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적인 문제를 일으키는 그레셤의 법칙


사회적인 문제를 일으키는 그레셤의 법칙

안녕하세요. 오늘은 '그레셤의 법칙'에 대해 이야기 해 봅니다.

그레셤의 법칙 악화는 양화를 구축한다는 말이 있습니다. 이 말은 가끔 오해를 불러일으키기도 합니다.

이 말은 쉽게 말해 '나쁜 돈이 좋은 돈을 몰아낸다'는 뜻인데, '구축'이라는 뜻을 오해하여 '나쁜 돈이 좋은 돈을 고정한다'는 뜻으로 오해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이 말은 16세기 영국의 금융가인 토마스 그레셤(Thomas Gresham)이 했기 때문에 흔히 '그레셤의 법칙(Gresham’s law)' 이라고 부릅니다.

좋은 돈과 나쁜 돈 지금처럼 실제 지폐만 통용하는 시기에는 해당하지 않겠지만, 그레셤이 살았던 시대에는 은이나 동과 같은 금속으로 화폐를 만들어 사용했습니다. 그래서 은을 예로 들면 소재가 나쁜 화폐, 즉 은의 순도가 떨어진 은화가 악화이고, 은의 순도가 높은 은화는 양화였습니다.

그리고 순도가 낮든 높든 간에 은화의 액면 가치는 같기 때문에 사람들은 순도가 높은 은화를 자신의 집에 보관하고 순도가 낮은 ...


#경제 #재미있는경제이야기 #양화 #악화 #불법파일 #나쁜돈 #금본위제도 #그레셤의법칙 #경제법칙 #좋은돈

원문링크 : 사회적인 문제를 일으키는 그레셤의 법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