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lisskim47의 등록된 링크

 blisskim47로 등록된 네이버 블로그 포스트 수는 116건입니다.

수당집 제11권 [내부링크]

수당집 제11권 행장 십대조비(십대조비) 숙인(숙인) 완산 이씨(완산리씨) 행장 오산현(오산현) 다지향(다지...

해유록 하 [내부링크]

해유록 하 기해년 11월 15일(계미) 날이 갰다. 새벽에 망궐례에 참여하였다. 동풍에 돛을 달아 신시(신시)...

13세기탐라와원제국의 음식문화변동분석 [내부링크]

이종수(중앙대학교행정대학원연구교수)이 글은 13세기 원제국의 문화가 탐라의 음식문화에 미친 영향...

운초 김부용과 김이양의 사랑 [내부링크]

"뜻이 같고 마음이 통한다면 나이가 무슨 상관이겠습니까?"세상에는 삼십객 노인이 있는 반면 팔...

연행록 [내부링크]

연행록 [잡록] 도리 고양 벽제관(벽제관 한양부터) 40리 탑산(탑산) 5리 파주 파평관(파평관 벽제관부터...

수당집 제7권 [내부링크]

수당집 제7권 발 청동영당(청동영당)의 석채의절(석채의절) 뒤에 쓰다. 영흥(영흥)의 청동(청동)에 주자(주...

성재집 제19권 [내부링크]

성재집 제19권 왕복잡고〔왕복잡고〕홍범오 중 에게 답함〔답홍범오 〕율곡(률곡) 선생이 도심(도심)...

목은시고 제24권 [내부링크]

목은시고 제24권 시(시) 단가행(단가행) 선비란 우뚝이 서서 뜻 지킴에 급급할 뿐 / 사야고립수위급용사 행...

의림촬요 제3권 [내부링크]

의림촬요 제3권 화열문 11 〔화열문 십일〕태극(태극)이 활발하게 움직여서 양(양)을 만들고 고요하게 ...

봉사일본시문견록 건 [내부링크]

봉사일본시문견록 건 무진년(1748, 영조 24) 2월 12일(병인) 맑음.일출(일출 해돋이. 묘시(묘시). 오전 6시...

1920~30년대 대중잡지에 나타나는 음식 표상* -별건곤과 삼천리를 중심으로- [내부링크]

1920~30년대 대중잡지에 나타나는 음식 표상*-별건곤과 삼천리를 중심으로-김동식**...

산천 김명희의 「사차(謝茶)」시와 초의의 제 2 다송 [내부링크]

앞서 살폈듯 산천(山泉) 김명희(金命喜, 1788-1857)는 향훈(香薰)에게 「다법수칙(茶法數則)」을 써주었을...

차의 역사 [내부링크]

목차한국 차의 시작선종차의 전래선차지법 개창 신라 무상신라로 온 철감 도윤의 차고려시대의 다풍조선과 ...

합천군 향토음식 [내부링크]

토산물을 활용한 밤묵, 송기떡은 소나무 속껍질과 찹쌀, 콩가루가 어우러진 합천만의 떡이라 할 수 있다. ...

칵테일 [내부링크]

칵테일칵테일의 어원.. 우리들이 오늘날 흔히 사교행사나 주점에서 즐겨마시는 혼합주인 칵...

일제강점기 일본인 이주어촌의 흔적과 기억:통영 ‘오카야마촌’을 중심으로 [내부링크]

박정석*<국문초록>본 논문은 일제강점기 일본인 이주어촌의 흔적과 그 기억을 분석하고 있다.여...

하재일기(荷齋日記).1 (8) [내부링크]

하재일기(荷齋日記).1 (8) 신묘년(1891) 8월1일비가 오다 저녁에 잠깐 갬.장춘헌에 가서 이야기하고 또...

근대시기 서양인 시각에서 본 조선음식과 음식문화④ [내부링크]

근대시기 서양인 시각에서 본 조선음식과 음식문화④- 서양인 저술을 중심으로 - 2) 육류, 육가공품조선인...

조선후기 경강의 냉장선 빙어선(氷魚船) 영업과 그 분쟁 [내부링크]

고동환 (KAIST 인문사회과학부 교수)Ⅰ. 머리말Ⅱ. 얼음수요의 급증과 民間藏氷業의 성행Ⅲ. 냉...

무당굿놀이 [내부링크]

무당굿놀이서지사항【정의 및 이칭】 무당굿놀이는 무당이 굿을 하는 중에 행하는 연극적인 놀음굿을 ...

