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ec237의 등록된 링크

 eec237로 등록된 티스토리 포스트 수는 31건입니다.

커패시터 (Capacitor)의 동작 특성 이해하기 [내부링크]

커패시터 (Capacitor)는 어쩌면 이해하기 어려운 장치가 아닌가 생각됩니다. 실제로 플랜트 현장에서 커패시터 뱅크를 많이 설치하기도 했고 설계시에도 많이 검토했지만 그 동작 특성에 대해서 진지하게 생각해 본 적은 없는 것 같습니다. 전기 카페에서 여러 사람들이 커패시터에 대하여 질문하는 것을 보고 또 그 분들이 궁금해 하는 것을 보면서 저도 궁금해 졌습니다. 그래서 이번 포스팅에서 커패시터의 동작 원리에 대하여 자세히 알아보려고 합니다. 1. AC 회로에서 커패시터는 어떻게 작동합니까? 커패시터는 인가된 전압 값까지 충전되어 마치 임시 저장 장치처럼 작용하며 직류 연결 시에는 공급 전압이 존재하는 한 이 전하를 무한히 유지합니다. 커패시터에서는 전압의 변화를 방해하는 방향으로 충전 전류가 흐..

저압 접지 시스템의 기초 이해 [내부링크]

저압 접지 시스템에 대한 기초의 이해는 중요합니다. 3가지의 주요 시스템에 대해서 설명하고 실제 현장에서 발견되는 문제에 대하여 다루어 보도록 하겠습니다. IT시스템, TT시스템, TN시스템 3가지와 여기서 변형된 시스템도 알아보겠습니다. 외국 자료와 국내 자료를 함께 비교해보는 것으로 실제 설계에 적용하는데 도움이 될것으로 생각됩니다. 아래의 내용은 먼저 슈나이더사의 자료인 Industrial network design guide 중의 "Earthing Systems"에서 번역한 자료를 보여주고 그 중에 KS C IEC 60364-1의 그림을 참조로 올렸습니다. 그 후에는 KEC의 자료를 설명하고 있습니다. 일부 내용에 대하여 추가적인 설명은 다른 색으로 표시하였습니다. 참조 바랍니다. ..

규격별 변류기의 정격 (Rating of CT - Current Transformer) [내부링크]

변류기 즉 CT는 전기 시스템에서 없어서는 안되는 매우 중요한 요소입니다. 전류를 측정하고 기기를 보호하는 계전기를 동작시키는 중요한 측정 도구입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이 CT의 정격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국내에서 일반적으로 적용하고 있는 IEC 규격을 상세히 알아보고 또한 요즘 미국으로 많이 진출하는데 이를 위해서 NEMA/IEEE규격도 확인해 보겠습니다. 1. IEC의 CT 정격 1) CT 1차 정격 전류 CT의 1차 전류 정격은 측정하려는 예상 최대 전류보다 커야 합니다. 계측용 CT의 1차 정격 전류는 최대 전류의 1.5배를 초과하면 안 됩니다. 보호계전용의 CT 1차 정격 전류는 고장전류가 흐를 동안 보호 검출 값을 얻을 수 있는 값으로 선정되어야 합니다. 1차 정격 전류 값은 IE..

50HZ 전동기를 60HZ 전원에서 사용할 수 있을까요? [내부링크]

전기 박사 카페에 올라온 질문중에 유럽에서 수입한 냉동기인데 사양이 50HZ 380V, 60HZ 440V로 되어 있는데 본인은 380V 전원만 가지고 있어서 어떻게 해야하는지를 질문한 내용을 보고 이 주제를 한번 검토해 보아야겠다고 생각했습니다. 50HZ 전동기를 60HZ 전원에 사용하면 어떻게 될까요? 또 그 반대의 경우는 어떤 현상이 발생할까요? 궁금한 내용이 아닐 수 없습니다. 이 포스팅에서 검토해 보겠습니다. 1. 50Hz와 60Hz의 차이점 50Hz 와 60Hz 의 주요 차이점은 60Hz가 주파수가 20% 높다는 것입니다. 발전기 또는 유도 전동기 펌프의 경우 1500/3000 RPM 또는 1800/3600 RPM (60Hz 용)을 의미합니다. 주파수가 낮을수록 철손실과 와류 손실이 낮아집니다...

