읍참마속 (泣斬馬謖) 뜻 읍참마속 유래


읍참마속 (泣斬馬謖) 뜻 읍참마속 유래

사자성어 읍참마속 (泣斬馬謖)은 어떤 뜻일까요? 또 읍참마속은 어떻게 유래되었을까요?

읍참마속 (泣斬馬謖)의 뜻과 읍 참마속 유래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울면서 마속을 벤다는 말로, 공정하게 다스리기 위해 사사로운 감정을 버리거나, 원칙을 위해 자신이 아끼는 사람을 버린다는 뜻입니다.

이 사자성어는 주로 정치권에서 대의를 위해서 사사로운 감정을 버리고 공정하게 하기 위해 어떤 목표를 포기하거나 특정 인에게 불이익을 줄 때 많이 사용됩니다. 출전은 '삼국지'입니다.

삼국시대 촉나라 제갈공명은 대군을 이끌고 가 한중을 차지하고 기산까지 치고 들어가 위나라 군사를 무찔렀다. 그 때 위나라에는 명장 '사마의'가 있었는데, 그는 손수 20만 대군을 이끌고 기산으로 가 부채꼴 모양의 진을 치고 제갈공명과 대치하였다.....


원문링크 : 읍참마속 (泣斬馬謖) 뜻 읍참마속 유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