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용인, 은이성지(청년 김대건) 돌아보기


경기도 용인, 은이성지(청년 김대건) 돌아보기

은이성지는 은이 마을은 박해시대 천주교 신자들이 박해자들의 눈을 피해 모여 살게 되면서 형성된 교우촌으로서, 은이(隱里)란 글자 그대로 ‘숨어있는마을’이란 뜻. 이 성지는 1836년 1월 13일, 프랑스 선교사로서는 최초로 조선에 입국한 모방(Maubant, 羅) 신부가, 그 해 4월경 이곳을 방문하여 당시 15세인 소년 김대건(金大建, 1821~1846)에게 '안드레아'라는 세례명으로 세례성사와 첫 영성체를 주고, 신학생으로 선발한 곳이며, 사제가 된 후 조선으로 입국하여 사목활동 시 본당 역할을 한 곳.

성지 내 김대건 기념관 앞, 옛 은이 공소제(隱里公所址)로 전해지는 곳에 소년 김대건이 세례 받는 형상의 조형물을 설치되어 있다(참고 : 천주교 수원교구) 우리나라 최초의 사제이며 순교자인 김대건 안드레아 신부가 성소(聖召)의 씨앗을 뿌렸던 곳이자 그 열매가 가장 풍성하게 열렸던 곳이다. 즉 은이성지는 김대건 신부의 성장(산너머 골배마실), 세례성사, 신학생 선발, 사제 서품, ...


#mbn #신덕고개_은이고개 #안드레아_세례명 #애덕고개_오두재고개 #우리나라_최초사제_순교자 #은이로 #은이마을 #은이성지 #중국상해 #천주교_수원교구청 #천주교신자 #첫영성체 #청년김대건 #소년김대건 #세례성사 #가족나들이 #강석우의_종점여행 #경기도 #경기도양지 #경기도용인시 #김가항성당 #도보순례 #망덕고개_해실이고개 #박해시대 #박해촌 #사제서품 #서울근교 #프랑스선교사

원문링크 : 경기도 용인, 은이성지(청년 김대건) 돌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