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sw-study의 등록된 링크

 ssw-study로 등록된 티스토리 포스트 수는 10건입니다.

2023년 부자들의 MBTI는? (부자들의 특성, 자산, 소득, 직업) [내부링크]

하나은행 하나금융경영연구소에서는 매년 대한민국의 부자들의 특징을 정리해서 보고하는 웰스 리포트를 발행합니다. 최근에 2023년 대한민국 웰스 리포트가 발행되어, 그 안에 있는 부자들의 특징(총 자산, 연 소득, 자산 구성, 직업, MBTI)들을 알아보겠습니다. 먼저, 리포트에서 구분하는 슈퍼리치 / 부자 / 대중 부유층 / 일반 대중의 기준은 아래와 같습니다. (가구 기준) 슈퍼리치 : 금융 자산 100억원 이상이거나, 총 자산 300억 이상 부자 : 금융 자산 10억 이상 대중 부유층 : 금융 자산 1억 이상 10억 미만 일반 대중 : 금융 자산 1억 미만 1. 총 자산, 연 소득 슈퍼리치의 총자산은 2021년에 비해 2022년 줄어들었습니다. (373억원 → 323억원, 50억원 감소) 2022년 대..

대한민국 1인가구에 대해 알아보자 (1인가구 수, 성별, 복지제도) [내부링크]

오늘은 대한민국 1인가구 수, 성별, 주거 형태, 복지 제도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 1인가구 수, 비율 국가통계포털(KOSIS)에 공개된 아래 2016~2021년 1인가구 조사 결과에 따르면 1인가구의 수와 비율은 아래와 같이 꾸준히 증가해왔습니다. 2016년 539.8만가구 (27.9%) 2017년 561.9만가구 (28.6%) 2018년 584.9만가구 (29.3%) 2019년 614.9만가구 (30.2%) 2020년 664.3만가구 (31.7%) 2021년 716.6만가구 (33.4%) 2021년에는 총 716만 가구의 1인가구가 집계되었고, 세 가구 중 한 가구는 1인가구인 시대가 왔습니다. 2. 지역별 1인가구 비율 (2021년) 전국 평균 33.4%의 1인가구가 있으며 대전이 37.6%로..

그레이트 한강 프로젝트란? (한강 르네상스 2.0, 서울링, 뚝섬곤돌라) [내부링크]

최근 서울시가 한강 일대의 문화 부흥을 목표로 한 개발 프로젝트인 그레이트 한강 프로젝트(한강 르네상스2.0)을 발표했습니다. 오늘은 그레이트 한강 프로젝트가 무엇이고, 어떤 주요 사업들이 있는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그레이트 한강 프로젝트란? 그레이트 한강 프로젝트는 2007년 한강 르네상스 1.0에 이은 한강 일대 개발 프로젝트입니다. 2007년에는 한강 본류 일대에만 집중적으로 공원과 문화시설을 확충했는데, 텐트와 돗자리를 깔고 한강을 즐기는 지금의 토대를 만들었다는 평가를 받고 있습니다. 이번 그레이트 한강, 한강 르네상스 2.0은 더 나아가 한강 본류과 주변 공원뿐 아니라 한강변 일대에 다양한 문화예술 시설물을 완성하여 한강 일대와 서울시 전체에 문예 부흥을 일으키는 것이 목표라고 합니다. 4..

직장인 퇴근 후 취미 추천, 장단점, 비용 [내부링크]

주 52시간 근무제 도입 후 퇴근 시간이 빨리지고, 여가 시간이 많아진 직장인들의 취미 활동 또한 다양해졌습니다. 오늘은 직장인들이 많이 즐기는 대표적인 취미 2가지의 장점, 단점, 비용 등을 알아보겠습니다. 1. 영화, 드라마 감상 퇴근 후 즐기는 취미 중 압도적으로 많은 비율을 차지하는 취미는 영화, 드라마 감상입니다. 2017년 잡코리아에서 실시한 설문조사에 따르면 취미를 즐기는 직장인들 60%가 영화, 드라마 감상이 취미라는 설문 결과도 있었습니다. 장점 영화, 드라마 감상의 가장 큰 장점은 언제 어디서나, 혹은 집에서 편안하게 취미 생활을 할 수 있다는 점입니다. 시간적, 공간적 제약이 없고, 혼자서도 즐길 수 있는 쉬운 취미이기에 접근성이 좋습니다. 또한 즐기는 콘텐츠에 따라 다양한 지식과 교..

대기업 4년차 20대 직장인이 느끼는 대기업 단점 4가지 [내부링크]

지난 시간 포스팅한 대기업 4년 차 20대 직장인이 느끼는 대기업의 장점 5가지에 이어, 제가 느낀 대기업의 단점 4가지를 솔직하게 풀어보겠습니다. 지난 포스팅에서 세상 완벽한 직업인 것처럼 썼던 대기업 직장인이지만, 단점 또한 있습니다. 중소기업 직장인과 비교한 단점도 있지만 직장인 자체의 단점도 있습니다. 솔직하게 풀어 보겠습니다. 1. 연봉 앞 포스팅에서 장점으로 꼽았던 연봉은 단점이기도 합니다. 대기업은 최고의 인재들을 자신의 회사에 충성하도록 만들면서, 그들이 그만두지 않을 정도로만 돈을 줍니다. 대기업들이 해마다 연봉을 인상하는 이유는 사업을 통해 얻은 이익을 직원들과 나누기 위함이 절대 아닙니다. 같은 시기에 연봉을 인상하는 타 회사로 인력을 뺏기지 않기 위함입니다. 실제로 대기업 인사팀에서..

