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esdghj4373의 등록된 링크

 cesdghj4373로 등록된 네이버 블로그 포스트 수는 143건입니다.

[해표약] 마황 (麻黃) - 1) 기원, 산지, 약리 [내부링크]

‘麻黃’ 이름 이름 유래 총생하는 것이 마치 麻와 비슷하고, 색이 黃色을 띠므로, 麻黃이라 부른다. (李梴) 맛이 麻와 같고, 색깔이 黃色을 띠므로 麻黃이라 부른다. (李時珍) 이명 : 용사(龍沙) / 비염(卑鹽) / 비상(卑相) 기원(基源) 산지(産地) 주로 건조한 지역에 자생 약리성분 **주요 약리성분 : ephedrine 雨期와 乾期에 따라, ephedrine의 함량 차이가 뚜렷 => 함량 : ① 목적마황 > ② 중마황 > ③ 초마황 약리작용 發汗 & 解熱 작용 有. 기관지 경련을 해제하는 작용 (宣通肺氣而平喘) : ephedrine & pseudoephedrine ephedrine 정맥주사 → 이뇨작용 but, 대량투여 → 배뇨억제.......

[해표약] 마황 (麻黃) - 2) 약성, 수치, 금기, 부작용 [내부링크]

약성(藥性) *약성가 : 麻黃味辛能出汗 身熱頭疼風寒散 *氣味厚薄 : 味薄 해설 溫性 : 祛寒. 앞으로 나감 / 辛味 : 發散 → 위로 올라감 => 辛으로 풀며, 溫으로 끌고 올라가서, 表를 풀어버리는 약. 味薄 : 味薄則通 → 위로 끌고 올라감 성상 體輕升浮 → 輕可去實 성상 푸른색, 구멍 뚫려있음 → 表를 뚫는 약! 歸經 : 肺 & 膀胱經 => ① 發汗解表, 散寒 → 外感風寒으로 表實無汗한 證을 치료. => ② 위로는 肺氣를 開宣 → 外邪가 肺에 침범하여, 肺氣가 壅遏하여 된 咳喘을 치료 → 發汗과 喘咳치료의 要藥. => ③ 아래로는 水道通調, 膀胱下輸 → 利水시킴 → 水腫에 表證을 겸.......

[해표약] 마황 (麻黃) - 3) 임상응용. 배합례 [내부링크]

임상응용 (배합례) 사용량 : 1.5 ~ 9g 1. 發汗散寒 **[麻黃湯] : 麻黃 桂枝 杏仁 甘草 => 麻黃湯 : 甘草가 三焦의 중심력을 세우고 / 杏仁이 맨 위의 肺(사령부)에 앉아서 左右를 조절하고 / 桂枝와 麻黃으로 풀어내는 것. cf > 麻黃 vs 桂枝 2. 宣肺平喘 **[大靑龍湯] : 麻黃 桂枝 甘草 杏仁 生薑 大棗 石膏 表에 있던 水氣가 鬱滯되어, 熱이 갇힘 → 가슴이 답답. 心煩. => 식히면서 내려주어야 함. 心下有水氣에 쓰는 약. => 麻黃으로 끝까지 올리고 / 石膏로 쫙 내리고 / 나머지는 그 안에서 회전의 중심축을 잡아주는 역할. => 하늘에 구름이 껴있어서 햇빛이 비치지 않을 때(水氣), 큰 청룡이.......

[관절의 분류] 윤활관절 [내부링크]

윤활관절 (synovial joint) 1) 윤활관절 특징 ① 관절안(관절강, articular cavity) 有 → 뼈대 서로 분리. ② 관절면에 유리연골(hyaline cartilage)로 된 연골층 有. → 이웃한 두 뼈의 표면은, 직접 맞닿지 x. ③ 관절주머니(관절낭, joint capsule) 有 ㅁ 속 윤활막(synovial membrane) + 바깥 섬유막(fibrous membrane) 2) 관절주머니 3) 윤활관절의 종류 (1) 운동을 기준으로 분류 (2) 관절면을 기준으로 분류

[관절의 분류] 고정관절 - 1) 섬유관절 [내부링크]

고정관절 (solid joint) - 고정관절의 운동은, 윤활관절보다 제한적. - 연결된 뼈들의 맞닿는 면 사이에, 섬유결합조직 / 연골 有. - 두 뼈 사이의 조직 종류에 따라, 섬유관절(fibrous joint) / 연골관절(cartilaginous joint)로 분류. 1) 섬유관절(fibrous joint)

[관절의 분류] 고정관절 - 2) 연골관절 [내부링크]

고정관절 (solid joint) - 고정관절의 운동은, 윤활관절보다 제한적. - 연결된 뼈들의 맞닿는 면 사이에, 섬유결합조직 / 연골 有. - 두 뼈 사이의 조직 종류에 따라, 섬유관절(fibrous joint) / 연골관절(cartilaginous joint)로 분류. 2) 연골관절 (cartilaginous joint)

[팔괘] 선천·후천팔괘의 장부배속 [내부링크]

*선천팔괘(복희팔괘) : 인체의 외부 배속 *후천팔괘(문왕팔괘) : 오장육부 배속 선천 팔괘와 후천 팔괘는 배속된 의미가 상이하므로 진단과 응용에 있어서도 그 내용을 달리한다. 선천 팔괘는 주로 각종 동통과 종양의 병증에 응용하고, 후천 팔괘는 장부에서 발생하는 잡병에 많이 응용한다. 先天八卦(伏羲八卦) : 인체의 외부 배속 後天八卦(文王八卦) : 오장육부 배속

[보기약(補氣藥)] 감초(甘草) [내부링크]

감초 이름 감초의 약성 - 補益藥 (補氣藥) 성미 해설 氣 (氣平) - 土에 들어가면서, 東西南北으로 寒熱溫涼이 적절히 맞춰져 있음 => 氣平. (오당) - 氣平 굉장히 중요. 寒ㆍ熱ㆍ溫ㆍ涼劑 중 어떤 것을 만나도, 적절하게 사용 可 (오당) - 250개 『傷寒』ㆍ『金匱』 처방 중, 甘草가 있는 처방이 120개. => 거의 다 甘草 들어가는 것. (오당) - 甘草가 土로 들어가며, 氣平해서, 어디든지 필요한대로 작용하기 때문. (오당) - (더우면 더운대로, 차면 찬대로, 잘 조절할 수 있는 능력 有) 味 (甘味) - 甘味 : 能補, 能緩, 能和 (교과서) 효능주치 해설 - 甘의 緩味 → 가장 平한 기운으로 ‘寒熱溫涼’의 氣에 들어가서, 어.......