접지 도체의 사이즈 정리 [내부링크]

접지 도체라고 통칭해서 이야기하지만 그 구성은 여러가지 용어가 혼재해 있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접지 도체에는 어떠한 구분이 있으며 각각의 명칭은 무엇이고 그 도체의 사이즈는 얼마로 해야 하는지에 대해서 정리해 보려고 합니다. 물론 이 포스팅에서 모든 것을 간단 명료하게 설명할 수는 없습니다. 각각의 현장마다 실제 적용을 위해서는 엔지니어가 면밀히 검토하고 계산해야 하는 부분이 있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최대한 직관적으로 이해할 수 있도록 설명하겠습니다. 네이버 카페 등에서 접지 도체의 사이즈에 대하여 질문하는 케이스가 많습니다. KEC 규정의 적용과 IEC로의 변환 등이 이러한 혼선을 더 크게 하는 것 같습니다. 복잡한 플랜트 등에서는 절차에 맞춰서 접지 설계를 하면 접지선의 굵기를 다 검토하게 되지만..

전기 기자재 (ELectrical Equipments) 선정 기준 [내부링크]

전기 기자재의 선정 기준 - Selection guide of electrical equipments 에 대하여 생각해 보겠습니다. 전기 기자재 - TRANSFORMER, SWGR, GIS, MCC, VSD etc. -를 선정할 때의 기준점에 대한 이야기입니다. 회사에서 업무할 때는 당연한 이야기이기 때문에 기계적으로 적용하지만 가끔 이것을 놓치는 경우가 발생하기도 합니다. 누구나 한 번쯤은 이런 기준을 한 번 더 생각하고 내가 적정한 기기를 선정하고 있는지에 대하여 검토할 필요가 있습니다. 1. 첫 번째 기준은 전압입니다. 여기서 중요한 포인트는 저압은 1000V 이하라는 것입니다. KEC 기준 적용으로 예전의 600V 이하에서 변경되었습니다. 그리고 400V 급 전압에는 여러 전압이 있다는 것 아..

재가속 (Reacceleration)과 재기동 (Re-starting)에 대하여 [내부링크]

플랜트 전기 설계를 하게 되면 반드시 나오는 것 중의 하나가 Reacceleration (재가속) 개념과 Restarting (재기동) 개념입니다. 가끔씩 혼동되기도 하지만 플랜트 전기 엔지니어는 잘 이해하고 적용할 필요가 있습니다. 조금 깊이 들어가면 여러 어려운 개념들도 나오긴 하지만 개략적으로만 파악해 두어도 많은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합니다. 개요 재가속 (Reacceleration)은 시스템 전압 이벤트(순간전압강하, 정전, BUS 전환 등)로 인해 발생하는 예기치 않은 전동기의 속도 저하 후 전동기를 자동으로 재가속하는 개념입니다. 재가속 플랜은 전원 상실의 신속한 감지와 복전 그리고 허용 가능한 전동기의 과도 토크 한계의 감시 및 전동기 전자접촉기의 자동 재폐로를 통해 공정 중단을 최소화..

지락 과전류 계전기 (50/51N, 50/51G) 의 설치와 결선 및 정정 방법 [내부링크]

이번 포스팅에서는 지락 과전류 계전기 (OCGR)에 대하여 다루어 보겠습니다. 지락 과전류 계전기도 일반 과전류 계전기 만큼이나 자주 사용되고 있지만 실제 적용은 과전류 계전기 보다 어렵습니다. 세팅도 단순하지 않아서 명확한 규정이 없기도 합니다. 따라서 이번 포스팅에서는 그러한 여러 문제들을 좀 디테일하게 살펴 보도록 하겠습니다. 지락 과전류 계전기의 동작 특성은 과전류 계전기와 동일합니다. 이 포스팅에서는 지락 과전류 계전기의 설치 위치, 결선 방법 그리고 정정 (Setting) 방법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먼저 N과 G는 어떻게 다른지 확인해 보고 시작하겠습니다. ANSI 50N/51N: residual current calculated or measured by 3 phase current ..

