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봉 세전세후 뜻과 계산 방법 (feat. 4대보험)


연봉 세전세후 뜻과 계산 방법 (feat. 4대보험)

오늘의 주제는 많은 분들, 특히 사회 초년생 분들이 궁금해 하실법한 세전 세후 뜻과 연봉 세전세후 계산 방법!!! 세전 세후 뜻?

1) 세전 금액이란 아무 세금도 공제하지 않은 금액을 말하며, 입사 시 근로 계약서를 작성하여 연봉 계약을 할 때 계약서에 적힌 연봉 금액이 바로 세전 금액을 의미한다. 2) 세후 금액이란 연봉 그대로 내 통장에 찍히면 참 좋겠지만 월급에서 각종 세금이 공제된 후 입금되는데, 공제되는 항목은 다음과 같다. 4대 보험, 근로소득구간별 소득세, 주민세(지방소득세) 이렇게 다양한 세금을 제외한 뒤 내 수중에 실제 들어오는 금액을 세후라고 한다. 세전 세후 뜻 참 쉽죠잉?

그래서 무슨 세금을 얼마나 떼어 가는데? 네이버의 연봉 실수령액 계산기를 띄워보면 공제항목을 더 상세히 살펴볼 수 있다.

연봉이 5천만원인 한 근로자의 월급 세전세후 계산을 해 보면, 4대보험인 국민연금, 건보료, 고용보험료 + 소득세, 주민세(지방소득세)가 빠져나가는 것을 볼 수 있다. 여기...


#4대보험 #4대보험계산 #세전세후 #세전세후계산 #세전세후뜻 #연봉세전세후

원문링크 : 연봉 세전세후 뜻과 계산 방법 (feat. 4대보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