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글 산소프로젝트에서 확인한 '높은 성과를 내는 팀 리더들의 10가지 행동특성'


구글 산소프로젝트에서 확인한 '높은 성과를 내는 팀 리더들의 10가지 행동특성'

조직에서 높은 성과(High Performance)를 내는 팀 리더는 낮은 성과를 내는 팀 리더와 어떻게 다를까요? 상대적으로 높은 성과를 내는 팀장은 그렇지 못한 팀장과 무엇이 다를까요?

어떤 특성이 팀 성과 차이를 가져올까요? 여기서 '팀 리더'란 일반적으로 팀장, 부서장 또는 본부장 같은 회사 단위 조직의 장을 말합니다.

가장 보편적인 조직 단위가 '팀' 또는 '부서'이므로 여기서는 팀장 또는 부서장을 팀 리더로 가정합니다. 구글의 산소 프로젝트(Project Oxygen)는 수평 조직에서도 관리자가 매우 중요하다는 점을 명확하게 입증했는데요. 2008년 초, 구글의 HR 데이터 분석팀이 ‘관리자가 정말 없어도 그만인 존재인가?’

라는 질문을 전사적으로 제기했고, 이를 데이터로 증명하는 작업인 산소 프로젝트가 시작되었습니다. 결론은 팀 리더(관리자, 매니저)의 존재와 역할의 중요성을 객관적으로 입증했다는 점입니다.

매니저의 중요성을 데이터에 기반해 검증했고, 상향 평가 결과가 좋...


#회사 #팀장 #조직 #수평조직 #부하직원 #부서장 #리더십 #높은성과팀리더들의10가지행동특성 #높은성과를내는팀리더 #구글산소프로젝트 #능력과진정성 #고성과팀리더 #직장인멘토 #직장인 #관리자 #유능한팀장 #유능한부장 #우수매니저들의8가지특성 #성공직장인멘토 #권위와보상 #권한위임 #매니저 #고성과팀

원문링크 : 구글 산소프로젝트에서 확인한 '높은 성과를 내는 팀 리더들의 10가지 행동특성'