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량진한의원] 다발성 근염 진단기준 Bohan과 Peter기준 vs ENMC Diagnostic Criteria


[노량진한의원] 다발성 근염 진단기준 Bohan과 Peter기준 vs  ENMC Diagnostic Criteria

1975년 Bohan과 Peter 등은 임상증상, 피부발진의 여부와 혈청검사, 전기전도검사, 근육병리소견의 특징을 바탕으로 하여 특발성근염을 다발성근염, 피부근염, 소아형 다발성근염 및 피부근염(juvenile type), 악성종양과 동반된 다발성근염 및피부근염, 결체조직질환과 동반된 다발성근염 및 피부근염 등의 다섯 가지의 아형으로 분류하였다 그러나 최근 연구들을 통하여 Bohan과 Peter 등에 의한 특발성근염의 고전적 분류법으로는 특발성근염의 아형들을 감별하는데 여러 가지 문제점이 대두되었다. 우선 Bohan과 Peter 분류법은 특발성근염의 각 아형에 대한 병리학적 특성을 고려하지 않아 피부근염과 다발성근염의 구분을 피부병변의 유무로만 의존하였기 때문에 임상적으로는 피부 발진이 없지만 병리소견에서 피부근염이 확인되는 경우(dermatomyositis siné rash) 다발성근염으로 오진 할 수 있고, 특히 최근의 외국 연구들에서는 봉합체근염의 빈도가 과거 알려진 것에 비해...


#노량진한의원 #다발성근염 #다발성근육염 #염증성근병증

원문링크 : [노량진한의원] 다발성 근염 진단기준 Bohan과 Peter기준 vs ENMC Diagnostic Criteri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