돈의 양면성_자녀 양육에 ‘돈의 한계효용 체감의 법칙’이 적용된다


돈의 양면성_자녀 양육에 ‘돈의 한계효용 체감의 법칙’이 적용된다

돈이 많으면 행복할까요? 돈이 많으면 자녀를 훌륭히 키워낼 수 있을까요?

가난도 문제이지만 지나친 부도 문제입니다. 오늘은 "자녀 양육을 잘 하기 위해서 돈이 어느 정도 많아야 할까?"

에 대해서 말콤 글래드웰이 명쾌하게 설명한 내용을 알아보면서 생각하는 시간 가져봅니다. "당연히 돈이 많으면 좋지, 그리고 많을수록 더 좋은 거지 무슨 개 풀 뜯어 먹는 소리냐"라고요?

저도 돈 좀 풍족하게 만져보고 싶고, 돈에 절실한 편입니다만(노후 대비하려니 더욱) 무조건 돈이 많다고 좋은 건 아닌 것 같습니다. 돈이 많은 사람의 경우에 해당되는 얘기입니다만 돈의 한계효용 체감의 법칙입니다.

'한계효용 체감의 법칙'이란 아시다시피 동일한 재화나 서비스를 소비하면 할수록 그 소비가 주는 주관적인 만족도가 점차 감소한다는 것입니다. 이게 일상 여러 곳에 잘 적용됩니다.

어느 정도 진리~. 맛있는 음식도 첫 술이 제일 맛나고 만족감을 줍니다.

두 번째 숟가락부터는 점차 만족도가 떨어집니다. 술도 마찬가지...


#가계소득 #돈의한계효용체감의법칙 #말콤글래드웰 #부유한가정환경 #부자 #자녀교육 #자녀양육 #자녀양육과소득수준 #한계효용체감의법칙 #돈의양면성 #돈의부작용 #돈의두얼굴 #가난 #가난한가정환경 #가난한부모 #가정환경 #경제력 #다윗과골리앗 #돈과행복 #돈많은부모 #행복과소득수준

원문링크 : 돈의 양면성_자녀 양육에 ‘돈의 한계효용 체감의 법칙’이 적용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