1950년대 동양제과의 오리온 드롭프스와 오리온 캬라멜의 생산시설 [내부링크]

아래는 1958년에 발행된 정부 홍보자료 책자에서 옮겨 온 자료입니다. 도서관에서 사진을 촬영하면서 출처...

近畿 南人 實學派의 散文 世界 - 洛下生 李學逵를 중심으로 [내부링크]

李學逵(1770-1834, 字 醒叟, 號 洛下生)는 서울 皇華坊(지금의 貞洞) 外家에서 유복자로 태어났다. 그의 집...

세속오계(世俗五戒) [내부링크]

신라 진평왕 때 승려 원광이 화랑에게 일러 준 다섯 가지 계율 세속오계(世俗五戒), 혹은 오계(五戒)는 신...

다산과 차 그리고 강진 [내부링크]

윤동환** 전 강진 군수.1. 들어가는 말 - 다산은 차의 중흥조이다.조선 후기 실학을 집대성한 대학자...

짜장면 이야기 [내부링크]

짜장면면장에 간을 하여 볶은 뒤 면 위에 얹어먹는 작장면(炸醬麵, 炸酱面)이 기원으로 알려져있다...

우리 말 바른표기-ㅈ [내부링크]

ㅈ 자(者) 낯선 자 죽은 자와 살아 있는 자 • 그자 이자 저자 -자(者) 물리학자 성리학자 언어학자≒...

우리 말 바른 표기-ㅎ [내부링크]

ㅎ ‘ㅎ’ 소리가 덧나는 것 머리카락(머리ㅎ가락) 살코기(살ㅎ고기) 수캐(수ㅎ개) 수컷(수ㅎ것) ...

우리 말 바른표기-ㅇ [내부링크]

우(右) ≒오른쪽 • 우측(右側) 우측면 우편우걱뿔《안으로 굽은 뿔.》 • 우걱뿔이[‘...

닭도리탕 [내부링크]

‘닭도리탕이 순수한 우리말이다’라는 본인의 기고가 나간 뒤 많은 반향을 일으켰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

자하주(紫霞酒) [내부링크]

신선이 마시는 술로, 신선은 보라색 운하(雲霞)를 타고 다니는가 하면 자하주를 마신다는 전설이 있는데,...

오천 7군자의 학문활동과 사상 [내부링크]

오천 7군자의 학문활동과 사상―권오영 *차례 1. 머리말2. 오천 광산김씨의 내력3. 오천7군자의 학문활...

황준량 금계집-정월 초하루 자발의 시에 차운하다〔元日次子發韻〕 [내부링크]

세월이 훌쩍 흘러간다고 서러워 말게나 / 光陰莫恨去堂堂봄날 돌아와 해 긴 날을 즐거이 보리니 / 喜見春還...

13세기탐라와원제국의 음식문화변동분석 [내부링크]

13세기탐라와원제국의 음식문화변동분석이종수(중앙대학교행정대학원연구교수)이 글은 13세기 원제국의...

정약용 다산시문집(茶山詩文集) [내부링크]

장 상인에게 보내 차를 빌다[寄贈惠藏上人乞茗] 전해 듣기에 석름 밑에서 / 傳聞石廩底예로부터 좋은 차가 ...

목은시고 제30권 [내부링크]

시(시) 청풍시(청풍시) 2수(이수) 청풍이 어쩌다가 불쑥 찾아왔다 / 청풍래유시훌쩍 떠나니 그 누가 붙잡...

목은시고 제26권 [내부링크]

목은시고 제26권 시(시) 9월 15일에 가만히 앉아서 생각해 보니, 가을은 똑같은 가을이건만, 7월에는 아직 ...

홍범연의제 23권/황극 상皇極上 /천자의 예 [내부링크]

장달수의 한국학 카페 | 홍범연의제 23권/황극 상皇極上 /천자의 예 - Daum 카페

금식과 폭식의 줄타기 [내부링크]

은퇴를 7일 앞둔 관록의 형사 윌리엄 소머셋(모건 프리먼 분)이 새로 전근 온 성질 급한 이상주의자 신참...

미식의 세계 [내부링크]

웬만치 파스타 요리를 좋아하는 사람들은 이미 라자냐 알라 볼로네제(Lasagna alla bolognese)를 맛보았을...

잉어 [내부링크]

한 일간 매체는 최근 용트림 치는 잉어 사진과 함께 “경기도 의정부시 중랑천에는 요즘 이색적인 광경이 ...

