작업 창이 뜹니다. 여기에서 굵기, 색등을 변경할 수 있습니다. (선이 여러개 인경우 모든 선에 적용됩니다.) 결과 마커 그리기 마커는 아래 마커 생성 버튼을 클릭하고 원하는 위치에 마우스를 클릭하면 아래그림처럼 마커를 그릴 수 있습니다. 아래처럼 마커의 Layer 속성을 변경하여 별모양 등으로 모양을 바꿀 수 있습니다. 수정 QGIS 상단의 아래와같이 주석 수정 아이..

회충증 [내부링크]

회충증 개요-신고 대상 및 방법 회충(Ascaris lumbricoides)의 감염형 충란(자충포장란) 감염에 의한 기생충 질환 - 신고범위 : 환자 - 신고를 위한 진단기준 • 환자 :진단을 위한 검사기준에 따라 감염병병원체 감염이 확인된 사람 - 진단을 위한 검사기준 • 검체(대변)에서 회충 충란 확인 • 감염부위에서 충체 확인 - 신고시기 : 7일 이내 신고 - 신고 방법 : 표본감시기관은 기생충감염병 신고서를 작성하여 질병관리본부로 팩스 또는 웹(바로가기)의 방법으로 신고 * 표본감시 대상 의료기관 여부 확인: 관할 보건소로 문의 역학 및 통계 전 세계적으로는 약 8억 인구가 회충에 감염되어 있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회충증은 채소, 김치, 물, 토양 등에 묻어 있는 자충포장란(감염형 충란)을..

폴리오 [내부링크]

폴리오 개요-신고 대상 및 방법 - 신고범위 : 환자, 의사환자 - 신고를 위한 진단기준 ⦁ 환자 : 폴리오에 부합되는 임상증상을 나타내면서 진단을 위한 검사기준에 따라 감염병병원체 감염이 확인된 사람 ⦁ 의사환자 : 임상증상 및 역학적 연관성을 감안하여 폴리오가 의심되나 진단을 위한 검사기준에 부합하는 검사결과가 없는 사람 - 진단을 위한 검사기준 ⦁ 검체(대변, 뇌척수액, 구인두도말, 비인두도말, 혈액)에서 Poliovirus 분리 - 신고시기 : 24시간 이내 신고 - 신고 방법 : 신고서를 작성하여 관할 보건소로 팩스 또는 웹 http://is.kdca.go.kr 방법으로 신고 개요-원인 및 감염경로 폴리오바이러스는 환자의 분변(대변)이 경구로 전파되어 감염될 수 있습니다. 역학 및 통계 1. 세..

[QGIS] 경사도 기본 통계 구하기 [내부링크]

QGIS 경사도 기본 통계 구하기 경사도 면적에 대한 기본 통계를 구하는 방법입니다. 아래 포스팅을 이용해 경사도를 먼저 표시합니다. 2024.01.05 - [QGIS] - [QGIS] 경사도 분석 면적구하기 연속테이블 속성에서 area 컬럼을 추가하고 $area 로 면적을 구합니다. 아래는 면적을 라벨로 표시한 결과입니다. 기본 통계 구하기 위에서 구한 area 컬럼 기준으로 기본통계를 확인하려면 백터 > 분석 도구 > 필드에 대한 기본 통계 를 클릭합니다. 계산할 필드를 area 로 하고 실행하게되면 오른쪽 결과뷰어에 아래처럼 링크가 하나 생깁니다. 이를 클릭하면 아래와 같은 결과 데이터가 웹페이지에 뜹니다. 위 내용을 가지고 문서를 만들때 사용하면 됩니다.

[QGIS] 경사도 분석 [내부링크]

QGIS 경사도 분석 경사도를 구하고 표시하는 방법입니다. 경사도는 수치지형도의 등고선을 가지고 처리합니다. 2024.01.02 - [QGIS] - [QGIS] 수치지형도를 이용한 등고선 넣기 1. 위 포스팅을 보고 수치지형도 등고선을 먼저 추가합니다. 2. 추가된 수치지형도 등고선 Layer 기준 공간 처리 툴박스 에서 TIN 보간을 진행합니다. TIN 보간 진행 시 아래 럼 픽셀크기를 10 으로 처리합니다 3. TIN 보간결과물 Layer 기준으로 레스터 > 분석 > 경사 를 선택하여 경사도를 구합니다. 4. 레스터 > 변환 > 폴리곤화를 선택하여 백터화 합니다. 5. 추가된 백터화된 산출물 Layer 에서 아래처럼 라벨을 단일 라벨로 하여 DN 을 선택하여 라벨을 표시하고 6. 심볼에서 분류값 사용..

[QGIS] 산림입지토양도 이용해 토심 표시하기 [내부링크]

QGIS 산림입지토양도 이용해 토심 표시하기 우선 산림입지토양도는 아레 포스팅을 통해 QGIS 에 표시합니다. 2024.01.01 - [QGIS] - [QGIS] 산림입지토양도 추가하기 산림입지토양도를 넣고 산림입지 토양도 Layer 에서 우클릭 메뉴 속성 심볼에서 규칙기반을 선택하고 값 중 VLDTY_SLDP 기준으로 아래처럼 설정하면 토심의 천,경,심 을 의미합니다. "VLDTY_SLDP" > 0.000000 AND "VLDTY_SLDP" 10.000000 AND "VLDTY_SLDP" 20.000000 결과 위 처럼 천경심을 QGIS 에 표시할 수 있습니다. 또한 아래의 식을 테이블 속성의 필드 계산기를 이용해 컬럼을 추가하여 해당 컬럼을 라벨로 표시되도록하여 처리할 수도 있습니다. if(("VLD..

[QGIS] 임상도(1:5000) 스타일 적용하는 qml 파일 모음 [내부링크]

임상도 스타일 적용하는 파일 https://foss4g.tistory.com/m/1608 임상도(1:5000) QGIS 스타일 파일(*.qml) 공유 안녕하세요? 이번 글은 임상도(1:5000) QGIS 스타일 파일(*.qml)을 공유 드려 봅니다. 임상도를 사용하시는 분들은 공유해드린 파일을 통해 스타일링을 적용하실 수 있습니다. 임상도는 우리나라 국 foss4g.tistory.com 위 사이트에서 제공해 주는 qml 파일로 아래처럼 스타일 적용을 통해 임상도를 나타낼때 여러가지 구분을 두어 지도에 표시할수 있다. 혹시 몰라 여기에도 첨부합니다. 아래는 위 스타일을 적용한 결과 입니다. 라벨은 심볼의 값 컬럼이 AAA_CD 이렇게 되어있으면 라벨은 AAA_NM 이런식으로 지정하면 됩니다. 수종별 경급별..

[QGIS] 수치지질도 표시하기 [내부링크]

QGIS에 수치지질도 표시하기 이전 포스팅에서 다운로드한 수치지질도를 표시하는 방법입니다. 2024.01.05 - [QGIS] - [QGIS] 지오빅데이터의 수치지질도 다운로드 하기 수치 지질도 중에 _Litho 로 끝나는 shp 파일을 QGIS에 추가합니다. 추가할 때 반드시 아래 항목을 ENCODEIN 에 EUC-KR 로 해야 한글이 깨지지 않습니다. 불러오면 심볼이 표시가 안되는데 아래 심볼 리스트 중 하나를 더블 클릭합니다. 아래와 같은 창이 나오면 다운로드 받은 파일 중에 sym 폴더를 바라보도록 수정합니다. 수정하게되면 위처럼 제대로 심볼이 표시되는 걸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렇게 각각의 심볼들을 더블 클릭하여 수정해 주면 됩니다. 결과 여기에 추가로 라벨을 LITHOIDX + LITHONAM..

[QGIS] 지오빅데이터의 수치지질도 다운로드 하기 [내부링크]

QGIS 지오빅데이터의 수치지질도 다운로드 하기 수치지질도를 이용하면 QGIS 상에 지질 종류에 대한 내용을 표시할 수 있습니다. 아래 사이트로 이동합니다. https://data.kigam.re.kr/search 지오빅데이터 오픈플랫폼 × 데이터 품질 인증서 data.kigam.re.kr 여기에서 "수치지질도_5만축척_해당도폭명" 형태로 검색 후 활용신청을 하여 다운로드 합니다. (저는 청주 자료가 필요해 수치지질도_5만축척_청주 로 검색하였습니다.) 해당도폭명은 아래 사이트로 들어가서 원하시는 지역의 도폭명을 찾아서 넣습니다. https://data.kigam.re.kr/mgeo/map/main.do?process=geology_50k 지오빅데이터 오픈플랫폼 × 콘텐츠 오류 신고 1.지오빅데이터 오픈..

[QGIS] 조판에 산사태 위험지도 범례표시 및 축적 표시하는 방법 [내부링크]

QGIS 조판에 산사태 위험지도 범례표시 및 축적 표시하는 방법 산사태 Layer는 이전 포스팅을 참고하여 산사태를 표시합니다. 2024.01.03 - [QGIS] - [QGIS] 산사태 표시하기 산사태 위험도의 각 경계선을 그리기 위해선 산사태 Layer를 레스터 > 변환 > 폴리곤화 해야합니다. 폴리곤화를 하면 아래처럼 산사태 위험도에 따른 경계선이 그려지며 각 위험도에 따라 스타일을 적용하면 아래처럼 화면에 표시됩니다. 이제 위 내용을 조판을 이용해 범례 및 방위, 축적을 추가하는 방법을 알아봅니다. 프로젝트 > 새 인쇄 조판을 클릭하고 이름을 넣으면 조판 화면이 표시됩니다. 1. 지도 추가 항목 추가 > 지도 추가를 하고 드래그 하여 영역을 잡아주면 QGIS에 보였던 지도가 추가됩니다. 2. 축적..

[QGIS] 수치지도 등고선 이용한 등고선 표시 및 라인/라벨 처리하기 (Contours Labels) [내부링크]

QGIS 수치지도 등고선 이용한 등고선 표시 및 라인/라벨 처리하기 이전 시간에는DEM 파일로 등고선을 표시한 후 라벨과 간격선을 굵게 처리했습니다. 2024.01.04 - [QGIS] - [QGIS] DEM 파일 이용한 등고선 표시 및 라인/라벨 처리하기(Contours) 이번 시간에는 수치지형도의 등고선을 이용해서 라인과 라벨을 처리하는 방법을 알아봅니다. 등고선에서 수치를 표시하고 100m 단위 라인을 굵게 표시하는 방법입니다. 1. 등고선 Layer 를 준비, 수치지형도 등고선(F0010000) 하나를 다운받아 추가 아래 포스팅을 참고해주세요 2024.01.02 - [QGIS] - [QGIS] 수치지형도를 이용한 등고선 넣기 2. 추가된 등고선 Layer 우클릭 메뉴 > 속성 > 라벨 설정 우선 ..

무릎 관절 주위의 골절 [내부링크]

무릎 관절 주위의 골절 개요 무릎 관절 주위의 골절에는 원위(부) 대퇴부 골절, 슬개골(무릎뼈) 골절, 근위(부) 경골부 골절 등이 있습니다. 이 골절들 중 관절면을 침범한 경우(관절 내 골절)는 그렇지 않은 경우에 비해 보다 적극적인 치료가 필요합니다. 안정된 수술적 고정 후 무릎 관절 운동을 일찍 시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연부조직(물렁조직)의 상태나 적절한 보호 기간 등을 고려하여 운동을 시작해야 합니다. 단순 방사선 검사나 컴퓨터 단층 촬영(Computed tomography, CT) 등을 통해 골절의 위치와 정도를 잘 파악할 수 있으며, 필요한 경우 자기 공명 영상(Magnetic resonance imaging, MRI)을 촬영하여 동반된 연부조직의 손상 정도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치료 1...

다태임신 [내부링크]

다태임신 개요-정의 다태 임신이란 한 번에 둘 이상의 태아가 임신이 되는 것으로, 이 중 한 번에 두 태아가 임신이 되는 경우를 쌍태 임신(쌍둥이 임신), 한 번에 세 태아가 임신이 되는 경우를 삼태 임신(세쌍둥이 임신)이라 합니다. 개요-종류 1. 일란성 쌍태아 일란성 쌍태아는 하나의 수정된 난자에서 발생하므로, 성별을 포함하여 유전적으로 동일한 아이들이 태어납니다. 하지만 아주 드물게 돌연변이에 의해 다를 수도 있습니다. 2. 이란성 쌍태아 이란성 쌍태아는 두 개의 난자가 각각 다른 정자에 의해 수정이 된 것이므로 유전적으로 다릅니다. 개요-원인 쌍태 임신은 종류에 따라 다른 기전에 의해 발생하는데, 일란성 쌍태아는 하나의 난자가 수정된 후 2개의 배아로 나누어져 발생하며, 이란성 쌍태아는 2개 이상..

유선염 [내부링크]

유선염 개요 유방 조직은 크게 유선 조직과 그것을 지지하는 결체 조직 및 지방 조직으로 이루어집니다. 유선 조직은 젖을 만드는 소엽 조직과 젖을 유두로 운반하는 유관 조직으로 이루어지며, 15~20개의 유엽(소엽)과 이를 연결하는 유관이 유두로 연결되게 됩니다. 개요-정의 유선염(유방염)은 유선 조직에 염증이 생기는 것입니다. 유방의 염증성 질환은 드물게 신생아에서도 발생할 수 있으나, 대부분 18~50세 사이의 여성에서 발생하며, 크게 수유기의 염증성 질환과 비수유기의 질환으로 구별됩니다. 수유기 유선염은 세균이 유관을 통해 침투해 영양 물질이 풍부한 유엽 조직에 염증을 일으키는 경우를 말하는데, 아이의 입 속에 있던 세균이 모유수유를 하는 과정에서 유관을 통해 유선으로 침범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비수..

잣나무 털녹병 [내부링크]

잣나무 털녹병 학명 Cronartium ribicola J. C. Fischer ex Rabenhorst 학명 Blister rust 분포 한국, 아시아, 유럽, 북미 피해 세계 3대 수목병해의 하나인 잣나무 털녹병은 1854년 러시아의 발틱해 연안에서 처음 발견 되었으며, 1900년을 전후하여 유럽전역과 북미에 전파되어 스트로브잣나무림에 큰 피해를 주고 있다. 현재 분포지역은 캄챠카반도, 만주, 한국, 일본, 북아메리카 중북부, 유럽 중북부에 이르는 넓은 지역이다. 우리나라에서는 1936년 강원도 유양군(북한)과 경기도 가평군에서 처음 발견되었고, 그 후 1965년에 강원도 평창군에서 재발견된 이래 전국의 잣나무림으로 확산되었으며 1978년에는 총 4,064ha의 잣나무림에 피해를 주었다. 털녹병에 감..

회화나무 녹병 [내부링크]

회화나무 녹병 학명 Uromyces truncicola 기주나무 회화나무 피해 주로 가로수, 공원수, 아파트 단지의 정원수에서 많이 발생하며, 가지와 줄기에 길쭉한 혹을 만들기 때문에 일명 혹병이라고도 부른다. 혹이 여러 개 생긴 나무는 생육이 나빠지고 기행이 되며, 묘목과 큰 나무 모두 발생한다. 녹병으로서 단종에 기생하고 기주교대가 없다. 병징 및 표징 잎, 가지, 줄기에 발생한다. 잎에는 7월 상순부터 뒷면의 표피를 뚫고 황갈색의 가루덩이들(여름포자퇴)이 나타난다. 8월 중순부터는 황갈색의 여름포자퇴에 섞여서 흑갈색의 가루덩이들(겨울포자퇴)이 조금씩 나타나며, 가을에 접어들면 여름포자퇴는 거의 사라지고 흑갈색의 겨울포자퇴만 남는다. 혹은 매년 비대해지는데, 큰 나무는 혹 때문에 가지가 말라 ..

포플러류 점무늬잎떨림병(낙엽병) [내부링크]

포플러류 점무늬잎떨림병(낙엽병) 학명 Drepanopeziza tremulae Rimpau 학명 Brown spot(Marssonina leaf blight) 분포 한국, 아시아, 유럽, 북미 형태 분생자퇴(分生子堆)는 병반 중앙부에 생기며 크기에는 변이가 있다. 분생자병(分生子柄)은 짧은 원통형으로 밑부분이 약간 넓다. 분생포자(分生胞子)는 무색이고 격막(隔膜)이 1개 있으며 서양배~구두발자국처럼 생겼고 하부세포보다 상부세포가 약간 커서 한쪽으로 약간 구부러져 있으며 크기는 14~18×5~7이다. 자낭반(子囊盤)은 대개는 잎 표면에, 드물게는 잎뒷면에 흩어져 형성되며 일부가 잎 조직에 묻혀 있고 크기는 폭 180~210, 높이 140~160 피해 잎을 침해하며 초여름부터 병든 잎은 낙엽이 되어 성..

[QGIS] Flow Directions(경사방향) 을 화살표로 표시하기 [내부링크]

QGIS Flow Directions 을 화살표로 표시하기 Flow directions(경사방향)을 구하는 방법과 이를 화살표로 표시하는 방법입니다. 아래 포스팅에서 Filled DEM 을 구하는 방법을 보면 공간처리 툴박스의 'Fill Sinks (wang & Liu)' 를 사용합니다. 2024.01.03 - [QGIS] - [QGIS] Filled DEM 구하기 여기에서 Flow Directions 을 체크하면 경사흐름을 분석할 수 있습니다. Flow Directions 결과는 아래와 같습니다. 픽셀크기는 아래 포스팅을 이용해서 픽셀조정해야 합니다. 2024.01.03 - [QGIS] - [QGIS] 래스터 파일 픽셀 크기 조절하기 (Resize Raster Pixel) 공간처리툴박스에서 레스터 픽셀..

[QGIS] Upslope Area 오류 해결방법 [내부링크]

QGIS Upslope Area 오류 시 해결방법 QGIS 에서 upslope 시 python 오류가 발생된다면 아래의 방법을 사용하면 오류가 해결됩니다. QGIS 가 설치된 경로로 갑니다. 거기에서 python\plugins\sagaprovider\description 의 경로로 갑니다. 저 같은 경우 아래의 경로입니다. C:\Program Files\QGIS 3.22.12\apps\qgis-ltr\python\plugins\sagaprovider\description 폴더에 있는 ta_hydrology_upslope_area.txt 파일을 찾고 메모장으로 엽니다. 첫 줄 마지막에 |4 붙이면 오류가 사라집니다. Upslope Area |4

[QGIS] DEM 파일 이용한 등고선 표시 및 라인/라벨 처리하기(Contours) [내부링크]

둥DEM 파일 이용한 등고선 표시 및 라인/라벨 처리하기 DEM 파일에서 등고선을 구하고 수치 표시 및 100m 단위 라인을 굵게 표시하는 방법입니다. 이를 이용하면 등고선을 보다 간략하면서도 눈에 띄게 표시할수 있습니다. 1. DEM Layer 를 준비합니다. 2024.01.03 - [QGIS] - [QGIS] DEM 파일 다운받기 - 국토정보플랫폼 DEM 파일은 위 포스팅을 참고하여 수치표고 모델 img 파일을 추가하면 됩니다. 2. Contour 를 구합니다. 레스터 > 추출 > 등고선 생성 메뉴로 들어갑니다. 입력 레이어 는 DEM 파일을 선택하고 실행 합니다. 결과 위 처럼 등고선이 그려진걸 확인할 수 있습니다. 3. 등고수치 라벨을 추가합니다. 만들어진 등고선 Layer 우클릭 메뉴 속성 에서..

[QGIS] 수계데이터 화살표로 표시하기 [내부링크]

QGIS 수계데이터 화살표로 표시하기 수계 데이터를 화살표로 표시하는 방법입니다. 화살표로 표시하면 하천의 흐름을 파악하기에 유용합니다. 우선 아래 포스팅을 따라 수계(하천) 데이터를 표시합니다 2024.01.03 - [QGIS] - [QGIS] 수계데이터 표시하기 (하천, 하천중심선등) 포스팅을 잘 따라하셨다면 아래처럼 수계 데이터가 표시됩니다. (E0020000 파일 하천중심선만 표시) 추가된 수계데이터 Layer 에서 마우스 우클릭 메뉴의 속성 창을 엽니다. 단순 라인을 선택하고 마커 라인으로 변경합니다. 화살표 표시 간의 간격을 원하는 간격으로 변경합니다. 아래 단순 마커를 클릭하여 SVG 마커로 변경한 후 마커 크기를 적당한 사이즈로 지정 하고 회전 각도를 270도로 합니다. 아래쪽에 SVG 이..

[QGIS] RAMMS : DEBRIS FLOW Simulation 하기 - 토석류 흐름 분석 [내부링크]

RAMMS : DEBRIS FLOW Simulation 하기 RAMMS 프로그램은 산지재해 위험구간 예측을 위한 토석류 흐름을 모의로 실행할 수 있는 프로그랩입니다. http://www.woorimtech.com/product/product_view.htm?idx=1627 우림텍 과학/공학 소프트웨어 전문 www.woorimtech.com 해당 프로그램은 구매해야합니다. DEBRIS FLOW Simulation 아래 아이콘 (Project Wizard)를 클릭합니다. 프로젝트 명을 입력합니다. DEM 파일을 선택합니다. (아래 포스팅 참고) 2024.01.02 - [QGIS] - [QGIS] DEM(수치표고모델) 파일 다운 받기 - 브이월드 오픈마켓 DEM 파일을 선택하고 NEXT 하게되면 아래처럼 DE..

안외상(각막찰과상) [내부링크]

안외상(각막찰과상) 개요 각막이란 안구의 앞쪽을 덮는 혈관이 없는 투명한 층으로 눈에 들어온 빛을 굴절시켜 망막에 상을 맺게 하는 창문과 같은 역할을 하는 조직입니다. 상피, 보우만층, 각막간질, 데스메막, 내피층의 5개의 층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각막표면, 즉 각막 상피가 외상으로 인해 긁혀서 벗겨지는 손상을 각막찰과상이라고 합니다. 증상 심한 통증이 있는 경우가 많으며 눈부심, 이물감, 눈물흘림, 눈 깜빡일 때 불편감 등을 호소하기도 합니다. 결막 충혈과 안검 부종 등도 함께 발생할 수 있습니다. 진단 및 검사 1. 문진 각막찰과상은 눈을 심하게 비비거나 어떤 물체에 긁힌 적이 있는지 혹은 콘택트렌즈의 착용 유무를 확인합니다. 식물(나뭇가지 등)이나 손톱에 의한 경우라면 예후가 좋지 않을 수도 있습니..

안외상(각막이물) [내부링크]

안외상(각막이물) 개요 눈에 철조각이나 유리 조각 등의 이물이 튀어 각막 표면에 붙어있거나 박히는 경우가 있는데, 이를 각막이물이라고 합니다. 증상 각막이물에 의한 주요 증상은 이물감과 함께 눈물흘림, 충혈이지만, 이물종류 및 독성에 따라 심한 통증을 느낄 수도 있습니다. 진단 및 검사 1. 문진 외상의 과거력 및 통증, 눈물 흘림, 충혈을 확인합니다. 2. 안과적 검사 세극등 현미경 검사 을 통하여 각막 이물과 갈색고리 등을 관찰하며, 동반된 각막부종이나 각막 염증이 있는지를 살핍니다. 각막에 세로모양의 상처가 많이 나 있다면, 각막이 아닌 윗눈꺼풀 결막에 이물이 있을 가능성이 있으므로 그에 따른 검사가 필요합니다. 때로는 이물이 안구 내에도 동반될 가능성도 있어, 필요에 따라 CT, 초음파검사나 안저..

[QGIS] Stream Order (하천차수) 표시하기 [내부링크]

QGIS Stream Order 표시하기 우선 DEM 파일을 로드해야합니다. 아래 포스팅을 참고하여 DEM 파일을 로드합니다. 2024.01.03 - [QGIS] - [QGIS] DEM 파일 다운받기 - 국토정보플랫폼 2024.01.02 - [QGIS] - [QGIS] DEM(수치표고모델) 파일 다운 받기 - 브이월드 오픈마켓 1. 우선 DEM 파일을 워프(재투영)합니다. 레스터 > 투영체 > 워프(재투영) 을 선택하고 아래의 창에서 입력레이어에 DEM 을선택하고 좌표계 설정 후 실행 합니다. 2. 재투영된 산출물로 Filled DEM 을 구합니다. 공간처리 툴박스 에서 'Fill Sinks (Wang & Liu)' 를 선택하여 Minimum Slope [Degree] 를 0.01 로 변경하고 Fille..

[QGIS] 특정영역 경사도 분석 [내부링크]

QGIS 특정영역 경사도 분석 경사도 분석을 위해서는 수치지형도를 가지고 TIN 보간까지 완료된 상태여야 합니다. 위 내용은 이전 포스팅을 참고합니다. 2024.01.02 - [QGIS] - [QGIS] 수치지형도를 이용한 등고선 넣기 2024.01.02 - [QGIS] - [QGIS] 수치지형도 등고선 TIN 보간 및 음영기복도 처리하기 TIN 보간이 완료된 항목을 모두 처리하면 시간이 걸리기 때문에 경사도 처리할 부분만 잘라야 합니다. 자르기 위해서는 먼저 그리드를 그리고 경사도를 구할 셀 하나만 남깁니다. 그리드 관련된 내용을 아래 포스팅을 참고합니다. 2024.01.01 - [QGIS] - [QGIS] 그리드 생성하기 2024.01.01 - [QGIS] - [QGIS] 그리드 편집하기 (라벨 표시..

[QGIS] 수계데이터 표시하기 (하천, 하천중심선등) [내부링크]

QGIS 수계데이터 표시하기 QGIS 에서 수계데이터를 표시하기 위해서는 수지지향도 다운로드가 필요합니다. 이전 포스팅을 참고해주세요 2024.01.02 - [QGIS] - [QGIS] DEM(수치표고모델) 파일 다운 받기 - 브이월드 오픈마켓 원하는 위치의 도엽번호 이름을 가진 압축파일을 풉니다 도엽번호는 이전 포스팅을 참고해주세요 2024.01.02 - [QGIS] - [QGIS] 국토정보플랫폼에서 도엽번호 확인하기 수계데이터는 E 로 시작하는 파일들입니다. E00010001 : 하천경계 E00020000 : 하천중심선 E0032111 : 실폭하천 E0052114 : 호수/저수지 참고 : 2024.01.02 - [QGIS] - [QGIS] 수치지형도 지형지물 속성 목록 각각의 shp 파일들을 레이어 ..

포플러류 잎녹병 [내부링크]

포플러류 잎녹병 학명 Melampsora larici-populina Klebahn 학명 Leaf rust 분포 아시아, 남아프리카, 오세아니아, 유럽, 북미, 중미, 남미 형태 으리나라에서는 2종의 균이 분포하고 있으나 대부분의 피해는 M. larici-populina에 의한다. 병자기는 낙엽송과 현호색잎의 표피밑에 있고 반구형으로 높이 50um 폭 90um이다. 수포자퇴는 원형~장타원형으로 직경 1~1.5um이며 4~5월에 낙엽송 또는 현호색의 잎 뒷면에 단독~군생으로 나타나고 잎 표면은 퇴색한 황색반점을 나타낸다. 수포자는 등황색을 띄는 가루모양으로 구형~난형으로 표면에는 가는 돌기가 밀생하고 크기는 22~35 × 17~32um이다. 하포자퇴는 주로 잎 뒷면에 생기며, 하포자는 무색의 난형~타원형으..

포플러류 갈색무늬병(갈반병) [내부링크]

포플러류 갈색무늬병(갈반병) 학명 Mycosphaerella togashiana Ito et Kobayashi 학명 Cercospora leaf spot 일명 Kappan-byo 병원체 Mycosphaerella togashiana S. Ito & Tak. Kobay. 분포 한국, 아시아, 북미 형태 분생자병(分生子柄)은 잎의 양면에 형성된 자좌(子座)에 생기며 담갈색이고 크기는 10~30이다. 분생포자(分生胞子)는 무색의 곤봉형으로 약간 굽으며 1~8개의 격막(隔膜)이 있고 크기는 24~65×2~4이다. 자낭각(子囊殼)의 크기는 71~99×62~96이며 자낭(子囊)은 곤봉형태의 원통형으로 짧은 자루가 있고 크기는 31~43×6~8이다. 자낭에는 8개의 자낭포자(子囊胞子)가 2열로 배열되어 있으며..

포플러류 잎마름병 [내부링크]

포플러류 잎마름병 학명 Septotinia populiperda Waterman et Cash ex Sutton 학명 Leaf blotch 영명 Leaf blight 병원체 Septotinia populiperda Waterman & E.K. Cash. 분포 한국, 일본, 미국(동부지역), 유럽 피해 봄에 발생하여 병든 잎은 일찍 떨어지므로 생장이 많이 저하된다. 이 병은 묘목과 어린 나무에서 많이 발생하는데 특히 도입 포플러류에서 피해가 심하게 발생한다. 병원균은 병든 낙엽에서 균핵 상태로 월동하며 봄에 균핵에 형성된 자낭포자가 포플러의 어린 잎으로 옮겨가 1차 점염원이 된다. 잎뿐만 아니라 작은 가지도 침해되어 가지마름증상을 나타내는 경우도 있으며 곤충의 식해나 상처로부터 병반이 시작되는 경우도 많다..

철쭉류 갈색무늬병 [내부링크]

철쭉류 갈색무늬병 학명 Septoria leaf spot 병원균 Septoria azaleae 피해 잎에 많은 병반이 형성되면서 일찍 떨어져 수세가 약화되고 미관을 해친다. 일단 감염된 지역은 발병이 매년 반복되어 피해가 증가한다. 병징 및 표징 6월 하순부터 잎에 작은 갈색 반점이 나타나며, 병반은 점차 커져 암갈색~남보라색을 띤 2~5mm 크기의 원형 또는 부정형 병반이 되고 건전부와의 경계는 흑보라색으로 명확하게 구분된다. 잎 앞면 병반에는 작은 흑갈색 점(분생포자각)이 나타나며, 다습하면 유백색 분생포자덩이가 솟아오른다. 병든 잎은 품종에 따라 초가을에 일찍 떨어지거나 겨울동안 가지에 붙어 있다가 5~6월에 노랗게 변하면서 일시에 떨어진다. 방제법 6월 하순부터 이미녹타딘트리스알베실레이트 수화제 ..

[QGIS] 래스터 파일 픽셀 크기 조절하기 (Resize Raster Pixel) [내부링크]

래스터 파일 픽셀 크기 조절하기 수치표고 90m DEM 파일을 받으면 픽셀이 커서 분석 시 보기 좋지 않습니다. 그래서 픽셀 크기 조절이 필요한데 크리를 조정하는 방법을 알아봅니다. 래스터 > 투영체 > 워프(재투영) 을 선택합니다. 입력 레이어에 픽셀을 조절할 래스터 Layer (DEM 파일) 를 선택하고 대상 지리참조 단위의 산출 파일 해상도 에 값을 넣어 픽셀 크기를 조절할수 있습니다. (10으로 넣게되면 가로/세로 10m 크기로 픽셀이 조정됩니다.) 위처럼 하고 처리하게되면 유역 분석 시 아래처럼 좀더 디테일한 구분을 할수 있다. 만약 DEM 파일의 픽셀을 줄이지 않고 유역분석을 한 경우 아래처럼 너무 영역이 크게 나와 보기 좋지 않게됩니다.

[QGIS] Area(면적) 구하기 [내부링크]

Area(면적) 구하기 면적을 계산할 백터 Layer 를 선택하고 우클릭 메뉴의 속성 테이블 열기 를 선택하고 상단의 필드 계산기 열기 를 선택합니다. 새로운 필드 생성을 체크하고 면적이 구해질 컬럼을 추가합니다. 산출 필드 이름 : area 산출 필드 유형 : 십진수(실수) 위처럼 설정하고 중간영역에 area 로 검색 후 $area 더블 클릭하여 왼쪽 표현식에 표시가 되도록 한 후 확인 버튼을 클릭합니다. 그러면 속성테이블에 아래 처럼 area 컬럼이 추가되면서 계산된 값이 나타납니다. 단일라벨로 표시하게 되면 아래처럼 면적이 표시됩니다. 단위 표시는 아래 포스팅을 참고해 주세요 2024.01.08 - [QGIS] - [QGIS] 속성 테이블 필드(컬럼) 연결 하기

[QGIS] Filled DEM 구하기 [내부링크]

Filled DEM 구하기 DEM 다운로드 하기 먼저 수치표고모델을 다운로드 해야합니다. 수치표고모델 다운로드 방법은 아래 포스팅을 참고해주세요 2024.01.02 - [QGIS] - [QGIS] DEM(수치표고모델) 파일 다운 받기 - 브이월드 오픈마켓 2024.01.03 - [QGIS] - [QGIS] DEM 파일 다운받기 - 국토정보플랫폼 img 파일을 다운받으면 됩니다. QGIS 에서 레이어 > 레이어 추가 > 레스터 레이어 추가 를 통해 원하는 img 파일을 선택합니다. 위 레스트 레이어를 기준으로 워프(재투영) 합니다. 레스터 > 투영체 > 워프(재투영) 합니다. 아래와 같이 DEM 파일 기준으로 좌표계를 설정하고 실행 합니다. 결과 모습은 변한게 없습니다. Filled DEM 을 하기위해 타..

[QGIS] DEM 파일 다운받기 - 국토정보플랫폼 [내부링크]

DEM 파일 다운받기 - 국토정보플랫폼 국토정보플랫폼에서 DEM 파일 다운받는 방법입니다. 아래 사이트로이동합니다. https://map.ngii.go.kr/ms/map/NlipMap.do 국토정보플랫폼 국토정보맵 선택 선택 map.ngii.go.kr 주소를 검색하여 해당 주소를 선택하고 공개 DEM 을 선택합니다. 필요한 걸 체크하고 다운로드하거나 전체 다운로드 합니다. 저는 전체 다운로드 하였습니다. 다운로드 파일 이름에 img 가 있는 압축파일을 풀면 img 파일이 있는데 이걸 qgis 에서 사용하면 됩니다. QGIS 에서 레이어 > 레이어 추가 > 레스터 레이어 추가 로 추가한 결과는 아래와 같습니다. DEM 파일은 아래 포스팅의 내용등 여러 곳에서 사용됩니다. 2024.01.04 - [QGIS]..

[QGIS] 백터 도형 외곽 부드럽게 하기 (평활화/Smooth) [내부링크]

백터 도형 외곽 부드럽게 하기 아래와 같은 백터 도형이있는 경우 외각기 각져있는데 이 부분이 문서 작성시에는 부드럽게 나타내어 표시할 경우가 있습니다. 각진부분은 부드럽게하는 평활화 하는 방법을 알아봅니다. 백터도형 Layer 를 선택합니다. 공간처리툴박스에서 Smooth 나 평활화로 검색하여 평활화를 더블클릭합니다. 나타난 창에서 실행 버튼을 클릭합니다. 결과 오프셋과 노드 각도를 조정하면 좀 더 완만하게 그릴 수 있습니다.

[QGIS] 산사태 표시하기 [내부링크]

QGIS 에 산사태 표시하기 QGIS 에 산사태를 표시하는 방법입니다. 먼저 산사태 정보를 얻어야합니다. 산림공간정보 서비스 사이트로 들어갑니다. https://map.forest.go.kr/forest/#none 산림공간정보서비스 모암 속성 정보안내 대분류 소분류 화성암 화강암류,섬록암,반암,현무암,안산암,유문암 등 퇴적암 역암,사암,혈암,응회암,점판암,석회암,Shale 등 변성암 화강편마암,편암,천매암,기타 변성암류 map.forest.go.kr 좌측 상단의 무료신청 버튼을 선택합니다. 산사태위험지도 를 체크하고 다음 주소를 검색하여 선택 후에 신청목적과 활용용도 및 신청사유 간단히 적고 다운로드 버튼을 누르면 아래에 다운로드 링크가 생성되며 클릭하여 파일을 다운 받습니다 산사태위험 지도는 img 확..

[QGIS] 객체 안에 있는 그리드 셀만 선택하기 [내부링크]

객체 안에 있는 그리드 셀만 선택하기 그리드를 그린 후 특정 도형 안에 속한 셀만 선택하는 방법입니다. 먼저 라인 shp Layer 가 있다면 선을 면으로 변경해야 합니다. 이 방법은 아래 이전 포스팅을 참고합니다. 2024.01.02 - [QGIS] - [QGIS] 라인을 면으로 변환하기 이제 면으로된 Layer 기준으로 그리드를 추가합니다. 2024.01.01 - [QGIS] - [QGIS] 그리드 생성하기 아래처럼 그리드 Layer와 면 Layer 가 있게 됩니다. 여기에서 면에 속한 셀만 선택되도록 하려면 백터 > 조사도구 > 위치로 선택.. 을 선택합니다. 다음 위치에서 객체 선택 에 그리드 선택 다음과 같은 객체를 비교 에 면 Layer 선택 실행하게 되면 아래처럼 노란색으로 내부만 선택된 걸..

[QGIS] 수치지형도 등고선 TIN 보간 및 음영기복도 처리하기 [내부링크]

수치지형도 등고선 TIN 보간 및 음영기복도 처리하기 수치지형도를 이용한 등고선 표시는 이전 포스팅을 확인합니다. 2024.01.02 - [QGIS] - [QGIS] 수치지형도를 이용한 등고선 넣기 QGIS 에 등고선이 표시가 되면 TIN 보간 공간처리툴박스 > 보간 > TIN 보간 을 선택합니다. 백터 레이어에 등고선 수치지형도 Layer 선택하고 보간 속성값은 등고수치를 선택합니다. 산출레이어 크기 필요에 따라 적는데 저는 픽셀크기를 10×10 으로 처리했습니다. 1 × 1 로 하면 더 미세한 정보를 얻습니다. 실행결과 음영기복도 음영기복도는 TIN 보간 된 Layer를 선택하고 우클릭 메뉴 속성에 들어갑니다. 아래그림의 창이 뜨면 심볼에서 랜더링 유형을 음영기복도로 바꾸면 됩니다. (레이어 랜더링의..

[QGIS] 수치지형도 지형지물 속성 목록 [내부링크]

수치지형도 지형지물 속성 목록 수치지형도를 다운 받은 경우 각 도엽번호에 해당하는 압축 파일을 풀면 아래 처럼 영어로 시작하는 파일들이 나열되어 있습니다. 각 영문자가 의미하는바가 무엇인지에 대한 정보가 있는 사이트 & 파일입니다. https://www.law.go.kr/LSW/admRulBylInfoP.do?directYn=Y&admFlag=1&bylSeq=1998433&admRulSeq=2100000178725 아래 그림처럼 Layer 에 각 파일명이름이 있고 지형지물이름 에서 어떤 데이터를 의미하는지 적혀있습니다. 수치지형도에서 위 파일이름을 가지고 QGIS 에서 필요한 걸 가져다 쓰면 됩니다.

[QGIS] 수치지형도를 이용한 등고선 넣기 [내부링크]

수치지형도를 이용한 등고선 넣기 우선 이전 포스팅에서 오픈마켓을 통한 수치지형도 다운로드가 필요합니다. 2024.01.02 - [QGIS] - [QGIS] 수치지형도 오픈마켓에서 다운받기 - 브이월드 다운로드가 완료되면 압축을 풀고 도엽번호 기준으로 zip 파일을 찾습니다. 도엽번호 확인을 아래 포스팅을 참고해주세요 2024.01.02 - [QGIS] - 국토정보플랫폼에서 도엽번호 확인하기 파일을 찾으면 압축을 풉니다. 압축을 풀면 아래와 같은 많은 파일들이 있는데 이것들 중 등고선은 F0010000 입니다. F0010000.shp 파일을 레이어 > 레이어 추가 > 백터 레이어 추가로 엽니다. * F0010000 이 아래표에 보듯이 등고선을 의미합니다. 위 코드에 대한 내용은 아래 포스팅을 참고해주세요 ..

[QGIS] 국토정보플랫폼에서 도엽번호 확인하기 [내부링크]

국토정보플랫폼에 도엽번호 확인하기 아래 국토정보플랫폼 국토정보맵 사이트로 들어갑니다. https://map.ngii.go.kr/ms/map/NlipMap.do 국토정보플랫폼 국토정보맵 선택 선택 map.ngii.go.kr 원하는 지역을 검색하고 아래처럼 수치지형도를 보면 이름에 도엽번호가 있습니다. (보은010)36711010 이렇게 되있는 부분에서 36711010 이 도엽번호입니다. 더 자세한 위치를 알고 싶은 경우에는 안경모양 버튼을 클릭합니다. 아래 처럼 창하나가 뜨면서 해당 도엽번호가 위치한 곳이 어딘지 지도에 표시해줍니다. 이전에 포스팅했던 오픈마켓에서 수치지형도를 다운받은 후 2024.01.02 - [QGIS] - [QGIS] 수치지형도 오픈마켓에서 다운받기 - 브이월드 위 도엽번호 이름을 가..

매일 먹어도 건강에 좋은 식품 7가지 [내부링크]

매일 먹어도 건강에 좋은 식품 7가지 1. 블루베리 그 어떤 과일보다도 항산화 성분이 많다. 암, 당뇨병에 좋으며 나이에 따른 기억력 감소에도 도움이 된다. 블루베리는 비타민A, C를 많이 갖고 있어 심장혈관을 건강하게 유지하도록 한다. 2. 토마토 산화방지제인 라이코펜이 많다. 라이코펜은 폐암, 전립선암, 방광암, 피부암, 위암 등의 발병을 줄인다. 토마토는 케첩이나 소스로도 먹을 수도 있다. 라이코펜은 수박, 파파야, 구아바 등에도 풍부하다. 3. 요구르트 몸 속 나쁜 박테리아와 싸우는 프로바이오틱스(생균제) 성분을 갖고 있어 면역체계를 강화시키고 암을 예방한다. 아침 대신 요구르트를 과일이나 꿀과 함께 먹거나 드레싱으로 뿌려먹어도 좋다. 4. 호두 연어보다 오메가-3 지방산이 많고 적포도주보다 염증..

이미지를 4K 화질로 만들어 주는 사이트 (4K Upscale) [내부링크]

이미지를 4K 화질로 만들어 주는 사이트 이미지를 무료로 업스케일링 해주는 사이트를 발견해서 소개합니다. 어떤 사이트는 변환할 때마다 광고가 뜨고 .. 다른 새창이 열리고 하는데 이 사이트는 전혀 그런거 없이 업스케일링 해줍니다. https://www.upscale.media/upload Upload Image to Enlarge & Enhance | Upscale.media Upload your image and choose between 2x, 4x, or simple artifact removal. Use our super-resolution tool and bring new life to your images. www.upscale.media upscaling 할 이미지를 선택하면 아래에 변환된 ..

천하장사 씨름대회 40주년 은화 [내부링크]

천하장사 씨름대회 40주년 은화 아버지가 수집광 이시라 이번에도 기념주화를 구매했습니다. 금화는 너무 비싸서 은화로 구매했는데 생각보다 퀄리티가 좋습니다. 은화에 색도 입혀져 있고 역동적인 씨름 선수의 움직임이 잘 표현되어 있네요 생각보다 퀄리티가 좋아서 만족스럽네요 아버지의 수집품에 하나 추가합니다. ^^

[QGIS] DEM(수치표고모델) 파일 다운 받기 - 브이월드 오픈마켓 [내부링크]

DEM(수치표고모델) 파일 다운 받기 1. 오픈 마켓을 이용한 방법 오픈 마켓을 이용하면 한반도 데이터를 모두 다운 받습니다. 아래 사이트로 들어가 DEM 으로 검색하고 다운받습니다. https://www.vworld.kr/dtmk/dtmk_ntads_s001.do 브이월드 오픈마켓 오픈마켓 오픈마켓 데이터셋을 소개합니다. www.vworld.kr DEM 검색 결과 링크 ↓ https://www.vworld.kr/dtmk/dtmk_ntads_s002.do?dsId=30206 브이월드 오픈마켓 www.vworld.kr 압축을 풀면 img 파일이 하나 있습니다. 아래는 QGIS 에서 나타낸 모습니다. 2. 검색으로 다운 받는 방법 검색하여 특정 지역의 DEM 파일을 받는 방법입니다. 아래 사이트로 이동하여 ..

[QGIS] 기초 배우기 좋은 사이트 [링크] [내부링크]

QGIS 기초 배우기 좋은 사이트 아래 사이트로 가면 QGIS 에 대한 기초 내용을 배울 수 있습니다. https://wikidocs.net/book/7669 QGIS기초실습 * [QGIS Desktop User Guide/Manual-영문판](https://docs.qgis.org/3.22/en/docs/user_manual/index.html) … wikidocs.net QGIS 처음 시작 할 때 한번 쭉 보면 좋을 자료 입니다. 위 사이트 기준으로 QGIS 학습 포스팅을 해볼 예정입니다.

[QGIS] 라인을 면으로 변환하기 (Lines to polygon) [내부링크]

라인을 면으로 변환하기 (Lines to polygon) 라인으로 되어있는 shp 파일의 선을 면으로 변환하는 방법입니다. 먼저 QGIS 에 shp 파일을 로드합니다. 레이어 > 레이어 추가 > 백터 레이어 추가.. 메뉴에서 shp 파일이 로드되어 아래 처럼 표시된 상태입니다. 백터 > 도형 도구 > 라인을 폴리곤으로... 선택합니다. 입력 레이어에 라인으로 되어있는 Layer 를 선택하고 실행합니다. 실행하면 아래처럼 면으로된 Layer 가 추가됩니다. 포인트도 면으로 변경이 가능합니다.

[QGIS] 좌표계코드 확인하는 방법 - GRS80 [내부링크]

좌표계코드 확인하는 방법 - GRS80 국토정보플랫폼에서 지도데이터 다운로드 시 아래처럼 좌표체계가 있습니다. 이 정보를 가지고 아래 좌표계코드를 보면 EPSG:5181, EPSG:5186 임을 알수 있습니다. 이를 가지고 QGIS 에서 좌표를 맞출 때 사용합니다. 아래 좌표계코드를 보고 해당 좌표계를 확인하고 적용하면 됩니다. 좌표계코드 BESSEL 경/위도 EPSG:4004, EPSG:4162 WGS84 경/위도 EPSG:4326, EPSG:4166 서부원점(GRS80) EPSG:5185 중부원점(GRS80) EPSG:5181, EPSG:5186 동부원점(GRS80) EPSG:5187 동해(울릉)원점(GRS80) EPSG:5188 UTM-K (GRS80) EPSG:5179 Google Mercator..

[QGIS] 수치지형도 오픈마켓에서 다운받기 - 브이월드 [내부링크]

수치지형도 오픈마켓에서 다운받기 수치지형도 다운은 이전 포스팅에서 다뤘습니다. 2024.01.02 - [QGIS] - [QGIS] 수치지형도 다운로드 하기 그런데 하천이나 도로 등을 구분하여 표시를 위해서는 압축파일이 필요합니다. 그래서 예전 방식대로 오픈마켓에서 수치지형도 압축 파일을 다운 받는 방법을 알아봅니다. 예전에는 지역별로 받을수 있었는데 이제는 전국을 다운 받아야 하는거 같습니다. 아래 사이트로 이동하여 '수치지형도' 로 검색합니다. https://www.vworld.kr/dtmk/dtmk_ntads_s001.do 브이월드 오픈마켓 오픈마켓 오픈마켓 데이터셋을 소개합니다. www.vworld.kr 아래로 내리면 수치지형도v2.0(1:5000) 이 있습니다. https://www.vworld...

[QGIS] 수치지형도 다운로드 하기 - 브이월드 [내부링크]

수치지형도 다운로드 하기 수치지형도 다운로드 하는 사이트가 하나로 통합되어 이제는 국토정보플랫폼 에서만 다운로드가 가능합니다. 아래 사이트로 들어갑니다. https://map.ngii.go.kr/ms/map/NlipMap.do 국토정보플랫폼 국토정보맵 선택 선택 map.ngii.go.kr 먼저 로그인을 합니다. 로그인을 안하고 지형도 다운받기 버튼을 클릭 후 로그인 해도 됩니다. 로그인 하게되면 좌측에 공간정보받기 를 선택하고 주소를 검색합니다. 검색하면 아래 검색 결과가 나오고 원하는 위치를 선택 한 후 우측 수치지도를 선택합니다. 수치지형도 중 원하는 걸 체크하고 다운로드 합니다. (체크하면 지도의 어느 부분인지 살짝 노란색으로 표시됩니다.) 아래 화면이 뜨면 사용목적을 선택하고 다운로드 합니다. 파..

[QGIS] 정사영상 좌표 맞추기 [내부링크]

정사영상 좌표 맞추기 우선 정사영상은 아래 이전 포스팅을 참고하여 다운로드 받으면 됩니다. 2024.01.02 - [QGIS] - [QGIS] 정사영상 다운로드 및 활용 - 과거항공지도 다운로드 정사 영상을 QGIS 에 넣으면 좌표가 맞지 않습니다. 이를 맞추기 위해서는 아래의 과정을 거쳐야합니다. 1. 먼저 기준이되는 수치지형도의 A0010000.shp 파일을 QGIS 에 추가합니다. (수치지형도 다운받는 곳 : https://map.ngii.go.kr/ms/map/NlipMap.do) 2. 추가된 A0010000 수치 지형도 우클릭 메뉴의 속성으로 들어가서 범위 부분을 복사합니다. 3. 레스터 > 변환 (포맷변경) 을 선택합니다. 4. 변환(포맷변경) 창이 뜨면 입력 레이어에 정사영상을 선택하고 산출..

[QGIS] 정사영상 다운로드 및 활용 - 과거항공지도 다운로드 [내부링크]

정사영상 다운로드 및 활용 - 과거항공지도 다운로드 정사영상이란? 지표면의 비고(比高)에 의하여 발생하는 사진 상의 각 점의 왜곡을 보정하여 동일 축척이 되도록 지도처럼 만든 영상 을 의미합니다. 국토정보플랫폼(아래링크) 사이트로 들어갑니다. http://map.ngii.go.kr/ms/map/NlipMap.do?tabGb=total 국토정보플랫폼 국토정보맵 선택 선택 map.ngii.go.kr 좌측의 통합지도검색을 선택합니다. 주소로 검색 후 원하는 주소 선택 후 정사영상을 선택하고 원하는 년도의 지도를 체크합니다. 다운로드 버튼을 클릭해 다운로드 합니다. (로그인 필요) 원라는 걸 체크 후 다운로드 하면 아래 처럼 창이 뜨면서 다운로드가 됩니다. 속도가 느린경우 창을 닫고 재시도 하면 좀 빨라집니다...

철쭉류녹병 [내부링크]

철쭉류녹병 병원균 Chrysomyxa rhododendri 피해 이종기생성병으로 철쭉류에서 여름포자, 겨울포자, 담자포자를 형성하고, 가문비나무류에서 녹포자, 녹병포자를 형성한다. 병징 및 표징 5월경부터 잎 앞면에 노란색 작은 반점이 나타나고, 잎 뒷면에는 노란색 가루덩이(여름포자퇴)가 나타난다. 여름포자에 의한 반복감염은 잎 앞면이 노란색, 자주색 등 다양한 색상을 띤다. 9월 이후에는 잎 뒷면에 적갈색 겨울포자퇴 및 겨울포자를 형성하며, 이 겨울포자가 성숙해 발아한 담자포자가 바람을 타고 중간기주인 가문비나무의 잎으로 기주이동해 균사 상태로 월동한다. 방제법 이른 봄부터 트리아디메폰 수화제 800배액 또는 페나리몰 수화제 3,300배액을 2주 간격으로 3~4회 살포한다 가장 좋은 방법은 기주교대의 ..

철쭉류 민떡병 [내부링크]

철쭉류 민떡병 병원균 Exobasidium japponicum, 곰팡이, 담자균류 피해수목 철쭉류, 진달래류 분포 전국 월동 담자포자와 분생포자 특징 철쭉류 민떡병은 봄에 비가 많이 왔을 때, 햇빛이 부족한 곳에서 잘 발생하는데, 나무의 생육에 이렇다 할 피해를 주지는 않지만 심하게 발생하면 나무의 미관이 손상된다. 이 병은 비록 떡병균의 일종에 의해 발생하지만, 전형적인 떡병들처럼 병환부가 부풀어 오르지 않고 밋밋하다고 해서 민떡병이란 별명이 붙여졌다. 병징 및 표징 5월 상순~6월 상순에 주로 아랫잎에 많이 발생한다. 처음에는 새로 피어난 어린잎의 앞면에 지름 3~10mm 되는 황록색~황백색의 둥근 병반이 나타나는데 건전부와의 경계는 또렷하지 한고 희미한 모습을 띤다. 한편, 병반의 뒷면은 흰 가루를..

철쭉떡병(병병) [내부링크]

철쭉떡병(병병) 학명 Exobasidium japonicum Shirai 학명 Leaf gall 일명 Moti-byo 분포 전국 형태 담자병(擔子柄)은 병환부의 잠입균사에서 발달하여 표피조직을 뚫고 외부에 나와 자실층(子實層)을 형성한다. 담자병(擔子柄)은 곤봉형 또는 원통형이며 보통 5~6개의 작은 자루(小柄)가 생기나 드물게는 2~7개를 형성하는 것도 있다. 담자포자(擔子胞子)는 이 자루위에 1개씩 형성된다. 담자포자(擔子胞子)는 무색이며 원통모양의 심장형으로 평활하며 크기는 12~15×4이다. 자실층(子實層)에는 막대기모양의 분생포자(分生胞子)가 혼생(混生)한다. 피해 철쭉류와 진달래류에서 드물게 발견된다. 병든 잎이 기형으로 뒤틀리므로 미관을 해친다. 방제법 병든 부분은 잘라서 태우며 발병초기부..

참나무시들음병 [내부링크]

참나무시들음병 참나무 시들음병은 참나무류가 급속히 말라 죽는 병으로, 매개충인 광릉긴나무좀과 병원균인 Raffaelea quercus mongolicae 간의 공생작용에 의해 발병하며 갈참나무, 신갈나무, 졸참나무에서 피해가 크다. 병원균 Raffaelea quercus mongolicae 피해 건강한 참나무류가 급속히 말라 죽는 병으로 매개충인 광릉긴나무좀과 병원균 간의 공생작용에 의해 발병하며 갈참나무, 신갈나무, 졸참나무에서 피해가 크다. 병징 및 표징 매개충인 광릉긴나무좀 성충이 5월 상순부터 나타나서 참나무류로 침입한다. 피해목은 7월 하순부터 빨갛게 시들면서 말라 죽기 시작하고 겨울에도 잎이 떨어지지 않고 붙어 있다. 고사목의 줄기와 굵은 가지에 매개충의 침입공이 다수 발견되며, 주변에는 목재..

[QGIS] 보간 산출물 저장하기 [내부링크]

보간 산출물 저장하기 QGIS 에서 보간 산출물은 임시레이어 아이콘을 클릭해도 저장 창이 나타나지 않습니다. 이는 저장형식이 달라서 기존 저장과는 다릅니다. 보간 산출물은 마우스 우클릭 메뉴로 저장해 줘야 합니다. 우클릭 메뉴 Export > 다른 이름으로 저장을 선택합니다. 아래의 창이 뜨면 적당한 이름과 위치를 지정하고 저장된 파일을 지도에 추가를 체크하고 확인하게 되면 아래처럼 임시레이어 아이콘이 사라진 보간산출물 TEST Layer 가 추가된 걸 볼 수 있습니다. 이제 임시 레이어 아이콘이 있는 원본 Layer 는 제거합니다. 기존 레이어가 저장되는 방식이 아닌 새로운 저장 Layer 가 추가되는 방식이다 보니 기존 레이어를 항상 지워야 해서 개수가 많아질수록 저장하는 게 힘들어집니다.

원더쉐어 필모라 구매 후기 (환불 절대 안됨 구매 주의) [내부링크]

원더쉐어 필모라 구매 후기원더쉐어 필모라의 기능이 괜찮고 가격도 잘 나와서 구매를 했습니다. 구매한 이유는 리소스가 다양하고 워터마크를 제거하기 위해서 입니다. 그런데 구매하고 나서 사용하다 보니 리소스가 여전히 사용이 안되길래 확인해 보니 리소스는 또 요금제가 있더군요; 프로그램 상단에 아래 마크를 클릭해서 들어가 보니리소스 관련 요금제가 나왔습니다. 가격도 저렴하지 않습니다;; 그럼 필터 하나 없애려고 구매를 한 거나 다름없게 된...;;; 그래도 필모라 프로그램에 있는 AI 기능을 좀 사용하고 싶었고...기존에 캡컷을 사용하고 있었는데 화면도 비슷하고 사용법도 비슷했고무료 동영상/이미지/음악 같은걸 사이트 통하지 않고 프로그램에서 확인 후 바로 사용할 수 있어서 편의성이 높고거기에 AI 음악, AI..

[QGIS] 등고선 TIN 보간 음영기복도 표시하기 [내부링크]

등고선 TIN 보간 음영기복도 표시하기 이전 포스팅을 통해 TIN 보간을 완료가 되면 2024.01.01 - [QGIS] - [QGIS] 등고선을 이용해 TIN 보간하기 TIN 보간이 수행되어 만들어진 보간 산출물 Layer에서 음영기복도를 보는 방법입니다. 보간 산출물 Layer 우클릭 메뉴 > 속성에 들어가 아래그림의 창이 나오면 심볼에서 렌더링 유형을 음영기복도로 선택합니다. 아래 쪽에 레이어 랜더링, 리샘플링으로 결과물을 조정할 수 있습니다. 혼합모드를 이용해 혼합되는 방식을 조정하여 지도와 이질감없이 혼합이 가능합니다. 확인 버튼을 클릭하면 아래와 같이 음영 기복도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음영기복도는 TIN 보간 수치가 낮을수록 부드럽게 나오고 클수록 조각나게 보여지게됩니다. 등고선을 기반으로 ..

[QGIS] 등고선을 이용해 TIN 보간하기 [내부링크]

등고선을 이용해 TIN 보간하기 등고선에서 특정 영역을 범위로 백터 자르기를 이용해 잘라낸 후 잘라낸 Layer 에서 TIN 보간을 하는 방법니다. 먼저 등고선 데이터가 크므로 아래 포스팅을 참고하여 잘라냅니다. 2024.01.01 - [QGIS] - [QGIS] 범위로 백터 자르기로 영역 자르기 공간 처리 툴박스 에서 보간 > TIN 보간 을 더블클릭합니다. 창이 열리면 아래와 같이 선택합니다. 백터 레이어는 잘라낸 등고선 산출물을 선택하고 CONT 를 보간 속성값으로 설정합니다. + 버튼을 클릭해 CONT 항목을 추가하고 범위를 선택하여 TIN 보간할 영역을 잡아줍니다. (범위는 잘라낸 산출물 Layer 를 선택해도 됩니다.) '실행' 버튼을 클릭합니다. 범위가 넓을수록 시간이 오래걸립니다. (등고선..

[QGIS] 범위로 백터 자르기로 영역 자르기 [내부링크]

범위로 백터 자르기로 영역 자르기 등고선 같은 경우 아래와 같이 데이터가 크므로 로딩하는데 시간이 엄청 걸리게 됩니다. 지도 이동을 할 때마다 다시 그리느라 QGIS 프로그램이 많이 힘들어하게 됩니다.^^; 그래서 백터 자르기를 통해 원하는 영역만 선택하여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공간 처리 툴박스에서 GDAL > 백터 지리 정보 처리 > 범위로 백터 자르기를 더블클릭합니다. 잘라낼 영역의 우측 선택에서 캔버스에 그리기를 선택합니다. 아래처럼 영역을 지정합니다. (약가 회색영역으로 잡힌 부분) 그러면 범위 선택이 완료되며 아래와 같은 창이 뜨고 '실행' 버튼을 클릭합니다. 아까 잘라낸 부분이 잘라낸 산출물(영역)으로 Layer 가 추가됩니다. 위처럼 잘라낸 영역만 등고선 데이터가 표시됩니다. 이렇게 잘라..

[QGIS] 산림입지토양도 추가하기 [내부링크]

산림입지토양도 추가하기 아래 산림공간정보서비스 사이트로 이동합니다. https://map.forest.go.kr/forest/#none 산림공간정보서비스 모암 속성 정보안내 대분류 소분류 화성암 화강암류,섬록암,반암,현무암,안산암,유문암 등 퇴적암 역암,사암,혈암,응회암,점판암,석회암,Shale 등 변성암 화강편마암,편암,천매암,기타 변성암류 map.forest.go.kr 좌측 상단에 무료 신청 버튼을 눌러 산림입지 토양도(1:25000)를 체크하고 다음을 클릭합니다. 아래처럼 행정구역으로 선택 탭을 선택하고 시군구로 선택 후 주소 선택 후 검색합니다. 검색하면 아래 결과가 표시되고 여기에 있는 산림입지 토양도 압축파일을 다운로드할 수 있습니다. 레이어 > 레이어추가 > 백터레이어추가 하여 다운받은(sh..

[QGIS] 임상도 넣어 표시하기 [내부링크]

임상도 넣어 표시하기 임상도는 산림공간정보서비스 사이트에서 다운받아서 사용할 수 있습니다. 아래 사이트로 이동합니다. https://map.forest.go.kr/forest/#none 산림공간정보서비스 모암 속성 정보안내 대분류 소분류 화성암 화강암류,섬록암,반암,현무암,안산암,유문암 등 퇴적암 역암,사암,혈암,응회암,점판암,석회암,Shale 등 변성암 화강편마암,편암,천매암,기타 변성암류 map.forest.go.kr 좌측 상단에 무료신청 버튼을 클릭하고 우측에서 임상도를 체크한 후 다운로드합니다. (그 외 다른 항목들이 필요하다면 체크하면 됩니다.) 2021 임상도를 다운로드합니다. ( 주소 기준 임상도를 다운로드할 수 있습니다. ) 레이어 > 레이어 추가 > 백터 레이어 추가하여 다운로드한 임상도..

[QGIS] 등고선 표시하기 [내부링크]

등고선 표시하기 이전 포스팅을 참고하여원하는 등고선을 다운로드합니다. 2024.01.01 - [QGIS] - [QGIS] 등고선 다운로드 하기 레이어 > 레이어 추가 > 백터 레이어 추가 등고선 shp 파일 선택합니다. 등고선 Layer 우클릭 메뉴에서 라벨에서 단일 라벨 선택 후 값은 CONT로 선택합니다. 지도에 표시하면 라벨이 검은색이라 안보이니 노란색으로 변경합니다. 적용 및 확인하게 되면 아래 그림과 같이 등고선이 표시됩니다. 등고선 관련 포스팅 2024.01.01 - [QGIS] - [QGIS] 등고선 TIN 보간 음영기복도 표시하기 2024.01.01 - [QGIS] - [QGIS] 등고선을 이용해 TIN 보간하기

[QGIS] 임시 스크래치 레이어 저장하기 [내부링크]

임시 스크래치 레이어 저장하기 프로젝트 저장 시 아래와 같은 창이 떴을 때 예 를 클릭하면 힘들게 작업한 Layer 중 임시 레이어가 사라지게 됩니다. 만들어진 Layer는 반드시 shp 파일로 저장해야 합니다. 위처럼 Layer 옆에 저 표시가 있다면 스크래치 레이어로 저장을 해줘야 합니다. 아이콘을 클릭하면 아래처럼 창이 뜨고 이름 지정 후 저장합니다. 이렇게 하면 Layer 손실을 방지할 수 있습니다. 일일이 하나씩 저장해줘야 합니다. 한꺼번에 여러 Layer 를 저장하는 기능이 없다는 게 아쉽네요

[QGIS] 지도기준 그리드의 셀 선택하기 [내부링크]

지도기준 그리드의 셀 선택하기 지도기준으로 그리드의 셀을 선택하는 방법입니다. 이렇게 하면 그리드의 셀 중 지도안에 있는 셀만 선택이 가능합니다. 백터 > 위치로 선택으로 들어가면 아래처럼 창이 뜹니다. 다음 위치에서 객체 선택 에는 그리드를 선택하고 비교할 항목을 다음과 같은 객체를 비교에 Layer를 선택합니다. 실행을 하게 되면 intersect로 선택하였기 때문에 선과 맞닿은 부분이 아래처럼 선택됩니다. 여기에서 아래 이전 포스팅에 있는 방법대로 제거하게 되면 2024.01.01 - [QGIS] - [QGIS] 그리드 편집하기 (라벨 표시, 삭제) 선에 맞닿은 부분만 남기고 그리드 셀을 제거할 수 있습니다.

[QGIS] 그리드 편집하기 (라벨 표시, 삭제) [내부링크]

그리드 편집하기 (라벨 표시, 삭제) 그리드 생성 후 라벨 표시 및 편집하는 방법입니다. 라벨 표시 그리드 우클릭 메뉴 > 속성 라벨에서 단일 라벨 로 변경하고 확인 버튼을 클릭합니다. 편집 - 삭제 그리드 우클릭 메뉴에서 속성 테이블 열기 를 선택합니다. 아래 그리드 창에서 Ctrl을 누른 상태로 행 번호를 선택하면 아래처럼 여러 행을 선택할 수 있고 qgis 화면의 그리드에 노란색으로 선택된 걸 볼 수 있습니다. 상단 좌측에 연필모양 아이콘을 누르고 삭제합니다. 그러면 아래처럼 삭제된 걸 확인할 수 있습니다. 다시 연필 버튼을 누르면 아래처럼 저장 확인 창이 뜨고 저장하면 선택된 그리드 셀은 제거됩니다.

[QGIS] 그리드 생성하기 [내부링크]

그리드 생성하기 지도 위에 그리드(사각형표모양)를 생성하는 방법입니다. 백터 > 조사도구 > 그리드 생성을 클릭합니다. 그리드 유형을 사각형(폴리곤) 선택하고 그리드 범위를 사각형 그릴 Layer 를 선택하거나 직접 영역을 지정합니다. 수평, 수직 10미터(원하는대로) 로 설정합니다. 실행 버튼을 클릭하게되면 격자 그리드가 생성됩니다. 속성테이블로 들어가 그리드에 번호표현도 가능합니다. 다음 포스팅에서 그리드 관련 내용을 더 확인할 수 있습니다. 2024.01.01 - [QGIS] - [QGIS] 그리드 편집하기 (라벨 표시, 삭제) 2024.01.01 - [QGIS] - [QGIS] 지도기준 그리드의 셀 선택하기 2024.01.03 - [QGIS] - [QGIS] 객체 안에 있는 그리드 셀만 선택하기

[QGIS] 등고선 다운로드 하기 - 브이월드 오픈마켓 [내부링크]

등고선 다운로드 하기 - 브이월드 오픈마켓 등고선 다운로드 사이트로 들어가 등고선 압축 파일을 다운받습니다. https://www.vworld.kr/dtmk/dtmk_ntads_s002.do?dsId=30185 브이월드 오픈마켓 www.vworld.kr

[QGIS] 지적도 선택 영역만 추출하기 [내부링크]

지적도 선택 영역만 추출하기 지적도에서 선택되 있는 영역만 추출하는 방법입니다. 지적도중 원하는 곳을 선택합니다. 저는 아래 처럼 속성 테이블을 이용해 선택했습니다.(노란색영역) 지적도 Layer 에서 속성 > Export > 선택한 겍체를 다른 이름으로 저장 을 선택합니다. 포맷을 ESRI shapehile 를 선택합니다. (shp 파일로 추출하기 위함) 추출하게되면 shp 파일이 생성되면서 Layer 도 현재 프로젝트에 추가됩니다. 추가된 Layer 를 활용하고 지적도의 내용은 안보이게 처리하면 QGIS 화면에 선택하여 저장한 Layer 만 표시됩니다.

[QGIS] 특정 주소 영역 찾아 표시하기 - 속성테이블 [내부링크]

특정 주소 영역 찾아 표시하기 - 속성테이블 지적도에서 특정 위치를 찾아 영역을 선택하고 싶을 때 속성 테이블을 사용합니다 지적도 Layer에서 마우스 우클릭 메뉴의 속성 테이블 열기를 선택합니다 아래처럼 지적도에 있는 주소가 표시됩니다. 앞에 번호는 선택하게 되면 선택이 되어 지도에 표시되며 지도에서 보이지 않을 때는 선택한 영역에서 마우스 우클릭하여 객체로 이동 을 선택하면 됩니다. 이 목록에서 특정 주소를 찾고 싶은 경우 좌측 하단 내용에서 아래처럼 필드 필터를 이용해 찾을 수 있습니다. jibun 으로 검색을 하면 글자를 쓰면 비슷한 내용의 주소가 뜨게됩니다. 그중에 하나를 선택하고 Enter 합니다. 그렇게 되면 속성테이블에 해당 주소만 표시됩니다. 이제 주소로 검색을 해볼차례입니다. 주소 검색..

[QGIS] 지적도에 지번 표시하기 [내부링크]

QGIS 지적도에 지번 표시하기 먼저 지적도를 다운받아야합니다. 아래 포스팅을 보고 지적도를 다운받아 QGIS 에 표시합니다. 2024.01.01 - [QGIS] - [QGIS] 지적도 다운받아 좌표계 설정하기 지적도 레이어의 속성에서 라벨 > 단일 라벨 선택 합니다. 화면에 표시할 jibun 선택 후 확인합니다. 결과 라벨이 잘 안보이면 글자 색이나 크리를 변경하거나 마스크 등을 이용해 더 잘보이도록 처리합니다. 아래 포스팅 내용을 보면 라벨을 꾸밀수 있는 방법이 있습니다. 2024.01.05 - [QGIS] - [QGIS] 수치지도 등고선 이용한 등고선 표시 및 라인/라벨 처리하기 (Contours Labels)

[QGIS] 지적도 다운받아 좌표계 설정하기 [내부링크]

지적도 다운받아 좌표계 설정하기 우선 아래 포스팅을 참고하여 QGIS 에서 TMS for Korea 플러그인을 설치합니다 2023.12.31 - [QGIS] - [QGIS] TMS for Korea 설치하기 웹 > TMS For Korea > Kakao Maps > Kakao Satellite 선택하여 우리나라 지도 레이어를 추가합니다. 이제 아래 사이트로 가서 지적도를 검색해 다운 받습니다. (로그인 필요) https://www.vworld.kr/dtmk/dtmk_ntads_s001.do 지적도 검색 다이렉트 링크 : https://www.vworld.kr/dtmk/dtmk_ntads_s002.do?dsId=30563 원하는 지역의 지적도를 다운 받으면 됩니다. (시군까지의 지적도를 원하면 시군을 검색..

[QGIS] qml 스타일 파일 적용하는 방법 [내부링크]

qml 스타일 파일 적용하는 방법 QGIS 프로그램에서 qml 파일을 적용하는 방법입니다. 아래와 같이 레이어의 속성을 선택하고 레이어 속성 창에서 '속성 양식'을 선택합니다. 아래 창에서 좌측하단의 '스타일' 콤보박스를 선택하면 아래와 같은 메뉴가 나오게되는데 스타일 불러오기를 선택합니다. ... 버튼을 선택해 qml 파일을 찾아 선택 후 스타일 불러오기 버튼을 클릭합니다. qml 이 적용되면 qgis 화면에 스타일이 적용되어 표시됩니다. style 파일은 반복전인 작업을 할 경우에 정말 유용하게 쓰입니다. 아래 포스팅에 여러 qml 파일 예시 파일들이 있습니다. 2024.01.05 - [QGIS] - [QGIS] 임상도(1:5000) 스타일 적용하는 qml 파일 모음 정말 유용한 것들이 많이 있으니 ..

[서평] 기계의 반칙 [내부링크]

"기계의 반칙"은 인공지능의 발전과 그 한계를 넘어서는 과정을 탐구하는 도서입니다. 이 책은 인공지능이 어떻게 과거부터 현재에 이르기까지 발전해왔는지를 상세히 설명하며, 이러한 발전이 우리의 현실에 어떠한 영향을 미칠지를 심도 있게 분석합니다. 자율 시스템과 자율 주행에 쓰이는 자율이라는 단어가 이제는 기계가 단순히 수치화된 공식에 의존하는 것이 아니라 스스로 판단하고 움직이는 시대가 도래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변화는 인간의 제약을 점차 약화시키며, 우리가 알고 있는 세계의 근본적인 변화를 예고합니다. 예전에 많이 봐왔던 영화에서처럼 인공지능이 자각을 가지고 인간에게 해를 끼칠 수 있는 가능성에 대한 논의는 늘 고민거리이자 해결해야할 문제입니다. 또한, 이 책은 인공지능 시대를 대비하기 위한 다양한 관점..

[QGIS] TMS for Korea 설치하기 [내부링크]

TMS for Korea 설치하기 QGIS 를 사용하기위해 기본적으로 지도정보를 가져와 사용할수 있어야하는데 우리나라 지도 같은 경우는 QGIS 의 플러그 인으로 제공하는 TMS for Korea 를 설치하면 Naver, Kakao 등의 맵정보를 불러와 사용할 수 있습니다. 설치는 간단합니다. QGIS 가 실행된 상태에서 플러그인>플러그인 관리 및 설치 를 선택합니다 플로그인 창의 상단 검색창에 TMS for Korea 를 검색하면 아래처럼 나오고 플로그인 설치를 하면 됩니다. (현재 설치된 상태) 화면을 보면 알겠지만 업그레이드 여기서 가능합니다. 플로그인을 설치하게되면 QGIS 메뉴의 웹 메뉴에 추가되며 웹>TMS for Korea 에서 원하는 맵을 선택하면 됩니다. 선택하면 레이어가 추가되면서 우리..

[QGIS] 공간처리 툴박스가 나타나지 않을 때 [내부링크]

공간처리 툴박스가 나타나지 않을 때 QGIS 사용중에 갑자기 공간처리 툴박스가 사라졌습니다. 이런경우 아래처럼 하면 다시 보여집니다. 메뉴 > 플러그인 관리 및 설치 이동합니다. Processing 을 찾아 체크 체크를 하면 메뉴에 '공간 처리' 항목이 표시됩니다. 공간 처리 > 툴박스 를 선택하면 공간처리 툴박스가 우측에 나타납니다.

인지세 납부 방법 [내부링크]

인지세 납부 방법 인지세를 납부하고 납부증을 출력하는 방법을 알아봅니다. 인지세란 우선 인지세란 재산을 취득한 경우 증명하기 위해 돈을 납부하는 것으로 인지세법 제1조에 ①항을 보면 재산의 권리의 변동, 승인 관한 계약서 작성 시에 문서를 증명하기 위해 내는 세금을 말합니다 인지세법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아래 링크에 나와있습니다. https://m.edoc-revenuestamp.or.kr/serviceinfo/getStampLaw.do?seq=4 전자수입인지 인지세법 [시행 2019.1.1.] [법률 제16106호, 2018.12.31., 일부개정] 제1조(납세의무) ① 국내에서 재산에 관한 권리 등의 창설ㆍ이전 또는 변경에 관한 계약서나 이를 m.edoc-revenuestamp.or.kr 인지세 금액..

[Flutter] Visual Studio Code 에서 Flutter 실행하기 [내부링크]

Visual Studio Code 에서 Flutter 실행하기 이전 포스팅에서는 Flutter 를 설치해 보았습니다. 2023.12.31 - [IT] - [Flutter] Flutter 설치 및 환경 변수 설정 이제 Visual Studio Code 에서 Flutter 를 실행하는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1. Visual Studio Code 를 설치합니다. https://code.visualstudio.com/ Visual Studio Code - Code Editing. Redefined Visual Studio Code is a code editor redefined and optimized for building and debugging modern web and cloud applications..

[Flutter] Flutter 설치 및 환경 변수 설정 [내부링크]

Flutter 설치 및 환경 변수 설정 Flutter 프로젝트를 시작하게 되어서 Flutter 를 설치하고 환경 변수 설정하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1. 다운로드 및 설치 먼저 Flutter 설치 파일을 다운 받습니다. https://docs.flutter.dev/get-started/install Choose your development platform to get started Install Flutter and get started. Downloads available for Windows, macOS, Linux, and ChromeOS operating systems. docs.flutter.dev 저는 Windows를 선택했고 Desktop 를 선택했습니다. 다음 화면에서 아래로 내..

제천 칙칙폭폭999 게스트하우스 [내부링크]

친구와 함께 묵었던 숙소입니다 친구가 예약한 방은 305호 침대 2개 있던 방인데요 침대가 커서 정말 좋았습니다 여기 1박에 6만 원이라고 하네요 가격이 너무 저렴합니다^^ 화장실도 넓고 방밖에는 게스트 하우스라서 이렇게 공용공간이 있습니다 냉장고 안에는 조식인 식빵과 쨈이 있습니다 방에서 바라본 밖 풍경이 정말 예술입니다 기찻길이 옆에 있어 기차가 다닙니다 밤에는 기차가 살살 달려서 자는데 큰 방해는 안되었는데 예민하신 분들은 고민을 하셔야겠죠 1층에 카페와 편의점 2층에는 마사지실 스터디룸 등이 있습니다 카페를 제외하고는 투숙객은 모두 무료입니다 친구와 한잔하고 세라젬 마시지 기계에 몸을 맡겼는데 정말 시원하더군요 이건 사진을 못 찍었네요ㅠ 대신 칙칙폭폭 블로그에 있는 사진을 대신합니다. 게스트하우스..

참나무류 뒷면흰가루병 [내부링크]

참나무류 뒷면흰가루병 영명 Powdery mildew of oak 병원체 Cystotheca lanestris 기주 참나무류 피해 참나무 뒷면흰가루병은 북미, 멕시코, 아시아에 걸쳐 널리 나타나는 병으로 상수리, 갈참, 졸갈참, 떡갈, 졸참, 가시나무 등 여러 종의 참나무류에서 발병한다. 다른 흰가루병과 마찬가지로 수목이 어린 시기에 감염이 되면 성장이 둔화되거나 형태의 변형이 일어날 수 있고, 감염된 잎은 퇴색되고 일찍 시들어 죽는다. 감염 시 광합성과 증산량이 크게 감소되기 때문에 심한 경우 나무의 생육에 영향을 줄 수 있고 잎 표면의 흰 가루와 황화 현상으로 인해 식물의 미관이 크게 손상된다. 북미에서는 감염된 가지에 빗자루병 증상이 나타나기도 하며, 총생된 가지와 잎 전체가 흰가루로 덮..

참나무류 흰가루병 [내부링크]

참나무류 흰가루병 영명 Powdery mildew 병원균 Microsphaera alphitoides 기주 북가시나무, 갈참나무, 떡갈나무, 물참나무, 떡갈참나무, 신갈나무, 가시나무, 졸참나무, 미국참나무 등 분포 전세계 피해 잎이 어릴 때 감염되면 생장이 늦거나 기형이 될 수 있다. 감염된 잎은 퇴색되고 일찍 시들어 죽는다. 광합성과 증산량이 크게 감소되기 때문에 심하면 나무의 생육에 영향을 줄 수 있고 잎 표면의 흰색 가루와 황화 현상으로 인해 식물의 미관이 크게 손상된다. 병징 통풍이 불량한 곳이나 습하고 그늘진 곳에서 발병하며 잎 앞면과 뒷면에 발생한다. 6월부터 잎에 작고 흰 반점 모양의 균총(균사와 분생포자의 무리)이 나타나고 점차 진전되면서 잎 전체가 흰가루로 덮인다. 어린잎에 피해를 ..

급성신손상(소아) [내부링크]

급성신손상(소아) 개요 개요-정의 급성신손상이란 콩팥(신장)콩팥 기능이 갑자기 떨어지는 상태입니다. 콩팥 기능이 떨어져서 몸 안의 노폐물을 소변을 통하여 몸 바깥으로 배출하기가 어려워져 몸 안에 노폐물이 쌓이며, 몸 안의 수분과 전해질의 균형이 깨지게 됩니다. 급성신손상을 유발하는 원인을 제거하면 신기능이 정상화될 수 있으나 병의 기간이 길어질수록 회복되는데 상당한 시간이 요구되기도 하며, 만성콩팥병으로 이행되는 경우도 있습니다. 개요-원인 1. 탈수/혈액순환 이상 심한 설사, 출혈, 심한 감염, 심장 기능 저하 등 2. 감염 유행성 출혈열, 예르시니아 위장관염, 장출혈성 대장균 감염 (용혈성 요독 증후군) 등 3. 신독성 약물/음식물 조영제, 신독성 항생제, 신독성 항암제, 약용 식물, 독초 등 4. ..

참나무류 튜바키아점무늬병(갈점병) [내부링크]

참나무류 튜바키아점무늬병(갈점병) 학명 Macrophoma quercicola Togashi 학명 Leaf spot 일명 Maruhoshi-byo 병원균 Tubakia japoinca, T.rubra, T. sp. 형태 병자각(柄子殼)은 잎의 표면 또는 양면에 형성되며 흑색의 구형이고 크기는 직경 115~255이다. 분생자병(分生子柄)은 병자각(柄子殼)의 안쪽 벽에 형성되며 크기는 11~20×2~3이다. 병포자(柄胞子)는 무색의 장타원형이며 단포(單胞)이고 크기는 17.5~27.5×6.3~10.0이다. 피해 특징 참나무류의 잎에 발생하는 병으로 수종별로 병징이 다르며, 심하게 발생하면 잎이 일찍 떨어진다. 방제법 병든 낙엽은 모아서 태우며, 6월말부터 8월초까지 만코지수화제(水和劑) 1,000배액을..

참나무류 갈색둥근무늬병(갈색원성병) [내부링크]

참나무류 갈색둥근무늬병(갈색원성병) 학명 Marssonina martini (Saccardo et Ellis) Magnus 학명 Leaf spot 영명 Brown leaf spot 분포 한국, 아시아, 북미, 유럽 형태 분생자퇴(分生子堆)는 주로 잎의 뒷면에 형성되나 간혹 표면에 형성되기도 한다. 분생포자(分生胞子)는 초생달 모양으로서 무색의 2세포이며 격막(隔膜)은 희미하다. 크기는 7.5~16.3×2.5(11.8×2.5)이다. 피해 우리나라에서는 갈참나무, 상수리나무, 신갈나무, 졸참나무에서 발병하는 것으로 1943년 이후 보고되어 왔고 일본과 우리나라에 분포하는 병원균은 M. martini로 알려져 있다. 미국에는 M. martini외에 두 종(M. ochroleuca, M. quercina)이 ..

쥐똥나무 둥근무늬병 [내부링크]

쥐똥나무 둥근무늬병 영명 Leaf spot 병원체 Pseudocercospora ligustri Deighton (=Cercospora ligustri Roum.) 기주 쥐똥나무 피해 쥐똥나무에서 흔히 볼 수 있는 병으로 묘목, 정원수, 산울타리 등에 모두 발생하며 때때로 심한 피해를 가져온다. 묘목의 경우, 병든 잎이 일찍 탈락하므로 상품 가치가 떨어지고, 정원수와 산울타리는 병든 잎과 심한 낙엽 때문에 미관이 크게 손상된다. 진단특성 6월부터 잎에 지름 1~3mm 되는 둥근 모양의 담갈색~갈색 병반이 나타난다. 하나에 한 개~여러 개의 병반이 생기며 병반 가장자리의 자갈색 테두리가 건전부와 또렷한 경계를 이룬다. 병반의 뒷면에는 연한 주홍색~엷은 올리브색의 솜털 같은 균체(분생포자덩이)가 다..

아까시나무 점무늬병 [내부링크]

아까시나무 점무늬병 영명 Leaf spot 병원체 Phloeospora robiniae (Lib.) Höhn. 기주 아까시나무 분포 한국, 아시아, 북미, 유럽 피해 6월 중순쯤 피해 잎이 생기기 시작하여 9월 중순이 되면 수간 상부에만 잎이 있고 나머지 하부 쪽은 병든 잎들이 떨어지기 시작하여 10월쯤 되면 수간 속이 훤히 보일 정도가 된다. 진단특성 잎 윗면에 크기가 다양한 갈색에서 회갈색의 작은 반점들이 합쳐진 형태의 원형 병반이 된다. 병반이 확대되면 반점 내부는 점차 회갈색을 띠며 여러 개의 반점들이 합쳐진다. 초기의 병반은 건전부와 구별이 안 되지만 반점 내부가 회갈색을 띠면 흑갈색 띠로 인하여 쉽게 구별이 된다. 잎 아랫면은 갈색에서 쥐색으로 보이지만 습도가 높으면 백색의 포자덩이..

사철나무 갈색무늬병 [내부링크]

사철나무 갈색무늬병 병원균 Pseudocercospora destructiva 피해 특징 사철나무에서 피해가 가장 많은 병해로 나무가 말라 죽지는 않으나, 잎이 노랗게 변하면서 일찍 떨어진다. 병징 및 표징 초여름~가을에 잎 앞면에 황갈색 원형 병반이 나타나고, 이 병반은 20~30mm 크기로 확대되어 병반 중앙부는 회갈색~회백색, 가장자리는 갈색 띠로 둘러싸인 원형 병반이 된다. 회백색 병반에는 솜털 같은 흑갈색 분생포자덩이로 뒤덮인 작은 점(분생포자좌)이 나타난다. 방제법 피해 초기인 6월부터 아족시스트로빈 수화제 1,000배액 또는 이미녹타딘트리스알베실레이트 수화제 1,000배액을 10일 간격으로 2~3회 살포한다. (나무 병해충 도감)

필모라 할인 받는 방법 - 할인쿠폰 [내부링크]

필모라 가격은 현재 새해 특별 할인 진행 중입니다.이 아격도 상당히 매력적인 가격입니다. 제가 이전에 장바구니에만 넣어놓고 구매를 하지 않았는데 필모라에서 20% 할인해 줄 테니 사라고 메일이 왔더군요 좀 더 지나면 25% 할인 메일도 온다고 합니다. 즉 할인구매를 위해서는 필모라 사이트에서 위 요금제 페이지에서 지금 구입을 누르고 구입을 하지 않고 창을 닫고 며칠 지나면 메일이 날라 옵니다.주문완료하기 버튼을 누르면 아래처럼 할인된 가격으로 뜹니다.아마도 평생라이선스 가격 중에는 역대 최저 가격인 것 같은데요 25% 할인 메일이 또 온다고 하니 기다려 보고 구매하려고 합니다. 프로그램 내에서 음악, 영상 사이트 방문 없이 콘텐츠를 만들어 낼 수 있어 나중을 위해서라도 구매를 하려고 합니다. 저같이 할인..

텍스트로 동영상을 자동으로 만들어 준다? - Wondershare Filmore [내부링크]

AI 가 발달되면 나중에는 프롬프트만 입력하면 영상까지 만들어 주는 게 나오겠다고 생각한 적이 있습니다. 그런데 벌써 그 기능이 나와있었습니다. Wondershare Filmore 프로그램입니다. https://filmora.wondershare.net/ Wondershare Filmora - Easy-to-Use Video Editing Software International phone rates may be charged by your service provider filmora.wondershare.net https://filmora.wondershare.net/filmora-video-editor.html?gad_source=1&gclid=CjwKCAiAs6-sBhBmEiwA1Nl8s6_yvjq..

사철나무탄저병 [내부링크]

사철나무탄저병 학명 Gloeosporium euonymicola Hemmi 학명 Anthracnose 일명 Tanso-byo 분포 한국, 일본 형태 분생포자(分生胞子)는 무색이며 타원형으로 크기는 14~20×6~8.4이다. 병든 낙엽에서 월동하여 이듬해에 제1차전염원이 된다. 포자는 공기전염을 하므로 폭넓게 전파된다. 피해 잎에 크고 작은 반점을 형성하며 심하면 일찍 낙엽이 되어 미관을 해친다. 방제법 병든 낙엽은 모아서 태우며, 4-4식보르도액, 동수화제 또는 만코지수화제(水和劑)를 발병초기부터 10일간격으로 3~4회 살포한다.

붉나무 모무늬병 [내부링크]

붉나무 모무늬병 학명 Septocylindrium rhois Sawada 학명 Circular leaf spot 분포 한국, 일본 형태 분생자병(分生子柄)은 주로 잎의 뒷면에 생긴 반구형의 자좌(子座)에서 뻗으며, 보통 크기는 20×4이지만 간혹 300까지 자라는 것도 있다. 분생자병(分生子柄)의 격막부분에 5정도의 돌기가 형성되며 그 끝에 분생포자(分生胞子)가 정생(頂生)한다. 분생포자(分生胞子)는 무색~미색으로 균사(菌絲)~가느다란 원주모양이며 끝은 둥글고 크기는 60~115×3~3.5(72.5×3.0)이다. 격막은 4~10개이나 6~8개인 것이 대부분이다. 피해 심하게 감염된 잎은 일찍 떨어진다. 방제법 병든 낙엽은 모아서 태우며 매년 발생하는 곳에서는 4-4식보르도액이나 동수화제를 발생초기..

벚나무 균핵병 [내부링크]

벚나무 균핵병 영명 Brown rot 병원체 Monilinia kusanoi (Henn. & Takah.) Yamam. 기주 벚나무 분포 한국, 아시아, 북미, 유럽 피해 꽃이 진 직후 잎이 피는 시기에 발생한다. 새로 나온 잎, 엽병 및 어린 신초가 뜨거운 물에 덴 것과 같이 연화하고 갈색으로 부패하면서 아래쪽으로 시든다. 병세가 진전되면 가지 끝이 말라 죽어 수세가 약화된다. 진단특성 잎은 기형으로 뒤틀린다. 엽병과 어린 가지에서도 같은 증상이 나타난다. 열매의 표면에도 갈색병반이 형성된다. 병반이 확대되어 열매의 전면에 파급되면 열매는 건조하게 되어 쭈그러들고 병든 부위에 흰 가루 더미가 형성된다. 병든 열매의 과육 및 종자에 균핵이 발생한다. 생태 균핵은 땅속에서 월동하여 자낭반을 형..

벚나무 갈색무늬구멍병 [내부링크]

벚나무 갈색무늬구멍병 학명 Mycosphaerella cerasella Aderhold 학명 Brown shot hole(Cercospora leaf spot) 일명 Senko-kappan-byo 분포 한국, 아시아, 남아프리카(로데시아), 북미 형태 분생포자(分生胞子)와 자낭포자(子囊胞子)를 형성하며 자낭각(子囊殼)의 형태로 병든 잎에서 월동하여 이듬해에 제1차전염원이 된다. 자좌(子座)는 표피의 밑에 형성되며 나중에 표피를 깨고 부분적으로 노출된다. 분생포자(分生胞子)는 분생자병(分生子柄)의 끝에 형성되며 격막은 0~3개, 담갈색~갈색으로 크기는 10~40×1.5~5이며 곤봉상~편상이다. 자낭각(子囊殼)은 구형~편구형으로 그 상단에 공구(孔口)를 갖고 있다. 자낭(子囊)은 원통형~곤봉형이다 피해 벚..

버즘나무 탄저병 [내부링크]

버즘나무 탄저병 학명Syncamore anthracnose 영명 Anthracnose 병원균 Apiognomonia veneta 피해 버즘나무의 대표적인 병으로 이른 봄에 잎이 나온 후 기온이 12~13 이하로 낮고 비가 자주 오면 많이 발생한다. 병징 및 표징 봄에 새잎과 어린 가지가 갈색으로 말라 죽어 수관이 엉성하게 된다. 다 자란 잎은 잎맥을 따라 번개 모양의 죽은 조직이 나타나고 • 가지는 수피가 거칠게 터지는 궤양증상이 나타나면서 말라 죽는다. 잎 뒷면의 갈색 병반과 가지의 병반에는 작은 흑갈색 점(분생포자층)이 다수 나타나고, 다습하면 크림색 분생포자덩이가 솟아오른다. 병든 낙엽이나 가지에서 균사 또는 분생포자층으로 월동하여 이듬해 1차 전염원이 된다고 생각된다. 방제법 병원균의 1차 전..

버드나무류 점무늬병 [내부링크]

버드나무류 점무늬병 학명 Leaf spot 병원체 Cercospora sp. 기주 갯버들, 수양버들, 은버들, 용버들 분포 한국 피해 심하게 병든 잎은 황색으로 변하면서 일찍 떨어진다. 진단특성 6월 중순부터 1mm정도 크기의 흑갈색~갈색반점이 한 개의 잎에 많이 형성되어 지저분하게 보이며 반점양면(주로 뒷면)에 쥐색 털과 같은 것(분생자병(分生子柄), 분생포자(分生胞子))이 나타난다. 생태 분생자병은 미색~담갈색으로서 20~28×3~4의 크기이며 여기에 형성된 분생포자는 실모양으로서 곧거나 약간 굽고 윗부분은 약간 가늘다. 색깔은 분생자병과 거의 비슷하고 크기는 25~118×3~4(58×3.8)이며 격막은 1~8개(주로 5~7개)이다. 방제 병든 낙엽은 모아서 태운다. (생활권 수목 병..

AI 이미지 만들어 주는 사이트 - Leonardo.Ai [내부링크]

AI 이미지 만들어 주는 사이트 - Leonardo.Ai 이미지 만들어 주는 사이트는 정말 여러 가지가 있습니다. 저는 https://playgroundai.com/ 를 이용해 왔는데요 충분히 휼륭하지만 아쉬운 점이라면 그림 크기등이 제한적입니다. 결과 이미지 또한 비교해 보니 Leonardo.Ai 가 좀 더 높은 퀄리티를 보여주는 거 같습니다. 그리고 Leonardo.Ai 에는 프롬프트를 만들어주는 기능도 있어 소개해봅니다. 먼저 사이트로 이동합니다. https://leonardo.ai/ AI Art Generator - Create Art, Images & More | Leonardo AI Unleash your Creativity with the power of Leonardo Ai · Create..

유튜브 링크만 있으면 내용을 정리해주는 사이트 - traw.ai [내부링크]

AI 가 요즘 대세입니다. 못하는 게 점점 없어지고 있는데요 저는 콘텐츠를 만들거나 아이디어 구상 때 정말 유용하게 사용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오늘 발견한 놈은 정말 아이디어가 좋아서 소개해봅니다. 포스팅 제목 그대로 유튜브 링크만 있으면 내용을 정리해 주는 사이트입니다. https://traw.ai/ Summarizing YouTube Videos with GPT - traw YouTube summary by traw AI traw.ai traw.ai라는 사이트입니다. 먼저 구글 계정으로 로그인을 해줍니다. 그리고 화면을 보면 유튜브 링크를 넣는 칸이 보입니다. 여기세 Summary 하고 싶은 youtube 링크를 넣으면 됩니다. https://www.youtube.com/watch?v=faOOUmiC..

연성하감 [내부링크]

연성하감 개요 [헤모필루스 두크레이균(Haemophilus ducreyi) 감염에 의한 성기나 회음부의 통증성 궤양성 질환] 개요-신고 대상 및 방법 - 신고범위 : 환자 - 신고를 위한 진단기준 • 환자 : 연성하감에 부합되는 임상증상을 나타내면서 진단을 위한 검사기준에 따라 감염병병원체 감염이 확인된 사람 - 진단을 위한 검사기준 • 검체(병변의 분비물, 궤양부위 삼출물)에서 H. ducreyi 분리 동정 • 검체(병변의 분비물, 궤양부위 삼출물)에서 특이 유전자 검출 - 신고시기 : 7일 이내 신고 - 신고 방법 : 표본감시기관은 성매개감염병 신고서를 작성하여 관할 보건소로 팩스 또는 웹[바로가기]의 방법으로 신고 * 표본감시 대상 의료기관 여부 확인 : 관할 보건소로 문의 개요-원인 및 감..

퇴행슬관절염 [내부링크]

퇴행슬관절염 개요 퇴행관절염은 점진적으로 관절의 연골이 소실되고 그에 따른 이차적인 변화와 증상을 동반하는 질환입니다. 관절을 이루는 뼈와 뼈 사이에서 충격을 흡수하는 관절 연골의 점진적인 손상이나 퇴행성 변화로 인해 관절을 이루는 뼈와 관절막, 주변 인대 등에 이차적 손상이 일어나서 통증과 변형, 기능 장애를 일으키는 질환으로 관절의 염증성 질환 중 가장 높은 빈도를 보입니다. 퇴행 무릎 관절염 초기에는 관절 안쪽의 간격이 좁아지게 되고, 뼈 돌기가 자라고, 연골밑뼈가 단단하게 경화됩니다. 관절염의 증상들은 서서히 시작하여 호전과 악화를 반복하는 간헐적 양상을 보입니다. 관절염 말기가 되면 연골밑뼈의 심한 변화가 나타나고, 무릎 안쪽의 관절이 심하게 파괴되고, 다리가 안쪽으로 휘는 내반 변형이 진행되어..

좌골신경통 [내부링크]

좌골신경통 개요 좌골(坐骨)은 의자나 바닥에 앉았을 때(坐) 바닥에 닿는 부위로, 허리뼈 아래 엉치뼈(천골(薦骨)) 옆으로 날개 모양으로 붙어있는 장골(腸骨), 음부를 둘러싸는 치골(恥骨)과 함께 골반을 둘러싸는 골반뼈를 이룹니다. 좌골신경은 좌골 안쪽으로 제4허리뼈부터 제3엉치뼈에 걸쳐 척수에서 나오는 신경뿌리(신경근(神經根))들이 모여서 만드는 말초신경으로 몸 전체에서 가장 길고 굵은 신경입니다. 좌골 안쪽을 지나서 다리로 내려가기에 좌골신경이라는 이름이 붙여졌습니다. 제2, 3, 4허리뼈의 신경뿌리들이 모이는 넓적다리신경(대퇴신경(大腿神經))과 함께 다리의 가장 중요한 두 신경 중 하나입니다. 넓적다리신경은 넓적다리의 앞쪽으로 내려와 안쪽 장딴지에서 끝나는 신경이며, 넓적다리 신경을 제외한 모두는 ..

갑상선기능저하증 [내부링크]

갑상선기능저하증 개요 갑상선은 목의 앞부분에 위치하는 내분비 기관으로, 뇌에 있는 ‘뇌하수체’에서 분비되는 갑상선자극호르몬의 신호를 받아 갑상선호르몬을 만들어 내는 일을 합니다. 그런데 '갑상선'을 병명으로 오인하여 갑상선에 병이 있다고 진단을 받은 사람들이 '갑상선에 걸렸다' 또는 '나는 갑상선이다'라고 표현하는 경우가 종종 있습니다. 이것은 '갑상선'이라는 용어가 생소하기 때문에 생기는 오해로, 갑상선이라는 명칭은 목의 한가운데에 튀어나와 있는 갑상연골(또는 방패연골 : 방패 모양으로 생긴 물렁뼈라는 뜻)에 가까이 위치한 데에서 유래합니다. 순우리말 용어로는 '방패샘'이라고도 하는데, 실제 갑상선은 방패 모양이 아니라 기도를 중심으로 나비가 날개를 펴고 앉아 있는 모양입니다. 정상인에서 갑상선은 겉에..

밤나무 잉크병 [내부링크]

밤나무 잉크병 학명 Phytophthora katsurae 기주 밤나무 병원체 Phytophthora katsurae 병든 뿌리와 수간의 하부에서 잉크처럼 검은 액체가 스며나오는 것에서 유래된 이름(1917년 첫 동정), 이 병은 Phytophthora에 의해 뿌리나 수간 하부에 주로 발생하여 "파이토프토라뿌리썩음병"이라고도 한다. 피해 밤나무 잉크병은 미국, 스페인, 포루투갈 등 전 세계적으로 밤나무 줄기마름병과 더불어 밤나무를 고사시켜 막대한 피해를 주는 밤나무의 주요 병해이다. 묘목, 유목에도 발생하지만 보통 5~6년 생 이후의 성목에서 주로 병 발생이 많고, 지면과 가까운 줄기를 가해한다. 잉크병은 병의 진전속도가 빨라 감염된 밤나무는 1~2년 사이에 대부분 고사된다. 밤나무에 잉크병을 일으키는 ..

밤나무 줄기마름병 [내부링크]

밤나무 줄기마름병 학명 Cryphonectria parasitica (Murril)Barr 학명 Chestnut blight(Endothia canker) 분포 한국, 아시아, 북미, 유럽 형태 자좌(子座)는 수피밑에 형성되며 수피의 갈라진 틈으로 돌출한다. 돌촐된 자좌(子座)의 크기는 1~2×1.5~2mm정도이고 표면은 황색~황갈색이다. 자좌(子座)의 밑쪽에는 가늘고 긴 목을 가지며 플라스크모양을 한 자낭각(子囊殼)이 20~60(보통 15~30)개가 형성된다. 자낭각(子囊殼)의 크기는 직경이 0.4mm내외이다. 자낭각(子囊殼)의 목(neck)은 수피를 뚫고 돌출하여 황갈색 자좌(黃褐色子座)위에 형성된 구멍처럼 보인다. 피해 동양의 풍토병으로서 줄기가 말라 죽는 병이다. 1900년경 동양에서 수입하여간 ..

무궁화 검은무늬병 [내부링크]

무궁화 검은무늬병 학명 Alternaria alternata (Fr. : Fr.) keissler 학명 Black leaf spot 분포 한국, 전세계 형태 분생자병(分生子柄)은 곧으며 1~2개의 격막(隔膜)이 있으며 분생포자(分生胞子)는 분생자병(分生子柄)의 정단에서 연쇄상(連鎖狀)으로 형성되며 갈색~농갈색의 봉형(棒形)이며 3~8개의 횡격막(橫隔膜)과 여러개의 종경막(縱隔膜)이 있으며 격막부위에서 약간 잘록하다. 크기는 18.5~60×10~15이다. A.alternata는 수목, 농작물,초본류 등에서 병을 일으키는 다범성균(多犯性菌)이다. 피해 4~5월경부터 나타나기 시작하며 피해는 크지 않으나 미관상 좋지 않다. 진단특성 잎에 직경 5정도 내외의 흑색을 띤 원형, 혹은 불규칙한 반점을 형성한다..

동백나무 탄저병 [내부링크]

동백나무 탄저병 영명 Anthracnose 병원체 Glomerella cingulata (Stoneman) Spauld. & H. Schrenk 기주 한국, 아시아, 아프리카, 중미, 남미, 유럽 피해 잎, 과실 때로는 어린 신초에도 발생하며 병든 과실은 커지지 않고 종자는 빈 껍질만 남는다. 어린 신초는 흑갈색으로 변하며 병든 부분의 윗부분은 말라죽어 동백기름의 생산량이 떨어진다. 진단특성 잎 가장자리에서 발병하는 경우가 많다. 처음에는 연녹색으로 건조한 병반을 형성하나, 점차 적갈색~갈색으로 되고 나중에는 회색으로 변화한다. 병반 주위는 약간 부풀고 암갈색 띠가 형성되어 건전부와 뚜렷한 경계를 만든다. 병반 주위는 광범위하게 노랗게 퇴색되고 황갈색으로 되며 병반 표면에 흑색의 작은 분생..

대나무 깜부기병 [내부링크]

대나무 깜부기병 영명 Smut 병원균 Ustilago shiraiana Hennings, [=Cintractia bambusae Miyabe et Hori] 기주 대나무류 분포 한국(남부지역)·아시아·북미 피해 Aciculosporium take에 의한 대나무 빗자루병보다는 발생은 적지만 오래된 대나무 생육지에서 발생되고 있으며, 점차적으로 병 발생이 확대되고 있다. 전국적인 대나무 생육지에서 발병되고 있다. 병징 대나무의 병든 부근에는 흑색의 가루가 다량으로 묻어 있는 것처럼 보인다. 이것은 깜부기병균의 후막포자로서 5-6월경부터 어린 신초에 발생하며 점차 신초가 생장함에 따라 암적갈색을 띤 가루모양의 포자 덩이를 형성한다. 후막포자가 비산한 후에는 이병 대나무는 다른 대나무에서 나타나는 ..

대나무류 붉은떡병(적병병) [내부링크]

대나무류 붉은떡병(적병병) 학명 Shiraia bambusicola P. Hennings 학명 Gall(Redish bamboo-apple) 분포 한국(남부지역), 전세계(대나무 재배지역) 형태 자좌(子座)는 적색을 띠며 크기는 1.5~3×1~2cm이고, 표면에 작은 점들이 있다. 횡단면을 보면 균사(菌絲)는 엽초부를 휘감고, 덩어리부분은 다육연골질~목질이며 차홍색~장미색이나, 내부는 섬유질(纖維質)로 담색이다. 자낭실(子囊室)은 바깥쪽으로 질서있게 1열로 매몰되어 있으며 구형~난구형으로 특별한 껍질은 없다. 자낭은 긴 곤봉형~원통형이며 정단(頂端)은 둥글고 기부(基部)에는 긴 자루를 갖고 있으며 크기는 316~370×18~26로 6~8개의 피해 잔가지가 말라 죽는다. 방제법 햇빛이 부족한 대나무 밭에..

단풍나무 (작은)타르점무늬병 [내부링크]

단풍나무 타르점무늬병 학명 Rhytisma acerinum (자낭균 자낭반) 작은타르점무늬병 : Rhytisma punctatum 기주 단풍나무류, 버드나무, 키버들, 인동덩굴 피해 생리적으로 큰 피해 주지 않으나 잎 표면에 타르를 떨어뜨린 것 같은 새까만 병반들이 지저분하게 나타나 미관을 크게 훼손 대기오염 지표병해로 아황산가스(SO2)에 민감해 인구밀집지역, 공장지대에서는 거의 발생x -> 청정지역에서만 발생 진단 특성 가을에 단풍이 든 후에도 병반 주위가 녹색으로 남아있다. 발병 초기(8월)에는 잎에 황색 점무늬가 나타나며 여름 이후 직경 10mm 정도 광택 나는 흑색 병반(자좌, stroma) 형성. 안쪽은 분생포자각으로 되고, 분생포자를 형성한다. 시간 지나 다른 병반들과 결합하며 돌출된다. (..

느티나무 흰무늬병 [내부링크]

느티나무 흰무늬병 학명 Leaf spot 병원체 Pseudocercospora zelkowae 피해 초여름부터 가을까지 발생하는 느티나무의 대표적인 병으로 늦여름부터 잎이 갈색으로 변하면서 일찍 떨어져 미관을 해친다. 진단특성 이 병은 지면 가까이에 있는 잎부터 발생하기 시작해서 점차 위쪽으로 퍼져 나간다. 처음에는 잎에 미소한 갈색 반점들이 나타나는데 곧 2~3mm 크기의 부정형 갈색 병반이 된다. 병세가 진전되면 인접해 있는 병반들이 서로 융합해서 부정형의 대형 병반이 된다. 심하면 잎이 갈색으로 변해 위로 말리면서 떨어진다. 갈색 병반의 주변은 퇴색해서 황록색을 띠며, 병반의 뒷면은 엷은 갈색을 띤다. 나중에 병반의 표면에는 암녹색의 솜털 같은 균체(분생포자덩이)가 나타난다. 생태 병..

노인 고혈압 [내부링크]

노인 고혈압 개요 고혈압이란 성인에서 수축기 혈압이 140 mmHg 이상이거나 이완기 혈압이 90 mmHg 이상일 때를 말합니다. 보건복지부에서 최근 발표한 국민건강영양조사 제7기 3차년도(2018) 결과보고에 의하면 만 30세 이상에서의 고혈압 유병률은 33.3%(남자 33.2%, 여자 23.1%)이며, 나이가 듦에 따라 유병률이 높아져, 65세 이상 노인에서는 절반 이상이 고혈압입니다. 고혈압은 뇌졸중이나 관상동맥질환 등 심뇌혈관질환의 주요 위험요인이며, 혈압이 높아질수록 사망위험도 커집니다. 혈압을 낮추면 고혈압으로 인한 심뇌혈관계 합병증이나 사망이 감소하는 것은 잘 입증되었습니다. 고혈압은 일반적으로 증상이 없으므로 혈압을 측정하기 전까지는 알 수 없고, 고혈압을 진단받더라도 본인 스스로는 치료의..

급성 심근경색증 [내부링크]

급성 심근경색증 개요 심장은 온몸에 혈액을 보내 산소와 영양소를 전달하는 펌프로, 평생 단 한 순간도 쉬지 않고 일합니다. 이렇게 쉬지 않고 일을 하려면 심장 근육도 혈액을 통해 산소와 영양소를 공급받아야 합니다. 심근에 혈액을 공급하는 것은 심장의 표면에 위치하는 관상동맥입니다.급성 심근경색증은 관상동맥이 갑작스럽게 완전히 막혀서 혈액이 통하지 않아 발생하는 질환입니다. 심장에 혈액이 공급되지 않아 심장 근육이 손상 되면 심한 가슴통증, 호흡곤란 등의 증상이 생기게 됩니다. 급성 심근경색증은 돌연사의 흔한 원인으로 초기 사망률이 약 30%에 달하며, 병원에 도착하여 적극적인 치료를 해도 병원 내 사망률이 5~10%에 이를 정도로 위험한 질환입니다. 개요-정의 급성 심근경색증은 심근 허혈 상태가 지속되어..

고혈압 [내부링크]

고혈압 개요 고혈압이란 위 팔에 혈압대를 감아 측정한 동맥의 압력을 기준으로 수축기혈압 140 mmHg 이상, 또는 이완기혈압(확장기혈압) 90 mmHg 이상인 경우를 말합니다. 수축기혈압과 이완기혈압 모두 120 mmHg와 80 mmHg 미만일 때 정상 혈압이라고 합니다. 개요-정의 혈압은 정상 혈압, 주의 혈압, 고혈압 전단계, 그리고 1기와 2기 고혈압으로 나누며, 그 기준은 아래 표 '2018 고혈압 진료지침에 따른 혈압의 분류’와 같습니다. 정상 혈압은 심장과 뇌의 혈관질환 발생 위험이 가장 낮은 최적의 혈압을 말합니다. 원인 없이 발생한 고혈압을 본태 고혈압이라 하고, 원인이 있는 경우 이차 고혈압이라고 합니다. 평상시에는 정상이지만 진료실에서만 혈압이 높은 경우를 ‘백의 고혈압’이라 하며, ..

감염심내막염 [내부링크]

감염심내막염 개요 감염심내막염은 어떤 경로를 통해서든 혈류 내로 들어온 세균이 심장판막과 주변 조직에 염증을 일으키는 경우를 말합니다. 심장질환(판막질환이나 선천성 심장기형 등)이 있는 경우 혈액의 흐름이 원활하지 못해 심장내막에 상처가 생기는 경우가 많은데, 이때 혈액 중에 떠돌아다니는 세균이 있으면 상처 부위에 잘 모이게 되고 여기서 다시 염증을 일으키면서 내막이나 판막이 손상됩니다. 치료를 하지 않으면 심부전 등 위험한 심장 관련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적절한 진단과 치료가 필요합니다. 개요-정의 이전에 수술을 한 적이 없는 자연 판막에서 감염이 일어난 경우를 '자연 판막 심내막염'이라고 하며 인공 판막에 감염이 일어난 경우를 '인공 판막 심내막염'이라고 합니다. 질병 발생 후 진단 시점까지의..

느티나무 흰별무늬병 [내부링크]

느티나무 흰별무늬병 영명 Septoria leaf spot 병원체 Septoria abeliceae Hiray 분포 한국, 일본 피해 주로 묘목에서 발생하고 큰 나무에서는 땅 부근의 맹아지에서 발생한다. 이 병으로 인해 조기 낙엽 되지는 않으나 병이 심하게 발생한 묘목은 생장이 크게 떨어진다. 진단특성 잎 윗면에 만들어지는 병반은 처음에는 아주 작고 짙은 갈색 반점으로 나타난다. 시간이 지나면 이 반점들이 합쳐지는데, 대체로 잎맥을 넘어가지 못하여 10mm 정도의 다각형~부정형 병반으로 확대된다. 병반의 중앙부는 나중에 회백색으로 되며 불규칙하게 갈라지고 떨어져 나가기도 한다. 건전부와의 경계는 짙은 적갈색으로 구분이 쉽다. 병반에는 작고 짙은 갈색의 돌기(병자각)가 만들어진다. 생태특성 ..

박태기나무 모무늬병 [내부링크]

박태기나무 모무늬병 학명 angular leaf spot of Chinese redbud 병원균 Pseudocercospora cercidis-chinensis(=P. chionea) 병징 6월경부터 아랫잎에 발생하기 시작해서 점차 윗잎으로 퍼진다. 처음에는 잎 표면에 엽맥 으로 둘러막힌 지름 2~3mm되는 갈색~암갈색의 작은 모무늬병반들이 다수 나타난다. 이들 병반은 점차 확대되고 또 서로 융합해서 5~10mm 크기 되는 모무늬~불규칙한 모양의 대형 병반이 되기도 한다. 잎 한 개에 100개가 넘는 병반을 형성하는 경우도 흔하다. 병반의 뒷면은 뚜 렷한 회갈색~암회색을 띤다. 병반의 표면에는 녹회색의 솜털로 뒤덮인 것처럼 보이는 흑갈색의 미 소한 점알갱이들(자좌 및 분생포자덩이)이 가득 나타난다. 이들..

물푸레나무 흰가루병 [내부링크]

물푸레나무 흰가루병 학명 Powdery mildew 병원균 Uncinula fraxini, Phyllactinia fraxini 피해 잎 앞면과 뒷면 모두에서 발생하며, 밀식되어 통풍이 불량한 곳이나 습하고 그늘진 곳에서 잘 발생한다. 병징 및 표징 7월 하순부터 잎에 작고 흰 반점 모양의 균총(균사와 분생포자의 무리)이 나타나고, 점차 진전되면서 잎 전체에 밀가루를 뿌려 놓은 듯이 된다. 가을이 되면 잎의 균총 위에 작고 둥근 노란 알갱이(자낭구)가 다수 나타나고 성숙하면 검은색으로 변한다. 방제법 병든 낙엽을 모아 제거하고, 통풍, 채광, 배수가 잘 되도록 관리한다. 발병 초기에 마이클로뷰타닐 수화제 1,500배액 등 흰가루병 적용 약제를 10일 간격으로 2회 이상 살포한다. 출처 - 나무 병해충 도..

산딸나무 탄저병 [내부링크]

산딸나무 탄저병 학명 Anthracnose 병원균 Colletotrichum gloeosporioides 피해 장마철 이후에 피해가 나타나며, 채광과 통풍이 불량한 곳에서 피해가 많다. 병징 및 표징 잎은 가장자리를 중심으로 불규칙한 갈색 병반이 나타나며, 잎 앞면 병반에는 작고 검은 점(분생포자층)이 나타나고 다습하면 유백색 분생포자덩이가 솟아오른다. 열매에는 수침상 불규칙한 갈색 병반이 나타나고 점차 확대되어 전체가 흑갈색으로 말라 죽는다. 방제법 피해 초기에 메트코나졸 액상수화제 3,000배액 또는 프로피네브 수화제 600배액을 10일 간격으로 2~3회 살포한다. 출처 : 나무병해충도감

호두나무탄저병 [내부링크]

호두나무탄저병 학명 Glomerella cingulata (Stoneman)Spaulding et Schrenk 학명 Anthracnose 분포 한국, 아시아, 아프리카, 남미, 유럽 형태 자낭각(子囊殼)은 병든 낙엽이나 가지에 형성되며 흑갈색~흑색을 띠고 크기는 직경이 85~300이다. 자낭(子囊)은 8개의 자낭포자(子囊胞子)를 가지며 곤봉형~원통형이고 정단부(頂端部)는 약간 두껍다. 크기는 35~80×8~14이다. 자낭포자(子囊胞子)는 무색의 단포(單胞)로서 장난형(長卵形)~타원형이며 크기는 9.5~15×4~6.5이다. 분생포자(分生胞子)는 6월부터 8월까지 병든 부분에 형성된다. 피해 비교적 따뜻하고 습한 지역에서 잘 발생하며 주로 잎과 엽병(葉柄) 및 연한 연지(緣枝)를 침해한다. 병든 잎과..