[해표약] 1-1 해표약(解表藥) [내부링크]

表邪와 表證 表部 : 이상기후변화에 의한, 외계의 風寒 風熱 風濕 濕氣등의 外邪가 인체의 肌表에 침습하여 질병을 일으키게 하는 素因. 表證 : 外邪에 감촉되었을 때, 惡寒發熱 / 頭痛 / 無汗 or 有汗 / 脈浮 등의 증후가 나타나는 것. 해표약(解表藥) 表部(上部)의 邪氣를 發散하여, 表證을 없애는 주된 작용을 가진 약물 發汗 작용을 통해, 表邪를 解除하는 작용을 가진 약물군을 지칭하는 것. <素問. 陰陽應象大論> : ‘其在皮者 汗而發之’, ‘因其輕而揚之’의 원칙에 따르는 약물군. 대개 辛味 有 → 해표약의 주요한 효능은, 肌表에 外邪가 있을 경우, 發汗을 시켜서, 汗出에 따라 外邪가 제거되는 것. cf &g.......

[목 근육] 얕은층 - 2) 뒤목삼각 근육 [내부링크]

뒤목삼각 근육 = 목빗근(흉쇄유돌근. sternocleidomastoid m. SCM) + 등세모근(승모근. trapezius m.) + 머리널판근(두판상근. splenius capitis m.) + 어깨올림근(견갑거근. levator scapulae m.) + 목갈비근(사각근. scalene m.) + 어깨목뿔근(견갑설골근. omohyoid m.) cf > 뒤목삼각의 경계 : 목빗근(흉쇄유돌근. sternocleidomastoid m. SCM) + 등세모근(승모근. trapezius m.) 1) 목빗근 (흉쇄유돌근. sternocleidomastoid m. SCM) 2) 등세모근 (승모근. trapezius m.) 3) 머리널판근 (두판상근. splenius capitis m.) 4) 어깨올림근 (견갑거근. levator scapulae m.) 5) 목갈비근 (사각근. scalene m.) 6) 어깨목뿔근 (견갑설.......

[목 근육] 깊은층 - 척주가쪽근육 & 척주앞근육 [내부링크]

척주가쪽근육 (lateral vertebral mm.) = 앞머리곧은근(전두직근. rectus capitis ant. m.) + 가쪽머리곧은근(외측두직근. rectus capitis lateralis m.) 1) 앞머리곧은근 (전두직근. rectus capitis anterior m.) 2) 가쪽머리곧은근 (외측두직근. rectus capitis lateralis m.) 척주앞근육(prevertebral mm.) = 목긴근(경장근. longus colli m.) + 머리긴근(두장근. longus capitis m.) 1) 목긴근 (경장근. longus colli m.) 2) 머리긴근 (두장근. longus capitis m.)

[머리 근육] 표정 근육 - 1) 눈확 무리 (orbital group) [내부링크]

눈확 무리 (oral group) = 눈둘레근(안륜근. orbicularis oculi m.) + 눈썹주름근(추미근. corrugator supercilii m.) 1) 눈둘레근 (안륜근. orbicularis oculi m.) 2) 눈썹주름근 (추미근. corrugator supercilli m.) 머리 근육

[머리 근육] 표정 근육 - 2) 코무리 (nasal group) [내부링크]

코무리 (nasal group) = 코근(비근. nasalis m.) + 눈살근(비근근. procerus m.) + 코중격내림근(비중격하체근. depressor septi m.) 1) 코근 (비근. nasalis m.) 2) 눈살근 (비근근. procerus m.) 3) 코중격내림근 (비중격하체근. depressor septi m.) 머리 근육

[머리 근육] 표정 근육 - 3) 입무리 (oral group) [내부링크]

입무리 (oral group) = 입둘레근(구륜근. orbicularis oris m.) + 윗입술콧방울올림근(상순비익거근. levator labii superioris alaeque nasi m.) + 윗입술올림근(상순거근. levator labii superioris m.) + 작은광대근(소관골근. zygomaticus minor m.) + 큰광대근(대관골근. zygomaticus major m.) + 입꼬리당김근(소근. risorius m.) + 입꼬리올림근(구각거근. levator anguli oris m.) + 볼근(협근. buccinator m.) + 입꼬리내림근(구각하제근. depressor anguli oris m.) + 아랫입술내림근(하순하제근. depressor labii m.) + 턱끝근(이근. mentalis m.) 1) 입둘레근 (구륜근. orbicularis oris m.) 2) 위입술코방울올림근 (상순비.......

[머리 근육] 표정 근육 - 4) 이마 [내부링크]

이마근 (전두근. frontalis m.) - 뒤통수이마근 (후두전두근. occipitofrontalis m.)의 이마힘살

[머리 근육] 씹기 근육 [내부링크]

씹기근육(저작근. masticatory muscle) = 깨물근(교근. masseter m.) + 관자근(측두근. temporalis m.) + 안쪽날개근(내측익돌근. medial pterygoid m.) + 가쪽날개근(외측익돌근. lateral pterygoid m.) 1) 깨물근 (교근. masseter m.) 2) 관자근 (측두근. temporalis m.) 3) 안쪽날개근 (내측익돌근. medial pterygoid m.) 4) 가쪽날개근 (외측익돌근. lateral pterygoid m.)

[머리 근육] 기타 근육 [내부링크]

기타 근육 = 앞귓바퀴근(전이개근. anterior auricular m.) + 위귓바퀴근(상이개근. superior auricular m.) + 뒤귓바퀴근(후이개근. posterior auricular m.) + 뒤통수근(후두근. occipitalis m.) 1) 앞귓바퀴근 (전이개근. anterior auricular m.) 2) 위귓바퀴근 (상이개근. superior auricular m.) 3) 뒤귓바퀴근 (후이개근. posterior auricular m.) 4) 뒤통수근 (후두근. occipitalis m.) - 뒤통수이마근 (후두전두근. occipitofrontalis m.)의 뒤통수힘살

[몸통 근육] 등 근육 (깊은 무리) - 1) 가시돌기가로근육 [내부링크]

깊은무리 = 가시돌기가로근육(극돌기가로근. spinotransversales mm.) + 척주세움근(척주기립근. erector spinae m.) + 가로돌기가시근육(횡돌기극근. transversospinales mm.) + 분절등근육(segmental mm.) + 뒤통수밑근육(후두하근. suboccipital m.) - 척주, 머리 움직임에 직접 관여 - 내재근육 : 등에서 발생되어, 등에 위치. 1. 가시돌기가로근육 (극돌기가로근. spinotransversales mm.) = 머리널판근(두판상근. splenius capitis m.) + 목널판근(경판상근. splenius cervicis m.) - 머리/목의 폄&돌림 - 가시돌기 & 목덜미인대에서 시작 → 위가쪽으로 비스듬히 올라가 붙음 1) 머리널판근 (두판상근. splenius cap.......