임연수어(臨淵水魚) [내부링크]

이 생선은 11월부터 이듬해 2월까지가 제철로 회·튀김·조림·구이를 해서 먹는다. 곱게 손질 한 후 배를 갈...

한국에서 커피를 일컫던 이름들 [내부링크]

커피와 한국 최초의 다방에 얽힌 이야기한국에서 커피를 일컫던 이름들 커피(coffee)는 과거 여러 이름으로...

지금 엿집에서 사용하는 좋은 방법이다 [내부링크]

지금 엿집에서 사용하는 좋은 방법이다 김유의 엿이미지 크게보기목차“맛을 보아 단맛이면 잘된 것이다”...

목은시고 제17권 [내부링크]

목은시고 제17권 시(시) 종손(종손)의 시권(시권)에 제(제)하다. 익재 사문이 우리 해동을 압도하였으니 / ...

[벽려신지(薜茘新志)] -귤산 이유원 [내부링크]

사시향관(四時香館)에는 꽃나무가 수백 종이나 된다. 개중에 백장미(白薔薇), 백모란(白牡丹), 백련화(白...

열녀 춘향 수절가 [내부링크]

열녀 춘향 수절가춘향전도(春香傳圖). 춘향과 몽룡이 처음 만나는 장면.춘향전도(春香傳圖). 암행어사 출두...

무명자집 문고 제14책 [내부링크]

무명자집 문고 제14책 조사중에게 보낸 편지 기묘년(1819, 순조19)〔여조사중서 기묘〕둘째가 소과(소...

청장관전서/사소절 1(士小節一) 사전 [내부링크]

아무리 나쁜 의복이나 음식일망정 조금도 싫어하거나 부끄러워하는 마음이 없어야 한다. 내가 본 바로는 ...

서애선생문집 제6권 [내부링크]

서애선생문집 제6권 서장(서장) 동궁(동궁)을 강화(강화)에 옮겨 남방(남방)의 형세(형세)를 통하게 하기를...

19세기 관아의 주방과 수령의 음식 [내부링크]

19세기 관아의 주방과 수령의 음식손 계 영*54) Ⅰ. 머리말Ⅱ. 관아 음식에 적응하는 수령의 모습Ⅲ. 관...

동광 제9호 > 失眞 -李箕永 [내부링크]

失眞李箕永아까까지도 구름이 잔뜩 끼어서 금시에 무엇이 올 것 갓더니만 다시 무슨 변덕으로 - 한우...

1920~30년대 대중잡지에 나타나는 음식 표상* [내부링크]

1920~30년대 대중잡지에 나타나는 음식 표상*-별건곤과 삼천리를 중심으로-김동식**...

해사록 [내부링크]

해사록 [해사록 서문] 계미년(1643, 인조 21)에 통신(통신) 종사관으로 일본에 사절(사절)로 갈 때, 2월에 ...

경희(瓊姬) 저자: 나혜석 [내부링크]

경희(瓊姬) 저자: 나혜석 출전: 『여자계(女子界)』, 1918.3 1[편집] “아이구, 무슨 장마가 그렇게 심해요...

영원의 미소 4. -심훈 [내부링크]

『오빠 저좀 보셔요.』경자는 안으로 통한 작은 사랑채의 뒷문으로 살그머니 돌 아 나와서 나직히 경호를 ...

무정/61장~80장 -이광수 [내부링크]

영채 찾기를 포기하고 계향이와 놀다가 경성으로 돌아온 형식은 평양 기생을 쫓아가 놀다 왔다며 자신을 모...

菱洋 朴宗善의 초기 시 연구* [내부링크]

菱洋 朴宗善의 초기 시 연구*― 藕寰幼學稿와 准勅藁를 중심으로李炫壹**Ⅰ. 들어가며...

≪한성신보≫의 명성황후시해사건 보도 태도와 사후조치 [내부링크]

≪한성신보≫의 명성황후시해사건 보도 태도와 사후조치張暎淑*1. 머리말2. 축소, 은폐, 조작에 의거한...

「규곤요람」의 조리학적 고찰 (고려대본과 연세대본과의 비교연구) [내부링크]

(「閨壼要覽」의 調理學的 考察)(고려대본과 연세대본과의 비교연구)高麗大本과 延世大本과의 比較硏究...

목은시고 제9권 [내부링크]

목은시고 제9권 시(시) 즉사(즉사) 수시로 흥이 나면 낚시터를 찾아가지만 / 유시승흥방어기또 신선 찾아 ...