개암나무탄저병 [내부링크]

개암나무탄저병 학명 Monostichella coryli (Desmazieres) Hohnel 학명 Anthracnose 분포 한국, 아시아, 북미, 유럽 형태 분생포자(分生胞子)는 방추형~장타원형으로 보통 곧으나 약간 굽은 것도 있다. 색깔은 무색이며 단포(單胞)로서 크기는 12.0~15.0×6.0~6.5이다. 병징 6월 하순부터 잎과 열매에 발생한다. 처음엔 잎에 엷은 갈색의 작은 반점이 나타나는데 주로 잎가장자리를 끼고 점차 확대되면서 부채꼴 모양의 회갈색 병반으로 진전된다. 병 반들이 서로 합쳐져서 모양이 일정하지 않은 커다란 회갈색 병반을 만들기도 한다. 회갈색 병반의 앞뒤 양면에는 아주 작은 까만 점들(병원균의 분생포자층)이 다수 나타난다. 분생포자층은 각피(角 䊻) 밑에 형성되는데 성숙하면..

기저귀피부염 [내부링크]

기저귀피부염 개요-정의 기저귀피부염은 기저귀를 차는 부위에 생기는 피부염(혹은 습진)을 총칭하며, 자극에 의한 피부염에 해당합니다. 유아기(생후 1년 이내)에 흔히 발생합니다. 개요-원인 기저귀피부염의 원인으로는 다음의 여러 가지 요인이 있습니다. 1. 마찰 기저귀와 피부 사이의 마찰로 넓적다리의 안쪽 표면과 성기, 엉덩이에 발진이 잘 발생합니다. 이것으로 보아 마찰이 표피의 각질층(피부는 표피, 진피, 피하지방층으로 구성되어 있고 각질층은 표피의 가장 바깥층을 말함)에 손상을 주는 것으로 생각됩니다. 2. 짓무름(각질층이 과도한 수분에 의하여 수화된 현상) 짓무름이 마찰에 의한 피부의 손상을 촉진하게 됩니다. 짓무름에 의하여 피부의 투과성이 증가되어 피부가 여러 가지 자극물질에 예민하게 반응하게 되는 ..

종기 [내부링크]

종기 개요-정의 종기(furuncle)는 털이 나는 모낭에서 염증이 시작되어 깊이 진행하면서 결절을 만든 것으로 여러 개의 작은 종기가 합쳐져서 병변이 커지고 깊어지면 큰종기(carbuncle)로 발전하게 됩니다. 개요-원인 종기는 피부의 위생 상태가 좋지 않을 때 많이 생기는데, 특히 피부가 눌리거나 마찰하는 경우, 땀이 많이 나는 경우, 습진이나 면도 등에 의해 피부의 방어막이 손상되면 특히 잘 생기게 됩니다. 증상 감염부위가 진행되면 보라색 모양의 반점(자색반)과 물집, 고름이 나타나기도 하고, 중심부가 곪아 출렁거리고, 터지면서 고름이 새어 나오기도 합니다. 림프관에 염증이 생기면서 염증이 다른 곳으로 퍼져갈 때는 림프관을 따라 붉은 줄이 시간이 지나가면서 뻗어 가는 모습을 관찰하거나, 주위 림프..

연조직염 [내부링크]

연조직염 개요-정의 연조직염(cellulitis)은 피부와 피하 조직에 생긴 급성 세균성 감염증으로, 세균이 침범한 부위가 빨갛게 되거나(홍반), 부종, 누를 때 통증(압통)이 생기는 것이 특징입니다. 개요-원인 연조직염은 주로 피부 점막 부위를 통해 세균이 침범해서 발생되며 주로 다리에 발생하고, 직업적으로는 군인에서 흔한데, 이는 무좀이나 다른 피부질환이 전파되거나 외상에 노출되기 쉬운 환경 때문이라고 생각되고 있습니다. 드물게 감염된 혈액을 통해 연부조직으로 퍼지기도 하는데 이러한 경우 원인규명이 반드시 필요하며 단독으로 생기는 경우는 드물고 여러군데에 발생하게 됩니다. 증상 발병 초기의 증상은 열이 나고 춥고, 머리가 아프며 근육의 통증과 식욕이 떨어지는 것 등인데, 국소적으로 염증이 생긴 부위가..

산수유 점무늬병 [내부링크]

산수유 점무늬병 학명 Pseudocercospora cornicola 자주 발생하는 나무 산수유 피해 산수유 등 층층나무속 수목에 자주 발생하는 병으로, 나무의 생장에 큰 피해를 주지는 않으나 잎에 많은 병반이 나타나 노랗게 변하면서 일찍 떨어진다. 특히 여름철 비가 자주 오는 해에 피해가 심하다. 병징 및 표징 초여름부터 잎에 잎맥으로 둘러싸인 크기 약 5-10 mm의 암갈색 병반이 다수 나타난다. 해당 병반은 모양과 크기가 일정하지 않다. 피해가 심하면 서로 합쳐져 잎마름을 일으키며 조기낙엽된다. 잎 앞면의 병반에는 솜털 같은 회색 분생포자덩이로 뒤덮인 작은 점(분생포자좌)이 나타난다. 방제법 6월 하순부터 아족시트로빈 수화제 1,000배액 또는 이미녹타딘트리스알베실레이트 수화제 1,000배..

오동나무새눈무늬병(두창병) [내부링크]

오동나무새눈무늬병(두창병) 학명 Sphaceloma tsujii Hara 학명 Birds eye rot(Spot anthracnose) 분포 한국, 일본 형태 분생자퇴(分生子堆)는 병반위에 흩어져 표피밑에 형성되며 나중에 표피를 뚫고 돌출하며 크기는 직경이 30~50이다 분생자병(分生子柄)은 무색의 원통형~돌기모양으로 단포(單胞)이며 크기는 5~14×2.5~4이다. 분생포자(分生胞子)는 무색의 구형, 타원형 또는 난형이고 평활하며 크기는 4~8×2.5~4이다. 피해 잎과 어린 줄기를 침해하며 탄저병보다 일찍 발생한다. 방제법 병든 가지나 잎은 모아서 태우며, 6월상순부터 만코지수화제(水和劑) 500배액을 10일간격으로 3~4회 살포한다.

팥배나무 붉은별무늬병 [내부링크]

팥배나무 붉은별무늬병 학명 Cedar apple rust 병원균 Gymnosporangium asiaticum, G. cornutum, G. miyabei 피해 향나무, 노간주나무와 기주교대하는 이종기생성병으로 5~7월에 흔히 볼 수 있으며 잎 뒷면에 털 같은 것이 잔뜩 돋아나고 심하면 잎이 일찍 떨어진다. 병징 및 표징 5월 상순부터 잎 앞면에 2~5mm 크기의 오렌지색 원형 병반이 나타나고, 병반 위에 작은 흑갈색 점(녹병정자기)이 형성되며, 이 녹병정자기에서 끈적덩이(녹병정자)가 흘러나온다. 5월 중순~6월 하순에 병반 뒷면에는 약 5mm 크기의 털 모양 돌기(녹포자기)가 무리지어 나타난다. 녹포자기가 성숙하면 그 안에서 엷은 오렌지색 가루(녹포자)가 터져 나온다. 방제법 4~5월에 트리아디메폰 수..

산사나무 붉은별무늬병 [내부링크]

산사나무 붉은별무늬병 학명 Cedar apple rust 병원균 Gymnosporangium yamadae, G. clavariiforme, G. globosum 피해 향나무, 노간주나무와 기주교대하는 이종기생성병으로 5~6월에 흔히 볼 수 있으며, 잎 뒷면에 털 같은 것이 잔뜩 돋아나고 심하면 일찍 떨어진다. 병징 및 표징 5월 상순부터 잎 앞면에 2~5mm 크기의 오렌지색 원형 병반이 나타나고, 병반 위에 작은 흑갈색 점(녹병정자기)이 형성되며, 이 녹병정자기에서 끈적덩이(녹병정자)가 흘러나온다. 5월 중순~7월 상순에 병반 뒷면에 약 5mm 크기의 털 모양 돌기(녹포자기)가 무리지어 나타난다. 녹포자기가 성숙하면 그 안에서 엷은 오렌지색 가루(녹포자)가 터져 나온다. 방제법 4~5월에 트리아디메폰 ..

모과나무 붉은별무늬병 [내부링크]

모과나무 붉은별무늬병 학명 Cedar apple rust 병원균 Gymnosporangium asiaticum 자주 발생하는 나무 모과나무, 명자나무, 사과나무, 배나무, 산사나무, 산당화, 야광나무, 윤노리나무 등 장미과 수목(중간기주 : 향나무류) 피해 향나무와 기주 교대하는 이종 기생성 병(향나무 녹병)으로 봄~초여름에 걸쳐 모과나무 등 장미과 수목에서 흔히 볼 수 있는 병으로 잎의 뒷면과 열매에 회갈색의 털 같은 것이 지저분하게 무리지어 돋아나고 심하게 낙엽이 지기 때문에 나무의 생육과 미관을 크게 해친다. 2~3월에 향나무류에서 형성된 겨울포자퇴의 담자포자가 빗물과 바람에 의해 장미과 수목으로 전염된다. 5~6월에 장미과 수목의 잎 등에서 형성된 녹포자는 바람에 날려 향나무로 옮겨가 새..

진폐증 [내부링크]

진폐증 개요-정의 진폐증은 먼지를 흡입하여 폐내에 축적이 되어 발생하는 폐의 조직반응이라고 정의합니다. 일반적으로 먼지가 호흡기를 통해 흡수되면 대부분의 먼지는 기관지의 섬모운동으로 배출되지만, 일부 먼지는 폐 내에 축적되어 염증을 일으킵니다. 장기간 지속적인 염증 반응에 의해 섬유화가 나타나기도 하며, 이런 상태에 이르면 흉부 방사선 사진에서 이상 소견이 나타나기도 합니다. 개요-종류 진폐증의 종류에는 규폐증, 탄광부 진폐증, 석면폐증, 용접공폐가 있습니다. 탄광부 진폐증은 석탄합리화 정책 이후 질환의 규모가 줄어들고 있으나, 그 외 규폐증은 제조업, 건설업 등에서, 석면폐증은 건축물해체업, 석면 방직공장 등에서 보고되고 있습니다. 개요-원인 모든 종류의 먼지가 진폐증을 유발하는 것은 아니고, 진폐증을..

직업성 폐암 [내부링크]

직업성 폐암 개요-원인 직업성 폐암을 일으키는 주요 원인물질은 다양하게 존재합니다. 세계보건기구 산하 국제암연구소(International Agency for Research on Cancer)의 연구발표에 따르면 인체에서 발암성이 확실한 폐암 발암물질로는 흡연(1986년), 비소 및 그 화합물(1987년), 석면(1987년), 라돈 붕괴물질(1988년), 니켈 화합물(1990년), 6가 크롬(1990년), 베릴륨과 그 화합물(1993년), 카드뮴과 그 화합물(1993년), 결정형 유리규산(1997년), X-선과 r-선(2012년), 디젤엔진 연소물질(2012년), 비스클로로메틸에테르(2012) 등입니다. 폐암을 일으키는 충분한 작업공정으로는 알루미늄 생산, 석탄 가스화, 코크스 생산, 콜타르 증류공정과..

직업성 천식 [내부링크]

직업성 천식 개요-원인 거의 대부분의 화학물질이 천식을 유발할 가능성이 있으나, 일반적으로 국내외에서 발생이 보고되었고, 유발가능성이 높다고 알려진 물질은 다음과 같습니다. 역학 및 통계 성인 인구집단에서 천식의 유병률은 2-10% 정도로 알려져 있습니다. 국민건강영양조사에 따르면 우리나라 19세 이상 성인에서의 천식 유병률은 1998년 1.1%에서 2011년 3.1%로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습니다. 전체 천식 환자 중에 4% 정도가 직업과 관련해 천식이 발생한 것으로 추정하고 있습니다. 진단 및 검사 직업성 천식의 진단은 먼저 천식이 진단되어야 하고, 천식이 진단되고 난 후, 다음의 세가지 방법을 통해 직업성 천식으로 확진을 하게 됩니다. 첫째, 원인물질로 의심되는 물질로 기관지 민감성을 유발하여 폐 ..

직업성 만성폐쇄성폐질환 [내부링크]

직업성 만성폐쇄성폐질환 개요-정의 만성폐쇄성폐질환(병태생리학적·임상적 의미로서 정의)은 만성기관지염이나 폐기종에 의하여 기류폐색 소견이 관찰되는 질환군으로, 기류폐색은 대부분 비가역적이고 진행성이나, 일부에서는 기도 과민성이 동반되거나 기도폐색이 부분적으로 가역성일 수도 있습니다. 최근에는 이 질환의 진단과 중증도를 평가할 때 폐기능 검사를 활용합니다. 개요-원인 일반적으로 흡연이 가장 강력한 유발인자로 알려져 있고, 그 외 환경 및 직업적 요인, 감염, 가족력 및 유전적 요인이 유발원인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흡연이 가장 강력한 유발 요인이기 때문에 직업적 원인이 과소평가되기 쉽지만, 만성폐쇄성폐질환의 15% 정도가 직업적 원인에 의해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곡물분진, 실리카 등은 명확히 밝혀..

직업성 감염성폐질환 [내부링크]

직업성 감염성폐질환 개요-정의 우리나라에서 아직도 흔한 질병이며, 여전히 주요 사망원인으로 알려진 질환이 결핵입니다. 결핵은 결핵균에 의해 발생하지만, 의료인 등 결핵균에 노출될 기회가 많은 경우 결핵에 감염되면 직업성 결핵으로 볼 수 있습니다. 개요-원인 병원 종사자에서 결핵이 자주 보고됩니다. 결핵 병동의 간호사, 응급실 간호사 등에서 발생하는 결핵은 대표적인 직업병이라 할 수 있습니다. 또한 진폐증이 있는 경우 진폐증의 합병증으로 결핵에 걸릴 가능성이 높아집니다.

직업성 폐질환 [내부링크]

직업성 폐질환 개요 직업성 폐질환은 가장 오래 전부터 알려진 직업병으로, 대표적으로 진폐증이 있습니다. 유해물질은 우리가 들이쉬는 숨을 통해 기관, 기관지, 허파꽈리를 거쳐 인체 내에 흡입된 후 혈액을 통해 몸 전체에 영향을 미치게 됩니다. 이 때에 직접적으로 기관지의 점막과 허파꽈리를 자극하여 염증을 일으키거나 장기간 노출될 경우 염증의 반복으로 섬유화를 일으키기도 합니다. 일반적으로 직업환경의 위험요인은 호흡기 질환을 일으키거나 이미 가지고 있던 호흡기 질환을 악화시킵니다. 이러한 호흡기 질환은 근로자들의 결근, 실업, 의료 이용, 그리고 장애와 관련되어 있습니다. 영국의 남성에서 근로손실 일수의 14%(연간 약 3천 8백만 일)가 호흡기질환에 의해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고, 여성은 근무 일수의 ..

유소아 난청 [내부링크]

유소아 난청 개요 유소아 난청은 어린이가 청각에 문제가 생겨 잘 못 듣는 증상을 뜻합니다. 소리가 잘 안 들리는 난청은 여러가지 원인 질환에 의해 발생하는 하나의 공통적인 증상으로, 진단 방법과 재활 치료의 방법이 거의 유사하기 때문에 보통 한꺼번에 설명하게 됩니다. 유소아는 자신의 증상을 스스로 표현할 수 없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외관상 이상이 없으면 난청이 방치되어 뒤늦게 발견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어린이에게 청각은 말소리를 배우기 위한 기본적인 감각으로, 말소리가 잘 들려야만 들은 소리를 따라하면서 말하는 법을 배울 수 있기 때문에 유소아 난청을 잘 치료해주어야 듣고 말하는 청각 언어를 발달시키는 데 문제가 없습니다. 또한 영유아기의 청각언어발달은 이후 부모나 교사와 말소리로 의사소통을 하면서 이루..

폐부종 [내부링크]

폐부종 개요-정의 폐부종은 질환이라기보다는 여러 가지 원인에 의해 폐의 조직과 폐포로 체액이 빠져나가 고이면서 가스교환을 악화시켜 심한 호흡곤란을 야기하는 상태를 말합니다. 개요-원인 폐부종은 심인성과 비심인성으로 나뉠 수 있습니다. 1. 심인성 폐부종 승모판 협착증, 좌심실 부전 등 심장에 의한 폐부종 2. 비심인성 폐부종 체액속의 단백질인 알부민이 부족한 저알부민혈증, 림프계의 차단, 성인호흡곤란 증후군에서와 같이 여러 가지 기전에 의해 폐포-모세혈관막의 투과성이 증가된 경우 생기는 폐부종 증상 폐부종의 대표적인 증상은 심한 정도에 따라 다르지만, 일반적으로 호흡곤란과 함께 마른기침이 나오고 분홍색 객담(가래)을 동반합니다. 초기에는 운동 시 호흡곤란으로 시작하여, 질병의 진행 정도에 따라 점점 가벼..

말채나무 점무늬병(반점병) [내부링크]

말채나무 점무늬병(반점병) 장마철 이후에 말채나무류의 잎에 흔히 발생하여 조경수로서의 미적 가치를 크게 훼손시키므로 일종의 미관저해병 (aesthetic disease)이라고 할 수 있다. 학명 leaf spot 병원균 Sphaerulina cornicola (DC.) Verkley, Quaedvl, & Crous [= Septoria cornicola (DC.) Desm.] 병징 및 병환 장마철 이후부터 조금씩 나타나기 시작하여 9월에는 부쩍 심해진다. 처음에는 자갈색의 모난 병반들이 나타나고 차츰 병반의 안쪽이 회갈색으로 변하며, 나중에는 병반의 안쪽에 작은 점(분생포자각)이 나타난다. 습 한 환경에서는 분생포자각으로부터 분생포자 덩이가 뿔처럼 밀려 올라오는 것을 볼 수도 있다. 병든 잎에서 월..

등나무혹병 [내부링크]

등나무혹병 학명 Bacterial gall 병원균 Pantoea agglomerans pv. milletiae 피해 세균에 의한 병으로 병원세균의 연속적인 자극에 의해 줄기에 모양이나 크기가 일정하지 않은 혹이 발생한다. 병징 및 표징 발병 초기에는 줄기에 회백색 작은 돌기가 나타나고, 이 돌기가 점차 커져서 표면이 거친 5~10cm 크기의 구형 또는 반구형인 황갈색 암종(혹)을 형성한다. 암종은 종종 서로 합쳐져서 부정형이 되고, 터져서 목질부가 노출되는 경우가 많으며, 이 부위를 중심으로 목재부후가 확산된다. 방제 방법 암종을 목질부까지 완전히 제거하고 알코올 등으로 소독한 후 테부코나졸 도포제를 바른다. [네이버 지식백과] 혹병 [Bacterial gall] (나무 병해충 도감, 2014. 4. 1..

느릅나무검은무늬병(흑반병) [내부링크]

느릅나무검은무늬병(흑반병) 학명 Stegophora oharana (Nisikado et Matsumoto) Petrak 학명 Leaf spot 분포 한국, 아시아 형태 자낭각(子囊殼)은 구형, 편구형, 타원형으로 조직내에 매몰되어 있고 잎 표면에 개구부(開口部)를 가진다. 자낭(子囊)은 곤봉형으로 정단(頂端)은 둥글고 약간 두툼한 막을 가지고 있으며 중앙부에 공구(孔口)가 있고 크기는 45~70×9~14(57×11)이다. 자낭(子囊)안에 거의 2열로 배열된 자낭포자(子囊胞子)는 무색의 장타원형으로서 격막(隔膜)이 1개가 있고 격막부위에서 약간 잘록하다. 두 세포의 크기는 현저하게 차이가 있으며 자낭포자(子囊胞子)의 피해 이른 봄부터 새로 나온 잎에 발생하며 병든 잎은 일찍 떨어진다. 병징 ․ 표징 5..

감나무 흰가루병 [내부링크]

감나무 흰가루병 학명 Powdery mildew 병원균 Phyllactinia kakicola 피해 초여름부터 가을에 걸쳐 흔히 볼 수 있으며, 밀식되었거나 습하고 그늘진 곳에서 잘 발생한다. 나무에 큰 피해를 주지는 않으나 미관을 해친다. 병징 및 표징 5~6월에 잎 앞면에 검은색 작은 원형 병반이 불규칙하게 나타나고, 8월 하순부터 잎 뒷면에 밀가루 모양으로 흰색 균총이 형성된다. 가을에 잎 뒷면 하얀 병반에 둥글고 노란 알갱이(자낭구)가 다수 나타나기 시작하고 성숙하면 검은색으로 변한다. 방제법 병든 낙엽을 모아 제거하고, 통풍, 채광, 배수가 잘 되도록 관리한다. 발병 초기에 마이클로뷰타닐 수화제 1,500배액 등 흰가루병 적용 약제를 10일 간격으로 2회 이상 살포한다. 출처 : [네이버 지식백..

팽나무 뒷면흰가루병 [내부링크]

뒷면흰가루병 학명 Pleochaeta shiraiana 기주 팽나무 병원균 Pleochaeta shiraiana 피해 큰 나무, 채광이 양호한 나무에도 발생할 수 있다. 잎 뒷면에만 발생하는데, 병든 잎은 노랗게 퇴색하면서 조기낙엽된다. 병징 및 표징 잎 뒷면에 발생하며, 7월 이후부터 작고 흰 반점 모양 균총이 나타난다. 점차 확대되면서 잎 뒷면 전체에 밀가루를 뿌려놓은 것처럼 하얗게 보일 때도 있다. 가을이 되면 분생포자 형성이 더 이상 진행되지 않으며, 하얀 균총이 희미해지면서 노란 색의 어린 자낭구가 나타나고 차츰 성숙되면서 흑갈색으로 변한다. 잎 앞면은 뒷면의 병원체가 형성된 부위를 중심으로 노랗게 퇴색한다. 방제법 발병 초기에 마이클로뷰타닐 수화제 1,500배액 등 흰가루병 적용 약제..

감나무 잿빛곰팡이병 [내부링크]

감나무 잿빛곰팡이병 병원균 : Botrytis cinerea 병징 담록색의 소형 또는 대형 병반을 형성하며 병반내에는 물결모양의 동심윤문을 나타내며 병반위에 회색 곰팡이가 생기며 나중에 구멍이 뚫림 발병상태 5~6월경 비가 잦은 날씨가 계속되면 어린잎에 많이 발생되며 심하면 조기낙엽이 됨 발생부위 잎, 꽃, 어린 과실, 꽃받침 진단 경엽기 이후에는 잘 발생하지 않고 주로 어린잎에 많이 발생하며 봄철에 돌풍을 맞아 상처가 생기면 더욱 급속히 확산함 방제법 5~6월경 강우량이 많을 경우 밀식으로 통기성 불량 질소 비료를 많이 한 경우 봄철 돌풍이 불어 어린잎에 상처가 있는 경우는 초기 약제살포가 중요함. 적용약제 : 벨쿠트, 후론사이드, 맘모스, 벨리스플러스, 에이플, 푸르겐 등 작물명 적용병..

감나무모무늬낙엽병 [내부링크]

감나무모무늬낙엽병 주로 잎에 발병하며, 병반(病斑)은 다각형이고 중앙부는 갈색으로, 병반 주변은 흑갈색을 띤다. 병든 잎은 서서히 떨어진다. 병원균(Cercospora kaki )은 불완전균으로 꼭대기가 긴 곤봉형의 분생포자를 생성한다. 가지 병반부에서는 분생포자로, 병든 잎에서는 균사로 월동하며, 6∼7월에 전염원이 된다. 포자가 발아하면 주로 잎 뒷면의 기공으로 침입하여 약 30일간의 잠복기를 거친 후 7~8월경 병증이 나타난다. 척박하고 시비(施肥: 거름주기)가 고르지 못한 과수원에서 발병이 많다. 6월 중순경부터 잎 뒷면에 살균제를 살포하며, 월동시 전년도 피해낙엽을 불태운다. * [네이버 지식백과] 감나무모무늬낙엽병 [spotted leaf cast, 落葉病] (두산백과 두피디아, 두산백과) ..

흉통 [내부링크]

흉통 개요 흉통(Chest pain)은 가슴 부위에 느껴지는 통증, 혹은 불편한 증상을 통칭하는 용어입니다. 흉통의 증상과 일으키는 원인은 매우 다양합니다. 일시적이고 가벼운 질환부터 심근경색증이나 박리성 대동맥류처럼 신속한 치료가 뒤따르지 않으면 사망에 이르는 심각한 병까지 존재합니다. 보통 성인들의 흉통을 유발하는 가장 흔한 원인은 가슴의 근육이나 인대가 늘어나기 때문이고, 그 다음은 심리적인 원인에 의한 것입니다. 가슴 부위 피부와 근육 및 근육막, 늑골, 늑막에서 생기는 통증은 대개 일시적이고 가벼운 병이 많습니다. 스트레스나 불안증과 같은 심리적인 문제도 흉통을 유발하지만 심각하지 않은 경우도 많습니다. 대부분 가볍게 지나가고 심각한 결과를 초래하지 않는 원인입니다. 하지만 폐와 심장은 생명과 ..

흉막염과 농흉 [내부링크]

흉막염과 농흉 개요 1. 흉막과 흉수 흉막(가슴막)은 20 정도 두께의 아주 얇은 막으로, 폐의 겉표면을 덮고 있는 장측흉막과 가슴 안 공간 내 구조물들(갈비뼈, 횡격막, 심장)의 표면을 덮고 있는 벽측흉막으로 나뉩니다. 이들 장측흉막과 벽측흉막 사이의 작은 공간을 흉강(가슴막공간)이라고 합니다. 이 흉강에는 흉수(가슴막삼출)라고 부르는 소량(5~10 cc 정도)의 액체가 들어 있습니다. 이 소량의 흉수는 윤활유와 같은 역할을 하여 호흡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도와주는데, 우리가 호흡을 할 때 폐가 수축과 팽창을 반복하여도 폐의 표면이 직접 가슴벽에 맞닿지 않게 하여 폐와 가슴벽의 마찰을 줄여줍니다. 2. 흉막염 및 농흉의 발생 정상적으로 흉수는 벽측 및 장측흉막에서 생성되어 벽측흉막에 존재하는 림프..

감나무 둥근무늬 낙엽병 [내부링크]

감나무 둥근무늬 낙엽병 학명 Circular leaf spot 병원균 Mycosphaerella nawae 병에 걸린 감나무는 과일의 상태가 불량하고 잎이 일찍 떨어져서 과수원이 황폐해진다. 피해 척박한 과원에서 주로 발생하고 잎이 푸른 상태에서 나무 전체의 잎이 일시에 낙엽이 된다. 방제가 제대로 되지 못한 과원에서 주로 발생한다. 잎에 흑갈색 점무늬가 나타나고 시간이 지나면서 점점 확대되어 점무늬의 내부는 붉은 색을 띄고 테두리는 흑색을 띈다. 감나무둥근무늬낙엽병은 80년대 부터 감의 재배면적이 확대되기 시작하면서 발병이 증가하였다. 우리나라 감나무 재배지 어디에서나 흔하게 발생한다. 남부지방의 단감 재배지에서는 해마다 발생한다. 상주, 함양, 영동지역 등에 한 해 농사를 망치는 일이 잦다. 생태 M..

가중나무 흰가루병 [내부링크]

가중나무 흰가루병 학명 Powderymildew 병원균 Phyllactinia ailanthi 피해 가중나무에서 흔히 볼 수 있는 병으로 큰 나무보다는 어린 나무에 잘 발생하고, 큰 피해를 주지는 않으나 미관을 해친다. 병징 및 표징 잎 뒷면이 미세하게 흰색 밀가루를 뿌려 놓은 것처럼 보인다. 9월 중순 이후 잎 뒷면의 하얀 병반에 흰색 둥근 알갱이(자낭구)가 나타나기 시작하고 10월 상순부터 노란색으로 변한 후 10월 중하순에는 성숙해 검은색으로 변한다. 성숙한 검은색 자낭구가 나타날 쯤에는 흰색 밀가루 모양 균총은 거의 보이지 않는다. 방제법 병든 낙엽을 모아 제거하고, 통풍, 채광, 배수가 잘 되도록 관리한다. 발병 초기에 마이클로뷰타닐 수화제 1,500배액 등 흰가루병 적용 약제를 10일 간격으로..

가중나무갈색무늬병(갈반병) [내부링크]

가중나무갈색무늬병(갈반병) 학명 Septoriasp. 학명 Leaf spot(Brown leaf spot) 일명 Kappan-byo 분포 전국 형태 병자각(柄子殼)은 구형이며 표피조직내에 매몰되어 형성하나 곧 표피를 뚫고 분출한다. 병포자(柄胞子)는 긴 원통형이며 정단부보다 끝쪽이 가늘어지나 양끝은 둥글고 약간 굽으며 크기는 19~50×3~4(34.0×3.7)이다. 격막(隔膜)은 2~7개이며 미색을 띤다. 생태 병자각은 구형이며 표피 조직 내에 매몰되어 만들어지지만 윗부분은 표피를 뚫고 나온다. 병포자는 긴 원통형이고 정단부보다 아래쪽 끝이 가늘지만, 양끝 모두 둥글다. 피해 피해를 심하게 받은 잎은 8월부터 낙엽이 되어 수관이 엉성하게 된다. 방제법 병든 낙엽은 모아서 태우며, 잎이 피기 시작할 때..

가래.호두나무검은돌기가지마름병(흑립지고병) [내부링크]

가래.호두나무검은돌기가지마름병(흑립지고병) 학명 Melanconis juglandis (Ellis et Everhart) Graves 학명 Melanconis disease 일명 Kurotubu-edagare-byo 분포 한국, 아시아, 북미, 유럽 기주 호두나무, 가래나무 형태 분생자퇴(分生子堆)는 무색이며 수피(樹皮)밑에 형성되고 크기는 직경이 450~800이다. 분생자병(分生子柄)은 투명하거나 담갈색이며 희미한 환상돌기(環狀突起, annellation)가 있고 크기는 15~38×3~5이다. 분생포자(分生胞子)는 분생자병(分生子柄)의 끝부분에 1개씩 형성되며 타원형의 단포(單胞)로서 색깔은 암갈색, 크기는 18.0~23.5×11.0~14.0이다. PDA에서의 균총(菌叢)은 담황갈색이다. 피해 수..

동백나무 겨우살이 [내부링크]

동백나무 겨우살이 학명 Korthalsella japonica (Thunb.) Engl. 학명이명 Viscum japonicum Thunb. 형태 아관목으로, 녹색이고, 키 5-15cm, 무모이다. 줄기는 편평하며, 분지하고, 가지는 마디에서 주로 대생하며, 절간은 좁은 도란형 내지 도피침형이고, 길이 0.5-1.8cm이다. 꽃은 마디에 다수가 달리며, 황록색이고, 지름 0.8-1mm이며, 포는 없다. 수꽃의 화피는 깊게 3열한다. 암꽃의 화피는 얕게 3열하고, 화피편은 삼각형으로, 작다. 장과는 지름 약 2mm이다. 염색체 수 2n = 28. 상록성 기생 떨기나무로 높이 5∼30cm이다. 잎은 퇴화되어 마디사이의 윗부분 끝에 돌기처럼 달려 있다. 꽃은 4~8월에 가지 끝이나 잎겨드랑이에 달리고, 둥글며..

겨우살이 [내부링크]

겨우살이 학명 Viscum album var. lutescens 꽃말 강한 인내심 서식지 참나무, 물오리나무, 밤나무, 팽나무 개화시기 4월 크기 높이 40~60cm, 지름 1m 참나무·물오리나무·밤나무·팽나무 등에 기생한다. 둥지같이 둥글게 자라 지름이 1m에 달하는 것도 있다. 잎은 마주나고 다육질이며 바소꼴로 잎자루가 없다. 가지는 둥글고 황록색으로 털이 없으며 마디 사이가 3∼6cm이다. 꽃은 3월에 황색으로 가지 끝에 피고 꽃대는 없으며, 작은 포(苞)는 접시 모양이고 암수딴그루이다. 화피(花被)는 종 모양이고 4갈래이며, 열매는 둥글고 10월에 연노란색으로 익는다. 과육이 잘 발달되어 산새들이 좋아하는 먹이가 되며 이 새들에 의해 나무로 옮겨져 퍼진다. 생약에서 기생목(寄生木)은 이것 전체를 ..

흰말병(백조병) [내부링크]

흰말병(백조병) 학명 Cephaleuros virescensKunze 학명 White rust(Algal leaf spot) 일명 Siromo-byo 분포 한국, 전세계(열대, 온대지역) 기주 가시나무류, 사스레피나무, 동백나무, 후박나무 등 형태 병원균은 흰말과(科)에 속하며, 이 흰말의 세사체(細絲體)는 주로 세포간극(細胞間隙)에서 자라지만 때로는 잎의 표면까지 나와서 자라게 된다. 성숙기에 균사위에 수직으로 형성되는 포자낭병(胞子囊柄 ; Sporangiophore)은 흑색으로 격막(隔膜)을 가지며 크기 220~400x14.7~24.5이고 정단부(頂端部)에서 구형(球形)~반구형(半球形)으로 부풀며 여기에 포자낭(胞子囊 ; Sporangium)이 형성된다. 포자)는 무색이다. 피해 병든 잎은 반점(斑..

고약병 [내부링크]

고약병 학명 Septobasidium spp. 학명 Lepra(Felt) 일명 Koyaku-byo 분포 한국, 아시아, 북미, 유럽 형태 우리 나라에서는 호두나무, 밤나무, 뽕나무, 오동나무 등 극히 제한된 수종에서 갈색고약병, 잿빛고약병만이 보고되어 있으나 일본의 경우 활엽수, 침엽수, 과수에 Septobasidium속 11종이 기록되어 있다. 또한 고약병은 적지 않은 수종에서 발생하고 있음이 옛날부터 잘 알려져 있는 병이지만 병원균(病原菌)의 형태, 생태, 종류에 대해서 연구된 것은 거의 없는 실정이다. 고약병균(膏藥病菌)을 식별할 때는 균사막의 색깔로서 개략적으로 구분할 수 있다. 피해 가지나 줄기에 형성된 균사층(菌絲層)의 기계적 압박에 의해 수세가 약화되며 때로 기주식물(寄主植物)의 조직내로 침..

푸른무늬병 [내부링크]

푸른무늬병 학명 Ceratocystis sp., Ophiostoma spp., Leptographium spp.(Bluestain fungus, Ohiostomatoid fungus 학명 Bluestain, Sapstain 분포 한국, 아시아, 미국, 유럽, 뉴질랜드 피해 일반적으로 상처, 산불, 가뭄 등의 스트레스에 의해 피해를 받은 나무들이 나무좀들의 공격대상이 되고, 나무좀의 균낭이나 몸체에 붙어 있는 청변곰팡이의 포자가 갱도안으로 유입된다. 따라서 갱도로부터 시작된 곰팡이의 균사는 갱도를 따라 위·아래로 생장하고, 심재부 전까지 중심을 향하여 자란다. 한번 감염된 나무는 날씨가 따뜻하면 몇 주 만에 완전히 목재의 변재를 푸르게 변색시킨다. 나무좀들마다 옮기는 곰팡이의 종들도 다르며 대부분의 곰팡이..

일본잎갈나무 가지끝마름병 [내부링크]

일본잎갈나무 가지끝마름병 학명 Guignardia laricina (Sawada) Yamanoto & Ito = Botryosphaeria laricina (Sawada) Shang 학명 Shoot blight 분포 한국, 아시아, 일본, 러시아 피해 매년 연속하여 피해를 받으면 수고생장을 못하고 죽은 가지가 많이 남아서 빗자루 모양으로 말라 죽는다. 이 병원균은 일본잎갈나무가 우리나라에 도입하였을 때 같이 들어온 것으로 추측되며, 1970년대에는 잎떨림병과 함께 많은 피해를 주었다. 병원균의 자낭포자는 비가 온 후 형성이 촉진되기 때문에 7~8월에 건조한 기간이 길면 일반적으로 피해가 감소하며, 반대로 강우량이 많을 때는 피해가 크다. 또한 강풍 또는 태풍 후에 피해가 확대된다. 일본잎갈나무 전생장기를..

삼나무 붉은마름병 [내부링크]

삼나무 붉은마름병 학명 Cercospora sequoiae Ellis & Everhart. 학명 Needle blight 분포 한국, 일본, 아시아, 북미, 남미, 북유럽 피해 Cercospora blight라고도 불리며, 실생 1~4년생의 어린 묘목에 주로 발생되며, 병든 묘목은 말라 죽기도 한다. 10년생 이상에는 거의 피해가 없으나 병든 묘목이 성목(成木)이 되었을 때 줄기가 불규칙하게 형성되므로 가치를 떨어뜨린다. 6월경부터 땅가에 가까운 줄기 및 침엽이 적갈색으로 변하기 시작하며, 여름과 가을에 걸쳐 급격히 피해를 일으킨다. 당해년도 묘목의 경우 이 병에 의해 전멸되는 경우도 있다. 북미에서는 삼나무에 가장 심한 피해를 주는 병원균으로 C. sequoiae와 C. sequoiae var. jun..

삼나무 페스탈로치아병 [내부링크]

삼나무 페스탈로치아병 학명 Pestalotiopsis foedans (Sacc. & Ellis) Steyaert·Pestalotiopsis glandicola (Castagne) Steyaert 학명 Pestalotia disease 분포 한국, 일본 피해 외국에서는 소나무, 편백, 화백, 메타세콰이어, 나한백 등이 기주식물에 포함되어 있다. 삼나무 어린 묘목 및 성목에서 관찰되지만, 피해는 일반적으로 경미하다. 초기에는 하부가지의 침엽이 적갈색으로 변하기 시작하여 차츰 위쪽으로 확대된다. 통풍이 불량하거나 습기가 많을 경우에 Cercospora, Phoma와 함께 자주 발생하나 병원성은 약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간혹 직경 5 정도의 가지가 죽는 경우도 있다. 건조, 장마 등의 요인에 의해 뿌리가 약..

향나무 눈마름병 (Bud blight of Chinese juniper) [내부링크]

향나무 눈마름병 향나무 눈마름병(枯ⵅ, Bud blight of Chinese juniper)은 4~5월에 비가 많이 오거나 또는 초여름의 이른 장마가 오래 이어질 때 많이 발생해서 심한 피해를 주며, 나무의 미관을 크게 해친다. 2~3년생의 어린 묘목과 큰 나무에 모두 발생하며, 관리 불량, 이식 등으로 수세가 약해졌을 때 잘 발생한다. 병징 4~5월경부터 초여름에 걸쳐 새 눈이 침해를 받는다. 처음에는 침엽이 진한 갈색으로 변하며, 나중에는 회갈색~회백색이 되면서 말라죽는다. 말라죽은 침엽 또는 눈의 축(䀆)위에는 까만 점 같은 미소한 알갱이들(분생포자각)이 다수 나타난다. 비가 와서 잎이 젖으면 이들분생포자각에서 덩굴모양의 백색~유백색 끈적덩이(분생포자덩이)가 밀려 올라온다. 피해는 7~8월에 가..

향나무 잎마름병 [내부링크]

향나무 잎마름병 학명 Pestalotia needle blight 피해특징 병원균의 병원성이 강하지 않기에 상처가 없을 땐 잘 침입하지 못해 바람이 많이 부는 지역에서 증상이 나타나고, 태풍이 지나간 이후에는 피해가 만연되는 특징 있다. 병징 및 표징 주로 잎 끝부분부터 연한 갈색으로 변한다. 변색된 병반 위에는 작고 검은 점 (분생포자층)이 나타나고, 다습하면 검은 색 뿔 또는 곱슬머리카락 모양 분생포자덩이가 솟아오른다. 감염된 잎과 작은 가지는 점차 말라 죽으며 잘 부스러진다. 병원균 : Pestalotipsis spp. 방제방법 수세가 나빠졌을 때 잘 발생하므로 수세관리에 힘쓰고, 태풍 이 후 이미녹타딘트리스알베실레이트 수화제 1,000배액 또는 프로피네브 수화제 500배액을 10일 간격으로 2~..

향나무 녹병 [내부링크]

향나무 녹병 학명 Gymnosporangiumasiaticum 녹병은 향나무뿐만 아니라 산당화, 꽃사과, 산사나무, 명자나무 등 조경수에도 많이 발생되며, 조경수목으로서의 미관적 가치를 크게 떨어뜨리고 잎 뒷면에 발생되는 녹포자퇴는 사람들에게 혐오감을 준다. 또한 배나무, 사과나무 등의 과일의 상품성과 생산량을 크게 저하시켜 농가에 큰 피해를 준다. 녹병은 일반적으로 농가에서는 붉은별무늬병으로 잘 알려져 있는 병해이다. 병징 및 표징 봄(4月 초순)에 향나무와 노간주나무의 잎, 가지 및 줄기에 짙은 갈색의 돌기(겨울포자퇴)가 형성되며 비가 와서 물기를 흡수하면 노란색~옅은 갈색의 한천 모양으로 부푼다. 이때 겨울포자는 발아하여 전 균사를 내고 담자포자를 형성하여 장미과 식물로 옮겨간다. 6~7월 장미과 ..

검은돌기잎마름병 [내부링크]

검은돌기잎마름병 학명 Chloroscypha chamaecyparidis 자주 발생하는 나무 측백나무, 편백 피해 특징 주로 울타리용으로 식재한 곳에 잘 발생하는 병으로, 심한 낙엽과 가지마름을 일으켜 수세가 쇠약해지고 미관을 해친다. 여름철 고온과 건조로 수목의 건강이 약해졌거나 밀식되어 통풍과 채광이 불량할 때 발생하기 쉽다. 병징 및 표징 6-8월경 주로 수관 하부의 잎과 가지가 적갈색으로 말라 죽으면서 낙엽이 되므로 수관 하부가 엉성한 모습이 된다. 잎의 병든 부분 및 기공조선에는 지름이 약 0.5-1 mm 되는 검은 색의 작은 돌기(자낭반)가 단독 혹은 무리지어 나타나고, 다습하면 부풀어올라 담흑갈색의 접시 모양이 된다. 자낭반은 건조할 경우 짙은 흑색을 띠며 크기가 다시 작아진다. 대량으로 낙..

편백·화백나무 가지마름병(수지동고병) [내부링크]

편백·화백나무 가지마름병 학명 Seiridium unicorne (Cooke et Ellis) Sutton = Monochaetia unicornis (Cooke et Ellis) Saccardo 학명 Resinous canker, Seiridium canker 분포 한국, 일본, 미국동부, 뉴질랜드, 아프리카 피해 Seiridium canker는 3종의 병원균(S. cardinale, S. cupressi, S. unicorne)에 의해 발생되는데, 이중 S. unicorne가 가장 큰 피해를 주는 것으로 보고되어 있다. 이 병은 1942년 동부아프리카의 케냐에서 최초 보고되었으며, 그 피해는 점차 증가하여 측백나무 과에서는 아주 중요한 병중의 하나로 되어있다. 또한 뉴질랜드에서도 큰 피해를 주었으며,..

전나무 빗자루병 [내부링크]

전나무 빗자루병 학명 Melampsorella caryophyllacearum J. Schrot 학명 Witches' broom 피해 굵은 가지의 일부가 커다란 빗자루모양이 되면서 수년간 피해를 받으면 결국 가지 전체가 고사한다. 이 병해에 의하여 나무 전체가 죽는 것은 우리나라에서 보고된 바는 없다. 전남 화순의 화순중학교 교정의 전나무와 같이 조경목으로 식재되어 있는 나무에서는 큰 가지가 고사하여 관상적 가치를 크게 떨어뜨린다. 산지에서의 발생보고는 없으나 전북 부안군 내소사 입구의 전나무림에서는 632본 중 97본이 감염되어 이병율은 15.4%로 조사되었다. 내소사 전나무 중에서는 일부 고사한 나무가 있으나 빗자루병에 의한 것인지는 불분명하다. 방제법 빗자루 모양을 한 병든 가지는 발생초기에 잘라서..

전나무잎녹병 [내부링크]

전나무잎녹병 학명 Uredinopsis komagatakensis Hiratsuka 학명 Needle rust 일명 Hasabi-byo 분포 한국, 일본 기주식물 : 전나무 중간기주 : 뱀고사리 형태 정자는 무색의 눈물방울모양으로서 크기는 2~3×1로 매우 작다. 수포자퇴는 직경 0.2~0.3mm, 길이 1mm내외의 둥근기둥 모양이다. 수포자는 무색의 단포(單胞)로서 구형~타원형이며 크기는 15.0~27.5×12.5~21.3(20.1×16.0)이고 표면에 돌기가 있다. 뱀고사리의 잎에 형성된 하포자는 무색의 단포로서 타원형이며 크기는 17.5~40.0×10.0~22.5(28.3×15.8)이다. 월동성하포자(越冬性夏胞子)는 약간 각이진 주걱모양이다. 병징 주로 계곡에 발생한다. 5~7월 전나무 당년생..

소나무류 푸사리움가지마름병 [내부링크]

소나무류 푸사리움가지마름병 학명 Fusarium circinatum Nirenberg & O'Donnell = F. subglutinans f. sp. pini 학명 Pitch canker 분포 한국, 일본(오키나와, 큐슈 남부), 미국(캘리포니아, 플로리다 등 남부지역), 남아프리카공화국, 멕시코북서부, 스페인, 아이티, 칠레 피해 이 병해는 1946년 미국 플로리다에서 처음 보고되어 캘리포니아지역 라디에타소나무에서 큰 피해를 주고 있으며, 세계적으로 중요한 소나무류의 병해이다. 우리나라에는 1996년 인천지역 리기다소나무림에서 처음 보고되었으며, 현재는 강원도, 경상북도 동해안 지역 등 일부지역을 제외하고 전국적으로 발생하고 있다. 2~3년생의 어린 나무에서부터 직경 30 이상의 큰 나무까지 말라죽..

인플루엔자 [내부링크]

인플루엔자 개요 일반인에게 "독감"으로 알려져 있는 인플루엔자는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에 의한 급성 호흡기질환입니다. 인플루엔자 바이러스는 크게 A, B, C 형으로 구분되는데 주로 A형과 B형이 사람에게 인플루엔자를 유발합니다. C형도 사람에게 드물게 감염을 일으키기는 하나 증상은 심하지 않습니다. 동물인플루엔자 인체감염증은 일반적으로 돼지나 닭, 칠면조, 오리와 같은 가축 또는 야생조류에게 발생한 인플루엔자 바이러스가 변이를 일으켜 같은 종끼리의 감염을 넘어 인체감염을 일으키는 경우를 말합니다. 개요-신고 대상 및 방법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에 의한 급성 호흡기 질환] 1. 신고범위: 환자, 의사환자 2. 신고시기: 7일 이내 신고(매주 화요일까지) * 동물인플루엔자의 경우 즉시 3. 신고를 위한 진..

수면무호흡증 [내부링크]

수면무호흡증 개요 수면무호흡은 수면 중 상기도의 반복적인 폐쇄로 인해 호흡이 멈추거나 호흡이 감소하여 이로 인해 자주 깨는 증상이 발생하게 되는 수면 호흡 장애로 치료를 하지 않으면 지나친 주간 졸림이나, 인지 장애, 직업 수행 능력의 감소, 삶의 질 저하를 초래할 뿐 아니라, 고혈압, 심혈관계 질환, 당 대사의 이상 등이 발생할 수 있는 질환입니다. 개요-정의 수면무호흡은 수면중에 최소 10초 이상 호흡이 멈추는 경우로서, 숨을 쉬려는 시도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구강 내 기도가 폐쇄되어 발생하는 폐쇄성 수면무호흡과 숨을 쉬려는 노력자체가 일시적으로 정지를 보이는 중추성 수면무호흡으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저호흡은 호흡이 완전히 정지하지는 않으나 호흡량이 반이하로 감소하고 이로 인해 혈액 내 산소의 농도가..

비부비동염 [내부링크]

비부비동염 개요 부비동은 얼굴뼈 속에 있는, 공기로 채워진 공간입니다. 부위에 따라 사골동, 상악동, 전두동, 접형동으로 나눕니다. 부비동은 자연공이라는 작은 통로를 통해 비강(콧속)으로 열려 있습니다. 부비동의 역할은 명확히 밝혀지지 않았으나 목소리의 공명, 들이마신 공기의 가습, 비강 내 압력 조절, 두개골을 가볍게 하는 등의 역할을 하는 것으로 추정하고 있습니다. 개요-정의 부비동염은 부비동 내부를 덮은 점막의 염증성 질환을 통칭하는 말입니다. 부비동염은 비염과 함께 생기는 경우가 흔해서 명확히 구분하기 어렵습니다. 그래서 보통 ‘비부비동염’이라 부릅니다. 개요-종류 1. 발병 기간에 따른 분류 비부비동염은 병에 걸린 기간에 따라 급성, 아급성, 만성으로 분류합니다. 증상이 생긴 지 12주 이내라면..

변형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 [내부링크]

변형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 개요 코로나바이러스는 포유류와 새 등의 동물은 물론 사람에게도 흔히 감염을 일으킵니다. 보통(유행성) 감기를 포함하여 인후염, 비염 등 상부 호흡기 감염을 일으키기 때문에 호흡기 바이러스(respiratory virus)로 분류합니다. 호흡기 바이러스에는 코로나바이러스 외에 독감을 일으키는 인플루엔자 바이러스(Influenza virus), 감기의 흔한 원인인 라이노바이러스(rhinovirus) 등 여러 종류가 있습니다. 코로나바이러스는 종류가 다양하며 세 개의 항원군(Ⅰ, Ⅱ, Ⅲ)으로 분류되는데, 사람에게 흔하게 감염을 일으키는 것은 229E, OC43, NL63 등입니다. 이들 사람 코로나바이러스는 오래 전부터 사람을 감염시켜 함께 진화해 왔기 때문에 사람 역시 충분한 면역 ..

만성폐쇄성폐질환 [내부링크]

만성폐쇄성폐질환 개요 호흡기관인 폐는 우리가 사는데 꼭 필요한 산소를 흡수하고 몸에서 발생한 노폐물인 이산화탄소를 배출하는 역할을 합니다. 입과 코를 통해 들어온 외부의 공기는 기관지를 거쳐 폐포에 도달하게 되며, 폐포에서 공기 중의 산소가 체내로 들어오고 체내에서 생성된 이산화탄소가 배출되는 가스 교환이 이루어지게 됩니다. 개요-정의 만성폐쇄성폐질환(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COPD)은 완전히 회복되지 않고 점차 진행하는 기류제한을 특징으로 하는 만성 폐질환으로 흡연, 직업적 노출, 실내 오염, 감염 등에 의한 기도와 폐 실질의 이상에 의해 발생합니다. 만성폐쇄성폐질환의 특징인 기류제한은 장기간에 걸쳐 진행됩니다. 담배와 같은 유해한 입자나 유해가스를 흡입하..

레지오넬라증 [내부링크]

레지오넬라증 개요 레지오넬라증은 레지오넬라속(屬, genus) 세균에 의한 감염증으로 레지오넬라 폐렴(Legionnaire's disease, 재향군인병, 레지오넬라병)과 특별한 치료 없이도 호전되는 급성 열성 질환인 폰티악 열(pontiac fever) 등 두 가지 질병을 합쳐서 일컫는 말입니다. 개요-신고 대상 및 방법 레지오넬라증은 우리나라에서 3급 법정감염병으로 지정되어 있어 아래와 같이 24시간 이내에 신고합니다. 신고범위: 환자, 의사환자 신고를 위한 진단기준 환자: 레지오넬라증에 부합되는 임상증상을 나타내면서 확인 진단을 위한 검사기준에 따라 감염병 병원체 감염이 확인된 사람 의사환자: 임상증상 및 역학적 연관성을 감안하여 레지오넬라증이 의심되며, 추정진단을 위한 검사기준에 따..

기흉 [내부링크]

기흉 개요 폐는 호흡을 통해 혈액에 산소를 공급해주고 혈액 속에서 이산화탄소를 배출하는 역할을 하는 장기입니다. 기흉이란 폐가 찌그러져서 이러한 가스교환이 방해를 받아 호흡 곤란을 일으키는 질환입니다. 개요-정의 기흉이란 한자로 '공기'라는 의미의 '기(氣)'와 '가슴'이라는 의미의 '흉(胸)'자가 합쳐진 말로 가슴 속에 공기가 찼다는 의미입니다. 사람은 두 개의 폐가 양쪽 가슴 속 빈 공간(흉강)에 들어차 있는데, 어떤 원인으로 인해 빈 공간에 공기가 들어가 폐를 찌그러뜨리면서 흉통과 호흡 곤란 등의 증상을 일으키는 상태를 말합니다. 개요-종류 기흉은 원인에 따라 저절로 발생한 '자연기흉'과 외상에 의해 발생한 '외상성 기흉' 두 가지로 크게 구분됩니다. 1. 자연기흉 1) 일차성 자연기흉 일차성 자연..

사시 [내부링크]

사시 개요 사시는 두 눈이 정렬되지 않고 서로 다른 지점을 바라보는 시력 장애입니다. 한 쪽 눈이 정면을 바라볼 때 다른 쪽 눈은 안쪽 또는 바깥쪽으로 돌아가거나 위 또는 아래로 돌아가게 됩니다. 항상 눈이 돌아가 있을 수 있지만 가끔 돌아간 눈이 어느 순간 정면을 주시하기도 하고 정면을 주시하던 눈이 돌아가기도 합니다. 사시와 시력의 관계 사시로 인하여 약시가 발생될 수 있습니다. 사시로 인한 약시는 인구집단연구에 의한 49세 이상의 성인약시가 19% 정도를 차지하고, 항상 한쪽 눈에만 발생합니다. 사시 종류 중에 영아 내사시나 조절 내사시등 내사시의 발생 빈도가 높고 간헐성 외사시나 상사시에서는 발생빈도가 낮은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약시는 임상적으로는 시력저하가 있으면서 안경교정으로 정상시력이 되..

손떨림(수전증) [내부링크]

손떨림(수전증) 개요 떨림은 몸의 일부가 자신의 의지와 상관없이 규칙적으로 흔들리는 것을 말하며 손에 가장 많이 나타납니다. 흔히 수전증 또는 손 떨림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이러한 떨림은 손뿐만 아니라 눈, 얼굴, 머리, 성대, 상체, 다리 등 몸의 여러 부분에서 나타날 수 있습니다. 누구든지 조금씩은 떨릴 수 있으며, 약물에 의하거나 갑상샘 기능 이상과 같은 질환에 의해서도 나타날 수 있으나 "본태 떨림"이나 "파킨슨병"과 같이 뇌의 운동조절 기능에 이상이 생겨 발생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본태 떨림은 몸을 움직이거나, 물건을 잡으려고 의도적으로 근육에 힘을 줄 때 생기는 떨림을 말합니다. 떨림은 전 연령층에서 생길 수 있지만, 특히 중장년 및 노년층에서 가장 흔하며, 나이가 많아질수록 더욱 흔하게 생깁..

얼굴떨림(얼굴연축_눈꺼풀연축) [내부링크]

얼굴떨림(얼굴연축_눈꺼풀연축) 개요 눈꺼풀연축은 이상 운동 질환이라고 하는 신경계 질환의 하나로 16세기 De Gaper라는 화가의 그림에서 처음으로 기록이 남겨져 있으며, 20세기 들어와서 Henry Meige라는 프랑스의 신경과의사가 상세하게 책에 기술하였습니다. 이 시기에 처음으로 얼굴 신경에 알코올 주사를 하거나 신경을 절제하는 수술 등의 방법이 치료에 사용되어 왔으나, 얼굴이 마비되거나 눈꺼풀이 완전히 감기고 얼굴이 비뚤어지는 부작용으로 인해 더 이상 시행되지는 않고 있습니다. 개요-원인 눈꺼풀연축은 가족력이 있는 경우에 발생하기도 하지만, 대부분의 경우 왜 발생하는지는 알려져 있지 않습니다. 파킨슨병이나 파킨슨 증후군, 뚜렛병과 같은 틱 장애에서 잘 동반되어 나타나기도 합니다. 개요-병태생리 ..

일본뇌염 [내부링크]

일본뇌염 개요 일본뇌염 바이러스(Japanese encephalitis virus) 감염에 의한 질환이며, 제3급 법정감염병에 해당합니다. 개요-신고 대상 및 방법 - 신고범위 : 환자, 의사환자 - 신고를 위한 진단기준 환자 : 일본뇌염에 부합되는 임상증상을 나타내면서 확인 진단을 위한 검사 기준에 따라 감염병병원체 감염이 확인된 사람 의사환자 의심환자 : 임상증상 및 역학적 연관성을 감안하여 일본뇌염이 의심되나 진단을 위한 검사기준에 부합하는 검사결과가 없는 사람 추정환자 : 임상증상 및 역학적 연관성을 감안하여 일본뇌염이 의심되며, 추정진단을 위한 검사기준에 따라 감염이 추정되는 사람 - 진단을 위한 검사기준 확인 진단 검체(혈액, 뇌척수액)에서 일본뇌염 바이러스(Japanese encephalit..

소나무재선충병 [내부링크]

소나무재선충병 소나무재선충은 크기 1mm 내외의 실 같은 선충으로서 매개충(솔수염하늘소, 북방수염하늘소)의 몸 안에 서식하다가 새순을 갉아 먹을 때 상처부위를 통하여 나무에 침입한다. 침입한 재선충은 빠르게 증식하여 수분, 양분의 이동통로를 막아 나무를 죽게 하는 병으로 치료약이 없어 감염되면 100% 고사한다. 소나무재선충병에 감염되는 수종(소나무류) : 소나무, 해송, 잣나무, 섬잣나무 소나무재선충병 생활사 매개충의 생활사 ① (가을철) 매개충 산 매개충은 약 100개의 알을 고사목에 산란 ②③ (겨울~초봄) 매개충이 유충상태로 월동,재선충이 매개충 몸속에 침투 사목 속의 매개충 번데기로 재선충이 침투ㆍ기생 ④⑤⑥ (봄~가을철) 매개충 우화ㆍ활동 및 소나무에 재선충병 감염 매개충이 재선충을 지닌 채 ..

소나무(류) 피목가지마름병 [내부링크]

소나무(류) 피목가지마름병 학명 Cenangium ferruginosum Fries 학명 Cenangium twig blight(die-back)] 분포 한국, 아시아, 북미, 유럽 피해 이 병은 북반구 소나무류에서 흔히 발생되는 병해의 하나로 알려져 있으며, 일반적으로는 햇볕이 잘 들지 않아 수세가 쇠약하거나 뿌리발육이 부진한 장소에서 일부 가지가 죽는 피해를 준다. 그러나 때때로 이상적인 가뭄이나 동해 등 환경적 요인에 의하여 수세가 약해진 나무의 가지 및 줄기로 병원균이 이동하여 집단 발생하기도 한다. 병리학적인 면에서 보면 병원균은 건강한 나무에는 침입할 수 없는 약한 병원성을 가지는 2차 병원균이라 할 수 있으며, 또한 죽은 가지 및 줄기의 목부조직을 분해하여 산림 토양 내 양분 순환을 촉진 시..

소나무 혹병 [내부링크]

소나무 혹병 학명 Cronartium quercuum (Berk.) Miyabe ex Shirai 학명 Pine-oak gall rust 피해 병원균은 소나무류와 참나무류를 기주교대하는 이종기생균(異種寄生菌)으로 나무의 가지나 줄기에 다양한 크기의 혹을 형성한다. 병든 나무는 고사하지는 않으나, 혹이 형성된 병든 부위의 표면은 거칠고 조직이 연약하여 강한 바람 또는 폭설 등에 의하여 부러지기 쉽다. 한국의 소나무와 곰솔에 발생하며, 묘목부터 수십 년생 큰 나무까지 영향을 미칩니다. 이 병은 소나무와 참나무속 수종에서 기주교대가 일어나며, 혼효림에서 자주 관찰됩니다. 혹은 강풍이나 폭설에 의해 부러지기 쉬우며, 나무의 정상적인 성장을 방해하여 목재로서의 가치를 떨어뜨립니다. 북아메리카, 특히 미국 남부의 ..

소나무(류) 잎녹병 [내부링크]

소나무(류) 잎녹병 피해 소나무 잎녹병은 Coleosporium 속 병원균에 의해 발생합니다. 전 세계적으로 20여 종이 알려져 있으며, 한국에서는 주로 C. phellodendri (중간기주: 황벽나무)와 C. asterum (중간기주: 참취, 쑥부쟁이 등)에 의한 피해가 있습니다. 어린 소나무류가 주로 영향을 받으며, 병에 걸린 나무는 생장이 억제되고, 심한 경우에는 말라 죽을 수도 있습니다. 병징 4월과 5월경에 소나무의 잎에 흑갈색 점(녹병정자기)이 나타나며, 이어서 옅은 노란색의 네모난 포자주머니(녹포자기)가 형성됩니다. 병든 잎은 처음에 황갈색을 띠다가 녹포자가 비산한 후 회백색으로 변하며 마르고 죽습니다. 병원균의 종류에 따라 기주가 다를 수 있으나, 병징은 대체로 유사합니다. 이 병원균은 ..

[YouTube 채널 추천] 보다 BODA [내부링크]

어렸을 적부터 우주에 관심이 많아서 우주에 대한 주제를 가지고 있는 유튜브를 자주 봤었는데요 보다(BODA)는 채널은 우연히 알게 되었는데 너무 내용이 좋고 흥미로워 추천해 봅니다. 우주먼지 님과 대학교 교수님들 간의 우주 지식과 물리 법칙등 서로의 의견을 주고받는데 정말 제가 물어보고 싶었던 궁금한 점을 알아서 서로 질문도 하면서 논의하고 제가 미처 예상하지 못했던 궁금증에 대해서 얘기하는데 시간 가는 줄 모르고 보게 됩니다. 또한 사회자 분이 정말 재미있게 이끌어 가서 지루하지 않게 볼 수 있습니다. https://www.youtube.com/@boda100 보다 BODA누구나, 쉽게, 재밌게 볼 수 있는 영상 출연 신청 구글 폼 : https://forms.gle/1XKVXfBrALz1GHEH8 제..

소나무 가지끝마름병 [내부링크]

소나무 가지끝마름병 병원체 : Sphaeropsis sapinea = Diplodia pinea 특징 병원성이 약한 기생균으로 알려져 있으며 주로 가뭄이나 해충의 피해를 받아 수세가 약해진 나무에 발생한다. 피해 6월~7월경에 주로 새순과 어린 침엽이 회갈색으로 변하면서 급격히 말라죽으며 다 자란 침엽은 누렇게 시들면서 밑으로 축 처진다. 활력이 좋고 건전한 나무에서는 약해진 가지만을 고사시킨다. 고사한 새순과 어린 가지에서는 송진이 흘러나와 잎과 뒤엉키며 송진이 굳으면 가지는 쉽게 부러진다. 초여름~초가을사이 병든 가지와 잎에 검은점(분생포자각)이 나타난다. 병징 및 표징 보통 새순과 당년생 잎에만 나타나며 묵은 잎은 병에 걸리지 않는다. 감염된 2년생 솔방울의 인편 위에도 검은 분생포..

소나무 그을음잎마름병(매엽고병) [내부링크]

소나무 그을음잎마름병 학명 Rhizosphaera kalkhoffiiBubak 학명 Mottled leaf cast(Needle blight) 일명 Susu-hagare-byo 분포 한국, 아시아, 북미, 유럽 형태 기공(氣孔)에 형성된 병자각(柄子殼)은 크기가 직경 50~100정도로서 구형의 자좌(子座)를 가진다. 분생자병(分生子柄)은 없고 분생포자(分生胞子)는 병자각(柄子殼)의 안쪽벽에 바로 형성된다. 병포자(柄胞子)는 무색의 단포(單胞)이며 주로 타원형이나 드물게는 난형 또는 장타원형으로서 크기는 5~10×2~4(6.2×2.8)이다. 피해 우리 나라에서는 1984년에 처음 보고되었지만 오래 전부터 발생하고 있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이른 봄의 생장개시기 전후에 너무 습하거나 건조하여 뿌리 발달이 ..

소나무 잎떨림병(엽진병) [내부링크]

소나무 잎떨림병(엽진병) 학명 Lophodermium spp. 학명 Needle cast 특징 소나무, 곰솔,리기다소나무,잣나무 등에 발생하며 묵은 잎이 일찍 떨어지기 때문에 지속적으로 피해를 받으면 수세가 약해진다. 병징 및 표징 4~5월에 묵은 잎이 적갈색으로 변하면서 일찍 떨어져서 새순 또는 당년도 잎만 남는다. 6~7월에 병든 낙엽과 갈색으로 변한 잎에 크기가 1~2mm인 타원형의 검은색 돌기(자낭반)가 형성되고, 다습한 조건에서 자낭포자가 비산해 새입에 침입한다. 새로 감염된 잎에는 노란색 띠가 양쪽에 있는 갈색 반점이 나타난 채로 겨울을 난다. 최근 에는 10월 이후까지도 피해가 진행되기도 한여 소나무의 생리적 현상과 혼란을 가져오기도 한다. 다만 생리적현상에서 오는 낙엽현상은 자낭반이 나타나..

AI 로 저작권 없는 나만의 음악 만들기 - mubert [내부링크]

유튜브 영상 배경음악이나 게임 배경음악을 사용할 때 저작권을 잘 확인해야 합니다. 여러 가지 무료음악을 제공해 주는 사이트도 요즘 많아져서 폭이 넓어진 건 사실이죠 하지만 일일이 나에게 맞는 음악을 찾기란 쉬운 일이 아닙니다. mubert 사이트에서는 AI 를 이용하여 내가 제시한 단어나 이미지를 기반으로 음악을 만들어 줍니다. 몇 번 만들어봤는데 상당히 괜찮습니다. 아래 사이트로 들어가 Generate a track now 를 클릭하여 구글 계정으로 로그인합니다. https://mubert.com/ Mubert - Thousands of Staff-Picked Royalty-Free Music Tracks for Streaming, Videos, Podcasts, Commercial Use and On..

정지된 이미지를 움직이는 영상으로 만들기 - RunWay [내부링크]

정지된 이미지를 움직이는 영상으로 만들기 - RunWay 신기한 사이트를 하나 발견해서 소개합니다. 정지된 이미지를 움직이는 영상으로 바꿔주는데 이질 감 없이 움직이는 영상을 만들어냅니다. 아래 사이트로 접속합니다. https://app.runwayml.com/ Runway app.runwayml.com 구글 계정으로 로그인합니다. Gen2 표시가 들어간 Text/Image to Video 를 선택합니다. 이미지를 아래 영역에 드래그해서 놓으면 업로드됩니다. Motion Brush 를 선택합니다. 아래 화면에서 이미지 부분을 선택하고 움직이고 싶은 영역을 드래그하여 지정합니다. 지정하게 되면 아래처럼 표시가 되고 하단에 Horizontal, Vertical, Proximity 를 조정합니다. (이 값은 ..

칠엽수 잎마름병(얼룩무늬병) [내부링크]

칠엽수 잎마름병(얼룩무늬병) 학명 Guignardia aesculi 형태 최근 조경수로 많이 심고 있는 칠엽수의 주요 병으로 전세계에 널리 분포한다. 처음에는 새로 피어난 잎에 희미한 퇴색반점이 나타나며 수일만에 갈색~적갈색으로 변한다. 반점은 점점 커지면서 모양과 크기가 일정하지 않은 적갈색 얼룩무늬를 형성하며 병반의 가장자리는 노란색을 띠는 경우가 많다. 병반 위에는 바늘머리만한 검은 돌기들이 다수 나타나며, 그 안에는 병원균의 분생포자가 들어있다. 병징 잎에 갈색 반점이 나타나고 점차 커져서 불규칙한 병반이 되며, 병반 주변은 노란색을 띈다. 잎 양면 병반에는 작고 검은 돌기(분생포자각)가 다수 나타나고, 다습할 경우 유백색 분생포자덩이가 솟아오른다. 방제법 병든 잎은 가을에 모아서 태우거나 땅속에..

회양목잎마름병(엽고병) [내부링크]

회양목잎마름병(엽고병) 학명 Macrophoma candollei (Berkeley et Broome) Berlese et Voglino 학명 Leaf spot 일명 Hagare-byo 기주식물 회양목 분포 한국, 일본, 북미, 유럽 형태 병자각(柄子殼)은 농갈색~흑색으로서 반구형~편구형이나 때로 불규칙적으로 길게 나타난다. 크기는 직경 120~510이다. 분생자병(分生子柄)은 원통형으로서 병자각(柄子殼)의 안쪽벽에 밀생하고 곧으며 기부(基部)는 담갈색을 띠나 정단부는 무색이고, 정단부쪽으로 약간 가늘어지나 끝이 뾰족하지 않으며 크기는 35×3.5내외이다. 병포자(柄胞子)는 원통형으로서 무색의 단포(單胞)이며 양끝은 둥글고 크기는 10~21×5~7.2이다. 병징 ․ 표징 잎뒷면에 처음에는 작은 회갈..

연부후(軟腐朽; soft rot, 자낭균문) [내부링크]

연부후(軟腐朽; soft rot, 자낭균문) 연부후(soft rot)는 특정한 환경 조건에서 발생하는 나무의 부후 현상으로, 자낭균문에 속하는 균들에 의해 발생합니다. 이 현상의 주요 특징은 다음과 같습니다 연부후의 특징 발생 조건: 목재가 높은 함수율을 가진 상태에서 주로 발생합니다. 외형 변화: 목재 표면이 연해지고 암갈색으로 변하지만, 내부는 건전한 상태를 유지합니다. 발생 환경: 주로 장기간 수침 상태에 있었던 지하나 바닷물에 잠겼던 고목재에서 나타납니다. 특징적 변화: 피해 목재를 건조시킬 경우, 할렬(길이 방향의 균열)이 나타나며, 이는 갈색부후와 유사하지만 표면에만 국한된 현상입니다. 연부후균 종류 대표 종류: 콩버섯, 콩꼬투리버섯이 대표적인 연부후균입니다. 기타 연부후균: Alternari..

백색부후(白色腐朽; white rot, 대부분 담자균문) [내부링크]

백색부후(白色腐朽; white rot, 대부분 담자균문) 백색부후는 특정한 부후균에 의해 나무의 셀룰로스, 헤미셀룰로스, 그리고 리그닌까지 분해되는 현상으로 다음과 같이 설명됩니다. 백색부후의 특징 분해 과정 백색부후는 셀룰로스와 헤미셀룰로스 뿐만 아니라 리그닌도 분해합니다. 부후균에 따라 리그닌과 헤미셀룰로스를 먼저 분해하고 셀룰로스를 나중에 분해하는 선택적 분해형이 있으며, 모든 성분을 동시에 분해하는 동시분해형이 있습니다. 분해가 진행된 목재는 흰색의 스폰지처럼 쉽게 부서집니다. 발생 수종 주로 활엽수에 나타나지만 침엽수에서도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백색부후균의 종류 말굽버섯, 잎새버섯, 조개껍질버섯, 간버섯, 치마버섯: 이들 버섯류는 백색부후를 일으키는 주요 원인균입니다. 거북꽃그름버섯, 송편구름버..

갈색부후(褐色腐朽; brown rot, 대부분 담자균문) [내부링크]

갈색부후(褐色腐朽; brown rot, 대부분 담자균문) 목질부에서 셀룰로스와 헤미셀룰로스는 분해되지만, 리그닌은 분해되지 않아서 목부가 약간 단단한 갈색 벽돌모양이 된다. 부후균의 작용: 갈색부후는 부후균에 의해 목재를 구성하는 세포벽 성분인 셀룰로스와 헤미셀룰로스가 분해되지만, 리그닌은 잘 분해되지 않고 남아 있습니다. 부후의 진행: 부후가 진전되면서 암황색의 네모난 형태의 금이 생기고 목재가 잘 부서집니다. 발생 수종: 갈색부후는 주로 침엽수에 나타나지만 활엽수에서도 발생할 수 있습니다. 갈색부후균의 종류 실버섯류: 나무에 발생하는 실버섯류가 갈색부후를 일으킵니다. 구멍버섯류: 구멍버섯류도 갈색부후를 유발하는 균 중 하나입니다. 전나무조개버섯류: 전나무조개버섯류가 갈색부후를 일으키는 주요 원인균입니..

[Unity] 카메라 흔들기 (Camera Shake) 하기 [내부링크]

Unity 카메라 흔들기 (Camera Shake) 하기 뭔가 충격을 받은 경우 화면이 흔들리게 하고 싶었는데 카메라를 흔들어 이를 구현하였습니다. 아래가 해당 스크립트입니다. using UnityEngine; public class CameraShake : MonoBehaviour { public float shakeDuration = 0.5f; // 흔들림 지속 시간 public float shakeMagnitude = 0.7f; // 흔들림 강도 private Vector3 originalPos; private float shakeTimeRemaining; void OnEnable() { originalPos = transform.localPosition; } public void TriggerSh..

[Unity] 도망 다니는 Button 만들기 [내부링크]

Unity 도망 다니는 Button 만들기 버튼을 마우스로 클릭한 경우 도망 다니는 버튼을 만드는 방법입니다. 조건은 아래와 같습니다. - 버튼이 랜덤 한 위치에 다시 그려져야 함 - 마우스가 클릭 한 범위를 벗어나 다르곳에 위치하게 함 - 화면을 벗어나지 않아야 하고 벗어난 경우 가운데로 위치하도록 아래 스크립트를 버튼에 추가합니다. using UnityEngine; using UnityEngine.EventSystems; public class ButtonEscape : MonoBehaviour, IPointerEnterHandler { public float escapeDistance = 150f; // 버튼이 이동할 거리 public void OnPointerEnter(PointerEventDat..

활엽수 변재부후병 [내부링크]

활엽수 변재부후병 학명 Coriolus versicolor (Linnaeus ex Fries) Quelet 학명 Stem sap rot 일명 Kawaratake-byo 분포 한국, 전세계 형태 자실체는 구름버섯이라 불리며, 갓은 반원형이고, 크기는 1~5cm, 두께 1~2mm이며 가죽질이고 회색인데, 여기에 황갈색, 암갈색, 흑색 등의 좁은 고리무늬를 가지고 짧은 털로 덮여있다. 관공(管孔)은 길이 1mm정도로 원형~각형이며, 1mm사이에 3~5개가 있다. 담자포자(擔子胞子)는 무색의 원통형이고 평활하며, 크기는 5~8 ×1.5~2.5이다. 피해 일반적으로 고사된 줄기나 침목, 교량 등의 토목용재에 생기는 것이지만 살아있는 나무의 경우, 상처를 통하여 병원균이 침입하면 목질부(木質部)를 부후(腐朽)시켜..

침엽수 심재썩음병 [내부링크]

침엽수 심재썩음병 영명 : Stem heart rot 병원체 : Laetiporus sulphureus (Bull.) Murrill. (덕다리버섯), L. miniatus (Jungh.) Overeem (붉은덕다리버섯) 기주 : 일본잎갈나무, 잣나무 등 각종 침엽수 분포 : 아시아, 아프리카, 북미, 유럽, 오세아니아 피해 병원균은 가지절단부나 새, 곤충에 의한 상처를 통하여 심재부로 침입하여 목질부를 부후시키며, 침엽수와 활엽수 모두를 침해한다. 병든 나무는 급격히 고사하지는 않지만 강풍에 의해 병든 부분이 부러지기 쉬우며, 고사목이나 풍도목에도 침입하는데, 심재와 변재 구별 없이 부후시킨다. 일본에서는 줄기심재썩음병균으로 덕다리버섯(Laetiporus sulphureus)을 비롯하여 Ant..

[Unity] Visual Scripting - 구름 흐르게 하기 (사물 자동 이동) [내부링크]

Unity Visual Scripting - 구름 흐르게 하기 (사물 자동 이동) 게임에서 구름을 자동으로 흐르도록 하는 Visual Scripting 입니다. 먼저 구름 Object 에 Visual Scripting > Script Machine 를 추가하고 Variables 에 speed 를 추가합니다. 움직일 속도는 0.2 로 설정합니다. 노드는 아래와 같이 구성합니다. 시간의 흐름(Delta time)에 speed 를 곱한 값을 X 축에 반영하여 구름이 오른쪽으로 이동되게 됩니다. 위처럼 하면 이동은 되나 화면을 벗어나도 계속 이동하고 있게 됩니다. 재사용을 위해 화면을 벗어난 경우 앞으로 돌아와 흐르도록 하여 자동 반복되도록 해야 합니다. 아래 노란색 박스 표시된 부분은 현재 좌표값에서 X 축 ..

[Unity] Mouse Drag 로 Main Camera 이동하기 (Drag and Move Camera) [내부링크]

Mouse Drag 로 Main Camera 이동하기 (Drag and Move Camera) 버튼을 클릭하여 카메라를 이동하고 있었는데 폰으로 배포하니 터치 드레그로 움직이는 게 필요해서 찾은 방법입니다. 아래는 기본적인 코드로 Mouse Drag 로 Main Camera 이동하는 Script 입니다. using UnityEngine; public class CameraDrag : MonoBehaviour { public float dragSpeed = 2; private Vector3 dragOrigin; void Update() { if (Input.GetMouseButtonDown(0)) { dragOrigin = Input.mousePosition; return; } if (!Input.GetM..

검찰에서 만든 전화번호 01035708242 (찐센터) [내부링크]

보이스 피싱번호인지 반별해 주는 전화번호 01035708242 가 예전에 만들어졌습니다. 찐센터 라고 하는데요 저는 이걸 이제야 알게되었네요 예전에 저희 어머니도 보이스 피싱을 당한 적이 있었고 아는 분도 대출 관련 보이스 피싱을 당한적이 있어서 보이스 피싱이 남의 일이 아니게 되었습니다. 01035708242 전화번호를 사용하는 방법은 전화를 거는게 아닌 문자를 보내는 방식입니다. 문자로 보이스피싱 의심이되는 번호를 문자로 보내면 문자 답장으로 전화번호가 검찰과 관련되 있는지 알려줍니다. 또한 우편물을 찍거나 받은 이미지를 문자를 보내면 진위 여부를 판별하여 알려줍니다. 24시간 운영되고 있다고 하니 의심되는 전화를 받았다면 바로 확인을 해보는게 좋을것 같습니다.^^ 기사 참고 https://www.j..

폐흡충증 [내부링크]

폐흡충증 개요 [폐흡충(Paragonimus westermani) 감염에 의한 폐 기생충 질환] 개요-신고 대상 및 방법 - 신고범위 : 환자 - 신고를 위한 진단기준 - 환자 : 진단을 위한 검사기준에 따라 감염병병원체 감염이 확인된 사람 - 진단을 위한 검사기준 : 검체(대변, 가래)에서 충란 확인 - 신고시기 : 7일 이내 신고 - 신고 방법 : 표본감시기관은 기생충감염병 신고서를 작성하여 질병관리본부로 팩스 또는 웹(바로가기)으로 신고 * 표본감시 대상 의료기관 여부 확인 : 관할 지역 보건소에 문의 개요-원인 및 감염경로 역학 및 통계 폐흡충은 극동, 동남아, 아프리카, 남미 등에 분포되어 있습니다. 인체 감염사례는 주로 일본, 한국, 대만, 중국 등 극동지역에서 보고되었으며, 드물게 남미,..

백일해 [내부링크]

백일해 개요-원인 및 감염경로 백일해균(Bordetella pertussis) 감염에 의한 급성 호흡기질환으로, 호흡기 분비물이나 비말을 통한 호흡기 전파가 주된 감염경로입니다. 역학 및 통계 백일해는 인간에게만 발생되는 감염병으로서, 전염력이 가장 강한 질환의 하나입니다. 1640년 드바유(de Baillou)에 의해 처음 임상양상이 기술되었고, 1669년 시든햄(Sydenham)에 의해 백일해(pertussis)로 명명되었으며, 1906년 보르데(Bordet)와 젱구(Gengou)에 의해 균이 처음 분리되었습니다. 1945년부터 백일해 백신 사용이 확산됨에 따라 전 세계적 유행은 감소하였으나, 2003년 세계보건기구(WHO) 자료에 의하면 아직도 전 세계적으로 매년 500만 명이 감염되고 그중 30만..

침엽수 줄기심재썩음병 [내부링크]

침엽수 줄기심재썩음병 영명 Brown crumbly rot, Stem heart rot 병원체 Fomitopsis pinicola (Sw.) P. Karst. [red bet fungus, 소나무잔나비버섯] 기주 소나무, 가문비나무, 일본전나무 분포 아시아, 북아메리카, 유럽, 호주 피해 소나무잔나비버섯은 여름과 가을에 주로 침엽수의 생목과 고사목 주변에 발생되는 다년생 심재 갈색부후균이며, 침엽수림에서 가장 일반적으로 발견되는 부후균이다. 진단특성 병원균은 가지 또는 주간의 상처로부터 침입하여 주로 심재부를 가해하지만, 때로는 변재부도 가해한다. 부후 부위는 곧 갈색으로 변하며, 정도가 심한 나무는 적갈색~암갈색으로 변하고 연하게 된다. 건조하면 점차 균열이 생기고 균열 부분에는 백색..

침엽수 그루터기심재썩음병 [내부링크]

침엽수 그루터기심재썩음병 영명 : Stem heart rot 병원체 : Laetiporus sulphureus (Bull.) Murrill. (덕다리버섯), L. miniatus (Jungh.) Overeem (붉은덕다리버섯) 기주 : 일본잎갈나무, 잣나무 등 각종 침엽수 분포 : 아시아, 아프리카, 북미, 유럽, 오세아니아 피해 병원균은 가지절단부나 새, 곤충에 의한 상처를 통하여 심재부로 침입하여 목질부를 부후시키며, 침엽수와 활엽수 모두를 침해한다. 해면버섯균은 1속 1종으로 전세계적으로 분포하며 뿌리와 그루터기에 발생하는 가장 일반 적인 균이다. 살아있는 나무의 뿌리선단으로부터 발병되기 시작하여 점차 뿌리와 줄기로 진전하며 심재를 부후시킨다. 갈색부후된 후 균열이 발생된 목재는 쉽게 ..

흰날개무늬병 [내부링크]

흰날개무늬병 학명 white root rot 병원체 Rosellinia necatrix 피해 발병 초기에 나타나는 증상은 건전한 나무에 비하여 낙엽이 빠르고 과실의 착색이 좋으며, 밀병과의 발생이 많게 되고 수피색이 옅어진다. 지상부에 쇠약증상, 착화 과다, 여름철의 위조, 잎의 황변 등의 이상 증상이 급격히 나타나기도 한다. 굵은 뿌리의 표피를 제거하면 목질부에 백색 부채모양(白紋羽)의 균사막과 실모양의 균사속을 확인할 수 있다. 시간이 경과하면 흰색의 균사는 회색 혹은 흑색으로 변한다. 병원균 자낭균의 일종으로 자연상태에서나 인공배지상에서 자낭각의 관찰은 쉽지 않다. 균사의 색깔은 백색이나 나중에 회갈색 또는 녹회색으로 착색되며 균사의 직경은 8.7∼11.5정도이다. 균사는 격막을 가지고 격막부위가..

자주날개무늬병(자주빛날개무늬병) [내부링크]

자주날개무늬병(자주빛날개무늬병) 학명 Helicobasidium mompa Tanaka 학명 Violet root rot 일명 Murasaki-monpa-byo 분포 한국, 아시아 형태 균사(菌絲)는 처음에는 백색이지만 나중에는 자갈색, 자색 혹은 갈색으로 되고 막(膜)은 약간 두텁고 격막(隔膜)을 가지며, 직경은 4~7이다. 뿌리표면에는 아주 작은 균사덩이(균핵)가 형성된다. 자실층(子實層)은 땅가부분에 생기며, 부정형(不定形)으로 백색을 띤 자색(紫色)~복숭아색을 띤 백색가루가 덮혀있으며 쉽게 벗겨진다. 두께는 25~90이며 균사틈에 담자병(擔子柄)을 형성한다. 담자포자(擔子胞子)는 무색이며 원주~곤봉모양으로 굽으며 3개의 격막이 있다. 피해 이 병에 걸린 나무는 병세가 진전됨에 따라서 뿌리가 부..

안노섬뿌리썩음병 [내부링크]

안노섬뿌리썩음병 병원 : Heterobasidium annosum 기주 : 적송, 가문비나무 조밀하게 밀접한 지역의 수목에서만 발생하고 건강하게 자란 나무에서는 발생하지 않는다. 특징 감염된 나무의 지상부에서 영양 결핍증상이 나타나고 잎이 누렇게 변하면서 잘 자라지 못한다. 병든 뿌리는 부패되어 섬유질 모양을 하고 있다. 집단으로 발생하면 가운데는 죽거나 바람에 의해 너어진 나무들이 있고 주위에 위황(chlorosis) 및 가지마름 증상을 나타내는 나무들이 둘러싸고있다. 병원균의 자실체는 표면이 갈색이고 아랫부분은 흰색으로 다공성이며, 마른가지 밑의 줄기나 죽은 나무 밑둥 또는 뿌리에 발생한다. 병징 및 표징 Heterobasidium annosum은 담자균문, 민주름버섯목, 구멍장이버섯과, 말굽버섯과에..

아밀라리아뿌리썩음병 [내부링크]

아밀라리아뿌리썩음병 학명 Armillaria spp.[Honey mushroom 뽕나무버섯] 학명 Armillaria root rot, Shoestring root rot 일명 분포 한국, 미국, 캐나다, 유럽 등 전 세계 피해 전 세계적으로 나타나는 병으로 아밀라리아 종들의 대부분은 저병원성여서 잎이 떨어진 후나 수분 스트레스 혹은 다른 요인에 의해 나무가 약해져 있는 상태에서 발생하여 나무를 죽게 만든다. 그러나 몇몇의 아밀라리아 종들은 원래부터 높은 병원성을 지니고 있어 건전한 나무를 죽일 수 있다. 때때로 이들은 뿌리에 발생되는 곰팡이와 2차적인 곤충 등과 함께 복합적인 피해를 준다. 서북미 지역의 어떤 침엽수림에서는 아밀라리아균에 의해 매년 35% 정도 나무가 고사되는 것이 확인되었다. 오레곤주..

리지나뿌리썩음병 [내부링크]

리지나뿌리썩음병 학명 Rhizina undulata Fr:Fr.[Tea Break fungus, Fire fungus 파상땅해파리버섯] 학명 Rhizina root rot 분포 한국, 일본, 미국, 캐나다, 네덜란드, 독일, 불가리아, 벨기에, 스웨덴, 아일랜드, 영국, 핀란드, 프랑스, 폴란드, 남아프리카공화국, 스와질랜드 등 피해 1982년 경주 남산의 소나무 숲에서 처음으로 보고된 이후 1990년대 초에는 강릉 경포대 주변의 소나무 숲에서 크게 문제가 되었으며, 최근에는 서해안지역 해수욕장(서천, 태안, 서산 등) 주변에 피해가 나타나고 있어 주의를 필요로 하고 있다. 이 병원균은 40이상의 온도가 24시간 이상 지속되면 포자가 발아하여 뿌리를 감염 시키므로 취사나 쓰레기 소각에 의하여 빈번히 발..

파이토프토라뿌리썩음병(역병) [내부링크]

파이토프토라뿌리썩음병(역병) 학명 Phytophthora spp. 학명 Phytophthora root disease, Phytophthora collar disease 분포 한국, 일본, 미국, 캐나다, 유럽, 기타 전세계 지역 피해 진주의 한 묘포장에서 1999년 역병균이 첫 발견된 이래 11종의 수목에 5종의 역병균이 존재하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이 중 침엽수 수종은 개비자, 일본잎갈나무, 편백나무, 곰솔이다. 그러나 현재까지 역병균에 의해 수목에 발생하는 피해는 묘목에 국한되어져 왔으며, P. cinnamomi, P. nicotianae, P. drechsleri, P. erythoroseptica, P. boehmeriae은 주로 배수에 문제가 생겨 토양에 발생하여 뿌리를 썩게 하는 것으로 알..

모잘록병 [내부링크]

모잘록병 학명 Fusarium oxysporum Schltdl. ·Pythium ultimum Trow Rhizoctonia solani Ku 학명 Damping-off 분포 한국, 전 세계 피해 침엽수의 어린 묘목이 기생균에 침입된다는 것은 유럽에서는 벌써 18세기부터 알려져 있었으며, 19세기 중엽부터 Phytophthora, Fusarium, Rhizoctonia, Pythium속의 균들이 병원균으로서 알려졌다. 현재 전세계적으로 묘포장에 발생하는 병해로서 유명하며, 특히 파종상에 큰 피해를 주고 있다. 발아초기부터 묘목이 어느 정도 자랄 때까지 피해를 주며 이른 봄부터 발생하여 8월 초순까지 반복 감염된 후, 토양속이나 병든 식물체에서 월동한다. 방제법 어린묘목의 모잘록병은 성질이 다른 여러 가지..

[Python] Notepad++ 에서 Python 실행하기 [내부링크]

Notepad++ 에서 Python 실행하는 방법입니다. Notepad++ 상단 메뉴에서 플러그인 > 프러그인 관리.. 를 클릭합니다. 찾기 에서 npp 입력후 검색하여 NppExec 를 체크하고 설치버튼을 클릭합니다. Notepad++ 가 재실행합니다. 설치가 진행되고 Nodepad++ 가 구동되면 아래처럼 하단에 콘솔창이 하나 추가되게 됩니다. 상단 메뉴에서 플러그인 > NppExec > Execute NppExec Script.. 를 선택합니다. (F6 을 눌러도 됩니다.) 아래의 창에서 아래 내용을 입력하고 Save 버튼을 클릭하여 이름을 입력합니다. NPP_SAVE python "$(FULL_CURRENT_PATH)" 창을 닫고 .py 파일을 하나 만들어 Python 코드를 넣고 F6 을 선택하..

[APP] 로또랩스 - 로또 번호 추출 어플 [내부링크]

로또랩스라는 앱을 개발했습니다. 우선 디자인이 깔끔하게 만들려고 노력했습니다. 제가 봤을때 딱 필요한 기능만 넣으려고 했습니다. 각 통계 메뉴는 지금까지 당첨 번호를 가지고 번호별, 색상별, 구간별로 분석하여 화면에 보여줍니다. 미출현 번호 메뉴는 현재까지 당첨된 번호를 제외한 번호를 표시해 줍니다. 홀짝 통계와 연속번호 출현 메뉴에서는 당첨번호를 분석해 홀짝배율과 합과 연속번호를 표시합니다. 다음은 번호 추출하기 메뉴로 번호를 조건에 맞게 추출해 주는 기능입니다. 내가 원하는 번호 및 제외하고 싶은 번호를 선택할 수 있고 지금까지 당첨된 번호를 제외 하거나 미출현 번호를 포함시킬 수 있습니다. 또한 추출번호 목록을 통해 현재까지 추출한 번호 목록까지 확인 가능합니다. 아직 큐알코드 인식으로 통해 당첨 ..

[IT기기리뷰] ATTACK SHARK X3 (PAW3395) 마우스 [내부링크]

ATTACK SHARK X3 (PAW3395) 마우스를 구입했습니다. ATTACK SHARK 제품은 대체적으로 평가가 괜찮고 X3 (PAW3395) 가 가격도 좋아 구매를 하게 되었습니다. 무선과 블루투스를 지원하며 USB C Type으로 충전되는 방식입니다. 마우스 디자인은 무난하며 마감도 좋았습니다. 아래 레이저포인터 양옆으로 버튼이 2개 있던데 뭔지는 모르겠네요 ㅎ 아래는 전체 구성 사진입니다. 기본에 그립테이브도 포함이 되어있습니다 전 좀 쓰다가 때가 좀 타면 붙일 예정입니다. 마우스 감도는 만족스러우며 게이밍 마우스라 정말 가볍습니다. MX MASTER 3 마우스 쓰다가 써서 그런지 더더욱 가벼운 느낌입니다. 오래 쓸 수 있길 바라며... 상품 광고 이미지와 구매 링크 페이지를 마지막으로 리뷰를..

[IT기기리뷰] RAZER ORNATA V3 X 키보드 [내부링크]

MX KEYS 키보드를 사용하고 있는 데 사용한 지 몇 달 지났음에도 키 위치가 적응이 되질 않아서 바꿨습니다. 이전에 레이저 키보드에 대한 좋은 인상이 있어 구매한 키보드 ORNATA V3 X 입니다. 가격이 저렴한 편인데도 패키징은 잘되어있습니다. 팜래스트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팜레스트가 자석형태는 아니지만 바닥에 코무 패킹이 있어 고정은 잘됩니다. 아래는 LED 가 들어왔을 때의 모습입니다. 키감은 쫀득하지는 않습니다. 그냥 보통 맴브레인 키보드 느낌입니다. 그렇게 고급스러운 느낌은 아니지만 타건소리가 조용하고 통울림이 없습니다. 아래 사이트를 참고하면 더 상세한 정보를 얻을 수 있습니다. https://coolenjoy.net/bbs/review/1010578 조용하고 빠른 타건감이 일품! Raz..

닌텐도 스위치 프로콘 쏠림현상 자가 수리 [내부링크]

닌텐도 스위치 프로콘 쏠림현상 자가 수리 닌텐도스위치 프로콘이 한쪽으로 쏠리기 시작했습니다. 마리오 스위치프로콘으로 버튼이 일반 프로콘에 비해 많습니다. 그래서 분해할 때 적잖이 걱정했는데요 다행히 보이는 나사만 푸니 쉽게 분해가 가능했습니다. (기판 부분만 통으로 분해가 되더군요) 청소방법은 아래 스탁부분 손잡이를 제거하고 wd100 으로 구석구석 에어를 쏴줘 청소를 하면됩니다. 청소 후 쏠림증상이 사라졌습니다. 쏠림증상은 프로콘을 재구매하기보다는 자가 수리를 해보는걸 추천합니다. 쏠림증상은 간단히 청소를 해주는 것만으로 거의 해결됩니다.^^

유튜브 채널 추가하는 방법 (기존 계정에 채널 추가) [내부링크]

이번에 유튜브를 개설하기 위해 기존 채널에서 신규 채널을 추가해 봤습니다. 알고보면 채널 추가는 쉬운데 막상 할때마다 찾아보게 되네요 유튜브 채널 추가하는 방법은 먼저 유튜브 화면에서 프로필 사진을 클릭하고 나온 메뉴에서 설정을 선택합니다. 아래와 같이 계정 화면이 나타나게 되는데 여기에서 화면 중간쯤에 있는 새 채널 만들기 를 선택합니다. 아래와 같은 화면이 나오면 채널 이름을 넣고 추가하면 추가가 완료됩니다. 채널의 이모티콘 등은 채널 맞춤설정 을 클릭하여 기본 정보에서 채널에 대한 정보를 넣고 만들어 놓은 이미지가 있다면 브랜딩에서 이미지를 업로드 하고 상단 우측의 게시 버튼을 클릭하면 적용됩니다.

흰개미 [내부링크]

흰개미 형태 크기: 약 5-6mm입니다. 몸 색깔: 연한 몸체를 가지고 있으며, 머리는 검은 갈색입니다. 더듬이와 다리의 넓적마디 등은 갈색입니다. 날개: 날개는 흑갈색이며, 날개맥은 색이 짙습니다. 앞날개와 뒷날개는 모양과 크기가 거의 같습니다. 생식개미: 날개가 있으며 단단하고 색깔이 있는 몸과 겹눈을 가집니다. 분산비행 후에는 날개가 떨어집니다. 여왕개미: 몸길이가 1~2cm이나 산란을 시작하면 배가 커져서 길이가 11cm에 이를 수 있습니다. 일개미: 흰색에 가까운 연한 색을 띱니다. 병정개미: 몸이 심하게 각질화되어 있으며, 머리 형태가 다양하고, 일개미보다 덩치가 큽니다. 겹눈은 매우 작거나 없습니다. 번식: 여왕개미는 1년간 수만에서 수십만 개의 알을 낳으며, 산란 후에는 아무것도 먹지 않고..

두줄제비나비붙이 [내부링크]

두줄제비나비붙이 학명 Epicopeia menciana Moore, 1874 학명이명 Epicopeia mencia Moore, 1874 날개 편 길이는 55~65mm이다. 날개는 검은색으로 햇빛을 받으면 광택이 난다. 뒷날개는 제비나비처럼 긴 꼬리 모양의 돌기가 있는데, 그 안쪽에 2줄의 붉은 점무늬가 있다. 제비나비를 의태한 것으로 보인다. 산지의 낙엽활엽수림 가장자리에서 살아간다. 성충은 7~8월에 나타나며 낮에 활동한다. 여러 꽃에서 꿀을 빤다. 애벌레의 기주식물은 느릅나무, 소사나무, 비술나무이다. 섬을 제외한 국내 전역에서 발견된다. 중국에도 분포한다. 참고 https://minorman.tistory.com/6411 [곤충도감] 두줄제비나비붙이 국명: 두줄제비나비붙이 학명: Epicopeia..

가중나무껍질밤나방 [내부링크]

가중나무껍질밤나방 날개편길이 70mm 내외이다. 앞날개는 가늘고 긴데 시정은 각이 져 있으며, 전연부는 넓게 회흑색을 띤다. 후연부는 넓게 자회색을 띠며, 중앙의 경계부에는 백색을 띤다. 기부 가까이에는 작은 흑색 점이 여러 개 있으며, 아외연선은 흑색 점의 열로 되어 있다. 뒷날개는 아름다운 황색 바탕으로 외연부는 넓게 남흑색을 띤다. 한반도 북부, 중부, 남부, 제주에 분포하고 있다. 국외에는 극동러시아, 일본, 중국, 대만, 필리핀, 인도네시아, 인도차이나, 인도에 분포한다. 성충은 8~9월경에 출현한다. 유충은 가중나무의 잎을 먹고 군서 생활을 하며, 고치를 나무껍질 틈에서 형성하고, 번데기는 소리를 내게 된다. 학명 Eligma narcissus Cramer 학명 Tree of Heaven El..

광대노린재 [내부링크]

광대노린재 학명 Poecilocoris lewisi (Distant, 1883) 학명 Poecilochroma lewisi Distant, 1883 형태 몸길이는 17~20mm이다. 더듬이는 광택이 있는 청록색을 띠는 검은색이고, 모두 5마디인데 제2마디가 가장 짧다. 몸의 등 면은 광택이 있는 금록색 바탕에 붉은색 줄무늬가 있다. 간혹 바탕색이 광택이 없이 어두운 청색을 띠는 개체변이가 있다. 특히 붉은색 줄무늬는 앞가슴등판 가장자리와 가운데, 배 전체를 덮는 작은방패판 주위를 방패 모양으로 장식한다. 전반적으로 타원형의 체형이며 체색은 금속광택이 나는 녹색 바탕에 옅은 홍색의 줄무늬가 있다. 배의 기부에는 2개의 ㄱ자 모양이 마주 선 모양이며 중앙에는 w자, 그 뒤쪽은 +자 모양의 무늬가 있다. 다른..

왕뿔무늬저녁나방 [내부링크]

왕뿔무늬저녁나방 날개편길이 52mm 내외이다. 앞날개는 암회색 바탕으로 기부에서부터 흑색의 뚜렷한 칼 모양의 무늬가 날개 중앙으로 뻗어 있는데 3개의 짧은 가지를 형성한다. 바깥가로선은 흑색의 톱니 모양의 선으로 되어 있는데 뚜렷하지는 않고 그 안쪽으로는 가늘게 백색을 띤다. 뒷날개는 갈색 바탕에 황색의 무늬와 바깥가로선은 약간 암갈색을 나타내며 바깥 가두리 부는 암갈색을 띤다. 한반도 북부, 중부, 남부, 제주에 분포하고 있다. 국외에는 일본, 중국, 극동러시아, 시베리아 남부에 분포한다. 성충은 7~8월에 출현하는 보통종이다. 유충은 사과나무, 뽕나무류, 자두나무, 벚나무, 아카시아나무 등의 잎을 먹는다. 학명 Acronicta major (Bremer) 학명 Larger Dagger Moth 목명/..

짚신깍지벌레 [내부링크]

짚신깍지벌레 암컷 성충의 전체 길이는 10mm 내외로 깍지벌레류 중에서는 대형이다. 배면은 엷은 황갈색이다. 등면은 짙은 갈색이고, 가장자리를 따라 황색의 띠를 형성하며, 백색의 왁스가 몸을 약간 덮는다. 더듬이는 검은색으로 잘 발달되었고, 7~9마디이며 주로 8마디이다. 다리는 3쌍으로 거의 비슷한 모양이고, 잘 발달되어 있다. 참나무, 상수리나무, 졸가시나무, 가시나무에 서식하며, 다식성으로 1년에 1세대 발생한다. 낙엽 아래에서 5~6월에 산란하고, 산란 수는 100개가 넘으며 180일 정도의 알 기간을 거쳐서 12월 이후에 약충이 부화하는 특이한 습성을 가지고 있다. 그 후에는 약충으로 월동한다. 국내에 북부와 중부, 남부, 제주도, 국외에는 일본, 중국, 몽골, 러시아에 분포한다. 학명 Dros..

녹색박각시 [내부링크]

녹색박각시 날개편길이 56-82mm이다. 날개는 녹색을 띤다. 앞날개 중실 하연을 따라 분홍색 털이 나 있다. 배 등면에는 정중선상에 가는 선이 달리고 있고, 측면에는 짙은 녹색의 굵은 띠가 있다. 한반도 남부, 중부, 북부에 분포한다. 국외에는 일본, 중국, 타이완, 몽골, 극동러시아에 분포한다. 성충은 5-6월, 7-8월에 연 2회 출현한다. 유충은 중국에서는 Ulmus parvifolius, Zelkova spp.를, 한국에서는 느릅나무, 느티나무, 피나무, 참빗살나무를, 러시아에서는 Ulmus japonica를 먹은 기록이 있다 학명 Callambulyx tatarinovii(Bremer et Grey) 학명 Zelkova Hornworm 목명/과명 나비목 / 박각시나방과 분포 한국, 일본, 중국..

태극나방 [내부링크]

태극나방 날개 편 길이는 64~76mm이다. 앞날개 중앙 부위에 커다란 태극무늬가 있으나 계절에 따라, 개체에 따라 무늬의 선명도에 차이가 크며, 또한 날개 색도 회갈색 또는 흑갈색으로 변이가 심하다. 암컷과 수컷 모두 복부 끝 쪽과 복부면, 날개의 뒷면 등은 담적색을 띤다. 성충은 5월과 7~8월에 연 2회 출현하며, 화기에 따라 성충 색채에 차이가 크다. 유충은 6~7월, 8~9월에 나타나며 어린 유충은 엽맥에, 노숙 유충은 줄기에 정지하여 있는 것이 보통이다. 8월 하순~9월에 노숙한 유충은 고치를 짓고 번데기가 되어 월동에 들어간다. 유충은 자귀나무의 잎을 가해하며 이 해충이 발생한 나무는 잎이 거의 다 없어지는 경우가 많다. 한반도 전역에 분포한다. 국외에는 일본, 중국, 대만, 필리핀, 태국,..

장수하늘소 [내부링크]

장수하늘소 형태 몸길이는 수컷 85~120mm, 암컷 65~85mm이다. 몸은 흑갈색이며, 등 쪽은 금빛 짧은 털로 덮였으나 잘 벗겨지는데 주로 머리, 앞가슴등판의 앞쪽 양옆 둥근 홈과 뒤쪽 양옆, 가운데가슴등판에는 남아 있어서 마치 무늬처럼 보인다. 앞가슴등판 양옆은 들쑥날쑥하여 마치 망가진 톱날 같다. 수컷의 큰턱은 매우 굵고 길며, 가지가 갈라져서 사슴뿔 모양이지만 암컷의 큰턱은 작다. 생태 성충은 6월부터 9월 사이에 활동하나 주로 8월에 활발하다. 산지에서 서식하며 애벌레는 서어나무, 신갈나무, 물푸레나무 등과 같은 큰 나무의 속을 파먹고 자란다. 분포 국내에서는 과거 서울 북한산, 강원도 춘천과 화천, 양구 및 강릉 소금강 등에서 기록이 있으나 현재는 경기도 포천 광릉수목원에서만 나타난다. 해..

은무늬굴나방 [내부링크]

은무늬굴나방 학명 Lyonetia / prunifoliella 목/과명 나비목 / 굴나방과 형태 과거에는 '은무늬가는나방 라고도 불리웠는데, 성충은 몸이 대체로 은빛 광택을 띠며 작고 연약한 나방이다. 성충은 여름형과 가을형으로 체색에 변이가 있는데, 대체로 가을형이 짙은 무늬를 가지고 몸의 크기도 약간 더 크다. 앞날개는 가늘고 길며 끝 부분은 뾰족하게 돌출하였으며, 1개의 흑색 원형반점이 있다. 또한 그 반점의 바로 앞쪽 주변에 반달모양의 현저한 분홍색 얼룩무늬와 그 앞쪽으로 3개의 황갈색을 띤 얼룩무늬가 있으며, 날개 끝부분에 V자형의 뚜렷한 짙은 황갈색의 얼룩무늬가 있다. 뒷날개는 갈색이며, 앞날개, 뒷날개 모두 바깥 가장자리에 길고 가느다란 털이 무수히 나있다. 알은 우유빛을 띠고 둥..

왕거위벌레 [내부링크]

왕거위벌레 체장은 8.0~12.0mm 정도다. 체색은 적갈색이다. 날개는 기부를 제외하고는 적색에 가깝다. 머리는 이마의 폭보다 세 배 이상 길며, 목 길이보다 1.5배 정도 길다. 이마에서부터 더듬이 홈 부근까지 세 개의 세로홈과 점각이 주름을 형성한다. 주둥이의 길이는 폭의 2배가 되지 않는다. 더듬이는 6번째마디가 가장 짧다. 시초(翅稍)의 점각열은 뚜렷하며 세로로 된 열에 깊게 들어간다. 상수리나무, 갈참나무, 떡갈나무, 신갈나무를 기주식물로 한다. 한국, 일본, 중국, 러시아에 분포한다. 학명 Paracycnotrachelus longiceps(Motshulsky) 학명 Larger Long-Necked Leaf Cut Weevil 목명/과명 딱정벌레목 / 거위벌레과 분포 한국, 일본, 중국 형..

분홍다리노린재 [내부링크]

분홍다리노린재 산림지대에 서식하는 노린재류이다. 몸길이는 17-20mm이다. 몸 등면은 초록색 바탕에 구릿빛 금속광택이 있고, 미세한 검은 점각이 산재한다. 아랫면과 다리는 적갈색이 대부분을 차지한다. 더듬이는 길고, 제1마디가 가장 짧다. 앞가슴등판은 양 어깨가 크고 넓게 돌출하고, 등 쪽으로 휘어진다. 어깨 앞부분은 가장자리를 따라 작은 톱니 모양의 돌기가 있다. 배 가장자리는 폭넓게 앞날개 바깥으로 확장되며, 각 마디마다 검정 띠와 적갈색 무늬가 교대로 나타난다. 일본, 시베리아 동부에도 분포한다. 학명 Pentatoma japonica (Distant) 학명 Japanese Stink-Bug 목명/과명 노린재목 / 노린재과 분포 한국, 일본, 러시아 형태 성충의 몸길이는 20mm 정도이며 체색은 ..

복숭아심식나방 [내부링크]

복숭아심식나방 학명 Carposina sasakii (Matsumura) 학명 Peach Fruit Moth 목명/과명 나비목 / 심식나방과 분포 한국, 중국, 일본 형태 성충은 몸길이가 7∼8mm이고 앞날개는 회백색이다. 유충은 방추형이고 몸은 등색을 띠며 다자란 유충의 크기는 12∼15mm 정도이다. 번데기는 방추형의 고치 속에 들어있고 길이가 8mm 정도이며 처음에는 엷은 황색을 띠나 점차 검은색이 짙어진다. 피해 과실류를 직접 가해하는 해충으로 유럽이나 북미에는 분포하지 않으므로 과실류를 수출할 때 검역대상해충으로 되어 있다. 부화유충의 침입 구멍은 매우 작고 거기서 즙액이 나오고 약간 부풀게 된다. 처음에는 과피 부위를 식해하다가 점차 내부를 종횡무진으로 먹으며 과심부까지 식해한다. 노숙유충은 ..

참나무하늘소 [내부링크]

참나무하늘소 남해안의 활엽수림에 주로 서식하며 강원도 일부 지역에서 발견된 사례도 있다. 성충은 5월 하순부터 출현하여 7월 중순까지 활동한다. 참나무, 오리나무 등의 얇은 가지를 가해하는데 낮에는 주로 나무의 높은 부분에서 활동하기 때문에 관찰하는 것이 쉽지 않다. 밤에 불빛을 보고 날아오기도 한다. 암컷은 살아있는 나무의 굵은 줄기에 산란한다. 유충은 살아있는 나무를 먹고 자라는데 유충이 기생한 부분은 비정상적으로 부풀어 오른다. 유충 상태로 동면하는 개체도 있고 성충 상태로 동면하는 개체도 있다. 국내에 서식하는 하늘소 중에서 장수하늘소 다음으로 몸집이 크다. 거대한 유충이 살아있는 참나무, 오리나무 등을 가해해 고사시키는 해충이다. 남부지방의 활엽수에 피해가 특히 심각하다. (하늘소 생태도감, 2..

끝검은말매미충 [내부링크]

끝검은말매미충 몸길이는 11~13.5mm 내외이다. 몸의 등면은 살아 있을 때 광택을 띤 황록색을 띠지만 죽으면 주황색 또는 등황색으로 변한다. 아랫면과 다리의 기부는 검은색을 띤다. 머리는 현저히 작고 둥글게 돌출해 있는데, 앞가슴등판보다 훨씬 좁다. 정수리의 홑눈 사이, 앞이마 및 얼굴 중앙부에 각각 한 개씩의 둥근 흑색 반점이 있다. 앞가슴등판에는 3개의 검은 점이 삼각형으로 배열한다. 앞날개의 앞쪽 끝부분에는 독특한 검은 띠가 있다. 산림지대에 흔히 분포하며, 산뽕나무나 뽕나무 등에 기생한다. 연 1회 발생하고 월동한다. 성충은 보통 4월 하순부터 활동한다. 한반도 북부, 중부, 남부, 제주도, 울릉도에 나며 일본, 중국, 대만에도 분포한다. 학명 Bothrogonia japonica Ishiha..

흑색무늬쐐기나방 [내부링크]

흑색무늬쐐기나방 학명 Phrixolepia serecea Butler 학명 Tea Cochlid 목명/과명 나비목 / 쐐기나방과 분포 한국, 일본, 러시아 형태 성충의 앞날개 길이는 수컷이 10mm, 암컷이 11∼13mm이다. 몸과 날개는 갈색이고 앞날개 중앙에 백색선이 있으며 그 안쪽은 연한색이다. 유충의 몸길이는 18mm 정도이고 몸은 녹색 내지 황녹색이며 편평하다. 유충의 등과 옆에는 긴 분홍색의 육질돌기가 있으며 몸 전체에 가는 자모가 밀생되어 있다. 피해 유충이 잎을 식해하며 때로는 기주식물의 단목 잎에 여러 마리가 동시에 피해를 주는 경우는 있다. 피해를 심하게 받거나, 나무가 고사하는 경우는 거의 없다. 겨울에 고치 속에서 월동하므로 눈에 잘 띈다. 생태 연 2회 발생하며 토중의 고치 속에서..

꼬마쐐기나방 [내부링크]

꼬마쐐기나방 학명 Microleon longipalpis Butler 학명 Long Palpi Cochild 목명/과명 나비목 / 쐐기나방과 분포 한국, 일본, 대만, 미국, 유럽 형태 성충의 앞날개 길이는 수컷이 6∼9mm, 암컷이 10∼11mm이며, 적갈색으로 날개 중앙에 암갈색 무늬가 있다. 노숙유충의 몸길이는 10mm 정도이고 몸이 편평하다. 유충의 몸은 황녹색 또는 적갈색이나 적황색의 개체도 있다. 피해 유충은 잡식성으로 여러 수종의 잎을 식해하며 체표면에 자모가 있어 피부에 접촉하면 통증을 느낀다. 생태 연 2회 발생하고 고치 속에서 유충으로 월동한다. 1화기는 5월에 번데기가 되고 6월까지 성충으로 우화하며 밤에 활동하는 야행성을 띠며 교미 후에 잎 뒷면에 1개씩 산란한다. 알기간은 1주일 ..

개오동명나방 [내부링크]

개오동명나방 개오동나무에 기생하는 나방의 일종이다. 날개를 편 길이는 31mm 내외이다. 유충은 개오동의 가는 가지의 중심부를 갉아먹어 해를 입힌다. 유충의 몸길이는 18mm 정도이며 머리는 흑갈색으로 검은 반점이 있고 몸은 황백색이다. 성숙하면 붉은색을 띤다. 앞날개 길이는 14~15mm 정도이고 황백색으로 약간 투명하며 파란 광택이 있다. 후연부 중앙은 중실 아래에서부터 흑갈색을 띤다. 뒷날개의 횡맥무늬는 굵고 외횡선이 띠 모양을 이룬다. 외연부는 맥이 어두운색이므로 횡선과 함께 그물눈 모양의 무늬를 이룬다. 유충으로 월동하며 5~8월에 성충이 되어 출현한다. 우리나라 경기도, 강원도 금강산에 서식하며, 일본, 중국에도 분포한다. 학명 Sinomphisa plagialis (Wileman) 학명 Bi..

가중나무고치나방(가중나무산누에나방) [내부링크]

가중나무고치나방 개 편 길이는 110~125mm이다. 날개는 황갈색 바탕에 흑갈색 무늬가 뚜렷하게 나타난다. 날개 중앙을 가로지르는 회백색 줄무늬가 있고, 날개 끝에 검은 점무늬가 있다. 배의 등면에는 회갈색 점들이 줄지어 나타난다. 낙엽활엽수림 가장자리에서 살아간다. 성충은 6월과 8월에 2회 출현한다. 애벌레는 7~8월과 9~10월에 나타나며, 산초나무 등 여러 나무의 잎을 먹고살다가, 나뭇잎을 길게 말고 그 속에서 고치를 짓고 번데기가 된다. 한국(전역), 일본, 중국, 말레이시아, 오스트레일리아에 분포한다. 학명 Samia cynthia (Drury) 학명 Cyntia Silk Moth 목명/과명 나비목 / 산누에나방과 분포 한국, 일본, 중국, 인도, 대만, 말레이시아, 유럽 형태 성충은 앞날개..

구기자혹응애 [내부링크]

구기자혹응애 학명 Eriophyes macrodonis Keifer 학명 Aceria kuko kishida, 1927 일명 Nisekugo-Husidani 목명/과명 거미강응애목 / 혹응애과 분포 한국, 일본, 미국 형태 암컷 성충의 몸길이는 0.17mm이고 방추형에 가까우며 몸은 등색을 나타낸다. 배갑(背甲) 체폭은 체장의 1.2배로서 전연(前緣)은 반원형이다. 배모(背冒)의 기점반(起点盤)은 배갑후연(背甲後緣)에 있고 배모는 기점사이의 간격보다도 길며 뒤쪽을 향하여 몸 뒤의 반은 미세한 염주알 모양으로 배열되어 있다. 몸 뒤쪽의 환절수(環節數)는 등쪽에서 64∼70개, 배쪽에서 63∼69개이다. 피해 구기자나무 잎에 기생하여 직경2mm 내외의 둥근 벌레 혹을 만들고 그 속에서 가해한다. 벌레 혹이 ..

