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감마마,중전마마,대비마마. 이런것의 뒤에 붙는 마마의뜻?


상감마마,중전마마,대비마마. 이런것의 뒤에 붙는 마마의뜻?

마마는 중국의 언어로..정확하게는 고려 중후반기에 고려 왕실에 시집온 몽고 왕녀들이 전파시킨 몽고어 입니다... 고려 후반부터 왕실 용어로 사용을 시작하다가 조선에 들어서 일반화 되었습니다...

"마마"는 왕과 왕비, 대비, 왕세자 만이 사용하는 칭호로.. (왕은 대전마마, 상감마마.

대비는 대비마마, 자전마마. 왕비는 중전마마, 내전마마, 곤전마마.

세자는 동궁마마, 춘궁마마, 세자마마.) 왕위 계승과 밀접한 연관이 있는 사람만이 사용했던 극존칭이며..

공식 석상 보다는 사석에서 가족끼리, 또는 친근한 친인척이나 공식적인 자리가 아닌 신하와의 대화에서 자주 사용되었으며.. 공석에서는 왕은 "전하"라는 칭호를 더 자주 받았습니다....

(주상전하) 왕위와 관련있는 사람만이 받았던 마마 칭호는.. 왕세자의.....


원문링크 : 상감마마,중전마마,대비마마. 이런것의 뒤에 붙는 마마의뜻?