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T 급행 버스라더니 적자에 사고까지 빛 좋은 개살구 상황... 느려터진 BRT 왜 만든 걸까?


BRT 급행 버스라더니 적자에 사고까지 빛 좋은 개살구 상황... 느려터진 BRT 왜 만든 걸까?

선진국에서는 운영이 활성화된 BRT, 간선 급행버스입니다. 일반 버스와는 달리 우선 신호를 받아서 마음껏 속도를 내고, 각 정류장에도 정확하게 도착하도록 계획됐습니다. 두 차량을 연결하는 굴절 버스를 도입해 많은 인원을 태우기도 합니다. 정체 없고 대량 운송 가능한 땅 위의 지하철이라는 별칭을 얻은 이유입니다. 지난 2005년 한국에도 관련 법이 마련되면서 지금은 27개 노선이 운영되고 있습니다. 추진 예정 사업비까지 최소 1조 5천억 원이 투입됐는데 사업 형태에 따라 절반까지 국비가 지원됩니다. 그렇다면 운영 실태는 어떨까요? 굴절이 아닌 일반 버스 차량인 데다가 건널목과 교차로마다 멈춰 섭니다. 전용 신호가 있기는 한데, 우선 신호를 받지는 못해서 신호마다 기다리는 겁니다. '일반 도로와 신호체계를 공유하기 때문에 버스 우선 감응 신호체계를 도입해서 BRT 신호체계를 개선해야 합니다' 차선 바로 옆에 공원 산책로가 자리 잡은 곳도 있습니다. 전용차선이 고가도로나 지하차도로 입체화...


#BRT #BRT노선 #BRT우선신호

원문링크 : BRT 급행 버스라더니 적자에 사고까지 빛 좋은 개살구 상황... 느려터진 BRT 왜 만든 걸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