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lus의 등록된 링크

 llus로 등록된 네이버 블로그 포스트 수는 43건입니다.

다운라이트 시공 [내부링크]

다운라이트는 1인치 25mm로 계산해서 위와 같은 사이즈로 홀쏘우를 구입하든지 아니면 쥐꼬리톱으로 천장을 뚫어야 합니다 물론 지지대가 있을 수 있으니 강력한 네오디움 자석으로 타카로 못박힌 위치를 찾으면 거기는 지지대가 지나가는 자리이니 그곳을 피해서 위치를 잡으시면 됩니다. 저렇게 중심을 나사로 박은다음 반지름 위치를 구멍을 뚫고 돌리면서 원을 그리면 쥐꼬리톱으로 자를수 있게 됩니다 물론 홀쏘우로 하면 중심만 잡아주면 되지요 3인치 반지름 37~38mm 4인치 반지름 50mm 6인치 반지름 75mm 되겠네요 쥐꼬리톱으로 당기면서 자릅니다 또는 홀쏘우와 먼지가 날리니 홀카바로 뚫어줍니다 많이 뚫으려면 쥐꼬리톱으로 하면 손에 쥐가 납니다. 홀카바도 비싸니 어떤분은 락앤락 큰거로 가운데 구멍뚫고 그거로 홀카바대용 하시더라구요~ 다운라이트 종류입니다. 사진은 유튜브 참조하였습니다 (폴라베어) #다운라이트 #방법 #사이즈 #시공 #조명 #종류 #타공

한류형 퓨즈 융단시 [내부링크]

**퓨즈 선정시 고려사항~~!!! 예상되는 과부하전류에는 동작하지 않을 것. 단락보호용으로는 전 부하 전류의 2배선정 (100A 초과시 : 측근 상위 값, 100A 이하 : 측근 하단 값 선정) (다수의 변압기의 수전측에 설치시 : 총 변압기의 정격전류 × 1.25~1.5배) IEEE Std 242-1986, Chapter 5. Fuse, 5.11.5 Transformer protection.(POWER FUSE의 용도 및 특성) 변압기 1차측은 단락보호(변압기 2차측 사고시), 2차측은 과부하 보호를 하도록 규정되어 있다. 변압기 1차측은 변압기 정격전류와 변압기 2차측 단락사고(2상단락 또는 3상단락)시 고장전류를 변압기 1차측으로 환산한 값을 고려하여 Time delay 특성을 갖는 fuse를 선정한다. 단, 변압기의 돌입전류(0.1초에서는 약 12배, 0.01초에서는 20~25배)를 고려하여 둘 중에 큰 값으로 정한다. 변압기 2차측은 전 부하전류의 100~125% 범위에

CT비 [내부링크]

#CT #ct비

G-type 계량기 선 연결 [내부링크]

신설 및 교체 시 주의사항으로는 반드시 공사 담당자, 관리자 이중으로 크로스 체킹 해야 합니다. 황-적-갈-백-흑-청-녹 이른바 7색 선이다 가장 중요한 부분이 7색 선이 올바르게 접속됐는지의 여부 인데 원래라면 황색부터 시작이지만,옛날 방식으로 적색부 터 시작하는 분이 있기에 반드시 7색 선이 올바르게 접속됐 는지 확인해야 합니 다. P는 전압, S는 전류, L은 부하를 뜻 합니 다. 7색 선의 명칭은 " HHO1 046-6009F 0.6/1KV TFR-CVV 6.OSQ x 7 ”로 일반적으로 전부 이걸로 공급한다고 보면 됩니다. ! 전기공사기사 실기에서도 출제된 적이 있는 황-적-갈- 백-흑-청-녹 알아둬서 나쁠 건 없습니다 . 당연히 정확히 결선하면 정상 작동되지만 만약 오결선을 한 다면 어찌 될까요? PT 결선이 잘못됐을 경우에는 5분 내에 폭발하거나 심한 발열 후 소손 되고 CT 결선이 잘못됐을 경우 계량기가 정상 작동되지 않아 전 기 요금 청구에 있어 불이익이 있을 수 있

열화상 점검 예 [내부링크]

여러분들은 혹시 건물 내 설비나 장비 그리고 구조물등 각종 시설물에서의 문제점을 파악하기 위해서 어떠한 방법을 이용하시나요? 보통 육안점검 및 간단한 측정장비를 통한 온도측정 또는 비접촉식 적외선온도계를 활용하여 대략적인 정보를 얻기도 합니다. 하지만 이러한 방법으로는 문제부위 확인만 가능할뿐 정확한 원인파악 과 대책수립 은 불가능하다고 할수 있습니다. 따라서 좀더 정밀한 검사방법 을 통해 현장상태 를 진단해야 하는데 이때 필요한것이 바로 열화상카메라 라고 할수 있습니다. 열화상카메라는 우리가 눈으로 볼수없는 물체의 표면온도 를 보여주는 장비 입니다. 쉽게 말해서 카메라 렌즈 로 촬영된 영상을 모니터 화면 으로 보면서 해당 지점의 온도분포 상태를 알수있는 장치 인데요. 기본원리는 이렇습니다. 카메라는 피사체로부터 방출되는 적외선 에너지를 감지하는데 이렇게 수집된 데이터를 이미지 형태로 변환시켜 표시합니다. 만약 정상적인 작동조건 이라면 디스플레이상 에 보여지는 모든 색상은 균일해야만

열화상 방사율 [내부링크]

열화상 점검시 열화상 방사율을 참고하세요... #방사율 #열화상

전기 설비 규모 점수 및 점검 횟수 [내부링크]

#설비 #안전 #전기 #점검 #점수 #횟수

자가용 정기검사 [내부링크]