검은배네줄면충 [내부링크]

검은배네줄면충 절지동물문 노린재목에 속하는 진딧물이다. 엷은 흑록색을 띠나 봄에 출현하는 유시형은 검은색이며 이차기주의 뿌리에 서식하는 무시형은 녹색 또는 연갈색이다. 5월에서 10월 사이 발생하며 당느릅나무, 비술나무, 수수, 뚝새풀, 잔디, 강아지풀, 피 및 벼의 잎 또는 뿌리에 기주한다. 개미와 공생하고 이차기주의 잎을 붉은 자주색으로 변화시킨다. 학명 Tetraneura nigriabdominalis (Sasaki) 학명 Ribes Root Aphid 목명/과명 노린재목 / 분포 한국, 일본, 중국, 인도, 아프리카 형태 산성형(産性形) 성충은 몸길이가 2.0∼2.3mm이며 머리의 위쪽에 24∼28개의 센털이 있으며 더듬이는 몸길이의 1/3∼5/8이다. 벌레혹 속의 약충은 엷은 갈색으로 몸이 흰 ..

버들순혹파리 [내부링크]

버들순혹파리 학명 Dasineura rosaria 피해 수목 내버들, 선버들, 키버들 피해 증상 유충이 새눈에 기생해 눈이 정상적으로 자라지 못하고 잎도 기형적으로 자라서 장미꽃 모양인 녹색 벌레혹을 만든다. 벌레혹은 늦여름부터 갈색으로 변하고 겨울에도 가지에 붙어 있어 눈에 잘 띈다. 형태 유충은 몸길이가 약 4mm로 방추형이며 유백색 또는 등황색을 띤다. 성충은 몸길이가 3~4mm로 암자색이고 날개는 반투명하다. 생활사 연 1회 발생하며 벌레혹에서 유충으로 월동한다. 성충은 4~5월에 나타나서 새눈에 산란하고, 부화 유충은 새눈의 중심부로 들어가서 가해한다. 방제 방법 겨울철에 벌레혹을 제거한다. (나무 병해충 도감, 2014. 4. 15., 문성철, 이상길) 참고 [180316] 버들순혹파리 - 장..

폐 색전증 [내부링크]

폐 색전증 개요 폐 색전증은 하지의 심부 정맥 혈전증과 함께 대표적인 정맥 혈전증입니다. 정맥 혈전증(venous thrombo-embolism, VTE)은 각 장기에서 산소를 사용하고 산소 농도가 낮아진 정맥혈에 생긴 혈전으로 생긴 질환이며, 정맥혈이 있는 하지의 깊은 부위에 있는 심부 정맥에 생긴 심부 정맥 혈전증(deep vein thrombosis, DVT)과 아직 산소화가 되지 않은 정맥혈이 들어있는 폐동맥에 생긴 폐 색전증(폐동맥 “정맥혈” 혈전 색전증) 두 가지가 대표적입니다. 그림을 보면 산소가 풍부한 동맥혈은 빨간색으로, 각종 장기에서 산소를 사용하고 산소가 줄어든 정맥혈은 파란색으로 표현되어 있습니다. 폐동맥은 심장에서 나가는 혈액을 담당하는 혈관이므로 동맥이지만, 내부에는 파란색 정맥..

감염단핵구증 [내부링크]

감염단핵구증 개요 감염단핵구증(infectious mononucleosis)은 열이 나고 간과 비장, 림프절이 커지는 병입니다. 1920년 스프런트(Sprunt)와 에반스(Evans)가 발열, 피로와 함께 림프절이 커지는 젊은 성인 6명을 보고하면서 감염단핵구증이라는 질병이 알려졌습니다. 1960년대 엡스타인(Epstein), 아숑(Achong), 바(Barr) 등에 의해 엡스타인-바 바이러스(Epstein-Barr virus, EBV)가 질병의 원인임이 밝혀졌습니다. 개요-종류 감염단핵구증의 90%는 엡스타인-바 바이러스에 의해 발생합니다. 나머지 10%는 다른 원인에 의해 발생하는데, 원인 미생물로 사람면역결핍바이러스, 거대세포바이러스, 톡소포자충, 사람 헤르페스바이러스 6형, B형 간염바이러스 등이..

빈혈 [내부링크]

빈혈 개요 만약 여러분에게 어지럼증이 있다면 당신은 ‘빈혈이 있을 수 있겠군요’라는 이야기를 들을 지도 모릅니다. 그것은 빈혈이 당신을 피로하고 무기력하게 만들기 때문입니다. 물론 어지럼증이 있다고 모두 빈혈이 있는 것은 아닙니다. 왜냐하면 어지럼증을 일으킬 수 있는 원인으로는 빈혈 이외에도 다양한 질환이 있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그러한 원인 질환 중에서 빈혈이 차지하고 비중이 매우 크기 때문에 어지럼증이 있을 경우 빈혈을 우선적으로 생각하는 것입니다. 빈혈은 원인에 따라 종류가 다양하며, 일시적일 수도 장기간 있을 수도 있습니다. 또한 경증에서부터 중증까지 다양한 증상으로 나타날 수 있습니다. 빈혈은 흔한 혈액학적 이상이지만 특히 여성과 만성질환을 가진 사람들에서 발생 가능성이 높습니다. 빈혈은 말 그..

털두꺼비하늘소 [내부링크]

털두꺼비하늘소 몸길이는 19~25mm이고 몸이 검다. 등에 담적갈색의 짧은 털이 나 있고 그 사이에 흑갈색의 짧은 털로 된 반점이 산재되어 있으며 백색의 짧은 강모가 나 있다. 앞가슴등판은 울퉁불퉁하며 양옆에는 굵고 끝이 뾰족한 돌기가 있다. 딱지날개에는 검은 털 무리들이 불규칙하게 흩어져 있어서 검은색 무늬처럼 보인다. 더듬이의 각 마디는 밑쪽이 약간 붉거나 흰색의 고리 모양이다. 성충은 이른 봄부터 늦가을까지 볼 수 있으나 늦봄부터 6월 사이에 많다. 나무껍질과 목질부를 갉아 먹는다. 고사목 또는 벌채된 지 얼마 되지 않은 나무에 산란한다. 바위 밑, 낙엽 밑 등에서 성충으로 월동한다. 한국(전역), 중국, 시베리아 동남부, 일본에 분포한다. 학명 Moechotypa diphysis (Pascoe) ..

솔거품벌레 [내부링크]

솔거품벌레 소나무과 및 뽕나무과에 속하는 식물을 기주로 하여 살아가는 거품벌레과의 곤충이다. 몸길이는 8.5~9mm 내외이다. 몸의 등면은 흑갈색과 담갈색으로 얼룩져 있으며, 머리의 윗면은 편평하고, 중엽은 흑갈색이며 반원상이 되어 앞쪽으로 현저하게 돌출되어 있다. 머리와 앞가슴등판의 정중선에는 가는 융기선이 있고, 특히 앞가슴등판 전반부의 융기선은 흑색이다. 우리나라 전 지역에 분포하며, 국외의 경우 일본, 중국, 러시아 등지에서 발견된다. 학명 Aphrophora flavipes Uhler 학명 Pine Spittle Bug (Pine Frog-Hopper) 목명/과명 노린재목 / 뽕나무노린재과 분포 한국, 일본, 중국 형태 성충의 몸길이는 8∼10mm로 약간 편평하며 몸은 전체적으로 암갈색이지만 등..

호랑나비 [내부링크]

호랑나비 날개의 검은 얼룩무늬와 노란색 무늬가 호랑이의 등에 난 무늬처럼 늘어서 있어서 호랑나비라는 이름이 붙게 되었다. 봄형은 여름형에 비해 크기가 작고 날개 표면의 노란빛 무늬가 더 발달하였다. 여름형 수컷은 뒷날개 윗면 제 7실에 흑색 점이 있다. 교미를 마친 암컷은 탱자나무, 귤나무, 산초나무, 황벽나무, 백선 등 운향과 식물의 잎 뒷면이나 줄기에 알을 한개씩 낳는다. 학명 Papilio xuthus Linnaeus 학명 Smaller Citrus Dog(Chinese Yellow Swallow Tail) 목명/과명 나비목 / 호랑나비과 분포 한국, 일본, 중국, 대만, 미얀마 형태 성충의 날개 편 길이가 80∼120mm인 아름다운 나비이며 봄형은 여름형에 비하여 작고 무늬가 선명하다. 봄형은 암..

애모무늬잎말이나방 [내부링크]

애모무늬잎말이나방 형태 날개편길이 17-22mm이다. 몸 빛깔은 등황색이다. 앞날개의 바탕색은 오렌지색이며 다소 둥그스름한 모양이다. 앞날개 중앙에서 2줄의 선이 외각 안쪽으로 평행하여 달리며 같은 빛깔로 된 다수의 선이 그물 모양을 이룬다. 생태 성충은 5월과 6-7월, 7-8월, 또는 9월에 출현하며, 연 3회 이상 발생한다. 유충은 주로 장미과 식물의 잎을 말고 가해하는 생태적 특성을 가지는데, 사과를 비롯한 과수류의 해충으로도 알려져 있다. 사과나무, 배나무, 양벚나무, 장미, 뽕나무, 자작나무, 느릅나무, 미루나무, 버드나무, 콩 등을 먹는다. 분포 북부, 중부, 남부 일본, 중국, 타이완, 유라시아 방제방법 월동 유충이 활동하기 시작하는 봄에 개화 직전에 적용 약제를 살포하고, 낙화 후에는 다..

뒤흰띠알락나방(반백먹나방) [내부링크]

뒤흰띠알락나방(반백먹나방) 학명 Chalcosia remota (Walker) 학명 White-Hind-Winged Zygaenid 목명/과명 나비목 / 알락나방과 분포 한국, 일본, 중국 형태 성충의 앞날개 길이는 25∼30mm이고 앞날개에 넓은 흰 띠가 있으며 뒷날개의 외연부가 검은색이다. 유충의 몸길이는 25mm 정도이며 머리는 광택이 있는 흑갈색이다. 복절의 등쪽에 황색의 무늬가 있고 가늘고 짧은 백색의 체모가 있다. 유충의 등판이 바둑판에 사각의 흰 돌을 놓은 것처럼 보인다. 피해 주로 산림에 있는 노린재나무에서 피해가 나타난다. 잎 전면에서 가해를 함으로 눈에 잘 띈다. 생태 연 1회 발생하고 유충은 4월경부터 발견된다. 보통 5월 중순경에 노숙하나 추운 지방에서는 6월에도 유충을 볼 수 있다..

뒷노랑얼룩나방 [내부링크]

뒷노랑얼룩나방 학명 Sabanissa subflava (Moore) 학명 Boston Ivy Tiger-Moth 목명/과명 나비목 / 얼룩나방과 분포 한국, 일본, 중국 형태 성충의 앞날개 길이는 암컷이 21∼24mm, 수컷이 20mm 정도이다. 더듬이는 실모양이고 앞날개는 차갈색, 뒷날개는 담황색이다. 앞날개는 섬세한 아름다운 무늬를 갖고 있으며 뒷날개의 외연부는 흑갈색띠로 되어 있다. 노숙유충의 몸길이는 약 40mm로 머리는 등황색으로 광택이 있고 몸은 등황색으로 가슴부분의 색이 짙고 각 마디에는 불규칙한 황색의 횡선이 있다. 피해 유충이 잎을 가해하며 머루, 포도 또는 정원의 담쟁이덩굴에 대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생태 연 2회 발생하며 번데기로 월동한다. 5월에 1화기 성충이 나타나 잎에 알을 한 ..

검은푸른쐐기나방 [내부링크]

검은푸른쐐기나방 검은푸른쐐기나방은 쐐기나방과에 속하는 곤충으로, 성충의 날개는 검은색과 푸른색의 무늬를 띠고 있습니다. 유충은 온몸에 독침이 있는 털이 돋아 있으며, 잎을 많이 먹어치워 나무에 피해를 줍니다. 유충은 6~7월과 9~10월에 활동하고, 성충은 5월과 7~8월에 출현합니다. 주로 한국, 일본, 중국, 대만 등지에 분포합니다. 학명 Latoia hilarata 피해 수목 단풍나무, 느릅나무, 버드나무류, 버즘나무, 벚나무, 참나무류 등 피해 증상 유충이 어릴 때는 잎 뒷면에서 잎살만 갉아 먹고, 자라면서 주맥만 남기고 전부 갉아 먹는다. 형태 노숙 유충은 몸길이가 약 20mm로 노란색을 띠고, 등에 푸른색 무늬와 검은색 가시돌기가 있다. 성충은 날개길이가 21~25mm로 머리와 가슴은 담녹색이..

장수쐐기나방(파랑쐐기나방) [내부링크]

장수쐐기나방(파랑쐐기나방) 학명 Latoia consocia (Walker) 학명 Green Cochlid 목명/과명 나비목 / 쐐기나방과 분포 한국, 일본, 중국, 대만 형태 성충의 앞날개 길이는 15∼16mm이며 담녹색으로 앞날개 외연부에는 둥근 황갈색 띠가 있고 기 부에는 갈색 무늬가 있다. 유충의 몸길이는 25mm 정도이며 몸은 황녹색으로 체폭이 넓고 앞가슴 등쪽에 2개의 검은 점이 있다. 등 중앙에 파란색의 종선이 있고 아배부에는 혹이 나란히 있으며 그 위에 많은 수상돌기가 있다. 유충의 몸에 있는 각모가 노란 산수유 꽃 형태를 보인다. 피해 어린유충은 모여 살며 잎살만을 식해하나 성장하면 분산하여 잎 전체를 가해한다. 잎을 식해하지만 대발생하거나 나무를 고사시키지는 않는다. 생태 연 1∼2회 ..

풀색꽃무지 [내부링크]

풀색꽃무지 절지동물문 곤충강 딱정벌레목에 속하는 곤충이다. 몸은 길이 10~14mm, 폭 7~9mm로 소형이다. 체색은 흑색이며 담황색 털로 덮여 있으나 등 쪽은 전체적으로 녹색이며, 앞가슴등판과 딱지날개에는 담황색 작은 무늬들이 흩어져 있다. 가끔 딱지날개에 1쌍의 크고 붉은색 무늬가 있거나 전체가 거의 흑색인 개체 등 변이가 많다. 머리방패는 앞쪽 가장자리의 가운데가 V자형으로 깊게 파였고, 양옆은 강하게 늘어나 있다. 앞다리 종아리마디는 암컷이 수컷보다 약간 넓으며, 외치는 3개가 분명하다. 제1후부절은 바깥쪽 끝이 뾰족하거나 이빨처럼 늘어나 있다. 수컷의 복부복판에는 함몰부가 없다. 제주도를 포함한 우리나라 전역에서 서식한다. 세계적으로는 인디아, 네팔, 통킹, 타이완, 중국, 구소련, 한국, 일..

큰검정풍뎅이 [내부링크]

큰검정풍뎅이 피해 작물을 가해하는 굼벵이류중 큰검정풍뎅이와 애풍뎅이가 가장 많다. 이들의 발생은 환경조건이나 토양조건 등에 따라 다른 양상을 나타낸다. 산간지에서는 큰검정풍뎅이가 많고 평야지에서는 애풍뎅이가 많다. 식양질 토양에서는 큰검정풍뎅이가 많고 사양질 토양에서는 애풍뎅이가 많다. 종류에 따라 가해양상도 다른데 큰검정풍뎅이는 주로 땅과 근접한 줄기를 갉아 으며 애풍뎅이는 땅콩의 꼬투리나 괴경을 가해한다. 성충은 대개 잎을 갉아 먹는다. 따라서 애풍뎅이의 피해보다는 큰검정풍뎅이의 피해가 심할 수 있다. 형태 큰검정풍뎅이는 참검정풍뎅이와 비슷하여 구별이 어렵다. 성충은 몸길이가 20mm 내외이고 몸전체에 광택이 없는 것이 참검정풍뎅이와 다른 점이다. 유충은 몸길이가 1령은 13.4, 2령은 21.3, ..

별줄풍뎅이 [내부링크]

별줄풍뎅이 중국, 아무르, 일본에 분포하며, 등쪽이 편평하고 뒤쪽이 넓으며, 녹색이다. 그러나 부분적으로 또는 넓게 황갈색으로 개체변이가 심하다. 등쪽의 점각은 전 종보다 작고 낮으며 덜 조밀하고, 딱지날개의 세로 융기선은 4개인데 굵기는 대체로 균일하다. 머리방패는 앞쪽으로 좁아지며, 전연은 중앙이 파였고 위로 상반하였다. 앞가슴등판 점각은 개체변이가 심하여 작고 드물거나 넓고 조밀하기도 하며, 기부의 둑은 가늘고 수순판 앞쪽에서 끊겼다. 딱지나래의 간실은 광택이 둔하고, 제 1간실 점각은 매우 크고 조밀하나 다른 곳은 낮고 약하다. 전흉복판 돌기의 끝은 약간 굽은 칼날모양이다. 형태 몸의 등 쪽은 편평하고 광택이 있으며, 뒤쪽은 넓은 녹색이나 부분적 또는 넓게 황갈색인 개체변이가 심하다. 등 쪽 점각..

사시나무잎벌레 [내부링크]

사시나무잎벌레 성충은 산지 계곡 등에 4~8월 중에 나타난다. 4월 중순경에 교미를 하여 사시나무, 황철나무나 버드나무류의 잎에 등황색의 알을 덩어리로 낳는다. 몸길이는 10mm 안팎이다. 몸은 검은색이나 남색 광택이 있고, 딱지날개는 적갈색인데 죽은 후에는 황갈색으로 변한다. 앞가슴등판은 폭이 넓고 둥글며 가운데의 등쪽은 높다. 한반도 전역에 서식하며, 세계적으로는 구북구(히말라야 산맥 북쪽의 유라시아 대륙 및 아프리카 북부) 등지에 분포한다. 학명 Chrysomela populi Linnaeus 학명 Red Poplar Leaf Beetle 목명/과명 딱정벌레목 / 잎벌레과 분포 한국, 일본, 중국, 아프리카 형태 성충의 몸길이는 10∼12mm이고 몸은 흑남색이며 광택이 있으나 우화 직후에는 황갈색을..

소나무허리노린재 [내부링크]

소나무허리노린재 소나무허리노린재는 원래 북미산 외래 곤충으로 한국에서는 한 번도 기록된 적이 없는 노린재목의 곤충이다. 창원 지역에서 처음으로 발견되었으며 이 노린재는 소나무류의 열매즙을 빨아 먹는 경제 해충이다. 형태 16-20mm 내외의 큰 몸길이에 체형은 길쭉한 타원형이다. 머리는 위쪽이 검고, 중앙부를 따라 적갈색 세로줄이, 겹눈 뒤로 짧은 세로줄이 있다. 더듬이는 길고 가늘며, 제1마디는 흑갈색, 제2, 3마디는 황갈색, 제4마디는 암갈색이다. 앞가슴등판은 갈색이고, 불규칙적인 검은 점무늬가 얼룩덜룩하게 있다. 작은방패판은 색이 검다. 앞날개 혁질부는 적갈색이며, 연한 색의 시맥이 있다. 날개 양옆으로 배가 삐져나오며, 배는 검고 흰 무늬가 번갈아 나타난다. 다리는 갈색에서 암갈색을 띠며, 넓적..

오갈피나무이 [내부링크]

오갈피나무이 오갈피나무를 기주로 하여 살아가는 창나무이과의 곤충이다. 몸길이는 2.2~3.5mm 정도이며, 일반적으로 황갈색이며 흑갈색의 줄무늬가 복부에 있다. 연 2회 발생하며, 주로 4~10월에 출현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고 성충으로 월동한다. 성충은 주로 잎과 어린줄기 부분에서 섭식하며 약충은 주로 줄기에 충영을 형성하여 내부에서 흡즙한다. 국내 전 지역에 걸쳐 분포하며, 국외의 경우 일본에 분포한다. 수목해충으로 오갈피나무의 잎과 줄기에서의 흡즙에 의한 피해와 함께 충영을 형성하여 피해를 입힌다. 학명 Heterotrioza ukogi (Shinji) 목명/과명 노린재목 / 분포 한국, 일본 형태 성충의 체장은 수컷보다 암컷이 다소 커서, 암컷은 체장 2.9mm, 날개크기는 3.9mm인 반면 수컷은..

큰솔알락명나방 [내부링크]

큰솔알락명나방 날개 편 길이는 30~36mm이다. 앞날개는 암회갈색을 띠며, 중앙부에서 기부까지 연한 적갈색 인편들이 섞여 있다. 아외횡선 중앙부가 크게 돌출되어 있어 유사종과 구별된다. 뒷날개는 황갈색을 띠며, 외연부가 더 진하다. 성충은 6~10월에 출현하며, 유충은 소나무과, 콩과 식물을 먹는다. 한반도 전역에 분포한다. 국외에는 일본, 중국, 러시아, 유럽까지 넓게 분포한다. 학명 Dioryctria sylvestrella (Ratzeburg) 학명 Pine Shoot Moth 목명/과명 나비목 / 명나방과 분포 한국, 일본, 러시아(시베리아), 유럽 형태 성충의 앞날개를 편 길이는 9∼12mm 내외이며 다갈색이고 선명하지 않은 무늬가 있다. 유충의 체장은 25mm 내외이고 영기별 탈피한 유충들은..

소나무순나방 [내부링크]

소나무순나방 성충 수컷의 더듬이는 섬모성이다. 날개 편 길이는 13~18mm이다. 앞날개의 바탕색은 회색빛이고, 날개 기부 절반은 갈회색이 섞여 있고, 녹슨 황토색 또는 엷은 녹갈색으로 전연선은 잘 구분되지 않거나, 쇠퇴하여 있다. 암컷의 내횡대는 모두 존재하며, 뚜렷하다. 무늬는 갈색이고, 날개의 말단 쪽으로 녹색빛을 띠며, 암컷에서 뚜렷하고, 수컷에서는 분산되어 있다. 연모는 날개 바탕색과 같은 색을 띠지만, 기부와 말단 쪽으로 갈회색을 띤다. 뒷날개는 크림빛 갈색이다. 암컷은 회갈색이고 연모는 엷다. 수컷 생식기 덮개판의 꼭대기는 넓고, 삼각형이다. 삭쿨루스는 길고 미부의 복측으로 둥글다. 파악판의 목은 넓고 짧으며, 중간에서 수직으로 접혀 있다. 쿠쿨루스의 기부에 절개된 부분은 둥글고, 손가락 모..

왕바구미 [내부링크]

왕바구미 바구미 중 가장 큰 종류로서 크기에 많은 변이가 있다. 성충의 몸길이는 12~24mm다. 몸은 검은색이나 부분적으로 회갈색 가루가 덮여서 딱지날개는 마치 작은 회색 점무늬들이 흩어져 있는 것처럼 보인다. 태어난 지 오래된 개체들은 회갈색 가루가 벗겨져서 전체가 검은색인 다른 종처럼 보인다. 주둥이는 가늘고 매우 길다. 상수리나무 따위의 나뭇진에 모인다. 성충으로 땅속에서 겨울나기를 한 후 이른 봄부터 늦가을까지 나타나는데 6~7월에 가장 활발하다. 소나무, 졸참나무, 떡갈나무 따위의 쓰러진 나무나 약한 나무의 껍질 밑에 알을 낳으면 애벌레는 나무의 속을 파먹고 자란다. 애벌레도 땅속에서 겨울나기를 한다. 우리나라뿐만 아니라 일본, 중국, 동남아시아, 오스트레일리아 등 여러 곳에 분포한다. 학명 ..

솔여섯가시나무좀 [내부링크]

솔여섯가시나무좀 한국, 일본, 러시아(캄챠카, 시베리아), 중국, 태국, 유럽에 분포하고 성충의 몸길이는 3.1 내외로 원통형이며 적갈색 내지 흑갈색이다. 몸 표면에 긴 털이 드문드문 나 있다. 더듬이의 중간마디는 5마디이고 곤봉부는 가운데에 볼록한 2개의 물결모양 가로주름이 있다. 앞가슴등판은 작은 기와무늬 조각이 빽빽하게 있으며 후반부에는 점각이 있다. 앞날개의 경사면은 비스듬하게 잘리면서 광택이 강하고 약간 일그러진 원형으로 중앙부분이 오목하며 뒷가장자리 근처에서 뒤집힌다. 경사면의 양 옆에는 3개의 치상돌기가 나 있다. 수컷의 3번째 이는 크고 끝에서 두 갈래진다. 식흔은 복잡한 세로 갱도 내지 방사상 갱도다. 모갱의 길이는 8~10cm다. 피해 각종 소나무류의 대표 해충으로 쇠약목이나 상해목의..

딸꾹질 [내부링크]

딸꾹질 개요 딸꾹질은 본인 의지와는 상관없이 가슴과 배의 경계에 있는 횡격막 근육과 갈비뼈 사이의 근육이 반복적으로 수축하면서 숨을 쉬려고 할 때 성대가 닫히면서 소리가 나는 증상을 말합니다. 대부분은 금방 좋아지지만, 오랫동안 증상이 계속되거나, 좋아졌다가 심해지는 것이 반복되면 대화, 식사, 수면 등의 일상생활이 불편해집니다. 이 때문에 피곤함, 우울함을 느끼거나 체중이 빠지고 심장이 불규칙하게 뛰는 증상이 나타나기도 합니다. 딸꾹질은 증상의 지속기간에 따라 2일 이내에 멈추는 급성 또는 일과성 딸꾹질, 2일 이상~2개월 미만으로 지속되는 지속성 딸꾹질, 2개월 이상 지속되는 난치성 딸꾹질로 나뉩니다. 딸꾹질은 남자가 여자에 비해 5배 정도 많고, 50세 이상에서 많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또한 위식도..

톱다리개미허리노린재 [내부링크]

톱다리개미허리노린재 몸길이는 14~27mm 내외며 암컷이 더 크다. 앞가슴등판은 사다리꼴이고 옆 가장자리의 뒷모서리가 세모꼴로 뾰족하게 돌출하였다. 양 모서리를 연결하는 가로선을 중심으로 능선을 이룬다. 표면에는 좁쌀 같은 미세돌기가 드물게 산재한다. 앞날개는 매우 좁고 길게 발달하였으며, 막질부는 특히 길게 발달하고 암갈색이다. 뒷다리의 넓적다리마디는 중앙부가 약간 비대하며 그 뒤 가장자리에 뾰족한 가시돌기가 줄로 나 있다. 뒷다리의 종아리마디는 둥글게 굽었으며 폭넓은 황갈색 무늬가 있다. 더듬이는 제4마디가 가장 길고 기부가 황갈색을 띤다. 산야의 칡 등 콩과식물에 서식한다. 각종 작물에 피해를 주는 해충이다. 한국(전역), 일본, 중국, 대만에 분포한다 학명 Riptortus pedestris. 분..

섬서구메뚜기 [내부링크]

섬서구메뚜기 수컷의 몸길이는 25mm 정도이고, 암컷의 몸길이는 42mm 정도로 암컷이 훨씬 크다. 대부분 녹색형이지만 회녹색형, 갈색형도 나타난다. 몸은 뚜렷한 방추형이다. 머리는 원추형으로 길며 이마는 강하게 경사진다. 방아깨비의 축소형처럼 보인다. 두정돌기는 더듬이 사이에서 삼각형으로 돌출한다. 더듬이는 두꺼운 실 모양으로 몸길이보다 항상 짧다. 앞가슴복판에 뚜렷한 돌기가 있다. 앞날개는 가늘고 길며 뒷날개는 투명한 연황색이다. 수컷은 암컷의 등에 올라타 장시간에 걸쳐 함께 지내며 짝짓기를 한다. 여러 가지 식물질을 먹는다. 풀밭에서 6~10월에 걸쳐 흔히 발견된다. 한반도 전역에 분포하는 고유종이다. 중국 북부, 일본, 대만에도 분포한다. 학명 Atractomorpha lata(Motschulsk..

땅강아지 [내부링크]

땅강아지 메뚜기목 땅강아지과에 속하는 곤충이다. 몸은 길이 30mm 정도이며, 갈색 또는 암갈색이고, 전체에 미세한 털이 나 있다. 머리의 더듬이는 상대적으로 짧고 앞다리는 삽 모양으로 변형되어 땅을 파기에 적합하다. 앞다리 종아리마디에 청음기관이 있다. 몸 끝부분에는 긴 꼬리가 2개 나 있다. 잔디밭과 농경지를 파고 농작물의 뿌리를 상하게 하므로 농작물의 해충이 되기도 한다. 땅속의 식물 줄기나 뿌리, 지렁이나 곤충 따위를 먹고 산다. 성충은 여름밤 불빛에 날아들기도 한다. 성충은 5~10월에 걸쳐 출현한다. 암컷은 5~7월에 땅속에 300여 개의 알을 낳는다. 16~36일 만에 부화한다. 유충은 4번의 탈피를 거쳐 성충이 된다. 연 1회 발생한다. 성충 상태로 땅속에서 겨울을 난다. 우리나라 전역에 ..

갈색여치 [내부링크]

갈색여치 메뚜기목 여치과에 속하는 곤충이다. 수컷은 몸길이 24~27mm로 짙은 흑갈색이고, 암컷은 8.0~8.5mm로 옅은 담갈색이다. 겹눈 뒤로 검은 띠가 있으며 얼굴은 연한 적갈색이다. 앞가슴등판 측엽은 검고 테두리는 연한 황백색이다. 옆가슴판의 흑색 세로무늬는 복부까지 이어진다. 앞날개 말단부 가장자리와 복부 아래의 양측면, 후퇴절 복면의 기부 절반은 고산지에서는 뚜렷한 녹색이나 저지대에서는 황색, 또는 담갈색으로 다양하다. 앞날개는 갈색이고 날개의 맥은 검다. 앞, 가운뎃다리에 검정 얼룩과 후퇴절 외측에 검은 줄무늬가 있다. 전국에 서식하며, 세계적으로 중국 동북부, 극동 러시아에 분포한다. 학명 Paratlanticus ussuriensis(Uvarov) 학명 Ussur Brown Katydi..

복숭아유리나방 [내부링크]

복숭아유리나방 학명 : Synanthedon bicingulata 분류 : 나비목 유리나방과 분포 : 한국, 일본 기주 : 복숭아나무, 벚나무류, 갯버들, 사과나무, 자두나무, 배나무 등 피해 유충이 줄기나 가지의 수피 밑의 형성 부위를 갉아 먹는다. 피해를 입은 나무는 쇠약해지고 가해부에 목재부후균 등의 병원균이 침입하여 심하면 고사 3) 가해부는 적갈색의 굵은 배설물과 함께 수액이 흘러나와 쉽게 눈에 띈다. 어린유충은 가해 시 수액분비가 적고 가는 벌레똥이 배출되므로 잎말이나방류 피해로 오인하기 쉽다. 형태 성충 몸길이 15mm, 흑자색이며, 배에는 노란색 띠가 2개 있고 배 끝에는 털 무더기가 있다.날개는 투명하나 날개맥과 날개끝은 검은색이다. 노숙유충은 몸길이가 약 23mm로 머리는 황갈색이고 몸..

박쥐나방 [내부링크]

박쥐나방 동충하초로서의 경제적 가치와 다방면의 생태적 가치가 높다. 민간에서 약용곤충으로 이용될 수 있으며, 다방면의 활용 가치를 가진다. 박쥐나방이 속한 박쥐나방과에는 박쥐나방, 은점박쥐나방, 꼬마박쥐나방, 은무늬박쥐나방의 4종이 한반도에 알려져 있다(Paek et al., 2010). 국내의 최초 기록은 불확실하며, 동아시아에만 분포하는 종이다. 먹이식물은 포도나무, 사과나무, 밤나무 등 과실수를 가해하여 해충으로 취급된다. 학명 : Endoclyta excrescens 분류 : 나비목 박쥐나방과 분포 : 한국, 일본, 중국, 시베리아 기주 : 자두나무, 복숭아나무, 벚나무류, 갯버들, 유자나무, 배나무 등 형태 날개 편 길이 45~110mm이다. 날개는 앞날개 기부에 녹색 무늬가 나타나지만 시간이 ..

후지검은나무좀 [내부링크]

후지검은나무좀 한국, 일본, 중국, 러시아 극동지역에 분포하며 성충의 체색은 흑갈색이며 광택이 있고, 안테나는 연붉은색을 띤다. 몸길이는 3~5mm 정도며 앞가슴 등판이 체폭보다 다소 길다. 복부는 짧고 불그스름한 털로 덮혀 있다. 수컷의 이마는 움푹 패여 있고 빨간 털이 가장자리를 덮고 있으며 이마 중앙을 향해 말려 있다. 암컷의 이마는 볼록하고 중간 길이의 홈이 있다. 수컷의 복부는 뒤쪽으로 약간 오목하게 들어가 있으며 복부 3,4판에 돌기가 있다. 유충은 유백색을 띠며 다 자란 유충의 체장은 5~7mm 정도다. 피해 느릅나무, 참느릅나무, 당느릅나무, 난티나무, 산돌배 등의 주요 해충으로 세계 3대 병해 중에 하나인 느릅나무 시들음병이 2021년 경기도 동두천지역의 느릅나무 식재지에서 한국 최초로 ..

소나무좀 [내부링크]

소나무좀 학명 Tomicus piniperda (Linnaeus) 학명 Pine Bark Beetle 목명/과명 딱정벌레목 / 나무좀과 분포 한국, 일본, 중국, 러시아, 유럽, 북미 형태 성충의 몸길이는 4∼4.5mm이고 긴 타원형이며 체색은 광택이 있는 암갈색 내지 검은색이며 회색의 털이 나 있다. 촉각의 선단이 계란형이고 4절이다. 앞가슴은 앞쪽이 좁고 등쪽에는 점각이 있고 중앙에는 매끈하고 광택이 있는 종선이 있다. 앞날개에도 작은 점각이 있으며 끝에는 1열의 돌기와 억센 털이 있다. 앞날개의 제2열 사이에는 이것이 없다. 유충은 유백색으로 몸길이는 3mm정도로 원통형이며 배쪽은 C자 모양으로 구부러져 있다. 유충의 외형적인 형태로 나무좀 종류를 동정하는 것은 매우 어려우며 일반적으로 야외에서 식..

오리나무좀 [내부링크]

오리나무좀 학명 Xylosandrus germanus (Blandford) 학명 Alnus Ambrosia Beetle 목명/과명 딱정벌레목 / 나무좀과 분포 한국, 일본, 중국, 대만, 북미, 유럽 형태 암컷 성충의 몸길이는 2.2mm 정도이고 짧은 원통형이며 체색은 광택이 있는 흑갈색 내지 검은색이다. 촉각, 다리는 황갈색이고 몸 표면에 드문드문 털이 나 있다. 수컷의 몸길이는 1.2mm 내외이고 약간 납작한 장타원형이며 체색은 광택이 있는 황갈색이다. 피해 건전한 나무보다는 수세가 쇠약한 나무, 벌채원목, 침적(沈積), 고사목, 표고 골목 등을 주로 가해한다. 외부로 백색의 벌레똥을 배출하므로 발견이 용이하다. 목질부에 침입하여 갱도(坑道)에 암브로시아균을 배양하기 때문에 수세가 현저하게 쇠약해져 ..

앞털뭉뚝나무좀 [내부링크]

앞털뭉뚝나무좀 학명 : Scolytus frontails 분류 : 딱정벌레목 바구미과 나무좀아과 분포 : 한국, 일본, 등 기주 : 느티나무 피해 1983년 유입된 해충으로 주로 느티나무를 가해한다. 수세가 쇠약하거나 단근작업으로 옮겨 심은 이식목에 피해가 많이 발생한다. 성충과 유충이 기주의 인피부와 목질부를 갉아먹는다. 수고 12m이상의 수간 상부와 직경 8mm 내외의 작은 가지도 침입하여 피해목 대부분을 고사시킴 5) 피해목은 줄기에서 5~8월에 걸쳐 우윳빛이나 연갈색 액체가 침입공을 통해 흘러나오며 수세가 매우 약한 나무는 수액이 외부로 흘러나오지 않는 경우도 있다. 모갱은 지면과 직각방향으로 길이 37~50mm, 폭 2mm내외이다. 유충갱도는 모갱이 양쪽으로 뻗은 방사 형태로 90개 내외를 만들..

광릉긴나무좀 [내부링크]

광릉긴나무좀 몸의 길이는 4.60mm이고, 폭은 1.27~1.33mm이다. 몸은 검은색을 띤 갈색이나 두정과 딱지날개의 경사부는 검고, 복면, 촉각, 다리 등은 보다 밝은색이다. 이마는 편평하나 가운데는 약간 낮고, 중앙선은 매우 짧다. 점각은 거칠고 세로로 배열되어 있다. 앞가슴배판은 거의 사각형이며, 중앙선은 짧고, 양옆에는 일단의 이중적인 점각군이 있다. 다른 2군은 서로 합쳐져 심장 모양을 이루며, 여타의 부분에는 광택이 있다. 딱지날개의 제1, 2조구와 제3, 4조구는 기부에서 합쳐졌다. 한반도에 분포하는 우리 고유종이다. 학명 Platypus koryoensis (Murayama) 일명 Koryongaga-Kikuimushi 목명/과명 딱정벌레목 / 긴나무좀과 분포 한국, 대만, 러시아 피해 ..

알락하늘소 [내부링크]

알락하늘소 성충은 6~8월 중에 나타난다. 버드나무, 탱자, 유자, 귤, 석류, 때죽나무 등에 모인다. 애벌레는 플라타너스나 버드나무류에 기생하며 흔하지 않았으나 1990년대 초부터 서울 강남 지역에서도 발생하고 있다. 몸길이는 25~35mm이다. 몸은 청색을 띤 흑색으로 광택이 난다. 더듬이는 수컷이 몸길이의 약 2배이고, 암컷은 약 1.2배이다. 앞가슴등판과 딱지날개에는 백색의 점무늬가 불규칙하게 나 있으며 잔털이 덮여 있다. 한반도 전역에 서식하며, 세계적으로는 중국, 일본 등지에 분포한다. 학명 Anoplophora malasiaca(Thomson) 학명 White Spotted Longicorn Beetle 목명/과명 딱정벌레목 / 하늘소붙이과 분포 한국, 중국, 일본, 미얀마, 북미 형태 성충..

북방수염하늘소 [내부링크]

북방수염하늘소 학명 Monochamus saltuarius Gebler 학명 Sakhalin Pine Longicorn Beetle 목명/과명 딱정벌레목 / 하늘소붙이과 분포 한국, 중국, 일본, 러시아, 유럽 등 형태 성충의 몸길이는 11∼20mm이며 체색은 적갈색이다. 날개에는 황갈색, 암갈색의 작은 점들이 날개 중앙에 넓은 띠 모양으로 분포하며 날개 가장 자리로 사각형 형태로 돌기 형태의 검은 무늬가 4개가 있는 것처럼 보인다. 촉각은 비교적 길어 수컷은 체장의 2∼2.5배 정도로 약 40 내외이며, 암컷의 촉각 길이는 체장의 1∼1.5배가량으로 약 25 내외이다. 촉각은 검은색과 회백색의 띠가 교차로 전체에 7∼9개씩 있다. 다리의 체색이 몸체와는 달리 회백색의 색을 띤다. 알은 타원형이며 장..

치아맹출장애 [내부링크]

치아맹출장애 개요 치아의 맹출이란 치아가 턱뼈(악골)에서 발생하여 기능하는 위치까지 이동하는 일련의 과정을 의미합니다. 치아 맹출 과정에 문제가 생겨 치아가 정상적인 위치에 도달하지 못하는 경우를 맹출 장애라고 합니다. 맹출 장애는 특별한 임상적 증상이 없으므로 조기발견을 위해서는 방사선학적 검사를 포함한 정기적인 치과 검진이 중요합니다. 개요-정의 치아의 맹출이란 구강 내로 치아가 출현하기 전 턱뼈(악골) 속에서부터 구강 내에 나와 치아의 머리 부분이 서로 맞닿게 기능하는 위치까지로의 이동을 포함하는 포괄적 의미의 용어입니다. 치아마다 맹출 시기와 순서, 위치가 정해져 있는데, 치아가 맹출하는 과정에서 주위의 여러 요인에 의해 영향을 받아 맹출의 균형이 깨지게 되면 치아의 맹출이 중단되거나 저해될 수 ..

솔수염하늘소 [내부링크]

솔수염하늘소 한반도 남부지역에 분포하는 하늘소로 성충은 7월부터 8월까지 활동하며 쇠약한 침엽수나 침엽수 벌채목에서 관찰된다. 유충은 소나무, 곰솔 등의 침엽수 쇠약목과 고사목을 가해한다. 성충의 몸길이는 18~27mm이며 몸 색깔은 적갈색이다. 딱지날개에는 백색, 황갈색, 암갈색의 작은 무늬가 불규칙하게 퍼져 있으며, 더듬이는 비교적 길어 수컷은 몸길이의 2~2.5배, 암컷은 1.5배 정도이다. 몸은 길쭉하고 딱지날개는 거의 평행하며, 끝을 향해 가늘어진다. 몸 전체는 백색, 황갈색, 암갈색으로 이루어져 있다. 딱지날개는 짙은 황갈색 바탕에 암갈색, 백색 무늬가 산재해 있다. 앞가슴등판은 너비가 길이보다 길며 측면에 한 쌍의 돌기가 존재한다. 소나무재선충을 옮기는 매개곤충으로 침엽수림의 대표적 해충이다..

향나무하늘소 [내부링크]

향나무하늘소 학명 Semanotus bifasciatus (Motschulsky) 학명 Juniper Bark Borer 목명/과명 딱정벌레목 / 하늘소붙이과 분포 한국, 일본, 중국, 대만 형태 성충의 몸길이는 약 15mm이고 체색은 검은색이며 머리와 가슴에 긴 털이 나 있다. 날개는 담황색이며 중앙과 끝에 검은색의 넓은 띠가 있고 기부에는 황갈색의 띠가 있으며 앞가슴 등쪽에 3개의 돌기가 있다. 알은 타원형으로 장경이 약 2mm이고 황갈색이다. 유충의 몸길이는 46mm이고 머리는 갈색이고 몸통은 유백색이다. 피해 유충이 수피 밑의 형성층을 갉아 먹어 나무를 급속히 고사시킨다. 수세가 쇠약한 나무에 피해를 주지만 대발생하면 건전한 나무에도 피해를 주며 벌레 똥을 밖으로 배출하지 않아 피해를 발견하기가 ..

벚나무사향하늘소 [내부링크]

벚나무사향하늘소 몸길이는 25~35mm이다. 몸은 흑색인데 등쪽은 남빛이 도는 진한 흑색이며, 광택이 강하고, 앞가슴은 빨간색이다. 앞가슴등판의 윗면은 울퉁불퉁하며, 양옆의 가운데는 뾰족한 돌기가 있다. 다리는 길고, 수컷은 더듬이가 매우 길다. 성충은 늦봄부터 초가을까지 볼 수 있으나 6~8월에 가장 많이 볼 수 있다. 한반도 북부, 중부, 남부에 서식하며 중국, 몽골에 분포한다 학명 Aromia bungii 자주 발생하는 나무 벚나무류, 복숭아나무, 살구나무, 자두나무 피해 증상 유충이 줄기 속에서 형성층과 목질부를 갉아 먹으며, 약 20 cm 내외의 갱도를 형성하고 밖으로 목설과 수지를 배출한다. 수피 틈에 산란된 알에서 부화한 유충이 수피 아래 형성층 부위를 가해하고 천공하기 때문에 피해..

회양목혹응애 [내부링크]

회양목혹응애 암컷의 애벌레형 몸은 가늘고 길며, 부드러운 백색이고, 길이 170~250μm, 폭은 50~55μm이다. 턱부는 아래로 향하고, 길이는 25μm이다. 더듬팔 슬절센털의 길이는 5μm이다. 앞몸마디등판은 밋밋하거나 뚜렷한 세로주름들이 없다. 어깨센털 털받침은 등판 뒷가장자리 또는 그보다 다소 앞쪽에서 돋으며 어깨센털의 길이는 20~23μm이며, 앞쪽을 향한다. 등 쪽 고리주름은 85~89개, 배 쪽 고리주름은 75~80개이다. 고리주름의 미소돌기는 규칙적으로 분포하는데, 둥그스름한 모양으로 각 고리주름의 사이에서 돋는다. 생식판덮개에는 16열의 세로 주름이 있으며, 때때로 거친 과립들이 기부 쪽에서 가로주름을 형성하기도 하며, 생식판센털의 길이는 10~13μm이다. 수컷은 암컷보다 작으며 체장..

붉나무혹응애 [내부링크]

붉나무혹응애 학명 Aculops chinonei Huang 일명 Nurude Hushidani 목명/과명 거미강응애목 / 혹응애과 분포 한국, 일본 형태 암컷의 몸길이는 0.19mm로 방추형이며 몸은 황록색이다. 배갑은 삼각형에 가깝고 폭은 길이의 1.4배이다. 배모기점(背毛起點)의 반은 배갑후연(背甲後緣)에 있고 등의 털은 기점 사이의 간격과 거의 같은 길이이다. 몸의 끝부분의 환절수는 등쪽에서 31∼44개, 배쪽에서 68∼71개이다. 피해 붉나무 잎의 뒷면에 기생하여 둥근 혹을 잎에 형성하여 그 내부에서 서식하며 가해한다. 생태 연 수회 발생하며 피해를 주지만 상세한 생태는 조사되지 않았다. 방제법 화학적 방제 - 사용가능한 농약 정보는 농촌진흥청에서 운영하는 농약정보서비스(pis.rda.go.kr)..

사철나무혹파리 [내부링크]

사철나무혹파리 학명 Masakimyia pustulae Yukawa et Sunose 학명 Euonymus Gall Midge 목명/과명 파리목 / 혹파리과 분포 한국, 일본, 중국 형태 성충의 몸길이는 2mm 정도이고 날개길이는 암컷이 2.8mm, 수컷이 2.7mm정도이고 몸은 노란색이다. 유충의 길이는 2mm 정도이며 보통 유백색이나 노란색을 띠는 것도 있다. 더듬이가 15절로 되어있고 다리가 인편으로 덮여 있으며 발톱이 두 갈래로 되어있다. 피해 유충이 사철나무 잎 뒷면에 울퉁불퉁하게 부풀어 오른 것 같은 벌레혹을 형성 한다. 그 속에서 유충이 수액을 흡즙 가해하며 피해받은 잎은 일찍 낙엽 된다. 생태 연 1회 발생하며 벌레혹 속에서 3령 유충으로 월동한다. 4월에 번데기가 되고 약 15일간의 번데..

아까시잎혹파리 [내부링크]

아까시잎혹파리 학명 Obolodiplosis robiniae(Dasineura rigidae) 학명 Black Locust Midge 목명/과명 파리목 / 혹파리과 분포 한국, 일본(규슈), 중국(허베이, 랴오닝), 유럽, 캐나다, 미국(원산지) 형태 성충 머리는 검은색이고 촉각은 암수이형이다. 암컷은 두개의 결절로 나뉘는 12개 마디이나 수컷은 세 개의 결절로 나뉘는 8개의 채찍마디로 이루어져 있다. 날개는 검은 털로 덮여 있으며 배는 노란색이나 붉은색을 띤다. 다리는 허벅마디 전체와 종다리마디 정단부만 검은색이다. 체장은 3∼5mm 정도이다. 알은 길쭉한 타원형으로 연한 노랑색을 띄다 부화할 시기가 될수록 붉은색에 가까워진다. 장경은 0.4mm, 단경은 0.15mm 내외이다. 갓 부화한 유충은 붉은 ..

솔잎혹파리 [내부링크]

솔잎혹파리 학명 Thecodiplosis japonensis Uchida et Inouye 학명 Pine Needle Gall Midge 목명/과명 파리목 / 혹파리과 분포 한국, 일본 형태 성충의 몸길이는 암컷이 2.0∼2.5mm, 수컷이 1.5∼1.9mm이다. 날개의 길이는 암컷이 2.3mm, 수컷이 2.0mm 이며 몸은 황색에서 황갈색이다. 알은 긴 타원형으로 장경이 0.5mm, 단경이 0.1mm 정도이며 노란색이다. 유충의 몸길이는 1.8∼2.8mm로서 다리가 없으며 어릴 때는 황백색이나 성숙하면 황색을 띠는 것이 보통이나 흰색을 띠는 개체도 있다. 유충의 가슴 제 1절에 Y자 모양의 흉골이 있다. 번데기의 몸길이는 2.3∼2.5mm로서 암황색이다. 피해 1929년 서울 창덕궁과 전남 목포(무안)..

밤나무혹벌 [내부링크]

밤나무혹벌 학명 밤나무혹벌 학명 Chestnut Gall Wasp 목명/과명 벌목 / 혹벌 분포 한국, 중국, 일본 형태 성충의 몸길이는 3mm 내외로 광택이 있는 흑갈색이며 더듬이는 검은색이다. 기부는 황갈색이며 날개는 투명하다. 유충은 유백색이며 몸길이는 2.5mm이고 노숙유충은 반투명이며 회백색이다. 피해 밤나무 눈에 기생하여 직경 10∼15mm의 충영을 만든다. 충영은 성충 탈출후인 7월 하순부터 말라죽으며 신초가 자라지 못하고 개화, 결실이 되지 않는다. 피해목은 고사하는 경우가 많다. 생태 연 1회 발생하며 눈의 조직 내에서 유충으로 월동한다. 월동유충은 동아 내에 충방을 형성하지만 맹아기(4월) 이전에는 육안으로 피해를 식별할 수 없다. 동아속의 유충은 3월 하순∼5월 상순에 급속히 자라며 ..

외줄면충(느티나무외줄진딧물) [내부링크]

외줄면충(느티나무외줄진딧물) 학명 Colopha moriokaensis (Monzen) 일명 Keyaki-Hushi-Aburamushi 목명/과명 노린재목 / 분포 한국, 일본 형태 무시태생 암컷성충은 소형으로 암녹색을 띠며 백색 밀랍으로 덮여있다. 머리는 작고, 가슴과 배는 볼록하며, 등면은 막질로 가는 털이 있으며, 더듬이는 4절이다. 무시태생 성충은 타원형으로 머리와 가슴이 검은색, 배는 암색, 등면은 혁질로 가는 털이 있으며 더듬이는 6절이다. 피해 느티나무 잎에 표주박 모양의 녹색 벌레혹을 형성하며 수액을 흡즙 가해한다. 유시태생 암컷성충이 벌레혹으로부터 탈출하면 벌레혹은 갈변하여 경화된 채로 잎위에 남는다. 대발생하면 전체 잎에 벌레혹이 형성되기 때문에 미관을 해친다. 생태 연 수회 발생하며 ..

조록나무잎진딧물 [내부링크]

조록나무잎진딧물 학명 Nipponaphis yanonis 피해 수목 조록나무, 참나무류 피해 증상 4~6월에 새잎 앞면이 1cm 크기의 반구형으로 돌출하고, 잎 뒷면에 원추형으로 녹황색 또는 자홍색 벌레혹이 형성된다. 형태 간모는 약 1mm 크기의 구형으로 등황색이다. 무시충의 크기는 약 1.3mm로 광택이 있는 황갈색이다. 생활사 연 4회 발생하며 조록나무의 눈 기부에서 알로 월동한다. 약충은 3월 하순~4월 상순에 부화해 벌레혹을 만들고, 간모가 이 벌레혹에서 산란한다. 5월 하순~6월 중순에 2세대의 유시충이 참나무류로 기주이동한 후 10월 중순~11월 하순에 조록나무로 다시 기주이동한다. 방제 방법 3월 하순에 디노테퓨란 수화제 1,000배액을 10일 간격으로 2~3회 살포하거나 3월 중순에 카보..

조록나무혹진딧물 [내부링크]

조록나무혹진딧물 절지동물문 노린재목에 속하는 진딧물이다. 유시산성형의 경우 머리와 가슴은 검은색이며 복부는 노란색이다. 날개의 시맥과 날개 무늬는 엷게 나타난다. 단식성 완전생활환이 특징이다. 연중 발생하며 조록나무 잎에 붉은색 벌레혹을 만들어 기주한다. 학명 Nipponaphis autumna Monzen 일명 Isunoaki-Aburamushi 목명/과명 노린재목 / 분포 한국, 일본 형태 유시산성(有翅産性) 암컷의 길이는 1.5mm 정도이고 머리와 가슴은 암갈색, 배는 암녹색이다. 약충은 담황색으로 광택이 있다. 더듬이는 5마디로 제 3∼5마디에는 윤상인 감각기가 있다. 무시태생 암컷은 황색으로 등 쪽에 그물무늬가 있으며 피부는 경화되어 있고 등면은 편평하다. 피해 조록나무 잎에 벌레혹을 형성하고 ..

때죽납작진딧물 [내부링크]

때죽납작진딧물 때죽나무과의 때죽나무, 쪽동백나무를 겨울기주로 월동하며 포아풀을 여름기주로 서식하는 기주이동성 진딧물이다. 진딧물이 잎을 흡즙하면서 형성되는 사방이 막힌 둥근 혹 안에 들어가서 군집을 형성하는 것이 특징이다. 몸통은 전체적으로 연한 주황색이며 더듬이와 다리는 황갈색이다. 흰 밀랍가루를 덮어쓰고 있다. 학명 Ceratovacuna nekoashi (Sasaki) 학명 Styrax Gall Aphid 목명/과명 노린재목 / 분포 한국, 일본 형태 간모의 몸색은 담황색이며 밀랍 물질로 덮여 있다. 유시형은 간모보다 크고 머리에 약 15개의 털이 있고 더듬이는 5마디이다. 피해 특히 때죽나무에 피해를 많이 준다. 어린 가지 끝에 황녹색인 방추형의 벌레혹을 형성하고 벌레혹 끝에 돌기가 있다. 진딧물..

사사키잎혹진딧물 [내부링크]

사사키잎혹진딧물 살구속 식물에서 월동하며 향쑥속 식물을 여름기주로 기생하는 기주이동성 진딧물이다. 초봄에 겨울기주에서 나타나는 군집은 뚜렷한 갈색의 바나나 같은 긴 혹을 형성한다. 무시충은 희끄무레하며 등 쪽 축이 편평한 형태이다. 유시충의 경우 머리가 검고, 가슴은 흑록색이며 배는 보통 노란색이나 황록색으로 검은색 옆무늬를 가지고 있다. 학명 Tuberocephalus sasakii(Matsumura) 학명 Sasaki Cherry Aphid 목명/과명 노린재목 / 분포 한국, 일본 형태 무시태생 암컷의 몸길이는 1.6mm이고 전체적으로 담황색을 띠며 유시태생 암컷은 무시태생 암컷과 비슷하나 머리, 가슴, 다리는 검은색이다. 피해 벚나무 새눈에 기생하는 진딧물로 잎 표면의 잎맥을 따라서 주머니 모양의 ..

큰팽나무이 [내부링크]

큰팽나무이 느릅나무과에 속하는 팽나무를 기주로 하여 살아가는 Aphalaridae의 곤충이다. 국내 전 지역에 걸쳐 분포하며, 국외의 경우 일본과 중국에 분포한다. 몸길이는 2.3~3.1mm 정도로 대형종에 속하며, 일반적으로 흑갈색 혹은 흑색이며 일부는 황갈색의 무늬를 갖는 개체들도 있다. 연 2회 발생하며, 주로 5~10월에 출현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고 알로 월동한다. 팽나무 잎에 뾰족한 충영을 형성한다. 학명 Celtisapis japonica (Miyatake) 일명 Enoki-Kaigara-Kijirami 목명/과명 노린재목 / 분포 한국, 일본, 중국 형태 성충의 몸길이는 암컷이 2.5∼3.3mm, 수컷이 2.5mm 내외이고 몸은 다갈색에서 농갈색이다. 두정의 뒤쪽, 앞가슴 등쪽의 더듬이는 가..

복숭아명나방 [내부링크]

복숭아명나방 학명 Dichocrocis punctiferalis (Guenee) 학명 Peach Pyralid Moth 목명/과명 나비목 / 명나방과 분포 한국, 일본, 중국, 대만, 인도, 인도네시아, 호주 형태 성충의 앞날개는 길이가 11∼14mm 정도이다. 체색은 등황색 바탕에 20여개의 검은 점이 날개 전체에 걸쳐 산재해 있다. 알은 유백색 또는 담홍색의 납작한 타원형이며 직경이 0.6mm 정도이다. 유충의 몸길이는 20∼25mm 정도이고 머리는 흑갈색이며 몸은도색(桃色) 바탕에 갈색점이 산재되어 있다. 피해 소나무류 중 잣나무 구과에 특히 피해가 많다. 과수에서는 밤나무와 그외 대부분의 과실에 피해를 주며 특히 밤에 피해가 심하다. 밤을 수확하였을 때 외관상 벌레구멍이 있는 것은 대부분 이 해충..

대추애기잎말이나방 [내부링크]

대추애기잎말이나방 날개의 길이는 12~14mm이다. 전체의 빛깔은 개체별로 외형상 차이가 크다. 대개 날개의 앞쪽 절반은 연한 황갈색을 띠지만 뒤쪽 절반은 광택이 나는 흑갈색 비늘가루가 섞여 검게 보인다. 앞날개의 끝은 갈고리를 이루고 전연의 톱니 무늬는 중간 이후부터 발달되었다. 유충은 대추 잎이 싹트는 봄부터 1개의 잎 또는 주위의 여러 개의 잎을 함께 묶어 갉아먹고 가해하며, 과일이 커지면 구멍을 뚫고 들어가 가해한다. 성충은 4월경부터 출현하나 따뜻한 곳에서는 2월에도 발견된다. 발생은 연 3회 정도인 것으로 추정된다. 한국, 일본, 인도 등에 분포한다 학명 : Ancylis sativa Liu 분류 : 나비목(Lepidoptera) 잎말이나방과(Tortricidae) 기주와 피해 한국 · 일본에..

밤바구미 [내부링크]

밤바구미 딱정벌레목 바구미과에 속하는 곤충이다. 주둥이를 제외한 몸길이는 6~10mm이다. 몸은 길며, 암갈색으로 황회색의 인편이 조밀하게 덮여 있다. 주둥이는 몸길이의 절반보다 길다. 더듬이는 주둥이의 중앙에 끼워져 있으며, 자루마디는 채찍마디 기부 4마디를 합한 길이보다 길지 않다. 암컷의 주둥이는 몸과 거의 같은 길이이다. 더듬이 자루마디는 채찍마디의 기부 3마디를 합한 길이보다 짧다. 성충은 6~9월에 발견된다. 북부, 중부, 남부, 제주도 등지의 경작지, 산지 활엽수림에 서식하고, 세계적으로 인도, 일본, 중국 등지에 분포한다. 학명 Curculio sikkimensis (Heller) 학명 Chestnut Curcurio 목명/과명 딱정벌레목 / 바구미과 분포 한국, 중국, 일본, 러시아 형태..

도토리거위벌레 [내부링크]

도토리거위벌레 국내에는 북부, 중부, 남부, 제주도 등지에 분포기록이 있으며 국외로는 일본, 중국, 극동러시아 등지에 분포한다. 몸길이는 8.5~10.5mm이다. 몸은 검은색 혹은 흑갈색이다. 몸 전체에는 황색 또는 겨자색의 긴 털이 반문을 형성하며 몸을 완전히 덮고 있다. 또한 검은색의 긴 털이 수직으로 서 있다. 성충은 6~9월에 주로 발견된다. FRI(1995)에 따르면 참나무류의 구과인 도토리에 주둥이로 구멍을 뚫고 산란한 후, 도토리가 달린 가지를 주둥이로 잘라 땅으로 떨어뜨린다. 알에서 부화란 유충이 과육을 식해한다. 노숙유충은 땅속에서 흙집(토와)을 짓고 월동한다. 5월 말에 번데기가 되어 6월 중순에서 9월 말 사이에 우화한다. 학명: Cyllorhynchites (Cyllorhynchit..

전나무잎응애 [내부링크]

전나무잎응애 암컷의 체장은 384~504μm이고, 체색은 암적색이다. 배면모는 인접 강모의 기부보다 길며 겉면이 거칠다. 제1배면모의 길이는 72~100μm, 제2배면모는 86~132μm, 내후연모는 82~120μm, 외후연모는 70~100μm, 선모는 36~64μm이다. 방적기는 폭과 길이가 거의 비슷하다. 다리I의 길이는 평균 256.2μm, 다리II은 200.8μm, 다리III은 217.8μm, 다리IV은 234.2μm이며, 부절I의 평균 길이는 78.0μm, 경절은 46.0μm, 슬절은 37.1μm, 퇴절은 77.5μm, 전절은 19.6μm이다. 부절I의 중복모 위치의 복면에는 1개의 통상모가 있다. 중복모보다 기부 쪽에는 4개의 통상모와 1개 또는 드물게는 2개의 감각모가 있다. 경절I에는 7개..

벚나무응애 [내부링크]

벚나무응애 암컷의 크기는 435~669.9×243.6~356.7μm이다. 체색은 밝은 적색이다. 항문모는 2쌍, 측항문모는 1쌍, 배면모 중 D3과 D4 사이의 주름은 다이아몬드형을 하지 않는다. 기문기관은 매우 특이해서 끝이 미로처럼 불규칙하게 뒤엉켜 있다. 촉지의 부절의 방적기는 짧고 넓다. 다리 I 은 부절에 16+2개, 경절에 10개의 강모를 가지며 다리II은 부절에 14+1개, 경절에 6개의 강모가 있다. 부절I의 두 중복모는 서로 넓게 사이를 두고 있다. 조간체의 등 쪽은 아주 작은 갈고리 모양이고 배 쪽의 강모는 3쌍으로 길이가 비슷하다. 수컷의 삽입기는 낫 모양으로 휘어졌으며 중간에 낚시 바늘처럼 미늘을 가져서 매우 특징적이다. 기주식물은 벚나무, 복숭아나무, 배나무, 사과나무 등이다. 한..

차응애 [내부링크]

차응애 학명 Tetranychus kanzawai 피해 수목 차나무의 중요 해충이며 과수류, 화훼식물과 원예작물 등 식물 60여 종에 기생해서 피해를 준다. 피해 증상 성충과 약충이 잎 뒷면에서 수액을 빨아 먹어 엽록소가 파괴되면서 잎 앞면에 황화현상이 나타난다. 형태 성충은 몸길이가 0.4~0.5mm이며 적갈색으로 몸 가장자리에 암색 무늬가 있다. 여름형 암컷은 붉은색 바탕에 앞다리 선단부가 연한 황적색을 띠고 휴면 암컷은 붉은색을 띤다. 약충은 연한 노란색이다. 암컷 성충은 암적색을 띄며 몸 측면에 암색 반점이 있다. 여름형 암컷은 붉은 빛이 도는 초콜릿 색으로 앞다리 선단부에 연한 황적색이 감돈다. 휴면 암컷은 붉은색이다. 알은 구형으로 옅은 황색을 띠며, 알에서 갓 부화한 약충은 옅은 황색이다. ..

점박이응애 [내부링크]

점박이응애 암컷의 크기는 313~591.6×139.2~365.4μm이다. 체색은 녹황색이며 커다란 암녹색의 반점이 있다. 드물게는 주황색의 개체도 나타난다. 항문모는 2쌍, 측항문모는 1쌍이다. 배면의 주름 무늬는 배면모 D3과 D4 사이가 다이아몬드 모양을 한다. 기문기관은 끝이 단순하며 갈고리 모양으로 굽어 있다. 촉지 부절의 방적기는 폭보다 길이가 길다. 암컷의 다리I은 부절에 16+2개, 경절에 10개, 다리II은 부절에 15+1개, 경절에 7개의 강모를 가진다. 수컷의 다리I은 부절에 18+2개, 경절에 13개, 다리II은 부절에 14+1개, 경절에 7개의 강모를 갖는다. 부절I의 두 중복모는 서로 넓은 간격을 두고 있다. 부절의 끝에는 조간체가 짧은 갈고리와 3쌍의 긴 강모로 되어 있다. 삽입..

소나무굴깍지벌레 [내부링크]

소나무굴깍지벌레 학명 Lepidosaphes pini (Maskell) 학명 Pine Needle Scale 목명/과명 노린재목 / 분포 한국, 일본, 중국, 대만 형태 암컷 성충의 깍지길이는 2∼4mm이고 깍지모양은 가늘고 길며 회색을 띤 암갈색이다. 몸은 길고 마디가 분명하며 황색이다. 입틀이 발달되어 있고 구침은 매우 길다. 더듬이는 원추형이며 2개의 긴 센털이 있다. 수컷 성충의 깍지는 암컷과 비슷하나 소형으로 1mm 정도이다. 피해 가해수종의 잎에 기생하여 수액을 흡즙한다. 피해 잎은 황화현상이 나타나며 2차적으로 그을음병을 유발시켜, 수세가 약화된다. 주로 구엽에서 많이 발견된다. 생태 연 2회 발생하며 성충으로 월동한다. 제 1세대 약충은 4월 하순∼5월 하순, 성충은 7월 하순경에 출현하며..

후박나무굴깍지벌레 [내부링크]

후박나무굴깍지벌레 암컷 성충의 크기는 1.2mm 내외로 머리의 양옆에 뚜렷한 가시모양의 겹눈이 있다. 암수 깍지는 같은 모양이고, 암컷이 수컷보다 약간 크다. 암컷 깍지는 짙은 갈색이며, 기주식물에 따라 모양이 다른 긴 타원형의 형태로 난류와 후박나무, 생달나무, 참식나무 등에 서식한다. 1년에 발생횟수가 불규칙하며, 성충으로 월동한다. 우리나라에서는 온실의 난류에 대발생하여 기주식물에 큰 피해를 주며, 노지의 후박나무 등의 관상수에도 심하게 발생한다. 국내에는 중부와 남부, 제주도, 국외에는 일본, 대만, 동남아시아, 유럽, 북미에 분포한다 학명 Lepidosaphes machili (Maskell) 학명 Cymbidium Scale 목명/과명 노린재목 / 분포 한국, 일본, 대만, 동남아시아 형태 암..

사철깍지벌레 [내부링크]

사철깍지벌레 사철나무를 주로 기주로 하여 발생하는 깍지벌레과(Diaspididae)의 곤충이다. 국내에서는 전국적으로 분포하며, 국외로는 일본과 중국, 러시아, 유럽, 미국 등에서 보고되었다. 암컷 성충은 굴 껍데기 모양과 같이 길쭉하며, 짙은 갈색을 띠는 왁스물질로 덮여있다. 분비물의 한쪽 끝 가장자리에는 1령 유충의 허물이 존재한다. 밑판의 주걱판(lobe)은 4쌍이고, 제2주걱판은 중앙주걱판보다 약간 작으며, 제3주걱판은 제2주걱판과 크기가 작거나 같다. 샘가시(gland spine)는 2-2-2의 개수를 보인다. 연 2회 발생하며, 성충으로 월동한다 학명 Unaspis euonymi (Comstock) 학명 Euonymus Scale 목명/과명 노린재목 / 분포 한국, 일본, 미국 형태 암컷 성충..

벚나무깍지벌레 [내부링크]

벚나무깍지벌레 깍지의 크기는 1.5~2.0mm이며, 백색 내지 회백색이고 뒤쪽이 서양배 모양으로 넓어져 넓은 타원형 또는 원형의 형태를 갖는다. 백색 밀랍은 쉽게 벗겨져 황색 내지 황갈색이 노출되며 1령충의 깍지는 약 1/2을 차지한다. 복숭아나무, 자두나무, 매실나무, 살구나무 등의 과수류와 벚나무, 광나무, 라일락 등의 수목에 서식하며, 1년에 3세대 발생한다. 성충으로 월동하고, 살구속의 과수에 문제해충으로 줄기와 잔가지에 대발생하여 가끔 피해가 심각하게 나타난다. 국내에는 북부와 중부, 국외에는 일본, 중국, 대만, 북미 등에 분포한다. 학명 Pseudaulacaspis prunicola(Maskell) 일명 Ume-Shiro-Kaigaramushi 목명/과명 노린재목 / 분포 한국, 일본, 뉴질..

뽕나무깍지벌레 [내부링크]

뽕나무깍지벌레 암수 깍지는 모양이 완전히 다르며, 암컷 깍지는 원형에 가깝고, 가해 부위에 따라 모양이 여러 가지다. 색깔은 주로 백색이지만, 시간이 지나면 회백색이 된다. 1령충 탈피각은 성충 깍지의 가운데 근처에 있으며, 황색에서 황갈색이다. 사과나무, 복숭아나무, 자두나무, 뽕나무, 초피나무 등의 수십 종의 수목에 서식하며, 1년에 2~3회 발생한다. 4~5월에 산란을 하고 성충으로 월동한다. 기주식물 범위가 넓어 여러 종류의 농작물에 피해를 심하게 일으키며, 대발생하면 가지를 죽게 한다. 국내에는 중부와 남부, 제주도, 국외에는 일본, 중국, 대만, 홍콩, 북미, 유럽 등 세계적으로 분포한다 학명 Pseudaulacaspis pentagona (Targioni-Tozzetti, 1886) 생물학적..

수족구병(손발입병) [내부링크]

수족구병(손발입병) 개요 [엔테로바이러스(Enterovirus) 감염에 의한 질환] 1. 신고범위 : 환자, 의사환자 2. 신고를 위한 진단기준 • 환자 : 수족구병에 부합되는 임상증상을 나타내면서 진단을 위한 검사기준에 따라 감염병병원체 감염이 확인된 사람 • 의사환자 수족구병 : 임상증상을 감안하여 수족구병이 의심되나 진단을 위한 검사기준에 부합하는 검사결과가 없는 사람 합병증을 동반한 수족구병 : 수족구병으로 시작된 신경학적 합병증(뇌막염, 뇌염, 신경원성 폐부종, 폐출혈, 심근염, 심장막염, 폴리오양 마비, 쇼크, 및 급속한 사망 등) 소견을 보인 사람 3. 진단을 위한 검사기준 : 검체(대변, 직장도말, 뇌척수액, 혈액, 구인두도말, 비인두도말, 비강세척액 등)에서 특이 유전자 검..

식나무깍지벌레 [내부링크]

식나무깍지벌레 암수 깍지의 모양은 완전히 다르지만 2.0~2.5mm 크기의 주로 접은 부채 모양의 형태이다. 1, 2령충 탈피각은 황색이거나 황갈색이고, 성충 깍지의 가장자리에 위치한다. 수컷 깍지는 백색이고 길며, 암컷에 비해 훨씬 작다. 감나무, 주목, 개나리, 쥐똥나무, 화살나무, 호랑가시나무, 식나무 등의 관상수와 수목에 서식하며, 1년에 2회 발생한다. 성충으로 월동하고 우리나라에서는 감나무, 참다래나무, 오미자 등에 심하게 발생하는 종이다. 국내에는 중부와 남부, 제주도, 국외에는 일본, 대만, 중국, 북미, 유럽 등 세계적으로 분포한다. 학명 Pseudaulacaspis cockerelli (Cooley) 일명 Aoki-Shiro-Kaigaramushi 목명/과명 노린재목 / 분포 한국, 일..

장미흰깍지벌레 [내부링크]

장미흰깍지벌레 장미와 해당화, 찔레나무, 장딸기 등을 기주로 하여 발생하는 깍지벌레과(Diaspididae)의 곤충이다. 국내에서는 서울과 수원, 제주도에 분포하며, 국외로는 일본과 중국, 태국, 호주, 유럽, 미국 등에서 보고되었다. 암컷 성충을 덮고 있는 왁스물질은 둥글며, 백색이다. 몸은 노란색 또는 주황색을 띤다. 밑판의 주걱판(lobe)은 3쌍을 이루며, 샘가시(gland spine)는 1-1-1의 개수를 보인다. 연 2~3회 발생하며, 성충으로 월동한다. 학명 Lepidosaphes pini (Maskell) 학명 Pine Needle Scale 목명/과명 노린재목 / 분포 한국, 일본, 중국, 대만 형태 암컷 성충의 깍지길이는 2∼4mm이고 깍지모양은 가늘고 길며 회색을 띤 암갈색이다. 몸은..

갈색깍지벌레 [내부링크]

갈색깍지벌레 깍지는 원형이고 암적갈색 내지 자갈색이며 등 쪽은 융기하며 지름은 약 2mm이다. 충제는 황색이다. 밑판의 주걱판은 길이와 너비가 같고 그 바깥쪽 가장자리에 도끼자국이 있으며 안쪽에도 작은 도끼자국이 있다. 중앙 주걱판은 서로 그 너비보다 약간 좁은 간격을 두고 떨어져 있다. 항문의 세로 지름은 중앙 주걱판 길이와 같거나 약간 길고 주걱판 밑부분에서 1.5~2.5 거리에 위치한다. 학명 Chrysomphalus bifasciculatus 분포 남부, 제주도, 거제도,일본, 대만, 하와이, 북미 자주 발생하는 나무 후박나무, 굴거리나무, 사철나무, 동백나무, 호랑가지나무, 팔손이 감탕나무 피해 증상 성충과 약충이 잎 양면에 기생하며, 수액을 빨아 먹어 잎이 노랗게 변하면서 일찍 떨어진다..

줄솜깍지벌레 [내부링크]

줄솜깍지벌레 암컷 성충의 크기는 5~7mm이다. 더듬이는 7마디이고 제3마디가 가장 길고, 다른 마디는 짧다. 몸은 넓은 타원형이며, 몸의 빛깔은 황백색이며 암갈색 반점이 산재하고 몸 등면의 한가운데 선은 등적색이다. 감나무, 목련, 산수유, 벚나무 단풍나무류에 서식하며, 1년 1세대 발생한다. 4~5월에 성충이 되어 5월 하순부터 산란을 하고, 암컷 성충 1마리의 최대 산란수는 3,000개에 이른다. 알은 6월 중순에 부화하며, 약충으로 월동한다. 감나무에는 드물게 발생하지만 목련에서는 가끔 심하게 발생하는 종이다. 국내에는 중부와 남부, 국외에는 일본, 중국에 분포한다. 학명 Takahashia japonica (Cockerell) 학명 String Cottony Scale 목명/과명 노린재목 / 분..

말채나무공깍지벌레 [내부링크]

말채나무공깍지벌레 암컷 성충의 몸은 주로 둥글거나 넓은 타원형으로 약간 볼록하고, 기주식물에 따라 다양한 형태를 보인다. 색깔은 황갈색에서 암갈색이며, 더듬이는 보통 7마디이다. 감나무, 대추나무, 포도, 모과나무 등의 과수류와 콩, 들깨, 해바라기 등의 전작물, 느티나무, 벚나무, 목련, 단풍나무류 등 여러 종류의 수목에 서식한다. 1년에 1세대 발생하며, 5월 중순이나 하순부터 산란을 하고 3령 약충으로 월동한다. 잡식성으로 기주식물의 가지를 주로 가해하는 종이다. 국내에는 중부, 국외에는 일본, 중국, 북미, 유럽 등 세계적으로 분포한다. 학명 Lecanium corni (Bouche) 학명 European Fruit Lecanium 목명/과명 노린재목 / 분포 한국, 일본, 중국, 러시아, 유럽,..

쥐똥밀깍지벌레 [내부링크]

쥐똥밀깍지벌레 가로수로 심은 쥐똥나무 등에서 쉽게 발견된다. 성충은 여름부터 이듬해 봄까지 활동한다. 1년에 1회 발생하며 교미한 암컷으로 월동한 후에 4월부터 산란하여 6월에 애벌레가 태어나면 쥐똥나무의 가지를 뒤덮는다. 광나무에도 발생한다. 암컷의 몸은 넓은 타원형이며 볼록 튀어나와 반구형으로 10mm에 이른다. 수컷은 백색 밀랍을 분비하여 덮고 있다. 한반도 중남부에 서식하며, 세계적으로는 일본, 중국, 동남아시아, 유럽 등지에 분포한다. 학명 Ericerus pela (Chavannes) 학명 White Wax Scale 목명/과명 노린재목 / 분포 한국, 일본, 중국, 유럽 형태 암컷 성충의 깍지길이는 1mm 정도이고 넓은 타원형 또는 원형으로 황갈색이며 광택이 있다. 등면은 약간 융기되어 있으..

루비깍지벌레 [내부링크]

루비깍지벌레 암컷 성충의 몸은 볼록하고, 두꺼운 부정형의 암적색 왁스 분비물에 덮여 있다. 가장자리는 물결 모양으로 약간 돌출해 있고, 백색의 가는 띠가 있다. 더듬이는 6마디이며, 제3마디가 특히 길고 나머지 마디는 짧고 길이가 거의 같다. 1년에 1세대 발생한다. 6월에 산란을 하고 성충으로 월동한다. 1령 약충은 암컷 성충의 배 밑에 잠시 머물렀다가 기어 나와 분산한다. 최근에는 발생이 심하지 않고 남부지방과 제주도의 일부 지역에서 약간 발생하는 종이다. 국내에는 남부와 제주도, 국외에는 일본, 중국, 홍콩, 대만, 유럽, 북미에 분포한다 학명 Ceroplastes rubens Maskell 학명 Ceroplastes rubens Maskell 학명 Red Wax Scale 목명/과명 노린재목 / ..

뿔밀깍지벌레 [내부링크]

뿔밀깍지벌레 암컷 성충은 등면이 볼록하고, 두꺼운 백색의 끈적끈적한 왁스로 덮여 있으며, 가끔 왁스가 약간 붉은빛을 띤다. 왁스의 가장자리는 약간 말려 있고 배에는 볼록한 돌기가 올라와 있다. 1령 약충은 몸 양쪽으로 4쌍의 왁스 돌기가 있다. 2령 약충은 성충보다 배의 돌기가 더 뚜렷하여 위로 볼록하게 뻗어 있다. 몸의 길이는 3.5~7.0mm이다. 더듬이는 작고 6마디이며, 제3마디가 가장 길다. 3쌍의 다리는 모양이 같고 비교적 작다. 숨구멍쐐기에는 포탄형의 큰 가시털이 3개 있고, 작은 가시털이 많이 있다. 복부 후반부로 커다란 경화된 돌기가 뻗어 있다. 전 세계적으로 분포하는 종으로 국내에서도 전 지역에 걸쳐 발견되는 종이다. 학명 Ceroplastes ceriferus (Fabricius) 학..

거북밀깍지벌레 [내부링크]

거북밀깍지벌레 암컷 성충의 몸은 넓은 타원형으로 볼록하며, 육각형 모양의 두꺼운 백색 또는 회색의 왁스 분비물에 덮여 있다. 몸 가장자리의 분비물은 뚜렷한 가장자리 선을 이루며, 위쪽으로 약간 말려 있다. 산란이 시작되면서 암컷 성충의 몸은 위쪽으로 밀려 올라가 왁스 분비물 속에는 알만 가득 차게 된다. 약충은 몸 양옆으로 뚜렷한 돌기모양의 왁스가 4~5쌍씩 분비되어 있다. 더듬이는 주로 6마디이지만, 7마디인 것도 있다. 3쌍의 다리는 잘 발달되었고 앞다리는 약간 작고, 발목마디가 종아리마디보다 훨씬 작다. 몸 가장자리에는 짧고 굽은 옆센털이 있다. 숨구멍쐐기는 뚜렷하게 함입되어 있고, 3개의 큰 가시털과 다수의 작은 원뿔형의 가시털이 몰려 있다. 아시아와 유럽을 아우르는 구북구 지역에 널리 분포하는 ..

소나무가루깍지벌레 [내부링크]

소나무가루깍지벌레 암컷 성충은 타원형으로 연한 적색이고 백색의 밀랍 가루로 덮여있다. 더듬이는 8마디이며, 배가운데구멍(circulus)는 존재하지 않는다. 가시털융기부(cerarius)는 6~7쌍 존재하며, 센털들은 원뿔형이고 다소 얇다. 제18 가시털융기부에는 두 개의 센털과 3눈샘구멍(trilocular pore)이 존재한다. 좁쌀눈샘구멍(multilocular pore)은 뒤쪽의 5개 배마디의 중앙에 분포한다. 분비관(tubular duct)는 두 가지 크기가 존재한다. 국내에서는 순천에서 보고되었으며, 국외로는 일본, 중국, 대만, 러시아, 미국, 프랑스 등에 분포한다. 학명 Crisicoccus pini (Kuwana) 학명 Pine Mealybug 목명/과명 노린재목 / 분포 한국, 일본, ..

노인성난청 [내부링크]

노인성난청 개요 노인성난청은 나이가 들어 생기는 달팽이관 신경세포의 퇴행성 변화에 의해 청력이 떨어지는 것입니다. 노화 현상의 일부로 발생 연령과 진행 정도는 유전적 요인과 주위 환경에 의해 결정됩니다. 연령에 따른 청력 감소는 30대 정도에 시작하여 계속 진행되며, 약물치료 등으로 호전되지 않습니다. 노인성 난청은 65세 이상에서 양쪽 귀에 비슷한 정도로 감각신경성 난청이 있으면서 귀의 질환이나 소음 노출 등 청력이 약화될 수 있는 병력이 없는 경우에 진단합니다. 그러나 실제로 난청을 보이는 환자에서 이독성 약물이나 생활 속 소음 노출, 전신질환을 포함한 귀의 질환이나 유전적 요인 등을 명확히 확인할 수는 없다는 역설적인 면이 있습니다. 노인성 난청은 사회생활에 방해가 되며 가족 간의 교류에도 지장을 ..

포도막염 [내부링크]

포도막염 개요 안구는 몇 겹의 막으로 둘러싸인 구조를 지닙니다. 가장 바깥쪽 막은 각막(검은자위)과 공막(흰자위)이며, 가장 안쪽은 망막입니다. 포도막은 중간에 있는 막으로 포도 껍질처럼 생겼다 하여 그런 이름이 붙었습니다. 포도막은 앞에서부터 홍채, 섬모체, 맥락막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홍채는 안구로 들어오는 빛의 양을 조절하며, 섬모체는, 수정체 모양을 변형시키고 방수(房水, 각막과 수정체 사이의 앞방을 채우고 있는 액체)를 생산합니다. 맥락막은 광선을 차단하고 가장 안쪽 막인 망막에 영양분을 공급합니다. 따라서 포도막에는 혈관이 많이 분포합니다. 포도막염은 포도막에 발생한 염증을 의미합니다. 하지만 포도막뿐만 아니라 인접 조직인 망막, 유리체, 공막, 각막의 염증도 동반되고, 2차적으로 염증이 파..

망막박리 [내부링크]

망막박리 개요 망막박리는 시세포가 망막색소상피로부터 분리된 것을 말합니다. 두 층 사이에는 잠재적인 공간이 있어 서로 떨어질 수 있습니다. 망막의 박리가 일어나면 시야의 결손이 나타나고, 박리가 진행되면서 시야결손 부위도 점차 커지게 되어 마치 앞에 흔들리는 장막이 쳐진 것처럼 느끼게 되며 오래 방치할 경우 실명할 수 있습니다. 개요-종류 망막박리는 발생기전에 따라 열공 망막박리, 견인 망막박리, 삼출 망막박리의 세 가지로 나눌 수 있습니다. 열공망막박리는 망막이 파열된 부분을 통해 유리체가 망막 밑으로 들어가 발생하는 망막박리입니다. 그 과정에서 망막이 당겨지면서 망막열공(찢어져 발생한 구멍)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후 액화된 유리체가 망막열공을 통해 망막하공간으로 이동하면 열공망막박리가 발생하게 됩..

알코올을 어떻게 할 것인가? [내부링크]

알코올을 어떻게 할 것인가? [음주가 건강에 미치는 영향] “술은 1군 발암물질이고, 신체적·정신적으로 다양한 해를 끼치므로, 건강과 암 예방을 위해 하루 한두 잔의 소량 음주도 피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우리나라에는 아주 오래전부터 술은 혈액순환에 좋으며, 적당한 음주는 건강에 좋다는 잘못된 생각이 널리 퍼져 있습니다. 심지어는 건강에 좋은 음주량을 의미하는 ‘적정음주량’이라는 개념도 있었습니다. 또한 ‘포도주는 신의 물방울’이라는 멋진 표현을 쓰면서 포도주를 맛보는 고급 사교모임들도 있습니다. TV나 신문에는 가끔 막걸리나 포도주에 좋은 항산화물이 들어 있다는 주류회사의 주장들도 보도되곤 했습니다. 과연 진실은 무엇일까요? 우선 약간의 음주가 건강에 좋다는 개념부터 들여다보겠습니다. 결론부터 말하자..

주머니깍지벌레 [내부링크]

주머니깍지벌레 암컷 성충의 충체를 둘러싸고 있는 백색 면모의 주머니는 타원형이며 양 끝이 약간 뾰족하다. 몸도 타원형에 가깝고 몸 끝으로 약간 가늘어진다. 빛깔은 암자색이고 등면에 가시털이 줄짓는다. 주머니의 길이는 약 3mm이다. 더듬이는 7마디이고 제3마디가 가장 길고 제4마디가 다음으로 길며 제4, 5마디가 가장 짧다. 각 마디에 몇 개씩의 긴 센털이 나 있고 입틀은 작으며 구침은 짧다. 3쌍의 다리는 거의 같은 모양이고 종아리마디의 길이는 발목마디와 거의 같으며 발톱은 크다. 배 끝은 밑조각이 발달하여 갈라진 것 같고 밑조각 끝에는 1개의 긴 센털과 몇 개의 짧은 센털이 있다. 항문고리에는 8개의 센털이 있다. 국외의 경우 일본, 중국, 인도, 영국 등지에 분포하며, 국내의 경우 중남부지방과 제주..

솔껍질깍지벌레 [내부링크]

솔껍질깍지벌레 학명 Matsucoccus thunbergianae Miller et Park 학명 Black Pine Bast Scale 목명/과명 노린재목 / 분포 한국 형태 암컷 성충의 몸길이는 2∼5mm이고 날개가 없으며 장타원형으로 황갈색을 띤다. 더듬이는 몸과 같은 색으로 육질이며 9절로 되어 있다. 다리는 발달되어 있으며 구기는 없다. 수컷 성충은 몸길이가 1.5∼2.0mm로 한 쌍의 날개가 있어 작은 파리와 비슷한 형태이며 긴 흰꼬리를 달고 있다. 부화약충은 0.35mm정도로 타원형이며 연한 황갈색으로 더듬이는 6절로 되어 있다. 후약충은 암컷이 0.5∼3.0mm, 수컷은 0.5∼1.0mm로 둥근형이며 표피는 경화되어 있고 다갈색이며 다리 및 더듬이는 완전히 퇴화되었다. 후약충의 구침의 길이..

이세리아깍지벌레 [내부링크]

이세리아깍지벌레 학명 Icerya purchasi Maskell 학명 Cottony-Cushion Scale 목명/과명 노린재목 / 분포 한국, 일본, 중국, 대만, 미국, 아프리카, 호주 형태 암컷 성충의 깍지길이는 5mm 내외이며 타원형으로 등황색을 띤다. 등면에 융기선과 다수의 털이 있다. 배면은 엷은 주황색이며 더듬이와 다리는 검은색이다. 더듬이는 11절로 되어 있으며 다리에 긴 갈색 센털이 있다. 입틀은 작고 달걀 모양의 항문은 등면 끝부분에 위치하며 긴 갈색의 센털로 둘러싸여 있다. 알주머니의 길이는 12∼13mm이고 반원형의 백색이다. 알은 타원형으로 등황색, 약충은 타원형으로 암홍색이다. 피해 가해수종의 새가지에 모여 살면서 흡즙하므로 수세가 약화되며 그을음병을 유발시킨다. 생태 연 2∼3..

귤가루이 [내부링크]

귤가루이 대상작물 감귤 목/과명 매미목/가루이과 속명 Dialeurodes 생태정보 상온에서의 알기간은 약 2~3주 정도이고, 유충기간은 19~32일 정도이며, 성충은 5월 상중순경부터 발생하기 시작하여 피해를 주는데, 봄에는 6월 상순, 여름에는 8월 상순에 밀도가 가장 높다. 어린 나무나 질소비료를 과다하게 시용하여 신초가 불균일하게 자라는 과원이나 온도가 높고 통풍이 좋지 않은 과원에 발생이 많으며, 비가 적은 해에 발생이 많다. 피해정보 잎의 뒷면에 기생하면서 즙액을 흡즙하는데, 주로 신엽을 가해하는데, 분비물로 인해 그을음병이 심하게 발생하여 과실의 상품가치를 떨어뜨릴 뿐만 아니라 동화작용을 저하시켜서 수세를 약화시킨다. 방제방법 방제가 소홀한 과원이나 발생조건에 적합한 과원 등에서는 많이 발생..

소나무솜벌레 [내부링크]

소나무솜벌레 학명 Pineus orientalis (Dreyfus) 학명 Oriental Woolly Aphid 목명/과명 노린재목 / 분포 한국, 일본 형태 성충의 몸길이는 약 1.3mm이고 체색은 암갈색 내지 흑갈색이며 백색분으로 덮여 있다. 머리와 앞가슴 등쪽의 피부는 아주 통통하다. 가슴의 등면, 측면과 배의 측면에 밀판이 잘 발달되어 있고 약충은 백색의 밀랍으로 쌓여 있다. 겹눈은 3개이고 더듬이는 컵 모양으로 퇴화되어 있다. 피해 가해수종의 가지나 줄기의 껍질틈에 정착하여 솜 같은 백색 밀랍을 분비하므로 기생된 부위가 하얗게 보인다. 피해를 받으면 새눈의 생장이 저해되며 수세가 쇠약해지고 심하면 나무가 고사된다. 정원수와 분재에 자주 발생한다. 생태 연 수회 발생하며 가지, 줄기의 수피 틈에서..

물푸레면충 [내부링크]

물푸레면충 물푸레나무를 비롯한 다양한 식물을 1차 기주로 하고, 전나무 등 침엽수 식물을 2차 기주로 하여 살아가는 면충아과에 속하는 곤충이다. 국내에서는 전 지역에 걸쳐 널리 분포하며, 국외의 경우 중국과 일본, 인도, 극동 러시아 등지에서 보고되었다. 몸의 크기가 큰 편이며, 적갈색이나 분비된 밀랍으로 회색빛을 띠는 체색을 갖는다. 완전생활환에 기주 이동성으로 이른 봄에 그 간모와 새끼들이 물푸레나무와 버드나무, 느릅나무, 피나무 등 다양한 나무에서 발견된다. 군집을 형성한 후에는 기주식물의 잎이 뒤틀려 말려지며, 대량의 밀랍을 분비하기 때문에 유명한 해충으로 알려져 있다 형태 간모의 체색은 거무스름한 황갈색이다. 복부에 여러 개의 띠무늬와 흰 밀랍이 있다. 유시형의 체색은 갈색에서 적녹색이고 흰 밀..

전나무잎말이진딧물 [내부링크]

전나무잎말이진딧물 유시형만 알려져 있다. 유시형 태생암컷은 복부가 연한 녹색이고 등에 뚜렷한 검은색 줄무늬가 있다. 뿔관은 약간 돌출한 정도로 작다. 끝편은 짧지만 기부는 넓다. 몸길이는 약 2mm 정도로 작은 편이다. 무시형의 경우 길쭉하고, 둥근 형태이며 가슴과 복부의 구분이 뚜렷하지 않고, 겹눈이 매우 작게 발달해있다. 더듬이 부분은 5마디로 짧고 복부 가장자리를 따라 잘 발달된 밀납샘이 있다. 유시형의 경우 머리와 가슴 부분이 짙은 색을 띠며 복부 부분에 같은 색의 가로줄 무늬가 있다. 유시형과 무시형 모두 다량의 밀랍을 분비하여 몸 전체에 뒤집어쓰고 있으며, 체색은 녹색을 띠나 밀랍으로 인해 백색으로 보인다 국내에서는 전 지역에 걸쳐 매우 흔하게 발견되는 종이며, 국외의 경우 인도, 네팔, 극동..

모감주진사진딧물 [내부링크]

모감주진사진딧물 모감주진사진딧물은 모감주나무를 기주로 하는 진딧물로, 주로 모감주나무의 잎과 가지에서 살며 흡즙 활동을 통해 식물에 피해를 주는 해충입니다. 이 진딧물의 주요 특징과 방제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모감주진사진딧물의 특징 기주식물: 주로 모감주나무를 기주로 합니다. 외형적 특징: 일반적인 진딧물과 유사한 작고 연체동물로, 연한 녹색 또는 황색을 띠는 몸체를 가집니다. 피해 양상: 식물의 수액을 빨아먹어 식물의 생장을 저해하고, 심한 경우에는 잎이 변색되거나 시들 수 있습니다. 또한, 바이러스성 질병을 전파하는 매개체로 작용할 수도 있습니다. 형태 체색은 흑갈색이다. 다리의 종아리마디는 검은색이다. 복부 등판에 흔히 쌍으로 어두운 반점들이 다양한 모양으로 있다. 하면을 하는 월하형 약충은 복..

진사진딧물 [내부링크]

진사진딧물 체색은 적갈색이고 머리는 검은색이다. 더듬이는 몸길이보다 짧고 3-4번 더듬이마디의 기부는 밝지만 다른 부분은 검다. 복부에 딱딱한 검은색 피부판이 있다. 뿔관은 갈색의 나무 그루터기 모양이다. 뒷다리의 종아리마디는 검다. 몸에는 긴 털이 많다. 간모는 황갈색으로 복부 중앙에 1개의 반점이 있으며, 무시태생암컷에 있는 검은색 띠가 없다. 월하형 약충은 거의 반투명으로, 납작하고 몸 가장자리에 잎 모양의 털이 많다. [1] 무시충과 유시충 모두 흑갈색에 광택이 도는 체색을 가지며, 경우에 따라 붉은빛을 띠기도 한다. 종아리마디는 전체적으로 짙은 흑갈색이다. 몸길이는 2.3~3.5mm 정도로 다소 큰 편이며, 뿔관은 사다리꼴이고 그물 무늬가 발달되어 있으며, 이 그물 무늬는 복부 부분에도 나타난다..

대륙털진딧물 [내부링크]

대륙털진딧물 체색은 흑갈색으로 광택이 있다. 더듬이는 말단부위가 흑갈색이다. 다리는 연한 갈색이지만, 간혹 넓적다리마디와 종아리마디의 기부가 흑갈색이다. 뿔관은 흑갈색이고 끝편은 연갈색이다. 머리에 세로줄이 없다. 국내에 미보고된 유사종인 C. salijaponicus는 흑갈색으로 머리 뒤쪽 중앙에 그물 무늬가 있어 구별된다. 무시충의 몸은 등 쪽은 대부분 검은색을 띠며, 배 쪽은 녹색을 띤다. 몸은 단단한 키틴질로 이루어졌고 전체적으로 털이 뒤덮고 있다. 등 쪽이 둥그스름한 공 모양을 하고 있다. 눈은 흑갈색을 띤다. 더듬이는 끝부분이 거무스름한 편이다. 더듬이는 몸길이보다 훨씬 짧다. 다리는 약간 굵은 편이다. 몸길이는 1.7mm 정도이다. 유시충은 머리와 가슴이 검은빛을 띤다. 배 부분의 등 쪽에는..

느티나무알락진딧물 [내부링크]

느티나무알락진딧물 유시충은 더듬이와 몸의 빛깔이 연한 황색 또는 엷은 녹색 빛을 띠는 황색으로 광택이 있다. 가슴 부분은 밝은 황색으로 좌우에 갈색 빛의 세로 줄무늬가 있다. 눈은 연한 황색 또는 녹색 빛을 띤다. 몸체는 가늘고 긴 편으로 센털이 없으며 더듬이 또한 가늘고 길다. 구기는 가운데 다리의 밑에 마디까지 닿는 길이이다. 1, 2번째 배마디 등판에 2개의 조그만 돌기를 가진다. 다리는 긴 편이고, 짧은 센털이 나 있다. 몸길이는 1.61mm이다. 국내에서는 전 지역에 걸쳐 널리 분포한다. 동남아시아 원산으로 추정되는 종으로 최근에 영국과 미국으로 유입되어 가로수 등에 피해를 주는 유입해충으로 알려져 있다. 학명 Tinocallis zelkowae (Takahashi) 학명 Zelkova Aphi..

팽나무알락진딧물 [내부링크]

팽나무알락진딧물 체색은 암황색이나 암황록색이며 흰 솜털 모양의 밀랍이 있다. 뿔관은 매우 짧고 구멍 모양이다. 끝편은 길쭉한 손가락 모양이다. 유시형의 시맥은 크게 확장되었고, 날개 무늬와 주맥의 말단부에 검은색 무늬가 있다. 몸 크기는 2.0~2.6mm 정도로 중간 정도의 크기이다. 유시충의 체색은 주로 황색이고, 더듬이는 일부가 검은빛을 띠지만 대체로 연한 황색이다. 다리는 연한 빛깔이나 넓적다리마디의 끝부분과 발목마디가 거무스름하다. 날개는 특유의 검은 무늬를 지니며 복부 부분은 황색이나 녹색을 띤다. 무시충은 녹색빛이 나는 거무스름한 황갈색의 몸체에 거무스름한 밀랍샘을 가지고 있다. 머리는 황색, 눈은 흑갈색이며, 장방형의 몸에는 센털이 나 있고 유시충과 무시충 모두 청색 빛이 나는 흰색의 거품과..

배롱나무알락진딧물 [내부링크]

배롱나무알락진딧물 유시충은 몸이 황색 또는 어두운 갈색이고 더듬이는 연한 색이지만 끝부분이 흑갈색이다. 몸길이는 약 1.02~1.8mm 정도이다. 머리 부분에 엷은 노란색과 갈색의 무늬가 특징적이다. 안테나는 6마디로 되어 있다 아시아 원산으로 북미와 유럽 등지에 유입되어 문제가 되고 있는 침입 해충이다. 이들은 부처꽃과에 속하는 배롱나무에 기생하는 단식성 완전생활환의 알락진딧물이다. 배롱나무 외에도 수리남체리, 헤나, 석류에서 발생한다는 기록이 있다. 최근 가로수 등 조경 식수로 주로 쓰이는 배롱나무에 대발생하여 문제가 되고 있다. 이들이 가해한 잎은 누렇게 변색되며 쭈글쭈글해지고 조기에 낙엽이 되어 떨어진다. 또한 이차적으로는 이들이 배설한 감로가 잎의 표면에 엉겨 붙으면서 그을음병과 곰팡이병을 유발..

복숭아혹진딧물 [내부링크]

복숭아혹진딧물 체색은 연한 황색, 녹색, 적색, 갈색 등으로 변이가 크다. 밀랍은 없다. 더듬이는 몸길이와 거의 같다. 이마혹이 가깝게 있다. 뿔관은 밝지만 말단부는 어둡고 약간 부풀어 있다. 유시형은 복부 중앙에 검은색의 큰 피부딱지가 있다. 몸길이 1.2~2.1mm 정도의 중소형종으로 녹백색, 옅은 황록색, 녹회색, 녹색, 분홍색, 붉은색 또는 검은색 등 다양한 체색을 보인다. 비교적 단색으로 이루어져 있고 광택은 없다. 더듬이에는 혹이 잘 발달해 있으며 이마 부위에 몰려 있다. 유시충은 머리가 검고 눈은 어두운 붉은색 또는 검은색에 가깝다. 배는 황갈색, 녹색, 옅은 노란색이거나 붉은빛을 띠는 경우도 있다. 더듬이는 몸보다 조금 더 길다. 유시충의 약충은 특히 가을에 종종 분홍색이나 붉은색을 띤다...

붉은테두리진딧물 [내부링크]

붉은테두리진딧물 체색은 적갈색에서 황록색이고 배 뒤쪽은 붉은색이다. 복부마디에는 흰 밀랍가루가 뭉쳐서 띠 모양을 만든다. 유사한 복숭아가루진딧물은 체색이 청록색이고, 밀랍이 더 적어서 구별된다. |몸은 어두운 녹색 또는 올리브색으로 배의 뒤쪽 가장자리에 불그스름한 부분이 있다. 몸길이는 1.2~2.2mm이다. 무시충의 머리는 짙고 어두운 회색 또는 검은색에 가깝고 눈은 짙은 붉은색이다. 더듬이 역시 거무스름하며 입가는 녹색 빛을 띠지만 끝부분은 조금 더 어둡다. 허벅다리마디는 전체적으로 어두운 회색이지만 아랫부분은 갈색이고, 종아리마디부터는 어두운 갈색이고 끝으로 갈수록 좀 더 짙은 색을 나타낸다. 전 세계적으로 분포하며 국내에서도 전 지역에 걸쳐 흔하게 관찰되는 진딧물이다. 봄부터 가을 동안은 여러 화..

복숭아가루진딧물 [내부링크]

복숭아가루진딧물 체색은 황록색에서 녹색으로 엷은 흰 밀랍이 있다. 등 중앙에는 밀랍이 적어 세로줄이 보인다. 잎을 말지는 않는다. 무시충은 긴 타원형의 녹색 몸통을 갖고 있다. 전체적으로 흰 밀랍가루를 덮어쓰고 있다. 머리도 몸통과 마찬가지로 녹색 빛을 띤다. 체색의 변이가 있어서 붉은색의 체색을 갖는 개체가 발견되기도 한다. 몸통은 1.7mm 정도이다. 유시충은 몸에 뚜렷하고 긴 털이 존재하지 않으며 녹황색의 몸통을 갖고 있다. 가슴과 다리 부분은 흑색을 띠지만 넓적다리마디의 밑부분과 종아리마디의 중앙부는 연한 녹색 빛을 띤다. 몸길이는 1.5mm 정도이다. 한국과 일본, 대만 등 아시아 지역과 호주, 유럽, 북미 지역 등 전 세계적으로 분포하는 진딧물이다. 국내에서도 북부, 중부, 남부 지역 및 제주..

조팝나무진딧물 [내부링크]

조팝나무진딧물 체색은 녹색에서 황록색이다. 뿔관과 끝편은 검은색이고 머리는 붉은빛이 약간 돈다. 무시충은 선명한 연두색 또는 밝은 녹색의 몸통을 갖고 있으며 기주나 발생 시기에 따라서 밝은 노란색을 띠는 집단이 발견되기도 한다. 몸은 전체적으로 투명한 편이다. 성충의 몸길이는 약 1.6~2.2mm 정도이다. 더듬이와 다리는 복부보다 상대적으로 진한 색을 띤다. 유시충은 머리와 가슴이 검은색 또는 짙은 갈색을 띤다. 또한 복부에 어두운색의 가로줄 무늬가 존재한다. 전 세계적으로 광역 분포하는 진딧물로 국내에서는 북부, 중부, 남부 전역에 걸쳐 발생한다. 조팝나무, 수국들을 일차기주로 월동하며 늦은 봄에 다양한 이차기주로의 기주이동성을 보인다. 목화진딧물, 아카시아진딧물과 같은 광식성 진딧물로 알려져 있다...

목화진딧물 [내부링크]

목화진딧물 체색은 진녹색에서 검은색이나 황색으로 기주식물에 따라 변이가 크다. 뿔관은 검은색이다. 끝편은 옅은 색으로 4-7개의 센털이 있다. 더듬이는 몸길이보다 짧다. 유시형이 될 약충은 흰 밀랍이 있다. 체색과 크기는 변이가 심해서 최종 종 판별은 프레파라트 표본이 가장 확실하다. 무시충의 경우 주로 짙은 녹색을 띠는 것이 일반적이나, 기주식물이나 발생 시기에 따라서 황록색, 암녹색, 옅은 노란색, 검푸른 녹색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체색의 변이를 보이는 것이 특징이다. 기주에 따라서 밀랍가루를 덮어쓴 개체들이 발견되기도 한다. 몸길이 역시 0.9~1.8mm로 다양하고 기주에 따라서 형태적인 변이가 매우 크다. 무시충의 약충은 얇게 밀랍가루를 덮어쓰고 있으며, 유시충의 약충은 복부에 점선 가로무늬가 보이..

쥐똥나무진딧물 [내부링크]

쥐똥나무진딧물 쥐똥나무의 새로 난 가지에 주로 서식하는 단식성의 완전생활환 진딧물이다. 같은 속의 진딧물에 비해 몸통이 크고 넓적하다. 몸통은 흑갈색이며 다리는 흑색을 띤다. 전체적으로 흰 밀랍가루를 덮고 있다 몸 전체가 흰 밀랍으로 덮여 있다. 체색은 무시형은 적갈색, 유시형은 흑갈색이지만 밀랍 때문에 회색으로 보인다. 뿔관은 끝편 길이보다 짧거나 같고, 끝 부위에 테두리가 없다. 전체적으로 흰 밀랍가루로 덮여 있는 것이 특징이다. 같은 속에 속하는 진딧물보다 몸통이 다소 넓적하고 크다. 무시충의 경우 적갈색 몸통을 갖고 있으며, 더듬이를 포함한 몸 전체에 긴 털이 존재한다. 다리는 흑색을 띤다. 유시충의 경우 흑갈색 몸통을 갖고 있지만, 밀랍가루로 덮여 있어 회흑색을 띤다. 학명 Aphis crino..

호리왕진딧물 [내부링크]

호리왕진딧물 리기다소나무를 기주로 하여 살아가는 진딧물이다. 몸길이는 1.8~2.1mm이며, 길쭉한 모양으로 일반적으로 녹색이나 청록색을 띤다. 단식성에 완전생활환의 진딧물로, 주로 잎 부분에서 섭식하며 군집을 이룬다. 다른 진딧물에 비해 대단히 활발한 움직임을 보이는 것이 특징이다. 국내 전 지역에 분포하며, 전 세계적으로 분포한다. 산림해충으로 흡즙에 의해 소나무 잎에 황화현상을 일으키고 감로배설로 소나무 밑의 초본류에 그을음병과 곰팡이병을 일으키며 이차적인 피해를 입힌다. 학명 Eulachnus thunbergii 자주 발생하는 나무 : 소나무류 피해 증상 3~11월경에 소나무류의 침엽에 기생하는 진딧물로 성충, 약충이 모여 살면서 흡즙가해한다. 잎의 생장이 저해되며 수세를 약화시킨다. 2..

소나무왕진딧물 [내부링크]

소나무왕진딧물 소형 노린재류로 몸길이는 2.39-2.74mm이며 체색은 갈색이다. 복부등판에 검정색으로 경화된 피부판이 2줄로 나열되어 있는 것이 특징이다. 소나무의 잔가지에 기생하며, 기주이동이 없고 완전한 생활환을 가진다. 우리나라 경기도 수원시, 전라남도 및 전라북도에 분포하며 세계적으로 대만, 일본 및 중국에 분포한다 학명 Cinara pinidensiflorae(Essig et Kuwana) 학명 Korean red pine aphid 목명/과명 노린재목 / 분포 한국, 일본, 중국, 대만 형태 유시 암컷 성충의 몸길이는 4mm이고 체색은 검은색 또는 흑갈색이며 센털이 덮여 있다. 더듬이의 제 3∼6절의 끝이 검으며 입틀은 매우 길어 배의 중앙에 닿는다. 배는 적갈색이며 검은 무늬가 있다. 무시..

돈나무이 [내부링크]

돈나무이 돈나무과에 속하는 돈나무를 기주로 하여 살아가는 나무이과의 곤충이다. 국내에서 남부와 해안지역에 걸쳐 분포하며, 국외의 경우 미국, 일본, 중국, 대만에 분포한다. 몸길이는 1.6~2.6mm 정도이며, 일반적으로 황록색이다. 연 2회 발생하며, 주로 5월에 출현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고 성충으로 월동한다. 주로 어린 잎과 줄기에서 섭식하며 군집을 이룬다. 수목해충으로 흡즙에 의해 기주식물을 가해하며 감로 및 왁스 분비로 기주식물에 그을음병과 곰팡이병을 일으키며 이차적인 피해를 입힌다. 학명 Psylla tobirae Miytake 학명 Tobira Sucker (Tobira Psylla) 목명/과명 노린재목 / 큰날개매미충과 분포 한국, 일본 형태 암컷 성충의 몸길이는 2.5∼3.0mm이며 몸은 ..

뽕나무이 [내부링크]

뽕나무이 뽕나무를 기주로 하여 살아가는 나무이과의 곤충이다. 몸길이는 2.5~3.5mm 정도이며, 일반적으로 연두색이며 월동형은 황토색이다. 연 1회 발생하며, 주로 2~11월에 출현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고 성충으로 월동한다. 주로 잎과 어린줄기 부분에서 섭식하며 군집을 이룬다. 국내 전 지역에 걸쳐 분포하며, 국외의 경우 일본, 러시아에 분포한다. 수목해충으로 흡즙에 의해 뽕나무를 가해하며 감로 및 왁스 분비로 기주식물에 그을음병과 곰팡이병을 일으키며 이차적인 피해를 입힌다. 학명 Anomoneura mori Schwarz 학명 Mulberry Sucker 목명/과명 노린재목 / 큰날개매미충과 분포 한국, 일본 형태 암컷 성충의 몸길이는 3∼4mm이고 몸은 황갈색 내지 다갈색이다. 더듬이는 길어 머리 ..

회화나무이 [내부링크]

회화나무이 회화나무이의 특징 기주식물: 주로 회화나무를 기주로 합니다. 몸길이와 색상: 몸길이는 약 2.6~2.9mm 정도이며, 일반적으로 황록색을 띠고 있습니다. 월동형은 흑갈색입니다. 생활사: 연 1회 발생하며, 3월부터 10월에 주로 출현합니다. 성충은 겨울을 월동하는 형태로 보낸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섭식 및 행동: 주로 잎과 어린 줄기 부분에서 섭식하며 군집을 이루는 경향이 있습니다. 분포: 한국 전 지역, 일본, 중국, 러시아에 분포합니다. 회화나무이의 피해 흡즙 피해: 회화나무이는 흡즙 활동을 통해 회화나무에 피해를 줍니다. 그을음병과 곰팡이병 유발: 감로 및 왁스 분비로 인해 기주식물에 그을음병과 곰팡이병을 일으키며, 이는 이차적인 피해를 입힐 수 있습니다. 회화나무이의 방제 방법 화학적 ..

자귀나무이 [내부링크]

자귀나무이 학명 Acizzia jamatonica 자주 발생하는 나무 자귀나무 피해 증상 단색성 해충으로, 성충과 약충이 잎에서 집단으로 수액을 흡즙하며, 피해를 받은 잎은 노랗게 변하면서 조기낙엽된다. 분비물과 가해 부위의 수액 유출로 인해 그을음병이 유발된다. 형태 성충은 몸 길이가 2.5-4 mm로 날개는 투명하며, 몸 색깔은 봄과 여름에는 담황색이고 가을에는 담녹색이다. 약충은 몸 길이가 약 2 mm로 몸 색깔은 담황색-담녹색이고, 가늘고 긴 흰색 실 모양의 밀납 물질을 분비한다. 생활사 자세한 생태는 밝혀지지 않고 있다. 성충과 약충이 5-10월 자귀나무 잎을 가해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출처: 공동주택 수목병해충 도감(2022 산림청)

말매미 [내부링크]

말매미 서식지: 플라타너스, 버드나무 등이 자라는 낮은 지대의 벌판에서 주로 서식합니다. 활동 시기: 성충은 6월부터 10월까지 활동합니다. 울음소리: 가로수에서 무리를 지어 울며, 밤에도 불빛이 있으면 합창합니다. 울음소리는 ‘짜르르르···’하고 시끄럽게 우는 특징을 가집니다. 애벌레 단계: 애벌레는 땅속에서 6년간 자라며, 해가 진 후 땅 위로 나와 탈피합니다. 크기: 몸길이는 약 44mm 내외이며, 날개를 포함한 전체 길이는 약 65mm 내외입니다. 몸 색깔: 우리나라 매미류 중 가장 큰 종으로, 몸의 윗면은 광택이 있는 검은색입니다. 새로 나온 개체는 금빛의 가루로 덮여 있습니다. 분포: 한반도 전역과 중국에 분포합니다. 말매미는 그 울음소리로 인해 쉽게 식별할 수 있으며, 여름철을 상징하는 곤충..

주홍날개꽃매미 [내부링크]

주홍날개꽃매미 학명 Lycorma delicatula 자주 발생하는 나무 가죽나무, 벽오동, 쪽동백나무, 때죽나무, 장미, 찔레꽃, 해당화, 산딸기, 마가목, 자작나무, 갈참나무, 가래나무, 호두나무, 목련, 참죽나무 등 피해 증상 성충과 약충이 나무의 즙액을 흡즙하여 수세를 약화시킨다. 피해받은 나무를 고사시키지는 않으나 배설물과 흡즙 부위의 수액 유출로 인해 그을음병을 유발한다. 겨울과 봄에 기온이 높으면 대발생할 우려가 있는 아열대성 해충이다. 병징 및 표징 산란은 알을 평행으로 배열하고 몇 개의 덩어리로 낳으며 한 덩어리의 수는 40~50개 정도로 위에 회색의 분비물을 덮는다. 약충은 납작하며 흑색이고 몸 위에는 작은 흰 반점이 있으며 머리는 뾰족하고 다리는 길다. 4령 이후에는 등이..

미국선녀벌레 [내부링크]

미국선녀벌레 미국선녀벌레는 선녀벌레의 일종으로, 미국에서 원산지로 알려져 있습니다. 하지만, 실제로는 아시아에서 기원한 것으로 추정되며, 세계 각지로 퍼져 나갔습니다. 미국선녀벌레는 성충의 몸길이가 5mm 정도이고, 연한 청록색을 띠고 있습니다. 약충은 흰 밀랍재질로 뒤덮여 있으며, 하얀 솜털같은 왁스물질을 흘리며 튀어다닙니다. 미국선녀벌레는 1년에 한 번만 발생하며, 4월 중순경에 부화한 약충이 잎과 가지로 이동해 나무의 수액을 빨아 먹어 피해를 줍니다. 또한, 배변물이 잎에 떨어져 그을음병을 유발하고, 개미들을 유인하기도 합니다. 방제방법 겨울철에 고사지를 없애주어 부화를 방지합니다. 오신이라는 살충제를 1,000배로 희석하여 분무기로 살포합니다. 오신은 미국선녀벌레뿐만 아니라 깍지벌레, 온실가루이,..

선녀벌레 [내부링크]

선녀벌레 선녀벌레는 노린재목 매미아목 선녀벌레과의 곤충으로, 성충의 몸길이가 5mm 정도이고, 연한 청록색을 띠고 있습니다. 약충은 흰 밀랍재질로 뒤덮여 있으며, 하얀 솜털같은 왁스물질을 흘리며 튀어다닙니다. 선녀벌레는 1년에 한 번만 발생하며, 4월 중순경에 부화한 약충이 잎과 가지로 이동해 나무의 수액을 빨아 먹어 피해를 줍니다. 또한, 배변물이 잎에 떨어져 그을음병을 유발하고, 개미들을 유인하기도 합니다. 방제 방법 겨울철에 고사지를 없애주어 부화를 방지합니다. 오신이라는 살충제를 1,000배로 희석하여 분무기로 살포합니다. 오신은 선녀벌레뿐만 아니라 깍지벌레, 온실가루이, 꽃매미 등에도 효과가 있습니다. 목초액을 이용하여 선녀벌레를 방제할 수도 있습니다. 목초액은 잔디, 쑥, 민들레 등을 물에 담..

B형간염 [내부링크]

B형간염 개요 B형 간염 바이러스(Hepatitis B virus) 감염에 의한 급성 간염 질환이며, 제3급 법정감염병입니다. 개요-신고 대상 및 방법 - 신고범위 : 환자 - 신고를 위한 진단기준 • 환자 : 급성 B형간염에 부합되는 임상 증상을 나타내면서 진단을 위한 검사기준에 따라 감염병 병원체 감염이 확인된 사람 - 진단을 위한 검사기준 • 검체(혈액)에서 특이 항원 및 특이 항체 검출(단, 6개월 전에 B형간염을 진단받았던 자는 제외함) • 검체(혈액)에서 특이 항체(IgM anti-HBc) 검출 - 신고 시기 : 24시간 이내 신고 - 신고 방법 : 신고서를 작성하여 관할 보건소로 팩스 또는 웹[바로가기]의 방법으로 신고 개요-원인 및 감염경로 1. 전파경로 B형 간염은 감염된 혈액에 노출되거..

