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간제 대학원의 장단점


시간제 대학원의 장단점

시간제 대학원은 주간과 달리 주로 야간이나 주말, 사이버 강의 등을 이용해 수업하는 곳을 말한다. 그렇다 보니 5학기 졸업이 필수인 곳이 많다.전문대학원의 경우 MBA (경영전문대학원)을 제외하면 시간제 대학원이 존재하지 않는다.

그리고 특수대학원은 석사학위과정만 설치 가능하다. 따라서 시간제 대학원의 대부분은 석사 과정이다.

시간제 대학원의 비중 역시 생각보다 높아서 한국에서 연간 8만여명의 석사가 나온다고 치면 그 중 4만여명은 특수대학원 출신이고 그 대부분이 시간제 대학원 출신이다. 시간제 대학원은 전일제 대학원에 비해 수업 강도나 난이도가 훨씬 느슨하다.

전일제는 주당 60~90(!!)시간을 수업/공부/연구 등에 이용할 것을 전제로 과정이 짜여져 있지만(즉 말 그대로 하루 종일), 시간제는 주당 .....


원문링크 : 시간제 대학원의 장단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