러너스 하이(Runners’ High)


러너스 하이(Runners’ High)

30분이상 뛰면 행복감이 밀려오는 러너스하이 “마라톤등의 장거리운동을 마약에 비유하는 사람도 많습니다. 고통을 이기며 달린 뒤에 오는 환희(歡喜)를 한번 맛보면 그 행복감을 잊지 못해 계속 뛰게 되니까요.”

스포츠의학 용어인 러너스 하이는 마라톤 처럼 중간 강도의 운동을 30분 이상 계속할 때 느끼는 행복감으로 ‘운동 하이(Exercise High)’라고도 합니다. 헤로인이나 모르핀을 투약했을 때 나타나는 의식상태나 행복감과 비슷하다고도 합니다.

이 용어는 캘리포니아대 심리학자인 아놀드 J 맨델이 79년 발표한 정신과학 논문 ‘세컨드 윈드(Second Wind)’에서 처음 소개되었습니다. “30분 가량 계속 달리면 기분이 좋아지며, 다리와 팔은 가벼워지며 리듬감이 생깁니다. 피로가 사라지면서 새로운 .....


원문링크 : 러너스 하이(Runners’ Hig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