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수함수 그래프 학습! 정의역 치역 증감여부 평행이동 알면 끝!


지수함수 그래프 학습! 정의역 치역 증감여부 평행이동 알면 끝!

지수함수 그래프는 고등학교 2학년 수학1에서 다뤄지는 개념으로, 지금까지는 배운 적이 없는 새로운 개형의 그래프라서 학생 분들이 많이 헷갈려하고 어려워하는 파트 중 하나로 손꼽히는 듯합니다. 하지만 수능 출제 범위이고, 이후에 배우는 함수(특히 로그함수)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완벽하게 공부해둬야 하는 중요한 함수가 아닐까 싶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정의역, 치역, 증감여부, 평행이동을 바탕으로 지수함수 그래프에 대해서 공부해보도록 하겠습니다. 기초를 이해하면 전혀 어렵지 않습니다.

하나하나 천천히 이해하신다고 생각하시고 따라오시기 바랍니다. 지수함수 그래프의 개형 지수함수란 y = ax 와 같이 a를 밑으로 하고 x를 지수로 하는 함수를 말합니다.

하지만 여기서 a의 값이 1이면 x의 값이 어떻든지 간에 y = 1이기 때문에 상수함수가 되어버리고, 실수인 거듭제곱근에서의 특성 때문에 a가 마이너스 값이어서도 되지 않기 때문에 지수함수에서 a는 아래와 같은 조건을 충족해야 합니...


#지수함수 #지수함수그래프 #지수함수정의역 #지수함수치역 #지수함수평행이동

원문링크 : 지수함수 그래프 학습! 정의역 치역 증감여부 평행이동 알면 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