목은시고 제7권 [내부링크]

목은시고 제7권 시(시) 무오년 정단(정단) 이틀 뒤에 짓다. 하늘이 목은자로 하여금 / 천교목은자만년에 ...

목은시고 제3권 [내부링크]

목은시고 제3권 시(시) 스스로 면려하다. 봄바람은 어느 곳에서 불어와 / 춘풍하처내밤낮으로 봄 경치를 재...

열녀춘향수절가(烈女春香守節歌) [내부링크]

열녀춘향수절가(烈女春香守節歌) 숙종대왕(肅宗大王) 즉위(卽位) 초에 성덕이 넓으시사 성자성손은 계계승...

화장 [내부링크]

조선왕조 시대는 유교 원리가 생활의 규범이 되면서 아름다움도 외형미보다 행실미가 더 강조되었다. 조선...

목은시고 제22권 [내부링크]

목은시고 제22권 시(시) 무가내하가(무가내하가) 어찌할 수가 없도다 / 무가내하어찌할 수 없어 마음...

연행록 [내부링크]

연행록 [사절 파견의 역사적 배경과 동기] 아아, 지난 병자년(병자년)에 국운(국운)이 비색(부새)하여 호기...

계곡선생집 제31권 [내부링크]

계곡선생집 제31권 칠언 율시(칠언율시) 2백 33수(수) 한가로운 날 감흥이 일어나기에 기옹과 함께 천장을 ...

계곡선생집 제9권 [내부링크]

계곡선생집 제9권 제문(제문) 42수(수) 김이호의 제문[제김이호문] 아, 이호여, 세상에서 말하는 수요(수요...

목은시고 제27권 [내부링크]

목은시고 제27권 시(시) 첨류음(첨류음) 늙은이가 탄반할 땐 하늘이 정히 흐렸는데 / 로옹탄반천정음일어나...

청성잡기 제3권 [내부링크]

성언(성언) 볼기 품 안주(안주)의 백성 중에 볼기 품을 팔아 먹고사는 자가 있었다. 다른 고을의 한 아...

문견잡기 하 [내부링크]

문견잡기 하 명 나라가 망한 지 이제 거의 100년이나 되어, 왕의 은택이 이미 다하고 유민(유민)도 다 죽었...

연행기사 상 [내부링크]

연행기사 상 정유년(1777, 정조 1) 7월 11일 정사(정사)에서 동지 겸 사은부사(동지겸사은부사)의 수망(수...

목은시고 제5권 [내부링크]

목은시고 제5권 시(시) 이른 봄에 백부(백부)께 부쳐 올리다. 풀빛은 푸르르고 버들개지는 노오란데 / 초색...

서애선생문집 제8권 [내부링크]

서애선생문집 제8권 계사(계사) 방어와 수비에 대하여 마땅히 조치해야 할 일을 계함 을미년(1595, 선조28)...

목은시고 제30권 [내부링크]

목은시고 제30권 시(시) 청풍시(청풍시) 2수(이수) 청풍이 어쩌다가 불쑥 찾아왔다 / 청풍래유시훌쩍 떠나...

남조 차 문화의 백제에 대한 영향 고찰* [내부링크]

남조 차 문화의 백제에 대한 영향 고찰*정 영 식**원광대학교 대학원 한국문화학과 강사A Study on t...

적 벽 가 [내부링크]

박봉술 바디(아니리)한나라 말년 위한오 삼국시절에 황위유약허고 군도병기헌디, 간휼하다 조맹덕은 천자...

별건곤 제12·13호 > 外國에 가서 생각나든 朝鮮 것-잇치지 안튼 氣候와 김치 [내부링크]

별건곤 제12·13호 > 外國에 가서 생각나든 朝鮮 것-잇치지 안튼 氣候와 김치外國에 가서 생각나든 朝鮮 ...

해상록 [내부링크]

해상록서발 서[윤봉조] 나라에서는 왜놈과 더불어 선왕(선왕) 때부터 백세(백세)의 수원(수원)이 있...

수당집 제8권 [내부링크]

수당집 제8권 상량문 돌산군(돌산군)에 새로 건설하는 교궁(교궁)의 상량문 진술하건대, 바람이 땅 위를 불...

동사록 [내부링크]

동사록 화방누선설 숭정(숭정) 계미년(1643, 인조 21) 봄에 일본 나라에 황자(황자)가 탄생하였으므로 우리...

