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합효율성과 범죄 / Collective efficacy and crime (Hipp, 2015)


집합효율성과 범죄 / Collective efficacy and crime (Hipp, 2015)

이 글은 Hipp(2015)의 <Collective Efficacy and Crime>을 요악하여, 1) 집합효율성의 개념을 명확히 정의하고, 2) 응집(cohesion)과 신뢰(trust)가 집합효율성의 구성요인인지 검토하며, 3) 지역사회 범죄와 집합효율성의 관계를 살펴보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집합효율성 개념의 간략한 역사 / A Brief History of the Concept of Collective Efficacy 집합효율성의 개념은 심리학에서 출발하였지만 당시 집합효율성은 소규모 집단에서 경험적으로 연구되었다(Bandura, 1982). 집합효율성은 개인이 집단 속에서 얼마큼 노력할지와 집단의 실패 속에서도 버틸 힘에 영향을 미친다(Bandura, 1982). Bandura는 초기 연구에서 집합효율성을 집단이 가지고 있는 자산(property)으로 이해했다. 이후 그는 집합효율성을 집단 속 개인의 의도를 촉진시키고 집단에 헌신하게 하며 역경에 대한 탄력성을 부여하는 현...


#범죄 #비공식적사회통제 #사회연결망 #집합효율성 #피드백효과

원문링크 : 집합효율성과 범죄 / Collective efficacy and crime (Hipp, 20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