[몸통 근육] 등 근육 (깊은 무리) - 2) 척주세움근 [내부링크]

깊은무리 = 가시돌기가로근육(극돌기가로근. spinotransversales mm.) + 척주세움근(척주기립근. erector spinae m.) + 가로돌기가시근육(횡돌기극근. transversospinales mm.) + 분절등근육(segmental mm.) + 뒤통수밑근육(후두하근. suboccipital m.) - 척주, 머리 움직임에 직접 관여 - 내재근육 : 등에서 발생되어, 등에 위치. 2. 척주세움근 (척주기립근. erector spinae m.) = 엉덩갈비근(장늑근. iliocostalis m.) + 가장긴근(최장근. longissimus m.) + 가시근(극근. spinalis m.) - 등 내재근육 중, 가장 큰 근육무리 - 수축과 이완을 통해, 척주의 굽힘을 조절 - 위치 ㅁ : 척주의 뒤가쪽 ㅁ : [안쪽 가시돌기 ~ 가쪽 갈.......

[몸통 근육] 등 근육 (깊은 무리) - 3) 가로돌기가시근육 [내부링크]

깊은무리 = 가시돌기가로근육(극돌기가로근. spinotransversales mm.) + 척주세움근(척주기립근. erector spinae m.) + 가로돌기가시근육(횡돌기극근. transversospinales mm.) + 분절등근육(segmental mm.) + 뒤통수밑근육(후두하근. suboccipital m.) - 척주, 머리 움직임에 직접 관여 - 내재근육 : 등에서 발생되어, 등에 위치. 3. 가로돌기가시근육 (횡돌기간근. intertransversarii mm.) = 반가시근(반극근. semispinalis m.) + 뭇갈래근(다열근. multifidus m.) + 돌림근(회선근. rotatores mm.) - 척주세움근보다 더 깊은 곳에 위치 - 가로돌기 안쪽에서 시작 → 비스듬이 위쪽으로 올라가, 가시돌기에 부착. - 가로돌기&amp.......

[몸통 근육] 등 근육 (깊은 무리) - 4) 분절등근육 [내부링크]

깊은무리 = 가시돌기가로근육(극돌기가로근. spinotransversales mm.) + 척주세움근(척주기립근. erector spinae m.) + 가로돌기가시근육(횡돌기극근. transversospinales mm.) + 분절등근육(segmental mm.) + 뒤통수밑근육(후두하근. suboccipital m.) - 척주, 머리 움직임에 직접 관여 - 내재근육 : 등에서 발생되어, 등에 위치. 4. 분절등근육 = 갈비올림근(늑골거근. levatores costarum mm.) + 가시사이근(극간근. interspinales mm.) + 가로돌기사이근(횡돌기간근. intertransversarii mm.) - 2개 무리로 구분 ㅁ① 갈비올림근(늑골거근) : 수축시, 갈비뼈 올림 ㅁ② 가시사이근(극간근) + 가로돌기사이근(횡돌기간근) : 자세.......

[몸통 근육] 등 근육 (깊은 무리) - 5) 뒤통수밑근육 [내부링크]

깊은무리 = 가시돌기가로근육(극돌기가로근. spinotransversales mm.) + 척주세움근(척주기립근. erector spinae m.) + 가로돌기가시근육(횡돌기극근. transversospinales mm.) + 분절등근육(segmental mm.) + 뒤통수밑근육(후두하근. suboccipital m.) - 척주, 머리 움직임에 직접 관여 - 내재근육 : 등에서 발생되어, 등에 위치. 5. 뒤통수밑근육(후두하근. suboccipital muscle group) = 큰뒤머리곧은근(대후두직근. rectus capitis posterior major m.) + 작은뒤머리곧은근(소후두직근. rectus capitis posterior minor m.) + 위머리빗근(상두사근. obliquus capitis superior m.) + 아랫머리빗근(하두사근. obliquus capitis i.......

[목 근육] 넓은 목근 [내부링크]

넓은 목근 (광경근. platysma m.) cf > 볼굴대(modiolus) - 입꼬리부위에서, 7개의 얼굴근육이 만나는 지점 - 7개의 얼굴 근육 ㅁ① 입꼬리당김근(소근. risorius m.) ㅁ② 큰광대근(대관골근. zygomaticus major m.) ㅁ③ incisives labii superioris m. ㅁ④ incisives labii inferioris m. ㅁ⑤ 입둘레근(구륜근. orbicularis oris m.) ㅁ⑥ 입꼬리올림근(구각거근. levator anguli oris m.) ㅁ⑦ 입꼬리내림근(구각하제근. depressor anguli oris m.)

[목 근육] 얕은층 - 1) 앞목삼각 근육 [내부링크]

앞목삼각 근육 1. 목뿔위근육 = 붓목뿔근(경돌설골근. stylohyoid m.) + 두힘살근(악이복근. digastric m.) + 턱목뿔근(하악설골근. mylohyoid m.) + 턱끝목뿔근(악설골근. geniohyoid m.) 2. 목뿔아래근육 = 복장목뿔근(흉골설골근. sternohyoid m.) + 어깨목뿔근(견갑설골근. omohyoid m.) + 방패목뿔근(갑상설골근. thyrohyoid m.) + 복장방패근(흉골갑상근. sternothyroid m.) 1. 목뿔위근육 (설골상근. suprahyoid m.) = 붓목뿔근(경돌설골근. stylohyoid m.) + 두힘살근(악이복근. digastric m.) + 턱목뿔근(하악설골근. mylohyoid m.) + 턱끝목뿔근(악설골근. geniohyoid m.) 1) 붓목뿔근 (경돌설골근. stylohyoid m.) .......

[상지 근육] 손 근육 (새끼두덩) [내부링크]

새끼두덩근육 (소지구. hypothenar mm.) = 새끼벌림근(소지외전근. abductor digiti minimi m. ABDM) + 짧은새끼굽힘근(단소지굴근. flexor digiti minimi brevis m.) + 새끼맞섬근(소지대립근. opponens digiti minimi m.) 1) 새끼벌림근 (소지외전근. adductor digiti minimi m. ABDM) 2) 짧은새끼굽힘근 (단소지굴근. flexor digiti minimi brevis m.) 3) 새끼맞섬근 (소지대립근. opponens digiti minimi m. OPDM)

[몸통 근육] 가슴 근육 (가슴근부위) [내부링크]

가슴근부위 근육 = 큰가슴근(대흉근. pectoralis major m.) + 작은가슴근(소흉근. pectoralis minor m.) + 빗장밑근(쇄골하근. subclavius m.) 1) 큰가슴근 (대흉근. pectoralis major m.) 2) 작은가슴근 (소흉근. pectoralis minor m.) 3) 빗장밑근 (쇄골하근. subclavius m.) 근육의 움직임 관련 동영상 1) 큰가슴근(대흉근. pectoralis major m.) https://www.youtube.com/watch?v=xDsosxpgs6o 2) 작은가슴근(소흉근. pectoralis minor m.) https://www.youtube.com/watch?v=f1Kp9oWF8qE