# 필요서류 1. 정기검사 신청서 작성(16호 서식으로 변경됨 2022년) 2. 수용가의 사업자 등록증 - 수수료 세금계산서 때문 3. 전기 선임 필증 # 해야 될일 1. AISS 배터리 교체 2. 소방 전자식이면 차단후 정전 3. 승강기 업체 불러서 잡아야됨. 아니면 잡을 사람 필요함 4. 서버나 통신장비 있으면 미리 끄도록 해야됨 #검사 #자가용 #전기 #전기검사 #정기

AISS / ASS 배터리 [내부링크]

2개 3만원대입니다... 12v 4.5AH를 보통은 씁니다만 ASS 배터리 같은경우 길쭉한게 2.3AH를 씁니다. AH는 시간당 전류입니다.. #aiss #ass #배터리

전기안전관리 점검 내용 [내부링크]

1. 수변전설비, 분전반 열화 육안 점검 2.누전경보기 및 계기 작동 확인 3.부하전류 측정 및 전류 불평형률 점검 4.이상소음, 이음 누유, 변색 점검 5.전력콘덴서 외관 및 전류 점검 6.열화상 점검(과부하 및 단자조임 상태 확인)-보고서파일 7.절연저항(저,고)-누설전류 대체 점검 8.접지저항(저,고) 점검 9.저압 분전반 내부 청소 및 인화물질 제거 10.수변전실, 발전기실 내부 청소 11.차단기 트립시험, 제작연도 확인(15년) 12.전기기기(히터, 전기포트) 및 문어발식 멀티 콘센트 사용 자제 13.발전기 무부하 운전 및 점검(엔진오일, 필터, 히터, 냉각수, 배터리등) 14.장비이력카드 - 사진파일 15.책임분계점 알아두기 16.저압 단자 상태 점검 및 볼트 조임 17.차단기 2선 물림 점검 및 전선 굵기 점검 18.차단기 1차 2차 절연 점검 #관리 #내용 #안전 #전기 #점검

차단기 AT, AF [내부링크]

차단기 AT, AF 여러분들은 전기 관련 일을 하시나요? 그렇다면 현장에서 자주 접하는 물건중 하나가 바로 이것입니다. 여기서 잠깐 퀴즈 나갑니다. 그럼 이게 뭘까요? 정답은 바로 ‘차단기’입니다. 우리나라에서는 현재 220V 전압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과거 110V전압을 사용하던 때도 있었죠. 이때 쓰이던 기기나 설비등은 아직도 그대로 남아있기때문에 간혹 옛날 방식의 건물에서도 찾아볼수있습니다. 차단기는 교류전류(AC) 또는 직류전류(DC)를 과전류로부터 보호하기 위하여 설치된 장치로서 전류의 크기 및 방향을 변경시켜주는 기능을 합니다. 쉽게 말해서 가정용 콘센트에 연결된 가전제품 플러그를 꽂으면 각 기기에 맞는 전력량만큼 허용치 이상의 전류가 흐르게 되는데 이러한 상황을 방지하기위해 중간에 스위치역할을 하는것이 바로 차단기입니다. 따라서 고장시 해당 회로 전체 전원공급이 중단되므로 안전사고 예방차원에서 반드시 점검후 교체해야합니다. 참고로 일반가정집 기준으로 보통 메인차단

전기 안전 설비 점검 기준 정리 [내부링크]

#기준 #내용 #설비 #안전 #전기 #점검

정격차단전류 전기안전공사 [내부링크]

전기 용어중 하나인 정격차단전류란 단락사고 시 차단기가 동작하여 사고회로를 안전하게 차단할 수 있는 최소한의 전류값을 의미한다. 일반적으로 변압기나 전동기 보호용 과전류계전기 또는 퓨즈 용단특성 시험시에 적용된다. 본고에서는 정격차단전류 개념 및 필요성 그리고 정격차단전류 선정방법에 대하여 기술하고자 한다. 전력계통보호용 차단기 선정 시 고려해야 할 사항 중 하나인 정격차단전류에 대해 알아보자. 먼저 용어 정의부터 살펴보면 정격차단전류란 단락사고 발생 시 계통 보호를 목적으로 차단기가 동작할 수 있는 최대 전류값을 말한다. 일반적으로 표준정격전압/표준정격주파수 및 공칭단락용량 값을 이용하여 계산하며 고장전류 크기보다 충분히 큰 값이어야 한다. 한편 우리나라에서는 IEC 규격을 참고하여 국제규격화된 기준을 채택하고 있다. 전기기기에서는 과부하보호 및 단락보호를 위하여 규정된 전류값보다 큰 값의 정정치 차단전류를 적용하여서는 안된다. 즉 기기 내부 부품소자 또는 보호대상물체등으로부터 발

조명 밝기에 따른 설비 [내부링크]

주거 공간에서의 조명은 단순히 어둠을 밝히는 역할만 하는 것이 아니다. 적절한 조도 설정은 거주자의 눈 건강뿐만 아니라 정서 상태 및 작업 능률 향상에까지 영향을 미친다. 그렇다면 각 공간별로 적정 조도는 어떻게 될까? 또한 기존 형광등 대신 LED 조명을 설치했을 때 얼마나 더 밝은 빛을 낼 수 있을까? 그리고 마지막으로 이러한 변화가 우리 삶에 미치는 영향은 무엇일까? 우리나라 사람들은 대체로 집 안에서의 활동보다 집 밖에서의 활동을 더 선호하기 때문에 주거공간 자체로서의 의미보다는 주로 일터나 학교로의 이동수단으로서의 역할을 하는 경우가 많다. 하지만 미국에서는 반대로 주거공간으로서 주택의 중요성을 높게 평가하며 공간 구성에서도 효율성과 미적 가치를 동시에 추구하려는 경향이 강하다. 그렇다면 이러한 차이가 발생하는 원인은 무엇일까? 그것은 바로 문화적 배경 차이라고 할 수 있다. 한국문화권에서는 ‘개인’이라는 개념 보다는 ‘우리’라는 공동체 의식이 강한 반면 서양문화권에서는 개