과전류 계전기 (50/51)의 적용 및 정정 방법 [내부링크]

과전류 계전기 (OCR)는 보호 계전 시스템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만큼 가장 중요한 계전기라고 볼 수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가장 잘 이해하고 적용할 수 있어야 하는 계전기입니다. 한시(51)와 순시(50)로 크게 나뉘지만 하나의 계전기 안에 다 포함되어 있는 기능들입니다. 이 포스팅에서는 이 과전류 계전기의 설치 방법과 설치 위치 그리고 그 특성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1. 과전류 계전기 설치 방법 및 설치 위치 과전류 계전기는 아래 그림과 같이 CT의 2차 측에 설치하며 각 상마다 설치하고 필요시 중성선에 지락과전류 계전기를 설치합니다. 아래 그림에서 TOC는 한시, IOC는 순시 특성을 나타냅니다. 과전류 계전기의 설치 위치는 다음 그림에서 E, D, C, B에 모두 설치됩니다. 전력 시스템..

고압 전동기 고장 보호의 기초 (차동 과전류와 지락) [내부링크]

고압 전동기의 보호 시스템 중에서 중요하게 고려되는 비율차동 계전방식과 지락 보호에 대하여 중요한 자료가 있어서 포스팅을 올립니다. EEP의 원본 자료를 번역한 자료입니다. 여러가지의 비율차동계전방식을 설명하고 있으며 지락보호에 대하여도 상세한 설명이 되어있어 도움이 되는 자료입니다. 본 포스팅은 아래의 EEP 자료를 번역한 것입니다. 원 자료는 아래 링크를 참조 바랍니다. https://electrical-engineering-portal.com/medium-voltage-motor-fault-protection 고압 전동기의 보호에 대한 전반적인 내용을 다루고 있습니다. 그중에서 먼저 Differential protection (차동 계전기 보호)와 Ground overcurrent protect..

각 규격의 접촉 전압과 보폭 전압에 대한 이해 [내부링크]

이 포스팅은 접지 설계시 기준이 되는 접지 저항값에 대하여 자료를 조사하다가 KEC 기준과 연관된 IEC 60497의 내용이 실제 설계를 수행하는데 부족한 부분이 보여 자료를 찾았는데 이 자료는 약 10여년 전의 자료이지만 중요하고도 실제적인 내용을 포함하고 있어서 영문 자료를 한글로 번영하여 올립니다. KEC에서 요구하는 인체감전보호를 위한 계산을 하는데 도움이 되는 자료입니다. 번역은 Bing의 도움을 받았으며 이상한 부분만 수정했습니다. 끝에 자료의 링크를 첨부했으니 영어로 보실 분은 직접 방문하시면 됩니다. 함께 공부하시죠. 이 문서는 IEEE 및 IEC 표준에 따른 안전한 접촉 및 보폭 전압 한계 (안전 기준)를 계산하는 공식을 제시하고 그 결과를 비교하려고 합니다. I. 서론 안전한 접지 ..

접지 연결에 대한 기초 이해 (Earthing Protection System) [내부링크]

접지와 관련하여 무엇을 어디에 연결해야 하는지를 설명하는 자료들이 있습니다. 각각의 연결 선에 대한 설명이나 용어가 조금씩 다르기는 하지만 이러한 내용을 이해한다면 접지 설계에서 중요한 것을 빠뜨리지 않고 반영할 수 있습니다. 접지 연결의 기초라고 했는데 이런 내용에 대한 이해가 없으면 접지 도면이나 설계 자료를 이해하는데 많은 어려움이 있을 수 있습니다. 꼼꼼히 살펴보시길 추천합니다. 1. KEC 자료 설명 KEC에서 보여주는 그림이 있습니다. 아래의 그림을 참조 바랍니다. 위의 KEC 자료를 참조하면서 아래의 외국 자료를 같이 이해하면 좋을 것 같습니다. 동일한 부분에는 KEC의 관련 번호를 기입하였습니다. KEC에 없는 부분도 참고하시면 좋겠습니다. 2. EEP의 자료 (The basic under..