부상록 [내부링크]

부상록 서 옛말에 이르기를,“뒤에 출발하여 먼저 도착하는 것은 천리마[기]의 걸음이다.”하였다. 그러...

성재집 제38권 [내부링크]

성재집 제38권 가하산필〔가하산필〕이운당기〔이운당기〕외사촌 이경린(리경린) 군이 북산(북산 북악...

무명자집 문고 제13책 [내부링크]

무명자집 문고 제13책 협리한화 65조목〔협리한화 육십오〕1. 임금의 무익한 문장 재능수 양제(수양...

계곡선생집 제33권 [내부링크]

계곡선생집 제33권 오언 절구(오언절구) 42수(수) 돈시와 이별하며 남겨 준 시[류별돈시] 함께 왔다가 함께...

수당집 제9권 [내부링크]

수당집 제9권 묘지명 칠대조비(칠대조비) 증 숙부인(증숙부인) 평산 신씨(평산신씨) 묘지(묘지) 부인은 평...

성재집 제17권 [내부링크]

성재집 제17권 왕복잡고〔왕복잡고〕홍사백에게 답함 임진년(1892, 고종29) 6월〔답홍사백 임진륙월〕...

수당집 제1권 [내부링크]

수당집 제1권 부 한서대부 한여름의 찌는 듯한 무더움이여 / 유주하지온륭혜한발이 때를 만나 불을 내뿜는...

무명자집 문고 제9책 [내부링크]

무명자집 문고 제9책 전책(전책)치란과 흥망은 군자와 소인이 위축되고 흥성하는 사이에 달려 있다〔치...

무명자집 문고 제6책 [내부링크]

무명자집 문고 제6책 문(문)상언 계해년(1803, 순조3) 8월 16일, 능 행차하시었을 때 상언한 것이다〔상...

성재집 제31권 [내부링크]

성재집 제31권 강설잡고〔강설잡고〕송원화동사합편강목서법〔송원화동사합편강목서법〕주자께서 《춘...

무명자집 문고 제12책 [내부링크]

무명자집 문고 제12책 정상한화 51조목 아래에 19조목이 더 있다.〔정상한화 오십일 하우유십구조〕1. ...

무명자집 문고 제4책 [내부링크]

무명자집 문고 제4책이름자 8언 파자시(파자시)〔여전유명자미 사언해일자 종불염우심 내이팔언해일자〕...

무명자집 문고 제1책 [내부링크]

무명자집 문고 제1책 시장에서 있었던 일 기묘년(1759, 영조35)〔관시설 기묘〕내가 일이 있어 광주(광...

성재집 제34권 [내부링크]

성재집 제34권 강설잡고〔강설잡고〕《소학》 강의에 질문함 계미년(1883, 고종20) 가을〔소학강의발문 ...

성재집 제23권 [내부링크]

성재집 제23권 강설잡고〔강설잡고〕《소학》과 《대학》 총설〔소대학총설〕맹자가 말했다. “사람에...

성재집 제22권 [내부링크]

성재집 제22권 왕복잡고〔왕복잡고〕조공린 정순 에게 답함 기축년(1889, 고종26) 봄〔답조공린 정순...

무명자집 문고 제5책 [내부링크]

무명자집 문고 제5책 권학문 수아를 위해 지었다.〔권학문 위수아작〕《서경(서경)》에 이런 말이 있다...

성재집 제37권 [내부링크]

성재집 제37권 가하산필〔가하산필〕함께 공부하는 제군에게 써서 보여줌 정묘년(1867, 고종4) 겨울〔서...

성재집 제36권 [내부링크]

성재집 제36권 강설잡고〔강설잡고〕연거만지〔연거만식〕‘태극(태극)’의 ‘극(극)’자는 본래 근본...

무명자집 문고 제11책 [내부링크]

무명자집 문고 제11책 잡기 8조목〔잡기 팔〕1. 선행을 쌓은 집안에는 반드시 남은 복이 있고, 악행을 ...

의림촬요 제2권 [내부링크]

의림촬요 제2권 온역문 4 부록:마하온(하마온) 대두천행(대두천행)〔온역문 사 부 하마온 대두천행〕...

수당집 제5권 [내부링크]

수당집 제5권 서 정성장(정성장)헌시(헌시)의 해악기행(해악기행)에 대한 서문 을유년(1885) 기이한 것을 ...

역대의학인물 [내부링크]

역대 의학 인물 상고의 성현〔상고성현〕《의림사전(의림사전)》ㆍ《의림외전(의림외전)》과 《원의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