한전 CT 용량 [내부링크]

우리나라 전력공급망 계통도 (출처:한국전력공사) 위 그림처럼 발전소에서 생산된 전기들은 송전선로를 통해 각 지역별로 공급된다. 이때 송전용량 초과나 고장전류 발생 시 차단기 동작 및 보호협조 목적으로 변압기에 설치되는 기기가 바로 CT다. 보통 2차측 전류 측정용으로 적용되며 사고전류 검출 후 신속히 차단기로 트립 신호를 전송하여 단락사고로부터 설비를 보호하는데 큰 역할을 한다. 일반적으로 주상변압기는 정격전압 3상 4선식 220/380V 를 기준으로 22.9kV 로 승압되어 배전용 변압기로 주로 사용되고 있으며 내구성 확보를 위해 절연유를 순환시켜 냉각시키는 방식을 채택하고 있다. 이러한 전압특성 외에도 부하율 변화에 따른 과도현상 특성 분석 또한 매우 중요하다. 따라서 현장에서는 PT 와 CT 의 조합으로 구성하거나 이를 하나의 장치로 통합한 비접지형 계기용 변성기를 이용하기도 한다. 본 기고에서는 한전 표준규격서 상의 CT 종류별 특징 과 선정방법 그리고 주요 설계 고려사항에

전선 굵기 , 차단기 용량 , 부하최대 [내부링크]

***공지사항에 KEC 전선굵기, 차단기 용량, 부하최대 글이 최신 버전이니 그 글을 참고 바랍니다.*** 전기 사용 용량에 따른 전선굵기와 차단기 선정 단상2선식과 3상4선식 @ 한전 규정에 따른용량과허용전류와 전선굵기와 차 단기 선정방법. 참고사항) 1. 단상 P1 =E*I*역률(kW)에서 I(부하전류)=P1/E *역 률(A) ( E:상전압) 삼상4선식 p3=3*p1*역률(kW) =3*E*I‘역률(kW)=3* v*I /루트3*역률(kW) (여기서 V=루트3*E이므로 E=V/루트3) 그러므로 루트3*\/*I ‘역률(kW)에서 역률을 1로 하면 I(부하전류)=P3/루트 3*V (V:선간전압)의 식을 적용함. 부하전류는 단상220V는 1 kW당 4.5A로 계산할 것.(1 000/220= 4.5) 3상4선식380/220V는 1 kW당 1.5A로 계산할 것. (10 00/380*루트3=1.5) 메인 차단기 (정격전류) 용량은 단상220V는 1 kW당 6A로 계산됨. 3상4선식380/22

태양광 각도별 효율 [내부링크]

그래프에서 X축은 방위각을 Y축은 경사각을 나타낸것이다. 서울지역의 분포 특성은 가장 우수한 발전량을 나타낸 설치조건은 방위각 0 남측을 기준으로 경사각 30이며, 방위각 –30에서 +30까지, 경사각 15에서 45까지의 범위에 상대적으로 높은 발전량 1,150kWh/kWp.year의 범위를 나타냈고, 이후 경사각과 방위각에 영역이 멀어질수록 낮은 발전량을 보였다. 방위각 +90와 –90를 초과할 경우 수평면을 제외한 모든 조건이 1,000kWh/kWp.year이하의 발전성능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냈고, 경사각 기준은 75를 넘어설 경우 1,000kWh/kWp.year 이하의 발전 수준을 보였다. 대전지역의 분포 특성은 서울지역과 대조적으로 넓은 범위의 높은 발전영역을 보인다. 설치 조건 중 가장 높은 발전량을 나타낸 조건은 방위각 0, 경사각 30이며, 방위각 –60에서 +60, 경사각 60에 범위에서 높은 발전 범위 약 1,200kWh/kWp.year 이상의 발전량을 나타냈고, 방

누설전류 [내부링크]

누설전류에 대해서 1mA라든지 최대전류의 1/2000 만 되면 된다는 다양한 의견이 있어 정리한다. KEC로 바뀌면서 누설전류는 저항성 누설전류 1mA이하로 명시되었다. 캐패시티 등 용량성을 제외하고 고조파도 제외하고 오로지 저항성 누설전류만 1mA이다. 저항성 누설전류만 측정할 수 있는 계측기가 따로 있다. 그것으로 해야한다. "전로"란 통상의 사용상태에서 전기가 통하고 있는 곳을 의미하므로 일반 사업장을 생각하면 되고 "전선로"란 발전소, 변전소, 개폐소, 이에 준하는 곳, 전기사용장소 상호간의 전선 및 이를 지지하거나 수용하는 시설물을 의미하므로 최대 사용 전류의 1/2000은 다른 개념이며 이것은 사업장에선 변압기 2종 접지선만 해당됨을 알아야 한다. 실제로 150만원에 형성된 Igr 활선저항계 위와 같은 계측기로 하는 것이 정확하다. 그러나 우리는 실제로 이렇게 할 수 없기에 우리가 가지고 있는 누설전류계로 측정하고 1mA가 넘을 경우 그 차단기는 차단하여 절연저항계로 재는

전선 정리 (KEC 변경) [내부링크]