비상 전원 장치에 대한 정리 (Emergency Power System) [내부링크]

비상전원 장치라는 것은 정전이 되었을 때 전원을 공급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장치들입니다. 대표적으로 비상발전기가 있습니다. 비상 발전기는 앞의 포스팅에서 설명하였으므로 여기서는 발전기를 제외한 다른 비상 전원 장치를 알아보겠습니다. 일반적으로 다음의 세가지 비상 전원 장치가 있습니다. 1) DC 전원 장치 Battery Charger 2) 무정전 전원 장치 UPS 3) 에너지 저장 장치 ESS [1] DC 전원장치 (Battery Charger) Battery Charger (배터리 충전기)에 대하여 검토해 보겠습니다. 1. Battery Charger의 원리 1) 단선도 (Single Line Diagram) Battery Charger는 AC를 DC로 변환하여 Battery를 충전하고 DC 부하를 공급..

MV SWGR에 대한 주요 개념 이해 [내부링크]

MV SWGR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서 이번 포스팅을 올립니다. 저는 실제로 배전반 제조 파트에서 일을 했었고 많은 SWGR를 가까이 접해서 잘 이해하는 편입니다. 그런데 사실 전기 엔지니어로 일하시면서도 MV SWGR를 잘 이해하지 못하시는 분들도 많으실 것으로 생각됩니다. 그런 기회를 얻지 못했기 때문이죠. 이 포스팅이 조금이라도 도움이 되기를 바랍니다. 이번 설명에서 쓰이는 자료는 예전에 현대중전기에서 Presentation 했던 자료에서 발췌한 부분이 있음을 밝혀 드립니다. 1. MV SWGR의 적용 규격 IEC 62271-200 이 IEC 규격 번호이고 국내에서는 IEC를 반영한 KS C IEC62271-200을 적용합니다. 2. 핵심 요소 - LSC (Loss of Service Co..

저압반 (LV SWGR)의 구조적 특성 이해 [내부링크]

저압반 (LV SWGR)에 대하여 살펴보겠습니다. LV SWGR는 다양한 형태가 있습니다. ACB를 내장한 고압 SWGR와 유사한 구조도 있고, 우리가 배전반이라고 부르는 MCCB를 위주로 구성된 것도 있으며,분전반이라고 부르는 소규모의 판넬도 있습니다. 이런 다양한 구조의 저압반을 나누는 기본적인 요소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1. IEC의 저압반 구조 저압반은 KSCIEC61439-2의 규정에 따라 그 구조에 대하여 먼저 설명드립니다. 예전 표준이었던 IEC 60439-1은 폐기되었습니다. 고압반에서는 기능 UNIT들의 분리 정도에 따라 LSC 등급에 따라 결정되었는데 저압반에서도 각 요소들의 분리 여부가 구조에 대한 FORM (형태) 구분의 기준이 됩니다. 다음과 같이 7개의 등급으로 나누어집니다...

방폭 도면에서 사용되는 주요 개념에 대한 설명 [내부링크]

앞의 방폭구역도 설명하는 글에서 빠졌지만 중요한 내용들을 여기서 추가로 설명드리려고 합니다. 전기 엔지니어는 잘 모를 수 있지만 기본적인 개념만 좀 이해하고 가면 되겠습니다. 여기에 설명하는 개념은 "HAZARDOUS SOURCE LIST" 라고 하는 공정에서 작성하는 위험물질표에 포함되는 내용입니다. 1. FLASH POINT (인화점) - 가연성 액체의 표면에서 화염을 접근 시켰을 때 연소가 발생할 만큼의 증기를 발생시키는 최저온도. 이 온도가 낮을 수록 위험성이 높아집니다. 이 그림에서 보이듯 디젤유는 +55도로 인화점이 매우 높습니다. 그런데 디젤에 따라서 45도 정도가 되는 경우도 있어서 디젤을 HAZARDOUS SOURCE로 볼지에 대하여는 지역에 따라서 다를 수 있습니다. 2. EXP..