[몸통 근육] 가슴 근육 (가슴벽) [내부링크]

가슴벽 근육 = 바깥갈비사이근(외늑간근. external intercostal mm.) + 속갈비사이근(내늑간근. internal intercostal mm.) + 맨속갈비사이근(최내늑간근. innermost intercostal mm.) + 갈비밑근(늑하근. subcostal mm.) + 갈비가로근(흉횡근. trnasversus thoracis m.) 1) 바깥갈비사이근 (외늑간근. external intercostal mm.) : 11쌍 - [갈비뼈결절 ~ 갈비연골]까지 걸쳐있음 - 갈비연골 근처에서, 바깥갈비사이막(얇은 널힘줄)이 된다. 2) 속갈비사이근 (내늑간근. internal intercostal mm.) : 11쌍 - [costal angle ~ sternum 바로 옆]까지 걸쳐있음 - 속갈비근 뒤쪽 끝부분은, 속갈비사이막(얇은 널힘줄)으로 이어짐 3) 맨속갈비.......

[몸통 근육] 가로막(횡격막) [내부링크]

가로막 (횡격막. diaphragm)

[몸통 근육] 배 근육 (앞배벽) [내부링크]

앞배벽 근육 = 배바깥빗근(외복사근. external oblique m.) + 배속빗근(내복사근. internal oblique m.) + 배가로근(복횡근. transversus abdominis m.) + 배곧은근(복직근. rectus abdominis m.) + 배세모근(추체근. pyramidalis m.) 1) 배바깥빗근 (외복사근. external oblique m.) cf > ipsilateral rotation(동측 회전) : 해당 근육이 부착된 방향과 같은 쪽으로 회전 contralateral rotation(대측 회전) : 해당 근육이 부착된 방향과 반대쪽으로 회전 2) 배속빗근 (내복사근. internal oblique m.) cf > conjoint tendon : 배속빗근 & 배가로근이 두덩뼈능선으로 함께 정지할 수 있도록 합쳐주는 힘줄 3) 배가로근 (복횡.......

[몸통 근육] 배 근육 (뒤배벽) [내부링크]

뒤배벽 근육 = 큰허리근(대요근. psoas major m.) + 작은허리근(소요근. psoas minor m.) + 엉덩근(장골근. iliacus m.) + 허리네모근(요방형근. quadratus lumborum m.) 1) 큰허리근 (대요근. psoas major m.) 2) 작은허리근 (소요근. psoas minor m.) cf > 두덩뼈빗(치골즐) : 활꼴선부터 두덩뼈결절로 뻗은 날카로운 능선 3) 엉덩근 (장골근. iliacus m.) 4) 허리네모근 (요방형근. quadratus lumborum m.)

[몸통 근육] 등 근육 (얕은 무리) [내부링크]

얕은무리 (팔다리) = 등세모근(승모근. trapezius m.) + 넓은등근(광배근. latissimus dorsi m.) + 어깨올림근(견갑거근. levator scapulae m.) + 작은마름근(소능형근. rhomboid minor m.) + 큰마름근(대능형근. rhomboid major m.) - 팔운동과 관련 有 - 외인근육 : 다른 곳에서 발생하여 등에 위치 1) 등세모근 (승모근. trapezius m.) 2) 넓은등근 (광배근. latissimus dorsi m.) 3) 어깨올림근 (견갑거근. levator scapulae m.) 4) 작은마름근 (소능형근. rhomboid minor m.) 5) 큰마름근 (대능형근. rhomboid major m.)

[몸통 근육] 등 근육 (중간 무리) [내부링크]

중간무리 (호흡) = 위뒤톱니근(상후거근. serratus posterior superior m.) + 아래뒤톱니근(하후거근. serratus posterior inferior m.) - 갈비뼈에 부착되어 있음 → 호흡 운동과 관련 有 - 외인근육 : 다른 곳에서 발생하여 등에 위치 1) 위뒤톱니근 (상후거근. serratus posterior superior m.) 2) 아래뒤톱니근 (하후거근. serratus posterior inferior m.)

[상지 근육] 어깨 근육 (어깨뼈 앞·뒤) [내부링크]

어깨뼈(견갑골) 뒤부위 = 가시위근(극상근. supraspinatus m.) + 가시아래근(극하근. infraspinatus m.) + 작은원근(소원근. teres minor m.) + 큰원근(대원근. teres major m.) 1) 가시위근 (극상근. supraspinatus m.) cf > 가시위근이 초기 15˚ 벌린 후, 어깨세모근(삼각근)이 이후 벌림의 주요 근육으로 작용 2) 가시아래근 (극하근. infraspinatus m.) 3) 작은원근 (소원근. teres minor m.) 4) 큰원근 (대원근. teres major m.) 어깨뼈(견갑골) 앞부위 1) 어깨밑근 (견갑하근. subscapularis m.)

[상지 근육] 위팔 앞칸 근육 [내부링크]

위팔 앞칸 = 부리위팔근(오훼완근. coracobrachialis m.) + 위팔두갈래근(상완이두근. 이두박근. biceps brachii m.) + 위팔근(상완근. brachialis m.) 1) 부리위팔근 (오훼완근. coracobrachialis m.) 2) 위팔두갈래근 (상완이두근=이두박근. biceps brachii m.) 3) 위팔근 (상완근. brachialis m.)

[상지 근육] 위팔 뒤칸 근육 [내부링크]

위팔 뒤칸 근육 = 위팔세갈래근(삼두근 = 삼두박근. triceps brachii m.) 1) 위팔세갈래근 (삼두근=삼두박근. triceps brachii m.)

[상지 근육] 아래팔 앞칸 근육 [내부링크]

1) 얕은층 = 자쪽손목굽힘근(척측수근굴근. flexor carpi ulnaris m.) + 긴손바닥근(장장근. plamaris longus m.) + 노쪽손목굽힘근(요측수근굴근. flexor carpi radius m.) + 원엎침근(원회내근. 원형회내근. pronator teres m.) (1) 자쪽손목굽힘근 (척측수근굴근. flexor carpi ulnaris m.) (2) 긴손바닥근 (장장근. palmaris longus m.) (3) 노쪽손목굽힘근 (요측수근굴근. flexor carpi radialis m.) (4) 원엎침근 (원회내근 = 원형회내근. pronator teres m.) 2) 중간층 = 얕은손가락굽힘근(천지굴근. flexor digitorum superficialis m.) (1) 얕은손가락굽힘근 (천지굴근. flexor digitorum superficialis m.) 3) 깊은층 &.......

