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정호의 대동여지도로 보는 고지도 종류


김정호의 대동여지도로 보는 고지도 종류

안녕하세요. 거울부모입니다.

오늘은 우리가 잘 아는 대표적인 고지도, 김정호의 대동여지도를 통해 고지도의 종류를 자세히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조선시대 고지도 종류 구분 지도 특징 전기 혼일강리역대국도지도(1402) 현존하는 우리나라 오래된 세계지도 중화사상 반영 동국지도(1463) 조선 전기 대표적 과학적 지도 천하도(16c~18c 추정) 세계를 원형으로 표시 중화사상 반영 조선방역지도(1557) 전국의 공물 진상 내용을 파악하기 위해 관청에서 제 후기 동국(대)지도(1750) 우리나라 최초로 축척 개념(백리척) 도입 지구전후도(1834) 청구도(1834) 김정호가 제작 경위선 표식과 축척 적용 대동여지도(1861) 김정호가 제작 분첩 절첩식, 지도표 사용, 방점 표시, 목판본 발간 고지도 종류를 비교해 보면 조선 전기는 국경선의 윤곽이 분명하지 않았고 북부 지방을 정확하게 표현하지 못한 반면, 후기는 국경선이 분명하고 특히 북부 지방의 압록강과 두만강이 국경선으로 완전하게 표현되...


#김정호 #김정호대동여지도 #대동여지도

원문링크 : 김정호의 대동여지도로 보는 고지도 종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