방폭 구역 도면에 대한 이해 (Hazardous Area Classification) [내부링크]

방폭구역도면에 대해서 글을 쓰려면 너무 쓸 것이 많아서 고민이 될 정도입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가능하면 간략하게 압축해서 필요한 부분들을 설명드리도록 노력하겠습니다. 방폭이란 폭발방지를 줄인말입니다. 폭발성 GAS가 항상 있을 수밖에 없는 석유화학 공장에서 어떻게 하면 폭발을 방지할 수 있을 것인지에 대한 고민을 체계화한 것이 HAZARDOUS AREA CLASSIFICATION 인 것입니다. 폭발 위험에 대한 등급을 나누고 각 등급에서 폭발을 일으키지 않으려면 어떻게 해야 하는지를 정리한 것입니다. 크게 두 가지로 나누는데 IEC 유럽 방식이 있고 NEC 미국 방식이 있습니다. 유럽 방식과 미국 방식은 혼용되는 편인데요 유럽방식은 위험지역을 좀더 디테일하게 하나하나 따지고 그러다 보니 각 방폭..

접지 저항 측정 방법에 대한 고찰 (Measurement of Earthing Resistance) [내부링크]

접지 저항과 관련한 여러 질문들이 인터넷에 많이 올라옵니다. 제가 보니 측정 방법의 문제가 많이 있다고 보여서 포스팅으로 정리하려고 합니다. 접지 저항 측정법에 대해서 알아보고 실제로 어떻게 적용해야 하는지를 검토해 보겠습니다 먼저 접지 저항 측정법을 살펴보겠습니다. 모든 방법을 다 확인하지는 않고 일반적으로 많이 사용하는 방법에 대해서만 정리해 보겠습니다. 1. 3전극법 (전위 강하법 - Fall of Potential Method) 접지 전극 시스템이 설계되고 설치되면 일반적으로 전극과 대지 사이의 저항을 측정하고 확인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접지 전극의 저항을 측정하는 가장 일반적인 방법은 그림 1에 표시된 3전극법 측정 기술입니다. 이 방법은 대지 저항 측정에 사용되는 4전극법에서 파생된..

접지 저항 계산서 (Earthing Resistance Calculation) 작성 방법 [내부링크]

다음의 자료는 해외 프로젝트에서 제출했던 계산서의 샘플입니다. 혹시 접지 계산서 작성이 필요할 경우 참조하시면 됩니다. EARTHING RESISTANC CALCULATION 목차는 다음과 같이 작성합니다. 여기서 적용한 CODES AND STANDARDS가 중요합니다. 그리고 접지 도체의 굵기를 결정하고 접지 저항을 계산합니다. 결론과 정리를 추가합니다. 계산이나 근거 자료를 첨부합니다. CODE & STANDARDS 로는 IEEE 를 적용하고 있음을 보여줍니다. 특정 프로젝트를 보여주는 부분은 모자이크 처리했습니다. 발주처에서 요구한 사항을 정리했습니다. 전기용 접지 저항이 4 오옴을 넘지 못하도록 요구하고 있습니다. 계장용은 5오옴입니다. IEEE 80의 식으로 접지도체의 굵기를 계산합니다...

