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지합 해석, 통변 및 예시


지지합 해석, 통변 및 예시

지지합 해석, 통변 및 예시 많은 경우에 있어서 일지의 육합은 '득(得)'의 상황으로 통변하며...많은 경우에 실증된다. 결론을 먼저 말하자면 일지의 육합은 하나는 잃고 하나는 득하는 상황으로 보면 된다.

그러나 그 득(得)한 것도 온전한 모습이 아니라는데 핵심이 있다. ㅁ 癸 ㅁ ㅁ ㅁ 卯 ㅁ ㅁ<--술(戌)이 오면....

(묘술합)卯戌合이 이루어진다. 1)식신과 정관이 합을 이룸 2)여성이라면...식신과 정관이 합하므로...속도위반같은 모습을 띠면서 남성이 생기는 형국이다. 3) 失 :식신 -->자유로움. 의지.

라는 요소는 상실의 모습이다. 4) 得 :정관 -->남자. 직업 등은 득(得)의 모습이다.

-->남자가 생기면서...그 남자에 올인하여 다른 것들은 소홀하게 되는 결과를 드러낸다. -->직장을 얻으면서...다른 취미활동이나 자유로움은 포기하는 결과일 수 도 있다.

-->결과적으로 이것을 생각하면 저것이 아깝고, 저것을 생각하면 이것이 아깝다. -->모두다 온전치 못한 상태...


#명리 #지지합해석 #지지합통변 #지지합예시 #지지합 #십이지지 #사주팔자 #사주 #명리학 #지지합화

원문링크 : 지지합 해석, 통변 및 예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