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신라의 통치 제도


통일신라의 통치 제도

중앙 정치 기구 14부 완비 : 집사부 중심 - 기밀업무와 왕명 출납, 6전 조직체제 - 14개 관부의 병렬적 나열, 5관등 체제인 령-경-대사-사자-사 완성 특징 : 상대등과 병부 위주의 권력 구조(전통적), 상대등과 14부로 인해 집사부 권한 한계, 복수 장관, 장관 겸직제 등 시행, 부를 구별로 설치 지방 행정제도 9주 : 삼국이 3개씩, 군주->총관->도덕 등 장관 칭호 변동, 하부 기구에 태수와 현령 파견 5소경 : 수도 편재 보완 및 피정복민 불만 무마와 감시를 목적으로 아시촌소경 설치 후 순차적으로 설치, 국원소경은 가야 문화를 계승하여 우륵이나 강수 등 활동, 남원소경은 보덕국 소멸 후 그 주민들을 이주시켜 설치 통제 : 옛 고구려와 백제, 가야 출신 귀족의 이주, 사대등의 통치 군사 조직 9서당 : 중앙군을 피정복민까지 포함 10정 : 9개 주마다 지방군 설치, 한주에만 2개의 정 위치 관등제와 골품제 변동 중위제의 설정 : 통일 전후로 신분제약에 융통성을 부가하고 ...



원문링크 : 통일신라의 통치 제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