A형간염 [내부링크]

A형간염 개요 A형간염 바이러스 감염에 의한 급성 간염 질환으로, 제2급 법정감염병에 해당합니다. 개요-신고 대상 및 방법 - 신고범위 : 환자, 의사환자, 병원체보유자 - 신고를 위한 진단기준 • 환자 : A형 간염에 부합되는 임상증상을 나타내면서, 확인 진단을 위한 검사 기준에 따라 감염병 병원체 감염이 확인된 사람 • 의사환자 : 임상증상 및 역학적 연관성*을 감안하여 A형간염이 의심되나 진단을 위한 검사기준에 부합하는 검사결과가 없는 사람 * 역학적 연관성 : 환자의 증상발생 전 15∼50일 동안 감염력이 있는** A형간염 환자와 일상접촉 · 성접촉 경력이 있는 경우 **환자의 증상 발생 2주전 ~ 증상발생 1주 후 • 병원체보유자 : 임상증상은 없으나 진단을 위한 검사기준에 따라 감염병병원체 감..

갈색날개매미충 [내부링크]

갈색날개매미충 학명 Pochazia shantungensis (Chou and Lu, 1977) 목명/과명 노린재목 / 큰날개매미충과 분포 중국, 한국(침입) 분포: 울릉도, 제주도를 제외한 한국 전역에서 발견됩니다. 해외에서는 인도, 중국 등지에 서식합니다. 크기 및 체형: 몸길이는 약 8.5-9.0mm 내외이며, 길쭉한 타원형 체형을 가지고 있습니다. 날개를 접었을 때는 삼각형에 가까운 형태를 띱니다. 몸 색깔과 특징: 몸 전체는 가루와 같은 미세한 연갈색 털로 덮여 있습니다. 머리는 옆으로 넓고, 더듬이는 짧습니다. 가슴 부분은 검은색이며 중앙부와 양 측면에 융기선이 있습니다. 날개: 앞날개는 몸에 비해 크고 넓으며, 갈색이고 미세한 연갈색 털로 덮여 있습니다. 날개 양옆 테두리에는 흰색의 반달형 ..

갈색날개노린재 [내부링크]

갈색날개노린재 학명 Plautia stali (Scott) 학명 Brown Winged Green Bug 목명/과명 노린재목 / 노린재과 분포 한국, 대만, 일본 밤나무와 감나무, 콩과 식물, 벚나무 등 다양한 식물을 기주로 하는 노린재과의 곤충이다. 국내 전역에서 볼 수 있으며, 국외의 경우 일본과 중국, 러시아에도 분포한다. 연두색이나 녹색의 몸과 갈색 계열의 앞날개 혁질부, 폭이 넓고 끝이 뭉툭한 작은방패판 등이 특징이다. 주로 4~11월에 걸쳐 발생하며, 빛에 모이는 성질이 있다 형태 성충의 몸길이는 10∼12mm이고 체색은 광택이 있는 녹색을 띤다. 머리, 앞가슴, 앞가슴등, 작은방패판, 혁질부(革質部)의 앞 가장자리와 결합판은 녹색이다. 막질부의 대부분과 조상부(爪狀部)는 연한 갈색이나 겹쳐 ..

반려동물과 함께 알레르기 관리하기 [내부링크]

반려동물과 함께 알레르기 관리하기 알레르기란? 알레르기란 ‘보통은 해가 없는 물질에 대해 우리 몸의 면역 체계가 비정상적으로 반응하는 것’입니다. 예를 들면 대부분의 사람은 집먼지진드기와 같이 주변에서 흔히 접할 수 있는 물질에 문제가 없지만, 특정한 사람들은 이를 몸에 침입한 유해한 물질로 여겨 면역 반응을 일으킵니다. 알레르겐이란? 알레르기를 일으키는 물질을 ‘알레르겐’이라고 합니다. 집먼지진드기, 꽃가루, 바퀴벌레, 실내 곰팡이 등이 흔한 알레르겐입니다. 이런 물질들은 대개 숨을 쉴 때 코로 들어오므로 콧물, 재채기, 코막힘과 같은 비염 증상이나 호흡곤란, 쌕쌕거림, 기침과 같은 기관지천식 증상을 일으킵니다. 음식물도 중요한 알레르겐인데, 음식물로 인한 대표적인 알레르기 증상은 음식을 먹은 후 몇 ..

진달래방패벌레 [내부링크]

진달래방패벌레 학명 Stephanitis pyrioides (Scott) 학명 Azaelea Lace Bug 목명/과명 노린재목 / 방패벌레과 분포 한국, 일본, 대만, 북아메리카 형태 성충의 몸길이는 3.5∼4.0mm이고 체색은 흑갈색으로 등쪽은 회백색의 방패모양을 하고 있다. 날개가 크고 접었을 때에 X자 모양의 무늬가 보인다. 약충은 흑갈색이며 털 모양의 돌기가 있다. 피해 주로 가해수종의 잎 뒷면에 모여 살면서 흡즙 가해하며 잎표면은 황백색으로 변한다. 응애의 피해와 비슷하지만 피해부위에 검은색의 벌레똥과 탈피각이 붙어 있으므로 성충과 약충이 서식하지 않아도 응애 피해와 구별이 된다. 피해를 받아서 나무가 죽는 경우는 거의 없지만 수세가 쇠약해지고 미관을 해친다. 생태 연 4∼5회 발생하며 성충으..

배나무방패벌레 [내부링크]

배나무방패벌레 학명 Stephanitis nashi Esaki et Takeya 학명 Pear Lace Bug, Willow Lace Bug 목명/과명 노린재목 / 방패벌레과 분포 한국, 일본 장미과에 속하는 명자나무류(Chaenomeles spp.)와 사과나무류(Malus spp.), 벚나무류(Prunus spp.), 배나무류(Pyrus spp.), 장미류(Rosa spp.)를 기주로 하여 살아가는 방패벌레과의 곤충이다. 한반도 전 지역에 걸쳐 분포하며, 국외의 경우 일본, 중국, 대만, 러시아에 분포한다. 몸길이는 3.0~3.3mm 정도이며, 일반적으로 흑갈색에 무늬를 갖는다. 수목해충으로 흡즙에 의해 기주식물을 가해하며 주로 잎 뒷면에서 섭식하고 검은색의 배설물과 탈피각이 함께 발견된다. 형태 성충..

병리조직검사 [내부링크]

병리조직검사 개요 모 대기업 과장 45세 A씨. 업무가 바빠 식사를 거르기 일쑤이다 보니 속이 항상 쓰리고 더부룩합니다. 이번에는 며칠째 속 쓰림이 낫지 않아 아무래도 이상하다 싶어 직장과 같은 건물에 있는 내과의원에서 위내시경 검사를 했습니다. 내시경에서 보이는 모양으로는 위궤양인지 암인지 구분하기 어려워 병리조직검사를 했다는 말을 듣고 노심초사 결과를 기다리던 중 맙소사, 암이라는 병리조직검사 보고서를 받았습니다. 담당 의사의 안내를 받아 근처 종합병원에서 위 절제 수술까지 받고 나니 이제 또 하나의 중요한 병리조직검사 보고서를 기다려야 한다고 합니다. 바로 떼어낸 위를 검사해 질병의 진행 정도(병기)를 판정하는 것. 다행히 위벽의 표면에 국한된 조기위암이라서 항암치료는 필요 없다고 합니다. 이처럼 ..

간접흡연 [내부링크]

간접흡연 개요 간접흡연이란 본인이 직접 담배를 피우는 것이 아니라 다른 사람이 피우는 담배 연기를 마시는 것을 말합니다. 간접흡연에 의해 흡입된 연기에는 수많은 유해물질이 함유되어 있는데, 발암성 물질인 비소, 벤젠, 크롬, 부타디엔 등이 있습니다. 이런 유해물질에 지속적으로 노출되면 비흡연자도 폐암, 후두암 등이 발생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암 이외에도 어린이들은 천식이 악화되거나 폐렴이 발생할 수 있고, 성인들은 심뇌혈관질환이 발생하거나 악화될 수 있습니다. 간접흡연으로 인한 건강 문제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가정과 공공장소에서 담배 피우는 것을 금지하는 금연문화를 만드는 것이 필요하고 국가 차원에서 정책적으로 금연사업을 지원하고 확대해야 합니다. 개요-발생원/원인 간접흡연은 환경적 흡연노출..

비만 어떻게 관리해야 할까요? [내부링크]

비만 어떻게 관리해야 할까요? 제가 비만인가요? “비만은 체질량지수 25 kg/m2 이상일 경우입니다.” “복부비만은 허리둘레가 남자는 90 cm, 여자는 85 cm 이상일 경우입니다” 비만의 정의는 ‘체지방이 과다하여 이로 인해서 건강상의 문제가 생기는 상태’입니다[세계보건기구(WHO) 정의]. 따라서 비만을 정확히 진단하려면 체지방을 측정해야 하지만, 기계의 도움 없이 체지방을 측정하기는 어렵기 때문에, 보통은 좀 더 손쉽게 측정할 수 있는 방법으로 비만 정도를 평가하고 있습니다. 가장 대표적인 것이 체질량지수(Body Mass Index, BMI)라고 하는 것입니다. 체질량지수는 자신의 몸무게(kg)를 키(m)의 제곱으로 나눈 값으로, 남녀 상관없이 이 값이 25 kg/m2 이상일 경우를 비만이라고..

뻐근한 목, 거북목 시작인가요? [내부링크]

뻐근한 목, 거북목 시작인가요? 일자목과 거북목 정상적인 목은 앞으로 휘어지는 정상적인 곡선을 가지게 됩니다. 목의 정상 곡선은 아이가 태어나서 고개를 가누기 시작할 때부터 생기며 경추 전만*이라고 부릅니다. 가장 자연스럽고도 정상적인 목뼈의 정열 상태입니다. 경추 전만이 있어야 앉거나 서 있을 때 머리의 무게가 목뼈의 중심을 지나게 되어 목 디스크에 걸리는 압력을 가장 줄여줍니다. 일자목이란 목 디스크가 손상되면서 정상 C 커브가 소실되어 목뼈들이 일직선이 된 상태입니다. 일자목이 되면 목의 움직임은 30%가량 줄어들고 목 디스크에 걸리는 압력이 많게는 90%까지 증가됩니다. *경추 전만: 사람이 앉거나 서 있을 때 목에 생기는 자연스러운 곡선으로 앞으로 약간 볼록하게 나옴 거북목은 허리와 위 등, 그..

임신 중 당뇨, 산모와 아이에게 어떤 영향이 있나요? [내부링크]

임신 중 당뇨, 산모와 아이에게 어떤 영향이 있나요? 당뇨병 임신의 이해 “임신전당뇨병과 임신당뇨병은 태아의 성장과 발달에 영향을 미치며, 산과 합병증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임신 전에 이미 당뇨병으로 진단받은 여성이 임신한 경우는 “임신전당뇨병”이라고 합니다. 혈당이 임신 전이나 초기부터 높으면, 유산 또는 선천성 기형의 발생 위험이 증가합니다. 태아의 장기는 임신초기(임신 8주경)에 형성되기 때문에 임신초기의 혈당조절 정도가 선천성 기형과 유산의 발생 위험을 좌우하게 됩니다. 따라서 당뇨병 여성은 임신 전부터 철저한 혈당 관리가 필요하므로 계획임신이 중요합니다. 반면, “임신당뇨병”이란 임신 중에 처음 발생하였거나, 처음 발견된 고혈당으로 당뇨병보다는 심하지 않은 고혈당을 의미합니다. 임신하면 ..

후박나무방패벌레 [내부링크]

후박나무방패벌레 기주식물: 주로 후박나무를 기주로 하며, 나무의 수액을 빨아먹어 피해를 줍니다. 외형적 특징: 방패벌레과에 속하는 다른 종과 유사하게, 작고 볼록한 몸매와 방패 모양의 외형을 가집니다. 색상은 주로 갈색 계열이며, 나무의 잎이나 가지에 밀착하여 삽니다. 피해 양상: 흡즙 활동으로 인해 나무의 생장이 저해되고, 심한 경우 수세가 쇠약해질 수 있습니다. 또한, 당분이 포함된 배설물(꿀액)은 곰팡이의 영양원이 되어 그을음병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방제법 화학적 방제: 적절한 살충제를 사용하여 방패벌레를 제거할 수 있습니다. 살충제의 종류와 적용 시기에 주의가 필요하며, 특히 발육 초기 단계에서 살포하는 것이 효과적입니다. 생물학적 방제: 방패벌레의 천적을 이용하는 방법으로, 예를 들어 무당벌레..

물푸레방패벌레 [내부링크]

물푸레방패벌레 물푸레방패벌레는 물푸레나무과에 속하는 물푸레나무류(Fraxinus spp.)를 주요 기주로 삼아 살아가는 방패벌레과에 속하는 곤충입니다. 이 곤충은 한반도 전역뿐만 아니라 일본, 중국, 러시아에도 널리 분포하고 있습니다. 이들의 몸길이는 대략 3.25mm 정도이며, 색상은 일반적으로 흑갈색이나 암갈색을 띱니다. 물푸레방패벌레는 주로 나무의 잎 뒷면에서 섭식하는 습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학명 Leptoypha wuorentausi (Lindberg) 일명 Yachidamo-Gumbai 목명/과명 노린재목 / 방패벌레과 분포 한국, 러시아 형태 성충의 몸길이는 3∼4mm이고 흑갈색이며 더듬이는 적갈색이다. 몸은 장란형이고 앞가슴 등판에 3개의 융기선이 있으며 가운데 것은 직선으로 뻗어 있고 양..

버즘나무방패벌레 [내부링크]

버즘나무방패벌레 버즘나무과에 속하는 양버즘나무를 기주로 하여 살아가는 방패벌레과의 곤충이다. 국내에서 전 지역에 걸쳐 분포하며, 국외의 경우 유럽, 미국, 캐나다에 분포한다. 몸길이는 3.0~3.2mm 정도이며, 일반적으로 유백색이며 흑색의 무늬를 갖는다. 연 2회 이상 발생하며, 성충으로 월동한다. 주로 잎의 뒷면에서 섭식한다. 수목해충으로 흡즙에 의해 양버즘나무를 가해하며 심하게 피해를 받은 경우 나무의 수세가 쇠약해지며 미관 역시 크게 해친다. 학명 Corythucha ciliata (Say) 학명 Sycamore Lace Bug 목명/과명 노린재목 / 방패벌레과 분포 한국, 미국, 캐나다, 유럽 형태 성충은 몸길이가 3.0∼3.2mm이며 몸은 검은색이나 날개가 유백색이다. 머리 부분이 유백색의 원..

볼록총채벌레 [내부링크]

볼록총채벌레 볼록총채벌레는 주로 식물의 잎에서 흡즙하는 해충으로, 여러 종류의 작물과 정원 식물에 피해를 줄 수 있습니다. 외형적 특징: 볼록총채벌레는 작고 볼록한 몸매를 가진 해충입니다. 색상은 일반적으로 녹색이나 황색 계열입니다. 생활사: 알, 유충, 성충의 단계를 거칩니다. 유충과 성충 모두 식물의 수액을 빨아 먹으며 생활합니다. 피해 양상: 식물의 잎에서 흡즙하여 식물의 생장을 저해할 수 있습니다. 심한 피해를 입은 식물은 잎이 변색되거나 시들 수 있습니다. 또한, 이들은 바이러스성 질병을 전파하는 매개체로 작용할 수도 있습니다. 분포: 다양한 환경에서 발견될 수 있으며, 특히 온실이나 정원, 농경지에서 흔히 볼 수 있습니다. 방제법 화학적 방제: 적절한 살충제를 사용하여 볼록총채벌레를 제거할 수..

큰얼룩무늬밤나방 [내부링크]

큰얼룩무늬밤나방 외형적 특징: 큰얼룩무늬밤나방은 이름에서 알 수 있듯이 얼룩무늬가 특징인 나방입니다. 날개에는 뚜렷한 얼룩무늬가 있으며, 일반적으로 갈색이나 회색 계열의 바탕색을 가집니다. 생활사: 이 나방의 생활사는 알, 유충, 번데기, 성충의 네 단계로 이루어집니다. 특히 유충 단계에서 나무의 잎을 갉아먹으며 가장 많은 피해를 줍니다. 피해 양상: 유충은 밤나무의 잎을 먹으며 성장합니다. 이 과정에서 나무의 잎을 손상시켜 식물의 생장을 저해하고, 심한 경우 나무의 사망을 유발할 수도 있습니다. 분포: 밤나무가 자라는 지역에 주로 분포합니다. 방제법 화학적 방제: 적절한 살충제를 사용하여 유충을 제거하는 방법입니다. 살충제의 선택과 사용 시기가 중요합니다. 적절한 시기에 살충제를 살포하면 유충을 효과적..

큰붉은잎밤나방 [내부링크]

큰붉은잎밤나방 왕붉은잎큰나방은 날개나방과에 속하는 나방으로,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날개 편 길이: 약 34~42mm입니다. 계절형: 봄형은 연한 회갈색이며 횡선에는 회백색의 테가 있습니다. 여름형은 황갈색 또는 적갈색을 띱니다. 콩팥 모양 무늬: 콩팥 모양 무늬의 안쪽으로 테를 이루는 직선이 외횡선의 후반부와 이어져서 일직선 모양을 나타내며, 수직으로 후연에 이릅니다. 몸 색깔: 암컷은 등갈색을 띱니다. 수컷은 등적색을 띠며 횡선은 갈색을 띱니다. 유충과 성충의 출현: 유충은 6월부터 9월까지 계속 볼 수 있으며, 성충은 7월부터 9월에 채집되는 것으로 보아 연 2회 이상 발생하는 것으로 추정됩니다. 유충은 무궁화의 잎을 주맥만 남기고 식해하며, 8월에서 9월에 특히 피해가 심합니다. 분..

붉은매미나방 [내부링크]

붉은매미나방 붉은매미나방은 날개나방과에 속하는 나방으로,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날개 편 길이: 수컷의 날개 편 길이는 약 46~54mm입니다. 암컷의 날개 편 길이는 약 76~90mm로, 수컷보다 큽니다. 더듬이: 수컷의 더듬이는 흑갈색이며, 새의 깃털 모양처럼 길게 가지가 분포합니다. 암컷의 더듬이는 매우 짧습니다. 색깔과 크기: 수컷과 암컷 사이에는 색깔과 크기에 큰 차이가 있습니다. 수컷이 암컷보다 작으며, 앞날개는 암회색 바탕에 암갈색 물결 모양의 띠가 있습니다. 몸과 날개의 바탕색은 유백색입니다. 앞날개와 뒷날개: 앞날개 외연에는 물결 모양 무늬가 있고, 시맥 사이에 암갈색 점이 있습니다. 뒷날개는 외연을 따라 담갈색 띠가 있습니다. 출현 시기: 성충은 7월부터 8월에 출현합니다..

매미나방 [내부링크]

매미나방 매미나방은 독나방과에 속하는 나방으로, 암컷은 짝짓기 후에 나무나 벽, 바위 등에 알 덩어리를 붙여놓습니다. 알은 1mm 정도이며, 봄에 부화하여 유충이 됩니다. 유충은 털에 독성이 있어 피부에 닿으면 알레르기나 피부병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유충은 낮에는 잠복해 있고 밤에 활동하여 다양한 수목의 잎을 섭식합니다. 지역에 따라 돌발적으로 대발생하여 식물과 인간에게 피해를 줍니다. 성충은 7월~8월에 우화하며, 수컷은 활발하게 날아다니고 암컷은 거의 움직이지 않습니다. 매미나방은 한국, 일본, 미국, 캐나다 등 전 세계에 널리 분포합니다. 매미나방을 방제하는 방법 알 덩어리를 제거합니다. 4월 이전에 나무나 벽 등에 붙어있는 알 덩어리를 발견하면, 약을 뿌린 후 고무헤라나 스크래퍼 등으로 뜯어내고..

황다리독나방 [내부링크]

황다리독나방 학명 Ivela auripes (Butler) 학명 Yellow-Legged Tussock Moth 일명 목명/과명 나비목 / 독나방과 분포 한국, 일본, 중국, 극동아시아 형태 알의 색깔은 짙은 황색이며, 직경은 1mm이다. 산란 직후의 알은 우유빛에 가까운 반투명성을 띠나 시간이 경과하면서 짙은 회색으로 변한다. 1령 유충의 몸길이는 2mm 정도이며 짙은 갈색을 띤다. 2령 유충의 몸 색깔은 담갈색이며, 강모가 생겨나기 시작하고, 자라면서 강모가 점점 길어진다. 4, 5령 유충은 몸 색깔이 짙어져 흑색으로 변하며 강모는 갈색으로 무늬는 짙은 노란색을 띤다. 번데기는 긴 타원형으로 엷은 노란색을 띠며, 검은 무늬가 몸 전체에 산재해 있다. 번데기에서 우화한 성충은 반투명의 백색이다. 성충은..

먹무늬재주나방 [내부링크]

먹무늬재주나방 먹무늬재주나방은 절지동물문 곤충강 나비목에 속하는 나방으로,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날개 편 길이: 성충의 날개 편 길이는 약 42~56mm입니다. 외형적 특징: 이 속의 종들 중에서 앞날개의 무늬가 특이하여 다른 종들과 쉽게 구별됩니다. 아랫입술수염과 주둥이: 아랫입술수염은 매우 짧고 황백색이며, 주둥이는 짧습니다. 더듬이: 수컷의 더듬이는 실 모양으로 각 마디에 잔털이 있으며, 암컷은 섬모상입니다. 앞날개의 색상과 무늬: 앞날개의 바탕색은 황백색이며, 시정 부근에는 황백색 무늬가 없고, 기부와 후각 부근에 큰 암갈색 무늬가 발달되어 있습니다. 내횡선을 비롯한 모든 횡선들은 강한 톱니 모양이며 황갈색입니다. 기부 가까이 중실의 아래쪽에는 흑자색의 둥근 무늬가 있고, 후각 부..

심방중격결손증 [내부링크]

심방중격결손증 개요 심방중격결손은 우심방과 좌심방 사이의 벽(심방중격)에 구멍이 있는 선천성 심장병입니다. 위치에 따라 3가지 형태로 구분하는데, 이차공 형태가 가장 흔하며 많은 경우 자연적으로 막힙니다. 대부분 어려서는 증상이 없으나, 크기가 큰 경우에는 성인이 된 후 심부전이나 부정맥 등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증상이 있거나, 증상이 없더라도 결손을 통한 혈류가 많아 심장에 부담이 되는 경우에는 치료합니다. 기구를 이용한 시술이나 수술로 치료하며, 최근에는 가능하면 폐쇄 기구를 이용한 시술로 구멍을 막습니다. 1. 심장의 구조와 혈액순환 1) 정상 혈액순환 심장은 크게 우심실계(우심방과 우심실)와 좌심실계(좌심방과 좌심실)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우심실계는 전신순환(체순환)을 통해 신체에 필요한 산소를..

수두와 대상포진 [내부링크]

수두와 대상포진 개요-정의 수두와 대상포진은 둘 다 수두 대상포진 바이러스(Varicella-zoster virus: VZV)가 원인인 질환입니다. 수두(varicella)는 수두 대상포진 바이러스에 의한 1차 감염으로 전염력이 매우 강한 급성 감염질환입니다. 대상포진(herpes zoster)은 1차 감염 이후 감각 신경절에 잠복해 있던 수두 대상포진 바이러스가 재활성화되어 발생합니다. 대상포진은 오래전부터 알려져 있었는데, 19세기 말이 되어서야 수두에 대한 면역력이 없는 소아들이 대상포진 환자와 접촉한 후 수두에 걸리는 것이 관찰되면서 수두와 대상포진의 연관성이 밝혀졌습니다. 수두 대상포진 바이러스는 1954년 수두와 대상포진 환자의 수포에서 배양되었고 1970년대에 수두 백신이, 2006년에 대상..

자극접촉피부염 [내부링크]

자극접촉피부염 개요-정의 자극접촉피부염은 피부에 자극을 주는 물질에 일정한 농도 혹은 일정한 시간 이상 접촉하면 발생하는 피부염입니다. 알레르기 접촉피부염은 같은 물질이라도 사람에 따라 피부염을 일으키지만, 자극접촉피부염은 농도나 시간이 늘어나면 대부분의 사람에게 피부염을 일으킵니다. 개요-종류 1. 강산, 강알칼리에 의한 피부염 2. 주부습진 3. 기저귀 피부염 4. 직업피부질환 개요-원인 자극접촉피부염을 일으킬 수 있는 물질은 수없이 많습니다. 먼저, 산이나 알칼리가 피부에 닿으면 자극접촉피부염이 생길 수 있습니다. 산이나 알칼리의 농도가 진하거나, 접촉한 시간이 길면 화상을 입기도 합니다. 산이나 알칼리라면 실험실이나 공장에서만 사용할 것 같지만 우리 주위에서 흔히 접할 수 있습니다. 식초나 빙초산..

원형탈모 [내부링크]

원형탈모 개요-정의 원형탈모는 비교적 흔한 자가면역성 탈모 질환으로 하나 혹은 여러 개의 원형, 타원형 탈모반이 생깁니다. 탈모반은 대부분 두피에 발생하나, 눈썹, 속눈썹, 턱수염, 음모, 팔, 다리 등 모발이 있는 부위 어디든 생길 수 있습니다. 개요-종류 원형탈모가 심해 두피의 모든 모발이 빠지는 것을 전두탈모(alopecia totalis)라 하며, 전신의 모든 모발이 빠지는 것을 전신탈모(alopecia universalis)라 합니다. 탈모가 후두부의 모발 경계선을 따라서 생기면 머리가 두 개 달린 뱀처럼 보여 사행상탈모(ophiasis)라 합니다. 드물게 원형이 아니라 안드로겐탈모 혹은 휴지기탈모처럼 모발의 밀도가 전체적으로 줄어드는 미만성 원형탈모도 있습니다. 개요-원인 1. 자가면역 면역이..

버들재주나방 [내부링크]

버들재주나방 버들재주나방은 절지동물문 곤충강 나비목에 속하는 나방으로,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날개 편 길이: 성충의 날개 편 길이는 약 35~40mm입니다. 앞날개의 특징: 앞날개에는 흑색의 중실 점무늬가 뚜렷하며, 선단부 달 모양 무늬는 선명하지 않고 바탕색과 덜 대조적입니다. 바탕색은 황회색을 띠며, 아기선은 완전하지 않습니다. 백색의 내횡선은 두텁고 바깥쪽으로 약간 완만하게 굽혀 있습니다. 뒷날개: 뒷날개는 암갈색이며, 중앙을 가로지르는 불명료한 담색의 횡선이 있습니다. 더듬이: 암수 모두 선단까지 양빗살 모양이며, 암컷의 빗살은 짧습니다. 기주식물: 주로 버드나무과, 느릅나무과, 참나무과, 장미과 식물을 기주로 합니다. 출현 시기와 발생 빈도: 성충은 5월부터 8월 사이에 출현하며..

꼬마버들재주나방 [내부링크]

꼬마버들재주나방 꼬마버들재주나방은 절지동물문 곤충강 나비목에 속하는 나방으로,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날개 편 길이: 성충의 날개 편 길이는 약 28~33mm입니다. 더듬이: 더듬이는 근연종들과 유사한 형태를 가집니다. 아랫입술수염과 주둥이: 아랫입술수염은 길게 앞으로 돌출되어 있으며 회갈색을 띠고 있습니다. 주둥이는 거의 퇴화되어 있습니다. 가슴 등면: 가슴 등면에는 적갈색의 털로 이루어진 무늬가 있습니다. 앞날개: 후연에 털다발이 없으며, 아기선과 내횡선은 백색으로 서로 평행선을 이루고 거의 직선에 가깝습니다. 아외연선은 흑색 점으로 연결되어 있습니다. 뒷날개: 갈색 또는 암회갈색으로, 다른 무늬는 없습니다. 복부: 복부 끝에는 털다발이 있습니다. 기주식물: 주로 장미과, 버드나무과, ..

참나무재주나방 [내부링크]

참나무재주나방 참나무재주나방은 절지동물문 곤충강 나비목에 속하는 나방으로,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날개 편 길이: 성충의 날개 편 길이는 약 43~65mm입니다. 더듬이: 수컷의 더듬이는 갈색이며 실 모양이고, 암컷의 더듬이는 섬모상입니다. 아랫입술수염: 아랫입술수염은 매우 짧습니다. 앞날개의 색상과 무늬: 앞날개의 바탕색은 암회갈색이며, 시정 부근에는 황백색의 큰 무늬가 있습니다. 아기선과 내횡선은 암갈색으로 선명하며, 콩팥 모양 무늬는 백색 바탕에 중앙에 암갈색 선이 분명합니다. 뒷날개: 뒷날개는 여린 암갈색을 띠며 외연은 적갈색 기운이 돕니다. 기주식물: 주로 참나무과 식물에 기주합니다. 출현 시기와 발생 빈도: 성충은 6월부터 8월 사이에 출현하며, 연 1회 발생합니다. 분포: 한국..

밤나무산누에나방 [내부링크]

밤나무산누에나방 밤나무산누에나방(어스렝이나방, 학명: Caligula japonica)은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가진 나방입니다: 종류: 산누에나방의 일종으로, 밤나무를 주요 먹이로 삼습니다. 크기: 날개를 편 길이가 약 100∼120mm에 이르는 대형나방입니다. 발생 시기: 성충은 연 1회, 7월에서 9월 사이에 발생합니다. 분포: 주로 한국, 일본, 타이완, 중국 등지에 분포합니다. 번데기: 번데기는 얼기설기한 그물망 같은 고치 속에서 발견되며, 10월 중순경에 날개돋이합니다. 그물 고치는 한쪽이 봉합되어 있지 않아 안에서 밀고 나올 수 있지만, 바깥에서는 들어갈 수 없는 구조입니다. 기생과 생존율: 많은 수가 기생을 당해 성충으로 탈바꿈하는 비율은 약 20%에 불과합니다. 발생 빈도: 대량발생하는 경우..

천막벌레나방 [내부링크]

천막벌레나방 형태 성충의 몸길이는 암컷이 20mm, 수컷이 18mm 정도이며, 날개를 편길이는 암컷이 40mm, 수컷이 35mm 정도이고 암수의 빛깔이 다르다. 수컷은 황갈색이고 앞날개의 중앙에 2개의 갈색선이 있으며 중간은 그 빛깔이 약간 진하다. 암컷은 담등색이고 앞날개의 중앙부는 적갈색의 넓은 띠가 있다. 알은 직경이 0.8mm 정도인 타원형이고 회백색이다. 유충의 몸길이는 45mm 정도이며 몸마디에 긴 털이 많이 나있고 머리는 암회청색이며 몸은 회청색이고 검은 점이 산재해있다. 피해 유충이 가지의 갈라진 부분에 거미줄로 천막을 치고 모여 살면서 낮에는 그 속에서 쉬고 밤에 나와서 잎을 식해한다. 때때로 대발생하여 벚나무 가로수 등에 큰 피해를 주는 경우가 있다. 우리나라에서의 발생기록은 1936년..

솔나방 [내부링크]

솔나방 날개 편 길이: 솔나방의 날개 편 길이는 약 50~90mm입니다. 외형 변이: 개체 간에 크기 및 앞날개의 무늬에 많은 변이가 있습니다. 솔송나방과 유사하지만 일반적으로 크기가 작습니다. 더듬이: 수컷의 더듬이 빗살은 길고, 암컷은 짧습니다. 색상 변이: 빛깔의 변이가 심하지만, 대부분의 바탕색은 다갈색 또는 흑갈색입니다. 무늬는 수컷보다 암컷이 더 선명합니다. 회백색, 황갈색, 흑갈색 등 다양한 색채 변이가 있으며, 앞날개 중앙부에 짙은 색의 넓은 띠가 있고, 그 외연에는 백색의 파상선이 있습니다. 발생 주기: 연 1회 발생합니다. 생활사: 월동한 유충은 4월에 월동처에서 나와 솔잎을 먹으며 자라고, 3회의 탈피를 거쳐 8령충이 됩니다. 노숙 유충은 7월 초나 중순에 솔잎 사이에서 실을 토해 고..

남방차주머니나방 [내부링크]

남방차주머니나방 형태 암컷 성충은 날개와 다리가 퇴화되어 없다. 암컷 성충의 몸길이는 27∼35mm이며, 몸과 날개는 암갈색이다. 수컷성충은 날개를 편 길이가 23∼25mm이고 몸길이는 9∼10mm 정도이다. 적갈색이고 머리와 가슴은 광택이 난다. 노숙유충의 몸길이는 20∼35mm이며 머리는 회갈색, 몸은 담황갈색이다. 애벌레 집인 주머니는 방추형이며 길이는 작은 것은 5mm에서 큰 것은 50mm까지 다양하다. 피해 여러가지 수목의 잎을 가해하는 다식성해충으로 가끔 대발생하기도 한다. 가지나 잎에 주머니 형태로 유충 집을 짓고 그 속에서 매달려 생활함으로 발견이 쉽다. 근래 정원수나, 조경수에서 피해 발견이 많이 되고 있다. 가을에 낙엽 후에도 주머니가 가지에 달려 있어 경관을 해치기도 한다. 생태 연 ..

줄마디가지나방 [내부링크]

줄마디가지나방 한국, 일본, 중국, 러시아, 유럽에 분포하고 성충은 날개 편 길이가 35mm 내외로 회갈색이고 농담의 변이가 있으며 앞날개의 바깥가장자리 부근에 2개의 검은 점이 줄지어 있다. 유충은 몸길이가 37~40mm에 달하며 체색은 갈색이나 등 쪽에는 옅은 V자 형의 회색의 무늬가 보이고 불규칙하게 검은 점과 검은 선이 흩어져 있으며 끊어진 어두운 줄무늬가 있다. 피해 벚나무, 자도나무, 매실나무, 사과나무, 떡갈나무, 황철나무, 느티나무 등의 대표 해충으로 유충은 잎을 세로로 접고 그 속에 머물면서 잎을 가해하는 것이 보통이며 일부는 줄기에 서식하기도 한다. 최근 생활권 수목으로 식재된 장미과 수목을 중심으로 발생과 피해가 증가하고 있다. 생태 특성 연 1회 발생하며 흙속에서 번데기로 월동한다...

별박이자나방 [내부링크]

별박이자나방 형태 성충의 앞날개 길이는 20mm 내외이며 날개는 유백색 바탕에 흑갈색의 작은 점이 산재해 있다. 날개 가장자리에 2줄의 검은 점들이 테두리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노숙유충은 몸길이가 30mm 정도이며 몸이 가늘고 긴 편이며 3∼5복절에는 복각이 없고 6복절에만 있다. 유충의 몸은 검은색과 담황갈색의 무늬가 선명하게 대조를 이루고 있으며 머리는 검은색이다. 유충의 몸 전반에 흰 자모가 듬성듬성 나있다. 피해 유충이 잎과 가지에 거미줄을 치고 모여 살면서 잎을 가해하기때문에 피해 부위는 잎이 없고 가지만 엉성하게 남게 된다. 특히 쥐똥나무에서 많이 발생한다. 생태 연 1회 발생하는 것이 보통이며 가지와 잎에 거미줄을 치고 중령유충이 집단을 이루고 월동한다. 4월부터잎을가해하다가5월에거미줄사이..

노랑쐐기나방 [내부링크]

노랑쐐기나방 형태 성충의 앞날개 길이는 수컷이 12∼13mm, 암컷이 14∼15mm이며, 전체적으로 황색이다. 더듬이는 실 모양인데 약간 편평하며 황갈색을 띤다. 앞날개 바깥 부분은 적갈색이고, 외연에 2개의 흑갈색 사선이 있다. 노숙유충의 몸길이는 25mm 정도이고 머리는 담갈색이고 몸의 앞·뒤 부분에 암자색의 무늬가 있다. 중앙 부위와 옆은 녹색이며 몸 표면에 자모가 있다. 고치는 타원형으로 회백색 바탕에 흑갈색 무늬가 있다. 피해 유충은 잡식성으로 여러 수종의 잎을 식해하며 체표면에 자모가 있어 피부에 접촉하면 통증을 느낀다. 어린 유충은 잎 뒤에서 잎살만 먹지만 자란 후에는 잎의 주맥만을 남기고 식해한다. 생태 연 1회 발생하고 새알처럼 생긴 고치 속에서 유충으로 월동한다. 5월에 번데기가 되고 ..

대나무쐐기알락나방 [내부링크]

대나무쐐기알락나방 형태 성충의 앞날개 길이는 10∼11mm이고, 몸과 날개는 검은색이다. 유충의 몸길이는 20mm 정도이고 등갈색으로 각 마디에 검은 모기판이 있고 긴 털이 나 있다. 피해 대나무의 주요 해충으로 잎에 여러 마리가 병렬하여 식해한다. 돌발적으로 대발생하여 큰 피해를 주는 경우가 있다. 생태 연 2회 발생하는 것이 보통이며 잎 위에서 전용으로 월동한다. 1화기 성충은 5∼6월에 우화하여 잎 뒷면에 무더기로 산란한다. 어린 유충은 집단으로 잎 뒤의 잎살만을 식해하기 때문에 잎이 백색으로 변한다. 3령 이후부터는 모조리 식해한다. 2화기 성충은 7∼8월에 우화한다. 방제법 화학적 방제 - 사용가능한 농약 정보는 농촌진흥청에서 운영하는 농약정보서비스(pis.rda.go.kr)에서 기주식물, 병해..

벚나무모시나방 [내부링크]

벚나무모시나방 더듬이: 수컷의 더듬이는 빗살 모양입니다. 몸색: 몸은 대체로 흑색입니다. 날개: 날개는 회백색을 띠며 반투명한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앞날개: 앞날개의 기부는 등황색이며, 이 등황색 테두리는 가는 흑색 띠로 되어 있습니다. 시맥은 흑색이며, 제3중맥은 바깥쪽으로 길게 돌출되어 있습니다. 날개 편 길이: 날개 편 길이는 약 55~60mm 정도입니다. 유충의 기주식물: 유충은 매화나무, 벚나무, 살구나무, 자두나무 등의 잎을 먹고 삽니다. 출현 시기: 성충은 9월에서 10월경에 출현합니다. 분포: 한반도 중부, 남부에 서식하며, 국외에서는 일본, 미얀마, 우수리에도 분포합니다. 형태 성충의 앞날개 길이는 30∼35mm이고 날개는 백색에서 엷은 황색으로 반투명하여 시맥이 뚜렷하게 보인다. 뒷..

제주집명나방 [내부링크]

제주집명나방 날개편길이: 이 나방의 날개편길이는 약 19~29mm입니다. 머리: 머리는 담갈색이며, 수컷은 약간 흑갈색을 띤다. 더듬이: 더듬이는 흑갈색이며 미모상(세고 가느다란 형태)입니다. 가슴과 배: 가슴과 배의 등면은 갈색이며 흑갈색 인편(털)이 섞여 있습니다. 앞날개: 앞날개는 황록색이며, 내횡선의 안쪽과 외횡선의 바깥쪽 외연부는 녹색을 띠는 짙은 흑갈색입니다. 외횡선은 강한 지그재그 모양이며 바깥쪽으로 좁습니다. 뒷날개: 뒷날개는 흑갈색입니다. 분포: 한반도 북부, 중부, 남부, 제주에 분포하며, 국외에서는 일본, 중국, 러시아, 대만에도 분포합니다. 출현 시기: 성충은 3월, 6월에서 8월 사이에 출현합니다. 기주식물: 기주식물에 대한 정보는 알려져 있지 않습니다. 제주집명나방은 특정 식물을..

목화명나방 [내부링크]

목화명나방 들명나방아과에 속하는 나방의 한 종류입니다. 성충은 흰색 바탕에 노란색 띠와 불규칙한 가로줄이 있는 날개를 가지고 있습니다. 유충은 검은색 머리와 희미한 흑갈색 무늬가 있는 담녹색 몸체를 가지고 있습니다. 유충은 주로 목화, 무궁화, 부용, 벽오동나무 등의 잎을 돌돌 말고 그 속에서 갉아먹습니다. 이 때문에 식물의 잎이 말려서 색이 변하거나 손상됩니다. 목화명나방은 연 2~3회 발생하고 유충으로 월동합니다. 성충은 5~6월, 7월, 8~9월에 나타나서 잎 뒷면에 1개씩 산란합니다. 유충은 6~10월에 불규칙적으로 나타나서 가해하며, 7~9월에 피해가 가장 심합니다. 목화명나방의 방제방법은 유충 가해 초기에 비티쿠르스타키 수화제 1,000배액 또는 디플루벤주론 수화제 2,500배액을 10일 간격..

뽕나무명나방 [내부링크]

뽕나무명나방 나비목 명나방과에 속하는 곤충입니다. 뽕나무의 잎을 먹는 애벌레로 발생하며, 봄부터 가을까지 잎을 갉아 먹어 뽕나무의 생육을 저해합니다. 뽕나무명나방의 애벌레는 잎을 접어서 둥지를 만들고 그 안에서 먹거나, 잎을 묶어서 먹습니다. 애벌레의 몸길이는 약 18mm이고, 몸은 회녹색에 검은 점무늬가 있습니다. 성충은 띠무늬들명나방과 비슷하게 생겼으며, 날개에 노란색과 갈색의 무늬가 있습니다. 방제방법 화학적 방제 작물명 적용병해충 용도 품목 상표명 회사명 작용기작 뽕나무 뽕나무명나방 살충제 펜토에이트 유제 엘산 한국삼공(주) 1b 뽕나무 뽕나무명나방 살충제 펜토에이트 유제 충자비 (주)유일 1b

회양목명나방 [내부링크]

회양목명나방 형태 성충의 앞날개 길이는 20∼25mm 정도이고 머리는 회백색이며 가슴과 배는 은백색이다. 앞날개는 은백색으로 외연부는 넓게 회흑색이며 중실 끝에 초생달 무늬가 있고 뒷날개의 외연부는 회흑색이다. 유충의 몸길이는 약 35mm 내외로 머리는 검고 광택이 있으며 몸은 황녹색으로 아배선과 기문상선에 넓은 갈색 띠가 있다. 피해 유충이 거미줄을 토하여 잎을 묶고 그 속에서 잎을 식해한다. 관상수로 회양목이 많이 식재되면서 이 해충이 대발생하여 잎을 모조리 식해할 때가 있다. 피해 받은 나무는 수관에 거미줄이 많이 있다. 피해를 심하게 받은 단목은 수관의 일부분이 말라 고사한다. 생태 연 2회 발생하나 3회 발생하기도 하며 유충으로 월동한다. 월동한 유충은 4월 하순경부터 출현하며 가는 가지에 거미..

자귀뭉뚝날개나방 [내부링크]

자귀뭉뚝날개나방 피해 유충이 실을 토하여 잎끼리 겹치게 그물망을 만들고 집단으로 갉아먹어 피해잎이 갈변 2) 배설물이 그물망에 남아 있어 지저분해보인다. 형태 성충의 앞날개는 다소 광택이 나는 암갈회색에 검은색점이 산재해있다. 노숙유충은 회색 또는 갈색으로 변이가 심하고 몸에 5줄의 하얀색 무의가 세 개로 뻗어있다. 알은 진주색 또는 분홍색을 띤다. 생활사 연 2회, 번데기로 가해식물의 수피틈이나 나무밑의 지피물에서 월동 6월 상순부터 나타나 잎에 알을 낳는다. 부화한 유충은 여러개의 잎을 엮은 그물망안에서 잎을 먹고자란다. 유충은 움직임이 활발하여 건드리면 그물망을 빠져나와 실을 내면서 아래로 떨어지는 습성이 있다. 2세대 성충은 8월에 나타나며 월동태인 번데기를 늦여름부터 볼수있다. 방제 방법 해마다..

매실애기잎말이나방 [내부링크]

매실애기잎말이나방 크기: 성충의 날개 편 길이는 약 11~16mm입니다. 색상과 무늬 앞날개의 바탕색은 흰색 또는 회색빛이며, 후연 무늬나 아중앙 부분의 내횡대에 황토색 또는 갈색조를 띠는 갈색 선이 있습니다. 전연선은 바탕색과 같은 색이며, 회갈색으로 나뉩니다. 경문은 회색이고, 갈색의 내부 반점과 넓은 납빛의 회색 굴절선이 있습니다. 기부의 무늬는 등 쪽으로 갈회색입니다. 뒷날개는 회갈색이며, 암컷이 수컷보다 더 어두운 색을 띱니다. 수컷의 특징: 수컷은 회색빛의 검은색 또는 초록빛의 검은 무늬가 후연의 중맥에 있으며, 반대쪽에는 sex scales를 포함한 무늬가 있습니다. 생식기 구조 수컷 생식기 덮개판의 꼭대기는 짧고 넓으며, 다소 말단 쪽으로 확장되어 있습니다. 측돌기는 말단 쪽으로 혼재되어 ..

좀검정잎벌 [내부링크]

좀검정잎벌 형태 유충의 몸길이는 22mm이고 머리는 황갈색, 눈은 검은색이며 몸은 푸른색을 띠며 두꺼운 밀납 물질로 덮여있다. 성충의 몸길이는 9mm이며 검은색이다. 피해 4∼5월경 잎을 가해한다. 발생은 심하지 않지만 돌발적으로 발생하기도 하며 잎 가장자리부터 식해하고 피해가 심하면 나뭇잎 전체를 먹는다. 생태 연 1회 발생하며 흙속의 고치 내에서 월동한다. 노숙유충은 4월 상순∼중순에 번데기가 된다. 성충은 4월 중·하순에 산란하며 유충은 5월 상순경부터 잎을 식해하고 6월 하순에 흙 속으로 들어가 고치를 짓는다. 방제법 화학적 방제 - 사용가능한 농약 정보는 농촌진흥청에서 운영하는 농약정보서비스(pis.rda.go.kr)에서 기주식물, 병해충명 등을 검색하여 확인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생물적 방제 ..

남포잎벌 [내부링크]

남포잎벌 형태 다 자란 유충의 몸길이는 20mm 내외이고 체색은 투명하여 유충의 내장이 보인다. 유충의 등줄을 따라 녹색 및 갈색의 등뼈 같은 줄이 한줄 있다. 암컷 성충의 몸길이는 4.5mm 정도이고 체색은 흑색을 띠고 있다. 알은 잎 뒷면의 잎맥에 일렬로 산란한다. 피해 1996년부터 경북 상주지방의 신갈나무림에서 발생하고 있다. 2007년 경기 김포 대곶면 승마산 참나무림에서도 6ha 발생하였다. 유충이 엽육만 식해하며 피해 잎은 갈색으로 변색된다. 생태 연 1회 발생하며 토양 내에서 노숙유충으로 월동한다. 노숙유충은 5월에 번데기가 된다. 성충은 6월 상∼7월 상순에 우화하며 우화 최성기는 6월 중·하순이다. 기주의 잎 뒷면에 잎맥을 따라 일렬로 산란하며 산란수는 150∼200개이고 난 기간은 약..

개나리잎벌 [내부링크]

개나리잎벌 크기: 개나리잎벌의 몸길이는 약 7.5mm입니다. 색상과 무늬: 몸은 주로 검은색이며, 여러 부분에 황갈색 무늬가 있습니다. 이 무늬는 암컷의 윗입술, 수염, 앞가슴등판의 뒷가두리부분, 어깨판, 배마디의 대부분, 그리고 앞다리, 가운뎃다리, 뒷다리의 넓적다리마디 말단부 등에 나타납니다. 머리방패: 머리방패는 다소 돌출되어 있으며, 뚜렷한 점각이 있습니다. 윗입술은 매우 작아서 대부분 머리방패 아래에 위치합니다. 날개: 개나리잎벌의 날개는 막상 형태입니다. 개나리잎벌은 일반적으로 개나리와 같은 식물의 잎을 가해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이들의 활동은 식물의 건강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형태 암컷 성충은 수컷에 비하여 배에 황색을 많이 띠고 있으며 다리는 황색이다. 노숙유충의 몸길이는 16..

솔잎벌 [내부링크]

솔잎벌 형태 성충의 몸길이는 7∼8mm이며 암컷의 체색은 검은색으로 가운데 가슴 작은 방패판은 황백색이다. 더듬이는 검고 21마디로 제 3마디 이하의 각 마디에는 2개의 긴 돌기가 있으며 깃털 모양을 하고 있다. 날개는 투명하며 다리는 검은색이고 두흉부에는 점각이 있다. 수컷의 가운데가슴 소순판은 황백색으로 더듬이의 우상돌기는 길다. 광택이 있는 녹색으로 양끝은 다소 황색을 띠며 노숙유충의 머리는 원형이고 황갈색이며 머리 가운데에 검은 큰 반점이 있다. 홑눈과 안판을 제외하고는 작은 털이 밀생하고 있다. 피해 소나무 유령림에 많이 발생하여 잎을 식해하며 밀도가 높으면 임목을 고사시킨다. 생태 연 2∼3회 발생하지만 그 해의 온도와 환경조건에 따라 다르다. 성충은 4월 하순∼5월, 9∼10월에 출현하며 유..

낙엽송잎벌 [내부링크]

낙엽송잎벌 형태 암컷 성충의 몸길이는 7.5∼10.5, 날개길이는 15 내외이며 몸은 갈색에서 황갈색이며 날개는 반투명의 연한 갈색이고 가슴등 쪽에 3개의 검은점이 있다. 수컷 성충의 몸길이는 6∼7, 날개길이는 14내외이며 몸은 갈색에서 암갈색이다. 알은 타원형으로 장경이 1.4, 단경이 0.5 내외이다. 산란 초기에는 담황색을 띠나 부화시기에는 황갈색으로 변한다. 노숙유충의 몸길이는 14∼17mm 정도이고, 머리는 광택이 있는 흑갈색이다. 몸통은 기문선을 따라 흑색이고 나머지는 연한 녹색이다. 번데기는 몸길이가 8∼9 정도이고 유백색이다. 고치는 타원형으로 장경이 9, 단경이 4 내외이며 검붉은 갈색을 띤다. 피해 국지적으로 대발생하여 임분 전체가 잿빛으로 변한다. 갓 부화한 1령 유..

극동등에잎벌 [내부링크]

극동등에잎벌 크기: 암컷의 몸길이는 약 7.5~11mm입니다. 머리와 더듬이: 머리, 더듬이 소켓, 자루마디는 금속성 검푸른색이며, 더듬이 채찍마디는 검은색입니다. 머리방패는 갈색빛 검은색, 입술은 금속성 검은색입니다. 큰턱과 수염: 큰턱은 적갈색이고, 수염은 갈색입니다. 가슴: 금속성 검푸른색이며, 어깨판도 검푸른색입니다. 가운데가슴측판의 위쪽 반은 금속성 검푸른색, 아래쪽은 적갈색이며, 뒷가슴측판은 적갈색입니다. 다리: 금속성 적갈색입니다. 날개: 불투명한 갈색빛을 띠며, 날개 시맥은 어두운 갈색입니다. 배: 첫 번째부터 다섯 번째 배마디등판의 위쪽 부분은 적갈색, 아래쪽 부분은 검푸른색이며, 여섯 번째부터 아홉 번째 배마디등판은 검푸른색입니다. 산란관집도 금속성 검푸른색입니다. 추가적인 특징: 머리..

장미등에잎벌 [내부링크]

장미등에잎벌 형태 성충의 몸길이는 8mm 정도이며 머리와 가슴은 검은색이고 배는 황색이다. 유충의 몸길이 20mm 정도이고 황녹색이며 검은색 무늬가 있다. 피해 유충이 모여 살면서 잎을 식해하며 잎가부터 식해하여 주맥만 남기는 경우가 많다. 생태 연 3회 발생하며 유충으로 흙 속에서 월동한다. 제 1세대 성충이 5월에 우화하며 가을까지 유충이 관찰된다. 자세한 생활경과는 밝혀지지 않았다. 방제법 화학적 방제 - 사용가능한 농약 정보는 농촌진흥청에서 운영하는 농약정보서비스(pis.rda.go.kr)에서 기주식물, 병해충명 등을 검색하여 확인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용도 품목 상표명 회사명 작용기작 살충제 클로란트라닐리프롤 입상수화제 농테크 아그리젠토(주) 28 살충제 클로란트라닐리프롤 입상수화제 알타코아 (..

잣나무별납작잎벌 [내부링크]

잣나무별납작잎벌 크기: 몸길이 약 13.5mm, 앞날개 길이는 약 12.5mm입니다. 머리: 검정색이며 밝은 황색 무늬가 있습니다. 뺨과 malar space: 대부분 밝은 황색입니다. 큰턱: 밝은 황색으로 시작해 끝 쪽으로 갈수록 흑황색을 띱니다. 더듬이: 밝은 갈색입니다. 가슴: 검정색이지만 후부 뒷 가두리, 앞가슴등판의 측판 대부분, 목경판은 밝은 황색입니다. 다리: 밝은 갈색이나, 각 다리의 밑마디 등면, 각 도래마디 등면, 넓적다리마디는 검정색입니다. 날개: 투명하며, 연문과 맥은 밝은 갈색입니다. 형태 성충의 몸길이는 14mm 내외이다. 몸은 검은색이고, 머리와 가슴에 노랑 무늬가 있다. 배와 다리는 황갈색이고 배에는 흑갈색의 무늬가 있다. 알의 크기는 3mm 정도이며 담황흑색을 띠며 형태가 ..

느티나무벼룩바구미 [내부링크]

느티나무벼룩바구미 느티나무벼룩바구미는 특정 식물을 기주로 하는 작은 바구미로,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가집니다 크기: 주둥이를 제외한 몸길이는 2.8~3.1mm입니다. 체표: 동일한 갈회색의 미세한 털로 균일하게 덮여 있으며, 긴 계란형의 체형을 가지고 있습니다. 머리: 눈 사이의 앞머리는 더듬이 자루마디보다 약간 좁으며 앞쪽으로 약간 넓어집니다. 주둥이: 굵고 앞가슴등판 길이와 비슷하며, 폭보다 약 3.4배 길다. 앞가슴등판: 길이보다 약 1.3배 넓으며, 옆가두리와 앞가두리에 각각 5~8개 및 6~8개의 거의 곧추선 강모가 있으며, 조밀하게 점각되어 있습니다. 딱지날개: 폭보다 약 1.5배 길며, 각 간실에는 불규칙한 3열의 털이 있고, 점각렬은 1열의 털이 나 있습니다. 다리: 앞다리와 가운뎃다리 넓적..

두점알벼룩잎벌레 [내부링크]

두점알벼룩잎벌레 두점알벼룩잎벌레는 특정 식물을 기주로 하는 곤충으로,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가집니다 크기와 모양: 몸길이는 약 6.0mm, 머리 폭은 0.5mm입니다. 몸의 모양은 납작하고 약하게 휘어져 있습니다. 색상: 몸의 색깔은 흰색이며, 머리, 앞가슴, 기문은 갈색, 다리는 흑갈색입니다. 머리: 하구식 구조이며 둥글고 약하게 경화되어 있습니다. 홑눈은 양쪽에 각각 1개씩 있으며, 내융기선은 선명하게 연결되어 있습니다. 더듬이: 1마디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이마방패와 윗입술: 이마방패는 부등변사변형이며, 2쌍의 강모가 있고, 윗입술에는 9쌍의 강모가 있습니다. 큰턱: 5개의 이빨과 1개의 강모를 가지고 있습니다. 앞가슴등판: 갈색이며, 잘 경화되어 있고 13개의 강모가 있습니다. 다리: 길고 가늘며,..

오리나무잎벌레 [내부링크]

오리나무잎벌레 오리나무잎벌레는 특정 식물을 기주로 하는 작은 곤충으로,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가집니다 크기와 모양: 몸길이는 약 3.1mm, 머리 폭은 0.4mm이며, 몸의 모양은 약하게 굽은 형태입니다. 색상: 몸의 색깔은 적황색이며, 머리, 결절, 다리는 흑갈색입니다. 결절은 융기되어 있습니다. 머리: 하구식 구조이며 둥글고 강하게 경화되어 있습니다. 홑눈은 양쪽에 각각 1개씩 있으며, 내융기선은 선명하게 연결되어 있습니다. 더듬이: 2마디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이마방패: 부등변사변형으로, 2쌍의 강모와 1쌍의 감각기관이 있습니다. 큰턱: 손바닥 모양으로, 강하게 경화되어 있으며 5개의 이빨과 3개의 강모를 가지고 있습니다. 앞가슴등판: 흑갈색이며, 강하게 경화되어 있고 11쌍의 강모가 있습니다. 다리..

참긴더듬이잎벌레 [내부링크]

참긴더듬이잎벌레 참긴더듬이잎벌레는 특정 식물을 기주로 하는 곤충으로,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가집니다 크기와 모양: 몸길이는 약 10.5mm, 머리 폭은 0.82mm입니다. 몸의 모양은 상당히 납작합니다. 색상: 몸의 색깔은 황갈색이며, 머리와 결절은 암갈색, 다리는 적갈색입니다. 등면의 강모는 크림 빛을 띤 노란색으로 곤봉 모양입니다. 머리: 하구식 구조이며 둥글고 약하게 경화되어 있습니다. 홑눈은 양쪽에 각각 1개씩 있으며, 내융기선은 선명하게 연결되어 있습니다. 더듬이: 1마디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이마방패: 3쌍의 강모와 1쌍의 감각기관이 있습니다. 큰턱: 손바닥 모양으로, 강하게 경화되어 있으며 5개의 이빨을 가지고 있습니다. 앞가슴등판: 암갈색이며, 강하게 경화되어 있고 11쌍의 강모가 있습니다...

버들잎벌레 [내부링크]

버들잎벌레 버들잎벌레는 버드나무류를 기주로 하는 곤충으로,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가집니다: 크기와 모양: 몸길이는 약 11.2mm, 머리 폭은 1.2mm입니다. 몸의 모양은 약간 굽은 형태입니다. 색상: 몸의 색깔은 황갈색이며, 머리, 기문, 다리는 흑갈색, 결절은 갈색입니다. 머리: 하구식 구조이며 둥글고 강하게 경화되어 있습니다. 이마에는 3쌍의 강모와 1쌍의 감각기관이 있으며, 내융기선은 선명하게 연결되어 있습니다. 눈과 더듬이: 6개의 홑눈이 잘 발달되어 있으며, 더듬이는 3마디로 구성됩니다. 이마방패와 윗입술: 이마방패는 부등변사변형이며, 윗입술에는 약간의 홈이 나 있고 2쌍의 강모가 있습니다. 큰턱: 손바닥 모양이며, 5개의 이빨과 1개의 강모를 가지고 있습니다. 앞가슴등판: 갈색이며, 강하게 ..

호두나무잎벌레 [내부링크]

호두나무잎벌레 호두나무잎벌레는 특정 식물을 기주로 하는 곤충으로,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가집니다 크기와 모양: 몸길이는 약 7.7mm, 머리 폭은 1.2mm입니다. 몸의 모양은 굽은 C자 형태를 띱니다. 색상: 몸의 주 색깔은 갈색이며, 머리, 앞가슴, 기문, 배의 제7~9마디 등면과 다리는 흑갈색이고, 결절은 갈색입니다. 머리: 하구식 구조이며 둥글고 약하게 경화되어 있습니다. 이마에는 4쌍의 강모가 있고, 내융기선은 선명하게 연결되어 있습니다. 눈과 더듬이: 6개의 홑눈이 잘 발달되어 있으며, 더듬이는 3마디로 구성됩니다. 이마방패: 부등변사변형 구조입니다. 큰턱: 손바닥 모양으로, 5개의 이빨과 2개의 강모, 1개의 감각기관을 가지고 있습니다. 앞가슴등판: 흑갈색으로 강하게 경화되어 있으며, 12쌍의..

큰이십팔점박이무당벌레 [내부링크]

큰이십팔점박이무당벌레 큰이십팔점박이무당벌레는 한국을 포함하여 여러 아시아 지역에 분포하는 곤충으로,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분포: 한국 전국, 일본, 중국, 러시아(시베리아), 네팔, 동남아시아 등에서 발견됩니다. 생태: 애벌레와 성충 모두 감자나 가지과 식물의 잎을 가해합니다. 관찰 기간: 4월부터 10월 사이에 관찰할 수 있으며, 1년에 3번 발생하고 성충이 겨울을 나는 월동종입니다. 유사 종: 이십팔점박이무당벌레와 유사하지만, 몇 가지 차이점이 있습니다. 큰이십판점박이무당벌레는 딱지날개의 검은 무늬가 전반적으로 이십팔점박이무당벌레보다 크며, 무늬의 배열에서도 차이가 있어 세심한 관찰이 필요합니다. 형태 성충의 몸길이는 암컷이 7.5mm, 수컷이 6mm 정도이고 폭은 암컷 6mm, 수컷이..

곱추무당벌레 [내부링크]

곱추무당벌레 피해 수목 물푸레나무, 쥐똥나무 피해 증상 성충과 유충이 5월 하순~9월에 잎 뒷면에서 잎살만 갉아 먹어 그물 모양의 회백색 가해흔을 만든다. 가해 부위는 회백색에서 점차 갈색으로 변해 미관을 크게 해친다. 형태 성충은 몸길이가 4~5.5mm로 반구형의 적갈색이고, 딱지날개의 바탕은 적갈색이며, 검은 무늬가 10개 있다. 노숙 유충은 몸길이가 약 10mm로 담갈색이며 각 마디에 가시와 같이 억센 검은 털이 있다. 생활사 연 1회 발생하며 유충으로 월동한다. 성충은 5월 하순~6월 하순에 나타나고, 유충은 7~8월에 나타난다. 방제 방법 피해 초기에 노발루론 액상수화제 2,000배액 또는 에마멕틴벤조에이트 유제 2,000배액을 10일 간격으로 2~3회 살포한다. 출처 : 곱추무당벌레 (nave..

주둥무늬차색풍뎅이 [내부링크]

주둥무늬차색풍뎅이 절지동물문 곤충강 딱정벌레목에 속하는 곤충입니다. 크기: 몸길이는 약 8.514mm, 몸폭은 4.57.5mm로 긴 알 모양을 하고 있습니다. 색상: 등 쪽은 연한 갈색 또는 적갈색이며, 배 쪽은 회흑색 또는 흑색입니다. 일부 개체에서는 등 쪽도 짙은 흑갈색일 수 있습니다. 머리방패: 짧고 넓게 둥글며, 앞과 옆 테두리는 가늘게 반전되어 테두리 모양을 띱니다. 체표 점각: 머리, 앞가슴등판, 딱지날개의 점각은 거칠고 조밀하지 않으며, 황백색 짧은 강모를 동반합니다. 앞가슴등판: 양옆 중앙 앞쪽이 좁아지며, 후각은 둔하나 모서리가 뚜렷합니다. 딱지날개: 양쪽 거의 중앙에 10여 개의 백색 강모 뭉치가 길이 방향으로 배열되어 있지만, 쉽게 탈락할 수 있습니다. 서식지: 한국 전역을 포함하여 ..

'IT 시스템의 정석' 서평 [내부링크]

'IT 시스템의 정석' 서평 늘 이런 책들에 관심이 있었지만 늘 외면 했던게 사실인데 우연한 기회에 서평단에 선정되어 읽어봤다. 이 책은 책 제목대로 시스템을 기획하고 개발하고 운용과 유지보수하는 대헤 아주 쉽고 상세하게 알려주고 있다. 그림과 사례를 기반으로 설명하고 있어 이해하기 쉬웠고 개발자로서 간과했던 부분과 PM 이었을때 시도해 볼만한 내용들이 있어 나에게 정말 유익한 책이었다. 내용을 간단히 정리하면 기획 단계: 요구사항 분석: 프로젝트의 목표와 필요성을 명확히 이해하고, 사용자 요구사항을 분석한다. 자원 할당 및 일정 계획: 필요한 자원(인력, 기술, 재정)을 할당하고, 일정을 계획한다. 위험 관리 계획: 잠재적 위험을 식별하고, 대응 전략을 수립한다. 개발 단계: 설계: 시스템의 아키텍처,..

'역행자' 서평 [내부링크]

'역행자' 서평 자기 개발서를 언제부턴가 읽지 않았다. 읽는 게 중요한 게 아니라 실천하는 게 중요한 건데 읽어봤자 실천하지 않는 나 자신을 보면서 개발서는 나에게 별로 의미가 없구나라는 생각이 들었다. 또한 개발서는 늘 비슷한 얘기만 하고 있어서 내용이 다 비슷하다고 생각했다. 하지만 요즘 블로그 활동을 하면서 조금씩 수익을 얻어가고 있는 와중에 지인분이 나와 같은 사람들이 읽으면 좋을 책이라고 하면서 추천해 주었다. 블로그로도 성공을 한 분의 책이라 어찌보면 내가 가야 할 길과도 비슷해서 책을 읽는데 거부감 없이 첫 장을 넘길 수 있었다. 이 책에서는 역행자의 7단계 모델을 설명하고 있다. 1. 자의식 해체 자의식은 어떤 불리한 상황을 자기합리화를 통해 정당화하는 걸 의미한다. 자신이 부족한 부분을 ..

'임베디드 소프트웨어 베이직 with 라즈베리 파이' 서평 [내부링크]

'임베디드 소프트웨어 베이직 with 라즈베리 파이' 서평 임베디드라하면 뭔가 친밀하지 못한 느낌이 듭니다. 어려워보이고 뭔가 이해할수 없는 기계언어적인 느낌이 드는게 사실입니다. 하지만 늘 해보고 싶은 마음은 있었는데 좋은 책을 만나게 된것 같습니다. 몇 년 전부터 라즈베리파이와 아두이노를 사용하여 임베디드 프로그래밍을 통해 다양한 프로젝트를 시도해왔습니다. 처음에는 코딩이 낯설고 어려웠지만, 코딩이 더 직관적이라는 것을 깨달았습니다. 0과 1의 조합으로 원하는 출력이나 움직임을 제어하는 것은 회로와 전선을 연결하여 신호를 주고 LED에 표시하는 것처럼 단순하지만 흥미로웠습니다. 이 책에서는 임베디드 소프트웨어에 대한 개념을 상세히 설명하고 있습니다. 임베디드 소프트웨어는 하드웨어를 제어하는 소프트웨어..

'챗GPT 일하는 방식을 바꿔라' 서평 [내부링크]

'챗GPT 일하는 방식을 바꿔라' 서평 이제는 ChatGPT가 업무 활용에서 필수 도구로 자리 잡았습니다. 초기에는 발전을 막아보려는 시도도 있었지만, 결국 자연스러운 흐름을 따라가며 점점 발전해 나가고 있습니다. 코딩을 몰라도 웹사이트를 구축하거나 공식을 몰라도 원하는 결과를 얻을 수 있게 되었습니다. 하지만 챗GPT의 한계 중 하나는 '할루시네이션'입니다. 사람이라면 상대방의 질문이 모호하면 질문의 의도를 파악하기 위새 질문을 재요청하면서 정확한 답을 준비하는 과정을 거칠 것입니다. 그러나 챗GPT는 잘못된 질문에도 그에 맞는 답을 생성하도록 되어 있습니다. 이로 인해 실제로는 없는 일이나 책 내용을 만들어내기도 합니다. 이러한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메타인지 기능을 도입하려는 연구가 진행 중입니다. ..

'쳇 GPT 활용 AI 교육 대전환' 서평 [내부링크]

'쳇 GPT 활용 AI 교육 대전환' 서평 코로나 19 팬데믹으로 인해 원격 교육이 도입되며 온라인 플랫폼을 통한 비대면 교육이 활성화되었습니다. 그리고 현재는 쳇 GPT와 같은 인공지능 기술이 등장하여 교육 분야에서의 혁신을 예고하고 있습니다. 이 책은 이러한 변화의 맥락에서 우리가 가져야 할 지식을 제공하며, 쳇 GPT를 교육에 활용할 때 필요한 주의사항을 안내합니다. 첫째로, 쳇 GPT와 같은 생성형 인공지능의 답변을 무조건적으로 신뢰하지 말고 참고용으로 활용하고, 필요한 경우 재확인해야 합니다. 생성형 인공지능은 거짓 정보를 생성할 수 있으므로 항상 확인이 필요합니다. 더불어, 구체적이고 명확한 요구사항이 담긴 질문을 사용해야 합니다. 이렇게 하면 보다 정확하고 유용한 답변을 얻을 수 있습니다. ..

'빙 & 챗GPT를 믹스Mix하라' 서평 [내부링크]

'빙 & 챗GPT를 믹스Mix하라' 서평 이 책은 처음에는 가장 기본적인 Bing과 ChatGPT의 활용을 위해 필요한 준비 사항들을 알려줍니다. 어떻게 결제를 진행해야 하는지부터 시작하여 정확한 답변을 얻기 위한 다양한 옵션과 확장 기능들을 소개합니다. Bing과 ChatGPT는 다양한 분야에서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습니다. 정보 및 자료 검색, 업무 조언, 문서 작성 및 편집 작업, 이미지 검색 및 생성 작업, 업무 프로세스 자동화, 기술 지원 등에 활용할 수 있습니다. 이처럼 Bing과 ChatGPT는 현대에서 필수적인 도구로 자리 잡고 있습니다. 개발 과정에서도 마치 옆에 조수가 있는 것처럼 느껴질 만큼의 도움을 줍니다. 아이디어 도출과 개발 시간 단축에 큰 도움이 되고 있습니다. 그러나 때로는 ..

'CUDA 기반 GPU 병렬 처리 프로그래밍' 서평 [내부링크]

'CUDA 기반 GPU 병렬 처리 프로그래밍' 서평 CUDA는 이전에 파이썬을 이용해 딥러닝 공부할 때 사용해 본 적이 있습니다. 그때는 이미지를 분석하고 비교할 때 사용했는데 CPU와 비교했을 때 정말 빠른 속도를 보여줬던 게 기억납니다. 지금은 그때보다 그래픽 카드의 CUDA의 연산 코어수가 늘어났고 AI 기술이 발달하여 더 빠른 속도를 보여주고 양질의 데이터를 생산하고 있습니다. 이 책은 CUDA GPU 병렬처리의 기본 개념을 자세히 설명하고 있습니다. 선형적 속도 향상과 병렬처리 알고리즘의 확장성과 같은 용어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 상세한 설명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일부 수학 공식은 이해하기 어려웠습니다. 아래표가 정말 명확하게 CPU와 GPU 에 대해서 비교 설명을 합니다. CPU GP..

'디지털 트렌드 2023' 서평 [내부링크]

'디지털 트렌드 2023' 서평 코로나로 인해 디지털 시대는 더 빠르게 발전한 것 같다. 그중에서도 책에서 제시한 인공지능, 디지털 노마드, 메타버스, 빅데이터 등은 더 피부로 와닿았던 것 같다. 인공지능은 각 나라 측면에서도 더 나은 인공지능을 만들기 위해 경쟁중이며 언젠가는 영화에서 보던 휴머노이드 로봇을 곧 볼 수 있을 것 같다. 디지털 노마드는 코로나로 인해 재택근무가 늘어가면서 가상 사무실, 화상 채팅등 정말 엄청난 발전을 이루었다. 본인도 코로나로 인해 몇 달간 재택근무를 하면서 꼭 출근하지 않아도 업무 하는 데는 아무런 지장이 없음을 깨달을 수 있었다 점점 일할 수 있는 공간의 제약은 아예 없어질 것 같다. 메타버스 또한 코로나 시대를 겪으면서 사람과의 직접적인 만남이 줄고 사이버 공간에서의..

해장죽, 해장죽의 효능 [내부링크]

해장죽 해장죽은 주로 사찰이나 바닷가 마을 집 주변에 식재하여 자라는 상록성 목본성 여러해살이풀입니다. 이 식물은 마치 오랜 지혜와 인내를 상징하는 듯, 곧게 서며 원줄기 높이가 6~7미터, 굵기는 1~3cm 정도로 자랍니다. 마디 간격이 약간 긴 이 줄기는, 마치 시간의 흐름을 견디는 모습을 보여줍니다. 해장죽의 잎집 모양의 포는 가지가 자란 뒤에도 떨어지지 않아, 마치 과거의 기억을 간직한 채 현재를 살아가는 듯한 인상을 줍니다. 가지는 마디에서 여러 개가 나와, 마치 여러 길을 모색하는 탐험가처럼 다양한 방향으로 성장합니다. 해장죽의 잎은 선형~긴 피침형으로 길이가 15~30cm, 너비는 1~3cm에 이르며, 털이 없습니다. 잎의 표면은 녹색이고 뒷면은 회녹색으로, 자연의 풍부한 색감을 드러냅니다...

으름덩굴, 으름덩굴의 효능 [내부링크]

으름덩굴 으름덩굴은 낙엽성 덩굴나무로, 자연의 탐험가처럼 길이 10~20미터에 이르는 긴 줄기를 가지고 있습니다. 이 덩굴나무는 마치 다재다능한 예술가처럼 어긋난 잎을 통해 다양한 모양과 색채를 자랑합니다. 작은 잎 5장으로 이루어진 손바닥 모양의 겹잎은 자연의 섬세한 손길을 상징합니다. 이 작은 잎들은 난형 또는 타원형으로, 길이 3~6cm, 폭 1~2cm의 크기로 자라며, 끝이 오목하고 가장자리는 밋밋합니다. 으름덩굴은 4~5월에 암수한그루로 꽃을 피웁니다. 이 꽃들은 연한 자주색의 아름다운 모습을 하고 있으며, 잎겨드랑이에서 난 총상꽃차례에 달립니다. 꽃받침잎은 꽃잎처럼 보이며 3장이며, 수꽃은 꽃차례 위쪽에 달리고, 수술 6개가 서로 떨어져 있습니다. 암꽃은 수꽃보다 크며, 꽃차례 아래쪽에 달리고..

오미자, 오미자의 효능 [내부링크]

오미자 오미자는 붓순나무목 오미자과에 속하는 관속식물로, 햇볕이 잘 드는 숲 가장자리의 습기가 있는 곳에서 자라는 낙엽 활엽 덩굴나무입니다. 이 덩굴나무는 마치 자연의 음악가처럼 여러 방향으로 자유롭게 가지를 뻗으며, 갈색의 줄기로 자연 속에 아름다운 선율을 만들어냅니다. 오미자의 잎은 어긋나며 홑잎으로, 넓은 타원형, 도란형 또는 긴 타원형의 형태를 취합니다. 각 잎은 길이 7~10cm, 폭 3~5cm의 크기로 자라며, 가장자리에는 마치 예술 작품의 섬세한 브러시 터치처럼 이 모양의 톱니가 있습니다. 잎 뒷면에는 맥 위에 털이 자라, 자연의 섬세함을 더해줍니다. 잎자루는 1.5~3.0cm의 길이로 자랍니다. 5~6월이 되면 오미자는 흰색 또는 연한 분홍색의 꽃을 피워내며, 이 꽃들은 지름 1.5cm 정..

예덕나무, 예덕나무의 효능 [내부링크]

예덕나무 예덕나무는 바다가 보이는 해안가, 햇볕이 잘 드는 산기슭이나 골짜기, 황무지와 개간지에서 자라는 낙엽 활엽의 작은 큰키나무입니다. 자연의 강인함을 상징하듯, 이 나무는 2~6미터의 높이로 우뚝 서 있습니다. 어린 예덕나무의 줄기는 별 모양의 비늘털로 덮여 있으며, 붉은빛을 띠는 것이 마치 생명의 활력을 상징하는 듯합니다. 시간이 흐르면서 줄기는 점차 회백색으로 변해갑니다. 굵은 가지와 회백색의 나무껍질도 이 나무의 뚜렷한 특징입니다. 예덕나무의 잎은 어긋나고, 난상 원형, 난형 또는 긴 난형으로 자라며, 잎끝은 점차 뾰족해집니다. 잎 표면에는 적색 샘털이 있어 마치 작은 보석들이 박혀 있는 듯하고, 뒷면은 황갈색으로 샘점이 있습니다. 잎 가장자리는 밋밋하거나 얕게 3~4개로 갈라지며, 길고 붉은..

사람주나무, 사람주나무의 효능 [내부링크]

사람주나무 해안가의 산 중턱이나 골짜기에서 자라는 사람주나무는 마치 자연의 조용한 관찰자처럼 4~6미터의 높이로 우뚝 서 있습니다. 이 낙엽 활엽 작은큰키나무는 회백색을 띤 줄기와 겨울이 되면 비늘조각으로 싸인 눈을 가지고 있어, 마치 겨울의 추위를 견디기 위한 준비를 하는 듯한 모습을 보여줍니다. 사람주나무의 잎은 길이 7~15cm, 너비 5~10cm의 타원형 또는 도란상 타원형으로, 마주나며 자라는데, 이는 마치 서로 마주보며 대화하는 듯한 모습입니다. 잎끝은 뾰족하고 가장자리는 밋밋하며, 측맥 끝에는 마치 작은 보석처럼 샘점이 있습니다. 잎자루는 길이 2~3cm로, 털이 없고 잎과 닿는 부분에는 샘점이 두 개 있습니다. 어린 가지와 잎자루는 흔히 자줏빛을 띠며, 자르면 마치 상처에서 피가 나오듯 유..

맹종죽, 맹종죽의 효능 [내부링크]

맹종죽 1926년 하청면의 신용우씨가 일본 산업시찰 후 귀국 시 3주의 맹종죽을 성동마을 자기 집 앞에 심게 된 것이 최초에 시작이 되었습니다. 거제 맹종죽은 중국 원산지의 대나무로, 죽순을 식용으로 사용해 죽순대라고 불립니다. 4월~ 5월 초까지 발순하며 죽순껍질은 흑갈색 반점이 있고 마디는 일륜상으로 마디 주변에만 흰색가루가 밀생해 있습니다. 죽순은 단맛을 내며 식이섬유가 풍부하며 잎의 크기는 왕대나 솜대보다 작습니다. 내한성이 약한 남부 일부지역에서 재배되며, 우리나라 맹종죽의 80% 이상이 바로 거제에서 생산되고 있습니다. 호남죽, 죽순죽, 일본죽, 모죽이라고도 한다. 높이 10~20M, 지름 20Cm 정도로 대나무 중 가장 굵으며 산지는 한반도 남부지역으로 죽피에 흑갈색의 반점이 있는데다 윤기가..

솜대, 솜대의 효능 [내부링크]

솜대 분죽, 중국의 남부지방에서 자란 목본성 여러해살이풀은 마치 오랜 여행자처럼 자신의 땅속줄기를 촘촘하게 펼치며 길게 뻗어나가, 새로운 땅을 탐험한다. 이 식물은 자신의 원줄기로 하늘을 향해 4~8미터까지 우뚝 서며, 굵기는 5cm에 달할 정도로 강인하다. 분죽의 줄기는 마치 시간의 흐름을 따라 변화하는 듯 짙은 누런색으로 변하며, 마디는 튀어나와 마치 자신만의 개성을 드러내듯 당당하다. 포는 잠시 자신의 모습을 드러내다가 곧 사라진다. 가지는 마치 화려한 장식처럼 마디에서 2~3개씩 달리고, 잎은 1~5개씩 달려 있으며, 긴 피침형의 잎몸은 길이 7~10cm, 너비 12mm로 자랑스럽게 자신의 모습을 유지한다. 분죽의 꽃은 5~7월에 피지만, 그 모습을 찾아보기는 쉽지 않다. 꽃차례는 3.5~5.0c..

왕대, 왕대의 효능 [내부링크]

왕대왕대, 또는 참대로 알려진 이 식물은 사초목 벼과에 속하는 관속식물로, 중국이 고향이다. 이 식물은 마치 모험을 좋아하는 탐험가처럼 길게 뻗은 땅속줄기로 여러 곳을 여행하며 자신의 영역을 넓혀간다. 그의 원줄기는 무려 20미터에 달하는 높이로 자라, 마치 하늘을 향해 뻗어가는 듯한 모습을 하고 있다. 왕대의 줄기는 짙은 녹색에서 누런색으로 시간이 흐르면서 변화하는데, 이는 마치 계절의 변화를 따라가는 듯하다. 포는 잠깐동안만 자신을 드러내고 이내 사라진다. 가지는 마치 화려한 패션 액세서리처럼 마디에서 2~3개씩 나와 자신의 모습을 뽐낸다. 잎은 3~7개씩 달리며, 긴 피침형의 모습으로 길이 10~20cm, 너비 12~20mm의 크기를 자랑한다. 잎집 입구에는 단단한 털이 5~10개 달려 있어, 마치..

자금우, 자금우의 효능 [내부링크]

자금우 숲 속에서 상록 작은떨기나무로 자라나요. 땅속줄기는 옆으로 뻗어 있고, 줄기는 밑부분에서 비스듬하게 서며, 높이는 15~30cm 정도입니다. 잎은 어긋나지만 윗부분에서는 돌려낸 것처럼 보이며, 가죽질이고 윤도 나타납니다. 잎몸은 타원형 또는 난형으로 길이는 6~13cm, 폭은 2~5cm이고, 가장자리에는 잔 톱니가 있어요. 꽃은 5~6월에 잎겨드랑이에서 우산살 모양으로 달려 밑으로 처지며, 흰색이에요. 꽃부리는 5갈래로 깊게 갈라지고, 지름은 6~8mm 정도입니다. 수술은 5개이며 꽃잎에 마주 붙어 있어요. 열매는 둥근 핵과이며, 지름은 5~6mm이고 9월에 붉게 익어 다음 해 봄까지 갑니다. 이 나무는 대한민국의 인천광역시, 충청남도, 전라북도, 서·남해안 섬, 경상북도 울릉도, 제주도 등에서 ..

백량금, 백량금의 효능 [내부링크]

백량금 진달래목 자금우과에 속하는 식물이에요. 이 작은 상록성 나무는 주로 따뜻한 지역의 숲 속 그늘에서 자랍니다. 줄기는 약 1m 정도로 자라며 윗부분에서 가지가 갈라지기도 해요. 잎은 어긋나고 길이 7~12cm, 폭 2~4cm인 긴 타원형으로, 짙은 초록빛이며 윤도 돌아가죠. 잎 가장자리의 둔한 톱니 사이에는 샘털이 자리해 있어요. 잎자루는 길이 5∼10mm 정도입니다. 꽃은 양성화로, 6~8월에 흰색으로 피는데, 잎이 달린 가지 끝에 산형꽃차례로 달려 있어요. 열매는 핵과로 둥글며 9월에 붉은색으로 익어 다음 해 꽃이 필 때까지 달려 있답니다. 이 식물은 왕백량금과 구분되기도 하는데, 왕백량금은 줄기가 높이 2m, 잎 길이가 12cm 정도이고 잎 가장자리에 물결 모양의 톱니가 있는 특징이 있어요. ..

마삭줄, 마삭줄의 효능 [내부링크]

마삭줄 이 식물은 용담목 협죽도과에 속하는데, 줄기는 약 5m까지 자란다. 잎은 마주나며 가죽질이며, 타원형 또는 난형으로 길이는 3~6cm, 폭은 1.5~3.0cm이다. 잎의 양 끝은 뾰족하고 가장자리는 밋밋하다. 앞면은 짙은 녹색이며 윤이 돌아가는데, 변이가 많이 있다. 꽃은 5~6월에 피는데 줄기 끝과 잎겨드랑이에 취산꽃이 차례로 달리며 흰색에서 노란색으로 변한다. 꽃부리는 5갈래로 갈라지며, 수술은 5개이다. 꽃밥은 꽃부리통 밖으로 나오고, 열매는 골돌과 원통형으로 길이는 12~22cm이고 2개씩 붙는다. 이 덩굴나무는 산기슭의 숲이나 바위에 부착뿌리로 붙어서 상록성으로 자라난다. 털마삭줄과는 다르게 수술이 꽃부리통 위쪽에 붙고, 꽃밥은 꽃부리에서 현저히 나오며, 꽃받침은 소형으로 꽃부리의 좁은 ..

협죽도, 협죽도의 효능 [내부링크]

협죽도 이 나무는 인도와 유럽 동부에서 자란다. 주로 관상용으로 사용되며, 민가 주변에 심어져 상록 떨기로 높이 3m 정도 자란다. 가지는 적갈색이며 약간의 털이 있다. 잎은 길이 7~15cm, 폭 8~12mm로 돌려나며, 두꺼우며 가장자리는 밋밋하다. 꽃은 7~8월에 피는데 가지 끝에서 취산꽃이 달리며, 분홍색 또는 흰색이다. 꽃받침은 5갈래로 깊게 갈라지고, 꽃부리는 5갈래로 수평으로 퍼져 있으며 뒷부분에는 실 같은 부속체가 달려 있다. 열매는 길이가 10cm 정도인 골돌 모양이다. 씨에는 연한 갈색 털이 밀생한다. 이 나무는 남부지방에서 주로 식재되며, 나무껍질과 뿌리는 강심제로 사용된다. 마삭줄속에 비해 목본이 직립하고, 잎이 돌려져 있어서 다른 나무와 쉽게 구별된다. 관상용으로 심으며, 나무껍질..

쉬나무, 쉬나무의 효능 [내부링크]

쉬나무 무환자나무목 운향과에 속하는 관속식물이다. 해발고도가 낮은 건조한 산기슭이나 마을 근처 민가 주변에서 자라는 낙엽 활엽 작은큰키나무 또는 큰키나무이다. 줄기는 높이 10~20m, 짙은 회색이고 나무껍질은 매끄럽다. 어린가지는 회색을 띤 갈색으로 잔털이 있으나 점차 없어진다. 2년생 가지는 붉은색을 띤 갈색이며 껍질눈이 있다. 잎은 마주나고 기수 1회 깃꼴겹잎으로 7~11장의 작은잎으로 되어 있으며, 끝이 둔한 타원형 또는 난형으로 가장자리에 샘점과 잔거치가 있다. 잎 뒷면은 회녹색이며, 맥 겨드랑이에 꼬부라진 털이 있다. 꽃은 8월에 잡성화 또는 암수딴그루로 피며, 흰색이다. 산방상 원추꽃차례는 가지의 끝부분에 달리며, 털이 밀생한다. 헛수술 5개가 있다. 열매는 둥근 삭과이고 10월에 붉은색으로..

대벌레 [내부링크]

대벌래 대벌레목 대벌레과에 속하는 곤충이다. 몸은 길이 70~100mm이고, 녹색 또는 황갈색이다. 머리는 앞가슴보다 길고 앞쪽이 뚜렷하게 굵으며, 암컷은 머리꼭대기에 1쌍의 가시가 있다. 실 모양의 더듬이는 매우 짧아서 앞다리 종아리마디의 절반 정도이다. 앞가슴은 작으나 너비보다 길고 가로홈과 세로홈이 뚜렷하다. 가운데가슴은 앞가슴의 약 5배나 길며 중앙의 세로로 융기한 선은 가늘고 뚜렷하다. 뒷가슴은 가운데가슴보다는 짧다. 숲속의 나무나 풀에 서식하며 상수리나무, 참나무 등 활엽수 잎을 먹는다. 성충은 5~10월에 걸쳐 출현한다. 연 1회 발생하며 7월부터 늦가을까지 땅 위에 산란한다. 알 상태로 겨울을 나고 봄에 부화한다. 불완전변태를 하며 환경 조건에 따라 단위생식을 한다. 적의 습격을 받으면 다..

시무나무, 시무나무의 효능 [내부링크]

시무나무 산기슭이나 개울가에서 자라는 큰키나무로, 높이는 약 20m에 달하고 지름은 2m 정도입니다. 나무껍질은 깊게 갈라지며, 가시 같은 짧은 가지가 특징입니다. 잎은 어긋나면서 긴 타원형을 띠며, 길이는 3~6cm, 폭은 1.7~2.6cm 정도입니다. 잎의 끝은 둔하게 뾰족하고, 밑은 얕은 신장형이며, 가장자리에 고른 톱니가 있습니다. 잎자루는 길이 24mm이며, 잔털이 있습니다. 측맥은 815쌍이 존재하며, 턱잎은 긴 타원형으로 일찍 떨어집니다. 꽃은 4~5월에 어린 가지의 잎겨드랑이에 1~4개씩 피고, 꽃자루는 길이 1~4mm로 털이 없습니다. 화피는 길이 1~2mm이며, 4~5갈래로 갈라지게 됩니다. 열매는 시과로, 길이는 5~6mm이고, 한 쪽에만 날개가 발달하며, 6월에 익어 8~9월까지 붙..

삼지닥나무, 삼지닥나무의 효능 [내부링크]

삼지닥나무 중국이 원산지이며 민가 근처에서 주로 관상용이나 섬유로 활용하기 위해 식재되는 낙엽 떨기나무입니다. 이 나무의 줄기는 일반적으로 높이 1~3미터에 달하며 가지는 갈라집니다. 잎은 어긋나면서 피침형이며, 길이는 8~15cm이고, 폭은 2~4cm 정도로 얇습니다. 잎의 양면에는 많은 털이 나타나는데, 특히 뒷면에 더욱 많이 분포합니다. 잎자루는 길이 5~8mm이며, 털이 난다는 특징이 있습니다. 꽃은 3~4월에 피는데, 잎보다 먼저 묵은 가지에서 난 머리모양의 꽃차례에 달리며 밑을 향하고, 노란색을 띠고 있습니다. 꽃받침통은 끝이 4갈래로 갈라져 꽃잎과 유사한 외형을 갖추며, 길이는 1.2~1.5cm 정도이고, 안쪽은 연한 노란색이며 흰색의 연한 털이 많이 나타납니다. 수술은 총 8개로, 그 중 ..

박쥐나무, 박쥐나무의 효능 [내부링크]

박쥐나무 산지 숲속에서 상대적으로 희귀하게 자라는 작은큰키나무 또는 떨기나무로 알려져 있습니다. 이 나무의 줄기는 일반적으로 3~6미터 정도의 높이를 가지고 있습니다. 잎은 어긋나며, 둥근 형태 또는 오각형으로 나타나며 길이와 폭이 각각 7~20cm입니다. 잎은 위쪽에서 3 또는 5갈래로 갈라지고, 뾰족한 꼬리 모양으로 끝납니다. 잎자루의 길이는 2~10cm입니다. 이 나무는 6~7월에 꽃이 핀다. 꽃은 잎겨드랑이에서 나온 꽃대에 1~4개씩 취산꽃차례로 달리며, 아래로 향하고, 노란빛이 도는 흰색을 띕니다. 꽃자루에는 마디가 있으며, 꽃받침은 둥근 고리 모양이고 4~10개의 얕게 갈라진 갈래를 가지고 있습니다. 꽃잎은 6장으로 선형이며, 길이는 3.0~3.5cm이고 뒤로 말립니다. 수술은 12개로 길이는..

딱총나무, 딱총나무의 효능 [내부링크]

딱총나무 국, 중국, 일본, 우수리와 같은 지역에서 발견되는 낙엽 활엽 관목으로 주로 산골짜기에서 자라는 식물입니다. 이 나무의 높이는 보통 3미터 정도이며, 줄기의 내부는 어두운 갈색을 띕니다. 딱총나무의 잎은 마주 나오며, 기본적으로 2-3쌍의 작은잎으로 된 한 개의 잎으로 이루어진 1회 우상복엽입니다. 작은잎은 길이가 5-14cm로 긴 타원형 또는 타원 모양의 난형을 가지며, 끝은 뾰족하고 밑면은 날카롭고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습니다. 딱총나무의 꽃은 5월에 핀다. 꽃들은 돌기를 가지고 있으며, 짧은 원추꽃차례를 이룹니다. 꽃의 화관은 황록색이고 털이 없으며, 꽃밥은 황색입니다. 이 나무의 열매는 핵과로 이루어져 있으며, 공 모양이며 7월에 붉게 익습니다. 딱총나무의 효능 뼈건강: 딱총나무는 칼슘이 ..

대팻집나무, 대팻집나무의 효능 [내부링크]

대팻집나무 낙엽활엽교목으로 높이 15m에 이른다. 잎은 짧은 가지에 어긋나며, 얇고, 넓은 난형 또는 타원형, 길이 3-10cm, 너비 3-5cm, 가장자리에 톱니가 조금 있다. 꽃은 5-6월에 암수딴그루로 피며, 녹백색이다. 수꽃은 5-40개씩, 암꽃은 1-10개씩 핀다. 열매는 둥근 핵과로 붉게 익는다. 교목으로, 낙엽성이며, 자웅이주이고, 키 15 m에 달한다. 어린 가지는 회색 또는 갈색으로, 표면에 털이 없으며, 곁가지는 거의 자라지 않고, 수피는 회색 또는 회갈색을 띤다. 잎은 정단부의 짧은 가지에 다발로 뭉쳐나며, 광난형 내지 타원형이고, 3-10×2-5cm, 예두이며, 둔저 내지 예저이고, 가장자리에 미세한 거치가 있으며, 막질로, 상면에는 털이 없거나 성긴 털이 분포하고, 하면에는 엽맥을..

노간주나무, 노간주나무의 효능 [내부링크]

노간주나무 측백나무목 측백나무과에 속하는 상록성 나무로, 산지의 능선이나 주변 양지 바르게 자라는 침엽 큰 나무입니다. 노간주나무는 주로 높이가 8m에 이르며, 줄기의 겉껍질은 세로로 얕게 갈라진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 나무의 잎은 3장씩 돌려나며, 선형적인 형태로 길이는 12~20mm이며, 3개의 능선이 있습니다. 노간주나무의 꽃은 4월에 작년 가지의 잎이 떨어진 잎마디에 달리며, 수구화수는 타원 모양으로 녹색을 띠고 있습니다. 열매는 구과 형태이며, 공 모양 또는 타원 모양으로 지름은 약 7~8mm 정도입니다. 씨는 달걀 모양이며, 갈색이고, 기름선이 있습니다. 노간주나무는 다른 향나무속 식물과 비교하여 바늘 모양의 잎만 가지고 있는데, 향나무속의 다른 나무들은 대부분 비늘 모양의 인엽과 바늘 ..

과민성장증후군 [내부링크]

과민성장증후군 개요 과민성장증후군은 적어도 6개월 이상 복통과 배변 습관의 변화가 반복적으로 나타나는 만성적인 기능성 위장관질환입니다. 엑스선 검사와 복부 컴퓨터 단층촬영 같은 영상의학 검사와 대장내시경 검사를 받아도 복통의 원인이 될 만한 기질적인 질환을 발견할 수 없습니다. 최근 연구에서는 과민성장증후군 환자들이 건강한 사람보다 불안과 우울증 같은 정신질환을 더 겪는다고 합니다. 개요-정의 의사들이 진료와 연구에 참고하는 로마기준 IV에서는 6개월 전부터 시작되고 적어도 지난 3개월 동안 일주일에 1번 이상 반복적인 복통이 배변 횟수의 변화 및 변의 모양 변화와 동반된 경우로 정의합니다. 일반적으로는 기질적인 질환 없이 복통, 복부 불편감, 배변 습관의 변화, 복부팽만 등의 증상이 적어도 6개월 동안..

고혈압망막병증 [내부링크]

고혈압망막병증 개요 망막이란, 사진기의 필름에 해당되는 안구 내 얇은 신경조직으로 안구의 뒤쪽 내벽에 붙어 있습니다. 눈에 들어오는 빛이 각막과 수정체에서 굴절되어 망막에 상을 맺게 됩니다. 우리 신체에서 동맥, 세동맥, 모세혈관, 세정맥, 정맥 등 모든 종류의 혈관을 직접 관찰할 수 있는 유일한 조직이 망막입니다. 따라서 망막검사를 통해 고혈압으로 인한 미세한 혈관 변화까지도 관찰할 수 있습니다. 망막의 세동맥은 심장과 뇌의 세동맥과 비슷한 특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따라서 고혈압에 의한 망막의 혈관 변화를 관찰함으로써, 고혈압에 의한 심장과 뇌의 혈관 변화 또한 유추할 수 있어 심장혈관질환과 뇌출혈관질환의 위험도 평가에 도움이 됩니다. 고혈압이 진행되면 눈의 망막혈관에도 변화가 초래되어 망막의 출혈, ..

귀룽나무, 귀룽나무의 효능 [내부링크]

귀룽나무 장미목 장미과에 속하는 관속식물로, 주로 숲, 삼림의 가장자리, 경사지, 계곡, 물가 주변 등에서 자라는 낙엽 큰키나무입니다. 이 나무의 줄기는 보통 높이 10~20m에 달하며, 잎은 어긋나는 형태로 나타나며, 주로 도란형이나 타원형을 띠며 길이는 6~12cm, 폭은 3~6cm 정도입니다. 잎의 가장자리는 날카로운 톱니로 이루어져 있으며, 잎자루는 길이가 1~2cm이며, 위쪽에 샘점이 나타납니다. 귀룽나무의 꽃은 주로 4~6월에 새 가지 끝에 총상꽃차례 형태로 모여 달리며, 꽃의 색깔은 흰색이고 지름은 1.0~1.5cm 정도입니다. 꽃차례는 길이가 10~20cm이며, 20~30개의 꽃이 달리며, 아래쪽에는 잎이 달려 있습니다. 꽃자루는 약 1cm 정도의 길이를 가지며, 꽃대와 함께 털이 있습니다..

개옻나무, 개옻나무의 효능 [내부링크]

개옻나무 개옻나무는 주로 산지 숲속에 서식하는 낙엽 떨기나무 또는 작은큰키나무로, 일반적으로 4~10m 정도의 높이를 가지는 나무입니다. 이 나무의 잎은 주로 어긋나며, 작은잎은 13~17장으로 구성된 홀수깃꼴겹잎으로 길이는 25~45cm 정도입니다. 작은잎은 타원형을 띠며, 길이는 5~10cm, 폭은 3~5cm로 가장자리는 주로 밋밋합니다. 개옻나무는 주로 5~6월에 암수딴그루에 노란빛을 띤 녹색의 꽃을 피우는데, 이 꽃은 잎의 겨드랑이에서 길이 15~30cm 정도의 원추꽃차례에 나타나며, 꽃차례에는 털이 많이 있습니다. 열매는 핵과 형태로, 둥글며 지름은 5~6mm 정도이며, 9~11월에 익습니다. 이 나무는 우리나라 전역에서 발견될 수 있으며, 러시아, 일본, 중국 등의 지역에도 분포합니다. 다른 ..

팥꽃나무, 팥꽃나무의 효능 [내부링크]

팥꽃나무 주로 서해안과 남해안 지역의 바닷가 주변 숲 또는 산기슭 풀밭에서 드물게 발견되는 낙엽 떨기나무입니다. 일반적으로 높이는 0.5~1.0m 정도이며, 줄기는 자갈색을 띠고, 새가지는 가늘고 털로 덮여 있습니다. 팥꽃나무의 잎은 주로 마주나지만 가끔 어긋나기도 합니다. 잎몸은 주로 피침형을 띠며, 길이는 약 2~6cm 정도입니다. 이러한 잎은 가장자리가 비교적 밋밋하며, 양면에 약간의 털이 있습니다. 꽃은 주로 3~5월에 나기 이전에 피는데, 지난 해 가지 끝에 연한 자홍색 꽃이 3~7개씩 우산 모양으로 달립니다. 꽃자루에도 털이 있습니다. 꽃받침은 꽃잎과 비슷한 모양으로 통 모양을 띄며, 길이는 1cm이고, 끝 부분이 4갈래로 갈라집니다. 수술은 주로 4~8개가 나며 2줄로 배열됩니다. 꽃밥은 황..

두충, 두충의 효능 [내부링크]

두충 두충목 두충과에 속하는 식물로, 주로 산과 들에서 자라는 낙엽활엽교목입니다. 일반적으로 높이는 약 10m 정도이며, 줄기는 많은 가지를 내며 수피는 갈색을 띄고 종종 회백색을 가집니다. 두충의 잎은 대개 마주나게 배치되며, 주로 타원형을 띠며 길이는 5~16cm, 너비는 2~7cm 정도입니다. 이러한 잎의 끝은 뾰족하며 밑부분은 둥글고 불규칙한 톱니가 있습니다. 잎 양면에는 털이 거의 없지만, 잎의 주요 특징인 잎 가장자리에 예리한 톱니가 있습니다. 두충의 꽃은 암수딴몸으로 5월에 잎의 겨드랑이에서 피며, 꽃잎이 존재하지 않습니다. 수꽃에는 화경과 4~10개의 수술이 있으며, 암꽃은 짧은 화경을 가지며 새 가지의 하단에 달립니다. 자방은 2개의 심피가 합쳐지고, 1개의 방은 퇴화되어 1실로 이루어지..

고추나무, 고추나무의 효능 [내부링크]

고추나무 산지의 숲 가장자리, 경사 지대, 산골 짝에 자라는 낙엽 떨기나무로, 일반적으로 높이가 3~5m 정도입니다. 이 나무의 줄기는 비교적 낮고 덜 두꺼운 편이며, 잎은 마주나게 배치되며, 작은 잎 3장으로 이루어진 겹잎입니다. 작은 잎은 타원형 또는 난상 타원형을 가지며, 길이는 4~8cm, 폭은 2~5cm 정도입니다. 이러한 작은 잎의 가장자리에는 뾰족한 잔 톱니가 있습니다. 고추나무의 꽃은 주로 5~6월에 피는데, 길이가 5~8cm 정도인 원추꽃차례로 나타나며, 이 꽃은 흰색을 띕니다. 꽃잎은 도란상 긴 타원형을 가지고 있습니다. 또한, 암술은 1개 있으며, 암술머리는 끝이 2갈래로 갈라집니다. 열매는 삭과로 이루어져 있으며, 부푼 반원형을 띄며, 9~10월에 익습니다. 열매가 발달하면 풍선처럼..

물개암나무, 물개암나무의 효능 [내부링크]

물개암나무 낙엽 활엽 작은 큰 키나무로, 주로 산 중턱 지역의 양지에서 자라며, 일반적으로 높이는 2~3m 정도입니다. 나무껍질은 어두운 회색을 띠고, 잎은 어긋나게 배치되며, 잎자루의 길이는 1~3cm 정도로, 잔털이 있습니다. 잎몸은 넓은 도란형 또는 원형을 가지며, 길이는 7~15cm, 폭은 6~8.5cm 정도로 다양합니다. 잎의 양면에는 털이 붙어 있으며, 측맥은 7~9쌍이고 가장자리는 크게 갈라져 결각상 톱니 형태를 띱니다. 이 나무의 꽃은 주로 4~5월에 암수가 같이 한 그루에서 피며, 수꽃이삭은 가지 끝에 2~3개씩 달리며, 아래로 처져 있습니다. 암꽃이삭은 2~4개가 머리 모양으로 모여 달립니다. 열매는 견과 형태를 띠며, 난형이며 지름은 약 15mm 정도이며, 10월에 익습니다. 물개암나..

담석증 [내부링크]

담석증 개요 담낭(쓸개)은 작은 주머니 형태의 구조물로 복부의 우측 위쪽, 간 밑에 위치하고 있는 장기입니다. 담석증은 담낭에 저장된 액체가 돌조각 같은 물질로 단단히 굳어져서 결석이 형성되는 질환입니다. 담즙이라고 불리는 액체는 지방의 소화를 돕는데 필요한 것으로, 담즙은 간에서 생성이 된 후 담낭 안에 저장됩니다. 식사 시 담낭은 수축되어 총담관이라고 불리는 관을 통해 십이지장으로 담즙을 배출하게 되고, 담즙을 통해 음식물의 소화를 도와줍니다. 담즙의 양은 하루에 약 500∼1,200 (평균 800) 정도 생성됩니다. 담즙은 물, 콜레스테롤, 지방, 담즙산염, 단백질과 빌리루빈을 포함하며, 담즙산염은 지방을 분해하고, 빌리루빈은 담즙과 대변이 누런 갈색을 띠게 합니다. 만약 액체인 담즙이 너무 많..

노인 당뇨병 [내부링크]

노인 당뇨병 개요 노인 인구의 증가와 더불어 노인 당뇨병의 발생도 급증하고 있습니다. • 당뇨병 발생은 연령이 높아짐에 따라 증가합니다. 2020년 국민건강영양조사에 따르면 65세 이상 노인의 30.1%가 당뇨병이 있습니다. 30세 이상 성인의 16.7%가 당뇨병인데 비해 약 2배 높은 수치입니다. • 연령이 높아짐에 따라 공복 및 식후 혈당이 상승하므로 일반 성인과 다른 진단기준이 필요할 수도 있으나, 근거가 될 만한 연구 결과는 아직 없습니다. 따라서 노인도 당뇨병 진단기준은 청·장년과 동일합니다. • 당뇨병의 주된 원인은 인슐린 저항성(근육, 간, 지방 등 말초 조직에서 인슐린의 작용이 저하된 상태)과 인슐린 분비장애이며, 이는 노인에서도 동일합니다. 여기에 근육량 감소, 복부지방(내장지방) 증가,..

간농양 [내부링크]

간농양 개요 간농양이란 세균이나 기생충이 간에서 증식하여 농양(고름 덩어리)을 형성하여 질병을 일으키는 것을 말합니다. 피부나 근육 등 신체 외부에서 발생한 농양은 그것을 터트려 배액과 소독을 하고 항생제를 투여하면 치료가 가능합니다. 그러나 간처럼 신체 내부에서 발생한 농양은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는 방법이 없습니다. 피부 등에 발생한 농양은 피부의 발적, 부종 등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으나 간과 같은 신체 내부 장기에 발생한 농양은 발열, 몸살과 같은 감기 증상, 염증성 증상으로 나타날 수 있습니다. 때로는 상복부 통증처럼 위염 증상으로 나타날 수 있어 확인이 어렵습니다. 간농양의 증상이 비특이적이기 때문에 진단이 늦어 적절한 치료 시기를 놓치게 되면 패혈증, 복막염 등으로 사망할 수 있는 위험한 ..

참개암나무, 참개암나무의 효능 [내부링크]

참개암나무 자작나무과에 속하는 나무로, 산지에서 자라는 작은 낙엽성 큰 키나무입니다. 일반적으로 높이가 2~4m 정도이며, 많은 가지를 가지고 있습니다. 나무껍질은 어두운 회색을 띠며, 어린 가지에는 솜털이 있습니다. 이 나무의 잎은 어긋나게 배치되며, 잎자루의 길이는 약 1~2cm 정도입니다. 잎몸은 타원형 또는 도란형을 하며, 길이는 513cm, 폭은 38cm 정도로 다양합니다. 잎의 끝은 급하게 뾰족하며, 밑면은 둥글거나 심장 모양이며, 가장자리는 겹톱니 모양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 나무의 꽃은 주로 3~4월에 암수가 같이 한 그루에서 피며, 수꽃이삭은 가지 끝에 2~4개씩 달리며, 아래로 처져 있습니다. 암꽃이삭은 가지 끝에 난형으로 붙습니다. 모인 꽃싸개는 길이가 5~7cm이며, 윗부분에서 급하..

음나무, 음나무의 효능 [내부링크]

음나무 대규모 큰 나무로, 주로 낙엽활엽 큰 키나무 중 하나입니다. 이 나무는 높이 25m에 이르며, 그 줄기는 미각하고 흑갈색의 껍질로 덮여 있습니다. 이 나무의 줄기와 가지에는 넓은 가시들이 퍼져 있습니다. 잎은 가지 끝에 모여 어긋나게 배치되며, 둥근 모양을 하고 있으며 길이와 폭은 각각 10~30cm입니다. 이러한 잎은 손바닥 모양을 하며, 5~9개의 갈래로 갈라지며, 갈래 끝에 뾰족하고 톱니 모양이 있는 특징이 있습니다. 또한, 잎 뒷면에는 잎줄 사이에 많은 털이 자리하고 있습니다. 잎자루는 길이가 10~30cm 정도입니다. 꽃은 새로 자란 가지 끝에 황록한 색으로 피어나며, 산형 꽃차례로 모여 총상꽃차례를 형성합니다. 열매는 핵과로, 둥근 모양을 하며 익으면 검은색으로 변합니다. 음나무의 효능..

황칠나무, 황칠나무의 효능 [내부링크]

황칠나무 황칠나무는 미나리목 두릅나무과에 속하는 식물로, 남부지방의 해변 및 도서 지방의 산지 숲에서 발견되는 상록 활엽 큰 나무입니다. 황칠나무는 일반적으로 높이가 15m에 이를 정도로 자라며,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잎은 어긋나며 난형 또는 타원형으로 나눠지며 3~5갈래로 분기합니다. 잎 가장자리에는 톱니가 없습니다. 이러한 잎은 광택을 띄며 털이 없습니다. 황칠나무의 꽃은 주로 6~8월에 피는데, 백색으로 꽃잎은 길이가 3~5cm인 산형꽃차례를 이룹니다. 꽃받침은 종형 또는 도란형이며 끝이 5개로 갈라집니다. 꽃잎과 수술은 각각 5개씩 있으며, 암술머리는 5개로 나뉘어 있습니다. 황칠나무의 열매는 타원형의 핵과로 10~11월에 흑색으로 익습니다. 암술대의 흔적이 남아 있는데, 이것이 ..

머귀나무, 머귀나무의 효능 [내부링크]

머귀나무 무환자나무목 운향과에 속하는 식물로, 주로 바다 근처의 산기슭 양지에서 자라는 낙엽활엽 나무입니다. 머귀나무는 자웅이주이며, 일반적으로 15m 정도까지 자랍니다. 나무 모양은 위쪽에서 평평하며, 나무껍질은 회색을 띠고 있습니다. 가지에는 길이 5~7mm인 원추형 피침이 있고, 소지에는 불규칙하게 분포합니다. 이 나무의 잎은 어긋나게 배치되며, 기수우상복엽으로 특징 지닙니다. 잎의 길이는 30~80cm 정도이며, 소엽은 19~23개로 이루어져 있으며, 두꺼운 피침형을 가지고 있습니다. 소엽의 끝은 날카롭고 잔 거치가 있으며, 거치 사이에 투명한 선점이 나타납니다. 머귀나무의 꽃은 주로 5월에 연황색 또는 백색으로 산방 또는 원추화서에 달리게 됩니다. 열매는 삭과로 형성되며, 공 모양을 하고 있으며..

초피나무, 초피나무의 효능 [내부링크]

초피나무 낙엽 떨기나무로서 높이가 주로 2~5m에 이르는 작은 나무입니다. 이 나무는 가시로 덮인 줄기를 가지고 있으며, 뚜렷한 향기가 나는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초피나무의 잎은 어긋나며, 작은 잎 13~21장으로 이루어진 깃꼴겹잎을 형성하고 있습니다. 이 작은 잎들은 가장자리에 물결 모양의 톱니를 가지고 있습니다. 초피나무의 꽃은 주로 4~5월에 암수딴그루로 피는데, 원추꽃차례에 작은 꽃들이 많이 달리며, 연한 녹색을 띕니다. 이 꽃들은 꽃잎이 없습니다. 열매는 삭과로 구성되며, 익으면 터져서 작고 검은 씨를 드러냅니다. 이 나무의 줄기는 곧추서며 주로 2~5m 정도의 높이를 갖습니다. 가시가 줄기 전체에 나타나며, 잎은 어긋나는 특징을 가지며, 작은 잎들은 10~25cm 정도의 길이를 가집니다. ..

망개나무, 망개나무의 효능 [내부링크]

망개나무 습기가 풍부하고 토양이 비옥한 능선의 경사진 지역에서 드물게 발견되는 낙엽 큰키나무입니다. 이 나무는 일반적으로 10~15m 높이에 자라며, 줄기는 회색을 띄며 그물망 같은 무늬로 특징적입니다. 나이가 들면 줄기는 세로로 깊게 갈라지는 경향이 있습니다. 가지는 종종 붉은 갈색을 띠며 종종 늘어집니다. 망개나무의 잎은 서로 어긋나며 긴 타원형 또는 난상한 긴 타원형이며, 길이는 7~12cm, 폭은 3~5cm 정도입니다. 잎의 가장자리는 주로 밋밋하거나 명확하지 않은 물결 모양의 톱니가 있습니다. 잎의 뒷면은 흰 분을 뿜어내듯이 하얗게 빛나는 특징을 가집니다. 잎자루의 길이는 6~10mm 정도입니다. 망개나무의 꽃은 주로 5~6월에 피는데, 가지 끝의 잎의 겉면에서 나온 취산꽃차례 또는 가지 끝의 ..

족제비싸리, 족제비싸리의 효능 [내부링크]

족제비싸리 북아메리카 원산지로, 원래는 북아메리카 지역에서 야생화로 발견되었으나 지금은 널리 경작되며, 경작지, 냇가, 길가 주변 및 산자락에서 주로 발견되는 낙엽 떨기나무입니다. 이 나무는 보통 3m 정도까지 자라며, 나뭇가지에 털이 있지만, 점차 그 특징이 줄어듭니다. 족제비싸리는 잎이 어긋나며 1회 깃꼴겹잎 형태를 가집니다. 작은잎은 11~25개씩 있으며, 달걀 모양 또는 타원형이고 가장자리가 부드럽다. 이 나무의 꽃은 주로 5~6월에 피며, 자줏빛이 도는 하늘색이며 강한 향기가 나며 이삭꽃차례에 달립니다. 꽃받침에 샘점이 있으며 꽃부리는 기판뿐입니다. 열매는 주로 9월에 결실하며, 협과 형태를 가집니다. 열매 안에는 종자가 하나 들어 있으며, 콩팥 모양입니다. 이 식물은 우리나라 전역에서 식재되며..

주엽나무, 주엽나무의 효능 [내부링크]

주엽나무 콩목 콩과에 속하는 식물로서, 주로 마을 주변, 논밭 경계, 낮은 지대의 계곡 및 하천 가장자리에 드물게 서식하는 낙엽 활엽 큰키나무입니다. 이 나무의 줄기는 주로 15~20m 높이까지 자라며, 지름이 1m에 달할 수 있으며 줄기와 가지에는 가시가 많이 있습니다. 나무껍질은 주로 흑갈색 또는 어두운 회색이며, 사마귀가 달린 듯한 돌기들이 특징입니다. 주엽나무의 잎은 서로 엇갈리면서 5~8쌍의 작은잎으로 된 겹잎 형태를 가지고 있습니다. 작은잎은 난상 타원형으로 길이는 주로 3~5.5cm, 너비는 약 3cm 정도이며, 위아래로 모두 둥글고 가장자리에는 물결 모양의 톱니가 있습니다. 꽃은 6월에 황록색의 연한 꽃들이 총상꽃차례에 무리 지어 핍니다. 작은꽃자루는 거의 없으며, 꽃싸개잎은 선형 모양입니..

실거리나무, 실거리나무의 효능 [내부링크]

실거리나무 주로 산기슭, 해안가, 강가의 숲 가장자리 또는 숲 내부에서 자라는 낙엽 활엽 떨기나무로, 때로는 덤불을 형성하며 덩굴 지기도 조금 있습니다. 이 나무는 고전체에 갈고리 모양의 날카로운 가시가 많이 붙어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실거리나무의 줄기는 높이로 1~2m 정도 자라며, 주로 날카로운 가시들로 뒤덮여 있습니다. 실거리나무의 잎은 어긋나며, 깃꼴잎에는 6~16장의 작은 잎이 붙어 2회 깃꼴겹잎 구조를 이룹니다. 작은 잎들은 긴 타원형을 하며 길이는 주로 1~2cm이고, 잎의 양 끝은 둥글며 가장자리는 평평합니다. 꽃은 5~6월에 핀다고 알려져 있는데, 가지 끝에서 나온 길이 20~30cm의 총상꽃차례에 노란색 꽃이 달립니다. 꽃의 지름은 주로 2.5~3.0cm 정도입니다. 꽃자루는 길이가 약..