내선규정에서 KEC로 바뀌면서 전선의 색이 변경되었다. 전선의 색이 바뀌었지만 끝에 테이핑으로 표시하기도 한다. 기 생산된 전선은 소진시까지 사용이 가능하다. 신규전선과 기존 전선 연결시 색상 구분 표시를 하여야 한다. 전선 종단에 색상이 반영구적으로 유지될 수 있는 도색, 밴드(충전부 보호용 튜브), 색테이프 등의 방법으로 표시해야한다. 3상 회로에서 분기되는 단상회로의 전선 색상은 분기전 색상과 동일한 색상으로 하여야 한다. 단산회로는 갈,흑,회색 중 어느하난의 것으로 하고 중선선 및 보호도체는 위에 표시된대로 해야 한다. **** #대전 #전기안전관리 010-2698-9944(문자로 부탁드립니다) #KEC #변경 #전선 #전선색

KEC 국내 적용 전선의 종류 [내부링크]

KEC 국내 적용 전선의 종류와 적용 전선의 종류는 나전선(나동선. ACSR등)과 절연전선(wire. cord. cable)이 있으며. 옥내 배선설비에서 절연전선에는 Wire(국내에서 절연전선이라 함)와 케이블이 적용된다. 1. 절연전선 국내에서 적용되고 있는 옥내배선용 절연전선으로는 KS C IEC 60227-3으로 제조된 450/750V 비닐절연전선과 내열전선으로 KS C 3341 표준에 의한 450/750 V 저독성 난연폴리올레핀절연전선(HFIX)이 있다. (1) 일반 배선용 : 450/750v 비닐절연전선 일부 현장에서 HIV라고 하나 이는 2007년 없어졌고 450/750V 비닐절연전선과 성능이 비슷하고 재질이 같아 구별할 수 없으나 HIV는 내열전선을 의미하므로 사용하지 않는 것이 타당하다. 옥내배선용으로 주택 등 내부의 전등·전열용과 일반 동력용으로만 적용 가능하며, 300/300V, 300/500V용은 조명등기구. 쇼케이스 등의 기기배선용(NRI)이다. (2) 내열 배

절연저항 KEC변경 [내부링크]

1. 저압전로의 절연저항 측정전압과 기준값 (검사기준) 2. 용어정의 : 특별저압(ELV, Extra Low Voltage) “인체에 위험을 초래하지 않을 정도의 저압”즉, 안전전압을 말하며 2차 전압이 교류 50 V, 직류 120 V 이하로서 아래 그림과 같은 시스템이다. (1) SELV(Safety Extra Low Voltage, 안전 특별저압) : 비접지회로에 해당된다. (2) PELV(Protective Extra Low Voltage, 보호 특별저압) : 접지회로에 해당. (3) FELV(Function Extra Low Voltage, 기능적 특별저압) : 단권변압기와 같은 단순 분리형 변압기에 의한다. 3. 선간을 쉽게 분리하기 어려운 기계기구의 측정 (1) 저압 전로의 전선 상호간의 절연저항은 선간을 쉽게 분리하기 어려운 기계기구가 있는 분기회로의 경우에는 기기 접속 전에 측정할 수 있도록 문구가 수정되었다. (2) 절연저항을 측정할 때 시험전압을 가하면 영향이나 손

절연물의 최고허용온도, 전압강하 [내부링크]

절연물의 최고허용온도 전선의 허용전류는 도체가 정상상태에서 도체의 온도가 절연물의 최고허용온도를 초과하지 않는 범위 이내에서 도체에 연속적으로 흘릴 수 있는 최대전류이다. 즉, 전선에 전류가 흐르면 Joule열(H= 0.24Ⅰ²R t )이 발생한다. 그 전류를 연속적으로 흘리거나 증가하여 발생한 발생열과 방산열의 차에 의한 온도상승 으로 절연물의 최고허용온도 이상이면 전선의 절연피복이 열화, 손상되어 지락 및 단락사고로 파급될수 있다. 이 때문에 전선의 종류, 배선공사 방법 및 주위온도에 따라 각각 안전하다고 간주되는 전류의 크기를 규정하고 있는데 이 안전전류가 허용전류이다. 절연물의 종류 전선 종류 허용온도() PVC 450/750 비닐절연전선, VV Cable 70 XLPE, EPR HFIX, EPR, F-CV, FR-8 Cable 90 무기물(접촉우려 있음) MI Cable 70 무기물(접촉우려 없음) MI Cable 105 [표 1] 절연 형태별 최고사용온도 2. 전압강하 허

KEC 전선굵기 허용전류 차단기용량 [내부링크]

* 현장의 허용전류 적용 방법 (1) 저압 배선설비용 절연전선 및 케이블의 최고허용온도 적용 ① 70 (일반전선) 적용 450/750V 비닐절연전선(NR), 450/750V 고무절연전선 ② 90 (내열전선) 적용 가. 450/750V 저독성 난연폴리올레핀절연전선(HFIX):XLPO 절연체 나. 0.6/1 kV 난연성 CV케이블(F-CV, FR-CV, TFR-CV):XLPE 절연체 다. 클로로프렌 캡타이어케이블(PNCT) : 에틸렌프로필렌고무(EPR) 절연체 라. 내화케이블(FR-8) : 무기물인 유리섬유편조에 XLPE 절연체로 이에 해당됨. * 시설상태별 공사방법의 선정 - 허용전류를 구하기 위한 공사방법 ① A2 ≤ A1 ≤ B2 ≤ B1 ≤ C ≤ D1 ≤ D2 ≤ E ≤ F ≤ G 크기의 허용전류 적용을표기하고 있으며, 전선(도체)의 같은 단면적에서 열을 가장 많이 축적하는 A의 허용전류가 가장 적으며, 순서대로 기중 노출 가공전선인 G가 가장 큼을 알 수 있다. ② 전선관 및

kec 적외선 열화상 측정 [내부링크]

