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S] TLB(Translation Lookaside Buffer)와 유효 접근 시간(Effective Access Time)


[OS] TLB(Translation Lookaside Buffer)와 유효 접근 시간(Effective Access Time)

우리는 외부 메모리 단편화 현상을 막기 위해 페이징(Paging)이라는 기술을 사용한다. 이 페이징이라는 기술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CPU가 내는 논리 주소를 물리 주소로 바꾸는 이런 주소 변환 과정이 필요하다. 이러한 일을 하는 MMU를 "페이지 테이블(Page Table)" 이라고 하는데, 우선 이 페이지 테이블을 어떻게 만들었을지부터 한번 생각해보자. 1. CPU에 넣기 2. 메인메모리에 넣기 CPU에 넣는다고 한번 생각해보자. 주소 변환이 빠르긴 하겠지만, 메모리가 아닌 CPU에 페이지 테이블을 넣는다면 페이지 테이블의 엔트리를 담기에는 너무 작을 것이다. 그럼 메인메모리를 생각해보자. 페이지 테이블의 엔트리는 크게 만들 수 있을 것이다. 하지만 속도가 많이 느릴 것이기에 부적합할 것이다. 결론적으로는 빠른 캐시메모리를 만들 때 쓰는 SRAM을 이용해서 이 페이지 테이블을 만들었는데, 이를 TLB(Translation Lookaside Buffer)라고 한다. 그럼 이 TLB를...


#Effectiveaccesstime #페이지테이블hit #유효접근시간계산 #transitionlookasidebuffer #TLB란 #TLB #effectivememoryaccesstime계산 #effectivememoryaccesstime #effectiveaccesstime계산 #페이지테이블miss

원문링크 : [OS] TLB(Translation Lookaside Buffer)와 유효 접근 시간(Effective Access Tim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