[상지 근육] 아래팔 뒤칸 근육 [내부링크]

아래팔 뒤칸 얕은층 = 위팔노근(완요골근. brachioradialis m.) + 긴노쪽손목폄근(장요측수근신근. extensor carpi radialis longus m.) + 짧은노쪽손목폄근(단요측수근신근. extensor carpi radialis brevis m.) + 손가락폄근(수지신근. extensor digitorum m.) + 새끼폄근(소지신근. extensor digiti minimi m.) + 자쪽손목폄근(척측수근신근. extensor carpi ulnaris m.) + 팔꿈치근(주근. anconeus m.) 1) 위팔노근 (완요골근. brachioradialis m.) 2) 긴노쪽손목폄근 (장요측수근신근. extensor carpi radialis longus m.) 3) 짧은노쪽손목폄근 (단요측수근신근. extensor carpi radialis brevis m.) 4) 손가락폄근 (수지신근. exte.......

[상지 근육] 손 근육 (손바닥) [내부링크]

손바닥 근육 = 짧은손바닥근(단장근. palmaris brevis m. PB) + 벌레근(충양근. lumbrical mm.) + 엄지모음근(무지내전근. adductor pollicis m.) + 손바닥쪽뼈사이근(장측골간근. palmar interossei mm.) + 등쪽뼈사이근(배측골간근. dorsal interossei mm.) 1) 짧은손바닥근 (단장근. palmaris brevis m. PB) 2) 벌레근 (충양근. lumbrical mm.) : 4개 3) 엄지모음근 (무지내전근. adductor pollicis m. AP) 4) 바닥쪽뼈사이근 (장측골간근. palmar interossei) : 3개 5) 등쪽뼈사이근 (배측골간근. dorsal interossei) : 4개

[상지 근육] 손 근육 (엄지두덩) [내부링크]

엄지두덩근육 (무지구(엄지구). thenar mm.) = 짧은엄지벌림근(단무지외전근. abductor pollicis brevis m.) + 짧은엄지굽힘근(단무지굴근. flexor pollicis brevis m.) + 엄지맞섬근(무지대립근. opponens pollicis m.) 1) 짧은엄지벌림근 (단무지외전근. abductor pollicis brevis m.) 2) 짧은엄지굽힘근 (단무지굴근. flexor pollicis brevis m.) 3) 엄지맞섬근 (무지대립근. opponens pollicis m. OP)

[하지 근육] 발등 근육 [내부링크]

발등근육 = 짧은엄지폄근(단무지신근. extensor hallucis brevis m. EHB) + 짧은발가락폄근(단지신근. extensor digitorum brevis m. EDB) 1) 짧은발가락폄근 (단지신근. extensor digitorum brevis m. EDB) 2) 짧은엄지폄근 (단무지신근. extensor hallucis brevis m. EHB)

[하지 근육] 발바닥 근육 (첫째층) [내부링크]

발바닥 첫째층 = 엄지벌림근(무지외전근. abductor hallucis m. AH) + 짧은발가락굽힘근(단지굴근. flexor digitorum brevis m. FDB) + 새끼벌림근(소지외전근. abductor digiti minimi m. ADM) 1) 엄지벌림근 (무지외전근. abductor hallucis m. AH) 2) 짧은발가락굽힘근 (단지굴근. flexor digitorum brevis m. FDB) 3) 새끼벌림근 (소지외전근. abductor digiti minimi m. ADM)

[하지 근육] 발바닥 근육 (둘째층) [내부링크]

발바닥 둘째층 = 발바닥네모근(족저방형근. Quadratus plantae m. QP) + 벌레근(충양근. Lumbricalis mm.) 1) 발바닥네모근 (족저방형근. Quadratus plantae m. QP) 2) 벌레근 (충양근. lumbricalis mm.) : 4개

[하지 근육] 발바닥 근육 (셋째층) [내부링크]

발바닥 셋째층 = 짧은엄지굽힘근(단무지굴근. Flexor hallucis brevis m. FHB) + 엄지모음근(무지내전근. adductor hallucis m. AH) + 짧은새끼굽힘근(단소지굴근. flexor digiti minimi brevis m. FDMB) 1) 짧은엄지굽힘근 (단무지굴근. Flexor hallucis brevis m. FHB) 2) 엄지모음근 (무지내전근. adductor hallucis m. AH) 3) 짧은새끼굽힘근 (단소지굴근. flexor digiti minimi brevis m. FDMB)

[하지 근육] 발바닥 근육 (넷째층) [내부링크]

발바닥 넷째층 = 발바닥뼈사이근(척측골간근. plantar interossei mm.) + 등쪽뼈사이근(배측골간근. dorsal interossei m.) 1) 발바닥뼈사이근 (척측골간근. plantar interossei mm.) : 3개 2) 등쪽뼈사이근 (배측골간근. dorsal interossei mm.) : 4개 발바닥 넷째층 근육

[공유] 움직임 관련 용어 [내부링크]

https://www.youtube.com/watch?v=cm-ZP8rf2Sg&t=183s 움직임 용어는 매번 헷갈리는데.. 영상에 설명 굉장히 잘 되어 있다. ㅎㅎ 다음에 움직임 관련 용어 다시 한 번 정리해야겠다.

[하지 근육] 볼기 근육 [내부링크]

볼기 근육 = 큰볼기근(대둔근. gluteus maximus m.) + 중간볼기근(중둔근. gluteus medius m.) + 작은볼기근(소둔근. gluteus minimus m.) + 궁둥구멍근(이상근. piriformis m.) + 속폐쇄근(내폐쇄근. obturator internus m.) + 위쌍둥이근(상쌍자근. gemellus superior m.) + 아래쌍둥이근(하쌍자근. gemellus inferior m.) + 넙다리네모근(대퇴방형근. quadratus femoris m.) + 넙다리근막긴장근(대퇴근막장근. tensor fascia lata. TFL) 1) 큰볼기근 (대둔근. Gluteus maximus m.) 2) 중간볼기근 (중둔근. Gluteus medius m.) 3) 작은볼기근 (소둔근. Gluteus minimus m.) 4) 궁둥구멍근 (이상근. Piriformis m.) 5) 속폐쇄근 (내폐쇄.......

[상지 근육] 어깨 근육 (얕은층) [내부링크]

얕은층 = 등세모근(승모근. trapezius m.) + 어깨세모근(삼각근. deltoid m.) - 역할 : 어깨의 고유한 윤곽을 만든다. 1) 등세모근 (승모근. trapezius m.) 2) 어깨세모근 (삼각근. deltoid m.)

[상지 근육] 어깨 근육 (깊은층) [내부링크]

어깨 깊은층 = 어깨올림근(견갑거근. levator scapulae m.) + 작은마름근(소능형근. rhomboid minor m.) + 큰마름근(대능형근. rhomboid major m.) *역할 - 등세모근보다 깊은 곳에서, 깊은층의 세 근육으로, 척주와 어깨뼈를 연결한다. - 몸통에서 어깨뼈 위치를 조절한다. 1) 어깨올림근 (견갑거근. levator scapulae m.) 2) 작은마름근 (소능형근. rhomboid minor m.) 3) 큰마름근 (대능형근. rhomboid major m.)