성경 신 구약 66권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한 정리 [내부링크]

성경 66권의 이해 하나님의 말씀을 알아야 하나님의 뜻을 알 수 있습니다. 늘 기도하는 것은 하나님의 뜻을 알기 위해서입니다. 따라서 하나님의 말씀을 알아야 기도를 바로 할 수 있는 것입니다. 다음은 성경 66권을 간략하게 설명한 것입니다. 각 성경이 어떤 내용을 품고 있는지를 아는 것은 성경을 읽는 데 있어서 매우 중요합니다. 창세기는 모든 문제가 어디서 왔는지를 알려줍니다. 창세기 3장, 6장, 11장, 12장에 있는 우상과 사단의 전략으로 말미암아 멸망 받은 사람에게 하나님께서 창세기 3장 15절에 구원의 문을 열어주신 것입니다. 이 언약을 성취시키는 사람이 아브라함, 이삭, 야곱, 요셉입니다. 아브라함은 말씀을 성취시키기 위해 갈대아에서 떠났고, 이 말씀을 누린 사람이 이삭이고, 세계복..

전동기 보호용 차단기의 정격 전류 선정에 대하여 [내부링크]

전동기 보호용 차단기의 정격전류를 얼마로 해야 할까요? 카페에서 이런 질문을 보면서 예전에는 전동기 용량별 차단기 선정표가 있었는데 지금은 어떻게 해야 할지 생각해 보게 되었습니다. KEC에서 전동기 보호 차단기의 선정에 대하여 새로운 기준을 제시하여서 이 부분을 검토해 보고 새로운 차단기 선정 표를 만들 수 있을지 알아보겠습니다. 1. 전동기용 과부하 보호장치의 정격전류 선정 1) KEC 규정 검토 보호장치의 규약 동작 배율을 계산하는 그래프가 KEC에서 다음과 같이 보여줍니다. 2) 샘플 계산 위의 식에서 Im (전동기 정격전류), β (전동기의 기동배율), δ (보호장치의 규약동작배율) 을 알면 필요한 차단기의 정격전류 In을 계산할 수 있습니다. 카페의 질문 중에서 한 가지를 예로 들어서 계산해 ..

비상 발전기 용량 계산의 두 가지 방법과 결과 비교 [내부링크]

비상발전기의 용량 계산에는 여러 방법과 기준들이 혼용되고 있지만 국내에서 두가지의 기준이 있습니다. 하나는 국토교통부의 설계기준에 의한 용량 계산이고 다른 하나는 한국산업안전공단의 KOSHA GUIDE E-84-2022에 따른 용량 계산입니다. 소규모 화학공장의 비상발전기는 KOSHA GUIDE에 따라 계산을 하는 것이 좋겠다고 생각합니다. 여기서 KOSHA의 샘플 계산을 설계기준을 따라서 해보고 두 결과를 비교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1. KOSHA GUIDE "E-84-2022"의 계산 방법 아래의 자료는 KOSHA Guide를 캡춰한 것입니다. 내용이 잘 안보이거나 더 자세한 자료가 필요하시면 KOSHA 홈페이지에서 Guide를 다운로드 받아서 보시면 됩니다. KOSHA GUIDE는 기존에 주로 사용..

Trench 포설 시의 Cable Sizing 방법 [내부링크]

Cable Sizing의 4번째 포스팅입니다. 3번째 포스팅에서 소개했던 Derating Factor에 대해서는 여기서 더 설명하지 않습니다. Trench에 대한 것만 추가합니다. 국내에서는 Trench 포설이 별로 없는 것 같습니다. 이 방법은 주로 중동처럼 비가 많이 오지 않는 곳에서 선호하는 방식입니다. 케이블 포설하려고 땅 엄청 팠는데 비 오면 대책이 없죠. 1. 토지 열저항 (Soil Thermal Resistivity) 땅에 케이블을 포설할 때 검토해야 할 가장 중요한 요소가 토지 열저항입니다. 토지의 전기적 저항인 토지 비저항은 접지를 할 때 얼마나 전류가 땅으로 잘 흐르는가에 대한 수치라면 토지 열저항은 케이블에서 발생한 열이 얼마나 땅으로 잘 흘러가는가에 대한 수치입니다. 이 값은 발주처..

