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 언어] 정수와 실수의 표현 방식


[C 언어] 정수와 실수의 표현 방식

이전 포스팅에서 학습 했듯이, 컴퓨터가 데이터를 2진수로 표현한다는 사실은 알고 있지만 정수와 실수 그리고 문자와 같은 데이터는 2진수로 어떻게 표현하는지 모른다. 프로그래밍과 크게 상관 없게 느껴질 수도 있지만 이를 아는 것과 모르는 것에는 차이가 크다고 한다.

이번에 확실히 이해를 해 보자. 정수의 표현 방식 컴퓨터가 정수와 실수, 그리고 문자를 표현하는 방식에는 두드러진 차이가 있는데 먼저 정수의 표현 방식에 대해서 알아보자.

C 언어는 보통 하나의 정수를 4바이트로 표현하지만, 여기서는 1바이트를 기준으로 정수의 표현 방식을 짚는다. 크게 달라지는 것은 없으며, 크기가 줄더라도 정수의 표현 방식에는 변함 없다. 4바이트면 32비트인데, 이를 그림으로 그려 가면서 이해하기에는 좀 귀찮다.

정수의 가장 왼쪽에 존재하는 비트는 '부호비트'이다. 컴퓨터가 1바이트 메모리 공간에 정수를 저장하려고 한다.

그런데 저장하려는 값이 양수를 의미하는 '+1'이다. 그렇다면 메모리 공간은 어...


#1의보수 #음수 #양수 #실수 #소수점이하 #소수점이상 #부호비트 #부동소수점오차 #근사치 #MSB #C언어 #2의보수법 #정수

원문링크 : [C 언어] 정수와 실수의 표현 방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