[하지 근육] 종아리 가쪽칸 근육 [내부링크]

종아리 가쪽칸 = 긴종아리근(장비골근. fibularis longus m. = Peroneus longus m.) + 짧은종아리근(단비골근. fibularis brevis m. = Peroneus brevis m.) 1) 긴종아리근 (장비골근. fibularis longus m. = Peroneus longus) 2) 짧은 종아리근 (단비골근. fibularis brevis m. = Peroneus brevis)

[하지 근육] 종아리 앞칸 근육 [내부링크]

종아리 앞칸 = 앞정강근(전경골근. tibialis anterior m.) + 긴엄지폄근(장무지신근. extensor hallucis longus m. EHL) + 긴발가락폄근(장지신근. extensor digitorum longus m. EDL) + 셋째종아리근(제3 비골근. fibularis tertius m. = Peroneus tertius m.) 1) 앞정강근 (전경골근. tibialis anterior m.) 2) 긴엄지폄근 (장무지신근. extensor hallucis longus m. EHL) 3) 긴발가락폄근 (장지신근. extensor digitorum longus m. EDL) 4) 셋째종아리근 (제3 비골근. fibularis tertius m. = Peroneus tertius)

손뼈의 구조 (영어, 한글, 한자 명칭) [내부링크]

phalanges = 손가락뼈 = 지골 = 지절골 metacarpal bone = 손허리뼈 = 중수골 - 1st ~ 5nd metacarpal bone Carpal bone = 손목뼈 = 수근골

발뼈의 구조 (영어, 한글, 한자 명칭) [내부링크]

phalanges = 발가락뼈 = 지골 Metatarsal bone = 발허리뼈 = 중족골 - 1st ~ 5th metatarsal b. Tarsal bone = 발목뼈 = 족근골

[하지 근육] 종아리 뒤칸 근육 [내부링크]

1) 얕은무리 = 장딴지근(비복근. gastrocnemius m.) + 넙다리빗근(족척근. plantaris m.) + 가자미근(넙치근. soleus m.) (1) 장딴지근 (비복근. gastrocnemius m. GCM) (2) 장딴지빗근 (족척근. plantaris m.) (3) 가자미근 (넙치근. soleus m.) 2) 깊은 무리 = 오금근(슬와근. popliteus m.) + 긴엄지굽힘근(장무지굴근. flexor hallucis longus m.) + 긴발가락굽힘근(장지굴근. flexor digitorum longus m.) + 뒤정강근(후경골근. tibialis post. m.) (1) 오금근 (슬와근. popliteus m.) (2) 긴엄지굽힘근 (장무지굴근. flexor hallucis longus m. FHL) (3) 긴발가락굽힘근 (장지굴근. flexor digitorum longus m.) (4) 뒤정강근 (후.......

[하지 근육] 넙다리 뒤칸 근육 [내부링크]

뒤칸 = 햄스트링(슬굴곡근, 뒤넙다리근, Hamstring) = 넙다리두갈래근(대퇴이두근. biceps femoris m.) + 반힘줄근(반건형근. semitendinosus m.) + 반막모양근(반막양근. semimembranosus m.) 1) 넙다리두갈래근 (대퇴이두근. Biceps femoris) 2) 반힘줄근 (반건형근. Semitendinosus m.) 3) 반막모양근 (반막양근. Semimembranosus m.) 넙다리 뒤칸 근육

서론 [내부링크]

0. 서론 # 의학이란? - 인체/구조와 기능/ 질병 치료,예방,관리. # 합리적인 치료과정 ① 환자의 문제 정의...

동의보감-집례 (東醫寶鑑 · 集例) [내부링크]

<東醫寶鑑 · 集例> 御醫 忠勤貞亮扈聖功 臣 崇祿大夫 陽平君 許浚 奉敎撰. 어의 충근정양호성공 신 ...

방약합편-원인 (方藥合編 · 原因) [내부링크]

<方藥合編 · 原因> *編:엮다. 편집하다. 嗚呼 先君子惠庵公 所著方藥書甚富 皆不留姓氏 但令施治者 ...

오행통론 (五行統論) [내부링크]

<五行統論> 五行者 水火木金土也. 오행자수화목금토야. 오행은 수화목금토이다. (한의학에서는, 임신...

중국어의 성조, 모음(운모), 자음(성모) [내부링크]

# 언어의 기능 ① 傳(내가 말함) ② 達(상대가 받아들임) - 자음(성모), 모음(운모), 성조, 문법은, 傳達의...

1. 음양학설(陰陽學說) [내부링크]

Ⅰ. 음양오행학설(陰陽五行學說) - 음양/오행학설 동양고대의 자연관. 당시 자연과학은 모두 음양오행학...

2. 오행학설(五行學說) [내부링크]

2. 오행학설(五行學說) 우주 간에 운행하는 원기로서 만물을 낳게 한다는 5종의 원소인 ‘목, 화, 토, 금, ...

주역 3조 (『周易』 三條) [내부링크]

天尊地卑, 乾坤定矣. 하늘은 존귀하고(높고) 땅은 낮으니, 건과 곤이 위치를 정했다. * 脾胃 : 인체에서 가...

총론 1 [내부링크]

# 해부학의 종류 # 육안해부학의 의의 의술을 실행하는데 필요한 기초 마련 # 육안해부학 공부 - 인체 구조...

[장부조분] 심 · 소장 (心 · 小腸) [내부링크]

<心> 心君臟也, 神明居焉. 심군장야, 신명거언. 心은 임금(君)에 해당하는 臟으로써, 신명이 깃들어...

3. 정신기혈 - 精 [내부링크]

< 精神氣血 > - 정신기혈 : 생명체의 구성에 대한 기구적 분석. : 인체 구성 기본요소. - 음양론에 ...

3. 정신기혈 - 神 [내부링크]

2. 신(神) 1) 神의 개념 - 神 : 생명활동형상의 정화. 생명활동이 일어나고 소망됨에 따라, 존재하고 소실...

태극도설 (太極圖說) [내부링크]

無極而太極, 太極動而生陽, 動極而靜, 靜而生陰, 靜極復動, 一動一靜, 互爲其根, 分陰分陽, 兩儀立焉. 무극...

총론 2 [내부링크]

# 해부학적 자세(anatomical position) ① 차렷 자세에서 ② 양 하지를 벌리고 서서 발끝이 앞으로 향하도...

[관절] 서론 [내부링크]

# 뼈대계통 - 뼈대계통 = 연골 + 뼈 + 관절 - 뼈대 = 몸통뼈대(axial skeleton) + 팔다리뼈대(...

3. 정신기혈 - 氣 [내부링크]

3. 氣 1) 氣의 형성과 생리기능 (1) 氣 - 氣 : 변화를 일으키는 것. : 고대 사람들이 자연현상의 변화상을 ...