국수나무, 국수나무의 효능 [내부링크]

국수나무 장미목 장미과에 속하는 식물로, 주로 산지나 햇빛이 잘 드는 숲 가장자리에서 자라는 낙엽 떨기나무입니다. 이 나무의 줄기는 일반적으로 1~2m 정도의 높이를 가지며, 가지 끝이 옆으로 처진 형태를 띕니다. 국수나무의 잎은 어긋나며, 주로 삼각형 모양의 넓은 난형을 갖추고 있으며, 길이는 2~5cm, 폭은 1.5~2.5cm 정도이며, 가장자리에는 톱니가 있습니다. 잎자루의 길이는 주로 0.3~1.0cm 정도입니다. 이 나무의 꽃은 5~6월에 햇가지 끝에 원추꽃차례로 달리며, 흰색이면서 노란빛이 도는 꽃을 갖추고 있으며, 지름은 4~5mm 정도입니다. 꽃잎은 주로 5장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수술의 개수는 10개로, 꽃잎보다 짧은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국수나무의 열매는 7~8월에 생성되며, 골돌..

까치밥나무, 까치밥나무의 효능 [내부링크]

까치밥나무 깊은 산 숲 속에서 주로 자라며, 일반적으로 1~2m 정도의 낙엽 떨기나무입니다. 이 나무의 나무껍질은 회색을 띠며, 어린 가지는 밤색으로 윤기가 돌고 있습니다. 까치밥나무의 잎은 어긋나며, 손바닥 모양으로 3갈래로 갈라진다. 이들 잎의 길이는 5.5~10cm이고, 폭은 4~10cm 정도이며, 가장자리에는 겹톱니가 있습니다. 잎의 앞면은 녹색으로 잔털이 있고, 뒷면은 흰 털로 빽빽하게 덮여 있습니다. 잎자루의 길이는 2~8cm 정도입니다. 봄에는 5~6월에 꽃이 피는데, 가지 끝이나 잎겨드랑이에서 총상꽃차례를 이룹니다. 이 꽃차례의 길이는 7.7~10cm 정도이며, 처음에는 곧게 서 있지만 점차 밑으로 처지게 됩니다. 꽃은 5수성을 가지며, 꽃대와 꽃줄기에 잔털이 있으며, 꽃받침잎은 도란형으로..

은사시나무, 은사시나무의 효능 [내부링크]

은사시나무 버드나무목 버드나무과에 속하는 관속식물로, 주로 비교적 낮은 산지의 습기가 많은 곳에서 자라거나, 전국적으로 널리 심어지는 낙엽 활엽 큰키나무로, 일반적으로 높이 20m에 도달하며, 지름은 50cm 정도까지 자랍니다. 이 나무의 나무껍질은 오래되면 기부에서 세로로 얕게 터질 수 있으며, 겨울에는 눈이 내리면 흰색 털이 덮입니다. 은사시나무의 잎은 호생하며, 난형, 타원형 또는 원형을 띠며, 길이는 3~8cm 정도이고, 너비는 2~7cm 정도입니다. 잎의 표면은 짙은 녹색이며 털이 없으며, 뒷면에는 백색 면모가 밀도 있지만, 시간이 지남에 따라 사라집니다. 봄에는 4월, 잎이 나오기 전에 암수딴그루로 꽃을 피우는데, 이 꽃들은 짧은 가지의 잎겨드랑이에서 밑으로 처지는 꼬리 모양의 꽃차례로 달려 ..

사시나무, 사시나무의 효능 [내부링크]

사시나무 버드나무과에 속하는 관속식물로, 주로 산 중턱 이하의 지역, 계곡 주변부, 하천, 물가 등에서 자라는 낙엽 활엽 큰키나무입니다. 이 나무의 특징적인 트리렁크는 높이 약 20m 정도이며, 지름은 1m 정도에 이릅니다. 나무껍질은 흑갈색을 띠고, 햇가지는 회녹색으로 아름다운 대비를 이룹니다. 사시나무의 잎은 원형이나 넓은 난형을 띠며, 길이는 2~6cm 정도이고, 가장자리에는 물결 모양의 톱니가 있습니다. 잎자루는 편평하며, 길이는 15cm 정도입니다. 봄에는 45월에 암수딴그루로 꽃을 피우며, 꽃들은 꼬리모양의 꽃차례로 달려 있습니다. 꽃싸개잎은 둥글고 자주색을 띠며 깊은 톱니가 있으며, 일찍 떨어집니다. 수꽃차례는 길이가 5~10cm 정도이고, 암꽃차례는 길이가 4~10cm 정도입니다. 열매는 ..

난소 양성 종양 [내부링크]

난소 양성 종양 개요 난소는 골반 내 자궁의 양측에 위치하며, 난자를 생산하고 여성호르몬을 분비하는 여성의 생식기관입니다. 난소는 월경주기에 맞추어 배란을 일으키고, 난관은 배란된 난자를 수집하고 이송하며, 자궁은 수정된 배아가 착상하여 수태하는 장소를 제공합니다. 난소는 가임기에 지름이 약 3~4cm이지만, 폐경 후에는 크기가 작아집니다. 경구피임약, 성선자극호르몬분비호르몬, 배란 유도제 등 외부적 요인에 의해 난소의 기능이 촉진 혹은 억제될 수 있고, 난소 크기도 영향을 받을 수 있습니다. 개요-종류 난소에는 다양한 종양이 생길 수 있는데 크게 암에 해당하는 악성 종양과 암이 아닌 양성 종양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난소의 양성종양은 대부분 주기적으로 배란을 하는 20~40대 가임기 여성에서 발생하지만..

커피나무 [내부링크]

커피나무 커피나무는 AD 600~800년경, 에티오피아 남서쪽의 카파주에서 양치기가 발견한 것으로 전해집니다. 양치기들은 근처에서 자라는 커피나무의 열매를 먹고 흥분한 모습을 관찰했고, 이 열매를 먹으면 기분이 좋아지고 잠이 깨는 효과가 있다는 것을 깨달았습니다. 처음에는 열매를 사용해 술을 만들어 마셨지만, 13세기 경부터는 현재와 같은 방법으로 커피를 제조하기 시작했다고 합니다. 커피나무는 품종에 따라 높이가 6~8m일 수도 있지만, 보통 수확을 위해 지속적으로 가지치기를 하기 때문에 2m 이내의 높이를 유지합니다. 이 나무는 가지가 옆으로 퍼지고 끝이 처지는 특징을 가지며, 잎은 가지나 줄기에서 마주 나오며, 긴 타원 모양을 띠고 가장자리가 물결 모양입니다. 잎의 표면은 짙은 녹색이며 광택을 띠고 ..

위성류, 위성류의 효능 [내부링크]

위성류 중국 원산지를 기반으로 한 나무로, 우리 나라 중부 이남 지역에서 관상용으로 심어지고 또한 그 잎과 줄기는 약용으로 사용됩니다. 이 나무는 큰키나무 또는 작은키나무로 자라며, 일반적으로 3-6m 정도의 높이를 갖습니다. 이의 작은 가지는 조밀하게 분기하며, 가늘고 자주 늘어지며, 적자색을 띠고 있습니다. 위성류의 잎은 녹색으로 아름답게 빛나며, 가지의 잎들 중 꽃이 피지 않는 가지에서는 약간 흩어집니다. 잎의 형태는 타원피침형이거나 좁은 달걀 모양을 띄며, 가지의 윗부분에 위치한 잎은 조금 더 크다는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봄이 찾아오면 꽃이 필 때, 전년에 자란 가지에서 꽃차례가 나와 옆으로 늘어지며, 길이는 3-6cm 정도에 몇 개의 꽃이 달립니다. 이 꽃들은 분홍색으로 아름답게 핀다고 하며..

이나무, 이나무의 효능 [내부링크]

이나무 이나무, 그 이름만으로도 우리를 자연의 신비로움과 아름다움에 빠뜨립니다. 이 흔치 않은 나무는 주로 산지에서 능금관림을 이루며, 그 높이는 약 15m 정도로 소박하고 아름다운 나무입니다. 이나무는 그 굵은 가지들이 층층이 나서 사방으로 확 퍼지며, 나무껍질은 황백색을 띠며 껍질눈이 눈에 띕니다. 이 나무의 모습은 자연의 웅장함과 신비로움을 함께 담고 있습니다. 이나무의 잎은 어긋나며, 난상 심장형 또는 삼각상 심장형을 띠며, 잎 끝은 뾰족하고 둔한 톱니가 드문드문 있습니다. 잎의 윗면은 녹색이며, 뒷면은 분백색을 띄며, 잎맥은 붉은빛을 띕니다. 잎자루는 길이 5~15cm 정도로 길며, 붉은빛을 띠며, 선단에 보통 2개의 샘점이 있으며, 털이 없습니다. 어린 나무의 잎자루에는 중앙부 아래쪽에 샘점 ..

사스레피나무, 사스레피나무의 효능 [내부링크]

사스레피나무 사스레피나무는 비해 있는 바닷가 산기슭에서 우리를 맞이하는 상록성 나무입니다. 이 작은 나무의 높이는 대략 1~3m 정도로, 그 크기와 모습은 독특한 매력을 가지고 있습니다. 나무껍질은 잿빛이 도는 갈색을 띄며, 어린 가지와 잎에는 털이 없다는 독특한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사스레피나무의 잎은 가죽질의 타원형 또는 넓은 피침형으로 어긋나며, 잎 가장자리에는 위를 향한 둔한 톱니가 있습니다. 이러한 잎의 겉면은 윤이 나고 뒷면은 노란빛을 띤 녹색으로 아름다운 색상을 자랑합니다. 잎의 크기는 길이 3~8cm, 너비 1~3cm 정도이며, 잎자루의 길이는 1~5mm 정도입니다. 봄의 시작, 4월에 사스레피나무는 꽃을 피우며 자연의 아름다움을 더욱 풍부하게 합니다. 이 꽃은 암수딴몸의 단성화로 피는..

사스래나무, 사스래나무의 효능 [내부링크]

사스래나무 사스래나무는 높은 산지의 중턱 이상에서 우리를 놀라게 하는 아름다운 나무 중 하나입니다. 이 나무는 큰키를 자란다고 불리우며, 그 높이는 일반적으로 10~20m에 이르고, 줄기의 지름은 약 70cm 정도에 달합니다. 나무껍질은 회적갈색 또는 거의 회백색을 띄며, 종잇장처럼 단단하게 붙어있습니다. 어린 가지에는 샘점과 점 모양의 껍질눈이 있어, 이것은 나무의 고유한 특징 중 하나입니다. 사스래나무의 잎은 삼각상 난형이거나 넓은 난형으로 형성되며, 길이는 대략 5~10cm 정도입니다. 이 잎은 잎끝에서는 점차 뾰족해지며, 밑면은 뾰족하거나 심장 모양을 가지고 있습니다. 잎의 가장자리에는 불규칙한 톱니가 있으며, 측맥은 7~11쌍이 있어 잎의 모양을 독특하게 만듭니다. 잎의 앞면은 털이 없고, 뒷면..

닥나무, 닥나무의 효능 [내부링크]

닥나무 닥나무, 그 이름만 들어도 자연의 신비와 아름다움을 상기시키는 나무입니다. 이 나무는 쐐기풀목 뽕나무과에 속하며, 전국 곳곳에서 만날 수 있는 소중한 관속식물 중 하나입니다. 이 나무는 양지바른 산 기슭부터 밭 둑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환경에서 자라며, 그 매력은 녹지와 자연의 경이로움과 어우러집니다. 닥나무의 줄기는 보통 2~5m 정도의 높이를 가지며, 그 모습은 우리의 눈에 푸르게 빛나는 대자연의 아름다움을 상기시킵니다. 이 나무의 잎은 어긋나며, 달걀 모양이거나 긴 달걀 모양을 가지며, 가장자리는 깊게 갈라져 있습니다. 그 특이한 형태와 색깔은 계절의 변화와 함께 우리 눈을 사로잡는 것 같습니다. 봄이 찾아오는 4월과 5월, 닥나무는 작고 소박한 꽃을 피웁니다. 이 꽃은 암수 한 그루로 핀다는..

비술나무, 비술나무의 효능 [내부링크]

비술나무 산기슭, 냇가에서 높이 15~20m, 지름 1m 정도로 자라는 낙엽 활엽 큰키나무이다. 나무껍질은 어두운 회색, 세로로 불규칙하게 갈라진다. 잎은 어긋나며, 타원형 또는 긴 타원형으로 길이 2~7cm, 폭 2~2.5cm, 끝은 뾰족하고, 밑은 둥글며, 가장자리에 겹톱니와 외톱니가 섞여 있다. 잎 양면에 털이 없으며, 측맥은 보통 10~17쌍이다. 꽃은 3~4월에 잎보다 먼저 피는데 잎겨드랑이에 여러 개가 모여 달린다. 화피는 4~5갈래로 갈라진다. 꽃밥은 보라색을 띤다. 열매는 시과, 둥글며, 털이 없다. 5월에 익으며, 씨는 열매의 중앙에 있다. 우리나라 중부 이북에 자생하며, 세계적으로 러시아 극동, 중국 동북부, 몽골 등에 분포한다. 참느릅나무에 비해 잎의 가장자리에 겹톱니가 있고, 열매는..

붓순나무, 붓순나무의 효능 [내부링크]

붓순나무 붓순나무목 붓순나무과에 속하는 식물로, 주로 산기슭 숲속의 습기가 풍부한 땅에서 자랍니다. 이 나무는 상록 활엽 작은 큰키나무로 높이는 일반적으로 3~5미터 정도입니다. 나무껍질은 어두운 회갈색을 띠며, 어릴 때는 부드럽지만 노년에 이르면 얇게 세로로 갈라집니다. 봇순나무의 잎은 어긋나게 배치되며 가죽과 같은 질감을 지니고 있습니다. 잎의 모양은 긴 타원형으로 끝이 뾰족하며, 길이는 510센티미터, 폭은 24센티미터 정도입니다. 이 잎은 양면에 털이 없으며, 잎의 윗면에는 윤채가 형성되어 있고, 뒷면은 약간의 유점이 있으며 향기를 풍깁니다. 봇순나무의 꽃은 주로 3~4월에 녹백색으로 핀다. 이 꽃들은 가지의 상부에 위치한 잎겨드랑이에서 1개씩 나타나며, 꽃받침잎은 6개이고 꽃잎은 12개로 선형적..

센달나무, 센달나무의 효능 [내부링크]

센달나무 주로 섬의 낮은 산기슭에서 자라는 상록 활엽 큰키나무로, 높이는 대략 10미터 정도입니다. 나무껍질은 주로 회갈색 또는 황갈색을 띠며, 상당 부분은 균일한 색을 갖고 있습니다. 이 나무의 잎은 어긋나며, 길이는 약 10~20센티미터, 폭은 2~5센티미터로 좁고 긴 타원형을 형성합니다. 잎의 가장자리는 비군한 모습 을 갖추고 있습니다. 잎의 앞면은 윤기가 돌며, 반면에 뒷면은 흰빛을 띱니다. 센달나무의 꽃은 주로 5월에 피며, 햇가지 끝에 원추꽃차례로 달립니다. 이 꽃들은 연한 노란색을 띠고 있습니다. 화피편은 긴 타원형으로 3장씩 2줄로 배열됩니다. 수술은 3개씩 3줄로 총 9개가 달립니다. 열매는 장과로서 둥글며, 8월에 검은 녹색으로 익습니다. 이 나무는 주로 우리나라 남부지방과 제주도에서 ..

육박나무, 육박나무의 효능 [내부링크]

육박나무 주로 섬 지역의 산기슭에서 자랍니다. 이 나무는 상록성 활엽 큰키나무로, 높이는 약 20미터에 이르며, 기름은 약 1미터 정도에 달합니다. 나무껍질은 검은색을 띠며 군데군데 나무껍질이 벗겨져 떨어진 자리는 흰색을 띭니다. 육박나무의 잎은 어긋나며, 잎몸은 긴 타원형 또는 피침형으로 길이는 5~10센티미터 정도이며, 가장자리는 평평하고 밋밋합니다. 잎의 앞면은 진한 녹색이며 털이 없지만, 뒷면은 연한 회색을 띠고 잔털이 있습니다. 잎자루는 길이가 8~15밀리미터입니다. 이 나무의 꽃은 8~10월에 암수딴그루에 피는데, 잎겨드랑이에서 이삭꽃차례로 달리며 노란색입니다. 화피편은 6갈래로 갈라지며, 수술은 9개입니다. 열매는 장과로서 둥글며, 지름은 7~8밀리미터이며, 다음 해 8~9월에 붉게 익습니다..

비목나무, 비목나무의 효능 [내부링크]

비목나무 산골짜기에서 자라는 낙엽 활엽 나무로, 높이는 최대 10미터에 이를 정도입니다. 나무껍질은 연한 회갈색을 띠며 불규칙하게 엷은 비늘조각으로 떨어집니다. 비목나무의 잎은 서로 어긋나며 길이는 6~13cm이고, 너비는 1.5~2.5cm입니다. 잎의 양 끝은 뾰족하고 가장자리는 평평하게 돌출한 도피침형을 가지며, 잎의 윗면은 윤이 도며 뒷면은 녹백색입니다. 잎맥은 3출맥과 깃 모양 맥이 존재하며, 잎자루는 길이가 4~8mm로 빨간빛이 돕니다. 비목나무의 꽃은 4~5월에 잎보다 먼저 피는데, 새가지 밑의 잎겨드랑이에서 나오는 산형꽃차례에 많이 달리며, 꽃은 연한 황색입니다. 꽃자루는 길이가 6~8mm입니다. 수꽃에는 6개의 화피와 2줄로 배열된 9개의 수술이 있으며, 암꽃에는 1개의 암술이 존재합니다...

채진목, 채진목의 효능 [내부링크]

채진목 중산간지대의 숲 속 계곡부에서 흔하지 않고 드물게 자라는 낙엽 활엽 나무로, 또는 큰 나무로 분류됩니다. 이 나무의 나무껍질은 회백색입니다. 가지는 가늘고 길며 적갈색이며 둥근 껍질눈이 산재하고 있습니다. 채진목의 잎은 서로 어긋나며, 잎몸은 난형 또는 긴 타원형이고 잎끝은 뾰족하며 밑면은 둥글거나 심장 모양과 비슷합니다. 잎의 길이는 4-8cm, 폭은 2.5-4cm로서 잎 가장자리에 얕고 잔 톱니가 있습니다. 이 나무의 꽃은 4-5월에 피며, 지름이 약 3.5cm인 백색 양성화로 나옵니다. 꽃은 짧은 가지 끝에서 나오며 산방상 총상꽃차례를 형성합니다. 꽃잎과 꽃받침잎은 각각 5개이며, 수술은 20개로 이루어져 있으며, 암술대는 5개로 갈라집니다. 채진목의 열매는 이과(梨果)로서 지름이 약 1cm..

개벚지나무, 개벚지나무의 효능 [내부링크]

개벚지나무 주로 높은 산의 계곡 주변에서 자라는 낙엽 큰 나무로, 일반적으로 높이는 10-20m 정도입니다. 이 나무의 나무껍질은 황갈색을 띠며 윤기가 나 있으며, 얇은 조각으로 벗겨집니다. 잎은 서로 어긋나며 타원형 또는 긴 난형을 가지며, 잎 앞면에는 털이 없지만 뒷면에는 많은 샘점이 있습니다. 개벚지나무는 5월에 꽃을 피우며, 이 꽃들은 묵은 가지에서 난 총상꽃차례에 10-30개가 달립니다. 이 꽃들은 흰색을 띠고 있습니다. 열매는 핵과로, 8월에 검게 익으며 먹을 수 있습니다. 이 나무는 대한민국의 중부 이북 지역에서 주로 발견되며, 계방산, 가리왕산, 설악산, 소백산, 오대산, 함백산 등 다양한 산지에서 자라고 있습니다. 또한 중국의 만주 지역과 러시아의 아무르, 우수리 지역에서도 발견됩니다. ..

가침박달, 가침박달의 효능 [내부링크]

가침박달 건조한 산기슭과 바위 지대에서 자라는 낙엽활엽 나무로, 일반적으로 1-5m 정도의 높이를 가집니다. 작은 가지들은 붉은빛을 띤 갈색이며, 흰색 피목이 흩어져 있습니다. 잎은 대체로 타원형이고 윗부분에 약간의 톱니가 있습니다. 잎의 뒷면은 회백색을 띕니다. 이 나무는 5월 중순에 꽃을 피우며, 꽃은 주로 흰색이며 총상꽃차례로 3-6 송이씩 새 가지 끝에 달립니다. 꽃에는 수술이 약 20개, 암술대가 5개가 있습니다. 열매는 삭과로 9월경에 성숙하며, 종자에는 날개가 있습니다. 황토방울나무는 대한민국의 여러 지역에서 발견됩니다. 또한 북미, 러시아, 유럽, 일본, 중국 등 세계 여러 지역에도 분포하고 있습니다. 가침박달의 효능 가침박달의 뿌리껍질은 요통에 사용합니다. 가침박달의 말린 뿌리껍질을 기준..

황근, 황근의 효능 [내부링크]

황근 줄기는 가지가 많이 갈라지며, 높이 1-5m이다. 잎은 어긋나며, 넓은 도란형 또는 도란상 원형, 길이 3-6cm, 너비 3-7cm, 가장자리에 둔한 톱니가 있다. 잎 앞면은 녹색이고 별 모양의 털이 드물게 있으며, 뒷면은 털이 많다. 잎자루는 길이 0.5-3.0cm이다. 꽃은 가지 끝 또는 잎겨드랑이에서 1-2개씩 피며, 지름 5-7cm, 옅은 노란색이다. 꽃자루는 길이 0.5-1.2cm이다. 꽃받침은 5갈래로 갈라진다. 꽃잎은 5장, 둥글고, 겉에 별 모양 털이 있으며, 길이 4-5cm이다. 암술머리는 5갈래로 갈라지고, 붉은색이다. 열매는 삭과이며, 난형, 길이 2-3cm, 5갈래로 갈라진다. 떨기나무로 높이 1~5m까지 자란다. 어린 가지, 잎, 턱잎 뒷면, 포, 꽃받침에 누르스름한 회색 성..

꾸지뽕나무, 꾸지뽕나무의 효능 [내부링크]

꾸지뽕나무 해발 100~700m 양지바른 산지 또는 마을 주변에서 자주 발견되는 작은 나무로, 높이는 일반적으로 3~8m 정도입니다. 이 나무는 가지에 가시를 가지고 있습니다. 잎은 주로 난형 또는 3갈래로 갈라지며 길이는 6~10cm, 폭은 3~6cm로, 잎의 끝은 둔하게 둥글어집니다. 잎의 윗면에는 작은털이 있고, 뒷면에는 뭉툭한털이 있습니다. 이 나무는 5월에서 6월에 꽃을 피우며 암수가 함께 자라는데, 수꽃차례는 둥근 형태를 이루고 노란색을 띕니다. 이 차례에는 짧고 부드러운 털이 모여 있습니다. 암꽃차례는 타원 모양입니다. 수꽃은 화피가 3~5장이며 수술이 4개입니다. 암꽃은 화피가 4장을 가지며 암술대는 2개입니다. 열매는 수과로 여러 개가 모여 2~3cm 정도의 지름을 가지는 둥근 공 모양을..

모란, 모란의 효능 [내부링크]

모란 딜레니아목 작약과에 속하는 식물로, 주로 정원이나 화단에서 관상용으로 기르는 낙엽 활엽 떨기나무입니다. 이 식물의 원산지는 중국이며 중국에서는 산간 절벽에 자랍니다. 모란은 줄기가 갈라져 높이 1~2m 정도이며, 잎은 어긋나며 2번 또는 3번 갈라진 겹잎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 겹잎의 중앙 작은 잎은 넓은 난형이며, 3번 얕게 갈라져 길이는 7~8cm, 폭은 5~7cm 정도입니다. 잎의 앞면은 녹색이고, 뒷면은 연한 녹색입니다. 모란은 5월에 꽃을 피우는데, 이 꽃은 가지 끝에 1개씩 피어 지름이 10~20cm에 이르며 흰색, 붉은색 등 다양한 색상을 가집니다. 꽃싸개잎은 5장으로 긴 타원형이며 꽃받침잎은 5장으로 녹색입니다. 꽃잎은 5장 이상일 수 있으며 수술도 많습니다. 열매는 9월에 익으며, ..

물박달나무, 물박달나무의 효능 [내부링크]

물박달나무 주로 산지의 숲에서 자란다. 이 낙엽 큰키나무는 보통 6~20m 정도의 높이에 자라며, 나무껍질은 회갈색을 띠고 얇은 조각으로 떨어진다. 어린 가지에는 털이 있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털은 사라진다. 잎은 어긋나며, 난형 또는 타원형을 가지며, 길이는 4~8cm, 폭은 3~6cm 정도이며, 끝 부분은 뾰족하다. 잎맥 위에는 털이 있으며, 측맥의 수는 6~8쌍이다. 잎자루에도 털이 있습니다. 물박달나무의 꽃은 주로 5월에 피는데, 수꽃이삭은 원통 모양을 이루고 길이는 6~7cm로 아래로 처진다. 암꽃이삭은 가지 끝과 잎겨드랑이에서 곧추선다. 열매이삭은 원통 모양으로 길이 2~4cm, 폭 1cm 정도이며, 열매는 견과로서 10월에 익으며, 난형 또는 타원형을 가지며, 좁은 날개가 있습니다. 물박달나..

까치박달, 까치박달의 효능 [내부링크]

까치박달 이 낙엽 나무는 보통 10~15m 정도의 높이에 자라며, 나무껍질은 회색을 띠고 어린 가지에는 털이 있지만, 이 털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사라진다. 잎은 타원형 또는 원형으로, 길이는 7~13cm, 폭은 4~7cm 정도이며, 끝 부분은 날카롭게 뾰족하고 잎 가장자리는 겹톱니 모양을 가지고 있다. 잎자루는 길이가 1.5~3cm 정도로 거친 털이 있다. 잎의 앞면에는 털이 없지만, 뒷면의 잎맥에는 소수의 털이 있을 수 있다. 까치박달의 꽃은 주로 5월에 피는데, 암꽃과 수꽃이 한 나무에서 함께 발생한다. 수꽃이삭은 어린 가지 끝에 달려 아래로 처지며, 각 포에는 1개씩의 꽃이 달린다. 수술은 4~8개가 있을 수 있다. 암꽃이삭은 가지 끝에 달려 아래로 처지며, 각 포에는 2개씩의 꽃이 달리며, 씨방..

박달나무, 박달나무의 효능 [내부링크]

박달나무 자작나무과에 속하는 낙엽 활엽 큰 나무로, 해발 고도 1,000m 이하의 산지에서 자랍니다. 이 나무의 특징은 높이가 약 30m에 이르고, 줄기의 지름이 약 1m 정도로 크며, 수직으로 높게 자란다는 것입니다. 줄기의 껍질은 암회색을 띠며, 나무가 노화하면 굵고 작은 조각으로 갈라지는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어린 가지에는 처음에는 털 또는 선점이 있지만, 나이가 들면서 이러한 털이 사라진다. 박달나무의 잎은 어긋나고 난형으로 길이가 4~8cm이며, 잎끝은 점차 뾰족하게 뾰족해지며, 밑면은 넓게 뾰족하다. 잎의 가장자리에는 잔 톱니가 있으며, 곁잎줄은 9~10쌍이 있습니다. 잎의 앞면은 녹색이며 털이 없고, 뒷면은 선점이 있으며 잎줄 위에 털이 있고, 연녹색을 띕니다. 잎자루는 길이가 5~10m..

가시오갈피, 가시오갈피의 효능 [내부링크]

가시오갈피 가시오갈피는 키가 1~7m까지 자라는 식물로, 어린 가지에는 바늘 모양의 가시가 많이 있습니다. 줄기의 껍질은 밝은 회색이며, 수평적으로 갈라지는 특징이 있습니다. 묵은 가지는 잿빛의 밤색을 띠고, 어린 가지는 노란 밤색을 가지고 있습니다. 작은 잎은 길이가 6~10cm이고 너비가 2~4cm 정도로, 뾰족한 끝을 가지며 잎의 앞뒷면에 잎맥 위에 털이 있습니다. 작은 잎은 보통 3~5장이 손바닥 모양으로 붙어서 잎을 이루며, 서로 어긋나는 쪽잎으로 구성된 겹잎입니다. 이러한 겹잎은 긴 잎꼭지를 가지고 있고, 털이 없거나 드문드문 있습니다. 잎의 모양은 달걀 모양이며, 앞면은 어두운 푸른색을 띄며 짧은 털이 또는 털이 없는 경우가 있고, 뒷면은 연한 푸른색을 가지며 끝이 둥글거나 뾰족하며 가장자리..

송악. 송악의 효능 [내부링크]

송악 한반도 중부 지역부터 남쪽 해안지역과 섬에 서식하는 상록 덩굴 나무로, 길이가 10m 이상 자라며 가지와 원줄기에서 덩굴처럼 물체에 붙어 올라갑니다. 송악의 잎은 어긋나며 주로 난형 또는 난상타원형으로 길이는 3~7cm 정도이며, 어린 잎은 때로는 3~5개로 나뉘기도 합니다. 잎의 가장자리는 보통 평평하고 밋밋한데, 잎의 질은 가죽 같고 표면은 광택 나는 짙은 녹색이며 뒷면은 연한 녹색을 띠고 있습니다. 어릴 때는 별 모양의 털이 있지만 성장하면 없어집니다. 송악은 9월부터 11월에 꽃을 피우는데, 이 꽃은 녹색을 띤 연한 노란색이며, 산형 꽃차례에 많은 양성화가 모여 달립니다. 꽃받침은 대체로 평범하고 꽃잎과 수술은 각각 5개씩이며, 암술대는 짧습니다. 송악의 열매는 핵과 형태를 가지며 지름은 약..

치자나무, 치자나무의 효능 [내부링크]

치자나무 꼭두선이목 꼭두선이과에 속하는 상록성 식물로, 높이가 일반적으로 1~3m 정도입니다. 이 나무의 줄기는 짧고 수평적으로 뻗어서 촘촘하게 자랍니다. 어린 가지는 녹색을 띠며 미세한 털이 많이 있습니다. 치자나무의 잎은 대개 마주 나거나 3장이 돌려붙어 있습니다. 이 잎들은 긴 타원형 또는 타원형을 띠며, 길이는 5~12cm, 폭은 2~5cm 정도이며, 가장자리는 평평합니다. 잎의 양면에는 털이 없으며, 두꺼운 가죽질을 가지고 있어 윤기가 돌며 잎자루는 짧습니다. 치자나무는 6월부터 7월에 꽃을 피우며, 이 꽃들은 가지 끝에 1개씩 피고 지름이 대략 5~6cm로 크며 흰색이며 강한 향기가 나요. 꽃받침은 6~7개의 갈래로 나뉘며, 이 갈래들은 가늘고 길게 갈라져 있습니다. 꽃부리는 7개의 부분으로 ..

저시력 [내부링크]

저시력 개요-정의 저시력이란? 저시력이란 안경이나 콘택트렌즈, 약물치료나 수술적 처치에도 불구하고, 두 눈 중 좋은 눈의 최종 교정시력이 0.3 이하이거나 시야가 10도 이내로 줄어든 경우로, 빛도 감지하지 못하는 완전 실명은 제외됩니다. 좀 더 포괄적으로는 일상적인 생활(TV 보기, 독서, 글쓰기, 쇼핑, 요리, 운전, 여행 등)에 장애를 줄 수 있는 시력을 포함한 시기능에 문제가 있는 모든 경우를 포함합니다. 개요-원인 저시력의 원인에는 시력저하나 시야장애를 초래하는 여러가지 질환이 포함됩니다. 1. 소아 50% 이상이 이미 출생시에 저시력이거나 출생 후 1년 이내에 발병합니다. 원인 질환으로는 선천적인 발달이상, 미숙아망막병증, 선천백내장, 눈백색증, 무홍채증, 사시, 약시, 안검하수, 굴절이상, ..

저신장 [내부링크]

저신장 개요 1. 정상적인 성장 과정 출생 전 태아기에는 세포의 수가 급격히 증가하여 가장 빠른 성장 속도를 보입니다. 출생 후 성장은 세포의 수와 함께 크기가 증가하는 시기입니다. 태어나서 첫 2년은 출생 전에 비해 성장 속도가 감소하지만 비교적 빠르게 자랍니다. 2세 이후부터 사춘기 전까지는 완만한 성장 속도를 보이다가 사춘기가 시작되면 다시 성장 속도가 빨라집니다. 사춘기 후반 무렵에 골성숙이 진행되어 긴 뼈의 성장판이 닫히게 되면 성장이 완료됩니다. 2. 성장 조절 인자 성장은 유전과 환경의 복합적인 요인에 의해 결정됩니다. 대개 70-80%는 유전적인 요인에 의해 결정되고, 20-30%가 환경적인 요인에 의해 영향을 받습니다. 환경적인 요인으로는 출생 후 영양 상태, 질병 유무, 사회 경제적 여..

노인 삼킴장애 [내부링크]

노인 삼킴장애 개요 음식을 입으로 먹는 것은 인간의 기본적인 욕구이며, 큰 즐거움입니다. 대부분의 사람들은 음식을 먹고 마시는 것에 아무런 어려움이 없으며 자연스럽게 음식을 삼킬 수 있습니다. 그러나 삼킴 장애가 있을 경우, 전신 건강 상태에 크게 영향을 미칠 뿐 아니라 사회생활에 제한을 가져오며, 전반적인 삶의 질에 나쁜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삼킴의 과정 1. 인지기 음식물을 인지하는 단계로 식욕을 느끼고, 침이 분비되며 소화관이 운동하는 것으로 연결되는 중요한 단계입니다. 음식물의 인지 없이 갑자기 음식물이 목에 들어오는 경우 연하반사가 약하게 일어나거나, 타이밍을 놓치게 됩니다. 2. 음식물을 입에 넣는 과정 인지 기능에 심각한 장애가 있으면 이 과정에 문제가 생길 수 있습니다. 간혹 특정 질..

다정큼나무, 다정큼나무의 효능 [내부링크]

다정큼나무 다정큼나무는 장미목 장미과에 속하는 관속식물로, 주로 남쪽 해안 지역에서 자랍니다. 이 나무는 상록성으로, 보통 높이가 2~4m에 이릅니다. 다정큼나무의 잎은 어긋나게 배치되지만 가지 끝에 모여 있어 일종의 집합체처럼 보입니다. 이 잎들은 장타원형 또는 도란형을 띄며, 잎의 가장자리에는 더 없거나 아주 약간의 톱니가 있을 수 있습니다. 꽃은 흰색을 띄며, 지름은 대략 2cm 정도입니다. 이 꽃들은 가지 끝에서 길이가 5~15cm에 이르는 원추꽃차례에 달려 피어납니다. 다정큼나무의 열매는 둥근 이과로, 익으면 검게 변합니다. 이 나무는 주로 한반도의 제주도, 전라남도, 경상남도 해안 지역에서 발견되며, 일본과 타이완에서도 분포합니다. 때로는 "쪽나무"로도 불립니다. 다정큼나무의 효능 혈관 건강:..

비파나무, 비파나무의 효능 [내부링크]

비파나무 장미목 장미과에 속하는 상록 활엽 나무로, 크기는 다소 작을 수 있지만 때로는 10m에 달하는 높이까지 자랄 수 있습니다. 어린 가지에는 갈색 털이 많이 나타납니다. 잎자루는 없거나 길이가 약 1cm 정도이며, 이 나무의 잎은 어긋나게 나타나며 좁은 도란형 또는 긴 타원형을 이룹니다. 잎의 길이는 15~30cm이고, 폭은 3~9cm 정도입니다. 잎의 가장자리에는 이모양의 톱니가 드물게 나타납니다. 잎의 앞면은 털이 없으며 윤기가 돌며, 뒷면에는 갈색 털이 붙어 있으며 가죽과 같은 질감을 띕니다. 또한, 턱잎은 길이가 약 1.0~1.5cm입니다. 비파나무의 꽃은 10~12월에 가지 끝에서 길이가 10~20cm에 달하는 원추꽃차례로 피어나며, 흰색을 띄고 향기를 풍깁니다. 꽃차례에는 갈색 털이 있으..

후피향나무, 후피향나무의 효능 [내부링크]

후피향나무 산 기슭 지역에서 자라는 상록 활엽 큰 나무로, 높이가 15m에 이를 정도로 큽니다. 이 나무의 나무껍질은 옅은 회갈색을 띄며 잔가지에는 많은 털이 덮여 있습니다. 잎자루는 길이가 2~8mm이며 붉은빛을 띕니다. 후피향나무의 잎은 어긋나게 배치하며, 가지 끝에 모여 나타나며, 도란상 긴 타원형을 이룹니다. 이 잎은 길이가 3~7cm, 폭이 1.5~2.5cm 정도이며 가장자리는 보통 밋밋합니다. 잎의 앞면은 짙은 녹색이며 광채가 나타나지만, 뒷면은 황록색을 띕니다. 이 나무의 꽃은 7월에 피어나며, 아래로 자리하고 황백색입니다. 꽃받침잎은 난상 원형이며 길이는 3~4mm, 꽃잎은 도란형을 이루며 길이는 5~8mm입니다. 이 나무의 수술은 많이 달려 있습니다. 후피향나무의 열매는 삭과 형태를 띄며..

삼나무, 삼나무의 효능 [내부링크]

삼나무 측백나무목 측백나무과에 속한 상록성 나무로, 원산지는 일본입니다. 이 나무는 주로 산 기슭이나 들 지역 및 공원에서 재배됩니다. 측백나무의 특징적인 트리편트로는 가지가 많이 나와 나무가 높이로 30~40m, 지름으로 2m에 이를 정도로 커집니다. 나무껍질은 주로 적갈색 또는 어두운 갈색이며, 세로로 가늘고 길게 갈라져 벗겨집니다. 이 나무의 잎은 바늘 모양을 하고, 길이는 12~25mm로 뾰족한 끝이 특징입니다. 잎의 단면은 대부분 삼각형 또는 사각형으로 되어 있으며 사면에 기공선이 있습니다. 측백나무의 꽃은 구화수로 3~4월에 나타납니다. 암수가 따로 붙어 한그루로 달리며 수구화수는 가지 끝에 타원형의 짧은 이삭꽃차례로 나타납니다. 암구화수는 가지 끝에 개별로 붉은색을 띤 녹색의 포가 달려 있습..

만병초, 만병초의 효능 [내부링크]

만병초 고산지의 상록 활엽 나무로, 보통 2~4m 정도의 높이로 자라는 식물입니다. 이 나무는 특이하게도 산지 숲 속에서 드물게 발견되며, 주로 한반도의 지리산과 그 주변 지역에서 자생합니다. 만병초는 높이 2~4m에 닿는 줄기를 가지고 있으며, 그 주변에서는 광택이 있는 가죽 같은 잎들이 눈에 띕니다. 이 잎들은 길이 8~20cm, 폭 2~5cm 정도이며, 끝이 둔하고, 가장자리가 뒤로 말리는 타원형으로 생겼습니다. 또한 잎들은 어긋나게 배치돼 있어 가지 끝에서 5~7장이 한데 모인 것처럼 보입니다. 이 잎들은 앞면에서는 짙은 녹색을 띄며 윤기가 나고, 뒷면에는 갈색 털이 많이 덮여 있습니다. 잎자루는 길이가 1~3cm 정도입니다. 만병초의 꽃은 6월에서 7월 사이에 피는데, 가지 끝에 총상꽃차례로 1..

사과독나방 [내부링크]

사과독나방 날개 편 길이는 암컷 30~44mm, 수컷 50~70mm이다. 암컷의 날개는 회색 바탕에 검은 인편이 산재해 있으며 뒷날개는 백색에 검은 무늬가 있는 개체도 있다. 날개는 전체적으로 백색이며 앞날개 2횡선은 뚜렷하다. 뒷날개의 외연부는 넓은 갈색 띠를 이룬다. 성충은 4~5월과 7~8월에 나타나며 연 2회 발생한다. 유충은 5~7월과 9월에 발생한다. 유충은 황색의 고치를 짓고 그 속에서 번데기가 되어 월동한다. 유충은 사과나무, 배나무, 신갈나무 등 여러 종류의 활엽수 잎을 식해하며, 해에 따라 대발생하는 경우는 있다. 남한 전역에 분포하고 있으나 울릉도에서의 기록은 없다. 국외에는 일본, 중국, 유럽에 분포한다. 피해 사과독나방은 사과와 다른 과일에 피해를 주는 해충 중 하나입니다. 과학적..

수수꽃다리, 수수꽃다리의 효능 [내부링크]

수수꽃다리 현삼목 물푸레나무과에 속한 관속식물로, 일반적으로 높이가 2~3m 정도입니다. 이 식물의 줄기는 높이 2~3m 정도로 자랍니다. 어린 가지는 털이 없으며 회갈색을 띕니다. 잎은 마주 나오며 넓은 난형 또는 난형이며, 뾰족한 끝을 가지고 있습니다. 잎의 가장자리는 부드럽게 펴져 있으며, 양 면에는 털이 없습니다. 이 물씬나는 식물은 4~5월에 꽃을 피우는데, 꽃은 연한 자주색을 띕니다. 그리고 향기가 풍부하며, 작년의 가지 끝에 원추꽃차례로 달립니다. 꽃받침과 꽃부리는 4갈래로 갈라지고, 수술은 2개가 있으며 꽃부리통의 윗부분에 달립니다. 암술머리는 2개로 깊이 갈라져 있습니다. 열매는 타원형의 삭과로, 9~10월에 익습니다. 수수꽃다리는 산 기슭이나 마을 주변에서 자라고, 또한 정원 및 공원에..

홍가시나무, 홍가시나무의 효능 [내부링크]

홍가시나무 정원이나 화단에서 아름다운 관상용 나무로 심기 좋은 상록성 작은나무로, 일반적으로 높이는 5~8m 정도입니다. 이 나무의 잎자루는 길이가 10~17cm 정도이죠. 잎은 서로 어긋나며 도피침이 타원형을 이루며, 길이는 5~12cm, 폭은 2.5~4.0cm입니다. 이 잎의 양 끝은 뾰족하고, 가장자리에는 좁고 날카로운 톱니가 있습니다. 잎의 앞면은 녹색이며 윤기가 돌며, 뒷면은 황록색이며 주맥이 잘 드러납니다. 또한, 홍가시나무의 턱잎은 침형이며, 일찍 떨어지는 특징이 있습니다. 5~6월에는 화려한 꽃이 피는데, 이 꽃들은 햇가지 끝에 지름 7~13cm의 원추꽃차례를 이룹니다. 꽃들은 흰색으로 아름답게 피어납니다. 꽃받침통은 짧은 도원추형으로 모양이며, 꽃받침잎은 삼각형 모양입니다. 꽃잎은 넓은 ..

괴불나무, 괴불나무의 효능 [내부링크]

괴불나무 산 기슭이나 골짜기에서 자란다. 이 나무의 줄기는 높이 2~5m 정도로 자라며, 속은 갈색이고 대부분 비어있는 모습을 띕니다. 잎은 서로 마주보며, 타원형 또는 긴 도란 형태를 하고 있으며, 잎 가장자리는 부드럽게 깔끔합니다. 또한, 잎 양면에는 털이 자라 있습니다. 5~6월에는 이 나무의 잎겨드랑이에서 꽃들이 피어나며, 처음에는 흰색에서 노란색으로 변하게 됩니다. 열매는 장과로 구성되며, 9~10월에 빨간색으로 익게 됩니다. 괴불나무는 우리나라 전역에서 찾아볼 수 있으며, 일본과 중국 등 몇몇 지역에도 분포하고 있습니다. 이 나무는 그 어마어마한 관상가치로 인해 관상용으로 심어지며, 그 열매는 식용으로도 사용됩니다 괴불나무의 효능 청열: 몸 속의 열을 내리고 발열을 낮춰주는 작용이 있습니다. ..

덜꿩나무, 덜꿩나무의 효능 [내부링크]

덜꿩나무 중부 이남 지역에서 주로 자라는 낙엽 나무입니다. 이 나무의 줄기는 짧은 별 모양의 털로 덮여 있으며 곧추서 있습니다. 가지가 많이 분기하며, 전체적으로 짧은 별 모양의 털이 돋아 있습니다. 덜꿩나무의 잎은 대개 마주 나오며, 잎에는 턱잎이 있습니다. 잎몸은 긴 난형 또는 타원형을 띠며 가장자리에 작은 이빨 모양의 톱니가 있습니다. 이 나무의 꽃은 주로 4월에서 6월 사이에 피는데, 꽃은 흰색을 띠며 가지 끝에 취산꽃차례로 달립니다. 꽃부리의 윗부분은 5갈래로 갈라집니다. 덜꿩나무의 열매는 핵과로 9월에 붉게 익습니다. 이 종은 주로 일본과 중국 지역에 분포합니다. 덜꿩나무의 효능 피부 건강 : 덜꿩나무에는 플라보노이드, 쿠마린, 알부틴 등의 항산화 성분이 풍부하게 함유되어 있습니다. 이 성분들..

백당나무, 백당나무의 효능 [내부링크]

백당나무 고도가 낮은 산지의 숲 속이나 가장자리에서 주로 자라는 떨기나무입니다. 이 나무는 껍질에 코르크가 발달한 희고고, 일반적으로 3~6m 정도의 높이로 자라납니다. 어린 가지는 녹색이며 붉은빛이 돌고 있으며 털이 없습니다. 백당나무의 잎은 주로 마주 나오며, 위쪽 부분은 보통 3개로 갈라지고, 넓은 난형 모양을 하며 길이와 폭은 각각 4~12cm 정도이고 가장자리에는 톱니가 있습니다. 잎자루는 밑에 2개의 작은 턱잎이 있으며 끝에 큰 샘점 2개가 있으며 길이는 1~5cm 정도입니다. 백당나무의 꽃은 5~6월에 피는데, 햇가지 끝에서 길이가 2~6cm인 꽃대 끝에 산방꽃차례로 달리며 흰색을 띕니다. 꽃차례 가장자리에는 지름이 2~3cm 정도인 중성꽃이 있고, 안쪽에는 지름이 약 5~6mm인 양성꽃이 ..

아왜나무, 아왜나무의 효능 [내부링크]

아왜나무 산 기슭 지역에서 자라는 상록 활엽 작은나무입니다. 이 나무는 일반적으로 5~20m 정도의 높이를 가집니다. 그 줄기는 검은 갈색의 껍질을 갖고 있습니다. 아왜나무의 잎은 대체로 마주 나오며, 잎자루는 길이가 1.5~2.5cm 정도이며 붉은빛이 돌고 있습니다. 잎몸은 가죽질로 윤기가 돌며, 긴 타원형 모양을 가지며 길이는 6~20cm, 폭은 4~8cm 정도입니다. 잎의 가장자리는 밋밋하거나 물결 모양의 톱니로 끝나며, 잎의 뒷면은 연한 녹색이며, 측맥은 5~8쌍 정도가 나타납니다. 아왜나무는 6~7월에 흰색의 꽃을 피우며, 이 꽃들은 어린 가지 끝에서 원추꽃차례로 모여 달립니다. 꽃차례는 길이 5~20cm, 폭 8~25cm 정도이고, 아래 부분에 잎이 2장 붙어 있습니다. 꽃받침은 녹색이며 5개..

분꽃나무, 분꽃나무의 효능 [내부링크]

분꽃나무 분꽃나무는 한국과 일본 등에서 발견되는 낙엽 관목으로, 일반적으로 높이가 2m 정도입니다. 이 나무의 잎은 둥근 달걀 모양을 가지며, 뒷면에 많은 털이 덮여 있습니다. 잎의 가장자리는 고르지 않은 톱니 모양을 가집니다. 분꽃나무의 꽃은 주로 4-5월에 피는데, 지난 해에 자란 가지 끝이나 한 쌍의 잎이 있는 짧은 가지에 모여 취산꽃차례로 달립니다. 이 꽃들은 옅은 황백색이나 옅은 자홍색을 띠며 향기를 품고 있습니다. 열매는 조금 긴 원형이며, 9월에 붉은색에서 검은색으로 익는 것이 특징입니다. 분꽃나무는 아름다운 꽃과 향기로 유명하며, 관상용으로 많이 심어지는 식물 중 하나입니다. 분꽃나무의 효능 분꽃나무는 aesculetin과 카테킨, 칼슘, 비타민 C가 들어 있습니다. 분꽃나무는 급체로 인한..

인동덩굴, 인동덩굴의 효능 [내부링크]

인동덩굴 낙엽 활엽 덩굴 식물로, 오른쪽 방향으로 감아 올라가며, 줄기의 길이는 약 5m 정도입니다. 이 덩굴의 잎은 서로 마주하며, 넓은 피침형이나 난상 타원형으로, 길이는 3-8cm, 너비는 1-3cm 정도입니다. 인동덩굴은 5-8월에 잎의 겨드랑이에서 1-2개의 꽃을 피우며, 처음에는 흰색이지만 시간이 지나면 노란색으로 변합니다. 꽃의 모양은 입술 모양으로 길이는 약 3-4cm입니다. 열매는 둥글며, 9-10월에 익어서 검은 색으로 변합니다. 이 덩굴의 잎과 꽃은 한약재로 사용되기도 합니다. 인동덩굴은 우리나라에서 북부지역을 제외한 거의 전역에서 발견되며, 중국, 일본 등 다른 지역에도 분포하고 있습니다. 인동덩굴의 효능 한방에서는 인동덩굴의 꽃봉오리인 금은화를 약재로 사용해 왔습니다. 인동덩굴의 ..

병꽃나무, 병꽃나무의 효능 [내부링크]

병꽃나무 산기슭의 양지에서 자라는 낙엽 활엽 나무로, 일반적으로 2~3m 높이로 자랍니다. 이 나무의 특징은 줄기의 아래 부분에서 가지가 다발로 갈라진다는 것이며, 나무껍질은 회흑색을 띠며 시간이 지나면 조각으로 나누어집니다. 어린 가지에는 잔털이 있으며 연한 갈색으로 덮여 있습니다. 병꽃나무의 잎은 서로 마주하며, 잎자루는 거의 없습니다. 잎의 형태는 주로 도란형, 도란상 피침형 또는 광난형으로, 길이가 1~7cm, 너비가 1~5cm 정도로 다양하며 끝은 길게 뾰족하고 밑면은 뾰족하거나 둥글한 형태를 띕니다. 잎의 양면에는 털이 있고, 뒷면의 주맥에는 털이 퍼져 있으며 가장자리에는 작은 이물감이 있습니다. 병꽃나무의 꽃은 5~6월에 피며, 각 꽃이 잎의 속에서 한 개씩 나타납니다. 이 꽃들은 병 또는 ..

능소화, 능소화의 효능 [내부링크]

능소화 삼목 능소화과에 속하는 식물로, 길이는 약 8~10m 정도이며 특징적으로 공기뿌리가 다른 물체를 붙잡아 줄기를 덩굴처럼 퍼지게 하는데 사용됩니다. 덩굴의 줄기는 다른 사물에 묶이며 높은 곳을 덮고 오목한 표면을 만듭니다. 능소화의 잎은 마주 나오며, 작은 잎이 5~9장으로 된 깃꼴겹잎 형태를 이룹니다. 잎의 길이는 10~20cm 정도로 난형 또는 난상 피침형을 가지며, 작은 잎은 길이 3~6cm, 폭 1.5~3.0cm, 가장자리에 불규칙한 톱니가 있습니다. 능소화는 7~8월에 꽃을 피우는데, 새로 나온 가지 끝에 원추꽃차례로 나타나며, 꽃의 지름은 6~7cm 정도이며 붉은색을 띠고 노란빛을 내보냅니다. 열매는 삭과 형태로 기둥 모양을 하며, 2개로 갈라지고 9~10월에 익습니다. 능소화는 주로 민..

개오동, 개오동의 효능 [내부링크]

개오동 개오동은 민가 주변에서 자주 식재되는 큰 나무로, 주로 높이가 10~20m에 이르는 곧추서나무입니다. 개오동의 잎자루는 길이가 6~18cm 정도이며, 잎은 서로 마주하거나 돌려나며, 넓은 난형 또는 둥근 모양을 하며 얕게 3갈래로 갈라집니다. 잎의 길이와 폭은 10~25cm 정도이며, 밑 부분은 얕은 심장형을 띠고, 끝 부분은 뾰족합니다. 개오동은 주로 6~7월에 꽃이 피는데, 이 꽃은 가지 끝에 원추꽃차례로 나타나며, 깔때기 모양을 하며 길이는 2~3cm 정도이고, 연한 노란빛을 띤 흰색을 띠고 있습니다. 꽃부리는 위쪽이 5갈래로 갈라진 입술 모양을 하며, 윗입술은 2갈래, 아랫입술은 3갈래로 분할되며, 내부에는 검은 보라색 반점이 있습니다. 개오동의 수술은 2개만 완전하고, 나머지 3개는 헛수..

오동나무, 오동나무의 효능 [내부링크]

오동나무 오동나무는 현삼목 현삼과에 속하는 관속식물로, 주로 높이가 15m에 달하는 큰 나무입니다. 이 나무의 잎은 서로 마주하며, 일반적으로 달걀 모양의 원형 또는 아원형을 띠며, 종종 5각형 모양으로도 나타납니다. 잎의 길이는 15~23cm, 너비는 12~29cm 정도이며, 끝 부분은 뾰족하고 밑 부분은 심형을 하며, 표면에는 털이 없지만 뒷면에 다갈색의 성모가 있습니다. 가장자리에는 톱니가 없지만 맹아 부분에는 톱니가 있으며, 엽병의 길이는 9~21cm로 잔털이 있습니다. 오동나무는 주로 5~6월에 자주색의 꽃을 피우며, 가지 끝에 원추모양으로 달린다. 꽃받침은 5개로 갈라지며, 열편은 긴 달걀 모양을 하며 뾰족한 끝 부분과 양면에 잔털을 가지고 있습니다. 화관의 길이는 약 6cm이며, 후부는 황색..

들메나무, 들메나무의 효능 [내부링크]

들메나무 들메나무는 주로 깊은 산의 골짜기나 냇가에 자라는 큰 나무로, 상당한 높이에 이를 수 있으며 지름이 2미터까지 다다를 수 있습니다. 나무의 수피는 연한 갈색을 띠고, 잎은 서로 마주나며 홀수 1회 깃꼴겹잎 형태를 가지며, 작은 잎은 일반적으로 9~11장 정도로 배열됩니다. 작은 잎은 타원상의 피침형을 하며 길이는 8~22cm, 폭은 2~8cm로, 끝 부분은 뾰족하게 뚫려 있습니다. 잎의 뒷면에는 맥 위에 털이 나타나며, 아랫부분에는 갈색 털이 덧대어 있습니다. 들메나무의 꽃은 주로 5월에 암수딴그루 형태로 나타나며, 묵은 가지의 잎 겨드랑이에서 나온 겹총상꽃차례에 붙어 있습니다. 꽃에는 꽃잎이 없습니다. 열매는 시과 형태를 띄며, 장타원상 피침형을 하며 길이는 대략 2.5~4cm입니다. 이 나무..

구골나무, 구골나무의 효능 [내부링크]

구골나무 구골나무는 주로 정원이나 길가에 식재하는 상록성 나무로, 아름다운 떨기나무입니다. 이 나무의 줄기는 많이 갈라지며 연한 회갈색을 띠고, 잎은 서로 마주나며 난형으로, 길이는 3~7cm이고 폭은 2~3cm 정도로 두껍고 광택이 나타납니다. 잎의 가장자리는 매끈하지만 어린 가지의 잎에는 날카로운 가시 모양의 돌기가 있습니다. 구골나무의 꽃은 주로 10~11월에 피며, 암수딴그루 형태로 잎의 겨드랑이에 모여 나타납니다. 이 꽃은 지름이 4~5mm 정도이며 흰색을 띠며, 상쾌한 향기를 풍깁니다. 꽃받침잎은 4장이며 심형으로, 가장자리는 부드럽습니다. 꽃부리도 끝 부분이 네 개로 갈라지며, 수술은 두 개가 있습니다. 열매는 핵과로서, 타원형을 하며, 10~11월에 검은 자색으로 익습니다. 구골나무는 주로..

쥐똥나무, 쥐똥나무의 효능 [내부링크]

쥐똥나무 쥐똥나무는 현삼목 물푸레나무과에 속하는 관속식물로, 주로 낮은 산지의 숲 가장자리나 들에서 비교적 흔하게 자라는 낙엽 나무입니다. 이 나무의 줄기는 가지가 갈라지며, 일반적으로 높이는 2~3미터 정도입니다. 쥐똥나무의 잎은 서로 마주하며, 주로 타원 모양 또는 거꾸로 세운 달걀 모양을 하며, 가장자리는 부드럽습니다. 꽃은 주로 5~6월에 피며, 새 가지 끝에서 길이가 2~4cm 정도인 총상꽃차례를 이룹니다. 이 꽃차례에는 작은 꽃이 많이 달리며, 꽃은 흰색의 양성화를 가지고 있습니다. 꽃받침은 녹색이며 네 개로 갈라지며, 꽃부리는 통 모양을 하며, 끝 부분이 네 개로 갈라져 밖으로 젖혀집니다. 이 꽃에는 두 개의 수술과 하나의 암술이 있습니다. 열매는 핵과로서, 둥근 모양을 하며, 10~11월에..

광나무, 광나무의 효능 [내부링크]

광나무 광나무는 주로 산 기슭과 저지 지대에서 발견되는 상록성 나무로, 일반적으로 3~5미터 정도의 높이를 가집니다. 이 나무의 가지는 회색이며, 피목이 뚜렷하게 나타납니다. 광나무의 잎은 서로 마주하며 가죽질로 된 잎 표면에 광택이 있으며, 주로 장타원형을 띕니다. 잎끝은 예두 또는 둔두 모양을 하며, 잎의 하면은 원저 또는 예저이다. 잎의 길이는 3~10cm이고, 너비는 2.5~4.5cm 정도입니다. 잎의 뒷면에는 작은 점이 있으며, 가장자리는 부드럽고 밋밋합니다. 잎자루의 길이는 5~12mm이며, 적갈색 엽맥과 함께 나타납니다. 꽃은 주로 7~8월에 백색으로 피우며, 새 가지 끝에 겹총꽃차례로 달립니다. 꽃부리는 길이가 5~6mm이고 네 개로 갈라지며, 열편은 화통과 거의 같은 깊이로 갈라집니다. ..

금목서, 금목서의 효능 [내부링크]

금목서 금목서는 목서와 구골나무의 혼합종으로, 주로 대한민국의 남부 지방에서 화려한 조경수로 자주 식재됩니다. 이 나무는 늘푸른 넓은 잎을 가진 작은 나무로, 최대 6미터까지 자라지만 대부분은 3미터 정도의 작은 크기를 가지고 있습니다. 금목서의 가지는 회색을 띕니다. 이 나무의 잎은 서로 마주하며 홑잎이며, 잎의 가장자리는 빗살 모양이거나 톱니 모양을 갖고 있으며, 이 톱니의 끝은 가시처럼 날카롭게 튀어나옵니다. 잎의 전체 모양은 주로 타원형이나 난형을 띄며, 계절에 관계없이 녹색을 유지합니다. 꽃은 흰색이며 네 갈래로 갈라지며, 열매는 둥글고 검은색으로 직경 약 1.3cm 정도입니다. 가을에 꽃이 피면서 달콤한 향기가 뿜어집니다. 금목서의 효능 금목서는 효능으로는 화담(化痰), 산어(散瘀)이 있으며,..

은목서, 은목서의 효능 [내부링크]

은목서 은목서는 목서와 구골나무의 잡종으로, 주로 우리나라의 남부 지방에서 조경용으로 식재됩니다. 이 나무는 늘푸른 넓은 잎을 가진 나무로, 작은 나무로 자랄 때도 있지만, 주로 6미터까지 자라는데, 대부분은 3미터 정도의 크기를 갖고 있습니다. 은목서의 가지는 회색을 띕니다. 이 나무의 잎은 서로 마주하며 홑잎이며, 잎의 가장자리는 빗살 모양이거나 톱니 모양이며, 이 톱니의 끝은 가시처럼 날카롭습니다. 잎의 전체 모양은 주로 타원형이나 난형을 띄며, 녹색으로 계절에 따라 색상이 변하지 않는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꽃은 흰색이며 네 갈래로 갈라지며, 열매는 은목서의 효능 은목서는 상처에 새 살을 나게 하고 지혈과 접골이나 기침을 멎게 하며, 눈을 맑게 하며 시력을 도와주는 등 다양한 효능이 있습니다. ..

목서, 목서의 효능 [내부링크]

목서 목서는 주로 정원에서 관상용으로 식재되는 상록성 활엽 나무입니다. 이 나무는 밑에서 여러 줄기가 뻗어나와 나름의 아름다운 수형을 형성하는 특징을 가지며, 맹아력이 강합니다. 목서의 잎은 서로 마주하며, 길이는 712cm, 폭은 2.54cm 정도로 긴 타원형 또는 넓은 피침형을 띕니다. 잎은 끝 부분이 날카롭게 뾰족하고, 밑 부분도 뾰족합니다. 잎의 가장자리에는 잔 톱니가 조금 있거나 거의 없을 수 있습니다. 잎의 윗면은 짙은 녹색이며 가운데 잎맥이 오목하게 파인 것으로 나타납니다. 또한, 잎에는 털이 없고, 뒷면은 연녹색이며 측맥이 돌출합니다. 잎자루의 길이는 7~15mm 정도입니다. 목서는 9월부터 10월 사이에 작은 꽃을 암수로 함께 피우며, 이 꽃들은 지름이 약 5mm 정도이며 황백색을 띕니다..

물푸레나무, 물푸레나무의 효능 [내부링크]

물푸레나무 물푸레나무는 큰 나무로, 일반적으로 높이가 10미터에 달합니다. 이 나무의 줄기는 회갈색이며 털이 없습니다. 물푸레나무의 잎은 서로 마주하며, 5-7장의 작은 잎으로 이루어진 겹잎입니다. 이 작은 잎은 넓은 난형 또는 넓은 피침형을 가지며, 길이는 6-15cm 정도입니다. 잎의 뒷면은 맥 위에 갈색 털이 많이 붙어 있습니다. 물푸레나무는 4월부터 5월에 이르는 봄에 새 가지에서 원추꽃차례로 꽃을 피웁니다. 꽃받침은 4갈래로 갈라지며 꽃잎은 존재하지 않습니다. 이 나무의 목재는 가구, 건축 재료, 기구 등으로 사용되며, 줄기 껍질은 약용으로 활용됩니다. 물푸레나무는 한국, 중국 동북부, 일본 등 다양한 지역에서 자생합니다. 물푸레나무의 효능 통풍: 물푸레나무에 함유된 성분인 디만티톨, 에스쿨레틴..

미선나무, 미선나무의 효능 [내부링크]

미선나무 현삼목 물푸레나무과에 속하는 식물입니다. 이 나무는 일반적으로 1-2미터 정도의 높이를 가지며 가지 끝이 약간 처지고, 자주 빨간색을 띕니다. 가지의 껍질은 계단 모양을 이루며 어린 가지의 단면은 사각형 모양입니다. 잎자루는 길이가 2~5mm 정도입니다. 이 나무의 잎은 대부분 서로 마주하며, 길이는 3~8cm, 너비는 0.5~3cm 정도로 타원형 또는 달걀 모양을 갖고 있으며, 잎끝은 뾰족하거나 뾰족한 방향으로 약간 뾰족해지며, 잎의 하면은 둥글습니다. 이 나무의 꽃은 네 갈래로 갈라지는 통꽃으로, 자주 빨간색을 띠며 흰색 또는 연한 분홍색을 띠기도 합니다. 총상꽃차례의 길이는 3~15cm 정도이며, 꽃받침은 네 개로, 거꿀 달걀 모양 또는 달걀 모양을 갖고 있습니다. 꽃에는 두 개의 수술이 ..

영춘화, 영춘화의 효능 [내부링크]

영춘화 영춘화는 중국에서 기원한 낙엽 나무로, 주로 정원에서 관상용으로 기르는 식물입니다. 이 나무는 일반적으로 낙엽 수림이지만 때로는 상록성으로 성장하기도 합니다. 영춘화는 높이가 3~5m까지 자랍니다. 그 가지에는 좁은 날개가 있는데, 어떤 부분에서는 털도 조금 있습니다. 이 나무의 잎은 마주 나며, 작은 잎이 3~5개로 된 겹잎으로 형성됩니다. 이 작은 잎은 난형 또는 타원형이며, 길이는 0.7~2.2cm, 폭은 4~13mm 정도로 다양합니다. 잎의 밑부분은 쐐기 모양이고, 잎끝은 뾰족하거나 때로는 미끄럽거나 둔한 경우도 있으며, 가장자리는 주로 부드럽습니다. 영춘화의 꽃은 주로 3~4월에 화려한 노란색으로 핀다. 꽃들은 잎의 겨드랑이 또는 가끔 줄기 끝에 1개씩 매달려 있습니다. 꽃싸개잎은 난형 ..

개나리, 개나리의 효능 [내부링크]

개나리 개나리는 현삼목 물푸레나무과에 속하는 식물로, 2~5m 정도의 높이에 가지가 넓게 뻗어있으며 줄기는 점차 회갈색을 띕니다. 특히, 피목이 확실하게 나타납니다. 이 나무의 줄기 내부는 흰색이며 때로는 빈 공간이 있거나 계단 모양을 이루는 것이 특징입니다. 개나리의 잎은 홑잎으로, 피침형 또는 난상 피침형을 띠며 끝이 길게 뾰족하고, 밑 부분은 쐐기 모양입니다. 잎의 가장자리는 중앙 이상에 톱니 모양이 있습니다. 잎자루의 길이는 1~2cm 정도이며, 어린 가지의 잎은 드물게 3열로 나타납니다. 개나리의 꽃은 2~4월에 잎보다 앞서 암수딴그루에 피며, 노란색을 띠고 있습니다. 이 꽃은 잎의 겨드랑이에 1~3개씩 달리며, 꽃부리는 긴 종 모양 또는 깔때기 모양이며 끝이 4갈래로 깊게 갈라지며, 수평으로 ..

좀작살나무, 좀작살나무의 효능 [내부링크]

좀작살나무 산지의 숲과 바위 지대에서 자라는 낙엽 활엽 떨기나무로, 작살나무보다 더 작은 크기로 높이가 1~1.5m 정도입니다. 이 나무의 줄기는 가지를 가로지르며 진한 보라색을 띠고, 별 모양의 털이 있습니다. 잎은 마주 나타나며 도란 형태나 긴 타원 형태로, 길이는 3~6cm, 폭은 1.5~3cm 정도이며, 양 끝이 뾰족하고, 가장자리의 아래쪽 1/3부터 톱니 모양이 있습니다. 잎은 두꺼우며, 잎의 마른 부분에 짧은 털이 있습니다. 작살나무와 같이 5~6월에 꽃을 피우는데, 꽃은 잎의 윗부분에서 10~20개 정도가 모여 취산꽃 차례로 달립니다. 꽃자루는 1~1.5cm 정도로 길며, 꽃받침은 넓은 타원 모양을 갖고 있습니다. 꽃부리는 연한 자주색이며 통 모양을 하며, 털이 없습니다. 수술은 4개, 암술..

작살나무, 작살나무의 효능 [내부링크]

작살나무 산지의 경사 지대, 계곡 주변, 길가 등에서 자라는 낙엽 활엽 떨기나무다. 줄기는 가지가 갈라지며, 높이 2~3m이다. 어린가지는 둥글고, 별 모양 털이 있으나 자라면서 없어진다. 잎은 마주나며, 난형 또는 긴 타원형, 길이 5~15cm, 폭 2~6cm, 가장자리에 가는 톱니가 있다. 잎자루는 0.2~1.0cm다. 꽃은 6~8월에 피는데 잎겨드랑이의 취산꽃차례에 많이 달리며, 연한 자주색이다. 꽃받침은 종 모양, 끝이 4갈래로 얕게 갈라지거나 갈라지지 않는다. 꽃부리는 끝이 4갈래로 갈라진다. 수술은 4개, 암술은 1개다. 열매는 핵과이며, 둥글고, 지름 3mm쯤, 자주색으로 익는다. 씨는 4개씩 들어 있다. 우리나라 전역에 나며, 중국 중부, 일본 등에 분포한다. 제주도와 남부지방의 섬에서 자..

C형간염 [내부링크]

C형간염 개요 C형간염 바이러스(Hepatitis C virus, HCV) 감염에 의한 급성 및 만성 간질환이며, 제3급 감염병입니다. 개요-신고 대상 및 방법 - 신고범위 : 환자, 병원체보유자 - 신고를 위한 진단기준 • 환자 : C형간염에 부합되는 임상증상을 나타내면서 진단을 위한 검사기준에 따라 감염병병원체 감염이 확인된 사람 • 병원체보유자 : 임상증상은 없으나 진단을 위한 검사기준에 따라 감염병병원체 감염이 확인된 사람 - 진단을 위한 검사기준 : 검체(혈액)에서 C형간염 바이러스 특이 유전자 검출 - 신고시기 : 24시간 이내 신고 - 신고 방법 : 신고서를 작성하여 관할 보건소로 팩스 또는 웹[바로가기]의 방법으로 신고 개요-원인 및 감염경로 혈액매개감염으로 전파되며 C형간염 바이러스에 오..

구기자나무, 구기자나무의 효능 [내부링크]

구기자나무 구기나 나무는 가지목 가지과에 속하는 관속식물로, 특징적인 생김새를 가지고 있습니다. 그 줄기는 비스듬히 자라면서 끝이 아래로 처지며, 밑에서부터 여러 가지로 갈라집니다. 일반적으로 1~2m 정도의 높이를 가집니다. 어린 가지는 회색을 띠며 털이 없습니다. 이 식물의 잎은 마디에서 여러 장이 모여 나옵니다. 이 잎들은 타원형 또는 긴 타원형으로 모양이 나며, 길이는 보통 24cm, 폭은 12cm 정도입니다. 잎의 끝은 뾰족하거나 다소 둔하며 밑부분은 좁아지면서 잎자루로 연결됩니다. 가장자리는 주로 매끈하고 밋밋합니다. 구기나 나무의 꽃은 보통 4월에 피우며, 잎의 겨드랑이에서 드물게 하나씩 또는 대부분 35개씩 달립니다. 이 꽃의 꽃부리는 연한 보라색을 띠며 길이는 11.5cm 정도이고, 끝은..

팔손이, 팔손이의 효능 [내부링크]

팔손이 팔손이는 미나리목 두릅나무과에 속하는 관속식물로, 바다 근처의 숲에서 드물게 자라거나 인근 지역에 심어지는 상록성 나무입니다. 이 나무는 주로 낮은 식물로, 줄기는 밑 부분에서 몇 개가 모여 2~3m 정도의 높이를 갖습니다. 팔손이의 잎은 줄기 끝 부분에서 모여 어긋나며, 7~9갈래로 가운데까지 갈라져 손바닥 모양을 이룹니다. 이 잎은 지름이 20~40cm이며, 밑 부분은 심장 모양을 가지며,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습니다. 잎의 앞면은 짙은 녹색이며 윤기가 있고, 뒷면은 노란빛이 도는 녹색입니다. 잎자루의 길이는 15~45cm 정도입니다. 팔손이는 10~12월에 꽃이 피는데, 가지 끝에서 산형꽃차례가 모여 원추꽃차례를 이룹니다. 이 꽃은 흰색을 띠며, 꽃자루의 길이는 81~0mm입니다. 꽃받침잎은 ..

건선 [내부링크]

건선 개요 건선은 피부가 붉어지는 증상인 홍반과 하얀 각질이 일어나는 증상인 인설이 주증상이며, 두꺼워진 피부에 홍반과 인설이 같이 있는 특징적인 모양을 가집니다. 주로 팔꿈치, 무릎, 엉덩이, 두피 등 자극을 많이 받는 부위에 발생합니다. 다른 피부질환과 달리 병변과 정상피부와의 경계가 뚜렷한 특징이 있습니다. 물방울, 판상, 농포성, 박탈성 건선, 건선 관절염 등 다양한 임상 양상을 보입니다. 손발바닥에만 농포가 존재하는 국소농포성건선(손발바닥 농포증)도 건선으로 분류합니다. 건선의 심한 정도는 얼마나 넓은 부위의 피부를 침범했느냐에 따라 주로 판단합니다. 10% 이상의 피부가 건선으로 덮일 경우 중증 이상으로 분류하고 고강도의 치료를 하게 됩니다. 호전과 악화를 반복하며, 증상이 심한 일부의 환자는..

결장암 [내부링크]

- 발생부위 대장(큰창자)은 소장(작은창자)의 끝에서 시작해 항문까지 연결된 긴 튜브 모양의 소화기관으로, 길이가 약 150cm 정도입니다. 보통 6m가 넘는 소장보다 훨씬 짧지만 폭이 넓어서 대장이라 부릅니다. 대장은 충수, 맹장, 결장, 직장, 그리고 항문관으로 나뉘며, 결장은 다시 상행결장, 횡행결장, 하행결장, 에스상(S狀)결장으로 나뉩니다. - 정의 및 종류 결장에 생기는 악성 종양이 결장암입니다. 결장암의 대부분은 선암(腺癌. 샘암), 즉 점막의 샘세포에 생기는 암이며, 그 밖에 림프종, 악성 유암종(類癌腫), 평활근육종(平滑筋肉腫) 같은 것이 생길 수 있습니다. [결장암의 예방] 위험요인 50세 이상의 연령, 붉은 육류 및 육가공품의 다량 섭취, 흡연, 비만, 음주, 유전적 요인(유전성 대장..

유자나무, 유자나무의 효능 [내부링크]

유자나무 유자나무는 중국에서 기원한 과수로, 주로 과수원에서 재배되거나 정원에서 관상용으로 식재되는 상록성 작은 나무입니다. 이 나무는 일반적으로 높이 4~6m 정도 자랍니다. 특징적으로 가지에는 긴고 강한 가시가 있습니다. 유자나무의 잎자루는 도란상 타원형이며, 길이는 1.0~2.5cm, 폭은 0.4~1.5cm 정도이며, 밑부분은 쐐기 모양을 띕니다. 잎몸은 난형 또는 피침형으로 길이는 2.5~8.0cm, 폭은 1~4cm, 가장자리는 잔톱니 모양을 가지고 있습니다. 유자나무의 꽃은 4~5월에 피며, 흰색 꽃이 잎겨드랑이에서 1개씩 달립니다. 꽃받침은 컵 모양으로 4~5갈래로 갈라지며, 꽃잎은 5장으로, 흰색이며 가장자리는 분홍색을 띕니다. 수술은 20~25개로 형성되며, 암술대는 씨방 길이의 2배 정도..

소태나무, 소태나무의 효능 [내부링크]

소태나무 소태나무는 낙엽활엽 작은나무로, 일반적으로 8-10m 높이의 작은 나무입니다. 이 나무의 줄기는 주로 높이 8-10m 정도로 자라며, 나무껍질은 쓴 맛을 가지고 있습니다. 어린 가지는 녹색을 띠고 있습니다. 소태나무의 잎은 깃꼴겹잎으로, 작은 잎이 9-15장으로 구성되며, 길이는 20-30cm 정도입니다. 작은 잎은 난상 피침형을 띠고 있으며, 길이는 5-9cm, 너비는 2-4cm 정도입니다. 이 나무의 꽃은 암꽃과 수꽃이 함께 딴그루에 모여 5-6월에 작은 꽃들이 모여 산방꽃차례를 이룹니다. 이러한 꽃들은 녹색이 도는 노란색을 띠고 있으며, 꽃잎은 4-5장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암꽃은 수꽃에 비해 작습니다. 소태나무의 열매는 붉은빛을 띤 검은색으로 익으며, 이 나무는 주로 한국, 중국, 인도..

은단풍, 은단풍의 효능 [내부링크]

은단풍 은단풍은 북아메리카 원산지의 나무로, 조경 및 가로수로 많이 심어지는 낙엽 활엽 큰키나무입니다. 이 나무는 일반적으로 25m 정도의 높이에 곧게 자랍니다. 은단풍의 나무껍질은 회색 빛을 띤 갈색이며, 어린 가지는 붉은빛을 띠고 있습니다. 잎은 서로 마주 나타나며, 손바닥 모양으로 생긴 원형을 띠고 있으며, 길이는 8~14cm 정도입니다. 이러한 잎은 5갈래로 갈라지며, 겹톱니가 있습니다. 잎끝은 뾰족하며, 가운데 갈래는 얕게 3갈래로 갈라집니다. 잎의 앞면은 짙은 녹색이며, 뒷면은 은백색을 띠고 있어 눈에 띄는 아름다움을 가지고 있습니다. 은단풍의 꽃은 일반적으로 3월에서 4월, 잎이 나오기 전에 황록색으로 피는데, 암꽃, 수꽃, 양성화가 딴 그루에 피며 꽃잎이 없습니다. 열매는 2개의 시과로 구..

고로쇠나무, 고로쇠나무의 효능 [내부링크]

고로쇠나무 고로쇠나무는 주로 산악 지대의 숲에서 발견되는 낙엽 큰키나무로, 일반적으로 10에서 30m 정도의 높이로 자랍니다. 고로쇠나무의 잎은 서로 마주 나타나며, 홑잎 형태로 나타납니다. 이 홑잎은 손바닥 모양으로 보통 5갈래로 나뉘며, 가장자리는 비교적 평평합니다. 잎의 앞면은 진한 녹색이며 매끈하고, 뒷면은 연한 녹색을 띠고 있습니다. 이 나무는 주로 5월에서 6월에, 새로운 가지 끝에 산방꽃차례 형태로 노란색 꽃을 피웁니다. 이 꽃들은 노란빛을 띠며, 꽃받침잎과 꽃잎은 각각 5장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고로쇠나무는 수액을 추출하여 음료로 마시거나 농축하여 시럽으로 만드는 데 사용됩니다. 또한, 목재는 장식용구와 가구 제작에 사용됩니다. 이 나무는 전국에서 발견되며, 중국 중부, 일본, 러시아 등..

줄기마름병 [내부링크]

줄기마름병(Chestnut blight) 기주 밤나무, 참나무, 단풍나무 피해 Cryphonectria parasitica에 의한 밤나무줄기마름병은 전 세계적으로 가장 문제가 되는 병해로 느릅나무 시들음병, 잣나무 털녹병과 함께 세계 3대 수 목병으로 분류되고 있는 무서운 병해이다. 밤나무줄기마름병은 1904년 뉴욕의 브롱크스에 있는 뉴욕동물원에서 처음 발견된 후 급속히 전파되어 1940년까 지 캐나다 남쪽으로부터 멕시코만에 이르는 미국 동부지역의 미국밤나무 숲 을 거의 황폐화시켰으며, 유럽으로 전파되어 많은 피해를 주었다. 한국에서 밤나무줄기마름병은 1925년에 최초로 보고되었으나 병원균의 분포, 생리, 생 태에 관한 연구는 매우 미비하며, 관리부족과 밤나무의 노령화로 밤나무가 고사되는 현상이 증가하여..

떡병 [내부링크]

떡병 담자균에 의한 식물병으로 철쭉 및 진달래 류에서 가끔 볼 수 있는 병인데 병에 걸린 잎 모습이 마치 불에 구어 부풀어오른 찰떡과 같다고 해서 떡병이라는 병명이 붙여졌다. 이병은 나무의 건강에 피해를 주기보다는 주로 미관에 해를 주기 때문에 일종의 미관훼손병이라고 할수 있다. 병징 철쭉,동백 등 화목류에 봄부터 초여름에 걸쳐 발생한다. 이 병에 걸리면 나무가 죽는 경우는 드물지만 착화가 나빠진다. 처음에는 어린잎이 기형으로 되어 부풀며, 흰가루가 생겨 떡과 같이 되며 심해지면 어린줄기에도 발생하고 점차 흑갈색이 되어 고사한다. 꽃눈에 발생하여 비대하면 기형이 되고 비대한 부분이 희고 속이 비게 된다. 방제 - 혹 표면에 흰가루가 나타나기 전에 일찍 혹을 제거해서 땅 속에 묻는다. - 떡병이 자주 발생..

당단풍나무, 당단풍나무의 효능 [내부링크]

당단풍나무 당단풍나무는 단풍나무과에 속하는 식물로, 주로 숲 속에서 자라는 낙엽 큰키나무로 알려져 있습니다. 이 나무의 줄기는 일반적으로 10~20cm 정도의 높이를 가지고 있습니다. 당단풍나무의 잎들은 서로 마주 나타나며, 홑잎 형태를 가지고 있습니다. 이러한 잎은 손바닥 모양으로 나타나며, 대략 9~11갈래로 가운데까지 갈라지고, 길이와 폭은 약 10cm 정도입니다. 또한, 이러한 잎의 밑면은 흰색 털로 덮여 있습니다. 이 나무는 주로 5~6월에 꽃을 피우는데, 가지 끝에 산방꽃차례 형태로 10~15개의 꽃이 달립니다. 이 꽃들은 붉은빛을 띠며, 꽃받침잎은 5장으로 구성되어 보라색입니다. 꽃잎은 5장으로, 난형이며, 길이는 꽃받침잎의 절반 정도입니다. 수술대는 보라색으로, 꽃밥은 노란색입니다. 당단풍..

복장나무, 복장나무의 효능 [내부링크]

복장나무 복장나무는 고산 지대에서 주로 자라는 낙엽 큰키나무로, 높이는 보통 10~15m 정도에 달합니다. 이 나무의 줄기는 고르게 가지를 뻗고, 나무껍질은 회색 또는 어두운 갈색을 띠며, 세로로 가늘게 갈라집니다. 복장나무의 잎들은 서로 마주 보며 3출겹잎의 형태를 가집니다. 작은잎은 타원형에서 피침형으로 나타나며, 길이는 대략 7~9cm, 폭은 2~3cm 정도이며, 끝 부분은 점차 뾰족해집니다. 작은잎자루는 대략 1cm 정도의 길이를 가지고 있습니다. 이 나무의 꽃은 주로 5월에 피는데, 가지 끝에서 3~5개 정도의 꽃이 취산꽃차례 형태로 나타납니다. 이 꽃은 수꽃 또는 양성꽃으로 나타납니다. 꽃받침잎은 5장, 꽃잎은 5장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꽃받침잎보다는 조금 더 짧습니다. 수술은 보통 8~10개..

신나무, 신나무의 효능 [내부링크]

신나무 신나무는 무환자나무목 단풍나무과에 속하는 식물로, 주로 계곡 주변이나 산기슭에서 발견되며 높이는 2~10m 정도에 이릅니다. 이 나무는 낙엽성으로, 가끔 떨어지는 잎을 가지고 있어 '떨기나무' 또는 '작은큰키나무'로 불리기도 합니다. 신나무의 잎들은 서로 마주나며, 둥근 난형의 모양을 가지며, 길이는 59cm, 폭은 36cm 정도입니다. 잎은 주로 3개의 얕거나 깊게 갈라진 갈래로 나뉘며, 양면에는 털이 없습니다. 잎자루의 길이는 3~5cm입니다. 꽃은 주로 5~6월에 가지 끝에 원추꽃차례로 핍니다. 이 꽃은 양성꽃 또는 잡성꽃으로 나타납니다. 꽃받침잎과 꽃잎은 각각 5장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꽃잎은 황록색을 띕니다. 수술은 보통 8개가 있습니다. 열매는 시과로서, 길이는 약 2cm 정도이며 거의..

가시칠엽수, 가시칠엽수의 효능 [내부링크]

가시칠엽수 가시칠엽수는 주로 유럽 남동부에서 원산지를 갖는 큰 나무로, 조경용으로 심기도 하는 종입니다. 이 나무는 최대 30m까지 자라며, 줄기의 직경은 2m까지 다다를 수 있습니다. 어린 가지는 갈색 털로 덮여 있습니다. 잎자루는 길이가 8-20cm이며 털이 없습니다. 잎은 5-7개의 조각으로 완전히 나뉘며, 이 조각들에는 잎자루가 없습니다. 잎의 윗면은 주로 녹색이며, 털이 없거나 드문드문하게 흰털이 납니다. 잎의 가장자리에는 톱니가 있으며, 측맥은 18-25쌍이 있습니다. 가시칠엽수의 꽃차례는 원통형에서 원뿔형으로 형태가 변하며, 길이는 10-30cm 정도입니다. 꽃대의 길이는 2.5-5cm이며, 꽃차례의 가지에는 4-12개의 꽃이 달립니다. 꽃잎은 4개 또는 5개로 이루어져 있으며, 흰색이며 붉..

칠엽수, 칠엽수의 효능 [내부링크]

칠엽수 칠엽수는 무환자나무목 칠엽수과에 속하는 나무로, 주로 일본에서 원산지를 두고 있습니다. 이 나무는 주로 공원이나 도로변 가로수로 식재되는 대형 낙엽 활엽수로, 높이가 최대 30m까지 자랄 수 있습니다. 칠엽수의 잎은 어긋나며, 작은잎 5~7장으로 이루어진 손바닥 모양의 겹잎입니다. 작은잎은 길고 도란형을 띄며, 가장자리에 겹겹이 톱니가 있으며, 그 중에서도 가장 큰 잎은 길이가 15~40cm, 폭이 4~15cm 정도입니다. 잎의 뒷면은 붉은 갈색의 부드러운 털로 덮여 있습니다. 칠엽수는 5~6월에 꽃이 피는데, 가지 끝에 원추꽃차례로 달립니다. 이 꽃차례는 길이가 15~25cm 정도이며, 흰색이지만 붉은빛을 띕니다. 꽃받침은 불규칙하게 5갈래로 갈라지며, 꽃잎은 4장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수술은..

무환자나무, 무환자나무의 효능 [내부링크]

무환자나무 무환자나무는 사찰이나 마을 주변에 식재되는 낙엽 큰키나무로, 높이가 최대 20m까지 자랄 수 있습니다. 이 나무의 가지는 털이 없으며 주로 갈색을 띕니다. 무환자나무의 잎은 어긋나며, 작은잎은 9~13장으로 이루어진 깃꼴겹잎 형태를 가집니다. 작은잎은 타원상 난형 또는 피침형으로 길이가 7~14cm, 폭이 3.0~4.5cm 정도이며, 끝은 길게 뾰족하고 밑부분은 뾰족하며, 가장자리는 밋밋하며 양면에 털이 없습니다. 무환자나무의 꽃은 주로 5~6월에 피며, 지름이 4~5mm 정도이며, 붉은색을 띠고 갈색이며, 가지 끝에서 길이가 20~30cm의 원추꽃차례를 형성합니다. 꽃받침잎은 난형으로 길이가 약 2mm 정도입니다. 꽃잎은 5장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피침형이며 길이는 약 2.5mm 정도이며, ..

모감주나무, 모감주나무의 효능 [내부링크]

모감주나무 모감주나무는 주로 바닷가, 강가, 그리고 인근 산지에서 자라는 작은 큰키나무로, 보통 높이가 3~6m 정도입니다. 이 나무의 작은 가지는 암갈색을 띠며, 잎은 깃꼴겹잎 형태로 어긋나게 달립니다. 작은잎은 난형을 띠며 7~15장 정도가 있으며, 가장자리에는 불규칙하고 둔한 톱니 모양이 있습니다. 모감주나무의 꽃은 주로 6~7월에 노란색으로 피는데, 원추꽃차례는 가지 끝에 달리며 길이가 25~35cm로 가지가 길게 자라 꽃이 총상 형태로 달립니다. 이 꽃은 황색이지만 중심부는 적색을 띄며, 꽃자루는 짧습니다. 꽃받침은 거의 5개로 나뉘며 꽃잎은 뒤로 젖혀지면서 기부에 적색 부속체가 있습니다. 수술은 8개이며, 수술대의 아랫부분에는 긴 털이 있습니다. 열매는 삭과로, 꽈리 모양을 띠며 10월에 갈색..

담쟁이덩굴, 담쟁이덩굴의 효능 [내부링크]

담쟁이덩굴 담쟁이덩굴은 갈매나무목 포도과에 속하는 식물로, 대부분의 지역에서 발견되며 주로 바위나 나무 줄기에 붙어 자랍니다. 이 낙엽 덩굴식물은 길이가 5~10m에 달하는 줄기를 가지고 있으며, 그 특징적인 특성 중 하나는 덩굴손입니다. 덩굴손은 잎과 마주하며 줄기를 다른 물체에 부착시키는데 사용됩니다. 담쟁이덩굴의 잎은 어긋나며, 홑잎 또는 작은 잎 3장으로 된 겹잎 형태를 띕니다. 작은 잎은 넓은 난형을 하며, 길이와 폭은 각각 5~20cm이며 가장자리에 불규칙한 톱니 모양이 있습니다. 잎의 뒷면에는 잎줄 위에 작은 털이 나타납니다. 잎자루는 잎몸보다 길게 나타납니다. 꽃은 주로 6~7월에 잎겨드랑이에서 난 취산꽃차례에 피며, 노란빛이 도는 녹색을 띕니다. 꽃은 양성을 가지며, 꽃잎은 5장으로 나타..

회양목, 회양목의 효능 [내부링크]

회양목 회양목은 주로 산지의 석회암 지대에서 자라는 상록 활엽 나무입니다. 이 나무는 다른 종류의 나무와 비교했을 때 특별한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먼저, 회양목의 잎은 좁은 피침형으로 모양이 되어 있으며 끝이 뾰족하며 뒷면에는 작은 털이 나 있습니다. 이 잎의 길이는 1222mm 사이이며, 폭은 411mm 정도입니다. 회양목은 주로 4월에 핀다는 작은 옅은 노란색의 꽃을 가지고 있으며, 이 꽃들은 단독으로 자웅이주로 핀다고 합니다. 이 나무의 열매는 공 모양의 삭과로 7~8월에 익습니다. 회양목은 주로 경기도에 분포하는 한국의 고유종 나무 중 하나입니다. 다른 나무인 회양목과 비교할 때, 회양목보다 잎이 가늘고 길다는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종종 회양목과 함께 자라는 흔한 잎의 변이로도 볼 수 있습..

먼나무, 먼나무의 효능 [내부링크]

먼나무 먼나무는 바닷가 상록수림의 덤불숲에 서식하는 상록 큰키나무입니다. 이 나무의 줄기는 보통 5~10m 정도의 높이를 가집니다. 어린 가지는 어두운 갈색을 띄며 털이 없습니다. 잎은 어긋나는데, 가죽질이며 주로 타원형 또는 긴 타원형을 가지며 길이는 6~10cm, 폭은 2.5~4cm 정도입니다. 잎의 가장자리는 주로 부드럽고 매끄럽습니다. 잎자루의 길이는 1.2~2.8cm 정도입니다. 먼나무는 5~6월에 암수딴그루로 꽃이 피는데, 햇가지의 잎겨드랑이에서 취산꽃차례로 2~7개씩 달립니다. 이 꽃들은 붉은빛이 도는 녹색이며 지름은 4~5mm 정도입니다. 꽃대는 약 1cm 정도의 길이를 가지며, 꽃자루의 길이는 2~5mm 정도입니다. 꽃잎과 꽃받침잎은 각각 4~5장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꽃잎은 꽃받침잎보다..

노랑털알락나방 [내부링크]

노랑털알락나방 노랑털알락나방은 나비목에 속하는 곤충으로, 주로 한국, 일본, 중국, 미국에서 발견됩니다. 이 나방은 사철나무, 화살나무, 노박덩굴, 사스레피나무 등의 식물을 기주로 삼습니다. 피해 면에서, 주로 사철나무에서 큰 피해를 줍니다. 이 나방은 매년 동일한 장소에서 반복 발생하는 경향이 있으며, 대규모 발생 시에는 잎을 전체적으로 먹어 사철나무가 미관상으로 앙상해지거나 가치가 하락할 수 있습니다. 성충의 특징은 다음과 같습니다. 날개 편 길이는 31~33mm로 몸은 주로 검은색입니다. 어깨판과 배는 등황색의 노란색과 검은색의 긴 털이 나 있으며, 배 끝에는 현저하게 긴 검은색 털이 있습니다. 날개는 반투명하며, 시맥은 암갈색이며, 앞날개 기부는 노란색입니다. 수컷의 더듬이는 두 가닥 빗살 모양이..

박각시 [내부링크]

박각시 박각시는 나비목 박각시과에 속하는 곤충으로, 날개 길이는 주로 104~114mm 정도입니다. 이 나비는 앞날개에 회색 바탕에 흑갈색 횡선이 발달되어 있으며, 이 횡선은 개체에 따라 다양하게 나타납니다. 복부의 각 마디에는 흑색과 적색 띠가 선명하게 있습니다. 주로 7월 초부터 10월 말까지 나타나며, 저녁 시간에는 꽃의 꿀을 찾아 꽃에 날아 앉거나, 빛에 끌려 등불 주위에도 많이 모입니다. 사과나 복숭아 같은 과일에서 과즙을 빨아먹어 농작물에 피해를 줄 수 있습니다. 이 나비는 한반도 전역에서 발견되며, 국외에는 주로 일본, 중국, 타이완, 호주, 동양구 및 에티오피아구 등에 널리 분포합니다. 주둥이의 길이가 10cm나 되어 박각시과에서 가장 긴 주둥이를 가지고 있으며, 유충은 강낭콩 잎을 먹고 ..

노랑배허리노린재 [내부링크]

회사근처 산책로에서 발견 노랑배허리노린재 노박덩굴류, 회나무, 사철나무류와 같은 식물을 먹이로 하는 허리노린재과의 곤충 중 하나로, 국내 전역에 분포하며 일본과 중국에서도 발견됩니다. 이 곤충은 몸의 어두운 등면과 이에 대조적인 밝은 노란 배면, 그리고 말단이 암갈색인 황백색 넓적다리마디가 특징입니다. 주로 4월부터 12월까지 활동합니다. 몸길이는 대략 13~18mm 정도이며, 등면은 검은색에 가까운 흑갈색을 띠고, 배면은 그와 대조되는 밝은 노란색을 가지고 있습니다. 머리는 몸에 비해 작으며, 등면은 어둡고 배면은 노랗게 빛납니다. 더듬이는 갈색이며, 4개의 마디로 이루어져 있으며, 제4 마디는 다른 마디보다 연한 색을 띠고 있습니다. 작은 방패판은 거의 정삼각형 모양입니다. 앞날개의 혁질부는 흑갈색이..

감탕나무, 감탕나무의 효능 [내부링크]

감탕나무 감탕나무는 주로 해안 산 중턱에 서식하는 상록 활엽 작은 큰 키나무로, 일반적으로 10m 정도까지 자랍니다. 이 나무의 특징은 다음과 같습니다: 잔가지는 굵고 털이 없으며, 줄기는 주로 두껍습니다. 잎은 서로 어긋나며 가죽질이며, 주로 장타원형 또는 도란상 장타원형을 가지며, 길이는 5~10cm, 폭은 2~3.5cm 정도입니다. 잎끝은 급히 뾰족하고, 잎밑면은 둔하게 뾰족합니다. 잎 양면에는 털이 없으며, 가장자리는 밋밋하거나 2~3개의 작은 톱니가 있습니다. 잎자루의 길이는 주로 8~15mm 정도입니다. 꽃은 주로 3~5월에 피며, 암수딴그루로 자라며, 지름은 약 8mm 정도이며 황록색입니다. 암꽃은 12~개씩, 수꽃은 여러 개씩 잎겨드랑이에 달립니다. 꽃자루의 길이는 주로 5~10mm 정도입..

호랑가시나무, 호랑가시나무의 효능 [내부링크]

호랑가시나무 호랑가시나무는 감탕나무과에 속하는 관속식물로, 해안가 저지대의 양지바른 숲 가장자리나 물가에서 자라는 상록 활엽 떨기나무입니다. 이 나무의 특징은 다음과 같습니다: 줄기는 가지가 많이 갈라져 있으며, 껍질은 회색에서 흰색으로 변하며, 높이는 주로 2~3m 정도입니다. 잎은 서로 어긋나며 가죽질이며, 잎몸은 주로 타원상 육각형으로 길이는 48cm, 폭은 23cm 정도이며, 가장자리에는 날카로운 가시가 있습니다. 잎 앞면은 짙은 녹색이며 윤기가 나고, 뒷면은 노란빛이 도는 녹색입니다. 잎자루의 길이는 5~8mm 정도입니다. 꽃은 주로 4~5월에 피며, 잎겨드랑이의 산형꽃차례에 5~6개씩 달립니다. 이 꽃들은 흰색을 띠며, 지름은 약 7mm 정도입니다. 열매는 둥근 핵과로, 지름은 주로 0.8~1..

노인 어지럼증 [내부링크]

노인 어지럼증 개요 어지럼증은 인구 10명 중 1명이 겪고 있을 정도로 흔한 증상이며, 75세 이상의 노인들이 가장 흔하게 호소하는 증상 가운데 하나입니다. 그러나 어지럼증의 양상이나 원인 질환이 매우 다양하여 진단이나 치료가 어려운 경우가 많습니다. 평상시 우리 몸의 균형은 몸을 구성하는 여러 기관의 협동에 의해 유지됩니다. 귀(내이), 눈, 팔과 다리의 근육에서 느끼는 몸의 균형 정보가 뇌에 전달되면 뇌에서 이를 통합하여 평형을 유지하고 몸의 운동을 조절합니다. 따라서 이 균형 정보들 사이에 혼란이 생기면 어지럼증이 발생합니다. 이러한 어지럼증을 일으키는 대표적인 질환으로는 귀 질환(말초성)과 뇌질환(중추성)이 있으며, 그 외 심장 질환, 안과 질환 등이 있어도 다양한 양상의 어지럼증이 유발될 수 있..

수두증(소아) [내부링크]

수두증(소아) 개요 뇌에는 뇌척수액(cerebrospinal fluid, CSF)이라는 맑은 체액이 뇌의 안과 밖을 채운 채 순환하고 있습니다. 뇌의 안쪽에는 뇌실(ventricles)이라는 작은 빈 공간들이 있으며 이곳에 있는 맥락총 혈관(choroids plexus vessels)에서 뇌척수액이 만들어집니다. 여기에서 만들어진 뇌척수액은 몬로공(foramen of Monro), 제3뇌실, Sylvius 수도(aqueduct of Sylvius), 제4뇌실을 거쳐서 대조(cisterna magna) 및 척수의 지주막하 공간(subarachnoid space)을 순환한 후 대뇌 반구의 지주막하 공간에 있는 지주막 융모를 통하여 흡수되어 대뇌 정맥동으로 들어갑니다. 정상적으로 하루에 약 500ml의 뇌척수..

턱관절 장애 [내부링크]

턱관절 장애 개요 전통적으로 턱관절장애는 하나의 증후군으로 생각되었으나, 최근에는 턱관절장애에 대해 많은 공통점을 가지고 있는 서로 연관된 저작계 장애들의 복합체로 보고 있습니다. 턱관절장애의 가장 흔한 증상은 통증인데, 이러한 통증은 저작근이나 전이부 또는 턱관절에 주로 나타나며 음식을 씹는 저작활동이나 다른 턱기능에 의해 심해지는 특징이 있습니다. 일반적인 턱관절장애 환자들은 턱이나 귀, 머리나 얼굴 부위의 통증을 호소하며, 턱 운동의 제한이나 비대칭적인 턱의 모양, 턱관절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잡음들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또한 이갈이와 같은 나쁜 구강 습관, 비통증성 저작근 비대와 비정상적 교모도 나타날 수 있습니다. 즉, 턱관절 장애는 주로 턱관절 자체의 장애와 두경부 근육 장애(긴장성 두통 포함..

참빗살나무, 참빗살나무의 효능 [내부링크]

참빗살나무 참빗살나무는 주로 산기슭에서 발견되는 낙엽 활엽 떨기나무로, 높이는 주로 8m 정도입니다. 이 나무의 잎은 서로 마주하며, 잎자루의 길이는 0.8~3.5cm 정도입니다. 잎몸은 주로 타원형 또는 난상 타원형을 띄며, 길이는 5~15cm, 폭은 2~6cm 정도이며, 잎의 가장자리에는 둔한 잔 톱니가 있습니다. 참빗살나무의 꽃은 주로 5~6월에 피며, 작년 가지의 잎겨드랑이에 취산꽃차례로 3~12개씩 달립니다. 이 꽃들은 연한 녹색을 띠며, 지름은 약 8mm 정도입니다. 꽃자루의 길이는 주로 2~2.5cm 정도이며, 꽃받침은 4갈래로 갈라집니다. 꽃잎은 4장으로, 긴 타원형이며 꽃받침잎보다 약 3배 정도 길기도 합니다. 수술은 4개, 암술은 1개로 구성됩니다. 열매는 주로 삭과로, 지름은 약 0...

꽝꽝나무, 꽝꽝나무의 효능 [내부링크]

꽝꽝나무 꽝꽝나무는 주로 숲의 가장자리에 서식하는 상록성 떨기나무입니다. 이 나무의 줄기는 가지가 많이 갈라지며, 보통 높이 1~3m 정도입니다. 꽝꽝나무의 잎은 서로 어긋나며, 가죽질을 가지고 있습니다. 잎자루의 길이는 1~5mm 정도입니다. 잎몸은 주로 타원형 또는 긴 타원형을 띄며, 길이는 1.5~3.0cm, 폭은 0.5~2.0cm 정도이며, 잎의 가장자리에 작은 톱니가 있습니다. 잎의 앞면은 짙은 녹색으로 윤이 돌고, 뒷면은 연한 녹색이며 작은 점이 있습니다. 꽝꽝나무의 꽃은 주로 6~7월에 피며, 암수딴그루 형태로 잎겨드랑이에 달립니다. 이 꽃들은 흰색 빛깔을 띠며, 수꽃은 총상꽃차례에 3~7개씩, 암꽃은 1개씩 달립니다. 꽃받침 조각, 꽃잎, 수술은 각각 4개로 이루어져 있고, 씨방은 4개의 ..

금식나무, 금식나무의 효능 [내부링크]

금식나무 금식나무는 주로 가로수나 정원에 관상용으로 심어 기르는 상록 활엽 나무입니다. 이 나무의 줄기는 보통 2~4m 정도의 높이를 가집니다. 금식나무의 잎은 서로 마주 나며, 잎자루의 길이는 2~5cm 정도입니다. 잎몸은 긴 타원형 또는 피침형을 띠며, 길이는 5~20cm, 폭은 2~10cm 정도이며, 잎의 가장자리에는 작은 톱니가 있습니다. 특히, 이 나무의 잎 양면에는 노란색 반점이 뚜렷하게 나타납니다. 금식나무는 3~4월에 암수딴그루 형태로 꽃이 피며, 원추꽃차례에 달리며 검은 보라색을 띠며 지름은 약 8mm 정도입니다. 수꽃차례의 길이는 7~10cm, 암꽃차례는 길이 1~2cm 정도입니다. 이 나무의 꽃잎은 총 4장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금식나무의 열매는 핵과로, 주로 타원형을 띠며 길이는 ..

흰말채나무, 흰말채나무의 효능 [내부링크]

흰말채나무 흰말채나무는 주로 산지에서 자라는 낙엽 나무로, 높이는 일반적으로 3~4m 정도이며, 나무 껍질은 짙은 자주색을 띕니다. 이 나무의 잎은 서로 마주 나며, 잎자루의 길이는 5~15mm 정도입니다. 잎몸은 주로 타원형 또는 난형을 띠며 길이는 5~10cm, 폭은 3~4cm 정도이며, 끝 부분은 뾰족하며 가장자리는 부드럽습니다. 잎의 양면에는 털이 있으며, 잎맥은 일반적으로 4~6쌍으로 나타납니다. 흰말채나무의 꽃은 주로 5~6월에 피는데, 흰색 또는 노란빛을 띠는 흰색 꽃으로 나타납니다. 이 꽃들은 가지 끝에서 취산꽃차례로 늘어서 있습니다. 꽃자루는 길이가 2~6mm 정도이며, 부드러운 질감을 가지고 있습니다. 꽃받침잎은 난형이며 꽃턱보다 짧습니다. 꽃잎은 4개로 되어 있으며, 넓은 피침형을 가..

층층나무, 층층나무의 효능 [내부링크]

층층나무 층층나무는 층층나무목 층층나무과에 속하는 식물로, 계곡 주변의 산지에서 주로 발견되는 큰 낙엽 활엽 큰 키나무입니다. 이 나무는 높이가 약 20m에 이르며, 수피는 어두운 회갈색을 띠며 어린 가지는 녹색이거나 가끔 적색을 띱니다. 층층나무의 잎은 호로 배치되며, 상면은 녹색이고 하면은 백색입니다. 엽병은 빨간 색조를 띠며 털이 없습니다. 엽신은 넓은 난형 또는 타원 모양을 가지며, 엽선은 급한 점을 가지고, 엽저는 원형이고 상면에는 어릴 때 누운 털이 있지만 시간이 지남에 따라 없어집니다. 하면에는 여전히 누운 털이 존재합니다. 측맥은 5-8쌍이 나옵니다. 꽃은 주로 5~6월에 지름 5-12cm의 산방화서에 피며, 화경에는 때로 잔털이나 털이 없는 경우도 있습니다. 악통은 난형이고 표면에는 백색..

석류나무, 석류나무의 효능 [내부링크]

석류나무 도금양목으로 알려진 석류나무는 낙엽 활엽 작은 큰 키나무로, 주로 민가 부근, 정원, 화단 등에서 관상용 및 과수로서 자주 심어지는 식물입니다. 석류나무는 도금양목 석류나무과에 속하며 아름다운 붉은 꽃과 맛있는 열매로 유명합니다. 이 나무의 줄기는 갈라져 있는 가지를 가지며, 높이는 일반적으로 2~7m에 달합니다. 어린 가지는 네모 모양이며, 가지 끝에는 가시가 나타납니다. 잎은 서로 마주하며 도란 모양 또는 긴 타원형을 가지며, 길이는 2~8cm, 폭은 1~2cm 정도입니다. 잎 양면에는 털이 없습니다. 꽃은 주로 5~7월에 피며 가지 끝에서 1~5개씩 피어나는데, 붉은색이며 지름은 2~5cm 정도입니다. 꽃받침은 통 모양으로 다육질이며 붉은색을 띄며 6갈래로 나뉩니다. 꽃잎은 6장으로 도란 ..

조록싸리, 조록싸리의 효능 [내부링크]

조록싸리 조록싸리(Thelypteris torresiana)는 주로 산지, 숲 가장자리, 햇빛이 잘 드는 등산로 및 능선 주변에서 흔히 발견되는 낙엽 덩굴식물입니다. 이 식물은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 식물의 줄기는 보통 2~4미터 높이로 자랍니다. 가지가 많이 갈라지며, 어린 가지에는 밤색 또는 회색의 얇은 막이 덮여 있습니다. 잎은 어긋나게 달리며, 작은 잎은 3장으로 겹쳐진 형태를 이룹니다. 작은 잎은 난상 타원형 또는 장타원형으로 길이는 3~6센티미터, 폭은 2~4센티미터 정도입니다. 잎 끝은 뾰족하며, 아래 부분은 둥글고 가장자리는 부드럽게 톱니 모양을 갖고 있습니다. 잎의 앞면은 녹색이며 뒷면에는 황록색의 잔털이 있습니다. 잎자루는 길이가 9.5~2.5센티미터로 털이 나타납니다..

등, 등의 효능 (등나무) [내부링크]

등 콩목 콩과에 속하는 식물로, 주로 정원에서 널리 심어져 자라는 낙엽 덩굴입니다. 이 식물은 다른 물체를 오른쪽으로 감아 올라가면서 자라며, 어린 가지에는 밤색 또는 회색의 얇은 막이 덮여 있습니다. 등의의 잎은 서로 엇갈려 나타나는데, 작은 잎 13~19장으로 이루어진 겹잎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작은 잎은 난상 타원형 또는 장타원형으로 길이가 약 4~8cm 정도이며, 끝 부분은 뾰족하게 돌출되고, 아랫면은 둥글게 되어 있으며, 잎 가장자리는 부드럽고 특징이 없습니다. 작은 잎자루는 약 4~5mm 정도의 길이를 가지며, 얇은 털이 있습니다. 등의의 꽃은 주로 4~5월에 피며, 연한 자주색을 띠고 있습니다. 이 꽃은 가지 끝에 총상화서에 달리며, 화서축에는 백색의 털이 짙게 덮여 있습니다. 열매는 길이..

골담초, 골담초의 효능 [내부링크]

골담초 골담초는 국화목 국화과에 속하는 식물로, 주로 산림, 숲 지대, 그림자 있는 곳에서 자라는 다년생 초본입니다. 이 식물은 높이가 약 30~60cm 정도이며, 미세한 털로 덮인 줄기를 가지고 있습니다. 골담초의 잎은 깃모양으로 서로 반대로 생긴 잎이 쌍을 이루며, 잎의 길이는 약 5~10cm 정도이며 가장자리에 잔 이빨 모양의 톱니가 있습니다. 골담초는 주로 봄에서 여름에 꽃을 피우는데, 꽃은 작고 노란색이며 줄기의 끝에 소 꽃들이 모여 꽃차례를 이룹니다. 꽃차례는 밀집되어 있으며 약간의 털이 있습니다. 이 식물의 열매는 작고 타원형이며 미세한 털이 있습니다. 골담초는 자연 환경에서 자라는 것뿐만 아니라 정원에서도 경치를 화려하게 만드는 아름다운 화환 식물로 사용됩니다. 이러한 식물은 그림자를 좋아..

회화나무, 회화나무의 효능 [내부링크]

회화나무 희화나무는 콩목 콩과에 속하는 관속식물로, 주로 공원이나 도로변과 같은 장소에서 관상용으로 심어 자라는 낙엽 큰키나무입니다. 이 나무는 높이로 보면 15~25m에 달하고, 지름은 1~2m 정도로 커집니다. 희화나무의 나무껍질은 어두운 회색을 띄며 세로로 갈라져 있습니다. 또한, 잔가지는 녹색이며 짧은 흰색 털이 자주 나타나며 가지를 자르면 특유의 냄새가 납니다. 이 나무의 잎은 어긋나게 배치되며 홀수 깃꼴겹잎 형태를 이룹니다. 작은잎은 7~15장으로 나타나며 난형 또는 난상 타원형을 가지고 길이는 2.5~6.0cm, 폭은 15~25mm 정도입니다. 잎끝은 뾰족하고 밑면은 둥글며, 잎 가장자리는 부드럽게 털이 있는 밋밋한 특징을 갖고 있습니다. 잎의 앞면은 녹색이며 뒷면은 회색이고 잔털이 덮여 있..

다릅나무, 다릅나무의 효능 [내부링크]

다릅나무 다릅나무는 우리 나라의 전국적인 산지에서 비교적 흔하게 자라는 큰키나무로 알려져 있습니다. 이 나무의 줄기는 곧고 충분히 높이 자라서 종종 20m에 달할 정도로 커집니다. 다릅나무의 잎은 서로 어긋나게 배치되며, 작은 잎이 5~11장으로 된 깃꼴겹잎 형태를 이룹니다. 이 나무의 꽃은 주로 6~7월에 줄기 끝의 총상꽃차례에 나타나며, 흰색을 기본으로 하면서 노란빛을 띄며 나비 모양을 가지고 있습니다. 꽃받침은 종 모양으로 나타나며 갈래로 얕게 갈라집니다. 다릅나무의 열매는 협과 형태를 띄며, 납작한 타원형을 가지고 있으며, 열매의 윗부분 가장자리에는 좁은 날개가 있습니다. 이 나무는 우리 나라뿐만 아니라 러시아, 일본, 중국 등 다른 지역에서도 발견됩니다. 다릅나무의 효능 당뇨병 예방과 치료: 다..

솔비나무, 솔비나무의 효능 [내부링크]

솔비나무 솔비나무는 해발고도 1,200m 이하의 산 중턱 지역에서 드물게 발견되는 나무로, 낙엽 활엽 나무 중에서도 작거나 크게 자랄 수 있는 종류로 알려져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이 나무는 높이 7~10m 정도 자라지만, 종종 15m까지 크게 자라기도 합니다. 나무의 껍질은 처음에는 녹색을 띠다가 후에는 종잇장처럼 둥글게 말라서 벗겨집니다. 솔비나무의 잎은 서로 어긋나게 배치되며, 잎마다 잎자루가 있습니다. 잎은 1회 깃꼴겹잎으로 형성되며, 작은 잎 9~17개로 구성됩니다. 이러한 작은 잎은 주로 타원 모양에서 좁은 난형으로 길이가 3~6cm 정도이며, 잎 가장자리는 부드럽고 끝 부분은 둔하게 끝납니다. 솔비나무의 꽃은 가지 끝에 많은 수의 양성화가 달리는 총상꽃차례에 나타나며, 주로 7~8월에 피어 연..

동백나무, 동백나무의 효능 [내부링크]

동백나무 동백나무는 차나무목 차나무과에 속하는 상록 친환경 식물로, 주로 해안가의 산지에서 자라는 나무입니다. 이 나무는 보통 7m 정도까지 자라며, 수피는 회갈색이며 매우 부드럽습니다. 잎은 어긋나게 배치되며 타원형 또는 긴 타원형으로, 끝 부분은 점이 튀어나와 있고, 예죽처럼 넓게 절단되어 있습니다. 잎의 가장자리는 작은 파상의 잔 톱니로 둘러싸여 있으며, 길이는 5~12cm, 폭은 3~7cm 정도입니다. 잎의 윗 면은 짙은 녹색이며, 아랫 면은 황록색입니다. 잎의 가장자리에 있는 잔 톱니는 명확하게 표시돼 있으며, 엽병이 없어 부드러운 표면을 가집니다. 동백나무의 꽃은 2~4월에 붉은색으로 피는데, 꽃 한 송이가 액생하거나 가지 끝에서 정생합니다. 이 꽃들은 화경이 없으며 반 정도가 열리는 특징을 ..

찔레나무, 찔레나무의 효능 [내부링크]

찔레나무 이 식물은 낙엽 떨기나무로 알려져 있으며, 일반적으로 높이가 약 2미터 정도입니다. 줄기는 가시가 많이 있어서 주의가 필요합니다. 이 식물의 잎은 작고 5~9장으로 된 깃꼴겹잎입니다. 작은 잎은 주로 타원형 또는 도란형을 띄며 길이는 약 2~4cm이고 폭은 1~2cm 정도입니다. 잎의 가장자리에는 작은 톱니가 있으며, 이것이 마치 빗살 모양처럼 생겨 있습니다. 꽃은 주로 5월에서 6월에 원추꽃차례에 많이 피우며, 꽃은 흰색이거나 연한 붉은색을 띄며, 지름은 약 2cm 정도입니다. 이 식물의 열매는 장미과에 속하며, 지름은 약 8mm 정도이며 둥글고, 10월에 붉게 익습니다. 줄기는 가시가 많이 있으며 아래로 처지는 경향이 있어 더욱 주목을 끌게 됩니다. 이로써 낙엽 떨기나무를 구별할 수 있습니다..

아그배나무, 아그배나무의 효능 [내부링크]

아그배나무 이 글은 장미목에 속하는 장미과의 식물에 대한 설명입니다. 이 식물은 주로 침엽수와 활엽수가 섞여 있는 아고산대 숲이나 계곡 주변, 채광이 잘 되는 경사 지대에서 자라며, 이것은 낙엽 활엽수로서 크기가 작거나 큰 나무들을 포함합니다. 이 식물의 줄기는 일반적으로 5~10m 정도의 높이를 가지고 있습니다. 잎은 서로 어긋나며 난형 또는 타원형이며 길이는 약 3~5cm이고 폭은 2~4cm 정도입니다. 잎끝은 뾰족하거나 길게 뾰족하며, 밑면은 둥글거나 넓게 뾰족한 형태를 가지고 있습니다. 잎 가장자리에는 가끔 가끔 예리한 톱니가 있습니다. 잎 양면에는 털이 있으며, 앞면의 털은 점차 없어지는 특징을 보입니다. 잎자루의 길이는 대략 1.0~1.2cm이며 털이 있습니다. 이 식물은 5월 중순에 연한 홍..

