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도만 보았지 바람을 보지 못했다.


파도만 보았지 바람을 보지 못했다.

조선시대 세조 때 격변기를 배경으로 한 영화 '관상'에서 주인공 송강호가 마지막 장면에서 이렇게 말합니다. "난 사람의 얼굴을 보았을 뿐 시대의 모습을 보지 못했소.

시시각각 변하는 파도만 본 격이지. 바람을 보아야 하는데!

파도를 만드는 건 바람인데 말이오." 영화에서 송강호는 사람의 얼굴만 보고도 그 사람이 어떤 사람인지, 앞으로 어떤 사람이 될지 척척 맞추는 대단한 관상가였습니다.

하지만 그러한 관상가도 결국 가장 사랑하는 아들의 운명은 물론 자기 자신의 모습과 인생은 살펴볼 수 없었습니다. 얼굴을 보는 것은 그저 파도를 보는 것에 불과할 뿐, 바람 즉 진짜 사람의 모습과 역사의 큰 기운을 보지 못했다는 의미입니다.

'인간이란 무엇인가?'라는 질문에 명확한 대답을 할 수 있는 사람은 없습니다.

인생의 여정에 완벽한 대답은 없기 때문입니다. 인문학에서는 다른 학문과 달리 '결과'보다 '본질'을 보려 하는 데 노력하고 열중하지만 여전히 한계가 있습니다.

그래서 인생을 스스로를 찾아...


#관상 #명언 #바람 #삶 #송강호 #오프라 #윈프리 #인생 #파도

원문링크 : 파도만 보았지 바람을 보지 못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