3. 정신기혈 - 血 [내부링크]

4. 혈(血) 1) 血의 형성과 생리기능 (1) 血 : 전신을 순환하며 영양하는 적색 체액. (2) 血의 형성과정 : ...

[장부조분] 간 · 담 (肝 · 膽) [내부링크]

<肝> 肝者, 將軍之官, 謀慮出焉. 간자, 장군지관, 모려출언. 肝은 장군지관의 직책을 수행하니, 꾀가...

[뼈대계통 - 골학] 1. 척주 (vertebrae column) [내부링크]

1. 척주(Vertebral Column) 1) 구성 + disc 23개. cf > disc 없는 구간 : ① C1~C2사이 / ② sacrum...

[뼈대계통 - 골학] 1. 척주(vertebrae column) - 경추 [내부링크]

(1) cervical vertebrae (경추, C1~C7) # 1. 특징 vertebrae 중, 유일하게 transverse foramen (transver...

3. 정신기혈 - 津液 [내부링크]

5. 진액(津液) (1) 진액 - 체내 모든 정상수액의 총칭. - 주로 체액을 가리킴. - 汗液(한액), 唾液(타액), ...

4. 경락 (經絡) [내부링크]

1. 경락 1) 경락이란? (K.W : 흐름, 연결, 순환) → 침, 뜸 관련. - 전신에 두루 퍼져있음. - 氣/血/津液...

[뼈대계통 - 골학] 1. 척주(vertebrae column) - 흉추, 요추 [내부링크]

(2) Thoracic Vertebrae (흉추, T1~T12) # 1. 특징 - rib과 관절함 → costal facet 有!! # 2. 일반적 ...

[뼈대계통 - 골학] 1. 척주(vertebrae column) - 천골, 미골 [내부링크]

(4) Sacral Vertebrae (천골) **해부학적 자세 : ① promontory를 ant. sup. 방향으로 둔 상태에서, ② p...

5. 장부 (臟腑) - 장상학설 [내부링크]

< 臟腑 > 1. 장상학설(臟象學說) 1) 장상학설 큰 줄기! ① 오장 중심의 정체관 ② 내외 표리의 관계 ...

5. 장부 (臟腑) - 心, 肺 [내부링크]

1) 心 (附 : 心包) (1) 心 - 흉중에 위치, 외부에 心包 있음 - 心 : 혈맥 주관(主血脈), 신을 장함(藏神), ...

복희, 신농, 황제 (伏羲, 神農, 黃帝) [내부링크]

<伏羲, 神農, 黃帝> 太昊伏羲氏: 伏羲氏, 以木德王, 風性, 蛇首人身. 태호복희씨 : 복희씨, 이목덕왕...

편작전 - 『사기』 (扁鵲傳 - 『史記』) [내부링크]

*사기 : 중국 한나라 사마천이 황제~한나라 무제까지, 역대 왕조의 사족을 기전체(한 인간의 삶을 중심으로...

화타전 - 범엽 (華佗傳 - 范曄) [내부링크]

< 華佗傳 > *范曄 : 남송시대 사학가. 字는 蔚宗(위종), 순양 사람. 본문은, 그의 작품인 ‘후한서-...

[장부조분] 비 · 위 (脾 · 胃) [내부링크]

<脾> 脾鎭黃庭, 磨水穀以養四臟. 비진황정, 마수곡이양사장. 脾는 황정에 눌러앉아있으며, 수곡을 삭...

5. 장부(臟腑) - 脾/胃/腸 · 肝/膽 [내부링크]

3) 脾, 胃, 腸(小腸/大腸) (1) 비/위/장 한의학에서는, 비/위/소장/대장 中 비/위를 주된 소화기관으로 본...

5. 장부(臟腑) - 腎/膀胱 · 기항지부 [내부링크]

5) 腎과 膀胱 (附 : 命門) (1)腎과 膀胱 <신> 요부에 위치, 좌우에 하나씩 있음 귀와 2음에 개규 모...

침구갑을경·서 (鍼灸甲乙經·序) [내부링크]

鍼灸甲乙經·序 (『鍼灸甲乙經』 晉·皇甫謐) *황보밀 호 : 현안선생, 아명 : 정, 염대지방 사람. 위진시기에...

6. 병사변증(病邪辨證) - 풍(風) [내부링크]

1. 풍(風) ① 양의 부위에 침범 → 표, 上 - 풍의 성질은 가볍고 부척함 → 두면부위에 침범하기 쉬움. - ...

6. 병사변증(病邪辨證) - 한(寒) [내부링크]

2. 한(寒) - 외한/내한 – 병의 깊이에 따라 구분. 중요x ①외한 : 외부의 한사에 의해 야기됨. ②내한 : ...

맥경·서 (脈經·序) [내부링크]

『脈經·序』 - 王叔和 *왕숙화 - 맥학지식 계통하여 맥경 편저. - 장중경의 상한잡병론 널리 유전시킴. - ...

[뼈대계통 - 골학] 1. 척주(vertebrae column) - vertebrae 비교 [내부링크]

7) vertebrae의 비교 (1) C, T, L, S의 비교 (2) Cervical Vertebrae 간의 비교 (3) Thoracic Vert...

6. 병사변증(病邪辯證) - 열, 화, 서(熱, 火, 暑) [내부링크]

3. 열, 화, 서 (熱, 火, 暑) - 모두 같은거라 보면 됨. - 외화/내화 구분 有 - 暑 : 계절성 有 (주로 여름)...

6. 병사변증(病邪辯證) - 습(濕) [내부링크]

4. 습(濕) - 권태/피로 - 대개 여름/가을 많이 발생. - 濕 많은 곳 오래 거주자에게 발병 - 다른 사기와 결...

6. 병사변증(病邪辯證) - 조(燥) [내부링크]

5. 조(燥) - 진액, 폐, 열 등과 밀접 - 임상의 건조 증후 - 원인 : ①내조 : 진액 손상, ②외조 : 외부 조...

6. 병사변증(病邪辯證) - 식적(食積), 담(痰) [내부링크]

6. 식적(食積) - 원인 ①과식 → 비위 손상 ②비위 운화기능 약화 → 장과 위 사이에 정체됨. - 식적의 병...

[뼈대계통 - 골학] 2. 가슴뼈 (Thorax) [내부링크]

1) thoracic cavity 2) sternum **해부학적 자세 ① sternal angle이 sup. ant.로 잡음 ② xiphoid process...

[장부조분] 폐 · 대장 (肺 · 大腸) [내부링크]

<肺> 肺系喉管而爲氣之宗. 폐계후관이위기지종. 肺系는 후관(候管)이라 하며, 肺는 氣의 근원(祖宗)...