풀명자나무, 풀명자나무의 효능 [내부링크]

풀명자나무 풀명자나무는 장미과에 속하는 낙엽활엽 나무로, 보통 높이가 30~70cm(1m) 정도인 작은 나무입니다. 이 나무의 줄기는 암회색에서 갈색이며, 밑부분에서는 종종 가지를 내며, 아래쪽 가지는 땅바닥에 기울어지거나 때로는 땅속 줄기로 자랄 때도 있습니다. 가지는 털이 없으며 회갈색이며, 가시가 많아 때로는 뒤엉킬 정도로 덤불처럼 우거집니다. 풀명자나무의 잎은 큰 가지에서는 어긋나며 잔가지에서는 돌려져 나옵니다. 잎몸은 넓은 달걀 모양, 타원 모양, 또는 거꿀달걀 모양으로 길이는 보통 2~5cm 정도입니다. 잎 끝은 둥글거나 무디하며 가끔 뾰족한 모습을 하며, 잎 밑면에는 쐐기꼴로 잎자루에 이어집니다. 잎 가장자리는 거칠고 무딘 톱니가 있습니다. 풀명자나무의 꽃은 4~5월에 피며, 다양한 색상으로..

회색/갈색고약병 [내부링크]

회색/갈색고약병 병원균 Septobasidium bogoriense Pat. 기주 느티나무, 벚나무, 포플러, 오동나무, 호두나무, 뽕나무, 매실나무 등 병징 및 표징 가지와 줄기의 표면에 회백색~회색의 부드러운 우단보양의 두꺼운 균사층이 고약을 붙인 것처럼 덮어 싸고 있다. 균사층은 초기에 원형~타원형이지만 차츰 세로방향으로 길게 뻗어 여러개가 서로 붙어 불규칙한 모양이 된다. 6~7월경 균사층의 표면은 담자포자인 흰 가루로 덮이면서 회백색이 된다. 줄기에 여러개의 균사층이 형성된 나무는 차츰 쇠약해지고, 균사층이 한 바퀴 돌면 가지는 말라죽는다. 병원균은 수피에 기생하는 깍지벌레의 분비물을 섭취하여 증식하므로 균사층을 들어내면 깍지벌레 성충들을 흔히 볼 수 있다. 병환 고약병균은 깍지벌레와 공생하며 ..

모과나무, 모과나무의 효능 [내부링크]

모과나무 모과나무는 장미목 장미과에 속하는 관속식물로, 낙엽 활엽 나무 중 하나로 높이가 보통 10m 정도 자라는 나무입니다. 이 나무의 나무껍질은 회갈색이며, 조각 모양으로 벗겨져 얼룩덜룩한 무늬가 생깁니다. 모과나무의 잎은 어긋나며, 타원상 난형 또는 장타원형으로 길이는 5.5~12.0cm 정도입니다. 잎의 양 끝은 좁고 가장자리에 뾰족한 잔 톱니가 있으며 앞면에는 광택이 나타납니다. 잎자루는 길이가 5~10mm 정도이며, 연한 털로 덮여 있습니다. 턱잎은 피침형을 띠고 있습니다. 모과나무의 꽃은 5월에 피는데, 가지 끝에 1개씩 달립니다. 꽃의 지름은 보통 2.5~3.0cm 정도이며, 분홍색을 띠고 있습니다. 꽃받침잎은 삼각상 난형이며 길이는 6~10mm 정도이며 뾰족한 끝을 가지고 있습니다. 꽃잎..

마가목, 마가목의 효능 [내부링크]

마가목 마가목은 장미목 장미과에 속하는 관속식물로, 주로 높은 산의 능선에서 자라는 낙엽 나무입니다. 이 나무의 줄기는 보통 6~12m 정도의 높이를 가지고 있으며, 어린 가지와 겨울 눈에는 털이 없고 겨울 눈은 점성이 있습니다. 마가목의 잎은 어긋나며, 작은 잎이 913장으로 된 깃꼴겹잎을 이룹니다. 작은 잎은 긴 타원형 또는 피침형으로, 길이는 36cm, 폭은 1~2cm 정도이며, 가장자리에는 날카로운 톱니가 있습니다. 이 나무는 56월에 꽃을 피우는데, 가지 끝의 겹산방꽃차례에 달립니다. 꽃은 흰색이며, 지름은 약 810mm 정도입니다. 열매는 이과에 속하며, 지름은 5~6mm 정도로 둥글고, 10월에 붉게 익습니다. 마가목은 중부 이북 지역에서 자라는데, 특히 당마가목과 구별하기 위해 주목해야 할..

산사나무, 산사나무의 효능 [내부링크]

산사나무 산사나무는 장미목 장미과에 속하는 관속식물로, 햇볕이 잘 드는 숲 가장자리나 경사 지대에서 자라는 낙엽 나무입니다. 이 나무는 주로 작은 큰키를 갖추고 있으며, 높이는 대략 4~8m 정도입니다. 줄기는 가시가 있고, 회색으로 된 껍질을 갖고 있습니다. 산사나무의 잎은 어긋나며, 난형 또는 도란형을 이룹니다. 이 잎의 길이는 약 6~8cm이며, 폭은 5~6cm 정도입니다. 잎은 깃꼴 모양으로 갈라지며, 잎 뒷면은 주로 맥을 따라 털이 나타납니다. 잎자루의 길이는 2~6cm 정도입니다. 이 나무는 4~5월에 꽃을 피우는데, 한 번에 15~20개 정도의 꽃이 산방꽃차례로 달립니다. 꽃은 흰색이며, 지름은 약 1.0~2.0cm 정도입니다. 꽃받침은 종 모양을 이루며 겉에는 털이 나타납니다. 산사나무의 ..

옥매, 옥매의 효능 [내부링크]

옥매 옥매는 중국에서 원산지를 갖는 낙엽 활엽 큰 나무로, 주로 정원이나 화단의 건조하지 않은 양지에 관상용으로 심어 기르는 식물입니다. 이 나무는 일반적으로 1.5m 정도의 키를 가지며, 줄기는 밑부분에서 여러 개가 모여나옵니다. 잔가지는 윤기가 있으며 회갈색 또는 적갈색이며, 어릴 때에는 털이 없거나 약간 있을 수 있습니다. 옥매의 잎은 어긋나며 피침형 또는 넓은 피침형으로, 끝이 뾰족하고 길이는 3~9cm 정도이며, 뒷면의 중앙맥에 잔털이 나고, 가장자리에는 물결 모양의 잔 톱니가 있습니다. 잎자루의 길이는 1.5~3.0mm이며 턱잎은 선형입니다. 옥매는 4~5월에 꽃이 피는데, 이 꽃은 잎과 함께 나오며 흰색의 양성화가 여러 겹으로 1~2개식 모여 달립니다. 꽃잎은 도란형입니다. 열매는 핵과로 둥..

벚나무, 벚나무의 효능 [내부링크]

벚나무 벚나무는 장미목 장미과에 속하는 나무로, 주로 고도가 낮은 산지의 숲이나 숲 가장자리, 바닷가 근처의 수림에서 자라는 낙엽 활엽 큰 나무입니다. 이 나무는 높이로는 10~25m까지 자랄 수 있으며, 줄기의 껍질은 흑갈색이며 옆으로 벗겨집니다. 어린 가지는 흑갈색이며 털이 없습니다. 벚나무의 잎은 어긋나며 난형 또는 난상 피침형을 띠며, 길이는 6~12cm이고, 끝은 급히 뾰족하게 뾰족해지며 밑면은 둥글거나 넓게 둥근 모양입니다. 잎 양면에는 털이 없고 가장자리에는 잔 톱니 또는 겹톱니가 있습니다. 잎자루는 길이 2~3cm이며 2~3개의 선이 있습니다. 잎의 뒷면은 회녹색입니다. 벚나무의 꽃은 4~5월에 피며 대부분 흰색이나 조금 연한 홍색을 띠며 산방꽃차례 또는 산형꽃차례에 2~5개씩 달립니다. ..

산벚나무, 산벚나무의 효능 [내부링크]

산벚나무 산벚나무는 장미목 장미과에 속하는 나무로, 고산 지대의 숲에서 주로 자라는 낙엽 활엽 큰 나무입니다. 이 나무는 높이로는 20m까지 자랄 수 있으며, 줄기의 껍질은 짙은 자갈색이며 옆으로 벗겨지면서 껍질눈이 길게 나타납니다. 산벚나무의 잎은 어긋나며 타원형이나 도란형을 띠며, 끝은 점차 뾰족해지고 밑부분은 심장 모양에 가까워요. 잎의 가장자리에는 톱니가 있습니다. 잎의 앞면에는 때로 털이 있을 수 있고 없을 수도 있으며, 뒷면은 분백색이고 털이 없습니다. 잎자루에는 털이 없고, 적자색으로 위쪽에 1쌍의 꿀샘이 있습니다. 산벚나무의 꽃은 4~5월 사이에 피는데, 흰색 또는 연홍색을 띠며 2~3개가 모여 산형꽃차례를 이룹니다. 이 꽃은 둥글며 향기가 없습니다. 꽃자루, 수술대, 암술대, 씨방에는 털..

왕벚나무, 왕벚나무의 효능 [내부링크]

왕벚나무 왕벚나무는 장미목 장미과에 속하는 나무로, 해발고도 450~850m 정도의 산지에서 주로 자라는 낙엽 활엽 큰 나무입니다. 이 나무는 높이로는 102~0m에 달할 수 있으며, 잎은 어긋나며 길이는 5~12cm, 폭은 3~6cm 정도입니다. 이 나무의 잎의 뒷면은 연한 녹색이며, 잎의 중간 부분을 따라 맥 위에는 털이 있습니다. 왕벚나무의 꽃은 3~4월 사이에 피는데, 잎이 피기 전에 짧은 가지 위에서 난 산방꽃차례에 3~6개씩 달립니다. 이 꽃은 붉은빛이 도는 흰색으로, 지름은 2~3cm 정도입니다. 꽃자루의 길이는 1.6~1.8cm 정도이며, 꽃받침통과 암술대에는 털이 있습니다. 이 나무의 열매는 핵과로 둥글며, 5~6월 사이에 검게 익습니다. 왕벚나무의 잎은 올벚나무에 비해 넓은 타원형을 가..

매실나무, 매실나무의 효능 [내부링크]

매실나무 매실나무는 장미목 장미과에 속하는 나무로, 관상용이나 과수원, 정원, 민가 근처에 심어지는 낙엽 나무입니다. 이 나무의 줄기는 암회색이며 불규칙하게 갈라져 높이는 대략 5~9m 정도이며 어린 가지는 녹색을 띠고 있습니다. 매실나무의 잎은 어긋나며 난형 또는 넓은 난형으로 형태를 가지며 길이는 4~10cm 정도입니다. 잎끝은 길게 뾰족하고 아래쪽은 둥글며 가장자리에는 예리한 잔 톱니가 있습니다. 이 나무는 2~4월 사이에 꽃이 피는데, 꽃은 전년도 가지의 잎겨드랑이에 1~2개씩 달리며, 흰색 또는 분홍색으로 아름다운 꽃을 피웁니다. 이 꽃은 강한 향기를 가지고 있습니다. 꽃받침잎은 둥글며 길이는 3~5mm 정도이며, 꽃잎은 도란 형태로 길이가 9~14mm 정도이며 털이 없습니다. 수술은 많고 꽃잎..

광나무점무늬병 [내부링크]

광나무점무늬병 병원체 Phyllosticta ligustri 피해 특징 감염된 잎이 떨어지지 않고 가지에 오랫동안 붙어 있어 쉽게 관찰되는 병이지만, 피해가 크게 확산되지는 않는다. 병징 및 표징 초여름부터 잎에 수침상 작은 갈색 점이 발생하기 시작해 점점 확산되어 3~7mm 크기의 원형 병반이 되며, 건전부와 병반의 경계는 자갈색 띠로 명확히 구분된다. 잎 앞면 병반 위에 작고 검은 점(분생포자각)이 나타나고, 다습하면 유백색 분생포자덩이가 솟아오른다. 방제방법 - 세균병 방제는 항세균제를 사용하여 방제를 해야 효과를 볼 수 있습니다. 감염이 되고 방제를 하면 약제 효과가 현저히 떨어질 수 있으므로 예방적 방제를 꼭 해야 합니다. - 병든 잎이나 낙엽에서 병원균이 월동하여 이듬해 초봄에 전염원이 되므로..

느티나무갈색무늬병 [내부링크]

느티나무갈색무늬병 병원체 Pseudocercospora zelkovae X.J. Liu & Y.L. Guo 피해 느티나무의 묘목에서 주로 발생하여 조기낙엽을 일으키므로 묘목의 생장을 위축시킨다. 성목에서도 집단식재지에서는 발생하지만 독립수에서는 거의 발생하지 않는다. 병징 및 병환 처음에는 작은 황색 점무늬가 생기고 이후 병반이 확대 융합되면서 병반 안쪽에 분생포자경 및 분생포자가 밀생하여 옅은 색깔을 나타낸다. 심하게 병든 잎은 안쪽으로 말리며 일찍 떨어진다. 병원균은 병든 낙엽에서 월동하며, 이듬해 봄에 병반에서 분생포자가 형성되어 1차전염원이 된다. 방제법 - 주로 병든 낙엽에서 전염이 되므로 가을경 낙엽을 제거하고 평소 비배관리를 하여 건강한 수세를 유지해야 합니다. - 피해가 발생하는 4~6월 ..

담쟁이덩굴 둥근무늬병 [내부링크]

담쟁이덩굴 둥근무늬병 병원체 Phyllosticta ampelicida 피해 특징 담쟁이덩굴의 잎에 흔히 발생하는 병으로 병반 부위가 찢어지거나 위축되기도 하며, 심하게 발생하면 잎이 노랗게 변하면서 일찍 떨어진다. 병징 및 표징 5월 중하순부터 잎에 갈색 점무늬 병반이 나타난다. 병반은 점점 확대되어 5mm 크기의 둥근 모양이 되고 중심부는 담갈색을 띠며 건전부와 뚜렷한 경계를 이룬다. 둥근 병반은 종종 서로 합쳐져서 부정형 병반으로 확대되기도 하며 개엽 초기에 감염된 잎은 뒤틀리거나 위축되기도 한다. 병반 앞면에는 작고 검은 점(분생포자각)이 다수 나타난다. 방제방법 5월 중순부터 이미녹타딘트리스알베실레이트 수화제 1,000배액 또는 프로피네브 수화제 500배액을 10일 간격으로 2~3회 살포한다. ..

대나무깜부기병 [내부링크]

대나무깜부기병 병원체 Ustilago shiraiana Henn. 기주 대나무류(왕대, 맹종죽, 솜대, 마디대, 대반참대, 조릿대 등) 진단특성 깜부기병은 농작물에서는 큰 피해를 주는 중요한 병이지만 임목에서는 거의 문제가 되지 않는다. 병든 부분에서는 무색 가루가 다량으로 묻어 있는 것처럼 보인다. 이것은 깜부기병균의 후막포자로서 5~6월경부터 어린 신초에 발생하며 나중에 신초가 전개됨에 따라 암적갈색을 띤 가루모양의 포자덩이를 형성한다. 피해가지는 가끔 빗자루 모양으로 되기도 하며 주로 어린 나무에서의 피해가 크다. 생태특성 깜부기균의 포자는 포자의 형성과정으로 보면 일종의 후막포자이다. 이 후막포자가 발아하면 전균사라고 부르는 담자기를 형성하고 그 위에 담자포자에 해당하는 소생자를 형성..

미국흰불나방 [내부링크]

미국흰불나방 미국흰불나방은 나비목 태극나방과 불나방아과에 속하는 해충으로, 산림, 가로수, 조경수, 과수 등 다양한 활엽수의 잎을 갉아먹어 큰 피해를 입힙니다. 미국흰불나방은 캐나다가 원산지이며, 제2차 세계대전을 계기로 세계 여러 나라에 퍼져 우리나라에는 1958년 서울 용산에서 처음 발견되었습니다. 미국흰불나방의 성충은 하얀색 털로 덮인 몸과 투명한 날개를 가지고 있으며, 날개 길이는 암컷이 16mm, 수컷이 14~15mm 정도입니다. 머리와 가슴은 백색이고, 더듬이는 담갈색에 백색 비늘가루가 섞여 있습니다. 날개는 투명하고 얇으며, 전면날개는 담갈색 점무늬와 줄무늬가 있고, 후면날개는 담갈색 줄무늬가 있습니다. 성충은 5월~10월에 활동하며, 야행성입니다. 암컷은 한 번에 600~700개 정도의 알..

수수꽃다리명나방 [내부링크]

수수꽃다리명나방 수수꽃다리명나방은 나비목 명나방과에 속하는 곤충으로, 수수꽃다리라는 꽃과 유사한 날개를 가지고 있습니다. 날개 길이는 29~31mm로, 머리, 가슴 및 배의 등면은 백색이고, 더듬이는 실모양이며 담갈색에 백색 비늘가루가 섞여 있습니다. 날개는 투명하고 얇으며, 전면날개는 담갈색 점무늬와 줄무늬가 있고, 후면날개는 담갈색 줄무늬가 있습니다. 수수꽃다리명나방은 상제들명나방이라고도 하며, 5~10월에 활동하며, 야행성입니다. 유충은 풀잎을 먹으며, 성충은 꽃의 꿀을 빨아먹습니다

메타세쿼이아잎마름병 [내부링크]

메타세쿼이아잎마름병 병원균 Pestalotiopsis neglecta, P. foedans 피해 특징 나무의 수세가 쇠약하거나 태풍 이후에 발생이 심하고, 어린 나무와 묘목에서 피해가 크다. 병든 잎은 일찍 떨어져서 가지만 앙상하게 남는다. 병징 및 표징 7월 상순부터 잎 끝부분이 갈색으로 변하며, 건전부와 병반의 경계는 진한 갈색으로 구분된다. 잎 양면 병반 위에 작고 검은 점(분 방제방법 - 물 부족을 방지하기 위해 충분한 수분공급을 해줍니다. 발생초기에는 강하게 물을 뿌려줘도 밀도를 억제할 수 있습니다. - 수간 하부에서부터 지상 2m까지 끈끈이롤트랩을 감아 침입한 매개충의 탈출을 방지합니다. - 매개충 유인목을 설치하거나 페로몬 트랩을 설치하여 매개충의 밀도를 낮춰줍니다. - 고사목은 벌채하여 적..

복사나무, 복사나무의 효능 [내부링크]

복사나무 복사나무는 장미목 장미과에 속하는 식물로, 밭에서 과수로 널리 심어지는 낙엽 활엽 작은 큰키나무입니다. 이 나무의 줄기는 보통 높이 3~8m에 이르며, 나무껍질은 짙은 적갈색이며 거칠고, 어린 가지에는 털이 없습니다. 겨울 동안 눈이 내릴 때 고깔 모양을 이루며 짧고 털이 나타납니다. 이 나무의 잎은 서로 어긋나며, 잎자루는 길이가 1~2cm입니다. 잎몸은 넓은 피침형 또는 타원형으로 형태를 띠며 길이는 7~15cm, 폭은 1.5~4.0cm 정도이며, 밑부분은 쐐기 모양이고, 끝은 길게 뾰족해지며,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습니다. 꽃은 4~5월에 피는데 흰색 또는 연한 분홍색을 가지며, 묵은 가지의 잎 겨드랑이에 1~2개씩 달립니다. 꽃줄기는 짧고 털이 없습니다. 꽃받침잎은 5개이며 타원형이며 털이..

앵도나무, 앵도나무의 효능 [내부링크]

앵도나무 장미목 장미과에 속하는 식물로, 주로 화단이나 밭 등 민가 주변에 심어지는 낙엽 나무입니다. 이 나무의 높이는 대략 3미터 정도이며, 나무껍질은 어두운 갈색을 띠며 어린 가지에 부드러운 털이 나타납니다. 잎은 서로 어긋나며, 난형 또는 타원형으로 형태를 띠며 길이는 57cm, 폭은 34cm 정도입니다. 잎끝은 뾰족하고 아래쪽은 둥글며 가장자리에 잔 톱니가 있습니다. 잎의 앞면에는 잔털이 있고, 뒷면은 흰색 털이 나타납니다. 잎자루는 길이가 2~4mm이며 짧은 털이 있습니다. 이 나무의 꽃은 4월에 나무의 잎보다 먼저 피거나 동시에 피는데, 12개씩 달리며 길이는 1.52.0cm 정도이며, 색상은 흰색 또는 분홍색입니다. 꽃자루는 매우 짧아서 길이가 2mm 미만입니다. 꽃받침조각은 5개이며 타원형..

해당화, 해당화의 효능 [내부링크]

해당화 장미목에 속하며, 해안가의 모래 지대나 산기슭에서 자라는 낙엽 나무로, 내륙 지역에서는 일반적으로 뜰이나 길가에 심어 관상용으로도 사용됩니다. 이 식물은 모여나는 줄기를 가지며 겉에는 바늘 모양의 가시, 가시 모양의 털, 부드러운 털이 풍부하게 있으며, 보통 1.0~1.5m 정도의 높이를 갖습니다. 잎은 어긋나며, 작은 잎이 7~9장으로 된 깃꼴 겹잎으로 형성되며, 작은 잎은 타원형 또는 난형이며 길이는 3~5cm, 폭은 2~3cm이며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습니다. 잎의 뒷면에는 잔털이 많이 있습니다.턱잎은 넓은 삼각형 모양으로 밑부분이 잎자루에 붙어 있으며 잔털과 샘점이 많습니다. 6~8월에 꽃을 피우며 가지 끝에 1~3개의 꽃이 달립니다. 꽃은 짙은 장미색이며 지름은 6~10cm 정도입니다. 꽃..

산초나무, 산초나무의 효능 [내부링크]

산초나무산초나무는 낙엽활엽 나무의 한 종류입니다. 이 나무의 줄기는 직립하며, 일반적으로 2~5m 정도의 높이를 가집니다. 줄기에는 가시가 어긋나게 붙어 있습니다. 이 나무의 잎은 어긋나며 작고 깃꼴겹잎 형태를 이루고 있습니다. 작은 잎은 보통 13~21장 정도이며, 길이는 10~25cm 정도로 길고, 특유의 강한 냄새가 납니다. 잎줄기에는 좁은 날개가 있어서 잎들이 부착됩니다. 작은 잎들은 잎줄기 위쪽에서는 서로 마주나지만, 아래쪽에서는 조금 어긋나게 붙어 있으며, 타원 모양의 피침형을 이루고 있습니다. 이 작은 잎들의 길이는 1.5~5.0cm 정도이며, 폭은 0.6~1.7cm 정도입니다. 가장자리에는 잔 톱니가 있습니다. 산초나무는 암수 딴딴한 그루로 꽃을 피웁니다. 가지 끝에 원추꽃차례에 작은 꽃들..

노박덩굴, 노박덩굴의효능 [내부링크]

노박덩굴 산지의 숲에서 자란다는 낙엽 활엽 관목으로 길이가 10m에 이를 정도로 큽니다. 이 식물의 가지는 주로 갈색 또는 회갈색을 띠고 있습니다. 잎은 어긋나며 타원형을 이루며, 길이는 5~10cm, 너비는 3~8cm 정도입니다. 잎끝은 갑자기 뾰족하고 밑부분은 둥글게 마무리되며, 가장자리에는 둔한 톱니가 있습니다. 엽병의 길이는 1~2.5cm 정도입니다. 이 식물은 5~6월에 황록색의 꽃을 피우며, 잎겨드랑이에 1~10여 개의 꽃이 취산꽃차례로 달립니다. 소화경의 길이는 약 3~5mm 정도이며, 꽃받침잎과 꽃잎은 각각 5개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수꽃에는 5개의 긴 수술이 있고, 암꽃에는 5개 짧은 수술과 1개의 암술이 있습니다. 열매는 구형의 삭과로, 10월에 황색으로 익습니다. 이 식물은 한반도 전..

팽나무, 팽나무의 효능 [내부링크]

팽나무 팽나무는 쐐기풀목 팽나무과에 속하는 식물입니다. 이 나무는 주로 산지의 경사 지대, 계곡, 길가 등에서 자라며 높이는 약 20m에 달하고 줄기 지름은 약 2m까지 커질 수 있습니다. 팽나무의 줄기 껍질은 회색 또는 회흑색을 띠고 있으며 어린 가지에는 털이 많이 나타납니다. 이 나무의 잎은 주로 달걀 모양이나 넓은 타원형을 띄며 끝 부분이 뾰족하며 윗 부분에 잔 톱니가 있습니다. 옆줄은 주로 3~4쌍이 나타나며 잎자루는 길이가 1~12mm 정도이며 털이 덮여 있습니다. 팽나무는 4~5월에 꽃이 피는데, 수꽃과 양성꽃으로 나뉘어집니다. 수꽃은 새 가지의 밑부분 잎겨드랑이에 취산꽃차례로 달리며 수술은 4개가 있습니다. 양성꽃은 새 가지 윗부분에 1~3개씩 달리며 화피 4장, 수술 4개, 암술 1개, 암..

붉은별무늬병 [내부링크]

붉은별무늬병 병원체 Gymnosporangium asiaticum 자주 발생하는 나무 모과나무, 명자나무, 사과나무, 배나무 등 피해 특징 봄~초여름에 걸쳐 모과나무에서 흔히 볼 수 있는 병으로 잎의 뒷면과 열매에 회갈색의 털 같은 것이 지저분하게 무리 지어 돋아나고 심하게 낙엽이 지기 때문에 나무의 생육과 미관을 크게 해친다. 병징 및 표징 경기지방에서는 5월 중순경부터 모과나무의 잎 앞면에 지름 2~5mm 되는 엷은 오렌지색의 둥근 병반들이 나타나고, 5월 말에서 6월 중순에 걸쳐 병반의 뒷면에는 길이 4~5mm 되는 회갈색의 털 같은 돌기들(녹포자기)가 무리 지어 나타난다. 잎자루와 열매에도 비슷한 병징이 나타나며, 잎에 병반이 많이 나타나면 일찍 낙엽이 진다. 방제방법 - 병든 잎, 가지 및 과실..

오동나무빗자루병 [내부링크]

오동나무빗자루병 매개충 담배장님노린재, 썩덩나무노린재, 오동나무애매미충 기주 오동나무, 일일초, 나팔꽃, 금잔화 병징 감염된 나무는 새로 자라나온 가지나 줄기에서 곁눈이 터져서 새순을 형성하는 것을 초가을까지 계속하여 연약한 잔가지가 총생하고 담갈색 내지 황록색의 아주 작은 잎이 밀생하여 마치 빗나루나 새집 둥우리와 같은 모습을 하게된다. 일부에서는 꽃대 전체에서 엽화증상이 나타나기도 한다. 병든 가지는 건전한 가지보다 일찍 시들기 시작하면서 잎도 조기낙엽 되고 가지도 말라 떨어진다. 수년간 병징이 계속 나타나다가 결국 나무가 말라죽게된다. 방제방법 - 발병 초기에 옥시테트라싸이클린 수화제 200배액을 나무주사하고, 매개충 구제를 위해서 아세타미프리드 수화제 2,000배액 등을 7월 상순~9월 하순에 2..

쉬땅나무, 쉬땅나무의 효능 [내부링크]

쉬땅나무 햇볕이 잘 드는 숲 가장자리나 산골짜기 주변에서 주로 자라는 낙엽 떨기나무의 한 종류입니다. 이 나무의 주요 특징은 다음과 같습니다 크기: 쉬땅나무는 보통 높이 2m에 이르는데, 여러 그루가 모여 자라는 경우가 흔합니다. 잎: 잎은 서로 어긋나며, 기수깃꼴겹잎 형태를 가지며 길이는 대략 20~30cm에 달합니다. 작은 잎은 13~23장 정도이며, 피침형 또는 난상 피침형으로 모습을 나타냅니다. 잎 끝은 점차 뾰족해지고, 밑면은 둥글며, 가장자리에는 겹톱니가 있습니다. 털: 잎의 앞면은 털이 없지만, 뒷면에는 별 모양의 털이 붙어 있습니다. 잎자루에도 털이 있습니다. 꽃: 쉬땅나무의 꽃은 6~7월에 피며, 가지 끝에 겹총상꽃차례 형태로 나타납니다. 이 꽃은 흰색이며 지름이 5~6mm 정도입니다. ..

황매화, 황매화의 효능 [내부링크]

황매화 해피데이라는 식물은 공원 및 정원에서 관상용으로 식재되는 낙엽성 떨기나무의 한 종류입니다. 이 나무는 주로 높이가 1~2m 정도이며, 짧은 가지는 녹색이고, 다 자란 가지에는 털이 없습니다. 해피데이의 잎은 주로 난형 또는 긴 타원형으로 나타나며, 길이는 3~5cm, 폭은 2.0~2.5cm 정도이며, 끝이 길고 뾰족하고, 가장자리는 겹톱니 모양입니다. 잎의 앞면은 녹색으로 털이 없고, 뒷면은 연한 녹색이며, 잎맥 주변에 잔털이 약간 나타납니다. 잎자루는 짧고 길이가 3~9mm 정도이며, 털이 없습니다. 해피데이의 꽃은 주로 4~5월에 핍니다. 꽃은 햇가지 끝에 한 개씩 달리며, 지름은 2.0~3.5cm이며, 노란색을 띠고 있습니다. 꽃자루는 길이가 8~12mm 정도이며, 털이 없습니다. 꽃받침잎은..

느티나무 근주심재부후병 [내부링크]

느티나무 근주심재부후병 병원균 Perenniporia fraxinea 피해 특징 줄기 밑동과 뿌리의 심재와 변재에 백색부후가 발생해 수세쇠약 또는 나무의 고사를 초래하는 병으로 강풍 때 부러지거나 넘어질 위험도 높아진다. 병징 및 표징 초여름부터 줄기 밑동에 병원균의 자실체인 아까시재목버섯이 무리지어 발생한다. 자실체는 초기에는 담황색 반구형~반원형이고 가을이 되면 흑갈색으로 변한다. 방제방법 - 줄기 밑동이나 뿌리에 상처가 나지 않도록 관리합니다. - 상처 부위에 락발삼이나 티오파네이트메틸 도포제 같은 상처 도포제를 바릅니다. - 줄기 밑동에 아까시흰구멍버섯이 많이 나 있으면 이미 나무 밑동이 많이 썩었다는 증거이므로 나무를 일찍 제거해서 도복에 의한 인명과 재산의 피해를 막도록 합니다. - 복토와 과..

자두나무 잿빛곰팡이병 [내부링크]

자두나무 잿빛곰팡이병 병원균 Botrytis cinerea 피해 특징 어린 잎과 도장지에서 자란 잎, 어린 열매에 주로 발생하며, 수관 아랫부분과 안쪽의 잎과 같이 그늘진 잎에서 발병이 많다. 병징 및 표징 주로 과실에 발생하나 꽃, 줄기, 잎에도 발생한다. 균사가 자라서 꽃이나 과실을 덮는 것이 특징이다. 회색의 균사가 덮은 부위의 과실과 줄기는 연화되어 물러지고 썩는다. 조직이 썩으면서 표피는 갈라진다. 감염 부위에는 암갈색 병반이 형성되고 진전되면서 꽃이나 줄기가 말라버린다. 모잘록, 꽃마름, 썩음 등의 증상이 나타난다. 저온다습한 환경에서 가장 심하게 발생한다. 방제 - 과일에 상처가 생기지 않도록 주의합니다. 상처가 생기면 병원균의 침입 경로가 되기 때문입니다. - 발생 초기에 등록약제를 살포합..

장미검은무늬병 [내부링크]

장미검은무늬병 병원체 Marssonina rosae(Lib.) Died. 특징 장미를 비롯한 장미속 식물에서 흔히 발생한다. 장미에서는 전 생육시를 통해 묘목과 성목에서 모두 많이 발생하며, 장마철 이후에 피해가 심하나 봄비가 잦은 해에는 5~6월에도 심하게 발생한다. 지저분한 모습과 함께 조기낙엽으로 관상적 가치를 크게 떨어뜨린다. 심한경우에는 장마철에 잎이 모두 떨어져 8월에는 앙상한 가지만 남고 가지 끝에서 새잎이 나기도 한다. 병징 및 병환 잎에 크고 작은 암갈색 내지 흑갈색의 원형 내지 부정형의 병반이 형성되는데, 이후 병반 주위는 황색으로 변하고 병반 위에 작고 검은 점이 나타난다. 이 점은 표피 아래에서 형성되어 표피를 찢고 노출된 분생포자반인데, 습할 때 분생포자가 다량 형성되면 흰 점질물..

꼬리조팝나무, 꼬리조팝나무의 효능 [내부링크]

꼬리조팝나무 물댕기떨기나무(또는 물가떨기)는 주로 강가나 계곡의 물이 흐르는 주변 지역이나 물이 많은 초지에서 비교적 흔하게 자라는 떨기나무의 한 종류입니다. 이 나무는 줄기가 모여 나며, 보통 높이가 1~2m 정도입니다. 물댕기떨기나무의 잎은 대개 어긋나며, 피침형을 이루며 길이는 4~10cm, 폭은 1~3cm 정도이며, 끝이 뾰족하고, 잎 가장자리에는 날카로운 톱니나 겹톱니가 있습니다. 잎의 앞면은 녹색이고, 뒷면은 연한 녹색입니다. 잎자루는 2~4mm 정도로 길이가 있고, 털이 없습니다. 이 나무의 꽃은 주로 6~8월에 피는데, 햇가지 끝에서 길이가 6~13cm인 원추꽃차례로 달려 나옵니다. 이 꽃차례와 꽃자루에는 털이 많이 있습니다. 꽃잎은 5장으로 둥글며, 수술은 많고 붉은색이며 꽃잎보다 약간 ..

조팝나무, 조팝나무의 효능 [내부링크]

조팝나무 장미목 장미과에 속하는 낙엽 활엽 나무입니다. 주로 숲의 가장자리의 경사지대나 바위지대에서 자랍니다. 일반적으로 조팝나무의 높이는 1.5~2.0m 정도입니다. 이 나무의 잎은 대개 어긋나며, 타원형이나 난형을 이루며, 길이는 2.04.5cm, 폭은 0.82.2cm 정도이며, 끝이 뾰족합니다. 조팝나무의 꽃은 주로 45월에 피며, 줄기의 짧은 가지에 45개가 산형으로 달리는데, 이 꽃들은 흰색이며 지름이 0.81.0cm 정도입니다. 꽃잎은 5장이며, 길이는 45mm로 수술보다 길게 나타납니다. 수술은 20개로 이루어져 있고, 씨방은 4~5실로 형성됩니다. 조팝나무의 열매는 골돌로 형성되며, 털이 없습니다. 이 나무는 다른 조팝나무속의 식물들과 비교했을 때 꽃이 짧은 가지에서 4~5개씩 피어나는 특..

산수국, 산수국의 효능 [내부링크]

산수국 산수국(산수국, 털산수국, 털수국 또는 털산수국)은 계곡이나 산 기슭의 바위 틈에서 자라는 낙엽 활엽 작은 떨기나무로, 일반적으로 0.5~2m 정도의 높이에 자랍니다. 산수국의 줄기는 직립하며, 금년 가지는 밤색이며, 털이 없거나 약간 있을 수 있으며, 때로는 벗겨질 수도 있습니다. 이 나무의 잎은 대개 마주나며, 길이는 515cm, 폭은 36cm 정도의 장타원형 또는 난형을 띠며, 끝은 조금씩 뾰족해집니다. 잎의 아랫면은 대개 둔하거나 약간 뾰족하며, 잎 가장자리에는 작은 톱니가 있습니다. 또한 잎의 앞뒷면에 털이 있으며, 특히 뒷면의 잎맥 주변에 밀집하여 나타납니다. 잎자루는 길이가 1~3cm 정도입니다. 산수국의 꽃은 주로 7~8월에 핍니다. 꽃은 줄기 끝에 산방꽃차례로 달리며, 꽃자루와 작..

칠엽수얼룩무늬병 [내부링크]

칠엽수얼룩무늬병 병원체 Guignardia aesculi(Peck) V.B. Stewart 피해특징 가시칠엽수와 칠엽수에 흔히 발생하는데, 주로 8~9월에 병세가 가장 심하지만 실제 발생은 봄부터 장마철까지 지속적으로 나타난다. 병든 나무는 생장이 크게 떨어지고, 녹음수로 심은 경우에는 관상가치도 떨어진다. 병징 및 병환 어린잎에 작고 희미한 점무늬가 나타나면서 차츰 갈색으로 변하고, 이것이 점점 커져서 적갈색 얼룩무늬를 형성한다. 성숙한 병반 위에는 까만점들이 다수 나타나는데, 이것은 병원균의 분생포자각이다. 미성숙한 위자낭각의 상태로 겨울을 난 다음에 자낭포자가 성숙하는데, 봄비를 맞으면 자낭포자가 방출되면서 1차 전염원이 된다. 병의 확산은 대부분 빗물에 의해 전파되는 분생포자에 의해 일어난다. 방..

회화나무녹병 [내부링크]

회화나무녹병 병원체 Uromyces truncicola Henn. & Shirai 피해특징 회화나무 녹병은 가로수, 공원수, 아파트 단지의 정원수 등으로 많이 심고 있는 회화나무에서 흔히 볼 수 있는 병으로 가지와 줄기에 길쭉한 혹을 만들기 때문에 일명 '혹병' 이라고도 부른다. 열개의 혹이 생긴 나무는 생육이 나빠지고 기형이 되며, 혹 부위가 썩어서 가지와 줄기가 부러지기도 한다. 회화나무의 조경적 가치로 인해 묘목과 어린나무가 이 병에 감연된 상태로 전국적으로 이동하고 있어 피해가 크게 증가하고 있다. 병징 및 병환 회화나무 녹병은 잎,가지 및 줄기에 발생한다. 병원균은 병든 낙엽과 가지 및 줄기의 혹에서 겨울포자의 상태로 겨울을 나고 봄에 발아해서 담자포자를 만든다. 이들 담자포자는 새잎과 어린 가..

배롱나무 흰가루병 [내부링크]

배롱나무흰가루병 병원체 Uncinula australiana 피해 특징 배롱나무에서 흔히 발생하는 병으로 꽃은 피지 못하거나 일찍 시들어버리고, 잎은 뒤틀리거나 말리면서 일찍 떨어진다. 주로 밀식되어 통풍이 불량한 곳이나 습하고 그늘진 곳에서 잘 발생한다. 7~9월 개화기에는 발병하지 않은 나무를 찾아보기 어려울 정도로 흔히 발생한다. 병징 및 표징 5월 중순 이후부터 잎에 작고 흰 반점 모양의 균총(균사와 분생포자의 무리)이 나타나고, 여름 이후에는 꽃봉오리, 열매 등으로 확산되어 전체에 밀가루를 뿌려 놓은 것처럼 보인다. 가을이 되면 잎의 균총 위에 작고 둥근 검은 알갱이(자낭구)가 다수 나타난다. 방제 - 병든 낙엽이나 가지를 제거하고 소각합니다. - 흰가루병 전문 약제로는 트리아디메폰수화제, 지오..

단풍나무류 흰가루병 [내부링크]

단풍나무류 흰가루병 병원체 Sawadaea polyfida 피해 특징 잎 앞면과 뒷면 모두에서 발생하며, 밀식되어 통풍이 불량한 곳이나 습하고 그늘진 곳에서 잘 발생한다. 중국단풍나무는 햇빛이 잘 들고 바람이 잘 통하는 곳에 심었더라도 흰가루병이 심하게 발생하여 큰 피해를 주기도 한다. 한번 발생한 군락에서는 병원균이 어린 가지에서 월동하기 때문에 매년 반드시 발생한다. 병징 및 표징 8월 이후부터 잎에 작고 흰 반점 모양 균총(균사와 분생포자의 무리)이 나타나고, 종종 점차 진전되면서 잎 전체가 밀가루를 뿌려 놓은 것처럼 보일 때도 있다. 가을이 되면 잎의 균총 위에 작고 둥근 노란 알갱이(자낭구)가 다수 나타나기 시작하고 성숙하면 검은색으로 변하면서 흰색 부속사로 둘러싸인다. 방제 흰가루병의 방제 방..

사철나무 흰가루병 [내부링크]

병원균 Microsphaera euonymi-japonici (무성세대: Oidium euonymi-japonicae) 피해 특징 밀식되었거나 습하고 그늘진 곳에서 잘 발생한다. 나무에 큰 피해를 주지는 않으나 미관을 해친다. 그늘에 심은 줄사철나무에도 발생하지만 피해는 경미하다. 피해 증상 4월부터 새잎의 양면에 작고 흰 점이 생기며 점차 확대되어 잎을 하얗게 덮는다. 보통 흰가루병은 여름 이후부터 관찰되지만, 사철나무에서는 봄부터 가을까지 관찰되며 우리나라에서는 자낭구세대가 발견되지 않았다. 방제방법 - 병든 낙엽을 모아 태우거나 묻습니다. - 휴면기 (12월~2월)에는 석회유황합제를 50배액으로 1~2회 살포합니다. - 생육기 (4월~7월)에는 트리아디메폰수화제, 사프롤유제, 훼나리수화제, 베노밀수..

붉나무 빗자루병 [내부링크]

붉나무 빗자루병 매개충 마름무늬매미충 기주 붉나무, 대추나무, 일일초, 새삼 특징 붉나무빗자루병은 1973년 전북지방에서 처음 발견되었고, 현재 각지에서 발병하고 있으며, 붉나무에 극심한 피해를 주고 있다. 병징 병든 나무는 건전한 나무에 비해 잎이 매우 작고 누른색을 띠며, 줄기도 신장이 부진하여 짧아지므로 나무가 전체적으로 위축되어 작아 보인다. 또한, 병든 나무에서는 곁눈의 싹이 빨리 터서 잔가지가 총생하고, 꽃봉오리가 점차 잎으로 변하는 엽화현상이 나타나며 열매를 맺지 못한다. 처음에는 일부에서 병징을 보이지만 시간이 흐름에 따라 병징이 전체적으로 퍼지며, 병이 심한 나무는 수년 내에 말라죽는다. 방제 - 병에 걸린 나무는 일찍 제거해서 전염원을 없애야 합니다. - 발병 초기에 옥시테트라사이클린 ..

벚나무 빗자루병 [내부링크]

벚나무 빗자루병 병원체 Taphrina wiesneri (Rathay) Mix / 자낭균 기주 여러종류의 어린 벚나무뿐만 아니라 큰 벚나무에서도 발생하며, 왕벚나무에서 가장 피해가 크다. 특징 벚나무 빗자루병은 벚나무에서 가장 중요한 병으로 전국적으로 발생하며 피해도 크다. 이 병은 일본에서도 널리 발생하고 있다. 병징 및 표징 감염된 가지가 혹처럼 부출어 오르고 잔가지가 많이 뭉쳐 나와 빗자루 모양이 된다. 발병 첫해에는 잔가지가 그리 많지 않으므로 잘 보이지만 1~2년 후에는 잔가지가 많아져서 빗자루 모양을 하게 된다. 감염되어 발생한 가지에서는 꽃이 피지 않고 크기가 작은 잎들이 빽빽하게 자라나오므로 눈에 쉽게 띈다. 병든 가지는 4~5년 후에는 가지 전체가 말라죽게 된다. 4월 하순~5월 중순 사..

말발도리, 말발도리의 효능 [내부링크]

말발도리 고산 지역의 계곡이나 산기슭의 바위틈에서 자라는 낙엽 떨기나무입니다. 이 나무의 높이는 일반적으로 1~2m 정도로 자랍니다. 올해에 자란 가지는 연한 갈색이며, 별 모양의 털이 가득 달려 있습니다. 반면 작년에 자란 가지는 회백색이며, 거의 털이 없는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말발돌이의 잎은 단엽으로, 길이는 68cm, 너비는 24cm 정도로 난상 피침형이거나 피침형을 띠며, 끝은 뾰족하고 아래는 둔하게 마무리됩니다. 잎의 윗면에는 별 모양의 털이 있으며, 아랫면은 연한 초록색으로 가끔 별 모양 털이 나타나기도 합니다. 특히 잎의 맥 근처에는 별 모양 털이 많이 나타납니다. 잎 가장자리에는 뾰족한 톱니가 있으며, 잎자루는 길이가 0.5~1.0cm 정도로 별 모양의 털이 달려 있습니다. 꽃은 주로..

돈나무, 돈나무의 효능 [내부링크]

돈나무 돈나무(Styrax japonicus)는 장미목 돈나무과에 속하는 관속식물입니다. 이 나무는 주로 남해 섬의 바닷가나 산기슭에 서식하는 상록활엽 떨기나무 관목으로 알려져 있으며, 높이는 주로 2~3m까지 자랍니다. 가지에는 털이 없습니다. 돈나무의 잎은 두껍고, 표면은 짙은 녹색으로 윤채가 있으며 가지 끝에 어긋나게 모여 달립니다. 잎은 길이가 410cm, 폭은 23cm 정도로 도란형 모양을 띠며, 가장자리는 뒤로 말린 형태를 가지고 있습니다. 꽃은 주로 5~6월에 피며, 가지 끝 취산화서에 달립니다. 이 꽃은 주로 백색 또는 황색으로 핀다는 특징이 있으며, 꽃잎, 꽃받침, 수술이 각각 5개씩 있습니다. 돈나무의 열매는 길이가 약 1.2cm 정도인 삭과로, 짧은 털이 밀생하며 처음에는 연한 녹색이..

노린재나무, 노린재나무의 효능 [내부링크]

노린재나무 노린재나무(Stewartia pseudocamellia)는 산지의 숲속에서 자라는 낙엽활엽관목으로, 보통 높이가 1~3m 정도에 이릅니다. 이 나무의 줄기의 껍질은 세로로 갈라져 있는 특징을 가지고 있으며, 잔가지는 옆으로 넓게 퍼져 있고 털이 있습니다. 노린재나무의 잎은 어긋나며, 타원상 도란형을 띄며 양 끝이 뾰족하게 향해 있습니다. 잎의 표면은 짙은 녹색이며 털이 없거나 뒷면에 약간의 털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잎의 가장자리에는 긴 톱니가 있는데 때로는 뚜렷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꽃은 주로 5월에 핍니다. 이 꽃은 백색이며 향기를 풍깁니다. 꽃들은 원추화서로 형태를 이루며 새 가지 끝에 달리며, 꽃대에는 털이 조금 있습니다. 꽃잎은 긴 타원형이며 옆으로 펴져 있습니다. 이 나무의 열매..

미국낙상홍, 미국낙상홍의 효능 [내부링크]

미국낙상홍 감탕나무과 감탕나무속에 속하는 낙엽 활엽 떨기나무로, 높이는 1~5m 정도로 자랍니다. 이 나무의 잎은 어긋나며, 광택이 있는 녹색의 긴 타원형을 띄며, 길이는 3.59cm에 너비는 24cm 정도입니다. 잎 끝은 급히 뾰족하며 물결 모양의 무딘 톱니가 있습니다. 잎의 뒷면에는 털이 많이 나타납니다. 꽃은 암수딴그루에 핍니다. 꽃의 지름은 약 5mm 정도이며, 5~8개의 작은 흰색 꽃이 모여 피게 됩니다. 이 나무의 열매는 핵과 형태를 띄며, 지름은 약 6~8mm 정도이며 붉은색의 공 모양입니다. 이 열매는 주로 10월경에 익으며, 종종 겨울까지 긴 가지에 달려 있습니다. 감탕나무는 우리나라 전역의 다양한 지역에 공원, 아파트 등의 조경수로 식재되고 있습니다. 이 식물은 북미 원산이며, 주로 미..

큰땅빈대, 큰땅빈대의 효능 [내부링크]

큰땅빈대 북아메리카 원산지의 귀화식물로, 경작지 주변, 길가, 들의 풀밭 등에서 자라는 한해살이풀입니다. 큰땅빈대의 줄기는 비스듬히 서며, 높이는 20~60cm에 이를 수 있으며 종종 붉은색을 띠며 한쪽에 털이 나타납니다. 이 식물의 잎은 마주나며, 긴 타원형을 띄며 길이는 13cm, 폭은 0.61.2cm 정도이며, 잎맥은 3~5개가 있고, 가장자리에 둔한 톱니가 있습니다. 잎의 양면은 긴 털이 덮여 있으며, 뒷면은 흰빛을 띱니다. 꽃은 주로 8~10월에 핀다. 가지 끝에서 배상꽃차례가 몇 개 달리며, 꽃은 녹색을 띄고 흰색을 기본적으로 갖습니다. 배상꽃차례에는 수꽃 1개와 암꽃 1개로 된 꽃들이 술잔 모양의 꽃싸개 속에 들어 있으며, 꿀샘덩이는 옆으로 퍼진 타원형을 띕니다. 열매는 삭과 형태로 나타나며..

동부(동부콩), 동부의 효능 [내부링크]

동부(동부콩) 아프리카 원산지의 덩굴성 또는 반덩굴성 식물로, 여러 해살이풀일 수도 있는데, 특히 더운 지역에서는 주로 여러 해살이풀로 자라납니다. 동부의 줄기는 길이가 0.5~3.0m까지 자랍니다. 이 식물은 전체적으로 털이 없어 부드럽고 매끈한 표면을 가지고 있습니다. 동부의 잎은 줄기 아래쪽에서는 심장 모양의 홑잎으로 나타나고, 그 위로는 삼출겹잎이 나타납니다. 잎자루는 긴 편이며, 끝에 있는 작은 잎은 달걀 모양으로 뾰족하며 길이는 8~15cm 정도입니다. 옆쪽의 작은 잎은 일그러진 달걀 모양을 가지며 잎자루는 짧습니다. 동부의 꽃은 주로 8월에 잎겨드랑이에 2~6개가 총상꽃차례를 이루며, 꽃대 끝에 모여서 달립니다. 이 꽃들은 나비 모양을 하며 흰색, 자주색 또는 옅은 황색을 띱니다. 동부의 열..

아주까리(피마자),아주까리의 효능 [내부링크]

아주까리(피마자) 대극목 대극과에 속하는 관속식물로, 열대 아시아와 아프리카에서 원산지를 가지고 있습니다. 이 식물은 원래 약용 또는 기름을 얻기 위해 재배되었으나 이후 야생에서도 자주 발견되는 한해살이풀로 자랍니다. 그 원산지에서는 여러 해 동안 살아가는 다년생 식물입니다. 피마자의 줄기는 높이가 약 100~200cm에 달하며 가지가 많이 갈라집니다. 잎자루는 20~40cm 정도로 길게 나옵니다. 이 식물의 잎은 어긋나며, 5~11개의 갈래로 분기되어 손바닥 모양 또는 방패 모양처럼 보입니다. 이 잎들은 지름이 30~60cm에 달하며 가장자리에는 날카로운 톱니가 있습니다. 피마자의 꽃은 주로 8~10월에 암수한포기로 피며 줄기 끝에서 난 길이가 15~25cm인 총상꽃차례에 달립니다. 수꽃은 꽃차례 아래..

물오리나무, 물오리나무의 효능 [내부링크]

물오리나무 산골짜기에서 자라는 낙엽 큰 키나무로, 일반적으로 높이가 20m 정도에 달합니다. 나무껍질은 짙은 회색이며 윤기가 있습니다. 어린 가지는 밤색을 띠며 처음에는 털이 있지만 시간이 지남에 따라 사라집니다. 물갬나무의 잎은 어긋나며, 넓은 난형을 가지며 길이는 약 12cm, 폭은 약 11cm 정도입니다. 잎 끝은 뾰족하며 가장자리에는 겹톱니가 있으며 얕게 갈라집니다. 잎의 앞면은 짙은 녹색이고, 뒷면은 회백색이며 갈색 털이 있습니다. 잎자루는 약 2~4cm 정도의 길이를 가집니다. 물갬나무의 꽃은 주로 3~4월에 핀다. 수꽃이삭은 가지 끝에서 3~4개씩 달려 밑으로 처집니다. 암꽃이삭은 3~5개가 잎겨드랑이에서 나와 겹총상꽃차례를 이룹니다. 열매이삭은 타원형이며 길이는 약 1.5~2cm이고, 익으..

쪽동백나무, 쪽동백나무의 효능 [내부링크]

쪽동백나무 산과 들의 숲 가장자리에서 자라는 낙엽 활엽 작은 큰 키나무로, 일반적으로 높이가 10m 정도입니다. 이 나무의 가지에는 처음에는 솜털이 있지만 나중에 없어지며, 윤채가 있는 다갈색으로 변합니다. 겨울에는 눈이 잎자루 기부를 둘러싸고 내립니다. 쪽동백나무의 잎은 어긋나며, 타원형 또는 난상 원형을 가지며, 끝은 급격하게 뾰족해집니다. 잎의 밑면은 털이 있는데, 주로 흰색 별 모양의 털이 있으며 가장자리에는 때때로 예리한 톱니가 있거나 없을 수 있습니다. 잎의 상부는 잔 톱니로 끝나며 표면은 녹색입니다. 꽃은 주로 5~6월에 피고, 백색이며 풀려있는 형태를 이룹니다. 총상꽃차례의 길이는 일반적으로 10~20cm에 이르며, 작은 꽃자루는 길이가 8~10mm이며 털이 있습니다. 꽃받침은 5~9개로 ..

고욤나무, 고욤나무의 효능 [내부링크]

고욤나무 감나무목 감나무과에 속하는 관속식물로, 산과 들, 민가 근처에서 야생으로 자라거나 식재되는 낙엽 큰키나무입니다. 고욤나무의 줄기는 일반적으로 높이가 5~15m에 이릅니다. 어린 가지에는 처음에 회색 털이 나타나지만, 성장하면서 이 털이 떨어집니다. 이 나무의 잎은 어긋나며, 타원형 또는 긴 타원형을 이루며, 길이는 약 6~12cm, 폭은 약 5~7cm 정도입니다. 잎의 가장자리는 일반적으로 밋밋하게 나타납니다. 잎의 앞면은 녹색이고, 뒷면은 회색을 띄며, 잎맥 위에는 굽은 털이 있습니다. 잎자루의 길이는 약 0.8~1.2cm입니다. 고욤나무의 꽃은 주로 6월에 피며, 암수딴그루로 나타납니다. 이 꽃은 햇가지의 잎겨드랑이에서 붉은빛이 도는 녹색을 띕니다. 수꽃은 일반적으로 2~3개씩 나열되며, 수..

영산홍, 영산홍의 효능 [내부링크]

영산홍 진달래과 진달래속에 속하는 반상록성 활엽 떨기나무로, 일반적으로 높이가 30∼90cm 정도 자라는 식물입니다. 영산홍의 가지는 많이 분기하며, 잔가지에는 갈색 털이 덮여 있습니다. 이 식물의 잎은 가지 끝에 모여 있으며, 형태는 좁은 피침형으로 나타납니다. 잎의 가장자리는 보통 밋밋하며, 잎과 함께 갈색 털이 있습니다. 꽃은 주로 4~5월에 피며, 가지 끝에 붉은 자색으로 핍니다. 꽃의 지름은 3.5~5.0cm로 깔때기 모양을 하며, 꽃받침은 둥근 달걀 모양으로 짧은 갈래조각이 5개로 나뉩니다. 꽃부리의 윗면에는 진한 홍자색의 반점이 있으며, 수술이 5개이며 꽃밥은 자주색을 띠고 있습니다. 암술은 1개이며 길이는 3~5cm 정도이며 암술대에는 털이 없습니다. 열매는 삭과(풀 열매)로 나타나며, 달..

철쭉, 철쭉의 효능 [내부링크]

철쭉 철쭉은 진달래목 진달래과에 속하는 식물로, 주로 산지의 능선이나 숲 속에서 자라는 낙엽 활엽 떨기나무입니다. 이 나무의 줄기는 일반적으로 높이로 2~5m 정도 자랍니다. 철쭉의 잎은 가지 끝에 4~5장씩 어긋나게 모여 나타나며, 잎자루는 짧습니다. 잎몸은 주로 도란형 또는 넓은 난형으로 나타나며, 길이는 5~7cm, 폭은 3~5cm 정도이며 가장자리는 밋밋합니다. 철쭉의 꽃은 주로 4~6월에 나타나며, 잎과 동시에 핍니다. 꽃은 가지 끝에 3~7개씩 산형으로 달리고, 색깔은 주로 연분홍색이지만 드물게 흰색도 있습니다. 꽃자루는 길이로 1~1.5cm 정도입니다. 꽃부리는 깔때기 모양을 하며 윗부분 안쪽에 붉은 갈색 반점이 있으며 지름은 5~6cm 정도입니다. 수술은 총 10개가 있으며 그 중에 5개가..

산철쭉, 산철쭉의 효능 [내부링크]

산철쭉 산철쭉은 진달래목 진달래과에 속하는 관속식물로, 주로 산 기슭, 물가, 또는 고산 지대에서 자라는 낙엽 활엽 떨기나무입니다. 이 식물은 높이로는 보통 1~2m 정도 자랍니다. 산철쭉의 특징 중 하나는 잔가지에 갈색 털이 있으며, 꽃자루와 어린 가지에 끈적이는 성질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 나무의 잎은 어긋나거나 가지 끝에 뭉쳐 나타나며, 길이는 일반적으로 3~8cm 정도입니다. 잎의 모양은 긴 타원형 또는 거꾸로 된 피침형으로, 양 끝이 좁고 가장자리에는 톱니가 없습니다. 잎의 뒷면에는 맥 위에 더불어 갈색 털이 빽빽이 납니다. 산철쭉의 꽃은 주로 45월에 가지 끝에 23개씩 달려 붉은빛을 띄며 자주색으로 핍니다. 꽃부리는 깔때기 모양이고, 지름은 5~6cm 정도로 5개로 갈라지며, 안쪽 윗부분에 ..

황철나무, 황철나무의 효능 [내부링크]

황철나무 황철나무는 버드나무목 버드나무과에 속하는 관속식물로, 주로 산골짜기와 같은 지형에서 자라는 낙엽 활엽 큰키나무입니다. 이 나무는 높이로는 2030m에 이르고, 지름으로는 12m 정도에 달합니다. 나무껍질은 처음에는 짙은 회색이지만 점차 크게 성장하면서 깊게 갈라지며 흑갈색으로 변합니다. 황철나무의 잎은 어긋나며, 타원형 또는 넓은 타원형을 이룹니다. 잎의 길이는 1012cm이고, 폭은 79cm입니다. 잎끝은 짧게 뾰족하고, 밑면은 심장 모양이며, 가장자리에는 작은 톱니가 있습니다. 잎의 앞면은 짙은 녹색이고, 뒷면은 흰빛을 띕니다. 잎자루는 길이 1~4cm로 연한 털이 있습니다. 황철나무는 4~5월에 잎이 완전히 펼쳐지기 전에 꽃을 피우며, 꽃은 암수한그루로 혼합된 꽃을 형성합니다. 수꽃이삭은 ..

양버들, 양버들의 효능 [내부링크]

양버들 양버들은 유럽 원산지의 낙엽 활엽 큰키나무로, 주로 하천이나 마을 주변에 자라는 나무입니다. 이 나무는 상당히 크게 자라며 높이로는 35~40m, 지름으로는 1m까지 커질 수 있습니다. 나무껍질은 처음에는 녹색이지만 시간이 지남에 따라 점차 어두운 잿빛을 띠게 됩니다. 새로운 가지는 모서리가 부드럽게 늘어지며 연한 털이 나타나고, 늙은 가지는 노란색 또는 연한 노란색을 띠게 됩니다. 가지들은 원주기를 따라 곧게 자라납니다. 양버들의 잎은 삼각형 모양이나 달걀 모양의 삼각형으로, 뾰족한 끝과 가장자리에 작은 톱니가 있는 형태를 가집니다. 잎의 윗면은 녹색이며 털이 없지만, 아랫면은 흰빛을 띄며 일부 부위에 털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양버들은 3월에서 4월에 잎이 나오기 전에 꽃을 피우며, 꽃은 겹총..

능수버들, 능수버들의 효능 [내부링크]

능수버들 능수버들(능수버들, alder)은 버드나무목 버드나무과에 속하는 관속식물입니다. 이 나무는 주로 평지나 강가에 자라며, 낙엽활엽교목으로 성장하며 높이는 주로 20m에 달하고, 지름은 대략 80cm 정도 됩니다. 줄기의 껍질은 회갈색이며, 세로로 갈라진 패턴을 보입니다. 능수버들의 가지는 아래로 길게 늘어지며, 매년 약 1~2m 정도씩 자랍니다. 이 나무의 소지(가지의 작은 가지)는 황록색을 띠며, 일반적으로 털이 없습니다. 잎은 어긋나며 피침형 또는 좁은 피침형을 띠며, 뾰족한 끝이 특징입니다. 잎의 길이는 보통 7~12cm이며, 폭은 10~17mm 정도입니다. 잎 가장자리에는 작은 잔 톱니가 있으며, 잎의 표면은 녹색이고 털이 없으며, 뒷면은 약간 흰빛을 띠고 털이 있거나 없을 수 있습니다. ..

왕버들, 왕버들의 효능 [내부링크]

왕버들 주로 낮은 지대의 습지나 냇가에서 자라는 낙엽 활엽 큰키나무로, 높이는 약 20m, 지름은 약 1m 정도에 이릅니다. 나무의 껍질은 회갈색이며, 겨울에 눈이 내릴 때 난형 모양을 띕니다. 왕버들의 잎은 타원형이며 광택이 나며, 뒷면은 흰색이며, 잎 가장자리에 작은 톱니가 있습니다. 이 나무의 특징적인 특성 중 하나는 "턱잎"으로 불리는 귀 모양의 잎을 갖고 있다는 것입니다. 잎자루의 길이는 보통 5~10mm 정도이며, 잔 모양의 꿀샘(특수한 노란색 점)이 1개 있습니다. 꽃은 4월에 피는데, 꼬리 모양의 꽃차례로 나타납니다. 이 나무는 암수딴그루(동일한 나무에서 암꽃과 수꽃이 모두 피는 현상)이며, 이때 단성화를 나타냅니다. 수꽃차례는 곧게 서 있으며 수술은 보통 5개, 꿀샘은 6개입니다. 암꽃차..

버드나무, 버드나무의 효능 [내부링크]

버드나무 물가에 자라는 낙엽활엽 큰키나무로 줄기는 높이 20m에 이른다. 어린 가지에 털이 난다. 잎은 좁은 피침형 또는 피침형으로 길이 5-12cm, 너비 7-20mm이며, 가장자리에 안으로 휘는 작은 톱니가 있다. 잎 앞면은 녹색이고 털이 없으며, 뒷면은 흰빛이 돌고 맥 위에 털이 있으나 점차 없어진다. 꽃은 암수한그루로 4월에 핀다. 수꽃차례와 암꽃차례는 각각 길이 1-2cm이다. 암술에 털이 난다. 전국에 자라며, 일본, 러시아 동북부에 분포한다. 버드나무의 효능 통증 완화: 버드나무에는 진통 효과가 있는 화학성분이 포함되어 있어 통증을 완화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 팔다리가 저리고 아플 때, 충치나 잇몸의 부종 등에 사용할 수 있습니다. 이뇨 및 부기 개선: 버드나무에는 이뇨효과가 있는 ..

무궁화, 무궁화의 효능 [내부링크]

무궁화 아욱목 아욱과에 속하는 관속식물이다. 정원, 길가 등에 관상용으로 심어 기르는 낙엽 활엽 떨기나무이다. 줄기는 곧추서며, 가지가 갈라지고, 높이 2~3m다. 잎은 어긋나며, 난형, 넓은 난형, 길이 4~10cm, 폭 3~5cm, 3갈래로 얕게 갈라지고, 가장자리에 거친 톱니가 있다. 잎 양면에 털이 난다. 잎자루는 0.7~2.0cm다. 꽃은 8~10월에 가지 위쪽의 잎겨드랑이에서 한 개씩 피며, 붉은 보라색 또는 흰색, 지름 5~7cm다. 꽃자루는 길이 1~2cm다. 꽃받침은 통 모양, 5갈래로 갈라진다. 꽃잎은 5장, 아래쪽이 서로 붙어 있다. 수술은 많고, 수술대가 붙어서 한 뭉치로 된다. 열매는 삭과이며, 둥근 난형, 익으면 5갈래로 갈라진다. 황근에 비해서 자생식물이 아니며, 잎은 가장자리..

벽오동나무, 벽오동나무의 효능 [내부링크]

벽오동나무 벽오동(壁蘪동)은 중국 원산지로 기원하는 낙엽 큰키나무로, 주로 정원과 공원 등의 조경수로 식재되는 나무입니다. 이 나무는 높이 약 10~20m까지 자라며, 가지는 녹색입니다. 잎은 서로 어긋나지만 가지 끝에서 모여있는 것처럼 보이며, 잎끝은 3~5갈래로 갈라지며, 넓은 난형을 이루며 길이와 폭은 16~22cm 정도이고, 밑면은 심장형입니다. 잎자루의 길이는 약 15~20cm입니다. 이 나무의 꽃은 6~7월에 피는데, 녹색이지만 노란빛이 돕니다. 꽃은 가지 끝에서 원추꽃차례를 이루며, 한 꽃차례에 암꽃과 수꽃이 함께 달립니다. 꽃차례의 길이는 25~50cm입니다. 꽃자루의 길이는 약 2~3mm입니다. 꽃받침잎은 5장으로 긴 타원형이며 길이는 약 1cm 정도이며, 밑면이 젖혀진 형태를 가지고 있..

이갈이 [내부링크]

이갈이 개요-정의 넓은 의미의 이갈이(bruxism)는 밤에 잠을 잘 때뿐만이 아니라 낮 동안 깨어 있을 때 반복적으로 치아를 꽉 물거나(clenching ; 이악물기) 옆으로 가는(grinding) 행위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일반적으로 얘기하는 이갈이는 수면 시에 나타나는 행위만을 지칭합니다. 아직 명확하게 규명된 것은 아니지만 많은 학자들이 수면 이갈이와 주간 이갈이는 서로 다른 원인에 의해 발생하는 것으로 추정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수면 중에 발생하는 야간 이갈이(sleep bruxism)와 구별하여 낮 동안에 발생하는 이갈이를 주간 이갈이(awake bruxism ; bruxomania)라고 부르기도 합니다. 이러한 이갈이는 턱 근육의 율동적인 수축에 의해서 발생되며, 먹고 말하고 삼키는 것과 같은..

장구밥나무, 장구밥나무의 효능 [내부링크]

장구밥나무 장구밥나무는 주로 바닷가 산기슭에서 자라는 나무로, 낙엽 활엽 수종입니다. 이 나무는 작은 크기로, 일반적으로 높이가 약 2미터 정도며 어린 가지에는 별 모양의 털이 많이 나타납니다. 이 나무의 잎은 어긋나게 배치되며, 잎자루의 길이는 약 0.3~1.5cm 정도입니다. 잎의 모양은 난형 또는 넓은 타원형이며, 길이는 약 3~12cm, 폭은 2~9cm에 이릅니다. 잎 가장자리에는 불규칙한 겹톱니가 있으며, 잎 앞면은 거칠고 뒷면은 별 모양의 털이 많이 나타납니다. 장구밥나무의 꽃은 7월에 피며, 잎겨드랑이에 취산꽃차례 또는 산형꽃차례로 5~8개씩 달리며 연한 노란색을 띕니다. 꽃받침잎과 꽃잎은 각각 5장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이 나무의 열매는 4개의 소견과로 된 장과로, 모양은 둥글며, 10월..

피나무, 피나무의 효능 [내부링크]

피나무 아욱목 피나무과에 속하는 관속식물로서, 주로 산지 숲속이나 계곡 주변에서 자랍니다. 이 나무는 대체로 낙엽활엽 나무보다 큰 키에 이르며, 높이로는 최대 20m까지 자라고, 너비로는 1m까지 넓어질 수 있습니다. 피나무의 나무껍질은 회갈색을 띠며 세로로 얇게 갈라진 패턴을 가지고 있습니다. 잎은 서로 엇갈려 달리며 넓은 난형 모양으로, 끝이 갑자기 뾰족하고 아래 부분은 심장 모양을 이룹니다. 잎의 가장자리에는 뾰족한 톱니가 있으며, 잎의 길이는 대략 3~9cm 정도입니다. 잎자루는 1.5~6cm 정도로 다양합니다. 피나무의 꽃은 주로 5~7월에 나옵니다. 이 꽃은 잎겨드랑이에서 나와 연한 노란색으로 피며, 꽃 차례에 3~20개 정도가 무리지어 있을 수 있습니다. 피나무의 특징적인 특성 중 하나는 많..

담팔수, 담팔수의 효능 [내부링크]

담팔수 남부지방 산기슭에 자라는 상록활엽교목으로 키는 20m 정도이다. 잎은 가죽질로 피침형 또는 좁은 피침형이고 길이는 12~15cm이다. 잎 표면은 광택이 나고 뒷면은 회녹색을 띤다. 잎은 어긋나게 달린다. 꽃은 7~8월에 전년지의 잎겨드랑이에서 총상화서로 달리며 피는데 흰색이다. 꽃받침과 꽃잎은 5장이다. 열매는 핵과로 9월에 암자색으로 익는다. 남해안, 제주도, 울릉도에 자생하며 대만, 일본에 분포한다. 담팔수의 효능 담팔수의 뿌리 껍질은 산두영이라고도 하며, 타박상이나 부종에 효과가 있어서 한방에서 약재로 사용됩니다23. 담팔수의 열매는 식용으로 먹을 수 있고, 씨앗에서 추출한 기름은 비누나 윤활유로 만들 수 있습니다. 또한 담팔수의 껍질은 염료로도 이용됩니다. 담팔수는 각종 성분과 약리작용을 ..

차나무, 차나무의 효능 [내부링크]

차나무 차나무(영어: Tea Olive, Osmanthus fragrans)는 차나무과에 속하는 상록성 활엽 큰키나무 또는 떨기나무로서, 산기슭이나 민가, 농경지 주변에 주로 식재되는 식물입니다. 이 나무는 주로 차 잎을 만드는 데 사용되는데, 아름다운 향기를 지닌 화환과 과일로도 알려져 있습니다. 차나무는 작은 나무로, 높이는 일반적으로 1~2m 정도이며 가지가 많이 갈라져 있습니다. 잎은 어긋나며 가죽질로 두껍고, 긴 타원상의 피침형을 이루며 길이는 59cm, 폭은 24cm 정도입니다. 잎 가장자리에는 작은 톱니가 있으며, 잎 앞면은 짙은 녹색으로 윤기가 돌며 뒷면은 회색빛이 도는 녹색입니다. 잎맥이 잘 드러납니다. 잎자루는 길이 3~7mm 정도입니다. 차나무는 10~11월에 흰색 꽃을 피우는데, 이..

노각나무, 노각나무의 효능 [내부링크]

노각나무 노각나무(영어: Chinese Witch Hazel 또는 Japanese Witch Hazel)는 낙엽 활엽 교목으로, 산지에서 주로 자라는 나무입니다. 높이는 일반적으로 10~15m 정도이며, 특이한 점은 줄기의 껍질이 조각조각 벗겨져 얼룩무늬가 형성된다는 것입니다. 이 나무의 잎은 어긋나며 타원형으로, 길이는 3~10cm, 폭은 2~5cm 정도입니다. 잎의 앞면은 진한 녹색이며 윤기가 돌며, 뒷면은 노란빛을 띕니다. 노각나무는 6~7월에 새 가지의 잎 겨드랑이에서 꽃을 피우며, 이 꽃은 흰색이며 지름이 약 6~7cm 정도입니다. 꽃잎은 도란형으로 5~6장이며, 길이는 2.5~3.5cm 정도이며 가장자리는 약간 물결 모양을 띱니다. 꽃받침은 5장으로 둥글게 둘러싸고 있습니다. 노각나무의 열매는..

서어나무, 서어나무의 효능 [내부링크]

서어나무 서어나무(서언나무, 학명: Quercus serrata)는 참나무목 자작나무과에 속하는 관속식물로, 산지에서 주로 자라는 낙엽 활엽 큰키나무입니다. 서어나무는 일반적으로 높이 15m 정도에 지름 1m 정도로 자라는 나무로, 나무껍질은 회색이며 근육 모양으로 울퉁불퉁하게 생겼습니다. 작은 가지에는 털이 없으며 홍갈색을 띱니다. 이 나무의 잎은 어긋나게 달려 있으며 붉은빛을 띠다가 녹색으로 변합니다. 잎 모양은 장난형으로 끝이 길게 뾰족하며 가장자리에 겹겹이 톱니가 있으며, 측맥은 보통 10~12쌍 정도입니다. 잎의 표면에는 털이 없지만 뒷면의 맥 위에는 가끔 잔털이 있으며 잎자루에는 털이 없습니다. 서어나무의 꽃은 주로 4~5월에 암수가 함께 한 그루에서 피는데, 수꽃은 각 꽃싸개잎에 1개씩 달립..

강릉 정동진 썬크루즈&비치크루즈 빛나는 여행 [내부링크]

코시국에 단독 풀펜션만 다니다가 정말 몇 년 만에 사람 북적북적이는 곳으로 여름휴가를 떠났습니다~~ 우리 신랑이 대학생때 정동진 놀러 와서 외관만 구경하고 갔다는 정동진에 가장 유명한 곳 언덕위에 구름처럼 걸쳐진 대형 선박 썬크루즈~~ 지금은 바로 옆에 비치크루즈 ( 객실 전용 풀장 ) 호텔이 생겨서 코로나가 아직은 조심스러워 프라이빗 인피니티 풀빌라 2박 예약을 했습니다~ 첫날은 약간 흐렸어요. 안개 낀 호텔 전망이 더 신비스러워 보입니다~ 조금 일찍 도착하여 썬크루즈 구경을 갔습니다 유리창 너머 보는 데도 바다가 너무 이쁘더라고요 우린 숙소 안에 풀장만 이용할 거라 썬 인피니티 풀장은 살짝꿍 구경만 해봅니다 ^^ 썬크루즈 로비를 지나 해돋이 공원에 가면 정말 유명한 정동진 상생의 손을 볼 수 있습니다..

노인 보행 장애 [내부링크]

노인 보행 장애 개요 보행이란 두 하지를 반복적으로, 번갈아 이용하여 우리 몸을 한 장소에서 다른 장소로 이동하는 행위를 말합니다. 일반적으로 걷는 행위를 의미하며 모든 이동 중에서 가장 흔히 사용되는 방법이며 일상생활 동작의 많은 부분을 차지하게 됩니다. 정상적인 보행을 위해서는 기본적으로 전제되어야 하는 것이 균형 감각인데 균형을 이루기 위해서는 시각, 청각, 고유 수용성 감각, 하지의 근력 등이 필요합니다. 그러나 나이가 들어감에 따라 이러한 균형능력이 감소하면서, 신경학적인 문제가 없고 동반된 질환이 없다고 하더라도 보행의 변화가 오게 됩니다. 보행의 폭은 줄어들고 양 발의 간격은 넓어지며, 팔다리를 활기차게 움직이지 않으면서 허리, 고관절과 무릎 등을 구부정한 상태로 조심스럽게 걷게 되고 보행속..

무릎 연골 손상 [내부링크]

개요 무릎 외상에 의해 관절 내 연골이 벗겨지거나, 연골하 골(연골밑 뼈)까지 분리될 수 있고, 정도에 따라서는 관절 내 유리체를 발생시키기도 합니다. 박리성 골연골염(관절면으로부터 연골과 연골하 골의 조각이 떨어져 나오는 괴사 소견)이 주로 무릎 외상 후에 나타납니다. 박리성 골연골염과 골연골 골절은 관절 내 유리체 발생의 가장 흔한 원인에 해당합니다. 치료 무릎 연골 손상에서 박리성 골연골염은 주로 수술적 치료를 시행하지만, 성장판이 열려있는 환자에서 분리가 안된 안정적인 손상의 경우 수술적 치료를 시행하지 않습니다. 성인의 경우 증상이 있으면 분리가 안된 안정적인 손상이라도 스스로 회복되기 어렵기 때문에 수술을 해야 합니다. 박리성 골연골염의 수술적 치료는 골편(뼈 조각)의 괴사 및 변형 정도, 손..

산수유, 산수유의 효능 [내부링크]

산수유 산수유(山茱萸)는 층층나무목 층층나무과에 속하는 관속식물로, 주로 마을 주변이나 민가 근처에 심어 약용 및 관상용으로 기르는 낙엽 활엽 작은 또는 큰키나무입니다. 산수유의 줄기는 일반적으로 높이 5~12m에 이르며, 가지가 다수로 갈라지는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노화된 줄기는 껍질 조각이 떨어질 수 있습니다. 잎자루의 길이는 5~10mm로 짧고, 약간 털이 납니다. 잎은 마주나며 난형 또는 긴 난형으로 형성되며 길이는 4~10cm, 폭은 2~6cm 정도입니다. 잎의 끝은 날카롭게 뾰족하며, 가장자리는 부드럽게 편평합니다. 잎의 앞면은 녹색이며, 뒷면은 연한 녹색 또는 흰빛을 띠며 양면에 약간의 털이 있습니다. 산수유의 꽃은 주로 34월에 개화하며 2030개가 모여 산형으로 꽃차례를 이룹니다. 이..

개비자나무, 개비자나무의 효능 [내부링크]

개비자나무 산지 숲속에 자라는 상록 침엽 작은큰키나무이다. 줄기는 높이 2~3m이다. 잎은 2줄로 붙고, 선형, 끝이 뾰족하다. 잎 양면에 가운데 잎맥이 뚜렷하고, 뒷면은 가운데 잎맥 양쪽에 흰 기공선이 있다. 3~5월에 구화수가 암수딴그루에 달린다. 열매는 육질의 가종피로 완전히 덮여 있으며, 타원형, 이듬해 9~10월에 붉게 익는다. 우리나라 경기도 이남에 나며, 일본에 분포한다. 개비자나무는 잎이 긴 선형으로 끝이 뾰족하지만 찔려도 따끔하지 않은 점에서 비자나무와 구별된다. 또한 열매가 홍자색으로 익으며, 겉에 다소 딱딱한 부속물이 완전히 둘러싸며, 난형이나 타원형으로 길이 2.5cm 정도인 점에서 주목과 구별된다. 이 종은 잎과 수형이 아름다운 관상자원으로 가치가 높으므로 국외 반출을 감시할 필요..

갑상선 결절 [내부링크]

개요 갑상선은 목의 전면에 있으며, 물렁뼈(갑상선 연골)라는 목 부위에 튀어나온 부분 2~3 cm 아래에 있는 나비모양을 한 기관으로 갑상선호르몬을 분비하는 곳입니다. 갑상선은 호르몬을 분비하는 내분비 기관 중 하나로 갑상선호르몬을 생산, 저장했다가 필요할 때마다 혈액으로 내보내는 일을 합니다. 갑상선호르몬은 인체의 전체 대사과정의 속도를 조절하여 모든 기관의 기능을 적절히 유지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예를 들어, 열을 발생시켜 체온을 일정하게 유지하고 신체 각 기관의 대사량을 조절하며 태아와 신생아에서는 뇌와 뼈의 성장 발달에 필수적인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갑상선호르몬이 너무 많으면 신체의 모든 기능들이 빨라져서 맥박이 증가하고 땀이 많아지며 손발의 떨림 증상이 나타납니다. 또한 체온증가 및 불안증세 ..

나한송, 나한송의 효능 [내부링크]

나한송 숲속이나 길가에 관상용으로 심어 기르는 상록성 큰키나무이다. 줄기는 곧추서고 높이 5m쯤이다. 잎은 어긋나며, 선형으로 길이 5~8cm이다. 잎은 두꺼우며, 가운데 맥이 양면으로 도드라진다. 꽃은 5월에 암수딴그루로 핀다. 수꽃은 잎겨드랑이에 2~3개씩 아래로 달리며, 누런 흰색이다. 수술은 여러 개이며, 세모진 포비늘 위에 달린다. 암꽃은 지난해 가지 잎겨드랑이에 1개씩 달리며, 4개의 비늘조각이 붙어 있다. 열매는 붉은색으로 9~10월에 익으며, 씨는 넓은 타원형으로 청록색이다. 우리나라 전역에 식재하며 전라남도 가거도에 드물게 자생한다. 세계적으로 대만, 일본, 중국 중남부, 타이완, 미얀마 등에 분포한다. 나한송은 잎이 짧고 좁은 특징으로 같은 속 내 유사종과 구분된다. 적색으로 익는 과상..

대추나무 빗자루병 [내부링크]

대추나무 빗자루병 개요 대추나무의 꽃눈이 잎눈으로 변하면서 작은 잎이 계속 나와 빗자루 모습을 나타내는 질병이다. 대추나무 빗자루병은 1950년경부터 크게 퍼지기 시작하여 보은, 옥천, 봉화 등의 대추 명산지를 황폐화시켰으며, 전국적으로 확산되어 대추나무 재배지를 위협하고 있다. 이 병은 우리나라와 중국 등에 분포하고 있다. 병원균 : 파이토플라스마(Phytoplasma) 식물 병원체로서 세포벽이 없는 원핵(原核)생물 매개충 : 마름무늬매미충(Hishimonus sellatus) 매개충 기주식물 : 대추나무, 쥐똥나무, 일일초 병징 잔가지와 연녹색의 아주 작은 잎이 밀생하여 마치 빗자루와 같은 모습을 나타낸다. 꽃눈이 잎으로 변하는 엽화현상(葉化現象, phyllody) 때문에 꽃이 피지 않고 열매도 열리..

대추나무, 대추나무의 효능 [내부링크]

대추나무 대추나무는 갈매나무과에 속하는 활엽관목으로, 원산지는 인도이며 보통 높이는 약 5m 정도입니다. 이 나무의 특징적인 열매인 대추는 매우 유명한 과일 중 하나로 알려져 있습니다. 대추나무의 꽃은 5월부터 6월에 피며, 2~3개가 모여서 달리게 됩니다. 꽃잎은 다섯 장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노란빛이 도는 녹색을 띠고 있습니다. 나무의 잎은 어긋나며 달걀 모양 또는 긴 달걀 모양을 가지고 있으며, 세 개의 잎맥이 뚜렷하게 보입니다. 나무 자체에는 가시가 있고, 가지의 마디 위에 작은 가시들이 다발로 나타나기도 합니다. 그러나 대추나무의 더욱 유명한 부분은 그 열매인 대추입니다. 대추는 씨가 단단한 핵에 둘러싸인 타원형의 핵과로 형태적으로 약 2.5-3.5cm 정도의 크기를 가집니다. 처음에는 초록색을..

낙우송, 낙우송의 효능 [내부링크]

낙우송 측백나무목 측백나무과에 속하는 낙엽성 겉씨식물이다. 호수나 강변에 심어 기르는 큰키나무로 높이 20~50m, 지름 5m에 이른다. 나무껍질은 붉은 갈색, 세로로 갈라져 작은 조각으로 벗겨진다. 어린 가지는 녹색이다. 잎은 어긋나며, 홑잎이지만 여러 장이 깃털 모양으로 붙고, 선형으로 길이 1.5~2.0cm, 밝은 녹색이고 얇다. 구화수는 4~5월에 암수한그루로 달린다. 수구화수는 가지 끝에 발달하며, 아래로 드리우고 길이 1.5~2.0cm, 자주색이다. 열매는 구과이며, 둥글고, 지름 2~3cm이다. 어린 가지가 잎과 같이 떨어지나, 동아가 달린 끝 쪽 어린 가지는 떨어지지 않는다. 메타세쿼이아에 비해서 잎이 어긋나고 구과의 실편이 10개 이상으로 많으므로 구별된다. 풍치수, 방풍림으로 심으며, ..

오십견(동결견, 유착성 관절낭염) [내부링크]

오십견(동결견, 유착성 관절낭염) 개요 오십견은 만성 어깨관절의 통증과 운동 제한을 일으키는 가장 흔한 질환의 하나로 전체 인구의 약 2%에서 나타나는 증상입니다. 동결견은 Codman (1934)이 처음 “동결견 (frozen shoulder)” 라 하여 사용하기 시작하였으며, 그 당시 이 질환 자체가 정의 내리기도 힘들고 치료하기도 힘들며 병인론에 대하여 설명하기가 힘들다고 하였고, 이 후 Neviaser (1949)가 이를 “유착성 관절낭염(adhesive capsulitis)”이라 기술하였으나 현재까지도 기전이나 치료에 대하여 명확한 해결책을 제시하지 못하고 있습니다. 흔히 50세 이후의 연령에서 나타나는데, 특별한 원인이 없이 관절 운동이 되지 않으며 심한 통증을 유발하는 것이 특징입니다. 오십..

눈향나무, 눈향나무의 효능 [내부링크]

눈향나무 눈향나무(Chamaecyparis obtusa)는 고산 지역의 정상 부근이나 바위 틈에서 발견되는 상록 침엽수로, 원줄기는 땅을 기거나 바위 아래로 처져 자랍니다. 줄기에는 비스듬히 나는 많은 가지가 형성되며, 이 가지들의 길이는 대부분 50cm 미만입니다. 어린 나무나 길게 뻗은 가지에는 3개의 바늘잎이 돌려나기로 붙어 있습니다. 이 바늘잎은 비늘 모양으로, 맥보다 넓은 2개의 흰색 줄이 있으며, 길이는 약 1mm 정도입니다. 눈향나무는 5월경에 길이 약 2mm 정도의 꽃이 피며, 열매는 편구형의 구과로 다음 해 10월에 익습니다. 이 나무는 해발 700~2,300m의 고산 지역에 주로 분포하며, 정상 부근의 바위 지대에서 자라는 특징이 있습니다. 우리나라 전역에서 발견되며, 일본, 대만, 쿠..

서양측백, 서양측백의 효능 [내부링크]

서양측백 서양측백(학명: Thuja occidentalis)은 북아메리카 원산으로, 주로 공원이나 정원 등에서 조경용으로 식재되거나 관상수로 사용되는 상록성 큰키나무입니다. 이 나무는 높이 20m에 이르며 지름은 30~100cm 정도로 자랍니다. 나무껍질은 검은빛이 도는 갈색을 띠고 있습니다. 가지는 밑에서부터 많이 나와 수평으로 뻗어 전체적으로 좁은 원뿔 모양을 형성합니다. 서양측백의 잎은 비늘 모양으로 난형을 이루며, 끝이 갑자기 뾰족해지고 서로 엇갈리게 마주 나타납니다. 줄기에 나는 잎은 길이가 3mm로 샘점이 있으며, 가지에 나는 잎에는 샘점이 없는 경우도 있습니다. 잎의 표면은 연한 녹색이며 뒷면은 황록색으로, 강한 향기를 가지고 있습니다. 꽃은 암수가 분리되어 있으며, 구화수는 5월에 가지 끝..

배롱나무, 배롱나무의 효능 [내부링크]

배롱나무 배롱나무(학명: Lagerstroemia indica)는 부처꽃과에 속하는 낙엽 소교목으로, 꽃이 한 번에 한꺼번에 피고 지는 것이 아니라 여러 날에 걸쳐 번갈아 피고 지는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로 인해 백일홍나무 또는 목백일홍이라고도 불립니다. "배롱"이라는 이름은 원래 백일홍의 소리가 변형되어 생긴 것으로 추정되며, 이어서 "목백일홍"으로 불리기도 합니다. 단순히 목백일홍이라고 부르는 경우에는 백일홍이라는 이름을 가진 다른 꽃과 혼동할 수 있으니 주의가 필요합니다. 원산지는 중국 남부이며, 대한민국, 일본, 오스트레일리아 등지에 약 30여 종이 분포하고 있습니다. 배롱나무는 길이가 3~5m 정도이며 줄기는 매끄럽고 담갈색을 띠고 있습니다. 어린 가지에는 잔털이 나타나며, 잎은 마주 나타..

누리장나무, 누리장나무의 효능 [내부링크]

누리장나무누리장나무는 산지나 계곡, 바닷가에서 자라는 낙엽 활엽 관목으로 높이가 대개 2m 정도입니다. 가지에는 털이 없는 특징이 있습니다. 잎은 마주 나타나며 넓은 난형 모양이며, 뾰족한 끝을 가지고 있으며 잎의 밑면은 뾰족하거나 다소 평평한 형태입니다. 잎의 윗면은 녹색이며 털이 없지만 뒷면에는 맥 위에 털이 있으며 희미한 점무늬가 흩어져 있습니다. 잎 가장자리는 밋밋하거나 큰 톱니 모양을 띱니다. 엽병에는 털이 있습니다. 꽃은 주로 8월부터 9월에 피며, 꽃차례는 새 가지에서 형성되며 꽃에는 털이 있을 수도 있고 없을 수도 있습니다. 꽃받침은 홍색이며 5개의 깊게 갈라진 조각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꽃관은 짙은 푸른색으로 시작해서 익으면서 적색의 꽃받침으로 둘러싸여 있으며, 꽃이 개화한 후에 떨어집..

화백, 화백의 효능 [내부링크]

화백 화백(火柏)은 일본 원산지로서 주로 공원, 정원 등의 조경용으로 심어지는 상록성 큰키나무입니다. 높이는 최대 30m에 달하며 지름은 60cm까지 자랄 수 있습니다. 나무껍질은 회갈색이며 세로로 얇게 벗겨집니다. 어린 가지는 많이 갈라지고 편평하며 아래로 퍼지는 특징이 있습니다. 화백의 잎은 십자 모양으로 어긋나며 줄기를 감싸는 피침형을 띠고 있습니다. 특히 비늘잎은 뾰족한 끝을 가지고 뒷면은 흰색입니다. 꽃은 암수한그루이며 구화수는 4월에 나타나며 암구화수는 어두운 갈색을 띠며 길이는 약 3~6mm 정도입니다. 수구화수는 자갈색이며 길이는 약 3mm 정도의 타원형으로 어린 가지의 끝에 붙어 있습니다. 열매는 구과 형태를 띠며 9월부터 10월에 갈색으로 익습니다. 실편의 개수는 약 8~12개로 되어 ..

시신경염 [내부링크]

시신경염 개요 시신경이란? 시각을 맡는 지각신경으로 망막에서 받아들인 시각정보를 뇌에 전달하는 역할을 하며 120만 개 정도의 신경섬유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안구의 뒤쪽에 위치하는 시신경유두에서부터 시신경교차까지를 말하며 중추신경계의 일부입니다. 개요-정의 시신경염이란? 시신경 신경섬유의 일부 또는 전체에 염증이 생기거나 다른 병변이 생기는 경우 신경섬유들이 제 기능을 발휘하지 못하면 사물을 보는 것에 문제가 생기고 통증과 함께 일시적인 또는 영구적인 시력 장애 증상이 나타나게 되는데 이를 통칭하여 시신경염이라고 합니다. 연관 검색어 시신경염, 다발성경화증, 시신경척수염, 시신경위축, 유두염, 구심동공장애 개요-종류 시신경염의 분류는 병이 발생한 해부학적 위치에 따라서 몇 가지로 나눌 수 있습니다. 망막..

일본잎갈나무, 일본잎갈나무의 효능 [내부링크]

일본잎갈나무 일본잎갈나무는 소나무과에 속하는 겉씨식물로, 주로 일본에서 자라며 산지에 조림용으로 심어지기도 합니다. 이 나무는 낙엽성 바늘잎 큰키나무로, 높이는 보통 20~30m, 지름은 약 60cm 정도로 자랍니다. 나무껍질은 회갈색이며 가지는 수평으로 뻗거나 아래로 처지며, 잔가지는 황갈색이나 적갈색을 띠게 됩니다. 잎은 짧은 가지에 모여나며 선형 모양을 하며, 길이는 대략 15~35mm, 폭은 1.0~1.2mm 정도입니다. 밝은 녹색을 띠며, 잎의 뒷면 가운데 잎줄 양쪽에 백색 기공선이 있지만 뚜렷하지 않은 경우도 있습니다. 암수한그루이며 구화수는 4~5월에 잎이 피는 동안 성장하게 됩니다. 수구화수는 짧은 가지 끝에 길게 나타나며 황갈색이고 밑을 향합니다. 암구화수는 잎이 달리는 짧은 가지 끝에서..

탱자나무, 탱자나무의 효능 [내부링크]

탱자나무 탱자나무는 낙엽 활엽 작은 키나무로, 줄기의 높이는 보통 3m 정도입니다. 이 나무의 가지는 납작하며 녹색을 띠며, 길이 약 3-5cm의 억센 가시가 어긋납니다. 잎은 어긋나고 손바닥 모양의 3출 겹잎으로 형성됩니다. 작은 잎은 가죽질이며, 도란형 또는 타원형을 띠며 길이는 대략 3-6cm 정도입니다. 꽃은 4-5월에 잎이 나기 전에 피는데, 흰색을 띠며 가지 끝과 잎겨드랑이에서 1-2개씩 달립니다. 꽃잎은 5장으로 형성되며, 열매는 9-10월에 노란색으로 익게 되며 향기가 좋습니다. 이 나무는 귤나무와 유사한 대목으로 쓰이며, 열매는 약용으로도 사용됩니다. 탱자나무는 주로 중부 지역에서 낮은 곳에 식재되며, 중국 중남부 지역을 원산지로 합니다. 탱자나무의 효능 나무의 열매는 약으로 쓰이기도 하..

멀구슬나무, 멀구슬나무의 효능 [내부링크]

멀구슬나무 멀구슬나무는 주로 마을 민가 주변에 식재되거나 야생화되어 자라는 낙엽 활엽 큰 키나무입니다. 이 나무는 높이로 15m 정도까지 자라며, 나무껍질은 세로로 잘게 갈라진 어두운 갈색 또는 회흑색을 띱니다. 잎은 기수 2~3회 깃꼴겹잎으로 형성되며 길이는 80cm 정도이며, 가지 끝에 어긋나게 붙어 있습니다. 작은 잎은 난형 또는 타원형을 띠며 가장자리에는 톱니가 있거나 깊이 파여 들어간 결각이 형성될 수 있습니다. 잎자루는 길고 기부가 굵게 형성됩니다. 멀구슬나무의 꽃은 주로 5월에 연한 청자색으로 피는데, 가지 끝이나 잎겨드랑이에 원추꽃차례로 달리게 됩니다. 꽃잎과 꽃받침의 조각은 각각 5개씩 존재합니다. 이 나무의 열매는 핵과로서 넓은 타원형을 띠며 9월에 황갈색으로 익게 되며, 겨울에도 열매..

류마티스 관절염 [내부링크]

류마티스 관절염 개요 류마티스 관절염은 관절 활막의 지속적인 염증 반응을 특징으로 하는 만성 염증 질환입니다. 류마티스 관절염의 특징적인 증상은 손과 발의 작은 관절에 좌우 대칭적으로 관절염이 생기는 것입니다. 류마티스 관절염은 발생 후 적어도 2년 내에 진단받고 전문적인 치료를 거쳐야 결과가 좋기 때문에 초기의 증상을 잘 알아두어야 합니다. 대표적인 초기 증상은 손과 발의 관절이 붓고 아프며, 아침에 관절이 뻣뻣해서 펴지지 않는 증상이 1시간 이상 지속되는 것입니다. 이러한 증상과 더불어 피곤하며 열감이 느껴질 때는 더욱 류마티스 관절염을 의심하여야 합니다. 면역은 외부에서 침입하는 세균으로부터 우리 몸을 막아주는 기능을 말하며 면역에서 림프구는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그러나 림프구가 우리 몸의 일부를..

병아리꽃나무, 병아리꽃나무의 효능 [내부링크]

병아리꽃나무 병아리꽃나무는 주로 바닷가 근처의 낮은 산지나 섬에서 드물게 자라는 낙엽 활엽 떨기나무로 분류되는 식물입니다. 줄기는 모여있으며, 높이는 보통 1.5~2.0m 정도입니다. 잎은 마주나며, 난형 또는 긴 난형을 이루며 길이는 4~10cm 정도입니다. 잎의 끝은 꼬리처럼 길게 뾰족하고 밑부분은 얕은 심장형이거나 둥글며, 잎의 가장자리에는 날카로운 겹톱니가 촘촘하게 나타납니다. 잎의 앞면은 짙은 녹색이고 주름이 있으며 뒷면은 연한 녹색으로 털이 있지만 점차 없어집니다. 꽃은 주로 4~5월에 햇가지 끝에 양성화가 1개씩 달려서 피며 흰색을 띠고 있습니다. 꽃잎은 4개로 이루어져 있으며 길이는 1.5~2.5cm 정도이고 꽃의 지름은 3~5cm 정도입니다. 열매는 수과로 형성되며 길이는 7~8mm 정도..

조록나무, 조록나무의 효능 [내부링크]

조록나무 산기슭에서 자라는 상록 활엽 큰키나무로 분류되는 식물입니다. 일반적으로 덤불처럼 자라지만 높이는 보통 16m, 지름은 80cm까지 자랄 수 있습니다. 나무껍질은 처음에는 매끈하고 짙은 녹색이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거칠어지며 벗겨집니다. 이 나무의 잎은 어긋나는 형태로, 도란형 또는 타원형을 띠며 길이는 38cm, 폭은 1.24cm 정도입니다. 가장자리는 밋밋하며 양면에 털이 없습니다. 잎맥 위에는 별 모양의 털이 있지만 나중에는 사라집니다. 꽃은 보통 4~5월에 피며, 암수한그루나 암수딴그루에 나타납니다. 꽃은 잎겨드랑이에서 총상꽃차례로 나타나며, 꽃받침잎은 5장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피침형을 띠며 겉면에는 갈색 별 모양의 털이 있습니다. 꽃잎은 없습니다. 열매는 삭과(난형)로 형성되며, 10월에 ..

야광나무, 야광나무의 효능 [내부링크]

야광나무 야광나무는 장미목 장미과에 속하는 관속식물로, 산 지역이나 강가에서 자라는 낙엽 작은큰키나무입니다. 이 나무의 줄기는 높이로 4~10m 정도에 이릅니다. 잎은 어긋나며 난형이나 타원형을 띠며, 길이는 3.0~8.0cm, 폭은 1.5~3.5cm 정도이며, 가장자리에 잔 톱니가 있습니다. 잎자루의 길이는 1.5~5.0cm 정도이며 어릴 때에는 털이 있을 수 있지만 나중에 없어집니다. 야광나무의 꽃은 주로 5~6월에 피게 되며, 짧은 가지 끝에 산형꽃차례로 달립니다. 이 꽃들은 흰색이며 지름은 3~4cm 정도입니다. 꽃자루의 길이는 2~5cm 정도이며, 꽃받침잎은 피침형을 띠며 안쪽에 부드러운 털이 있으며, 꽃이 진 후에 떨어지게 됩니다. 열매는 이과에 속하며 구형으로 형성되며, 지름은 1~2cm 정..

고광나무, 고광나무의 효능 [내부링크]

고광나무 고광나무는 산골짜기에서 자라는 낙엽 활엽 떨기나무로, 높이는 주로 2~4m에 이릅니다. 나무껍질은 회색을 띠며 잔가지에는 털이 있으며, 2년 생의 가지에서는 나무껍질이 벗겨집니다. 이 나무의 잎은 마주 나며 난형 또는 난상 타원형으로 형태가 되며, 길이는 5~10cm, 폭은 3~5cm 정도입니다. 잎의 양 끝은 뾰족하며 가장자리에는 뚜렷하지 않은 톱니가 있습니다. 잎의 뒷면에는 잔털이 있으며, 열매의 잎은 작습니다. 고광나무의 꽃은 4~5월에 가지 끝이나 잎겨드랑이에 총상꽃차례로 5~7개씩 달립니다. 작은 꽃자루의 길이는 6~13mm이며, 꽃받침통과 함께 털이 있습니다. 꽃잎은 4장으로 되어 있으며 도란상 원형의 형태를 띠며 암술머리는 4갈래로 갈라집니다. 이 나무의 열매는 삭과로 형성되며, 9..

굳은살과 티눈 [내부링크]

굳은살과 티눈 개요 굳은살은 반복적인 마찰이나 압력에 의해 각질층이 두꺼워져서 생기는 질환입니다. 주로 손발바닥, 관절의 뼈 돌출 부위처럼 압력을 많이 받는 부위에 발생합니다. 티눈도 굳은살과 마찬가지로 발바닥과 발가락에 잘 생깁니다. 티눈 병변은 두꺼워진 각질층이 과다각화(각화가 심해 피부의 각질층이 두꺼워지는 증상) 중심핵 모양으로 피부 표면에서 피부 안쪽으로 향해 있습니다. 따라서 압박을 가하면 통증이 발생하며 간혹 염증이 유발됩니다. 개요-원인 만성자극이나 압력이 가해진 부위에 굳은살이 생기고, 이것이 밖으로 더 커지지 못하고 피부 안쪽으로 쌓이면서 중심핵을 형성하면 티눈이 발생합니다. 두 질환 모두 과도한 마찰이나 압력에 의해 피부가 딱딱해지는 과다각화(각화가 심해 피부의 각질층이 두꺼워지는 증..

구내염 [내부링크]

구내염 개요-정의 구내염은 구강 내 점막에서 발생하는 염증 질환의 통칭입니다. 입술, 혀, 잇몸, 입천장, 입안볼 등 구강에 발생하는 매우 흔한 질환입니다. 구내염은 다양한 원인에 의한 구강 점막의 염증 반응으로 발생하며 일반적으로 통증을 일으키는 경우가 많습니다. 개요-종류 구내염은 구강점막의 질환으로 증상별, 발생 부위별, 원인별, 육안적 소견에 따른 분류법들이 있습니다. 하지만 각 질환에 대하여 일률적으로 적용하기는 곤란하여 원인별, 증후별 등을 혼합하여 분류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따라서 임상적으로는 국소 병변의 증상과 육안적 소견으로 크게 감염성 구내염과 비감염성 구내염으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감염성 구내염은 세균, 바이러스, 진균 등의 감염에 의하여 발생하는 질환이며, 대표적인 질환으로 ①단순..

남천, 남천의 효능 [내부링크]

남천 남천(楠椽)은 산지 숲이나 길가에서 야생으로 자라거나 정원에 심어 기르는 상록성 떨기나무로, 높이는 주로 2~3m 정도입니다. 줄기는 가지가 분기되어 있으며, 잎은 어긋나게 자랍니다. 이 나무의 잎은 3회 3출겹잎으로 형성되며 길이는 30~50cm 정도입니다. 작은 잎은 가죽질이며, 타원 형태의 피침형을 띠며 길이는 3~10cm, 폭은 1~4cm 정도입니다. 겨울에는 붉게 변하지만 낙엽이 떨어지지 않습니다. 남천은 6~7월에 꽃이 핀다는 특징을 가지며, 가지 끝에 원추꽃차례로 피어나며 지름은 6~7mm 정도로 작고 노란빛이 도는 흰색의 꽃을 갖습니다. 꽃차례의 길이는 20~30cm 정도입니다. 화피는 여러 줄로 배열되며 안쪽의 6장은 꽃잎처럼 보이며 뒤로 젖혀지는 형태입니다. 꽃받침은 노란색이며 세..

매자나무, 매자나무의 효능 [내부링크]

매자나무 매자나무는 주로 고도가 낮은 지역에서 햇빛이 잘 드는 숲 가장자리나 하천 주변에서 자라는 낙엽 활엽 떨기나무입니다. 이 나무의 높이는 보통 2m 정도이며, 밑부분에서 가지들이 갈라집니다. 나무껍질은 회갈색이며 오래되면 불규칙하게 갈리게 됩니다. 어린 가지는 주로 적색이나 암갈색이며, 가지의 마디에는 대개 3개로 갈라진 가시가 있습니다. 이 가시는 길이가 0.5~1cm 정도이며 밑부분이 넓게 퍼져 있습니다. 매자나무의 잎은 새 가지에서는 어긋나게 자라지만, 오래된 짧은 가지에서는 모여서 자랍니다. 잎몸은 도란형이나 타원형을 띠며, 가장자리에는 불규칙하고 둔한 톱니가 있습니다. 꽃은 5월에 짧은 가지 끝에 주렁주렁 노란색으로 피어나는데, 화축의 길이는 37.3cm, 꽃자루의 길이는 1.32.7mm ..

후박나무, 후박나무의 효능 [내부링크]

후박나무 후박나무는 녹나무목 녹나무과에 속하는 관속식물로, 주로 바닷가나 산기슭과 같은 낮은 지대에서 자랍니다. 이 나무는 상록 활엽수로 높이가 약 20m, 지름이 1m에 이를 수 있으며, 줄기껍질은 어두운 갈색을 띠고 있습니다. 후박나무의 잎은 어긋나지만 가지 끝에서 모여든 것처럼 보입니다. 잎은 가죽질이며 도란형 또는 넓은 도피침형으로, 길이는 7~15cm, 폭은 3~7cm 정도입니다. 잎의 끝은 급하게 좁아지며 가장자리는 밋밋한 편입니다. 잎의 앞면은 짙은 녹색이며 윤이 나고, 뒷면은 회색빛이 도는 녹색을 띱니다. 잎자루의 길이는 약 2~3cm입니다. 꽃은 5~6월에 잎의 겨드랑이에서 원추꽃차례로 피는데, 녹색에 노란빛이 도는 색상을 가지고 있습니다. 화피 조각은 3장씩 2줄로 나며 길이는 5~7m..

안구건조증 [내부링크]

개요 눈물은 눈을 촉촉하게 적셔서 부드럽고 편안한 눈 상태를 유지해 주는 기능을 합니다. 안구건조증은 눈물의 양이 감소하거나 질에 변동이 생겨 발생하며, 건성안이라고도 불립니다. 증상으로는 안구의 건조감, 작열감, 흐려보임 등이 있습니다. 환자들이 안과를 찾는 가장 많은 원인 중의 하나가 바로 안구건조증 때문입니다. 요즘 사람들은 대기오염에 노출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난방이 잘 되는 빌딩이나 밀폐된 사무실의 습도 저하나 환기 부족으로 항상 건조한 환경 속에 살고 있습니다. 이런 생활 환경이 안구건조증에 걸릴 위험을 높입니다. 또한 다양한 모바일 기기와 컴퓨터 등 일상적인 모니터 사용으로 눈은 쉬지 않고 끊임없이 무엇인가를 읽고 봐야 합니다. 이러한 현대인의 생활 패턴 또한 안구건조증의 유발을 부추기고 ..

생달나무, 생달나무의 효능 [내부링크]

생달나무 생달나무는 주로 도서 지역의 낮은 산지에서 자라는 상록 활엽 교목입니다. 높이는 대개 15미터 정도이며, 가끔 50센티미터 정도의 지름을 가집니다. 나무껍질은 흑색이며 잔가지는 녹색으로 털이 없습니다. 생달나무의 잎은 어긋나며, 좁은 난형 또는 긴 타원형으로 형태가 변화합니다. 끝은 뾰족해지다가 둥글게 끝나며, 밑은 뾰족하거나 다소 둥글게 됩니다. 잎의 크기는 길이로 615센티미터, 너비로 25센티미터 정도입니다. 잎 가장자리는 밋밋하며 양면에는 털이 없으며, 표면은 윤채가 있고 뒷면은 분백색을 띱니다. 잎자루의 길이는 820밀리미터로 털이 없습니다. 잎맥은 잎밑으로부터 315밀리미터 정도 떨어져 나와 3개로 갈라집니다. 꽃은 6월에 연한 황색으로 양성화로 피는데, 잎의 겨드랑이에서 나온 긴 꽃..

당매자나무, 당매자나무의 효능 [내부링크]

당매자나무 당매자나무는 우리나라 중부부터 북부 지역에 분포하는 낙엽성 나무입니다. 이 나무의 높이는 대체로 1.0~1.5m 정도로 자랍니다. 가지에는 능선이 있으며, 가시는 단순하거나 때로는 3갈래로 갈라져 있으며, 길이는 대략 1~2cm 정도입니다. 어린 가지의 잎은 어긋나게 붙어 있으며, 짧은 가지에서는 모여 있는 듯한 모습을 보입니다. 잎은 피침형으로 형태를 이루며, 길이는 3~6cm 정도이며, 가장자리는 보통은 매끄럽지만 윗부분은 약간 톱니 모양의 구조를 가지고 있습니다. 이 나무의 꽃은 4~5월에 황색으로 피는데, 가지 끝에서 10~15개가 모여 총상꽃차례를 형성합니다. 열매는 장과 형태로서 타원형이며, 9월에 붉은 색으로 익습니다. 이 나무는 러시아, 몽골, 중국 등 다른 지역에서도 발견됩니다..

매발톱나무, 매발톱나무의 효능 [내부링크]

매발톱나무 매발톱나무는 해발고도 1,000m 이상의 높은 산 중턱 이상 능선부에 자라는 낙엽성 나무로, 줄기의 높이는 주로 2~3m 정도입니다. 가지는 3개의 갈래로 갈라지며, 길이는 1~3cm 정도입니다. 이 나무의 잎은 햇가지에는 어긋나게 붙어 있으며 짧은 가지에는 모여난 것처럼 보입니다. 잎자루의 길이는 대략 0.5~1.5cm입니다. 잎몸은 주걱 모양으로 형태를 이루며, 길이는 3~8cm, 폭은 2~4cm 정도이며 가장자리에는 가시 모양의 날카로운 톱니가 있습니다. 5~6월에는 노란색 꽃이 피는데, 짧은 가지에서 난 길이가 4~10cm인 총상꽃차례에 10~20개의 꽃이 달립니다. 꽃자루의 길이는 0.5~1.0cm입니다. 꽃받침은 6장이 2줄로 붙어 있으며 노란색을 띱니다. 꽃잎은 6장으로 이루어져 ..

간경화증 [내부링크]

간경화증 개요 간경화는 정상적인 간조직이 섬유 조직으로 변하면서 원래의 기능을 제대로 수행하지 못하게 되는 질병입니다. 간경화 초기에는 증상이 뚜렷하지 않고 혈액 검사에서도 특별한 이상 소견을 보이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간 손상이 심하게 진행되면 황달, 복수, 간성뇌증, 정맥류 출혈 등의 합병증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간경화의 치료는 원인이 되는 기저 질환 및 간경화에 의해 나타난 합병증을 치료하는 것입니다. 개요-정의 1. 간의 구조 간은 우리 몸에서 가장 큰 장기로 성인에서는 무게가 1.2~1.5kg 정도입니다. 간은 쐐기 모양으로 오른쪽 횡격막 아래에 위치하며 갈비뼈가 보호하고 있습니다. 간은 크게 오른쪽과 왼쪽 두 개의 간엽으로 나뉘며, 두 개의 간엽은 약 10만 개의 간 소엽으로 구성되..

백목련, 백목련의 효능 [내부링크]

백목련 백목련은 중국에서 기원한 나무로 정원이나 공원 같은 곳에서 관람용으로 심어서 키우는 낙엽성 큰키나무입니다. 나무의 높이는 대략 15m로, 줄기의 나무껍질은 회백색을 띠고 있습니다. 특히 어린 가지와 겨울철에는 눈에 눌린 털이 많이 붙어 있습니다. 잎자루는 길이가 1~2cm 정도이며, 잎은 넓은 도란형으로 형태로 길이는 8~15cm, 폭은 4~11cm 사이입니다. 잎 양면에는 처음에 털이 있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차츰 없어집니다. 이 나무는 3~4월에 꽃이 핀다. 꽃은 종 모양이며 흰색을 띠고, 꽃받침과 꽃잎이 서로 구분되지 않으며, 길이는 7~8cm, 폭은 3~4cm 정도로 퍼져서 벌어지지 않고 나선상으로 배열됩니다. 열매는 7~10월에 적갈색으로 익는데, 길이는 12~15cm의 장타원형을 이루며,..

샤가스병 [내부링크]

샤가스병 개요 샤가스병은 크루스파동편모충(Trypanosoma cruzi) 감염에 의한 질환입니다. 개요-신고 대상 및 방법 신고범위 환자 신고를 위한 진단기준 환자: 샤가스병 감염이 의심되는 증상이 있거나 역학적으로 연관되어 있으면서 진단을 위한 검사기준에 따라 크루스파동편모충 감염이 확인된 사람이 해당됩니다. 진단을 위한 검사기준 검체(혈액)에서 파동편모형 원충(trypomastigote)을 확인합니다. 검체(혈액, 림프절, 골수)에서 현미경 검사로 무편모형 원충(amastigote)을 확인합니다. 검체(혈액)에서 특이 항체를 확인합니다. 신고시기 샤가스병 감염 확인 후 7일 이내 신고합니다. 신고 방법 표본감시기관은 해외 유입 기생충 감염증 신고서를 작성하여 관할 보건소로 팩스 또는 웹(http:/..

지루 피부염 [내부링크]

지루 피부염 개요-정의 지루피부염은 두피, 얼굴 및 상부 체간 등 피지의 분비가 많은 신체 부위에 국한하여 홍반과 인설을 특징으로 하는 만성 염증성 질환입니다. 비듬은 두피의 과다한 인설을 특징으로 하는 비염증성 상태로서, 지루피부염에 포함하기도 합니다. 개요-원인 지루피부염의 원인은 확실하지 않으나 피지의 과다분비, 호지성 진균인 말라세지아(Malassezia), 표피의 과다 증식, 세포성 면역 이상, 신경계 장애 등이 지목되고 있으며, 최근에는 피부 장벽 기능 이상도 거론되고 있습니다. 최근에 특히 3가지 요소, 피지샘에서 분비되는 피지가 말라세지아의 성장을 위한 기질로 사용되고 있는 것, 말라세지아가 피지를 대사시켜 자극성의 포화 지방산을 생산해 낸다는 것, 이 지방산에 대한 개인의 감수성에 차이가..

자목련, 자목련의 효능 [내부링크]

자목련 중국 원산의 자목련은 관상용으로 널리 심어지는 나무로, 공원, 정원, 유원지에서 자주 볼 수 있습니다. 이 나무는 낙엽 활엽수로 높이는 약 15m까지 자랍니다. 잎은 어긋나는 형태로 도란형이거나 넓은 도란형이며, 길이는 8~18cm, 폭은 4~10cm 정도입니다. 잎 끝은 안쪽으로 굽혀지며 뾰족하고 밑면은 뾰족한 모양을 가집니다. 뒷면은 연한 녹색을 띠고 있으며, 잎자루는 약 10~15cm 정도입니다. 4~5월에는 아름다운 자주색 꽃이 피는데, 종 모양을 하고 있습니다. 꽃받침잎은 3장으로 피침 형태이며, 길이는 약 3cm 정도이고 아래로 젖혀져 있습니다. 꽃잎은 6장으로 이뤄져 있으며, 길이는 약 10cm, 폭은 3~4cm 정도입니다. 겉면은 진한 자주색이며 안쪽은 연한 자주색으로 되어 있습니다..

함박꽃나무, 함박꽃나무의 효능 [내부링크]

함박꽃나무 함박꽃나무는 목련목 목련과에 속하는 관속식물로서, 전국의 산골짜기 숲에서 비교적 흔하게 발견되는 낙엽 작은큰 키나무입니다. 이 나무는 중국 북부와 일본에도 분포하며, 높이는 일반적으로 6~10m 정도입니다. 함박꽃나무의 나무껍질은 매끈하며 회백색을 띠지만 오래되면 겉에 사마귀 모양의 껍질눈이 많이 생기는 특징이 있습니다. 어린 가지는 회색빛을 띤 갈색이며 누운털이 있습니다. 꽃눈은 긴 타원 모양이며 가죽질을 가지고 있습니다. 잎은 어긋나는 형태를 가지며 타원형이거나 넓은 도란형을 띠며, 길이는 6~15cm 정도입니다. 잎의 끝은 급히 뾰족해지며 가장자리는 부드럽습니다. 잎의 뒷면은 회색빛이 도는 녹색이며 잎맥 위에 털이 있습니다. 잎자루의 길이는 1~2cm 정도입니다. 꽃은 5~6월에 잎이 나..

