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력 고사성어 유래를 알면 쉬워집니다


노력 고사성어 유래를 알면 쉬워집니다

안녕하세요. 거울부모입니다.

오늘은 노력과 관련된 고사성어를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고사성어마다 유래가 있는 데, 그 유래를 알면 쉽고 재미있게 이해할 수 있습니다.

불치하문(不恥下問) 不 아닐 부 恥 부끄러울 치 下 아래 하 問 물을 문 [풀이] 아랫사람에게 묻는 것을 부끄러워하지 않음 → 손아랫사람이나 지위나 학식이 자기만 못한 사람에게 모르는 것을 묻는 일을 부끄러워하지 아니함 [유래⇒ 논어] 자공(자공)이 공문자의 시호(시호)가 어떻게 해서 '문(문)'이 되었는지를 묻자, 공자가 '민첩해서 배우기를 좋아하고 아랫사람에게 묻는 것을 부끄럽게 여기지 않았습니다. 이로써 시호를 문이라 한 것이다'라고 대답하였습니다.

[해석] 위나라 공어는 죽은 뒤 시호 문자가 붙어 공문자로 불리었고, 공자의 제자인 자공은 왜 공문자로 불리는지 궁금하였습니다. 공자는 공어는 배우는 것을 좋아해 아랫사람에게 묻는 것을 부끄러워하지 않았다 하여 죽은 뒤 '문'자 호칭을 받았고 학문을 하는 사람은 공문자...


#고사성어 #노력고사성어

원문링크 : 노력 고사성어 유래를 알면 쉬워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