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대학교 김재범 교수 연구진, 내장지방 노화가 대사성질환 원인 밝혀


서울대학교 김재범 교수 연구진, 내장지방 노화가 대사성질환 원인 밝혀

2022.05.04-서울대학교 김재범 교수 연구진, 내장지방 노화가 대사성질환 원인 밝혀 [표]=노화지방세포에 의한 대사성질환 발병 표 서울대학교 서울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생명과학부 김재범 교수 연구진은 4일 보도자료를 통해 비만 시 내장지방에서 지방세포 노화 현상이 매우 빠르게 유도됨을 발견하였고, 노화 지방세포의 축적은 지방조직 염증반응 및 인슐린 저항성을 일으킴으로써 대사성질환으로 이어질 수 있음을 밝혔다. 본 연구진은 지방세포 노화의 매개자로 SREBP1c-PARP1축을 규명했다.

비만으로 인한 지방세포 내 DNA손상 축적은 세포 노화의 원인으로 작용하며, 이 과정에서 SREBP1c 단백질은 PARP1 단백질과 결합하여 손상된 DNA를 복구함으로써 세포 노화를 조절한다. 반면에 지방세포에서 SREBP1c 저하는 DNA손상 축적을 증폭시켜, 세포 노화를 가속화시킨다.

서울대학교는 이번 연구에서 비만 시 지방세포가 빠르게 노화되는 원인을 밝혔으며, 노화 지방세포에 의해 유도되는 대...



원문링크 : 서울대학교 김재범 교수 연구진, 내장지방 노화가 대사성질환 원인 밝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