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본잠식 뜻과 사례 (자본잉여금, 완전/부분자본잠식률 계산법 )


자본잠식 뜻과 사례 (자본잉여금, 완전/부분자본잠식률 계산법 )

기업의 자본은 매우 중요합니다. 자본은 기업이 사업을 하기 위한 밑천, 기업의 곳간이라고 보시면 되는데요, 사업활동을 통해 돈을 버는 기업은 돈을 벌어 곳간을 더 채워 자본이 더 많아지고, 돈을 못버는 기업은 곳간에서 돈을 꺼내써야하기 때문에 자본이 줄어듭니다.

이를 어려운 경제용어로 자본은 자본금과 잉여금의 합이라고 합니다. 자본금은 주식회사 발행주식의 액면총액입니다.

주식의 액면가가 5천원일 경우, 5천원×발행주식수가 자본금이 되죠. 잉여금은 기업회계상 회사의 순자산액이 법정자본액을 초과하는 부분으로, 자본거래에서 생긴 자본잉여금과 손익거래에서 생긴 이익잉여금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자본준비금은 주식발행시의 액면초과 금액, 기업이 사업용 고정자산을 재평가함으로써 발생한 평가익, 자기주식처분이익 등이 있습니다. 자본잉여금의 대표적인 예인 주식발행초과금의 경우, 기업공개(IPO)를 할 때 액면가 5천원짜리 주식을 1만원에 상장했을 경우 자본금으로 들어가는 5천원 외 나머지 5천원이 ...


#완전자본잠식 #이익잉여금 #잉여금 #자본잉여금 #자본잠식 #자본잠식률 #자본잠식율 #부분자본잠식 #자본잠식률계산법

원문링크 : 자본잠식 뜻과 사례 (자본잉여금, 완전/부분자본잠식률 계산법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