Tray 포설 시의 Cable Sizing 방법 [내부링크]

Cable Sizing 3번째 포스팅에서는 실제로 Cable Sizing을 해보겠습니다. 1. Correction Factor (보정계수) 적용 본 계산은 IEC60364-5-52를 적용합니다. 이 표준은 Correction Factor (보정계수)를 이용하여 케이블의 사이즈를 구하는 방식입니다. 보정계수를 계산하는 4가지 절차가 있습니다. 1) Cable의 설치 방법을 결정합니다. Tray, Trench, Duct bank 등이 있습니다. 2) 표준이나 케이블 회사의 자료에서 정격 전류를 선정합니다. 그러면 일차로 케이블 사이즈가 나옵니다. 3) 실제의 케이블 설치 조건을 확인합니다. 주위온도, 토지열저항, 기타 4) 표준이나 케이블 업체의 조건과 실제 케이블 설치 조건을 비교하여 보정계수를 산출합니다..

방폭 지역의 케이블 포설 방법 (Cable Installation in Hazardous Area) [내부링크]

방폭 지역의 기기에 Cable을 연결하는 경우 까다로운 조건을 만족시켜야 합니다. 적용할 기준은 미국과 유럽 기준 그리고 국내 기준이 조금씩 다릅니다. 여기서는 국내 기준을 바탕으로 설명하도록 하겠습니다. 아래 그림은 IEC 기준입니다. 1) Exd 박스에 연결할 때는 Barrier Type Cable Gland를 사용해서 연결합니다. 2) Exe 박스에 연결할 때는 Barrier Type이 아닌 일반 Exe 등급의 Cable Gland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그래서 Motor를 구입할 때도 Exde라는 형식으로 해서 Motor 자체는 Exd 고 Terminal box는 Exe로 구매하면 일반 Cable gland를 적용할 수 있는 것입니다. 3) Conduit를 이용하여 배선하는 경우는 Seal Fit..

케이블 설계 (CABLE SIZING) - 2 [내부링크]

두 번째 포스팅은 최소 케이블 사이징입니다. (Minimum Cable Sizing) 최소 케이블 사이징에 대하여도 여러 자료가 네이버에 올라와 있습니다. 조금 중복되는 느낌도 있지만 Cable Sizing이라는 전체 포스팅에 필요한 부분이라서 포함 시키려고 합니다. 최소 케이블 사이징은 케이블이 단락 전류가 흘렀을 경우에도 견딜 수 있는 시간을 확인하는 수식이며 이 수식은 ICEA에서 발행한 ANSI/ICEA P-32-382에 나와있습니다. 원 수식은 미국 표준이라서 단위가 다른데 아래 수식은 IEC 기준으로 표시한 것입니다. KEC에는 다음과 같이 설명하고 있습니다. 1. 단락 전류의 지속 시간 (t) 단락전류에 견딜 수 있는 케이블의 사이즈를 결정하는데는 단락 전류의 지속 시간이 매우 중요한 요소가..

비상 발전기 용량 (Emergency Generator Capacity) 의 이해와 적용 [내부링크]

비상발전기의 용량에는 특별한 전제 조건이 있습니다. 이 조건을 잘 이해해야 비상발전기의 용량을 이해하고 적절하게 적용할 수 있게 됩니다. 아래의 표를 보면 한 외국 회사의 발전기 모델별 용량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그런데 하나의 모델에 3가지의 Rating이 있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Standby Rating, Continuous Rating, Prime Rating 이 그것입니다. 왜 이런 세가지 용량을 표시하고 있는 것일까요? 세가지 용량의 의미는 무엇일까요? 지금부터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먼저 이해할 것은 아래의 그림입니다. 아래 그림은 엔진의 수명과 사용 가능한 부하 용량을 표시한 그래프입니다. 그림을 보시면 부하 용량을 높게 사용할수록 수명이 짧아지고 용량이 낮아지면 수명이 길어지는 것을 볼..

