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분기 사무직 정기안전보건교육 (사고발생 시 응급처치 외)


4분기 사무직 정기안전보건교육 (사고발생 시 응급처치 외)

응급처치 목적 - 응급환자의 생명 구조 - 통증 감소 및 악화 방지 - 장애의 정도 경감 - 가치 있는 삶을 영위할 수 있도록 회복을 도움 재해발생 4단계 순서 - 현장조사 – 구조요청 - 상태파악 후 조치 - 안정화 현장 응급처치 시 주의사항 자신의 안전을 먼저 생각하고 환자에게 자신이 응급처치자임을 알린다. 화상 발생 시 응급처치 - 즉시 화상 부위를 찬물로 식힌다. - 1도 화상인 경우 바세린 거즈나 윤활유를 바른다. - 냉찜질은 화상면의 확대와 수포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 억지로 옷이나 양말은 벗기지 말고 그 위로 물을 끼얹어 냉각시킵니다.

심장마비 상태에서 사망 또는 심각한 뇌손상이 일어나는 경우 - 5분 이상 지나게 되면, 온몸으로의 혈액 순환이 중단되어 사망하거나 심각한 뇌손상이 일어날 수 있습니다. 자동심장충격기 사용 방법 - 전원을 켤 때는 장비를 심폐소생술에 방해되지 않는 위치에 놓고 켠다. - 가슴암박과 인공호흡 비율을 30:2로 해서 심폐소생술을 시행한다....



원문링크 : 4분기 사무직 정기안전보건교육 (사고발생 시 응급처치 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