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무원 기출 국어 사잇소리 현상 사이시옷 정리


공무원 기출 국어 사잇소리 현상 사이시옷 정리

안녕하세요! 구성공무원학원, 역삼공무원학원을 대표하는 수원공무원학원입니다.

수능, 공무원 등 국어공부를 해본 분이라면 '사잇소리 현상'에 대해 들어보셨을텐데요. 공무원 기출 사이시옷을 정리해보려고 합니다.

<사이시옷이란?> 한글에서 사잇소리 현상이 나타났을 때 쓰는 'ㅅ'의 이름!

순우리말+순우리말의 결합이나, 순우리말+한자어 합성어에서 다음에 해당하는 경우 사용됨. ① 앞말이 모음으로 끝날 때 뒷말의 첫소리가 된소리로 나는 경우 ② 뒷말의 첫소리 ‘ㄴ’, ‘ㅁ’ 앞에서 ‘ㄴ’ 소리가 덧나는 경우 ③ 뒷말의 첫소리 모음 앞에서 ‘ㄴㄴ’ 소리가 덧나는 경우 <사이시옷 예시> 아래+방=아랫방 아래+이=아랫니 나무+잎=나뭇잎 촛불과 초점을 예시로 들어 함께 알아볼게요! 촛불: 초+불 초와 불은 모두 순우리말이기 때문에 고유어끼리의 결합으로 사잇소리 현상이 적용이 됩니다.

초점: 태울 초+점 점 한자어끼리의 결합이기 때문에 사잇소리 현상이 적용되지 않아, 사잇소리가 들어가지 않았네요! 이렇...


#구성공무원학원 #사이시옷 #사잇소리예외 #사잇소리현상 #역삼공무원학원

원문링크 : 공무원 기출 국어 사잇소리 현상 사이시옷 정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