케이블 설계 (CABLE SIZING) - 1 [내부링크]

Cable의 굵기 (Size)를 결정하는 것은 전기 설계에서 매우 중요한 요소입니다. 프로젝트마다 수많은 Cable이 사용되고 전기 엔지니어는 그 Size를 결정하고 최적의 설계를 하기 위해서 노력하고 있습니다. 그 Cable Size를 결정하는 일에서 기본적으로 중요한 일들과 왜 그 부분을 중요하게 생각하는지에 대하여 실무 경험을 바탕으로 풀어가도록 하겠습니다. 1. Cable Sizing의 절차 Cable Sizing에는 몇 가지 절차가 있습니다. 한 가지 요건만 만족시키면 되는 것이 아니라 몇 가지 조건을 다 만족시켜야 하기 때문에 각 조건에 따라 밟아야 하는 절차가 있습니다. 1) Cable 포설 방법 결정 2) Minimum Cable Sizing 3) De-rating factor 결정 4) ..

플랜트 낙뢰 보호 시스템 설계 시 추가로 고려해야 할 사항 [내부링크]

일반적으로 낙뢰 보호는 건물에 집중이 됩니다. 설비의 중요도, 사람이 상시 근무하는지 여부, 인원이 얼마나 되는지 등도 고려 대상이 됩니다. 그런데 공장 쪽에는 어떤 기준으로 낙뢰 보호를 해야 할까요? 제가 경험했던 현장을 기준으로 설명 드려 보겠습니다. 첫번째 - PIPE RACK 상단의 CABLE TRAY 보호 여부 PIPE RACK 최 상단에 설치되는 CABLE TRAY는 위 사진과는 다르게 COVER가 설치되어 있습니다. 최상단에 있다보니 낙뢰를 피할 수 없습니다. 이 CABLE TRAY를 보호하기 위해서 피뢰침을 설치할 수도 없습니다. 어떻게 해야 할까요? 사실 저도 한 프로젝트에서 안전공단 측의 질문을 받았습니다. 최 상단의 CABLE TRAY는 어떻게 보호할 계획인지에 대해서요.. 제가 많은..

전기 단선도 (Single Line Diagram) 작성에 대하여 (2) [내부링크]

7. 기기의 크기 결정 (EQUIPMENT SIZING CALCULATION) 1) 변압기 용량 결정 (Transformer Sizing) 앞의 부하 계산서 (Load Summary Sheet)에서 future margin 과 변압기 손실을 고려하여 결정 2) 역률 보상기 용량 결정 (Capacitor Bank Sizing) 부하 계산서에서 산출된 총 역률과 전력회사의 규정 역률의 차이를 보상하기 위한 Capacitor 용량 산출, 부하 상태에 따른 적정한 제어를 위한 Bank 수량 결정 3) 비상 발전기 용량 결정 (Emergency Generator Sizing) 부하 계산서에 나타난 비상 부하를 고려하여 비상 발전기 용량 계산 4) 무정전 전원 장치 용량 결정 (AC UPS Sizing) - UPS..

전기 단선도 (Single Line Diagram) 작성에 대하여 (1) [내부링크]

단선도 작성과 관련한 많은 블로그와 카페 글들이 있지만 제가 한국 산업플랜트 협회에서 강의하면서 여러 자료를 취합해서 작성한 내용을 공유하고 싶어서 이 글을 작성합니다. 단선도라는 것이 실제로 매우 복잡하고 여러 가지 고려할 점이 많이 있지만 가급적 줄여서 이해하기 쉬운 자료를 만들었으면 좋겠습니다. 1. 단선도 작성 시 고려해야 하는 내용 1) 프로젝트를 시작하게 되면 프로젝트 계약 서류에 포함된 단선도와 부하 계산서 그리고 각종 필수 계산서 등을 확인하게 됩니다. 대규모 석유화학 플랜트는 단순하지 않기 때문에 공장을 건설하려고 하는 회사 (발주처)는 단계별로 많은 검토를 하고 사전 설계를 실시해서 비용이 얼마나 들지를 체크하게 되고 이 사전 설계 자료를 EPC 업체들에 뿌려서 입찰을 받게 됩니다. 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