#kec #적외선# 열화상 #측정의 이해 적외선 열화상을 측정하는 목적은 활선 상태에서 전력 설비의 사고 원인이 되는 발열부 이상 온도를 조기에 발견하여 대처하기 위함입니다 절연 불량, 접속 불량, 과부하에 의한 #발열 여부를 확인하고 기기 내부의 이상 상태나 기기 전체의 열화상 또는 은폐 기기의 국부 발열을 확인하여 조치할 수 있습니다 열화상 카메라의 종류는 온도 검출 범위, 사용 목적, 센서 종류 등에 따라 다양하게 분류될 수 있습니다 전자기파는 감마선, X선, 자외선, 가시광선, 적외선, 마이크로파, 라디오파가 있습니다 적외선은 가시광선보다 파장이 길고 마이크로 웨이브보다 짧은 대역의 전자파를 의미하며 절대온도 섭씨 영하 273도씨 이상의 온도를 가지는 모든 물체는 적외선 영역의 광선을 방출합니다 열화상 카메라는 근적외선, 중간적외선, 원적외선 중에서 중간적외선을 검출하는 방식입니다 열화상 카메라의 측정 원리는 비접촉식으로 대상 물체의 온도 분포를 보여주는 장비로써 물체의 표면

발전기의 점검(kec) [내부링크]

1. 발전기 점검의 이해 발전기를 점검하는 목적은 소방관련 부하설비, 비상엘리베이터, 비상조명 설비 등 비교적 큰 용량의 전력 부하 설비에 대한 최소한의 보안 전력을 확보하고 상용 전원의 정전 시 예비 전원을 공급하기 위함입니다 발전기를 연료 종류에 따라 분류하면 디젤 발전기, 가솔린 발전기,가스터빈 발전기, 스팀터빈 발전기가 있는데요 이 중에서 디젤 발전기의 점검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발전기 점검 시 주의사항은 다음과 같습니다 축전지 근처에서의 화기 사용 시 폭발 사고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사용을 절대 금해야 합니다 그리고 연료탱크에 연료를 주입 시 엔진을 정지한 다음 주입해야 하며, 냉각수 캡이나 밸브를 열 때는 폭발 위험이 있으니 엔진 가동 전 냉각수를 점검하시기 바랍니다 또한 엔진 동작 중에 축전지 터미널을 탈과하면 내부 PCB 고장의 원인이 될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합니다 2 발전기 점검 방법 엔진과 발전기의 기본사항 점검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먼저 엔진입니

고압 전기 설비의 점검 방법(KEC) [내부링크]

#고압 #전기 #설비 의 #점검 #방법 #KEC **특고압 전기설비의 절연저항 측정 특고압 전기설비의 절연저항을 측정하는 목적은 절연저항 점검 결과를 토대로 기계의 건전성을 확인하고 전기기기의 열화 예측 및 절연저항 저하에 따른 대책을 수립하고 안전을 확보하기 위함입니다 특고압 절연저항은 전기기기의 소손 및 정전사고를 방지하는 데 그 의미가 있습니다 절연저항의 사용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먼저 반드시 정전 후 절연저항을 측정합니다 중성선을 포함한 모든 선을 전원 측에서 분리하고, 측정 대상 전기기기의 접지선을 이용하여 측정합니다 절연저항계의 흑색 리드선을 접지단자 또는 큐비클 등 접지된 금속체에 연결하고, 적색 리드선을 측정 전류에 접촉하여 측정합니다 측정 후 방전을 실시합니다 절연저항계를 사용할 경우 다음에 주의해야 합니다 특고압 설비 측정 시에는 안전장구를 착용해야 합니다 활선 여부 확인을 위한 검전을 실시하고, 잔류 전화를 방전합니다 측정 시에는 가압된 측정기 충전 전압에 감전되

비상발전기 설치 기준 [내부링크]

비상 발전기실 설치 대상 기준 요약 1. 발전기실 설치에 대한 규정은 소방시설법에서 하고 있음 2. 기준은 옥내소화전설비가 비상 시 20분 이상 유효하게 지속되어야 함 3. 발전기실 설치 대상 a) 층수가 7층 이상으로서 연면적이 2,000 이상인 것 b) 특정소방대상물로서 지하층의 바닥면적의 합계가 3.000제곱미터 이상인 것 4. 발전기실 설치 제외 대상 a) 가압수조방식으로서 모든 기능이 20분 이상 유효하게 지속될 수 있는 경우 b) 둘 이상의 변전소에서 전력을 동시에 공급받을 수 있는 경우 c) 하나의 변전소로부터 전력의 공급이 중단되는 때에는 자동으로 다른 변전소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도록 상용전원을 설치한 경우 5. 발전기실 설치 기준 a) 점검에 편리하고 화재 또는 침수 등의 재해로 인한 피해를 받을 우려가 없는 곳에 설치할 것 b) 옥내소화전설비를 유효하게 20분 이상 작동할 수 있어야 할 것 c) 상용전원으로부터 전력의 공급이 중단된 때에는 자동으로 비상전원으

전기설비 안전관리 대행 업무 2024년까지 민간 이양 [내부링크]

전기안전공사가 수행하고 있는 전기안전관리 대행 업무의 민간 이양 작업이 당초 계획보다 5년 앞당겨진 2024년 완료된다. 또 전기안전 분야 교육이 이론 위주에서 실무 중심으로 개편되고 교육비용은 절반 이하로 줄어들 전망이다. 전기설비를 공사하거나 운용하려면 전기안전관리자를 직접 고용해야 하나 1000kW 미만의 소규모 전기설비는 전기안전관리법 제22조에 의해 대행이 허용돼 그동안 준정부기관인 전기안전공사가 해당 업무를 맡아왔다. 그러나 산업계에서는 사용전·정기검사 등의 공적 업무를 수행하는 전기안전공사가 안전관리대행 사업을 병행함으로써 민간 전기안전관리 대행업체들과 경쟁 구도가 심화되고 있다며, 공공성 강화 및 민간사업 활성화를 위해 민간 몫을 확대해줄 것을 요구해왔다. 이에 산업부는 지난해 4월 전기안전관리법 시행에 맞춰 전기안전공사의 안전관리 대행 업무를 2029년까지 8년 간 단계적으로 민간에 이양하기로 결정했으며, 올 초에는 이 계획보다 3년 빠른 5년으로 단축하는 방안을 검

