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에 걸리면 냄새 못맡는 이유 밝혀졌다(연구)


코로나에 걸리면 냄새 못맡는 이유 밝혀졌다(연구)

[사진=게티이미지뱅크]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으로 후각을 잃은 사람들이 수백만 명이나 된다. 코로나19에 감염되면 냄새를 잘 맡지 못하게 될 수 있는 이유는 무엇일까?

다른 호흡기 질환과는 달리 코로나에 감염되면 후각을 잃는 메커니즘을 규명한 새로운 연구 결과가 나왔다. 미국 존스홉킨스대 의대 연구 결과에 따르면 코로나 감염 때의 후각 상실 증상은 코로나 바이러스의 직접적인 작용 때문이 아니라, 감염에 따른 염증 때문에 생기는 것으로 나타났다.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 후각 상피의 염증- 뉴런 손상- 축삭 돌기(뇌에 전기 자극을 보내는 뉴런 부위) 숫자의 감소- 후각 망울(후구)의 기능장애 등 과정을 거쳐, 코로나 감염자가 후각 상실로 냄새를 맡지 못하게 된다 후각 망울은 냄새 정보를 옮기는 신경 자극을 전달하는 영역인 뇌 기저부에 있다. 코로나 감염으로 후각을 잃은 사람들이 전 세계적으로 수백만 명에 이른다.

연구의 주요 저자인 존스홉킨스대 의대 청잉 호 부교수(신경병리학)는 “코로나...



원문링크 : 코로나에 걸리면 냄새 못맡는 이유 밝혀졌다(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