쉽게 설명하는 PER(주가수익비율)와 EPS(주당순이익)


쉽게 설명하는 PER(주가수익비율)와 EPS(주당순이익)

오늘은 알고 있으면 매우 유용한 PER(주가수익비율)와 EPS(주당순이익)에 대하여 쉽게 예를 들면서 설명해 보겠습니다. 그리고 적정주가 개념에 대해서도 알아봅니다.

PER(주가수익비율)과 EPS(주당순이익)는 회사에서 회계와 재무업무 담당 직장인들만 알아야 하는 개념이 아니며, 주식투자에 관심 있는 일반인이라면 기본적으로 알아야 하는 내용입니다. 어렵지 않고 복잡하지도 않습니다.

먼저 EPS(Earning Per Share, 주당순이익)란 회사의 당기순이익을 보통주식수로 나눈 수치입니다. * EPS = 당기순이익 ÷ 보통주식수 물론 회사들은 1년 동안 경영활동의 결과로 당기순이익이 시현되었을 때 그 당기순이익 전체를 주주들에게 배당해 주지는 않습니다. 예를 들어 A 회사가 2021년에 세후 당기순이익 10억원을 벌었다면 A 회사는 그 10억원 중에서 4억원은 미래 신사업 투자나 고정자산 구매를 위해 사내유보하고, 3억원은 직원들에게 성과급을 지급하고, 나머지 3억원을 주주 배당하기...



원문링크 : 쉽게 설명하는 PER(주가수익비율)와 EPS(주당순이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