콘덴서 교체 및 보상 표, 내용 [내부링크]

지상과 진상 역률에 대하여. 1. 진상이란 -교류 전기에서 용량성부하(콘덴서 용량이 포함된 부하)에 의해 공급 전압 위상에 비해 소비전류 위상이 앞서는 상태를 말하는 것입니다. 進上역률 : 전압보다 전류가 앞서가는경우다.즉,전압파형보다 전류파 형이 앞서는경우. : 좀더구체적으로풀이하면 요량성(용량성부하)기기들을 많 이사용할경우 나 condenser를 과대하게 설치 사용할때 전압보다 빠른전류가 유입 실제 사용하지않는 불필요한 전류가 더 유입되는것. : 교류에서 용량성부하(콘덴서용량이포함된부하)에의해 공 급전압위상에비해 소비전류 위상이 앞서는것을 말한다 2. 지상이란. 교류 전기에서 유도성 부하(코일성분의 인덕터 용량이 포함된 부하)에 의해 공급 전압 위상에 비해 소비전류 위상이 뒤지는 상태를 말하는 것입니다. 遲相역률 : 전압보다 전류가 뒤처지(늦은)는 경우다, 즉,전압파형보 다 전류파형이 늦은경우. : 좀더구체적으로 풀이하면 유도성(유도성부하)기기들을 많 이 사용할경우 전압보다 늦은

콘덴서 설치 [내부링크]

지난 시간 콘덴서는 수전용량의 1~500kw는 5%비율 ~1000kw는 4% 비율의 kvar로 설치한다 하였습니다. 위에 사진은 950kw수전용량의 수용가 입니다. 950kw x 4% = 38kvar이 나오기에 위와같이 10kvar 4개를 설치하였습니다. 차단기는 10kvar 각각이 위에 콘덴서에 보면 써있듯이 15A정도 되기 때문에 2배인 차단기 30A를 쓰면 됩니다. 전선은 위에것은 cv선이 아닌데 cv선 16SQ로 하면 72A정도까지는 감당이 되니 충분하겠다. cv선 6SQ이상으로 하면 된다. 차단기가 MC가 녹기 전에 먼저 떨어져야 되니 MC가 용량이 더 커야한다. 여기서는 차단기가 30A인데 50A MC를 사용하였다. 그외는 벽에 잘 고정한뒤 사용하면 된다. MC 전원공급에 타이머를 설치하여 9~23시까지 작동되도록 하면 되겠다. 또는 자동 역률 장치를 설치하는 것도 방법이다. #대전 #설치 #전기안전관리 #전력 #전력콘덴서 #콘덴서

터미널 사이즈 [내부링크]

전선규격은 "wire range의 "를 보면 되고 볼트사이즈는 "stud size의 직경mm를 보면된다. B 부분도 봐야 차단기 접속단자안에 들어갈수 있는지 확인이 가능하다. Part Number Wire Range Stud Size (mm) Dimensions(mm) AWG B L E d t JOT 1.0-3.5 26 ~ 22 0.75 1.0 3.5 6.1 13.7 4.0 1.7 0.65 JOT 1.0-4 4 JOT 1.5-33 20 ~ 16 1.5 3 5.4 11.3 5.0 2.0 0.65 JOT 1.5-M3 3 5.8 14.0 JOT 1.5-44 4 6.1 13.8 JOT 1.5-M4 4 5.8 14.8 JOT 1.5-54 5 8.0 15.8 JOT 1.5-6 6 11.4 20.8 JOT 1.5-8 8 11.4 21.2 JOT 1.5-10 10 14.0 22.5 JOT 1.5-12 12 17.0 26.0 JOT 2.5-M3 16 ~ 14 2.5 3 6.0 16.0 5.0 2.

대전 전기안전관리대행 전기 선임 점수 및 점검 횟수 그리고 2023년 수수료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대전 전기안전관리 대행업체 한국전기관리(주) 남차장입니다. 전기안전관리 대행에 대한 선임점수와 점검횟수 그리고 2023년 전기안전공사 기준 수수료 안내해드립니다. 대행업체 기준으로 표를 작성해 보았습니다... 제가 아래에 나오는 여러표를 기준으로 일목요연하게 정리하였습니다...^^ 개인 60점이고 회사에 다른 분의 점수가 60점이 안차있는 분이 있을경우 그 점수를 가져다가 최대 78점까지 점검할 수 있습니다... "전기안전관리자선임" 은 전기설비의 공사,유지 및 운용에 관한 안전을 확보하기 위히여 전기사업자 및 자가용전기설비의 소유자 또는 점유자에게 전기안전관리자를 선임하여 전기설비의 안전관리업무를 수행토록 하는 제도 입니다. ※ 전기안전관리를 선임하지 아니한자 : 500만원 이하의 벌금(전기안전관리법 제22조 제1항) "전기안전관리대행" 은 자가용전기설비의 소유자 또는 점유자는 전기안전관리자를 선임하여야 하나 일정규모 이하(75kW이상 4500kW미만)는 전기안전관리 업

매입등 [내부링크]

