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 속 MBTI] :: 떠돌이 늑대 ··· ISTP


[영화 속 MBTI] :: 떠돌이 늑대 ··· ISTP

ISTP는 어떤 성격일까? ISTP는 내향형, 감각형, 사고형, 인식형에 속하는 MBTI 유형으로 엄밀한 논증과 논리적 분석에 강한 내향 사고(Ti)를 주기능으로 갖고, 일반적이거나 상황에 적합한 행동 양식을 취하는 외향 감정(Fe)을 열등 기능으로 갖는다.

대표적인 명칭은 '장인' '재주꾼'으로 맡은 일을 뚝딱뚝딱 해내는 '해결사' 기질이 있다. 'TRUITY'에서는 ISTP가 '실용적이고 문제 해결에 능함' '감정표현을 즐기지 않음' '개인적이고 경직됨'이라고 분석했다.

ISTP에 해당하는 키워드는 다음과 같다. 실용적이다 : 논리적 분석에 강한 내향 사고(Ti)를 주기능으로 사용하고, 현실적인 문제 대처에 능한 외향 감각(Se)을 부기능으로 사용하기 때문에 '현실의 문제에 대한 분석력'이 뛰어나 종종 해결사적 면모를 보인다.

도구를 다루는 능력이 뛰어나다고 알려져 있다. 효율적이다 : 면밀하고 객관적인 판단으로 최적의 접근법을 찾아내는 능력이 있기 때문에 일의 효율이 높은 편이...


#007 #ISTP #MBTI #오징어게임 #인셉션 #헝거게임

원문링크 : [영화 속 MBTI] :: 떠돌이 늑대 ··· IST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