앨런 튜링(Alan Turing)의 튜링테스트


앨런 튜링(Alan Turing)의 튜링테스트

튜링테스트는 인간처럼 생각하는 인공지능을 판별하는 기준으로 간주했다. 이에 대한 설명이 제일 쉽게 느껴지는 나무위키의 정의를 살펴보자.

기계가 인간과 얼마나 비슷하게 대화할 수 있는지를 기준으로 기계에 지능이 있는지를 판별하고자 하는 시험으로, 1950년 앨런 튜링이 제안한 시험이다. 이미테이션 게임이라고도 부른다.

인공지능 연구의 초기 단계에서는 지능이 무엇인지에 대한 명확한 해답이 존재하지 않았다. 무엇이 인간다운 것인지도. 2500년 역사를 자랑하는 철학조차도 인간, 인간다운 것이 무엇인지 기준선을 제시하지 못했으니 어찌 보면 당연한 일이다.

그런 상황에서 튜링은 인공지능의 기준선을 정하는 것은 나중으로 미루고, 일단 인간이 보기에 인간 같은 것(소위 인공지능)을 인간에 준하는 지능이 있다고 간주하기로 한다. 즉 앨런 튜링은 “마음과 지능, 인간다움의 본질에 대한 논의는 그만두고, 일단 이 시험을 통과하는 모든 것은 확실히 ‘지적이다’라고 합의한 다음에, 이 시험을 통과하는 기...


#AI기술 #앨런튜링 #인공지능 #튜링테스트

원문링크 : 앨런 튜링(Alan Turing)의 튜링테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