확산형 아크릴 타입 빛이 넓게 퍼져 조도를 확보하기 위해 쓰이며 주방, 복도등 에 쓰이고 불빛 형태는 수평에 가깝습니다. 렌즈형 집중 타입 스포트라이트로 한곳에 빛이 집중되며 인테리어적으로 분위기를 낼때 사용합니다. 티비위나 소파위나 안경매장이나 의류매장에서 사용합니다. COB 타입 고출력 집중형 조명입니다. 확산형은 수평으로 집중형은 수직으로 불빛이 내려옵니다. COB는 약 45~50도로 퍼지는 부채꼴 모양이 특징입니다. 간접조명으로 가장 인기가 있습니다. 매입등은 보통 3인치 4인치 6인치를 가장 많이 쓴다. 1인치는 약 2.54cm 또는 25.4mm이기 때문에 3인치는 76.2로 대략 75mm로 타공하며 4인치는 101.6로 대략 100mm로 타공하고 6인치는 152.4로 대략 150mm로 타공하면 됩니다. 불빛 색상은 주광색, 주백색, 전구색 이 있습니다. #Cob #매입등 cob #매입등 밝기 #매입등밝기 #매입등종류 #매입등타공 #전구색 #조명색 #주광색 #주백색

멀티탭 완벽 정리~! 화재주의! [내부링크]

멀티탭 완벽 정리~! 화재주의! 매년 전기로 인한 화재는 9천여건이나 됩니다. 그중 멀티탭 화재가 상당히 많아요. 멀티탭을 살펴보면 정격 용량이 쓰여 있어요 16A x 250V = 4000w 두 수치를 곱한게 최대 허용 전력입니다 최대 전력이 4000w 이상인 제품을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안전을 위해 허용량의 80% 정도 사용을 권장하기 때문에 대략 3200 와트를 사용할 수 있다고 보면 돼요 고용량 멀티탭에는 대부분 차단 기능이 들어있는데요 배선 차단과 누전 차단으로 나뉩니다 배선 차단은 제품의 허용 전류 이상이 들어오면 차단되는 기능이고 누전 차단은 전기가 누설되면 차단되는 기능이거든요 사용자의 안전을 위해 누전 차단기가 있는 제품을 추천드립니다 전선이 굵을수록 저항이 적어서 전력 손실이 덜납니다 국내에서 판매되는 제품은 KC 인증을 받아야 하는데 가정용은 1.5스퀘어가 적정 규격이에요 고용량 멀티탭이 아니어도 요즘은 대부분 1.5SQ입니다 그러나 가능하다면 2.5SQ가 가장

전선의 외경 - 전선 굵기 모를때 [내부링크]

우리가 점검을 하거나 할때 이미 설치되어 있고 케이블 타이로 단단히 묶여 있어 전선의 외피에 몇 SQ인지 보이지 않을 때가 있다. 그럴때 이 전선의 굵기 가 도대체 몇SQ인지 알고 싶을 때가 있다. 우리가 많이 쓰는 전선인 CV전선과 HFIX 그리고 소방에서 쓰이는 FR-8이다. 다음은 F-GV 전선 즉, 접지선이다. 지름이나 완성품 외경으로 봐야한다. KIV 전선도 참고 바란다. 알리익스프레스나 쿠팡 등에서 캘리퍼스를 구입하여 외경을 재면 된다. 전선의 완성품 외경을 저기 사이에 놓고 지름을 재면 된다. 그러면 몇 mm인지 나오고 2~3번 재서 가장 가까운 값이 그 전선의 SQ가 될것이다. #전선굵기 #전선완성품외경 #전선외경 #전선지름 #전선커넥터 #캘리퍼

배터리 용량 Ah mAh [내부링크]

'mAh’는 ‘milli Ampere hour’의 줄임말로 ‘밀리암페어시’라고 읽습니다. 여기서 m(milli)는 1/1000을 뜻하므로 1,000mAh는 1Ah(암페어시)와 같은데요. 1Ah는 1A(암페어)의 전류가 1시간 동안 흘렀을 때의 전기량을 뜻합니다. Ah는 A(암페어) 즉, 전류가 아닙니다. 용량은 배터리에 전기에너지를 얼마만큼 저장할 수 있는지를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1A의 전류를 2시간 흘릴수 있다면 용량은 2Ah가 됩니다. 똑같이 배터리 2Ah 가 있다면 1시간동안 2A의 전류를 흘릴수 있다는 의미입니다. 200w 드릴이 있는데 18v배터리라면 P(전력)=I(전류) x V(전압) 이기 때문에 200 = 18 x 전류 이므로 전류는 11.1111A가 되겠습니다. 이것은 이 드릴을 최고의 힘으로 돌렸을때 전력,전류입니다. 1시간동안 2A를 흘릴 수 있기에 11A는 2 / 11 = 0.181818 이므로 60 x 0.181818하면 대략 11분 정도 쓸 수 있는 것입니다

저압 배전반 볼트 규격 [내부링크]

저압 배전반의 볼트는 M6, 8, 10, 12를 주로 사용한다. M6의 경우 소켓 렌치에 10mm이라고 적힌 소켓에 꽂아서 사용할 수 있다. 볼트를 주문할 때, M10이라고 주문을 하시고 머리가 10mm를 간혹 착각해서 주문하는 경우가 있으니 주의하도록 해야 한다. 볼트 사이즈를 잘못 알아서 업무 중 곤란한 일을 겪을 수 있다. 볼트 규격 표(볼트 머리의 지름) M3 = 5.5mm M4 = 7mm M5 = 8mm M6 = 10mm M8 = 13mm M10 = 17mm M12 = 19mm M16 = 24mm M20 = 30mm M24 = 36mm 볼트 규격 표(볼트 나사선의 지름) M3 = 3mm M4 = 4mm M5 = 5mm M6 = 6mm M8 = 8mm M10 = 10mm M12 = 12mm M16 = 16mm M20 = 20mm M24 = 24mm 볼트 머리지름은 스패너 나 드릴 소켓을 위해 알아야 되고 볼트 나사선지름은 터미널을 꽂을 때 필요하니 잘 참고하기 바란다. 터미널