[장부조분] 신 · 방광 (腎 · 膀胱) [내부링크]

<腎> 腎有兩枚, 左屬水而右屬火. 신유양매, 좌속수이우속화. 腎은 2개가 있는데, 왼쪽은 水에 속하고...

[장부조분] 명문 · 삼초 (命門 · 三焦) [내부링크]

<命門> 下寄腎右, 而絲系曲透膀廣之間. 하기신우, 이사계곡투방광지간. 命門은 하초에서 腎의 오른쪽...

[장부조분] 표 (한글) - 六臟六腑 [내부링크]

<장부 소개> <장부 병증> <약물> <기타>

[장부총론] 원문 [내부링크]

臟者, 藏乎也, 藏諸神而精氣流通也. 腑者, 府庫也, 出納(水穀糟粕)轉輸之謂也. 臟腑, 兄弟也, 同氣而異形耳...

[장부총론] 해석1 [내부링크]

臟者, 藏乎也, 藏諸神而精氣流通也. 장자, 장호야, 장제신이정기유통야. 臟은 ‘갈무리한다(藏)’는 뜻으로...

[장부총론] 해석2 [내부링크]

以主病要略言之, 三陰之脈榮於臟, 三陽之脈榮於腑, 陰陽和而無關格之患. 이주병요략언지, 삼음지맥영어장, ...

[장부총론] 해석3 [내부링크]

自其補瀉言之, 外感內傷, 病有虛實賊微正五邪之分. 자기보사언지, 외감내상, 병유허실적미정오사지분. 보사...

[뼈대계통 - 골학] 3. 팔이음뼈(shoulder girdle) [내부링크]

3. shoulder girdle (팔이음뼈) 1) clavicle (빗장뼈. 쇄골) **해부학적 자세 ① conoid tubercle을 inf. p...

약성가 (『方藥合編』 黃度淵) [내부링크]

< 藥性歌(『方藥合編』 黃度淵) > *약성가 藥 = 草 + 樂. 괴로우니깐, 풀 먹고 즐거워하자! 性...

한하토삼법해진치병전 (『儒門事親』 元·張從政) [내부링크]

< 汗下吐三法該盡治病詮(『儒門事親』 元·張從政) > 한하토삼법해진치병전 병을 치료하는(治病) 모든...

상한론ㆍ원서(『傷寒論』 漢ㆍ張仲景) [내부링크]

< 傷寒論ㆍ原序 (『傷寒論』 漢ㆍ張仲景) > 余每覽越人入虢之診, 望齊侯之色, 未嘗不慨然嘆其才秀也....

장부총론 (수업 ver.) [내부링크]

<臟腑總論> 先儒嘆(世人, 務窮天地萬物之理, 不知一身五臟六腑毛髮筋骨之所存, 況醫者乎). 선유탄(세...

동의수세보원 - 의원론 (東醫壽世保元 「醫源論」) [내부링크]

<東醫壽世保元 「醫源論」 全文> *症: symptom. *證: syndrom. 더 큰 개념. 모두 아우른 개념. ex ) ...

[진맥] 제맥체상(諸脈體狀) [내부링크]

< 제맥체상(諸脈體狀) > 원문 浮按不足擧有餘, 沈按有餘擧則無 遲脈一息剛三至, 數來六至一吸呼 滑...

[진맥] 제맥주병(諸脈主病) [내부링크]

< 제맥주병(諸脈主病) > 원문 浮風芤血滑多痰, 實熱弦勞緊痛間 洪熱微寒臍下積, 沈因氣痛緩膚頑 濇...

[부인문] 경후(經候) [내부링크]

<經候> 원문 經病百端血滯枯, 滯宜破血枯補虛. 滯因外感傷冷鬱, 也有盛實欠宣疎. 枯傷勞食或作泄, ...

부인문 (『丹溪心法附餘』 明·方廣) [내부링크]

< 婦人門(『丹溪心法附餘』 明·方廣) > *『丹溪心法附餘』 方廣 - 明代 方廣이 편집하여 1536년 간행...

[부인문] 붕루(崩漏) [내부링크]

< 붕루(崩漏) > *붕루(崩漏) - 여성 성기 부정 출혈. 성기로부터 이상적으로 피가 나오는 것. 주로 ...

[부인문] 대하(帶下) [내부링크]

< 대하(帶下) > *帶下 - 여성의 성기에서 흘러나오는 분비물. - 월경 전, 배란기, 임신기 외에 비정...

[부인문] 징가(癥瘕) [내부링크]

< 징가(癥瘕) > 원문 癥瘕冷熱都是瘀, 或因食積或鬱怒. 腹痛經閉如懷胎, 面黃寒熱夢無數. 痃癖病治...

[부인문] 태전(胎前) [내부링크]

< 태전(胎前) > 원문 胎前淸熱與養血, 月分依經善調燮. 一足厥陰二少陽, 三四胞絡三焦訣. 五脾六胃...

[경혈] 12경맥 [내부링크]

<경락의 유주순서> ① 수태음폐경 → ② 수양명대장경 → ③ 족양명위경 → ④ 족태음비경 → ⑤ 수...

[공유] 처방공부법 ver1.01 (9) 5-3단계 중급편 마무리 [내부링크]

6. 언제 그렇게 책을 많이 읽으실 수 있었나요? 본과3학년기준, 오전 9시에 학교가서 , 오후7~9시에 집에 ...

[공유] '발목 염좌' 효율적 대처 방법은! [내부링크]

‘발목 염좌’ 효율적 대처 방&#...

[공유] 전방통증증후군 PFPS 흔하지만 어려운 무릎 [내부링크]

이 글을 보신 분들은 구부리거나 오래 앉아 있을 때나 바닥에 앉고 일어날 때 혹은 계단을 내려갈 때처럼 ...

[하지 근육] 넙다리 앞칸 근육 [내부링크]

1. 엉덩허리근(장요근. iliopsoas) = 큰허리근(대요근. psoas major) + 엉덩근(장골근. iliocus) 1) ...

[하지 근육] 넙다리 안쪽칸 근육 [내부링크]

넙다리 안쪽칸 = 두덩정강근(대퇴박근. gracilis m.) + 두덩근(치골근. pectineus m.) + 긴모음근...

[공유] condyle vs. epicondyle [내부링크]

방학도 학기 중처럼

[공유] 목말밑관절 [내부링크]

방학도 학기 중처럼

[공유] 뼈소리, 관절에서 소리날 때 원인이 뭘까 [내부링크]

너무 궁금했던 관절에서 소리나는 이유! 관절이 벌어짐 → 음압 생김 → 관절낭 안에 기체 공기방울 생성 ...

[공유] 조기성 《병을 이기는 건강법은 따로 있다》 4화. 오행(五行)의 상생·상극·승모 관계 [내부링크]

상생, 상극은 정상적 생리상황 상승, 상모는 병리적 생리상황 (오행 중 어느 하나가, 편승 or 편쇠 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