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리학 기초] 한난조습(寒暖燥濕)


[명리학 기초] 한난조습(寒暖燥濕)

한난조습(寒暖燥濕) 명리학에서 중요한 개념중의 하나가 조후를 결정하는 한난조습입니다. 한난조습의 의미는 춥고, 따뜻하고, 마르고, 습하다는 이치입니다.

이러한 한난조습의 이치를 좀 더 깊이 들어가면 천간과 지지로 구분하여 말할 수 있습니다. 干支를 한난조습으로 구분하면 干은 한난을 보고 支는 조습을 보는 것입니다.

물론 천간에서 조습을 안보는 것은 아니지만 대부분이 따뜻하고 추운것을 중점적으로 본다는 의미입니다. 춘하추동으로 한난조습을 구분하면 봄은 습하여 만물을 기를 준비를 하게 되고, 여름은 난하여 만물을 성장시키고, 가을은 조하여 서서히 수확을 거두기 시작하며 겨울은 한하여 휴식을 취하게 하는 것입니다..

여름과 겨울은 한난으로 온도와 시간을 살피고, 봄과 가을은 조습으로 습도와 공간을 살피는 것입.....


원문링크 : [명리학 기초] 한난조습(寒暖燥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