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어 옹야편 제14장 공직자는 사적인 이익을 추구하지 않아야 한다


논어 옹야편 제14장 공직자는 사적인 이익을 추구하지 않아야 한다

논어 옹야편 제14장 공직자는 사적인 이익을 추구하지 않아야 한다 子游為武城宰。子曰:「女得人焉爾乎?」

曰:「有澹臺滅明者,行不由徑。非公事,未嘗至於偃之室也。」

자유위무성재。자왈:「여득인언이호?」

왈:「유담대멸명자, 행불유경。비공사, 미상지어언지실야。」

논어 옹야편 대로 뤼튼 이미지 해석 자유가 무성(武城)의 지방관이 되었을 때,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너는 그곳에서 인재를 얻었느냐?"

자유가 대답하였다. "담대멸명(澹臺滅明)이라는 사람이 있는데, 그는 길을 갈 때 지름길로 다니지 않으며, 공적인 일이 아니면 저의 집에 찾아온 적이 없습니다."

논어 옹야편 지름길 뤼튼 이미지 해설 이 대화를 통해 공자는 인재를 알아보는 방법과 인재를 존중하는 태도를 보여주고 있습니다. 또한 자유는 자신의 일에 충실하고, 사적인 이익을 추구하지 않는 인재를 추천하고 있습니다.

담대멸명은 '지름길로 다니지 않고, 공적인 일이 아니면 관직에 있는 사람을 찾아가지 않는다'는 원칙을 가진 인물로, 이를 통해 그가 매...


#공자 #논어 #논어_옹야편_14장 #논어_옹야편_제14장 #논어옹야편 #옹야편 #옹야편_14장 #옹야편_제14장

원문링크 : 논어 옹야편 제14장 공직자는 사적인 이익을 추구하지 않아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