태산목, 태산목의 효능 [내부링크]

태산목 태산목은 주로 멕시코만 및 대서양 연안 등 북아메리카 동남부 원산지에서 발견되는 나무로, 공원이나 정원에서 장식적으로 심어 기르는 상록성 큰키나무입니다. 이 나무는 약 20m까지 자라며, 잎자루는 약 2~3cm 정도의 길이를 가지고 있습니다. 태산목의 잎은 길쭉한 타원형으로 형태를 가지며, 크기는 길이로는 10~23cm, 폭으로는 4~10cm 정도입니다. 잎은 비교적 두꺼우며 가죽질을 띠고 있습니다. 잎 가장자리는 부드럽고 밋밋하며, 양면에는 연한 갈색 털이 많이 붙어 있습니다. 이 나무의 꽃은 5~6월에 가지 끝에서 하나씩 피어나며, 지름은 15~25cm 정도이고 흰색입니다. 또한 향기가 나는데, 꽃받침잎과 꽃잎이 구분되지 않고 모두 9장으로 3줄씩 나타납니다. 열매는 9~10월에 익게 되며, ..

간흡충증 [내부링크]

개요 간흡충(Clonorchis sinensis) 감염에 의한 간 및 담도 기생충 질환이며, 제4급 감염병에 해당합니다. 개요-신고 대상 및 방법 - 신고범위 : 환자 - 신고를 위한 진단기준 • 환자 : 진단을 위한 검사기준에 따라 감염병 병원체 감염이 확인된 사람 - 진단을 위한 검사기준 • 검체(대변)에서 충란 및 충체 확인 - 신고시기 : 7일 이내 신고 - 신고 방법 : 표본감시기관은 기생충감염병 신고서를 작성하여 질병관리본부로 팩스 또는 웹(http://is.kdca.go.kr)의 방법으로 신고 * 표본감시 대상 의료기관 여부 확인: 관할 보건소로 문의 개요-원인 및 감염경로 간흡충에 감염된 사람 또는 야생동물의 대변을 통하여 충란이 하천에 유입되어 오염되면, 제1중간숙주인 담수산 패류에 섭취..

비자나무, 비자나무의 효능 [내부링크]

비자나무 비자나무는 주목목 주목과에 속하는 상록성 겉씨식물입니다. 이 나무는 산기슭이나 골짜기에서 주로 자라는 침엽 큰키나무로, 높이는 대략 25m에 지름은 2m 정도입니다. 줄기는 가지가 사방으로 퍼지며, 껍질은 회색빛을 띠는 갈색이며, 특히 큰 나무의 경우 껍질이 얇게 갈라져 떨어집니다. 어린 가지는 녹색이지만 3년 정도 지나면 갈색으로 변합니다. 비자나무의 잎은 줄 모양이며 가죽질이며, 끝이 뾰족하고 깃꼴 모양으로 2줄로 배열됩니다. 잎의 크기는 길이 25mm, 폭 3mm 정도이며 털이 없습니다. 잎의 표면은 짙은 녹색이고 뒷면은 갈색인데, 가운데에는 굵은 맥이 있고 가장자리는 녹색입니다. 대략 6~7년이 지나면 길이 3mm 정도의 잎자루는 떨어지게 됩니다. 비자나무는 암수딴그루로 구화수는 4~5월..

향나무, 향나무의 효능 [내부링크]

향나무 측백나무는 측백나무과에 속하는 상록성 겉씨식물로, 주로 산지의 햇볕이 잘 드는 암석 지역에서 자라는 나무입니다. 큰 나무로서 줄기의 높이는 약 20m에서 70cm 정도의 지름까지 자랄 수 있습니다. 줄기의 겉껍질은 적갈색이며 세로로 갈라져 보입니다. 이 나무는 어린 가지에는 바늘모양의 잎이 달리고 성숙한 개체에는 비늘모양의 잎이 달립니다. 바늘잎은 짙은 녹색을 띠며 마주나거나 돌려나갑니다. 잎은 4~6줄로 배열됩니다. 비늘잎은 가장자리가 흰색으로 둥글며, 끝이 둥글게 형성됩니다. 측백나무는 암수딴그루 혹은 간혹 암수한그루로 자라며, 구화수는 4월에 성숙합니다. 수구화수는 타원 모양으로 지난해 가지 끝에 연한 황색으로 달리며, 암구화수는 가지 끝이나 잎의 겨드랑이 부분에 길고 둥근 모양으로 달립니다..

편백, 편백의 효능 [내부링크]

편백 편백은 일본 원산으로 주로 산지에 조림용으로 심어지는 상록성 큰 나무입니다. 키는 보통 30~40m에 높이에 도달하며, 줄기 지름은 60cm까지 자랍니다. 가지는 갈라지고 수평으로 퍼져 있으며, 나무껍질은 흑갈색 또는 적갈색으로 세로로 벗겨집니다. 어린가지는 편평하고 아래로 내려갑니다. 잎은 난상 능형으로 끝이 둥글며, 뒷면에는 Y자 모양의 흰색 기공선이 특징입니다. 구화수는 4월에 가지 끝에 달려 있으며, 수구화수는 자갈색으로 타원형이며 길이는 약 3mm 정도입니다. 암구화수는 붉은 갈색으로 둥글며 지름은 약 1cm 정도입니다. 열매는 난형의 구과로 어린 가지 끝에 붙어 있으며, 10~11월에 광택이 있는 적갈색으로 익습니다. 실편은 8~10개이며, 씨는 납작한 원형이며 실편에 2개씩 붙어 있고 ..

개잎갈나무, 개잎갈나무의 효능 [내부링크]

개잎갈나무 개잎갈나무는 도로변이나 공원에 식재되는 상록성 바늘잎 큰키나무로, 높이는 최대 60m에 달하며 지름은 최대 3m까지 자라는 나무입니다. 나무껍질은 회갈색이며 얇게 벗겨지며, 굵은 가지는 수평으로 퍼지고 잔가지는 밑을 향하며 어린가지에는 털이 밀생합니다. 개잎갈나무의 잎은 긴 가지에서 방사상으로 달리며, 짧은 가지에서 15~20개가 다발을 이루는 형태입니다. 잎은 선형이며 길이는 2.5~5.0cm, 폭은 1.0~1.5mm 정도이며 어린 잎은 연한 녹색이지만 성장하면 진한 녹색으로 변하며 끝은 뾰족하고 단면은 삼각형 모양을 띠게 됩니다. 개잎갈나무의 꽃은 암수한그루로 구화수는 10~11월에 핀다. 수구화수는 곧게 자라며 원기둥 모양이고 길이는 약 3cm 정도로 노란 갈색을 띠고 있습니다. 암구화수..

잣나무, 잣나무의 효능 [내부링크]

잣나무 잣나무는 소나무목 소나무과에 속하는 상록성 겉씨식물로, 고도가 높은 산지의 능선부에서 주로 자라는 침엽 큰키나무입니다. 이 나무는 높이로는 약 20~30m, 지름으로는 약 1.5m 정도로 자랍니다. 줄기의 겉껍질은 흑갈색이며 오래되면 불규칙한 조각으로 떨어지는 특징이 있습니다. 어린 가지는 적갈색이며 흔히 황색 털이 빛납니다. 잣나무의 잎은 짧은 가지 끝에 5장씩 뭉쳐서 나타나며, 길이는 7~12mm 정도이고 바늘 모양을 가지며, 3개의 능선이 있습니다. 잎의 양면에는 흰색 기공선이 5~6줄씩 배치되어 있으며, 가장자리에는 잔 톱니가 있습니다. 잣나무는 암수한그루이며, 4~5월에 수분하는데 수구화수는 황색으로 새 가지 밑에 달리고, 암구화수는 연한 홍자색으로 새 가지 끝에 달립니다. 이 나무의 열..

급성호흡기바이러스감염증 [내부링크]

급성호흡기바이러스감염증 개요 급성호흡기감염증은 주로 바이러스나 세균에 의해 발생하지만, 면역이 심하게 떨어지면 드물게 진균(곰팡이)에 의해 발생할 수도 있습니다. 폐결핵은 감염 후 천천히 진행되고 증상도 서서히 나타나므로 급성이 아닌 만성호흡기감염으로 분류합니다. 아래의 표는 급성호흡기감염증을 흔히 일으키는 바이러스와 세균의 종류에 따라 잠복기(병원체에 감염된 후 증상이 나타나기까지의 기간)와 임상 증상을 비교한 것입니다. 병원체에 따라 잠복기가 각기 다릅니다. 임상 증상도 약간씩 다를 수 있지만, 대부분 증상이 비슷합니다. 따라서, 증상만으로 어떤 바이러스에 감염되었는지 구분하기 어렵습니다. 개요-정의 급성호흡기감염증은 크게 상부 호흡기감염과 하부 호흡기감염으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상부 호흡기감염증은..

결핵 [내부링크]

결핵 개요 결핵은 결핵균이 호흡기를 통해 감염되어 발병하는 질환입니다. 결핵은 발병하는 위치에 따라 폐에서 발병하는 폐결핵과 폐가 아닌 림프절, 위장관, 관절, 뇌 수막, 비뇨 생식기 등 다양한 신체기관에서 발병하는 폐외결핵으로 나뉩니다. 개요-신고 대상 및 방법 결핵균이 검출되어 결핵으로 진단되거나 결핵균이 검출되지는 않았지만 임상 증상이나 영상 검사에서 결핵 의사(擬似, 유사) 환자로 진단되는 경우, '감염병의 예방 및 관리에 관한 법률'과 '결핵 예방법'에 따라 의료진과 의료 기관은 신고서를 작성하여 팩스나 웹으로 관할 보건소장에게 신고하게 됩니다. 개요-원인 및 감염경로 결핵균은 항산균의 일종으로, 주로 치료를 받지 않은 활동 폐결핵 환자의 기침, 재채기, 말할 때 나오는 미세한 침방울에 섞여 있..

감기 예방과 치료 [내부링크]

감기 예방과 치료 개요 - 감기는 다양한 바이러스에 의해 생기는 급성 상기도(비강부터 후두까지의 부위) 감염으로 가장 흔한 급성기 질환입니다. - 감기의 원인인 바이러스를 치료할 효과적인 항바이러스제가 없으므로 증상 완화가 치료의 목적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증상에 특이적인 약물을 투여해야 하며, 동반 질환과 복용 중인 약물을 고려해야 합니다. - 감기를 예방하기 위해선 규칙적인 손 씻기와 마스크 착용과 같은 개인위생 관리가 중요합니다. 개요-정의 감기(급성 비인두염)는 바이러스에 의해 코, 비강, 인후, 후두 등에 생기는 급성 상기도 감염으로 급성 비인후염, 급성 부비동염, 급성 인후염, 급성 편도염, 급성 후두염 및 후두개염 등을 모두 포함하는 가장 흔한 급성기 질환입니다. * 상기도는 비강부터 후두까..

세계화의 종말과 새로운 시작 서평 [내부링크]

최신 책인 '세계화의 종말과 새로운 시작'은 마크 레빈슨과 최준영의 협력으로 집필된 작품으로, 저자가 이전에 출간한 '더 박스(컨테이너)'와 같은 저자입니다. 이 책은 경제적인 측면에서 세계화와 우리나라의 경제 발전을 분석하며, 지난 수 세기 동안의 경제 정책 변화와 이에 따른 영향을 탐구합니다. 이 책은 엠마 머스크 호의 이야기로 시작하여 18세기부터 현대로 이어지는 세계화의 발전과정을 다룹니다. 중요한 경제학자인 데이비드 리카르도의 비교 우위 이론을 통해 영국과 유럽 국가들 사이의 자유 무역 시대가 열렸으며, 이는 1차 세계화를 초래하게 됩니다. 그러나 1차 세계 대전과 2차 세계 대전으로 인해 세계화의 흐름은 중단되었습니다. 그 후 브레튼 우즈 체제의 등장으로 2차 세계화의 전반기가 시작되었고, 컨..

곰솔, 곰솔의 효능 [내부링크]

곰솔 곰솔은 소나무목 소나무과에 속하는 상록성 겉씨식물로, 주로 해안가의 산기슭에서 자라는 침엽 큰키나무입니다. 나무의 높이는 대략 35m에 지름은 2m 정도이며, 줄기의 겉껍질은 흑갈색으로 나타납니다. 곰솔의 잎은 바늘 모양을 가지고 끝이 뾰족하며 2개씩 뭉쳐 나타납니다. 이 잎들은 짙은 녹색을 띠며 길이는 약 9~14cm, 폭은 1.5mm 정도입니다. 나무는 암수한그루이며 수분기는 4~5월에 나타납니다. 수구화수는 원통형으로 황색을 띠며, 암구화수는 달걀 모양을 가지며 자색으로 빛납니다. 곰솔의 열매는 달걀 모양의 구과로 형성되며 길이는 약 4~7cm이며, 작은 조각들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씨는 달걀 모양이나 타원 모양을 가지며 길이는 7~8mm로, 자흑색이며 날개가 있습니다. 곰솔은 소나무와 비교했..

소나무, 소나무의 효능 [내부링크]

소나무 소나무는 소나무목 소나무과에 속하는 상록성의 겉씨식물로, 햇볕이 잘 들고 건조한 산지의 능선과 사면에서 자라는 침엽 큰키나무입니다. 나무의 높이는 대략 35m에 지름은 1.8m 정도이며, 겉껍질은 위쪽은 적갈색이고 아래쪽은 암적색으로 나타납니다. 소나무의 잎은 2장씩 뭉쳐 나타나며, 바늘 모양을 가지고 끝이 뾰족합니다. 잎의 길이는 약 8~9cm, 폭은 1.5mm이며, 단면은 반달 모양을 띠고 있습니다. 이 잎들은 2년이 지나면 떨어지게 됩니다. 나무의 암수한그루이며, 구화수는 3~5월에 나타나며, 수구화수는 새로 나온 가지 밑부분에 달려 있으며 타원 모양을 가지고 노란색으로 빛납니다. 암구화수는 가지 끝에 달려 있으며 달걀 모양을 가지고 진한 자주색을 띠며 일반적으로 수구화수 위쪽에 1~4개씩 ..

백송, 백송의 효능 [내부링크]

백송 백송은 정원이나 공원에 관상용으로 심어 기르는 상록성 바늘잎 큰키나무의 한 종류입니다. 이 나무는 높이 약 25~30m 정도로 자라며, 나무껍질은 회백색이며 비늘 모양으로 벗겨집니다. 어린 가지에는 털이 없습니다. 백송의 잎은 3개씩 모여 나타나며, 바늘 모양을 띠고 길이는 약 5~10cm, 폭은 0.5~2.0mm 정도입니다. 잎은 양면 모두 진한 녹색을 띠며 공기구멍선이 있으며, 단면은 삼각상 부채 모양입니다. 비늘잎집은 잎이 나오자마자 떨어지게 됩니다. 백송은 암수한그루이며, 4~5월에 수분합니다. 수구화수는 장타원형이고 암구화수는 난형입니다. 나무의 열매는 구과로 형성되며 난형을 띠며, 이듬해 10~11월에 황갈색으로 익습니다. 열매의 길이는 약 5~7cm, 폭은 4~6cm 정도이며, 50~6..

독일가문비나무, 독일가문비나무의 효능 [내부링크]

독일가문비나무 독일가문비나무는 소나무목 소나무과에 속하는 상록성의 겉씨식물입니다. 이 나무는 관상용으로 심어 기를 때 많이 사용되는 침엽 나무로, 높이는 최대 50m에 달할 수 있습니다. 나무의 수피는 적갈색이며 가지는 옆으로 넓게 퍼지며, 햇가지는 아래로 처진 형태를 띠고 있습니다. 독일가문비나무의 잎은 바늘 모양을 가지며, 단면은 사각형 모양을 띠고 있습니다. 잎의 길이는 대략 1~2cm 정도이며, 끝이 뾰족하고 짙은 녹색을 띠며 윤기가 돌고 있습니다. 구화수는 5월에 암수한 그루로 달립니다. 수구화수는 원통형이며 갈색을 띠고 있으며, 암구화수는 장타원형 모양을 띱니다. 열매는 구과로 형성되며 원통형을 가지고 있으며 처음에는 아래쪽을 향하고 있지만 익으면서 연한 갈색으로 변합니다. 이 나무의 목재는 ..

가문비나무, 가문비나무의 효능 [내부링크]

가문비나무 가문비나무는 소나무과에 속하는 상록성의 겉씨식물입니다. 이 나무는 햇볕이 잘 드는 산의 능선이나 높은 고도의 사면에 주로 자라는 침엽 나무로, 높이는 약 40m에 지름 1m 정도로 자라납니다. 나무의 수형은 원뿔 모양을 가지며, 겉껍질은 비늘 모양으로 벗겨집니다. 어린 가지는 털이 없고 누른 빛이 돌아갑니다. 가문비나무의 잎은 선형 모양으로 길이는 약 2cm 정도이며, 끝이 뾰족하고 편평한 형태를 띱니다. 잎의 앞면 가운데 잎줄 양쪽에 흰색 기공선이 존재하며, 잎의 뒷면은 가운데 잎줄이 돌출되고 가장자리와의 사이에 작은 구멍이 있습니다. 이 나무의 꽃은 암수한 그루로 피는데, 작년 가지 끝에서 원통 모양이며 황갈색으로 특징 지닙니다. 암구화수는 타원 모양이며 연한 자주색을 띠고 있습니다. 열매..

소철, 소철의 효능 [내부링크]

소철 소철목은 소철과에 속하는 겉씨식물입니다. 이 나무는 주로 공원이나 정원에서 조경수로 식재되며, 상록성인 떨기나무로서 높이는 1~4m, 지름은 20~30cm 정도입니다. 줄기의 껍질은 잎자국으로 둘러싸여 자랍니다. 소철목의 잎은 줄기의 끝 부분에 모여서 달리며, 1회 깃꼴겹잎 구조를 가지고 있습니다. 작은 잎은 선형 모양이며, 길이는 8~20cm, 폭은 5~8cm 정도이며, 가장자리는 밋밋하게 나타나며 약간 뒤로 말린 모습을 보입니다. 꽃은 주로 6~8월에 피는데, 수꽃차례는 줄기 끝에 곧게 서서 원기둥 모양을 이룹니다. 길이는 50~60cm, 폭은 10~13cm 정도이며, 비늘조각으로 둘러싸여 있으며 그 안에 수술대가 없는 꽃밥이 붙어 있습니다. 암꽃차례는 원줄기 끝에 둥글게 모여 달리며, 자루에 ..

분비나무, 분비나무의 효능 [내부링크]

분비나무 분비나무는 해발 700~2,500m의 고산이나 고원 지역에서 주로 자라는 상록성 침엽 나무로, 높이는 대체로 25m, 지름은 75cm 정도입니다. 주요 특징은 다음과 같습니다: 줄기와 가지: 분비나무의 줄기 껍질은 갈라지지 않고 황갈색이며, 어린 가지에는 갈색 털이 있습니다. 가지는 비교적 가늘며 수평적으로 퍼져 나옵니다. 겨울에는 난상 원형의 다갈색 겨울눈이 형성되며, 털이 없고 약간의 수지가 묻습니다.잎은 선형으로 어린 가지의 잎은 끝이 갈라지며 길이는 약 40mm, 폭은 1.8mm입니다. 하지만 열매가 달린 가지의 잎은 끝이 뾰족하며 길이는 15~28mm, 폭은 1.5~1.8mm입니다. 잎의 뒷면은 백색입니다.분비나무는 4~5월에 수분하며 암수한그루로 꽃을 피웁니다. 수구화수는 잎의 겨드랑..

전나무, 전나무의 효능 [내부링크]

전나무 전나무는 소나무목 소나무과에 속하는 상록성의 겉씨식물입니다. 이 나무는 비교적 높은 산지의 숲이나 능선 부분에서 주로 자라며, 높이는 최대 40m에 달하며 지름은 1.5m 정도입니다. 전나무의 줄기껍질은 흑갈색이며 거칠고, 특이한 홈이 있는 회백색의 얕은 무늬가 있습니다. 이 나무의 잎은 선형으로 형성되며 길이는 약 4cm, 폭은 2mm 정도이며, 뾰족한 끝이 특징입니다. 잎의 뒷면 중앙에는 하얀 기공선이 양쪽으로 뻗어있습니다. 전나무는 4월부터 5월에 수분하며, 수구화수는 황록색을 띠며 원통 모양으로 길이가 15mm 정도입니다. 또한 2년차 잎겨드랑이에 달립니다. 암구화수는 타원 모양으로 길이 약 3.5cm이며, 연한 녹색을 띠고 2년차 가지에 달립니다. 열매는 구과로 원통 모양이며 끝이 뾰족하..

금송, 금송의 효능 [내부링크]

금송 금송은 주로 공원이나 화단에 심어서 기르는 상록성 바늘잎 나무로서, 줄기는 직립하며 높이가 10~30m 정도입니다. 이 나무의 특징은 바늘 모양의 잎을 가진다는 것인데, 바늘잎은 두 개씩 묶여서 15~40쌍 정도가 밀집하게 나타납니다. 이 잎은 양면에 홈이 파여있으며 황금색을 띠고 있어서 시각적으로 독특한 빛깔을 지니고 있습니다. 금송의 꽃은 3~4월 사이에 암수딴그루로 피게 되며, 수구화수는 가지의 아래쪽에 둥글게 달려있고 암구화수는 가지 끝에 타원형으로 달립니다. 이 꽃들은 화려하거나 특별한 향기는 없지만 나무 자체의 미를 더욱 돋보이게 합니다. 열매는 구과로 원뿔 모양이며 다음해 10~11월에 익게 됩니다. 씨는 타원형이며 흑갈색을 띠고 있고, 날개 모양의 부분이 있습니다. 금송은 주로 일본 ..

신갈나무, 신갈나무의 효능 [내부링크]

신갈나무 참나무목은 참나무과에 속하는 관속식물입니다. 이 식물은 해발고도 100~1,800m의 산 중턱에서 주로 자라며 낙엽 활엽수로 분류됩니다. 큰 키를 가진 나무로, 줄기는 곧게 자라서 30m까지 도달하며 때로는 밑에서 여러 개의 줄기가 동시에 자랄 수도 있습니다. 이 나무의 잎은 서로 엇갈려 배치되며, 길이는 7~20cm, 폭은 6~12cm로 도란형 모양을 가지며, 끝은 다소 둥글고, 잎자루는 짧아서 잎 아래쪽이 줄기를 감싸는 듯한 모양을 띕니다. 잎의 앞뒷면에는 털이 없습니다. 또한 3~17쌍의 물결 모양 톱니가 잎 가장자리에 나타납니다. 이 나무는 4~5월에 암꽃과 수꽃이 같은 나무에서 서로 다른 꽃차례로 무리 지어 피는데, 수꽃 꽃차례는 길게 늘어지고, 암꽃 꽃차례는 더 짧습니다. 열매는 도토..

메타세쿼이아, 메타세쿼이아의 효능 [내부링크]

메타세쿼이아 메타세쿼이아는 측백나무목 측백나무과에 속하는 낙엽성 겉씨식물로서 큰 크기의 나무입니다. 이 나무는 높이 35~50m에 이르며 지름은 2.0~2.5m 정도로 자랍니다. 가지들은 일반적으로 서로 마주하면서 옆으로 퍼져 피라미드 모양을 이루는 경향이 있습니다. 나무껍질은 주로 적갈색이지만 오래된 나무는 회갈색으로 변하며, 세로로 얕게 갈라져 벗겨집니다. 어린 가지들은 서로 마주하며 아래로 내려갑니다. 새로운 가지는 처음에는 녹색이지만 점차 갈색으로 변합니다. 메타세쿼이아의 잎은 서로 마주하면서 선형적인 형태로 나타나며, 길이는 3~7cm, 폭은 1.5~4.0cm 정도입니다. 잎은 깃꼴 모양으로 배열되며, 뒷면 중심을 따라 4~6줄의 기공이 나타납니다. 잎자루의 밑부분에는 관절이 존재합니다. 이 나..

측백나무, 측백나무의 효능 [내부링크]

측백나무 측백나무는 상록성 겉씨식물로서 측백나무과에 속합니다. 이 나무는 주로 석회암 지대나 퇴적암 지대의 절벽에서 자라는데, 주로 침엽수로 분류되며 높이는 대략 25m에 달하고 지름은 1m 정도에 이릅니다. 원뿔 모양의 수형을 가지고 있습니다. 나무껍질은 주로 적갈색 또는 회갈색으로 나타나며 세로 방향으로 가늘고 길게 갈라져 벗겨집니다. 어린 가지는 녹색이며 납작한 모양이며 수직 방향으로 자랍니다. 잎은 비늘 모양을 하며 종 모양이거나 X자 모양으로 겹겹이 배열되며 폭이 주로 2~2.5mm 정도입니다. 잎의 뒷면에는 작은 줄이 흐르는 것이 특징입니다. 꽃은 암수한그루로 3~4월에 가지 끝에 피게 되며, 수구화수는 길이 2~2.5mm 정도의 타원형이고 갈색을 띤 노란색을 띠며 비늘조각으로 이루어져 있습니..

토끼풀, 토끼풀의 효능 [내부링크]

토끼풀 토끼풀은 학명으로 Trifolium repens L.라 불리며, 유럽 원산으로 시작되어 처음에는 목초로 재배되었지만, 현재는 야생에서 널리 자라고 있습니다. 줄기는 지면으로 뻗어나가면서 엽병이 긴 잎이 생기고, 마디에서 뿌리가 내려갑니다. 이 식물의 잎은 어긋나며 3개의 소엽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각각의 소엽은 도란형에서 도심장형이며, 끝이 둥글거나 다소 파지며, 밑은 뾰족하며 소엽의 가장자리에는 잔 톱니가 있습니다. 탁엽은 난상피침형으로 끝이 뾰족하게 끝나는 특징이 있습니다. 67월에는 길이 약 2030 정도의 화경이 자라고, 이 화경의 끝에는 많은 꽃이 산상(산모양의 배열)으로 달립니다. 꽃은 흰색이며 약 9 정도의 길이를 가지며, 기판(빛나는 부분)은 마른 후에도 떨어지지 않고 갈색으로..

닭의장풀, 닭의장풀의 효능 [내부링크]

닭의장풀 닭의 장풀은 높이가 15~50cm에 이르는 한해살이풀로, 아래쪽으로 비스듬히 자라는 특징이 있습니다. 잎은 어긋나며 달걀 모양의 피침형을 띠며 길이는 5~7cm, 폭은 1~2.5cm로 다양한 모양의 잎이 자랍니다. 잎의 밑부분에서 뿌리가 내려가며, 마디는 굵게 형성되며 막질로 되어 있습니다. 잎에는 약간의 털이 뒷면에 존재할 수 있습니다. 잎집은 입구에 긴 털이 있으며 약간 두꺼워서 질이 연하게 느껴집니다. 꽃은 잎의 겨드랑이에서 나온 꽃줄기 끝에 포에 싸여 하늘색 꽃이 피는데, 포는 넓은 심장형으로 안으로 접히고 끝이 갑자기 뾰족해지는 특징이 있습니다. 이 꽃은 길이가 약 2cm로 겉에 털이 있거나 없을 수 있습니다. 꽃의 외화피는 3개로 이루어져 있으며 무색이며 막질로 되어 있습니다. 반면에..

은행나무, 은행나무의 효능 [내부링크]

은행나무 은행나무는 겉씨식물로 분류되는 나무로, 은행나무과에 속합니다. 중국 저장성을 원산지로 하며, 가로수나 정원수 등으로 식재되는 낙엽 큰키나무입니다. 높이는 60m, 지름은 4m 정도까지 자랄 수 있습니다. 나무껍질은 회색으로 두꺼우며 코르크질이 생기는데 균열이 생길 수 있습니다. 은행나무의 잎은 부채꼴 모양이며 중앙에서 2개로 갈라지는데, 일부는 갈라지지 않는 것이 있고, 2개 이상으로 갈라지는 잎도 있습니다. 긴 가지에 달리는 잎은 뭉쳐 나오며, 짧은 가지에서는 모여납니다. 은행나무는 4월에 수분하며 생식기는 잎이 핌과 동시에 짧은 가지에서 성숙합니다. 수꽃은 꼬리 모양의 원주형으로 길이는 1~2cm, 연한 황록색을 띠고 있습니다. 은행나무의 열매는 타원형 또는 난형이며, 길이는 2~3.5cm입..

뽕나무, 뽕나무의 효능 [내부링크]

뽕나무 단풍나무는 겨울에 잎이 떨어지는 큰키나무로, 주로 누에를 치기 위해 심어 기른 나무입니다. 잎은 어긋나고 달걀 모양이며 끝이 뾰족하고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으며 부드러운 털이 있어서 모양의 변이가 많습니다. 한 가지에서도 서로 다른 모양의 잎이 자랍니다. 잎을 따면 흰 즙이 나오는 특징이 있습니다. 봄에는 암수딴그루로 5~6월에 꽃이 피는데, 어린 가지의 잎겨드랑이에 꽃이 늘어서 달립니다. 수꽃은 길이가 4~7cm 정도이고 암꽃은 0.5~1cm 정도입니다. 이후 5~6월에 타원형의 열매가 형성되며 검게 익습니다. 이 열매를 오디라고 하며, 맛이 달고 부드러우며 잼으로도 만들어 먹을 수 있습니다. 뽕나무의 효능 뽕나무는 '오디' 또는 '멀베리'로 불리며 맛이 달달합니다. 이 열매는 일반 식용재료뿐만 ..

떡갈나무, 떡갈나무의 효능 [내부링크]

떡갈나무 떡갈나무는 참나무과 참나무속에 속하는 갈잎큰키나무의 일종으로, 주로 아시아, 아프리카, 중국, 일본, 한국, 몽골, 하바롭스크 지방에서 자생합니다. 성장하면 20m에서 25m까지 높이에 도달하며, 열매로 알려진 도토리는 식용으로도 쓰입니다. 떡갈나무의 주요 특징은 다음과 같습니다: 잎: 1cm에서 1.5cm 크기의 잔털로 덮인 잎자루에 크고 큰 잎이 형성되며 여러 장의 잎이 모여 난다는 특징이 있습니다. 떡갈나무는 참나무속의 나무 중 잎의 크기가 가장 큰 편에 속하며, 가을에는 아름다운 빨간색 잎으로 물들어 경치를 아름답게 연출합니다. 줄기: 떡갈나무의 줄기에는 특유의 그물 모양의 홈이 패인 나무거죽이 형성됩니다. 계절에 따라 생장속도가 변화하며 나이테를 형성합니다. 꽃: 5월에 초록색의 꽃을 ..

주목나무, 주목나무의 효능 [내부링크]

주목나무 주목나무는 주로 고산지대에서 서식하는 대형 수종이며, 저지대에서도 잘 적응합니다. 주로 관상수로 기르며, 한국에서는 작은 사이즈로 가지치기하여 아파트 담장에 심기도 합니다. 일반적으로 높이는 17m, 지름은 1m에 달하며, 가지가 사방으로 퍼집니다. 큰 가지와 원대는 홍갈색이며 껍질이 얕게 띠 모양으로 벗겨집니다. 주목나무는 매우 오래 살며 '살아 천년, 죽어 천년'이라는 속담이 있을 정도로 장수하는 나무로, 한국에서도 가장 나이가 많은 나무로 알려져 있습니다. 그만큼 성장 속도가 느립니다. 주목나무의 꽃말은 고상함, 비애, 명예, 죽음입니다. 주목나무는 씨앗이나 삽목으로 번식하는데, 삽목을 하면 관목으로 자라나는 특성이 있습니다. 주목나무의 효능 한국산 주목나무는 항암물질인 택솔을 대량으로 증..

느릅나무, 느릅나무의 효능 [내부링크]

느릅나무 느릅나무는 쌍떡잎식물 쐐기풀목 느릅나무과에 속하는 낙엽활엽 교목으로, 춘유(春楡) 또는 가유(家楡)라고도 불립니다. 주로 한국, 일본, 사할린, 쿠릴 열도, 중국 북부, 동시베리아 등 지역에서 발견됩니다. 높이는 보통 20m 정도이며 지름은 약 60cm입니다. 나무 껍질은 회갈색이며 작은 가지에 적갈색의 짧은 털이 있습니다. 봄에는 어린 잎이 식용으로 먹히며, 한방에서는 껍질을 유피(楡皮)라는 약재로 사용합니다. 이뇨제와 소종독에 사용되며 치습(治濕) 효과도 있습니다. 또한 목재는 건축재, 기구재, 선박재, 세공재, 땔감 등에 이용되어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됩니다. 느릅나무의 잎은 어긋나고 넓은 달걀을 거꾸로 세운 모양이거나 타원 모양을 가지며, 끝이 갑자기 뾰족해지고 잎 가장자리에 겹톱니가 있습..

복자기나무, 복자기나무의 효능 [내부링크]

복자기나무 복자기나무(목자기나무)는 우리나라 남쪽 지방에서 자생하는 단풍나무과에 속하는 나무입니다. 이 나무는 다른 단풍나무들에 비해 단풍이 빠르고 색상이 매우 화려하며, 나무껍질이 잘 벗겨진다는 특징이 있습니다. 복자기나무의 꽃은 4월부터 5월에 노란색으로 피는데, 암수꽃이 동시에 피어서 잡식성 꽃이라고 합니다. 또한 잎은 줄기에서 마주나고, 작은 잎이 3개씩 달려 있어 다른 단풍나무에 비해 쉽게 구별할 수 있습니다. 어린 줄기는 붉은색을 띠고 있으며, 껍질은 회배색입니다. 특히 껍질이 잘 벗겨지는 특성 때문에 목재로 많이 사용되며, 가구나 합판을 만들 때에도 널리 활용됩니다. 복자기나무는 가정에서도 재배가 가능하며, 열매는 6월부터 7월에 수확할 수 있습니다. 복자기나무의 종자를 심으면 발아율이 26..

중국단풍, 중국단풍의 효능 [내부링크]

중국단풍 중국단풍나무(Acer buergerianum)는 주로 중국 원산지이며 관상용으로도 많이 심기도 하는 낙엽교목입니다. 한반도의 여러 지역에서 흔하게 자라며, 일반적으로 높이는 8~12m 정도입니다. 중국단풍나무의 잎은 손바닥 모양을 가지고 있으며 밑 부분이 둥글고 가장자리가 거의 부드럽습니다. 잎의 끝은 3개로 갈라지며, 갈라진 조각들은 3각형으로 서로 간격이 약 120도로 배치됩니다. 어린 잎은 연한 붉은색을 띠고 있으나 시간이 지남에 따라 초록색으로 변합니다. 성장한 잎의 표면은 짙은 녹색이며 광택이 있고, 뒷면은 연한 녹색 또는 잿빛이 도는 흰색을 띠며, 잎 밑 부분에서 3개의 주요 맥이 발달하고, 잎자루의 길이는 잎과 비슷합니다. 4월 초에 잎눈이 관찰되기 시작하며 4월 말에는 연한 황색의..

리기다소나무, 리기다소나무의 효능 [내부링크]

리기다소나무 리기다 소나무(Rigida Pine)는 소나무과에 속하는 상록성 겉씨식물로, 주로 조림을 위해 식재하는 침엽 큰키나무입니다. 높이는 25~30m에 달하며 지름은 1m 정도입니다. 가지가 넓게 퍼지고, 햇가지는 매해 2~3개씩 곁가지를 치며 자랍니다. 나무껍질은 붉은 갈색으로 깊게 터지는 특징을 갖고 있습니다. 바늘잎은 3개씩 모여나고, 길이는 7~14cm, 폭은 2mm 정도로 비틀어집니다. 잎은 가지 아래까지 난다는 특징이 있습니다. 수분기는 5월에 도래하며, 수구화수는 긴 원주형이며 황록색을 띱니다. 암구화수는 난형으로 연한 자주색이며 새가지 끝에 달립니다. 리기다 소나무의 열매는 구과로 햇가지의 옆면에 3~5개씩 달리며, 난형으로 길이는 6~8cm, 폭은 4~5cm 정도이며 9~10월에 ..

'더 나은 웹 개발을 위한 가이드' 서평 [내부링크]

직업이 개발자이며 최근 웹 개발에 대한 지식을 쌓기 위해 읽은 책에 대한 서평입니다. 이 책은 웹 개발에 필요한 기본적인 내용부터 몰랐던 부분까지 포괄적으로 다루고 있어서 개발자로서 매우 유익한 책 이였습니다. 웹 개발의 전반적인 단계를 정보수집부터 배포 및 운영까지 세세하게 설명하고 각 단계에 필요한 기술들을 자세하게 다루고 있습니다. 특히, 설명이 직관적이고 간결하여 쉽게 읽을 수 있었습니다. 각 단계에 대한 예시 이미지가 포함되어 있어서 이해하기 더욱 수월했습니다. 책에서는 HTML 개발을 위해 다양한 기술과 최적화 방법을 소개하고 있습니다. 브라우저에 따른 렌더링 최적화, 캐시를 이용한 페이지 속도 향상, CSS 최적화 등 사용자에게 더 나은 경험을 제공하기 위한 기술들을 상세히 다루고 있습니다...

스트로브잣나무, 스트로브잣나무의 효능 [내부링크]

스트로브잣나무 스트로브잣나무는 상록 바늘잎 큰키나무로서 공원이나 산지에 심어서 기르는 나무입니다. 원산지는 북아메리카 동부로 해발 1,500m 이하의 산지에서 주로 자랍니다. 줄기는 곧고, 높이는 약 67m, 지름은 약 1.8m 정도로 자랍니다. 늙으면 나무껍질은 깊게 갈라지며 회갈색을 띠고 있습니다. 가지는 규칙적으로 돌려납니다. 바늘잎은 5개씩 모여있고 길이는 6~10cm, 폭은 0.7~1mm입니다. 끝이 뾰족하지만 부드럽고 2~3년 동안 달려 있습니다. 구과는 좁은 통 모양으로 길이는 8~15cm, 폭은 4cm, 밑으로 처지며, 이듬해 8월에 익습니다. 씨는 난형이며 길이는 5mm, 폭은 4mm, 두께는 3.6mm 정도이고 날개의 길이는 18~20mm입니다. 스트로브잣나무는 우리나라 각지에서 조경수..

구상나무, 구상나무의 효능 [내부링크]

구상나무 구상나무(학명: Abies koreana, Korean fir)는 소나무과에 속하는 나무로, 대한민국의 산지에만 자생하는 고유종입니다. 주로 제주도를 포함한 남부 지역의 높은 산에서 자라며, 높이는 보통 10~15m 정도입니다. 늘푸른 바늘잎과 아름다운 수형이 특징으로, 관상수로 심기도 하고 특별한 자연경관을 연출하는데 사용됩니다. 구상나무의 바늘잎은 짧고 끝이 살짝 갈라져 오목하게 패고 있으며, 뒷면에는 숨구멍줄 2개가 있습니다. 6월에는 수꽃이 1cm 길이의 타원형으로 5~10개의 황갈색 꽃이 피고, 9월에는 원통 모양의 녹갈색 또는 자갈색 솔방울 모양의 열매가 하늘을 향해 곧게 선다. 구상나무는 특히 장식용으로 많이 사용되며, 크리스마스 트리로도 널리 알려져 있습니다. 하지만 현재는 멸종 ..

드룹나무, 드룹나무의 효능 [내부링크]

드룹나무 드룹나무, 또는 두릅나무(Aralia elata)는 한국·일본·중국 등지에 분포하는 낙엽활엽 관목으로, 주로 산기슭의 양지쪽이나 골짜기에서 자랍니다. 두릅나무는 향약본초에 지두을호읍으로 기록된 데서, 또는 목두채에서 둘훕이 유래되었고 이것이 두릅으로 변했다는 기록이 있습니다. 동의보감 탕액편에는 둘옵

가죽나무, 가죽나무의 효능 [내부링크]

가죽나무 가죽나무는 낙엽활엽교목으로 크기가 중간 정도인 나무입니다. 높이는 약 20m에 이르며, 수피는 회갈색이고 소지는 황갈색 또는 적갈색으로, 일부 가지에는 털이 있을 수 있습니다. 잎은 어긋나고, 13~25장의 작은잎으로 이루어진 깃꼴겹잎으로 길이는 약 60~80cm입니다. 작은잎은 넓은 피침상 난형으로, 길이는 약 7~13cm, 폭은 5cm이며, 끝이 점첨되거나 원저 모양입니다. 잎의 표면은 진한 녹색이며, 뒷면은 연한 녹색이고 털이 없습니다. 꽃은 6월에 핀다고 하며, 원추화서 형태로 가지 끝에 달리며 길이는 10~30cm 정도입니다. 꽃은 자웅이가화로서 지름이 약 7~8mm이고, 녹색이 도는 백색으로 개화합니다. 꽃받침은 5개로 갈라지며, 5개의 꽃잎은 끝이 안으로 꼬부라지고, 수술은 10개이..

복숭아나무, 복숭아나무의 효능 [내부링크]

복숭아나무 복숭아나무는 낙엽 소교목으로 높이가 약 6m 정도인 나무입니다. 소지에는 털이 없고 동아(가지의 옆면)에는 털이 있습니다. 잎은 호생하며 피침형으로 길이는 8∼15cm 정도이며 가장자리에는 둔한 잔톱니가 있습니다. 복숭아나무는 4∼5월에 꽃이 피고 지름이 약 3cm 정도인 연한 홍색 꽃이 1∼2개씩 달립니다. 화병은 짧게 형성됩니다. 핵과는 난상 원형이며 털이 많고 지름은 약 5cm 정도이며 7∼9월에 익습니다. 이 나무는 6~8월 경에 수확하여 양건합니다. 재배환경으로는 기후가 온난하고 배수가 잘되며 토심이 깊은 곳이 적합하며, 주로 과수로에서 재배됩니다. 복숭아나무는 매년 다양한 지리적 지역에서 재배되며, 그 맛과 향으로 많은 사람들에게 사랑받는 과일 중 하나입니다. 복숭아나무의 효능 소화..

대왕참나무, 대왕참나무의 효능 [내부링크]

대왕참나무 대왕참나무는 북미 원산의 낙엽 활엽 큰키나무로, 높이가 25m까지 자라는 나무입니다. 어린 줄기는 적갈색이며, 성장한 나무의 수피는 회색으로 매끈하고, 오래되면 터지는 현상이 발생합니다. 잎은 어긋나고 도란 형태이며, 길이는 8-20cm, 너비는 7-10cm 정도입니다. 잎의 가장자리는 깊게 파인 3-7개의 갈퀴와 10-30개의 까락으로 특징지어집니다. 뒷면은 녹색이고 털이 있거나 없으며, 앞면은 짙은 녹색을 띠고 있습니다. 잎자루의 길이는 2.5-5.0cm 정도입니다. 꽃은 4-5월에 꼬리모양꽃차례로 피는데, 암꽃차례는 수직으로 늘어서고, 수꽃차례는 아래로 늘어지는 형태를 보입니다. 열매는 다음 해 9월에 익으며, 세로로 검은색과 갈색이 섞인 줄무늬가 있는 납작한 구형으로 형성됩니다. 열매의..

라일락, 라일락의 효능 [내부링크]

라일락 라일락은 현삼목 물푸레나무과에 속하는 관속식물로, 우리나라와 유럽 동부를 비롯한 다양한 지역에서 발견되는 낙엽 관목입니다. 주로 정원이나 공원에서 장식용으로 심어지며 아름다운 꽃과 향기로움으로 사랑받는 식물입니다. 주요 특징은 다음과 같습니다: 생길이: 라일락은 높이가 3~7m로 크지 않으며 가지가 갈라지는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잎: 잎은 마주나며 난형 또는 난상 타원형으로 길이는 6~12cm, 폭은 5~8cm 정도입니다. 가장자리는 보통 매끄럽습니다. 잎밑면은 보통 둥글거나 드물게 넓은 쐐기 모양이거나 얕은 심장 모양입니다. 꽃: 라일락은 4~5월에 꽃이 피며 묵은 가지에서 원추꽃차례에 피고, 지름은 8~12mm 정도입니다. 꽃은 주로 보라색 또는 연한 보라색을 띠고, 향기가 진하게 나는데 ..

이팝나무, 이팝나무의 효능 [내부링크]

이팝나무 이팝나무는 주로 중국, 한국, 일본 등 동아시아 지역에서 자라는 나무로서 대형 활엽수로 분류됩니다. 높이는 평균적으로 20 미터에 달하며 가지는 회갈색이며 어릴 때 잔털이 약간 있습니다. 잎은 마주나고 넓은 난형 또는 타원형이며 양 끝이 뾰족합니다. 표면은 주맥에 흔히 털이 있고 뒷면의 주맥과 밑부분에 연한 갈색 털이 있으며 가장자리가 밋밋하거나 어린 나무의 경우 겹톱니가 있습니다. 꽃은 주로 5~6월에 피며 흰색으로 원뿔모양의 취산꽃차례로 달립니다. 꽃받침은 4개로 깊게 갈라지고, 꽃잎은 밑부분이 합쳐지며 꽃받침보다 길게 늘어납니다. 수술은 2개, 암술은 1개이며 열매는 타원형으로 9~10월에 검게 익습니다. 이팝나무의 잎이 피침형이고 꽃잎의 너비가 1~1.5 밀리미터인 것은 긴잎이팝나무라고 ..

감나무, 감나무의 효능 [내부링크]

감나무 감나무(Diospyros kaki)는 동아시아 온대의 특산종으로 중국의 중북부, 일본, 한국의 중부 이남에 널리 재배되는 과수이자 활엽교목입니다. 외형적으로 감나무는 높이가 6~14m 정도이며 줄기의 겉껍질은 비늘 모양으로 갈라지며 작은 가지에는 갈색 털이 있습니다. 잎은 어긋나고 혁질이며 타원 모양을 하고 있으며 길이는 7~17cm, 너비는 4~10cm입니다. 잎의 테두리에는 톱니가 없으며 잎자루는 길이가 5~13mm이며 털이 덮여 있습니다. 꽃은 양성 또는 단성이며, 5~6월에 황백색으로 잎이 속에 달립니다. 수꽃은 16개의 수술이 있지만 양성화에는 4~16개의 수술이 있습니다. 암꽃의 암술은 길이가 15~18mm이고 암술대에는 털이 있으며 길게 갈라지며 씨방은 8실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감나..

때죽나무, 때죽나무의 효능 [내부링크]

때죽나무 때죽나무는 대한민국의 해서지방과 관동지방 이남 지역에서 주로 발견되는 낙엽수이며 작은 크기의 나무입니다. 일반적으로 높이는 약 10m 정도로 자라며, 잎은 어긋나며 타원형 모양이고 뾰족한 끝과 쇄기 모양의 밑부분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 나무의 이름인 "때죽나무"는 가을에 열리는 열매가 땅을 향하여 매달리는 모습 때문에 유래되었습니다. 많은 열매의 머리 부분이 회색으로 반질반질하게 생겨서 마치 스님이 떼로 몰려있는 것처럼 보인다는 이야기에서 유래되었습니다. 이전에는 "떼중나무"라고 불리다가 나중에 "때죽나무"로 이름이 바뀌었다는 설화도 있습니다. 또한, 열매를 찧어서 물고기를 잡는 데 사용되었다는 이야기로 유래되기도 합니다. 지역에 따라 야말리나, 쭉나무, 쫑나무 등 다양한 이름으로도 불리기도 합..

산딸기, 산딸기의 효능 [내부링크]

산딸기 산딸기는 쌍떡잎식물 중 장미목 장미과에 속하는 낙엽 관목입니다. 학명은 Rubus crataegifolius입니다. 산딸기는 다른 이름으로 나무딸기, 산딸이, 흰딸기 등으로도 불립니다. 주로 산과 들에서 자라며, 높이는 약 2m 정도입니다. 뿌리는 길게 옆으로 뻗어나가며, 줄기 전체에는 가시가 드문드문하게 붙어 있습니다. 잎은 어긋나는 형태이며 넓은 달걀 모양을 가지며, 길이는 4~10cm, 너비는 3.5~8cm 정도입니다. 끝은 뾰족하고 밑은 심장 모양을 띠며, 가장자리는 3~5개로 갈라지지만 열매를 달고 있는 가지에서는 갈라지지 않거나 3개로 갈라집니다. 잎자루는 길이가 2~5cm이며 뒷면에는 잔 가시가 있습니다. 꽃은 6월에 흰색으로 피고 가지의 끝 부분에 산방꽃이 차례로 달립니다. 꽃받침조..

계수나무, 계수나무의 효능 (계수나무과) [내부링크]

계수나무 계수나무는 식물계의 범의귀목에 속하는 계수나무과 계수나무속에 속하는 낙엽활엽교목으로, 대한민국, 중국, 일본 등지에서 자라고 있습니다. 한자로는 "桂樹"라고 쓰며, 영어로는 "Katsura tree" 또는 "Cassia bark tree"로 불립니다. 이 나무는 목재로 바둑판 등에 사용됩니다. 계수나무는 주로 중국과 일본을 원산지로 하며, 한국에서는 자생하지 않습니다. 한국에는 일본에서 들여온 품종인 자포니카(Cercidiphyllum japonicum Siebold & Zucc)가 자라고 있는데, 1920년대 경기도 광릉에 처음 도입되었으며 현재는 국립수목원에 보존되고 있습니다. 계수나무는 키가 20m까지 자라며 원줄기는 곧게 성장하지만 굵은 가지는 많이 갈라집니다. 나무껍질은 회갈색으로 세로..

칡, 칡의 효능 [내부링크]

칡 쌍떡잎식물 장미목 콩과에 속하는 낙엽 덩굴성 식물입니다. 일본어로는 '葛(くず)'로 불리며, 영어로는 'arrowroot' 또는 일본어 발음을 딴 'kudzu'라고 합니다. 한국에서는 한자음으로 '갈'로 표기됩니다. 콩과식물로서 뿌리혹에 박테리아를 통해 질소를 고정하여 양분으로 사용할 수 있는 능력이 있어서 토질에 관계없이 척박한 땅에서도 잘 자라며 빠르게 성장합니다. 겨울에도 얼어죽지 않고 대부분의 줄기가 살아남아 다년생 식물로 분류됩니다. 줄기는 길게 뻗어가면서 다른 물체를 감아 올라가며 갈색 또는 흰색의 털이 있지만 새로운 줄기에만 달려 있으며 곧 없어집니다. 잎은 어긋나기로 달리고 잎자루가 길며 세 장의 작은 잎이 있는 잎으로 구성됩니다. 작은 잎은 털이 많고 마름모꼴 또는 넓은 타원 모양이며..

섬잣나무, 섬잣나무의 효능 [내부링크]

섬잣나무 섬잣나무는 소나무목 소나무과에 속하는 상록성의 겉씨식물입니다. 주로 산 중턱 사면 및 능선부에 자라며 큰키나무로 약 30m의 높이와 60cm의 지름을 가집니다. 나무껍질은 짙은 회색 또는 암갈색이며 조각이 엷게 벗겨집니다. 어린 가지는 처음에는 녹색이지만 차츰 황갈색으로 변하며, 처음에는 털이 있을 수 있지만 시간이 지나면 떨어집니다. 섬잣나무의 잎은 단지에 5개가 모여있으며 길이는 3~8cm입니다. 뒷면에는 2줄의 흰색 기공선이 있습니다. 이 나무는 암수화수로 5~6월에 수분하며 수구화수는 장타원형이고 새 가지 아래쪽에 모여 달립니다. 암구화수는 타원형이며 홍자색 또는 녹색이며 새 가지 끝에 2~3개씩 달립니다. 열매는 긴 난형의 구과이며 길이는 4~7cm, 지름은 4~5cm입니다. 열매는 이..

화살나무, 화살나무의 효능 [내부링크]

화살나무 화살나무는 산기슭과 산 중턱의 암석지, 특히 석회암 지대에서 주로 자라는 낙엽 활엽 수목입니다. 이 나무의 줄기는 높이 1∼3m 정도이며, 겉에는 2∼4줄로 코르크질 날개가 형성됩니다. 잎은 마주하며 난형 또는 넓은 피침형을 가지며, 길이는 2∼7cm, 폭은 1∼4cm 정도입니다. 가을에는 잎이 붉게 물들어 아름다운 모습을 보입니다. 잎의 양면에는 털이 없으며, 잎자루의 길이는 1∼3mm 정도입니다. 화살나무의 꽃은 5∼6월에 피며, 잎의 겨드랑이에서 길이 2∼4cm의 취산꽃차례에 2∼5개씩 달립니다. 꽃은 연한 녹색이며 지름은 6∼7mm입니다. 꽃받침은 4갈래로 갈라지며 갈래는 반달 모양을 가지고 있습니다. 꽃잎은 4장이고, 수술은 4개이며 수술대는 짧습니다. 열매는 삭과로, 9∼10월에 완전..

느티나무, 느티나무의 효능 [내부링크]

느티나무 느티나무는 온대 또는 냉대에서 자라는 낙엽 활엽 교목입니다. 높이는 20~35m에 이르며, 완전히 자란 나무의 기둥은 약 2m 정도의 직경을 가지게 됩니다. 줄기는 회백색이며 나무 껍질은 울퉁불퉁한 특징을 갖고 있습니다. 새로 나온 가지에는 빽빽한 잔털이 있으며, 오래된 나무의 껍질은 잘 부스러져 떨어지게 됩니다. 느티나무의 잎은 달걀 모양의 단엽이며, 길이는 5~11cm, 너비는 2~5cm 정도로 어긋납니다. 잎의 가장자리에는 뚜렷한 톱니가 발달합니다. 녹색의 꽃은 꽃잎이 없는 풍매화 형태로 5월에 피게 되며, 수꽃은 새 가지 아랫부분에 모여 달리고, 암꽃은 새 가지의 윗부분에 1개씩 달립니다. 열매는 약간 일그러진 편구형이며, 뒷면에 능선이 있고 지름은 약 4mm 정도이며, 10월에 익게 됩..

붉나무, 붉나무의 효능 [내부링크]

붉나무 붉나무는 옻나무과에 속하는 나무로서, 잎은 넓은잎 작은 큰키나무로 약 7m 정도까지 자랍니다. 가지는 3개씩 나오는 특징이 있습니다. 주로 산속의 척박하고 양지바른 너덜바위 지역이나 들판에 주로 서식합니다. 붉나무의 잎은 양날개가 있는 잎줄기에 길이 약 5~12 정도인 잎이 7~13장씩 어긋나게 달려 깃털 모양을 이룹니다. 끝은 길거나 짧게 뾰족한 달걀 모양이며 가장자리에는 부드러운 잔톱니가 드문드문 있습니다. 두껍고 봄에는 붉은빛을 띠기도 하며, 가을에는 노란색에서 선명한 붉은색으로 물들게 됩니다. 7~8월에는 가지 끝에 녹색에서 노란빛을 띠는 꽃이 피게 됩니다. 잔털이 있으며 어긋나게 갈라지고 원뿔 모양의 꽃대에서 끝마다 약 2 정도의 지름을 가진 꽃이 달려 있습니다. 암꽃과 수꽃은 각각 ..

상수리나무, 상수리나무의 효능 [내부링크]

상수리나무 상수리나무는 높이로는 대략 15-20미터 정도 자라는 나무입니다. 나무의 껍질은 어두운 갈색으로 얇은 코르크로 덮여 있습니다. 상수리나무는 낙엽수이며, 가을에는 아름다운 단풍이 이루어집니다. 단풍이 떨어진 후에도 완전히 마른 잎이 되어도 이층이 형성되지 않기 때문에 가지로부터 쉽게 떨어지지 않고 겨울동안 가지에 붙어 있는 경우가 있습니다. 상수리나무는 한 그루에서 암수로 꽃이 피는 풍매화를 가지며, 이 꽃은 4-5월에 피게 됩니다. 수꽃은 작은 꽃들이 붙은 약 10센티미터 정도의 이삭 형태로 나타나며, 아래로 늘어집니다. 암꽃은 매우 작고 빨갛게 보이는 작은 꽃들이 일직선으로 놓이게 됩니다. 암꽃은 수분을 받으면 열매를 맺으며 다음 가을에 성숙합니다. 그러나 열매는 매우 쓰다보니 그대로는 먹을..

자귀나무, 자귀나무의 효능 [내부링크]

자귀나무 자귀나무는 산과 들에서 자라며 관상수로 심기도 하는 나무입니다. 키는 5~15미터에 이를 수 있습니다. 이 나무는 미모사가 잎을 건드리면 움츠러들 듯이 밤이 되면 양쪽으로 마주 난 잎을 서로 포갭니다. 자귀나무의 잎은 줄기에 하나씩 달리는 것이 아니라 작은 잎들이 모여 하나의 가지를 만들고 이들이 다시 줄기에 달립니다. 이러한 형태를 복엽이라고 합니다. 대부분의 복엽은 작은 잎들이 둘씩 마주 나고 맨 끝에 잎이 하나 남지만, 자귀나무는 작은 잎이 짝수여서 밤이 되어 잎을 닫을 때 홀로 남는 잎이 없습니다. 그래서 자귀나무는 부부 금슬을 상징하는 합환목, 합혼수, 야합수로 불리기도 합니다. 또한, 소가 자귀나무 잎을 좋아해서 소쌀밥나무라고도 불립니다. 67월에는 가지 끝에 15~20개의 작은 꽃이..

단풍나무, 단풍나무의 효능 [내부링크]

단풍나무 단풍나무는 낙엽 활엽교목으로, 수고는 대략 10~20미터 정도이며 수형은 원형을 이룹니다. 줄기는 가늘고 털이 없으며 회갈색을 띠고 있습니다. 잎은 마주나는 형태로 원형에 가깝고, 손가락 모양으로 5~7개로 갈라집니다. 갈라진 잎 조각은 피침형으로 끝이 얇게 갈라지며, 가장자리는 톱니 모양을 이룹니다. 잎의 뒷면에는 처음에는 털이 있지만 점차 사라집니다. 잎자루의 길이는 3~5cm 정도입니다. 꽃은 5월에 피며 산방꽃차례를 이루며, 일부는 잡종이거나 1가화입니다. 암꽃은 꽃잎이 없거나 2~5개의 흔적이 있지만, 수꽃은 꽃잎과 흔적이 없으며 수술은 8개, 꽃받침 조각은 5개입니다. 열매는 날개열매로, 길이는 약 1cm 정도이며 털이 없으며 9~10월에 익습니다. 날개는 긴 타원형을 이룹니다. 단풍..

산딸나무, 산딸나무의 효능 [내부링크]

산딸나무 산딸나무(Prunus salicina)는 주로 온대 중부 이남의 산지에서 자라는 나무로서, 관상수로도 심기도 합니다. 이 나무는 보통 5~10m 정도의 크기를 가지며, 나무껍질은 어두운 잿빛이나 갈색을 띠며 나이를 먹어도 갈라지지 않지만 작은 조각이 조금씩 떨어집니다. 가지는 층층나무의 특징을 가지며 층을 이루며 옆으로 넓게 퍼집니다. 잎은 마주하여 달걀 모양이나 타원 모양을 가지며, 산수유나 층층나무와 비슷하게 잎맥이 휘어서 잎 끝으로 모이는 특징이 있습니다. 잎의 가장자리에는 조금씩 밋밋하거나 잔물결 모양의 작은 톱니가 있습니다. 이 나무는 56월에 작년에 자란 가지 끝에서 꽃이 피는데, 흰색 꽃턱잎이 네 장으로 십자가 모양을 이루며 꽃잎처럼 보입니다. 또한 9~10월에는 붉은색으로 익은 딸..

늪지밤참나무, 늪지밤참나무의 효능 [내부링크]

늪지밤참나무 밤나무는 한반도 전역뿐만 아니라 일본 열도와 만주에도 분포하며, 한국과 일본이 원산지로 알려져 있습니다. 주로 섭씨 12도 등온선을 중심으로 난대 중부에서 온대 북부에 분포하며, 한국에서는 전국의 표고 100~1,100m 지역의 산기슭이나 비옥하고 물빠짐이 좋은 땅에서 자랍니다. 밤나무는 높이 10~15m에 도달하며, 지름은 30cm에서 1m 정도까지 자랍니다. 나무껍질은 암갈색 또는 암회색이며, 세로로 불규칙하게 갈라집니다. 일년생 가지는 자줏빛이 도는 적갈색을 띠며, 처음에는 짧은털이나 별털이 있지만 점차 없어집니다. 잎은 타원형, 장타원형 또는 타원상 피침형이며, 길이는 10~20cm 정도이고 표면에서 윤이 납니다. 잎끝은 점첨두(점차 뾰족끝)이며, 잎 밑면은 원저(둥근 밑면) 또는 아..

벤 버냉키의 21세기 통화 정책 서평 [내부링크]

'벤 버냉키의 21세기 통화 정책'은 경제와 금융에 대한 보통 사람들의 이해도를 높이기 위해 작성된 책이다. 저자는 현대 경제의 중요한 주제인 연방준비제도이사회(FRB)와 통화 정책, 그리고 금리 등을 평이하고 이해하기 쉽게 설명하고자 노력했다. 책은 총 4부로 구성되어 있으며, 1부부터 3부까지는 1970년대 이후의 미국 중심의 주요 경제 이슈와 연준의 대응을 연대순으로 서술한다. 이를 통해 고전적인 필립스 곡선(인플레이션과 실업률의 상충 관계를 나타내는 곡선)과 케인즈 경제학, 오일 쇼크, 스태그플레이션 사태 등에 대해 설명한다. 마지막 4부에서는 그린스펀 이후의 연준의 주요 통화 정책인 양적 완화(QE)와 포워드 가이던스의 효과를 여러 연구를 통해 검증하고, 비판과 보완점을 제시한다. 저자인 벤 버..

자두나무, 자두나무의 효능 [내부링크]

자두나무 자두나무(Prunus salicina)는 쌍떡잎식물 장미목 장미과에 속하는 낙엽 교목입니다. 일반적으로 높이는 10m 정도이며, 나무껍질은 흑갈색으로 불규칙하게 갈라집니다. 한반도 중부 지역에서 주로 자라며 자도(紫桃)나무 또는 오얏나무(李木)로도 불립니다. 자두나무는 작은 가지들이 적갈색이며 털이 없고 광택이 있습니다. 잎은 어긋나는 형태로 광피침형 또는 도란형이며 양끝은 뾰족하고 가장자리에 잔 톱니가 있습니다. 꽃은 4월에 잎보다 먼저 피어 흰색이며 일반적으로 3개씩 달립니다. 꽃받침조각에는 약간의 톱니가 있으며 꽃잎의 길이는 약 1cm 정도입니다. 자두나무의 열매는 난상 원형 또는 구형이며 7월에 황색 또는 자적색으로 익습니다. 과육은 연한 황색을 띠고 있습니다. 핵은 도란형이며 양끝이 약..

개암나무, 개암나무의 효능 [내부링크]

개암나무 개암나무(Prunus mume)는 1~2m 정도로 자라는 낙엽 관목입니다. 수피는 회갈색을 띠며, 잎은 어긋나게 배치되며 난상 원형이거나 도란형을 가지며 끝이 뾰족하고 잔톱니가 있습니다. 잎의 뒷면은 황록색이며 털이 밀생합니다. 잎자루에는 뒷면 맥 위와 함께 선모가 있으며 어린 잎의 앞면에는 자주색 무늬가 나타납니다. 개암나무는 3~4월에 잎보다 먼저 꽃이 피는데, 수꽃이삭은 원주형으로 가지 끝에 2~3개씩 달려 길게 늘어나며 암꽃은 붉은색의 암술대를 길게 밖으로 내민 채로 각각 2개씩 달립니다. 견과는 구형으로 10월에 갈색으로 익으며 포에 싸인 열매를 "개암"이라고 부르며 신선한 상태에서 섭취됩니다. 개암나무는 한국을 비롯하여 일본, 중국 등지에서 야생하며 주로 산야에서 자라는 원산 종입니다..

남성형 탈모 증상과 예방 및 치료 [내부링크]

남성형 탈모 개요 남성형 탈모증은 유전과 남성호르몬인 안드로겐에 의해 모발이 빠지는 대표적 탈모 질환이며, 앞머리와 정수리 부위의 탈모와 모발의 가늘어짐이 특징입니다. 남성형 탈모증은 나이가 들수록 점점 진행하는데, 앞머리선의 후퇴가 심해지고 정수리 부위의 모발이 가늘어지며 더 진행되면 두피가 훤히 들여다보이게 됩니다. 개요-원인 남성형 탈모가 생기는 가장 중요한 원인은 유전적인 배경과 남성 호르몬인 안드로겐입니다. 1. 유전 남성형 탈모증의 정확한 유전 양상은 알려져 있지 않습니다. 발현의 다양성을 보이는 상염색체 우성으로 유전된다고 흔히 생각합니다. 한 연구에 따르면, 탈모 환자의 81.5%에서 아버지가 중등도 이상의 탈모증상을 갖고 있음이 보고되었습니다. 따라서 남성형 탈모증은 유전적 소인이 강하다..

아까시 나무, 아까시 나무의 효능 [내부링크]

아까시 나무아카시나무는 산과 들에서 자라는 나무로 높이는 약 25m 정도입니다. 노란빛을 띤 갈색의 나무껍질을 가지고 있으며 세로로 갈라지며 턱잎이 변한 가시가 있습니다. 잎은 어긋나고 홀수1회 깃꼴겹잎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작은 잎은 9~19개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잎은 타원형이나 달걀 모양이며 길이는 2.5~4.5cm 정도이며 양면에는 털이 없으며 가장자리는 매끈합니다. 아카시나무는 5~6월에 흰색 꽃을 피우는데, 어린 가지의 잎 겨드랑이에 총상꽃차례로 달립니다. 꽃은 길이가 15~20mm이며 향기가 강합니다. 꽃받침은 5갈래로 갈라집니다. 열매는 협과로서 납작한 줄 모양을 가지며 9월에 익습니다. 열매 안에는 5~10개의 종자가 들어있으며 종자는 납작한 신장 모양이며 길이는 약 5mm 정도이며 검은빛..

자작나무, 자작나무의 효능 [내부링크]

자작나무 자작나무는 참나무목 자작나무과에 속하는 관속식물입니다. 주로 높은 산의 계곡에서 자라는 낙엽 활엽수로, 큰 크기를 가지는 나무입니다. 줄기의 높이는 보통 15~20m 정도이며, 줄기의 표면은 밝은 회색을 띠며 윤기가 있습니다. 잎은 어긋나는 형태이고, 넓은 난형 또는 삼각상 난형으로 되어 있으며 길이는 2.5~7.0cm, 폭은 2~6cm 정도입니다. 잎의 끝은 점점 뾰족해지는 형태를 가지며, 잎 가장자리에는 고르지 않은 겹톱니가 있습니다. 잎의 앞면은 털이 없고, 뒷면은 털이 없거나 약간 있을 수 있습니다. 곁잎줄은 5~8쌍이 형성됩니다. 잎자루의 길이는 1.0~2.5cm 정도입니다. 자작나무의 꽃은 보통 4~5월에 핀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수꽃차례는 아래로 처지며 길이는 약 6cm 정도입니다...

고사리, 고사리의 효능 [내부링크]

고사리 고사리는 전세계적으로 큰 군락을 이루며 생기가 왕성한 식물로 알려져 있습니다. 아시아 지역에서는 오랫동안 식용으로 사용되어왔으며, 중국의 역사서인 "춘추시대주"에도 고사리를 먹고 연명한 이야기가 전해지고 있습니다. 고사리는 예로부터 우리 나라에서도 많이 섭취되어 왔고, 제사 음식에서도 중요한 재료입니다. 고사리는 높이가 1m에 이르며, 봄에는 어린 잎이 돋아납니다. 이 어린 잎은 꼬불꼬불하며 흰 솜털과 같은 털로 덮여 있습니다. 고사리의 뿌리 줄기는 땅 속을 길게 기며 둥글고 새로 나온 부분에는 갈색 또는 진한 분홍색과 같은 털이 있습니다. 잎자루는 직립하며 굵고 털이 없지만, 기부 부근은 어두운 갈색을 띠며 동일한 색상의 털이 있습니다. 잎자루의 길이는 20-80cm로 연한 볏짚색을 띠며, 뿌리..

박태기 나무, 박태기 나무의 효능 [내부링크]

박태기 나무 박태기나무는 중국에서 유래한 조경용 나무입니다. 이 나무는 작은 크기로 3~5m 정도 자라는 콩과 식물입니다. 박태기나무는 화려한 꽃이 피는 시기에 기후나 토양의 제약을 크게 받지 않아서 세계적으로 많은 정원에서 사용되고 있습니다. 이 나무의 학명은 Cercis chinensis Bunge입니다. 박태기나무는 세계에서 가장 많은 꽃을 만들어내는 나무 중 하나로 꼽힙니다. 이 나무는 4월에 잎이 나기 전에 홍자색 꽃이 가지와 줄기에 빽빽하게 모여 피게 됩니다. 꽃이 줄기 없이 7~8개씩 모여 나뭇가지 전체를 완전히 덮게 되는데, 꽃잎은 나방이나 구슬과 닮은 모습을 가지고 있습니다. 박태기나무의 꽃은 독성이 있어서 먹을 수 없습니다. 이 나무의 손바닥 크기의 잎은 하트 모양이며 가장자리는 밋밋하..

옻나무, 옻나무의 효능 [내부링크]

옻나무 옻나무는 서늘한 기후에서 잘 자라는 나무로, 일반적으로 10미터 정도의 높이를 갖습니다. 나무껍질은 회백색이며 두꺼워서 껍질눈이 많이 있습니다. 이 나무의 잎은 길이가 20-40cm이며, 7-19장의 작은 잎으로 이루어진 홀수깃꼴 겹잎을 형성합니다. 작은 잎은 타원형이고 끝이 뾰족하며 표면에 광택이 있습니다. 5-6월 사이에 잎의 가지 부분에서 황록색 작은 꽃이 송이 모양으로 피게 됩니다. 꽃잎과 꽃받침은 모두 5장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암수딴그루(한 나무에 동시에 수술과 암술이 있는)입니다. 암꽃에는 암술머리가 3개로 갈라진 암술이 있으며, 수꽃에는 5개의 수술이 있습니다. 열매는 일그러진 구형이며 길이는 약 7mm 정도이고, 백황색으로 광택이 있습니다. 재배 후 몇 년이 지나야 열리게 됩니다...

졸참나무, 졸참나무의 효능 [내부링크]

졸참나무 졸참나무는 참나무목에 속하는 관속식물입니다. 주로 해발고도가 낮은 산지에서 자라는 큰키나무로, 높이는 25미터에 이르며 지름은 1미터에 이를 수 있습니다. 졸참나무의 나무껍질은 회백색이며 세로로 골이 파인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어린 가지에는 비단털이 덮여 있습니다. 졸참나무의 잎은 도란상 타원형이나 난상 피침형이며, 길이는 2~19센티미터, 너비는 1.5~10센티미터입니다. 잎끝은 뾰족하거나 점차 뾰족해지며, 잎밑면은 뾰족한 형태를 가지고 있습니다. 잎의 표면과 잎의 주맥 위에는 털이 있습니다. 잎자루의 길이는 10~23밀리미터이며 털로 덮여 있습니다. 졸참나무는 4월부터 5월에 암수한 그루로 구성된 꽃을 피우는데, 수꽃 꽃차례는 길이가 8~12센티미터로 새 가지의 아래에서 아래로 곧게 늘어..

씀바귀, 씀바귀의 효능 [내부링크]

씀바귀 씀바귀는 한국 전국의 들에서 자주 볼 수 있는 식물입니다. 이 식물은 20∼50 정도의 높이를 가지며, 윗부분에서 가지가 갈라집니다. 뿌리 생잎은 꽃이 필 때까지 남아 있으며, 역삼각형 형태이거나 타원형을 띠고 있습니다. 줄기 생잎은 타원형 또는 긴 타원형이며, 길이는 4∼9 정도입니다. 줄기 생잎의 밑부분은 원줄기를 감싸고 있으며, 가장자리에는 치아 모양의 작은 이빨 혹은 깃털 모양으로 갈라집니다. 씀바귀는 5∼7월에 황색 또는 백색의 꽃을 피우며, 지름은 약 15 정도입니다. 이 꽃들은 가지 끝이나 줄기 끝에 달립니다. 열매인 수과는 길이가 3.5∼5 정도이며, 10개의 능선을 가지고 있습니다. 또한, 수과의 윗부분에는 길이가 4∼4.5인 연한 황색의 관모가 있습니다. 이 식물은 봄에..

살구나무, 살구나무의 효능 [내부링크]

살구나무 살구나무는 장미과 벚나무속에 속하는 낙엽 소교목으로, 크기는 최대 5m까지 자란다. 이 나무는 중국 북서부나 아르메니아를 원산지로 하지만 현재는 전 세계 많은 국가에서 재배되고 있다. 살구나무의 잎은 어긋나 있으며 길이는 약 5-9cm로 계란 모양이며, 끝은 뾰족하고 가장자리에는 톱니가 있다. 또한, 잎에는 털이 없다. 이 나무는 4월에 개화하며, 개화하기 전에 홍색 양성화가 달린다. 꽃자루는 짧고 약 7mm 정도이며, 꽃은 연분홍색이고 꽃잎은 5장으로 구성된다. 살구의 꽃은 매화와 매우 비슷하여 혼동하기 쉽지만, 꽃받침으로 구분할 수 있다. 살구는 꽃 아래 붙은 꽃받침이 뒤로 젖혀지지만 매화는 그렇지 않다. 이 나무의 꽃말은 "아가씨의 수줍음"이다. 살구는 이 나무의 열매로, 동그랗고 6~7월..

디프테리아 [내부링크]

디프테리아 개요 디프테리아는 디프테리아균(Corynebacterium diphtheriae) 감염 후 발생하는 급성, 독소(toxin) 매개성 호흡기 감염병으로 인체의 모든 점막을 침범할 수 있으며 침범부위에 막(membrane)이 생기는 것이 특징입니다. 기원전 5세기 히포크라테스가 디프테리아에 관해 기술한 이래 역사상 디프테리아 감염은 수없이 많이 유행되었고, 1883년 클레브스(Kelbs)에 의해 최초로 디프테리아균이 관찰되었으며 1884년 뢰플러(Löffler)에 의하여 배양에 성공하였습니다. 19세기 후반 항독소가 개발된 이래 1920년대에 이르러 톡소이드(toxoid, 독소를 무독화 시킨 것)가 개발되어 현재까지 백신으로 사용되고 있습니다. 개요-신고 대상 및 방법 1. 신고범위: 환자, 의사..

밤의 유서 서평 [내부링크]

『밤의 유서』는 철학적인 사색이 깊이 스며있는 작품으로, '소피의 세계'의 작가인 요슈타인 가아더의 두꺼운 사유의 기록이다. 이 작품은 근육 점진적 작동 불능으로 생명을 잃는 근위축성 측삭 경화증(ALS)이라는 불치병을 진단받은 교사 알버트의 이틀간의 고뇌를 그린다. 알버트는 자신의 생의 마지막 순간을 맞이하기 위해 고뇌와 분노 사이에서 맴돌며 사랑하는 이들에게 불편과 아픔을 끼칠까 두려움을 안고 있습니다. 그는 죽음의 주인공이 되는 '나'에 대한 이기적인 생각과 사랑하는 이들의 감정적 충격을 이해하려는 노력이 공존합니다. 그러나 그는 그 시간이 가능한 한 짧게 끝냄으로써 가족들에게 덜한 고통을 주기를 바라고 있습니다. 그의 내면은 긴 고립과 비애로 둘러싸여 있지만, 그는 자신의 운명을 회피하지 않고, ..

호두나무, 호두나무의 효능 [내부링크]

호두나무 호두나무는 장미목 호두과에 속하는 낙엽수목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이 나무는 주로 온대 지역에서 자라며, 성장하면 보통 15~25m 정도의 높이에 이릅니다. 호두나무는 대부분 단일 줄기로 성장하며, 줄기와 가지에는 근육질이 강하고 갈색 또는 회색의 두꺼운 털로 덮여 있습니다. 호두나무의 잎은 홀수번째 줄기에 대해 반대로 배열되어 있으며, 갈색 또는 붉은색의 가지가 달린 작은 가지에 붙어 있습니다. 잎은 길이가 20~40cm 정도이며, 홀수 개의 홀엽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잎의 모양은 타원형이나 타원형에 가까운 형태를 가지고 있으며, 푸른색에서 연한 초록색을 띠고 있습니다. 호두나무는 봄에 작은 수술이 달린 개화가 있는데, 이는 공기로 수분을 전달하는 역할을 합니다. 호두나무의 꽃은 작고 노란색을..

콩배나무, 콩배나무의 효능 [내부링크]

콩배나무 콩배나무는 장미목 장미과에 속하는 관속식물입니다. 이 나무는 주로 숲 속이나 숲 가장자리, 경사 지대에서 자라며, 보통 3~8m 정도의 크기로 성장합니다. 줄기의 겉에는 특이한 흰색 껍질눈이 덮여 있습니다. 잎은 어긋나며 넓은 난형 또는 원형을 하고 있으며, 길이는 25cm 정도입니다. 잎 가장자리에는 둔한 잔 톱니가 있으며, 처음에는 털이 있지만 점차 사라집니다. 잎자루는 길이가 3~4cm이며 처음에는 털이 있지만 점차 사라집니다. 꽃은 보통 4~5월에 짧은 가지 끝에 59개가 모여 달리는 형태로 피어나며, 지름은 1.7~2.2cm 정도입니다. 꽃은 흰색 또는 연한 홍색을 띠고 있습니다. 작은 꽃자루는 길이가 약 1.5cm 정도이며 잔털이 있습니다. 꽃받침잎은 난형이고 톱니가 없으며, 양면에 ..

로스트 웨일 서평 [내부링크]

로스트웨일은 감동적인 이야기로서 고래와 아이의 만남을 중심으로 펼쳐지는 소설입니다. 표지 사진에 담긴 고래와 아이의 모습은 매력적이었고, 아이가 고래를 얼마나 좋아하는지를 상상케 했습니다. 이 소설은 신기하게도 진짜 바다에서 고래를 만나는 것이 이야기의 핵심입니다. 주인공 리오는 정신적인 문제를 겪는 엄마가 병원에 치료를 받는 동안 외할머니에게 머무르게 됩니다. 이 선택은 리오에게는 어려움이었지만, 아마도 엄마의 상태가 좋지 않았기 때문일 것입니다. 외할머니와 함께 지내면서 리오는 엄마가 어렸을 때 좋아했던 것들을 알게 되고, 엄마의 소중한 물건인 고래 그림을 통해 엄마를 새롭게 알게 됩니다. 이 소설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고래는 고래의 마음과 함께 리오의 성장과 자기 발견의 여정을 이끌어 나갑니다. ..

말채나무, 말채나무의 효능 [내부링크]

말채나무 산기슭이나 산골짜기에서 자라는 큰 키를 가진 나무는 말채나무입니다. 이 나무는 높이 약 10미터 정도까지 자랍니다. 나무의 껍질은 흑갈색으로 그물처럼 갈라지며, 어린 가지에는 연갈색과 부드러운 털이 있지만 점차 사라집니다. 잎은 마주하여 배치되며, 길이가 13센티미터인 잎자루를 가지며, 잎의 형태는 넓은 난형 또는 타원형이며, 끝 부분은 점차 뾰족해지고 밑부분은 둥글거나 넓은 쐐기 모양을 띱니다. 잎의 가장자리는 매끄럽습니다. 잎의 앞면은 진녹색이며 짧은 센털이 있고, 뒷면은 연녹색 또는 흰색을 띠며 많은 센털이 있습니다. 측맥은 4~5쌍으로 배열됩니다. 이 나무의 꽃은 5~6월에 피는데 가지 끝에 취산꽃차례로 달립니다. 꽃대의 길이는 1.5~2.5센티미터이며, 짧은 센털이 있습니다. 꽃받침은 ..

사철나무, 사철나무의 효능 [내부링크]

사철나무 사철나무는 한국, 일본, 중국에서 원산지를 가지는 작은 나무로, 특징적인 푸른 사철(사계 중 여름)색의 잎을 가지고 있습니다. 사철이란 사계 중 여름을 의미하며, 사철나무는 이 시기에 푸르게 빛나는 잎으로 덮여있어 그 이름이 붙게 되었습니다. 이 나무는 주로 난대 지방에서 발견되며, 3~5m 정도의 작은 크기를 가지고 있습니다. 추운 기후와 공해와 같은 환경에 강하게 적응하여 생존할 수 있는 특성을 가지고 있어, 주로 생울타리로 사용되며 많이 심어져 기르고 있습니다. 사철나무의 나무껍질은 흑갈색으로 얕게 갈라져 있는 모습을 보입니다. 잎은 서로 마주하며 타원 모양을 띠고 있으며, 특유의 가죽질과 윤기를 가지고 있습니다. 잎의 길이는 3~7cm 정도이고, 너비는 3~4cm 정도입니다. 가장자리에는..

황벽나무, 황벽나무의 효능 [내부링크]

황벽나무 황벽나무는 또한 황경피나무라고도 불리며, 학명은 Phellodendron amurense RUPR입니다. 이 나무는 깊은 산간 지대에서 자라며, 높이는 약 15m 정도이며 굵은 가지가 사방으로 퍼져 있습니다. 나무 껍질은 연한 회색이며 코르크가 발달하여 깊게 갈라집니다. 성숙한 가지는 누른 빛이 도는 회색이고 내부는 밝은 황색입니다. 이 나무의 잎은 마주하여 길이가 20∼40이며, 총엽병이 있고 5∼13개의 소엽으로 이루어진 홀수 깃모양 겹잎입니다. 소엽은 좁은 달걀 모양이나 긴 타원 모양이며 길이는 5∼10, 너비는 3∼5입니다. 끝 부분은 꼬리처럼 길고 뾰족하며 밑부분은 둥글며, 표면은 짙은 녹색이고 뒷면은 분백색입니다. 황벽나무는 6월에 꽃이 피며, 암수가 딴 그루에 달리고 원뿔 모양..

간단한 습관이 끝까지 간다 서평 [내부링크]

"간단한 습관이 끝까지 간다"는 대단한 기획과 성찰로 만들어진 결과물은 아닌 것 같습니다. 오히려 저자가 그때 그때 떠오르는 짧은 생각들을 묶어낸 메모장과 같은 느낌을 주었습니다. 이는 저자가 노력 끝에 써낸 책이 아니라는 점에서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내용이 설렁 설렁 쓰인 것처럼 보이는 책인데, 이는 저자가 가진 능력의 핵심이자 이 책의 내용의 핵심이기도 합니다. "가진 돈은 몽땅 써라"를 통해 저자는 신박한 발상법으로 고정관념을 깨부수는 데 탁월한 능력을 보였는데, 이 책에서도 그 능력을 무한대로 발휘하고 있습니다. 자기계발서에서는 보통 단기 목표와 장기 목표를 동시에 추구해야 한다는 말을 듣게 됩니다. 단기 목표에 따라 매일의 할 일을 충실히 해나가면서도, 5년 후, 10년 후, 20년 후의 내 ..

자존감수업 서평 [내부링크]

자존감은 우리 삶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먼저, 자존감은 감정과 연결되어 있지만 이성적인 영역입니다. 자존감은 자신을 어떤 높이로 받아들일지에 대한 느낌으로, 생각과 판단에 영향을 받지만 감정에도 영향을 줍니다. 각자 다른 수준의 자존감을 가지고 있으며, 어떤 상황에서는 낙심할 수도 있지만 자존감은 노력을 통해 회복될 수 있습니다. 자존감이 건강하다면 좋은 평판은 자연스럽게 따라옵니다. 우리는 타인과 가까워졌지만 마음의 거리는 멀어진 세상에서 살고 있습니다. 관계가 더욱 복잡해지고 가족의 수도 줄어들면서 소통하는 것이 어려워졌습니다. 이런 환경에서 자존감이 더욱 중요해지는 이유입니다. 자존감이 강하다면 건강한 마음으로 도전할 수 있습니다. 자신에게 자신감이 있다면 상처를 덜 받고 길을 찾을 수 ..

보리수나무, 보리수나무의 효능 [내부링크]

보리수 나무 프로티아목 보리수나무과에 속하는 식물은 주로 숲의 가장자리, 계곡 주변, 풀밭 등에서 자라는 낙엽 활엽 떨기나무입니다. 이 나무는 줄기의 높이가 3~5m이며 가지가 많이 갈라집니다. 가을에는 잎이 떨어지는데, 잎은 도피침형이거나 넓은 도란형으로 형태가 되며 길이는 3~8cm이고 폭은 1.2~2.5cm입니다. 잎의 앞면은 은빛에서 녹색으로 변하며 뒷면은 은빛을 띠고 흰색입니다. 잎자루의 길이는 4~10mm입니다. 이 식물은 5월에 꽃이 피는데, 암수딴그루로 배치되며 잎의 겨드랑이에서 15개씩 달리며 은빛을 띱니다. 꽃받침통은 끝이 4갈래로 갈라지며 꽃잎과 유사한 모양이고 길이는 5~7mm입니다. 안쪽은 노란빛에서 갈색으로 변합니다. 수술은 4개이고 암술은 1개입니다. 이 나무의 열매는 장과로 ..

들괭이밥, 들괭이밥의 효능 [내부링크]

들괭이밥 저지대 들판에는 여러해살이풀이 자라고 있는데, 그 중 한 종류인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이 식물은 뿌리에서 2-8개의 줄기를 내보내며, 높이는 10-25cm 정도이며 짧게 자랍니다. 줄기는 곧추 모양을 이루며 연모가 있을 수 있습니다. 잎은 어긋나는 형태이며, 3줄기의 겹잎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잎자루는 길이가 1-4cm 정도이며 섬모가 있습니다. 작은 잎은 도심장형으로 형태이며 길이와 너비는 각각 약 1.5cm 정도입니다. 이 식물은 5-11월 사이에 꽃을 피우며, 꽃은 노란색을 띠고 있습니다. 꽃차례는 산 모양을 이루며 1-6개의 꽃이 한 묶음으로 피게 됩니다. 꽃차례의 중심에는 작은 선형의 포엽이 달려 있습니다. 꽃받침잎은 5개로 뚜렷하게 나타나며 녹색입니다. 꽃부리는 5개의 가지로 깊..

진달래, 진달래의 효능 [내부링크]

진달래 진달래(진달래속, 학명: Rhododendron)는 보통 꽃이 아름다워 꽃망울이나 꽃나무로도 불리는 나무나 관목으로 잘 알려져 있는 식물입니다. 이 식물은 주로 아시아 지역에서 발견되며, 약 1000여 종 이상이 있습니다. 진달래는 다양한 종류와 색상의 꽃을 가지고 있어 정원, 공원, 경치 구역 등에서 장식용 식물로 많이 사용됩니다. 진달래는 대개 긴 타원형 잎을 갖고 있으며, 일부 종류는 겨울에도 녹색으로 남아있습니다. 그러나 대부분의 종류는 계절에 따라 잎의 색상이 변화합니다. 꽃은 작은 꽃들이 꽃받침 위에 꽂혀 있는 꽃송이로 형성되며, 크기와 색상은 종류에 따라 다양합니다. 일부 종류의 진달래는 화려하고 풍성한 꽃을 가지고 있어 눈길을 사로잡는 아름다움을 선사합니다. 그러나 진달래는 장식용 ..

참죽나무, 참죽나무의 효능 [내부링크]

참죽나무란? 참죽나무는 주로 아시아 지역에서 자라는 나무로 알려져 있습니다. 다른 이름으로는 "두릅나무"나 "두릅목"으로도 불립니다. 이 나무는 중대형나무로 성장하며, 높이는 약 15~20미터에 달할 수 있습니다. 참죽나무는 주로 온대에서 잘 자라며, 열대 지방과 아열대 지방에서도 발견됩니다. 특히 중국과 일본을 비롯한 아시아 지역에서 재배되어 온 나무입니다. 잎은 대표적으로 손바닥과 비슷한 형태를 가지고 있으며, 푸른색으로 봄부터 가을까지 무성하게 자랍니다. 가지와 줄기는 갈색으로 노란색 또는 회색의 털로 덮여 있습니다. 참죽나무는 다용도로 사용되는 나무입니다. 그 가장 유명한 용도는 종이 생산에 있습니다. 참죽나무의 내부 식물 섬유를 이용하여 한국의 한지, 중국의 선지 등을 만드는데 사용됩니다. 종이..

가막살나무, 가막살나무의 효능 [내부링크]

가막살나무 가막살나무는 열대 지역에 주로 분포하는 나무로 알려져 있습니다. 다른 이름으로는 "카푸치노"나 "카푸치노 트리"로도 불리기도 합니다. 이 나무는 약 30미터까지 성장할 수 있으며, 두꺼운 가지와 밀집한 잎을 가지고 있습니다. 가막살나무는 주로 남아메리카 지역을 비롯하여 아프리카와 아시아의 일부 지역에서 발견됩니다. 그러나 현재는 다른 지역에서도 인위적으로 도입되어 재배되고 있습니다. 특히 열대 지역의 습윤한 환경에서 잘 자라며, 햇빛과 비를 좋아합니다. 이 나무는 여름에 꽃을 피우며, 작고 녹색의 꽃이 다수 형성됩니다. 꽃이 다발로 모여있는데, 화려하고 아름다운 풍경을 만들어냅니다. 이후 꽃이 열매로 변하며, 열매 안에는 검은 씨앗이 들어있습니다. 씨앗은 주로 새들에게 먹이로 사용되며, 씨앗을..

'우정도둑' 서평 [내부링크]

《우정 도둑》은 제목만 보면 엄청난 스릴러 소설을 상상할 수 있을 것 같지만, 실제로는 산문집으로서 독특한 매력을 가진 책입니다. 이 책은 우정을 도둑맞았다는 개념을 기반으로 다양한 이야기와 생각을 담고 있어 신선하고 흥미로운 독서 경험을 선사합니다. 첫 인상부터 호기심을 자극하는 책 소개에서 우정과 도둑이라는 단어의 조합이 어울리지 않는다는 느낌을 받았습니다. 그리고 책의 프롤로그를 읽어보면 우정 도둑이라는 제목의 의미를 이해할 수 있습니다. 프롤로그에서는 작가들이 자신이 훔친 것을 공개하는 도둑질과 같은 책 쓰기의 경험을 언급하며, 우리가 서로에게서 훔치는 것을 통해 서로의 결핍을 채우고 완벽함을 찾는다는 아름다운 말들이 등장합니다. 이렇게 설레는 내용의 프롤로그만으로도 이 책의 매력을 느낄 수 있습..

'종이 여자' 서평 [내부링크]

는 기욤 뮈소의 환상적인 판타지 이야기입니다. 이 소설은 톰 보이드라는 작가의 이야기를 중심으로 전개되며, 그는 한 때 무명 작가였지만 로 세계적인 인기를 얻게 되는데요. 그러나 운명의 사랑인 슈퍼스타 피아니스트인 오로르 발랑꾸르와의 결별로 인해 톰은 깊은 좌절과 상실감에 휩싸이게 됩니다. 톰은 작품의 마지막 권을 완성하지 못한 채로 쓰러져 삶에 멈춰있는 상태입니다. 그런 중, 테라스에서 알몸으로 떨어진 한 여자의 등장으로 이야기가 전개됩니다. 그 여자는 자신을 소설의 주인공인 빌리라고 주장하며, 톰에게 애인과 화해하고 소설을 완성하는 것을 도와줄 것을 제안합니다. 이 소설은 독특한 서술 방식으로 시작하여 주인공의 상황을 신속하게 전달하며 독자들을 이야기에 빠르게 끌어들입니다. 또한, 톰의 작가로서의 고..

'세계화의 종말과 새로운 시작' 서평 [내부링크]

마크 레빈슨의 책인 "세계화의 종말과 새로운 시작"은 최근에 우리나라에서도 소개된 저자의 최신 작품입니다. 이 책은 경제적 측면에서 세계화를 다루며, 특히 우리나라의 경제 발전을 세계 경제사의 시각에서 살펴보는데 큰 도움이 되는 책으로 평가될 수 있습니다. 이 책은 현대 대형 컨테이너 선인 엠마 머스크 호의 이야기로 시작하여 18세기부터 현대에 이르는 세계화의 발전 과정을 다룹니다. 데이비드 리카르도라는 경제학자가 등장한 중상주의 시대부터 자유 무역 시대로의 전환, 1차 세계 대전과 2차 세계 대전을 거쳐 2차 세계화와 3차 세계화의 시기를 다룹니다. 세계화는 다국적 기업의 등장과 함께 확대되며, 이제는 4차 세계화의 변신을 시도하고 있는 상황입니다. 이처럼 각 시대에 따라 변화하는 경제 정책들을 소개하..

'긴긴밤' 서평 [내부링크]

"긴긴밤"은 극도로 감동적인 이야기로, 마음을 뒤흔들고 깊은 감동을 안겨줍니다. 이 소설은 세상에 마지막으로 남은 흰바위코뿔소인 노든과 펭귄의 여정을 그려냅니다. 노든은 코끼리 고아원에서 자라온 흰바위코뿔소입니다. 그는 가족과 친구를 잃으며 어려움에 처하고, 멸종 직전에 이르게 된 코뿔소들의 상황을 목격합니다. 전쟁으로 동물원이 파괴되면서 노든은 펭귄 알을 품은 치쿠와 함께 바다를 향해 여행을 떠나게 됩니다. 이 소설을 읽으면서 끊임없이 눈물이 흘렀습니다. 노든이 코뿔소로서의 존재감을 깨닫고 가족을 찾아 행복한 시간을 보낸 후에도 그의 아내를 잃는 장면은 저에게 큰 감동을 주었습니다. 노든은 상처 입은 채로 다시 동물원에 돌아오고, 앙가부와 만나 함께 지내며 힘을 얻지만 다시 한 번 친구를 잃게 됩니다...

생리통 [내부링크]

생리통 개요 생리통은 월경 주기와 연관되어 나타나는 주기적 골반 통증을 뜻합니다. 생리를 하는 여성의 60%가 생리통을 경험할 정도로 흔한 증상입니다. 생리통은 골반 장기의 이상 유무에 따라 일차성 생리통과 이차성 생리통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즉, 골반 장기에 이상이 없으면 일차성 생리통, 골반 장기의 이상에 의한 생리통이라면 이차성 생리통으로 분류합니다. 생리통은 증상의 유형과 정도가 다양하고, 흔하게 경험하는 증상이기 때문에 가볍게 여기는 여성이 많습니다. 그러나 골반 장기에 이상이 있는지 감별하는 것이 중요하기 때문에 생리통이 있다면 반드시 병원에 내원하여 진찰을 받는 것이 중요합니다. 생리통의 증상과 진단, 치료 및 생리통에 대한 잘못된 상식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증상 생리통의 공통된 증상은 ..

발기부전 증상과 치료 [내부링크]

개요-정의 발기부전은 "만족스러운 성생활을 누리는데 충분한 발기를 얻지 못하거나 유지할 수 없는 상태가 지속되는 것"을 의미합니다. 기능적 문제뿐만이 아니라 주관적 만족감도 중요한 요소입니다. 발기 과정은 성적 흥분에 의해 부교감 신경 이 활성 되어 음경 동맥을 확장시키고 음경으로 가는 피의 양을 증가시킵니다. 동시에 음경 내 근육들이 팽창하면서 주변의 정맥을 눌러 출구가 막히게 됩니다. 결과적으로 들어온 피가 빠져나가지 못하면서 피가 음경 해면체 (Corpus cavernosum)에 고임으로써 발기하게 됩니다. 개요-종류 발기부전의 종류는 원인에 따라 다양한 분류가 있습니다. 심리적 문제와 신체적 문제가 복합적으로 작용을 하여 발생하는데, 50세 이후의 연령층에서는 신체적인 문제의 중요성이 특히 커집니..

음낭수종 [내부링크]

개요-정의 음낭수종(hydrocele)은 물음낭증이라고도 하며 음낭 (고환집) 안에 물(또는 체액)이 너무 많이 고여 음낭이 부풀어 있는 병입니다. 구조적으로는 음낭과 고환 사이에 고환을 둘러싸고 있는 고환집막이라는 주머니가 있는데, 이 막 안의 공간에 물이 많이 차서 발생하게 됩니다. 한쪽 음낭만 생기는 경우가 많지만 양쪽 모두 생기기도 하며 음낭에 발생하는 가장 흔한 병으로 다양한 원인에 의해 발생합니다. 성인과 어린이 모두 나타날 수 있으나 성인 음낭수종과 어린이 음낭수종은 원인이 다르기 때문에 구분이 필요합니다. 개요-종류 음낭수종(hydrocele, 물음낭종)은 다양하게 분류합니다. 크게 비교통성 음낭수종(non-communicating hydrocele, 닫힌물음낭증), 교통성 음낭수종(com..

안면홍조 [내부링크]

개요-정의 안면홍조는 얼굴, 목, 상체가 달아오르는 느낌이 들면서 피부가 붉어지는 현상을 말하며, 이 때 발한이나 가슴 두근거림, 불쾌한 기분 등이 함께 나타날 수 있습니다. 피부가 장시간 동안 붉은 상태로 유지되는 홍반과는 달리, 안면홍조는 짧은 시간 동안에만 반복적으로 나타납니다. 피부가 붉어지는 것은 피부 밑 작은 혈관들의 수가 많아지거나 작은 혈관 속으로 흐르는 피의 양이 많아지기 때문입니다. 이러한 현상은 히스타민과 같이 혈관을 확장시키는 물질이 분비되거나, 피부 밑 혈관의 확장과 수축을 조절하는 자율신경이 활성화되어 나타나는 것입니다. 자율신경은 땀샘도 조절하기 때문에 자율신경이 활성화되어 나타나는 생리적인 홍조나 폐경 후 여성에서 나타나는 안면홍조는 땀을 동반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홍조가 주..

섬유근육통 [내부링크]

개요 통증은 기간에 따라 만성통증과 급성통증으로 나뉘고, 만성통증은 부위에 따라 만성전신통증과 만성국소통증으로 분류됩니다. 만성전신통증은 배꼽을 기준으로 신체의 상하와 좌우 부위에 전체적으로 걸친 통증이 3개월 이상 되는 경우를 의미합니다. 서구에서 전체 인구의 약 10%가량이 만성전신통증을 가지고 있고, 국내의 조사에서도 14%가량의 만성전신통증을 호소하는 환자가 있습니다. 이러한 만성전신통증이 있으면서 동반된 여러 증상이 있을 때, 그리고 그러한 통증이 설명되는 뚜렷한 이유가 없을 때 섬유근육통을 의심해 볼 수 있습니다. 개요-정의 섬유근육통이란 만성전신통증이 있으면서 수면장애, 인지장애, 피로감 등이 동반되는 질환으로, 통증의 역치가 낮아지는 ‘통각 과민’과 정상 자극을 통각으로 느끼는 ‘무해자극 ..

잇몸병 [내부링크]

개요 잇몸병(치주질환)은 치주조직에 생기는 염증성 질환을 말합니다. 치주란 치아를 둘러싸고 있는 조직을 말합니다. 치주조직에는 치아를 단단하게 잡아주는 치조골(잇몸뼈), 치아와 잇몸뼈를 연결하는 치주인대, 치아뿌리를 덮고 있는 백악질, 잇몸뼈를 덮고 있는 연조직인 치은으로 이루어집니다. 잇몸병(치주질환)은 소리 없이 진행되는 만성 질환으로, 증상이 나타난 후 치과를 찾았을 때 치료가 불가능한 경우가 많습니다. 주기적인 치주치료를 통한 치주질환의 예방은 건강한 잇몸을 유지하는 데 중요합니다. 개요-정의 잇몸병(치주질환)은 미생물 또는 미생물 집단에 의해 발생하는 치아 주위 조직의 염증성 질환입니다. 개요-종류 1. 치은염 잇몸병(치주질환)의 초기 상태를 치은염이라고 부릅니다. 잇몸의 염증이 연조직에만 국한..

구취 원인과 치료방법 [내부링크]

개요 구취(입냄새)는 인구의 약 50% 이상이 겪는 매우 흔한 건강문제입니다. 구취는 치명적인 질환이 아니고 통증을 유발하지도 않지만, 그로 인한 괴로움이 중증의 다른 질환 못지않게 크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구취는 일반적으로 나이가 들수록 증가하며, 생리 기간이나 임신 중 호르몬의 변화에 영향을 받아 증가하기도 합니다. 아침에 일어난 직후 혹은 공복이 오랫동안 지속되었을 때는 침 분비가 원활하지 않게 되는데, 이때 구강 세균의 활동이 활발해져 구취가 발생합니다. 이러한 구취는 생리적으로 발생하는 구취이며 일시적인 문제입니다. 그러나 생리적 구취를 넘어 자신이나 타인에게 불쾌감을 주고 지속되는 경우는 병적인 것으로 간주합니다. 구취로 인해 심리적인 문제가 발생하는 경우도 많으며 이로 인해 사회적인 관계 형..

간혈관종 [내부링크]

개요 혈관종은 간에서 생길 수 있는 가장 흔한 양성 종양입니다. 최근 영상 진단 장비의 발달로 더 작고 무증상인 혈관종이 많이 발견됩니다. 역학 및 통계 혈관종은 모든 연령에서 생길 수 있으나 30에서 50대에 가장 흔하게 발견되며, 남자보다 여자에게 더 흔하고 남녀 비율은 1:2에서 1:6 정도로 유병률은 영상 검사 기준으로 전체 인구의 약 5% 정도입니다. 증상 혈관종은 대부분 작고 무증상이며 우연히 발견되는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증상이 있는 경우, 복통 혹은 복부 불편감이 가장 흔하고 조기 포만감, 오심, 구토가 있을 수도 있습니다. 혈관종이 복부의 장기를 누르거나 밀어서 증상을 유발할 수도 있습니다. 간혹 출혈이나 혈전 등이 발생하기도 하고, 복강 내로 파열되어 복강혈이 발생하는 경우도 매우 드물..

간의 양성종양 [내부링크]

개요 간에 생기는 양성 종양으로는 간혈관종, 간선종, 간낭종, 국소성 결절 과형성, 담관낭선종 등이 있습니다. 간세포암종이나 간내 담관암종 등과 같은 악성 종양과는 달리 복부의 영상학적 검사에서 우연히 발견되는 경우가 대부분이며, 증상이나 합병증이 동반되지 않는 한 특별한 치료가 필요 없는 경우가 많습니다.임상적으로 간의 양성 병변과 악성 종양은 감별 진단이 어려운 경우가 있으며, 한 가지의 영상학적 검사로 간의 양성 병변을 확진할 수 있는 경우는 드물어 추가 검사가 필요합니다. 개요-종류 간혈관종, 간선종, 간낭종, 국소성 결절 과형성, 담관낭선종 외에 간내에 생길 수 있는 양성 종양으로는 간세포에서 유래하는 결절 재생 과형성(nodular regenerative hyperplasia)과 혈관 내피세포..

폐경기 증상 및 치료 [내부링크]

개요 폐경(menopause)은 여성에서 난소기능의 소실로 주기적으로 지속해 왔던 월경이 완전히 끝나는 현상입니다. 폐경기 전후로는 에스트로겐(estrogen) 및 프로게스테론(progesterone) 호르몬 양이 변하면서 다양한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폐경은 정상적인 노화 현상이지만, 적절히 대비하면 폐경기 증상을 감소시키고, 골다공증과 폐경기 관련 질병을 예방할 수 있습니다. 개요-정의 폐경(menopause)이란 월경이 완전히 끝나는 현상입니다. 40세 이상 여성에게 특별한 원인이 없이 1년 동안 월경이 없으면 폐경을 의심할 수 있고, 특히 폐경 증상이 동반된다면 쉽게 진단할 수 있습니다. 폐경기는 폐경 이후 남은 생의 기간을 뜻합니다. 이 기간에 난소에서는 여성호르몬이 거의 나오지 않습니다...

실어증 [내부링크]

개요-정의 갓 태어난 아이는 말을 할 줄 모릅니다. 시간이 지나가면서 쉬운 단어를 습득하고, 이를 입으로 소리 낼 수 있게 됩니다. 가족이나 친구들과 어울리면서 습득된 단어가 점차 늘어나고, 대화하는 법을 배우면서 언어기능을 발전시킵니다. 대부분 사람은 특별한 훈련이 없어도 가족이나, 친구 또는 주변 사람들과 대화를 하는데 어려움을 느끼지 못합니다. 하지만, 언어기능에 이상이 없던 사람이 여러 가지 병적인 원인으로 인해 말을 잘하지 못하던 상태로 돌아갈 수 있는데, 이것을 ‘실어증’이라고 합니다. 언어장애는 언어를 제대로 습득하지 못한 경우도 모두 포함하는 보다 넓은 범위의 용어입니다. 반면에, 실어증은 언어기능을 제대로 습득했던 사람이 뇌의 병변으로 인해 습득했던 언어기능을 소실한 경우만을 의미합니다...

사랑니 치료법 [내부링크]

개요-정의 사람은 사랑니를 포함하여 모두 32개의 치아를 가지고 있습니다. 사랑니는 치아 중에서 가장 나중에 나오는 어금니로 보통 10대 후반에서 20대 초반에 나오기 때문에 우리말로 사랑니, 한자로 '지치(智齒)' 영어로는 'wisdom tooth'라고 합니다. 세 번째로 나오는 어금니여서 '제3대구치'라는 전문용어도 있습니다. 인류학자들에 따르면 인간의 뇌 활동이 계속 증가하면서 악골(턱뼈)의 크기가 감소하고 뇌의 용적이 커지고 있습니다. 최근에는 씹는 기능을 크게 요구하지 않는 부드럽고 정제된 음식이 많아져 이런 추세가 가속화되고, 강력한 저작 기관의 필요성이 줄어듭니다. 현재 대부분의 문명화된 민족에서는 턱뼈 크기와 치아 크기 사이의 부조화로 인해 사랑니가 없는 경우가 30% 정도입니다. 사랑니가..

거부반응과 면역억제제 [내부링크]

개요 1. 장기이식과 면역반응 장기이식이란 환자의 장기가 망가져서 더 이상 기능을 하지 못하고 기존의 치료법으로 치료가 불가능한 말기 질환자의 장기에 대해서, 다른 사람의 장기를 이식하여 대체함으로써 그 기능을 회복시키는 치료법입니다. 장기이식의 개념은 오래전부터 의학자들이 가지고 있었지만, 수술 이후 환자의 면역체계가 이식한 장기를 공격해서 죽이는 '거부반응'이라는 거대한 장벽이 장기이식의 실현을 가로막고 있었습니다. 우리 몸의 면역체계는 외부에서 침입한 이물질이나 병원균(병의 원인이 되는 균)에 대항하여 우리 몸을 보호하는 역할을 하는데 일반적으로 자신의 몸을 구성하는 물질들은 자신의 몸으로 인식하여 공격하지 않습니다. 하지만, 외부에서 들어온 물질들은 외부물질로 인식하고 이 외부물질을 공격하고 물리..

자궁근종 [내부링크]

개요 1. 자궁의 해부학적 구조 자궁은 방광과 직장 사이의, 여성의 하복부에 위치하는 조롱박 혹은 서양배 모양의 생식기관입니다. 자궁은 내부가 비어 있는 두꺼운 근육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길이는 약 7.5cm, 폭은 약 5 cm, 그리고 두께는 약 2.5cm 정도로 사람의 손바닥 정도 크기입니다. 자궁내부의 빈 공간, 다른 말로 자궁내강(內腔)은 앞뒤로 납작한 삼각형의 틈새 공간으로서, 위쪽으로는 난관을 통하여 골반강과 연결되며, 아래쪽으로는 자궁경부를 통하여 질과 연결됩니다. 양쪽난관 끝에는 난소가 위치하는데, 배란일이 되면 난소에서 난자가 배란되어 난관 안으로 들어가게 되며, 난관 안에서 난자와 정자와 만나 수정이 이루어지면 수정란은 자궁 내로 이동해 자궁벽에 착상됩니다. 자궁경부는 자궁의 아래쪽에 ..

켈로이드 [내부링크]

개요 피부에 상처가 생긴 후 개인의 피부 특성에 따라 흉터가 남기도 합니다. 흉터의 정도는 처음 상처에 의해 결정되는 경우가 많지만, 종종 과도하게 흉터가 커지거나 모양이 두드러지기도 합니다. 켈로이드란 피부손상 후 발생하는 상처치유 과정에서 비정상적으로 섬유조직이 밀집되게 성장하는 질환으로 본래 상처나 염증발생 부위의 크기를 넘어서 주변으로 자라는 성질을 갖고 있습니다. 켈로이드(keloid)라는 용어는 1806년 Alibert가 처음 사용하였으며, cheloide는 게의 집게발을 의미하는 그리스어인 chele에서 유래하였습니다. 켈로이드는 상처치유 과정을 적절하게 조절하고 억제하는 기능의 장애에 의해서 발생하는 것으로 악성화 되지는 않습니다. 켈로이드는 미용적인 문제를 일으킬 뿐만 아니라 침범 범위가..

소아발진 [내부링크]

개요 다양한 질환에 동반되는 피부 발진은 그 자체가 특정 진단명이 아니라 하나의 증상입니다. 발진의 원인은 감염 질환(바이러스, 세균 및 진균[곰팡이] 등), 알레르기 질환, 자극 물질 접촉 등 다양합니다. 소아에서 발진은 비교적 흔하게 관찰되며, 대부분 큰 문제가 되지 않습니다. 본 지면에서는 소아에서 감염 질환과 관련된 몇 가지 피부 발진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개요-정의 '발진'이란 피부의 정상적인 모습과 달리 피부의 색깔이 변하거나 부어오른 병변을 의미합니다. 개요-종류 - 발진은 모양, 크기, 색상, 질감 등에 따라 반점, 구진, 수포 등으로 다양하게 분류됩니다. - 반점은 크기가 1 cm 미만으로 피부 색깔 변화만 있는 병변입니다. 편평한 병변으로 만졌을 때 피부가 두꺼워져 있거나 피부결의 변..

골다공증 [내부링크]

개요 뼈는 성장이 멈춰 있는 조직이 아니라 평생 지속적으로 생성과 성장, 흡수의 과정을 반복하며 변하는 장기입니다. 1년마다 10%의 뼈가 교체되고 10년이 지나면 우리 몸의 뼈는 모두 새로운 뼈로 교체됩니다. 사춘기에 성인 골량의 90%가 형성되고, 35세부터 골량이 서서히 줄어들다가 여성의 경우 50세 전후에 폐경 되면서 매우 빠른 속도로 골량이 줄어드는데, 폐경 후 3~5년 동안 골량의 소실이 가장 빠르게 일어납니다. 개요-정의 '골다공'은 뼛속에 구멍이 많이 생긴다는 뜻으로, 골다공증은 뼈의 강도가 약해져 쉽게 부러지는 질환을 의미합니다. 뼈의 강도는 뼈의 질과 양에 의해서 결정됩니다. 뼈의 질에 영향을 주는 요소로는 뼈의 구조, 미세 손상, 교체율, 무기질 정도 등이 있습니다. 현재까지는 뼈의 ..

구강건조증 [내부링크]

개요 구강건조증(xerostomia)은 입이 마른다고 느끼는 주관적인 증상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객관적인 타액(침) 분비 저하가 없어도 생길 수 있으며, 타액 성분에 변화가 있어도 증상이 유발된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개요-정의 타액선, 즉 침샘은 이하선, 악하선, 설하선 및 소타액선으로 구성됩니다. 이하선(귀밑샘), 악하선(턱밑샘), 설하선(혀밑샘)은 좌우에 각각 한 개씩 위치합니다. 이하선은 타액을 양측 볼 점막내 개구부로 분비하고, 악하선은 혀 밑의 개구부로, 설하선은 여러 개의 작은 관을 통해 혀 밑의 넓은 부위로 분비합니다. 소타액선은 구강 곳곳에 무수히 많이 존재하며 각각 독립된 관을 통해 구강으로 타액을 분비합니다. 타액은 입안과 전신 건강을 유지하는 데 매우 중요한 기능을 합니다. 입안에 타..

입냄새 [내부링크]

개요-정의 입냄새란 구강 및 인접 기관에서 유래하는 냄새로서 일반적으로 타인이나 자신에게 불쾌감을 주는 악취를 말합니다. 학술적인 의미상으로 입냄새를 세분화하여 지칭하는 용어는 따로 있지만 현재는 혼용되어 쓰이고 있습니다. 개요-종류 입냄새는 크게 생리적인 입냄새, 병리적인 입냄새, 주관적인 입냄새로 나누어 볼 수 있습니다. 생리적인 입냄새는 일상적인 생활 속에서 정상적으로 발생하는 것이며, 병리적인 입냄새는 구강과 전신 상태에 이상이 생겨 발생하는 것입니다. 마지막으로 주관적인 입냄새는 어떤 검사에서도 이상 소견이 없음에도 불구하고 본인 스스로 입냄새가 난다고 느끼며 심리적으로 위축된 경우입니다. 1. 생리적 입냄새 입냄새 발생에 있어 먼저 알아두어야 할 것은 침의 항균 작용입니다. 침 속에 있는 리소..

만성비염 [내부링크]

개요 비염은 다양한 원인에 의해 코점막에 염증이 있는 상태를 말하는데 코막힘, 콧물, 재채기, 가려움증, 후비루 등을 특징으로 합니다. 일반적으로 증상이 오래되지 않은 경우를 급성 비염, 오래 지속되는 경우를 만성 비염이라고 합니다. 만성 비염은 정확한 의학적 진단명이 아니라 여러 종류의 비염을 포괄하는 일반 용어라고 할 수 있습니다. 개요-정의 비염은 정의상 코점막에 염증이 생겨 코막힘, 비루(콧물), 재채기, 코 가려움증 중 하나 이상의 증상이 2일 이상, 하루 1시간 넘게 지속되는 경우를 말합니다. 일반적으로 알레르기 여부에 따라 알레르기 비염(allergic rhinitis)과 비알레르기 비염(non-allergic rhinitis)으로, 지속 기간에 따라 급성 비염(acute rhinitis)과..

유행각결막염 [내부링크]

개요 결막은 눈꺼풀의 안쪽과 안구의 가장 바깥쪽을 덮고 있는 얇고 투명한 점막으로 눈물의 점액층을 생성하고, 안구 표면을 보호하는 면역기능에 관여하며, 미생물 등의 외부 물질로부터 눈을 보호하는 기능을 합니다. 각막 및 결막 등 안구표면조직은 외부로 노출되어 있어, 세균, 진균, 바이러스 등 여러가지 미생물에 감염되어 염증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유행각결막염(epidemic keratoconjunctivitis)은 주로 아데노바이러스에 의해 생기는 바이러스각결막염이며 전염력이 강하기 때문에 안과적으로 중요한 질환 중의 하나입니다. 개요-정의 유행각결막염은 아데노바이러스에 의해 발생하는 각막과 결막의 염증을 지칭합니다. 여러 아형의 아데노바이러스가 결막 상피세포 내에서 증식하면서 여포성 결막염증을 유발하고..

바렛 식도 [내부링크]

개요-정의 바렛 식도는 식도의 정상적인 편평상피세포(납작한 형태)가 원주상피세포(키가 큰 형태)로 바뀌는 것으로 위식도역류질환 합병증의 한 형태입니다. 원주상피세포와 특수 장상피화생(Specialized intestinal metaplasia) 등 특징적인 현미경 소견이 존재해야 진단할 수 있기 때문에 조직검사 없이 내시경 소견만으로 진단하는 것은 아닙니다. 개요-원인 바렛 식도는 기능적으로 식도에서 위로 역류를 유발하는 변화가 생기면서 그로 인해 역류된 음식물 및 분비물에 의해 식도 방어 기전이 약해지면 발생합니다. 식도의 정상적인 역류 방지 기능은 하부 식도의 괄약근 외에도 횡격막 다리, 그리고 횡격막 구멍 아래에 위치하는 위식도 연결부위가 담당합니다. 보통 위에서 식도로의 역류는 하부 식도 괄약근과..

