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무분석 중 유동성 비율에 대하여 쉽게 설명합니다


재무분석 중 유동성 비율에 대하여 쉽게 설명합니다

지난 포스팅에서는 재무분석을 위한 6가지 비율분석 중에서 생산성 비율분석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오늘은 마지막으로 유동성 비율분석에 대하여 쉽게 설명해 보겠습니다. 1) 수익성 2) 안정성 3) 활동성(효율성) 4) 성장성 5) 생산성 6) 유동성 '기업의 유동성'이란 기업의 단기지급능력을 말합니다.

즉, 회사가 단기(보통 1년 이내)에 갚아야 할 부채를 상환할 능력이 있는지, 급작스럽게 경기가 악화되어 예기치 못한 자금이 소요될 때 갹출할(동원할) 자금이 있는지 보는 것입니다. 유동성 비율은 회사의 재무적 안정성을 평가하는 중요 지표입니다.

유동성이 낮으면 갑작스런 부도나 흑자도산에 처할 수 있습니다. 경기가 좋을 때는 은행문턱도 낮아서 은행들이 기업에 대출도 잘 해줄 뿐 아니라 만기가 도래한 대출 건도 저리로 다시 대출을 갱신(renewal)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요즘처럼 갑자기 전세계적으로 그리고 국내적으로 불경기에 진입하고, 물가와 금리가 오르면 약삭빠른 은행들은 재무구조가...


#당좌비율 #직장인멘토 #재무분석 #자산과부채와자본 #유동자산 #유동성지표 #유동성비율 #유동성분석 #유동비율 #유동부채비율 #유동부채 #성공직장인멘토 #비율분석 #현금비율

원문링크 : 재무분석 중 유동성 비율에 대하여 쉽게 설명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