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이썬 6) 실수, 논리, 문자열


(파이썬 6) 실수, 논리, 문자열

안녕하세요 희주에요 진도를 열심히 나가보도록 하겠습니다 034 다음은 10진수를 2진수, 8진수, 16진수로 변환하는 방법입니다. >>> n = 95 >>> bin(n) #2진수로 변환합니다. '@b1011111' 》》》 oct(n) #8진수로 변환합니다. '00137' >>> hexin) #16진수로 변환합니다. '0x5f' 2 실수(float) float는 실수 자료형입니다.

기본적으로 소수점이 있는 숫자를 실수(floating point number)라고 합니다. 지수 형식에 나 복소수 형식으로 표현할 수도 있습니다.

특징 소수점이 있는 숫자 n=3.14 e를 포함하는 숫자 n = 1.5e2 실수와 허수()를 포함하는 숫자 n = 1.5+ 2.54j float() 함수를 이용하면 다른 자료형의 값을 실수형 데이터로 변환할 수 있습니다. 》》》 float(1) #정수 1을 실수 10으로 변환합니다. 파이썬에서 False는 값이 없는 모든 경우를 의미합니다.

숫자 0, 빈 문자열 ...


#16진수로 #2진수로 #8진수로 #실수 #정수

원문링크 : (파이썬 6) 실수, 논리, 문자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