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나님의 형상03


하나님의 형상03

하나님의 형상 ~ 왕의 형상 4. 두 번째 비유 - 왕의 형상 A.

왕 Oscar 2세 1878년 위의 사진은 노르웨이와 스웨덴 왕을 겸하고 있던 오스카 2세가 1878년 노르카프를 자기 영토의 최북단으로 표시하기 위해 세운 것이다. B.

신라 진흥왕의 순수비 (p12) 진흥왕 순수비는, 신라 진흥왕이 재위 기간 중 영토 확장 사업을 하면서 그 확장된 곳을 돌아보면서 세운 비석이다. 현재 북한산비, 황초령비, 마운령비, 창녕비가 남아 있다.

그런데 순수비의 내용을 잘 살펴보면, 여기는 “신라 땅이다”며 결국 영토 확장을 찬양하면서 세운 비석임을 알 수 있다. C.

왕의 형상 그런데 고대 근동 아시아에서도 위(노르웨이와 스웨덴의 왕, 신라의 진흥왕)와 비슷한 일을 행했다. 과거 이스라엘의 주변에서는, 왕의 모습을 본 따 만든 왕의 형상을 왕국의 경계에 세웠다.

그 의미는, 이곳은 왕의 땅, 그리고 여기까지는 나라의 경계다 라는 의미를 담고 있었다. 왕이 직접 그 자리에 있지 않더라도 ...



원문링크 : 하나님의 형상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