몰질량, 몰(mol) 부피, 입자수 사이의 관계


몰질량, 몰(mol) 부피, 입자수 사이의 관계

1. 몰 (mol)과 아보가드로 수 몰(mol)은 원자의 양 (입자의 양)을 나타내는 단위이다.

아보가드로 수는 물질 1몰 (mol)에 포함되어 있는 기체 입자의 개수를 말한다. 물질 1몰 (mol) 속에 있는 입자의 개수는 6.02 × 1023 개이다.

만약, 물 분자 1몰에는 산소 원자 1몰과 수소원자 2몰이 들어 있게 된다. 각각의 원자 입자수는 몰수에 아보가드로 수를 곱하여 구할 수 있다.

물질의 입자 수 = 몰수 (mol) × 아보가드로 수 (개 /mol) 따라서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몰 질량은 물질 1몰의 질량을 말하며, 화학식에서 물질 1몰의 질량을 나타내며 단위로는 [g/mol]을 쓴다. ※ 아보가드로는 이탈리아의 과학자이다.

분자의 개념을 확립하였으며 아보가드로 법칙이 라는 표준상태에서의 기체의 부피에 대한 가설을 수립하였다. ※ 표준 상태란 Standard Temperature and Pressure (STP)로 0 1기압 상태를 말한다. 2. 몰 (mol...


#mol #질량 #입자 #온도 #압력 #아보가드로수 #아보가드로 #부피 #몰질량 #몰부피 #몰 #기압 #표준상태

원문링크 : 몰질량, 몰(mol) 부피, 입자수 사이의 관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