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의 개입을 반대하는 '샤워실의 바보'와 '더 큰 바보'를 찾는 투기


정부의 개입을 반대하는 '샤워실의 바보'와 '더 큰 바보'를 찾는 투기

안녕하세요. 오늘은 '바보'와 관련된 이야기를 해 보겠습니다.

샤워실의 바보 이론 요즘 가끔 뉴스에서 '샤워실의 바보'가 언급되고 있습니다. '샤워실의 바보(a fool in the shower room)'란 유명한 노벨 경제학상 수상자인 프리드먼(Milton Friedman)이 정부의 시장경제 '개입'에 반대하기 위해 사용한 비유입니다.

즉, 샤워실에서 물의 적정 온도를 맞추기까지는 다소 소심할 필요가 있다는 것입니다. 성격이 급한 사람은 물 온도를 빨리 맞추려고 더운물 또는 찬물 손잡이를 끝까지 돌려버립니다.

그러면 대부분 뜨거운 물에 데거나 찬물에 놀라게 되는데, 프리드먼은 이런 사람을 바보에 비유했습니다. 실제로 샤워실에서 수도꼭지를 확 돌리면 뜨거운 물이 나오게 되고, 깜짝 놀라 찬물 쪽으로 돌리면 다시 차가운 물이 나옵니다.

바보는 이런 과정을 반복합니다. 프리드먼은 정부 정책이 실제 효과를 발휘할 때까지 시간이 걸리기 때문에 섣부른 개입은 경기 변동을 더 크게 할 수 있...


#더큰바보이론 #부동산정책 #샤워실의바보 #정부의시장경제개입 #케인즈 #코로나19 #투기거래 #투자원칙

원문링크 : 정부의 개입을 반대하는 '샤워실의 바보'와 '더 큰 바보'를 찾는 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