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산수학] 집합론


[이산수학] 집합론

논리학과 집합론 논리합 p(c) ∨ g(c) = 합집합 A ⋃ B 논리곱 p(c) ∧ g(c) = 교집합 A ⋂ B 집합과 원소 무정의 용어 정의 없이 사용하는 용어 직관적으로 이해할 수 있으나 다른 용어로 정의하기 힘든 대상을 표현하기 위해 사용 Georg Cantor의 집합 : 우리의 직관이나 사고로부터 한정적이고 분리된 객체들의 전체 M에서의 수집 집합의 표기법 S가 하나의 집합이라고 한다. > a를 S의 원소이고, b를 S의 원소가 아니라고 할 때 : a ∈ S, b ∉ S 집합의 표기 방법 S는 중괄호 ( {, } )로 표시함 원소나열법 조건나열법 집합의 크기 : | S | 부분집합 부분집합(subset) A의 모든 원소가 B의 원소이면 A는 B의 부분집합이라 하고 A ⊆ B 또는.....


원문링크 : [이산수학] 집합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