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시대 성문법 - 예법서의 변천과 종약원


조선시대 성문법 - 예법서의 변천과 종약원

조선시대 성문법 - 경국대전과 국조오례의 (출처: 우리역서넷, 국회도서관) 조선(朝鮮)이 세계에서도 그 유례를 찾기 힘든 519년 단일 왕조를 이을 수 있던 이유로 유교적 통치 규범을 성문화한 경국대전(經國大典)과 국조오례의(國朝五禮儀)을 첫째로 들 수 있습니다. 경국대전(經國大典) 법률서 건국 초기 정도전의 조선경국전(朝鮮經國典)과 경제문감(經濟文鑑), 조준의 경제육전(經濟六典)과 이후 시행 법령 등을 엮어 성종 때 이(吏)·호(戶)·예(禮)·병(兵)·형(刑)·공(工) 6전(六典)으로 편찬한 조선의 기본 법전(法典)입니다. 국조오례의(國朝五禮儀) 예법서 고려시대 불교식 예법(禮法)이 유교국가 조선과 맞지 않아 예법에 밝았던 태종 시대부터 보완을 시작하여 세종 때 오례가 집필되고, 성종 때 비로소 국조오례의로 간행되었습니다. PHOTOGRAPHIC 예법서의 변천과 종약원 이 글은 조선왕릉 제향 등을 주관하는 전주이씨대동종약원 전례위원 집체교육 때 강의된 <의례서의 변천 과정>을 계기...


#가례 #성문법 #소사 #속오례의 #속제 #예법서 #오례 #오례의보 #전주이씨대동종약원 #조선시대 #주현 #중사 #춘관통고 #태상지 #서례 #상례보편 #경국대전 #국조상례보편 #국조속오례의 #국조오례의 #국조오례의보 #국조오례통편 #군례 #기고 #길례 #대사 #대한예전 #대한헤리티지봉사단 #빈례 #흉례

원문링크 : 조선시대 성문법 - 예법서의 변천과 종약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