대기업 4년차 20대 직장인이 느끼는 대기업 장점 5가지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송사원입니다. 저는 2020년에 입사하여 4년째 대기업에 근무중인 20대 직장인입니다. 제가 느낀 대기업의 장점 5가지를 솔직하게 풀어보겠습니다. 1. 연봉 많은 분들이 떠올리는 연봉입니다. 구체적인 액수를 언급하긴 곤란하지만 (잡플래닛, 사람인에서 어느 정도 알 수 있습니다. 단, 직원 평균 급여가 아닌 신입사원의 급여를 따로 봐야합니다.) 평범한 중소, 중견 기업보다 확실히 급여가 많습니다. 산업, 업종에 따라 차이가 있지만, 저의 경우 유사 산업/업종의 중소기업에 비해 최소 1.5~2배 수준인것 같습니다. 또한 아래 20년 간 대기업 대비 중소기업 평균 임금 수준 추이 자료에 따르면, 임금 격차는 가속화되고 있습니다. 2. 복지 연봉 외에 각종 복지 혜택이 있습니다. 개인적으로 제가 다..

PSR, PER, PBR 주가 대비 지표에 대해 알아보자. (주식 기본 용어 1편)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송사원입니다. 주식을 처음 시작할 때 보게 되는 생소한 기본 용어들이 있죠? (PER, PBR, EV, EBITDA 등..) 기본이 탄탄해야 롱런할 수 있는 만큼, 오늘부터 주식 관련 기본 용어에 대해 함께 공부해볼까 합니다 ^^ 오늘은 현재 주가가 싼지, 비싼지를 가늠해볼 수 있는 지표인 주가 대비 지표! PER, PSR, PBR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PER (주가수익비율, 시가총액/순이익) = "벌어서 남기는 돈에 비해 주가가 얼마나 비싼가?" 뺄 거 (생산비용, 판매/관리비용, 영업비용, 세금 등) 다 빼고, 실제로 기업이 남기는 순이익과 주가를 비교하는 수치입니다. 이렇게 기업이 남기는 순수익은 주주들에게 배당금을 지급하는데 쓰이거나, 더 큰 수익을 내기 위한 재투자로 이어질 수 있..

대한민국 가구 평균 자산, 부채, 소득 (우리 집은 상위 몇%?) [내부링크]

오늘은 대한민국 전체 가구의 자산, 부채, 소득의 분위별 평균과 중앙값 등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 소득 먼저 2022년 소득원천별, 10분위별 연 평균 소득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분위 (하위 10%) : 897만원 2분위 : 1,749만원 3분위 : 2,624만원 4분위 : 3,537만원 5분위 (평균 하위) : 4,491만원 6분위 (평균 상위) : 5,582만원 7분위 : 6,863만원 8분위 : 8,436만원 9분위 : 1억 909만원 10분위 (상위 10%) : 1억 9,042만원 중앙값 : 5,022만원 소득 1~2분위 가구는 연 평균 소득 2천만원 이하로, 정상적인 노동이 불가한 상황인 것으로 보입니다 일반적으로 사회 초년생이 독립하여 단독 세대주가 되는 순간 3~5분위(하위 3~50..

금융소득 종합과세 대상자는 몇 명일까?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송사원입니다. "금융소득 종합과세" 들어보셨을텐데요, 오늘은 금융소득 종합과세에 대한 내용과, 현재 대한민국에서 몇 명이나 금융소득 종합과세를 납부하고 있는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먼저, 금융소득 종합과세란? 연 2천만 원 이상의 금융소득 초과분에 대해 다른 소득과 함께 종합과세하는 것! 여기서 금융소득이란, 1.이자소득과 2.배당소득을 말합니다. 연 2천만원을 초과하는 금융소득... 생각보다 달성하기 힘든 금액입니다. 예를 들어봅시다. 대표적 고배당주식 KT&G는 2021년 주당 4,800원의 배당금을 지급했습니다. 따라서, KT&G 주식 4,167주를 갖고 있다면 2,000만 1,600원의 배당금을 지급받게 되면서 금융소득 종합과세 대상자가 되는데요, 글을 쓰는 현 기준 (22.05.2..

2022년 1~9급 공무원 월급, 연봉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송사원입니다. 안정적인 직업의 대명사이자, 많은 취업 준비생의 워너비 직업, 공무원! 그런데.. '2022년도 국가공무원 9급 공채 필기시험' 결과에 따르면 '21년 만에 최저 경쟁률'을 기록했다고 합니다. 수 백대 1의 경쟁률을 자랑하던 공무원의 인기는 왜 이렇게 식었을까요..? 1. 지방 근무 기피, 2. 딱딱한 조직문화 등 여러 이유가 있겠지만,,, 뭐니뭐니 해도 '낮은 봉급' 때문이라 생각합니다. 애초에 높은 봉급을 기대하며 공무원을 하고 싶어하는 사람들은 없었겠지만, 안정적인 정년 보장 (현재 60세)과 연금 수령을 통한 편안한 노후를 기대하는 사람들이 많았습니다. 하지만 2000년대 초반~2010년대를 지나면서 시장에 많은 돈이 풀리며 각종 자산 가치 (ex. 부동산)가 급상승했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