직렬 병렬 쉽게 알기 (콘덴서 연결 포함) [내부링크]

R2와 R3는 직렬이다. R4와 R5는 병렬이다. 이렇게 보면 참 쉽다 그러나 실제로 연결하려면 어렵다. 콘덴서에서 이렇게 첫번때 처럼 연결하면 각각 연결하는 것이기에 병렬이 되며 두번째 사진처럼 연속해서 연결하면 직렬이 되는 것이다. 위에 연결을 보자 콘덴서는 병렬로 연결해야 역률개선 효과를 볼수 있다. 오른쪽 위에 차단기가 메인이며 분기로 왼쪽에 두개의 콘덴서에 각각 연결된 두개의 분기 차단기가 있다. 1차에 메인 차단기에서 점프 점프해서 두개의 분기 차단기 1차에 연결시켰다. 이런식으로 하면 병렬로 2개의 콘덴서를 부착할 수 있다. 물론 이런식으로 해서 위에 4개의 차단기와 마그네트가 각각 10KVAR 콘덴서에 물려있다. 이런식으로 차단기 여유가 된다면 이렇게 해도 무난하겠다. #대전 #마그네트 #병렬 #병렬콘덴서 #쉽게 #직렬 #직병렬 #콘덴서

저압 배전반 볼트 규격 [내부링크]

저압 배전반의 볼트는 M6, 8, 10, 12를 주로 사용한다. M6의 경우 소켓 렌치에 10mm이라고 적힌 소켓에 꽂아서 사용할 수 있다. 볼트를 주문할 때, M10이라고 주문을 하시고 머리가 10mm를 간혹 착각해서 주문하는 경우가 있으니 주의하도록 해야 한다. 볼트 사이즈를 잘못 알아서 업무 중 곤란한 일을 겪을 수 있다. 볼트 규격 표(볼트 머리의 지름) M3 = 5.5mm M4 = 7mm M5 = 8mm M6 = 10mm M8 = 13mm M10 = 17mm M12 = 19mm M16 = 24mm M20 = 30mm M24 = 36mm 볼트 규격 표(볼트 나사선의 지름) M3 = 3mm M4 = 4mm M5 = 5mm M6 = 6mm M8 = 8mm M10 = 10mm M12 = 12mm M16 = 16mm M20 = 20mm M24 = 24mm 볼트 머리지름은 스패너 나 드릴 소켓을 위해 알아야 되고 볼트 나사선지름은 터미널을 꽂을 때 필요하니 잘 참고하기 바란다. 터미널

콘덴서 설치함(변압기 SC) [내부링크]

이 업체는 역률이 진상이 100% 지상인 85%나오는 업체에요 9시부터 23시까지는 지상을 보며 이후로는 진상으로 보통 보는데요 그냥 타이머없이 콘덴서를 설치하면 24시간 역률을 보상하기 때문에 낮에는 보상이 되었다가 밤에는 너무 보상이 되어서 진상이 안좋게 나왔습니다. 그래서 타이머를 마그네틱과 함께 설치하여 낮에만 역률 보상하도록 설치 하였습니다. 먼저 이렇게 콘덴서가 38A이기에 차단기는 60A로 마그네틱(G-MC)은 65A로 설치하였습니다. 그에 맞게 전선은 F-CV 16SQ로 조금 넉넉하게 준비하였습니다. 터미널은 16-8이 가장 좋은거 같습니다 물론 앞에 16은 전선 sq입니다. 전선따라 바뀌면 됩니다. 저는 동관 터미널로 했는데 한단계 낮은거로 하는게 좋은거 같다는 생각이 듭니다. 전선이 16sq이면 10-8터미널로~ 제 생각입니다. 뒤에 8은 배선용 차단기든지 마그네틱이든지 나사가 사이즈가 다른데 8로하면 둘다 다 맞습니다. 전선 선정 등 위와 같은 선정이유는 저의 다

파워퓨즈(PF) 비한류형 교체 [내부링크]

오랜만에 글을 올립니다. 오늘은 제가 관리하는 수용가 975kw인데 변압기 2대로 운영중입니다. 900kw한개와 75kw한개가 운영됩니다. 까마귀가 앉아서 파워퓨즈가 떨어졌습니다. 물론 까마귀는 통채로 구워졌습니다. 다리가 감전이 되어서 22,900v에 감전이 되니 아주 다리 뼈만 남아있습니다. 살점은 아예 없어졌어요 아우 징그러워라... 위와같이 T상의 퓨즈가 떨어져버렸습니다. 비한류형입니다. 떨어진부분 끝에 자세히보시면 핀이 튀어나와있습니다. 핀이 튀어나오면서 파워퓨즈가 이탈이 되고 저렇게 떨어지는 것입니다. 한국전기안전써비스 앱을 통해서 수변전 계산을 해보면 975kw일때 정격전류 1차 24.58A , 2차 1481.36A PF 한류형 65A, 비한류형 40A MOF 전류비 30/5A ASS 상 49A, 지락 24.6A 변압기 SC용량 39KVA 로 나옵니다. 근데 왜 50A로 되어있을까? 65A가 맞을 수 있으나 다른데도 보니 정격전류1차의 2배 정도로 하고, 한류형과 비한류

비상발전기 대략 유류 용량 크기 [내부링크]

대략 비상발전기 용량별 연료탱크 크기를 보면 된다 게이지만 보고서는 얼마나 넣어야될찌 알지를 못한다. 발전기가 다 다르기 때문에 발전기별로 다 넣을수는 없지만 대략 위 표를.가지고 어느정도인지 가늠해서 넣으면 될것이다 #발전기연료 #비상발전기 #연료 #연료탱크

03353e07431b4fe4ba335531fa39b236 [내부링크]

03353e07431b4fe4ba335531fa39b23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