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국민소득, 10년 새 20% 감소


일본 국민소득, 10년 새 20% 감소

일본의 일 인당 국민소득이 왜 이렇게 크게 감소하는가? 버블이 터지고 난 뒤부터 본격적인 저성장 국면으로 접어들었다.

이때부터 일본은 초고령 사회로 접어들기 시작했다. 고령화 진행은 산업 공동화 (공장 해외 이전)를 초래한 측면이 있다.

한국도 빛의 속도로 고령화가 진행되는 국가다. 지금은 일본보다 출산율이 더 낮다.

인구 = 소비. 인구가 줄어든다는 것은 소비가 줄어든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를 근거로 인구 절벽이 오면 경기 침체가 온다고 주장한 책이 있다. 2015년 나온 책인데 그 당시 이 책에 대해 헛소리라고 비판이 많았다. 정말 그럴까?

약간 시차가 있지만 귀담아들어야 할 부분이 있는 것은 아닐까? 그때 독후감을 가져왔으니 참고.

해리 덴트는 인구 문제가 악화되면 시장이 맛이 갈 것이라고 악담을 한다. 인구 통계적 접근법을 들고 나오는데 상당히 근거가 있고, 과거에 해리가 일본이나 미국의 위기를 비교적 정확히 맞춘 점을 가볍게 보면 안 될 것이다.

그럼 해리가 뭐라고 이야기했...


#2018인구절벽이온다 #gdp #인구절벽 #인구피라미드 #일본 #출산율 #해리덴트

원문링크 : 일본 국민소득, 10년 새 20% 감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