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려의 통치 제도


고려의 통치 제도

중앙 제도 정비 과정 태조 : 태봉의 광평성 체제 수용, 후삼국 통일 후 신라 관제와 당의 관제 수용 및 절충 성종 : 당의 3성 6부를 고려의 실정에 맞게 2성 6부로 조정 및 운영, 송의 영향으로 중추원과 삼사 설치, 도병마사와 식목도감 등 독자적 기구 설립, 고관들의 합좌기구로 운영 중서문하성 구성 : 최고 관서, 문하시중(종1품)이 국정 총괄, 재신과 낭사로 구성 재신(종2품 이상) : 6부와 삼사의 판사를 겸직하여 장악, 중추원 추밀과 함께 도병마사와 식목도감에 참여, 서경 유수사, 대군 총지휘관인 원수에도 임명 낭사(정3품 이하) : 어사대 관원과 함께 대간(서경, 간쟁, 봉박 행사)의 역할 상서성 : 정책 집행 담당, 상서도성과 6부로 구성, 6부 판사는 재신, 6부 상서는 추밀이 겸임 이부 : 문관 인사, 공훈 담당 병부 : 무관 인사, 국방, 우역 호부 : 호구, 공부, 전곡 형부 : 법률, 소송, 노비 예부 : 예의, 제사, 외교, 교육, 과거 공부 : 공장, 산택...



원문링크 : 고려의 통치 제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