심낭염 [내부링크]

교착 심낭염 개요-정의 교착 심낭염은 급성 심낭염이나 만성 심낭삼출이 치유되는 과정에서 심장막이 서서히 섬유화되면서 비후되고, 때로는 석회화되고 수축되어 심장이 탄성을 잃은 상태를 의미합니다. 이로 인해 심장이 정상적으로 수축은 하지만 적절히 이완을 하지 못하게 됩니다. 개요-원인 교착 심낭염은 급성 심낭염을 일으킬 수 있는 어떤 원인에 의해서도 발생할 수 있습니다. 현재 관상동맥 우회로 수술 이후에 생기는 심낭염과 방사선 치료에 따른 교착 심낭염이 가장 많은 빈도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정확한 통계는 없으나 우리나라의 경우 아직까지 결핵이 주요한 원인 중 하나를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습니다. 이외에도 결체조직 질환, 암, 감염 등에 의해서도 교착 심낭염이 유발됩니다. 증상 양팔과 다리의 부종과..

세기관지염 [내부링크]

개요 세기관지염은 기관지 맨끝 부분인 세기관지의 급성 염증성 질환으로 주로 바이러스 감염에 의해 발생합니다. 기관지의 구조와 기능이 미성숙한 2세 이전에 주로 발생하는데, 특히 돌 전후로 발생 빈도가 높으며, 입원의 가장 흔한 원인입니다. 특정 기저 질환을 가진 어린이는 호흡곤란이 심할 수 있고, 면역력이 부족한 6개월 이하의 영아는 빠르게 악화될 수 있어 주의 깊은 관찰과 적절한 치료가 중요합니다. 개요-원인 세기관지염은 대부분 바이러스 감염에 의해 발생합니다. 가장 흔한 원인 바이러스는 호흡기세포융합 바이러스(Respiratory syncytial virus, RSV)로 전체 원인의 50~75%를 차지합니다. 파라인플루엔자 바이러스,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리노바이러스, 아데노바이러스 등의 바이러스와 ..

성조숙증 [내부링크]

개요-정의 성조숙증이란 사춘기 발달이 같은 또래의 아이들보다 비정상적으로 빠른 경우를 의미합니다. 국내에서는 일반적으로 여아의 경우 8세 이전에 유방발달이 시작되는 경우, 남아의 경우 9세 이전에 고환이 커지기 시작하는 경우로 정의됩니다. 그러나 정확한 진단을 위해 2차 성징이 시작되는 연령에 대한 각 나라별, 인종별, 시대별 정상치가 필요하며, 최근 세계적으로 사춘기의 시작 시기가 여아의 경우 과거에 비해 더 빨라지는 추세를 보입니다. 여아가 남아에 비해 1.5세 정도 먼저 사춘기가 시작하며 키 성장 폭은 20-25cm 정도 됩니다. 남아의 경우 여아에 비해 사춘기가 1~2년 늦게 시작하며 키 성장 크기는 25-30cm 정도로 여아보다 더 커서, 최종신장은 평균 남자가 여자에 비해 12cm 정도 더 큽..

우울감 [내부링크]

개요 ∙ 우울감이란 기분의 저하와 함께 생각의 형태나 흐름이나 내용, 동기, 의욕, 관심, 행동, 수면, 신체활동 등 전반적인 정신기능이 저하된 상태를 말합니다. ∙ 우울증의 발생에는 유전, 신경생물학적 요인, 심리사회적 요인, 신체질환에 의한 요인 등으로 생길 수 있습니다. 개요-정의 1. 정신의학에서 말하는 우울한 상태란 일시적으로 기분만 저하된 상태를 뜻하는 것은 아닙니다. 기분 저하와 함께 생각의 내용이 우울해지고 생각의 속도도 느려져 아이디어가 떠오르지 않고 대개 식욕, 성욕, 수면이 감소하지만 때로는 수면 과다나 식욕증가가 나타나기도 합니다. 2. 우울 삽화란 기분의 저하와 함께 전반적인 정신 및 행동의 변화가 나타나는 일정 기간을 의미합니다. 삽화(에피소드)라는 용어는 증상이 존재하는 시기와..

두통 [내부링크]

개요 두통은 전체 인구의 70~80%가 경험하는 매우 흔한 증상입니다. 두통이 생기면 많은 사람들이 혹시 뇌에 문제가 생긴 게 아닐까 염려하기도 하지만, 실제로 심각한 질병이 원인인 경우는 드뭅니다. 개요-종류 두통은 크게 다른 원인 없이 생기는 원발두통과 다른 질환에 의해 일어나는 이차두통으로 나눕니다. 원발두통에는 긴장두통, 편두통 및 군발두통이 있고, 이차두통에는 머리나 목의 외상이나 질병에 의한 두통과 약물을 너무 많이 복용했거나(과용) 또는 약물의 갑작스러운 중지로 인한(금단) 두통 등이 있습니다. 여기에서는 주로 원발두통 위주로 설명하겠습니다. 개요-병태생리 긴장두통이 일어나는 기전은 명확히 밝혀지지는 않았지만, 머리 주변의 통증 감각이 예민해지고 근육이 긴장되어 있고 누르면 통증이 발생하는 ..

여드름 [내부링크]

개요 여드름은 주로 얼굴, 목, 가슴, 등, 어깨 부위에 면포, 구진, 고름물집, 결절, 거짓낭 등이 발생하는 염증성 피부질환입니다. 여드름은 대개 10대 초반에 발생하나, 20대 전후에 증상이 심해질 수도 있으며, 30대와 40대 성인에게도 발생할 수 있습니다. 치료를 하지 않아도 보통 수년 후에 없어지지만 치료하지 않을 경우 영구적인 흉터를 남길 수 있어 미용적인 문제가 되며, 생명을 위협하는 병은 아니지만 환자에게 심리적인 부담을 줍니다. 따라서 평상시에 여드름이 생기지 않게 하기 위한 피부 관리를 하는 것과 여드름의 치료에 관심을 가지는 것이 중요합니다. 개요-종류 일반적으로 여드름을 발생 시기에 따라 다음과 같이 분류할 수 있습니다. 1. 신생아 여드름 태반을 통해 산모로부터 전달된 호르몬에 의..

어지럼 증상에 좋은 음식 [내부링크]

어지럼 증상은 여러 가지 원인에 의해 발생할 수 있으며, 음식은 이 증상을 완화시키는 데 일부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 다음은 어지럼 증상을 완화시킬 수 있는 몇 가지 음식에 대한 자세한 설명입니다. 생강: 생강은 오래 전부터 소화 장애, 멀미, 어지럼 등을 완화시키는 데 사용되어온 효과적인 자연 요법입니다. 생강은 항염증 작용과 항구토 작용을 갖고 있으며, 내부 오르가니즘의 혈액순환을 촉진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어지럼 증상을 완화시키기 위해 생강을 다양한 방식으로 섭취할 수 있습니다. 생강 차를 마시거나, 생강을 첨가한 요리를 섭취하는 등의 방법을 시도해보세요. 바나나: 바나나는 많은 영양소를 함유하고 있는 과일로, 어지럼을 완화시키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바나나는 칼륨, 비타민 B6, 식이섬..

유루증 [내부링크]

개요 유루증은 프로락틴(젖분비호르몬)이라는 호르몬이 비정상적으로 증가할 때 생기게 됩니다. 프로락틴은 유즙을 분비하고 유지하며 생식 기능과 성욕을 감소시키므로, 궁극적으로는 수유를 유지하고 임신을 억제하는 작용을 합니다. 프로락틴은 여성과 남성 모두에서 시상하부와 뇌하수체에서 분비되는 생식샘자극호르몬 방출호르몬과 성선자극호르몬 분비를 억제하는데, 이에 따라 난소와 고환의 생식 기능이 떨어지게 됩니다. 혈액 내 프로락틴은 임신 중에는 정상의 수십 배 정도까지 증가하며, 출산 후 2주 이내에 급격히 감소합니다. 모유 수유 중에는 혈액 내 프로락틴 수치가 계속 증가하는데, 아기가 젖을 빨 때 엄마 뇌의 시상하부를 자극하여 프로락틴 생산이 증가하기 때문이며, 이러한 효과는 약 30~45분 정도 지속됩니다. 모유..

아동 언어장애의 진단과 치료 [내부링크]

개요 1. 정상 언어발달 과정 1) 낱말과 말의 구조 발달에 따른 언어발달 (1) 10개월~12개월: 첫 낱말을 말하기 시작함. 이해하고 있는 낱말은 20여개 이상(엄마, 아빠, 아가, 야옹이, 물, 우유, 까꿍 등) (2) 18개월: 50개에서 100개 정도의 낱말이나 어구를 표현할 수 있음 (3) 18개월~2세: 평균 100개에서 200개 낱말을 말함. 두 낱말 조합(엄마 우유, 이거 까까 등)이 가능함 (4) 3세: 주어+목적어+서술어 등 3개의 구문구조를 사용함(엄마 빵 먹어, 던져서 공 받구 등) 개요-종류 의사소통을 위하여 언어를 사용하고 이해함에 있어서의 결함으로, 다른 발달 영역(인지, 사회성, 운동)에 비하여 언어영역의 발달에 현저한 장애가 있는 것을 말합니다. 한편, 언어발달지체란 정상..

어지럼 증상 [내부링크]

개요 어지럼증은 누구나 한번은 겪을 수 있는 흔한 증상으로 일생동안 20~30%의 사람이 어지럼증을 경험하게 됩니다. 연령의 증가에 따라 어지럼증의 발생빈도는 증가해 60세 이상에서는 5세가 증가할 때마다 어지럼증의 유병률이 10% 증가한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증상: 환자들은 본인 또는 주변이 돌거나 한쪽으로 밀리는 느낌, 붕 뜨거나 멍한 느낌, 머리가 무거운 느낌 등으로 다양하게 표현합니다. 예를 들면, 한 방향으로 지속된 회전을 한 뒤, 런닝머신(트레이드밀) 위에서 운동을 하고 난 뒤, 또는 배를 타거나 트램폴린 위에서 걷다가 땅으로 내려온 뒤에 느끼는 감각입니다. 이해: 위에 기술한 증상은, 우리가 움직임이 없이 가만히 있을 때 회전하거나 이동하는 느낌을 받거나, 움직임 중에 평소와는 다르게 움직이..

얼굴마비 (중추성 마비) [내부링크]

개요 얼굴신경마비(안면신경 마비)는 크게 중추성과 말초성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인체의 모든 근육은 반대쪽 뇌의 지배를 받는데 얼굴 근육도 예외는 아닙니다. 뇌 속에서 얼굴 근육으로 연결되는 신경이 지나가는 통로에 이상이 발생하여 얼굴신경마비가 오는 것을 중추성 얼굴신경마비라고 하고, 얼굴신경이 뇌에서 빠져 나온 이후의 경로에 이상이 발생하여 마비가 오는 것을 말초성 얼굴신경마비라고 합니다. 개요-원인 급성 중추성 얼굴신경마비의 주원인으로는 뇌졸중(뇌경색증, 뇌출혈 등)이 있으며, 이 경우 얼굴신경마비 이외에 상하지 편측 마비나 감각저하, 언어장애, 행동장애, 시야장애, 조화운동불능(운동실조) 등의 다른 증상을 동반하는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뇌졸중 외에도 뇌종양, 뇌염이 있는 경우에서 뇌실질 내의 얼굴신..

이명 증상과 원인 및 치료방법과 예방 [내부링크]

개요-정의 이명이란 실제로 외부에서 나는 소리가 없음에도 머리나 귀에서 소리가 들린다고 느끼는 증상입니다. 환자들은 '윙~', '쐬~'하는 소리, 매미 우는 소리, 바람 소리로 표현하는 경우가 많고, 일부는 이런 소리가 혼합되어 들린다고 호소합니다. 이명은 타각적 이명(objective tinnitus)과 자각적 이명(subjective tinnitus)으로 구분합니다. 타각적 이명은 혈류나 근육의 경련 같은 체내의 소리가 몸을 통해 귀에 전달되어 들리며, 검사자도 그러한 소리를 들을 수 있습니다. 자각적 이명은 검사자는 들을 수 없고 환자 본인만 소리가 들린다고 느끼는 경우를 말합니다. 자각적 이명은 환청과는 다릅니다. 환청은 음악이나 목소리처럼 의미가 있는 소리가 들리는 증상이며, 조현병과 같은 정신..

신증후군출혈열 증상 및 원인, 치료방법 [내부링크]

개요 신증후군 출혈열은 흔히 '유행성 출혈열', '한국형 출혈열' 이라는 이름으로 알려져 있으며, 국내에서는 주로 늦가을에 유행하는 풍토 발열 질환입니다. 전 세계적으로 매년 약 150,000 명이 발생할 정도로 공중보건학적으로 큰 문제가 되고 있습니다. 신증후군 출혈열은 발열, 고열, 신부전, 출혈을 특징으로 하는 급성 발열 질환으로 한타바이러스 (Hantavirus) 속 (Genus)에 속하는 한탄 바이러스 (Hantan virus), 서울 바이러스 (Seoul virus) 등에 의해 발생하고 사망률은 5-15%로 알려져 있습니다. 한탄바이러스는 설치류 (등줄쥐, 집쥐, 땃쥐)에서 만성 감염을 일으키고, 감염된 설치류의 분변, 소변, 타액 등으로 배출되어 공기 중에 건조된 바이러스가 호흡기를 통해 전..

당뇨 [내부링크]

개요 소변검사에서 당이 나오는 경우를 당뇨라고 합니다. 당은 우리 몸의 주요 에너지원 중의 하나입니다. 인슐린 호르몬은 혈액 내의 당을 세포로 이동하여 사용할 수 있게 도와주는 역할을 합니다. 일반적으로 혈액에서 당이 180 mg/dL가 넘지 않으면, 혈액 내의 당은 콩팥의 사구체를 통해 여과되었다가, 요세관에서 모두 재흡수 됩니다. 따라서 정상인의 소변검사에서는 당이 나오지 않습니다. 혈액 내에 당이 180 mg/dL 이상 높은 경우, 요세관에서 재흡수 할 수 있는 범위를 넘어서기 때문에, 소변으로 당이 배출됩니다. 당뇨병 환자인 경우라도 혈당이 180 mg/dL 이하로 잘 조절되는 경우에는 소변검사에서 당이 나오지 않습니다. 반대로 혈당이 정상인 경우에도 요세관에 손상이 있어 당을 재흡수하지 못하는 ..

갈색세포종 [내부링크]

갈색세포종 개요 우리 몸은 스트레스를 받으면 교감신경계가 활성화되어 위급한 상황에 대처할 수 있도록 여러 가지 반응이 일어나는데, 심박동, 호흡속도의 증가나 혈관 수축, 위ㆍ장의 움직임 저하, 방광이완 등이 이에 해당합니다. 이런 반응이 나타내게 하는 것은 카테콜아민이라는 물질인데 이는 부신 또는 부신 밖의 교감신경절에서 합성되며 분비됩니다. 부신에 카테콜아민을 분비하는 종양이 생기면 갈색세포종, 부신 밖의 교감신경절 혹은 부교감신경절에 종양이 생기는 경우는 부신경절종이라고 합니다. 특징적으로 카테콜아민 분비가 증가되어 생기는 두통, 땀이 나고 가슴이 두근거리는 등의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우리 몸의 신장 위쪽에 밀착해 있는 부신은 너비 2cm, 길이 5cm, 두께 1cm, 중량 4g 인 작은 기관..

알츠하이머 치매 [내부링크]

치매란 무엇인가 노화와 관련된 인지 장애는 기원전부터 기술되기 시작했습니다. 과거에는 어쩔 수 없는 노화의 한 과정으로 생각되어오던 인지 장애는 점점 일반적인 노화와는 분리되어 이해되기 시작했고, 현대 사회에서는 치매의 예방과 치료를 위해 많은 연구들이 끊임없이 진행되고 있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아직도 많은 사람들이 치매는 늙으면 어쩔 수 없이 오는 상태이고 병원에 가서 검사하거나 치료를 받을 필요가 없다고 포기해 버리는 경우가 있습니다. 하지만 치매는 분명히 정상적인 노화가 아닌 질병이고 치료가 필요한 질병입니다. 치매는 여러 분야의 인지 영역에서 확인되는 기능의 감퇴가 나타나 이로 인해 일상생활에 장해가 발생한 상태로 주요신경인지장애라고도 불립니다. 이때 이러한 증상은 섬망이나 다른 정신질환에 의..

인두편도염 [내부링크]

개요 인두는 코의 뒷벽부터 목젖 부위를 거쳐 식도의 바로 윗부분까지를 가리키는 말로, 우리 몸에서 외부와 가장 빈번하게 접촉하는 기관 중 하나입니다. 편도는 인두의 양쪽에 존재하는데 아데노이드와 함께 면역을 담당합니다. 세균, 바이러스 등의 병원체 외에도 담배 연기, 대기 오염, 알레르겐, 뜨겁거나 자극적인 음식, 알코올 등이 인두나 편도에 염증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개요-정의 인두편도염은 인두와 편도에 염증이 생긴 상태를 가리킵니다. 3세 이하에서는 대개 바이러스에 의해 생기나, 5세 이상에서는 30~40%에서 그룹 A 연쇄상구균 등 세균이 원인이 됩니다. 원인 병원체에 따라 증상이 달려져 인두나 편도가 빨갛게 부어 오르거나 출혈 반점이 생기는 경우도 있고, 흰색 삼출성 막이 끼거나, 수포성 물집 같..

요실금 [내부링크]

개요-정의 요실금(Incontinence)은 본인의 의지와 상관없이 방광에서 소변이 새어 나와 사회적 또는 위생적으로 문제가 발생하는 증세를 말합니다. 국제요실금학회(International Continence Society)는 소변이 새는 증상, 소변이 새어 묻어나온 모습, 원인이 되는 방광 신체의 상태로 나누어 요실금을 구분하고 있습니다. 보통 건강에 지장을 주지는 않지만, 생활을 매우 불편하게 만드는 병입니다. 이렇게 삶의 질을 매우 저하시킴으로써 사회적 암(Social cancer)이라고 부르기도 합니다. 개용-종류 요실금은 주로 원인에 따라 분류합니다. 1.복압 요실금(Stress urinary incontinence) 여성 요실금의 가장 흔한 종류입니다. 배에 힘이 들어가면 배의 압력이 증가하..

평발(편평족) [내부링크]

개요 평발은 가장 흔한 발의 변형으로, 어떤 질환을 가리키는 것이 아니라 발의 모양을 묘사한 용어입니다. 평발의 증상은 전혀 없을 수도 있고, 보행 장애를 유발하는 관절 굳음(강직)이나 발의 심한 변형까지 다양하게 나타날 수 있습니다. 증상이 없는 환자는 대부분 치료가 필요 없으나, 발을 자주 삐거나 발의 심한 변형으로 인해 보행장애 혹은 피부변형 등이 있는 경우에는 적극적인 치료가 필요합니다. 개요-정의 평발이란 발바닥의 안쪽 아치(arch)가 비정상적으로 낮아지거나 소실되는 변형입니다. 개요-종류 1. 유연성 편평족 유연성 편평족은 체중부하(자신의 신체에 실리는 몸무게)를 하였을 때 족저부가 편평해지고, 체중 부하를 하지 않았을 때 아치가 나타나는 경우로 정의합니다. 소아에서 확인되는 평발의 대부분이..

경부 종괴 [내부링크]

개요 목에서 만져지는 혹(경부 종괴)의 정확한 진찰을 위해 목의 정상적인 구조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목의 가장 두드러지는 구조물은 목의 중앙에 위치하는 설골(그림 참조), 갑상연골, 환상연골, 기관 및 목의 양측에 위치하는 목빗근입니다. 남성에서는 흔히 목젖으로 알려져 있는 갑상연골이 가장 잘 만져지는 구조물이지만, 여성에서는 환상연골이 가장 잘 만져지는 구조물입니다. 목빗근은 목 중앙의 가장 아랫부분인 복장 패임(Sternal notch)에서 시작하여 양쪽으로 나누어져 양쪽 꼭지돌기까지 이어지는 근육으로, 목을 앞쪽삼각과 뒤쪽삼각으로 나누는 중요한 구조물이며 머리를 회전시키거나 목을 굽히는데 필요한 가장 중요한 근육입니다. 목동맥은 설골 위치의 양쪽 목빗근 앞쪽 경계 부분을 손으로 만졌을 때 맥이 뛰..

외상성 척추손상 [내부링크]

개요 척추는 우리 몸의 중심을 이루고 기둥의 역할을 수행하는 기관으로 위쪽으로는 머리를 받치고, 아래쪽은 골반으로 연결되어 있습니다. 척추뼈는 경추 7개, 흉추 12개, 요추 5개, 천추 5개, 미추 4개 등 총 33개의 척추 뼈로 이루어져 있으며, 성인이 되면 천추와 미추는 하나로 합쳐져 천골과 미골을 형성하게 됩니다. 척추 주변 근육은 척추를 지지하고 척추의 움직임이 가능하게 하며, 척추에는 7종류의 인대가 있어 척추가 움직이는 동안 안정성을 유지시켜 주는 역할을 합니다. 척추의 중요한 기능 중 하나가 척수 신경을 보호하는 역할입니다. 척추뼈에는 뼈로 둘러싸인 척추강이라는 구조가 있어 이 안으로 지나는 척수 신경을 충격으로부터 보호합니다. 척추는 우리 몸을 지탱하는 긴 구조물이며, 신체의 무게를 지탱..

전립선비대증 [내부링크]

전립선비대증 개요 전립선은 방광의 아래 부분에서 요도를 반지처럼 감싸고 있으며, 정액을 생산하여 요도를 통해 배출시키는 남성의 생식기관입니다. 전립선은 골반 깊숙이 위치하고 있으며, 바로 뒤쪽으로는 직장이 자리를 잡고 있습니다. 정액의 약 60%는 정낭에서, 약 30%는 전립선에서, 나머지 5% 정도는 요도에서 생산되는 분비물로 구성되며, 고환에서 생산되는 정자는 정관을 타고 이동하여 정관의 팽대부에 모여 있다가 남성이 사정할 때 전립선액과 정낭의 분비물 등과 함께 섞여서 요도를 따라 배출됩니다. 개요-정의 젊은 남성의 전립선은 호두알 정도의 크기이며 나이가 들수록 크기가 점점 커지는데, 그 정도가 심해지면 전립선 내부를 지나가는 요도를 눌러서 각종 증상을 일으키는데 이것을 전립선비대증’이라고 합니다. ..

골감소증 [내부링크]

개요 뼈는 몸의 구조를 유지하고 내부 장기를 보호할 뿐만 아니라 체내 칼슘을 저장하고 골수에서 조혈기능을 담당하는 중요한 기관입니다. 개인의 골밀도는 최대 골량과 골밀도 소실 정도에 따라 다른데 골구조와 골교체율, 골손상, 무기질화 정도에 따라 결정됩니다. 보통 약 20-30세에 일생 중 최대 골량을 형성하게 되지만 이후 노화와 함께 불가항력적으로 점차 뼈의 양은 줄어들고 미세구조에 변화가 생기면서 골밀도는 감소하기 시작합니다. 특히 여성의 경우 폐경기에 여성호르몬이 갑자기 감소함에 따라 뼈의 양이 급격히 감소하게 됩니다. 따라서 젊은 시절부터 적절한 최대 골량을 형성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며 폐경 여성에서는 적절한 뼈의 양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또한 대부분 골밀도 저하 자체만으로는 특별한 증상이 ..

알레르기결막염 증상과 원인 및 치료 방법 [내부링크]

개요 결막은 눈꺼풀의 안쪽과 안구의 가장 바깥쪽을 덮고 있는 얇고 투명한 점막으로 해부학적으로는 세 부분으로 구분합니다. 눈꺼풀판 안쪽을 덮고 있는 눈꺼풀판결막(눈꺼풀결막), 안구 앞의 흰자위에 해당하는 공막을 덮고 있는 눈알결막, 그리고 이 두 부위를 연결하는 구석결막이 그것입니다.결막의 역할은 눈물의 점액층을 생성하고, 안구 표면을 보호하는 면역기능에 관여하며, 미생물 등의 외부 물질로부터 눈을 보호하는 것입니다. 결막은 외부에 노출되어 있기 때문에 먼지, 꽃가루, 약품, 화장품 등 수많은 물질에 의해 염증이 발생할 수 있으며 외부 물질에 의한 과민반응으로 나타나는 결막염을 알레르기결막염이라 합니다. 개요-정의 알레르기반응은 외부 물질(알레르기항원)에 우리 몸의 면역계가 과도하게 반응하는 것으로 선천..

백내장 [내부링크]

개요 사람의 눈은 카메라와 매우 유사한데, 외부에서 들어온 빛은 카메라의 렌즈에 해당하는 각막과 수정체를 통과하여 필름에 해당하는 망막에 영상을 맺게 됩니다. 망막에 도달한 빛은 전기신호로 바뀐 후, 시신경을 통해 우리 뇌의 시각피질로 전달됩니다. 이러한 과정이 모두 원활하게 작동해야 물체의 영상을 뚜렷이 인식하고 좋은 시력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 백내장이란 카메라의 렌즈에 해당하는 눈 속의 수정체가 어떤 원인에 의해 뿌옇게 혼탁해져서 시력장애가 발생하는 질환이며, 백내장이 발생한 위치와 정도에 따라 다양한 모습으로 보입니다. 백내장 환자는 수정체가 뿌옇게 혼탁해져 빛이 망막에 정확히 초점을 맺지 못하고 흩어지므로 마치 흐린 유리창을 통해 외부를 바라보는 것처럼 시력이 떨어집니다. 백내장은 유전적인 원인..

눈 충혈 [내부링크]

개요 눈 충혈 또는 ‘빨간눈’은 흰색인 공막을 배경으로 하여 공막 위의 투명한 조직인 결막의 혈관이 확장 또는 증식하여, 흰 눈동자가 빨갛게 보이는 상태를 단순히 묘사하는 용어입니다. 한편, 결막의 혈관이 터져서 결막밑출혈이 발생한 경우에도 눈 충혈이라고 표현하는 경우가 있는데, 엄밀히 말하면 결막밑출혈은 충혈과는 다른 원인에 의해 발생하며, 다른 양상을 가지고 있습니다. 따라서 일반적인 눈 충혈은 결막밑출혈이 아닌 결막의 혈관 확장 또는 증식이 나타난 상태를 의미합니다. 이러한 눈 충혈이 있을 때에는 충혈의 원인을 파악하고 이를 빨리 치료하여야 하며, 단순히 충혈만을 완화시키는 치료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개요-원인 눈이 충혈된다는 것은 결막 혈관이 확장되거나 증식했음을 의미합니다. 혈관이 확장 또는 증..

직장염 [내부링크]

개요-정의 직장(Rectum)은 대장의 가장 끝부분이자 항문의 바로 윗부분에 위치한 기관으로, 대변이 항문으로 나가는 통로가 됩니다. 이러한 직장의 점막에 염증이 생긴 질환을 “직장염(Proctitis)”이라고 정의합니다. 개요-원인 직장염은 다양한 원인에 의하여 발생할 수 있습니다. 직장염의 주된 원인으로 알려진 것은 염증성 장질환입니다. 염증성 장질환은 궤양성 대장염과 크론병으로 나누어지는데, 궤양성 대장염은 대장 점막에 만성적으로 염증이 지속되는 질환으로 직장부터 시작된 염증이 위쪽 대장까지 연속적으로 이어지면서 궤양성 대장염으로 진행됩니다. 염증이 직장에만 존재하는 경우를 궤양성 직장염으로 지칭하게 되며, 따라서 궤양성 대장염은 대부분 직장염을 유발합니다. 반면 크론병은 소화관 모든 부분에서 일어..

복부 팽만 [내부링크]

개요 복부 팽만감(bloating)은 마치 배에 풍선이 들어 있는 것처럼 배가 팽창된 느낌을 말하며, 주관적인 증상에 해당합니다. 복부 팽만(distension)은 팽창된 복부를 실제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는 경우, 즉 객관적인 징후를 말합니다. 팽만감은 전체 인구의 약 10~30%가 경험하는 흔한 증상이며, 팽만감 및 팽만은 기능성 소화불량증, 과민성 장증후군 등 기능성 위장관 질환에서 흔히 나타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장마비, 감염성 장염, 장 허혈, 간경화, 소화기관 종양 등 다양한 기질적 질환에서도 나타날 수 있으므로 이러한 원인에 대한 확인이 필요합니다. 개요-정의 기능성 위장관 질환을 진단하는 데 가장 많이 쓰이는 기준은 2016년 로마 기준입니다. 이 기준에서는 주관적 증상인 복부 팽만감과 ..

후천성면역결핍증후군 [내부링크]

개요 1. HIV 란? HIV는 '인간면역결핍바이러스(Human Immunodeficiency Virus)'의 약자로, 에이즈(AIDS)를 일으키는 원인 바이러스입니다. 이 바이러스는 인체 내에 들어와 면역세포 안에서 증식하며 결국 면역세포를 파괴시킵니다. HIV는 감염된 사람의 모든 체액 속에 존재하며, 특히 혈액, 정액, 질 분비물, 모유에 많기 때문에 주로 성관계나 감염된 혈액의 수혈, 감염된 산모의 임신, 출산을 통해 전파됩니다. HIV는 인체 내에서 활발히 작동하지만, 인체 밖에서는 오랫동안 생존하지 못합니다. 미국질병관리예방기구(CDC)의 연구에 따르면 HIV가 존재하는 체액이라도 일단 마르면 바이러스의 90-99%가 활동하지 못합니다. 또한 이 바이러스는 상처나 점막을 통해 인체 내에 직접 ..

일과성 허혈 발작 [내부링크]

개요 우리나라 주요 사망 원인은 1위가 암이며, 뇌졸중에 의한 사망률은 점차 감소하고 있으나 여전히 4위 (뇌혈관질환)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뇌졸중은 허혈성 뇌졸중과 출혈성 뇌졸중으로 구분됩니다. 허혈성 뇌졸중의 한 종류인 일과성 허혈 발작(transient ischemic attack)이란 뇌로 가는 혈액이 일시적으로 부족해서 생기는 뇌졸중 증상이, 발생한 지 24시간 이내에 (보통 수분에서 1시간 이내) 완전히 회복되는 것을 말합니다. 일과성 뇌허혈발작은 뇌경색이 올 수 있다는 경고 또는 전구증상임에도 불구하고 보통 일반인들은 뇌졸중이 저절로 치료되었다고 생각하면서 적절한 진료를 받지 않는 경우가 흔합니다. 급성뇌경색의 가장 정확한 검사인 확산 강조 자기공명영상(diffusion weighted MR..

기관지확장증 [내부링크]

개요 기관지확장증이란 지름 2 mm보다 큰 기관지벽의 근육 및 탄력 성분의 파괴로 인해 기관지가 영구적이고 비정상적으로 늘어난 상태를 말합니다. 개요-정의 여러 가지 원인에 의해 기관지 벽이 손상을 받아 기관지확장증이 발생하면 폐의 세균 및 먼지 등에 대한 청소 기능에 영향을 끼칩니다. 정상적인 기관지 내벽은 점액으로 덮여 있어 외부에서 흡기시에 들어온 세균, 먼지 등이 점액에 부착됩니다. 이 점액들은 섬모라는 작은 털에 의해서 밖으로 운반되어 가래로 입을 통해 배출됩니다. 감염 혹은 기타의 이유로 섬모들이 손상을 입게 되면 점액이 잘 배출되지 않게 되고 오히려 세균의 번식 장소가 되며, 기관지에 만성적인 염증이 일어나서 결국 기관지가 파괴되어 늘어나게 됩니다. 이렇게 늘어난 기관지는 다시 정상 상태로 ..

심부전 증상과 원인 및 치료 [내부링크]

개요 심장은 혈액 순환을 유지시키는 펌프 역할을 하는 장기입니다. 개요-정의 각종 심장질환으로 인해 심장의 고유 기능이 악화되어 전신에 충분한 혈류를 보내지 못하는 상태를 심부전이라고 합니다. 좌심장의 기능 감소에 의해 체순환이 감소하면 피로감과 쇠약감, 그리고 폐에 물이 차면서 발생하는 호흡곤란이 생깁니다. 우심장의 기능 감소에 의해서는 주로 전신이 붓는 증상이 나타나게 됩니다. 개요-원인 가장 일반적인 원인은 관상동맥(심장동맥) 질환입니다. 관상동맥 질환은 심장의 근육에 산소와 영양분을 공급하는 혈관의 일부 또는 전부가 막히는 상태입니다. 혈액 공급이 원활하지 않은 심장은 정상적으로 펌프 기능을 할 수 없습니다. 또한 오랫동안 고혈압을 가지고 있는 사람에서도 나타날 수 있습니다. 그 외에도 다양한 원..

방광암 [내부링크]

발생부위 방광암은 골반 내에 있는 속이 빈 주머니 모양의 근육기관으로써 소변을 저장하고 배설하는 기능을 하는 방광에서 발생합니다. 정의 및 종류 방광암은 방광에 생기는 악성종양을 말합니다. 방광에 발생한 암의 대부분은 상피세포로부터 유래된 상피세포종양입니다. 악성 상피종양에는 요로세포암종, 편평세포암종, 샘암종이 있습니다. 방광암은 또한 진행단계에 따라 방광 점막이나 점막 하층에만 국한되어 있는 비근침윤성(표재성) 방광암과 방광암이 근육층을 침범한 근침윤성 방광암 그리고 전이성 방광암으로 나뉩니다. 방광암의 예방위험 요인 고령, 흡연, 사업장에서 방향족 아민 계열의 화학 약품의 노출, 페나세틴계의 진통제 및 사이클로포스파마이드계의 항암제 사용, 만성적인 하부 요로 감염, 골반 부위의 방사선 치료 등이 있..

객혈 [내부링크]

개요 객혈은 기관-기관지나 폐실질에서 기원하는 혈액 또는 혈액이 섞인 가래를 기침과 함께 배출하는 증상을 말합니다. 입에서 피를 뱉을 때 폐나 기관지에서 나오는 혈액인지 위장관이나 식도, 치아, 코 등에서 나오는 혈액인지를 잘 구분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여러 단서를 통하여 출혈 장기를 가장 먼저 확인하는 것이 중요한데, 이에 따라 진단 및 치료 방향이 달라지기 때문입니다. 주로 기침을 동반하거나 선홍색이면 폐나 기관지에서 나온 객혈일 가능성이 높고 구토를 하거나 검붉은 색일 경우 객혈이 아닐 경우가 많지만 정확하지는 않습니다. 개요-종류 객혈은 그 양이 소량이라도 중증 질환에 의해 나타나는 것일 수 있습니다. 즉 배출되는 객혈의 양이 기저질환의 중증도와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은 아닙니다. 또한 출..

급성호흡곤란증후군 [내부링크]

개요 사람이 삶을 유지하기 위해서 여러 장기가 정상적으로 기능해야 하지만, 특히 호흡을 담당하는 폐는 생존을 위해 필수적인 장기로 흔히 사람이 운명했을 때, "숨이 끊어졌다" "숨졌다"고 표현합니다. 폐의 가장 중요한 기능은 체외 공기로부터 산소를 얻고, 체내에서 발생한 대사산물인 이산화탄소를 체외로 배출하는 것입니다. 폐를 통해 공기 중의 산소가 혈액 내로 이동하고, 혈액순환을 통해 산소가 우리 몸의 모든 세포로 공급됩니다. 세포 안에 있는 미토콘드리아는 공급된 산소를 이용하여 에너지를 생산하고, 이 에너지는 세포를 유지하는데 필수적입니다. 만약 세포에 산소공급이 중단되면 세포는 죽어서 우리 몸의 여러 장기가 정상적으로 기능을 할 수 없게 됩니다. 개요-정의 여러가지 이유로 폐의 기능이 급격하게 저하되..

당뇨병 합병증(만성 합병증) [내부링크]

개요 당뇨병의 만성 합병증은 오랜 시간에 걸쳐 서서히 나타나는 합병증으로 크게 대혈관 합병증, 미세혈관 합병증, 당뇨병 족부 병변 등으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모든 당뇨병 환자는 혈당 조절도 잘 해야 하지만, 현재 어떠한 만성 합병증을 가지고 있는지 정확히 파악이 되어야 합니다. 이후 꾸준한 추적 관찰을 통해 합병증이 발생하는지도 파악되어야 합니다. 개요-종류 1. 대혈관 합병증 대혈관 합병증으로 관상동맥질환, 뇌혈관질환 및 말초 혈관질환이 발생하며 죽상경화증이 이들 질환의 주된 원인이 됩니다. 죽상경화증이 진행되면 정상적인 혈관벽에 지방질과 여러 세포들이 부착, 결합조직이 증식되어 혈관이 좁아지고 혈액 공급이 원활하지 못하게 됩니다. 이러한 동맥경화성 병변은 일반인 보다 당뇨병 환자에서 더 넓고 심하게..

외상성 뇌손상 [내부링크]

개요 외상성 뇌손상은 전 세계적으로 연간 6800만명에게 발생하는 질환입니다. 교통사고, 추락, 스포츠 부상, 산업 재해, 폭력 등이 주원인으로 가볍게는 두통, 현기증, 메스꺼움 등과 같은 증상에서부터 심한 경우 신경세포 손상을 동반한 영구적 장애를 야기할 수 있습니다. 외상성 뇌손상은 그 정도에 따라 경도, 중등도, 그리고 중증의 세 단계로 나뉘며 치료 결과도 손상 정도에 따라 차이를 보입니다. 다행히 발생 빈도는 그 중 가장 경미한 경도가 90% 이상을 차지하지만, 초기에는 경도나 중등도였다가 수일 내로 악화되어 치명적인 결과를 초래하는 중증의 뇌손상으로 발전하는 경우도 자주 있어 집중적인 치료 관리가 필요합니다. 개요-종류 외상성 뇌손상의 분류 외상성 뇌손상은 다양한 손상이 복합적으로 발생하는 경우..

보툴리눔독소증 [내부링크]

개요 보툴리눔독소증은 보툴리눔균(Clositirium botulinum)이 생산하는 독소에 의해 신경 마비가 발생하는 질환입니다. 보툴리눔이라는 용어는 소시지를 뜻하는 라틴어 보툴루스(Botulus)에서 유래하였습니다. 19세기 초 유럽에서 식중독에 걸린 후 마비가 발생하여 죽는 경우가 종종 발생하였는데, 1820년 독일에서 낭만파 시인이자 의사인 케르너(Justinus Kerner)가 이러한 마비를 일으키는 식중독의 원인으로 소시지를 지목하였습니다. 이후 1897년 벨기에 미생물학자인 에르멩겐(Emile-Pieree van Ermengen)이 소시지 식중독을 일으키는 원인균을 발견하여, 보툴리눔균으로 이름지었습니다. 개요-신고 대상 및 방법 보툴리눔독소증은 제1급 법정감염병으로 환자를 진단하거나 실험실..

비브리오 패혈증 [내부링크]

개요 비브리오 패혈증은 비브리오 불니피쿠스(Vibrio vulnificus) 세균 감염에 의하여 급성 패혈증이 발생하는 질병입니다. 비브리오 패혈증은 전세계적으로 발생하며 국내에서는 간질환을 갖고 있거나 면역저하 상태에 있는 고위험군에서 매년 100명 미만의 환자가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습니다. 발생하는 환자 수가 많지는 않지만 일단 발생할 경우 사망률이 50% 이상인 매우 심각하고 위중한 질환이므로 발생하지 않도록 예방하는 것이 매우 중요합니다. 대부분 40세 이상의 남자에서 발생하며, 여름철 서남 해안지역의 수온이 18~20 이상이고, 염도가 25%정도일 때 주로 발생합니다. 개요-신고 대상 및 방법 1. 신고범위: 환자, 의사환자 2. 신고를 위한 진단기준 (1) 환자: 비브리오 패혈증에 부합되는..

패혈증 증상 및 원인 과 치료 [내부링크]

개요 패혈증(敗血症, sepsis)은 미생물 감염이 원인이 되어, 인체의 감염되지 않은 다른 부위에까지 심각한 영향이 생기는 상태입니다. 적절한 시기에 치료하지 않으면 빠르게 악화되어 사망에 이를 수 있는 중증 감염입니다. 인체에 어느 정도의 심각한 영향이 있을 때 패혈증이라고 할 것인지(패혈증의 정의)는 연구 결과들을 근거로 계속 달라집니다. 2016년 유럽중환자의학회(ESICM)와 미국중환자학회(SCCM)가 합의한 패혈증의 정의는 '감염에 대한 인체의 조절되지 않은 면역반응으로 인체 장기의 기능이 손상되고, 이 기능 손상으로 생명이 위험할 수 있는 상태'입니다. 역학 및 통계 세계보건기구(WHO)가 인용한 2020년 자료에 따르면, 2017년 한 해 동안 전 세계에서 10만명 당 678 건의 패혈증이..

크루프(후두염) [내부링크]

개요 크루프는 개가 짖는 것처럼 컹컹거리는 기침(barking cough), 쉰 목소리(hoarseness), 숨을 들이쉴 때의 협착음(stridor) 등 상기도 폐쇄 증상을 나타내는 급성 호흡기 질환군입니다. 6개월에서 6세 사이 어린이에게 주로 발생하며 급성 상기도 폐쇄 증상으로 응급실을 방문하는 경우가 흔합니다. 크루프의 원인은 후두 염증을 유발하는 바이러스 또는 세균 감염입니다. 염증이 생긴 부위의 후두 점막이 부으면 상기도가 좁아져 공기가 통과하기 어려우므로 숨쉬기가 힘들어집니다. 개요-종류 후두 부위를 포함하여 염증이 발생한 범위에 따라 다음과 같은 질환이 크루프에 포함됩니다. 1) 후두염(laryngitis) 2) 후두기관염(laryngotracheitis) 3) 후두기관기관지염(laryng..

죄와 벌 서평 [내부링크]

《죄와 벌》은 러시아의 소설가 피오도르 도스토옙스키가 19세기에 쓴 문학작품으로, 그의 대표작 중 하나입니다. 이 소설은 러시아 사회의 어두운 면과 인간의 본성, 도덕적인 문제들을 탐구하면서 범죄와 그에 대한 벌을 중심으로 다루고 있습니다. 이 소설은 1866년에 처음 출간되었으며, 도스토옙스키가 실제로 범죄자들과 함께 생활하고 경험한 것을 기반으로 작성되었습니다. 이 소설의 주인공인 로두예는 가난하고 험한 생활 조건 속에서 가족을 부양하기 위해 범죄에 이끌리게 됩니다. 로두예는 어떤 이유에서인지 평소에는 착하고 선량한 사람이지만, 가난과 억압에 시달리다 범죄를 저지르고 맙니다. 그리고 그 범죄로 인해 그에게는 심각한 벌이 내려지게 됩니다. 이 소설은 로두예의 내면 성장과 변화를 중심으로 이야기가 전개됩..

통풍 증상과 원인 및 치료방법 [내부링크]

통풍이란? 통풍은 혈액 내에 요산의 농도가 높아지면서 이로 인해 발생한 요산염 결정이 관절의 연골, 힘줄 등 조직에 침착되는 질병입니다. 침착된 결정은 관절의 염증을 유발하고 극심한 통증을 동반합니다. 고요산혈증이란 혈액의 요산 농도가 증가하여 7.0mg/ 이상인 경우를 말합니다. 혈중 요산 농도는 나이와 성별에 따라 다양합니다. 성인의 정상 수치는 남성의 경우 3-6mg/, 여성의 경우 2-5mg/입니다. 어린이들은 신장에서의 요산 배설율이 높아 정상적으로 3-4mg/의 요산 농도를 유지하고 있습니다. 사춘기 이후에는 여성보다 남성에서 1-2mg/ 정도 더 높습니다. 여성의 경우 여성 호르몬의 영향으로 요산 제거 능력이 유지되기 때문에 폐경기 이전에는 고요산혈증이 거의 발생하지 않습니다. 원인..

골관절염 증상과 치료 방법 [내부링크]

개요 골관절염은 퇴행성 관절 질환, 퇴행성 관절염이라고도 불려지며 점진적으로 관절의 연골이 소실되고 그에 따른 이차적인 변화와 증상을 동반하는 질환입니다. 관절을 이루는 뼈와 뼈 사이에서 충격을 흡수하는 관절 연골의 점진적인 손상이나 퇴행성 변화로 인해 관절을 이루는 뼈와 관절막, 주변 인대 등에 이차적 손상이 일어나서 통증과 변형, 기능 장애를 일으키는 질환으로 관절의 염증성 질환 중 가장 높은 빈도를 보입니다. 개요-종류 특별한 기질적 원인 없이 나이, 성별, 유전적 요소, 비만, 특정 관절 부위 등의 요인에 따라 발생하는 일차성 또는 특발성 관절염과 관절 연골에 손상을 줄 수 있는 외상, 질병 및 기형 등이 원인이 되어 발생하는 이차성 또는 속발(성) 관절염으로 분류합니다. 빈도는 비교적 높은 편이..

황반변성이란? [내부링크]

황반변성이란? 개요-정의 안구의 가장 깊숙한 부위에는 카메라의 필름과 같은 역할을 하는 망막이라는 신경조직이 자리잡고 있습니다. 특히 망막의 한가운데를 황반이라고 하는데, 빛과 색상을 감지하는 시세포가 집중되어 있어 시력에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의학에서 변성은 기존의 조직이 다른 성상의 조직으로 대체되는 과정을 일컫는 말입니다. 즉 황반변성은 황반부의 시세포가 빛과 색상을 감지할 수 없는 흉터 등의 조직으로 대체되어, 시력이 감소하는 상황을 의미합니다. 개요-종류 황반변성에는 여러 종류가 있는데, 일반적으로 황반변성이라는 용어는 황반변성 중 가장 많은 빈도를 차지하고 있는 나이관련황반변성을 지칭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유전적인 원인에 의하여 황반에 변성이 일어나는 황반이영양증 및 고도 근시에 의하여..

만성피로증후군 증상과 치료 방법 [내부링크]

만성피로증후군 증상과 치료 방법 개요 주변을 보면 피로 증상을 호소하는 사람들을 많이 볼 수 있습니다. 피로 증상은 일상에서 흔한 증상인데다 저절로 회복되기도 하여 자칫 소홀하게 여기는 경우가 있습니다. 실제로 일차진료의사를 방문하는 환자들 중 피로를 가진 환자들은 24~32% 이지만, 피로를 주 증상으로 호소하면서 일차진료의사를 찾는 환자들은 10% 이하로 적게 나타나기도 합니다. 하지만 피로는 다양한 질환의 중요한 초기 증상인 경우가 많아서 관심있게 살펴보아야 합니다. 1개월 이상 피로 증상이 지속되는 사람들은 5~20% 이고, 6개월 이상 피로 증상이 지속되거나 반복되는 사람들은 1~10% 정도로 보고 되고 있습니다. 남녀노소를 막론하고 누구나 피로 증상을 느끼지만 일반적으로는 여성들이 남성들에 비..

만성기관지염 증상과 치료 방법 [내부링크]

만성기관지염 증상과 치료 방법 개요 만성기관지염은 폐기종, 소기도 질환과 함께 만성폐쇄성폐질환의 한 종류로서 최근 들어 호흡기 질환 중 가장 관심을 끄는 질환중의 하나입니다. 공해, 흡연 인구의 증가와 노령 인구의 증가 등으로 우리나라에서도 환자가 급격히 늘어나는 추세입니다. 만성폐쇄성폐질환은 점차적으로 기도가 좁아져 공기의 유출이 제한(비가역적 기도폐쇄)되는 질병입니다. 병이 진행되면 2-3가지 질환의 임상증상 및 검사소견이 혼합되어 나타나는 양상을 보여 감별하기 힘든 경우가 많고, 치료법 역시 대동소이하여 총칭하여 만성폐쇄성폐질환이라 부릅니다. 기도폐쇄는 대개 점진적으로 진행되며 유해한 입자나 가스 등에 폐가 비정상적인 염증반응을 동반합니다. 만성기관지염은 기류 폐쇄가 없을 수도 있으며 이러한 경우에..

색각이상(색맹) 증상과 치료 방법 [내부링크]

색각이상(색맹) 증상과 치료 방법 개요 우리가 인지하는 색은 대상이 가지고 있는 고유의 색이 아니라, 대상이 부분적으로 흡수하고 부분적으로 반사하는 빛의 색입니다. 예를 들면 보라색은 430nm, 초록색은 520nm, 노란색은 575nm, 빨간색은 650nm 의 파장에서 나타납니다. 가시광선은 전자기파 스펙트럼의 한 부분으로 그 파장은 350~750 nm 에 걸쳐있습니다. 즉, 색은 가시광선 스펙트럼의 빛 파장의 조합에 의해 만들어지는 현상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그런데 이 색을 인지하는 사람의 색각은 주관적인 감각으로 대상에 고유한 물리적 특성 그 자체가 아니라 개개인이 자신의 눈과 뇌신경계를 통해 만들어낸 결과입니다. 따라서 같은 대상을 본다 하더라도 사람에 따라서 색에 대한 인식이 약간씩은 다를 수..

추간판탈출증(디스크) 증상과 치료 방법 [내부링크]

개요 소위 “디스크”라고 잘 알려진 추간판탈출증은 척추뼈와 척추뼈 사이에 존재하는 추간판(디스크)이 어떤 원인에 의해 손상을 입으면서, 추간판 내부의 젤리 같은 수핵이 탈출하여 주변을 지나는 척추신경을 압박함으로써 다양한 신경학적 이상증상을 유발하는 질환입니다. 추간판탈출증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척추의 해부학적 구조에 대해 구체적으로 알아보는 것이 필요합니다. 1. 척추의 해부학적 구조 사람의 척추는 경추, 흉추, 요추, 그리고 천추의 4개 부분으로 구분되며, 모두 25개의 척추뼈가 수직으로 연결되어 우리 몸의 중심을 지지하는 기둥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각 척추뼈 사이에는 디스크라고 하는 연골이 들어 있어서 척추에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하는 역할을 담당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각각의 척추뼈 내부에는 “척추관..

얼굴마비(말초성 마비) 증상과 치료 방법 [내부링크]

개요 얼굴신경마비(안면신경 마비)는 크게 중추성과 말초성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인체의 모든 근육은 반대쪽 뇌의 지배를 받는데 얼굴 근육도 예외는 아닙니다. 뇌 속에서 얼굴 근육으로 연결되는 신경이 지나가는 통로에 이상이 발생하여 얼굴신경마비가 오는 것을 중추성 얼굴신경마비라고 하고, 얼굴신경이 뇌에서 빠져 나온 이후의 경로에 이상이 발생하여 마비가 오는 것을 말초성 얼굴신경마비라고 합니다. 개요-원인 얼굴신경마비의 대부분은 벨마비(Bell’s palsy) 라고 불리는 말초성 얼굴신경마비입니다. 얼굴신경의 염증에 의해 신경의 손상이 발생하며, 단순 헤르페스 바이러스 1형과의 연관성이 높은 것으로 밝혀지고 있습니다. 이러한 이유로 벨마비의 치료에 바이러스 치료제를 함께 사용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두 번째로..

복부 비만의 원인 [내부링크]

복부비만은 다양한 원인에 의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아래에는 복부비만의 주요한 원인들입니다. 유전적 요인: 유전적인 요소는 복부비만의 발생에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일부 사람들은 유전적으로 복부지방이 쉽게 축적되는 경향을 가지고 있을 수 있으며, 가족 내에서 복부비만이 상속될 수 있습니다. 비활동적인 생활: 정기적인 운동 부족과 거동이 감소한 생활 방식은 복부비만의 원인 중 하나입니다. 현대 사회에서는 많은 사람들이 앉아서 일을 하거나 여가 시간을 보내며 활동 수준이 저하될 수 있습니다. 불균형한 식습관: 과다한 칼로리 섭취와 영양소 부족은 복부비만을 유발하는 중요한 요인입니다. 고지방, 고당류, 고열량의 식품을 섭취하는 경우 복부지방이 증가할 수 있습니다. 대사 속도: 개인의 대사 속도는 에너지 소비..

살쪄서 나온 뱃살 어떻게? [내부링크]

살이 쪄서 배가 나온 경우에는 몇 가지 방법을 시도하여 배를 줄이고 체중을 조절할 수 있습니다. 아래에는 배를 줄이고 체중을 감량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는 몇 가지 방법을 설명하겠습니다. 균형 잡힌 식습관: 건강한 식단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신선한 과일, 채소, 곡물 및 단백질을 포함한 다양한 식품을 섭취하고, 포션 크기를 조절하여 과도한 칼로리 섭취를 피하는 것이 좋습니다. 또한, 식사를 건너뛰지 않고 정기적으로 식사를 하는 것도 중요합니다. 정기적인 운동: 유산소 운동과 근력 운동을 조합하여 체중을 감량하고 복부 지방을 태우는 데 도움이 됩니다. 유산소 운동으로는 걷기, 달리기, 수영, 사이클링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복부 근육을 강화하기 위해 크런치, 플랭크, 윗몸 일으키기 등을 수행하는..

심근경색에 좋은 음식 [내부링크]

심근경색은 심장 근육인 심근의 혈류가 갑작스럽게 차단되어 심근에 손상을 입는 상황을 말합니다. 심근경색을 예방하거나 심장 건강을 촉진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음식을 섭취할 수 있습니다: 신선한 과일과 채소: 과일과 채소는 식이섬유, 비타민, 미네랄 및 항산화제와 같은 영양소가 풍부하며, 심장 건강에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 특히 당구아놀과 카로티노이드가 풍부한 당근, 시금치, 브로콜리, 토마토, 블루베리, 오렌지 등을 섭취하는 것이 좋습니다. 양질의 단백질: 심근경색 예방을 위해 신체의 조직 회복을 돕는 양질의 단백질은 중요합니다. 양호한 선택지로는 닭 가슴살, 흰살 생선 (연어, 참치, 마자 등), 대두 제품 (두부, 두유) 등이 있습니다. 고기와 유제품의 저지방 버전: 고기와 유제품은 철분, 단백질, ..

심근경색 증상 [내부링크]

신근경색은 척추 주변의 신경이 압박을 받거나 손상을 입어 발생하는 상태입니다. 이는 다양한 증상을 유발할 수 있으며, 아래에 자세히 설명되어 있습니다: 통증: 신근경색의 가장 일반적인 증상은 통증입니다. 통증은 흔히 근육, 신경, 피부에 걸쳐 발생할 수 있으며, 통증의 정도는 압박 정도와 신경의 손상 정도에 따라 다를 수 있습니다. 통증은 근육이나 통증이 발생하는 신경을 따라 확산될 수 있습니다. 저림 혹은 마비: 신근경색으로 인해 신경의 기능이 저하되면, 저림, 마비 또는 근력 감소와 같은 증상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저림은 피부의 촉감 손상으로 인해 나타날 수 있으며, 마비는 근육의 운동 제한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통증이 나타나는 특정 부위: 특정한 신경이 압박을 받는 경우, 해당 신경이 지나가는 ..

엄지발가락의 통증의 원인 [내부링크]

엄지발가락의 통증은 다양한 원인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으며, 이에는 다음과 같은 질환들이 포함될 수 있습니다: 건초뼈염 (테니스엘보): 테니스엘보는 주로 반복적인 손목 운동이나 손목 관절의 과부하로 인해 발생합니다. 손목의 힘줄인 건초뼈(이두근과 근육 연결 부위)에 염증이 생기며, 이는 엄지발가락의 통증, 부종, 손목 및 엄지발가락의 움직임에 불편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관절염: 관절염은 관절의 염증으로 인해 발생하는 만성 질환입니다. 엄지발가락의 관절에 염증이 생길 수 있으며, 통증, 부종, 관절 운동 제한 등의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염증은 관절염의 형태에 따라 관절의 형태 변화를 일으킬 수도 있습니다. 통풍: 통풍은 요산 결정이 관절 주위에 쌓여 염증을 유발할 때 발생하는 질환입니다. 엄지발가..

무좀에 좋은 약과 습관 [내부링크]

무좀에 좋은 약과 습관 무좀은 진균에 의해 발생하는 피부 감염이며, 적절한 치료로 관리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약물 치료는 의사의 처방을 받아야 하며, 의료 전문가의 조언을 따르는 것이 가장 안전하고 효과적입니다. 따라서, 무좀에 대한 치료를 위해서는 의사와 상담하고 처방을 받는 것이 중요합니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의사가 처방하는 약물 중에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포함될 수 있습니다: 토피코나졸 (Topical antifungal): 토피코나졸은 무좀의 치료에 주로 사용되는 항진균제로, 피부에 바르는 외용제 형태로 사용됩니다. 이 약물은 진균의 성장을 억제하여 감염을 치료하고 증상을 완화시키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 클로티미졸 (Clotrimazole) 클로티미졸은 외용제 형태로 사용되는 진균 감염 ..

위염에 좋은 음식 [내부링크]

고기와 생선 위염 환자는 가급적 지방이 적고 소화가 쉬운 닭고기, 토끼고기, 생선 등을 먹는 것이 좋습니다. 그러나 육류나 생선 중에서 기름지고 지방이 많은 부위나 육즙은 자극적이므로 피해야 합니다. 채소 당근, 시금치, 브로콜리, 양파, 오이, 피망 등은 소화가 쉬우며 영양소가 풍부하므로 위염 환자에게 좋은 식품입니다. 과일 바나나, 사과, 복숭아 등은 쉽게 소화되고 위산 분비를 줄이므로 위염 환자에게 좋습니다. 견과류 아몬드, 호두, 땅콩 등은 위염 환자에게 좋은 스낵입니다. 그러나 소량씩 섭취하는 것이 좋습니다. 잡곡류 쌀 대신 귀리, 보리, 콩, 콩나물 등 잡곡류를 섭취하는 것이 좋습니다. 우유와 유제품 저지방 우유나 요구르트는 위산 분비를 억제하므로 위염 환자에게 좋은 식품입니다.

위염 치료하는 방법 [내부링크]

위염은 위의 내막이 염증을 일으키는 상태로, 일반적으로 항생제나 살균제를 포함한 약물 치료와 식습관 개선을 통해 치료됩니다. 아래는 위염을 치료하는 방법입니다. 1. 항산제 및 살균제 위염을 일으키는 세균이나 바이러스를 제거하기 위해 의사는 종종 항생제나 살균제를 처방합니다. 이러한 약물은 위 내막의 염증을 완화시키고 치유를 돕습니다. 2. 항산분비제 위산 분비억제제를 사용하여 위산 분비를 억제할 수 있습니다. 이는 위 내막의 염증을 줄이고 위염 증상을 완화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3. 안티악사제 위산 분비를 줄이기 위해 사용되는 약물로서, 위 내막의 염증을 줄이고 소화관 장애를 개선하는데 도움이 됩니다. 4. 안티히스타민제 위산 분비를 억제하고 위염의 증상을 완화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식습관 개선: ..

관절염에 좋은 습관 [내부링크]

관절염은 관절에 염증이 생기는 질환으로, 적절한 습관은 증상의 완화에 큰 역할을 합니다. 운동 관절을 움직이며 근력을 강화하는 운동을 꾸준히 실시합니다. 단, 과도한 운동은 관절에 부담을 주므로 적당한 강도와 빈도로 운동을 합니다. 물리치료나 요가 등의 전문가와 함께 운동을 하면 더욱 효과적입니다. 체중 조절 과다한 체중은 관절에 부담을 주므로 체중을 조절합니다. 균형 잡힌 식습관과 운동으로 체중을 감량하면 관절에 대한 부담을 줄일 수 있습니다. 휴식 관절의 휴식이 필요합니다. 긴 시간 동안 같은 자세를 유지하거나 반복적인 동작을 하면 관절에 부담을 줄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일정한 간격으로 관절을 적절히 휴식시키는 것이 좋습니다. 스트레스 관리 스트레스는 면역력을 낮추고 염증을 증가시키는 요인입니다. 따..

관절염에 좋은 음식 [내부링크]

관절염은 관절에 염증이 생기는 질환으로, 적절한 식습관은 증상의 완화에 큰 역할을 합니다. 물 충분한 물을 마셔서 체내 물질 대사를 원활하게 합니다. 채소 비타민 C가 풍부한 채소를 먹어 염증을 줄이고 면역력을 향상시킵니다. 대표적으로 브로콜리, 양배추, 녹색 잎채소, 당근, 호박 등이 있습니다. 과일 항산화 작용이 있는 과일을 먹어 염증을 완화시키고 면역력을 높입니다. 대표적으로 블루베리, 딸기, 오렌지, 파인애플, 포도 등이 있습니다. 물고기 오메가-3 지방산이 풍부한 물고기를 먹어 염증을 줄이고 항산화 작용을 높입니다. 대표적으로 참치, 연어, 아귀 등이 있습니다. 견과류 식물성 단백질과 오메가-3 지방산이 풍부한 견과류를 먹어 염증을 줄이고 면역력을 높입니다. 대표적으로 호두, 아몬드, 캐슈너트,..

퇴행성 관절염 예방법 [내부링크]

퇴행성 관절염은 고령화 인구가 증가함에 따라 매우 일반적인 질병 중 하나입니다. 이러한 질환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몇 가지 간단한 조치를 취할 수 있습니다. 1. 적극적인 운동 적절한 운동은 관절 건강에 큰 영향을 미칩니다. 규칙적인 신체 활동은 근력을 강화하고 관절을 안정화하여 관절염 발병 가능성을 줄입니다. 그러나, 관절에 부하가 큰 운동은 피해야합니다. 2. 적절한 체중 유지 과체중이 관절염의 위험을 증가시킵니다. 적절한 식이요법과 운동을 통해 체중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3. 올바른 자세 유지 잘못된 자세는 관절에 불필요한 압력을 가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올바른 자세를 유지하는 것이 관절 건강에 중요합니다. 4. 건강한 식습관 건강한 식습관은 관절염을 예방하는 데 큰 역할을 합니다. 식이요..

통풍에 좋은 음식 [내부링크]

통풍은 혈액 내에 요산 수치가 높아져 발생하는 질환으로, 요산을 제한하거나 배출하는 음식을 먹는 것이 좋습니다. 물: 충분한 물을 섭취하여 체내의 요산 농도를 낮춥니다. 채소: 잎 채소나 뿌리 채소 중 비타민 C가 많은 채소를 먹습니다. 대표적으로 파프리카, 브로콜리, 브뤼셀 스프라우트, 녹색 양파, 아보카도 등이 있습니다. 과일: 산도가 낮은 과일을 먹습니다. 대표적으로 체리, 딸기, 블루베리, 오렌지 등이 있습니다. 유제품: 저지방 유제품이 좋습니다. 대표적으로 우유, 요거트, 치즈 등이 있습니다. 물고기: 오메가-3 지방산을 함유한 물고기를 섭취합니다. 대표적으로 참치, 연어, 아귀 등이 있습니다. 곡류: 식이섬유가 많은 곡류를 먹습니다. 대표적으로 귀리, 보리, 콩, 콩나물 등이 있습니다. 물짜기..

그 환자 서평 [내부링크]

'그 환자'는 재스퍼 드윗(Jasper DeWitt)의 소설로, 정신병원에서 근무하는 겸 신입 간호사인 앨리스(Althea)의 이야기를 다룬다. 앨리스는 이전에는 트라우마센터에서 근무하다가, 환자의 죽음 사건으로 인해 정신적으로 충격을 받고 이곳으로 이직하게 된다. 그녀는 정신질환을 가진 환자들을 돌보는 업무를 맡게 되는데, 그 중 가장 독특하고 신비한 환자인 디에고(캐디)에게 흥미를 느끼게 된다. 캐디는 6년 전, 예술가인 아내 알리셔(Althea)를 살해하고 그녀의 작업실에서 발견된 살인현장에서 범인으로 추정되었으나, 살인 현장에서 아무런 말도 하지 않고 무표정한 채 머물고 있다. 이후, 그는 언제나 침묵을 지키며 무감각한 상태를 유지하고 있어, "침묵하는 환자"라는 별명으로 불리게 된다. 앨리스는 ..

로봇의 부상 (The Rise of Robots) 서평 [내부링크]

"로봇의 부상(The Rise of Robots)"은 마틴 포드(Martin Ford)가 쓴 책으로, 로봇이 인간 노동자의 일자리를 대체하고 있다는 현재의 경제적 변화와 그로 인한 사회적 문제들을 다룹니다. 이 책은 로봇 기술의 발전과 인공지능의 발전으로 인해 미래 일자리가 어떻게 변할지에 대한 불안감과 노동 시장의 변화에 대한 심층적인 분석을 제시합니다. 책의 첫 부분에서는 로봇 기술과 인공지능의 발전이 어떻게 일자리에 영향을 미치는지 설명합니다. 이 책은 로봇 기술과 인공지능이 고급 노동자의 일자리를 대체하고 있다는 것을 강조하며, 예측 가능한 일부 산업분야에 높은 수준의 자동화가 도입되어 취업 기회가 줄어들고 있음을 보여줍니다. 두 번째 부분에서는 이러한 경제적 변화가 인간의 사회적 문제에 미치는 ..

사일런트 페이션트 (The Silent Patient) 서평 [내부링크]

알렉스 마이클리데스의 소설 '침묵의 환자(The Silent Patient)'는 아주 특별한 작품이다. 그 이유는 매우 긴장감 높은 플롯, 예측 불가능한 트위스트, 그리고 강렬한 서사 구조 때문이다. 이 소설의 주인공인 앨리샤는 세계적인 화가이자 부자이다. 그러나 그녀는 남편을 총으로 쏴 죽인 채로 범인으로 체포되고, 이후 이른바 '침묵의 환자'로 악명을 떨치게 된다. 그녀는 그 이후로 한마디도 말을 하지 않았고, 자신이 왜 죄수인지를 설명하지 않았다. 이후, 그녀는 테오라는 심리치료사에게 진찰을 받게 된다. 테오는 앨리샤를 자신의 집에 있는 방에서 관찰하면서, 이전에 자신이 다른 환자를 치료할 때 사용했던 것과 같은 방법을 사용한다. 그러나 이번에는 다르다. 테오는 앨리샤에게 강렬한 관심을 느끼면서, ..

파킨슨 환자에게 좋은 음식 [내부링크]

파킨슨병은 뇌에서 도파민이 부족해지는 질병으로서, 적절한 영양섭취가 중요합니다. 그러나 모든 환자에게 같은 종류의 음식이 좋은 것은 아니며, 환자의 상태와 건강상태에 따라 다를 수 있습니다. 그러나 다음과 같은 권장 사항이 있습니다. 고단백 식품 섭취 파킨슨병 환자는 식품 소화와 영양흡수 능력이 떨어지므로, 고단백 식품 섭취가 필요합니다. 고단백 식품으로는 닭가슴살, 계란, 양파, 두부, 생선, 콩, 땅콩, 견과류 등이 좋습니다. 항산화제 섭취 파킨슨병은 산화 스트레스로 인한 뇌세포 손상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항산화 작용이 강한 과일과 채소를 섭취하는 것이 좋습니다. 이들에는 블루베리, 라즈베리, 아보카도, 시금치, 브로콜리, 당근 등이 있습니다. 비타민 B6 섭취 비타민 B6는 도파민 생성에 ..

파킨슨병 증상 [내부링크]

파킨슨병은 중추신경계 질환 중 하나로, 다양한 증상을 보일 수 있습니다. 주요 증상으로는 다음과 같습니다. 떨림 첫 번째 증상 중 하나로, 특히 휴식 시에 나타나는 손의 떨림이 대표적입니다. 또한 다리나 턱, 입술 등에서도 나타날 수 있습니다. 근경직성 근육의 경직으로 인해 움직임이 둔해지고 느려질 수 있습니다. 이는 손이나 다리 등의 움직임이 둔해지고, 어깨나 목 등의 근육에 통증이나 불편감이 생길 수 있습니다. 움직임 장애 체조 운동이나 일상적인 움직임에서 어려움을 겪을 수 있습니다. 걸을 때 발을 끌고, 작은 걸음으로 걸어야 하며, 양손을 이용해서 일상적인 일을 해야 합니다. 균형 장애 파킨슨병 환자는 균형을 잡는 능력이 떨어지므로, 쉽게 쓰러지거나 넘어질 수 있습니다. 냄새 감각 손상 일부 파킨슨..

치매 예방 음식 [내부링크]

치매는 노화와 함께 뇌의 기능이 저하되는 질환으로, 예방을 위해서는 건강한 식습관과 적절한 생활습관이 필요합니다. 다음은 치매 예방에 도움을 주는 음식입니다. 녹색 잎채소: 녹색 잎채소는ㅍ 비타민, 미네랄, 식이섬유 등의 영양소가 풍부하며, 항산화 작용으로 인해 뇌세포를 보호하는 효과가 있습니다. 고등어: 고등어에는 오메가-3 지방산이 풍부하며, 뇌 기능을 개선시키고 인지력을 유지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 과일과 채소: 과일과 채소에는 항산화 물질이 풍부하며, 뇌세포를 보호하는 효과가 있습니다. 특히 블루베리, 딸기, 당근 등은 항산화 작용이 뛰어나므로 권장됩니다. 견과류: 견과류에는 오메가-3 지방산과 비타민 E 등의 영양소가 풍부하며, 뇌 기능을 개선시키고 인지력을 유지하는 데 도움을 줄 수 ..

암에 좋은 음식 [내부링크]

암에 좋은 음식은 건강한 식습관을 유지하고 면역 체계를 강화하는 음식입니다. 이러한 음식은 암 예방 및 치료에 도움이 되는 영양소를 많이 포함하고 있습니다. 채소와 과일: 채소와 과일은 항산화제, 비타민, 미네랄, 식이 섬유 등의 영양소가 풍부하여 면역 체계를 강화하고 암 예방에 효과적입니다. 특히, 당근, 브로콜리, 토마토, 블루베리, 레드 와인, 녹차 등은 항암 작용이 있다는 연구 결과가 있습니다. 양파와 마늘: 양파와 마늘은 암 예방에 효과적인 화학 물질인 알릴 이소티오시안에이트와 퀘르세틴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화학 물질은 항암 작용과 면역 체계 강화에 도움을 줍니다. 어류: 연어, 참치, 청어, 고등어 등의 어류는 오메가-3 지방산을 포함하고 있어 암 예방에 효과적입니다. 오메가-3 지방산..

커피의 효능 [내부링크]

커피는 세계적으로 가장 인기 있는 음료 중 하나이며, 많은 사람들이 매일 마시고 있습니다. 커피에는 다양한 효능이 있습니다. 집중력과 기억력 개선: 커피는 중추 신경 계통을 자극하여 뇌 기능을 증진시켜줍니다. 따라서 커피를 마시면 집중력과 기억력이 개선되는 효과가 있습니다. 대사 촉진: 커피는 카페인과 같은 자극제를 함유하고 있어 대사를 촉진시켜줍니다. 이러한 효과로 인해, 커피를 마시면 에너지가 생기고 졸음을 깨우며, 체력과 지구력이 증가합니다. 소화 개선: 커피는 소화를 촉진시켜주는 효과가 있습니다. 이는 커피에 함유된 화학성분이 위장 운동을 촉진시키기 때문입니다. 감정 안정: 커피는 세로토닌, 도파민, 엔드로핀 등의 신경전달물질을 활성화시켜 감정 안정 효과를 줍니다. 따라서 커피를 마시면 기분이 상..

뼈에 좋은 음식 [내부링크]

뼈 건강을 위한 좋은 음식에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습니다: 칼슘이 풍부한 음식: 칼슘은 뼈 건강에 중요한 미네랄입니다. 우유, 요거트, 치즈, 녹색 채소(브로콜리, 케일, 브뤼셀 스프라우트 등), 대추, 두부 등 칼슘이 풍부한 음식을 섭취해보세요. 비타민 D가 풍부한 음식: 비타민 D는 칼슘 흡수에 필요한 비타민입니다. 잘 알려진 비타민 D 함유 식품에는 연어, 참치, 계란 노른자, 버섯, 우유, 오렌지 주스 등이 있습니다. 하지만, 특히 겨울철, 소량의 비타민 D는 자외선을 받아야 합니다. 단백질이 풍부한 음식: 뼈는 단백질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충분한 양의 단백질을 섭취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고기, 생선, 달걀, 두부, 콩, 견과류, 유제품 등 단백질이 풍부한 음식을 섭취해보세요. 비타민 K가 ..

폐 건강에 좋은 음식 [내부링크]

폐 건강에 좋은 음식들은 다음과 같습니다. 녹색 채소: 녹색 채소는 비타민 C, 카로틴, 식물성 단백질 등이 풍부합니다. 이들은 폐 건강을 유지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예를 들어, 브로콜리, 양배추, 시금치, 케일 등이 있습니다. 과일: 과일은 비타민 C, 카로틴, 식물성 단백질 등이 풍부합니다. 특히, 오렌지, 파인애플, 파파야, 키위 등의 과일에는 높은 농도의 비타민 C가 들어있어 폐 건강을 유지하는 데 도움을 줍니다. 양파와 마늘: 양파와 마늘은 항균 작용과 염증을 줄이는 효과가 있어 폐 건강을 유지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양념재료: 양념재료 중에서는 생강, 후추, 고추, 로즈마리, 오레가노 등이 폐 건강에 좋습니다. 이들은 항균 작용과 염증을 줄이는 데 도움을 줍니다. 잎채소: 상추, 로메..

해피엔딩보다 더 (Forever Interrupted) [내부링크]

『해피엔딩보다 더(Forever Interrupted)』는 결혼 전날 사고로 남편을 잃은 27살의 엘리스와, 그녀와 사랑에 빠지고 결혼한 남편 코너, 그리고 코너의 어머니 인그리드의 이야기입니다. 이 소설은 사랑과 잃음, 그리고 가족에 대한 이야기를 다룹니다. 엘리스는 결혼 전날 코너와 함께 있던 중, 코너가 자전거 사고로 사망합니다. 그녀는 코너와의 결혼 생활이 짧았지만, 그를 사랑하는 강한 감정을 느끼고 있습니다. 이후, 코너의 죽음으로 인해 그녀는 많은 감정을 겪게 됩니다. 그녀는 코너를 잃음으로써 자신이 직면한 새로운 인생을 받아들여야 합니다. 코너는 엘리스와 결혼하기 전, 그녀에게 자신의 어머니의 존재를 알리지 않았습니다. 그러나 코너의 죽음 이후, 인그리드는 엘리스를 찾아가 자신의 아들을 사랑..

워터 댄서 서평 (The Water Dancer) [내부링크]

19세기 초 미국에서 벌어진 노예제도 시대의 역사적 배경에서 시작합니다. 이 소설은 조슈아, 즉 "식민지 생활에서 탈출한" 노예의 이야기를 다룹니다. 조슈아는 고아원에서 자랐습니다. 그는 어머니를 거의 기억하지 못하고, 아버지는 다른 노예로 팔려 갔기 때문에 가족이 없는 상태로 살아야 했습니다. 조슈아는 노예로 살아가면서 생명의 위협에 직면하면서도, 동료 노예들을 돕고 구원하려는 자신의 역할을 찾게 됩니다. 그러나 조슈아는 그의 노예 생활을 끝내기 위해 계획을 세우는 것을 꿈꾸지만, 그는 노예제도 시대의 현실적인 장벽과 교육과 지식의 부재로 인해 어려움을 겪습니다. 그러던 중, 조슈아는 하노버 식민지로 이주한 그의 어머니에 대한 기억이 희미하게 다가옵니다. 조슈아는 그의 어머니를 찾기 위해 노력하고, 그..

물러서지 않는 프로불평러의 반항의 기술 서평 [내부링크]

"반항의 기술"는 우리가 살고 있는 세상에서 변화를 이끌어내는 방법에 대한 영감을 주는 책입니다. 작가 러비 아자이 존스는 이 책에서 자신의 경험을 바탕으로, 모두가 "트러블메이커"가 될 수 있다고 말하며, 어떻게 하면 우리의 목소리를 발휘하고 변화를 일으킬 수 있는지 알려줍니다. 첫째 부분에서는 작가가 어떻게 "트러블메이커"가 되었는지에 대한 이야기를 합니다. 자신의 목소리를 찾는 과정에서 겪은 어려움과 두려움, 자신감의 부재 등이 그 예시입니다. 그리고 그들이 극복한 방법과 함께 우리도 우리의 목소리를 찾을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둘째 부분에서는 어떻게 우리가 자신의 의견을 표현하고 변화를 일으킬 수 있는지 알려줍니다. 이 부분에서 작가는 의견을 표현하는 것이 왜 중요한지 설명하고, 실제로 의견을 내..

The Guest List 서평 [내부링크]

아일랜드 해안에서 떨어진 외딴 섬에서 펼쳐지는 흥미진진하고 긴장감 넘치는 미스터리 소설입니다. 이야기는 주말 축하를 위해 가장 친한 친구와 가족 그룹을 한자리에 모은 결혼식에서 시작됩니다. 폭풍이 섬을 강타하여 모든 통신이 차단되고 모든 사람이 발이 묶이게 되자 모든 것이 어두워집니다. 손님 중 한 명이 죽은 채 발견되고 섬에 있는 사람 중 한 명이 책임이 있음이 금방 분명해지고 폭풍이 거세질수록 손님들 사이의 긴장은 계속해서 고조되고, 한 사람 한 사람에게 의혹이 쏟아집니다. 전반적으로 "The Guest List"는 스릴 넘치고 매력적인 책으로, 처음부터 끝까지 긴장하게 만들 것입니다. 선명하고 연상적이며 그녀의 캐릭터는 잘 그려지고 복잡합니다. 트위스트가 있는 추리 소설을 좋아한다면 반드시 읽어야 ..

가재가 노래하는 곳 서평 [내부링크]

"가재가 노래하는 곳"은 델리아 오웬스의 통렬하고 매혹적인 소설로 노스캐롤라이나의 습지대에서 생존과 수용을 위한 어린 소녀의 투쟁에 대한 이야기를 담고 있습니다. 이 소설은 20세기 중반을 배경으로 하고 있으며 6세의 나이에 가족에게 버림받고 습지에서 스스로를 지키도록 남겨진 카야 삶을 이야기합니다. 늪지에서의 카야의 삶은 힘들고 그녀는 살아남기 위해 자연에 대한 지혜와 지식에 의존하는 법을 배웁니다. 그녀는 낚시, 사냥, 주변 자연 관찰에 능숙해집니다. 이 소설은 외로움, 고립, 자연의 힘이라는 주제를 탐구하며 카야와 습지와의 관계는 이야기의 중요한 측면입니다. 그녀는 습지의 아름다움과 다양성에 이끌려 그곳에서 깊은 소속감을 느낍니다. 자연 세계와 그녀의 관계가 자세히 탐구되고 습지는 그 자체로 캐릭터..

기억되지 않는 여자 애디 라뤼 셔평 [내부링크]

아들린은 원치 않는 결혼식이 예정된 날 평소 어둠이 내린 뒤 응답하는 신들에게 절대 소원을 빌면 안된다는 당부를 잊어버린 채 당장 결혼을 피하고 싶은 간절한 마음에 앞으로 어떤 일이 닥칠지 가늠도 하지 못한 채 신에게 소원을 빈다. 그녀가 더 이상 살고 싶지 않을 때 영혼을 가져가는 대가로 어느 누구도 기억하지 못하는 존재가 되기로 하고 소원은 이루어진다. 이로써 그녀는 가족들에게도 존재하지 않은 사람이 된 것은 물론이거니와 잠시 잠깐 그녀와 멀어지면 상대방이 기억하지 못하는 상황에 직면한다. 그녀는 만났던 모든 사람들의 인생에서 사라져 버리며, 자신의 이름조차도 잊혀지게 됩니다. 그러나 그녀는 언제나 살아남으며, 다른 사람들의 기억으로 인해 불멸의 존재가 되었다. 외로움과 두려움으로 하루하루를 버텨내는..

약속의 땅 서펑 (A Promised Land) [내부링크]

44대 미국 대통령 바라크 오바마가 자신의 대통령 재임 기간 중 경험했던 일들과 그 기간 동안 이룬 업적, 실패 등을 담은 자서전입니다. 책은 2020년 11월 17일 출간되었으며, 미국을 비롯한 전 세계에서 큰 인기를 끌었습니다. 이 책은 오바마가 대통령으로서 처음 취임한 2009년부터 2011년까지의 시기에 대한 이야기로 시작합니다. 오바마는 대통령으로서의 업무와 새로운 환경에서의 적응, 경제 위기, 국가안보 문제, 국내 정치와 외교, 그리고 가족과의 관계 등 다양한 주제를 다루며 자신의 경험과 생각을 솔직하게 공유합니다. 책은 2권으로 나뉘어져 있으며, 각각 700여 페이지가 넘는 분량입니다. 첫 번째 권에서는 오바마가 대통령으로서 처음 취임했을 때부터 2011년까지의 기간을 다룹니다. 두 번째 권..

어쩐지 미술에서 뇌과학이 보인다 서평 [내부링크]

미술과 뇌과학 간의 상호작용을 탐구하는 책으로, 미술 작품이 뇌에 미치는 영향과 뇌과학 연구가 미술 분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다룹니다. 저자인 에릭 캔델은 뉴욕 대학교의 뇌과학 교수이자 뇌과학 분야에서 2000년 노벨 생리의학상을 수상한 인물입니다. 그는 미술과 뇌과학의 상호작용을 연구하여, 미술 작품이 우리 뇌에 미치는 영향과 뇌과학 연구가 미술 분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자세히 설명합니다. 이 책에서는 미술 작품을 감상하는 과정에서 우리 뇌가 어떻게 작용하는지, 뇌의 구조와 기능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며, 이를 바탕으로 우리가 미술 작품을 어떻게 인지하고 감상하는지를 분석합니다. 특히, 캔델은 미술 작품에 담긴 시각적 요소들이 우리 뇌의 어떤 부분에 영향을 미치는지, 그리고 이를 어떻게 처리하는지를 ..

미적분의 힘 서평 [내부링크]

스티븐 스트로가츠의 수학 책 중 하나로, 미적분학의 역사와 중요성을 설명합니다. 이 책은 미적분학이 어떻게 우리가 알고 있는 세상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는지에 대한 흥미로운 시각을 제시합니다. 책은 역사적인 개요와 함께 미적분학의 개념을 설명합니다. 미적분학은 우리가 이해할 수 없는 많은 현상을 설명하는 데 필수적인 도구입니다. 미적분학은 무한한 작은 변화를 처리하며, 이러한 작은 변화들이 모여서 우리가 볼 수 있는 큰 변화를 만들어 냅니다. 이 책은 미적분학의 기본 개념과 그 중요성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설명합니다. 스티븐 스트로가츠는 또한 미적분학이 우주, 자연, 인간의 생명 등 우리 주변에서 일어나는 현상을 이해하는 데 어떻게 중요한 역할을 하는지에 대해 상세히 설명합니다. 책에서는 또..

X의 즐거움 서평 (The Joy of x) [내부링크]

수학에 대한 일반 대중을 대상으로 한 책으로, 쉽게 이해할 수 있는 언어로 수학의 기본 개념과 다양한 수학적 문제를 설명합니다. 이 책은 수학이 우리 일상에서 어떻게 작용하는지를 보여주며, 수학의 중요성과 매력을 강조합니다. 책은 30개의 장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장에서는 다양한 주제를 다룹니다. 첫 번째 장에서는 수학 용어와 식의 개념을 설명합니다. 그리고 나머지 장에서는 수학이 우리 일상에서 어떻게 작용하는지를 다루며, 다양한 예시를 들어 설명합니다. 예를 들어, 두 번째 장에서는 속도와 가속도에 대한 개념을 설명합니다. 자동차, 기차, 비행기 등 우리가 일상에서 마주치는 다양한 운송 수단의 움직임을 예시로 들며, 이러한 운송 수단의 이동 거리와 시간을 이용하여 속도와 가속도를 계산하는 방법을 설..

모두 거짓말을 한다 서평 [내부링크]

『Everybody Lies: Big Data, New Data, and What the Internet Can Tell Us About Who We Really Are』는 인터넷에서 수집된 대규모 데이터를 이용하여 우리의 실제 생각과 행동을 분석하는 방법을 제시합니다. 이 책은 구글 검색 기록, 소셜 미디어, 포르노 사이트 검색, 온라인 게임, 차트 등 인터넷에서 수집된 데이터를 분석하여 우리의 실제 생각과 욕구, 그리고 거짓말을 밝히는데 초점을 맞추고 있습니다. 저자는 대부분의 연구와 설문조사에서는 사람들이 원하는 대답을 하기 때문에 실제로는 다른 결과가 나타날 수 있다는 것을 지적하며, 이를 바탕으로 인터넷 검색 데이터가 보다 정확하고 현실적인 데이터라는 것을 강조합니다. 인터넷 검색 데이터는 사람..

바디 우리 몸 안내서 서평 [내부링크]

빌 브라이슨의 바디: 우리 몸 안내서는 우리 몸의 구조와 기능에 대해 깊이 있게 설명하는 책입니다. 총 23개의 장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각 장에서는 인체의 한 부분에 대한 정보와 이에 대한 흥미로운 사실들이 담겨 있습니다. 책의 첫 장에서는 우리 몸의 역사와 발전에 대한 이야기가 나옵니다. 또한, 인체의 구조와 기능에 대한 이해를 위해 필요한 전반적인 지식과 용어에 대한 소개도 이루어집니다. 그 후로는 각 장에서 다양한 부위와 기능에 대한 정보가 담겨져 있습니다. 예를 들면, 인체의 구조와 기능을 이루는 기본 단위인 세포에 대한 설명, 심장과 혈액순환계에 대한 정보, 뇌와 신경계에 대한 이해, 눈과 귀, 그리고 신체의 운동 기능 등에 대한 다양한 정보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이 책에서는 전문적인 용어나 ..

이기적 유전자 서평 [내부링크]

리처드 도킨스의 '이기적 유전자(Selfish Gene)'는 유전학과 진화 생물학을 다룬 인기 과학 도서이다. 이 책은 유전자의 중요성과 그들이 진화에서 어떤 역할을 하는지에 대한 이론을 제시한다. 도킨스는 유전자의 생존과 번식이 진화의 핵심이라는 주장을 펼치면서, 인간을 포함한 모든 생명체의 행동은 유전자가 행동하는 방식에 따라 결정된다는 것을 보여준다. 책의 핵심 개념 중 하나는 "이기적 유전자"라는 개념이다. 도킨스는 이기적인 유전자가 생존과 번식을 위해 자신의 이익을 최대화하려는 경향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주장한다. 이러한 유전자의 생존 전략은 종의 생존과 번식에 영향을 미친다. 즉, 이기적인 유전자가 살아남으면, 그 유전자가 지니고 있는 특징은 다음 세대로 전달되어 종의 진화를 이끌어 나간다는 ..

부의 추월차선 서평 [내부링크]

"부의 추월차선"은 부자들의 사고방식과 행동양식, 그리고 자신만의 재무관리 방법을 이야기하는 책입니다. 저자는 이 책을 통해 독자들이 자신의 재무상황을 개선하고, 부의 추월차선으로 올라탈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합니다. 이 책에서 저자는 자신의 재무상황을 개선하는 첫 번째 단계로, 돈을 돈내는 기술을 배우는 것을 권합니다. 돈을 돈내는 기술이란, 머니 마인드셋, 돈의 원리, 돈을 통제하는 방법 등을 의미합니다. 저자는 이러한 돈에 대한 지식을 쌓는 것이 중요하다며, 이를 통해 부의 추월차선으로 올라타는 것이 가능하다고 말합니다. 두 번째로, 저자는 독자들에게 적극적인 행동을 취하라고 권합니다. 부자들은 자신만의 목표와 계획을 가지고 적극적으로 행동하며, 실패를 두려워하지 않습니다. 저자는 이러한 적극성과 도..

존리의 부자되기 습관 서평 [내부링크]

존리의 '부자되기 습관'은 부자가 되기 위한 실질적인 조언과 행동 패턴을 제시하는 책입니다. 존리는 자신의 경험과 사례를 토대로 부자들의 생각과 행동 습관을 분석하며, 이를 일반 대중에게 전달하고자 책을 출판하게 되었습니다. 책은 총 10개의 챕터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챕터마다 부자들의 생각과 행동 패턴, 부자되기 위한 실질적인 조언과 행동 방식 등이 제시됩니다. 첫 번째 챕터에서는 부자들의 특징 중 하나인 '돈에 대한 습관'을 분석하며, 돈에 대한 생각과 행동 습관이 부자들과 일반인들에서 어떻게 다른지에 대해 이야기합니다. 부자들은 돈에 대한 관심이 매우 높으며, 자신의 돈을 지켜나가는 것이 중요한 가치 중 하나라고 합니다. 두 번째 챕터에서는 '자산에 대한 생각'에 대해 이야기합니다. 부자들은 돈을..

돈의 심리학 서평 [내부링크]

저자인 모건 하우저는 돈의 심리학에 대해 연구한 심리학자이자 경제학자입니다. 그가 쓴 책 '돈의 심리학'은 돈에 대한 우리의 심리적인 반응과 이를 극복하는 방법에 대해 다룹니다. 이 책은 돈을 중심으로 우리 인간의 복잡한 심리에 대한 통찰력을 제공하며, 우리의 돈과 관련된 선택과 행동을 이해하고, 이를 더 잘 다룰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이 책에서는 돈이 우리에게 어떤 의미를 가지며, 우리가 돈을 갖기를 원하는 이유에 대해 다룹니다. 돈이란 무엇인가, 그리고 돈이 우리에게 어떤 영향을 끼치는가에 대한 이해는 우리의 경제적인 선택과 행동에 대한 인식을 높여줍니다. 하우저는 이를 통해 우리의 인생과 돈의 관계를 다시 생각해보도록 유도합니다. 이 책은 또한 우리의 소비습관과 이에 대한 심리적인 영향에 대해서도..

노래하는 네안데르탈인 서평 [내부링크]

스티븐 미슨(Steven Mithen)의 '노래하는 네안데르탈인'(The Singing Neanderthals: The Origins of Music, Language, Mind and Body)은 인간이 음악을 창조하고, 언어를 사용하며, 그들의 정신과 몸을 형성해왔던 진화 과정에 대한 이론적 고찰을 다룬 책입니다. 이 책은 인류학, 생물학, 신경과학, 음악학 등 다양한 분야의 연구를 기반으로 인간이 어떻게 음악을 창조하고 사용하며, 그것이 인간의 정신과 몸을 형성해왔는지에 대해 분석하고 있습니다. 저자는 네안데르탈인이 음악적 감각을 가지고 있었을 것으로 추측하며, 인간이 음악을 창조하는 방식이 생물학적, 신경학적, 문화적으로 어떻게 형성되었는지에 대해 설명합니다. 책은 네안데르탈인의 사후 유물, 고고..

오만과 편견 서평 [내부링크]

"오만과 편견"은 제인 오스틴의 대표작으로, 19세기 영국의 사회적 문제와 여성의 지위를 다루며, 오만과 편견으로 인한 인간관계의 문제를 살펴냅니다. 소설의 주인공 엘리자베스 베넷은 아름답고 영리한 여성으로, 재력과 지위는 그다지 높지 않습니다. 하지만 그녀는 자신의 능력과 사람들과의 교류를 통해 사회에서 인정받을 만한 자리를 만들어 가고 있습니다. 이런 그녀 앞에 나타난 주인공 미스터 다시는 상류층 출신으로 재력과 지위가 높으며, 자신의 생각과 인격이 뛰어나다고 생각합니다. 그러나 미스터 다시는 엘리자베스의 가난한 출신과 그녀의 가족을 업신여기며 그녀를 멸시합니다. 소설은 이렇게 서로 다른 배경을 가진 두 인물이 서로 만나면서 벌어지는 일을 중심으로 이야기합니다. 그리고 그들 주변의 사람들의 인간관계와..

미드나잇 라이브러리 서평 [내부링크]

'미드나잇 라이브러리'는 저자 매트 헤이그의 소설로, 2018년 출간되어 출간 후 글로벌 베스트셀러에 오른 작품입니다. 이 소설은 인생을 되돌아보며 후회와 아쉬움을 느끼는 사람들을 위한 위로와 희망을 담고 있습니다. 소설의 주인공은 35살의 노라. 그녀는 인생에서 많은 실수를 저질렀으며, 그 결과로 자신의 삶에 대한 후회와 아쉬움을 느끼고 있습니다. 어느 날, 노라는 살면서 만나지 못한 사람들과의 대화, 경험, 결정들을 하나씩 선택할 수 있는 기회를 얻습니다. 이 기회는 노라를 인생의 여정에서 다시 시작하게 만들어 줍니다. 미드나잇 라이브러리는 과거를 되돌아보며 인생의 선택을 되돌릴 수 있다면 어떤 결정을 내리고 싶은지, 어떤 것을 위해 노력하고 싶었는지를 생각하게 만듭니다. 이 소설은 사람들이 어떻게 ..

상상하는 수업 구글클래스룸 서평 [내부링크]

한 학생이 꿈 속에서 선생님이 되어 수업을 진행하면서, 실제로 경험하지 못한 이론과 지식을 상상 속에서 전달하는 것이 주요 내용인 "상상하는 수업"은 교육계에서 인기 있는 주제 중 하나입니다. "상상하는 수업"의 수업 방식은 학생들이 상상력을 발휘하며 자신의 지식과 경험을 바탕으로 자신만의 이야기를 만들어내는 것입니다. 이 수업은 온라인 교육을 위한 구글클래스룸을 활용하여 진행됩니다. 한 학생이 꿈 속에서 선생님이 되어 수업을 진행하면서, 이론적인 내용을 직관적인 예시와 이야기로 설명하며 수업의 내용을 전달합니다. 예를 들어, 수학 수업에서는 상상 속에서 두 개의 사과를 더하는 방법을 설명하며, 역사 수업에서는 역사적인 사건을 상상 속에서 체험하는 방법을 알려줍니다. 이 수업은 학생들이 창의적인 문제 해..

화성에서 온 남자 금성에서 온 여자 서평 [내부링크]

화성에서 온 남자 금성에서 온 여자(Men are from Mars, Women are from Venus)는 세계적인 베스트셀러로, 남성과 여성이 서로 다른 방식으로 사고하고 행동하는 것에 대해 설명한다. 이 책에서는 남성과 여성의 성격적 차이와 그로 인한 의사소통 문제 등 다양한 문제에 대해 다루고 있다. 책은 전체적으로 4개의 파트로 나뉘어져 있다. 첫 번째 파트에서는 남성과 여성의 성격적 차이에 대해 설명한다. 남성은 문제 해결에 집중하는 경향이 있고, 특정한 목적을 위해 행동하는 경향이 강하다. 반면 여성은 대화와 연결에 더 집중하는 경향이 있고, 상황에 따라 다양한 감정을 느낀다는 것이다. 두 번째 파트에서는 남성과 여성의 의사소통 방식에 대해 다루고 있다. 책에서는 남성과 여성의 대화 방식이..

THE FIVE LOVE LANGUAGES / 5가지 사랑의 언어 서평 [내부링크]

5가지 사랑의 언어(The 5 Love Languages)는 게리 차프먼(Gary Chapman)의 저서로, 사랑의 언어를 통해 서로를 이해하고 더욱 깊은 연결을 형성하는 방법을 제시하고 있다. 이 책은 모든 사람들이 사랑의 표현과 이해 방법이 다르다는 것을 기반으로 한다. 차프먼은 사람들이 서로의 사랑 언어를 이해하고 사용하면, 상호 간에 더욱 효과적으로 사랑을 표현할 수 있다는 것을 알려주고 있다. 책에서는 다섯 가지 사랑의 언어를 소개하고, 이들을 통해 상호 간에 표현되는 사랑을 더욱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다는 것을 설명한다. 첫 번째 언어는 '칭찬의 언어'이다. 이 언어는 사람들이 칭찬과 격려를 받음으로써 사랑을 느끼는 사람들에게 중요하다. 두 번째 언어는 '서로의 시간과 주의를 드리는 언어'이..

RISE OF THE ROBOTS / 로봇의 부상 서평 [내부링크]

'Martin Ford'의 'Rise of the Robots'은 인공지능과 로봇의 발전이 미래의 일자리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에 대한 예측과 분석을 담은 책이다. 이 책은 2015년에 출간되어 인공지능과 로봇 기술이 점차 진보함에 따라 일자리가 대규모로 사라질 가능성이 높아질 것임을 경고하고 있다. '물리적인 일들'이 머신러닝, 인공지능, 로봇 기술 등의 발전으로 대체될 가능성이 높아진다. 예를 들어, 자율주행 자동차는 운전사를 대체할 수 있고, 셀프 서비스 기술은 매장 직원의 업무를 대체할 수 있다. 이러한 자동화 기술은 교육 수준이 높은 직업들에도 적용될 수 있다. 그 결과로, 미래의 일자리는 더욱 불안정해질 가능성이 크다. 책은 사람들이 어떻게 대처해야 할지에 대한 조언을 제시하고 있다. 또한, 인..

The Hobbit / 더 호빗 서평 [내부링크]

J.R.R. 톨킨의 대표작 중 하나인 'The Hobbit'은 Middle Earth의 모험과 판타지를 담은 소설이다. 이 책은 Bilbo Baggins라는 호빗이 거대한 용과 싸우고, 다양한 무서운 생명체들과 마주하며, 그리고 소중한 보물을 찾기 위해 여행하는 이야기를 다룬다. Bilbo Baggins는 중간에서 살고 있는 평범한 호빗이다. 그러나 어느 날 Gandalf the Wizard가 그를 모험의 여행에 초대한다. Bilbo는 초기에는 이 여행을 거부하지만, 결국 그는 Gandalf와 함께 동행하게 된다. 그는 Thorin Oakenshield라는 왕족 드워프와 그의 동료들과 함께 Lonely Mountain으로 향하는 여행을 떠난다. 이 여행 도중, Bilbo와 그의 동료들은 Goblin, O..

세이노의 가르침 서평 [내부링크]

『세이노의 가르침』은 일본의 저명한 인문학자인 세이노 야스히코가 쓴 자기계발서이다. 이 책은 독자들에게 자신의 삶을 개선하고 좀 더 나은 인간이 되는 방법에 대해 가르쳐준다. 세이노 야스히코는 20세기 후반 일본의 가장 영향력 있는 인물 중 하나로, 그의 지혜와 가르침은 많은 일본인들에게 영감을 주었다. 책은 총 6개의 파트로 구성되어 있다. 첫 번째 파트에서는 세이노 야스히코가 인생의 목표를 설정하는 방법과 그 목표를 이루기 위한 계획을 세우는 방법에 대해 이야기한다. 그는 자신의 경험을 토대로 목표를 설정하고 이루는 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두 번째 파트에서는 세이노 야스히코가 성공과 실패에 대한 개념을 설명하고, 그것들이 인생에서 어떤 역할을 하는지에 대해 이야기한다. 그는 성공과 실패를 이해하..

호밀밭의 파수꾼 서평 [내부링크]

J.D. 샐린저의 소설 '호밀밭의 파수꾼(The Catcher in the Rye)'은 1951년 처음 출간되어 이후 전 세계적으로 사랑받는 대표적인 소설 중 하나입니다. 이 소설은 젊은 청년 홀덴 콜필드의 3일간의 여행을 그린 이야기로, 홀덴의 시선을 중심으로 사회의 문제와 인간의 성장에 대한 이야기가 담겨 있습니다. 홀덴은 집에서 나와 여행을 떠나지만, 그의 내면은 불안과 괴로움에 차 있습니다. 어린 동생 앨리와 아버지와의 갈등, 학교에서의 문제, 그리고 사람들과의 어울림에서 느끼는 외로움과 이해받지 못함 등, 홀덴은 매 순간 내면의 갈등과 불안을 안고 살아가고 있습니다. 이 소설은 홀덴의 시선을 통해 젊은 세대의 문제와 고민, 불안함을 담고 있습니다. 또한, 소설의 마지막 장면에서는 홀덴이 성장하고..

The Secret 시크릿 서평 [내부링크]

'더 시크릿(The Secret)'은 미국 작가 론다 번의 저서로, 세계적인 대혁명을 일으킨 자기계발서이다. 이 책은 전 세계적으로 많은 사람들의 인생을 바꾸고 자신의 인생을 더욱 풍요롭고 행복하게 살기 위한 비밀을 제공한다는 취지로 출간되었다. 이 책은 우리가 늘 꿈꾸던 삶을 실현하는 법을 깊이 있게 다룬다. 이 책에서는 자신의 생각에 집중하는 것이 모든 것의 시작이라는 점을 강조한다. 그리고 우리는 자신의 생각으로 우주의 에너지를 산출할 수 있다는 것을 알려준다. 더 나아가 자신의 운명을 조종할 수 있다는 것을 강조하며, 우주의 법칙에 따라 삶을 디자인하는 법을 알려준다. 이 책에서는 흔히들 널리 알려진 '법칙의 법칙'이라는 우주적인 법칙을 바탕으로, 인생을 바꾸는 비밀을 찾을 수 있다고 주장한다. ..

칼세이건의 코스모스 서평 [내부링크]

칼 세이건(Carl Sagan)의 코스모스(Cosmos)는 인류의 지식과 과학적 진보에 대한 전례 없는 탐구적 여행이다. 이 책은 대중과학서로서 우주, 생명, 지구 및 인간의 역사에 대한 엄청난 인기를 끌었다. 코스모스는 흥미로운 역사, 철학, 과학 및 우주학적 개념을 다루며, 인간의 탐구 정신에 대한 대담하고 혁신적인 개념을 제시한다. 이 책은 태초의 우주의 탄생부터 인류의 지구 위에 나타난 우주의 모든 것까지 다양한 주제를 다룬다. 세이건은 코스모스에서 우주학, 물리학, 천문학, 생물학, 철학 등의 분야를 포괄하여 지식을 높이기 위한 탐구적인 여행을 제공한다. 이 책은 우주의 구성과 구성 요소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 혁신적인 시각과 묘사를 제공한다. 세이건은 코스모스에서 인간의 지성과 인간의 역사를..

하이디 배움과 방랑의 시절 서평 [내부링크]

『하이디 배움과 방랑의 시절』은 유명한 독일 작가 요하네스 스피리의 소설로, 19세기 스위스 산악 지방에서 살고 있는 어린 소녀 하이디의 이야기를 다룬 작품입니다. 이 소설은 하이디가 어머니와 함께 살던 도시 생활에서 산악 지방 할아버지와 함께 생활하게 되면서 일어나는 여러 이야기를 담고 있습니다. 하이디는 자연과 동물들과 가까이 살며 건강하고 자유로운 삶을 살아가면서 할아버지와 많은 시간을 보내며 즐겁고 따뜻한 일상을 보냅니다. 하지만 어느 날 할아버지는 하이디를 도시로 보내야 한다는 소문을 듣고, 하이디는 할아버지와 이별하고 도시로 갈 준비를 합니다. 하지만 이러한 변화에 대한 두려움과 불안감으로 인해 하이디는 매우 힘들어하게 되고, 이후 일어나는 여러 사건들을 통해 다시 자신의 집과 자연과 가까운 ..

생각하라 그러면 부자가 되리라 서평 [내부링크]

『생각하라 그러면 부자가 되리라』는 저자 나폴레온 힐의 지은 자기계발서로, 부의 심리학과 부자들의 성공 습관을 소개하고 이를 실천하는 방법을 제시합니다. 이 책은 다양한 부자들의 경험과 이야기, 그리고 부의 심리학에 대한 분석을 통해 부의 공식을 찾아내려는 시도로 시작됩니다. 이 책은 다음과 같은 내용을 다룹니다. 첫째, 부자들의 공통점과 부자가 되는 방법: 이 책에서는 부자들의 공통점과 부자가 되는 방법을 소개합니다. 부자들은 자신의 목표를 설정하고, 계획을 세우며, 실행에 옮기는 능력이 뛰어나며, 실패와 문제에 대한 대처능력이 높습니다. 그리고 부자들은 돈을 버는 것이 아니라, 가치를 창출하고 이를 시장에 제공하는 일을 합니다. 둘째, 부의 심리학: 이 책은 부의 심리학에 대한 다양한 이론과 그 원리..

해리포터와 마법사의 돌 서평 [내부링크]

해리포터와 마법사의 돌은 영국 작가 J.K. 롤링의 판타지 소설 시리즈인 '해리포터'의 첫 번째 책입니다. 이 책은 어린 소년 해리 포터가 매직 학교인 호그와트(Hogwarts)에 입학하여 마법과 마법사 세계를 경험하는 이야기입니다. 해리 포터는 부모를 잃고 혼자 살고 있는 소년으로, 어느 날 '호그와트'에서 마법을 배우게 됩니다. 호그와트는 마법 학교로서, 세계에서 가장 유명한 마법 학교 중 하나입니다. 해리는 새로운 친구 론과 헤르미온느와 함께 마법을 배우며 학교 생활을 시작합니다. 그러나 마법사들 사이에서는 위험한 소문이 돌고 있습니다. 그 소문은 단 한 명의 마법사가 세상에서 가장 강력한 마법인 '학자의 돌'을 찾아내어 영생을 얻게 된다는 것입니다. 이 소문은 마법사들 사이에서 대단히 유명하고, ..

앵무세 죽이기 서평 [내부링크]

『앵무새 죽이기』는 대표적인 미국 소설가 하퍼 리의 대표작 중 하나입니다. 이 소설은 인종차별과 가부장제에 대한 문제를 다루면서도, 소년 스카우트인 제임스의 성장과 세상을 보는 시각이 변화하는 과정을 그리고 있습니다. 소설의 주인공인 제임스는 어린 시절, 인종차별과 가부장제가 여전히 존재하는 미국 남부에서 자랍니다. 그러나 어느 날, 그의 아버지가 앵무새를 쏘아 죽이기 시작하면서, 제임스의 시선은 변합니다. 그는 자신의 아버지가 평소에는 가정적이고 온순했던 것과는 달리, 사회적 약자인 앵무새를 죽이려는 이유를 깨닫게 되는데, 이것이 그의 세상관을 바꾸는 계기가 됩니다. 이 소설은 인종차별과 가부장제가 미국 사회에 끼치는 부정적인 영향을 소설적인 서사와 함께 그리고 있습니다. 또한 이 소설은 제임스의 성장..

다빈치코드 서평 [내부링크]

"다빈치 코드"는 댄 브라운(Dan Brown)의 베스트셀러 소설로, 보스턴의 하버드 대학교 심볼로지 박사 로버트 랭던과 프랑스의 루브르 박물관 보안요원 소피 누브로가, 그리스도의 후계자를 찾는 여정을 그린 스릴러 소설입니다. 이 소설은 미스터리와 스릴러, 문화, 종교 등 다양한 장르를 아우르며, 이들이 한데 얽혀가는 이야기는 깊이 있고 복잡합니다. 로버트와 소피는 다양한 신호와 암호를 해석하고, 다양한 역사적 사실들을 조사하며, 그리스도의 후계자가 누구인지 파악하고자 하지만, 이 과정에서 다양한 위험과 미스터리를 마주하게 됩니다. "다빈치 코드"는 정확한 역사적 사실과 픽션의 경계를 모호하게 만들어, 독자들의 흥미를 자극합니다. 이 소설에서는 그동안 알려지지 않은 비밀과 미스터리, 그리고 역사적인 인물..

어린왕자 서평 [내부링크]

"어린 왕자"는 안투앙 드 생텍쥐페리가 쓴 인기 있는 소설로, 1943년 처음 출판되었습니다. 이 소설은 먼 행성에서 온 어린 소년이 여러 행성을 여행하면서 다양한 인물들을 만나며 인생의 중요한 교훈을 배우는 이야기를 담고 있습니다. 이 책은 종종 어린이용 도서로 분류되지만, 모든 연령대의 독자들이 감상할 수 있는 깊이 있고 의미 있는 내용을 담고 있습니다. 작가는 어린 왕자의 이야기를 통해 우정의 중요성, 상상력의 가치, 그리고 인생의 진정한 의미 등 다양한 주제를 다루었습니다. 어린 왕자의 여정은 현대 사회와 그 가치관에 대한 비판을 담고 있으며, 허세와 허무한 것들에 매달리며 진정한 아름다움을 놓치는 인물들을 만나게 됩니다. 이 소설은 사랑과 친절, 인간적인 연결의 중요성에 대한 강력한 메시지를 전..

반지의 제왕 서평 [내부링크]

“반지의 제왕”은 J.R.R. 톨킨의 소설 세계를 바탕으로 한 영화로, 지구상에서 가장 인기 있는 영화 중 하나입니다. 이 영화는 세계 최고의 판타지 소설 중 하나로 손꼽히며, 톨킨의 풍부한 상상력과 섬세한 캐릭터 묘사, 장르를 초월하는 철학적인 내용 등으로 유명합니다. 이 작품은 세계를 지배할 수 있는 권력이 담긴 “원래의 반지”를 끌고 있는 “다크로드 사우론”에게서 멀리 떨어져 있는 지역에서 시작됩니다. 반지는 늙은 호빗 “빌보 배급”에게서 발견되며, 그가 반지를 수호하는 임무를 맡게 됩니다. 그러나 사우론은 반지를 찾아내기 위해 수많은 악당을 보냅니다. 빌보 배급은 친구들과 함께 반지를 파괴할 수 있는 유일한 장소인 “모드어”로 향합니다. 빌보 배급은 전설적인 용사 “아라곤”과 “레고라스”, 그리고..

세기관지염 [내부링크]

개요 세기관지염은 기관지 맨끝 부분인 세기관지의 급성 염증성 질환으로 주로 바이러스 감염에 의해 발생합니다. 기관지의 구조와 기능이 미성숙한 2세 이전에 주로 발생하는데, 특히 돌 전후로 발생 빈도가 높으며, 입원의 가장 흔한 원인입니다. 특정 기저 질환을 가진 어린이는 호흡곤란이 심할 수 있고, 면역력이 부족한 6개월 이하의 영아는 빠르게 악화될 수 있어 주의 깊은 관찰과 적절한 치료가 중요합니다. 개요-원인 세기관지염은 대부분 바이러스 감염에 의해 발생합니다. 가장 흔한 원인 바이러스는 호흡기세포융합 바이러스(Respiratory syncytial virus, RSV)로 전체 원인의 50~75%를 차지합니다. 파라인플루엔자 바이러스,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리노바이러스, 아데노바이러스 등의 바이러스와 ..

지루 피부염 [내부링크]

개요-정의 지루피부염은 두피, 얼굴 및 상부 체간 등 피지의 분비가 많은 신체 부위에 국한하여 홍반과 인설을 특징으로 하는 만성 염증성 질환입니다. 비듬은 두피의 과다한 인설을 특징으로 하는 비염증성 상태로서, 지루피부염에 포함하기도 합니다. 개요-원인 지루피부염의 원인은 확실하지 않으나 피지의 과다분비, 호지성 진균인 말라세지아(Malassezia), 표피의 과다 증식, 세포성 면역 이상, 신경계 장애 등이 지목되고 있으며, 최근에는 피부 장벽 기능 이상도 거론되고 있습니다. 최근에 특히 3가지 요소, 피지샘에서 분비되는 피지가 말라세지아의 성장을 위한 기질로 사용되고 있는 것, 말라세지아가 피지를 대사시켜 자극성의 포화 지방산을 생산해 낸다는 것, 이 지방산에 대한 개인의 감수성에 차이가 있어 그 결..

골다공증 [내부링크]

개요 뼈는 성장이 멈춰 있는 조직이 아니라 평생 지속적으로 생성과 성장, 흡수의 과정을 반복하며 변하는 장기입니다. 1년마다 10%의 뼈가 교체되고 10년이 지나면 우리 몸의 뼈는 모두 새로운 뼈로 교체됩니다. 사춘기에 성인 골량의 90%가 형성되고, 35세부터 골량이 서서히 줄어들다가 여성의 경우 50세 전후에 폐경 되면서 매우 빠른 속도로 골량이 줄어드는데, 폐경 후 3~5년 동안 골량의 소실이 가장 빠르게 일어납니다. 개요-정의 '골다공'은 뼛속에 구멍이 많이 생긴다는 뜻으로, 골다공증은 뼈의 강도가 약해져 쉽게 부러지는 질환을 의미합니다. 뼈의 강도는 뼈의 질과 양에 의해서 결정됩니다. 뼈의 질에 영향을 주는 요소로는 뼈의 구조, 미세 손상, 교체율, 무기질 정도 등이 있습니다. 현재까지는 뼈의 ..

디프테리아 [내부링크]

개요 디프테리아는 디프테리아균(Corynebacterium diphtheriae) 감염 후 발생하는 급성, 독소(toxin) 매개성 호흡기 감염병으로 인체의 모든 점막을 침범할 수 있으며 침범부위에 막(membrane)이 생기는 것이 특징입니다. 기원전 5세기 히포크라테스가 디프테리아에 관해 기술한 이래 역사상 디프테리아 감염은 수없이 많이 유행되었고, 1883년 클레브스(Kelbs)에 의해 최초로 디프테리아균이 관찰되었으며 1884년 뢰플러(Löffler)에 의하여 배양에 성공하였습니다. 19세기 후반 항독소가 개발된 이래 1920년대에 이르러 톡소이드(toxoid, 독소를 무독화 시킨 것)가 개발되어 현재까지 백신으로 사용되고 있습니다. 개요-신고 대상 및 방법 1. 신고범위: 환자, 의사환자 2. ..

실어증 증상과 치료 [내부링크]

개요-정의 갓 태어난 아이는 말을 할 줄 모릅니다. 시간이 지나가면서 쉬운 단어를 습득하고, 이를 입으로 소리 낼 수 있게 됩니다. 가족이나 친구들과 어울리면서 습득된 단어가 점차 늘어나고, 대화하는 법을 배우면서 언어기능을 발전시킵니다. 대부분 사람은 특별한 훈련이 없어도 가족이나, 친구 또는 주변 사람들과 대화를 하는데 어려움을 느끼지 못합니다. 하지만, 언어기능에 이상이 없던 사람이 여러 가지 병적인 원인으로 인해 말을 잘하지 못하던 상태로 돌아갈 수 있는데, 이것을 ‘실어증’이라고 합니다. 언어장애는 언어를 제대로 습득하지 못한 경우도 모두 포함하는 보다 넓은 범위의 용어입니다. 반면에, 실어증은 언어기능을 제대로 습득했던 사람이 뇌의 병변으로 인해 습득했던 언어기능을 소실한 경우만을 의미합니다...

부비동염(코부비동염) [내부링크]

개요 부비동이란 얼굴 뼈 속의 공기로 채워진 빈 공간을 의미하며 부위에 따라 사골동, 상악동, 전두동, 접형동으로 나뉘어져 있습니다. 부비동은 자연공이라고 하는 조그만 통로를 통해 비강 으로 열려 있습니다. 부비동의 역할은 명확히 밝혀지지 않았으나, 음성의 공명, 외부에서 들이 마시는 공기에 대한 가습, 비강 내의 압력 조절, 그리고 두개골을 가볍게 하는 등의 역할을 하는 것으로 추정되고 있습니다. 개요-정의 부비동염이란 부비동 내부를 덮고 있는 점막에 염증이 생기는 것을 통칭하는 것으로 대부분 비염에 속발하며, 비염 없이 부비동염만 단독으로 발생하는 경우는 거의 없기 때문에 ‘코부비동염’이라 부르는 것이 더 정확한 표현입니다. 개요-종류 코부비동염은 이환 기간에 따라 급성, 아급성, 그리고 만성 코부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